KR101228836B1 - Robot having retreatable wheel - Google Patents

Robot having retreatable whe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836B1
KR101228836B1 KR1020110030035A KR20110030035A KR101228836B1 KR 101228836 B1 KR101228836 B1 KR 101228836B1 KR 1020110030035 A KR1020110030035 A KR 1020110030035A KR 20110030035 A KR20110030035 A KR 20110030035A KR 101228836 B1 KR101228836 B1 KR 101228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main body
arm
rod
t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0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11519A (en
Inventor
정상봉
Original Assignee
(주)미니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니로봇 filed Critical (주)미니로봇
Priority to KR1020110030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836B1/en
Publication of KR20120111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5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8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8/00Arms
    • B25J18/02Arms extensible
    • B25J18/025Arms extensible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2Gea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reduction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7/00Vehicles characterised by having other propulsion or other ground- engaging means than wheels or endless track, alone or in addition to wheels or endless track
    • B62D57/02Vehicles characterised by having other propulsion or other ground- engaging means than wheels or endless track, alone or in addition to wheels or endless track with ground-engaging propulsion means, e.g. walking members
    • B62D57/028Vehicles characterised by having other propulsion or other ground- engaging means than wheels or endless track, alone or in addition to wheels or endless track with ground-engaging propulsion means, e.g. walking members having wheels and mechanical le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1/00Robots
    • Y10S901/19Drive system for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퀴의 출몰이 가능한 로봇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로봇의 동작시에는 팔다리가 본체로부터 돌출되고, 동작을 하지 않을 시에는 팔다리가 본체로 들어가 외관이 매끄럽도록 하여 또 다른 재미를 부여하고 휴대가 간편한 바퀴의 출몰이 가능한 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apable of wandering wheels. More specifically, the limbs protrude from the main body when the robot is in operation, and when the robot is not in operation, the limbs enter the main body so that the appearance is smooth. It is about a robot that can be given and rolled in a wheel that is easy to carry.

Description

바퀴의 출몰이 가능한 로봇{Robot having retreatable wheel}Robot having retreatable wheel

본 발명은 로봇에 관한 것으로, 로봇의 동작시에는 팔다리가 본체로부터 돌출되고, 동작을 하지 않을 시에는 팔다리가 본체로 들어가 외관이 매끄럽도록 하여 또 다른 재미를 부여하고 휴대가 간편한 바퀴의 출몰이 가능한 로봇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the limbs protrude from the main body when the robot is in operation, the limbs enter the main body when not in operation, so that the appearance is smooth to give another fun and the appearance of a wheel that is easy to carry It's about possible robots.

로봇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용도를 갖는 로봇이 등장하고 있다. 이 중 어린이나 환자의 놀이기구가 되어 정신적인 건강에 도움을 주기 위한 헬스 로봇도 개발되고 있다.As robot technology advances, robots having various uses are emerging. Among them, a health robot is being developed to help mental health by being a playground equipment for children and patients.

이러한 헬스 로봇은 작고 귀여운 외관을 가지고 있으며, 전진 및 후진 등의 로봇의 기본적인 동작과 함께 카메라나 스피커 및 인공지능을 탑재하여 사용자와 말벗이 되거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등 사람을 대신하여 함께 놀아줌으로써, 신기함을 주고 정신적인 버팀목이 되어준다.These health robots have a small and cute appearance and are equipped with cameras, speaker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long with the basic movements of the robots such as forward and backward, so that they can play with each other, such as being able to take pictures or take pictures with the user. It is a novelty and a mental support.

그러나 헬스 로봇을 포함하는 종래의 대부분의 로봇에서는 로봇의 움직임을 위한 이동수단으로서 바퀴가 항상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있다.However, in most conventional robots including a health robot, wheels always protrude from the main body as a means for moving the robot.

즉, 로봇 본체의 이동을 위해서 바퀴가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지면에 맞닿아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맞지만, 이동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돌출된 바퀴는 큰 지장을 초래하기 마련이다.That is, it is correct to keep the wheel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for the movement of the robot main body, but the protruding wheel will cause a great obstacle when not moving.

예컨대 사용자가 로봇을 들고 이동할 시, 돌출된 바퀴는 몸에 품을 때도 거치적거리며, 옷가지에 걸리기도 한다. 또한 어린이나 환자의 경우 잠을 잘 때 헬스 로봇을 품고 자기도 하는데, 이 때에도 돌출된 바퀴 때문에 포근한 느낌을 주지 못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moves with the robot, the protruding wheels hang while they are in the body and may get caught in clothes. In addition, a child or a patient sleeps with a health robot when they sleep, but the protruding wheels do not give a cozy feeling.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로봇이 동작할 시에는 바퀴 기능을 하는 바퀴형발이 돌출되되, 동작을 하지 않을 시에는 바퀴형발이 본체 외관과의 일부가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기한 재미를 줌과 동시에 휴대가 간편한 바퀴의 출몰이 가능한 로봇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obot is operating a wheel-shaped foot that protrudes when the robot is operating, the wheel-shaped foot is not part of the body appearance when not operating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obot that can entertain the user at the same time as well as entertain the user with a fun whee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퀴의 출몰이 가능한 로봇은,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바퀴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위치하는 바퀴형발;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바퀴형발과 연계된 로드를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바퀴형발의 둘레가 지면에 닿도록 하여 상기 바퀴형발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바퀴형발의 회전축을 기울여 상기 바퀴형발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가로막도록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Robot capable of wandering the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dy formed with an opening in the lower portion; A wheel-shaped foot which can be rotated by the power of the wheel driving motor and is located in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And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by transporting the rod associated with the wheel foot so that the circumference of the wheel foot on the ground to enable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wheel foot, or of the wheel foot And driving means for tilting the axis of rotation so that the wheel-shaped foot intersects the opening of the body.

