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245B1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245B1
KR101224245B1 KR1020100109765A KR20100109765A KR101224245B1 KR 101224245 B1 KR101224245 B1 KR 101224245B1 KR 1020100109765 A KR1020100109765 A KR 1020100109765A KR 20100109765 A KR20100109765 A KR 20100109765A KR 101224245 B1 KR101224245 B1 KR 101224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ser terminal
image
manipula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7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48233A (en
Inventor
김재정
이동원
이강욱
이호원
조동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109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245B1/en
Publication of KR20120048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2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2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의 조작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조작 영역에 대한 디스플레이 조작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및 장치는 디스플레이 전체 이미지 중 사용자가 실제 조작하고자 하는 영역을 결정하고, 이후, 결정된 영역에서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조작,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 이미지의 투사, 확대, 축소 등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대면적 디스플레이에서 복수의 사람에 의한 동시 조작과 한 사람에 의한 복수 영역의 조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은 크기의 사용자 단말을 보다 큰 디스플레이로 효과적으로 확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복수의 사람에 의한 동시 확대 등의 다양한 조작 방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isplay control methods and systems are provid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control method including: determining, by a user terminal, an operation area of a display; And performing a display operation on the determined operation area by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displa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 an area to be actually manipulated by the user among the entire display images. Afterwards, various display operations in the determined area may be freely performed, for example, projection, enlargement, and reduction of the user terminal image. This has the advantage that simultaneous operation by multiple people and multiple areas by one person are possible in a large area display.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ffectively enlarge the user terminal of a small size to a larger display,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variety of operation methods such as simultaneous enlargement by a plurality of people is possible.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Display control method and system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에서 복수의 사람에 의한 동시 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control method an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control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simultaneous operation by a plurality of people in a large area display.

그룹 미팅과 같은 상황에서 둘 이상의 복수가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교환하는 방법은 종이 등을 교환하는 전통적인 방식이었다. 하지만,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정보 교환은 점차 시각적이고, 전자적인 방식으로 변화되고 있다. In situations such as group meetings, the way in which two or more plurals share and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has been the traditional way of exchanging paper and the like.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nformation exchange is gradually changing in a visual and electronic way.

