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359B1 - Electric device comprising a movable battery-container - Google Patents

Electric device comprising a movable battery-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359B1
KR101218359B1 KR1020110018464A KR20110018464A KR101218359B1 KR 101218359 B1 KR101218359 B1 KR 101218359B1 KR 1020110018464 A KR1020110018464 A KR 1020110018464A KR 20110018464 A KR20110018464 A KR 20110018464A KR 101218359 B1 KR101218359 B1 KR 101218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ble
main body
unit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4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99933A (en
Inventor
표정철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8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359B1/en
Publication of KR20120099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9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3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 수납부 및 상기 배터리 수납부를 본체 방향으로 또는 본체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일부 고정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이 감기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nd a battery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a battery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main body and a moving part for moving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toward the main body o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wherein the moving part includes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It provides an electric device including a part of the cable is fixed, a rotating body to which the cable is wound, and a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rotating body.

Description

이동 가능한 배터리 수납부를 포함하는 전기장치{Electric device comprising a movable battery-container}Electric device comprising a movable battery-receiving unit

본 발명은 전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가능한 배터리 수납부를 구비하고 있는 전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al apparatus having a movable battery compartment.

최근 들어 천장 또는 벽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소형 전자장치의 수가 늘고 있다. 감시카메라나 연기감지기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특히 감시카메라의 경우 감시, 보안, 방범 등의 목적으로 쓰이면서, 일반수요자들의 수요도 늘고 있다. 일반적인 감시카메라의 작동의 경우에 두 가지 종류의 선이 필요하다. 하나는 감시카메라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전원공급에 쓰이는 선이고, 나머지 한 선은 감시카메라로부터 촬영한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데 쓰이는 선이다. 그런데 감시카메라의 상기 목적에 걸맞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상기 두 선은 매립 등의 별도의 처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선을 매립하는 등의 공사는 일반수요자가 직접 하기에는 번거롭고 어려우며, 전문가에 의한 공사는 설치비용이 많이 든다. Recently, the number of small electronic devices attached to the ceiling or wall is increasing. Surveillance cameras and smoke detectors are typical examples. In particular, surveillance cameras are used for surveillance, security, and security purposes, and the demand of general consumers is increasing. In the case of normal surveillance camera operation, two kinds of wires are required. One line is used to supply the power required to operate the surveillance camera, and the other line is used to transmit the video signal captured by the surveillance camera. However, in order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the surveillance cameras, the two lines need separate processing such as landfill. However, the construction work such as embedding the line is cumbersome and difficult for the general consumer to do it himself, and the construction work by the experts is expensive.

따라서 점점 무선 감시카메라의 수요가 늘고 있다. 무선 감시카메라는 영상 또는 음성데이터의 전송을 유선이 아닌 무선으로 하는 감시카메라를 일컫는다. 그러나 여전히 전원공급을 유선으로 하는 경우에는 무선 감시카메라가 기존의 유선 감시카메라에 비해서 갖는 장점은 반감할 수밖에 없다. 전원 공급선을 매립하는 공사를 진행하면서 영상 신호의 전송선 역시 같이 매립하면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배터리를 내장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별로의 전원 공급이 불필요한 무선 감시카메라에 대한 수요가 생겨나고 있다.Therefore, the demand for wireless surveillance cameras is increasing. A wireless surveillance camera refers to a surveillance camera that transmits video or audio data wirelessly instead of wired. However, if the power supply is still wired, the advantages of the wireless surveillance camera over the conventional wired surveillance camera are bound to be halved. This is because the transmission line of the video signal should be buried together as the construction of the power supply line is buried.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wireless surveillance camera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by embedding a battery.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배터리 수납부를 포함하는 전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This invention makes it a main subject to provide the electric device containing a movable battery accommodating part.

본체;와 상기 본체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 수납부; 및 상기 배터리 수납부를 본체 방향으로 또는 본체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는, 일부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고정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이 감기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장치를 제공한다. A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a battery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main body; And a moving unit for moving the battery housing in a main body direction or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wherein the moving unit includes a cable, part of which is fixed to the battery housing, a rotating body to which the cable is wound, and the It provides an electric device including a drive means for rotating the rotating body.

여기서, 상기 전기장치는 외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electr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module capable of receiving a signal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battery compartment from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위가 소정의 기준에 미달되면, 상기 배터리 수납부를 상기 배터리의 교체를 위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The controller may move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in a direction for replacing the battery when the potential of the battery does not meet a predetermined standard.

여기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ensor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battery compartment.

여기서, 상기 본체는 감시카메라 모듈이 될 수 있다. Here, the main body may be a surveillance camera module.

여기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attery may further include a brak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battery compartment.

여기서, 상기 케이블의 꼬임방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able may further include a twist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간편한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attery can be replaced more easily.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이동 가능한 배터리 수납부를 포함하고 있는 감시카메라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수납부 및 이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를 승강 시키고 난 후,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수납부 및 이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수납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제어부에서 배터리 수납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동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회전체와 케이블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이동 가능한 배터리 수납부를 포함하고 있는 감시카메라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회전체와 케이블의 꼬임방지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1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surveillance camera including a movable battery compart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and the moving part shown in FIG. 1.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compartment and the moving unit shown in FIG. 1 after elevating the battery compartment in the first embodiment.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shown in FIG. 1.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ble shown in FIG.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shown in FIG. 1.
7A and 7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in the controller.
FIG.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brake unit shown in FIG. 1.
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cable shown in FIG. 1.
10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surveillance camera including a movable battery compart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 anti-twist device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cable shown in FIG. 10.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전기장치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파악할 수 있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이동 가능한 배터리 수납부(120)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수납부(120) 및 이동부(130)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제 1 실시예에서 배터리 수납부(120)를 승강시키고 난 후,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수납부 및 이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상기 세 도면을 참고하여 보면, 제 1 실시예는 본체(110), 배터리 수납부(120), 이동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무선모듈(140), 제어부(150), 센서(160), 제동부(170), 케이블의 꼬임방지장치(180) 및 구분판(190)을 포함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rasp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First, referring to FIGS. 1 to 3, FIG. 1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surveillance camera including a movabl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and the moving part 130 shown in FIG. 1.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and the moving part shown in FIG. 1 after elevating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in the first embodiment. Referring to the above three drawings,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10, a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and a moving part 130, and includes a wireless module 140, a controller 150, and a sensor 160. ), The braking unit 170, the cable twist prevention device 180 and the separator plate 190.