여기서, 상기 본체의 하부 양측에 대칭으로 각각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개구부에 상기 바퀴형발이 각각 위치하며, 상기 바퀴형발에 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바퀴구동모터가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되,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로드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로드이동홈이 형성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로드이동홈에 안착되며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기어이동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어이동홈 내의 일측으로 톱니가 형성된 상기 로드; 상기 로드의 기어이동홈 내의 일측에 형성된 톱니와 맞물리는 로드이송기어; 상기 로드이송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로드를 승강 시키는 로드이송모터; 상기 로드의 하부에서 돌출되도록 연결된 바퀴구동포스트; 상기 바퀴구동포스트가 이동하는 포스트안내홈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바퀴구동모터가 힌지 결합된 브라킷; 및 일측은 상기 바퀴구동포스트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바퀴구동모터와 상기 브라킷이 힌지 결합된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바퀴구동포스트의 승강에 따라 상기 바퀴구동모터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상기 바퀴구동모터와 결합된 상기 바퀴형발의 둘레가 지면에 닿도록 하거나, 상기 바퀴형발의 회전축을 기울여 상기 바퀴형발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가로막도록 하는 바퀴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each opening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the wheel foot is located in each of the opening, the wheel driving motor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wheel foot is connected to the drive means The driving means may include: a support frame having a rod moving groove formed to allow the rod to be seated and to move in a vertical direction; The rod seated in the rod moving groove of the support frame and having a gear moving groov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thereof, and having teeth formed in one side of the gear moving groove; A rod feed gear meshing with a tooth formed on one side in the gear moving groove of the rod; A rod feed motor for elevating the rod by rotating the rod feed gear; A wheel drive post connect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rod; A post guide groove in which the wheel driving post moves, the bracket being coupled to the wheel driving motor;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wheel driving post,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a point away from the hinged position of the wheel driving motor and the bracket, and pushes or pulls the wheel driving motor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wheel driving post. As such, the wheel link to the circumference of the wheel-shaped foot coupled with the wheel driving motor to the ground, or by tilting the rotation axis of the wheel-shaped foot so that the wheel-shaped foot intercepts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로드의 하부에서 돌출되도록 연결된 꼬리구동포스트; 상기 꼬리구동포스트에 고정된 꼬리지지부; 및 일측은 상기 꼬리지지부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에는 꼬리바퀴가 결합되어, 상기 꼬리구동포스트의 승강에 따라 상기 꼬리바퀴를 상기 본체 후방으로 밀어내거나, 상기 꼬리바퀴를 상기 본체 내측으로 당기는 꼬리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means, the tail drive post is connect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rod; A tail support fixed to the tail drive post; And one side is hinged to the tail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tail wheel, the tail link to push the tail wheel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lifting of the tail driving post, or to pull the tail wheel into the main body; It may further include.

또, 상기 바퀴형발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가로막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는 전체적으로 계란형이며, 상기 바퀴형발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가로막은 상태로 세워지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에 평탄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ate where the wheel-shaped foot blocks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the main body is generally egg-shaped, and a flat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wheel-shaped foot stands up in a state of blocking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또, 상기 본체의 양측에서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동작되는 날개형팔;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로드의 상부에 연결되고 끝단에 돌출부가 마련된 팔구동암; 상기 팔구동암의 돌출부가 이동하는 돌출부안내홈이 형성된 팔링크; 및 일단은 상기 날개형팔의 상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팔링크와 힌지 결합되며, 양단의 중간 지점에서 상기 본체와 힌지 결합되는 팔동작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팔구동암의 돌출부의 승강에 따라 상기 팔링크가 상기 팔동작축의 타단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상기 날개형팔이 상기 본체 바깥으로 펼쳐지도록 하거나, 상기 본체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ng-shaped arm which is operated by the drive means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ing, the drive means, the arm drive arm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d and provided with a protruding end; An arm link having a protrusion guide groove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of the arm driving arm moves; And one e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wing arm, and the other end hinged to the arm link, and an arm operating shaft hinged to the main body at an intermediate point of both ends. Accordingly, the arm link may push or pull the other end of the arm operation shaft to allow the wing-shaped arm to extend out of the main body or to be seated on the main bod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퀴의 출몰이 가능한 로봇은, 로봇이 동작할 시에는 바퀴형발의 둘레가 지면에 닿도록 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되, 로봇의 동작이 멈추면 바퀴형발의 각도를 변화시켜 바퀴형발이 본체의 개구부를 가로막아 바퀴형발 표면이 본체의 외관과 일체가 되도록 하여, 휴대시 거치적거림이 없고, 어린이나 환자 등의 사용자가 품에 안을 시 포근함을 느끼게해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obot capable of wandering the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obot is operating so that the circumference of the wheel-foot touches the ground so that it can move,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wheel-foot when the robot stops The wheel-shaped foot blocks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surface of the wheel-shaped foot is integrated with the appearanc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re is no hangover when carrying, and a user such as a child or a patient can feel cozy when in the product.

또한, 동작을 하지 않는 휴면 상태에서는 별도의 커버 없이도 본체 하부의 개구부를 바퀴형발이 완전하게 덮어서 가로막기 때문에 내부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dormant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is not performed, since the wheel-shaped foot completely covers the opening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without a separate cover, the foreign matter may be prevented from penetrating the inside.

더불어 날개형팔 또한 본체로부터 돌출되거나 본체의 외관과 일체가 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로봇의 외관을 변화시켜 신기한 재미를 부여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wing-shaped arm also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or may be integrated with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main body to change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robot may give a novel fun.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퀴의 출몰이 가능한 로봇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로봇의 구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로봇의 구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로봇의 구동수단 중 로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5 및 도6은 도1에 도시된 로봇의 바퀴형발과 날개형팔이 본체에 들어가 본체의 외관과 일체가 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robot that can be mounted on the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driving means of the robot shown in FIG.
3 is a rear view for explaining the driving means of the robot shown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rod of the driving means of the robot shown in FIG.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wheel-shaped foot and the wing arm of the robot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some components irrelevant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but the omitted elements are not necessarily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can be used in combina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의 출몰이 가능한 로봇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의 출몰이 가능한 로봇은 전체적으로 계란형의 외관을 가진 본체(10)와, 본체(10)의 상부에 장착되는 머리부(20)와, 본체(10)의 양옆에 장착되는 날개형팔(64)과, 본체(10) 하부의 개구부(12)에서 장착되는 바퀴형발(53)을 포함한다. 여기서 머리부(20), 날개형팔(64) 및 바퀴형발(53)은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40)에 연결되고, 모터 등의 동력원에 의해 작동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robot that can be mounted on the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 robot capable of wandering a whe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having an egg-shaped appearance as a whole, a head 20 mounted on a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and a main body. The wing-shaped arm 64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10 and the wheel-shaped foot 53 mounted in the opening 12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are included. Here, the head 20, the wing arm 64 and the wheel foot 53 is connected to the drive means 4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and is operated by a power source such as a motor.

