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790B1 - System for detecting change-time of dental crown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detecting change-time of dental crown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790B1
KR101221790B1 KR1020110008355A KR20110008355A KR101221790B1 KR 101221790 B1 KR101221790 B1 KR 101221790B1 KR 1020110008355 A KR1020110008355 A KR 1020110008355A KR 20110008355 A KR20110008355 A KR 20110008355A KR 101221790 B1 KR101221790 B1 KR 101221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int
tooth
crow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3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86967A (en
Inventor
권지용
Original Assignee
권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지용 filed Critical 권지용
Priority to KR1020110008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790B1/en
Publication of KR20120086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9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7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방법은 (a)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치아에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치아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반사 또는 굴절되는 단계; (c) 상기 반사 또는 굴절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전송된 전송 시점과 상기 반사 또는 굴절된 신호의 수신된 수신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전송 시점 및 상기 수신 시점 간의 시간 차이인 제1 시간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e) 특정 기간 이후에, 상기 (a) 단계 내지 (d) 단계를 다시 수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전송 시점 및 상기 수신 시점 간의 시간 차이인 제2 시간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1 시간 차이 및 상기 제2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치아에 수복된 크라운을 교체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Crown replacement tim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transmitting at least one signal to the tooth; (b) all or part of the transmitted at least one signal is reflected or refracted from inside or outside of the tooth; (c) receiving the reflected or refracted signal; (d) detecting a transmission time point at which the at least one signal is transmitted and a received reception time point of the reflected or refracted signal, and calculating a first time difference that is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ssion time point and the reception time point; (e) after a specific period of time, performing steps (a) to (d) again to calculate a second time difference, which is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ssion time point and the reception time point of the at least one signal; And (f) determining whether to replace the crown restored on the tooth using the first time difference and the second time difference.

Description

크라운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DETECTING CHANGE-TIME OF DENTAL CROWN AND METHOD THERE-OF}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crown replacement time {SYSTEM FOR DETECTING CHANGE-TIME OF DENTAL CROW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치과 수복(restorative dentistry) 분야에 사용되는 성형된(preformed) 크라운(dental crown)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eformed crowns for use in the field of restorative dentistry.

치과 수복은 손상된 치아의 형태와 기능을 회복하고 재형성 시키는 치료의 마무리 단계로 치과 산업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치과 수복에는 레진 직접 수복, 인레이/온레이, 크라운 수복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Dental restorations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dental industry as the final stage of treatment to restore and reshape the shape and function of damaged teeth. Resin repair, inlay / onlay, crown restoration are mainly used for dental restorations.

이 중 크라운 수복의 경우, 손상된 치아의 치관부를 일시적이거나 반영구적인 크라운을 이용하여 치아를 수복하는 것이 통상의 절차이며, 경우에 따라, 치과 의료진들은 치아를 수복하기 위하여, 수복하고자 하는 치아의 형태를 고려하여 성형된 크라운을 이용한다.Among these, in the case of crown restoration, it is a common procedure to repair the tooth using a temporary or semi-permanent crown of the damaged tooth, and in some cases, the dental clinician has to determine the type of tooth to be repaired in order to repair the tooth. Consider the use of shaped crowns.

성형된 크라운은 금속(예컨대, 금 또는 금속 합금 등) 또는 치아색을 가진 재료(예컨대, 포셀린(porcelain), 세라믹(ceramic) 등)로 제조되며, 특히, 심미적 외관을 제공하기 위하여 금속 크라운에 치아색을 가진 재료가 코팅되어, 예컨대, PFM(Porcelain Fused to Metal) 크라운, PFG(Porcelain Fused to Gold) 크라운 등으로 제조되기도 한다.Molded crowns are made of metal (e.g., gold or metal alloys) or tooth-colored materials (e.g. porcelain, ceramics, etc.), and in particular, the teeth of the metal crown to provide an aesthetic appearance. Color-coated materials may be coated to make, for example, Porcelain Fused to Metal (PFM) crowns, Porcelain Fused to Gold (PFG) crowns, and the like.

크라운을 이용하여 치아를 수복하는 경우, 추후, 크라운 내부에서 우식(dental caries)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크라운의 교체가 필요하다.In the case of restoring a tooth using a crown, caries may develop later in the crown, in which case the crown needs to be replaced.

일반적으로, 크라운의 교체 시점은 구치의 경우 치료시점으로부터 5~8년후, 전치의 경우 치료시점으로부터 8~10년후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크라운 내부에서 우식이 진행되었는지를 알 수 없는 상황에서, 크라운의 교체 시점을 상기와 같은 임상적 평균 기간으로 일괄적으로 적용할 경우, 경우에 따라, 불필요하게 크라운이 교체될 수 있다. In general, the crown replacement time is known to be 5 to 8 years after the treatment time for the posterior teeth and 8 to 10 years after the treatment time for the anterior teeth. However, in a situation where it is not known whether caries has progressed inside the crown, when the crown replacement point is collectively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clinical average period, in some cases, the crown may be unnecessarily replaced.

또한, 환자에 따라 우식이 너무 빨리 진행되는 경우, 크라운의 교체 시점은 더 빨라져야하므로, 상기 임상적 평균 기간이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경우, 발치를 해야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caries progresses too quickly depending on the patient, the crown replacement time must be faster, so that when the clinical average period is applied collectively, a situation may arise where extraction is required.

따라서, 보다 정확한 크라운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고, 환자 개개인의 크라운 교체 시점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and system for more accurately determining crown replacement points and for determining crown replacement points for individual patients.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보다 정확한 크라운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고, 환자 개개인의 크라운 교체 시점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more accurate crown replacement time, and to determine the crown replacement time of each pati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방법은 (a)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치아에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치아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반사 또는 굴절되는 단계; (c) 상기 반사 또는 굴절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전송된 전송 시점과 상기 반사 또는 굴절된 신호의 수신된 수신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전송 시점 및 상기 수신 시점 간의 시간 차이인 제1 시간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e) 특정 기간 이후에, 상기 (a) 단계 내지 (d) 단계를 다시 수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전송 시점 및 상기 수신 시점 간의 시간 차이인 제2 시간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1 시간 차이 및 상기 제2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치아에 수복된 크라운을 교체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Crown replacement tim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transmitting at least one signal to the tooth; (b) all or part of the transmitted at least one signal is reflected or refracted from inside or outside of the tooth; (c) receiving the reflected or refracted signal; (d) detecting a transmission time point at which the at least one signal is transmitted and a received reception time point of the reflected or refracted signal, and calculating a first time difference that is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ssion time point and the reception time point; (e) after a specific period of time, performing steps (a) to (d) again to calculate a second time difference, which is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ssion time point and the reception time point of the at least one signal; And (f) determining whether to replace the crown restored on the tooth using the first time difference and the second time difference.