본 발명의 전기장치(100)는 감시 카메라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전기장치(100)는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 받아서 작동되는 전기장치는 물론이고, 직접적으로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 받아서 작동되는 전기장치는 아니더라도 그 작동에 있어서 부수적으로 배터리를 필요로 하는 전기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또 연기감지기, 시계, 화재경보기, 기상관측기구, 조명기구 등 높은 곳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전기장치와 그 이외에 작동상 배터리를 필요로 하면서 배터리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장소에 설치된 전기장치를 모두 포함한다.The electrica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rveillance camer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electric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an electric device that is operated by receiving electricity from a battery, but also an electric device that requires a battery incidentally in its operation even though it is not an electric device that is directly operated by receiving electricity from a battery. Include all of them. In addition, it includes all the electric devices installed in high places such as smoke detectors, clocks, fire alarms, meteorological observation devices, and lighting devices, and other electric devices installed in places where battery replacement is not easy and operation is required.

본 발명에서의 본체(110)는 상기 전기장치(100)에서 꼭 필요한 구성으로서, 배터리로부터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전기를 공급받아야 할 필요가 있는 부분을 포함한 구성이다. 제 1 실시예에서의 본체(110)는 감시 카메라 모듈(111) 및 프레임(112)을 포함한 구성이다. 즉,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체(110)는 전기장치(100)에서 배터리 수납부(120), 이동부(130), 무선모듈(140), 제어부(150), 센서(160), 제동부(170), 케이블의 꼬임방지장치(180) 및 구분판(19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 1 실시예의 본체(110)는 프레임(112)을 포함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 본 발명의 전기장치가 감시카메라 이외의 전기장치인 경우 상기 전기장치의 본체의 예로는, 연기감지기의 연기감지모듈, 시계의 시계모듈, 화재경보기의 화재경보모듈 등을 들 수 있다. The main body 11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that is necessary in the electrical device 100, and includes a portion that needs to be supplied with electricity directly or indirectly from a battery. The main body 110 in the firs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surveillance camera module 111 and the frame 112. That is, the main body 1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the moving part 130, the wireless module 140, the control part 150, the sensor 160, and the braking part in the electric device 100. 170, the rest of the cable except the twist prevention device 180 and the separator plate 19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main body 110 of the first embodiment may not include the frame 112. In addition, when the electr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ic device other than a surveillance camera, examples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ic device include a smoke detector module of a smoke detector, a clock module of a watch, a fire alarm module of a fire alarm, and the like.

제 1 실시예의 프레임(112)에는 개구부(112a)가 형성이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상기 개구부(112a)를 찾아볼 수 있는데, 배터리 수납부(120)는 프레임(112)으로부터 나가고 들어올 때 개구부(112a)를 통과한다. 제 1 실시예의 개구부(112a)는 프레임(112)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구멍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 개구부는 본 발명의 필수적 구성요소가 아니다.An opening 112a is formed in the frame 112 of the first embodiment. 1 to 3, the opening 112a is found, and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passes through the opening 112a when exiting and entering the frame 112. The opening 112a of the first embodiment is a rectangular hole formed in the frame 11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opening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수납부(120)의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에서 배터리 수납부(120)는 커넥터(121), 배터리(122) 및 박스형의 하우징(123)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에서는 하나의 배터리 수납부(120)만 포함돼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장치는 다수의 배터리 수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illustrated in FIG. 1. In the first embodiment,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includes a connector 121, a battery 122, and a box-shaped housing 123. In FIG. 1, only on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is includ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electr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ttery accommodating parts 120.

커넥터(121)는 배터리(122)의 전기가 전선으로 흐를 수 있도록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커넥터(121)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다. 커넥터(121) 없이 배터리(122)와 전선을 연결할 수 있거나, 전선을 사용하지 않는 등 커넥터(121)가 없이도 전기장치가 잘 작동한다면 커넥터(121)를 포함시키지 않아도 무방하다. The connector 121 serves to connect the electricity of the battery 122 to the wire. However, the connector 121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connecting the battery 121 and the electric wire without the connector 121, or if the electric device works well without the connector 121, such as not using a wire may not include the connector 121.

배터리(122)는 일반 전기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모든 형태의 물건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제 1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직육면체 모양인 배터리(122)가 사용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하나의 배터리가 아닌 다수의 배터리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도 있으며, 배터리(122)의 모양도 직육면체가 아닌 원통 등의 다양한 모양이 될 수도 있다. The battery 122 is meant to include all types of objects that serve to supply electricity to general electric devices. In the first embodiment, a battery 122 having one cuboid shape is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 plurality of batteries instead of one battery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pe of the battery 122 may also be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er instea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하우징(123)은 제 1 실시예에서 배터리(122)를 감싸며 하나의 폐곡면을 이루고 있지만 그 형태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모습에 한정되지 않고, 필수구성요소가 아닌 만큼 없어도 무방하다. The housing 123 forms one closed surface surrounding the battery 122 in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shape of the housing 123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may not be an essential component.

