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803B1 -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가상음성코덱을 적용한 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가상음성코덱을 적용한 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803B1
KR101222803B1 KR1020110063922A KR20110063922A KR101222803B1 KR 101222803 B1 KR101222803 B1 KR 101222803B1 KR 1020110063922 A KR1020110063922 A KR 1020110063922A KR 20110063922 A KR20110063922 A KR 20110063922A KR 101222803 B1 KR101222803 B1 KR 101222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virtual
codec
band
voice code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756A (ko
Inventor
차원재
엄진석
장원호
김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주식회사 미라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주식회사 미라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63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803B1/ko
Priority to PCT/KR2012/005156 priority patent/WO2013002593A2/ko
Publication of KR20130002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53IP private branch exchange [PBX] functionality entitie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0Media network packet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무선 네트워크상에서 가상음성코덱을 적용하여 음성통화와 함께 음성 서비스를 제외한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에 사용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유선 또는 무선 상에서 서킷 또는 패킷을 이용하여 생성된 하나의 음성 채널 또는 음성 세션에 사용자의 음성과 사용자 데이터를 가상음성으로 인식토록 하고 식별하는 특징을 갖는 가상음성코덱을 적용한 가상음성 처리부를 포함한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가상음성코덱을 적용한 송수신장치{The terminal equipment applied virtual voice codec}
본 발명은 유무선 네트워크상에서 가상음성코덱을 적용하여 음성통화와 함께 사용자가 요구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유선 또는 무선 상에서 서킷 또는 패킷을 이용하여 생성된 하나의 음성 채널 또는 음성 세션에 사용자의 원본음성과 사용자 데이터를 가상음성으로 인식토록 하고 식별하는 특징을 갖는 가상음성코덱을 적용한 가상음성 처리부를 포함한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망은 데이터통신망의 폭주로 인하여 본연의 기능인 음성통신 기능마저 영향을 주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데이터 서비스의 사용량이 음성 서비스의 사용량보다 많아짐으로 인하여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세션 자원의 부족현상이 시작되었다. 또한 메신저, 사진전송, 명함전송 서비스 등과 같은 단순한 1대 1의 데이터 전송 기능을 이용하는 서비스들을 위해서도 네트워크 내부에 서버를 도입하고 유지 관리하는 번거로움과 해당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세션을 생성시키는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상의 자원의 효율적 운영 측면을 고려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음성과 함께 사용자데이터를 제공하는 부가서비스가 대단히 많이 요구되고 있으나 음성과 사용자데이터가 별도의 경로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송됨에 따라 음성과 사용자데이터의 실시간성 및 동기화를 요하는 서비스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써, 가상음성코덱으로 음성서비스 채널 또는 음성서비스 세션을 설정한 후 가상음성코덱에 의하여 확보된 대역 내에서 음성을 위한 음성코덱 정보와 사용자 데이터로 가상음성코덱 대역에 부합하는 프레임으로 서비스를 제공하여 음성서비스를 위한 하나의 음성채널 또는 하나의 음성세션만으로 음성과 사용자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함으로써 다양한 부가서비스 창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성과 동시에 사용자 데이터간의 실시간성 또는 동기화가 요구되는 서비스에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송수신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서비스를 위하여 요구되는 채널/세션 자원의 소모를 줄임으로써 네트워크의 경제성 및 효율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성서비스를 위하여 음성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요하는 