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811B1 - Rain Sensor - Google Patents

Rain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811B1
KR101217811B1 KR1020100074320A KR20100074320A KR101217811B1 KR 101217811 B1 KR101217811 B1 KR 101217811B1 KR 1020100074320 A KR1020100074320 A KR 1020100074320A KR 20100074320 A KR20100074320 A KR 20100074320A KR 101217811 B1 KR101217811 B1 KR 101217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guide
receiving unit
interest
camera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3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12269A (en
Inventor
김시동
최정필
나창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산업
Priority to KR1020100074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811B1/en
Publication of KR20120012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2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8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1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 B60S1/082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 B60S1/0833Optical rain sensor
    • B60S1/0844Optical rain sensor including a camer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G01N21/552Attenuated total refl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6Inspecting patterns on the surface of obj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18/00Electricity: motive power systems
    • Y10S318/02Windshield wiper contr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우적 감지 장치는 차량 유리면에 밀착되며 입사된 유도광이 유리면에서 전반사되도록 안내하는 광유도부와, 상기 광유도부의 입사측에 설치되어 광원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상기 광유도부의 출사측에 설치되어 수광되는 광에서 협대역의 소정 관심광을 필터링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로부터 필터링된 관심광으로부터 이미지 패턴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The rain det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guide par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and guides the guided incident light to be totally reflected from the glass surface, a light emitting part which is installed on the incident side of the light guide part and emits a light source, and an exit side of the light guide part. And a light receiver configured to filter predetermined light of interest in a narrow band from light received and installed at the light receiver, and an image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n image pattern from light of interest filtered from the light receiver.

Description

우적 감지 장치{Rain Sensor}Rain sensor {Rain Sensor}

본 발명은 우적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적의 양을 파악하여 차량의 와이퍼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우적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drops sens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indrops sensing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wiper operation of a vehicle by determining the amount of raindrops.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와이퍼는 자동차의 우천 우행시 운전석 전방에 설치된 윈드 쉴드 글래스에 부착되는 물방울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안전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자동차의 우천 운행시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와이퍼가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the wiper of the car is to remove the water droplets attached to the windshield glass install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when the vehicle is rainy, so that the driver can operate safely by driving the vehicle in rainy weather. The wiper is therefore operated.

그러나, 최근에는 운전자의 운행 편의를 위하여 자동차의 우천 주행시 운전자에 의한 스위치 조작이 없어도 자동적으로 와이퍼가 동작되도록 하기 위한 우적 감지 장치(rain sensor)가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however, a rain sensor has been developed to automatically operate a wiper without a switch operation by the driver when driving in rainy weather for a driver.

그런데, 종래의 우적 감지 장치는 지향성 빔 형태의 광이 반사된 광빔의 세기로 우적량을 판단한다. 이러한 광 빔은 예각으로 차량의 윈드 쉴드에 부딪혀 반사되는데, 이러한 광빔의 반사 지점에서 상기 윈드 실드 외부에 물방울이 있으면 공기에 대한 상기 윈드 실드이 외부 경계면의 굴절율이 변하게 되므로, 상기 경계면에서 광빔은 전반사되지 않고 오히려 외부를 향해 확산되는 성분이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약화된 반사 성분의 신호는 광다이오드에 의해 검출되어 양적으로 평가되고 그 결과 자동차의 윈드 실드 외부에서 습기층으로서 또는 비나 눈으로서 검출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raindrop detection apparatus determines the amount of raindrops by the intensity of the light beam reflected light of the directional beam form. The light beam hits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at an acute angle and is reflected. If there is water droplets outside the windshield at the reflection point of the light beam,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uter boundary of the windshield to air changes, so that the light beam is not totally reflected at the interface. Rather, a component is diffused toward the outside. As a result the signal of the weakened reflective component is detected by the photodiode and quantitatively evaluated and as a result is detected as a moisture layer or as rain or snow outside the windshield of the motor vehicle.

이러한 광빔을 이용하는 종래의 우적 감지 장치를 이용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복 감지 영역(10), 감지 불능 영역(11)이 존재하고, 광빔이 도달하지 않는 영역(12)이 발생된다. 이러한 영역들로 인해 우적에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패턴값이 도출되지 않고, 우적 감지 면적이 감소된 상태에서 우적량을 판단하므로 감지 성능 저하되어, 그 정확도가 감성 품질에 미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When using the conventional rain detection device using such a light beam, as shown in FIG. 1, the overlapping sensing region 10 and the non-sensing region 11 exist, and the region 12 in which the light beam does not reach is generated. Because of these areas, a pattern value that is not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raindrop is not derived, and the raindrop is detected in a state in which the raindrop detection area is reduced. Therefore, the detection performance is degraded, and the accuracy thereof does not reach the emotional quality.

