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624B1 - Character entering device and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haracter entering device and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624B1
KR101212624B1 KR1020110018552A KR20110018552A KR101212624B1 KR 101212624 B1 KR101212624 B1 KR 101212624B1 KR 1020110018552 A KR1020110018552 A KR 1020110018552A KR 20110018552 A KR20110018552 A KR 20110018552A KR 101212624 B1 KR101212624 B1 KR 101212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length
length range
displayed
v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5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99987A (en
Inventor
정기태
Original Assignee
정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태 filed Critical 정기태
Priority to KR1020110018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624B1/en
Publication of KR20120099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9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6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의 문자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대한 발명으로서 터치스크린, 입력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문자입력심볼인 제1입력심볼, 제2입력심볼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입력감지부는 상기 문자입력심볼의 스트로크, 드래그 또는 드래그의 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문자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단말에서 적은 면적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어, 화면의 넓은 시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서 문자배열, 숫자배열 등의 조절이 가능하여 개인의 취향, 특성에 따른 배열의 변형이 자유롭다는 점, 화면상에 구현된 문자, 숫자를 보지않고 입력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가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of a terminal and a terminal including the same, where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a terminal including a touch screen, an input sensing unit, and a controller, wherein the touch screen is a first input symbol that is a character input symbo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symbol is included and the input detection unit detects the direction of the stroke, drag or drag of the character input symbol and transmits to the control unit and the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put characters in a small area in the terminal, to secure a wide visibility of the screen, and to adjust the arrangement of characters, the arrangement of numbers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taste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There is provided a character input device that can freely transform an array, and can input characters without viewing letters and numbers implemented on the screen.

Description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Character entering device and terminal comprising the same}Character input device of a terminal and a terminal including the same {Character entering device and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블릿 피씨 또는 스마트폰에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of a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into a tablet PC or a smartphone and a terminal including the same.

최근 모바일 사업에서 스마트폰은 네트워크의 고도화 및 단말기술의 발전, 특히 SoC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종래의 보이스 위주의 통신에서 데이터 통신 위주로 모바일 산업의 중심이 이동하면서 새로운 제품으로 부상하고 있다. 2007년 애플사에서 혁신적인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아이폰(iPhone)을 출시함으로서 세계시장은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로 스마트폰에 주목하게 되고, 한국기업이 독점하고 있던 국내 시장역시 사정이 달라지기 시작하였다. Recently, in the mobile business, smartphones are emerging as new products as the center of the mobile industry is shifting from voice-oriented communication to data communication due to the advancement of the network and the development of terminal technology, especially the SoC technology. In 2007, Apple launched the iPhone, which provides innovative UI (User Interface), and the world market is paying attention to smartphones as the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스마트폰은 소비자들이 추가로 모듈을 구매할 필요가 없으며, 구조적으로 핸드폰이나 PDA와 유사할 필요가 없으며, 작고 가벼워야 하며, 음성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고 PIM(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기능을 가져야 하며, 네트워크 기능을 가져야 한다. Smartphones do not require consumers to purchase additional modules, they do not have to be structurally similar to mobile phones or PDAs, they must be small and light, provide voice communications, have PIM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capabilities, and have network capabilities. Should have

스마트폰은 휴대폰기능에 네트워크 기술과 개인용 휴대단말기인 PDA가 가진 개인정보 관리기능, MP3, WiFi를 통한 무선인터넷서비스, 쿼티자판(QWERTY)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Smartphones provide various services to users, including mobile phone functions, network technology and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s of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MP3, wireless Internet services through WiFi, and QWERTY.

이처럼 스마트폰에서 기능이 다양화하고 있는 상태에서 작고 가벼워야 하고, 작은 화면에 모든 것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해야하는 다소 모순적인 특징을 갖고 있다. 특히 터치스크린이라 불리우는 화면에서 문자의 입력기능과 화면표시기능을 모두 실현하게 되어 스마트폰 내의 넓은 시현성을 확보하는데 노력이 경주되고 있는 실정이다. Like this, smartphones have a somewhat contradictory feature that needs to be small and light in a variety of functions, and to be able to express everything on a small screen. In particular, since the input function and display function of the character on the screen called the touch screen is realized, efforts are being made to secure wide visibility in the smart phone.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상에 입력기능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키패드는 모든 글자, 숫자를 표시하여 글자, 숫자를 터치를 통해서 입력하게 된다. 이러한 키패드는 터치스크린의 넓이의 절반을 차지하는게 대부분이고, 터치스크린의 면접을 넓게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글자의 경우 자음, 모음, 숫자, 영문 등이 다양하고 복잡하게 존재하게 되어 터치오류가 발생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The keypad used when performing an input function on a touch screen of a smartphone displays all letters and numbers to input letters and numbers through touch. Most of these keypads occupy half of the width of the touch screen, and in spite of the wide interview of the touch screen, letters have consonants, vowels, numbers, and English in various and complex ways, and thus touch errors occur. Is occurring.

또한 문자를 입력하거나 숫자를 입력하게 되는 경우 복수회의 터치가 동반되어야 비로소 한 글자 내지는 숫자가 입력될 수 있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a character or a number is inputted, a plurality of touches must be accompanied until one letter or number can be input, which causes a lot of ti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에 문자 입력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that can simplify the character input to the terminal and a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 입력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문자입력심볼인 제1입력심볼, 제2입력심볼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입력감지부는 상기 문자입력심볼의 스트로크, 드래그 또는 드래그의 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creen, an input sensing unit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touch scree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input symbol, the second input symbol is a character input symbol and the input The sensing unit detects the direction of the stroke, dragging or dragging of the character input symbo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displays a character on the touch screen.

실시예로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서 상기 제1입력심볼은 한글의 자음을 입력하는 자음입력심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입력심볼은 모음입력심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 embodiment, the first input symbol is a consonant input symbol for inputting a consonant in Korean, and the second input symbol is a vowel input symbol.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에 단위시간을 경과한 터치가 감지된 경우 8가지 방향으로 배치된 자음배열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음입력심볼에 단위시간을 경과한 터치가 감지된 경우 4가지 방향으로 배치된 모음배열표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한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display a consonant array table arranged in eight directions when a touch that has passed a unit time has been detected on the consonant input symbol. Is detected, the vowel array table arranged in four directions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에 의해 한글의 19개 자음을 표시하는데 있어서 원터치 스트로크, 투터치 스트로크,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기준으로 8개 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의 드래그, 단위길이범위 외의 드래그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display one-touch stroke, two-touch stroke, drag within a unit length range in eight directions on the basis of the consonant input symbol, and out of the unit length range in displaying 19 consonants of Korean characters by the consonant input symbols. It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by dragging.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입력심볼에 의해 한글의 10개 기본 모음을 표시하는데 있어서 원터치 스트로크, 투터치 스트로크,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기준으로 4개 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의 드래그, 단위길이범위 외의 드래그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display one basic stroke of the Korean by the vowel input symbol, one touch stroke, two touch stroke, drag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four directions based on the vowel input symbol, and the unit length range. Other drags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4개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 입력에 의해서 기본모음을 표시하되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우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ㅏ"가 표시되며,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우측으로 단위길이범위 외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ㅑ"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좌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ㅓ"가 표시되며,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좌측으로 단위길이범위 외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ㅕ"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ㅗ"가 표시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단위길이범위 외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ㅛ"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하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ㅜ"가 표시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하측으로 단위길이범위 외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ㅠ"가 표시된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displays a basic collection by dragging operation in four directions of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the vowel input symbol, but the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righ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while the vowel input symbol is touched. "ㅏ" is display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out of the unit length range to the right in the state of touching the vowel input symbol, "ㅑ" is displayed. The vowel input symbol moves to the left side. "ㅓ" is displayed when a drag operation is input within a unit length range, and "ㅕ" is displayed when a drag operation is input out of a unit length range to the left while the vowel input symbol is touch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upward while the input symbol is touched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ㅗ” is displayed and the vowel input symbol is displayed. "ㅛ" is display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out of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touched state and is display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lower state in the state of touching the vowel input symbol, the "TT" is displayed. When the vowel input symbol is touched and a drag operation is input out of the unit length range to the lower side, “” is displayed.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원터치 스트로크하여 신호가 입력되면 "ㅡ"를 표시하고 투터치 스트로크하여 신호가 입력되면 "ㅣ"를 표시한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display “-” when the signal is input by one-touch stroke of the vowel input symbol and “-” when the signal is input by the two-touch stroke.