하지만, 전자적인 정보교환 방식도 여전히 한번에 한 사람만이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의한 정보 표시, 전달은 그 한계가 있었다. 더 나아가, 실제 한 사람이 물리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영역은 제한적이지만, 디스플레이의 대면적화에 따라 그 조작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정보전달 등의 디스플레이 조작 시 사실상 사용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대형화됨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연산능력을 가지는 스마트 폰은 여전히 작은 디스플레이를 가짐으로 인해, 사용자의 데이터 조작 및 정보전달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electronic information exchange method still has a general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o only one person at a time, and accordingly, display and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y a display has its limitations. Furthermore, although an operation area that can be physically manipulated by one person is limi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the operation area is not actually used in display operation such as information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large area of the display. In addition, although the display is enlarged, since the smart phone having excellent computing ability still has a small display, the user's data manipulation and information transfer effect is inferior.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복수 사용자가 동일 디스플레이를 효과적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이 가지는 좁은 디스플레이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control method and method of a new concept, which allows multiple users to effectively operate the same display, and overcomes the limitation of the narrow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의 조작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조작 영역에 대한 디스플레이 조작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control method based on a user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the operation area of the display by the user terminal; And performing a display operation on the determined operation area by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촬상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획득되는 단계;상기 획득된 촬상 이미지가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촬상 이미지와 디스플레이 전체 이미지가 비교되어, 디스플레이 전체 이미지 중 상기 촬상 이미지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조작영역으로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상기 조작영역에 대한 디스플레이 조작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조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를 상기 서버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전송된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조작 영역에서만 표시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obtaining a captured image of all or part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via the user terminal; transmitting the obtained captured image to a server; Comparing the captured image with the entire display image by the server to determine a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image among the entire display images as an operation region; And performing a display operation on the operation area by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display operation includes transmitting data of the user terminal to the display through the server and displaying the data on the display. Herein, the transmitted data is displayed only in the display manipulation are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조작 영역은 상기 서버로 전송된 촬상 이미지와 디스플레이 전체 이미지의 특징점을 비교함으로써 결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조작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조작 영역은 동일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조작되거나,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조작 영역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에 각각 대응되어, 조작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manipulation area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feature points of the entire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a plurality of display manipulation areas may be formed on the display.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display manipulation areas may be operated by the same user terminal, or the plurality of display manipulation areas may be operat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respectively.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으로, 상기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 및 디스플레이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와 디스플레이 전체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에 해당되는 디스플레이의 소정영역을 조작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는 서버;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영역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nother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control system, the system display; User terminal; The server may receive image data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display, and compare the imag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with the entire display image to determine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imag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s the operation area. ; And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display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area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상기 서버에 전송되어, 상기 조작영역이 실시간으로 결정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카메라가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촬상 이미지가 상기 서버로 전송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in real time, the operation area is determined in real time, the us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 camera, the captured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영역에서 표시된 이미지만을 제어하며, 상기 조작영역은 복수 개이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조작영역은 대응되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각각 제어되ㄱ거나, 또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조작 영역의 이미지는 동일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작으로부터 발생한 조작 신호는 상기 서버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디스플레이로부터 동시에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only the image displayed in the operation are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operation area is a plurality.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manipulation areas may be controlled by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user terminals, or may be selectively controlled by one user terminal. In addition, images of the plurality of display manipulation areas may be controlled by the same user terminal, and operation signals generated from manipulation of the user termi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of the display through the server. In addition, the server may simultaneously receive image data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display.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방법 및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another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cording medium and a display for recording the program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및 장치는 디스플레이 전체 이미지 중 사용자가 실제 조작하고자 하는 영역을 결정하고, 이후, 결정된 영역에서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조작,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 이미지의 투사, 확대, 축소 등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대면적 디스플레이에서 복수의 사람에 의한 동시 조작과 한 사람에 의한 복수 영역의 조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은 크기의 사용자 단말을 보다 큰 디스플레이로 효과적으로 확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복수의 사람에 의한 동시 확대 등의 다양한 조작 방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displa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 an area to be actually manipulated by a user in the entire display image, and then perform various display operations in the determined area, for example, projecting, enlarging or reducing the user terminal image. Can be freely performed. This has the advantage that simultaneous operation by multiple people and multiple areas by one person are possible in a large area display.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ffectively enlarge the user terminal of a small size to a larger display,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variety of operation methods such as simultaneous enlargement by a plurality of people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의 단계별 도면이다.
도 12는 퍼블릭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동적 투사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의 블록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play control method based o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are diagrams illustrating each step of the displa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9 are step by step diagrams of a displa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ynamic projection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in a public display.
13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as examples to ensure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l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가 실제 조작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상의 소정 영역(이하 조작영역)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 영역의 결정은 카메라에 의한 촬상 이미지와 전체 이미지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결정되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상의 조작 영역 결정은 휴대전화와 같은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수행되며, 이후 조작 영역을 결정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 상기 결정된 디스플레이의 조작 영역을 조작,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기술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peration area) on the display which the user actually wants to operate on the display can be selected by the us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ation of the manipulation area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captured image by the camera with the whole imag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area determination on the display is performed through a user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nd then using the user terminal that determines the operation area, a display control technique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area of the determined display. This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조작영역 결정을,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촬영된 촬상 이미지를 전체 디스플레이 이미지와 비교하여, 촬상된 이미지에 해당되는 영역을 조작영역으로 결정하는 기술 구성을 제공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ical configuration for determining the manipulation area by comparing the captured image photographed by the user terminal with the entire display image, and determining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image as the manipulation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의 단계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play control method based o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방법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촬상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획득되는 단계로 개시된다(S1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LCD, CRT, PDP 등의 다양한 종류일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상기 서버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 외부에 구비된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에 직접 송출되는 경우, 상기 서버는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는 전체 이미지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에 연결된 외부 컴퓨터로부터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를 지칭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에서는 먼저 휴대전화와 같은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상기 이미지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촬영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method starts with obtaining a captured image of all or part of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through the user terminal (S11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may be of various kinds such as LCD, CRT, PDP, etc., and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should be recognized by the server. For example, when the image data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display from a server provided outside the display, the server may secure the entire image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Alternatively, images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from an external computer connected to the displa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refers to image data displayed on a display. In the displa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r all of the image is first photographed through a user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

이후 단계 S110에서 획득된 촬상 이미지는 다시 외부 서버로 전송된다(S120). 외부 서버와의 통신은 무선/유선 등의 다양한 방식일 수 있으며, 상기 촬상 이미지의 전송은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 시간에 수행되거나 또는 동적인 상황에서 실시간으로도 전송된다. Thereafter, the captured image acquired in step S110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server again (S120).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server may be in various ways such as wireless / wired, and the transmission of the captured image may be performed at any time by a user or may be transmitted in real time in a dynamic situation.