그리고, 우적 감지를 위한 수광에 있어서 비관심광 대비 관심광 투과 비율, 즉 태양광 등의 외란광 수광 비율이 높게 되면 감지되는 패턴에 백화 현상이 발생되어 우적 감지를 어렵게 한다. 따라서, 우적 감지 장치에서 비관심광 대비 관심광 투과 비율을 높이는 기술이 요구된다.In addition, when the ratio of light transmission of interest to uninterested light, that is, a disturbance light reception ratio such as sunlight, is high in light reception for raindrop detection, whitening occurs in the detected pattern, making it difficult to detect raindrop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of increasing the ratio of the light of interest to the uninterested light in the raindrop detection device.

또한, 상기한 종래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카메라용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이 활발히 연구 되고 있는데 여기에서 반사 이미지의 수광을 위한 카메라 렌즈의 광학 특성은 온도 등의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변하게 되는데, 기존의 자동차용 카메라에서는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전 파장대역에서 수차 등을 보정해주기 위해서 카메라 렌즈의 가공 정밀도를 높여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 method of using an image sensor for a camera has been actively studi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ethod, wherein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amera lens for receiving the reflected image are changed according to changes in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Automotive cameras have a problem in that the cost increases because the processing accuracy of the camera lens must be increased in order to correct aberrations in all wavelength band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따라서, 본 발명은 우적 감지 정확도가 향상된 우적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본 발명은 비관심광 대비 관심광 투과 비율을 높여 관심광의 전반사 이미지 패턴의 변별력을 높이는 우적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aindrop detection device with improved accuracy of raindrop detec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aindrop detection device that increases the ratio of the transmitted light of interest to the uninterested light to increase the discrimination of the total reflection image pattern of the light of interest.

본 발명은 온도 변화 등의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카메라 렌즈의 가공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우적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aindrop detection device that can reduce the processing cost of the camera lens due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changes.

본 발명의 우적 감지 장치는 차량 유리면에 밀착되며 입사된 유도광이 유리면에서 전반사되도록 안내하는 광유도부와, 상기 광유도부의 입사측에 설치되어 광원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상기 광유도부의 출사측에 설치되어 수광되는 광에서 협대역의 소정 관심광을 필터링하는 수광부와,상기 수광부로부터 필터링된 관심광으로부터 이미지 패턴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The rain det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guide par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and guides the guided incident light to be totally reflected from the glass surface, a light emitting part which is installed on the incident side of the light guide part and emits a light source, and an exit side of the light guide part. And a light receiver configured to filter predetermined light of interest in a narrow band from light received and installed at the light receiver, and an image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n image pattern from light of interest filtered from the light receiver.

본 발명의 우적 감지 장치는 광도가 높은 태양광 및 기타 광원의 간섭을 관심광 파장대와 관심광의 입사각 이내로만 국한시키게 될 수 있어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관심광의 전반사 패턴의 변별력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 rain de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limit the interference of sunlight and other light sources having high brightness to within the wavelength range of light of interest and the angle of incidence of light of interest, thereby increasing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of the light of interest target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또한, 본 발명은 광학 특성에 따라 협대역의 소정 관심광에 대한 보정만 해주면 되므로, 카메라 렌즈의 가공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only needs to be corrected for a narrow band of interest light according to the optical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for improving the processing accuracy of the camera lens.

또한, 본 발명은 협대역의 소정 관심광만을 감지하면 되므로 이미지 센서의 광센서 요소들을 단순화할 수 있어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optical sensor elements of the image sensor since only the predetermined light of interest in the narrow band needs to be sensed, thereby reducing the cos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우적 감지 장치에서의 광빔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유리 내벽면 상에 장착된 우적 감지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광유도부와 발광부의 밀착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발광부의 광원면에 형성된 파인홈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우적 감지 장치를 차량 유리에 장착시키기 위한 마운팅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기포 제거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유리 내벽면 상에 장착된 우적 감지 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유리 내벽면 상에 장착된 우적 감지 장치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광부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광부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내부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간섭광 유도 개념도.
1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a light beam in the raindrop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side view of a raindrop detection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glass inner wall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lose contact between the light guide portion and the light emitting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fine groove formed on the light sourc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mounting for mounting a raindrop detection device on a vehicle gla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removing bubbles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 raindrop detection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glass inner wall in accordance with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a raindrop detection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glass inner wall in accordance with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light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image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interference light induction conceptual diagram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 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Prior to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may be sufficiently modifi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customs, etc. of the user or operator, and the definition of th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그러면,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우적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raindrop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우적 감지 장치는 유리면(110)에 밀착되어 입사된 유도광이 유리 표면에서 전반사 되도록 안내하는 광유도부(120)와, 광유도부(120)의 입사측에 설치되어 광원을 방출하는 발광부(130)와, 광유도부(120)의 출사측에 설치되어 수광되는 광에서 협대역의 소정 광심광을 필터링하여 통과시키는 수광부(140)와, 상기 수광부(140)에 의해 필터링된 관심광으로부터 이미지 패턴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15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a raindrop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ght induction part 120 and a light induction part 120 configured to guide the guided light incident to the glass surface 110 so as to be totally reflected on the glass surface. A light emitting unit 130 disposed on the incident side and emitting a light source; a light receiving unit 140 filtering and passing a narrow optical band of narrow band from the light received and installed on the exit side of the light guide unit 12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an image sensor 150 for sensing an image pattern from the light of interest filtered by 140.

