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681B1 - Method for controlling user-terminal with touchscreen, device of the same, recording medium including the same, and user-terminal of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user-terminal with touchscreen, device of the same, recording medium including the same, and user-terminal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681B1
KR101228681B1 KR1020110018857A KR20110018857A KR101228681B1 KR 101228681 B1 KR101228681 B1 KR 101228681B1 KR 1020110018857 A KR1020110018857 A KR 1020110018857A KR 20110018857 A KR20110018857 A KR 20110018857A KR 101228681 B1 KR101228681 B1 KR 101228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ed
touch
content
touch screen
contro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8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00149A (en
Inventor
김재정
이동원
이호원
조동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18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681B1/en
Priority to PCT/KR2012/001575 priority patent/WO2012118344A2/en
Publication of KR20120100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1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6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Provided are a method for controlling a user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n apparatus, a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and a user terminal including the same.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METHOD FOR CONTROLLING USER-TERMINAL WITH TOUCHSCREEN, DEVICE OF THE SAME, RECORDING MEDIUM INCLUDING THE SAME, AND USER-TERMINAL OF THE SAME} TECHNICAL FOR CONTROLLING USER-TERMINAL WITH TOUCHSCREEN, DEVICE OF THE SAME, RECORDING MEDIUM INCLUDING THE SAME, AND USER-TERMINAL OF THE SAME }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에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검색, 제어할 수 있는,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user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n apparatus, a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and a user terminal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search and control contents sequentially displayed on a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user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n apparatus, a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and a user terminal including the same.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은 이동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휴대 가능 여부에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은 기능이 다양화됨에따라 예를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있다. 무선인터넷에 접속하여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 또는 텍스트파일의 내용을 볼 수 있는 파일뷰어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도 개시되고있다.Terminals or user terminals may be divided into mobile / portable terminals and stationary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mobility. The mobile terminal may be further classifi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a user can carry it directly. As user function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having complex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 picture or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playing a game, receiving a broadcast, and the like. have. A terminal capable of implementing a function of displaying a web page by accessing the wireless Internet or a file viewer function of viewing the contents of a text file is also disclosed.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를 순차적인 방식으로 보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30273호는 순서를가진 다수의페이지가 구동 중일 때, 본체를 기울이면 기울어진 방향으로 페이지 리스트가 책의 두께면 형태와같이입체형태로 표시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표시방법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다. 상기 종래기술은 책의두께면에근접터치가감지되면 해당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고, 드래그앤드드롭(drag&drop)을 이용하여상기컨텐츠의 순서를 변경한다. As a prior art for viewing contents in such a sequential manner in a user terminal,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030273 discloses a page list in a tilted direction when the main body is tilted when a plurality of pages having an order are being driven. Disclosed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ed in a three-dimensional form such as a thickness surface of a book and a content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en a close touch is detected on a thickness of a book, corresponding content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the order of the contents is changed by using drag and drop.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책의 두께 면에서의 근접 터치에 따라 해당 터치 지점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므로, 실제 사용자는 어디서 어떠한 컨텐츠가 있는지를 시행착오 방식으로만 알 수 있다. 또한 드래그 앤드드롭 방식이므로, 컨텐츠 순서 이동이 즉각적이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prior art displays the content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oximity touch in terms of the thickness of the book, the actual user can know only where the content is located by trial and error.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drag and drop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rder of content movement is not immediate.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사용자 단말의 터치스크린에서 표시되는 컨텐츠 검색, 변환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사용자 단말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performing content search and conversion displayed on a touch screen of a user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컨텐츠가 표시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상기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영역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컨텐츠 주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영역에서의 터치 제스쳐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A control method of a user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on which contents which can be sequentially displayed are displayed,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control area for controlling the contents that can be sequentially displayed around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content according to a touch gesture in the control area.

상기 터치제스쳐는 터치지속시간, 드래깅 길이, 방향, 위치 또는 터치 수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ouch gestures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ouch duration, dragging length, direction, position, or number of touches.

