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019B1 - Karaoke system for producing music signal dynamically from wireless electronic percurssion - Google Patents

Karaoke system for producing music signal dynamically from wireless electronic percur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019B1
KR101212019B1 KR1020100129129A KR20100129129A KR101212019B1 KR 101212019 B1 KR101212019 B1 KR 101212019B1 KR 1020100129129 A KR1020100129129 A KR 1020100129129A KR 20100129129 A KR20100129129 A KR 20100129129A KR 101212019 B1 KR101212019 B1 KR 101212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music signal
signal
wireless electronic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1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67622A (en
Inventor
이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to KR1020100129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019B1/en
Publication of KR20120067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6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0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0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8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9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erformance evaluation, i.e. judging, grading or scoring the musical qualities or faithfulness of a performance, e.g. with respect to pitch, tempo or other timings of a reference performan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395Acceleration sensing or accelerometer use, e.g. 3D movement computation by integration of accelerometer data, angle sensing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i.e. gravity sen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악기 중에서 선택된 악기의 음악 신호를 노래 반주 장치에서 수신하여 수신된 음악 신호를 노래 반주 장치 내에서 생성된 음악 신호와 합성할 수 있도록 하는 노래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노래방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사용자에게 친근한 새로운 형태의 노래방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araoke system for receiving a music signal of a musical instrument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musical instruments, generated from the operation of a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in a song accompaniment device and synthesizing the received music signal with a music signal generated in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It is about.
By using the karaoke system capable of dynamically generating a music signal from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inducing interest to the user using the karaoke system and providing a new type of karaoke that is friendly to the user.

Description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KARAOKE SYSTEM FOR PRODUCING MUSIC SIGNAL DYNAMICALLY FROM WIRELESS ELECTRONIC PERCURSSION}KARAOKE SYSTEM FOR PRODUCING MUSIC SIGNAL DYNAMICALLY FROM WIRELESS ELECTRONIC PERCURSSION

본 발명은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악기 중에서 선택된 악기의 음악 신호를 노래 반주 장치에서 수신하여 수신된 음악 신호를 노래 반주 장치 내에서 생성된 음악 신호와 합성할 수 있도록 하는 노래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araoke system capable of dynamically generating a music signal from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the music signal of a musical instrument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musical instruments generated from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araoke system capable of synthesizing a received and received music signal with a music signal generated in a song accompaniment device.

노래방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노래방 단말기나 노래방 단말기에 곡 등을 선곡하기 위한 리모컨을 이용해서 원하는 곡목을 선곡하고 선곡 된 곡을 재생한다. 이에 더해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재생되는 곡의 음정이나 템포 등을 노래방 단말기의 버튼 또는 리모컨을 이용해서 변경할 수 있다. A user using karaoke selects a desired piece of music using a remote control for selecting a song, etc. in a karaoke terminal or a karaoke terminal, and plays the selected song. In addition, the user may change the pitch or tempo of the song to be play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using a button of a karaoke terminal or a remote controller.

그리고 노래방에서 선곡 되어 재생되는 곡은 미디 음악을 사용하여 오디오 음악으로 출력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미디 음악은 노래방 단말기를 제조하고 음악을 배포하는 제조 업체에서 미리 제작되어 배포된다. In addition, songs that are selected and played in karaoke are generally outputted as audio music using MIDI music, which is pre-produced and distributed by manufacturers that manufacture karaoke terminals and distribute music.

그리하여 사용자는 단지 미리 제작된 미디 음악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는 것과 노래방에서 제공되는 기본적 기능인 음정 또는 템포 변환만을 이용하는 것 뿐이어서 과거부터 계속 이어진 이러한 전통적인 노래 제공 방식에 싫증남을 느끼는 사용자는 노래방을 멀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us, users simply sing to pre-made midi music and use only the basic pitch and tempo conversions offered by karaoke so that users who get tired of this traditional way of delivering songs from a long time away from karaoke There is a problem.

한편 노래방에는 여러 사람이 같이 흥을 돋울 수 있도록 하는 보조적인 악기 예를 들어 탬버린을 구비하고 있으나, 탬버린 자체의 소음과 탬버린과 노래방에서 출력되는 음악의 비조화의 문제 그리고 탬버린에 나오는 음의 단순성으로 인해 사용자를 노래방에 끌어들이는 데에는 그 한계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karaoke is equipped with an auxiliary instrument such as tambourine, which allows several people to be entertained together, but due to the noise of tambourine itself, the problem of disharmony of the music output from tambourine and karaoke, and the simplicity of the sound from the tambourine There is a limit to attracting users to karaoke.

따라서, 노래방 단말기 내에 탑재되어 활용할 수 있는 미디 음악 또는 음악 클립을 활용하도록 하고, 재생되는 곡에 동적으로 음악 클립 또는 미디 음악을 추가할 수 있는, 그리하여 노래방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흥미를 돋우고 사용자를 끌어들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노래방 시스템이 필요하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MIDI music or music clips that are mounted and utilized in the karaoke terminal, and to add music clips or MIDI music to the music being played dynamically, thereby attracting and attracting users to karaoke users. We need a new form of karaoke system.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노래방에서 재생할 수 있는 음악을 노래방 사용자에 의해 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karaoke system capable of dynamically generating a music signal from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which can dynamically provide music that can be played in karaoke by the karaoke user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전자 퍼커션에 탑재된 동작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악기의 음의 높낮이와 악기 음의 세기를 사용자에 의해 유도된 무선 전자 퍼커션의 움직임으로부터 추출하여 음악 신호를 제공하는,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sic signal by using the motion sensor mounted o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extracting the pitch of the instrument and the intensity of the instrument specified by the user from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induced by the user, the wireless sign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araoke system capable of dynamically generating a music signal from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ercussion.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무선 전자 퍼커션에서 서로 다른 악기의 음의 높낮이와 악기 음의 세기를 제공하는,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araoke system capable of dynamically generating a music signal from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providing the pitch of the different instruments and the strength of the musical instrument in a plurality of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전자 퍼커션의 움직임으로부터 곡을 선곡할 수 있도록 하는 노래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araoke system that can select a song from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은, 지정된 악기의 음악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송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자 퍼커션과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송출된 음악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악기의 음악 신호를 사용자에 의해 선곡 되어 재생중인 음악 신호에 합성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노래 반주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전자 퍼커션은 복수의 악기 중 하나의 악기를 지정하도록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무선 전자 퍼커션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동작 센서와, 상기 동작 센서에서 인식된 움직임에 따라 지정된 악기의 음악 신호로 변환하는 움직임-음악신호 변환부와, 상기 움직임-음악신호 변환부에서 변환된 음악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araoke system capable of dynamically generating a music signal from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t least on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for transmitting the music signal of the specified instrument via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song accompaniment device for receiving a music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music signal, and synthesizing the received music signal by a user to a music signal being reproduced and outputting an audio signal, wherei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includes: A user input selectable to designate an instrument, a motion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movement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a motion-music signal converter for converting a musical signal of a specified instrument according to the motion recognized by the motion sensor;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music signal converted by the motion-music signal converter. The shipmen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wireless signal transceiver.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은, 자이로센서, 자이로스코프, 가속도센서,및 적외선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 센서가 포함하며, 상기 무선 전자 퍼커션의 움직임-음악신호 변환부는 동작 센서에서 감지된 움직임의 크기, 감지된 움직임의 속도, 감지된 움직임의 방향 및 감지된 움직임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된 상기 지정된 악기의 음의 높낮이 또는 세기를 포함하는 음악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karaoke system capable of dynamically generating a music signal from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at least one of the gyro sensor, gyroscope, acceleration sensor, and infrared sensor. And a sensor, wherein the motion-music signal converter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is determined by at least one of the magnitude of the motion detected by the motion sensor, the speed of the detected motion, the direction of the detected motion and the location of the detected motion. And converting the musical signal including the pitch or strength of the musical instrument.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은, 무선 전자 퍼커션 각각이 서로 다른 지정된 악기의 음악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karaoke system capable of dynamically generating a music signal from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transmits the music signal of a different musical instrument.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은, 동작 센서에서 인식된 움직임으로부터 노래 반주 장치에서 사용될 선곡 번호를 추출하는 선곡 번호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karaoke system capable of dynamically generating a music signal from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usic selection number recognition unit for extracting the music selection number to be used in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from the movement recognized by the motion sensor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동적으로 수신된 음악 신호를 노래방에서 동적으로 재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돋울 수 있고 노래방을 사용자에게 친근감이 들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The karaoke system capable of dynamically generating a music signal from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interesting to the user by allowing the music signal dynamically received from the user to be played dynamically in the karaoke Karaoke has the advantage of making the user friendly.