유리면(110)은 자동차의 전면 유리가 될 수도 있고, 후면 유리가 될 수도 있다. 이 유리면(110)을 기준으로 하여 윗부분은 실외, 아랫 부분은 실내이다. The glass surface 110 may be a front glass of a vehicle or a rear glass. Based on the glass surface 110, the upper part is outdoors, and the lower part is indoors.

광유도부(120)는 사출 성형이 가능하고 투명도가 높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광부(130)에서 방출되는 광원 및 수광부에 의해 검출되는 광 성분의 소정 집속 작용과 결속 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발광부(130)로부터 방출된 광원이 평행하게 진행하도록 해주는 광평행 송신프리즘일 수 있다. 즉, 상기 발광부(130)로부터 발사된 광원은 대부분의 성분이 발광면에 수직으로 출력되며 광유도부면에 수직으로 입사하므로 대부분의 성분이 손실 없이 유리면(110)의 우적 측정점에 전반사 각으로 도달할 수 있게 해준다.따라서, 광유도부(120)는 발광부(130)에서 입사된 빛이 직진하여 차량 유리(110)와 이루는 각이 임계각인 42도 이내로 비춰지도록 하기 위하여 차량유리(110)의 굴절률과 유사한 굴절률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어야 한다. The light guide portion 120 is preferably made of plastic capable of injection molding and high transparency, and performs a predetermined focusing and binding action of the light component detected by the light source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130, It may be a light parallel transmission prism for allowing the light source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30 to proceed in parallel. That is, since the light source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130 has most of its components output perpendicular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and is incident perpendicularly to the light guide surface, most of the components reach the target measuring point of the glass surface 110 at a total reflection angle without loss. Therefore, the light guide portion 120 has a refractive index of the vehicle glass 110 so that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30 goes straight so that the angle formed with the vehicle glass 110 is reflected within a critical angle of 42 degrees. It shall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similar to.

이는 이미지 패턴이 유리의 임계각인 42도 이내의 각도로 비춰질 때 이미지는 전반하사게 되고, 차량 유리 표면에 빗방울이나 눈이 있을 경우 해당 부분에서 전반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산란하게 되는데, 이 현상은 비나 눈이 많은 정도에 비례하게 되어, 이 산란 정도를 측정하여 우적을 감지하게 되게 때문이다.This means that when the image pattern is projected at an angle within 42 degrees of the critical angle of the glass, the image is totally reflected, and if there is raindrops or snow on the surface of the vehicle glass, the total reflection is not scattered in the area, which is rain or snow. This is proportional to this many degree, because the degree of scattering is measured to detect the raindrops.

발광부(130)는 면광원으로, 상기 면광원에 의해 방출 가능한 광원은 특정 대역 파장대의 광원으로 한정되지는 않지만, 수광부(140)에서 비관심광 대비 관심광 투과 비율을 높이기 위해 소정 협소 대역의 광원으로 한정될 수도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130 is a surface light source, and the light source that can be emitted by the surface light source is not limited to a light source having a specific band wavelength, but the light receiving unit 140 has a predetermined narrow band in order to increase the ratio of light of interest to uninterested light. It may be limited to a light source.

수광부(14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라 발광부(120)에서 방출된 광원이 유리면(110)에 전반사되어 수광되는 광원 중에서 협대역의 소정 관심광의 투과 비율이 높아지도록 필터링한다. 그리고, 이미지 센서(150)는 수광부(140)에 의해 필터링된 광신호를 분석하여 수광된 관심광 대역의 광량에 따른 이미지 패턴을 감지한다.The light receiving unit 140 filters the light source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20 to be totally reflected on the glass surface 110 so as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ratio of predetermined light of interest in the narrow band among the light sources. In addition, the image sensor 150 analyzes the optical signal filter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40 and detects an image pattern according to the light amount of the received light band of interest.

