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897B1 - 차주 호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주 호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897B1
KR101215897B1 KR1020090129516A KR20090129516A KR101215897B1 KR 101215897 B1 KR101215897 B1 KR 101215897B1 KR 1020090129516 A KR1020090129516 A KR 1020090129516A KR 20090129516 A KR20090129516 A KR 20090129516A KR 101215897 B1 KR101215897 B1 KR 101215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ireless terminal
owner
dri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2538A (ko
Inventor
조성석
김용한
Original Assignee
(주)마운틴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운틴뷰 filed Critical (주)마운틴뷰
Priority to KR1020090129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897B1/ko
Publication of KR20110072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통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통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은, 차량정보와 차주(또는 운전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발신자측 무선단말로부터 수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된 통화연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자측 전화번호가 차량정보-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수신번호 확인수단와, 상기 수신자측 전화번호가 차량정보에 대응하는 숫자로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차량정보에 대응하는 숫자를 차량번호로 변환하는 문자 변환수단와, 상기 저장매체와 연계하여, 상기 변환된 차량번호가 포함된 차량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차량정보와 연결하여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수단와, 상기 수신된 수신자 전화번호를 상기 확인된 연락처 정보로 변경하여, 발신자측 무선단말과 차주(또는 운전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무선단말간 음성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음성통화 처리수단을 구비한다.
차량번호, 전화번호, 문자변환

Description

차주 호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alling Car Owner}
본 발명은 통신사 시스템에서 통화연결 요청 내지 문자메시지 발송을 위해 수신되는 수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차랑의 차주(또는 운전자)와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현대사회는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1가구 1차량 시대에 가까운 사회에 살고 있다.
하지만, 수많은 차들은 우리나라의 경우 좁은 도로/주차 여건 속에서 다양한 문제들(차량주차불량 등으로 인한 문제 등)을 야기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차량에는 차주(또는 운전자) 연락처가 필수로 확인이 가능한 상황이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차주(또는 운전자)의 연락처는 계속적으로 노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으로 인하여 스팸문자 등을 받게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차주(또는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는 중에, 자신도 모르게 스치고 지나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럴 때 사고를 당한 당사자는 상대방 가해차량을 무작정 따라가서 잡지않는 한, 가해차량과 연락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주(또는 운전자)와 전화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발신자로부터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숫자를 수신자 전화번호로 하여 통화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이를 기반으로 차주(또는 운전자)의 연락처를 확인하여 음성통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차주(또는 운전자)의 휴대폰 번호 노출 방지 및 손쉽게 차주(또는 운전자)와 전화통화를 요청하는 발신자간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주(또는 운전자)와 문자메시지 발송을 요청하는 발신자로부터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숫자를 수신자 전화번호로 하여 문자메시지 발송 요청이 수신되면, 이를 기반으로 차주(또는 운전자)의 연락처를 확인하여 문자메시지 발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차주(또는 운전자)의 휴대폰 번호 노출 방지 및 손쉽게 차주(또는 운전자)간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서버에서 단말로부터 수신된 차량정보와 차주(또는 운전자) 정보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발신자측 무선단말로부터 수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된 통화연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자측 전화번호가 차량정보-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수신자측 전화번호가 차량정보에 대응하는 숫자로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차량정보에 대응하는 숫자를 차량번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와 연계하여, 상기 변환된 차량번호가 포함된 차량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차량정보와 연결하여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수신자 전화번호를 상기 확인된 연락처 정보로 변경하여, 발신자측 무선단말과 차주(또는 운전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무선단말간 음성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통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숫자를 이용함으로써, 차주(또는 운전자)와 전화통화 연결 또는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요청하는 발신자간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숫자를 이용함으로써, 차주(또는 운전자)의 휴대폰 번호 노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통화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차량정보와 차주(또는 운전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발신자측 무선단말로부터 수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된 통화연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 신자측 전화번호가 차량정보-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수신번호 확인수단과, 상기 수신자측 전화번호가 차량정보에 대응하는 숫자로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차량정보에 대응하는 숫자를 차량번호로 변환하는 문자 변환수단과, 상기 저장매체와 연계하여, 상기 변환된 차량번호가 포함된 차량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차량정보와 연결하여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수단과, 상기 수신된 수신자 전화번호를 상기 확인된 연락처 정보로 변경하여, 발신자측 무선단말과 차주(또는 운전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무선단말간 음성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음성통화 처리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통화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수신된 수신자측 전화번호가 차량정보에 대응하는 숫자로 확인되면,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로 영상데이터를 요청하는 영상데이터 요청수단과,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에서 전송하는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음성통화 처리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통화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차량정보와 차주(또는 운전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발신자측 무선단말로부터 수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된 문자메시지 발송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문자메시지 발송요청 정보에 포함된 수신자 전화번호가 차량정보-차량번 호-에 대응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수신번호 확인수단과,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발송요청 정보에 포함된 수신자 전화번호가 차량정보에 대응하는 숫자로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차량정보에 대응하는 숫자를 차량번호로 변환하는 문자 변환수단과, 상기 저장매체와 연계하여, 상기 변환된 차량번호가 포함된 차량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차량정보와 연결하여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수단과,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발송요청 정보에 포함된 수신자 전화번호를 상기 확인된 연락처 정보로 변경하여,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에서 전송한 문자메시지 발송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 메시지가 차주(또는 운전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무선단말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문자메시지 처리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통화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로부터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숫자로 변환하여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문자메시지 처리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통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은, 서버에서 단말로부터 수신된 차량정보와 차주(또는 운전자) 정보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발신자측 무선단말로부터 수신자 전화번호가 포 함된 통화연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자측 전화번호가 차량정보-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수신자측 전화번호가 차량정보에 대응하는 숫자로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차량정보에 대응하는 숫자를 차량번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와 연계하여, 상기 변환된 차량번호가 포함된 차량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차량정보와 연결하여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수신자 전화번호를 상기 확인된 연락처 정보로 변경하여, 발신자측 무선단말과 차주(또는 운전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무선단말간 음성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통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은, 서버에서 단말로부터 수신된 차량정보와 차주(또는 운전자) 정보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발신자측 무선단말로부터 수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된 문자메시지 발송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문자메시지 