상기 제어영역에서의 터치 위치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A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ouch position in the control area.

상기 제어영역에서의 터치에 의하여 상기 표시되는 컨텐츠가 결정된 후, 상기 컨텐츠 표시 영역으로의 드래깅에 따라, 상기 결정된 컨텐츠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After the displayed content is determined by a touch on the control area, the determined content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dragging to the content display area.

상기 제어영역에서의 터치 지속시간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순차적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A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s sequentially converted according to the touch duration in the control area.

상기 제어영역의 크기는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는 터치 제스쳐와 구분되는 또 다른 터치 제스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The size of the control area may be controlled by another touch gesture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touch gesture that controls the content.

상기 또 다른 터치 제스쳐는 멀티 제스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The another touch gesture provides a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gesture.

상기 제어영역은 상기 컨텐츠의 측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The control area provides a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ed on the side of the content.

상기 컨텐츠는 다수페이지로 이루어지는 문서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The content provides a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document fil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ges.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소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제어영역이 상기 컨텐츠 주변에 표시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When the user terminal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the control area is provided around the content.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울기 방향 및 각도에 따라 상기 제어영역의 크기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The size of the control area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direction and angle of the user terminal provides a touch screen control method.

또한 상기의 터치스크린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the above touch screen control method.

또한, 본 발명에 의한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제어장치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검출부; 상기 터치스크린에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컨텐츠를 저장한 메모리부; 및 상기 컨텐츠 측면에, 소정 크기의 제어영역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730)는 상기 제어영역에서의 터치제스쳐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 user terminal control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 touch detector for detecting a touch on the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A memory unit which stores contents which can b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a controller displaying a control area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n the side of the content, wherein the controller 730 controls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a touch gesture in the control area. Provided is a user terminal control apparatus.

상기 터치제스쳐는 터치지속시간, 드래깅 길이, 방향, 위치 또는 터치 수의 조합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ouch gesture is a user terminal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ouch duration, dragging length, direction, position or number of touches.

상기 제어영역에서의 터치 위치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onten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touch position in the control area.

상기 제어영역에서의 터치에 의하여 상기 표시되는 컨텐츠가 결정된 후, 상기 컨텐츠 표시 영역으로의 드래깅에 따라, 상기 결정된 컨텐츠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And after the displayed content is determined by the touch in the control area, the determined content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dragging to the content display area.