또한, 상기 (f) 단계는 상기 제2 시간 차이가 상기 제1 시간 차이보다 미리 정해진 오차 범위보다 클 경우, 상기 치아에 수복된 크라운을 교체하도록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f) may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to replace the crown repaired to the tooth, if the second time differenc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than the first time difference.

또한, 상기 (f) 단계는 상기 제2 시간 차이가 상기 제1 시간 차이보다 미리 정해진 오차 범위보다 크지 않을 경우, 상기 치아에 수복된 크라운을 교체하지 않도록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f) may include determining not to replace the crown repaired to the tooth, if the second time difference is not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than the first time differen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방법은 (a)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치아에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치아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굴절되는 단계; (c) 상기 굴절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굴절된 신호가 수신된 제1 수신 지점을 검출하여 계산하는 단계; (e) 특정 기간 이후에, 상기 (a) 단계 내지 (d) 단계를 다시 수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제2 수신 시점을 검출하여 계산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1 수신 지점 및 상기 제2 수신 지점을 이용하여 치아에 수복된 크라운을 교체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Crown replacement timing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transmitting at least one signal to the tooth; (b) all or part of the transmitted at least one signal is refracted from inside or outside of the tooth; (c) receiving the refracted signal; (d) detecting and calculating a first receiving point at which the refracted signal is received; (e) after a specific period of time, performing steps (a) to (d) again to detect and calculate a second reception time point of the at least one signal; And (f) determining whether to replace the crown restored on the tooth by using the first receiving point and the second receiving point.

또한, 상기 (f) 단계는 상기 제2 수신 지점이 상기 제1 수신 지점에 비해 미리 정해진 오차 범위보다 클 경우, 상기 치아에 수복된 크라운을 교체하도록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f) may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to replace the repaired crown on the tooth, if the second receiving point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compared to the first receiving point.

또한, 상기 (f) 단계는 상기 제2 수신 지점이 상기 제1 수신 지점에 비해 미리 정해진 오차 범위보다 크지 않을 경우, 상기 치아에 수복된 크라운을 교체하지 않도록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f) may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not to replace the crown restored on the tooth, if the second receiving point is not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compared to the first receiving poi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치아에 전송하기 위한 신호 송신 블락; 상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치아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반사 또는 굴절되면 상기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 블락; 상기 신호 송신 블락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전송된 전송 시점 과 상기 반사 또는 굴절된 신호가 상기 신호 수신 블락에 수신된 수신 시점 및 수신 지점을 검출하여 상기 전송 시점 및 상기 수신 시점 간의 시간 차이인 시간 차이 또는 상기 수신 지점을 계산하기 위한 계산 블락; 및 상기 계산 블락이 상기 시간 차이를 2회 이상 계산하거나, 상기 수신 지점을 2회 이상 계산한 경우, 계산된 시간 차이 또는 수신 지점들을 서로 비교하여 치아에 수복된 크라운을 교체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비교 블락을 포함할 수 있다.Crown replacement timing de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gnal transmission block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signal to the teeth; A signal receiving block for receiving the reflected signal when all or part of the transmitted at least one signal is reflected or refracted from inside or outside of the tooth;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ssion time point and the reception time point by detecting a transmission time point at which the at least on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block and a reception time point and a reception point at which the reflected or refracted signal is received at the signal reception block; A calculation block for calculating a difference or the reception point; And when the calculation block calculates the time difference two or more times or when the receiving point is calculated two or more times, comparing the calculated time difference or receiving points with each other to determine whether to replace the restored crown on the tooth. Block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은 상기 계산 블락에 의하여 계산된 시간 차이들 및 상기 수신 지점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rown replacement timing determin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database for storing data including time differences and the reception points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block;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또한, 상기 비교 블락은 상기 계산된 시간 차이들 또는 상기 수신 지점들을 서로 비교한 결과, 그 차이가 미리 정해진 오차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치아에 수복된 크라운을 교체하도록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arison block may compare the calculated time differences or the reception points with each other, and determine whether the difference is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to determine that the restored crown is replaced on the tooth.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종래에 비하여 크라운의 교체 시점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time of replacement of the crown than in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환자마다 다른 크라운 교체 시점을 적용할 수 있어, 환자별로 맞춤형 진료가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 환자의 치료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different crown replacement time for each patient, it is possible to tailor the treatment for each patient, and in some case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treatment cost of the patient.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치아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우식이 진행된 도 1의 치아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우식이 진행된 도 2의 치아가 크라운 수복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을 나타 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이 계산한 제1 시간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이 계산한 제2 시간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이 계산한 제1 굴절 신호의 수신 지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이 계산한 제2 굴절 신호의 수신 지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re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is a view for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ooth.
2 is a view showing the teeth of FIG.
FIG. 3 is a view of crown restoration of the tooth of FIG. 2 in which caries is progressed. FIG.
4 is a view showing a crown replacement time de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time difference calculated by the crown replacement timing determination system.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time difference calculated by the crown replacement timing determination system.
FIG. 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reception point of the first refraction signal calculated by the crown replacement timing determination system 10.
FIG. 8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reception point of the second refraction signal calculated by the crown replacement timing determination system 10.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rown replacement timing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crown replacement ti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치아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으로, 이하 본 발명의 설명을 돕기 위하여 치아의 구조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치아는 크게 치관(410) 및 치근(420)을 포함한다.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ooth, it will be briefly described for the structure of the tooth to help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tooth largely includes a crown 410 and a root 420.

상기 치관(410)은 도 1에 도시된 부분, 즉, 치경선으로부터 법랑질(Enamel, 460)로 덮여 있는 부분에 해당할 수 있으며, 임상적으로는 구강 내에서 육안적으로 보이는 치아의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The crown 410 may correspond to a portion illustrated in FIG. 1, that is, a portion covered with enamel 460 from the alveolar gland, and clinically corresponds to a portion of the tooth that is visible to the naked eye in the oral cavity. can do.

상기 치근(420)은 도 1에 도시된 부분, 즉, 상악과 하악의 치조골(430) 내에 심어져 있으며, 치아를 악골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치근(420)은 표면이 백악질(Cementum)로 덮여 있고, 내부는 상아질(Dentin, 470)로 구성된다.The root 420 is planted in the portion shown in FIG. 1, that is, the alveolar bone 430 of the upper and lower jaw, and serves to fix the tooth to the jawbone. The root 420 has a surface covered with Cementum and an interior of dentin 470.

상기 치수(440)는 치아의 내부에 있는 치수강(齒髓腔)을 채우고 있는 부드러운 결합조직으로 신경과 혈관이 분포하며, 치수(440)의 신경은 상아질(470)의 표층에까지 이를 수 있다.The dimension 440 is a soft connective tissue filling the pulp cavity inside the tooth, and nerves and blood vessels are distributed, and the nerve of the dimension 440 may reach the surface layer of the dentin 470.

