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852B1 - Cyclic illumination method for luminous keyboards - Google Patents

Cyclic illumination method for luminous keyboar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852B1
KR101216852B1 KR1020120037856A KR20120037856A KR101216852B1 KR 101216852 B1 KR101216852 B1 KR 101216852B1 KR 1020120037856 A KR1020120037856 A KR 1020120037856A KR 20120037856 A KR20120037856 A KR 20120037856A KR 101216852 B1 KR101216852 B1 KR 101216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value
change factor
light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8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55506A (en
Inventor
유-천 시에
Original Assignee
지피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피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피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55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5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8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발광 키보드를 위한 주기적인 조명 방법은 키보드의 두드림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를 통해 키보드에 있는 광원의 조명 변화를 결정한다. 상기 키보드는 S1: 어둠에서 밝음까지 조명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밝음 증가 모드 및 밝음에서 어둠까지 어둠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어둠 증가 모드에서 광원의 구동 모드를 정의하는 단계; S2: 키보드의 두드림에 의해서 생성되는 키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S3: 상기 키 입력 신호의 빈도수에 따라 변화 요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S4: 상기 광원이 상기 밝음 증가 모드 및 상기 어둠 증가 모드 사이에서 반복적인 광 동작을 생성하도록, 상기 변화 요인에 따라 키보드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드의 변수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통해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발광 키보드는 사용자의 두드림 속도에 의해 숨쉬는 것과 같이 순조로운 광 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Periodic illumination methods for light emitting keyboards determine the change in illumination of a light source on the keyboard through signals generated by tapping on the keyboard. The keyboard may include: S1: defining a driving mode of the light source in a brightness increasing mode for gradually increasing the illumination from dark to bright and in a dark increasing mode for gradually increasing the darkness from bright to dark; S2: detecting a key input signal generated by tapping the keyboard; S3: forming a change facto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key input signal; And S4: changing a variable of a drive mode for driving a keyboard according to the change factor such that the light source generates a repetitive light operation between the bright increase mode and the dark increase mode. It includes. Thus, the light-emitting keyboard can generate a smooth light effect such as breathing by the user's tapping speed.

Description

발광 키보드를 위한 주기적인 조명 방법{CYCLIC ILLUMINATION METHOD FOR LUMINOUS KEYBOARDS}Periodic lighting method for luminescent keyboards {CYCLIC ILLUMINATION METHOD FOR LUMINOUS KEYBOARDS}

본 발명은 발광 키보드를 위한 주기적인 조명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키보드의 두드림 신호를 통해 키보드 광원의 조명 변화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iodic lighting method for a light-emitting key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determining the lighting change of the keyboard light source through the tapping signal of the keyboard.

최근 컴퓨터의 광범위한 다양성은 가정, 네트워크, 통신, 멀티미디어, 컴퓨터 게임, 비지니스, 정보 조직, 금융 기관 등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다양한 유형으로 인간의 삶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컴퓨터의 인기는 일반 대중에게 많은 편리를 제공한다. 그러나, 사람들은 다양한 유형의 주변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컴퓨터와 통신한다. 그들 중, 가장 강력하면서 다목적의 입력 장치는 키보드이다. In recent years, the wide variety of computers has become essential to human life with various types of applications in homes, networks, telecommunications, multimedia, computer games, business, information organizations, and financial institutions. The popularity of computers offers a lot of convenience to the general public. However, people communicate with the computer through various types of peripheral input devices. Among them, the most powerful and versatile input device is the keyboard.