이동부(130)는 케이블(131), 회전체(132) 및 구동수단(133)을 포함한다. The moving part 130 includes a cable 131, a rotating body 132, and a driving means 133.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131)의 단면도이다. 우선 케이블(131)은 배터리 수납부(120)에 일부가 연결되어 있고, 회전체(132)에 감기고 풀리면서 배터리 수납부(120)의 위치를 변화시킨다. 제 1 실시예와 같이, 케이블(131)은 상기 역할 이외에도, 전기장치(100)에 전기를 전달하는 전선의 역할도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케이블(131)의 단면과 같이, 케이블(131) 내부에 전선을 포함하고 있는 형태로도 쓰일 수 있다. 또 케이블(131)은 그 자체가 전선으로 대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전선의 역할은 하지 않고 순수하게 배터리 수납부의 위치변화에만 사용될 수도 있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ble 131 shown in FIG. First, a part of the cable 131 is connected to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and the cable 131 is wound and unwound on the rotating body 132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able 131 may have a role of a wire for transferring electricity to the electric device 100 in addition to the above role. In particular, as shown in the cross section of the cable 131 shown in FIG. 5, the cable 131 may be used in a form including an electric wire. In addition, the cable 131 may be used by itself replaced by an electric wire, and may be used only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battery compartment without being a wire.

제 1 실시예의 케이블(131)은 그 외부 피복이 PVC 재질의 매끈한 선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케이블(131)은 회전체(132)에 감기며 배터리 수납부(1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면, 그 재질이나 형태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실시예의 전기장치에 사용되는 케이블(131)은 도 5를 살펴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케이블(131)은 전기를 전달하는 내부전선(131a)과 그 내부전선(131a)을 덮고 있는 외부선(131b)으로 이루어져있다. 내부전선 역시 각각 배터리의 (+)(-)극에 연결되는 두 가지 전선(131a-1 및 131a-2) 및 그 전선을 덮는 절연체(131a-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두 가지의 전선(131a-1 및 131a-2)은 모두 전기 전도성이 좋은 구리(Cu)나 알루미늄(Al) 등으로 이루질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케이블(131)은 외부선(131b)의 내부에 내부전선(131a)를 포함하는 형태이지만, 본 발명은 이런 형태 및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cable 131 of the first embodiment has a smooth line whose outer covering is made of PVC. However, the cable 13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und around the rotating body 132, and if the position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can be adjusted, the material or shape thereof is not limited thereto. The cable 131 used in the electrical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see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The cable 131 includes an inner wire 131a for transmitting electricity and an outer line 131b covering the inner wire 131a. The internal wires also consist of two wires 131a-1 and 131a-2 connected to the positive (-) pole of the battery and an insulator 131a-3 covering the wires. The two wires 131a-1 and 131a-2 may be made of copper (Cu), aluminum (Al), or the like having good electrical conductivity. The cable 131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n inner wire 131a inside the outer line 131b,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m and structure.

제 1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수납부(120)에 연결된 케이블(131) 다발의 수가 하나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케이블 다발을 두 개 이상으로 했을 경우에, 배터리 수납부(120)를 두 개 이상의 지점에서 지지할 수 있어 배터리 수납부(120)의 균형을 맞추기가 쉬우므로 움직임이 더 안정적일 수 있다. 그 경우 케이블(131)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서 회전체(132)의 수도 조정되어야 한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number of bundles of cables 131 connected to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is on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Rather, when two or more cable bundles are provided, the battery compartment 120 may be supported at two or more points, so that the battery compartment 120 may be easily balanced, so that the movement may be more stable. In that case, the number of the rotating bodies 132 should be adjusted as the number of cables 131 increases.

제 1 실시예의 회전체(132)는 그 모양이, 원통과 그 양 면에 부착된 원판을 포함하는 형태이다. 원판은 케이블(131)의 가이드 역할을 하여서 케이블(131)이 정확히 원통 옆면을 따라서 감기도록 해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회전체(132)는, 회전을 하면서 케이블(131)을 감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제 1 실시예의 회전체(132)와 같은 형태일 필요는 없다. 즉 원통이 아닌 다각형의 형태가 될 수도 있으며, 원판과 같이 가이드 역할을 하는 부분이 꼭 포함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회전체(132)는 회전축에 수직인 단면의 둘레에 따라 한 번 회전 시 감기는 케이블(131)의 길이가 정해지므로, 적당한 둘레의 회전체(132)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The rotating body 132 of the first embodiment has a shape in which the shape includes a cylinder and a disk attached to both surfaces thereof. The disc serves as a guide for the cable 131 so that the cable 131 is wound along the cylindrical side exact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rotating body 132 does not need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rotating body 132 of the first embodiment as long as it can serve to wind the cable 131 while rotating. That is, it may be in the form of a polygon rather than a cylinder, and a part serving as a guide, such as a disk, is not necessarily included. Since the length of the cable 131 wound upon one rota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the rotor 132 needs to select the rotor 132 having an appropriate circumference.