상기 치주인대(450)는 치근(420)의 백악질과 치조골(430)을 연결해주는 조직으로, 상기 치주인대(450)로 인하여, 치아는 약간 흔들리는 것처럼 느껴지며, 외부로 부터의 충격을 견딜 수 있다.The periodontal ligament 450 is a tissue connecting the chalky and alveolar bone 430 of the root 420, due to the periodontal ligament 450, the tooth feels slightly shaken, can withstand the impact from the outside .

도 2는 우식이 진행된 도 1의 치아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우식이 진행된 도 2의 치아가 크라운 수복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도 1의 치아에 우식(480)이 진행된 경우, 이를 치료하기 위하여 크라운이 이용될 수 있다.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tooth of Figure 1 caries progression, Figure 3 is a view of the tooth of Figure 2 is a crown restoration caries progression. Referring to FIG. 2, when the caries 480 is advanced to the tooth of FIG. 1, a crown may be used to treat the same.

크라운을 이용하여 치아를 치료하는 경우, 크라운 제작을 위하여, 우식이 진행된 치아가 포함되도록 치아를 특정 라인(490)에 따라 삭제하고, 삭제된 치아를 수복할 크라운을 제작한다.In the case of treating a tooth using a crown, in order to manufacture the crown, the tooth is removed along a specific line 490 so that the caries have undergone caries, and a crown to repair the deleted tooth is manufactured.

도 3은 도 2의 치아를 크라운(500)을 이용하여 수복한 도면이다. 크라운(500)을 이용하여 치아를 수복하는 경우, 추후, 크라운 내부 치아의 일부분(600)에서 2차 우식이 발생할 수 있다.FIG. 3 is a view of the tooth of FIG. 2 repaired using the crown 500. When restoring the teeth using the crown 500, secondary caries may occur later in the portion 600 of the inner tooth of the crown.

이와 같은 2차 우식이 발생한 경우, 크라운(500)을 제거한 후, 2차 우식이 발생한 치아의 일부분(600)을 삭제하고, 삭제된 치아를 수복할 새로운 크라운을 다시 제작해야한다.If such secondary caries has occurred, after removing the crown 500, it is necessary to delete a portion 600 of the tooth in which the secondary caries has occurred, and re-create a new crown to repair the deleted tooth.

새로운 크라운을 다시 제작하는 시점인 크라운의 교체 시점은 구치의 경우 치료시점으로부터 5~8년후, 전치의 경우 치료시점으로부터 8~10년후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임상적인 평균 수명으로 환자 개개인에게 일괄 적용될 수는 없다.The crown replacement time, when the new crown is rebuilt, is known to be 5-8 years after the treatment of the posterior teeth and 8 to 10 years after the treatment of the posterior teeth. There is no.

예컨대, 환자 갑(甲)은 3년만에 2차 우식이 진행될 수 있으며, 환자 을(乙)은 10년이 지나서도 2차 우식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상적인 평균 수명을 환자 갑(甲) 및 환자 을(乙)에게 일괄 적용할 경우, 환자 갑(甲)은 경우에 따라서는 발치를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환자 을(乙)은 불필요하게 크라운이 교체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patient caries may develop secondary caries in three years, and patient caries may not develop secondary caries after 10 years. Here, when the clinical average life span is collectively applied to the patient case and the patient case, the patient case may need to be extracted in some cases. Unnecessary crown replacement may occur.

따라서, 환자 개개인을 고려할 수 있는 크라운의 교체 시점 판단 방안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timing of replacement of the crown that can consider individual patient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은 프로세싱 디바이스(100), 데이터 베이스(DB, 200) 및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4 is a view showing a crown replacement timing determin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crown replacement point determination system 10 may include a processing device 100, a database DB, and a display device 300.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100)은 신호 송신 블락(110), 신호 수신 블락(120), 계산 블락(130) 및 비교 블락(14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신호 송신 블락(110), 신호 수신 블락(120), 계산 블락(130) 및 비교 블락(140)은 각각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100) 내부에서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processing device 100 includes a signal transmission block 110, a signal reception block 120, a calculation block 130, and a comparison block 140. In this case, the signal transmission block 110, the signal reception block 120, the calculation block 130, and the comparison block 140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within the processing device 100, respectively, or implemented in software. May be

상기 신호 송신 블락(110), 신호 수신 블락(120), 계산 블락(130) 및 비교 블락(140)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신호 송신 블락(110), 신호 수신 블락(120), 계산 블락(130) 및 비교 블락(140)은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100) 내부의 프로세서(미도시)에서, 이하에서 설명될 각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코드들로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signal transmission block 110, the signal reception block 120, the calculation block 130, and the comparison block 140 are implemented in software, the signal transmission block 110, the signal reception block 120, and the calculation block are implemented in software. The block 130 and the comparison block 140 may be implemented in at least one codes in a processor (not shown) inside the processing device 100 to perform respective functions to be described below.

또한, 상기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핸드헬드 디바이스(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드헬드 디바이스(150)는 상기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신호 수신 블락(120)이 신호를 수신/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crown replacement timing determination system 1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handheld device 150.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handheld device 150 may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the signal, such that the signal reception block 120 receives / detects a signal. However,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신호 송신 블락(110)은 내부적으로 신호를 발생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신호 송신 블락(110)은 신호(예컨대, 고주파, 저주파, 초음파 등)를 발생하고 적어도 하나의 핸드헬드 디바이스(150)를 이용하여 치아에 상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드헬드 디바이스(150)는 치아에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예컨대, 신호를 2회 이상 전송하는 경우), 동일한 각도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핸드헬드 디바이스(150)는 고정 각도 조정 등을 통하여 신호를 전송하려는 치아에 특정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어 치아에 동일한 각도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설계에 따라서, 상기 신호 송신 블락(110)은 신호 발생을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핸드헬드 디바이스(150)에 신호 발생기가 포함되어 상기 신호가 발생될 수도 있다.The signal transmission block 110 may internally generate a signal and transmit the signal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signal transmission block 110 may generate a signal (eg, high frequency, low frequency, ultrasonic wave, etc.) and transmit the signal to a tooth using at least one handheld device 150. In this case, the handheld device 150 may be manufactured to transmit a signal at the same angle when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tooth (for example, when transmitting the signal two or more times). For example, the handheld device 150 may be manufactured to be fixed at a specific angle to a tooth to transmit a signal by adjusting a fixed angle, and may transmit the signal at the same angle to the tooth.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sign, the signal transmission block 110 may control signal generation, and a signal generator may be included in at least one handheld device 150 to generate the signal.