타입으로 코딩/디코딩을 수행하는 보코더부; 상기 음성서비스를 제외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응용프로그램부; 및 가상음성코덱으로 음성서비스 채널 또는 음성서비스 세션을 설정한 후 가상음성코덱에 의하여 확보된 대역 내에서 상기 음성과 함께 상기 사용자데이터를 송수신 하도록 하는 가상음성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상음성 처리부는, 상기 응용프로그램부와 정합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프로그램 정합부; 상기 응용프로그램 정합부에 의하여 서비스에 사용될 사용자 데이터를 분할하고 조립하는 데이터 핸들러부; 상기 음성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가상음성코덱 대역으로 협상을 수행하는 가상음성 제어부; 및 상기 가상음성코덱 대역에 부합하도록 사용자 데이터와 음성을 가상음성코덱 프레임으로 생성하고, 수신된 가상음성코덱 프레임을 식별하는 프레임 핸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유무선 네트워크상에서 가상음성코덱을 적용하여 음성과 함께 사용자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가상음성코덱을 적용한 송수신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가상음성 제어부는, 음성서비스 송수신을 위해 할당된 대역보다 큰 대역의 가상음성코덱 대역을 설정하거나, 음성코덱을 여러 개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인 경우, 사용자가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원본음성으로 적용할 코덱과 가상음성코덱 대역으로 사용할 코덱을 설정하고, 고정된 음성코덱만 지원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인 경우는 고정된 음성코덱 대역을 가상음성코덱 대역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대역보다 작은 대역에 음성코덱을 적용 또는 음성코덱과 동일하게 가상음성코덱 대역으로 설정한 후 음성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만 가상음성코덱 대역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상음성코덱으로 음성서비스 채널 또는 음성서비스 세션을 설정한 후 가상음성코덱에 의하여 확보된 대역 내에서 음성을 위한 음성코덱 정보와 사용자 데이터로 가상음성코덱 대역에 부합하는 프레임으로 서비스를 제공하여 음성서비스를 위한 하나의 음성채널 또는 하나의 음성세션만으로 음성과 사용자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함으로써, 음성서비스와 함께 다양한 부가서비스의 창출 효과가 있으며, 특히 실시간성 및 음성과 함께 동기화가 요구되는 서비스에 최적의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성서비스를 위한 하나의 세션만으로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여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의 세션자원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송수신장치 간의 음성 채널/세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음성코덱 프레임 및 구성 요소들의 대역 표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음성코덱 프레임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송수신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음성 처리부의 블록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사용자 데이터"는 음성 서비스를 제외한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가상음성코덱을 적용한 송수신장치간의 음성채널/세션 구성도이다. 도 1의 송수신장치는 가상음성 처리부가 내장된 응용프로그램부 또는 다운로더블 응용프로그램부가 적용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장치 A(100)는 가상음성 처리부가 적용된 송수신장치로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송수신장치 B(101)와 서킷 또는 패킷을 이용하는 음성 네트워크(102) 상에 가상음성용 서비스 세션(105)을 생성한다. 이 때 가상음성 처리부(400)는 사용자 데이터의 송수신을 고려하여 음성서비스로 제공되는 음성(104)의 송수신을 위해 할당될 대역보다 큰 대역의 음성용 서비스 세션(105)을 할당 받는다. 각각의 송수신장치(100, 101)의 가상음성 처리부(400)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데이터(103)와 음성(104)을 하나의 세션 데이터로 혼합하여 음성 네트워크(102)에 생성된 음성용 서비스 세션(105)을 이용하여 송신한다.
이 때 음성 네트워크(102)는 음성용 서비스 세션(105)을 이용하여 송수신되는 음성 프레임을 원본 그대로 각각의 송수신장치(100, 101)로 교환하게 된다. 각각의 송수신장치(100, 101)는 수신한 음성 프레임을 가상음성 처리부(400)에 전달한다.
상기 가상음성 처리부(400)는 수신된 가상음성코덱 프레임(200)을 가상음성코덱 프레임 헤더(207)의 정보를 이용하여 원본 음성코덱 프레임(206)과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205)으로 분리한 후 프레임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처리 블록으로 전달한다.