본체(10)의 상부에 장착되는 머리부(20)에는 사람의 얼굴과 유사하게 눈(21), 눈썹, 코 등이 형상화 되어 있으며, 모터(미도시)에 의해 눈꺼풀이 움직이거나 눈썹이 움직이거나 머리부(20) 자체가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코 위치에는 카메라(22)가 장착되어 전방을 촬영할 수가 있다. 또한 머리부(20)에는 투명한 덮개가 씌워질 수도 있다.In the head 20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eyes 21, eyebrows, noses, etc. are shaped like human faces, and the eyelids are moved or the eyebrows are moved by a motor (not shown). The head 20 itself can move. Moreover, the camera 22 is attached to a nose position, and can photograph forward. In addition, the head 20 may be covered with a transparent cover.

본체(10)의 전방에는 디스플레이(30)가 장착되어, 카메라(2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출력되거나 별도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사진이나 동영상이 출력될 수도 있다.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is equipped with a display 30,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22 may be output or a picture or video stored in a separate memory (not shown) may be output.

본체(10)의 하부에는 양측으로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12)에 각각 바퀴구동모터(54)에 의해 회전 가능한 바퀴형발(53)이 위치한다. 또한 본체(10)의 하부 후방에는 꼬리바퀴(58)가 출몰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Openings 12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wheel-shaped feet 53 rotatable by the wheel driving motors 54 are positioned in the openings 12, respectively. In addition,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tail wheel 58 emerges is formed in the lower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또한, 본체(10)의 양측면에는 본체(10) 내측으로 함몰된 팔안착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팔안착부(11)에 날개형팔(64)이 장착된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are formed with the arm seating portion 11 recessed into the body 10, the wing-shaped arm 64 is mounted to the arm seating portion (11).

이러한 바퀴형발(53)과 날개형팔(64)은 본체(10) 내부에 설치된 구동수단(40)에 의해 작동되며, 구동수단(40)에 대한 설명은 도2 내지 도5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특징은 로봇의 바퀴형발(53) 및 날개형팔(64)의 구동에 있는 것이기 때문에 머리부(20)의 구동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wheel-shaped foot 53 and the wing-shaped arm 64 is operated by the drive means 4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the description of the drive means 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Prior to the description, sinc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 the driving of the wheel-shaped foot 53 and the wing-shaped arm 64 of the robot, description of the driving of the head 20 will be omitted.

도2를 참조하면,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40)은 지지프레임(41), 로드(43), 로드이송모터(46), 로드이송기어(47), 바퀴구동포스트(48), 바퀴링크(49), 브라킷(50), 꼬리구동포스트(55), 꼬리지지부(56), 꼬리링크(57), 팔구동암(59), 팔링크(61), 팔동작축(63), 팔지지부(6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driving means 4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includes a support frame 41, a rod 43, a rod feed motor 46, a rod feed gear 47, and a wheel drive post 48. ), Wheel link (49), bracket (50), tail drive post (55), tail support (56), tail link (57), arm drive arm (59), arm link (61), arm motion shaft (63) It includes an arm support (65).

지지프레임(41)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내측으로 로드(43)가 안착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로드이동홈(42)이 마련되어 있다.The support frame 41 is formed long and vertically, and is provided with a rod moving groove 42 which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mounting the rod 43 therein.

지지프레임(41)을 제거하고 후방 각도에서 바라본 도4를 참조하면, 지지프레임(41)에 안착된 로드(43)의 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기어이동홈(44)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어이동홈(44)의 일측에 톱니(45)가 형성되어 있고, 기어이동홈(44)의 톱니(45)에 맞물리는 로드이송기어(47)가 기어이동홈(44)에 안착되어 있다. 로드이송기어(47)는 로드이송모터(46)(도3의 후면도 참조)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로드이송모터(46)의 동력으로 로드이송기어(47)가 회전함으로써 기어이동홈(44)의 톱니(45)가 밀려올라가거나 내려와 로드(43)가 승강할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4 with the support frame 41 removed and viewed from a rear angle, a gear moving groove 44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rear of the rod 43 seated on the support frame 41, and the gear moving groove A tooth 4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44, and a rod feed gear 47 that meshes with the teeth 45 of the gear moving groove 44 is seated in the gear moving groove 44. The rod feed gear 47 is rotatable by the rod feed motor 46 (refer to the rear view in FIG. 3), and the gear transfer groove 44 is rotated by the rod feed gear 47 rotating by the power of the rod feed motor 46. ), The teeth 45 may be pushed up or down to move the rod 43 up and down.

로드(43) 하부 전방에는 바퀴구동포스트(48)가 돌출되어 연결되어 있으며, 로드(43) 하부 후방에는 꼬리구동포스트(55)가 돌출되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로드(43) 상부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팔구동암(59)이 연결되어 있다.The lower front of the rod 43, the wheel driving post 48 is protruded and connected, the lower rear of the rod 43, the tail driving post 55 is protruded and connected. In addition, the arm drive arm 59 is connected to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rod 43.

로드(43)의 하부 전방에 돌출되어 연결된 바퀴구동포스트(48)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킷(50)의 중앙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포스트안내홈(51)을 관통하여 안착된다.As shown in FIG. 2, the wheel drive posts 48 protruding from the lower front of the rod 43 are seated through the post guide grooves 51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bracket 50.

또한 브라킷(50)의 양측에서 바퀴형발(53)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바퀴구동모터(54)의 일 지점이 힌지(52) 결합된다. 또 브라킷(50)의 포스트안내홈(51)을 관통하여 돌출된 바퀴구동포스트(48)에 바퀴링크(49)의 일단이 연결되고, 바퀴링크(49)의 타단은 바퀴구동모터(54)에 연결된다. 바퀴링크(49)의 타단이 바퀴구동모터(54)에 연결되는 지점은 바퀴구동모터(54)와 브라킷(50)이 힌지(52) 결합된 지점으로부터 되도록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hinge 52 is coupled to one point of the wheel driving motor 54 providing rotational power to the wheel-shaped foot 53 at both sides of the bracket 50. In addition, one end of the wheel link 49 is connected to the wheel driving post 48 protruding through the post guide groove 51 of the bracket 50, and the other end of the wheel link 49 is connected to the wheel driving motor 54. Connected. The point where the other end of the wheel link 49 is connected to the wheel driving motor 54 is preferably far from the point where the wheel driving motor 54 and the bracket 50 are coupled to the hinge 52.

