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933B1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933B1
KR101218933B1 KR1020050131975A KR20050131975A KR101218933B1 KR 101218933 B1 KR101218933 B1 KR 101218933B1 KR 1020050131975 A KR1020050131975 A KR 1020050131975A KR 20050131975 A KR20050131975 A KR 20050131975A KR 101218933 B1 KR101218933 B1 KR 101218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digital multimedia
multimedia service
signal
rela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1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9636A (ko
Inventor
김태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1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933B1/ko
Publication of KR20070069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9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는 외장 안테나와, 상기 외장 안테나와 결합된 경우 상기 외장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외장 안테나와 분리된 경우 내장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를 출력하는 안테나 커넥터와, 상기 안테나 커넥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신호 및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 중 하나를 처리하는 무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장 안테나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의 공진 주파수를 맞추기 위한 안테나 패턴을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50131975
안테나, 갭 필러, 커넥터,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DIGITAL MULTIMEDIA RECEIVER}
도 1은 일반적인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망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이동 단말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내부 구성도.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제공되는 이동 단말의 실장 면적을 최적화할 수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은 개인이 휴대하여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통신 기기로 이용되었으나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근래에는 음성 통화는 물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정보 단말기로의 이용이 중요 시 되고 있다. 정보 단말기로서 상기 이동 단말은 휴대 전화, WAP(Work Analysis Program)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웹 패드(Web Pad) 등이 있으며, 개인 서비스에 중점을 두고 이동성을 확장하여 이용자 수는 더욱 증가되고 있는 추 세이다.
한편, 멀티미디어 기술의 확산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을 사용하여 음성의 통화뿐만 아니라 고화질의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부가 서비스도 진행 중이다. 즉 이동 단말의 사용에 가장 중요한 통화의 성공, 통화 품질이외에 이동 단말 사업자가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인 영화, 드라마, 뉴스, 스포츠, 주식, 날씨 등의 동영상 정보를 방송을 통해 수신하는 방송 서비스가 최근 주목받고 있다.
상기 방송 서비스 중에서 특히 디지털 방송은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을 대체하여 고화질과 CD 수준의 고음질의 향상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은 고화질, 고음질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압축률이 높은 엠펙-2(Motion Picture Experts Group-2 : MPEG-2)로 압축되어 방송 트래픽이 전송되는 방식과 엠펙-4(MPEG-4)로 압축되어 방송 트래픽이 전송되는 방식 등이 있다. 상기한 2가지 방식은 모두 매우 높은 압축률을 가지고 방송 서비스 트래픽을 압축하여 전송한다.
이와 같이 디지털 방송에서 압축률이 높은 방식을 사용하는 이유는 디지털 방송에서의 데이터 정보량이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로 DMB 서비스가 있다.
상기 DMB 서비스는 오디오, 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의 방송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 방송의 경우 '듣는 방송'의 개념을 확장하여 '보고 듣는 방송'으로 라디오 방송의 개념을 확장시키며 음악 방 송 외에도 교통정보와 뉴스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문자, 그래픽, 동영상 등으로 전송 가능하다. 그리고 동영상 방송의 경우 지상파방송, 위성방송, 케이블 TV와 같은 기존 디지털 방송망과의 연동이 가능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하고, ITS, GPS 등과 연동하여 텔레메틱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DMB 서비스는 고정 단말은 물론 핸드폰, PDA, 차량용 단말기 등의 이동 단말을 통해 이동 중에도 콤팩트디스크(CD)·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급의 고음질, 고화질 방송을 제공하여 향후 그 이용이 대폭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 DMB 방송 서비스는 지상파 DMB 서비스와 위성 DMB 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상파 DMB 서비스는 지상의 중계기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식을 말한다. 상기 위성 DMB 서비스는 지상의 중계기 또는 인공위성을 중계기로 사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식을 말한다.
이하, 상기 위성 DMB 서비스와 지상파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시스템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일반적인 위성 DMB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지상의 위성 DMB 방송 센터(100)에서 위성으로 방송 신호를 Ku-밴드 대역(12GHz~13GHz)를 통해 시분할 다중화 방식(Time Division Multiplex : TDM)(102) 또는 코드분할 다중화 방식(Code Division Multiplex : CDM)(104)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DMB 위성(106)이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102, 104)를 다시 지상의 이동 단말들(116)이나 지상 중계기에 해당하는 갭 필러(Gap Filler) 중계기(108)로 전송한다.
