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840B1 - Keyboard layout and input system for japanese - Google Patents

Keyboard layout and input system for japane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840B1
KR101216840B1 KR1020120035008A KR20120035008A KR101216840B1 KR 101216840 B1 KR101216840 B1 KR 101216840B1 KR 1020120035008 A KR1020120035008 A KR 1020120035008A KR 20120035008 A KR20120035008 A KR 20120035008A KR 101216840 B1 KR101216840 B1 KR 101216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ion key
key
selection
selecting
belo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0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우영
Original Assignee
허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우영 filed Critical 허우영
Priority to KR1020120035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840B1/en
Priority to JP2012177286A priority patent/JP52202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840B1/en
Priority to JP2013015377A priority patent/JP559990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Japanese keyboard and a Japanese input system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an alphabet and Japanese, thereby supplying a simplified keyboard layout. CONSTITUTION: A display unit includes a vowel unit(100) including a first selection key to a fifth selection, and a consonant unit(200) including a sixth selection key to a twelfth selection key. When one selection key or plural selection keys included in the vowel unit, and the consonant unit is combined and selected, a controller generates a character. The controller delivers character information to display the character.

Description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Keyboard layout and Input system for Japanese}Japanese keyboard and Japanese input system {Keyboard layout and Input system for Japanese}

본 발명은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단순화된 문자 배열과 터치 및 슬라이딩을 포함하는 동작으로 다양한 문자들을 표시할 수 있는 새로운 일본어 자판 및 입력 시스템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apanese keyboard and a Japanese input system, and in particular, proposes a new Japanese keyboard and input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characters by an operation including a simplified character arrangement and touch and sliding.

일본어 문자는 50 음도표(五十音圖表)에 나타난 것처럼 5단(段) 10행(行)으로 이루어져 있다. 5단은 아단(あ段), 이단(い段), 우단(う段), 에단(え段), 오단(お段)으로 이루어지고, 10행은 아행(あ行), 가행(か行),사행(さ行), 다행(た行), 나행(な行), 하행(は行), 마행(ま行), 야행(や行), 라행(ら行), 와행(わ行)으로 이루어진다. Japanese characters are made up of five columns and ten rows, as shown in the 50th melody. The fifth stage consists of Adan, heresy, velvet, Edan, and Odan, and the tenth row is A line and Ka line. , Throws of line, line of line, line of line, line of line, line of line, line of line, line of line, line of line, line of line, line of line, line of line .

또한, 일본어 문자는 상기와 같이 5단 10행에 나타난 문자 이외에도 발음(撥音:はつおん: 즉, 「ん」), 탁음(濁音,「 " 」), 반탁음(半濁音, 「 °」), 촉음(促音, 「っ」), 소문자 모음(小文字 母音), 문장 부호(文章 符號)가 존재하며, 이들과 문자들이 병합되어 장음(長音), 요음(拗音) 등이 생성된다.In addition to the characters shown in 5 columns and 10 lines, Japanese characters are also pronounced (撥 音: HAT), tak sound, ", 반 (°). , Tactiles (っ), lowercase vowels, and punctuation marks exist, and the letters and letters are merged to produce long sounds and long notes.

컴퓨터나 휴대전화기 등의 전자기기에서 일본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많은 문자를 하나의 자판에 배열하여야 한다. 최근 스마트 기기나 휴대용 디스플레이의 경우 작은 표시 화면으로 인하여 문자 입력을 위한 자판을 표시하는데 한계가 있다. 입력하고자 하는 일본어의 문자들에 비해서 문자 입력 버튼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1개의 키에 여러 문자를 복합적으로 배열하거나 문자 표시 화면을 트리(tree) 구조로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In order to input Japanese characters i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omputer or a mobile phone, many characters must be arranged in one keyboard. Recently, a smart device or a portable display has a limitation in displaying a keyboard for character input due to a small display screen. Since the number of character input buttons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Japanese characters to be input, a method of sequentially arranging several characters on one key or sequentially displaying a character display screen in a tree structure has been proposed.

이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문자 입력 버튼을 눌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휴대폰 등 표시 화면이 작은 전자기기에서는 일부 손가락만으로 일일이 키패드의 한정된 자판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문자를 잘못 입력하는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In this case, in order to input a character desired by the user, it is inconvenient to press a plurality of character input buttons. In addition,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small display screen such as a mobile phone, an error of incorrectly entering a character is likely to occur in the process of inputting a limited keyboard of a keypad with only a few fingers.

또한, 일본어의 경우 기본 문자 이외에도 기호나 다른 문자가 결합되어 새로운 음이나 의미를 가진 문자가 생성되고, 이러한 다양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터치스크린의 문자 입력부에 있는 각종 문자를 반복적으로 터치해야 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Japanese, a character having a new sound or meaning is generated by combining symbols or other characters in addition to the basic characters, and in order to display these various characters, various characters in the character input unit of the touch screen must be repeatedly touched.

그러나,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서는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글자 및 단어 구성을 위한 모든 문자를 한번에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대표문자(12)만을 표시한 기본 자판(10)을 문자 입력부로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문자 입력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이 경우, 기본 대표문자를 반복적으로 터치하여 원하는 문자 또는 문자 조합을 만들어 입력하고 있다.However,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since it is not possible to display all the letters for forming letters and words on one display at a time, the basic keyboard 10 displaying only the basic representative characters 12 as shown in FIG. 1. There has been proposed a text input method of displaying on a display by a text input unit. In this case, the basic representative character is repeatedly touched to create and input a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 combination.

이러한 문자 입력 방법 하에서는 원하는 문자나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를 터치함으로써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이고, 반복적 터치 과정에서 입력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특히 문자와 문자가 병합되어 만들어지는 장음 등의 혼합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많은 입력 회수가 요구된다.Under such a character input method, it takes a lot of time by repeatedly touching the display to input a desired character or word, and also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an input error during the repeated touch process. In particular, a large number of inputs are required for inputting a mixed character such as a long sound that is made by merging characters with characters.

이와 같이 전자기기가 소형화되고, 터치스크린이 평판 디스플레이의 핵심 기술로 부상함에 따라 기존의 키보드 등의 입력키나 터치스크린의 문자판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문자 입력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As the electronic devices become smaller and the touch screen emerges as a core technology of a flat panel display, a new character input method that can replace an input key of a conventional keyboard or the dial of a touch screen is required.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 크기가 작은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편리하게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는 새로운 일본어 자판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under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backgroun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Japanese keyboard which can conveniently input Japanese even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mall screen siz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본어 문자 입력 시 입력 회수를 줄이면서도 다양한 문자 및 문자 조합을 표시할 수 있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apanese input system that can display various characters and character combinations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inputs when inputting Japanese character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자 입력이 쉽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혼합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method that can easily input characters and input mixed characters in a systematic manner.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resent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あ단에 속하는 문자(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를 선택하는 제1선택키와, い단에 속하는 문자(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를 선택하는 제2선택키와, う단에 속하는 문자(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る)를 선택하는 제3선택키와, え단에 속하는 문자(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를 선택하는 제4선택키와, お단에 속하는 문자(お こ そ と の ほ も ろ)를 선택하는 제5선택키를 포함하는 모음부; 및 か행에 속하는 문자(か き く け こ)를 선택하는 제6선택키와, さ행에 속하는 문자(さ し す せ そ)를 선택하는 제7선택키와, た행에 속하는 문자(た ち つ て と)를 선택하는 제8선택키와, な행에 속하는 문자(な に ぬ ね の)를 선택하는 제9선택키와, は행에 속하는 문자(は ひ ふ へ ほ)를 선택하는 제10선택키와, ま행에 속하는 문자(ま み む め も)를 선택하는 제11선택키와, ら행에 속하는 문자(ら り る れ ろ)를 선택하는 제12선택키를 포함하는 자음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음부는 제2선택키를 중심으로 제1선택키, 제3선택키, 제4선택키, 제5선택키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일본어 자판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A-end (あ か さ た は ま ら) and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い -dan (い き し ち に み り) The second selection key to select, the third selection key to select th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う group (う す す つ ぬ ふ む る) A vowel portion including a fourth selection key and a fif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letter belonging to the column お (お こ そ と の も ろ ろ); And a six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か line (か き け こ), a seven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さ line (さ す せ そ), and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た line (たThe eigh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ち つ て と), the nin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characters belonging to な (な に ね の の), and th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は line (は ふ ふ ほ) A consonant comprising a tenth selection key, an eleven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a ま line, and a twelf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a ら line (ら り れ ろ) The collection unit provides a Japanese keyboard for display, wherein the first selection key, the third selection key, the fourth selection key, and the fifth selection key are arranged radially around the second selection key. do.