따라서 도3(후면)을 참조하면, 로드이송모터(46)의 회전에 의해 로드이송기어(47)가 회전하여 로드(43)가 하강하면, 바퀴구동포스트(48)가 브라킷(50)의 포스트안내홈(51)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바퀴구동포스트(48)의 하강에 따라 바퀴링크(49)의 일단이 하강하면서 바퀴링크(49)의 타단이 바퀴구동모터(54)를 잡아당겨 바퀴구동모터(54)가 힌지(52) 결합된 지점을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바퀴형발(53)이 세워져 바퀴형발(53)의 둘레가 지면에 닿게 된다.Therefore, referring to FIG. 3 (rear), when the rod feed gear 47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rod feed motor 46 and the rod 43 descends, the wheel driving post 48 posts the bracket 50. It is lowered along the guide groove 51, and one end of the wheel link 49 descends as the wheel drive post 48 descends, and the other end of the wheel link 49 pulls the wheel drive motor 54 to drive the wheel. By rotating the motor 54 relative to the hinge 52, the wheel foot 53 is erected so that the circumference of the wheel foot 53 reaches the ground.

이 상태에서 바퀴구동모터(54)가 회전동력을 바퀴형발(53)에 전달하면, 바퀴형발(53)이 회전하면서 본체(10)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여기서 각각의 바퀴형발(53)은 각각의 바퀴구동모터(54)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바퀴형발(53)의 회전 속도 차이에 따라 우회전과 좌회전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바퀴형발(53)이 지면에 닿게되는 둘레에는 오링 등의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이 감싸고 있어서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wheel drive motor 54 transmits the rotational power to the wheel-shaped foot 53, the wheel 10 is rotated while the main body 10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Here, each of the wheel-shaped foot 53 is operated by the respective wheel drive motor 54, it is also possible to turn right and left ro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speed difference of the wheel-shaped foot 53. In addition, the wheel-shaped foot 53 is surrounded by a material having a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such as O-ring around the ground can also improve the running performance.

또한 사용자가 원격조정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명령을 입력하면, 로드이송모터(46)가 역회전하면서 로드이송기어(47)가 로드(43)를 밀어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바퀴구동포스트(48)가 브라킷(50)의 포스트안내홈(51)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바퀴구동포스트(48)의 상승에 따라 바퀴링크(49)의 일단이 상승하면서 바퀴링크(49)의 타단이 바퀴구동모터(54)를 밀어내며, 이에 따라 바퀴구동모터(54)가 힌지(52) 결합된 지점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바퀴형발(53)을 눕히게 된다. 따라서 바퀴형발(53)은 도5의 후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어지게 되며, 도6에서와 같이 바퀴형발(53)이 본체(10)의 개구부(12)를 가로막아 본체(10) 외관의 일부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본체(10) 전체의 형상이 계란형이 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s a command by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not shown), the load transfer motor 47 rotates the rod 43 while the load transfer motor 46 is reversely rotated. Accordingly, the wheel driving post 48 rises along the post guide groove 51 of the bracket 50, and one end of the wheel link 49 rises as the wheel driving post 48 rises, and the wheel link 49 The other end of the) pushes the wheel drive motor 54, accordingly, the wheel drive motor 54 is rotated based on the hinge 52 coupled to lay the wheel-shaped foot (53). Accordingly, the wheel foot 53 is inclined as shown in the rear view of FIG. 5, and as shown in FIG. 6, the wheel foot 53 blocks an opening 12 of the main body 10, thereby partially displacing the main body 10. Becomes Therefore, in this state, the shape of the entire body 10 becomes an egg shape.

한편, 양측에서 바퀴형발(53)이 세워져 있다 하더라도 바퀴형발(53)에 의해서만 본체(10)를 세우고 있는 것은 불안하다. 따라서 본체(10)의 후면에는 꼬리바퀴(58)가 돌출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wheel-shaped foot 53 is standing on both sides, it is unstable to stand the main body 10 only by the wheel-shaped foot (53). Therefore,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tail wheel 58 protrudes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도4를 참조하여 꼬리바퀴(58)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로드(43)의 하부 후방으로 꼬리구동포스트(55)가 돌출되어 연결되어 있으며, 돌출된 꼬리구동포스트(55)에 꼬리지지부(56)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꼬리링크(57)의 일측이 꼬리지지부(56)에 힌지결합되고, 꼬리링크(57)의 타측에 꼬리바퀴(58)가 결합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 4, the operation of the tail wheel 58, first, the tail driving post 55 is protruded and connected to the lower rear of the rod 43, the tail support (55) to the protruding tail driving post (55) 56) is fixed. In addition, one side of the tail link 57 is hinged to the tail support 56, the tail wheel 58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tail link (57).

따라서 로드(43)가 상승하면, 꼬리구동포스트(55) 및 꼬리지지부(56)가 상승하여 꼬리링크(57) 끝의 꼬리바퀴(58)가 잡아당겨져 꼬리바퀴(58)가 본체(10)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로드(43)가 하강하면, 꼬리구동포스트(55) 및 꼬리지지부(56)가 하강하여 꼬리링크(57) 끝의 꼬리바퀴(58)를 본체(10) 외부로 밀어내게 된다.Therefore, when the rod 43 rises, the tail drive post 55 and the tail support 56 are raised to pull the tail wheel 58 at the end of the tail link 57 so that the tail wheel 58 is inside the body 10. When the rod 43 is lowered, the tail driving post 55 and the tail support 56 are lowered to push the tail wheel 58 at the end of the tail link 57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여기서 꼬리바퀴(58) 및 꼬리링크(57)는 본체(10)의 하부 후방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출몰 되는데, 이때 꼬리바퀴(58) 및 꼬리링크(57)가 본체 내부로 들어가면 꼬리덮개(66)가 개구부를 막아준다. 즉, 도4를 참조하면, 꼬리링크(57)에는 길이 방향으로 꼬리덮개(66)의 연결포스트가 관통하는 연결포스트홈이 형성되어 있고, 꼬리덮개(66)의 내측 일지점은 본체(10)와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꼬리구동포스트(55)가 하강하면, 꼬리바퀴(58)가 지면에 맞닿으면서 미끄러져 꼬리링크(57)가 본체(10)의 하부 후방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돌출하게 된다. 이때 꼬리덮개(66)의 연결포스트가 꼬리링크(57)의 연결포스트홈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꼬리덮개(66)의 하부를 본체(10)의 외부로 밀어내게된다. 따라서 꼬리덮개(66)는 상부가 힌지 결합된 상태로 회전하여 열리게 된다.Here, the tail wheel 58 and the tail link 57 is released through the opening formed in the lower rear of the body 10, in which case the tail wheel 58 and the tail link 57 enters the body, the tail cover 66 Block the openings. That is, referring to Figure 4, the tail link 57 is formed with a connecting post groove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post of the tail cover 66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point inside the tail cover 66 is the main body 10 And hinge are combined. Therefore, when the tail driving post 55 descends, the tail wheel 58 slides while contacting the ground, and the tail link 57 protrudes through the opening formed in the lower rear of the main body 10.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st of the tail cover 66 slides along the connection post groove of the tail link 57 to push the lower part of the tail cover 66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erefore, the tail cover 66 is opened by rotating in the hinged state of the top.