서킷 음성 네트워크(102)를 이용하여 음성통화를 경우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음성통화를 시도할 경우, 송수신장치(100, 101)는 우선 음성 네트워크(102)와의 통화로-음성용 서비스 세션(105)-의 설정을 위하여 신호처리를 함과 동시에 통화하고자 하는 음성코덱 종류에 대한 협상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가상음성 처리부(400)에서는 신호처리에 의하여 대역을 확보할 수 있는 최대 또는 최적의 음성코덱으로 음성코덱 세션을 생성하도록 요청한다.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1x 음성 네트워크상에서 송수신장치(100,101)는 보코더 형식을 13Kbps 대역인 QCELP(Qualcomm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보코더를 음성용 서비스 세션(105)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음성 네트워크(102)와 협상을 하도록 한 후 송수신장치(100,101) 내부의 보코더를 13Kbps 보다 적은 대역의 8Kbps 대역의 QCELP 또는 8Kbps 대역의 EVRC(Enhanced Variable Rate Codec)를 원본 음성(104)용 보코더로 동작하도록 설정하면 하면 나머지 5Kbps 대역에 사용자 데이터(103)를 보낼 수 있는 대역이 확보된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CDMA(Wideband-CDMA)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무선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패킷 음성 네트워크(102)를 이용하여 음성통화를 하는 경우에도 서킷 음성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것과 동일한 과정을 거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VoIP 네트워크상에서 단말 장치는 보코더 형식을 64Kbps인 PCM 보코더를 음성용 서비스 세션(105)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음성 네트워크(102)와 협상을 하도록 한 후 송수신장치(100,101) 내부의 보코더를 64Kbps 보다 적은 대역의 12.2Kbps의 AMR, 8Kbps의 EVRC 등을 원본 음성(104)용 음성코덱으로 동작하도록 설정하면 나머지 대역에 사용자 데이터(103)를 보낼 수 있는 대역이 확보된다.
또한, 음성코덱을 여러 개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인 경우, 사용자가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가상음성코덱 대역을 설정하고 거기에 부합하는 음성코덱을 설정하는 것으로, 즉, 음성코덱의 종류 중에서 원본음성으로 적용할 코덱과 가상음성코덱 대역으로 사용할 코덱을 선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고정된 음성코덱만 지원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인 경우, 한가지 음성코덱을 사용하는 경우로 음성코덱의 대역보다 더 큰 가상음성코덱 대역을 설정할 수 없으므로 고정된 음성코덱 대역을 가상음성코덱 대역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대역보다 작은 음성코덱을 가상음성 처리부에서 구현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음성코덱과 동일하게 가상음성코덱 대역으로 설정한 후 음성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만 가상음성코덱 대역으로 적용하여 실현하는 하는 것으로 음성서비스를 위하여 사용하는 음성코덱이 묵음(idle)이 존재하는 경우 가상음성 대역을 음성코덱과 동일하게 설정하여 묵음이 발생하는 대역에 사용자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가상음성 코덱프레임을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송수신장치 A(100)와 송수신장치 B(102) 사이에 생성된 음성용 서비스 세션(105)을 통하여 송수신 되는 가상음성코덱 프레임 및 구성 요소들의 대역 표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용 서비스 세션(105)은 가상음성코덱 대역(203)으로 구성된다. 또한 가상음성코덱 대역(203)은 사용자 데이터(103)의 송수신을 위한 사용자 데이터 대역(201)과 원본 음성 코덱 데이터 (104)의 송수신을 위한 원본 음성코덱 대역(202)로 구성된다. 사용자 데이터(103)는 프레임으로 나뉘어져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205) 영역에, 실제 음성은 원본 음성코덱 프레임(206) 영역에 각각 삽입된다. 이때 가상 음성 코덱 프레임(200)의 구성 정보는 가상음성코덱 프레임 헤더(207)에 포함된다.