발송요청 정보에 포함된 수신자 전화번호가 차량정보-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발송요청 정보에 포함된 수신자 전화번호가 차량정보에 대응하는 숫자로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차량정보에 대응하는 숫자를 차량번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와 연계하여, 상기 변환된 차량번호가 포함된 차량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차량정보와 연결하여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발송요청 정보 에 포함된 수신자 전화번호를 상기 확인된 연락처 정보로 변경하여,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에서 전송한 문자메시지 발송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 메시지가 차주(또는 운전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무선단말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전술한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통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 차주 전화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락처 등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단말로부터 차주정보(또는 운전자 정보)와 차량정보와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는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를 저장매체(125)에 저장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차량번호 기반 차주 전화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락처 등록 시스템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수단이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연락처 등록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수단은 그 자체가 하나의 개별적인 서버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일부는 서버 형태로 구현되고 나머지 일부는 특정 서버에 구비된 프로그램 코드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 수단이 특정 서버에 모두 구비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연락처 등록 시스템은 차주(또는 운전자)가 통신사를 통해 부가 서비스 형태로 운용이 가능하며, 이때 연락처 등록 시스템 상의 각각의 수단은 통신사 시스템 상에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의 시스템으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번호 기반 차주 전화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락처 등록 시스템은, 차주(또는 운전자)가 제공하는 차주정보(또는 운전자 정보)와 차량정보와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는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차주단말(또는 운전자 단말)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130)을 포함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또는 UDP/IP(User Datagram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유선 통신망(예컨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및/또는 케이블 통신망)를 통해 상기 연락처 등록 시스템과 통신 연결되는 데스크탑 컴퓨터 및/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유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이동 통신망(또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기반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는 이동 통신단말, 및/또는 IEEE 802.16x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에 연결되는 휴대 인터넷 단말, 및/또는 IEEE 802.11x 기반의 무선랜 통신망에 연결되는 무선랜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은 상기 연락처 등록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락처 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연락처 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 및/또는 선택하여 상기 연락처 등록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기 능 구성(예컨대, 브라우져 프로그램과 통신 기능)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의 특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이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수단은 상기 TCP/IP 또는 UDP/IP 기반의 유선 통신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이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수단은 상기 CDMA 기반(또는 HSDPA 기반)의 이동 통신망, 및/또는 IEEE 802.16x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 및/또는 IEEE 802.11x 기반의 무선랜 통신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번호 기반 차주 전화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락처 등록 시스템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에서 전송하는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125)를 구비한다.
상기 저장매체(125)에 구비된 차주정보(또는 운전자 정보)는, 차량을 소유한 차주(또는 운전자)에 대응하는 개인정보(예컨대, 차주(또는 운전자)에 대한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면허정보 등)와 회원정보(예컨대, 차량번호 기반 차주 전화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회원으로 가입함에 의해 부여된 회원ID 등)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차주와 운전자가 서로 다른 경우 차주에 대한 개인정보와 운전자에 대한 개인정보가 각각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매체(125)에 구비된 차량정보는 차주(또는 운전자)가 운전하는 차량에 대한 차량번호, 차량등록 주소, 차주정보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매체(125)에 구비된 연락처 정보는 차량번호 기반 차주 전화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차주(또는 운전자)의 휴대폰 번호, 유선 전화번호 중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메신저/이메일/페이저 등의 차주(또는 운전자)와 통신하기 위한 모든 통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락처 정보는 차주(또는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복수의 연락처를 등록하는 경우, 각각의 연락처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자동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번호 기반 차주 전화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락처 등록 시스템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과 네트워크 수단에 대응하는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과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 및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수단(100)을 구비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100)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과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중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결되는 웹서버(또는 웹시스템)의 기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이 TCP/IP 또는 UDP/IP 기반의 유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100)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호환 문서 형태의 연락처 등록 인터페이스 화면, 정보 제공 화면 중 하나 이상의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로부터 상기 연락처 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또는 선택)된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이 CDMA 기반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100)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과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 /또는 ME(Mobile Explor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로 WML(Wireless Markup Language), HTML 중 하나 이상의 언어로 이루어진 호환 문서 형태의 연락처 등록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로부터 상기 연락처 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이 IEEE 802.16x 또는 IEEE 802.11x 기반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100)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과 상기 IEEE 802.16x(또는 IEEE 802.11x)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로 연락처 등록 인터페이스 화면, 정보 제공 화면 중 하나 이상의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로부터 상기 연락처 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번호 기반 차주 전화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락처 등록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단말(130)이 상기 연락처 등록 시스템에 접속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에서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연락처 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또는 추출)하 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수단(105)과, 상기 제공된 연락처 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되는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110)과, 상기 수신된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를 상기 저장매체(125)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수단(115)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차량번호 기반 차주 전화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락처 등록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단말(130)이 제공하는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는 유효성 확인수단(1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수단(105)은 클라이언트 단말(130)이 상기 연락처 등록 시스템 상에 접속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에 구비된 기능구성(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30)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을 통해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기 위한 연락처 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거나, 또는 데이터베이스(도시생략)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연락처 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로 제공한다.