또한 본 발명은 あ단에 속하는 문자(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를 선택하는 제1선택키와, い단에 속하는 문자(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를 선택하는 제2선택키와, う단에 속하는 문자(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る)를 선택하는 제3선택키와, え단에 속하는 문자(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를 선택하는 제4선택키와, お단에 속하는 문자(お こ そ と の ほ も ろ)를 선택하는 제5선택키를 포함하는 모음부; 및 か행에 속하는 문자(か き く け こ)를 선택하는 제6선택키와, さ행에 속하는 문자(さ し す せ そ)를 선택하는 제7선택키와, た행에 속하는 문자(た ち つ て と)를 선택하는 제8선택키와, な행에 속하는 문자(な に ぬ ね の)를 선택하는 제9선택키와, は행에 속하는 문자(は ひ ふ へ ほ)를 선택하는 제10선택키와, ま행에 속하는 문자(ま み む め も)를 선택하는 제11선택키와, ら행에 속하는 문자(ら り る れ ろ)를 선택하는 제12선택키를 포함하는 자음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또는 상기 모음부와 자음부에 속하는 선택키들을 조합하여 선택하면 문자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해당 문자를 표시하도록 문자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letter belonging to the あ step (あ か さ た は ま ら), and a second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letter belonging to the i step (い し し に に み り) And a third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letter belonging to the う step (う く す つ つ ぬ む る る), a four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letter belonging to the え step (え け せ て ね め れ れ), A vowel section including a fif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letter belonging to the column お (お こ そ と の も ろ ろ); And a six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か line (か き け こ), a seven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さ line (さ す せ そ), and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た line (たThe eigh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ち つ て と), the nin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characters belonging to な (な に ね の の), and th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は line (は ふ ふ ほ) A consonant comprising a tenth selection key, an eleven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a ま line, and a twelf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a ら line (ら り れ ろ)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a display unit, a selection key belonging to the vowel section, or a combination of selection keys belonging to the vowel section and the consonant section to generate text to display text on the display. Provides Japanese input system to include.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한 문자 체계를 가진 일본어에 대해 간단한 방식으로 다양한 문자 및 문자의 조합을 입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racters and combinations of characters can be input in a simple manner for Japanese having a complicated character system.

특히, 알파벳(alphabet)과 일본어를 대응시켜 단순화된 자판 배열을 구성할 수 있고,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간단한 문자 생성 원리를 적용할 수 있다. In particular, a simplified keyboard layout can be constructed by mapping alphabet and Japanese, and a simple character generation principle can be applied by sliding operation.

또한, 문자 입력 및 혼합 문자의 생성이 이해하기 쉬운 규칙에 의해 결정되므로 암기하지 않고도 여러가지 다양한 혼합 문자를 기본 원리에 입각하여 쉽게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character input and generation of mixed characters are determined by easy-to-understand rules, various various mixed characters can be easily displayed based on basic principles without memorizing them.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등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작은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문자판을 확대시키거나 문자 입력부에 많은 문자를 포함시킴으로써 문자 크기가 협소해지는 단점을 제거할 수 있고, 문자의 조합에 따라 새로운 병합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 문자 입력 과정에서 터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disadvantage of narrowing the text size by enlarging the dial or including a large number of characters in the text input device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small display size such as a smart phone. In this case, touch errors can be reduced during the character input process.

도 1은 스마트폰용 일본어 자판을 보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자판을 보인 모식도.
도 3a 및 3b는 모음부 자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모식도.
도 4는 청음의 생성 규칙을 보인 표.
도 5는 문자 생성을 위한 슬라이딩 동작을 보인 모식도.
도 6은 문자 생성을 위한 슬라이딩 동작을 보인 다른 모식도.
도 7은 탁음의 생성 규칙을 보인 표.
도 8은 반탁음의 생성 규칙을 보인 표.
도 9는 요음의 생성 규칙을 보인 표.
도 10은 촉음의 생성 규칙을 보인 표.
도 11은 문자 생성을 위한 슬라이딩 동작을 보인 또 다른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자판을 보인 모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자판을 보인 모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자판을 보인 모식도.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Japanese keyboard for a smartphone.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Japanese keyboar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and 3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owel keyboard.
4 is a table showing a rule for generating hearing.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liding operation for generating characters.
6 is another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liding operation for character generation.
7 is a table showing a rule of generating a sound.
8 is a table showing a rule of generation of half-tone sound.
9 is a table showing a rule of generating a sound.
10 is a table showing a rule for generating a touch.
11 is another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liding operation for character generation.
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Japanese keyboar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Japanese keyboar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Japanese keyboar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문자 체계가 복잡한 일본어에 대하여 화면 크기가 협소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서도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키고, 다양한 문자 조합을 보다 편리하게 입력시킬 수 있으며, 입력 과정에서 오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문자 입력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일본어 자판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character input speed and enables convenient input of various character combinations, even through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narrow screen size for Japanese with a complicated character system, and a new character that can drastically reduce typos in the input process. We propose an input system and Japanese keyboard for it.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자판은 자음(子音, consonant)과 모음(母音, vowel)의 조합 방식을 이용하여 일본어 문자를 생성해낼 수 있도록 선택키(selection key)들이 배열된 모음부와 자음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판은 터치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상에 모음부와 자음부의 선택키들의 배열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Japanes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wel portion and a consonant portion in which selection keys are arranged to generate Japanese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method of consonants and vowels. Such keyboard is preferably displayed on the display such as a touch panel by an arrangement of selection keys of the vowel portion and the consonant portion.

상기 모음부는 적어도 5 개의 선택키를 포함하며, 모음부의 선택키를 선택함으로써 あ단에 속하는 문자(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 い단에 속하는 문자(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 う단에 속하는 문자(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る), え단에 속하는 문자(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 또는 お단에 속하는 문자(お こ そ と の ほ も ろ)를 선택할 수 있다. The vowel section includes at least five selection keys, and the letter belonging to あ step (あ か さ た な は ら ら) by selecting the selection key of the vowel section, the letter belonging to the い step (い き し ち に み り) , Characters belonging to う 단 (う く す つ つ ぬ つ む る), characters belonging to 단 (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 or characters belonging to Ōdan (お こ そ と の の ほ も ろ) You can choose.

상기 자음부는 적어도 7 개의 선택키를 포함하며, 자음부의 선택키를 선택함으로써 か행에 속하는 문자(か き く け こ), さ행에 속하는 문자(さ し す せ そ), た행에 속하는 문자(た ち つ て と), な행에 속하는 문자(な に ぬ ね の), は행에 속하는 문자(は ひ ふ へ ほ), ま행에 속하는 문자(ま み む め も), 또는 ら행에 속하는 문자(ら り る れ ろ)를 선택할 수 있다. The consonant part includes at least seven selection keys, and the letter belonging to line か (か く け こ), the letter belonging to line さ (さ す せ そ), and the character belonging to line た by selecting the selection key of the consonant part. (た ち つ つ て と), a letter belonging to な line (な に ぬ ね の), a letter belonging to a line は (は は ふ ほ), a letter belonging to a line ま (ま み む め も), or ら line You can choose a character belonging to (ら り る れ れ).