상기의 단말 제어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기록매체와, 상기의 사용자 단말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한다. Provided is a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 instructions for driving the terminal control apparatus are recorded, and a user terminal including the user terminal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및 사용자 단말 터치스크린의 경계영역에 별도의 터치영역인 제어영역을 표시시키며, 상기 제어영역의 터치 제스쳐에 의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주요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제어된다. 따라서, 종래의 컨텐츠 제어 기술에 비하여, 터치 수와 제스쳐 길이 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 시간 동안 제어영역의 동일지점을 누르는 제스쳐에 의해서도컨텐츠가 순차적으로 변환되며, 이로써 컨텐츠검색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A control area which is a separate touch area is displayed on the boundary of the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and the user terminal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main area of the touch screen is controlled by the touch gesture of the control area. Therefor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ntent control technology, the number of touches, the gesture length, and the like can be effectively reduced. For example, the contents are sequentially converted by the gesture of pressing the same point of the control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thereby enabling the content retrieval to be effective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영역 조절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1 is a step diagram of a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nt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nt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4 are diagrams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and 16 illustrate a control area adjus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member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th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e terms "... unit", "... unit", "module", "block",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eans hardware, software, or hardware. And software.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은 터치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전자책과 같이 복수 개의 컨텐츠가 동시에 표시될 수 없는 미디어 파일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은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control the content of the user terminal including a display such as a touch scree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media file such that a plurality of contents cannot be displayed at the same time, such as an e-book, the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ery effectiv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의 직접 또는 근접 터치를 모두 감지할 수 있는 스크린의 형태로서, 정전식, 저항막 방식 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휴대전화, 노트북, 전자책 등과 같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임의의 모든 전자 기기를 다 포함하나, 바람직하게는 이동가능한 이동 단말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컨텐츠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구분하여 제어할 수 있는 임의의 그림, 문서 등의 모든 컨텐츠를 다 포함한다. As used herein, the touch screen is a form of a screen capable of detecting both a direct or proximity touch of a user, and includes both a capacitive and a resistive film.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includes any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such as a mobile phone, a notebook, an e-book, etc., but is preferably a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ncludes all content, such as an arbitrary picture, a document, etc., which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can be controlled by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의 단계도이다.1 is a step diagram of a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먼저 디스플레이 상에서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터치영역인 제어영역을 컨텐츠 주변의 터치스크린에 표시한다(S11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텐츠는 다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나 사진, 슬라이드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영역은 상기 표시된 컨텐츠를 바꾸기 위한 영역이므로, 상기 제어영역은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와 구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컨텐츠 제어영역은 상기 컨텐츠 영역 주변에 표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컨텐츠 바깥쪽에 인접하여, 표시된다. 상기 제어영역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컨텐츠 주변에 미리 표시되거나, 또는 소정 이벤트(예를 들면 소정 각도 이상의 사용자 단말 기울어짐)에 따라 표시되거나, 사라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invention first displays a control area, which is a touch area for controlling content that can be sequentially displayed on a display, on a touch screen around the content (S110).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may be a document, a photo, a slide, etc. including a plurality of pages, and the control area is an area for changing the displayed content. Should be. Therefore, the content control area may be displayed around the content area, preferably adjacent to the outside of the content. The control area may be displayed in advance around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or may be displayed or disappea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vent (eg, tilting of the user terminal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이후, 상기 제어영역에서의 터치 제스쳐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제어된다(S120). 상기 터치제스쳐는 터치지속시간, 드래깅 길이, 방향 및 터치 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이하, 각 터치제스쳐에 따른 컨텐츠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Thereafter,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ouch gesture in the control area (S120). The touch gestures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ouch duration, dragging length, direction, and number of touches. Hereinafter, a cont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each touch ges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2 to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nt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전화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사용자 단말(210)이 도시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210)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211)을 구비하며, 상기 터치스크린(211)에는 전자 책과 같은 컨텐츠(213)가 표시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컨텐츠(213)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컨텐츠(도 2에서는 책의 각 페이지가 된다)는 서로 중첩된 형태이다.2, a user terminal 210, such as a mobile phone or tablet PC, is shown. The user terminal 210 includes a touch screen display 211, and the content 213 such as an e-book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213 is composed of a plurality, and the plurality of contents (each page of the book in FIG. 2) overlap each other.