실시예로서, 상기 모음입력심볼의 지름길이 범위내에서 드래그 신호가 입력되면 "ㅢ"를 표시한다. In an embodiment, when the drag signal is input within the short range of the vowel input symbol, "ㅢ" is displayed.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우측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ㅐ"를 표시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우측으로 단위길이 범위 외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ㅒ"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좌측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ㅔ"를 표시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좌측으로 단위길이 범위 외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ㅖ"를 표시한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displays “” when a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right side of the vowel input symbol within a unit length range and a return drag operation is inputted to the vowel input symbol, and the unit is input to the right side of the vowel input symbol. When a drag operation is input out of a length range and a return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vowel input symbol, “ㅒ” is displayed. The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left of the vowel input symbol within a unit length range and the vowel input is input. When the return drag operation is input as a symbol, "ㅔ" is display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out of the unit length range to the left, the "ㅖ" is displayed when the return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vowel input symbol.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상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우측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ㅘ"를 표시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상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우측으로 드래그 후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ㅙ"를 표시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하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좌측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ㅝ"를 표시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하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좌측으로 드래그 후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ㅞ"를 표시한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drags the vowel input symbol to the upper side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and displays a "ㅘ" when the drag operation is continuously input to the right side, and drags the vowel input symbol to the upper side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And dragging to the right side continuously and returning to the vowel input symbol is displayed as "ㅙ", and dragging the vowel input symbol to the lower side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and successively dragging to the left side "심" Is displayed. If the vowel input symbol is dragged downward to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and continuously dragged to the left, the vowel input symbol returns to the vowel input symbol.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상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ㅚ"를 표시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하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ㅟ"를 표시한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display “ㅚ” when the drag input operation is input to the vowel input symbol after dragging the vowel input symbol to the upper side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and the vowel input symbol may move to the lower side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After dragging until the return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vowel input symbol, "ㅟ" is displayed.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원터치 스트로크에 의해서 "ㅇ"을 표시하고, 투터치 스트로크에 의해서 "ㅎ"을 표시한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displays “o” by the one-touch stroke and “-” by the two-touch stroke.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기준으로 8개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 입력에 의해서 자음을 표시하되,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1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ㄱ"이 표시되며, 제2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ㄴ"이 표시되고, 제3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ㄷ"이 표시되고, 제4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ㄹ"이 표시되고, 제5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ㅁ"이 표시되고, 제6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ㅂ"이 표시되고, 제7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ㅅ"이 표시되고, 제8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ㅈ"이 표시한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displays consonants by a drag operation input in eight directions based on the consonant input symbols, and a drag operation is input to a unit length range in a first direction while touching the consonant input symbols. Is display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is display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third direction.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direction, "ㄹ" is display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fifth direction, "ㅁ" is displayed, and the drag operation is inpu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sixth direction. "ㅂ" is displayed. If the drag action is inpu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seventh direction, "ㅅ" is displayed. If the drag action is inpu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eighth direction, "ㅈ" is displayed. All.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1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외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ㅋ"이 표시되며, 제3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외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ㅌ"이 표시되며, 제5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외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ㅍ"이 표시되며, 제8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외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ㅊ"이 표시된다.In an embodiment,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out of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first direction while the consonant input symbol is touched, “k” is displayed, and the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outside of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third direction. “ㅌ” is displayed. If the drag operation is input in the fifth direction outside the unit length range, “ㅍ” is displayed. If the drag operation is input in the eighth direction outside the unit length range, “Z” is displayed.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1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원터치 스트로크 동작이 입력되면 "ㄲ"이 표시되며, 제3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원터치 스트로크 동작이 입력되면 "ㄸ"이 표시되고, 제6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원터치 스트로크 동작이 입력되면 "ㅃ"이 표시되고, 제7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원터치 스트로크 동작이 입력되면 "ㅆ"이 표시되며, 제8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원터치 스트로크 동작이 입력되면 "ㅉ"이 표시된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display “ㄲ” when a one-touch stroke operation is input after the consonant input symbol is touched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n dragged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third direction. After the one-touch stroke operation is input, "ㄸ" is displayed. If the one-touch stroke operation is input after dragging to the sixth direction, "ㅃ" is displayed. “ㅆ” is displayed when the stroke operation is input, and “ㅉ” is displayed when the one-touch stroke operation is input after dragging to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eighth direction.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4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1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ㄺ"이 표시되고, 제1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7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ㄳ"이 표시되며, 제2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8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ㄵ"이 표시되고, 제2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상기 자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ㄶ"이 표시되고, 제4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5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ㄻ"이 표시되고, 제4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6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ㄼ"이 표시되고, 제4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7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ㄽ"이 표시되고, 제4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상기 자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ㅀ"이 표시되고, 제6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7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ㅄ"이 표시되고, 제2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3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ㅦ"이 표시되고, 제2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7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ㅧ"이 표시되고, 제6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1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ㅲ"이 표시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display “ㄺ” when the drag operation is continuously input in the first direction after dragging the consonant input symbol in the fourth direction in the fourth direction while the consonant input symbol is touched, and the unit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ㄳ" is display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continuously in the seventh direction after dragging to within the length range, and "ㄵ" is display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continuously input in the eighth direction after dragging i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dragging motion is inputted to the consonant input symbol continuously after dragging to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second direction, " ㄶ " is displayed, and dragging to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fourth direction and continuously to the fifth direction.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ㄻ" is displayed. If the drag operation is input continuously in the sixth direction after dragging to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fourth direction, "ㄼ" is displayed. If the drag operation is input in the seventh direction continuously after dragging to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ㄽ” is displayed. If the drag operation is input continuously to the consonant input symbol after dragging to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fourth direction, "ㅀ" is displayed. If the drag operation is input in the seventh direction after dragging to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sixth direction, "ㅄ" is displayed. If the drag motion is input in three directions, "ㅦ" is displayed. If the drag motion is input in the seventh direction continuously after dragging to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second direction, "ㅧ" is displayed, and the unit length is in the sixth direction. If dragging is input continuously in the first direction after dragging to the range, "ㅲ" is displayed.

실시예로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숫자입력심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숫자입력심볼은 터치가 감지된 경우 숫자배열표를 표시하며, 상기 숫자입력심볼은 중심에 숫자 0 내지 9를 제1 내지 제8방향으로 드래그하고, 상기 숫자입력심볼을 원터치 또는 투터치 스트로크에 의해서 입력한다. In an embodiment, the touch screen further includes a number input symbol, the number input symbol displays a number array table when a touch is detected, and the number input symbol has numbers 0 to 9 at the center in the first to eighth directions. And input the numeric input symbol by one touch or two touch stroke.

실시예로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특수문자입력심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특수문자입력심볼은 터치를 감지한 경우 특수문자배열표를 표시한다. In an embodiment, the touch screen further includes a special character input symbol, and the special character input symbol displays a special character array table when a touch is detected.

실시예로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모드 변환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모드 변환키는 한글입력, 숫자입력 또는 특수문자입력을 m×n(m과 n은 1이상의 자연수) 키패드모드, 필기인식모드, 음성인식모드, 쿼티키패드모드, 심볼패드모드로 변환한다. In an embodiment, the touch screen further includes an input mode conversion key, wherein the input mode conversion key inputs a Hangul input, a numeric input, or a special character on an m × n (m and n are one or more natural numbers) keypad mode and handwriting recognition. Mode, voice recognition mode, QWERTY keypad mode, and symbol pad mode.

실시예로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문자입력시에 특수기능을 담당하는 기능키를 더 포함한다. In an embodiment, the touch screen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key that is responsible for a special function at the time of text input.