상기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또는 상기 모음부와 자음부에 속하는 선택키들을 조합하여 선택하면 문자를 생성되며, 생성된 문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이를 위하여 터치 패널이나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상의 자판에서 모음부와 자음부의 선택키 선택 정보를 입력받고 해당 문자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에 해당 문자를 표시하도록 문자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a selection key belonging to the vowel section or a combination of the selection keys belonging to the vowel section and the consonant section is selected, a character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charact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To this end,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touch panel or a smart phone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character selection information of a collection unit and a consonant unit from a keyboard on the display, generates a corresponding character, and transmits character information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character on the display. desirable.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자판은 특히 모음부에 있어서 い단에 속하는 문자(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를 선택하는 선택키가 중앙에 배치되고, 나머지 선택키들이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자판 배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택키들간의 슬라이딩(sliding)이나 드래그(drag) 동작에 의해 자판에 표시되지 않은 각종 문자들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In the Japanes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in the vowel section, a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I stage is arranged at the center, and the remaining selection keys are arranged radially. This keyboard arrangement enables generation of various characters not displayed on the keyboard by sliding or dragging between selection keys as described below.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은 단순한 조어 원리에 의해 입력 횟수(또는 터치 횟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청음(淸音), 탁음(濁音), 반탁음(半濁音), 요음(拗音), 촉음(促音), 발음(撥音), 장음(長音) 등의 다양한 문자 및 혼합 문자를 생성해 낼 수 있다. In addition, the Japanese keyboard and Japanese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ed on a simple syntactic principle,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inputs (or the number of touches). You can create a variety of characters and mixed characters, such as), tactiles, pronunciations, and long sound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Japanes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실시예Example 1 On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자판이 도시되어 있다. 이 자판은 모음부(100)와 자음부(200)로 구분되어 있고, 모음부에는 A키(제1선택키), I키(제2선택키), U키(제3선택키), E키(제4선택키), O키(제5선택키) 및 小키(제19선택키)가 포함되어 있으며, 자음부에는 K키(제6선택키), S키(제7선택키), T키(제8선택키), N키(제9선택키), H키(제10선택키), M키(제11선택키), R키(제12선택키), G키(제13선택키), Z키(제14선택키), D키(제15선택키), B키(제16선택키), P키(제17선택키)가 포함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 a Japanese keyboar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he keyboard is divided into a vowel section 100 and a consonant section 200. The vowel section includes the A key (first selection key), I key (second selection key), U key (third selection key), and E. Key (4th selection key), O key (5th selection key) and small key (19th selection key) are included, and the consonant part includes K key (6th selection key) and S key (7th selection key). , T key (the eighth selection key), N key (the ninth selection key), H key (the tenth selection key), M key (the eleventh selection key), R key (the twelfth selection key), G key (the 13 selection keys), Z key (14th selection key), D key (15th selection key), B key (16th selection key), and P key (17th selection key).

상기 모음부에서 A키를 선택하면 あ단에 속하는 문자(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가 선택되고, I키를 선택하면 い단에 속하는 문자(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가 선택되고, U키를 선택하면 う단에 속하는 문자(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る)가 선택되고, E키를 선택하면 え단에 속하는 문자(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가 선택되고, O키를 선택하면 お단에 속하는 문자(お こ そ と の ほ も ろ)가 선택되고, 小키를 선택하면 소문자(小文字)가 생성된다. If you select the A key from the vowel section, the letter belonging to the column あ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 is selected, and if the I key is selected, the letter belonging to the column い (い き し ち に に み り) is selected If the U key is selected, the letter belonging to the う step (う く す つ つ ぬ む む る) is selected; if the E key is selected, the letter belonging to the え step (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 is selected, Selecting the O key selects the letters belonging to the お step (お こ そ の の も ろ), and selecting the 小 key produces lowercase letters (小 文字).

상기 자음부에서 K키를 선택하면 か행에 속하는 문자(か き く け こ)가 선택되고, G키를 선택하면 が행에 속하는 문자(が ぎ ぐ げ ご)가 선택되고, S키를 선택하면 さ행에 속하는 문자(さ し す せ そ)가 선택되고, Z키를 선택하면 ざ행에 속하는 문자(ざ じ ず ぜ ぞ)가 선택되고, T키를 선택하면 た행에 속하는 문자(た ち つ て と)가 선택되고, D키를 선택하면 だ행에 속하는 문자(だ ぢ づ で ど)가 선택되고, N키를 선택하면 な행에 속하는 문자(な に ぬ ね の)가 선택되고, H키를 선택하면 は행에 속하는 문자(は ひ ふ へ ほ)가 선택되고, B키를 선택하면 ば행에 속하는 문자(ば び ぶ べ ぼ)가 선택되고, P키를 선택하면 ぱ행에 속하는 문자(ぱ ぴ ぷ ぺ ぽ)가 선택되고, M키를 선택하면 ま행에 속하는 문자(ま み む め も)가 선택되고, R키를 선택하면 ら행에 속하는 문자(ら り る れ ろ)가 선택된다.Selecting the K-key from the consonants selects the letter belonging to line か (か き け こ), and selecting the G key selects the letter belonging to the line が (が が ぐ げ ご), and selects the S key. Character in the さ line (さ す せ そ) is selected.If you select Z key, the character belonging to the ざ line (ざ じ ず ぜ,) is selected.ち つ て と) is selected, and if you select D key, the characters belonging to line だ (だ ぢ で ど) are selected, and if you select N key, the characters belonging to line な (な に ぬ ね の) are selected. , If you select the H key, the letter belonging to the line は (Hi へ へ ほ) is selected.If you select the B key, the letter belonging to the line ば (ば び ぶ べ ぼ) is selected. The character belonging to (ぱ ぴ ぷ ぺ ぽ) is selected, if you select M key, the character belonging to ま line (ま み む め も) is selected. The character to belong (ら り る れ ろ) is selected.

상기 모음부는 I키(제2선택키)를 중심으로 나머지 A키, U키, E키, O키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小키(제19선택키)는 A키(제1선택키)와 E키(제4선택키) 사이 또는 E키(제4선택키)와 O키(제5선택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음부의 선택키 배열은 후술하는 슬라이딩 또는 드래그 동작이 편리하도록 하며, 요음이나 장음 등의 문자 생성에 효과적이다.The vowel portion has the remaining A, U, E, and O keys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I key (second selection key). The small key (19th selection key) is disposed between the A key (the first selection key) and the E key (the fourth selection key) or between the E key (the fourth selection key) and the O key (the fifth selection key). It is preferable. The selection key arrangement of the vowel portion makes the sliding or drag operation to be described later to be convenient, and is effective for generating characters such as a note sound or a long sound.

도 2에 도시한 자판에서 모음부의 제2선택키는 I(Y)로 표시되어 있으나 I로만 표시될 수도 있으며, 제3선택키는 U(W) 대신 U로만 표시될 수도 있다.In the keyboard shown in FIG. 2, the second selection key of the vowel portion is indicated by I (Y), but may be displayed only by I, and the third selection key may be displayed by U instead of U (W).

상기 자음부는 K키(제6선택키), G키(제13선택키), S키(제7선택키), Z키(제14선택키), T키(제8선택키), D키(제15선택키), N키(제9선택키), H키(제10선택키), B키(제16선택키), P키(제17선택키), M키(제11선택키), R키(제12선택키)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순서는 일본어의 か が さ ざ た だ な は ば ぱ ま ら의 순서를 따른 것이다. The consonants are K key (sixth selection key), G key (seventh selection key), S key (seventh selection key), Z key (14th selection key), T key (eighth selection key), and D key. (15th selection key), N key (9th selection key), H key (10th selection key), B key (16th selection key), P key (17th selection key), M key (11th selection key) ) And R keys (12th selection key). This order follows the order of Japanese か が さ ざ た な は ば ま ま ら.

이러한 선택키 배치는 사용자가 문자 생성 원리를 이해하고 자판의 배열을 외우지 않고도 기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This selection key placement can help the user understand the character generation principle and remember without memorizing the layout of the keyboard.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자판은 모음부와 자음부가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큰 경우에는 모음부와 자음부가 소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배치될 수도 있다. In the Japanes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owel portion and the consonant portion are preferably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When the display size is large, the vowel portion and the consonant portion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part.