도 3은 음성통신의 특징인 음성 프레임의 전달 시간 즉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204)마다 송수신 되는 가상음성코덱 프레임(20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TTI 마다 송수신되는 상기 가상음성코덱 프레임(200)은 사용자 데이터 대역(201)을 이용하는 사용자 데이터(103)의 프레임인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205)과 원본 음성코덱 대역(202)을 이용하는 원본 음성코덱 데이터(104)의 프레임인 원본 음성코덱 프레임(206) 및 상기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205)과 원본 음성코덱 프레임(206)의 정보를 포함한 가상음성코덱 프레임 헤더(207)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인 송수신장치(100, 101)의 구성 블록도도이다.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장치(100, 101)는 사용자 음성 인터페이스인 마이크와 스피커부(110), 음성의 코딩 및 디코딩을 담당하는 보코더부(106), 음성을 제외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응용프로그램부(108), 가상 음성 프레임을 핸들링하는 가상음성 처리부(402), 물리적 또는 전기적 신호 처리를 담당하는 물리채널부(500), 상기 물리채널부(500)을 통해 수신되는 서킷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킷핸들러부(450)와 상기 물리채널부(500)를 통해 수신되는 패킷 데이터를 처리하는 패킷핸들러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물리채널부(500)에서 TTI마다 수신되는 음성의 처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물리채널부(500)에서 수신된 전기적인 신호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서킷 핸들러부(450) 또는 패킷 핸들러부(460)로 분기된다.
먼저 서킷 채널을 통해 수신된 전기적인 신호는 서킷핸들러부(450)로 분기되어 하나의 프레임 데이터로 조립 된다. 조립된 프레임 데이터는 음성호 설정 과정에서 생성된 음성용 서비스 세션(105)를 통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가상음성코덱 프레임(200)이며, 상기 가상음성코덱 프레임(200)은 수신되는 즉시 가상음성 처리부(400)로 전달된다. 상기 가상음성 처리부(400)는 상기 가상음성코덱 프레임(200)을 가상음성코덱 프레임 헤더(207)의 정보에 의하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205)과 원본 음성 코덱 프레임(206)으로 분리한다. 분리된 원본 음성 코덱 프레임(206)은 지연 없이 바로 보코더부(106)로 전달되어 음성 디코딩이 수행된 후 마이크/스피커부(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상기 가상음성 처리부(400)에서 분리된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205)은 가상음성 처리부(400)에서 데이터 패킷 단위로 조립된 후 응용프로그램부(108)에 전달된다.
상기 물리채널부(500)을 통하여 패킷 핸들러부(460)로 수신된 전기적인 신호는 패킷 핸들러부(460)에 의하여 하나의 프레임으로 조립된다. 조립된 프레임 데이터는 음성호 설정 과정에서 생성된 음성용 서비스 세션(105)을 통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가상음성코덱 프레임(200)이며, 상기 가상음성코덱 프레임(200)은 수신되는 즉시 가상음성 처리부(400)로 전달된다. 상기 가상음성 처리부(400)는 상기 가상음성코덱 프레임(200)을 가상 음성코덱 프레임 헤더(207)의 정보에 의하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205)과 원본 음성 코덱 프레임(206)으로 분리한다. 상기 원본 음성 코덱 프레임(206)은 지연 없이 바로 보코더부(106)로 전달되어 음성 디코딩이 수행된 후 마이크/스피커부(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상기 가상음성 처리부(400)에서 상기 가상음성코덱 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된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205)은 데이터 패킷 단위로 조립된 후 응용프로그램부(108)에 전달된다. 음성과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 과정은 수신과정의 역방향으로 진행된다.
도 5는 가상음성 처리부(400)의 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상음성 처리부(400)는 응용프로그램 정합부(410), 데이터 핸들러부(420), 가상음성 제어부(430)와 프레임 핸들러부(440)로 구성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응용프로그램 정합부(410)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 제공부와 정합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핸들러부(420)는 상기 응용프로그램부(108)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프레임 핸들러부(440)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그 크기를 적절히 분할하고 조립한다. 즉 데이터 핸들러부(420)는 응용프로그램부(108)의 사용자 데이터와 프레임 핸들러부(440)의 사용자 데이터간의 원활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합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가상음성 제어부(430)는 서킷 또는 패킷을 통하여 음성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가상음성코덱 대역으로 협상을 수행한다.