상기 신호 수신 블락(120)은 외부로부터의 신호(예컨대, 고주파, 저주파, 초음파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신호 송신 블락(110)에서 출력된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핸드헬드 디바이스(150)를 이용하여 치아에 전송될 때, 상기 신호는 상기 치아에 도달할 경우 반사 또는 굴절이 일어날 수 있다. 즉, 상기 치아의 내부 성분(예컨대, 밀도 등)이 달라지는 지점에서 상기 신호의 반사 또는 굴절이 일어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 수신 블락(120)은 상기 반사 또는 굴절된 신호를 상기 핸드헬드 디바이스(15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핸드헬드 디바이스(150)가 상기 치아(예컨대, 외부로 노출된 치아부분) 전체를 감싸도록 제작되어 상기 치아에 동일한 각도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핸드헬드 디바이스(150)가 상기 반사 또는 굴절된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신호 수신 블락(120)이 이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The signal reception block 120 may receive a signal from outside (eg, high frequency, low frequency, ultrasonic wave, etc.). For example, when a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block 110 is transmitted to a tooth using at least one handheld device 150, the signal may be reflected or refracted when it reaches the tooth. That is, reflection or refraction of the signal may occur at points where internal components (eg, density, etc.) of the tooth are different. In this case, the signal reception block 120 may receive the reflected or refracted signal through the handheld device 150. In this case, the handheld device 150 is manufactured to surround the entire tooth (eg, the externally exposed tooth part) to transmit a signal at the same angle to the tooth, and the handheld device 150 By detecting the reflected or refracted signal, the signal reception block 120 may recognize the signal.

상기 계산 블락(130)은 상기 신호 송신 블락(110)이 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한 시점과 상기 신호 수신 블락(120) 반사 또는 굴절을 통해 되돌아온 신호를 수신한 시점을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전송한 시점과 상기 수신한 시점간의 시간 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 The calculation block 130 may detect a time point at which the signal transmission block 110 generates and transmits a signal and a time point at which the signal reception block 120 receives a signal returned through reflection or refraction.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point and the received time point may be calculated.

예컨대, 상기 계산 블락(130)은 상기 신호 송신 블락(110)이 제1 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하고, 상기 제1 신호가 치아로부터 반사되어 나온 제1 반사 신호를 상기 신호 수신 블락(120)이 수신할 경우, 상기 제1 신호의 전송 시점과 상기 제1 반사 신호의 수신 시점의 시간 차이인 제1 시간 차이(t1)를 계산할 수 있고, 상기 신호 송신 블락(110)이 제2 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하고, 상기 제2 신호가 치아로부터 반사되어 나온 제2 반사 신호를 상기 신호 수신 블락(120)이 수신할 경우, 상기 제2 신호의 전송 시점과 상기 제2 반사 신호의 수신 시점의 시간 차이인 제2 시간 차이(t2)를 계산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alculation block 130 is the signal transmission block 110 generates and transmits a first signal, and the signal reception block 120 receives a first reflection signal from which the first signal is reflected from a tooth. In this case, a first time difference t 1 , which is a time difference between a transmission time point of the first signal and a reception time point of the first reflection signal, may be calculated, and the signal transmission block 110 generates a second signal. And when the signal reception block 120 receives the second reflected signal from which the second signal is reflected from the tooth,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second signal and the reception time of the second reflection signal. The second time difference t 2 may be calculated.

또한, 상기 계산 블락(130)은 상기 신호 송신 블락(110)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치아의 내부 성분이 달라지는 지점에서 굴절이 일어나는 경우에 상기 신호 수신 블락(120)이 인식한 굴절된 신호 감지 지점을, 예컨대, 수치화하여 계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lculation block 130 detects the refracted signal recognized by the signal reception block 120 when the signal transmission block 110 transmits a signal and refraction occurs at a point where an internal component of the tooth is changed. The point can be calculated, for example, numerically.

예컨대, 상기 계산 블락(130)은 상기 신호 송신 블락(110)이 제1 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하고, 상기 제1 신호가 치아로부터 굴절되어 나온 제1 굴절 신호를 상기 신호 수신 블락(120)이 수신할 경우, 상기 제1 굴절 신호의 수신 지점을 수치화하여 계산할 수 있고, 상기 신호 송신 블락(110)이 제2 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하고, 상기 제2 신호가 치아로부터 굴절되어 나온 제2 굴절 신호를 상기 신호 수신 블락(120)이 수신할 경우, 상기 제2 굴절 신호의 수신 지점을 수치화하여 계산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alculation block 130 may transmit the signal transmission block 110 by generating a first signal, and the signal reception block 120 receives a first refraction signal from which the first signal is refracted from a tooth. In this case, the reception point of the first refraction signal may be numerically calculated. The signal transmission block 110 generates and transmits a second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is refracted from the tooth. When the signal reception block 120 receives the signal, the reception point of the second refraction signal may be numerically calculated.

상기 비교 블락(140)은 상기 계산 블락(130)이 계산한 시간 차이들, 예컨대, 상기 제1 시간 차이(t1) 및 상기 제2 시간 차이(t2)를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시간 차이(t1) 및 제2 시간 차이(t2)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5 및 도 6에서 하기로 한다.The comparison block 140 may compare and analyze time differences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block 130, for example, the first time difference t 1 and the second time difference t 2 . In this cas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irst time difference t 1 and the second time difference t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또한, 상기 비교 블락(140)은 상기 계산 블락(130)이 계산한 상기 굴절 신호의 수신 지점 차이들, 예컨대, 상기 제1 굴절 신호의 수신 지점 및 상기 제2 굴절 신호의 수신 지점의 차이를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굴절 신호의 수신 지점 및 상기 제2 굴절 신호의 수신 지점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7 및 도 8에서 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comparison block 140 compar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eption point of the refraction signal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block 130, for examp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eption point of the first refraction signal and the reception point of the second refraction signal. Can be analyzed. In this cas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ception point of the first refraction signal and the reception point of the second refraction sig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도 5는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이 계산한 제1 시간 차이(t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이 계산한 제2 시간 차이(t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의 프로세싱 디바이스(100)는 치아 전체에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를 전송할 수 있지만, 도 5 및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특정 지점에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time difference t 1 calculated by the crown replacement point determination system 10, and FIG. 6 is a second time difference t 2 calculated by the crown replacement point determination system 10. )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ere, although the processing device 100 of the crown replacement point determination system 10 may transmit the first signal or the second signal to the entire tooth, in FIG. 5 and FIG. 6, the first signal is located at a specific poi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r as transmitting a second signal.