또한 다양한 악기를 동적으로 노래방에서 재생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동작으로부터 생성된 음악 신호를 노래방에서 재생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노래방과는 다른 형태의 새로운 형태의 박진감이 있는 노래방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ynamically play a variety of instruments in the karaoke, and to play the music signal generated from the user's motion in the karaoke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new type of karaoke with a different form of thrilling than the existing karaoke.

또한 음악 신호의 생성뿐 아니라, 노래방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곡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곡 선택에서 있어서의 편리함과 재미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o the generation of a music signal, it is possible to select a song that can be used in karaoke to provide the user with convenience and fun in selecting the song.

도 1은 본 발명인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무선 전자 퍼커션의 블록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노래 반주 장치의 블록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무선 전자 퍼커션에서 사용되는 악기별 맵핑 테이블의 구성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무선 전자 퍼커션와 연동하여 노래 반주 장치에서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채점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karaoke system capable of dynamically generating a music signal fro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2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block diagram of a song accompaniment device.
FIG. 4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m of an instrument-specific mapping table used in a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FIG. 5 is an operation flowchart showing a method for scoring from an operation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in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in association with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asily add other embodiments by add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It may be suggested, but this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인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무선 전자 퍼커션(100), 노래 반주 장치(200), 통신 네트워크(300),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400) 및 오디오 생성 장치(500)를 포함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karaoke system capable of dynamically generating a music signal fro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According to FIG. 1, a karaoke system capable of dynamically generating a music signal from the operation of a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includes at least on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 song accompaniment device 200, a communication network 300, and a video display device 400. And the audio generating device 500.

무선 전자 퍼커션(100)은, 복수의 악기 중 노래방의 사용자나 관리자에 의해서 선택된 악기의 음악 신호를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움직임으로부터 생성하여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 노래 반주 장치(200)로 송신한다. 각각의 무선 전자 퍼커션(100)은 동일한 악기의 음악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되거나 각기 다른 악기의 음악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generates a music signal of a musical instrument selected by a user or a manager of a karaoke among a plurality of musical instruments from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nd transmits the music signal to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Send. Each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may be set to generate a music signal of the same instrument or may be set to generate a music signal of different instrument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노래 반주 장치(200)는 노래방에 비치된 리모컨이나 노래 반주 장치의 버튼 등을 이용하여 노래방의 사용자로부터 선곡된 곡으로부터 미디 음악 신호를 생성하거나 음악 클립 예를 들어 MP3 파일 또는 AVI 파일을 이용하여 음악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전자 퍼커션(100)으로부터 수신된 음악 신호를 노래 반주 장치(200)에서 선곡에 의해 생성된 음악 신호에 합성하여 합성된 음악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로 오디오 생성 장치(500)에 출력한다. 또한 노래 반주 장치(200)의 HDD 등에 저장된 영상 파일을 디코딩하고 선곡된 곡의 가사 정보를 표시하도록 생성된 이미지를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또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출력한다. 노래 반주 장치(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설명하도록 한다.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200 generates a MIDI music signal from a song selected by a user of a karaoke room using a remote control or a button of a song accompaniment device provided in karaoke, or uses a music clip, for example, an MP3 file or an AVI file. A signal is generated, and the music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is synthesized by the music accompaniment to the music signal generated by selection in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and the synthesized music signal is an analog signal or a digital signal. ) In addition, the image file stored in the HDD of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200 and the like are decoded, and the image generated to display lyrics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ong is outpu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400 as an analog video signal or a digital video signal.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통신 네트워크(300)는 하나 이상의 무선 전자 퍼커션(100)과 노래 반주 장치(200)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이다. 통신 네트워크(300)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이거나 무선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통신 네트워크(300)를 구축하는 것이 무선 전자 퍼커션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는 무선 랜,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RFID, 바이너리 CDMA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is a network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one or mor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nd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200.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may be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it would be desirable to establis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a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ecause it can freely move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scheme such as wireless LAN, Bluetooth, Zigbee, RFID, binary CDMA, and the like.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LCD, LED, PDP TV 등과 같이 노래 반주 장치(200)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신호를 HDMI, S-Video 신호, Composite 비디오 신호 등의 형식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비디오 신호를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한다. The video display device 400 receives a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200 such as an LCD, an LED, a PDP TV, etc. in a format such as an HDMI, an S-Video signal, a composite video signal, and displays the received video signal. Display on the screen of the device.

오디오 생성 장치(500)는 노래 반주 장치(200)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노래방의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음악을 출력한다. 오디오 생성 장치(500)는 앰프와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앰프에서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키고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에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audio generating apparatus 500 receives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and outputs music so that the user of the karaoke can listen to the received audio signal. The audio generating apparatus 500 may include an amplifier and a speaker, and may be configured to amplify the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amplifier and output the amplified audio signal to the speaker.

도 1의 예시적인 노래방 시스템은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서 움직임에 따른 악기의 음악 신호를 노래 반주 장치(200)로 송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대안적으로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서 움직임에 따른 악기의 음악 신호를, 오디오 생성 장치(500)에서 노래 반주 장치(200)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와 합성될 수 있도록, 오디오 생성 장치(500)가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 무선 전자 퍼커션(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노래 반주 장치(200)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와 무선 전자 퍼커션(100)으로부터 수신된 악기의 음악 신호를 합성할 수 있는 음악 신호 합성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Although the exemplary karaoke system of FIG. 1 has been described as transmitting a musical signal of a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movement i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to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alternatively, the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i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is described. The audio generating device 50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so that the music signal of the audio generating device 500 can be synthesized with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200. And a music signal synthesizing unit for synthesizing audio signals output from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and music signals of musical instruments received from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have.