이후, 상기 제공된 연락처 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의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고, 상기 출력된 연락처 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가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은,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를 상기 연락처 등록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에서 상기 연락처 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폼(Form) 양식을 통해 상기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기술적 특징과, 상기 네트워크 수단이 제공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를 상기 정보등록 서버로 전송하는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 정보 수신수단(110)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에서 상기 연락처 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면, 상기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는 상기 정보 저장수단(115)으로 제공한다.
상기 정보 저장수단(115)은 상기 수신된 상기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를 상기 저장매체(125)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된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는 상기 저장매체(125)에 저장하기 이전에 상기 유효성 확인수단(120)을 통해 유효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생략이 가능하다.
상기 유효성 확인수단(120)은 상기 수신된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 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연락처 정보에 대한 유효성 확인은, 상기 수신된 연락처 정보로 인증정보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을 통해 인증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인증정보를 인증함으로써, 상기 연락처 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연락처 정보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을 통해 입력한 휴대폰 번호로 인증번호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고, 이를 확인한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을 통해 인증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하면, 상기 입력된 인증번호와 상기 발송한 인증번호를 비교 확인하여 연락처 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 차주 전화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락처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클라이언트 단말(130)이 상기 연락처 등록 시스템으로 차량번호 기반 차주 전화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락 처 등록요청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연락처 등록 시스템에서 상기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를 저장매체(125)에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차량번호 기반 차주 전화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락처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2에서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클라이언트 단말(130)을 편의상 ‘단말’이라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클라이언트 단말(130)은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연락처 등록 시스템에 대응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차량번호 기반 차주 전화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채널을 연결한다(2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채널 연결 과정은 상기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로그인하는 과정, 상기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회원 가입하는 과정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과정에서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고객정보가 추출(또는 획득)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수단에 대응하는 브라우져 프로그램을 통해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차량번호 기반 차주 전화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단말과 서버간 통신채널이 연결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서버로 연락처 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요청하고(205), 이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에서 상기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연락처 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또는 추출)하여(210),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215).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수신된 연락처 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가 입력(또는 선택)되도록 처리한다(220).
만약 상기 단말에서 상기 연락처 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가 입력(또는 선택)되면(225), 상기 단말은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서버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를 전송하고(230), 이에 대응 하여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다(235).
만약, 상기 수신된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240), 상기 서버는 상기 유효성이 확인된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한다(245).
여기서,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연락처 등록요청 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전화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화연결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330)로부터 통화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통화연결 요청 대상 전화번호(즉, 수신자 전화번호)가 차량의 번호판에 기록된 차량번호(예컨대, 1이2345)에 대응되는 숫자와, 무선단말(330)에 부여된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차주(또는 운전자) 통화연결 요청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차주(또는 운전자) 통화연결 요청정보로 확인되면, 상기 수신된 통화연결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차량번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차주(또는 운전자) 연락처를 확인하여 통화연결 서비스를 제공하 는 시스템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전화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통화연결 시스템은, 차주(또는 운전자)와 전화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내지 차주(또는 운전자)의 무선단말(330)과, 상기 무선단말(330)과 무선구간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을 제어하는 제어국 및 상기 기지국과 제어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을 제어 및 운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또는 장치)를 포함하는 망운용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망운용 시스템과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330)이 가입한 통신 요금제에 대응하는 각종 통신요금(예컨대, 데이터 통신요금, 또는 음성 통화요금 등)과 부가서비스 이용요금을 과금 처리하는 과금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화연결 시스템은 상기 망운용 시스템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또는 장치)와 통신 연결되며, 상기 망운용 시스템과 연계하여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된 수신자 전화번호가 차주(또는 운전자) 통화연결 요청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 통화연결 요청 정보에 포함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를 차량번호로 변환하고,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차주(또는 운전자)와 전화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처리 시스템 및 상기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차주(또는 운전자)와 전화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차주(또는 운전자) 정보와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의 차량정보와, 상기 차량에 대한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전화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락처 정보를 연결하여 저장매체(125)에 저장하는 연락처 등록 시스템을 구비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정보처리 시스템은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전화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측 전화번호가 차량의 번호판에 기록된 차량번호(예컨대, 1이2345)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수신번호 확인수단(300)과, 상기 수신된 수신측 전화번호가 차량의 번호판에 기록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로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를 차량번호로 변환하는 문자 변환수단(305)과, 상기 변환된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차량의 차주(또는 운전자)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수단(310)과, 상기 확인된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된 수신측 전화번호를 상기 확인된 연락처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과 차주(또는 운전자)의 무선단말(330)간 상호 음성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음성통화 처리수 단(315)을 구비한다.