키보드는 컴퓨터에서 가장 자주 이용되는 인터페이스 장치 중 하나이다. 그것은 작가, 기자, 신문 기자, 프로그래머 등 업무에서 텍스트 입력을 필요로하는 많은 사람들의 업무 및 삶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최근 업무 환경은 많은 변화를 겪었다. 많은 사람들은 오랜 시간동안 스크린 및 키보드와 직면해야한다. 냉담한 컴퓨터 장치는 종종 사람들에게 따분한 느낌을 만들어낸다. 그들의 변하지 않는 외형은 사람들을 쉽게 피곤하고 지루하게 만든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키보드 디자인은 더 다양해진 프로파일 또는 발광 효과 등으로 많이 변화하였다. 이 점에서, 발광 다이오드(LED)를 장착한 키보드는 큰 혁신 중의 하나이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키보드를 조명할 수 있고, 재미있는 조명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기분 변화 및 사용자의 깊은 감각적인 느낌을 반영하지 못한다. Keyboards are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interface devices in computers.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work and life of many people who need text input in their work, such as writers, journalists, newspaper reporters, programmers. The work environment has undergone many changes in recent years. Many people have to face screens and keyboards for a long time. Cold computer devices often create boring feelings in people. Their unchanging appearance makes people easily tired and bor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recent keyboard design has been changed a lot, such as more diverse profile or light emitting effect. In this regard, a keyboard equipped with a light emitting diode (LED) is one of the great innovations. The light emitting diode can illuminate the keyboard and provide interesting lighting effects. However, the light emitting diode does not substantially reflect the mood change of the user and the deep sensory feeling of the user.

즉, 사용자의 두드림 속도에 의해 숨쉬는 것과 같이 자연스럽고 순조로운 방법으로 사용자의 기분을 반영하여 광 색상 및 조명을 변화시키는 키보드를 개발해야하는 필요가 있다.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keyboard that changes light color and lighting by reflecting the user's mood in a natural and smooth manner such as breathing by a user's tapping speed.

본 발명의 주목적은 사용자가 제공하는 키보드의 두드림 속도에 따라 숨쉬는 듯 순조롭고 주기적인 어둠과 밝음의 광 효과를 생성할 수 있는 발광 키보드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발광 키보드에 의해 충족되지 않은 요구를 만족시키고자 하는 것이다.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emitting keyboard that can produce a smooth and periodic light effect of the dark and bright as breathing in accordance with the tapping speed of the user provided keyboard, thereby satisfying the needs not met by the conventional light emitting keyboard I will.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광 키보드는 S1: 어둠에서 밝음까지 조명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밝음 증가 모드 및 밝음에서 어둠까지 어둠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어둠 증가 모드에서 광원의 구동 모드를 정의하는 단계, S2: 키보드의 두드림에 의해서 생성되는 키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S3: 상기 키 입력 신호의 빈도수에 따라 변화 요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S4: 상기 광원이 상기 밝음 증가 모드 및 상기 어둠 증가 모드 사이에서 반복적인 광 동작을 생성하도록, 상기 변화 요인에 따라 키보드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드의 변수를 변화시키는 단계에 의해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방법을 구현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 구성은 키보드를 두드리는 동작을 감지하여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키 모듈,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back light) 모듈, 상기 광원에 의해 생성되는 광을 전송하는 광 가이드 구조(light guiding structure) 및 상기 키 모듈 및 상기 백라이트 모듈에 연결되어 키 입력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광원의 어둠 증가 또는 밝음 증가를 제어하는 조절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controller)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방법 및 구성을 통하여, 광 혼합(light-mixing) 효과를 달성하도록 복수의 상이한 광원이 제공되고 배열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ight-emitting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the driving mode of the light source in S1: brightness increase mode to gradually increase the light from dark to bright and darkness increase mode to gradually increase the darkness from bright to dark. S2: detecting a key input signal generated by tapping the keyboard; S3: forming a change facto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key input signal; and S4: the light source increases the brightness increase mode and the darkness increases. And one or more light sources driven by varying the parameters of the drive mode for driving the keyboar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factor to produce repetitive light behavior between modes.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the above-mentioned method. The configuration includes a key module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by sensing a tapping operation of the keyboard, a back light module including one or more light sources, and a light guiding structure for transmitti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And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key module and the backlight module to receive a key input signal to generate an adjustment signal for controlling the increase in darkness or increase in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Through the method an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ifferent light sources can be provided and arranged to achieve a light-mixing effect.