도 5를 참고하면, 도 5는 도 2의 치아를 크라운(500)을 이용하여 수복한 것을 나타내며, 상기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의 프로세싱 디바이스(100)가 전송한 제1 신호는 특정 라인(490)에 도달한 경우, 일부 또는 전부가 반사되어 상기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으로 되돌아 올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라인(490)은 경우에 따라, 의료진에 의하여 부여된 상기 제1 신호의 반사를 유도하기 위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FIG. 5 shows that the tooth of FIG. 2 is repaired using the crown 500, and the first signal transmitted by the processing device 100 of the crown replacement point determination system 10 is a specific line. If 490 is reached, some or all of the reflection may be reflected back to the crown replacement timing determination system 10. In this case, the specific line 490 may optionally include a component for inducing reflection of the first signal provided by a medical staff.

도 4의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의 계산 블락(130)은 상기 제1 신호의 전송 시점과 상기 제1 반사 신호의 수신 시점의 시간 차이인 제1 시간 차이(t1)를 계산할 수 있다.The calculation block 130 of the crown replacement timing determination system 10 of FIG. 4 may calculate a first time difference t 1 , which is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first signal and the reception time of the first reflection signal. .

도 6을 참고하면, 도 6은 도 5의 크라운(500)이 수복된 치아에 우식(600)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우식(600)은 크라운(500)이 수복된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일정 시간은 환자 개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FIG. 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caries 600 are generated in the tooth in which the crown 500 of FIG. 5 is repaired. The caries 600 may occur after a certain time since the crown 500 is repaired, and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different for each patient.

상기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의 프로세싱 디바이스(100)가 전송한 제2 신호는 우식(600)이 발생한 지점에 도달한 경우, 일부 또는 전부가 반사되어 상기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으로 되돌아 올 수 있다. 이때, 상기 우식(600)이 발생한 지점은 도 5에 도시된 특정 라인(490)의 깊이보다 더 깊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signal transmitted by the processing device 100 of the crown replacement point determination system 10 reaches the point where the caries 600 occurs, part or all of the second signal is reflected to the crown replacement point determination system 10. You can come back. In this case, the point where the caries 600 occurs may be located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specific line 490 shown in FIG.

도 4의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의 계산 블락(130)은 상기 제2 신호의 전송 시점과 상기 제2 반사 신호의 수신 시점의 시간 차이인 제2 시간 차이(t2)를 계산할 수 있으며, 상기 우식(600)이 발생한 지점이 도 5에 도시된 특정 라인(490)의 깊이보다 더 깊은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제2 시간 차이(t2)는 상기 제1 시간 차이(t1)보다 클 수 있다. The calculation block 130 of the crown replacement timing determination system 10 of FIG. 4 may calculate a second time difference t 2 , which is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second signal and the reception time of the second reflected signal. The second time difference t 2 is greater than the first time difference t 1 because the location where the caries 600 occurs is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specific line 490 shown in FIG. 5. Can be large.

도 5 및 도 6에서는 상기 제1 반사 신호 및 제2 반사 신호에 대한 수신 시간 차이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상기 제1 굴절 신호 및 제2 굴절 신호에 대한 수신 시간 차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5 and 6 illustrate only the difference in reception time for the first reflected signal and the second reflected signal,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refractive signal and the second refractive signal are not limited thereto.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reception time difference with respect to.

도 7은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이 계산한 제1 굴절 신호의 수신 지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이 계산한 제2 굴절 신호의 수신 지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의 프로세싱 디바이스(100)는 치아 전체에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를 전송할 수 있지만, 도 7 및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특정 지점에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ception point of the first refraction signal calculated by the crown replacement point determination system 10, and FIG. 8 illustrates a reception point of the second refraction signal calculated by the crown replacement point determination system 10.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Here, the processing device 100 of the crown replacement point determination system 10 may transmit the first signal or the second signal to the entire tooth, but in FIG. 7 and FIG. 8, the first signal is located at a specific poi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r as transmitting a second signal.

도 7을 참고하면, 도 7은 도 2의 치아를 크라운(500)을 이용하여 수복한 것을 나타내며, 상기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이 전송한 제1 신호는 치아 내부의 성분(예컨대, 밀도 등)이 다른 지점을 통과하는 경우에 굴절이 일어날 수 있으며, 상기 핸드헬드 디바이스(150)는 이를 특정 수신 지점(P1)에서 감지하여 상기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의 신호 수신 블락(120)이 이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라인(490)은 경우에 따라, 의료진에 의하여 부여된 상기 제1 신호의 굴절을 유도하기 위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FIG. 7 illustrates that the tooth of FIG. 2 is repaired using the crown 500, and the first signal transmitted by the crown replacement timing determination system 10 is a component (eg, density) inside the tooth. Refraction may occur when passing through another point, and the handheld device 150 detects this at a specific reception point P1 to detect the signal of the crown replacement timing determining system 10. This can be recognized. In this case, the specific line 490 may optionally include a component for inducing refraction of the first signal provided by a medical staff.

도 4의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의 계산 블락(130)은 상기 특정 수신 지점(P1)을 수치화하여 계산할 수 있다.The calculation block 130 of the crown replacement point determination system 10 of FIG. 4 may calculate the specific reception point P1 by numerically calculating it.

도 8을 참고하면, 도 8은 도 5의 크라운(500)이 수복된 치아에 우식(600)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우식(600)은 크라운(500)이 수복된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일정 시간은 환자 개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FIG. 8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caries 600 are generated in the tooth in which the crown 500 of FIG. 5 is repaired. The caries 600 may occur after a certain time since the crown 500 is repaired, and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different for each patient.

상기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의 프로세싱 디바이스(100)가 전송한 제2 신호는 치아 내부의 성분(예컨대, 밀도 등)이 다른 지점을 통과하는 경우에 굴절이 일어날 수 있으며, 상기 핸드헬드 디바이스(150)는 이를 특정 수신 지점(P2)에서 감지하여 상기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의 신호 수신 블락(120)이 이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8은 상기 치아 내부에서 우식(600)이 발생하여 제2 신호가 굴절되어 상기 핸드헬드 디바이스(150)에 도달한 특정 수신 지점(P2)은 도 7의 특정 수신 지점(P1)과 다른 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The second signal transmitted by the processing device 100 of the crown replacement point determination system 10 may be refracted when a component (eg, density, etc.) inside the tooth passes through another point, and the handheld device 150 may detect this at a specific reception point P2 so that the signal reception block 120 of the crown replacement point determination system 10 may recognize it. In this case, FIG. 8 illustrates that the specific receiving point P2 where the caries 600 is generated inside the tooth and the second signal is refracted to reach the handheld device 150 is different from the specific receiving point P1 of FIG. 7. May correspond to a location.