하나 이상의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을 통해 음성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번호 확인수단(300)은 상기 수신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 확인은, 발신자가 전화번호 입력시 특정코드를 더 포함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하고, 상기 수신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상에 특정코드 포함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특정코드에 따라 음성통화 서비스 대신 문자메시지로 자동 연결/전송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전송되는 문자메시지 내용은 통신사에서 정한 내용이거나, 또는 발송자가 원하는 문자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코드를 기반으로 선택되는 내용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신자측 무선단말(330)에서 전송한 수신자측 전화번호가 ‘*124123456’인 경우, 차주(또는 운전자)와 전화통화를 실시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124123456’인 경우, 차주(도는 운전자)에게 문자메시지로 ‘차 빼주세요’를 전송하거나, 또는 ‘**124123456*0’인 경우, ‘*0’에 대응되는 문자메시지 즉, ‘*0’를 차주(또는 운전자)에게 발송하고자 하는 문자메시지 내용 선택 코드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통신사에서 전화번호를 관리/운용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대역을 별도 관리하는 경우, 상기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 확인은, 수신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대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수신번호 확인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로 확인되면, 상기 문자 변환수단(305)은 상기 확인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를 차량번호로 변환하며, 상기 확인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를 차량번호로 변환시, 상기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의 종류을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의 종류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수신자측 무선 단말(330)의 종류에 대응되는 한글입력 자판배열을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를 차량번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확인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124123456이고, 상기 확인된 발신자측 무선단말(330)의 종류가 삼성 휴대폰으로 확인되면, 삼성 휴대폰의 자판배열 특성에 따라 412를 ‘가’로 변환하고, 차량번호의 특성상 앞의 2자리, 뒤의 4자리는 숫자로 인식하여 상기 확인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124123456을 차량번호 12가3456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영업용 차량의 경우, 지역명이 더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며, 지역명을 인식하여 변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확인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가 상기 문자 변환수단(305)을 통해 차량번호로 변환되면, 상기 정보 확인수단(310)은 상기 연락처 등록 시스템을 통해 등록되어 저장매체(125)에 저장된 차량정보를 검색하여, 변환된 차량번호와 매칭되는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정보와 연결하여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차주(또는 운전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변환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차주(또는 운전자)의 전화번호가 확 인되면, 상기 음성통화 처리수단(315)은 상기 확인된 차주(또는 운전자)의 전화번호(즉,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된 수신측 전화번호를 상기 확인된 연락처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과 차주(또는 운전자)의 무선단말(330)간 상호 음성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포함된 문자메시지가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로 전송되고,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을 통해 출력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하여 음성통화를 요청하면,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에서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 전화를 거는 형태로 운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가 복수의 전화번호를 등록한 경우, 차주(또는 운전자)의 설정에 따른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제1 전화번호와 음성통화 서비스 제공을 시도하고, 음성통화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일정시간 전화를 받지 않거나, 또는 통화중이거나, 또는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경우), 제2 전화번호와 음성통화 서비스 제공을 시도하며, 차주(또는 운전자)가 등록한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에 대한 음성통화 서비스의 제공을 시도한다.
만약, 등록된 전화번호 모두가 통화중으로 확인되면, 발신자 무선단말(330) 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구성하여, 차주(또는 운전자)가 등록한 전화번호 모두(또는 일부)로 문자메시지를 발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차주(또는 운전자)가 발신자 무선단말(330)과 전화통화를 시도할 경우, 상기 발신자 무선단말(330)로 제공되는 전화번호(즉, 발신자 표시서비스 이용에 따른 전화를 걸게되는 발신 측의 전화번호)는 차량번호가 직접 제공되거나, 또는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숫자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3을 참조하면, 정보처리 시스템은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전화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측 전화번호가 차량의 번호판에 기록된 차량번호(예컨대, 1이2345)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수신번호 확인수단(300)과, 상기 수신된 수신측 전화번호가 차량의 번호판에 기록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로 확인되면,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로 전송할 영상데이터를 요청하는 영상데이터 요청수단(320)과,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로 전송할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데이터 수신수단(325)과, 상기 확인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를 차량번호로 변환하는 문자 변환수단(305)과, 상기 변환된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차량의 차주(또는 운전자)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수단(310)과, 상기 확인된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전화연결 요청 정보를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로 전송하되,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 말(330)로부터 수신된 수신측 전화번호를 상기 확인된 연락처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과 차주(또는 운전자)의 무선단말(330)간 상호 음성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음성통화 처리수단(315)을 구비한다.
하나 이상의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을 통해 음성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번호 확인수단(300)은 상기 수신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수신번호 확인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로 확인되면, 상기 영상데이터 요청수단(320)은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로 전송할 영상데이터를 요청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로 전송할 영상데이터 요청은, 발신자측 무선단말(330)이 전화를 거는 상태이므로,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안내를 제공한다.
여기서, 통신사 시스템이 무선단말(330)을 제어하여, 무선단말(330)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에 구비된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 하고, 활성화된 카메라 기능을 통해 영상데이터 획득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통신사 시스템의 요청에 따라 발신자가 무선단말(330)을 조작하여 영상데이터 획득이 가능하도록 무선단말(330)에 구비된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 하고, 활성화된 카메라 기능을 통해 영상데이터 획득이 가능하도록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통신사 시스템의 요청에 따라 음성통화 서비스를 영상통화 서비스로 전환(고객 동의 또는 자동전환)하여,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영상데이터를 획득/전송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발신자측 무선단말(330)에 영상통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카메라 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과정은 생략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영상데이터 요청수단(320)을 통해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영상데이터 획득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무선단말(330)에서 영상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영상데이터 수신수단(325)은 상기 무선단말(330)에서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단말(330)에서 전송하는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발신자의 요청 또는 차주(또는 운전자)의 동의 또는 서비스 이용약관 등에 따라 경찰청 서버(또는 보험사 서버)로 전송하여 사고처리를 위한 근거자료로 이용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문자 변환수단(305)은 상기 확인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를 차량번호로 변환하며, 상기 확인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를 차량번호로 변환시, 상기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의 종류을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의 종류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의 종류에 대응되는 한글입력 자판배열을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를 차량번호로 변환한다.
상기 확인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가 상기 문자 변환수단(305)을 통해 차량번호로 변환되면, 상기 정보 확인수단(310)은 상기 연락처 등록 시스템을 통해 등록되어 저장매체(125)에 저장된 차량정보를 검색하여, 변환된 차량번호와 매칭되는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정보와 연결하여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차주(또는 운전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변환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차주(또는 운전자)의 전화번호가 확인되고,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음성통화 처리수단(315)은 상기 확인된 차주(또는 운전자)의 전화번호(즉,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된 수신측 전화번호를 상기 확인된 연락처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과 차주(또는 운전자)의 무선단말(330)간 상호 음성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되, 차주(또는 운전자)가 상기 발신자와 음성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기 이전에, 이를 승인하기 위한 근거 데이터로 영상데이터 확인이 가능하도록 처리한다.