제 1 실시예에서 회전체(132)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33)은 모터(133a), 기어박스(133b) 및 고정기구(133c)를 포함한다. 모터는 동력발생기를 통칭하는 의미이고, 제 1 실시예의 모터(133a)는 전기를 공급받아 회전력을 얻는 전기모터이다. 기어박스(133b)는 기어비에 따라 모터(133a)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는 장치이며, 상기 모터(133a)에 고정되어 모터(133a)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킨다. 또 모터(133a)는 고정기구(133c)에 의해 프레임(112)에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 1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동수단은,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면 모터를 포함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전기를 이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배터리 수납부를 상하이동 시키는 장치도 본 발명의 구동수단이 될 수 있다. 모터가 고정되어 있는 위치는, 본체의 프레임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체를 회전시키기에 적절한 위치라면 제 1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제 1 실시예와 같이 구동수단(133)과 회전체(132)가 바로 연결돼 있을 필요는 없고, 타이밍 벨트나 기어 등에 의해 간접적으로 움직임이 전달돼 회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으면 본 발명의 구동수단이 될 수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riving means 133 for rotating the rotating body 132 includes a motor 133a, a gearbox 133b, and a fixing mechanism 133c. The motor is a general term for a power generator, and the motor 133a of the first embodiment is an electric motor that receives rotational power by receiving electricity. The gear box 133b is a device for chang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133a according to the gear ratio, and is fixed to the motor 133a to chang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133a. The motor 133a is attached to the frame 112 by the fixing mechanism 133c.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irst embodiment. The driving means may not include a motor as long as it rotates the rotating body, and the dri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apparatus for manually moving the battery compartment without using electricity. The position where the motor is fixed is not limited to the frame of the main body, and is not limited to the first embodiment as long as it is a position suitable for rotating the rotating body. In addition, a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riving means 133 and the rotating body 132 need not be directly connected, and if the movement can be indirectly transmitted by a timing belt or gear, the rotating body can be driven. It can be a means.

한편, 제 1 실시예의 전기장치는 무선모듈(140)을 포함하고 있는데, 무선모듈(140)은 무선으로 신호를 주고받는 장치이다. 무선모듈(140)은 기본적으로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 및 감시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 및 음성 자료를 외부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무선모듈을 포함하고 있다면, 사용자는 수동으로 전기장치에 신호를 보내어 배터리 수납부의 위치를 조작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al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wireless module 140, the wireless module 140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relessly. The wireless module 140 basically serves to receive a wireless signal from the outside and to transmit the image and audio data taken by the surveillance camera to the outside. Therefore, i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module, the user can manually send a signal to the electrical device to manipulate the position of the battery compartment.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고 있다. 도 6은 상기 제어부(15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상기 제어부(150)에서 배터리 수납부(120)의 이동을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The electr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ler 150.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150, and FIGS. 7A and 7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in the controller 150. Referring to FIG.

본 제어부(150)는 무선모듈(140), 센서(160) 등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이를 처리한 후, 제동부(170) 및 구동수단(133)에 적절한 신호를 보냄으로써 배터리 수납부(120)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제 1 실시예의 제어부(150)는 도 6에서와 같이 그 역할에 따라 몇 부분의 세부장치로 나눌 수 있다. 제어부(150)는 배터리 잔량측정부(151)와 신호수신부(152), 데이터 처리장치(153) 및 신호송신부(154)로 이루어져 있다. 배터리 잔량측정부(151)는 배터리의 잔량을 측정하여 일정 수준에 못 미치면 이에 대한 신호를 신호수신부(152)로 송신하게 되고, 다시 신호수신부(152)에서 데이터 처리장치(153)로 상기 신호를 전달하면, 데이터 처리장치(153)에서 도 7a의 알고리즘을 따라서 데이터를 처리한다. 여기서 처리된 신호는 신호송신부(154)를 거쳐 제동부(170)나 구동수단(133) 등 각 장치로 전달된다. The controller 150 receives a signal from the wireless module 140, the sensor 160, and processes the signal, and then sends an appropriate signal to the brake unit 170 and the driving unit 133 to control the battery accommodating unit 120. To control movement. The control unit 150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divided into several parts of the detailed device according to its role as shown in FIG. The controller 150 includes a battery remaining amount measuring unit 151, a signal receiving unit 152, a data processing device 153, and a signal transmitting unit 154. The remaining battery level measuring unit 151 measures the remaining level of the battery and transmits a signal thereof to the signal receiving unit 152 when it falls below a predetermined level, and transmits the signal from the signal receiving unit 152 to the data processing device 153 again. If so, the data processing device 153 processes the data according to the algorithm of FIG. 7A. The processed signal is transmitted to each device such as the brake unit 170 or the driving means 133 via the signal transmitter 154.

도 7a의 알고리즘은, 배터리의 잔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가 일정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배터리 수납부(120)가 배터리 교체를 위해 하강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제어부(150)안에 있는 배터리 잔량측정부(151)에서, 배터리에 대한 잔량을 측정한다(단계 S101). 측정 결과는 제어부(150)의 신호수신부(152)를 통해 데이터 처리장치(153)에 도달한다. 여기서 배터리의 잔량이 미리 설계자가 정해둔 특정 기준에 미달되는지 여부를 판단(단계 S102)하고, 잔량이 기준 이상인 경우라면 배터리 잔량측정단계(단계 S101)의 이전으로 돌아가 배터리 잔량측정단계(단계 S101)를 반복한다. 잔량이 기준 이하인 경우라면, 데이터 처리장치는(153)는 이에 대한 신호를 신호송신부(154)를 통해 제동부(170)에 전달한다. 제동부(170)에서는 배터리 수납부(120)의 제동을 해제하고(단계 S103), 배터리 수납부(120)는 그 자체가 받는 중력에 의해서 하강하게 된다(단계 S104). 물론 이 알고리즘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수납부(120)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가 전기공급이 없을 경우 회전체(132) 및 구동수단(133)이, 회전체의 회전 시에 받는 마찰력의 크기보다 커야 된다. The algorithm of FIG. 7A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automatically descends to replace the battery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measured and the result does not reach a predetermined level. First,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measuring unit 151 in the controller 150 measure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step S101). The measurement result reaches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153 through the signal receiver 152 of the controller 150.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maining battery level does not meet a predetermined criterion set by the designer in advance (step S102). Repeat. If the remaining amount is less than the reference, the data processing device 153 transmits a signal for this to the brake unit 170 through the signal transmitter 154. The braking unit 170 releases the braking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step S103), and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is lowered by gravity received by itself (step S104). Of course, in order for this algorithm to work properly, when the magnitude of gravity acting on the battery compartment 120 is not supplied with electricity, the magnitude of the friction force that the rotor 132 and the driving means 133 receive when the rotor rotates. Must be greater than