또한, 우식(600)의 발생 정도에 따라(예컨대, 우식이 크게 또는 작게 발생하는 경우에 따라), 상기 제2 신호가 굴절된 신호는 상기 핸드헬드 디바이스(150)가 감지할 수 없는 지점(P3)으로 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degree of caries 600 (eg, when caries is large or small), the signal in which the second signal is refracted may not be detected by the handheld device 150 (P3). ) Can be reached.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100)는 데이터 베이스(200) 및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계산 블락(130)이 검출/계산한 상기 제1 신호의 전송 시점, 상기 제1 반사/굴절 신호의 수신 시점, 제1 시간 차이(t1), 제2 신호의 전송 시점, 상기 제2 반사/굴절 신호의 수신 시점, 제2 시간 차이(t2), 제1 신호의 굴절 수신 지점 및/또는 제2 신호의 굴절 수신 지점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치로 외부에 출력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컬러로 외부에 출력할 수도 있다.Referring back to FIG. 4, the processing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database 200 and the display apparatus 300. In this case, when the calculation block 130 detects / calculates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first signal, the reception time of the first reflection / refraction signal, the first time difference t 1 ,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second signal, and the first The reception time of the second reflection / refraction signal, the second time difference t 2 , the refraction reception point of the first signal, and / or the refraction reception point of the second signal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200. It may be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device 300. The display apparatus 300 may output data stored in the database 200 to the outside in numerical values, or may be output to the outside in different colors.

또한, 상기 비교 블락(140)에 의하여 비교 분석된 제1 시간 차이(t1), 제2 시간 차이(t2), 및 제1 굴절 신호의 수신 지점과 제2 굴절 신호의 수신 지점의 차이의 비교 분석 결과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ime difference t 1 , the second time difference t 2 ,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eption point of the first refraction signal and the reception point of the second refraction signal analyzed by the comparison block 140 are compared.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200 or may be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apparatus 30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의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rown replacement timing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wn replacement timing determination method of FIG. 9 may be performed by the crown replacement timing determination system 10 shown in FIG. 4.

도 4 및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의 신호 송신 블락(110)은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치아에 전송한다(S110). 이때, 상기 신호 송신 블락(110)을 통하여 전송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는 고주파, 저주파 및 초음파 등을 포함한다.4 and 9, the signal transmission block 110 of the crown replacement time determination system 10 transmits at least one signal to the tooth (S110).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 block 110 includes high frequency, low frequency, and ultrasonic waves.

치아는 상기 신호 송신 블락(110)으로부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반사할 수 있으며, 상기 치아의 성분에 따라 내부 또는 외부의 특정 부분에서 반사가 일어날 수 있다. 예컨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는 특정 라인(490)에서 반사가 일어날 수 있다.The tooth may reflect at least on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block 110, and reflection may occur at a specific part of the inside or the outside depending on the component of the tooth.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the at least one signal may be reflected at a particular line 490.

상기 신호 수신 블락(120)은 치아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수신/검출하고(S120), 상기 계산 블락(130)은 상기 신호 송신 블락(110)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전송한 시점과 상기 신호 수신 블락(120)이 신호를 수신한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시점들 간의 시간 차이를 계산한다(S130).The signal reception block 120 receives / detects the signal reflected from the tooth (S120), and the calculation block 130 receives the signal when the signal transmission block 110 transmits the at least one signal and the signal reception. The block 120 detects a time point at which the signal is received and calculates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points (S130).

상기 계산 블락(130)은 상기 계산된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반사 지점을 검출한다(S140). 예컨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계산 블락(130)은 상기 계산된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반사 지점에 해당하는 특정 라인(490)의 깊이를 계산할 수 있다.The calculation block 130 detects the reflection point using the calculated time difference (S140).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the calculation block 130 may calculate the depth of a specific line 490 corresponding to a reflection point by using the calculated time difference.

특정 기간 이후에 S110 내지 S140을 다시 수행하여 시간 차이 및 반사 지점을 다시 계산한다(S150). 예컨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계산 블락(130)은 상기 계산된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반사 지점에 해당하는 우식(600)의 발생으로 인해 변화된 깊이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S140을 통해 얻은 시간 차이 및 반사 지점이 제1 시간 차이 및 제1 반사 지점에 해당할 경우, S150을 통해 얻은 시간 차이 및 반사 지점은 제2 시간 차이 및 제2 반사 지점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기간은 의료진에 의하여 치아마다 달리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일괄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구치 및 전치의 임상적 평균 기간보다 짧은 1년 또는 2년 등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After a specific period of time S110 to S140 is performed again to recalculate the time difference and the reflection point (S150).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6, the calculation block 130 may calculate the changed depth due to the generation of the caries 600 corresponding to the reflection points using the calculated time difference. In this case, when the time difference and the reflection point obtained through S140 correspond to the first time difference and the first reflection point, the time difference and the reflection point obtained through S150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time difference and the second reflection point. . In addition, the specific period may be preset differently for each tooth by a medical staff, or may be set collectively. For example, it may be preset to one year or two years, etc., which is shorter than the clinical mean period of the posterior and anterior teeth.

비교 블락(140)은 S140에서 얻은 시간 차이 및 반사 지점과, S150에서 얻은 시간 차이 및 반사 지점을 비교 분석하고, 크라운을 교체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60). 예컨대, 상기 제2 시간 차이가 제1 시간 차이보다 미리 정해진 오차 범위 이상으로 크고, 이로써 상기 제2 반사 지점의 깊이가 상기 제1 반사 지점의 깊이보다 깊게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비교 블락(140)은 크라운을 교체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mparison block 140 may compare and analyze the time difference and reflection point obtained in S140 with the time difference and reflection point obtained in S150, and determine whether to replace the crown (S160).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time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error range than the first time difference, and thus the depth of the second reflection point is changed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first reflection point, the comparison block 140 ) May be determined to have replaced the crow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의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crown replacement ti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wn replacement timing determination method of FIG. 10 may be performed by the crown replacement timing determination system 10 shown in FIG. 4.

도 4 및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10)의 신호 송신 블락(110)은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치아에 전송한다(S210). 이때, 상기 신호 송신 블락(110)을 통하여 전송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는 고주파, 저주파 및 초음파 등을 포함한다.4 and 10, the signal transmission block 110 of the crown replacement time determination system 10 transmits at least one signal to the tooth (S210).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 block 110 includes high frequency, low frequency, and ultrasonic waves.

치아에서는 상기 신호 송신 블락(110)으로부터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굴절될 수 있으며, 상기 치아의 성분에 따라 내부 또는 외부의 특정 부분에서 굴절이 일어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는 특정 지점(예컨대, 밀도가 달라지는 지점 등)에서 굴절이 일어날 수 있다.At the tooth, at least on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block 110 may be refracted, and refraction may occur at a specific part of the inside or the outside depending on the component of the tooth. For example, the at least one signal may be refracted at a particular point (eg, at a point where the density varies).