실시예로서, 상기 자음입력심볼, 상기 모음입력심볼, 상기 숫자입력심볼 또는 상기 특수문자입력심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소정의 위치로 변동이 가능하며, 상기 자음배열표, 상기 모음배열표, 상기 숫자배열표, 상기 특수문자배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설정에 의해서 배열의 조정이 가능하다. In an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consonant input symbol, the vowel input symbol, the number input symbol, or the special character input symbol may be chang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touch screen, and the consonant array table and the vowel array At least one of the table, the number array table, and the special character array can be adjusted by setting.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terminal including a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실시예로서,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단말기는 문자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단위시간을 경과한 터치가 감지된 경우 문자배열표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고, 스트로크, 드래그, 드래그의 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문자를 출력한다. 상기 입력부는 자음입력부와 모음입력부를 포함한다. In an embodiment, the terminal including the touch screen include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character, and the input unit displays a character sequence table on the touch screen when a touch after a unit time has been detected, and strokes, drags, and drags. Detects the direction of the character and outputs the character on the touch screen. The input unit includes a consonant input unit and a vowel input unit.

실시예로서, 상기 자음입력부로 한글의 자음을 표시하는데 있어서 원터치 스트로크, 투터치 스트로크, 상기 자음입력부를 기준으로 복수의 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의 드래그, 단위길이범위 외의 드래그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한글의 자음을 표시하고, 상기 모음입력부로 한글 기본 모음을 표시하는데 있어서 원터치 스트로크, 투터치 스트로크, 상기 모음입력부를 기준으로 복수의 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의 드래그, 단위길이범위 외의 드래그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한글의 기본 모음을 표시한다. In an embodiment, in displaying the Korean consonants with the consonant input unit, one-touch stroke, two-touch strokes, dragging within a unit length range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onsonant input unit, and dragging out of the unit length range by dragging out of the unit length range may be used. To display the consonants of the Korean vowels, and to display the basic Korean vowel by the vowel input unit, the touch screen by one touch stroke, two-touch stroke, dragging within a unit length range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dragging outside the unit length range based on the vowel input unit. Display the default vowels of Hangul.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첫째, 단말에서 적은 면적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어, 화면의 넓은 시현성을 확보할 수 있다.First, a character can be input in a small area in the terminal, thereby ensuring wide visibility of the screen.

둘째,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서 문자배열, 숫자배열 등의 조절이 가능하여 개인의 취향, 특성에 따른 배열의 변형이 자유롭다는 점이 있다.Seco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haracter array, number array, etc.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there is a point that the modification of the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taste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is free.

셋째, 화면상에 구현된 문자, 숫자를 보지않고 입력이 가능하다.Third, it is possible to input without seeing the letters and numbers implemented on the screen.

넷째, 간편한 터치에 의하여 문자, 숫자의 빠른 입력이 가능하다. Fourth, it is possible to enter letters and numbers quickly by a simple touch.

도1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인 단말의 내부회로구성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2는 문자입력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3은 자음입력심볼의 배열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4는 모음입력심볼의 배열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5는 "의"를 표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모음입력심볼을 통해 모음 "ㅐ", "ㅒ", "ㅔ", "ㅖ"를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7은 "ㅘ", "ㅙ", "ㅝ", "ㅞ"를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8은 "ㅚ", "ㅟ"를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복자음을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숫자입력심볼을 포함한 단말기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숫자입력심볼의 배열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숫자입력심볼에 의한 숫자입력드레그 경로를 표시한 예시도면이다.
도1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특수문자입력심볼을 포함한 단말기를 표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ircuit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haracter input apparatus.
3 is a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table of consonant input symbols.
4 is a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table of vowel input symbols.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pressing "of".
6 is a diagram showing a drag path for displaying vowels "ㅐ", "ㅒ", "ㅔ", and "ㅖ" through vowel input symbols.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drag path for displaying "ㅘ", "ㅙ", "ㅝ", and "ㅞ".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drag path for displaying "ㅚ" and "ㅟ".
9 is a diagram showing a drag path for displaying a consonant sound.
10 is a diagram showing a terminal including a number input symb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table of numeric input symbo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number input drag path by a number input symb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including a special character input symb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들로 구체화되어질 수 있고, 여기에서 설명되는 양태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양태들은 실시예들을 더욱 철저하고 완전하게 되도록 해주며, 당업자에게 실시예들의 영역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비록 제1, 제2 .. 등을 지칭하는 용어들이 여러 구성 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하여 여기에서 사용되어 질 수 있다면, 상기 구성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로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 질 것이다. 단지 이러한 용어들은 어떤 구성 요소로부터 다른 구성 요소를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되어질 뿐이다.The embodiments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aspec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 above aspects make the embodiments more thorough and complete, and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lthough terms referring to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1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인 단말에 표시된 문자입력장치를 표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haracter input device displayed on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 입력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은 문자입력심볼인 제1입력심볼, 제2입력심볼이 포함된다.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creen, an input sensing unit, and a controller. As illustrated in FIG. 1, the touch screen includes a first input symbol and a second input symbol, which are character input symbols.

상기 입력감지부는 상기 문자입력심볼의 스트로크, 드래그 또는 드래그의 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한다. The input detection unit detects the direction of the stroke, drag or drag of the character input symbo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도2는 문자입력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haracter input apparatus.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문자입력장치는 외부신호를 입력받는 수용부인 터치스크린(10), 외부에서 신호가 입력되었음을 감지하는 입력감지부(20), 입력신호의 터치위치, 신호의 종류 등을 통해서 출력할 값을 결정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로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aracter input device including a touch screen 10 that is an accommodation unit for receiving an external signal, an input sensing unit 20 for detecting that an external signal is input, a touch position of an input signal, and a type of a signal. The controller 30 is configured to determine a value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and to display on the touch screen.

상기 터치스크린(10)은 전류의 흐름을 감지하는 정전방식 또는 압력을 감지하여 외부신호를 인식하는 압력방식일 수 있다. 보다 세밀한 작동을 위해서 정전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10 may be an electrostatic method for detecting a flow of current or a pressure method for detecting an external signal by detecting a pressure. The electrostatic method can be used for more precise operation.

상기 입력감지부(20)는 상기 터치스크린(10)에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터치된 신호의 위치와 입력신호의 종류 즉 스트로크인지 드래그인지를 판단하고, 드래그의 방향을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30)에 전달하게 된다. The input sensing unit 20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touched signal and the type of the input signal, that is, the stroke or the drag, with respect to the signal input to the touch screen 10, and determines the direction of dragging to control the control unit 30. Will be delivered to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입력감지부(20)로부터의 신호를 전송받아 문자를 입력하거나 터치스크린 상에서 신호에 따른 출력값을 현출 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The controller 30 is responsible for a function of receiving a signal from the input sensing unit 20 so as to input a character or to display an output value according to the signal on a touch scree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상기 제1입력심볼은 한글의 자음을 입력하는 자음입력심볼(100)이며, 상기 제2입력심볼은 모음입력심볼(200)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음입력심볼(100)은 중앙에 "o", "ㅎ"이 표시되어 있으며, 직경 5㎜ 내지 10㎜의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음입력심볼(200)은 중앙에 "ㅡ", "l"가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자음입력심볼(100)과 마찬가지로 직경 5㎜ 내지 10㎜의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심볼의 크기는 여기에 국한되지 않으며 터치스크린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nput symbol is a consonant input symbol 100 for inputting a consonant in Korean, and the second input symbol is a vowel input symbol 200. As shown in FIG. 1, the consonant input symbol 100 is marked with “o” and “ㅎ” at the center,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or a polygon having a diameter of 5 mm to 10 mm. The input symbol 200 is marked with "-", "l" in the center,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circular or polygonal with a diameter of 5 mm to 10 mm like the consonant input symbol 100. The size of the symbol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touch screen.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1에 도시된 단말기의 상기 터치스크린 내에 표시된 문자입력창에 터치를 하게 되면 커서가 생김과 동시에 상기 자음입력심볼(100), 상기 모음입력심볼(200)이 터치스크린에 표시된다. When the character input window displayed in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shown in FIG.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uched, a cursor is generated and the consonant input symbol 100 and the vowel input symbol 200 are touched on the touch screen. Is displayed.