도 2는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블록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무선 전자 퍼커션(100)은 사용자 입력부(110), 악기 선택부(120), 동작 센서(130), 움직임-음악 신호 변환부(140), 선택 악기 표시부(160)와 무선 신호 송수신부(150)를 포함하고,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동작으로부터 노래 반주 장치(200)에서 곡을 선택할 수 있는 곡 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선곡 번호 인식부(170)와 인식된 곡 번호를 표시할 수 있는 선곡 번호 표시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블록들은 하나의 IC 예를 들어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내에 통합되거나 혹은 복수의 IC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패널과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각 하드웨어 블록을 제어할 수 있는 프로세서(processor),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동작 센서 IC, 설정 정보와 프로세서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에게 현재 설정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사용자에게 선곡된 곡 번호 또는 설정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무선 전자 퍼커션(100)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전용 단말기로 구성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 동작 센서(130)를 구비한 휴대폰, 스마트폰, 또는 PDA 등 일수 있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ccording to FIG. 2,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transmits and receives a wireless signal to and from a user input unit 110, an instrument selection unit 120, a motion sensor 130, a motion-music signal conversion unit 140, and a selection instrument display unit 160. And a music selection number recognition unit 170 for recognizing a song number for selecting a song in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from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nd displaying the recognized song number. The music selection number display unit 180 may be further included. Each block may be integrated in one IC, for example, in one processor, or configured using a plurality of ICs. An exemplary hardware configuration may detect the operation of a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 processor capable of executing a program and controlling each hardware block, with a plurality of buttons or touch panels capable of receiving user input. Motion sensor ICs, memory for storing setting information and programs used in the processor,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that can display the currently set status to the user, and an LCD that can display the selected song number or set status to the user. It can be configured using a display or the like.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may be configured as a dedicated terminal that can be carried by a user. Alternatively,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may be a mobile phone, a smartphone, a PDA, or the like having the motion sensor 130.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노래방 사용자가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서 제공하는 악기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악기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더하여 사용자가 노래 반주 장치(200)에서 재생할 곡 번호를 생성하는 선곡 모드 상태인지 혹은 악기의 음악 신호를 생성하는 악기 모드 상태인지를 표시하기 위한 악기/선곡 모드 신호를 수신한다. 악기/선곡 모드 신호에 따라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동작을 인식하여 악기의 음악 신호를 생성할 것인지 혹은 노래 반주 장치(200)에서 재생할 곡 번호를 생성할 것인지를 결정된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10)는 악기/선곡 모드 신호가 선곡 모드인 경우에 입력되는 숫자들을 이전의 입력 숫자와 각기 구별하기 위한 번호 입력 신호와 선곡 모드에서 결정된 숫자들을 노래 반주 장치(200)로 전송하기 위한 선곡 전송 신호를 더 수신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버튼 타입, 터치 버튼 타입 또는 터치 패널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서 제공하는 악기들 중에서 사용자가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움직임으로부터 실제로 연주할 악기를 선택할 수 있고,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움직임으로부터 노래 반주 장치(100)에서 선곡될 곡 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The user input unit 110 receives a musical instrument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one of the instruments provided by the karaoke user through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in addition, the user plays the song to be played in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Receives an instrument / selection mode signal to indicate whether it is in a song selection mode generating a number or an instrument mode generating a musical signal of the instrument.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is recognized according to the instrument / selection mode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o generate a musical signal of the instrument or a song number to be reproduced by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110 transmits the number input signal for distinguishing the numbers input when the instrument / selection mode signal is the selection mode from the previous input number and the numbers determined in the selection mode to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Can further receive a selection music transmission signal for. Basically, the user interface may be composed of a button type, a touch button type, a touch panel, or the like. The user may use the user interface from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mong the instruments provided by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through the user interface. A musical instrument to be actually played can be selected, and the song number to be selected in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100 can be input from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악기 선택부(120)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된 악기 선택 신호로부터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서 무선 전자 퍼커션의 움직임(동작)에 따라 생성할 음악 신호의 해당 악기를 선택한다. 악기 선택부(120)는 선택된 악기에 대응하여 음악 신호 생성에 사용할 룩업 테이블 형식의 맵핑 테이블을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메모리 등에 있는 다수의 맵핑 테이블에서 선택하여 지정하고, 선택된 악기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어떠한 악기를 선택하였는지를 알릴 수 있는 신호를 선택 악기 표시부(160)에 전달한다. The instrument selection unit 120 selects a corresponding instrument of a music signal to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peration)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i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from the musical instrument selec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10. The instrument selecting unit 120 selects and assigns a lookup table format mapping table to be used for generating a music signal from a plurality of mapping tables in a memory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in response to the selected instrument, and recognizes the selected instrument by the user. In order to do so, a signal for notifying which instrument is selected is transmitted to the selection instrument display unit 160.

한편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서 선택하여 음악 신호를 생성할 악기는 다양한데, 예를 들어, 탬버린, 벨, 쉐이커, 마라카스 등과 같은 무선 전자 퍼커션(100)을 흔들면서 소리를 내는 악기나, 드럼, 심벌즈, 스네어, 팀발레스, 콩가, 봉고, 젬베, 캐스터네츠 등과 같이 두드리면서 소리를 내는 악기나, 회전을 통해 소리를 내는 카바사와 같은 악기를 선택할 수 있다. 그 외에도 관악기, 타악기, 건반 악기 등 노래 반주 장치(200)에서 합성할 수 있는 악기를 선택할 수도 있다. 한편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움직임 자체가 해당 악기의 연주 방식이 될 수 있지만, 그 외에도 사용자의 특정 악기를 연주하기 위한 움직임과는 상관없는 예를 들어 펜싱 운동에서 볼 수 있는 찌르기, 야구에서 볼 수 있는 휘두르기, 골프 스윙 등의 움직임을 특정 악기의 음악 신호와 연결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맵핑 테이블은 무선 전자 퍼커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앞서 살펴본 다양한 악기에 따라 다른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맵핑 테이블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a variety of instruments to generate a music signal by selecting from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for example, musical instruments, drums, cymbals that make sounds while shaking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such as tambourine, bell, shaker, maracas, etc. You can choose a musical instrument, such as snare, timbales, conga, bongo, djembe, castanets, etc., or a musical instrument, such as Cabasa, which plays through the sound.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a musical instrument that can be synthesized in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200, such as wind instruments, percussion instruments, keyboard instruments. On the other hand,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itself may be a method of playing the instrument, but in addition to the movement for playing a particular instrument of the user, for example, a ball in a stab, baseball, which is seen in a fencing exercise It can also be determined by linking movements such as swinging, golf swing, etc. with the musical signal of a specific instrument. The mapping table may be configured in different forms according to the various instruments described above that can be used i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and the mapping tab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동작 센서(130)는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작 신호로 움직임-음악 신호 변환부(140)로 전달한다. 동작 신호로부터 감지할 수 있는 움직임 정보에는 감지된 움직임의 크기, 감지된 움직임의 속도, 감지된 움직임의 방향 및 감지된 움직임 위치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센서(130)에서 출력하는 동작 신호는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1 mSec 주기로 혹은 비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특정 동작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동작 신호로 전달하고 이러한 동작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의 값으로 혹은 디지털 신호의 값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센서(130)는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움직임의 회전각 속도와 상대적인 위치를 검출할 있는 예를 들어 3축의 자이로센서,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회전량 등을 검출할 수 있는 자이로스코프,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센서, 무선 전자 퍼커션의 이동 거리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추가하여 노래방 등의 벽면 등에 배치된 동작 감지 센서를 이용해서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동작을 검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동작 센서(130) 중 하나 이상을 무선 전자 퍼커션(100)이 포함하여, 무선 전자 퍼커션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되는 움직임은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 탑재된 동작 센서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고, 예시적으로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회전 속도, 현재의 회전 방향, 현재의 위치, 또는 속도 등과 움직임의 크기 예를 들어 움직임의 양 등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The motion sensor 130 detects a movement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nd transmits the motion signal to the motion-music signal converter 140 as a motion signal. The motion information detectable from the motion sig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magnitude of the detected motion, the speed of the detected motion, the direction of the detected motion, and the detected motion position. The motion signal output from the motion sensor 130 is periodically transmitted, for example, in a 1 mSec period or aperiodically, for example, when an event of a specific motion occurs, and the motion signal is transmitted as a value of an analog signal or digitally. You can pass in the value of the signal. The motion sensor 130 may detect a rotation angle speed and a relative position of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for example, a gyroscope capable of detecting a three-axis gyroscope, a rotation amount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or the like. , An acceleration sensor for detecting an acceleration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nd an infrared sensor for measuring a moving distance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and the like, and in addition thereto, a motion detection sensor disposed on a wall surface of a karaoke room or the like.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can also be detected using the.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se kinds of motion sensors 130 to detect movement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The detected motion may vary depending on a motion sensor mounted i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nd an example of the rotational speed, the current direction of rotation, the current position, or the speed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may be used.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the amount of movement can be extracted.