반대로, 꼬리바퀴(58)가 돌출된 상태에서 꼬리구동포스트(55)가 상승하면, 꼬리바퀴(58) 및 꼬리링크(57)는 본체(1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며, 꼬리덮개(66)의 하부도 꼬리링크(57)에 연결된 연결포스트에 의해 당겨져 개구부를 막도록 닫히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tail driving post 55 is raised in the state in which the tail wheel 58 protrudes, the tail wheel 58 and the tail link 57 enter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tail cover 66 The lower part is also pulled by the connecting post connected to the tail link 57 and closed to close the opening.

한편, 바퀴형발(53)의 둘레가 지면에 접하게 되는 위치는 본체(10)의 전후방향을 중심으로 하였을 시 앞쪽으로 치우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로드(43)가 하강하면, 본체(10) 하부의 양측에서 바퀴형발(53)이 펼쳐지는데, 바퀴형발(53)의 둘레가 지면에 접하게 되는 위치가 본체(10)의 전방으로 치우쳐져 있다면, 바퀴형발(53)이 펼쳐질 시 본체(10)는 자연스럽게 뒤로 젖혀지게 된다. 이때 바퀴형발(53)이 펼쳐짐과 동시에 꼬리바퀴(58)도 후방으로 펼쳐지기 때문에, 돌출하는 꼬리바퀴(58)에 의해 뒤로 넘어지려는 본체(10)를 지탱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체(10)는 꼬리바퀴(58)가 뒤에서 안정되게 지탱하는 상태로 바퀴형발(53)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where the circumference of the wheel-shaped foot 53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is preferably biased forward when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That is, when the rod 43 descends, the wheel-shaped foot 53 is unfol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and the position where the circumference of the wheel-shaped foot 53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is shifted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If there is, when the wheel-shaped foot 53 is unfolded, the body 10 is naturally folded back. At this time, since the wheel 53 is unfolded and the tail wheel 58 is also unfolded rearward, the main body 10 can be supported by the protruding tail wheel 58 to fall back. Therefore, the main body 10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by the rotation of the wheel-shaped foot 53 in a state where the tail wheel 58 is stably supported from behind.

한편 바퀴형발(53) 및 꼬리바퀴(58)가 모두 본체(10) 내부로 진입하게 되면, 계란형 본체(10)의 저면이 지면에 닿게 되는데, 이때에도 본체(10)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저면에는 평탄부(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1 참조). 따라서 바퀴형발(53) 및 꼬리바퀴(58)가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내부로 들어가더라 본체(10) 저면의 평탄부(13)가 지면에 맞닿아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both the wheel-shaped foot 53 and the tail wheel 58 enters the main body 10, the bottom surface of the egg-shaped main body 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the main body 10 can be maintained even in this st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t part 13 is formed in the bottom face of the main body 10 (refer FIG. 1). Accordingly, as the wheel 53 and the tail wheel 58 enter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flat portion 13 of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It can be maintained.

또한, 바퀴형발(53)은 회전에 의해 본체(1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그 둘레가 원형이어야 하며, 바퀴형발(53)은 개구부(12)를 완전하게 가로막아야 하기 때문에 개구부(12) 역시 바퀴형발(53)과 내경이 대략 유사한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퀴형발(53)은 바퀴형발(53)에 일체로 결합된 바퀴구동모터(54)가 브라킷(50)에 힌지(52)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펼쳐지고 닫혀진다. 따라서 바퀴형발(53)이 펼쳐지면 바퀴형발(53)이 지면에 수직한 상태로 세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바퀴형발(53)의 회전으로 주행이 가능해지는 것이고, 또한 바퀴형발(53)이 닫혀지면 바퀴형발(53)의 일면이 본체(10)의 개구부(12)를 완전하게 닫아줄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개구부(12)를 닫아주기 위해 바퀴형발(53) 이외의 별도의 커버가 필요치 않다. 따라서 바퀴형발(53)은 개구부(12)를 닫아주는 커버 역할도 수행하여 이물질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예방하여 내부 구성의 고장 우려도 없애줄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heel-shaped foot 53 serves to move the main body 10 by rotation, the circumference thereof should be circular, and the wheel-shaped foot 53 must completely block the opening 12.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wheel-shaped foot 53 and the inner diameter is approximately similar circular. That is, the wheel-shaped foot 53 is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wheel driving motor 54 integrally coupled to the wheel-shaped foot 53 is coupled to the bracket 50 by the hinge 52. Therefore, when the wheel-shaped foot 53 is unfolded, the wheel-shaped foot 53 is erected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us, the wheel-shaped foot 53 can be driven by the rotation of the wheel-shaped foot 53, and when the wheel-shaped foot 53 is closed, the wheel One surface of the mold 53 may completely close the opening 12 of the main body 10. Accordingly, a separate cover other than the wheel-shaped foot 53 is not required to close the opening 12. Therefore, the wheel-shaped foot 53 also serves as a cover to close the opening 12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can also eliminate the risk of failure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더불어, 바퀴형발(53)이 펼쳐지거나 닫혀지는 동작이 직선이동이 아닌 회전이동이기 때문에, 바퀴형발(53)이 회전하여 펼쳐지면 곧바로 바퀴형발(53)이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져 주행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닫혀지면 곧바로 개구부(12)를 닫아주어 본체(10)가 완전한 계란형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추가적인 동작이 없더라도, 1회의 동작만으로 바퀴형발(53)이 회전하여 수직으로 세워져 주행상태가 될 수 있고, 반대로 회전하여 개구부(12)를 닫아줄 수 있어서 복잡한 동작 제어를 하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since the wheeled foot 53 is unfolded or closed, the movement is not a linear movement, but a rotational movement. As soon as the wheeled foot 53 is rotated and unfolded, the wheeled foot 53 is erected perpendicularly to the ground, and thus the driving state is possible. In addition, as soon as it is closed, the opening 12 may be closed so that the main body 10 may be a complete egg shape. That is, even if there is no additional motion, the wheel-shaped foot 53 is rotated to stand vertically by only one motion to be in a running state, and the rotation 12 can be closed to close the opening 12 so that complicated motion control is not required.