도3은 자음입력심볼의 배열표를 표시한 도면이고, 도4는 모음입력심볼의 배열표를 표시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table of consonant input symbols, and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table of vowel input symbols.

한글은 19개의 자음과 복모음을 제외한 10개의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자음과 모음을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와 같이 2개의 심볼을 이용하여 모두 표현하게 되는 방법은 다양하다. 그 중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Hangeul consists of 10 vowels except 19 consonants and vowels. Such consonants and vowels are expressed in various ways using two symbols as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3 and 4.

본 발명은 도3과 도4에 배열된 배치형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을 강조한다.It is emphasize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rrangements arranged in FIGS. 3 and 4.

본 발명의 제어부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에 단위시간을 경과한 터치가 감지된 경우 8가지 방향으로 배치된 자음배열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음입력심볼에 단위시간을 경과한 터치가 감지된 경우 4가지 방향으로 배치된 모음배열표를 상기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한다.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displaying a consonant array table arranged in eight directions when a touch that has passed unit time has been detected on the consonant input symbol, and detecting a touch that has passed unit time on the vowel input symbol. In this case, the vowel array table arranged in four direction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 screen.

상기 단위시간은 임의의 설정이 가능한 시간이며 0.1초 내지 1초의 시간으로 설정 될 수 있다. 상기 자음입력심볼에 대한 상기 단위시간을 경과한 터치가 상기 입력감지부에서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입력심볼 주변 8가지 방향으로 각 배치된 자음을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모음입력심볼에 대한 상기 단위시간을 경과한 터치가 상기 입력감지부에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모음입력심볼 주변 4가지 방향으로 각 배치된 모음을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한다. The unit time is a time that can be set arbitrarily and may be set to a time of 0.1 second to 1 second. When the touch that has passed the unit time for the consonant input symbol is detected by the input sensing unit, the inpu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displays consonants arranged in eight directions around the consonant input symbol on the touch screen. do. In addition, when the touch that has passed the unit time for the vowel input symbol is detected in the input sensing unit, the vowels arranged in four directions around the vowel input symbol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에 의해 한글의 19개 자음을 표시하는데 있어서 원터치 스트로크, 투터치 스트로크,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기준으로 8개 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의 드래그, 단위길이범위 외의 드래그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게 된다.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one of 19 consonants of the Hangul by the consonant input symbols by one-touch stroke, two-touch stroke, dragging within a unit length range in eight directions based on the consonant input symbols, and dragging outside the unit length range.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 screen is displayed.

상기 자음입력심볼에 의해서 사용자가 신호를 입력하는 방법으로는 원터치 스트로크 즉 상기 단위시간을 경과하기 전의 시간에 터치스크린을 한번 터치하는 방법과 투터치 스트로크 즉 상기 단위시간을 경과하기 전의 시간에 터치스크린을 두번 터치하는 방법이 있다.The method of inputting a signal by the consonant input symbol includes a method of touching the touch screen once at a time before a one touch stroke, that is, the unit time, and a touch screen at a time before a two touch stroke, i.e., the unit time. There is a way to touch twice.

상기 단위길이범위내의 드래그는 사용자의 임의의 설정이 가능한 드래그 구역을 의미한다. 즉 상기 도3과 도4에 표시된 점선지점을 의미하고 이는 사용자에 의해서 드래그 되는 벡터의 크기를 구별하여 보다 많은 갯수의 문자를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게 한다. 상기 단위길이범위는 상기 자음입력심볼 또는 상기 모음입력심볼의 중심에서 심볼의 반지름 크기에 1.5배 내지는 3배에 해당하는 길이 일 수 있다. The drag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refers to a drag area in which the user can arbitrarily set. That is, the dotted line points shown in FIGS. 3 and 4 mean the size of the vector dragged by the user so that a larger number of characters can be efficiently represented. The unit length range may be a length corresponding to 1.5 to 3 times the radius of the symbol at the center of the consonant input symbol or the vowel input symbol.

상기 자음입력심볼 주변 8가지 방향은 위쪽으로 향한 벡터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45°기울어진 방향의 벡터가 제1방향이 되고, 상기 제1방향과 45°기울어진 방향의 벡터가 제2방향이 되고 이러한 과정을 거쳐 모두 8방향으로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중심으로 가상의 벡터가 생성된다. The eight directions around the consonant input symbol are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vector in the direction tilted 45 ° clockwise relative to the upward direction vector i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vecto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direction and the angle 45 ° is tilted is the second direction Through this process, virtual vectors are generated around the consonant input symbols in all eight directions.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입력심볼에 의해 한글의 10개 기본 모음을 표시하는데 있어서 원터치 스트로크, 투터치 스트로크,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기준으로 4개 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의 드래그, 단위길이범위 외의 드래그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한다.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one of the basic vowels of the Korean language by the vowel input symbol by one-touch stroke, two-touch stroke, dragging within a unit length range in four directions based on the vowel input symbol, and dragging outside the unit length range.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 screen.

상기 모음입력심볼 주변 4가지 방향은 상하좌우 4가지 벡터를 기준으로 각 모음이 배치된다. Four vowels around the vowel input symbol are arranged based on four vectors of up, down, left, and right.

이하 상기 모음입력심볼의 모음배치 및 모음표현방법에 대해서 먼저 살펴본다.Hereinafter, a vowel arrangement and a vowel expression method of the vowel input symbol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4개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 입력에 의해서 기본모음을 표시하되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우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ㅏ"가 표시되며,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우측으로 단위길이범위 외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ㅑ"가 표시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isplays a basic collection by dragging in four directions of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the vowel input symbol, but drags the unit vowel input symbol to the right in the unit length range. When the operation is input, "" is display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out of the unit length range to the right while the vowel input symbol is touched, "ㅑ" is displayed.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좌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ㅓ"가 표시되며,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좌측으로 단위길이범위 외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ㅕ"가 표시된다.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left in the unit length range while touching the vowel input symbol, “심” is display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left in the unit length range while touching the vowel input symbol, “터치” is input. Is displayed.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ㅗ"가 표시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단위길이범위 외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ㅛ"가 표시된다.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upward in the unit length range while the vowel input symbol is touched, “ㅗ” is display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out of the unit length range upward when the vowel input symbol is touched, “ㅛ” is displayed. Is displayed.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하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ㅜ"가 표시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하측으로 단위길이범위 외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ㅠ"가 표시된다.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lower side in the unit length range while touching the vowel input symbol, "TT" is display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lower side in the unit length range while touching the vowel input symbol, the input is "ㅠ". Is displayed.

상기와 같은 모음입력원리는 모음 "ㅡ", "l"에서 또 다른 획이 상하좌우 어느방향으로 향해 있는지에 따라서 결정되어진 방법으로서 상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길이범위인 점선원에 해당하는 구역내에서 드래그가 입력된 경우에는 "ㅏ", "ㅓ", "ㅗ", "ㅜ"가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vowel input principle is a method determined according to which direction the other strokes in the vowels "-" and "l" are direct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dotted circle which is the unit length range as shown in FIG. When a drag is input in the zone, "ㅏ", "ㅓ", "ㅗ" and "TT" are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또한 상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길이 범위를 벗어난 구역까지 드래그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ㅑ", "ㅕ", "ㅛ", "ㅠ"가 입력되어 총 8개의 모음에 대한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a drag signal is input to an area outside the unit length range as shown in FIG. 4, "ㅑ", "ㅕ", "ㅛ", and "ㅠ" are input to express a total of eight vowels. Don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원터치 스트로크하여 신호가 입력되면 "ㅡ"를 표시하고 투터치 스트로크하여 신호가 입력되면 "ㅣ"를 표시한다.The control unit displays "-" when the signal is input by one-touch stroke of the vowel input symbol and "-" when the signal is input by two-touch stroke.

도5는 "의"를 표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pressing "of".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음입력심볼 내에도 가상의 공간분할이 존재하여 상기 모음입력심볼의 지름길이 범위내에서 드래그 신호가 입력된 경우 "ㅡ"와 "ㅣ"를 결합한 "ㅢ"가 표현된다. As shown in FIG. 5, when the drag signal is input within the vowel input symbol within the range of the length of the vowel input symbol, a virtual space division exists so that "ㅢ" combining "-" and "ㅣ" is represented. do.