즉,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데이터를 확인한 차주(또는 운전자)가 음성통화를 승인하면, 음성통화 서비스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와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가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로 전송되고,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을 통해 출력된 문자메시지 및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영상데이터를 확인하여 음성통화를 요청하면,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에서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 전화를 거는 형태로 운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가 복수의 전화번호를 등록한 경우, 차주(또는 운전자)의 설정에 따른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제1 전화번호와 음성통화 서비스 제공을 시도하고, 음성통화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일정시간 전화를 받지 않거나, 또는 통화중이거나, 또는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경우), 제2 전화번호와 음성통화 서비스 제공을 시도하며, 차주(또는 운전자)가 등록한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에 대한 음성통화 서비스의 제공을 시도한다.
또한,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의 설정에 따라 통화가능 시간대를 미리 설정한 경우, 통화가능 시간대에 해당되는 경우 음성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통화불가 시간대에 속하는 경우 음성사서함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문자메시지 발송을 요청(또는 발신자가 음성데이터를 제공하면 음성인식을 통해 문자메시지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며, 발신자의 긴급상황으로 차주(또는 운전자)와 음성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차주(또는 운전자)의 설정과 관계없이 음성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되, 발신자의 긴급상황은 일정시간 내 일정횟수 이상의 반복적인 차주(또는 운전자)와 전화통화 시도 또는 경찰 등의 사고처리 담당자의 요청 등에 의해 가능하다.
만약, 등록된 전화번호 모두가 통화중으로 확인되면, 발신자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구성하여, 차주(또는 운전자)가 등록한 전화번호 모두(또는 일부)로 문자메시지를 발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차주(또는 운전자)가 발신자 무선단말(330)과 전화통화를 시도할 경우, 상기 발신자 무선단말(330)로 제공되는 전화번호(즉, 발신자 표시서비스 이용에 따른 전화를 걸게되는 발신 측의 전화번호)는 차량번호가 직접 제공되거나, 또는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숫자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전화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330)로부터 통화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통화연결 요청 대상 전화번호(즉, 수신자 전화번호)가 차량의 번호판에 기록된 차량번호(예컨대, 1이2345)에 대응되는 숫자와, 무선단말(330)에 부여된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차주(또는 운전자) 통화연결 요청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차주(또는 운전자) 통화연결 요청정보로 확인되면, 상기 수신된 통화연결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차량번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차주(또는 운전자) 연락처를 확인하여 통화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 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전화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과정의 순서가 변경되거나, 또는 생략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정보처리 시스템에 대응하는 서버에서 하나 이상의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측 전화번호가 차량의 번호판에 기록된 차량번호(예컨대, 1이2345)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4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 확인은, 발신자가 전화번호 입력시 특정코드를 더 포함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하고, 상기 수신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상에 특정코드 포함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통신사에서 전화번호를 관리/운용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대역을 별도 관리하는 경우, 상기 수신자측 무선단 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 확인은, 수신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대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수신된 수신측 전화번호가 차량의 번호판에 기록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로 확인되면(405), 상기 확인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를 차량번호로 변환하고(410), 상기 변환된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차량의 차주(또는 운전자)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확인한다(415).
예를 들어, 상기 확인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124123456이고, 상기 확인된 발신자측 무선단말(330)의 종류가 삼성 휴대폰으로 확인되면, 삼성 휴대폰의 자판배열 특성에 따라 412를 ‘가’로 변환하고, 차량번호의 특성상 앞의 2자리, 뒤의 4자리는 숫자로 인식하여 상기 확인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124123456을 차량번호 12가3456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영업용 차량의 경우, 지역명이 더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며, 지역명을 인식하여 변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상기 서버는 상기 확인된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발신자측 무선 단말(330)로부터 수신된 수신측 전화번호를 상기 확인된 연락처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과 차주(또는 운전자)의 무선단말(330)간 상호 음성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한다(420).
여기서,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포함된 문자메시지가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로 전송되고,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을 통해 출력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하여 음성통화를 요청하면,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에서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 전화를 거는 형태로 운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가 복수의 전화번호를 등록한 경우, 차주(또는 운전자)의 설정에 따른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제1 전화번호와 음성통화 서비스 제공을 시도하고, 음성통화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일정시간 전화를 받지 않거나, 또는 통화중이거나, 또는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경우), 제2 전화번호와 음성통화 서비스 제공을 시도하며, 차주(또는 운전자)가 등록한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에 대한 음성통화 서비스의 제공을 시도한다.
만약, 등록된 전화번호 모두가 통화중으로 확인되면, 발신자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구성하여, 차주(또는 운전자)가 등록한 전화번호 모두(또는 일부)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 차주(또는 운전자)가 발신자 무선단말(330)과 전화통화를 시도할 경우, 상기 발신자 무선단말(330)로 제공되는 전화번호(즉, 발신자 표시서비스 이용에 따른 전화를 걸게되는 발신 측의 전화번호)는 차량번호가 직접 제공되거나, 또는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숫자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전화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330)로부터 통화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통화연결 요청 대상 전화번호(즉, 수신자 전화번호)가 차량의 번호판에 기록된 차량번호(예컨대, 1이2345)에 대응되는 숫자와, 무선단말(330)에 부여된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차주(또는 운전자) 통화연결 요청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차주(또는 운전자) 통화연결 요청정보로 확인되면,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통화연결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차량번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차주(또는 운전자) 연락처를 확인하여 영상데이터를 제공함과 동시에, 통화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전화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과정의 순서가 변경되거나, 또는 생략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 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정보처리 시스템에 대응하는 서버에서 하나 이상의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측 전화번호가 차량의 번호판에 기록된 차량번호(예컨대, 1이2345)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5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 확인은, 발신자가 전화번호 입력시 특정코드를 더 포함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하고, 상기 수신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상에 특정코드 포함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통신사에서 전화번호를 관리/운용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대역을 별도 관리하는 경우, 상기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 확인은, 수신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대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수신된 수신측 전화번호가 차량의 번호판에 기록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로 확인되면(505), 상기 서버는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로 전송할 영상데이터를 요청하고(510),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데이터 수신을 대기한다(51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로 전송할 영상데이터 요청은, 발신자측 무선단말(330)이 전화를 거는 상태이므로,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안내를 제공한다.