본 실시예에서는 자음부 오른쪽에 모음부가 배치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모음부 오른쪽에 자음부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모음부와 자음부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인 사용자가 편리하게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모음부와 자음부의 위치는 좌우 전환 뿐만 아니라 상하 전환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모음부와 자음부의 배치는 디스플레이상에서 전환 버튼을 눌러 바뀔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owel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consonant. Alternatively, the consonant may be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vowel.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vowel section and the consonant in this way, a user who is right-handed or left-handed may conveniently enter Japanese. The positions of the vowel and the consonant may be set to be able to switch up and down as well as to switch left and right. The arrangement of the vowels and the consonants may be set to change by pressing the toggle button on the display.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음부는 중앙에 I키(제2선택키)가 배치되고, 상단 좌측에 A키(제1선택키), 상단 우측에 U키(제3선택키), 하단 좌측에 E키(제4선택키), 하단 우측에 O키(제5선택키)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owel portion has an I key (second selection key) at the center, an A key (first selection key) at the upper left, a U key (third selection key) at the upper right, and an E key at the lower left. (Fourth selection key) and an O key (a fifth selection key) are disposed at the lower right.

이와 달리 모음부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제2선택키가 배치되고, 상단 좌측에 제5선택키, 상단 우측에 제3선택키, 하단 좌측에 제4선택키, 하단 우측에 제1선택키가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제2선택키가 배치되고, 상단 좌측에 제3선택키, 상단 우측에 제5선택키, 하단 좌측에 제1선택키, 하단 우측에 제4선택키가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In contrast, as shown in FIG. 3A, the vowel portion has a second selection key at the center, a fifth selection key at the upper left, a third selection key at the upper right, a fourth selection key at the lower left, and a first at the lower right. Selection keys may be arranged respectively. Also, as shown in FIG. 3B, a second selection key is disposed at the center, a third selection key at the upper left, a fifth selection key at the upper right, a first selection key at the lower left, and a fourth selection key at the lower right. May be arranged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 따른 각종 문자의 생성은 다음과 같다.Generation of various charac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s follows.

먼저, 청음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규칙에 따라 문자가 생성된다. 모음부의 A키(제1선택키), I키(제2선택키), U키(제3선택키), E키(제4선택키), 또는 O키(제5선택키)를 선택하여 あ, い, う, え, 또는 お를 표시한다. First, in the case of listening, a character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rule shown in FIG. Select A key (first selection key), I key (second selection key), U key (third selection key), E key (fourth selection key), or O key (fifth selection key)あ, い, う, え, or お is displayed.

또한, 자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ら행 중의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あ단 い단 う단 え단 お단 중의 어느 하나를 결정하여 あ, い, う, え, お 이외의 청음을 표시할 수 있다. Also, select any one of the selection keys belonging to the consonant part and decide any one of the か line さ line た line な row は line ま line ら line, and select any one of the selection keys belonging to the vowel section. Only one of う, え, and お may be determined to display hearings other than あ, い, う, え, and お.

예를 들어, 자음부의 K키를 선택한 후(か행 선택)하고 모음부의 I키를 선택하면(い단 선택) き(ki)가 표시된다. 또한, 자음부의 N키를 선택한 후(な행 선택)하고 모음부의 O키를 선택하면(お단 선택) の(no)가 표시된다.For example, if the K key of the consonant part is selected (k row selection) and the I key of the vowel part is selected (i step selection), ki (ki) is displayed. In addition, when the N key of the consonant part is selected (select one row) and the O key of the vowel part is selected (o step selected), の (no) is displayed.

や행에 속하는 문자의 경우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음부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하여 쉽게 문자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음부의 I(Y)키(제2선택키)에서 A키(제1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や를 표시하거나, I(Y)키(제2선택키)에서 U키(제3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ゆ를 표시하거나, I(Y)키(제2선택키)에서 O키(제5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よ를 표시한다. In the case of a character belonging to a ya line, as illustrated in FIG. 5, a character may be easily generated by sliding a vowel part. For example, by sliding the I (Y) key (second selection key) from the I (Y) key to the A key (first selection key) to display や, or from the I (Y) key (second selection key) to the U key (first Sliding with the 3 selection key) displays YU, or slides the I (Y) key (second selection key) with the O key (5th selection key) to display よ.

이와 같은 や행에 속하는 문자들의 생성 규칙은 다음과 같다.The generation rule of th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ya line is as follows.

i) y + a = yai) y + a = ya

ii) y + u = yuii) y + u = yu

iii) y + o = yoiii) y + o = yo

이들 규칙에 맞게 슬라이딩에 의하여 선택키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본어 자판의 모음부는 제2선택키가 중앙에 배치되고 나머지 선택키들이 방사상으로 배치된다.In the vowel portion of the Japanese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election key is disposed at the center and the remaining selection keys are arranged radially so that the selection key can be selected by sliding in accordance with these rules.

또한, わ와 を는 다음의 생성 규칙에 따라 문자가 생성된다.In addition, w and o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generation rules.

i) w+a=wai) w + a = wa

ii) w+o=woii) w + o = wo

이러한 규칙에 맞게 선택키가 선택되도록 도 6에 도시한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문자가 생성된다. 즉, U(W)(제3선택키)에서 A키(제1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わ가 표시되고, U(W)(제3선택키)에서 O키(제5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を가 표시된다. 이러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U(W)(제3선택키)는 A키(제1선택키)와 O키(제5선택키)에 인접하여 배치된다.Characters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sliding operation shown in FIG. 6 so that the selection key is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is rule. That is, w is displayed by sliding from U (W) (third selection key) to A key (first selection key), and sliding from O (W) (third selection key) to O key (five selection keys).を is displayed. To facilitate such sliding, the U (W) (third selection key) is disposed adjacent to the A key (first selection key) and the O key (fiveth selection key).

ん의 경우 N키(제9선택키)를 연속하여 두 번 선택하여 생성된다.In case of "N" (9th selection key), it is generated by selecting twice in succession.

탁음과 반탁음의 경우 각각 도 7 및 도 8의 생성 규칙에 따라 문자를 표시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앞서 청음의 경우와 동일하게 자음부의 선택키를 먼저 선택하고 모음부의 선택키를 선택하여 원하는 문자를 표시한다.Characters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generation rules of FIGS. 7 and 8,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he sound of the sound and the sound of the sound. In the specific method, the selection key of the consonant part is selected first and the selection key of the vowel part is selected. Display characters.

즉, 자음부에서 が행에 속하는 문자(が ぎ ぐ げ ご)를 선택하는 G키(제13선택키), ざ행에 속하는 문자(ざ じ ず ぜ ぞ)를 선택하는 Z키(제14선택키), だ행에 속하는 문자(だ ぢ づ で ど)를 선택하는 D키(제15선택키), ば행에 속하는 문자(ば び ぶ べ ぼ)를 선택하는 B키(제16선택키)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탁음을 표시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G-key (Thirteen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characters belonging to the line (が ぎ ぐ げ 에서) in the consonant part, and the Z-key (Thirteenth selection) for selecting characters belonging to the line (ざ じ ず ぞ ぞ) Key), D key to select characters belonging to the first line (속하는 ぢ で で ど), and the B key (16th selection key) to select characters belonging to the line (ば ば で で ぼ) Any one of them can be selected, and any one of the selection keys belonging to the vowel section can be selected to display the sound tone.

또한, 자음부에서 ぱ행에 속하는 문자(ぱ ぴ ぷ ぺ ぽ)를 선택하는 P키(제17선택키)를 선택하고,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반탁음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onant part can select a P key (17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first line (ぱ ぴ ぷ ぺ ぽ), and select one of the selection keys belonging to the vowel part to display a halftone sound. have.