도 7b의 알고리즘은 배터리 수납부의 하강 후 배터리 교체 직후에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배터리를 교체하면, 배터리를 제거 시에 일시적으로 전기의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배터리를 장착 시에 다시 전기가 공급이 되어, 전기장치 또는 제어부의 전원이 리셋(Reset)된다(단계 S201). 전원이 리셋(Reset)된 직후, 하기 누름방지센서(160)는 센서가 눌려졌는지에 대한 신호를 신호수신부(152)를 거쳐 데이터 처리장치(153)에 전달한다. 데이터 처리장치(153)에서는 전해받은 신호를 해석해 센서가 눌려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2). 눌려지지 않은 경우라면 케이블을 감는 방향으로 작동(단계 S203)하도록 구동수단(133)에 신호를 보낸다. 이 때 센서(160)는 센서가 눌려졌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과정(단계 S202)을 반복해서 계속한다. 마침내 센서가 눌려졌다는 신호를 신호수신부(152)를 거쳐 데이터 처리장치(153)에 전달하면, 이 신호는 다시 신호송신부(154)를 거쳐 구동수단에 전달되어 구동수단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단계(단계 S204)를 거친다. 그 후 상기 신호는 제동부(170)에도 전달되고, 이는 제동부(170)를 작동시켜서 배터리 수납부의 움직임을 제한한다(단계 S205). The algorithm of FIG. 7B describes a process operated immediately after battery replacement after the battery compartment is lowered. When the battery is replaced, the supply of electricity is temporarily stopped when the battery is removed, and electricity is supplied again when the battery is mounted, and the power of the electric device or the controller is reset (step S201). Immediately after the power is reset, the following anti-press sensor 160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sensor is pressed to the data processing device 153 via the signal receiver 152. The data processing device 153 analyzes the transmitted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sensor is pressed (step S202). If it is not pressed, a signal is sent to the drive means 133 to operate in the direction of winding the cable (step S203). At this time, the sensor 160 repeats the determination process (step S202) as to whether or not the sensor is pressed. Finally, when the signal indicating that the sensor is pressed is transmitted to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153 via the signal receiver 152, the signal is again transmitted to the driving means via the signal transmitter 154 to cut off the power of the driving means (step). S204). The signal is then also transmitted to the brake unit 170, which activates the brake unit 170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battery compartment (step S205).

본 발명의 전기장치는 제어부(150)를 포함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제어부(150)가 본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본 발명의 전기장치가 제어부(150)를 포함하는 경우라도 그 세부장치나 작동 알고리즘 등은 제 1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electr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50 to enable more precise control. However, the control unit 150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ven if the electr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ntrol unit 150, the detailed apparatus and the operation algorithm are not limited to the first embodiment.

제 1 실시예에 관한 발명은 센서(16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센서(160)는 배터리 수납부(1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센서(160)는 매순간 배터리 수납부(120)의 위치를 감지할 필요는 없고, 배터리 수납부(120)의 위치제어에 필요한 시점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으로 족하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sensor 160. The sensor 160 is a device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The sensor 160 does not need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every time, and it is sufficient to sense the position of a time required for position control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제 1 실시예에 관한 전기장치의 센서는 누름감지센서이다. 즉, 배터리 수납부(120)의 상단부가 누름감지센서의 높이까지 올라온 경우 센서(160)를 누르게 된다. 이 때 발생한 신호는 제어부(150)로 전달되고, 제어부(150)에서는 배터리 수납부(120)의 움직임을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센서(16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sensor of the electr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 push detection sensor. That is, when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is raised to the height of the push detection sensor, the sensor 160 is pressed. At this time, the generate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50, and the controller 150 transmits a signal for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This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우선 본 발명의 센서는 직접적으로 배터리 수납부(120)의 위치를 알게 해주는 센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포토센서, 초음파센서 등의 거리측정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종류로는, 비록 배터리 수납부(120)의 직접적인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는 아니더라도 그 외의 자료를 측정해서 배터리 수납부(120)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센서도 본 발명의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회전체(132)에 감긴 케이블(131)의 선 길이를 측정해서 배터리 수납부(120)의 위치를 산출해내거나, 로터리 엔코더를 이용해 모터(133a)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적절한 처리를 거친 후 배터리 수납부(120)의 위치를 산출해낼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한다. First, th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directly know the position of the battery housing 120, a distance measuring sensor such as a photo sensor, an ultrasonic sensor may be used. In another type, although not a sensor for directl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a sensor capable of indirectly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by measuring other data may be used as a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fter measuring the line length of the cable 131 wound on the rotating body 132 to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battery housing 120, or by using a rotary encoder to measur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motor 133a after the proper treatment Various embodiments exist such that the position of the housing 120 may be calculated.