움직임-음악 신호 변환부(140)는 사용자 입력부(110)으로부터 수신된 악기/선곡 모드 신호가 악기 모드인 경우에 동작 센서(130)로부터 동작 신호를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동작 신호를 움직임의 크기 값, 움직임의 속도(가속도) 값, 움직임의 방향 값 및 움직임의 위치 값 등을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로 변환한 후에 움직임 정보의 이러한 값으로부터 악기 선택부(120)로부터 선택된 맵핑 테이블에서 출력된 음의 높낮이 값 또는/및 음의 세기 값을 찾고 해당 움직임 정보 값에 대응하는 음의 높낮이 값 또는/및 음의 세기 값을 음악 신호인 출력 값으로 생성한다. The motion-music signal converting unit 140 periodically or non-periodically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motion sensor 130 when the instrument / selection mode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input unit 110 is the instrument mode, and receives the received operation signal. After conversion into mo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magnitude value of the motion, the speed (acceleration) value of the motion, the direction value of the motion, the position value of the motion, and the like, the output is output from the mapping table selected from the instrument selection unit 120 from these values of the motion information. The height and / or sound intensity values of the recorded sound are found, and the sound height and / or sound intensity value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motion information values are generated as output values that are music signals.

움직임-음악 신호 변환부(140)는 움직임의 크기, 움직임의 속도(가속도), 움직임의 방향 및 움직임의 위치 값을 생성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동작 센서(130)로부터 출력된 동작 신호를 주기적으로 혹은 비주기적으로 계속 모니터링하고 동작 신호를 무선 전자 퍼커션(100)내의 메모리 등에 임시로 연속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동작 신호의 변화량의 추이로부터, 음악 신호의 출력 값을 생성하여 노래 반주 장치(200)로 전달할 이벤트 지점을 결정한다. 이러한 이벤트 지점은 악기별로 감지될 움직임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신호의 값이 갑자기 변화하는 지점이 (예로서 속도가 갑자기 변하는 지점, 가속도가 변하는 지점,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움직임의 방향이 달라지는 지점 등) 이벤트 지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 지점을 감지한 후에, 직전의 이벤트 지점에서 지금 현재 감지된 이벤트 지점까지 저장된 동작 신호들의 값들로부터 움직임의 크기나 움직임의 속도(또는 가속도)나 움직임의 방향을 계산할 수 있다. The motion-music signal converter 140 periodically generates an operation signal output from the motion sensor 130 to generate a magnitude of motion, a speed (acceleration), a direction of motion, and a position value of the motion. Alternatively, the aperiodic may be continuously monitored and the operation signal may be temporarily stored continuously in a memory or the like i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nd an output value of the music signal may be generated and transferred to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200 from the change in the stored amount of the operation signal. Determine the event point. This event point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movement to be detected for each instrument. For example, the point where the value of the operation signal suddenly changes (for example, the point where the speed changes suddenly, the point where the acceleration changes, the point wher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changes, etc.) may be an event point. After detecting such an event point, the magnitude of the movement, the speed (or acceleration) or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can be calculated from the values of the operation signals stored from the previous event point to the currently detected event point.

예시적으로 저장된 동작 신호가 속도인 경우에는, 직전의 이벤트 지점에서 현재 감지된 이벤트 지점까지의 경과 시간과 속도를 이용해서 움직임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고, 저장된 동작 신호의 속도 등으로부터 움직임의 속도 또는 가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움직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예시적으로 기준 지점(예 : 이용자 신체의 가슴 지점 등)을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이용자가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이용을 시작할 때마다 특정 지점이 기준 지점이 되도록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설정하거나 혹은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관리자가 미리 설정하고, 기준 지점으로부터의 변화 값을 방향 정보와 함께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움직임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 지점에 상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대적인 위치 정보는 3축의 자이로 센서 또는 자이로스코프 등의 동작 센서의 출력 값을 주기적으로 읽어 들이고 읽어 들인 출력 값으로부터 현재의 위치 정보(예 : 3차원 위치 정보)에 출력 값을 주기적으로 반영하여 새로운 현재의 위치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이렇게 결정된 움직임의 크기, 움직임의 속도(가속도), 움직임의 방향 및 움직임의 위치를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서 선택된 악기에 대응하는 맵핑 테이블의 입력 파라미터로 이용하고 해당 입력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맵핑 테이블의 출력 값을, 예를 들어 악기의 세기나 악기 음의 높낮이를, 선택된 악기의 음악 신호로 선택하여 무선 신호 송수신부(150)를 통해 노래 반주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추가로 선택된 악기의 정보도 무선 신호 송수신부(150)를 통해 노래 반주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tored motion signal is speed, the size of the motion may be determined using the elapsed time and speed from the previous event point to the currently detected event point, and the speed of the motion may be determined from the speed of the stored motion signal. Acceleration can be determined. In addi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movement, a reference point (for example, a breast point of the user's body, etc.) may be used as a reference point whenever a user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starts using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It is se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10 or preset by the administrator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nd periodically receives the change value from the reference point with the direction information to the relativ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vement relative to the reference point Can be determined. The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is periodically read from the output value of the 3-axis gyro sensor or motion sensor such as a gyroscope, and the output value is periodically reflected from the read output value to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eg, 3D position information). Can be updated with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The size of the movement, the speed of the movement (acceleratio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and the position of the movement are determined as input parameters of the mapping table corresponding to the instrument selected i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nd the mapping table corresponding to the input parameters is used. For example, the output value may be selected as the music signal of the selected instrument as the strength or height of the instrument, and transmitted to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through the wireless signal transceiver 150.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musical instrument may also be transmitted to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through the wireless signal transceiver 150.

한편 움직임-음악 신호 변환부(140)에서 출력하는 음악 신호는 미디 합성기 등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미디 포맷의 신호로 변환될 수 있고, 혹은 노래 반주 장치(200)에서 무선 전자 퍼커션(100)로부터 수신된 명령을 디코딩하여 특정 음악 클립 등을 재생할 수 있는 약속된 형태의 임의의 명령과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약속된 포맷일 수 있다. 미디 포맷으로 음악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노래 반주 장치(200)는 수신된 미디 포맷의 신호를 바로 음악 합성부(240)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수신된 미디 포맷의 신호를 동적으로 음악 합성부(2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움직임-음악 신호 변환부(140)는 결정된 움직임 크기, 움직임 속도(가속도) , 움직임 방향 또는/및 움직임 위치를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를 무선 신호 송수신부(150)를 통해 노래 반주 장치(200)로 더 전달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usic signal output from the motion-music signal converter 140 may be converted into a signal of a MIDI format that can be used directly by a MIDI synthesizer, or received from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in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200. It can be a promised format that includes any commands and parameters of a promised form that can decode the instructions to play a particular music clip or the like. When the music signal is output in the MIDI format,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dynamically reproduces the received MIDI format signal so that the music synthesizer 240 directly reproduces the received MIDI format signal. Can be delivered to. In addition, the motion-music signal converter 140 transmits the mo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determined motion size, motion speed (acceleration), motion direction, and / or motion position through the wireless signal transceiver 150 to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200. Can be passed further.