이로써, 차량은 상기 우적 감지 장치로부터의 우적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강우량이 적을 경우에는 와이퍼의 동작 시간 주기를 길게 하며 강우량이 많을 경우에는 와이퍼의 동작 시간 주기를 짧게 함으로써 강우량에 따른 최적의 와이퍼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vehicle uses the rain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rain detection device to increase the operating time period of the wiper when the rainfall is small and to shorten the operating time period of the wiper when the rainfall is large, thereby providing optimum wiper operation according to the rainfall. To do this.

한편, 발광부(130) 및 수광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유도부(120)와 밀착되는 형태일 수 있다. Meanwhile, the light emitting unit 13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4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ight guide unit 120 as shown in FIG. 2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유도부(120)는 발광부(130)와의 밀착면에서 요철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발광부(13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백라이트 유닛과 유사하나 본 발명에서는 광차단판 개구부의 내측면이 광유도부(120)의 입사 동면에 직각으로 인접한 4 개 측면에 밀착되어 간섭광을 줄이고 발사광의 효율을 높이게 한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light guide portion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cave-convex shape in close contact with the light emitting unit 130. The light emitting unit 130 is similar to a backlight unit that is generally us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ght blocking plate opening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our sides adjacent to the incident pupil plane of the light guide unit 120 at right angles to reduce the interference light and the efficiency of the emission light. It is characterized by the high.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광유도부(120)과 발광부(130)의 밀착된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lose structure of the light guide portion 120 and the light emitting portion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인 발광부(130)의 면광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인홈(131)의 형태를 갖게 된다. 이러한 발광부(130)의 파인홈(131) 형태의 면광원을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파인홈(131)의 계면에 외란광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광유도부(120)가 발광부(130)의 계면과 밀착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 형태 모양으로 제작되어 광유도부(120)와 발광부(130)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The surface light source of the general light emitting unit 130 has the form of a fine groove 131 as shown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rface light source in the form of a fine groove 131 of the light emitting unit 130. In order to block the disturbance light inflow into the interface of the fine groove 131, the light guide portion 120 is manufactured in a concave-convex shape as shown in FIG. 3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terface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130. The 120 and the light emitter 130 may be fitt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한편, 유리면(110)과 광유도부(120) 사이의 접착면은 공기갭이 없이 밀착되어야 의도된 바대로 광경로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투명 유리와 같이 광 투과율이 높고, 굴절율이 유리면(110)과 유사한 탄성층(160)을 유리면(110)과 광유도부(120) 사이에 삽입한다. 또한, 광유도부(120)와 탄성층(160)은 굴절율이 광유도부(120)의 재질과 유사하고 투명도가 높은 접착제로 접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adhesive surface between the glass surface 110 and the light guide portion 120 i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air gap without the intended optical path is formed.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like the transparent glass, an elastic layer 160 having a high light transmittance and a refractive index similar to that of the glass surface 110 is inserted between the glass surface 110 and the light guide portion 120. In addition, the light guide portion 120 and the elastic layer 160 is bonded to the refractive index is similar to the material of the light guide portion 120 with a high transparency adhesive.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우적 감지 장치가 차량 유리에 부착된 마운팅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unting concept of a raindrop detection apparatus attached to a vehicle glas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우적 감지 장치를 차량에 탑재할 때, 차량의 유리면(110)에 마운팅 고리(410)를 장착한 후, 우적 감지 장치의 몸체(100)를 밀어 넣어서 마운팅 고리끼리 결합하도록 한다. 이때 탄성층(160)은 압력을 받아 원래의 두께보다 얇게 된다. 또한 제품 제조시의 공극이 눌려서 줄어든 만큼의 두께보다 두껍게 하여 탑재를 용이하게 한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raindrop detection device is mounted on a vehicle, the mounting ring 410 is mounted on the glass surface 110 of the vehicle, and then the body 100 of the raindrop detection device is pushed to engage the mounting rings. . At this time, the elastic layer 160 is thinner than the original thickness under pressure. In addition, the pores at the time of product manufacture are thicker than the reduced thickness to facilitate mounting.