종래 기술에 비해, 상기 본 발명은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Compared with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many advantages.

특히, 1. 종래의 발광 키보드는 대부분 펌웨어(firmware) 또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광 동작을 제어하는 반면, 상기 본 발명은 사용자가 키보드를 두드리는 빈도수 및 속도를 직접 감지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발광 키보드의 광 동작에 영향을 줌으로써, 광 변화가 사용자의 기분을 더 친밀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In particular, 1. Conventional light emitting keyboards mostly control optical operation via firmware or software, whereas the present invention directly detects the frequency and speed at which a user taps the keyboard, thereby directly or indirectly allow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keyboard. By affecting the motion, the light change can more closely reflect the user's mood.

2. 또한, 본 발명은 단일의 광원을 통해 밝음과 어둠의 변화를 달성하기 위해서, 다양한 색상의 광원을 적용하여 다양한 광원의 밝음 및 어둠의 변화를 통해 광 혼합 효과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발광 키보드가 밝음 및 어둠의 변화를 생성하고 여러가지의 멀티 색상(multi-color) 변화를 생성하도록 한다.2.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light source of a variety of colors to achieve a light and dark change through a single light source, by generating a light mixing effect through the light and dark changes of various light sources, Allows you to generate light and dark variations and to produce a variety of multi-color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변화 요인 실시예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동 방법 실시예의 블럭도.
도 5a는 본 발명의 구동된 광원에 대한 실시예의 파형도.
도 5b는 본 발명의 구동된 광원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파형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블럭도.
1 is a flow 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variation facto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driving metho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waveform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driven light source of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 waveform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 driven light sour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발광 키보드에서 하나 이상의 광원(40)을 구동하는 발광 키보드를 위한 주기적인 조명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방법은, S1: 어둠에서 밝음까지 조명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밝음 증가 모드 및 밝음에서 어둠으로 어둠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어둠 증가 모드에서 광원의 구동 모드를 정의하는 단계; S2: 키보드의 두드림에 의해서 생성되는 키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S3: 상기 키 입력 신호의 빈도수에 따라 변화 요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S4: 상기 광원이 상기 밝음 증가 모드 및 상기 어둠 증가 모드 사이에서 반복적인 광 동작을 생성하도록, 상기 변화 요인에 따라 키보드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드의 변수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방법을 구현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 구성은 사용자의 두드림에 의해 키 입력 신호(11)를 생성하는 키보드(10) 및 상기 키 입력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부(30)에 의해 순서대로 수신되는 변화 요인(A)을 생성하는 감지부(20)를 포함한다. 상기 변화 요인(A)을 통해, 구동 모드의 변수가 변화되어 광원(40)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광원(40)은 밝음에서 어둠까지 및 어둠에서 밝음까지 사이에서 주기적인 형태로 반복적인 광 동작을 생성한다. 상기 감지부(20)는 상기 키 입력 신호를 합산하는 카운터(counter)가 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광원을 구동하는 펄스 복 변조기(modulator)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20) 및 상기 구동부(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빈도수 생성부(50)를 포함하여 상기 변화 요인(A)을 변화시키는 일정한(constant) 빈도수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키보드(10)가 사용되지 않는 상태이거나 또는 상기 키 입력 신호(11)를 생성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상기 변화 요인(A)이 계속해서 일정한 변화값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그로 인해, 상기 키보드(10)가 두드려지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키보드(10)의 광원(40)이 일정한 속도에서 조명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원(40)은 복수의 상이한 형태를 포함하여, 반복적이고 상이한 광 동작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광원(40)은 복수의 상이한 색상을 포함하여, 혼합 빛과 색상을 만들기 위하여 고유한 광 동작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광 키보드는 단일의 색상 조명 변화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이한 색상의 빛의 변화를 생성할 수 있다.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iodic illumination method for a light emitting keyboard to drive one or more light sources 40 in the light emitting keyboard.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S1: defining a driving mode of a light source in a brightness increasing mode for gradually increasing the illumination from dark to bright and in a dark increasing mode for gradually increasing the darkness from bright to dark; S2: detecting a key input signal generated by tapping the keyboard; S3: forming a change facto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key input signal; And S4: changing a variable of a drive mode for driving a keyboard according to the change factor such that the light source generates a repetitive light operation between the bright increase mode and the dark increase mod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the above-mentioned method. The configuration may include a keyboard 10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11 by tapping a user, and a sensing unit generating change factors A sequentially received by the driver 30 by receiving the key input signal ( 20). Through the change factor A, the variable of the driving mode is changed to drive the light source 40, so that the light source 40 performs a repetitive light operation in a cyclic manner between bright to dark and dark to bright. Create The sensing unit 20 may be a counter that adds up the key input signals. The driver 30 includes a pulse double modulator driving the light source. The detector 20 and the driver 30 may be a microprocesso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equency generating unit 50 to generate a constant frequency for changing the change factor (A), so that the keyboard 10 is not used or the key input signal 11 is generated. Even if it cannot generate, the change factor A can continue to have a constant change value. Therefore, even when the keyboard 10 is not knocked, the light source 40 of the keyboard 10 can be varied in various ways at a constant speed. The light source 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fferent forms to produce repetitive and different light operations. That is, the light source 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fferent colors to generate unique light behavior to produce mixed light and colors. Thus, the light-emitting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provide a single color illumination change, but also generate a change of light of different colors.