한편, 자음부의 T키(제8선택키)를 선택한 후 모음부의 U키(제3선택키)를 선택하면 つ가 표시된다. 상기 や행에 속하는 문자들이나 つ 를 표시한 후, 小키(제19선택키)를 선택하면 소문자 ゃ, ゅ, ょ, 또는 っ가 표시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 key (eighth selection key) of the consonant part is selected and the U key (third selection key) of the vowel part is selected, つ is displayed. After displaying th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ya line or つ, if a small key (19th selection key) is selected, lowercase letters ゃ, ゅ, ょ, or っ are displayed.

요음의 경우 도 9의 규칙에 따라 문자가 생성된다. In the case of a note sound, a character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rule of FIG. 9.

구체적으로는, 상기 자음부의 제6선택키, 제7선택키, 제8선택키, 제9선택키, 제10선택키, 제12선택키, 제13선택키, 제14선택키, 제16선택키, 제17선택키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모음부의 제2선택키에서 제1선택키로 슬라이딩하거나, 제2선택키에서 제3선택키로 슬라이딩하거나, 제2선택키에서 제5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요음을 표시한다.Specifically, the sixth selection key, the seventh selection key, the eighth selection key, the ninth selection key, the tenth selection key, the twelfth selection key, the thirteenth selection key, the fourteenth selection key, and the sixteenth selection key of the consonant part. Key, one of the seventeenth selection keys, and sliding the first selection key from the second selection key of the collection unit, sliding from the second selection key to the third selection key, or sliding the second selection key to the fifth selection key. To show the note.

이 경우, 앞서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슬라이딩 동작이 적용된다. 이 때 자음부의 선택키를 선택하고 모음부에서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や행에 속하는 문자를 생성하면 や행에 속하는 문자는 자동적으로 소문자로 생성된다. In this case, the sliding operation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 5 is applied. At this time, if the selection key of the consonant part is selected and the character belonging to the ya line is generated by the sliding operation in the vowel part, the character belonging to the ya line is automatically generated in the lower case.

예를 들어, 자음부에서 K키를 선택하고(が행 선택) 모음부에서 I(Y)키에서 A키로 슬라이딩하면('y+a=ya' 규칙에 의하여 や 생성), き뒤에 소문자 ゃ가 붙은 きゃ가 한번에 생성된다. 이와 달리, 자음부에서 K키를 선택하고(が행 선택) 모음부에서 I(Y)키를 선택하여 き를 먼저 생성한 후, 모음부에서 I(Y)키에서 A키로 슬라이딩하여 대문자 や를 생성하고 小키를 선택하여 최종적으로 소문자 ゃ를 생성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f you select the K key in the consonant (select row) and slide the I (Y) key to the A key in the vowel section (creating や by the 'y + a = ya' rule), the lowercase letter ゃ after Attached キ ゃ is created at once. Alternatively, select the K key in the consonant section (select row), select the I (Y) key in the vowel section, and create KI first, then slide the I (Y) key from the A key in the vowel section to change the capital letter や. You can also create a lowercase letter ゃ by selecting it and selecting the small key.

이와 유사하게, 자음부에서 K키를 선택하고(が행 선택) 모음부에서 I(Y)키에서 U키로 슬라이딩하면('y+u=yu' 규칙에 의하여 ゆ 생성), き뒤에 소문자 ゅ가 붙은 きゅ가 한번에 생성된다. Similarly, if you select the K key in the consonant (select row) and slide the I (Y) key from the U key in the vowel section (generated by the 'y + u = yu' rule), the lowercase letter Kiki attached is created at once.

촉음 っ의 경우 도 10에 도시한 규칙에 의하여 생성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touch っ, it can be generated by the rule shown in FIG.

けってい을 입력하려면, 먼저 자음부에서 K키를 선택하고 모음부에서 E키를 선택하여 け를 생성하고, 자음부에서 T키를 두 번 선택한 후 모음부에서 E키를 선택하여 って를 생성한 후, 최종적으로 모음부에서 I키를 선택하여 い를 생성한다.To enter け っ て い, first create the け by selecting the K key on the consonant and then the E key on the vowel, then select the T key twice on the vowel, then select the E key on the vowel to create っ て. Afterwards, I is generated by selecting I key from the vowel section.

이와 달리, 자음부에서 K키를 선택하고 모음부에서 E키를 선택하여 け를 생성하고, 자음부에서 T키를 선택하고 모음부에서 U키를 선택하여 대문자 つ를 생성 후 小키를 선택하여 소문자 っ를 생성하고, 자음부에서 T키를 선택하고 모음부에서 E키를 선택하여 て를 생성한 후, 최종적으로 모음부에서 I키를 선택하여 い를 생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select `` K '' key from consonant part and select `` E '' key from vowel part to create け, select T key from consonant part and U key from vowel part to generate capital letter つ, and then select 小 key. You can also create a lowercase っ, select the T key in the consonant part, select the E key in the vowel part, create て, and finally select the I key in the vowel part to create い.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복합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쉽게 장음을 생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Japanese keyboard and Japanese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generate long sound by the following compound sliding operation.

구체적으로, 상기 자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모음부의 제2선택키에서 제5선택키로 슬라이딩한 후 제3선택키를 선택하거나, 제2선택키에서 제3선택키로 슬라이딩한 후 제3선택키를 선택하여 장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모음부의 제2선택키에서 제5선택키로 슬라이딩한 후 제5선택키에서 제2선택키로 슬라이딩하거나, 제2선택키에서 제3선택키로 슬라이딩한 후 제3선택키에서 제2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장음을 표시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any one of the selection keys belonging to the consonant part is selected, the second selection key of the vowel part is slid to the fifth selection key, and the third selection key is selected, or the second selection key is slid to the third selection key. After that, the third selection key may be selected to display long sounds. In addition, one of the selection keys belonging to the consonant part is selected, and the second selection key of the vowel part slides to the fifth selection key and then the second selection key to the second selection key or the third selection key to the third selection key. The long sound may be displayed by sliding the selection key and sliding the second selection key from the third selection key.

예를 들어, ちょう의 경우 T키를 선택하고(た행 선택) I(Y)키에서 O키로 슬라이딩하면('y+o=yo' 규칙에 의해 よ생성) ち뒤에 소문자 ょ가 붙은 ちょ가 한번에 생성된다. 그 다음 U키를 선택하여 う를 생성하면 ちょう가 완성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ち ょ う, if you select the T key (select row) and slide from the I (Y) key to the O key (generated by the 'y + o = yo' rule), the ち ょ with a lowercase letter ょ at the back Is generated. Then select the U key to create う, which is complete.

이 보다 더 편리한 방법으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왕복 슬라이딩을 이용할 수 있다. ちょう의 경우 T키를 선택하고(た행 선택) I(Y)키와 O키를 왕복으로 슬라이딩하면(I키 -> O키 -I키) 한번에 ちょう가 표시된다.In a more convenient way, reciprocating sliding as shown in FIG. 11 can be used. In the case of Chou, select T key (Ta row selection), and slide the I (Y) key and O key back and forth (I key-> O key -I key).

ちゅう의 경우에는 T키를 선택하고(た행 선택) I(Y)키에서 U키로 슬라이딩하면('y+u=yu' 규칙에 의해 ゆ생성) ち뒤에 소문자 ゅ가 붙은 ちゅ가 한번에 생성되고, 그 다음 U키를 선택하여 う를 생성하면 ちゅう가 완성된다. 이와 달리, T키를 선택하고(た행 선택) I(Y)키와 U키를 왕복으로 슬라이딩하여(I키 -> U키 -I키) 한번에 ちゅう를 표시할 수 있다.In the case of ち ゅ う, if you select the T key (select line) and slide from the I (Y) key to the U key (generated by the 'y + u = yu' rule), the ち ゅ is created at the same time with a lowercase letter 뒤 after Then select the U key to create う, which is complete. Alternatively, the T key can be selected (ta row selection), and the I (Y) key and the U key are slid back and forth (I key-> U key -I key) to display the display at once.