이후, 촬상 이미지가 전송된 상기 서버에는 디스플레이의 전체 이미지와 촬상 이미지가 서로 비교된다(S130). 즉, 본 발명은 전체 디스플레이 중 사용자가 실제 조작을 하고자 하는 영역을 촬상 이미지로 결정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체 이미지 중 촬상 이미지가 차지하는 크기와 그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서버는 촬상 이미지와 전체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비교하여, 촬상 이미지에 해당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와 그 위치를 결정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이후, 촬상 이미지로부터 결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이 조작 영역으로 결정된다. Subsequently, the entire image of the display and the captured image are compared with the server to which the captured image is transmitted (S130).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the entire display that the user wants to actually operate is determined as the captured image. For this purpose, the size and relative position of the captured image in the entire image should be determined. To this end, the server includes a calculation unit for comparing the captured image and the entire display image, and determines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image. Then, the display area determined from the captured image is determined as the operation area.

이후, 디스플레이 중 조작영역에 해당되는 영역에서의 디스플레이 조작이 수행된다(S1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조작영역 결정을 위하여 사용된 사용자 단말을 이용, 디스플레이의 조작영역을 조작한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 조작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이미지를 조작하는 행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조작은 사용자 단말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투사하는 것이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Subsequently, a display manipulation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manipulation area of the display is performed (S14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ipulation area of the display is manipulated using the user terminal used to determine the display manipulation area.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operation includes an operation of manipulat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operation is to project an image of a user terminal onto the display,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to. It doesn't work.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조작 영역의 영상을 줌-인 또는 줌-아웃하는 제스쳐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조작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기 조작 영역으로만 제한시킴으로써, 광역의 디스플레이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각자의 영역에서의 시각적 방식으로의 정보전달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esture of zooming in or zooming out an image of an operation area using the user terminal is included.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limits the display area manipula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to only the manipulation area, whereby a plurality of users can transmit information in a visual manner in their respective areas in a wide display.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2 to 5 are diagrams illustrating each step of the displa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을 이용, 디스플레이(110)를 촬영한다. 도 2에서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의 소정 영역(111)이 촬영되며, 이로써 소정 영역(111)에 대한 촬상 이미지가 획득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display 110 is photographed using the user terminal 120. In FIG. 2, the predetermined region 111 of the display is photograph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20, thereby obtaining a captured image of the predetermined region 111.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소정 영역(111)에 대한 촬상 이미지는 외부 서버(130)로 전송된다. 이후 상기 서버(130)에서 촬상 이미지와 전체 이미지가 비교되어, 상기 촬상 이미지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결정한다. 상기 결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이 사용자가 조작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조작영역)이 되며, 상기 조작영역은 최초 영역의 크기와 위치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크기와 위치가 가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captured image of the predetermined region 111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server 130. Thereafter, the server 130 compares the captured image with the entire image to determine a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image. The determined display area becomes a display area (operation area) operable by the user, and the operation area is not fixed to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initial area, but the size and position thereof may vary.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결정된 조작영역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및 크기 등을 포함하는 영역 정보가 상기 서버(130)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110)에 전송되며, 상기 디스플레이(110)에 구비된 제어장치(미도시)는 상기 디스플레이(110) 전체 영역 중 조작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의 조작을 구분하여 수행할 수 있게 한다.Referring to FIG. 4, area information including a display position and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operation area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130 to the display 110, and the control device provided in the display 110 ( Not shown) allows the manipulation of an area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area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110 to be performed.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20)의 영상이 상기 조작 영역(111)에 표시된다. 즉, 사용자 단말(120)의 영상 데이터가 상기 서버(130)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조작영역(111)에 표시되는데, 이는 마치 사용자가 정의한 디스플레이의 소정영역으로 특정 영상을 투사(projection)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120)의 전체 이미지뿐만 아니라, 일부 이미지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어 투사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Referring to FIG. 5, an image of the user terminal 120 is displayed on the manipulation area 111 through the user terminal 120. That is, the image data of the user terminal 120 is displayed on the manipulation area 111 of the display through the server 130, which is the same as projecting a specific image on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defined by the user. Produces an effect. In this case, not only an entire image of the user terminal 120, but some images may be selected and projected by the user, all of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더 나아가, 상기 도 2 및 3에 의한 조작영역 결정이 복수 회 반복되어, 디스플레이 상에 복수 개의 조작 영역이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조작 영역 중 활성화된 조작 영역(즉,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조작 영역)은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구성을 통하여,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복수 개의 이미지가 동일 디스플레이 상에 동시에 투사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determination of the manipulation area according to FIGS. 2 and 3 may be repeated a plurality of times, so that a plurality of manipulation areas may be determined as one user terminal on the display, and an activated manipulation area (that is, a user) of the plurality of manipulation areas may be determined. The manipulation area operable by the terminal may be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Through this technical configuration, a plurality of images stored in one user terminal can be simultaneously projected on the same display.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의 단계별 도면이다.6 to 9 are step by step diagrams of a displa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8은 도 2 내지 4와 동일하며, 촬상 이미지와 전체 이미지 비교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전체 영역 중 사용자 조작 영역이 결정된다. 6 through 8 are the same as FIGS. 2 through 4, and a user manipulation area of the entire display area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captured image with the whole image.