이하 또 다른 모음 "ㅐ", "ㅒ", "ㅔ", "ㅖ"를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통해서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 Hereinafter, another vowel "ㅐ", "ㅐ", "ㅔ", "ㅖ" will be described how to input through the vowel input symbol.

도6은 모음입력심볼을 통해 모음 "ㅐ", "ㅒ", "ㅔ", "ㅖ"를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showing a drag path for displaying vowels "ㅐ", "ㅒ", "ㅔ", and "ㅖ" through vowel input symbols.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우측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ㅐ"를 표시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우측으로 단위길이 범위 외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ㅒ"를 표시한다.The control unit displays “” when a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right side of the vowel input symbol within a unit length range and a return drag operation to the vowel input symbol is inputted, and the dragging unit moves the vowel input symbol to the right outside the unit length range. When an operation is input and a return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vowel input symbol, "ㅒ" is displayed.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좌측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ㅔ"를 표시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좌측으로 단위길이 범위 외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ㅖ"를 표시한다.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vowel input symbol to the lef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and a return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vowel input symbol, "ㅔ" is displayed and the drag operation to the left of the vowel input symbol outside the unit length range is input. When the return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vowel input symbol, "ㅖ" is displayed.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ㅐ"를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211)는 상기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우측으로 드래그 되면 "ㅏ"가 표시되고 다시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ㅐ"가 표시된다. 같은 방법으로 "ㅔ"를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213)가 도6에 도시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6, when the drag path 211 for displaying “” is dragged to the righ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 is displayed and when the return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vowel input symbol, “ㅐ” is displayed. Is displayed. A drag path 213 for displaying "ㅔ" in the same way is shown in FIG.

또한 "ㅒ"를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212)는 상기 단위길이범위 외까지 우측으로 드래그 되면 "ㅑ"가 표시되고 다시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ㅒ"가 표시된다. 같은 방법으로 "ㅖ"를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214)가 도6에 도시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drag path 212 for displaying "ㅒ" is displayed when "d" is dragged to the right outside the unit length range, and "d" is displayed when a return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vowel input symbol. A drag path 214 for displaying "ㅖ" in the same way is shown in FIG.

도7은 "ㅘ", "ㅙ", "ㅝ", "ㅞ"를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drag path for displaying "ㅘ", "ㅙ", "ㅝ", and "ㅞ".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상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우측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ㅘ"를 표시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상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우측으로 드래그 후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ㅙ"를 표시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하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좌측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ㅝ"를 표시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하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좌측으로 드래그 후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ㅞ"를 표시한다.The control unit drags the vowel input symbol to the upper side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and continuously displays a "ㅘ" when a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right side, and drags the vowel input symbol to the upper side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and continues to the right. After dragging to the vowel input symbol, when the input drag operation is input, "ㅙ" is displayed, and dragging the vowel input symbol to the lower end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and when the drag operation is continuously input to the left, "ㅝ" is displayed. When the vowel input symbol is dragged downward to the unit length range and continuously dragged to the left, when the return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vowel input symbol, "ㅞ" is displayed.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ㅘ"를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221)는 상기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상측으로 드래그 되면 "ㅗ"가 표시되고 연속하여 우측으로 드래그 되면 "ㅘ"가 표시된다. "ㅙ"를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222)는 상기 "ㅘ"를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221)를 거치고 다시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신호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 "ㅘ"에 "l"가 추가되어 "ㅙ"가 표시된다. As shown in FIG. 7, the drag path 221 for displaying "ㅘ" is displayed when "d" is dragged upwards up to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and "d" is displayed when the drag path is continuously dragged to the right side. The drag path 222 for displaying "ㅙ" passes through the drag path 221 for displaying "ㅘ" and further includes a return drag signal to the vowel input symbol to "l" to "l". Is added and "ㅙ" is displayed.

"ㅝ"를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223)는 상기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하측으로 드래그 되면 "ㅜ"가 표시되고 연속하여 좌측으로 드래그 되면 "ㅝ"가 표시된다. "ㅞ"를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224)는 상기 "ㅝ"를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223)를 거치고 다시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신호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 "ㅝ"에 "l"가 추가되어 "ㅞ"가 표시된다. The drag path 223 for displaying "ㅝ" is displayed when "TT" is displayed when dragged downward to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and when "D" is continuously dragged to the left. The drag path 224 for displaying "ㅞ" passes through the drag path 223 for displaying "ㅝ" and further includes a return drag signal to the vowel input symbol to "l" to "l". Is added and "ㅞ" is displayed.

도8은 "ㅚ", "ㅟ"를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drag path for displaying "ㅚ" and "ㅟ".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상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ㅚ"를 표시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하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ㅟ"를 표시한다.The control unit displays “ㅚ” when the dragging operation to the vowel input symbol is input after dragging the vowel input symbol to the upper side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and drags the vowel input symbol to the lower side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When the drag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vowel input symbol, "ㅟ" is displayed.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ㅚ"를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231)는 상기 단위길이범위내까지 드래그 되면 "ㅗ"가 표시되고 연속하여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ㅚ"를 표시하고, "ㅟ"를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232)는 상기 단위길이범위내까지 드래그 되면 "ㅜ"가 표시되고 연속하여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ㅟ"를 표시한다. As shown in Fig. 8, when the drag path 231 for displaying "ㅚ" is dragged to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ㅗ" is displayed, and if a return drag operation is continuously input, "ㅚ" is displayed. The drag path 232 for displaying "" is displayed as "TT" when dragged to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and as "\" when a return drag operation is continuously input.

이하 상기 자음입력심볼의 자음배치 및 자음표시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Hereinafter, a consonant arrangement and a consonant display method of the consonant input symbol will be described.

상기 도3에 자음입력심볼의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자음배치에 대해서 언급한 것처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기준으로 8개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 입력에 의해서 자음을 표시한다.As mentioned with reference to the consonant arrangement arranged around the consonant input symbol in FIG. 3, the control unit displays consonants by a drag operation input in eight directions based on the consonant input symbol.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1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ㄱ"이 표시되며, 제2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ㄴ"이 표시되고, 제3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ㄷ"이 표시되고, 제4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ㄹ"이 표시되고, 제5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ㅁ"이 표시되고, 제6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ㅂ"이 표시되고, 제7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ㅅ"이 표시되고, 제8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ㅈ"이 표시된다.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first direction while the consonant input symbol is touched, “a” is display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second direction, “b” is displayed. "C" is display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third direction, and "d" is display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fourth direction, and drag operation is performed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fifth direction. If the input is "ㅁ" is displayed, if the drag operation is inpu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sixth direction "ㅂ" is displayed, and if the drag operation is inpu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seventh direction, "ㅅ" is displayed, When the drag motion is inpu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eighth direction, “ㅈ” is displayed.

상기 제어부가 연구개폐쇄음 "ㅋ", 치경폐쇄음 "ㅌ", 양순폐쇄음 "ㅍ", 경구개파찰음 "ㅊ"를 표시하기 위해서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1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외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ㅋ"이 표시되며, 제3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외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ㅌ"이 표시되며, 제5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외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ㅍ"이 표시되며, 제8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외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ㅊ"이 표시된다. The control unit drags the consonant input symbol out of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first direction while touching the consonant input symbol to display the research opening and closing sound "ㅋ", the alveolar closure sound ",", the abdominal closed sound "ㅍ", and the oral opening and closing sound "vo". When the motion is input, "ㅋ" is displayed. When the drag motion is input out of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third direction, "ㅌ" is displayed. When the drag motion is input out of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fifth direction, "ㅍ" is displayed. If the drag motion is input to the eighth direction out of the unit length range, “” is displayed.