이러한 장음의 생성은 다음과 같은 모음 형성 원리를 기초로 한다.The generation of the long sound is based on the following vowel formation principle.

i) y+o+y = you, y+o+u = youi) y + o + y = you, y + o + u = you

ii) y+u+y = yuu, y+u+u = yuu
ii) y + u + y = yuu, y + u + u = yuu

실시예Example 2 2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자판을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모음부(100)는 앞선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A키, I키, U키, E키 및 O키의 총 5 개 키가 I키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소문자를 생성하는 小키가 빠져 있다. 12 shows a Japanese keyboar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owel 100 has a total of five keys A, I, U, E, and O keys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I key,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小 Key to create the missing.

반면, 자음부(200)는 K키, S키, T키, N키, H키, P키, M키, R키 및 小키를 포함하는 총 9개의 선택키가 배치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sonant unit 200 has a total of nine selection keys including K keys, S keys, T keys, N keys, H keys, P keys, M keys, R keys, and small keys.

본 실시예에서 모음부의 동작은 앞선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자음부와 모음부의 선택키를 조합하여 문자를 생성하는 원리는 대부분 유사하다. 즉, 청음의 생성, や행에 속하는 문자들의 생성, わ와 を의 생성, 요음의 생성 등은 동일하다.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vowel portion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principle of generating characters by combining the selection keys of the consonant portion and the vowel portion is almost the same. That is, the generation of the sound, the generation of characters belonging to the ya line, the generation of w and を, and the generation of the main sound are the same.

다만, 탁음을 생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선택키가 없고 관련 선택키를 2 회 반복 선택하여 문자를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자음부에서 K키(제6선택키)를 선택하면 か행에 속하는 문자(か き く け こ)가 선택되고, K키를 두 번 선택하면 が행에 속하는 문자(が ぎ ぐ げ ご)가 선택된다. 또한, S키(제7선택키)를 선택하면 さ행에 속하는 문자(さ し す せ そ)가 선택되고, S키를 두 번 선택하면 ざ행에 속하는 문자(ざ じ ず ぜ ぞ)가 선택된다. 또한, T키(제8선택키)를 선택하면 た행에 속하는 문자(た ち つ て と)가 선택되고, T키를 두 번 선택하면 だ행에 속하는 문자(だ ぢ づ で ど)가 선택된다. 또한, H키(제10선택키)를 선택하면 は행에 속하는 문자(は ひ ふ へ ほ)가 선택되고, H키를 두 번 선택하면 ば행에 속하는 문자(ば び ぶ べ ぼ)가 선택된다. However, in generating the sound, there is no separate selection key and the character is generated by repeatedly selecting the related selection key twice. To do this, select the K key (sixth selection key) in the consonant to select the letter belonging to the line か (き く け こ), and if you select the K key twice, the character belonging to the line が (が ぎ ぐ げIii) is selected. In addition, if the S key (7th selection key) is selected, the letter belonging to the さ line (さ す せ そ) is selected, and if the S key is selected twice, the character belonging to the ざ line is selected (ざ じ ず ぜ ぞ). do. If the T key (the eighth selection key) is selected, the letter belonging to the た line is selected, and if the T key is selected twice, the letter belonging to the だ line is selected (だ 선택 で で ど). do. If the H key (the tenth selection key) is selected, the letter belonging to the line H is selected. If the key H is selected twice, the letter belonging to the line A is selected. do.

이와 같이 자음부의 제6선택키, 제7선택키, 제8선택키, 제10선택키 중의 어느 하나를 두 번 선택하고,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탁음이 생성된다.In this manner, if one of the sixth selection key, the seventh selection key, the eighth selection key, and the tenth selection key of the consonant part is selected twice, and any one of the selection keys belonging to the vowel part is selected, a sound tone is generated.

반탁음의 경우에는 P키(제17선택키)를 선택하고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생성된다.In the case of the halftone sound, it is generated by selecting the P key (17th selection key) and selecting one of the selection keys belonging to the vowel por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음부는 K(G)키(제6선택키), S(Z)키(제7선택키), T(D)키(제8선택키), N키(제9선택키), H(B)키(제10선택키), M키(제11선택키), R키(제12선택키)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순서는 일본어의 か さ た な は ま ら 의 순서를 따른 것이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onsonant part includes the K (G) key (sixth selection key), the S (Z) key (seventh selection key), the T (D) key (eighth selection key), and the N key (ninth selection key). ), H (B) key (10th selection key), M key (11th selection key), and R key (12th selection key). This order follows the order of Japanese か さ た な は ら.

실시예Example 3 3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자판은 앞선 제2실시예에서와 유사한 구조의 자판 배열을 갖고 있으며, P키(제17선택키)가 빠져 있다. 그 대신 본 실시예에서는 자음부에 탁음 또는 반탁음을 생성하는 " °키(제18선택키)가 포함되어 있다. Fig. 13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apanes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keyboard layout similar to that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P key (17th selection key) is missing. Instead,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 ° key (18th selection key) for generating a sound tone or a half sound at the consonant part.

본 실시예에서 모음부의 동작은 앞선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자음부와 모음부의 선택키를 조합하여 문자를 생성하는 원리, 청음의 생성, や행에 속하는 문자들의 생성, わ와 を의 생성, 요음의 생성 등은 동일하다.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vowel portion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principle of generating characters by combining the selection keys of the consonant portion and the vowel portion, the generation of the hearing, the generation of th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ya line, the generation of w and を, The generation of the sound is the same.

탁음 및 반탁음의 경우에는 자음부에서 K키(제6선택키), S키(제7선택키), T키(제8선택키), H키(제10선택키)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상기 제18선택키를 선택하고, 상기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탁음 또는 반탁음을 표시할 수 있다. 제18선택키는 한번 선택할 때 탁음(")이 두 번 선택할 때 반탁음(°)이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case of sound and halftone, any one of K key (6th selection key), S key (7th selection key), T key (8th selection key) and H key (10th selection key) is selected at the consonant part. Thereafter, the eighteenth selection key may be selected, and any one of selection keys belonging to the vowel portion may be selected to display a sound tone or a semitone sound. The eighteenth selection key may be set so that the halftone sound (°) is displayed when the double tone sound (") is selected twice.

실시예Example 4 4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자판을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자판은 앞선 제3실시예에서와 유사한 구조의 자판 배열을 갖고 있으며, 선택키의 표시 형태가 영문 알파벳이 아닌 일본어 문자로 되어 있다.Figure 14 shows a Japanese keyboar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apanes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keyboard layout similar to that of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display form of the selection key is Japanese characters instead of the English alphabet.

즉, 본 실시예에서 모음부는 あ단에 속하는 문자(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를 선택하는 제1선택키와, い단에 속하는 문자(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를 선택하는 제2선택키와, う단에 속하는 문자(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る)를 선택하는 제3선택키와, え단에 속하는 문자(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를 선택하는 제4선택키와, お단에 속하는 문자(お こ そ と の ほ も ろ)를 선택하는 제5선택키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선택키는 あ, 제2선택키는 い, 제3선택키는 う, 제4선택키는 え, 제5선택키는 お로 표시되어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owel portion selects a first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letter belonging to the あ step (あ か さ た は ま ら), and for selecting a letter belonging to the い step (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 A second selection key, a third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う step (う く す つ つ ぬ ふ む る), and a four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え step (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 And a fif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selection key and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olumn お (お こ そ と の も ろ), wherein the first selection key is あ, the second selection key is い, and the third selection key isう, the fourth selection key is indicated by え, and the fifth selection key is indicated by お.