또한, 바퀴형발(53)을 구동시키기 위한 바퀴구동모터(54)는 바퀴형발(53) 내측에 일체로 고정된 구조이다. 즉, 바퀴형발(53)에 바퀴구동모터(54)가 일체로 고정된 구조가 아니라면 바퀴형발(53)의 위치가 특정한 위치에 있을 때에만 회전 동력이 전달되도록 별도의 회전력 변환수단이 필요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바퀴형발(53)이 본체(10)에 대해서 펼쳐지거나 닫히는 동작을 하더라도, 바퀴구동모터(54)가 바퀴형발(53)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동력을 변환하여 바퀴형발(53)에 전달해야 하는 별도의 매커니즘이 필요치 않다.In addition, the wheel drive motor 54 for driving the wheel-shaped foot 53 is a structure fixed integrally inside the wheel-shaped foot 53. That is, unless the wheel drive motor 54 is integrally fixed to the wheel-shaped foot 53, a separate rotational force converting means is required so that rotational power is transmitted only when the position of the wheel-shaped foot 53 is at a specific position. In this embodiment, even if the wheel 53 is expanded or clos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the wheel driving motor 54 is fixed to the wheel 53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is converted to the wheel type ( 53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mechanism to communicate.

한편, 바퀴형발(53)이 회전하면서 펼쳐지기 때문에, 펼쳐진 바퀴형발(53)의 수직방향 최저점은 본체(10)의 평탄부(13)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여야 하며, 이에따라 본체(10)는 지면에서 떨어진 상태에서 주행을 할 수가 다. 이와 동시에 펼쳐진 바퀴형발(53)은 지면에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즉, 바퀴형발(53)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만 하중이 가해질 뿐 축방향 하중은 발생하지 않음)를 유지할 수 있고, 바퀴형발(53)이 복귀할 시에는 본체(10)의 개구부(12)를 완전하게 덮을 수 있다. 즉, 바퀴형발(53)이 회전하면서 출몰하는 방식이 아니고, 직선 이동하여 출몰하는 방식에서는 상술한 효과를 기대할 수가 없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wheeled foot 53 is unfolded while rotating, the vertical lowest point of the unrolled wheeled foot 53 should be located at a lower point than the flat portion 13 of the main body 10, whereby the main body 10 is grounded. You can drive away from the car. At the same time, the unfolded wheel form 53 is structurally stable while maintaining the stat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at is, the load is applied on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that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wheel form 53). No load is generated), and when the wheel-shaped foot 53 returns, the opening 12 of the main body 10 can be completely covered. In other words, the above-described effects cannot be expected in the manner in which the wheel-shaped foot 53 roams while rotating, but in a linear movement.

또한, 바퀴형발(53)과 꼬리바퀴(58)가 본체(10) 내부로 복귀할 시에는 바퀴형발(53)이 먼저 복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꼬리바퀴(58)가 먼저 복귀를 하게 되면 본체(10)가 뒤로 젖혀져서 쓰러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꼬리바퀴(58)보다 바퀴형발(53)이 먼저 접히게 되면 본체(10)가 하강하면서 평탄부(13)가 안정되게 지면에 닿게 될 수 있으며, 이후 꼬리바퀴(58)가 접히면서 본체(10)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가 있게 된다. 물론 바퀴형발(53)과 꼬리바퀴(58)가 펼쳐지고 접히는 순서는 각각이 로드(43)와 연결된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정해진다.
In addition, when the wheel 53 and the tail wheel 58 is returned to the inside of the body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wheel 53 is returned first. This is because if the tail wheel 58 is returned first, the main body 10 may be flipped over and fall down. Therefore, when the wheel-shaped foot 53 is folded earlier than the tail wheel 58, the body 10 is lowered and the flat part 13 may stably touch the ground, and then the tail wheel 58 is folded and the body ( 10) can be reliably erected on the ground. Of course, the order in which the wheel-shaped foot 53 and the tail wheel 58 are unfolded and folded is determined by setting the positions in which the rods 4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다시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날개형팔(64)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The operation of the wing arm 64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로드(43) 상부 양측으로 돌출되어 팔구동암(59)이 연결되어 있으며, 팔구동암(59)의 끝단에는 돌출부(60)가 마련되어 있다. 팔구동암(59)의 돌촐부는 팔링크(61)의 돌출부안내홈(62)에 결합되며, 팔링크(61)의 끝단은 날개형팔(64)에 고정된 팔동작축(63)과 힌지 결합된다.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rod 43, the arm drive arm 59 is connected, the protruding portion 6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arm drive arm (59). The protrusion of the arm driving arm 59 is coupled to the protrusion guide groove 62 of the arm link 61, and the end of the arm link 61 is hinged to the arm operating shaft 63 fixed to the wing-shaped arm 64. .

날개형팔(64)은 본체(10)의 양측에 형성된 팔안착부(11)에 안착되거나, 아랫부분이 올라가 날개를 펼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날개형팔(64)의 동작을 위해 날개형팔(64)의 상부는 본체(10)의 내부로 연장된 팔동작축(63)에 고정된다. 즉 팔동작축(63)의 일단은 날개형팔(64)의 상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팔링크(61)와 힌지 결합된다. 또한 팔동작축(63)의 중간 지점은 본체(10)와 고정된 팔지지부(65)에 힌지 결합된다.The wing-shaped arm 64 may be seated on the arm seating portions 11 formed at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or the lower portion thereof may be raised to maintain a form in which the wings are spread. The upper portion of the wing arm (64) for the operation of the wing arm (64) is fixed to the arm operating shaft (63) extending into the body (10). That is, one end of the arm operation shaft 63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ing-shaped arm 64,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arm link (61).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point of the arm operating shaft 63 is hinged to the main body 10 and the fixed arm support (65).

따라서 로드(43)가 하강하면 팔구동암(59)의 돌출부(60)가 팔링크(61)의 돌출부안내홈(62)을 따라 하강하면서 돌출부안내홈(62)의 끝에서 팔링크(61)를 잡아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팔링크(61)가 팔동작축(63)의 타단을 잡아 내리면서 팔동작축(63)의 일단은 날개형팔(64)을 들어올리게 된다(도3 참조).Therefore, when the rod 43 descends, the protrusion 60 of the arm drive arm 59 descends along the protrusion guide groove 62 of the arm link 61 and moves the arm link 61 at the end of the protrusion guide groove 62. One end of the arm operation shaft 63 lifts the wing-shaped arm 64 while the arm link 61 pulls down the other end of the arm operation shaft 63 accordingly (see FIG. 3).