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우적 감지 장치가 장착될 차량 유리면(510)은 일반적으로 곡률반경 R을 갖는 원형 곡선이다. 따라서, 광유도부(520)는 차량 유리(510)에 밀착되기 위해 최소한 곡률 반경 R과 같아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광유도부(520)의 면 곡률 반경 R1을 차량 유리 곡률 반경 R보다 작게 한다. 이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적 감지 장치를 부착할 때 광유도부(520)의 중심부터 차례로 가장자리까지 밀착되게 하여 틈새에 있는 기포를 가장자리로 밀어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6, the vehicle glass surface 510 to which the raindrop detection apparatus is mounted is generally a circular curve having a radius of curvature R. FIG. Thus, the light guide portion 520 must be at least equal to the radius of curvature 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vehicle glass 510.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curvature radius R1 of the light guide portion 520 is made smaller than the vehicle glass curvature radius R. Thus, when attaching the rain detection device as shown in Figure 6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pushing the bubbles in the gap to the edge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edge from the center of the light guide portion 520 in tur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우적 감지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부(140)가 광유도부(120)에 밀착된 형태가 아닌 다른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rain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other embodiments than the light receiving unit 1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ight guide portion 120 is possibl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우적 감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indrop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광유도부(120)를 통해 출사된 광이 수광부(140)에 바로 입사되는 것이 아니라, 반사 거울(170)에서 전반사된 후 수광부(140)에 입사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우적 감지 장치의 용적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light guide part 120 may not be directly incident on the light receiver 140, but may be incident on the light receiver 140 after being totally reflected by the reflection mirror 170. This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volume of the rain detection device.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우적 감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indrop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유도부(120)를 축소시킨 형태의 다수의 소형 광유도부들(121)이 탄성층(160)를 통해 톱니 형태의 모양으로 유리면(110)에 부착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는 광 투과성 플라스틱의 사출 성형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Referring to FIG. 8, a plurality of small light guide parts 121 having a shape in which the light guide part 120 is reduced as shown in FIG. 2 are disposed on the glass surface 110 in a sawtooth shape through the elastic layer 160. It may have a form to be attached. This has the advantage that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 of the light transmissive plastic can be facilitated.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광부(130)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도광판(820)은 광학 커플링층을 통해 내벽면 상에 장착된다. 도광판(820)은 LED(810)로부터의 광을 유도하는 것으로,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 재료(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에 의해 발생된다. 대신에, 도광판(820)을 형성하는 재료는 유리 재료일 수 있는데, 이는 재료가 LED(810)로부터 광을 유도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Referring to FIG. 9, the light guide plate 820 is mounted on an inner wall surface through an optical coupling layer. The light guide plate 820 guides light from the LED 810 and is generated by an optically transparent resin material (eg, polycarbonate acrylic). Instead, the material forming the light guide plate 820 may be a glass material, since the material only needs to guide light from the LED 810.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광부(140)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ight receiving unit 14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대물렌즈(910)는 카메라 렌즈(940)와 조합하여 이미지 센서(150) 표면에 상을 맺게 하는데 있어서 대상물의 상의 크기가 이미지 센서(150)의 면적보다 크게 하여 관심광의 광축에 평행한 광만을 이미지 센서(150)에서 인식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각으로 입사하는 태양광 등의 간섭광은 이미지 센서(150) 바깥으로 바이패스 된다. Referring to FIG. 10, the objective lens 910 forms an image on the surface of the image sensor 150 in combination with the camera lens 940 so that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object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image sensor 150 so that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of interest is provided. Only the light parallel to the image sensor 150 to be recognized. Through this, interference light such as solar light incident in a square is bypassed to the image sensor 150.