또한, 자음부는 か행에 속하는 문자(か き く け こ)를 선택하는 제6선택키와, さ행에 속하는 문자(さ し す せ そ)를 선택하는 제7선택키와, た행에 속하는 문자(た ち つ て と)를 선택하는 제8선택키와, な행에 속하는 문자(な に ぬ ね の)를 선택하는 제9선택키와, は행에 속하는 문자(は ひ ふ へ ほ)를 선택하는 제10선택키와, ま행에 속하는 문자(ま み む め も)를 선택하는 제11선택키와, ら행에 속하는 문자(ら り る れ ろ)를 선택하는 제12선택키를 포함하며, 상기 제6선택키는 か, 제7선택키는 さ, 제8선택키는 た, 제9선택키는 な, 제10선택키는 は, 제11선택키는 ま, 제12선택키는 ら로 각각 표시되어 있다.The consonant part also includes a six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letter belonging to か line (か き く け こ), a seven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letter belonging to さ line (さ す す せ), and The eigh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characters (た ち つ て て と), the nin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characters belonging to な line, and the characters belonging to は line (は ふ へ ほ) The ten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the letter, the eleven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the letter belonging to the ま line (ま み む も も), and the twelf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the character belonging to the ら line (ら り る れ) And the sixth selection key か, the seventh selection key さ, the eighth selection key た, the ninth selection key な, the tenth selection key は, the eleventh selection key ま, and the twelfth selection key Are each marked with ら.

이와 같이 영문 알파벳 대신 일본어 문자로 선택키를 표시하는 방식은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의 자판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As such,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selection key by Japanese characters instead of the English alphabet may be equally applicable to keyboard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휴대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이 디스플레이 창의 규모가 작아 문자판에 모든 문자를 포함시키기 어려운 휴대용 단말기에 더욱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기타 태블릿 PC나 각종 전자기기의 문자 입력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preferably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smart phone, the small size of the display window is difficult to include all the characters in the character board, effectively applied to the character input of other tablet PCs and various electronic devices Could be.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emplarily described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claims. May be modified, changed, or improved.

100:모음부 200:자음부100: collection part 200: consonant part

Claims (3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あ단에 속하는 문자(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를 선택하는 제1선택키와,
い단에 속하는 문자(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를 선택하는 제2선택키와,
う단에 속하는 문자(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る)를 선택하는 제3선택키와,
え단에 속하는 문자(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를 선택하는 제4선택키와,
お단에 속하는 문자(お こ そ と の ほ も ろ)를 선택하는 제5선택키를 포함하는 모음부; 및
か행에 속하는 문자(か き く け こ)를 선택하는 제6선택키와,
さ행에 속하는 문자(さ し す せ そ)를 선택하는 제7선택키와,
た행에 속하는 문자(た ち つ て と)를 선택하는 제8선택키와,
な행에 속하는 문자(な に ぬ ね の)를 선택하는 제9선택키와,
は행에 속하는 문자(は ひ ふ へ ほ)를 선택하는 제10선택키와,
ま행에 속하는 문자(ま み む め も)를 선택하는 제11선택키와,
ら행에 속하는 문자(ら り る れ ろ)를 선택하는 제12선택키를 포함하는 자음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또는 상기 모음부와 자음부에 속하는 선택키들을 조합하여 선택하면 문자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해당 문자를 표시하도록 문자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모음부의 제2선택키에서 제1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や를 표시하고, 제2선택키에서 제3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ゆ를 표시하고, 제2선택키에서 제5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よ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
The first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あ (あ か さ た な ま ら),
A second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い step (い き し に に み り),
A third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う (う く つ ぬ ぬ む る),
And a four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letter belonging to the え step (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
A vowel section including a fif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letter belonging to the column お (お こ そ と の も ろ ろ); And
A six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line か (き く け こ),
A seven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さ line (さ し す せ そ),
An eigh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line た (た ち つ つ て と),
A nin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な line (な に ぬ ね の),
A ten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letter belonging to the line は (は ふ ほ,),
The eleven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ま line (ま み む め も),
A consonant part including a twelf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ら line (ら る れ ろ);
And selecting a selection key belonging to the vowel part or a combination of selection keys belonging to the vowel part and the consonant part to generate a character and to transmit text information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letter on the display.
The yaw is displayed by sliding the first selection key from the second selection key of the vowel section, the y is displayed by sliding from the second selection key to the third selection key, and the yo is displayed by sliding from the second selection key to the fifth selection key. Japanese inpu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부의 제1선택키, 제2선택키, 제3선택키, 제4선택키, 제5선택키를 각각 선택하여 あ, い, う, え, お를 각각 표시하고,
상기 자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ら행 중의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あ단 い단 う단 え단 お단 중의 어느 하나를 결정하여 あ, い, う, え, お 이외의 청음(淸音)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first selection key, the second selection key, the third selection key, the fourth selection key, and the fifth selection key of the vowel portion are respectively selected to display あ, い, う, え, お,
Choose any one of the selection keys belonging to the consonant part to determine any one of the row ka row sa row ta row na row row row row row row row row row row, and select any one of the selection keys belonging to the vowel section. The Japanese input system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any one of the steps,, え,, and 청, い, う, え, and 단.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부의 제6선택키, 제7선택키, 제8선택키, 제10선택키 중의 어느 하나를 두 번 선택하고, 상기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탁음(濁音)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23. The apparatus of claim 22, wherein one of the sixth selection key, the seventh selection key, the eighth selection key, and the tenth selection key of the consonant portion is selected twice, and any one of the selection keys belonging to the vowel portion is selected. Japanese input system characterized by displaying a sound.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부는 が행에 속하는 문자(が ぎ ぐ げ ご)를 선택하는 제13선택키와, ざ행에 속하는 문자(ざ じ ず ぜ ぞ)를 선택하는 제14선택키와, だ행에 속하는 문자(だ ぢ づ で ど)를 선택하는 제15선택키와, ば행에 속하는 문자(ば び ぶ べ ぼ)를 선택하는 제16선택키를 더 포함하며,
제13선택키, 제14선택키, 제15선택키, 제16선택키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탁음(濁音)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
23. The apparatus of claim 22, wherein the consonant part comprises: a thirteen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a new line (が ぎ ぐ げ ご), a fourteen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a new line; Further comprising a fifteen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row だ (ぢ ぢ で ど), and a sixteen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row ば (ば び で で ぼ),
Selects one of the thirteenth selection key, the fourteenth selection key, the fifteenth selection key, and the sixteenth selection key, and selects one of the selection keys belonging to the collection unit to display a sound tone Japanese input system.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부는 탁음 또는 반탁음(半濁音)을 생성하는 제18선택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음부의 제6선택키, 제7선택키, 제8선택키, 제10선택키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상기 제18선택키를 선택하고, 상기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탁음 또는 반탁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
23. The apparatus of claim 22, wherein the consonant part further comprises an eighteenth selection key for generating a sound sound or a half sound sound.
After selecting any one of the sixth selection key, the seventh selection key, the eighth selection key, and the tenth selection key of the consonant part, select the eighteenth selection key, and select any one of the selection keys belonging to the collection part. A Japanese input system characterized by displaying a sound of a sound or a half sound.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부는 ぱ행에 속하는 문자(ぱ ぴ ぷ ぺ ぽ)를 선택하는 제17선택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7선택키를 선택하고 상기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반탁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consonant part further comprises a seventeen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line ぱ (ぱ ぴ ぷ ぺ ぽ),
Selecting the seventeenth selection key and selecting one of the selection keys belonging to the vowel section to display a halftone sound;
삭제delete 제22항에 있어서, 제3선택키에서 제1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わ를 표시하고, 제3선택키에서 제5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を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The Japanese input system according to claim 22, wherein w is displayed by sliding from the third selection key to the first selection key, and o is displayed by sliding from the third selection key to the fifth selection key.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부 또는 모음부는 소문자(小文字)를 생성하는 제19선택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음부의 제2선택키에서 제1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や를 표시하거나, 제2선택키에서 제3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ゆ를 표시하거나, 제2선택키에서 제5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よ를 표시하거나, 자음부의 제8선택키를 선택한 후 모음부의 제3선택키를 선택하여 つ를 표시하고,
상기 제19선택키를 선택하여 소문자 ゃ, ゅ, ょ, 또는 っ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consonant part or the vowel part further includes a nineteenth selection key for generating a lowercase letter (小 文字),
Sliding from the second selection key of the vowel section to the first selection key to display ya, sliding the second selection key to the third selection key to display YU, or sliding the second selection key to the fifth selection key to display よ, Select the eighth selection key of the consonant and then select the third selection key of the vowel to display つ,
Selecting the nineteenth selection key to display lowercase letters ゃ, ゅ, ょ, or っ.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부는 が행에 속하는 문자(が ぎ ぐ げ ご)를 선택하는 제13선택키와, ざ행에 속하는 문자(ざ じ ず ぜ ぞ)를 선택하는 제14선택키와, ば행에 속하는 문자(ば び ぶ べ ぼ)를 선택하는 제16선택키와, ぱ행에 속하는 문자(ぱ ぴ ぷ ぺ ぽ)를 선택하는 제17선택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음부의 제6선택키, 제7선택키, 제8선택키, 제9선택키, 제10선택키, 제12선택키, 제13선택키, 제14선택키, 제16선택키, 제17선택키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모음부의 제2선택키에서 제1선택키로 슬라이딩하거나, 제2선택키에서 제3선택키로 슬라이딩하거나, 제2선택키에서 제5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요음(拗音)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
23. The apparatus of claim 22, wherein the consonant part comprises: a thirteen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a new line (が ぎ ぐ げ ご), a fourteen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a new line; And a sixteen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first row (ば び ぶ べ ぼ), and a seventeenth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last row (ぱ ぴ ぷ ぺ ぽ),
A sixth selection key, a seventh selection key, an eighth selection key, a ninth selection key, a tenth selection key, a twelfth selection key, a thirteenth selection key, a fourteenth selection key, a sixteenth selection key, and a seventeenth selection key Select one of the selection keys,
Japanese to display a sound sound by sliding from the second selection key of the vowel section to the first selection key, of the second selection key to the third selection key, or of the second selection key to the fifth selection key. Input system.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부의 제9선택키를 두 번 누르면 발음(撥音) ん 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23. The Japanese input system according to claim 22, wherein the pronunciation (音) is generated by pressing the ninth selection key of the consonant part twic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모음부의 제2선택키에서 제5선택키로 슬라이딩한 후 제3선택키를 선택하거나, 제2선택키에서 제3선택키로 슬라이딩한 후 제3선택키를 선택하여 장음(長音)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any one of the selection keys belonging to the consonant part is selected,
Sliding the fifth selection key from the second selection key of the vowel section to select the third selection key, or sliding the third selection key from the second selection key and then selecting the third selection key to display a long sound Japanese input system characterized by.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모음부의 제2선택키에서 제5선택키로 슬라이딩한 후 제5선택키에서 제2선택키로 슬라이딩하거나, 제2선택키에서 제3선택키로 슬라이딩한 후 제3선택키에서 제2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장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any one of the selection keys belonging to the consonant part is selected,
After sliding from the second selection key of the vowel portion to the fifth selection key and sliding from the fifth selection key to the second selection key, or sliding from the second selection key to the third selection key and sliding from the third selection key to the second selection key Japanese input system characterized by displaying the long sound.
KR1020120035008A 2012-04-04 2012-04-04 Keyboard layout and input system for japanese KR1012168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008A KR101216840B1 (en) 2012-04-04 2012-04-04 Keyboard layout and input system for japanese
JP2012177286A JP5220217B1 (en) 2012-04-04 2012-08-09 Japanese input keyboard for display
JP2013015377A JP5599909B2 (en) 2012-04-04 2013-01-30 Japanese inpu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008A KR101216840B1 (en) 2012-04-04 2012-04-04 Keyboard layout and input system for japane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6840B1 true KR101216840B1 (en) 2013-01-09