상기 논의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변화 요인을 구현하는 실시예를 위한 도 3을 참조한다. 상기 변화 요인(A)은 부가된 키 입력 신호(11)의 빈도수이다. 판단은 S31: 초기 상태가 상기 변화 요인의 증가가 누적되는 밝음 증가 모드인지 또는 상기 변화 요인의 감소가 누적되는 어둠 증가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S32: 상기 광원의 조명이 밝음 증가 모드에서 최고값인지를 판단하여, 최고값에 해당하면 어둠 증가 모드로 재정의하고, 최고값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변화 요인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논의된 상기 진행은 상기 변화 요인(A)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변화 방법이다. 상기 변화 요인(A)은 상기 광원(40)의 밝음 및 어둠의 변화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변화 요인(A)의 값이 클수록, 상기 광원(40)은 밝아진다. 반대로, 상기 변화 요인(A)의 값이 작을수록, 상기 광원(40)은 어두워진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상기 최초 변화 요인(A)이 최고값 및 최소값 사이의 중간값인 경우 및 최초 구동 모드가 밝음 증가 모드인 경우, 즉, 상기 S32 단계에서 상기 키보드(10)가 키 입력 신호(11)를 생성하기 위해서 두드려질 때, 상기 광원(40)의 조명이 최고값인지, 상기 변화 요인(A)이 최고값이 아닌지, 상기 광원은 가장 밝은 상태가 아닌지 여부의 판단을 통해 밝음 증가 모드로 정의되면, 키 입력 신호(11)의 생성과 함께 상기 광원(40)이 가장 밝은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변화 요인(A)의 값을 증가시킨다. 이 후, 상태 판단을 통하여, S32 단계에서 S33 단계로 넘어가서 어둠 증가 모드로 구동 모드를 재정의한다. 그 결과, 상기 키 입력 신호(11)가 생성되면, S33 단계에서 상태 판단이 실행되어, 상기 광원(40)이 가장 어두운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키 입력 신호(11)의 생성과 함께 상기 변화 요인(A)의 값을 감소시킨다. 이 후, 밝음 증가 모드로 재정의한다. 따라서, 상기 광원(40)은 상기 변화 요인(A) 값의 변화와 함께 상기 밝음 증가 모드 및 어둠 증가 모드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조명 변화를 생성할 수 있다.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reference is made to FIG. 3 for an embodiment implementing the change f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ge factor A is the frequency of the added key input signal 11. The determination may be made in S31: determining whether the initial state is a brightness increase mode in which the increase of the change factor is accumulated or a darkness increase mode in which the decrease of the change factor is accumulated; And S32: determining whether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 source is the highest value in the bright increase mode, redefining the dark increase mode if the peak value corresponds to the maximum value, and increasing the change factor if the maximum value does not correspond to the maximum value. . The progress discussed above is a basic change method applicable to the change factor (A). The change factor A is used to determine the change in brightness and darkness of the light source 40. The larger the value of the change factor A is, the brighter the light source 40 becomes. Conversely, the smaller the value of the change factor A, the darker the light source 40 is. See, for example, FIGS. 1-3. When the initial change factor (A) is the intermediate value between the highest value and the minimum value and the initial driving mode is the bright increase mode, that is, the keyboard 10 to generate the key input signal 11 in the step S32 When tapping, the key is defined as the brightness increase mode by determining whether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 source 40 is the highest value, the change factor A is not the highest value, and whether the light source is not the brightest state. With the generation of the input signal 11 the value of the change factor A is increased until the light source 40 reaches the brightest state. Thereafter, through the state determination,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32 to step S33 to redefine the driving mode to the dark increase mode. As a result, when the key input signal 11 is generated, state determination is performed in step S33, and the change factor with the generation of the key input signal 11 until the light source 40 reaches the darkest state. Decrease the value of (A). After that, redefine the brightness increase mode. Accordingly, the light source 40 may repeatedly generate an illumination change between the bright increase mode and the dark increase mode with the change of the change factor A value.