상기 DMB 위성(106)은 위성 DMB 방송 센터(100)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S-밴드 대역(2~3GHz)의 CDM 신호(112) 또는 Ku-밴드의 TDM 신호(110)로 변환하여 이동 단말들(116)이나 지상 중계기에 해당하는 갭 필러(Gap Filler) 중계기(108)로 송신한다. 상기 DMB 위성(106)이 상기 갭 필러 중계기(108)로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이유는 상기 DMB 위성(106)이 송출하는 방송 신호를 지하와 같은 음영 지역까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갭 필러 중계기(108)는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S-밴드로 변환하여 음영 지역에 있는 단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2는 종래의 이동 단말의 내부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이동 단말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에 통신 기능 외에 위성 DMB 기능을 추가시키는 경우, 2 개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통신용으로 하나의 안테나가 사용되고, 추가적으로 위성 DMB가 다이버시티(diversity) 구조를 지니기 때문에 위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이외에 갭 필러 중계기(108)로부터 갭 필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2 개의 안테나를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개의 안테나를 통신용 안테나와 위성 DMB용 안테나 기능을 듀얼 모드(dual mode) 형태로 구현한 통신/위성 DMB 듀얼 안테나(211)와 갭 필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1 개의 칩 안테나(201)만 추가시키는 방법이 있다. 결과적으로 2개 이상의 안테나를 가지게 된다. 또한, 위성 DMB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의 경우 위성 신호를 직접 수신하기 위해서 반드시 외장용 위성 안테나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이동 단말 보드(board) 상에 외장형 위성 안테나 커넥터 (203)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은 갭 필러 중계기(108)로부터 수신되는 갭 필러 신호세기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DMB 위성으로부터 직접 송신되는 방송용 위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탈착이 가능한 외장 안테나(도면에 기재하지 않음)를 상기 외장형 위성 안테나 커넥터(203)와 연결하여 장착해야 한다.
상기 외장형 위성 안테나 커넥터(203)는 상기 칩 안테나(201)와 RF 부(209)를 연결한다.
상기 외장형 위성 안테나 커넥터(203)는 외장형 안테나와 RF 부(209)가 연결되는 수신 경로와 칩 안테나(201)와 RF 부(209)가 연결되는 수신 경로를 스위칭한다. 다시 말해서, 외장형 위성 안테나 커넥터(203)는 외장형 안테나와 분리된 상태에서는 칩 안테나(201)를 RF 부(209)로 연결하고, 외장형 안테나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외장형 안테나를 RF 부(209)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신/위성 DMB 듀얼 안테나(211)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지상의 갭 필러 신호를 수신하는 듀얼 밴드 안테나로서, RF 부(209)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칩 안테나(201)는 상기 갭 필러 중계기(108)로부터 갭 필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내장 안테나로서, 갭 필러 신호 수신시 상기 칩 안테나(201)와 상기 통신/위성 DMB 듀얼 안테나(211)는 다중 경로 페이딩 환경에서 이동 단말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는 다이버시티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성 DMB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은 두 개의 이상의 안테나를 모두 내장하고, 이를 연결한 외장용 위성 안테나 커넥터까지 포함시키게 되면 실장 면적이 큰 부품들이 추가적으로 필요함에 따라 이동 단말의 크기가 커지고 안테나 성능도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의 실장 면적을 최적화할 수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의 실정 면적을 최적화함으로써 비용 및 공간 활용도를 최대화할 수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는 외장 안테나와, 상기 외장 안테나와 결합된 경우 상기 외장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외장 안테나와 분리된 경우 내장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를 출력하는 안테나 커넥터와, 상기 안테나 커넥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신호 및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 중 하나를 처리하는 무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장 안테나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의 공진 주파수를 맞추기 위한 안테나 패턴을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안테나 커넥터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는 외장 안테나와 결합된 경우 상기 외장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안테나 커넥터가 상기 외장 안테나와 분리된 경우 내장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안테나 커넥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신호 및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 중 하나를 무선부에서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내장 안테나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의 공진 주파수를 맞추기 위한 안테나 패턴을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 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이동 단말은 위성 DMB 신호 중계기인 갭 필러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갭 필러 전용 안테나를 구현할 경우, 종래의 칩 안테나를 제거하고, 외장형 위성 안테나 커넥터(303)를 인테나(Intenna) 형태로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안테나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전파를 수신하고, 내부의 다른 장치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장치이다. 이동 단말의 안테나는 단말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휴대시 불편함이 있고,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동 단말 본체에 내부에 안테나가 내장되는 인테나 형태로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해서, 본 발명에서의 외장형 위성 안테나 커넥터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인테나 형태로 구현한다. 이는 칩 안테나 기능을 외장형 위성 안테나 커넥터(303)에 포함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외장형 위성 안테나 커넥터(303)는 메탈 부분(315)과 플라스틱 부분(321)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장형 위성 안테나 커넥터(303)의 메탈 부분(315)은 수신되는 RF 신호의 공진 주파수를 맞추기 위한 패턴닝을 수행한다. 즉, 인테나 패턴(315)을 구성한다.