여기서, 통신사 시스템이 무선단말(330)을 제어하여, 무선단말(330)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에 구비된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 하고, 활성화된 카메라 기능을 통해 영상데이터 획득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통신사 시스템의 요청에 따라 발신자가 무선단말(330)을 조작하여 영상데이터 획득이 가능하도록 무선단말(330)에 구비된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 하고, 활성화된 카메라 기능을 통해 영상데이터 획득이 가능하도록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 다.
또는, 통신사 시스템의 요청에 따라 음성통화 서비스를 영상통화 서비스로 전환(고객 동의 또는 자동전환)하여,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영상데이터를 획득/전송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발신자측 무선단말(330)에 영상통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카메라 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과정은 생략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면(520), 상기 서버는 상기 확인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를 차량번호로 변환하고(525), 상기 변환된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차량의 차주(또는 운전자)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확인한다(530).
예를 들어, 상기 확인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124123456이고, 상기 확인된 발신자측 무선단말(330)의 종류가 삼성 휴대폰으로 확인되면, 삼성 휴대폰의 자판배열 특성에 따라 412를 ‘가’로 변환하고, 차량번호의 특성상 앞의 2자리, 뒤의 4자리는 숫자로 인식하여 상기 확인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124123456을 차량번호 12가3456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영업용 차량의 경우, 지역명이 더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며, 지역명을 인식하여 변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상기 서버는 상기 확인된 차주(또는 운전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무선단말(330)로 상기 수신된 영상데이터와 발신자측 전화번호가 포함된 전화연결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530), 상기 확인된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된 수신측 전화번호를 상기 확인된 연락처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과 차주(또는 운전자)의 무선단말(330)간 상호 음성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한다(535).
즉,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데이터를 확인한 차주(또는 운전자)가 음성통화를 승인하면, 음성통화 서비스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와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가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로 전송되고,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을 통해 출력된 문자메시지 및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영상데이터를 확인하여 음성통화를 요청하면,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에서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 전화를 거는 형태로 운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가 복수의 전화번호를 등록한 경우, 차주(또는 운전자)의 설정에 따른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제1 전화번호와 음성통화 서비스 제공을 시도하고, 음성통화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일정시간 전화를 받지 않거나, 또는 통화중이거나, 또는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경우), 제2 전화번호와 음성통화 서비스 제공을 시도하며, 차주(또는 운전자)가 등록한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에 대한 음성통화 서비스의 제공을 시도한다.
또한,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의 설정에 따라 통화가능 시간대를 미리 설정한 경우, 통화가능 시간대에 해당되는 경우 음성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통화불가 시간대에 속하는 경우 음성사서함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문자메시지 발송을 요청(또는 발신자가 음성데이터를 제공하면 음성인식을 통해 문자메시지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며, 발신자의 긴급상황으로 차주(또는 운전자)와 음성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차주(또는 운전자)의 설정과 관계없이 음성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되, 발신자의 긴급상황은 일정시간 내 일정횟수 이상의 반복적인 차주(또는 운전자)와 전화통화 시도 또는 경찰 등의 사고처리 담당자의 요청 등에 의해 가능하다.
만약, 등록된 전화번호 모두가 통화중으로 확인되면, 발신자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구성하여, 차주(또는 운전자)가 등록한 전화번호 모두(또는 일부)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 차주(또는 운전자)가 발신자 무선단말(330)과 전화통화를 시도할 경우, 상기 발신자 무선단말(330)로 제공되는 전화번호(즉, 발신자 표시서비스 이용에 따른 전화를 걸게되는 발신 측의 전화번호)는 차량번호가 직접 제공되거나, 또는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숫자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문자메시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문자메시지 처리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330)로부터 문자메시지 발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발송 요청에 포함된 수신대상 전화번호(즉, 문자메시지 수신측 전화번호)가 차량의 번호판에 기록된 차량번호(예컨대, 1이2345)에 대응되는 숫자가 포함된 문자메시지 발송 요청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차주(또는 운전자)에게 문자메시지 발송을 요청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발송 요청에 포함된 수신측 전화번호를 차량번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차주(또는 운전자) 연락처를 확인하여 문자메시지 발송 요청을 처리하는 시스템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 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여기서, 상기 문자메시지는 차주(또는 운전자)에게 전달하고자 문자내용 이외에 영상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문자메시지 처리 시스템은, 차주(또는 운전자)의 무선단말(330)로 문자메시지 발송을 요청하는 사용자 내지 차주(또는 운전자)의 무선단말(330)과, 상기 무선단말(330)과 무선구간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을 제어하는 제어국 및 상기 기지국과 제어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을 제어 및 운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또는 장치)를 포함하는 망운용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망운용 시스템과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330)이 가입한 통신 요금제에 대응하는 각종 통신요금(예컨대, 데이터 통신요금, 또는 음성 통화요금 등)과 부가서비스 이용요금을 과금 처리하는 과금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자메시지 처리 시스템은 상기 망운용 시스템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또는 장치)와 통신 연결되며, 상기 망운용 시스템과 연계하여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된 수신자 전화번호가 차주(또는 운전자)에 대한 문자메시지 발송 요청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 통화연결 요청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를 차량번호로 변환하고,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차주(또는 운전자)로 문자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처리 시스템 및 상기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차주(또는 운전자)간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차주(또는 운전자) 정보와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의 차량정보와, 상기 차량에 대한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전화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락처 정보를 연결하여 저장매체(125)에 저장하는 연락처 등록 시스템을 구비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정보처리 시스템은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되는 문자메시지 수신측 전화번호가 차량의 번호판에 기록된 차량번호(예컨대, 1이2345)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수신번호 확인수단(300)과,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수신측 전화번호가 차량의 번호판에 기록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로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를 차량번호로 변환하는 문자 변환수단(305)과, 상기 변환된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차량의 차주(또는 운전자)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수단(310)과, 상기 확인된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된 문자메시지 발송 요청에 포함된 수신측 전화번호를 상기 확인된 연락처 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문자 메시지가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문자메시지 처리수단(600)을 구비한다.