본 발명의 구동 방법에 관한 실시예의 블럭도인 도 4를 참조한다. 도 4는 변화 요인(A)을 통해 광원(40)을 구동하는 접근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S41: 상기 광원(40)을 구동하는 구동 주기를 정의하는 단계; 및 S42: 상기 구동 주기에서 상기 조명값에 대응하는 상기 점화 주기에서 상기 광원의 밝음 및 어둠이 상기 변화 요인의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한다. 구동 주기(T1)는 상기 광원(40)의 광 지속 기간이다. 상기 광원(40)이 사용자 시야의 피로를 야기하는 지나친 깜빡임(twinkling)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 주기(T1)는 바람직하게 약 16.7ms 아래로(즉, 약 60Hz 보다 큰 주파수로) 설정된다. 상기 구동 주기(T1)에서 상기 변화 요인(A)의 값은 점화 주기(T20)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변화 요인(A)의 값이 작아지면, 상기 점화 주기(T20)는 도 5a에 도시되는 더 짧아진 점화 주기(T21)가 된다. 상기 변화 요인 (A)의 값이 커지면, 상기 점화 주기(T20)는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더 길어진 점화 주기(T22)가 된다. 상기 언급한 접근을 통해, 상기 광원(40)의 조명은 상기 변화 요인(A)의 변화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Reference is made to Fig. 4, which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driv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4 provides an approach for driving the light source 40 through the change factor A. As shown in FIG. In addition, S41: defining a driving period for driving the light source 40; And S42: changing the brightness and darkness of the light sourc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factor in the ignition period corresponding to the illumination value in the driving period. See Figures 5A and 5B for details. The driving period T1 is the light duration of the light source 40. In order to avoid excessive twinkling in which the light source 40 causes fatigue of the user's field of view, the drive period T1 is preferably set below about 16.7 ms (ie at a frequency greater than about 60 Hz). The value of the change factor A in the driving period T1 corresponds to the ignition period T20. For example, when the value of the change factor A becomes small, the ignition period T20 becomes a shorter ignition period T21 shown in Fig. 5A. When the value of the change factor (A) increases, the ignition period T20 becomes a longer ignition period T22 as shown in FIG. 5B. Through the above-mentioned approach,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 source 40 can be determined by the change of the change factor (A).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도 6을 참조한다. 본 발명은 주기적인 조명에 의한 발광 키보드를 제공한다. 상기 발광 키보드는 키모듈(60), 제어기(70) 및 백라이트 모듈(80)을 포함한다. 상기 키 모듈(60)은 상기 키보드의 두드림 동작의 감지에 의한 키 입력 신호(61)를 생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키 및 회로판을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모듈(80)은 광원(81)에 의해 생성되는 광을 전송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광원(81) 및 광 가이드 구조(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81)은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가이드 구조는 반투명한 플라스틱, 광섬유 등의 광 가이드 물질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70)는 전기적으로 상기 키 모듈(60) 및 상기 백라이트 모듈(80)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70)는 키 입력 신호(61)를 수신하고 변조 신호(73)를 생성하여, 상기 광원(81)의 점진적인 밝음 또는 점진적인 어둠을 제어하고, 주기적인 조명으로 발광 키보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70)는 상기 키 입력 신호(61)를 합산하고, 동시에 변화 요인(A)을 생성한다. 상기 변조기(72)는 상기 변화 요인(A)에 대응하는 변조 신호(73)를 생성한다. Reference is made to FIG. 6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emitting keyboard with periodic illumination. The light emitting keyboard includes a key module 60, a controller 70, and a backlight module 80. The key module 60 includes a plurality of keys and a circuit board to generate a key input signal 61 by detecting the tapping operation of the keyboard. The backlight module 80 includes one or more light sources 81 and a light guide structure (not shown) to transmit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s 81. The light source 81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LED). The light guide structure may be made of a light guide material such as a translucent plastic or an optical fiber. The controller 7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key module 60 and the backlight module 80. The controller 70 receives a key input signal 61 and generates a modulation signal 73 to control the gradual light or gradual darkness of the light source 81 and form a light emitting keyboard with periodic illumination. The controller 70 also adds up the key input signal 61 and simultaneously generates a change factor A. The modulator 72 generates a modulated signal 73 corresponding to the change factor (A).