상기 신호 수신 블락(120)은 핸드헬드 디바이스(150)를 통해 치아로부터 굴절된 신호를 수신/검출하고(S220), 상기 계산 블락(130)은 상기 신호 송신 블락(110)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전송한 시점과 상기 신호 수신 블락(120)이 신호를 수신한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시점들 간의 시간 차이를 계산한다(S230).The signal reception block 120 receives / detects a signal refracted from a tooth through the handheld device 150 (S220), and the calculation block 130 determines that the signal transmission block 110 has the at least one signal. The time point at which the signal is transmitted and the time point at which the signal reception block 120 receives the signal are detected, and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points is calculated (S230).

특정 기간 이후에 S210 내지 S230을 다시 수행하여 시간 차이를 다시 계산한다(S250). 예컨대, S230을 통해 얻은 시간 차이가 제1 시간 차이에 해당할 경우, S120을 통해 얻은 시간 차이는 제2 시간 차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기간은 의료진에 의하여 치아마다 달리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일괄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구치 및 전치의 임상적 평균 기간보다 짧은 1년 또는 2년 등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After a specific period, S210 to S230 are performed again to recalculate the time difference (S250). For example, when the time difference obtained through S230 corresponds to the first time difference, the time difference obtained through S120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time difference. In addition, the specific period may be preset differently for each tooth by a medical staff, or may be set collectively. For example, it may be preset to one year or two years, etc., which is shorter than the clinical mean period of the posterior and anterior teeth.

상기 S220 이후에 상기 S230, S250이 수행될 수도 있지만, 아래와 같은 스텝이 수행될 수도 있다.After S220, S230 and S250 may be performed, but the following steps may be performed.

계산 블락(130)은 상기 핸드헬드 디바이스(150)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굴절 신호인 제1 굴절 신호의 수신 지점을 계산한다(S240). 예컨대, 상기 제1 굴절 신호의 수신 지점은 도 7의 특정 수신 지점(P1)에 해당할 수 있다.The calculation block 130 calculates a reception point of the first refraction signal that is the refraction signal of the at least one signal using the handheld device 150 (S240). For example, the reception point of the first refraction signal may correspond to the specific reception point P1 of FIG. 7.

S210, S220, S240을 특정 기간 이후에 다시 수행하고, 다시 수행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굴절 신호인 제2 굴절 신호의 수신 지점을 계산한다(S260). 예컨대, 상기 제2 굴절 신호의 수신 지점은 도 8의 특정 수신 지점(P2)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굴절 신호의 수신 지점이 도 8의 특정 수신 지점(P3)과 같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신호 수신 블락(120)은 제2 굴절 신호를 인식할 수 없다.S210, S220, and S240 are performed again after a specific period of time, and a reception point of the second refraction signal, which is the refraction signal of the at least one signal, is performed again (S260). For example, the reception point of the second refracted signal may correspond to a specific reception point P2 of FIG. 8, and the reception point of the second refracted signal may be the same as the specific reception point P3 of FIG. 8. In this case, the signal reception block 120 cannot recognize the second refraction signal.

비교 블락(140)은 S230에서 얻은 결과와 S250에서 얻은 결과를 비교 분석 또는 S240에서 얻은 결과와 S260에서 얻은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크라운을 교체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70). 예컨대, 상기 제2 시간 차이가 제1 시간 차이보다 미리 정해진 오차 범위 이상으로 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비교 블락(140)은 크라운을 교체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수신 지점(P1)과 특정 수신 지점(P2)간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오차 범위 이상으로 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비교 블락(140)은 크라운을 교체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굴절 신호의 수신 지점이 도 8의 특정 수신 지점(P3)과 같을 경우, 상기 비교 블락(140)은 크라운을 교체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mparison block 140 may compare the result obtained in S230 with the result obtained in S250 or compare the result obtained in S240 with the result obtained in S260 to determine whether to replace the crown (S270).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time difference is larger than the first time difference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the comparison block 140 may determine that the crown needs to be replaced.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specific reception point P1 and the specific reception point P2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the comparison block 140 may determine that the crown needs to be replaced. When the reception point of the second refraction signal is the same as the specific reception point P3 of FIG. 8, the comparison block 140 may determine that the crown needs to be replaced.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객체 정보 추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다.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
100: 프로세싱 디바이스
110: 신호 송신 블락
120: 신호 수신 블락
130: 계산 블락
140: 비교 블락
150: 핸드헬드 디바이스
200: 데이터 베이스
300: 디스플레이 장치
10: Crown replacement point determination system
100: processing device
110: signal transmission block
120: signal reception block
130: Calculation Block
140: comparison block
150: handheld device
200: database
300: display device

Claims (9)