선택 악기 표시부(160)는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서 생성할 음악 신호의 악기가 무엇인지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악기 선택부(120)로부터 선택된 악기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 악기 표시부(160)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나 사용자가 볼 수 있는 LCD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선택해서 현재 동적으로 음악 신호를 생성하는 악기를 표시하도록 한다. The selection instrument display unit 160 may receive and display the selected instrument signal from the instrument selection unit 120 so that the user may know what instrument of the music signal to be generated i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The selection instrument display unit 160 may include,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diode or an LCD that the user can see to display an instrument that the user selects to generate a music signal dynamically.

선곡 번호 인식부(170)는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된 악기/선곡 모드 신호가 선곡 모드인 경우에 동작 센서(130)로부터의 동작 신호로부터 곡 번호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곡 번호를 추출하기 위해서 동작 신호를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동작 신호로부터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움직임를 나타내는 좌표 들을 추출한다. 이러한 좌표는 3차원 공간이나 2차원 공간의 절대적인 좌표일 필요는 없고 움직임의 시작에서부터 결정된 상대적인 좌표일 수 있다. 움직임을 나타내는 추출된 좌표는 3차원 좌표로부터 변환된 2차원 좌표일 수 있다. 추출된 좌표 들은 메모리 등에 저장된 예를 들어 0에서 9까지의 숫자의 움직임 패턴을 나타내는 각 숫자의 좌표 패턴과 비교하고, 그 중에서 일치하는 좌표 패턴의 해당 숫자를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숫자로 결정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선곡 전송 신호를 전달하기 전까지 계속하여 동작 신호로부터 숫자를 결정하여 연속적인 숫자를 결정한다. 동작 센서(130)로부터 추출된 좌표와 메모리 등에 저장된 좌표 패턴은 동일한 스케일일 필요는 없으므로 확대 축소 등을 통해서 숫자를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좌표 패턴은 사용자의 동작으로부터의 숫자 입력의 오차 나 다양한 입력 형태를 고려하여 설계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연속적인 숫자에서 이전 숫자와 후속하는 숫자를 구별하기 위해서 별도의 입력 신호 예를 들어 특정 하나의 번호를 현재 입력하고 있다고 표시하는 번호 입력 신호를 예를 들어 특정 버튼을 눌러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수신하여, 번호 입력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상태에서만 움직임으로부터 숫자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결정된 연속적인 숫자들은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또 다른 신호인 선곡 전송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신호 송수신부(150)를 통해 노래 반주 장치(200)로 결정된 곡 번호를 선곡 번호로 전송할 수 있다.The music number recognition unit 170 may extract the music number from the motion signal from the motion sensor 130 when the instrument / choice mode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input unit 110 is the music selection mode. In order to extract the song number, the operation signal is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received, and coordinates representing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re extracted from the received operation signal. These coordinates need not be absolute coordinates in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space, but may be relative coordinates determined from the beginning of the movement. The extracted coordinates representing the movement may be two-dimensional coordinates converted from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The extracted coordinates are compared with the coordinate pattern of each number representing the movement pattern of the numbers 0 to 9 stored in the memory, for example, and the corresponding number of the matching coordinate pattern is determined as the number input by the user. Continues to determine the number from the operating signal until the transfer of the selection song transmission signal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10 to determine the continuous number. Since the coordinate pattern extracted from the motion sensor 130 and the coordinate pattern stored in the memory do not have to be the same scale, the number can be determined by zooming in and out. It can be designed considering.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the previous number and the subsequent number from consecutive numbers received from the user, a separate input signal, for example, a number input signal indicating that a specific number is currently being input, for example, is pressed by pressing a specific button. 110 may be able to determine the number from the movement only in the state in which the number input signal is being received. The determined consecutive numbers may receive a song selection signal, which is another signal from the user input unit 110, and transmit the song number determined by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as the song number through the wireless signal transceiver 150.

선곡 번호 표시부(180)는 선곡 번호 인식부(170)에서 결정된 숫자들을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는 선곡 번호 표시부(180)에 표시된 숫자가 사용자가 원하는 곡 번호인지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정확한 곡 번호인 경우에는 사용자 입력부(110)에서 제공하는 버튼 등을 사용해서 선곡 전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music selection number display unit 180 displays the numbers determined by the music selection number recognition unit 170 through a display such as an LCD, and the user checks whether the number displayed on the music selection number display unit 180 is the desired music number.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correct song number, the selection song transmission signal may be generated using a button provided by the user input unit 110.

무선 신호 송수신부(150)는 움직임-음악 신호 변환부(140)로부터 수신된 음악 신호와 이에 더해서 움직임 정보 및 선곡 번호 인식부(170)에서 결정된 선곡 번호를 통신 네트워크(300)의 패킷 포맷에 맞춰 노래 반주 장치(200)로 전달한다. 노래 반주 장치(200)로 전달되는 통신 패킷은 음악 신호, 움직임 정보 및 선곡 번호 중 어떠한 데이터인지를 구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더 포함하여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신호 송수신부(150)는 노래 반주 장치(200)로부터 움직임-음악 신호 변환부(140)에서 사용할 하나 또는 다수의 맵핑 테이블을 수신하고 수신된 맵핑 테이블을 무선 전자 퍼커션(100)내의 메모리 등에 저장할 수 있다.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150 matches the music signal received from the motion-music signal converter 140 and the motion information and the song number determined by the song number recognition unit 170 according to the packet format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The song accompanies the device 200. The communication packet transmitted to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may further include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any data among music signals, motion information, and music selection numbers. In addition,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150 receives one or more mapping tables for use in the motion-music signal converter 140 from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and transmits the received mapping table to a memory i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Can be stored.

도 3은 노래 반주 장치(200)의 블록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른 노래 반주 장치(200)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210), 동작 채점부(230), 음악 신호 생성부(220), 음악 합성부(240), 채점 결과 표시부(250) 및 음악 신호 출력부(260)를 포함한다. 이러한 노래 반주 장치(200)는 가사나 미디 파일 또는 음악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 또는 HDD 등과 같은 저장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도 3의 각 블록들은 하나의 IC 예를 들어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내에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혹은 복수의 IC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block diagram of a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according to FIG. 3 includes a wireless signal transceiver 210, an operation scoring unit 230, a music signal generator 220, a music synthesizer 240, a scoring result display unit 250, and a music signal. An output unit 260 is included.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such as a memory or a HDD for storing lyrics, a MIDI file, or a music file, and each block of FIG. 3 may be stored in one IC, for example, in one processor. It may be implemented integrally or configured using multiple ICs.