다만, 도 9를 참조하면, 도 5에서는 사용자 단말((120)의 영상 정보가 조작영역(111)로 투사되는 효과를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에에서는 별도의 사용자 단말 정보가 디스플레이로 전송되는 대신, 사용자 단말의 조작 신호에 따라 동일한 효과가 상기 조작 영역의 이미지에 발생한다. 즉, 도 9에서는 조작영역(111)에 표시된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의 줌-인 제스쳐(역핀치 제스쳐)를 통하여 줌-인시키는 방식을 설명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된 이미지 중 원하는 이미지만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조작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촬상 이미지와 디스플레이 전체 이미지 사이의 비교는 전체 이미지에 나타난 이미지의 특징점(예를 들면 음영이나, 색 변화)을 매칭시키는 방식일 수 있다. 상기 특징점은 이미지의 음영이나 색, 또는 선의 변화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에 미리 표시되는 소정의 표식점이 될 수 있다. 어떠한 방식으로든 전체 이미지 중 촬상 이미지를 매칭시킬 수 있는 임의의 모든 방식이 상기 비교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9, the effect of projecting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20 to the manipulation area 111 is described in FIG. 5,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instead of the separate user terminal information being transmitted to the display, The same effect occurs in the image of the manipulation area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signal of the user terminal, that is, in FIG. 9, the image displayed in the manipulation area 111 is zoomed-in through the zoom-in gesture (reverse pinch gesture) of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an effect of selectively controlling only a desired image among the displayed images is genera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mparison may be a method of matching feature points (eg, shading or color change) of an image displayed in the entire image. The mark may be a change in the shade, color, or line of the image, as well as any marker point previously displayed on the display.Any method that can match the picked-up image of the whole image in any way may be used in the comparison step. Which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영역은 디스플레이 중 복수 개 일 수 있다. 즉, 대면적의 디스플레이에서는 많은 수의 사용자 또는 한 명의 사용자가 여러 정보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어야 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복수 개의 조작 영역을 동일 디스플레이에 정의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ipulation area may be a plurality of displays. That is, in a large-area display, a large number of users or a single user must be able to transmit several pieces of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operating areas are defined on the same display in order to satisfy this demand.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복수 개의 조작영역이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결정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and 11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operating areas are determined by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on a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221, 222, 223)과 디스플레이(210) 상의 복수 개의 조작 영역(211, 212, 213)이 도시된다. 상기 복수 개의 조작 영역들은 각각의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촬상이미지와 전체 이미지의 비교를 통하여 결정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Referring to FIG. 10,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21, 222, and 223 and a plurality of manipulation areas 211, 212, and 213 on the display 210 are illustrated.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manipulation areas ar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captured image and the entire image acquired from each corresponding user terminal.