제 1 실시예의 전기장치는 제동부(170)를 포함하고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동부(17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동부(170)는 배터리 수납부(12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체(132)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배터리 수납부(12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형태의 제동부(170)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동부(170)는 배터리 수납부(1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제동부(170)가 제동력을 가하는 부분이 회전체(132)이든지, 구동수단(133)이든지, 케이블(131)이든지 관계없다. 또 제동부(170)의 제동원리 역시 상기 역할이 수행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The electrical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brake 170. FIG.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brake unit 170 shown in FIG. 1. The brake unit 170 is a device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unit 1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rake unit 170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rotor 132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unit 120. East 170 is being u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f the braking unit 170 may serv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unit 120, the portion to which the braking unit 170 applies the braking force is the rotating body 132 or the driving means 133, or the cable. (131) It does not matter. In addition, the braking principle of the brake unit 170 may also be freely selected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role is performed.

제 1 실시예의 제동부(170)는 마찰판(171), 금속판(172), 전자석(173), 스프링(174), 가이드봉(175) 및 전선(176)으로 이루어져 있다. 마찰판(171)은 회전체(132)의 원판에 닿아서 강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판으로서, 마찰계수(μ)가 큰 재질로 만들어졌으며 이는 금속판(172)에 부착되어 있다. 한 쪽 금속판(172b)에 부착되어 있는 전자석(173)은 전선(176)을 통해 전기가 유입될 때 자력을 갖게 되어 다른 쪽 금속판(172a)을 잡아당기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 금속판(172) 및 전자석(173)을 관통하여 가이드봉(175)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는 움직이는 금속판(172a)의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한 쪽 금속판(172a)과 전자석(173)사이에는 가이드봉(175)을 둘러싸고 있는 스프링(174)이 위치해 있다. 또 전자석(173)이 부착된 한 쪽 금속판(172b)은 구분판(190)에 고정되어 있어서 움직이지 않고, 다른 쪽 금속판(172a)은 전자석에 자력이 발생하면 가이드봉(175)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인다. The brake unit 170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friction plate 171, a metal plate 172, an electromagnet 173, a spring 174, a guide rod 175, and an electric wire 176. The friction plate 171 is a plate that provides strong frictional force by touching the disc of the rotating body 132,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arge friction coefficient μ, and is attached to the metal plate 172. The electromagnet 173 attached to the one metal plate 172b has a magnetic force when electricity is introduced through the wire 176, and serves to pull the other metal plate 172a. In addition, the guide rod 175 is located through the metal plate 172 and the electromagnet 173, which serves as a guide of the moving metal plate 172a. Between the metal plate 172a and the electromagnet 173, a spring 174 surrounding the guide rod 175 is located. The one metal plate 172b to which the electromagnet 173 is attached is fixed to the separator plate 190 and does not move. The other metal plate 172a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long the guide rod 175 when a 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electromagnet. To move.

제 1 실시예의 제동부(170)는 제동이 필요한 경우, 전선(176)을 통해 전자석(173)에 전기를 공급한다. 전자석(173)이 전달된 전기에 의해 자력을 가질 때, 도 8에 그려진 화살표 방향을 따라서 한 쪽 금속판(172a)을 잡아당기게 된다. 금속판(172)에 부착된 마찰판(171)이 회전체(132)의 일부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마찰판과 회전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제동을 시키는 구조이다. 그리고 전자석(173)은 전기를 전달받지 못하면 자력을 잃게 된다. 이 경우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한 쪽 금속판(172a)은 원래 위치로 돌아가게 되고, 마찰판(171)이 회전체(132)에 닿지 않기 때문에 더 이상 회전체(132)에 제동력이 작용되지 않는다. 만약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치에서 제동부(170)가 회전체(132)에 제동력을 가해 멈추게 하지 않으면, 배터리 수납부(120)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서 저절로 배터리 수납부(120)가 하강하게 될 수 있다. When the braking unit 170 of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requires braking, the braking unit 170 supplies electricity to the electromagnet 173 through the electric wire 176. When the electromagnet 173 has a magnetic force by the transmitted electricity, one metal plate 172a is pulled along the arrow direction shown in FIG. The friction plate 171 attached to the metal plate 172 surrounds a part of the rotating body 132 to brake by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friction plate and the rotating body. The electromagnet 173 loses its magnetic force if it does not receive electricity. In this case, the metal plate 172a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and the braking force is no longer applied to the rotor 132 because the friction plate 171 does not touch the rotor 132. If the braking unit 170 does not stop by applying the braking force to the rotating body 132 in the electr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battery accommodating unit 120 may be spontaneously caused by gravity acting on the battery accommodating unit 120. Can be descended.