상기 제어부가 쌍자음을 표시하기 위해서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1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원터치 스트로크 동작이 입력되면 "ㄲ"이 표시되며, 제3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원터치 스트로크 동작이 입력되면 "ㄸ"이 표시되고, 제6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원터치 스트로크 동작이 입력되면 "ㅃ"이 표시되고, 제7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원터치 스트로크 동작이 입력되면 "ㅆ"이 표시되며, 제8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원터치 스트로크 동작이 입력되면 "ㅉ"이 표시된다.When the controller touches the consonant input symbol in order to display the consonant input, drags to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n inputs a one-touch stroke operation, and "ㄲ" is displayed and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third direction. When one-touch stroke motion is input after dragging up, "ㄸ" is displayed. When one-touch stroke motion is input after dragging up to the sixth direction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ㅃ" is displayed and dragging within the length of the unit length in the seventh direction. After the one-touch stroke operation is input, "ㅆ" is displayed. When the one-touch stroke operation is input after the dragging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eighth direction, "ㅉ" is displayed.

앞서 언급했던 단자음, 복자음을 제외한 서로 다른 단자음이 결합된 자음인 복자음의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이용한 표시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 The display method using the consonant input symbols of the consonants, which are consonants in which different terminal sounds are combined except for the terminal sound and the consonant sound, will be described.

도9는 복자음을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showing a drag path for displaying a consonant sound.

상기 자음입력심볼의 배치상태를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3에 도시된 배치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복자음의 표시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A method of displaying the consonant consonants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consonant input symbol based on the arrangement state shown in FIG. 3. As shown in FIG.

복자음 "ㄺ"을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111)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4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1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포함하는 경로이다.The drag path 111 for displaying the consonant “ㄺ” is a path including a drag operation continuously in the first direction after dragging the consonant input symbol in the fourth direction to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복자음 "ㄳ"을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112)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1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7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포함하는 경로이다. The drag path 112 for displaying the consonant consonant “” is a path including a drag operation in the seventh direction after dragging the consonant input symbol in the first direction to within a unit length range.

복자음 "ㄵ"을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113)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2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8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포함하는 경로이다.The drag path 113 for displaying the consonant “ㄵ” is a path including a drag operation continuously in the eighth direction after dragging the consonant input symbol to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second direction while touching the consonant input symbol.

복자음 "ㄶ"을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114)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2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상기 자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을 포함하는 경로이다. The drag path 114 for displaying the consonant “ㄶ” is a path including a drag operation of returning to the consonant input symbol continuously after dragging the consonant input symbol within a unit length range in a second direction.

복자음 "ㄻ"을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115)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4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5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포함하는 경로이다. The drag path 115 for displaying the consonant “ㄻ” is a path including a drag operation continuously in the fifth direction after dragging to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fourth direction while touching the consonant input symbol.

복자음 "ㄼ"을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116)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4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6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포함하는 경로이다. The drag path 116 for displaying the consonant consonant “” is a path including a drag operation continuously in the sixth direction after dragging the consonant input symbol in the fourth direction to the unit length range.

복자음 "ㄽ"을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117)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4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7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포함하는 경로이다.The drag path 117 for displaying the consonant consonant "경로" is a path including a drag operation in the seventh direction after dragging the consonant input symbol in the fourth direction to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복자음 "ㅀ"을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118)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4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상기 자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을 포함하는 경로이다.A drag path 118 for displaying a consonant consonant "경로" is a path including a drag operation of returning to the consonant input symbol continuously after dragging the consonant input symbol within a unit length range in a fourth direction.

복자음 "ㅄ"을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119)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6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7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포함하는 경로이다. The drag path 119 for displaying the consonant “ㅄ” is a path including a drag operation continuously in the seventh direction after dragging the consonant input symbol to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sixth direction.

복자음 "ㅦ"을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120)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2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3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포함하는 경로이다. The drag path 120 for displaying the consonant “ㅦ” is a path including a drag operation continuously in the third direction after dragging the consonant input symbol to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second direction while touching the consonant input symbol.

복자음 "ㅧ"을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121)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2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7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포함하는 경로이다.The drag path 121 for displaying the consonant “ㅧ” is a path including a drag operation in the seventh direction after dragging the consonant input symbol to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second direction while touching the consonant input symbol.

복자음 "ㅲ"을 표시하기 위한 드래그 경로(122)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6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1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포함하는 경로이다. The drag path 122 for displaying the consonant “ㅲ” is a path including a drag operation continuously in the first direction after dragging the consonant input symbol to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sixth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숫자입력심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숫자입력심볼은 터치가 감지된 경우 숫자배열표를 표시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number input symbol on the touch screen, and the number input symbol displays a number array table when a touch is detected.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숫자입력심볼을 포함한 단말기를 표시한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showing a terminal including a number input symb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숫자입력심볼은 상기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숫자입력심볼의 위치는 임의의 설정이 가능하며, 특히 상기 단말이 전화통화를 위한 기능으로 실행될 경우 숫자입력심볼만이 표시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0, the number input symbol may be displayed on a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and the position of the number input symbol may be arbitrarily set. In particular, when the terminal is executed as a function for a telephone call, the number may be displayed. Only input symbols may be displayed.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숫자입력심볼의 배열표를 표시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table of numeric input symbo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숫자입력심볼은 중심에 숫자 0 내지 9를 제1 내지 제8방향으로 드래그하고, 상기 숫자입력심볼을 원터치 또는 투터치 스트로크에 의해서 입력한다.As shown in Fig. 11, the number input symbols drag numbers 0 to 9 in the first to eighth directions at the center, and input the number input symbols by one-touch or two-touch strokes.

상기 표시되는 숫자배열표에서 각 숫자를 스트로크 함으로서 숫자를 입력할 수도 있다. 즉 도11과 같은 배열상태에서 숫자 138을 표시하려 할 경우 상기 숫자입력심볼을 투터치 스트로크하여 "1"을 입력하고, 제2방향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 3을 스트로크하여 "3"을 입력하고, 제7방향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 8을 스트로크하여 "8"을 입력함으로서 "138"을 표시할 수 있다. In the displayed numerical array table, the numbers may be input by stroke of each number. That is, when the number 138 is to be displayed in the arrangement as shown in FIG. 11, the number input symbol is two-touch stroked to input "1", the number 3 displayed in the second direction is stroked to input "3", "138" can be displayed by inputting "8" by striking the number 8 displayed in the seventh direction.

상기 도11에 도시되어 있는 숫자입력심볼 주변의 숫자배열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임의로 설정이 가능하다.The number array around the number input symbol shown in FIG. 11 is mere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set arbitrarily.

도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숫자입력심볼에 의한 숫자입력드레그 경로를 표시한 예시도면이다. FIG. 1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number input drag path by a number input symb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숫자를 표시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숫자 239를 표시하려 할 경우 상기 숫자입력심볼을 제1방향으로 드래그하여 "2"를 입력하고 연속하여, 상기 숫자입력심볼에서 제2방향으로 드래그하여 "3"을 입력하고, 연속하여 상기 숫자입력심볼에서 제8방향으로 드래그하여 "9"를 입력하여 "239"의 표시를 완성한다. As shown in FIG. 12, when a number 239 is to be displayed as another method for displaying a number,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ags the number input symbol in a first direction, inputs “2”, and continuously. The number input symbol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to input "3", and the number input symbol is dragged in the eighth direction to enter "9" to complete the display of "239".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특수문자입력심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특수문자입력심볼은 터치를 감지한 경우 특수문자배열표를 표시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creen further includes a special character input symbol, and the special character input symbol displays a special character array table when a touch is detected.

도1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특수문자입력심볼을 포함한 단말기를 표현한 도면이다.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including a special character input symb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수문자입력심볼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어 있으며, 자음입력심볼, 모음입력심볼, 숫자입력심볼과 마찬가지로 배열표에서 직접 스트로크를 가함으로서 입력하거나 드래그에 의해서 입력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13, the special character input symbol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Like the consonant input symbol, the vowel input symbol, and the number input symbol, by applying a direct stroke in the arrangement table, the input is input or dragged. It is possible.