무선 신호 송수신부(210)는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무선 전자 퍼커션(100)으로부터,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서 생성된 음악 신호와 움직임 정보 및 선곡 번호를 패킷의 형태로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수신된 음악 신호를 음악 합성부(240)에 전달하고 수신된 음악 신호와 움직임 정보를 동작 채점부(230)에 전달한다. 그리고 수신된 선곡 번호는 노래 반주 장치(200)에서 곡을 예약하거나 곡을 시작할 수 있는 노래 반주 장치(200)의 곡 예약부(미도시)로 전송한다. 곡 예약부는 수신된 선곡 번호를 노래 반주 장치(200)에서 곡의 재생을 위해 대기 중인 예약 리스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예약 리스트에 추가하고, 현재 예약 리스트가 없는 경우에는 새로운 예약 리스트를 생성하고 수신된 선곡 번호를 저장하거나 수신된 선곡 번호에 대응하는 곡을 바로 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무선 신호 송수신부(210)는 노래 반주 장치(200)에서 동적으로 음악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악기들에 대한 맵핑 테이블들을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된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 패킷 형태로 전달할 수 있다. 맵핑 테이블이 전달되는 예시적인 시점은 무선 전자 퍼커션(100)이 노래 반주 장치(200)의 셋업 과정을 통해 연결된 때에 전달될 수 있고, 혹은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요청에 따라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악기의 맵핑 테이블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요청에 따라 전달할 수도 있고 혹은 맵핑 테이블이 노래 반주 장치(200)에서 변경된 경우에 무선 전자 퍼커션(100)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The wireless signal transceiver 210 receives a music signal, motion information, and music selection number generated i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from one or mor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in the form of a packet. Then, the received musi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usic synthesizer 240 using the identifier of the received packet, and the received music signal and mo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coring unit 230. The received song selection number is transmitted from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to a song reservation unit (not shown) of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capable of reserving a song or starting a song. The song reservation unit adds the received music selection number to the reservation list if there is a reservation list waiting for the song to be played by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200, and creates a new reservation list if there is no current reservation list. It is possible to store the selection number or to immediately start a song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election number. In addition,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10 in the form of packets to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mapping tables for the instruments capable of dynamically generating a music signal in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I can deliver it. An exemplary time point at which the mapping table is delivered may be delivered whe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is connected through a setup process of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200, or, for example, at the request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If the mapping table of the selected instrument does not exist, it may be delivered according to the request, or may be delivered to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when the mapping table is changed in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음악 신호 생성부(220)는 노래방 사용자에 의해 선곡되어 재생되고 있는 곡의 음악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되는 음악 신호는 노래 반주 장치의 메모리 또는 HDD 등에 저장된 미디 파일 등으로부터 생성된 미디 포맷의 신호이거나 I2S 타입이나 SPDIF 타입의 디지털 포맷의 오디오 신호이거나 혹은 직접 앰프 등에 출력할 수 있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일 수 있다. 음악 신호 생성부(220)는 선곡된 곡에 대응하는 메모리 또는 HDD 에 저장된 미디 파일 또는 음악 클립을 일정한 주기로 읽어 들인 후에 음악 신호를 생성하여 음악 합성부(24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music signal generator 220 outputs a music signal of a song that is selected and reproduced by the karaoke user. The output music signal may be a MIDI format signal generated from a MIDI file stored in a memory or HDD of a song accompaniment device, an audio signal of a digital format of I2S type or SPDIF type, or an analog audio signal that may be directly output to an amplifier or the like. . The music signal generator 220 may read the MIDI file or the music clip stored in the memory or the HD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ong at regular intervals, generate a music signal, and transmit the music signal to the music synthesizer 240.

동작 채점부(230)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음악 신호와 움직임 정보를 이용해서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서 발생한 움직임 또는/및 음악 신호를 미리 결정된 기준 정보와 비교하여 채점한다. 수신된 음악 신호는 악기 음의 세기 및/또는 높낮이를 포함할 수 있고, 움직임 정보에는 움직임 크기, 속도(가속도), 방향 또는/및 위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채점부(230)는 무선 전자 퍼커션(100)으로부터 음악 신호 및/또는 움직임 정보를 수신한 시간을 해당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수신 시점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수신 시점과 수신된 음악 신호와 이에 더해 움직임 정보를 메모리 또는 HDD등에 저장된 동작 파일의 수신 시점, 음의 높낮이 또는 음의 세기와 비교하여 수신된 음악 신호와 이에 더해 움직임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채점을 수행한다. 수행된 채점 결과는 채점 결과 표시부(250)에서 출력되도록 한다. 무선 신호 송수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수신 시점은 절대적인 시간일 필요는 없으며 선곡된 곡이 시작한 시점부터의 상대적인 기간을 나타내는 시점일 수 있고 또한 동작 파일에 저장된 수신 시점 역시 선곡된 곡이 시작한 후의 기간을 나타내는 상대적인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채점부(230)는 음악 신호 생성부(220)에서 생성되는 음악 신호의 진행 시점으로부터 현재 채점해야하는 동작 파일에서 특정 수신 시점, 높낮이 또는 세기 등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비록 본 예시에서는 동작 파일을 이용해서 채점을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선곡된 곡의 음악을 생성하는 미디 파일에 저장된 다른 악기의 음의 높낮이 또는 세기를 이용하여 채점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operation scorer 230 compares the motion or music signal generated i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with the predetermined reference information by using the music signal and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ireless signal transceiver 210. The received music signal may include the strength and / or height of the instrumental sound, and the mo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he motion magnitude, velocity (acceleration), direction or / and position values. The operation scoring unit 230 determines a time at which the music signal and / or mo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s a reception time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nd determines the received reception time and the received music signal. In addition, the motion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reception time, the height of the sound, or the sound intensity of the motion file stored in the memory or the HD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received music signal is matched with the motion information. The performed scoring result is output by the scoring result display unit 250. The reception time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210 may not be an absolute time, but may be a time indicating a relative period from the time when the selected song starts, and the reception time stored in the motion file may also be obtained after the start of the selected song. This can be determined by the relative time point representing the period. In addition, the operation scoring unit 230 may extract information such as a specific reception time, height, or strength from the operation file to be scored from the progress time of the music signal generated by the music signal generator 220. Although this example has been described as scoring using an operation file, it may be configured to score using the pitch or intensity of the sound of another instrument stored in the MIDI file for generating music of the selected song.

동작 채점부(230)는 또한 수신된 음악 신호, 움직임 정보 또는/및 수신 시점의 범위(Range)를 이용하여 채점할 수 있다. 즉 수신된 음악 신호의 값이 동작 파일에 저장된 해당 수신 시점의 높낮이 또는 세기 값의 특정 범위 내에 들어가는지를 결정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수신된 움직임 정보의 값이 동작 파일에 저장된 해당 수신 시점의 움직임 정보의 특정 범위 내에 들어가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시점 역시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어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서 수신된 음악 신호의 수신 시점이 동작 파일의 특정 시간 범위 내인지를 결정하여 특정 시간 범위에 대응하는 기준이 되는 높낮이 또는 세기를 추출하여 비교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음악 신호의 수신 시점의 검토에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서 처리 시간 및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한 전송 시간 등을 고려하에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파일은 선곡된 곡 별로 별도의 파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더해 선곡된 곡 별 복수의 악기별로 다른 복수의 동작 파일로 구성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동일한 동작 파일에 악기의 구분없이 동일하게 채점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그외 하나의 동작 파일에서 복수의 악기에 대해서 구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등, 당업자라면 다양한 변형 예를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operation scoring unit 230 may also score using the received music signal, the motion information, and / or the range of the reception time point. 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value of the received music signal falls within a specific range of the height or intensity value of the corresponding reception point stored in the motion file, and likewise, the specific range of the motion information at the corresponding reception point stored in the motion file can be determined. You can decide whether to go inside. In addition, the reception time can be configured in the same way, so that the reception time of the music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is within a specific time range of the motion file to extract the height or the intensity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time range. Can be configured to compare. In addition, it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processing time i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nd the transmission tim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in consideration of the reception time of the music signal. Such motion files may be configured as separate files for each of the selected songs. In addition, the motion files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motion files different for a plurality of instruments for each of the selected songs, or may be identical to one same motion file without distinguishing instrument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be scored so as to be able to be scored or to be distinguished from a plurality of musical instruments in one operation file.