그리고, 수광부(14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형광 필름(92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빛의 파장 대역을 변환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즉, 발광부(130)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과 이미지 센서(150)에서의 인식 파장대가 다를 경우에 빛의 파장을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발광부(130)에서 출사되는 광원이 자외선이고, 이미지 센서(150)가 가시광 대역을 감지할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가시광이 차량 유리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 In addition, the light receiver 140 may include the fluorescent film 92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erves to convert the wavelength band of light. That is, when the wavelength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130 and the recognition wavelength band of the image sensor 150 are different, the wavelength of the light is converted.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130 may be ultraviolet rays, and the image sensor 150 may detect a visible light band.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visible ligh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en from outside the vehicle glass. ,

칼라 필터(930)는 협대역의 소정 관심광을 통과시킨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광학계를 단순하게 하고 이미지 센서(150)를 저렴하게 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 및 기타 광원의 간섭을 관심 파장 대역으로 국한시킬 수 있다. 즉, 광학 특성은 온도 등의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변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카메라 렌즈는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전주파수대를 보정해주기 위해서 가공 정밀도를 높여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협대역의 소정 관심광만을 통과시키므로 광학계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카메라 렌즈(940)는 렌즈 세트의 출광면을 제공하며 통상적으로 간섭광을 차단해주는 글래어스톱이 구비되어 있고, 출광면에서 나온 광을 평행하게 만들어준다. 이는 후단에 위치하는 투명필름(950)의 간섭광 제거효율을 높여주는 역할도 한다.The color filter 930 passes a narrow band of interest light.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has the effect of simplifying the optical system and makes the image sensor 150 inexpensive, but also limits the interference of sunlight and other light sources to the wavelength band of interest. In other words, the optical characteristics are changed by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and the general camera lens is required to increase the processing precision in order to correct the entire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external environment, thereby increasing the cos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optical system can be simplified because only a narrow band of interest light is passed. The camera lens 940 provides a light exit surface of the lens set and typically has a glastop to block interference light. It is provided, and makes the light from the exit surface parallel. This also serves to increase the interference light removal efficiency of the transparent film 950 located at the rear end.

투명필름(950)은 굴절률이 높고 광투과율이 좋은 플라스틱 박막이 공기를 사이에 두고 다수의 층을 형성한 것으로, 광축에 대하여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각도로 탑재된다.The transparent film 950 is a plastic film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and a high light transmittance, and formed a plurality of layers with air therebetween, and is mounted at an angle satisfying Equation 1 below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Figure 112010049644620-pat00001
Figure 112010049644620-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12028749399-pat00002
는 블루스타 앵글을 의미하고, n은 박막의 굴절률을 의미한다.In Equation (1)
Figure 112012028749399-pat00002
Is the blue star angle, and n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hin film.

이로써 관심광의 광축 방향의 P 편광 성분이 100 퍼센트 투과하고, 사각으로 입사하는 간섭광에 대해서는 일명 프레넬 방정식에 따라 그 각도에 비례하는 만큼 P 편광의 반사율이 높아지게 되어 간섭광 대비 관심광의 투과율이 좋아지게 되며, 박막의 층이 많을수록 효과는 커지게 된다. As a result, the P-polarized componen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ight of interest transmits 100 percent, and for the interference light incident in the square, the reflectance of the P-polarized light increases as proportional to the angle according to the so-called Fresnel equation, so that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of interest to the interference light is good. The more layers of the thin film, the greater the effect.

그리고, 수광부(140)는 투명 필름(950) 후단에 교대로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편광 필름들(960)과, 하나 이상의 위상차 필름들(970)이 포함한다.The light receiver 140 includes one or more polarizing films 960 alternately positioned at the rear ends of the transparent film 950 and one or more retardation films 970.

상기 투명 필름(950)을 통과한 S 편광에 대해서는 다른 양상을 보이므로 상기 투명 필름(950)을 통과된 광을 P 편광 필터로 걸러내어 변별력을 높인다. P 편광 필터를 통과한 후, 관심광의 파장에 비해 반파장만큼 위상차를 갖는 위상차 필름을 통과하게 되면 관심광 파장은 완벽하게 S 편광으로 변환되지만 그 밖의 파장에 대해서는 파장 차이가 클수록 S 편광화 정도가 낮아지므로 후단 위치한 S 편광 필터를 통과할 시에 투과율이 저하되므로 비관심광 대비 관심광 투과 비율을 높이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할수록 그 효과는 커지게 된다.Since the S polarized light passing through the transparent film 950 is different,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transparent film 950 is filtered by the P polarizing filter to increase discrimination power. After passing through the P-polarizing filter and passing through the retardation film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half the wavelength of the light of interest, the wavelength of light of interest is completely converted to S-polarized light, but for other wavelengths, the degree of S-polarization becomes higher. Since the transmittance decreases when passing through the S polarization filter positioned at the rear end, the transmittance of interest light is increased compared to uninterested light. The more you repeat this process, the greater the effect.