제 1 실시예의 전기장치(100)는 케이블의 꼬임방지장치(180)를 포함하고 있다. 도 9는 제 1 실시예의 회전체(132)와 케이블(131)의 부분 사시도이다. 제 1 실시예에서, 회전체(132)를 따라 감기는 케이블(131)은 일부가 배터리 수납부(120)와 연결되어 있고, 다른 일부는 전기장치(100)와 연결이 돼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기장치(100)와 연결된 쪽의 케이블(131)은 회전체(132)의 원통 부분을 감으면서 그 끝이 제어부(150)와 연결이 되어있다. 상기 케이블(131)의 다른 쪽 끝은 회전체(132)의 원통 부분에 있는 구멍(132a)을 통과해서 회전체(132)의 축 방향으로 생긴 구멍(132b)으로 나오게 된다. 이 때 케이블(131)은 회전체(132)에 감길 때마다 꼬이게 된다. 그 구조에 따라 다르겠지만, 케이블(131)이 여러 번 회전체(132)에 감기는 경우에 아무런 방지 장치가 없다면 케이블(131)은 심하게 꼬여서 작동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케이블의 꼬임방지장치(180)가 필요한 것이다. The electrical device 100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cable twist prevention device 180. 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ng body 132 and the cable 131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able 131 wound along the rotating body 132 is parti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housing 120, and the other part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device 100. Referring to FIG. 9, the cable 131 connected to the electric device 100 is wound around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132, and th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50. The other end of the cable 131 passes through the hole 132a in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132 and exits into the hole 132b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132. At this time, the cable 131 is twisted every time it is wound around the rotating body 132. Although it depends on the structure, if the cable 131 is wound around the rotor 132 several times, if there is no prevention device, the cable 131 is severely twisted may cause problems in operation.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cable twist prevention device 180 is required.

제 1 실시예에서의 꼬임방지장치(180)는 제어부(150) 쪽 케이블과 배터리 쪽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배터리 쪽 케이블이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케이블(131)이 꼬이지 않으며, 회전을 하는 중에도 상기 양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이 유지된다. 여기서 제 1 실시예에 사용된 케이블의 꼬임방지장치(180)는 국내특허(등록번호: 0220516)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꼬임방지장치(180)는 본 실시예에 관한 꼬임방지장치(180)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에서 케이블의 꼬임방지장치는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구성은 아니다. 케이블의 꼬임에도 정상 작동할 수 있을 정도의 긴 케이블을 사용하는 등, 꼬임방지장치 없이도 작동에 문제가 없거나 다른 해결방안이 있다면 이를 포함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The twist prevention device 18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lectrically connects the cable of the controller 150 to the cable of the battery. The cable on the battery side is rotatable so that the cable 131 is not twisted,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both cables is maintained even during rotation. Here, the twist prevention device 180 of the cable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may use a 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umber: 0220516) as it is. However, the anti-twist device 18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nti-twist device 18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he twist prevention device of the c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a configuration that should be included. If there are no problems with the operation or there are other solutions without the use of an anti-twist device, such as the use of cables that are long enough to function normally even when the cable is twisted, it may not be included.

제 1 실시예에 관한 전기장치는 구분판(190)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이동부(130)와 배터리 수납부(12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두 구성을 분리시키고, 배터리 수납부(120)가 지나치게 이동부에(130) 접근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개구부가 구분판(190)에 형성되어서 케이블(131)의 가이드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구분판(190)은 본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electr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separator plate 190. This is located between the mobile unit 130 and the battery housing 120 to separate the two components, and serves to prevent the battery housing 120 from approaching the mobile unit 130 too much. In addition, the opening may be formed in the separator 190 to serve as a guide of the cable 131. However, the separator plate 190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파악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이동 가능한 배터리 수납부(220)를 포함하고 있는 감시카메라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회전체(232)와 케이블 꼬임방지장치(280)의 부분 사시도이다. 우선 제 2 실시예의 전기장치(200)는 케이블의 꼬임방지장치(28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제 1 실시예의 전기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제 2 실시예의 본체(210), 배터리 수납부(220), 이동부(230), 무선모듈(240), 제어부(250), 센서(260), 제동부(270) 및 구분판(290)은 각각 제 1실시예의 본체(110), 배터리 수납부(120), 이동부(130), 무선모듈(140), 제어부(150), 센서(160), 제동부(170) 및 구분판(190)과 대응된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rasp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FIG. 10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surveillance camera including a movable battery housing 22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rotating body 232 and a cable twist preventing device shown in FIG. 10.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280. First, the electric device 200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electric device 100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twist prevention device 280 of the cable. That is, the main body 210,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220, the moving part 230, the wireless module 240, the control part 250, the sensor 260, the brake part 270, and the separator 290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provided. The main body 110,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the moving part 130, the wireless module 140, the control part 150, the sensor 160, the brake part 170, and the separator plate 190 of the first embodiment are respectively. )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second embodiment is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first embodiment.