(a)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치아에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치아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반사 또는 굴절되는 단계;
(c) 상기 반사 또는 굴절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전송된 전송 시점과 상기 반사 또는 굴절된 신호의 수신된 수신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전송 시점 및 상기 수신 시점 간의 시간 차이인 제1 시간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e) 특정 기간 이후에, 상기 (a) 단계 내지 (d) 단계를 다시 수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전송 시점 및 상기 수신 시점 간의 시간 차이인 제2 시간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1 시간 차이 및 상기 제2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치아에 수복된 크라운을 교체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방법.
(a) transmitting at least one signal to the tooth;
(b) all or part of the transmitted at least one signal is reflected or refracted from inside or outside of the tooth;
(c) receiving the reflected or refracted signal;
(d) detecting a transmission time point at which the at least one signal is transmitted and a received reception time point of the reflected or refracted signal, and calculating a first time difference that is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ssion time point and the reception time point;
(e) after a specific period of time, performing steps (a) to (d) again to calculate a second time difference, which is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ssion time point and the reception time point of the at least one signal; And
(f) determining whether to replace the crown restored to the tooth using the first time difference and the second time differe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제2 시간 차이가 상기 제1 시간 차이보다 미리 정해진 오차 범위보다 클 경우, 상기 치아에 수복된 크라운을 교체하도록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f)
And determining to replace the crown that has been repaired on the tooth if the second time differenc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than the first time differe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제2 시간 차이가 상기 제1 시간 차이보다 미리 정해진 오차 범위보다 크지 않을 경우, 상기 치아에 수복된 크라운을 교체하지 않도록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f)
And determining that the crown restored to the tooth is not replaced when the second time difference is not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than the first time difference.
(a)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치아에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치아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굴절되는 단계;
(c) 상기 굴절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굴절된 신호가 수신된 제1 수신 지점을 검출하여 계산하는 단계;
(e) 특정 기간 이후에, 상기 (a) 단계 내지 (d) 단계를 다시 수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제2 수신 지점을 검출하여 계산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1 수신 지점 및 상기 제2 수신 지점을 이용하여 치아에 수복된 크라운을 교체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방법.
(a) transmitting at least one signal to the tooth;
(b) all or part of the transmitted at least one signal is refracted from inside or outside of the tooth;
(c) receiving the refracted signal;
(d) detecting and calculating a first receiving point at which the refracted signal is received;
(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performing steps (a) to (d) again to detect and calculate a second reception point of the at least one signal; And
(f) determining whether to replace the crown that has been repaired on the tooth by using the first receiving point and the second receiving poi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제2 수신 지점이 상기 제1 수신 지점에 비해 미리 정해진 오차 범위보다 클 경우, 상기 치아에 수복된 크라운을 교체하도록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step (f)
And determining to replace the crown restored to the tooth when the second receiving point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compared to the first receiving poi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제2 수신 지점이 상기 제1 수신 지점에 비해 미리 정해진 오차 범위보다 크지 않을 경우, 상기 치아에 수복된 크라운을 교체하지 않도록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step (f)
And determining not to replace the crown restored to the tooth when the second receiving point is not larger tha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compared to the first receiving point.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치아에 전송하기 위한 신호 송신 블락;
상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치아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반사 또는 굴절되면 상기 반사 또는 굴절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 블락;
상기 신호 송신 블락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전송된 전송 시점 과 상기 반사 또는 굴절된 신호가 상기 신호 수신 블락에 수신된 수신 시점 또는 수신 지점을 검출하여 상기 전송 시점 및 상기 수신 시점 간의 시간 차이인 시간 차이 또는 상기 수신 지점을 계산하기 위한 계산 블락; 및
상기 계산 블락이 상기 시간 차이를 2회 이상 계산하거나, 상기 수신 지점을 2회 이상 계산하여, 2회 이상 계산된 시간 차이들 또는 2회 이상 계산된 수신 지점들을 이용하여 치아에 수복된 크라운을 교체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비교 블락을 포함하는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
A signal transmission block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signal to the tooth;
A signal receiving block for receiving the reflected or refracted signal when all or part of the transmitted at least one signal is reflected or refracted from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tooth;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ssion time point and the reception time point by detecting a transmission time point at which the at least on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block and a reception time point or reception point at which the reflected or refracted signal is received at the signal reception block; A calculation block for calculating a difference or the reception point; And
Whether the calculation block calculates the time difference two or more times, or calculates the receiving point two or more times, to replace the repaired crown on the teeth using time differences calculated two or more times or receiving points calculated two or more times. Crown replacement timing determination system comprising a comparison block to determine wheth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은
상기 계산 블락에 의하여 계산된 시간 차이들 및 상기 수신 지점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는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
The system of claim 7, wherein the crown replacement timing determination system is
A database for storing data including time differences and the reception points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block; And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블락은
상기 2회 이상 계산된 시간 차이들을 서로 비교하거나, 상기 2회 이상 계산된 수신 지점들을 서로 비교한 결과, 그 차이가 미리 정해진 오차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치아에 수복된 크라운을 교체하도록 판단하는 크라운 교체 시점 판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mparison block i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ime differences calculated two or more times with each other or comparing the reception points calculated two or more times with each oth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fference falls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and thus, the crown that has been repaired on the tooth is replaced. Crown replacement point determination system.
KR1020110008355A 2011-01-27 2011-01-27 System for detecting change-time of dental crown and method there-of KR1012217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355A KR101221790B1 (en) 2011-01-27 2011-01-27 System for detecting change-time of dental crow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355A KR101221790B1 (en) 2011-01-27 2011-01-27 System for detecting change-time of dental crown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967A KR20120086967A (en) 2012-08-06
KR101221790B1 true KR101221790B1 (en) 2013-01-11

Family

ID=46872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355A KR101221790B1 (en) 2011-01-27 2011-01-27 System for detecting change-time of dental crown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79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9054B2 (en) 2000-07-18 2003-07-08 Daniel A. Tingley Inspection of teeth using stress wave time non-destructive methods
JP2005110828A (en) 2003-10-06 2005-04-28 Omega Wave Kk Dental diagnostic device
US20070184402A1 (en) 2006-01-03 2007-08-09 Dmitri Boutoussov Caries detection using real-time imaging and multiple excitation frequencies
KR20080007342A (en) * 2005-03-31 2008-01-18 페리오-이미징 인코포레이티드 Ultrasonic periodontal device, system and method of us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9054B2 (en) 2000-07-18 2003-07-08 Daniel A. Tingley Inspection of teeth using stress wave time non-destructive methods
JP2005110828A (en) 2003-10-06 2005-04-28 Omega Wave Kk Dental diagnostic device
KR20080007342A (en) * 2005-03-31 2008-01-18 페리오-이미징 인코포레이티드 Ultrasonic periodontal device, system and method of using
US20070184402A1 (en) 2006-01-03 2007-08-09 Dmitri Boutoussov Caries detection using real-time imaging and multiple excitation frequenc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967A (en) 2012-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3998B2 (en) Dental preparation guide
USRE49008E1 (en) Method of composing and designing a set of teeth
RU2605515C2 (en) Method of three-dimensional design of treatment of tooth root canal, device for three-dimensional design of treatment of tooth root canal and computer
EP166241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eedback data useful in prosthodontic procedures associated with the intra oral cavity
US20180206950A1 (en) Dental implant prosthesis using digital libra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im et al. The effect of scanning distance on the accuracy of intra‐oral scanners used in dentistry
US11576758B2 (en) Simulation method and system for an optimized implant site
WO2016066552A1 (en) Method,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creating a digital design for use in manufacturing a molding-shell for a dental restoration
US202401153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ptimal dental implants coupleable with an optimized implant site
CA31849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ntal crown restorations using prefabricated sleeve-crown pairs
WO2013053903A1 (en) Method of globally designing a set of teeth
KR101221790B1 (en) System for detecting change-time of dental crown and method there-of
Lee et al. Predicting first molar width using virtual models of dental arches
RU2722739C1 (en) Diagnostic technique for current dental health
Kim et al. Evaluations of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s made on white light scanner-based dental digital models
맹지연 Accuracy of two different intraoral scanners in single-tooth abutment: In Vitro Two-Dimensional Analysis
JP2023166945A (en) Production method of hardly dislodging dental prosthesis
Lee et al. The Implant Restoration in a Maxillary Anterior Six-unit Fixed Partial Denture-A Case Report
Chen et al. Effectiveness of surface texture simulation of fixed dental prostheses by curvature analysis.
CN115954088A (en) Method for obtaining root shield dental implant optimal model based on reverse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KR20210133177A (en) Method for providing dental abutment
DK2536347T3 (en) PROCEDURE FOR COMPOSITION AND DESIGN OF A DENTAL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