상기 외장형 위성 안테나 커넥터(303)의 플라스틱 부분(321)은 상기 메탈 부부분(315)을 고정시키고, 접지 메탈과 상기 메탈 부분(315)을 분리한다.
갭 필러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외장형 위성 안테나 커넥터(303)는 메탈 부분(315)을 통해 신호핀(317)으로 전송된다. 상기 메탈 부분을 통해서 공진 주파수로 맞춰진 후, 상기 신호핀(317)로 전송된다. 이후, 신호핀(319)을 통해서 RF 부(309)로 전송한다. 이때, 신호핀(317)과 신호핀(319)을 연결하는 부분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장형 위성 안테나 커넥터(303) 내부에 신호핀(317)과 신호핀(319)을 연결하고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 외장형 위성 안테나 커넥터(303)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상기 RF 부(309)로 입력된다. 상기 RF부(309)는 무선망으로 송신되는 신호를 주파수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도면에 기재하지 않음),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도면에 기재하지 않음)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경로를 통해 갭 필러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RF부(309)는 상기 외장형 위성 안테나 커낵터(303)로부터의 수신 신호는 제 1도선(L1)을 통해 베이스밴드 처리부(Baseband Module)(313)의 제 1입력단(RF1)으로 입력되고, 통신/위성 DMB 듀얼 안테나(311)로부터의 수신 신호는 제 2도선(L2)을 통해 베이스밴드 처리부(313)의 제 2입력단(RF2)으로 입력된다.
상기 인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외장형 안테나 커넥터(303)는 위성 DMB의 주파수 대역이 2.6425GHz ± 12.5MHz로 충분히 높기 때문에 길이가 짧아져도 RF 신호를 수신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 따라서, 외장형 위성 안테나 커넥터(303) 크기만으로도 모노폴 타입(type)이나 PIFA(Planar Inverted-F Antenna) 타입의 인테나를 충분히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외장형 안테나 커넥터(303)는 인테나의 정합특성 및 이득을 개선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도 금속 패턴의 길이 및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칩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 보다 정합 튜닝 과정이 간단하고 짧아질 수 있다. 안테나의 피딩 포인트(feeding point)는 외장형 위성 안테나 커넥터(303)의 신호핀(317)과 연결되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구현될 필요가 없다. 또한 칩 안테나의 경우에 발생되는 SMD(Surface Mounted Devices) 과정의 냉납현상 등의 문제들도 고민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정단계도 현재보다 간소화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외장형 위성 안테나 구조는 기본적으로 인테나 타입과 동일하다. 다만, 종래에 필요하던 캐리어 대신에 도 3과 같이 외장형 위성 안테나 RF 커넥터 구조를 이용하는 것이다.
위성 DMB 단말기는 특성상 위성으로부터 내려오는 신호를 직접 수신하기 위해서 반드시 외장형 위성 안테나 커넥터가 필요하다. 또한, 외장 위성 안테나 커넥터는 기구 결합상의 이유 때문에 반드시 기구의 외곽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점은 단말기 구현시 안테나를 구조적으로나 성능상으로 다른 기구적인 간섭을 배제시키기 위해서 가장 외곽에 위치시킨다는 인테나 실장 방법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제안한 안테나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장점으로 작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 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같이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 반드시 요구되는 안테나 실장공간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성능 측면을 개선시킬 목적으로 인테나 형태로 구현하는 경우에도 인테나 패턴을 지탱하기 위해서 캐리어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것이 차지하는 공간면적 등의 구조적인 문제도 동시에 해결 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 내부에 위성 DMB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외장형 위성 안테나 커넥터를 이용하여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하였다. 본 발명으로 기존 단말기가 가지는 안테나 이외에 추가로 장착되는 위성 DMB 신호 수신용 안테나의 공간적 손실을 제거하고 단말 기구의 유연성을 확보함으로써 단말기 개발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것으로 이동 단말 구현시 발생될 수 있는 공간부족 현상을 일정 부분 해소 및 공간 배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비용 및 공간 활용도를 최대화할 수 있다.