반대로 로드(43)가 상승하면 팔구동암(59)의 돌출부(60)가 팔링크(61)의 돌출부안내홈(62)을 따라 상승하면서 돌출부안내홈(62)의 턱에 걸려 팔링크(61)를 밀어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팔링크(61)가 팔동작축(63)의 타단을 밀어 올리면서 팔동작축(63)의 일단은 날개형팔(64)을 내려 날개형팔(64)이 본체(10)의 팔안착부(11)에 안착하게 된다(도5 및 도6 참조).On the contrary, when the rod 43 is raised, the protrusion 60 of the arm driving arm 59 is raised along the protrusion guide groove 62 of the arm link 61 while being caught by the jaw of the protrusion guide groove 62. As a result, the arm link 61 pushes up the other end of the arm operation shaft 63, while one end of the arm operation shaft 63 lowers the wing-shaped arm 64, so that the wing-shaped arm 64 is the main body 10. It is seated on the arm seat 11 of () (see Figs. 5 and 6).

이와 같이 로드이송모터(46)의 회전에 따라 로드이송기어(47)가 회전하면, 로드(43)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데, 로드(43)가 하강할 시에는 바퀴형발(53)과 날개형팔(64)이 모두 펼쳐진 형태(동작 모드)가 되고, 로드(43)가 상승할 시에는 바퀴형발(53)과 날개형팔(64)이 모두 접혀진 형태(휴면 모드)가 된다.As the rod feed gear 47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d feed motor 46, the rod 43 is raised or lowered. When the rod 43 is lowered, the wheel foot 53 and the wing arm are lowered. All of 64 are in the unfolded form (operation mode), and when the rod 43 is raised, both the wheel foot 53 and the wing arm 64 are folded (sleep mode).

따라서 동작 모드에서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바퀴형발(53)이 회전하여 동작을 할 수 있고, 휴면 모드에서는 바퀴형발(53)과 날개형팔(64)이 모두 접혀진 상태가 되어 본체(10)가 완전한 계란형을 이룰 수 있고, 따라서 로봇을 들고 이동할 시에는 거치적거리는 부분이 없으며, 품에 안을 시에도 포근함을 느낄 수가 있게 된다.
Therefore, in the operation mode, the wheel foot 53 can be rotated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and in the dormant mode, the wheel foot 53 and the wing arm 64 are both folded, so that the main body 10 is completely egg-shaped. This can be achieved, so when moving with the robot there is no mounting part, and even when you are in your arms, you will feel warm.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의 출몰이 가능한 로봇은 리모컨(미도시)에 의해 동작 제어될 수도 있으며, 마이크(미도시)나 스피커(미도시)가 장착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작동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음성이 출력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obot that can appear on the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trolled by a remote control (not shown), a microphone (not shown) or a speaker (not shown) is mounted to recognize or operate the user's voice or The voice may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as belongi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본체
11 : 팔안착부
12 : 개구부
13 : 평탄부
20 : 머리부
21 : 눈
22 : 카메라
30 : 디스플레이
40 : 구동수단
41 : 지지프레임
42 : 로드이동홈
43 : 로드
44 : 기어이동홈
45 : 톱니
46 : 로드이송모터
47 : 로드이송기어
48 : 바퀴구동포스트
49 : 바퀴링크
50 : 브라킷
51 : 포스트안내홈
52 : 힌지
53 : 바퀴형발
54 : 바퀴구동모터
55 : 꼬리구동포스트
56 : 꼬리지지부
57 : 꼬리링크
58 : 꼬리바퀴
59 : 팔구동암
60 : 돌출부
61 : 팔링크
62 : 돌출부안내홈
63 : 팔동작축
64 : 날개형팔
65 : 팔지지부
66 : 꼬리덮개
10: Body
11: arm seat
12: opening
13: flat part
20 head
21: eyes
22: camera
30: display
40: driving means
41: support frame
42: rod moving groove
43: loading
44: gear moving groove
45: tooth
46: rod feed motor
47: rod feed gear
48: Wheel drive post
49: wheel link
50: bracket
51: Post Guide Home
52: hinge
53: wheel type foot
54: wheel drive motor
55: tail drive post
56: tail support
57: tail link
58: tail wheel
59: arm drive arm
60: protrusion
61: Fallink
62: protrusion guide groove
63: arm motion axis
64: wing arm
65: arm support
66: tail cover