도 6에서 도시되는 실시예는 복수의 상이한 광원(81)을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70)는 상기 광원(81)에 일치하는 다양한 변조 신호(73)를 생성하고, 상기 키 입력 신호(61)에 합산하는 하나 이상의 카운터(counter)(71)를 포함하며, 동시에 하나 이상의 변화 요인(A)을 생성하고, 상기 변화 요인(A)에 대응하는 상기 변조 신호(73)를 생성하는 변조기(72)를 포함한다. 상이한 카운터(71), 상이한 변화 요인(A), 상이한 변조 신호(73) 또는 상이한 변조기(72) 또는 그들의 조합을 통해, 상기 광원(81)은 상이한 변화를 생성하도록 구동된다. 상기 광원(81)은 도 5a 및 도 5b에서 도시되는 형태에서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형태에서 상기 변조 신호(73)는 상기 광원(81)을 구동하는 구동 주기(T1)로 정의된다. 상기 구동 주기(T1)는 상기 변화 요인(A)에 대응하는 점화 주기(T20)를 포함한다. 상기 원리는 먼저 언급한 바와 같이, 변화 요인(A)의 변화를 통해 점화 주기(T20)의 변화 지속 기간을 변경하여, 상기 광원(81)의 점화 시간을 결정한다. 상기 키 모듈(60)이 두드려지지 않거나 키 입력 신호(61)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광원(81)이 일정한 속도로 조명 변화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실시예는 상기 변화 요인(A)을 변화시키는 제어기(70)로 전송되는 일정한 빈도수를 생성하는 빈도수 생성기(9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키 모듈(60)이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기본적인 조명 변화를 계속해서 유지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유용성을 향상시킨다.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can be applied for a plurality of different light sources 81. The controller 70 includes one or more counters 71 for generating various modulation signals 73 corresponding to the light sources 81 and summing them to the key input signals 61 and at the same time one or more counters 71. And a modulator 72 for generating a change factor A and generating the modulated signal 73 corresponding to the change factor A. Through different counters 71, different change factors A, different modulated signals 73 or different modulators 72,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light sources 81 are driven to produce different changes. The light source 81 may be driven in the form shown in FIGS. 5A and 5B, in which the modulation signal 73 is defined as the drive period T1 for driving the light source 81. The driving period T1 includes an ignition period T20 corresponding to the change factor A. As mentioned above, the principle changes the duration of change of the ignition period T20 through the change of the change factor A to determine the ignition time of the light source 81. Even if the key module 60 is not knocked or the key input signal 61 is not generated, the embodiment provides the change factor A so that the light source 81 can maintain the lighting change at a constant speed. It further includes a frequency generator 90 for generating a constant frequency sent to the controller 70 to change. Thus, even when the key module 60 fails to generate a key input signal, the usefuln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by continuing to maintain the basic lighting change.