Claims (6)

  1.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는 외장 안테나와,
    상기 외장 안테나와 결합된 경우 상기 외장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외장 안테나와 분리된 경우 내장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를 출력하는 안테나 커넥터와,
    상기 안테나 커넥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신호 및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 중 하나를 처리하는 무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장 안테나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의 공진 주파수를 맞추기 위한 안테나 패턴을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신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커넥터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의 공진 주파수를 맞추기 위한 안테나 패턴을 구성하는 메탈 부분과,
    상기 메탈 부분을 고정시키고, 접지 메탈과 상기 메탈 부분을 분리하는 플라스틱 부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신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커넥터는,
    상기 내장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를 전달받는 제1 신호핀과,
    상기 제1 신호핀에 전달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를 상기 무선부로 출력하는 제2 신호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신하는 장치.
  4.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안테나 커넥터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는 외장 안테나와 결합된 경우 상기 외장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안테나 커넥터가 상기 외장 안테나와 분리된 경우 내장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안테나 커넥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신호 및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 중 하나를 무선부에서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내장 안테나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의 공진 주파수를 맞추기 위한 안테나 패턴을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커넥터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의 공진 주파수를 맞추기 위한 안테나 패턴을 구성하는 메탈 부분과,
    상기 메탈 부분을 고정시키고, 접지 메탈과 상기 메탈 부분을 분리하는 플라스틱 부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안테나 커넥터가 상기 내장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를 제1 신호핀에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신호핀에 전달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계 신호를 상기 제2 신호핀을 사용하여 상기 무선부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법.
KR1020050131975A 2005-12-28 2005-12-28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KR101218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975A KR101218933B1 (ko) 2005-12-28 2005-12-28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975A KR101218933B1 (ko) 2005-12-28 2005-12-28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636A KR20070069636A (ko) 2007-07-03
KR101218933B1 true KR101218933B1 (ko) 2013-01-04

Family

ID=38505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975A KR101218933B1 (ko) 2005-12-28 2005-12-28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9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2924A (ja) * 1995-02-20 1996-08-30 Yazaki Corp アンテナ構造
KR20050061835A (ko) * 2003-12-18 2005-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지피에스 안테나 인터페이스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2924A (ja) * 1995-02-20 1996-08-30 Yazaki Corp アンテナ構造
KR20050061835A (ko) * 2003-12-18 2005-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지피에스 안테나 인터페이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636A (ko) 200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67262A1 (en) Apparatus having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distributed architecture for receiving and/or transmitting radio frequency signals
US20070281604A1 (en) Digital satellite receiver and method for switching among multiple receiver antennas using diversity circuitry
KR20060046486A (ko)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
JP2005159827A (ja) 複数放送波を受信可能な携帯電話機
US20100158138A1 (en) Satellite broadcasting system and signal receiving method thereof
US793704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receiving mobile broadcasting signal and transmitting/receiving bluetooth signal with single antenna
KR20060066022A (ko) 지상파 및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통합 수신 시스템
US20100060714A1 (en) Dmb receiving portable terminal for human body communication, dmb transmitting method thereof, and hmd apparatus and method for dmb reception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US8452328B2 (en) Method and system of sharing a controller for a combined cellular phone and satellite radio
KR20050033304A (ko) Dmb 수신기
KR10060249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시청 방법
KR100584438B1 (ko) 외장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1893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KR100672514B1 (ko) Dmb 및 gps 서비스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
KR100800756B1 (ko) 휴대단말기의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신호 수신 장치
KR1010999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겸용안테나 장치
KR100794486B1 (ko) 비디오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용 이어폰안테나
US20060050893A1 (en) Headphone Antenna Assembly
KR100779743B1 (ko) 방송수신 단말기의 다이버시티 수신장치 및 방법
KR100829224B1 (ko) 멀티미디어 신호수신부가 내장된 정보 단말 시스템
KR10080657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이용하기 위한 스케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70116375A (ko) 외장형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가지는 디엠비 단말기
KR20060014657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 채널 송수신장치 및 방법
KR100770879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데이터 처리 방법
KR10065596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