또한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에 입력모드 변환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모드 변환키는 한글입력, 숫자입력 또는 특수문자입력을 m×n(m과 n은 1이상의 자연수) 키패드모드, 필기인식모드, 음성인식모드, 쿼티키패드모드, 심볼패드모드로 변환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서 입력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the touch screen further includes an input mode conversion key, wherein the input mode conversion key inputs a Hangul input, a numeric input, or a special character input to an m × n (m and n are one or more natural numbers) keypad modes, It can be switched to handwriting recognition mode, voice recognition mode, QWERTY key pad mode, and symbol pad mode, and the input metho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또한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은 문자입력시에 특수기능을 담당하는 기능키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는 특수한 알고리즘이 바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엔터(enter)키, 백스페이스(back space), 딜리트(delete)키 일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the touch screen further includes a function key that is in charge of a special function at the time of text input. The function key may be an enter key, a back space, or a delete key as well as a function for allowing a specific algorithm to be executed immediately.

또한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음입력심볼, 모음입력심볼, 숫자입력심볼, 특수문자입력심볼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the positions of the consonant input symbol, the vowel input symbol, the number input symbol, and the special character input symbol may be changed.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입력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문자입력심볼인 제1입력심볼, 제2입력심볼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입력감지부는 상기 문자입력심볼의 스트로크, 드래그 또는 드래그의 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문자입력장치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device of a terminal including a touch screen, an input sensing unit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touch screen includes a first input symbol and a second input symbol which are character input symbols, and the input sens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including a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ing direction of the stroke, drag or drag of the character input symbo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상기 단말기는 노트북, 스마트폰, 테블릿피씨가 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국한되진 않는다. The terminal may be a notebook, a smartphone, a tablet PC,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 발명의 범위 또는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구조가 다양하게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음은 이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게 자명하다. 상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볼 때, 만약 본 발명의 수정 및 변경이 아래의 청구항들 및 동등물의 범주내에 속한다면, 본 발명이 이 발명의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On the other h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or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r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iew of the foregoing, it is believ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and equivalents.

10 터치스크린 20 입력감지부
30 제어부 100 자음입력심볼
200 모음입력심볼
10 touch screen 20 input detection unit
30 control 100 consonant input symbol
200 vowel input symbols

Claims (29)

삭제delete 터치스크린, 입력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로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한글의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자음입력심볼 및 한글의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모음입력심볼을 포함하는 문자입력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입력심볼의 스트로크, 드래그 또는 드래그의 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A character input device of a terminal including a touch screen, an input sensing unit, and a controller, wherein the touch screen comprises a character input symbol including a consonant input symbol for inputting a consonant in Korean and a vowel input symbol for inputting a vowel in Korean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isplay a character on the touch screen by detecting a stroke, drag or drag direction of the character input symbo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에 단위시간을 경과한 터치가 감지된 경우 8가지 방향으로 배치된 자음배열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음입력심볼에 단위시간을 경과한 터치가 감지된 경우 4가지 방향으로 배치된 모음배열표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consonant array table arranged in eight directions when a touch that has passed a unit time has been detected on the consonant input symbol, and when a touch that has passed a unit time has been detected at the vowel input symbol.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display the vowel arrangement table arranged in four directions on the touch scree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에 의해 한글 자음을 표시하는데 있어서 원터치 스트로크, 투터치 스트로크,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기준으로 8개 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의 드래그, 단위길이범위 외의 드래그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may display one-touch strokes, two-touch strokes, dragging within a unit length range in eight directions based on the consonant input symbols, and dragging out of the unit length range by displaying the Hangul consonants by the consonant input symbols.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입력심볼에 의해 한글 기본 모음을 표시하는데 있어서 원터치 스트로크, 투터치 스트로크,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기준으로 4개 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의 드래그, 단위길이범위 외의 드래그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basic Korean vowel by the vowel input symbol, one-touch stroke, two-touch stroke, dragging within a unit length range in four directions based on the vowel input symbol, and dragging outside the unit length range.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ed 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4개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 입력에 의해서 기본모음을 표시하되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우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ㅏ"가 표시되며,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우측으로 단위길이범위 외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ㅑ"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좌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ㅓ"가 표시되며,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좌측으로 단위길이범위 외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ㅕ"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ㅗ"가 표시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단위길이범위 외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ㅛ"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하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ㅜ"가 표시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하측으로 단위길이범위 외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ㅠ"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displays a basic vowel by a drag operation input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the vowel input symbol, but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righ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while the vowel input symbol is touched, "ㅏ"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out of the unit length range to the right in the state of touching the vowel input symbol, "ㅑ" is displayed, and in the unit length range to the left in the state of touching the vowel input symbol. "ㅓ" is display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and "ㅕ" is display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out of the unit length range to the left while the vowel input symbol is touched, and the vowel input symbol is touched. If the drag operation is input upward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one state, "ㅗ" is displayed, and the vowel input symbol is touch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upper side out of the unit length range is characterized in that "ㅛ" is displayed, an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lower side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while the vowel input symbol is touched "TT" is displayed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ㅠ" is display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out of the unit length range to the lower side while the vowel input symbol is touch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원터치 스트로크하여 신호가 입력되면 "ㅡ"를 표시하고 투터치 스트로크하여 신호가 입력되면 "ㅣ"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displays a character “-” when the signal is input by a one-touch stroke of the vowel input symbol and a “-” when the signal is input by a two-touch strok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입력심볼의 지름길이 범위내에서 드래그 신호가 입력되면 "ㅢ"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a "하는" when a drag signal is input within a short range of the vowel input symbo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우측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ㅐ"를 표시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우측으로 단위길이 범위 외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ㅒ"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좌측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ㅔ"를 표시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좌측으로 단위길이 범위 외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ㅖ"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 when a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right side of the vowel input symbol within a unit length range and a return drag operation to the vowel input symbol is inputted, and the dragging unit moves the vowel input symbol to the right outside the unit length range. When an operation is input and a return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vowel input symbol, “ㅒ” is displayed. A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vowel input symbol within a unit length range to the left and a drag is returned to the vowel input symbol. When the operation is input, "ㅔ" is displayed, an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vowel input symbol out of the unit length range to the left and the return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vowel input symbol, "ㅖ" is displayed. Character input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상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우측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ㅘ"를 표시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상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우측으로 드래그 후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ㅙ"를 표시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하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좌측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ㅝ"를 표시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하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좌측으로 드래그 후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ㅞ"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drags the vowel input symbol to the upper side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and continuously displays a "ㅘ" when a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right side, and drags the vowel input symbol to the upper side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and continues to the right. After dragging to the vowel input symbol, when the input drag operation is input, "ㅙ" is displayed, and dragging the vowel input symbol to the lower end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and when the drag operation is continuously input to the left, "ㅝ" is displayed. And dragging the vowel input symbol to the lower side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and continuously dragging the vowel input symbol to the left, and then displaying a "ㅞ" when a return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vowel input symbo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상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ㅚ"를 표시하고, 상기 모음입력심볼을 하측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상기 모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ㅟ"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ㅚ” when the dragging operation to the vowel input symbol is input after dragging the vowel input symbol to the upper side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and drags the vowel input symbol to the lower side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display a "ㅟ" when the return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vowel input symbo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원터치 스트로크에 의해서 "ㅇ"을 표시하고, 투터치 스트로크에 의해서 "ㅎ"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consonant input symbol "o" by a one-touch stroke and "ㅎ" by a two-touch strok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기준으로 8개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 입력에 의해서 자음을 표시하되,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1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ㄱ"이 표시되며, 제2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ㄴ"이 표시되고, 제3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ㄷ"이 표시되고, 제4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ㄹ"이 표시되고, 제5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ㅁ"이 표시되고, 제6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ㅂ"이 표시되고, 제7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ㅅ"이 표시되고, 제8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ㅈ"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displays consonants by a drag operation input in eight directions based on the consonant input symbols, an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within a unit length range in a first direction while the consonant input symbols are touched, the "a" is input. Is display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second direction, “b” is display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third direction, “c” is displayed and the unit length is in the fourth direction. If the drag operation is input within the range, "ㄹ" is displayed. If the drag operation is inpu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fifth direction, "ㅁ" is displayed. If the drag operation is inpu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sixth direction, "ㅂ" is displayed. Is display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seventh direction, "ㅅ" is display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eighth direction, "ㅈ" is displayed.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termina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1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외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ㅋ"이 표시되며, 제3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외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ㅌ"이 표시되며, 제5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외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ㅍ"이 표시되며, 제8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외까지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ㅊ"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troller displays “ㅋ” when a drag operation is input outside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first direction while the consonant input symbol is touched, and “ㅌ” is input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outside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third direction.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unit length range outside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fifth direction, "T" is display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unit length range outside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fifth direction, "Z" is displayed. Character input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1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원터치 스트로크 동작이 입력되면 "ㄲ"이 표시되며, 제3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원터치 스트로크 동작이 입력되면 "ㄸ"이 표시되고, 제6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원터치 스트로크 동작이 입력되면 "ㅃ"이 표시되고, 제7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원터치 스트로크 동작이 입력되면 "ㅆ"이 표시되며, 제8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원터치 스트로크 동작이 입력되면 "ㅉ"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If the one-touch stroke operation is input after dragging to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first direction while the consonant input symbol is touched, the control unit displays “터치”, and the one-touch stroke operation after dragging to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third direction. Is inputted, "ㄸ" is displayed. If one-touch stroke motion is input after dragging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sixth direction, "ㅃ" is displayed, and one-touch stroke motion is input after dragging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seventh direction. "ㅆ" is displayed, and if the one-touch stroke operation is input after dragging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eighth direction, "ㅉ" is display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입력심볼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4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1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ㄺ"이 표시되고, 제1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7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ㄳ"이 표시되며, 제2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8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ㄵ"이 표시되고, 제2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상기 자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ㄶ"이 표시되고, 제4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5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ㄻ"이 표시되고, 제4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6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ㄼ"이 표시되고, 제4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7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ㄽ"이 표시되고, 제4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상기 자음입력심볼로 리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ㅀ"이 표시되고, 제6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7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ㅄ"이 표시되고, 제2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3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ㅦ"이 표시되고, 제2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7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ㅧ"이 표시되고, 제6방향으로 단위길이 범위 내까지 드래그 후 연속하여 제1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ㅲ"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troller may display “ㄺ” when the drag operation is continuously input in the first direction after dragging to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fourth direction while the consonant input symbol is touched, and to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first direction. If the drag operation is continuously input in the seventh direction after dragging, "ㄳ" is displayed. If the drag operation is continuously input in the eighth direction after dragging to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second direction, "ㄵ" is displayed. When dragging to the consonant input symbol continuously after dragging to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wo directions, " ㄶ " is displayed, and dragging to the fifth length direction continuously after dragging to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fourth direction. When input, "ㄻ" is displayed. If the drag operation is input continuously in the sixth direction after dragging to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fourth direction, "ㄼ" is displayed and the unit length in the fourth direction is displayed. If the drag operation is input continuously in the seventh direction after dragging to the range, " 표시 " is displayed. If the drag operation is continuously input to the consonant input symbol after dragging to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fourth direction, " ㅀ " Is displayed. If the drag operation is input in the seventh direction continuously after dragging to within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sixth direction, " 이 " is displayed, and dragging to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n continuously in the third direction If the drag operation is input, "ㅦ" is displayed. If the drag operation is input in the seventh direction continuously after dragging to the unit length range in the second direction, "ㅧ" is displayed and the unit length range is to the sixth direction.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ㅲ" is displayed if the drag operation is continuously input in the first direction after the dra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숫자입력심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숫자입력심볼은 터치가 감지된 경우 숫자배열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touch screen further comprises a number input symbol, the number input symbol is a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a number array table when the touch is detected.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입력심볼은 중심에 숫자 0 내지 9를 제1 내지 제8방향으로 드래그하고, 상기 숫자입력심볼을 원터치 또는 투터치 스트로크에 의해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number input symbol is a character input device of a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drag the numbers 0 to 9 in the first to eighth direction at the center, and input the number input symbols by one-touch or two-touch strok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특수문자입력심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특수문자입력심볼은 터치를 감지한 경우 특수문자배열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touch screen further includes a special character input symbol and the special character input symbol is a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display a special character array table when the touch is detec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모드 변환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put mode conversion key on the touch screen.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 변환키는 한글입력, 숫자입력 또는 특수문자입력을 m×n(m과 n은 1이상의 자연수) 키패드모드, 필기인식모드, 음성인식모드, 쿼티키패드모드, 심볼패드모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input mode conversion key is for converting Korean input, numeric input or special character input into m × n (m and n are natural numbers of 1 or more) keypad mode, handwriting recognition mode, voice recognition mode, QWERTY keypad mode, and symbol pad mode.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문자입력시에 특수기능을 담당하는 기능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touch screen is a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unction key for a special function at the time of character inpu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입력심볼 및 상기 모음입력심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소정의 위치로 변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t least one of the consonant input symbol and the vowel input symbol may be chang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touch scree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배열표, 상기 모음배열표, 또는 상기 숫자배열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설정에 의해서 배열의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문자입력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At least one of the consonant array table, the vowel array table, and the number array table is capable of adjusting the arrangement by setting.
제2항의 문자입력장치를 포함하는 단말기.A terminal comprising 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claim 2.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단말기로서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자음입력심볼과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모음입력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자음입력심볼 및 상기 모음입력심볼의 스트로크, 드래그, 드래그의 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A terminal including a touch screen, comprising a consonant input symbol for inputting a consonant and a vowel input symbol for inputting a vowel, and detecting the direction of stroke, drag and drag of the consonant input symbol and the vowel input symbol.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act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삭제delete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입력심볼의 원터치 스트로크, 투터치 스트로크를 기준으로 복수의 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의 드래그, 단위길이범위 외의 드래그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한글의 자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6,
And a consonant in Korean on the touch screen by dragging within a unit length range and dragging outside the unit length range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based on the one-touch stroke and the two-touch stroke of the consonant input symbol.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입력심볼의 원터치 스트로크, 투터치 스트로크를 기준으로 복수의 방향으로 단위길이범위 내의 드래그, 단위길이범위 외의 드래그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한글의 기본 모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6,
A basic vowel of Korean characters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by dragging within a unit length range and dragging outside a unit length range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based on the one-touch stroke and the two-touch stroke of the vowel input symbol.
KR1020110018552A 2011-03-02 2011-03-02 Character entering device and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KR1012126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552A KR101212624B1 (en) 2011-03-02 2011-03-02 Character entering device and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552A KR101212624B1 (en) 2011-03-02 2011-03-02 Character entering device and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987A KR20120099987A (en) 2012-09-12
KR101212624B1 true KR101212624B1 (en) 2012-12-14