도 11을 참조하면, 각각의 복수 사용자 단말(221, 222, 223)로부터 상이한 영상 이미지가 서버(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10)에 전송되며, 이로써 상기 디스플레이(210)의 조작영역(211, 212, 213)에는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이미지가 표시, 투사된다. 더 나아가 각각의 조작영역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은 최초 사용자 단말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타 사용자 단말과도 연동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 A가 결정한 조작영역에 사용자 B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구성에 따른 효과는 마치 복수 클라이언트를 하나의 컴퓨터에 연결한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프로젝터를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연결한 클라우드 투사효과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장치는 복수 개의 조작 영역을 디스플레이 상에 정의함으로써 동일 또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이한 영상 정보를 표시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different image images are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21, 222, and 223 to the display 210 through a server (not shown), thereby operating the region 211 of the display 210. , 212 and 213 display and project an image transmitted from a corresponding user terminal. Furthermore, the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each operation area may be linked with other user terminals instead of being fixed as the first user terminal, thereby allowing user B to project his or her user terminal image on the operation area determined by user A. Can be. The effect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ferred to as a cloud projection effect in which a plurality of projectors are connected to one display, corresponding to cloud computing in which a plurality of clients are connected to one computer. As such, the displa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different image information from the same or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by defining a plurality of operation regions on the display.

본 발명은 단순한 정적인 상태에서의 이미지 투사뿐만 아니라 동적인 이미지 투사가 가능한데, 이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dynamic image projection as well as image projection in a simple static state, which i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12는 퍼블릭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동적 투사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ynamic projection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in a public display.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20)의 이동에 따라 사용자 단말(220)의 카메라로 획득되는 촬상 이미지(211)는 연속적으로 변화된다. 즉, 사용자 단말이 이동됨에 따라 변화되는 촬상 이미지는 다양한 특징점을 통하여 전체 디스플레이 이미지와 비교되며, 이에 따라 조작영역이 실시간으로 결정된다. 상기 결정된 조작 영역에 사용자 단말의 이미지 또한 실시간으로 표시되는데, 그 결과 사용자 단말의 이동에 따라 조작영역이 실시간으로 이동되며, 사용자 단말(220)의 영상 이미지 또한 조작영역의 이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이동된다. Referring to FIG. 12, as the user terminal 220 moves, the captured image 211 obtained by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220 is continuously changed. That is, the captured image that is changed as the user terminal is moved is compared with the entire display image through various feature points, and thus the manipulation area is determined in real time. The image of the user terminal is also displayed in the determined operation area in real time. As a result, the operation area is mov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image image of the user terminal 220 is also moved in real tim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area. .

이러한 동적인 구성을 통하여 상이한 정보가 조작된 두 조작영역이 교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이한 정보의 교환(예를 들면 이미지 파일의 교차 전송) 등의 단말간 인터렉션이 수행될 수 있다. Through this dynamic configuration, two operating areas where different information is manipulated can cross, and through this, interaction between terminals such as exchanging different information (for example, cross-transmission of an image file)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은 상술한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이하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control system for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another problem,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의 블록도이다.13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310)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3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310) 및 사용자 단말(320)은 통신 가능한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320) 및 디스플레이(31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32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전체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에 해당되는 디스플레이의 소정영역을 조작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는 서버(3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330)는 디스플레이(310) 및 사용자 단말(320) 외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31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버(330)는 사용자 단말(32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와 상기 디스플레이(310)에 표시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실제 사용자 단말(320)의 카메라로 비치는 영역을 조작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조작 영역에 대한 위치 및 크기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310)에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서버와 디스플레이 외부에 구비된 경우라면, 상기 서버는 디스플레이(310)와 사용자 단말(320)로부터 동시에 이미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Referring to FIG. 13, a display 310 and a user terminal 320 for manipulating the display are includ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310 and the user terminal 320 is a form that can be communicated. The displa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image data from the user terminal 320 and the display 310, and compares the imag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20 with the entir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to the user terminal The server 330 may further determine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image received from the operation area, and the server 33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display 310 and the user terminal 320 or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 310 may be provided. The server 330 compares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320 with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310 in real time, and determines an operation area of the area reflected by the camera of the actual user terminal 320, and the operation. Position and size information about the area is provided to the display 310. Therefore, when provided outside the server and the display, the server should be able to receive image information from the display 310 and the user terminal 320 at the same time.