음악 합성부(240)는 음악 신호 생성부(220)에서 생성한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곡의 음악 신호와 무선 신호 송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음악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합성한다. 각각 수신된 음악 신호는 미디 포맷의 신호일 수 있다. 무선 신호 송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음악 신호는 특정 악기를 지정하는 지정 정보, 특정 악기의 세기 및 높낮이 등을 나타내는 미디 포맷의 정보를 포함하거나 혹은 미디 포맷의 정보와는 다른 특정 음악 클립 예를 들어 지정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라는 명령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music synthesizer 240 receives the music signal of the music selected by the user generated by the music signal generator 220 and the music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signal transceiver 210 and synthesizes it. Each received music signal may be a signal in a MIDI format. The music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210 includes specific information for designating a specific instrument, information in a MIDI format indicating strength and height of the specific instrument, or a specific music clip example different from the information in the MIDI format. For example, it may consist of a command to play a specified audio file.

음악 합성부(240)는 미디 포맷인 경우에는 수신된 미디 포맷 정보로부터 해당 특정 악기의 음의 높낮이와 세기를 오디오 신호로 합성하여 출력하고, 마찬가지로 다른 약속된 명령에 의한 경우에도 음악 합성부(240)는 지정된 오디오 파일을 메모리 또는 HDD로부터 읽어 들이고 읽어 들인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하여 순차적인 오디오 신호로 합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무선 전자 퍼커션(100)으로부터 생성된 오디오 신호는 음악 신호 생성부(220)에서 출력된 음악 신호와 합성되어 음악 신호 출력부(260)로 출력한다. In the case of MIDI format, the music synthesizer 240 synthesizes and outputs the height and intensity of the sound of the specific instrument from the received MIDI format information as an audio signal. ) Reads the specified audio file from the memory or HDD, decodes the read audio file, and synthesizes the read audio file into a sequential audio signal. The generated audio signal from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is synthesized with the music signal output from the music signal generator 220 and output to the music signal output unit 260.

채점 결과 표시부(250)는 동작 채점부(230)에서 채점된 결과를 노래방의 사용자가 채점 결과를 알 수 있도록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채점 결과를 몇 단계로 나누어진 등급(예시적으로 5단계)으로 구분하고 해당 등급을 나타내는 점수로 혹은 각 등급을 나타내는 특정 이미지를 포함하는 심볼을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동적으로 출력한다. 채점 결과 표시부(250)는 또한 노래방 사용자가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서 이루어져야 할 동작(움직임)을 가이드 할 수 있는 이미지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을 합주할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개수에 따라서 화면을 특정 개수의 화면으로 분할하여 무선 전자 퍼커션(100) 별로 동작을 가이드 할 화면을 할당한다. 분할된 화면에는 해당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서 취할 동작(움직임)을 표시할 아이콘 등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표시된 아이콘은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서 취해야할 움직임의 동작 시점, 움직임의 크기, 움직임의 속도 또는/및 움직임(동작)이 취해 져야할 위치 지점 등을 알 수 있도록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된 아이콘은 무선 전자 퍼커션(100)이 해당 동작을 취해야할 시점이 다가옴에 따라 표시된 아이콘의 이미지를 변화시키거나 기타 동작 시점을 표시할 수 있는 숫자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리 수 있도록 하고, 동작 시점 이후에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수신 시점과 음악 신호로부터 채점된 결과나 혹은 이에 더하여 움직임 정보로부터 채점된 결과를 표시된 아이콘의 색상을 변화시키거나 혹은 별도의 아이콘을 표시하여 채점된 결과를 동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표시된 아이콘은 화면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면서 특정 상단의 위치에 이동한 경우에 동작 시점으로 표시할 수도 있고 혹은 해당 아이콘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변화되는 숫자를 표시하도록 하여 동작 시점을 표시할 수 있다.The scoring result display unit 250 outputs the result scored by the operation scoring unit 230 to the video display apparatus 400 so that the user of the karaoke may know the scoring result. For example, the grading results are divided into grades divided into several stages (for example, five stages), and the scores representing the grades or symbols including specific images representing each grade are dynamically outpu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400. do. The scoring result display unit 250 may further display an image to guide the operation (movement) that the karaoke user should make i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For example, the screen is divided into a specific number of scree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to ensemble the screens of the video display apparatus 400, and the screen for guiding operations for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is allocated. The divided screen displays an image such as an icon to display an action (movement) to be taken by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The displayed icon indicates the operation time of the movement to be taken i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the size of the movement, the speed of the movement, and / or the position point at which the movement (the movement) should be taken. In addition, the displayed icon may change the image of the displayed icon or display a number that may indicate another operation time as the time whe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needs to take a corresponding action may be notified to the user. After the view point, the color of the displayed icon is displayed or the result scored from the reception time and the music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10 or the result scored from the mo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or scored by displaying a separate icon. Allows the display of results dynamically. The displayed icon may be displayed as an operation point when moving from the bottom of the screen to the top of the screen, or may be displayed adjacent to the icon so as to display a changed number.

또한 채점 결과 표시부(250)는 가이드 이미지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무선 전자 퍼커션(100)이 위치해야할 지점을 지정하도록 아이콘을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움직임의 특정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분할된 이미지에 특정 위치에 아이콘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하고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사용자가 해당 위치에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동작을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채점 결과 표시부(250)는 선곡된 곡이 완료된 경우나 혹은 선곡된 곡이 중단된 경우에는 선곡된 곡이 시작한 후에 채점된 결과를 종합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coring result display unit 250 may arrange the icon to designate a point at which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should be located on the icon representing the guide image information. For example, in order to designate a specific position of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n icon image may be displayed at a specific position in the divided image, and the user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may be induced to perform an operation at the specific position. And accordingly it can induce the operation of the various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In addition, when the selected piece of music is completed or when the selected piece of music is stopped, the scoring result display unit 250 may display the result of the scoring after the selected piece of music is synthesized.

음악 신호 출력부(260)는 음악 합성부(240)에서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생성 장치(500)로 출력한다.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생성 장치(500)의 수신 포맷에 따라 예를 들어 스테레오나 5.1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형태, 디지털 포맷의 오디오 신호 등의 형태로 출력한다.
The music signal output unit 260 outputs the audio signal synthesized by the music synthesizer 240 to the audio generator 500. The output audio signal is output in the form of a stereo or 5.1-channel analog audio signal or a digital format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reception format of the audio generating apparatus 500.

도 4는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서 사용되는 악기별 맵핑 테이블의 구성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악기별로 할당되는 맵핑 테이블은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메모리 등에 저장되고 노래 반주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거나 혹은 다른 외부 네트워크 예를 들어 외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등으로부터 수신하거나 혹은 생산시에 미리 결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맵핑 테이블은 악기별로 입력 파라미터가 달리 구성될 수 있고 입력 파라미터별로 다른 출력 값이 출력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4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m of an instrument-specific mapping table used i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The mapping table allocated for each instrument is stored in a memory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nd the like, and can be received from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200 or from another server, for example, from a server through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or during production. It may be predetermined and stored. The mapping table may b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input parameters for different instruments and to output different output values for each input parameter.