도 3을 참조하면, 소정 이벤트에 따라 상기 컨텐츠(213) 주변에 제어영역(300)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영역(300)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울어짐에 따라 표시되거나, 또는 소정 활성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컨텐츠를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변환시키거나,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 제어를 위한 별도의 터치영역인 상기 제어영역(300)을 컨텐츠(213) 주변의 터치스크린에 표시시킨다.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 area 300 is displayed around the content 213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ven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area 300 may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user terminal or may be displayed by pressing or touching a predetermined active button. That is, when the user sequentially converts or searches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control region 300, which is a separate touch region for controlling contents, on the touch screen around the contents 213. .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영역(300)의 일 지점(301)을 사용자가 터치한다. 이때 상기 일 지점(301)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터치지점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결정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상기 제어영역(300) 전체 너비는 전체 컨텐츠 수에 대응된다. 따라서, 전체 너비에 대한 상기 터치지점 위치의 해당 비율에 따라 전체 컨텐츠 중 상기 터치지점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츠가 결정된다. 예를 들면, 전체 컨텐츠의 수가 200인 경우, 상기 제어영역(300) 는 200개의 세그먼트으로 분할되며, 실제 터치된 지점의 세그먼트에 해당되는 컨텐츠가 터치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어영역에서의 터치위치에 따라 결정된 페이지 수(15페이지)가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며,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터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user touches a point 301 of the control area 300. In this case, when the one point 301 is touched,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ouch point. In more detail, first, the overall width of the control area 300 corresponds to the total number of contents. Therefore, the content displayed according to the touch point among the entire conten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touch point position to the full width. For example, when the total number of contents is 200, the control area 300 is divided into 200 segments, and contents corresponding to segments of the touched point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n FIG. 4, the number of pages (page 15)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ouch position in the control area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user can know contents corresponding to his or her touch.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지점(301)으로부터 컨텐츠 영역으로의 드래깅 제스쳐에 따라 상기 결정된 컨텐츠(15페이지)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방식의 경우, 사용자는 책을 넘기는 듯한 느낌을 상기 터치-드래깅 제스쳐로부터 받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영역의 터치에 따라 해당 컨텐츠 부분의 정보(예를 들면, 페이지 수)만이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제어영역에서의 터치드래깅(저속)에 의하여 원하는 컨텐츠 부분을 탐색할 수 있고, 원하는 컨텐츠를 탐색한 경우, 소정 속도 이상의 드래깅 제스쳐에 의하여 해당 컨텐츠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소정 속도 미만의 드래깅 제스쳐이라면, 컨텐츠 검색을 위한 터치 제스쳐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소정 속도 이상의 표시되는 컨텐츠 결정 후 진행되는 드래깅 제스쳐는 소정 속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5, the determined content (page 15)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dragging gesture from the touch point 301 to the content area.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receive a feeling of turning a book from the touch-dragging gesture. Furthermore, when only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portion (for example, the number of pages)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touch of the control region, the user may search for the desired content portion by touch dragging (low speed) in the control region. When the content is searched, the content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by a dragging gesture of a predetermined speed or more. If the dragging gestur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the dragging gesture may be recognized as a touch gesture for content search. Therefore, the dragging gesture that is performed after the determination of the displayed content of the predetermined speed or more is more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제어영역에서의 터치 지속시간에 따라 컨텐츠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screen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according to a touch duration in a control area.

도 6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6 to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nt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휴대전화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사용자 단말(210)이 도시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210)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211)을 구비하며, 상기 터치스크린(211)에는 전자 책과 같은 컨텐츠(213)가 표시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컨텐츠(213)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컨텐츠(도 2에서는 책의 각 페이지가 된다)는 서로 중첩된 형태이다.Referring to FIG. 6, a user terminal 210, such as a mobile phone or tablet PC, is shown. The user terminal 210 includes a touch screen display 211, and the content 213 such as an e-book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213 is composed of a plurality, and the plurality of contents (each page of the book in FIG. 2) overlap each other.