조작 영역이 상기 서버(330)에 의하여 결정되면, 상기 디스플레이(310)에 구비된 제어장치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320)에 의한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소정 영역에서만 디스플레이를 분할하여, 제어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310)에는 복수 개의 조작영역이 하나의 사용자 단말 또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When the operation area is determined by the server 330, the control device provided in the display 310 divides and controls the display only in the predetermined area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of the external user terminal 320. In this case, a plurality of manipulation areas may be determined by one user terminal or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on the display 310,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또한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에 사용되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별도의 제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촬상된 이미지에 해당하는 영역의 위치 정보를 수신 받아, 해당영역을 분할하여 제어할 수 있게 한다. The invention also provides a display for use in a display control system, which can be controlled by a user terminal. The display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an area corresponding to an image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and divide and control the corresponding are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 및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Further, the display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optical disk, magnetic tape, floppy disk, hard disk, nonvolatile memory,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20)

사용자 단말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촬상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획득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촬상 이미지가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촬상 이미지와 디스플레이 전체 이미지가 비교되어, 디스플레이 전체 이미지 중 상기 촬상 이미지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조작영역으로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상기 조작영역에 대한 디스플레이 조작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Display control method based on the user terminal, the method,
Obtaining a captured image of all or part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through the user terminal;
Transmitting the obtained captured image to a server;
Comparing the captured image with the entire display image by the server to determine a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image among the entire display images as an operation region; And
And performing a display operation on the manipulation area by the user terminal.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조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를 상기 서버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전송된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조작 영역에서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operation includes transmitting data of the user terminal to the display through the server and displaying the data on the display, wherein the transmitted data is displayed only in the display manipulation area. Wa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조작 영역은 상기 서버로 전송된 촬상 이미지와 디스플레이 전체 이미지의 특징점을 비교함으로써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display manipulation area is determined by comparing feature points of the entire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transmitted to the ser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조작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lurality of display manipulation areas may be formed in the display.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조작 영역은 동일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조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plurality of display manipulation areas can be operated by the same user terminal.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조작 영역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에 각각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plurality of display manipulation areas respectively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기록매체.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a displa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으로, 상기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 및 디스플레이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와 디스플레이 전체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에 해당되는 디스플레이의 소정영역을 조작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는 서버;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영역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Display control system, the system being
display;
User terminal;
The server may receive image data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display, and compare the imag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with the entire display image to determine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imag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s the operation area. ; And
And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display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area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상기 서버에 전송되어, 상기 조작영역이 실시간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image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in real time, so that the manipulation area is determined in real tim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카메라가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촬상 이미지가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us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 camera, the display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tured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영역에서 표시된 이미지만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controller controls only the image displayed in the manipulation area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user terminal.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영역은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And a plurality of manipulation areas.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조작영역은 대응되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각각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plurality of manipulation areas are controlled by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user terminals, respectively.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조작영역은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plurality of manipulation areas are selectively controlled by one user terminal.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조작 영역의 이미지는 동일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images of the plurality of display manipulation areas are controlled by the same user terminal.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작으로부터 발생한 조작 신호는 상기 서버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어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And a manipulation signal generated from the manipul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of the display through the server.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디스플레이로부터 동시에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server can simultaneously receive image data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display.
제 9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기록매체.A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 instructions for driving the displa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3 are recorded. 제 9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에 사용되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Display used in the displa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3, which can be controlled by a user terminal.
KR1020100109765A 2010-11-05 2010-11-05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KR1012242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765A KR101224245B1 (en) 2010-11-05 2010-11-05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765A KR101224245B1 (en) 2010-11-05 2010-11-05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233A KR20120048233A (en) 2012-05-15
KR101224245B1 true KR101224245B1 (en) 2013-01-21

Family

ID=46266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765A KR101224245B1 (en) 2010-11-05 2010-11-05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24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1978A (en) 2009-02-03 2010-08-19 Seiko Epson Corp Collaborative work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collaborative 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1978A (en) 2009-02-03 2010-08-19 Seiko Epson Corp Collaborative work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collaborative 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233A (en)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693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20220130197A (en) Filming method, apparatus,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0100251B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processing document
EP282191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f shared screen
US10241660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20230308778A1 (en) Photograph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50074573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display program
JP2016143919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897435B2 (en) Instant messaging method and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6031411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16033497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22161240A1 (en) Photograph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medium
KR1016906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edia signal
EP284051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mages in electronic device
CN109496293A (en) Extend content display method, de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US10120637B2 (en) Mirror display system having low data traffic and method thereof
CN104793862B (en) The scaling control method of wireless display photo
US7565614B2 (en) Imag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a video conference system
JP5853003B2 (en) Screen sharing terminal, screen sharing method, program for screen sharing terminal
JP2018525744A (en) Method for mutual sharing of applications and data between touch screen computers and computer program for implementing this method
TW201413517A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CN112035082A (en) Image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666922B1 (en) Multi-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KR101224245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JP2004120284A (en) Image sharing system, image sharing method, image display equipment, information terminal equipment, and image shar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