Family

ID=47109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552A KR101212624B1 (en) 2011-03-02 2011-03-02 Character entering device and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62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855B1 (en) * 2013-12-27 2015-03-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Stroke-based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10725659B2 (en) 2014-10-14 2020-07-28 Tae Cheol CHEON Letter input method using touchscreen
KR101561783B1 (en) * 2014-10-14 2015-10-19 천태철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n touch screen of terminal
KR102038660B1 (en) * 2018-01-09 2019-10-30 구본혁 Method for key board interface displaying of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987A (en)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67572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etting virtual keyboard of mobile terminal
US8791918B2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nput control method, storing character input program
US20140152585A1 (en) Scroll jump interface for touchscreen input/output device
CA2911850C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of selectable elements
US10387033B2 (en) Size reduction and utilization of software keyboards
CN104199606B (en) A kind of method and apparatus sliding input
EP2404230A1 (en) Improved text input
KR20110097467A (en) Method for inputting a string of charaters and apparatus thereof
CN105589642B (en) Automatic input method switching system and method for palm electronic device
US953552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election of information
US20110319139A1 (en) Mobile terminal, key display program, and key display method
KR20160009054A (en) Multiple graphical keyboards for continuous gesture input
KR101212624B1 (en) Character entering device and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US9069391B2 (en) Method and mediu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a touch screen
KR2012009783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ext in terminal
CN102714674A (en) Korean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touch screen,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key input apparatus
KR101671797B1 (en) Handheld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EP2741194A1 (en) Scroll jump interface for touchscreen input/output device
US20150113467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in a mobile terminal
KR2014009983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floating keys in a portable device
US9014762B2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US11221757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3457269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ne-handed operation
JP2011209932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hanging character string expression in the same
KR20100045617A (en) Korean alphabet input method utilizing a multi-touch sensing touch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