전술한 모든 과정을 거치면 결국 광도가 높은 태양광 및 기타 광원의 간섭을 관심광 파장대와 관심광의 입사각 이내로만 국한시키게 될 수 있어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관심광의 전반사 패턴의 변별력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Through all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the interference of high-intensity sunlight and other light sources may be limited only within the wavelength range of light of interest and the angle of incidence of light of interest, thereby increasing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total reflection pattern of the light of interest target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150)의 내부 구성도로서, 광센서(151)와 상기 광센서(151)를 제어하는 제어부(152)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이미지 센서의 광센서는 빨강색(RED), 녹색(GREEN), 파랑색(BLUE)의 광을 감지할 수 있는 광센서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원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15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수광부(140)에 의해 필터링된 협대역의 소정 관심광만을 감지하면 되므로, RED, GREEN, BLUE의 광센서 요소들을 모두 포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광센서(151)의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부(152)도 광센서(151)의 구성이 단순해지므로, 이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 구조가 단순해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수광부(140)에 탑재된 각종 필름 일부 혹은 전부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간섭광 투과홈을 만들어준다. 이는 간섭광의 정도를 측정하여 관심광의 이미지 패턴이 영향받는 정도를 계산하여 보정을 해주는 정보로 사용되는 한편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는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1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image sensor 15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n optical sensor 151 and a controller 152 for controlling the optical sensor 151. A light sensor of a general image sensor is composed of light sensor elements capable of detecting light of red, green, and blue, and the image sensor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Only need to detect the predetermined interest light in the narrow band filter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40 as described above, and thus, it is not necessary to include all the light sensor elements of RED, GREEN, and BLUE. Therefore, not only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optical sensor 151 can be reduced, but also the control unit 152 can also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sensor 151,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circuit structure for controlling the optical sensor 151 can be simplif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ference light transmitting groove as shown in FIG. 12 is made in some or all of the various films mounted on the light receiving unit 140. This is used as information for calibrating by measuring the degree of interference light and calculating the degree of influence of the image pattern of the light of interest, and can also be used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the external illuminance.

Claims (14)

차량 유리면에 밀착되며 입사된 유도광이 유리면에서 전반사되도록 안내하는 광유도부와,
상기 광유도부의 입사측에 설치되어 광원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상기 광유도부의 출사측에 설치되어 수광되는 광에서 협대역의 소정 관심광을 필터링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로부터 필터링된 관심광으로부터 이미지 패턴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발광부의 광원은 면광원이고,
상기 광유도부는 하나 이상의 소형의 프리즘들로 구성되는 톱니 형태를 가지고,
상기 수광부는 대물렌즈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적 감지 장치.
A light induction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and guiding the incident light to be totally reflected from the glass surface;
A light emitting part which is installed on the incident side of the light guide part and emits a light source;
A light receiving unit for filtering a predetermined light of interest in a narrow band from the light received and installed on the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unit;
Including an image sensor for detecting an image pattern from the light of interest filtered from the light receiver,
The light source of the light emitting unit is a surface light source,
The light guide portion has a tooth form consisting of one or more small prisms,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comprises an objective le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렌즈 세트의 출광면을 제공하며, 상기 출광면에서 출사된 광을 평행하게 생성하는 카메라 렌즈와,
상기 카메라 렌즈의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와의 조합으로 수광되는 광에 의한 대상물의 상의 크기가 상기 이미지 센서의 면적보다 크도록 조절하는 대물 렌즈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적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ight receiving unit
A camera lens providing a light exit surface of the lens set, the camera lens generating parallel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xit surface;
And an objective lens positioned at a front end of the camera lens to adjust an image of an object by light received in combination with the camera lens to be larger than an area of the image senso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상기 카메라 렌즈와 대물 렌즈의 사이에 위치하여, 수광되는 광으로부터 협대역의 소정 관심광을 통과시키는 칼라필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적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a color filter positioned between the camera lens and the objective lens to pass a narrow band of interest light from the received light.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는
수광되는 광으로부터 간섭광을 차단해주는 글래어 스톱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적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or 3, wherein the camera lens
And a glare stop for blocking interference light from received light.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상기 카메라 렌즈의 후단에 상기 관심광의 광축에 대하여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각도로 탑재되는 플라스틱 박막이 공기를 사이에 두고 다수의 층으로 형성된 투명 필름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적 감지 장치.
<수학식 1>
Figure 112012028749399-pat00004

상기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12028749399-pat00005
는 블루스타 앵글을 의미하고, n은 박막의 굴절률을 의미함.
The method of claim 2 or 3, wherein the light receiving unit
The thin film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camera lens at an angle satisfying Equation 1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of interest further comprises a transparent film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with air therebetween. Sensing device.
&Quot; (1) &quot;
Figure 112012028749399-pat00004