상기 프레임 핸들러부(440)는 상기 서킷 핸들러부 또는 패킷 핸들러부를 통하여 가상음성코덱 대역에 부합하도록 사용자 데이터와 음성을 가상음성코덱 프레임으로 생성하고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상음성 처리부를 통한 수신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서킷 핸들러부(450) 또는 패킷 핸들러부(460)로부터 수신된 가상음성코덱 프레임(200)은 프레임 핸들러부(440)에서 가상음성코덱 프레임 헤더(207)의 정보에 의하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205)과 원본 음성 코덱 프레임(206)로 분리된 후 가상음성 제어부(430)로 전달된다. 상기 가상음성 제어부(430)는 전달받은 프레임이 원본 음성 코덱 프레임(206)인 경우에는 지연 없이 보코더부(106)로 전달하고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205)인 경우에는 데이터 핸들러부(420)로 전달한다. 상기 데이터 핸들러부(420)는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205)을 일정량 모아서 패킷 단위로 조립한다. 이후 데이터 패킷은 응용프로그램 정합부(410)를 통하여 응용프로그램부(108)로 전달된다.
송신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전송할 사용자 데이터(103)는 응용프로그램부(108)를 통하여 가상음성 처리부(400)로 전달된다. 상기 가상음성 처리부(400)는 전달받은 사용자 데이터(103)를 프레임 단위로 조각낸 후 대기한다. 보코더부(106)에서 TTI(204)마다 생성되는 원본 음성 코덱 데이터(104)의 프레임이 가상음성 처리부(400)로 전달될 때 마다 가상음성 처리부(400)는 원본 음성 코덱 프레임(206)과 전달 대기 중인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205)을 프레임 핸들러부(440)에 전달한다. 만일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205)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원본 음성 코덱 프레임(206)만 전달한다. 프레임 핸들러부(440)는 이미 설정된 음성용 서비스 세션(105)의 대역으로 전달될 가상음성코덱 프레임(200)의 원본 음성 코덱 프레임(206)과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205)를 조합하고 조합한 정보를 가상음성코덱 프레임 헤더(207)에 넣은 후 이미 설정된 음성 네트워크의 속성에 따라 서킷 핸들러부(450) 또는 패킷 핸들러부(460)로 전달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6: 보코더부 108: 응용프로그램부
400: 가상음성 처리부 410: 응용프로그램 정합부
420: 데이터 핸들러부 430: 가상음성 제어부
440: 프레임 핸들러부

Claims (6)

  1. 음성서비스를 위하여 음성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요하는 타입으로 코딩/디코딩을 수행하는 보코더부;
    상기 음성서비스를 제외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응용프로그램부; 및
    가상음성코덱으로 음성서비스 채널 또는 음성서비스 세션을 설정한 후 가상음성코덱에 의하여 확보된 대역 내에서 상기 음성과 함께 상기 사용자데이터를 송수신 하도록 하는 가상음성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상음성 처리부는,
    상기 응용프로그램부와 정합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프로그램 정합부;
    상기 응용프로그램 정합부에 의하여 서비스에 사용될 사용자 데이터를 분할하고 조립하는 데이터 핸들러부;
    상기 음성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가상음성코덱 대역으로 협상을 수행하는 가상음성 제어부; 및
    상기 가상음성코덱 대역에 부합하도록 사용자 데이터와 음성을 가상음성코덱 프레임으로 생성하고, 수신된 가상음성코덱 프레임을 식별하는 프레임 핸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유무선 네트워크상에서 가상음성코덱을 적용하여 음성과 함께 사용자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가상음성코덱을 적용한 송수신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음성 제어부는,
    음성서비스 송수신을 위해 할당된 대역보다 큰 대역의 가상음성코덱 대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가상음성코덱을 적용한 송수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음성 제어부는,
    음성코덱을 여러 개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인 경우, 사용자가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원본음성으로 적용할 코덱과 가상음성코덱 대역으로 사용할 코덱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가상음성코덱을 적용한 송수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음성 제어부는,
    고정된 음성코덱만 지원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인 경우는 고정된 음성코덱대역을 가상음성코덱 대역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대역보다 작은 대역에 음성코덱을 적용하는 특징으로 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가상음성코덱을 적용한 송수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음성 제어부는,
    음성코덱과 동일하게 가상음성코덱 대역으로 설정한 후 음성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만 가상음성코덱 대역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가상음성코덱을 적용한 송수신장치.