본 발명이 특정한 실시예에 의해서 설명되었지만, 당업자에 의해 청구항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언급한 설명을 요약하면,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비해 주요한 발전을 제공하고, 특허 출원의 요건을 만족하며, 특허권에 상응하는 검토 및 승인을 위해 특허청에 제출될 수 있다. In summar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jor advance over the prior art, satisfies the requirements of a patent application, and can be submitted to the Office for review and approval corresponding to a patent right.

Claims (3)

발광 키보드의 하나 이상의 광원을 구동하는 발광 키보드를 위한 주기적인 조명 방법에 있어서,
S1: 키보드의 두드림에 의해서 생성되는 키 입력 신호들을 감지하는 단계;
S2: 상기 키 입력 신호들의 빈도수에 따라 변화 요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S3: 밝음 및 어둠 사이에서 반복적인 광 동작을 생성하도록, 상기 변화 요인의 값을 기초로 상기 광원의 밝음 및 어둠의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변화 요인의 값이 클수록 상기 광원은 밝아지고, 상기 변화 요인의 값이 작을수록 상기 광원은 어두워지며,
S31: 상기 광원을 구동하는 구동 주기를 정의하는 단계; 및
S32: 상기 변화 요인의 변화에 따라 상기 광원의 밝음 및 어둠이 변할 수 있도록, 상기 광원의 조명 값을 상기 구동 주기내의 점화 주기에 대응시키는 단계에 따라 상기 변화 요인을 기초로 상기 광원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기적인 조명 방법.
A periodic illumination method for a light emitting keyboard for driving one or more light sources of the light emitting keyboard,
S1: detecting key input signals generated by tapping of the keyboard;
S2: forming a change facto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key input signals; And
S3: determining a change in the brightness and darkness of the light source based on the value of the change factor, so as to generate a repetitive light operation between light and dark, wherein the larger the value of the change factor, the light source becomes brighter. The smaller the value of the change factor, the darker the light source is.
S31: defining a driving period for driving the light source; And
S32: The light source is driven based on the change factor according to the step of matching the illumination value of the light source to the ignition period in the drive cycle so that the brightness and the darkness of the light source may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hange factor. Periodic illumination method characterized by the ab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가 두드려지면 상기 키 입력 신호들의 상기 빈도수에 의해 형성된 상기 변화 요인은,
S21: 상기 광원의 초기 상태가, 상기 변화 요인이 작은 값에서 큰 값으로 증가하는 밝음 증가 모드인지 또는 상기 변화 요인이 큰 값에서 작은 값으로 감소하는 어둠 증가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S22: 상기 광원의 조명이 상기 밝음 증가 모드에서 최고 값인지를 판단하여, 최고 값에 해당하면 어둠 증가 모드로 재정의하고, 최고 값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변화 요인의 값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S23: 상기 광원의 조명이 상기 어둠 증가 모드에서 최소값인지를 판단하여, 최소값에 해당하면 밝음 증가 모드로 재정의하고, 최소값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변화 요인의 값을 감소시키는 단계에 의해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기적인 조명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keyboard is hit, the change factor formed by the frequency of the key input signals is
S21: determining whether the initial state of the light source is a brightness increasing mode in which the change factor increases from a small value to a large value or a dark increasing mode in which the change factor decreases from a large value to a small value; And
S22: determining whether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 source is the highest value in the bright increase mode, redefining to the dark increase mode if it corresponds to the highest value, and increasing the value of the change factor if not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value; And
S23: Determine whether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 source is the minimum value in the dark increase mode, and if it corresponds to the minimum value, redefine the brightness increase mode, and if it does not correspond to the minimum value, reduce the value of the change factor. Periodic lighting method.
삭제delete
KR1020120037856A 2009-03-02 2012-04-12 Cyclic illumination method for luminous keyboards KR10121685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8106603A TW201034040A (en) 2009-03-02 2009-03-02 Brightness circulation method for luminous keyboard
TW098106603 2009-03-0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750A Division KR20100099056A (en) 2009-03-02 2010-02-26 Cyclic illumination method for luminous keyboar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506A KR20120055506A (en) 2012-05-31
KR101216852B1 true KR101216852B1 (en) 2012-12-28