도 7을 참조하면, 소정 이벤트에 따라 상기 컨텐츠(213) 주변에 제어영역(300)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영역(300)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울어짐에 따라 표시되거나, 또는 소정 활성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컨텐츠를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변환시키거나,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 제어를 위한 별도의 터치영역인 상기 제어영역(300)을 컨텐츠(213) 주변의 터치스크린에 표시시킨다.Referring to FIG. 7, the control area 300 is displayed around the content 213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ven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area 300 may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user terminal or may be displayed by pressing or touching a predetermined active button. That is, when the user sequentially converts or searches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control region 300, which is a separate touch region for controlling contents, on the touch screen around the contents 213. .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영역(300)의 일 지점(301)을 사용자가 터치한다. 이때 상기 일 지점(301)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표시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상기 제어영역(300) 전체 너비는 전체 컨텐츠 수에 대응된다. 따라서, 전체 너비에 대한 상기 터치지점 위치의 해당 비율에 따라 전체 컨텐츠 중 상기 터치지점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츠가 결정된다. 예를 들면, 전체 컨텐츠의 수가 200인 경우, 상기 제어영역(300) 는 200개의 세그먼트으로 분할되며, 실제 터치된 지점의 세그먼트에 해당되는 컨텐츠가 터치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user touches a point 301 of the control area 300. In this case, when the one point 301 is touched,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ouch point is displayed. In more detail, first, the overall width of the control area 300 corresponds to the total number of contents. Therefore, the content displayed according to the touch point among the entire conten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touch point position to the full width. For example, when the total number of contents is 200, the control area 300 is divided into 200 segments, and contents corresponding to segments of the touched point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지점(301)을 지속적으로 터치함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며, 컨텐츠는 순차적으로 다음 컨텐츠로 변환된다.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컨텐츠의 우측에 상기 제어영역(300)이 표시된 경우, 터치가 지속됨에 따라 표시컨텐츠가다음 컨텐츠로 변환, 이동될 수 있으며, 표시 컨텐츠 좌측에 제어영역(300)이 표시된 경우, 상기 터치지속에 따라 표시 컨텐츠가이전 컨텐츠로순차적으로 자동 변환, 이동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touch point 301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s the touch point 301 is continuously touched, and the contents are sequentially converted to the next content. When the control area 300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s the touch continues, the display content may be converted and moved to the next content, and when the control area 300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content, The display content may be automatically converted and moved sequentially to the previous content according to the touch duration.

도 10에서는 원하는 컨텐츠(페이지 15)가 터치스크린에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터치상태를 해제하거나, 또는 제어영역(300) 외부의 컨텐츠(213) 영역으로 드래깅(dragging) 또는 플립(flip)제스쳐를 취함으로써 자동변환된해당 컨텐츠를 고정시킨다. In FIG. 10, as the desired content (page 15)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e user releases the touch state or drags or flips a gesture to the content 213 area outside the control area 300. Fix the corresponding auto-converted conten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컨텐츠 주변에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영역을 표시시키며, 상기 제어영역에서의 터치제스쳐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한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separate control area for controlling the content around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controls the displayed content according to the touch gesture in the control area.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실제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제어영역의 터치제스쳐는 터치 수가 기준이 될 수 있으며, 제어영역을 동시에 터치하는 터치 수에 따라 컨텐츠의 변환단위가 결정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한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 which the touch gesture of the control region may be a reference number in a multi-touch based touch screen, and the conversion unit of the conten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ches simultaneously touching the control region. do.

도 11 내지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1 to 14 are diagrams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211)을 구비하며, 상기 터치스크린(211)에는 전자 책과 같은 컨텐츠(213)가 표시된 휴대전화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사용자 단말(210)이 도 2와 동일하게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11, the touch screen display 211 includes a user terminal 210 such as a mobile phone or a tablet PC on which the content 213 such as an e-book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1. Is shown.

도 12를 참조하면, 소정 이벤트에 따라 상기 컨텐츠(213) 주변에 제어영역(300)이 표시되며, 상기 제어영역(300)은 표시된 컨텐츠(213)의 검색 및 이동을 위한 터치스크린 측면 인터페이스(side interface)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 12, a control area 300 is displayed around the content 213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vent, and the control area 300 is a touch screen side interface for searching and moving the displayed content 213. interface) to the user.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영역(300)을 하나의 입력수단(예를 들면, 손가락)으로 터치한다. 이로써 표시컨텐츠는 바로 다음 컨텐츠(도 7에서는 다음 페이지임)로 변환되어, 터치스크린에 표시된다. 이때 터치만으로 다음 컨텐츠가 넘어가는 방식과 달리, 터치 후 드래깅 또는 플립제스쳐를 취함으로써 컨텐츠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 이동 단위는 상기 제어영역에서의 터치 수에 따라 결정된다.Referring to FIG. 13, the control area 300 is touched by one input means (for example, a finger). As a result, the display content is converted to the next content (the next page in FIG. 7)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t this time, unlike the way in which the next content is passed only by the touch, the content may be moved by dragging or flipping after touching, and the content moving un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ches in the control area.