KR1020110063922A 2011-06-29 2011-06-29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가상음성코덱을 적용한 송수신장치 KR101222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922A KR101222803B1 (ko) 2011-06-29 2011-06-29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가상음성코덱을 적용한 송수신장치
PCT/KR2012/005156 WO2013002593A2 (ko) 2011-06-29 2012-06-29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가상음성코덱을 적용한 송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922A KR101222803B1 (ko) 2011-06-29 2011-06-29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가상음성코덱을 적용한 송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756A KR20130002756A (ko) 2013-01-08
KR101222803B1 true KR101222803B1 (ko) 2013-01-15

Family

ID=4742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922A KR101222803B1 (ko) 2011-06-29 2011-06-29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가상음성코덱을 적용한 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22803B1 (ko)
WO (1) WO2013002593A2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9763A (ko) * 2008-09-15 2011-06-03 에어비퀴티 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가변―레이트 코덱들을 통한 인―밴드 시그널링을 위한 방법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087B1 (ko) * 1999-06-25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전송모드 적응계층2를 이용한 멀티트래픽 서비스장치 및방법
JP2004519935A (ja) * 2001-03-15 2004-07-02 ターシンク リミテッド データ/音声統合サービス用ワイヤレス端末通信セッションの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800716B1 (ko) * 2006-05-10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동영상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그송수신 장치에서의 동영상 데이터 송수신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9763A (ko) * 2008-09-15 2011-06-03 에어비퀴티 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가변―레이트 코덱들을 통한 인―밴드 시그널링을 위한 방법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756A (ko) 2013-01-08
WO2013002593A3 (ko) 2013-03-14
WO2013002593A2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56043C (zh) 支持网络中至少两个设备之间协同操作的方法及系统
ATE429758T1 (de) Einteilung von datenübertragungen in einem drahtlosen kommunikationsnetz
CN109729552B (zh) 语音传输方法和装置
US200800162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 synchronization of parameters
RU2008142124A (ru)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е качества обслуживания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EP2510744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object between devices having multi-radio interface
GB2419063B (en)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exchange device and user station
TW200706018A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voice and data call over wireless infrastructure
CN111277390B (zh) 下行反馈信息的传输方法、基站以及终端设备
TW20074239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image in mobile messenger service
KR100680004B1 (ko)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장치 및 방법
CN101867978A (zh) 半静态调度周期管理方法、用户设备、基站及通信系统
WO2015135107A1 (zh) 数据传输方法及通信设备
CN104105222B (zh) 建立通信
KR20080018513A (ko) 무선 접속 통신망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장치
EP1802034A4 (en) AUTOMATIC NEGOTIATION METHOD OF DATA COMMUNICATION CHANNEL BANDWIDTH
CN100547997C (zh) 移动通信中ip数据压缩发送和接收的方法
KR101222803B1 (ko)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가상음성코덱을 적용한 송수신장치
CN102282886B (zh) 一种实现语音业务的方法、移动终端、装置和系统
TW201101860A (en) Discontinuous transmission in a wireless network
CN104955034A (zh) 一种通讯会话方法
JP2007228081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アクセス装置
WO2023221984A1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EP4358591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KR10153796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화상통화를 위한 대역폭 할당 방법 및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