Family

ID=430056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750A KR20100099056A (en) 2009-03-02 2010-02-26 Cyclic illumination method for luminous keyboards
KR1020120037856A KR101216852B1 (en) 2009-03-02 2012-04-12 Cyclic illumination method for luminous keyboards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750A KR20100099056A (en) 2009-03-02 2010-02-26 Cyclic illumination method for luminous keyboard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100099056A (en)
TW (1) TW20103404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1068A1 (en) 2019-07-26 2021-02-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uman interface devices with lighting mod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98859A (en) * 2015-06-19 2015-09-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1068A1 (en) 2019-07-26 2021-02-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uman interface devices with lighting modes
EP4004698A4 (en) * 2019-07-26 2023-04-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uman interface devices with lighting mo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34040A (en) 2010-09-16
TWI372410B (en) 2012-09-11
KR20100099056A (en) 2010-09-10
KR20120055506A (en)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8972B2 (en) Keyboard with increased control of backlit keys
CN101399011B (en) Video displaying apparatus
CN101221308A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RU2010154084A (e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ING CONNECTED USER LOAD AND LIGHTING SYSTEM USING SUCH USER INTERFACE DEVICE
JP2004046140A (en) Display device and color display method
WO2012039909A1 (en) Backlight system for a display
TWI454125B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flickering modulating method for light emitting element thereof
CN103680417B (en) For driving equipment and the method for the light source in back light unit
US8334866B2 (en) Methods, systems, devices and compon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n LCD backlit by LEDs
US10172430B2 (en) Gel nail photocuring machine with multicolor light effects
KR20110083824A (en) Back 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CN106797694A (en) The mixing of the combination of light emitting diode and local brightness adjustment control
KR101216852B1 (en) Cyclic illumination method for luminous keyboards
KR101581170B1 (en) Backlight driving method and backlight driv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8780627A (en) A kind of the backlight power control method and liquid crystal display of liquid crystal display
CN102375475A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light effect displaying method thereof
CN106354317A (en) Touch display panel and device
US8259058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backlighting of a flat screen
US8552985B2 (en) Keyboard illumination
KR20090011339U (en) The PWM control method with the LED control device
JP2001351788A (en) Light-generating apparatus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DE60334537D1 (en) IMPROVING THE WINDOW BRIGHTNESS FOR AN LCD DISPLAY
US20130070444A1 (en) Control method for backlight of an input device and device thereof
KR200467872Y1 (en) Light color adjustment structure for illuminated keyboards
JPH05249907A (en) Display ligh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