하나 이상의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자측 무선단말(330)로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문자메시지 발송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번호 확인수단(300)은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발송요청 정보에 포함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발송요청 정보에 포함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 확인은, 발신자가 전화번호 입력시 특정코드를 더 포함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하고, 상기 수신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상에 특정코드 포함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발송요청 정보에 포함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통신사에서 전화번호를 관리/운용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대역을 별도 관리하는 경우, 상기 문자메시지 발송요청 정보에 포함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 확인은, 수신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대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발송요청 정보에 포함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수신번호 확인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발송요청 정보에 포함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로 확인되면, 상기 문자 변환수단(305)은 상기 확인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를 차량번호로 변환하며, 상기 확인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를 차량번호로 변환시, 상기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의 종류을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의 종류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의 종류에 대응되는 한글입력 자판배열을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를 차량번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확인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124123456이고, 상기 확인된 발신자측 무선단말(330)의 종류가 삼성 휴대폰으로 확인되면, 삼성 휴대폰의 자판배열 특성에 따라 412를 ‘가’로 변환하고, 차량번호의 특성상 앞의 2자리, 뒤의 4자리는 숫자로 인식하여 상기 확인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124123456을 차량번호 12가3456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영업용 차량의 경우, 지역명이 더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며, 지역명을 인식하여 변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확인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가 상기 문자 변환수단(305)을 통해 차량번호로 변환되면, 상기 정보 확인수단(310)은 상기 연락처 등록 시스템을 통해 등록되어 저장매체(125)에 저장된 차량정보를 검색하여, 변환된 차량번호와 매칭되는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정보와 연결하여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차주(또는 운전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변환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차주(또는 운전자)의 전화번호가 확인되면, 상기 문자메시지 처리수단(600)은 상기 확인된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된 문자메시지 발송 요청에 포함된 수신측 전화번호를 상기 확인된 연락처 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문자 메시지가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로 전송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포함된 문자메시지가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로 전송되고,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을 통해 출력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하여 음성통화를 요청하면,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에서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 전화를 거는 형태로 운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가 복수의 전화번호를 등록한 경우, 차주(또는 운전자)의 설정에 따른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제1 전화번호로 문자메시지 서비스 제공을 시도하되, 만약 제1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이 전원이 꺼져있거나, 또는 음영지역에 있어 문자메시지 수신이 불가능한 상태로 확인되는 경우, 제2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로 문자메시지 서비스 제공을 시도하며, 차주(또는 운전자)가 등록한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에 대한 문자메시지 서비스의 제공을 시도한다.
만약,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무선단말(330)로 문자메시지가 전송되고, 이를 확인한 차주(또는 운전자)가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숫자로 변환하는 구성이 더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330)로부터 문자메시지 발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발송 요청에 포함된 수신대상 전화번호(즉, 문자메시지 수신측 전화번호)가 차량의 번호판에 기록된 차량번호(예컨대, 1이2345)에 대응되는 숫자가 포함된 문자메시지 발송 요청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차주(또는 운전자)에게 문자메시지 발송을 요청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발송 요청에 포함된 수신측 전화번호를 차량번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차주(또는 운전자) 연락처를 확인하여 문자메시지 발송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과정의 순서가 변경되거나, 또는 생략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여기서, 상기 문자메시지는 차주(또는 운전자)에게 전달하고자 문자내용 이외에 영상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6에 도시된 정보처리 시스템에 대응하는 서버는 하나 이상의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되는 문자메시지 수신측 전화번호가 차량의 번호판에 기록된 차량번호(예컨대, 1이2345)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7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발송요청 정보에 포함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인 지 여부 확인은, 발신자가 전화번호 입력시 특정코드를 더 포함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하고, 상기 수신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상에 특정코드 포함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발송요청 정보에 포함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통신사에서 전화번호를 관리/운용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대역을 별도 관리하는 경우, 상기 문자메시지 발송요청 정보에 포함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 확인은, 수신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대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발송요청 정보에 포함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수신측 전화번호가 차량의 번호판에 기록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로 확인되면(705), 상기 확인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숫자를 차량번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차량의 차주(또는 운전자)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확인한다(710).
예를 들어, 상기 확인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124123456이고, 상기 확인된 발신자측 무선단말(330)의 종류가 삼성 휴대폰으로 확인되면, 삼성 휴대폰의 자판배열 특성에 따라 412를 ‘가’로 변환하고, 차량번호의 특성상 앞의 2자리, 뒤의 4자리는 숫자로 인식하여 상기 확인된 수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124123456을 차량번호 12가3456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영업용 차량의 경우, 지역명이 더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며, 지역명을 인식하여 변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상기 서버는 상기 확인된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부터 수신된 문자메시지 발송 요청에 포함된 수신측 전화번호를 상기 확인된 연락처 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문자 메시지가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로 전송되도록 처리한다(720).