도 14를 참조하면, 도 9와 달리 사용자는 상기 제어영역(300)을 두 손가락으로 터치한다. 이로써 변환단위는 2로 결정되며, 그 결과 도 10에서는 2번째 다음 페이지로 각 페이지가 변환된다. 그 결과 1페이지는 3 페이지로, 2페이지는 4 페이지가 된다. 만약 멀티 터치의 수가 4개인 경우, 4페이지씩 페이지가 넘어감은 자명하다. 상기 표시컨텐츠변환은 터치 후 드래깅 또는 플립제스쳐에 의할 수 있으며, 드래깅 길이 또는 터치지속시간에 따라 표시 컨텐츠는 지속적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텐츠 이동 단위는 상기 제어영역(300)의 터치 수에 따라 결정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Referring to FIG. 14, unlike FIG. 9, the user touches the control area 300 with two fingers. As a result, the conversion unit is determined to be 2, and as a result, each page is converted to the second next page in FIG. As a result, one page is three pages, and two pages are four pages. If the number of multi-touch is four, it is obvious that the page turns by four pages. The display content conversion may be based on dragging or flip gesture after touch, and the display content may be continuously converted according to the dragging length or the touch duration. In this case, the content movement un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ches of the control area 300 as described above.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터치스크린의 측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어영역(300) 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을 개시한다. 즉, 좁은 터치스크린 환경에서는 제어영역(300)은 비교적 큰 크기를 가져야만 사용자가 용이하게 컨텐츠를 검색, 이동시킬 수 있다. 하지만, 컨텐츠 전체 크기에 대하여 고정 비율로만 제어영역(300)이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 손가락이 가지는 낮은 해상도 때문에 상기 제어영역(300)에서의 정밀한 제어가 어려워진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어영역에서 컨텐츠를 제어하는 터치제스쳐와 구분되는 또 다른 터치제스쳐에 따라 상기 제어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Furthermor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ethod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control area 300 that provides the side interface of the touch screen. That is, in a narrow touch screen environment, the control area 300 should have a relatively large size so that a user can easily search and move contents. However, when the control area 300 is displayed only at a fixed ratio with respect to the entire content size, precise control of the control area 300 becomes difficult due to the low resolution of the user's finger. In this case, the user may adjust the size of the control area according to another touch gesture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touch gesture that controls the content in the control area.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영역 조절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5 and 16 illustrate a control area adjus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영역(300)의 두 지점(p1, p2)을 사용자가 터치하는데, 이는 도 2 내지 5에서 설명한 터치스크린의 표시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일 터치와 구분된다. Referring to FIG. 15, a user touches two points p1 and p2 of the control area 300,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a single touch that determines display contents of the touch scr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도 16을 참조하면, 멀티 터치의 드래깅(이것은 컨텐츠를 표시시키기 위한 도 5의 단일 터치 드래깅과 구분됨)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상기 제어영역의 크기는 확대 또는 축소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책과 같은 컨텐츠의 검색과 이동을 컨텐츠 주변에 표시된 별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행하며, 이로써 전체 컨텐츠 검색을 위한 터치제스쳐 길이 및 횟수를 최소화시킨다. Referring to FIG. 16, the size of the control area is enlarged or reduc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distance of dragging of multi-touch (this is distinguished from the single touch dragging of FIG. 5 for displaying contents). As described above, the search and movement of content such as an e-book is performed through a separate interface displayed around the content, thereby minimizing the length and number of touch gestures for searching the entire content.