In Equation (1)
Figure 112012028749399-pat00005
Is the blue star angle, and n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hin film.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투명 필름 후단에 교대로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편광 필름들과, 하나 이상의 위상차 필름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적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one or more polarizing films alternately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transparent film and one or more retardation films.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수광되는 광대역을 변환시키는 형광 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적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or 3, wherein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a fluorescent filter for converting the received broadband.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도부는
차량 유리면의 곡률 반경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우적 감지 장치.
The light guide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light induction unit is used.
The raindrop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adius of curvature small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vehicle glass surface.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도부로부터 출사된 광원을 전반사하는 반사 거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광부는 상기 반사 거울에서 전반사된 광을 수광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적 감지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reflective mirror for total reflection of the light source emitted from the light guide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receives light totally reflected by the reflection mirror.
삭제delete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광유도부와 밀착되는 면광원이 광유도부 계면과 밀착되기 위해 요철 형태 모양으로 제작되어 광유도부와 발광부가 끼워져 밀착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적 감지 장치.
The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is
The surface light source in close contact with the light guide portion is manufactured in a concave-convex shap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terface of the light guide portion, so that the light guide portion and the light emitting portion is fitted in close contact.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필름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간섭광 투과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적 감지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coherent light transmitting groov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one or more films included in the light receiving unit.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유리면과 광유도부 사이에, 상기 차량 유리와 굴절율이 유사한 투명 재질의 탄성층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적 감지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n elastic layer between the vehicle glass surface and the light guide part, the elastic layer having a similar refractive index to the vehicle glass.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은
상기 광 유도부와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고, 상기 접착층은 광유도부와 굴절율이 유사한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적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elastic layer is
And the adhesive layer is adhered by the light guide part and the adhesive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is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similar to that of the light guide part.
KR1020100074320A 2010-07-30 2010-07-30 Rain Sensor KR1012178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320A KR101217811B1 (en) 2010-07-30 2010-07-30 Rain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320A KR101217811B1 (en) 2010-07-30 2010-07-30 Rain Sens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533A Division KR20120044328A (en) 2012-04-10 2012-04-10 Rain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269A KR20120012269A (en) 2012-02-09
KR101217811B1 true KR101217811B1 (en) 2013-01-09

Family

ID=4583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320A KR101217811B1 (en) 2010-07-30 2010-07-30 Rain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81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010B1 (en) 2013-12-17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ntgrated sensor apparatus of vehicle
KR101599731B1 (en) 2014-05-30 2016-03-04 엑센도 주식회사 Total reflection mode rain sensor using a mirr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567A (en) * 2001-12-11 2003-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urface plasmon resonance sensor system
JP2003315256A (en) 2002-04-23 2003-11-06 Mitsubishi Electric Corp Foreign matter detecting device for surface of light transmission body
JP2005531752A (en) 2002-05-18 2005-10-20 エルモス セミコンダクタ アーゲー Rain detector
WO2010076064A1 (en) * 2009-01-02 2010-07-08 Robert Bosch Gmbh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the surroundings of a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567A (en) * 2001-12-11 2003-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urface plasmon resonance sensor system
JP2003315256A (en) 2002-04-23 2003-11-06 Mitsubishi Electric Corp Foreign matter detecting device for surface of light transmission body
JP2005531752A (en) 2002-05-18 2005-10-20 エルモス セミコンダクタ アーゲー Rain detector
WO2010076064A1 (en) * 2009-01-02 2010-07-08 Robert Bosch Gmbh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the surroundings of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269A (en) 201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8696B2 (en) Imaging device, object detector and mobile device control system
US7718943B2 (en) Moisture sensor for optically detecting moisture
EP2020348B1 (en) Optical sensor device
US20150142263A1 (en) Imaging unit, attached matter detector, control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US7348586B2 (en) Exterior element sensor
US9470791B2 (en) Light guide member having a curvatured detection face, object detection apparatus, and vehicle
JP6297238B1 (en) Vehicle display device
KR20140130702A (en) Critical angle optical sensor apparatus
EP3002711B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method, carrier medium, and devic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mounted devices
US9494685B2 (en) Light guide member, object detection apparatus, and vehicle
US11376964B2 (en) Vehicle display device including passage extending through optical member
JP2012520546A (en) Light guide device
US11487114B2 (en) Display device and head-up display device
EP2696195A2 (en) Adhered substance detection apparatus, device control system for movable apparatus, and movable apparatus
JP2003504631A (en) Sensor device for detecting wetness of glass
KR101217811B1 (en) Rain Sensor
WO2016084359A1 (en) Imaging device, object detector and mobile device control system
US8389966B2 (en) Ambient light detecting device for a vehicle
KR20060101834A (en) Improvement of imaging characteristics in infrared ccd camera by fresnel lens and isolator
JP2002534662A (en) Detector for detecting dirt on the transparent plate surface
KR20120044328A (en) Rain sensor
KR20030048023A (en) Sensor unit for automatically switching lighting devices and a coupling medium for a sensor unit
JP2020112710A (en) Head-up display
KR101292334B1 (en) optic sensor device for automobile
KR20180052049A (en) Rain Senso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