Family

ID=47840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008A KR101216840B1 (en) 2012-04-04 2012-04-04 Keyboard layout and input system for japanes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2) JP5220217B1 (en)
KR (1) KR10121684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599B1 (en) * 2015-08-13 2018-10-04 정창수 Keypad and method for inputting japanese using touch-screen on terminal
KR20220047163A (en) * 2020-10-08 2022-04-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Japanese text input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9628B2 (en) * 2014-09-01 2016-11-24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8999A (en) 1996-10-15 2004-02-05 Misawa Homes Co Ltd Character input system,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 input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08131581A (en) 2006-11-24 2008-06-05 Ikusu Un Japanese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equipment
KR20080103223A (en) * 2007-05-23 2008-11-27 천강일 Method for inputting japanese character
KR20110137679A (en) * 2010-06-17 2011-12-23 (주)케이피에이인터내셔날 Japanese touch screen keypad array for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4582B2 (en) * 2001-04-27 2008-04-30 俊司 加藤 Touch type key input device
JP3965413B2 (en) * 2005-06-28 2007-08-29 信夫 中野 One-handed character input device
JP4981701B2 (en) * 2007-01-30 2012-07-25 三星電子株式会社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touch screen of terminal
JP2009048454A (en) * 2007-08-21 2009-03-05 Univ Of Yamanashi Japanese input method and device, program for japanese input device and medium with the program recorded thereon
CN100593151C (en) * 2008-07-04 2010-03-03 金雪松 Japanese input method and terminal
JP2010102684A (en) * 2008-09-26 2010-05-06 Nobuo Nakano Single-hand input device
JP5182304B2 (en) * 2010-02-24 2013-04-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Data input device
JP2012003705A (en) * 2010-06-21 2012-01-05 Yoshitoshi Cho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8999A (en) 1996-10-15 2004-02-05 Misawa Homes Co Ltd Character input system,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 input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08131581A (en) 2006-11-24 2008-06-05 Ikusu Un Japanese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equipment
KR20080103223A (en) * 2007-05-23 2008-11-27 천강일 Method for inputting japanese character
KR20110137679A (en) * 2010-06-17 2011-12-23 (주)케이피에이인터내셔날 Japanese touch screen keypad array for mobile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599B1 (en) * 2015-08-13 2018-10-04 정창수 Keypad and method for inputting japanese using touch-screen on terminal
KR20220047163A (en) * 2020-10-08 2022-04-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Japanese text input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102584417B1 (en) * 2020-10-08 2023-10-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Japanese text input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99909B2 (en) 2014-10-01
JP2013219735A (en) 2013-10-24
JP5220217B1 (en) 2013-06-26
JP2013219752A (en)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6258B1 (en) Keypad
CN101251781A (en) Virtual keyboard performing input and function operations through mobile phones transverse screen status display
KR101512133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JP2017509080A (en) Kanji input device, kanji input method, and kanji search method using the same
KR101242210B1 (en) A letter input method of chinese with function of intonation choice for touch screen
KR101216840B1 (en) Keyboard layout and input system for japanese
KR20110083293A (en) Key pad for character
JP5882497B2 (en) Small Japanese keyboard and method
KR102459508B1 (en) Japanese characters inputting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same
KR101249329B1 (en) Keyboard with descendants and typing method thereof
KR20100045617A (en) Korean alphabet input method utilizing a multi-touch sensing touch screen
KR101140767B1 (en) input device using extended HANGUL inscription method and input method using it
KR20120056582A (en) Chinese pinyin input device on touch screen panel
KR101216766B1 (en) Method of inputting an japanese character
KR20130004648A (en) Multi-language text input device with word processing function on touch screen panel
KR101445061B1 (en) the hangul input button layout structure for smartphone
CN117590953B (en) Double-spelling input method based on 10-key keyboard and applied to small-screen electronic equipment
CN117666815B (en) English input method based on 10-key keyboard and applied to small-screen electronic equipment
KR1010539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key input implemented on mobile device
TWI468986B (en) Electronic device, input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of
KR101255801B1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hangu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
KR20230121558A (en) PC keyboard and keyboard for game including Japanese characters inputting device
KR20130081518A (en) Multi-language text input device with word processing function on touch screen panel
KR20120056581A (en) Vietnamese input device on touch screen panel
KR20120038669A (en) Korean alphabet arrangement structure of touch scree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