여기서,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33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포함된 문자메시지가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로 전송되고,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을 통해 출력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하여 음성통화를 요청하면,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에서 발신자측 무선단말(330)로 전화를 거는 형태로 운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차주(또는 운전자)가 복수의 전화번호를 등록한 경우, 차주(또는 운전자)의 설정에 따른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제1 전화번호로 문자메시지 서비스 제공을 시도하되, 만약 제1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이 전원이 꺼져있거나, 또는 음영지역에 있어 문자메시지 수신이 불가능한 상태로 확인되는 경우, 제2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차주(또는 운전자) 무선단말(330)로 문자메시지 서비스 제공을 시도하며, 차주(또는 운전자)가 등록한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에 대한 문자메시지 서비스의 제공을 시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 차주 전화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락처 등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 차주 전화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락처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전화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화연결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전화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전화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문자메시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문자메시지 처리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 차주(또는 운전자)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7)

  1. 문자와 숫자로 구성된 차량의 실제 차량번호와 차주의 연락처 정보를 연결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발신측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실제 차량번호를 숫자화한 차량번호를 포함하고 문자메시지 발송을 요청하는 특정코드를 포함 가능한 수신측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수신번호 확인수단을 구비한 차주 호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전화번호에 포함된 숫자화된 차량번호를 상기 실제 차량번호로 변환하는 문자 변환수단;
    상기 수신측 전화번호에 상기 특정코드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실제 차량번호와 연결된 연락처 정보에 대응되는 차주의 통화단말과 상기 발신측 무선단말 사이에 음성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음성통화 처리수단; 및
    상기 수신측 전화번호에 상기 특정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실제 차량번호와 연결된 연락처 정보에 대응되는 차주의 통화단말로 상기 특정코드에 대응되는 문자메시지가 발송되도록 처리하는 문자메시지 처리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문자메시지 처리수단은,
    상기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차주 통화단말로부터 응답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응답메시지의 연락처 정보와 연결된 실제 차량번호를 확인한 후 상기 응답메시지의 연락처 정보를 상기 실제 차량번호를 숫자화한 전화번호로 대체하여 상기 발신측 무선단말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주 호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전화번호에 숫자화된 차량번호가 포함된 경우, 상기 발신측 무선단말로 상기 실제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차량의 영상데이터를 요청하는 영상데이터 요청수단; 및
    상기 발신측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데이터 수신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영상데이터는, 상기 차주의 통화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주 호출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문자와 숫자로 구성된 차량의 실제 차량번호와 차주의 연락처 정보를 연결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발신측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실제 차량번호를 숫자화한 차량번호를 포함하고 문자메시지 발송을 요청하는 특정코드를 포함 가능한 수신측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수신번호 확인수단을 구비한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차주 호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전화번호에 포함된 숫자화된 차량번호를 상기 실제 차량번호로 변환하는 단계;상기 수신측 전화번호에 상기 특정코드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실제 차량번호와 연결된 연락처 정보에 대응되는 차주의 통화단말과 상기 발신측 무선단말 사이에 음성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상기 수신측 전화번호에 상기 특정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실제 차량번호와 연결된 연락처 정보에 대응되는 차주의 통화단말로 상기 특정코드에 대응되는 문자메시지가 발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상기 수신측 전화번호에 숫자화된 차량번호가 포함된 경우, 상기 발신측 무선단말로 상기 실제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차량의 영상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측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차주의 통화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주 호출 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090129516A 2009-12-23 2009-12-23 차주 호출 방법 및 시스템 KR101215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516A KR101215897B1 (ko) 2009-12-23 2009-12-23 차주 호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516A KR101215897B1 (ko) 2009-12-23 2009-12-23 차주 호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538A KR20110072538A (ko) 2011-06-29
KR101215897B1 true KR101215897B1 (ko) 2012-12-27

Family

ID=44403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516A KR101215897B1 (ko) 2009-12-23 2009-12-23 차주 호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8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264B1 (ko) * 2013-09-16 2014-02-27 (주)아이네스 차량 주차시 차량번호를 이용한 사용자 휴대단말번호 노출 제한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휴대단말번호 노출 제한 서버
KR20150096832A (ko) 2014-02-17 2015-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연락처를 검색하는 방법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538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1578B2 (en) Managing multiple CLI identities
US8744053B2 (en)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dynamic replacement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service
CN1909454B (zh) 用于在装置间提供安全访问的系统、方法及计算机可读介质
KR101165805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운전자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US20060258391A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910050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in a user-device environment
KR20060090010A (ko) Ptt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 자동 갱신 방법 및 그시스템
US81855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sting a web logging message via a dispatch communication
KR101306074B1 (ko) 피싱방지방법 및 피싱방지시스템
KR101215897B1 (ko) 차주 호출 방법 및 시스템
KR101216037B1 (ko) 착신 단말기의 패킷데이터 송수신 기능 탑재 여부를 데이터베이스로 구비하여 데이터망 또는 전화통신망을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통신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422719B1 (ko) 유심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 장치
KR101462121B1 (ko) 이종망 연동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US81855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trieving a web logging message via a dispatch communication
KR100998755B1 (ko) 특번을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667327B1 (ko) Ussd를 이용한 고객 응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4014031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카드 전송방법
KR20160135477A (ko) 홈네트워크 통신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양방향 화상통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738208B1 (ko) 통화중인 상대방과의 통신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서비스제공서버
KR100872052B1 (ko) 릴레이 방식 통신을 통한 운전자 호출 서비스 방법
KR101076739B1 (ko) 부가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의 부가서비스 가입 안내 방법
KR100831032B1 (ko) 착신 호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54713A (ko) 통신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294275B1 (ko) 이동 단말에서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지능형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시스템
KR101408590B1 (ko) Sip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sip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통신 접속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