본 발명은 상술한 또 다른 과제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user terminal for another object described above.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17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검출부(110); 상기 터치스크린에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컨텐츠를 저장한 메모리부(120); 상기 컨텐츠 측면에 인접하여, 소정 크기를 갖는 제어영역을 표시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어영역에서의 터치제스쳐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터치제스쳐는 터치지속시간, 드래깅 길이, 방향 또는 터치 수의 조합에 따라 결정되며, 각 터치제스쳐에 따른 다양한 컨텐츠 제어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다. Referring to FIG. 16, a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detector 110 for detecting a touch on a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A memory unit 120 that stores contents that can b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a control unit 130 displaying a control area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djacent to the side of the content, wherein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touch gesture in the control area.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gesture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touch duration, a dragging length, a direction, or a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touches, and various content control methods according to each touch gesture are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서 상기 컨텐츠는 다수페이지로 이루어지는 문서파일이며, 상기 제어부는 제어영역에서의 터치위치에 따라 표시 컨텐츠를 결정하고, 이후 진행되는 드래깅 제스쳐(소정 속도 이상)에 따라 결정된 컨텐츠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is a document fil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ges,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display content according to the touch position in the control area, and displays the content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ragging gesture (at least a predetermined speed) which is subsequently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문서 파일의 페이지 넘김 단위는 상기 제어영역에서의 터치 수에 따라 결정되며, 터치지속시간에 따라 순차적인 페이지 넘김이 가능하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ge turning unit of the document fil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ches in the control area, and the page turning can be sequenti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touch du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단말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단말의 터치스크린의 컨텐츠가 제어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의 예는 상술한 바와 같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optical disk, magnetic tape, floppy disk, hard disk, nonvolatile memory,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user terminal control apparatus, thereby providing a user terminal in which the contents of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is controlled, examples of the user terminal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8)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컨텐츠가 표시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상기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영역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컨텐츠 주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영역에서의 터치 제스쳐에 따라 상기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컨텐츠 중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될 순차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제스쳐는 터치지속시간, 드래깅 길이, 방향, 위치 또는 터치 수의 조합에 따라 구분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될 순차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의 수에 비례하여, 상기 표시될 순차의 제어 단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a user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hat displays the content that can be displayed sequentially,
Displaying a control area for controlling the contents which can be sequentially displayed around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And controlling a sequence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mong the contents that can be sequentially displayed according to the touch gesture in the control area.
The touch gestur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touch duration, dragging length, direction, position, or number of touches.
And controlling the sequence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comprises changing a control unit of the sequence to be display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ouch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될 순차의 제어 단위는
상기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컨텐츠에서 상기 터치제스쳐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될 상기 컨텐츠 순차의 이동 단위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of the sequence to be displayed
And a moving unit of the sequence of contents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n response to the touch gesture in the sequentially displayed conten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영역에서의 터치 위치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onten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ouch position in the control area.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영역에서의 터치에 의하여 상기 표시되는 컨텐츠가 결정된 후, 상기 컨텐츠 표시 영역으로의 드래깅에 따라, 상기 결정된 컨텐츠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nd after the displayed content is determined by the touch in the control area, the determined content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dragging to the content display are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영역에서의 터치 지속시간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순차적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onten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s sequentially converted according to the touch duration in the control are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영역의 크기는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는 터치 제스쳐와 구분되는 또 다른 터치 제스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ize of the control area can be adjusted by another touch gesture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touch gesture for controlling the conten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또 다른 터치 제스쳐는 멀티 제스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another touch gesture is a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ges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영역은 상기 컨텐츠의 측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trol area is displayed on the side of the cont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다수페이지로 이루어지는 문서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tent is a document fil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ge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소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제어영역이 상기 컨텐츠 주변에 표시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control area is displayed around the content when the user terminal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삭제delete 삭제delete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제어장치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검출부;
상기 터치스크린에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컨텐츠를 저장한 메모리부; 및
상기 컨텐츠 측면에, 소정 크기의 제어영역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영역에서의 터치지속시간, 드래깅 길이, 방향, 위치 또는 터치 수의 조합에 따라 결정되는 터치제스쳐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순차를 제어하고, 상기 터치의 수에 비례하여 상기 상기 표시될 순차의 제어 단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장치.
A user terminal controller having a touch screen, wherein the controller
A touch detector for detecting a touch on a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A memory unit which stores contents which can b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And a control unit displaying a control area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n the side of the content,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a touch gesture determined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 touch duration, a dragging length, a direction, a position, or the number of touches in the control area. And controlling a sequence of content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changing a control unit of the sequence to be display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ouches.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될 순차의 제어 단위는
상기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컨텐츠에서 상기 터치제스쳐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될 상기 컨텐츠 순차의 이동 단위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장치.
The control unit of claim 13, wherein the control unit of the sequence to be displayed is
And a moving unit of the sequence of contents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n response to the touch gesture in the sequentially displayed contents.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영역에서의 터치 위치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And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ouch position in the control area.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영역에서의 터치에 의하여 상기 표시되는 컨텐츠가 결정된 후, 상기 컨텐츠 표시 영역으로의 드래깅에 따라, 상기 결정된 컨텐츠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after the displayed content is determined by the touch in the control area, the determined content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dragging to the content display area.
제 13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용자 단말 제어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기록매체.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 instructions for driving the user termina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6. 제 13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용자 단말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A user terminal comprising the user termina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6.
KR1020110018857A 2011-03-03 2011-03-03 Method for controlling user-terminal with touchscreen, device of the same, recording medium including the same, and user-terminal of the same KR1012286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857A KR101228681B1 (en) 2011-03-03 2011-03-03 Method for controlling user-terminal with touchscreen, device of the same, recording medium including the same, and user-terminal of the same
PCT/KR2012/001575 WO2012118344A2 (en) 2011-03-03 2012-03-02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having touchscreen, recording medium therefor, and user terminal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857A KR101228681B1 (en) 2011-03-03 2011-03-03 Method for controlling user-terminal with touchscreen, device of the same, recording medium including the same, and user-terminal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149A KR20120100149A (en) 2012-09-12
KR101228681B1 true KR101228681B1 (en) 2013-02-07