Claims (5)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바퀴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위치하는 바퀴형발;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바퀴형발과 연계된 로드를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바퀴형발의 둘레가 지면에 닿도록 하여 상기 바퀴형발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바퀴형발의 회전축을 기울여 상기 바퀴형발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가로막도록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하부 양측에 대칭으로 각각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개구부에 상기 바퀴형발이 각각 위치하며, 상기 바퀴형발에 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바퀴구동모터가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되,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로드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로드이동홈이 형성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로드이동홈에 안착되며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기어이동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어이동홈 내의 일측으로 톱니가 형성된 상기 로드;
상기 로드의 기어이동홈 내의 일측에 형성된 톱니와 맞물리는 로드이송기어;
상기 로드이송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로드를 승강 시키는 로드이송모터;
상기 로드의 하부에서 돌출되도록 연결된 바퀴구동포스트;
상기 바퀴구동포스트가 이동하는 포스트안내홈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바퀴구동모터가 힌지 결합된 브라킷; 및
일측은 상기 바퀴구동포스트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바퀴구동모터와 상기 브라킷이 힌지 결합된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바퀴구동포스트의 승강에 따라 상기 바퀴구동모터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상기 바퀴구동모터와 결합된 상기 바퀴형발의 둘레가 지면에 닿도록 하거나, 상기 바퀴형발의 회전축을 기울여 상기 바퀴형발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가로막도록 하는 바퀴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의 출몰이 가능한 로봇.
A main body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wheel-shaped foot which can be rotated by the power of the wheel driving motor and is located in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And
Is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by transporting the rod associated with the wheel foot so that the circumference of the wheel foot to the ground to enable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wheel foot, or the rotating shaft of the wheel foot It includes a drive means for tilting the wheel to block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Each opening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The wheel-shaped foot is located in each of the opening, the wheel driving motor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wheel-shaped foot is connected to the drive means,
The driving means includes:
A support frame on which a rod moving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rod is seated and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od seated in the rod moving groove of the support frame and having a gear moving groov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thereof, and having teeth formed in one side of the gear moving groove;
A rod feed gear meshing with a tooth formed on one side in the gear moving groove of the rod;
A rod feed motor for elevating the rod by rotating the rod feed gear;
A wheel drive post connect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rod;
A post guide groove in which the wheel driving post moves, the bracket being coupled to the wheel driving motor;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wheel driving post,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a point away from the hinged point of the wheel driving motor and the bracket, by pushing or pulling the wheel driving motor in accordance with the lift of the wheel driving post The wheel of the whee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heel link to the circumference of the wheel-shaped foot coupled to the wheel driving motor to the ground, or by tilting the rotation axis of the wheel-shaped foot to block the opening of the body Robot that can be haunt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로드의 하부에서 돌출되도록 연결된 꼬리구동포스트;
상기 꼬리구동포스트에 고정된 꼬리지지부; 및
일측은 상기 꼬리지지부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에는 꼬리바퀴가 결합되어, 상기 꼬리구동포스트의 승강에 따라 상기 꼬리바퀴를 상기 본체 후방으로 밀어내거나, 상기 꼬리바퀴를 상기 본체 내측으로 당기는 꼬리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의 출몰이 가능한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means includes:
A tail drive post connect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rod;
A tail support fixed to the tail drive post; And
One side is hinged to the tail support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tail wheel, the tail link to push the tail wheel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lifting of the tail driving post, or to pull the tail wheel into the main body; Robot capable of wandering wheels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형발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가로막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는 전체적으로 계란형이며,
상기 바퀴형발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가로막은 상태로 세워지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에 평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의 출몰이 가능한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is generally egg-shaped in a state where the wheel-shaped foot blocks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And a flat part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such that the wheel-shaped foot is erected in a state of blocking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양측에서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동작되는 날개형팔;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로드의 상부에 연결되고 끝단에 돌출부가 마련된 팔구동암;
상기 팔구동암의 돌출부가 이동하는 돌출부안내홈이 형성된 팔링크; 및
일단은 상기 날개형팔의 상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팔링크와 힌지 결합되며, 양단의 중간 지점에서 상기 본체와 힌지 결합되는 팔동작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팔구동암의 돌출부의 승강에 따라 상기 팔링크가 상기 팔동작축의 타단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상기 날개형팔이 상기 본체 바깥으로 펼쳐지도록 하거나, 상기 본체에 안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의 출몰이 가능한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ing-shaped arm operated by the drive means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The driving means includes:
An arm drive arm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od and provided with a protrusion at an end thereof;
An arm link having a protrusion guide groove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of the arm driving arm moves;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ing-shaped arm,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arm link, the arm operating shaft hinged to the main body at the intermediate point of both ends;
As the arm link pushes or pulls the other end of the arm operation shaft in accordance with the eleva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arm driving arm, the wing-shaped arm is spread out of the main body or mounted on the main body. Robot available.
KR1020110030035A 2011-04-01 2011-04-01 Robot having retreatable wheel KR1012288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035A KR101228836B1 (en) 2011-04-01 2011-04-01 Robot having retreatable whe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035A KR101228836B1 (en) 2011-04-01 2011-04-01 Robot having retreatable whe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519A KR20120111519A (en) 2012-10-10
KR101228836B1 true KR101228836B1 (en) 2013-02-06

Family

ID=47282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035A KR101228836B1 (en) 2011-04-01 2011-04-01 Robot having retreatable whe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83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63981B1 (en) 2016-12-23 2023-04-19 LG Electronics Inc. Guide robot
EP3338963B1 (en) 2016-12-23 2022-02-02 LG Electronics Inc. Guide robot
KR102023612B1 (en) * 2016-12-23 201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Guidance robot
EP3563980B1 (en) 2016-12-23 2020-10-28 LG Electronics Inc. Guide robot
KR102348041B1 (en) 2017-03-28 2022-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 method of robot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moving robots
CN111526972B (en) * 2017-12-28 2023-07-18 Groove X 株式会社 Robot with moving mechanism
KR102137173B1 (en) * 2018-06-15 2020-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Guidance robot
CN113894818B (en) * 2021-11-16 2023-10-17 鲁东大学 Intelligent voice learning interaction equip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7257U (en) * 1988-02-29 1989-09-06 차민경 top
JP2007038406A (en) 2002-05-17 2007-02-15 Victor Co Of Japan Ltd Mobile robot
KR20100126674A (en) * 2008-01-10 2010-12-02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토이즈 To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7257U (en) * 1988-02-29 1989-09-06 차민경 top
JP2007038406A (en) 2002-05-17 2007-02-15 Victor Co Of Japan Ltd Mobile robot
KR20100126674A (en) * 2008-01-10 2010-12-02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토이즈 Toy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ilad Taleghani. ‘ROVER pet robot’. http://www.coroflot.com/G0D/ROBOTS, 2010. 10.*
Milad Taleghani. 'ROVER pet robot'. http://www.coroflot.com/G0D/ROBOTS, 2010. 1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519A (en)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8836B1 (en) Robot having retreatable wheel
US5158492A (en) Light activated doll
CA1171279A (en) Toy employing governor to control rate of movement of movable member
US20050233675A1 (en) Animated multi-persona toy
US3722134A (en) Self-propelled continuously moving toy
JP6971175B2 (en) Doll toys
WO2006006673A1 (en) Moving toy
KR100806126B1 (en) Emotion expressing human robot
CN115533932A (en) Mechanical structure of robot with multiple motion control points and expressions
JP2006288447A (en) Obstacle sensor and toy with the same
CN210025312U (en) Humanoid facial expression robot
JPH0465712B2 (en)
US7163430B1 (en) Walking toy figure
CN107128395B (en) Movable robot and moving method of movable robot
JPH0265887A (en) Working toy
JP4009176B2 (en) Biped toy
JP2664040B2 (en) Eyeball drive
US11020679B1 (en) Rotating flipping and grasping movements in mechanical toys
US20050170747A1 (en) Motion toy
CN213724853U (en) Rolling toy
CN219701059U (en) Electric dancing doll
CN117124343B (en) Head and neck structure of bionic robot and bionic robot
KR102417979B1 (en) Motion puppet
CN218076367U (en) Bionic flying mouse toy
CN110103234B (en) Humanoid facial expression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