제 2 실시예에 관한 전기장치(200)도 케이블의 꼬임방지장치(280)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도 11에 자세히 나와 있는데, 회전체(232)의 한 외면에는 크기가 다른 금속링(281)이 두 개 부착되어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체(232)와 축을 공유하며, 상기 외면과 맞닿는 꼬임방지장치판(282)이 있다. 꼬임방지장치판(282)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회전체(232)의 외면과 맞닿는 면에 두 개의 금속링(283a 및 283b)이 부착되어 있고, 이는 상기 회전체(232)의 외면에 부착된 두 개의 금속링(281)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위치와 크기가 적절하게 되어 있다. 금속링(281 및 283)은 전기 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만들어졌고, 각각 도선과 연결이 되어 전선의 일부로서 전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 꼬임방지장치판(282)은 두 금속링(283a 및 283b)이 부착된 판으로서, 회전체(232)의 일면과 맞닿아 있다. 꼬임방지장치판(282)은 금속링(281 및 283)끼리 접촉시켜줄 수 있다면, 그 형태에 있어서 제 2 실시예와 같은 원판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 재질에 있어서는, 부착된 금속링(283)에 연결된 전선에 전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전기 전도성이 낮은 재질로 한정이 되어야 한다. 한편, 회전체(232)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꼬임방지장치판(282)은 회전을 하지 않으므로 이에 연결된 도선은 꼬이지 않게 된다. 하지만 역시 본 발명의 케이블 꼬임방지장치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꼬임방지장치(280)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electric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lso includes a cable kinking device 280. This is illustrated in detail in FIG. 11, and two metal rings 281 of different sizes are attached to one outer surface of the rotor 232. Correspondingly, there is a twist prevention device plate 282 which shares an axis with the rotating body 232 and contacts the outer surface. Similarly, the anti-twist plate 282 has two metal rings 283a and 283b attached to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232, which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232. Properly positioned and sized to allow electrical contact with each of the rings 281. The metal rings 281 and 283 are made of a metal having goo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wires and serve to transfer electricity as part of the wires. The anti-twist plate 282 is a plate to which two metal rings 283a and 283b are attached, and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232. The anti-twist plate 282 is not limited to the same original plat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as long as the metal rings 281 and 283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However, in the material, it should be limited to a material having low electrical conductivity so that electricity can flow smoothly to the wire connected to the attached metal ring 283. On the other hand, irrespective of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232, the anti-twist plate 282 does not rotate, so the wires connected thereto are not twisted. However, the cable twist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wist prevention device 28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10, 210: 본체 120, 220: 배터리 수납부
130, 230: 이동부 140, 240: 무선모듈
150, 250: 제어부 160, 260: 센서
170, 270: 제동부 180, 280: 케이블 꼬임방지장치
190, 290: 구분판
110, 210: main body 120, 220: battery compartment
130, 230: moving unit 140, 240: wireless module
150, 250: control unit 160, 260: sensor
170, 270: Braking part 180, 280: Cable twist prevention device
190, 290: Separator

Claims (8)

본체;
상기 본체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 수납부;
상기 배터리 수납부를 본체 방향으로 또는 본체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는, 일부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고정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이 감기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장치.
main body;
A battery accommodating unit accommodating a battery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main body;
And a moving part which moves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toward the main body or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The moving unit includes a cable, part of which is fixed to the battery accommodating unit, a rotating body to which the cable is wound, and an electric drive unit for rotating the rotating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장치는 외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ical device further comprises a wireless module capable of receiving a signal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battery compartment from the outside.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lectric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ean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위가 미리 결정된 기준에 미달되면, 상기 배터리 수납부를 상기 배터리의 교체를 위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controller moves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in a direction for replacing the battery when the potential of the battery falls below a predetermined criter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전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electrica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nsor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battery compartment.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감시카메라 모듈인 전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is an surveillance camera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동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brake to limit movement of the battery compart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는 꼬임방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anti-twist device for preventing the cable from being twisted.
KR1020110018464A 2011-03-02 2011-03-02 Electric device comprising a movable battery-container KR1012183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464A KR101218359B1 (en) 2011-03-02 2011-03-02 Electric device comprising a movable battery-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464A KR101218359B1 (en) 2011-03-02 2011-03-02 Electric device comprising a movable battery-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933A KR20120099933A (en) 2012-09-12
KR101218359B1 true KR101218359B1 (en) 2013-01-03

Family

ID=47109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464A KR101218359B1 (en) 2011-03-02 2011-03-02 Electric device comprising a movable battery-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35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3071A (en) * 2008-09-08 2010-03-18 Sony Corp Imaging apparatus
KR200448573Y1 (en) * 2009-03-04 2010-04-26 이흥진 display elevation system using guiding pulley
KR20100115844A (en) * 2009-04-21 2010-10-29 장성환 Power supply unit from notebook battery case
JP2010282633A (en) * 2004-07-18 2010-12-16 Apple Inc Power supply device, electric power supply method, electronic equipment, and system having the power supply device and cab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2633A (en) * 2004-07-18 2010-12-16 Apple Inc Power supply device, electric power supply method, electronic equipment, and system having the power supply device and cable
JP2010063071A (en) * 2008-09-08 2010-03-18 Sony Corp Imaging apparatus
KR200448573Y1 (en) * 2009-03-04 2010-04-26 이흥진 display elevation system using guiding pulley
KR20100115844A (en) * 2009-04-21 2010-10-29 장성환 Power supply unit from notebook battery 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933A (en)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055B1 (en) Electric cleaner
AU2022211876A1 (en) Improvements in Conveyor and Components Therefor, Monitoring Methods and Communication Systems
CN104245558A (en) Apparatus and method in connection with crane sheave
CN102713502A (en) Depth determination apparatus
CN113169498B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one or more components of an electric machine
EP3686149B1 (en) Winch, and method of preventing rope slack of a rope winch
EP2684262A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of brushes, in particular slipring or commutator brushes, on electrical machines
JP6859427B2 (en) Drum motor with frequency converter and optional belt tension sensor
KR101218359B1 (en) Electric device comprising a movable battery-container
KR20160061662A (en) Fire Detector
KR20130057696A (en) Manhole inside monitoring system
KR102001969B1 (en) Confirmation of water pipe location And real-time management system
CN109828138B (en) A general purpose measuring instrument for electric shock prevention of power maintenance
JP2008079459A (en) Wear detector of brush
CN210243012U (en) Temperature sensing device for rail transit battery motor controller
KR20140140978A (en) System for installing wire for power cable between power towers
JP2022533070A (en) Through hole slip ring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0220784B1 (en) Tank level gauge of driven sensor type
US11283293B2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 current-carrying device
CN215488661U (en) Miniature thermal imaging sensor of cloud platform
CN206609613U (en) Gear-box abnormal sound detection means
CN210637815U (en) Multi-view municipal pipeline detection device
KR101495773B1 (en) Self-drive type generator with dissolved substances leak detection device
CN210720190U (en) Cable detection device
JP2017135840A (en)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