Family

ID=4710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857A KR101228681B1 (en) 2011-03-03 2011-03-03 Method for controlling user-terminal with touchscreen, device of the same, recording medium including the same, and user-terminal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68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696A (en) * 2008-07-16 2010-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page-selecting method of electronic document
KR20100020311A (en) * 2008-08-12 2010-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crolling information on the touch-screen
KR20100030273A (en) * 2008-09-10 2010-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displying an object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696A (en) * 2008-07-16 2010-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page-selecting method of electronic document
KR20100020311A (en) * 2008-08-12 2010-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crolling information on the touch-screen
KR20100030273A (en) * 2008-09-10 2010-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displying an object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149A (en)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6347B2 (en) Electronic device and home screen editing method thereof
US11055050B2 (en) Multi-device pairing and combined display
US10387016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ages,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being executed on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US84414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ide touch panel as part of man-machine interface (MMI)
EP2539803B1 (en) Multi-screen hold and page-flip gesture
US9047006B2 (en) Electronic device system with information process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EP2539799B1 (en) Multi-screen pinch and expand gestures
KR101163346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ouch-screen,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and user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US91953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in an electronic document
US10275132B2 (en) Display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and recordable medium storing program for performing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20120030628A1 (en)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based folder control method thereof
US9513791B2 (en) Electronic device system with process continu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TW201525843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zooming and operating screen frame
KR101169560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ouch-screen,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and user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KR20200002735A (en)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ages
KR1013809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s on electronic book using bezel
KR101231513B1 (en) Contents control method and device using touch,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and user terminal having it
US201301520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in an electronic publication
KR101230210B1 (en) Method, device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and user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KR10122868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user-terminal with touchscreen, device of the same, recording medium including the same, and user-terminal of the same
KR101163935B1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user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and user terminal having it
KR101163926B1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user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KR101284452B1 (en) Method, device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and user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CN104991701A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20120105105A (en) Method, device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and user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