도 4의 예시적인 맵핑 테이블을 살펴보면, 해당 복수 개의 맵핑 테이블은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메모리 등에 저장되어 있고 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혹은 기본 악기로 지정된 악기의 대응하는 맵핑 테이블이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서 음악 신호를 생성할 맵핑 테이블로 설정된다. 각각의 맵핑 테이블은 입력 파라미터와 출력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입력 파라미터는 악기에 따라서 다른 입력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어, 예시적인 도면과 같이 맵핑 테이블 1은 입력 파라미터로서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움직임 속도를, 맵핑 테이블 2는 입력 파라미터로서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움직임의 크기와 위치를 입력 파라미터로 가진다. 그리고 악기에 따라서 출력 파라미터 또한 달리질 수 있어, 맵핑 테이블 1은 선택된 악기의 세기 값만을 그리고 맵핑 테이블 2는 선택된 악기의 음의 높낮이와 음의 세기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는 각 악기별로 음악을 생성하는 그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달리 설정될 수 있어 타악기의 경우에는 세기만으로 표현할 수 있으나 다른 악기 예를 들어 관악기 등은 음의 세기와 음의 높낮이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example mapping table of FIG. 4, the plurality of mapping tables are stored in a memory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nd the like, and the corresponding mapping table of the musical instrument selected by the user or designated as the basic musical instrument is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In step 100, a mapping table for generating a music signal is set. Each mapping table contains input parameters and output parameters. The input parameters may have different input parameters according to musical instruments, so that mapping table 1 is the movement speed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s an input parameter, and mapping table 2 is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s an input parameter as shown in the exemplary drawing.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movement are taken as input parameters. In addition, the output parameter may also vary depending on the instrument, so that mapping table 1 may have only the intensity value of the selected instrument and mapping table 2 may have a pitch and a sound intensity value of the selected instrument. This can be set differently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ng music for each instrument is different, so in the case of percussion can be expressed only in intensity, but other instruments, such as wind instruments can express the strength and pitch of the sound together.

예시적인 맵핑 테이블 1에 사용될 악기는 예를 들어 드럼과 같은 타악기 일수 있다. 이러한 타악기는 위치를 입력 파라미터로 받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단지 무선 전자 퍼커션의 속도 또는 각속도만으로 타악기의 음의 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 반면에 맵핑 테이블 2는 관악기 또는 건반 악기와 같이 악기의 음의 높낮이와 함께 세기를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관악기의 경우에는 입력 파라미터 중 위치의 상하(고저) 값에 (Y 축을 따라서) 따라 음의 높낮이가 높은 음계에서 낮은 음계로 변화하도록 맵핑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고, 반면에 건반 악기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음의 높낮이가 변화하는 경우에는 위치 값이 좌측에서 우측으로(X 축을 따라) 변화함에 따라 음의 높낮이가 낮은 음계에서 높은 음계로 변화하도록 맵핑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출력 파라미터로 사용되는 음의 높낮이 값은 물론 노래 반주 장치(200)에서 사용될 미디 포맷 중 음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로 사용되거나 혹은 음악 합성부(240)에서 수신된 음의 높낮이를 미리 약속된 값의 음의 높낮이로 변환하여 원하는 음의 높낮이를 표현할 수 있다. 비록 예시적으로 맵핑 테이블 2에서는 위치를 2차원으로 예시하였으나, 3차원 좌표를 입력 파라미터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차원 좌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3차원 좌표를 2차원으로 변환하는 것은 자명하며, 또한 맵핑 테이블 2에서 사용된 2차원 좌표 중에서 X 축의 좌표 또는 Y 축의 좌표 중에 하나를 타악기냐 혹은 건반 악기냐에 따라 무시하거나 생략하도록 위치의 입력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도 있다.The instrument to be used in the example mapping table 1 may be a percussion instrument, for example a drum. Such a percussion instrument can avoid receiving the position as an input parameter and can express the sound intensity of the percussion instrument only by the speed or the angular velocity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On the other hand, mapping table 2 indicates that the intensity can be output together with the pitch of the instrument, such as a wind instrument or a keyboard instrum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wind instruments, you can configure the mapping table so that the pitch of the note varies from high to low scale (along the Y axis) depending on the up and down (high and low) values of the input parameters. When the pitch is changed from left to right, the mapping tabl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itch is changed from a low scale to a high scale as the position value changes from left to right (along the X axis). The pitch value of the sound used as an output parameter as well as a parameter representing the height of the sound in the MIDI format to be used in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200 or a predetermined value of the height of the sound received by the music synthesizer 240 is previously determined. You can express the desired pitch by converting the pitch to the pitch of. Although the location is illustrated two-dimensionally in the mapping table 2, it is obvious that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can be used as an input parameter, and even when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s are used,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are converted to two-dimensional. The input parameter of the position may be configured to ignore or omit either the coordinates of the X axis or the Y axis among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s used in 2 depending on whether it is a percussion instrument or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비록 이상의 설명에서 맵핑 테이블을 이용해서 출력되는 값을 음의 세기와 음의 높낮이로 만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외에도 특정 악기에 필요한 다른 출력 값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Although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values output using the mapping table are described by using only the intensity of the sound and the height of the sound.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other output values required for the specific instrument may be further included.

이렇게 선택된 맵핑 테이블을 이용해서 움직임-음악 신호 변환부(140)는 동작 센서(130)로부터 수신된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감지된 동작 신호부터 움직임 정보, 예를 들어 움직임의 크기, 속도, 방향 또는/및 위치를 결정한 후에 결정된 각 움직임 정보를 해당 맵핑 테이블의 입력 파라미터로 입력하고 입력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출력 값을 결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출력 값에 선택된 악기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예를 들어 어떤 악기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여 노래 반주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Using the selected mapping table, the motion-music signal converter 140 may use motion information, for example, motion size, speed, and direction, from the detected motion signal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received from the motion sensor 130. Or / and after determining the position, input the determined motion information as an input parameter of the corresponding mapping table and determine an out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put parameter. In addi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information indicating which instrument) indicating the selected instrument may be included in the output value and transmitted to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도 4의 (b) 및 (c)에 도시된 예시적인 맵핑 테이블의 입력 인자를 위한 열(row)의 수는 모든 입력 인자의 가능한 경우의 수를 다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그 중 일부만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모든 가능한 경우의 수를 다 포함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움직임-음악 신호 변환부(140)는 결정된 움직임 정보가 맵핑 테이블에서 열거든 어떤 경우의 수들 사이에 위치하는지를 결정하고 보간(interpolation) 기법 등을 사용해서 출력 값을 결정하거나 혹은 가장 가까운 경우의 수의 출력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의 (b) 및 (c)의 맵핑 테이블의 입력 인자의 값과 출력 인자의 값은 동작 센서로부터 수신되어 계산된 절대값의 형식 혹은 절대값을 특정 기준에 따라 스케일링 된 상대값의 형식을 취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형식적인 변화는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4의 (b) 및 (c)에서는 예시적으로 위치를 2차원 좌표로 도시하였으나, 3차원 좌표로 나타낼 수도 있고, 또한 움직임으로부터 결정된 위치가 3차원 좌표인 경우에도 해당 2차원 좌표로 변환하는 것은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입력 인자로서 움직임 속도, 위치 또는 크기 만을 예시적으로 표시하였으나 이외에도 움직임의 회전 속도나 방위각 정보나 움직임의 방향 등을 입력 인자로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인자의 그 개수와 종류는 각 악기를 연주하기 위한 동작 방식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number of rows for input arguments in the example mapping table shown in FIGS. 4B and 4C need not include all possible cases of all input arguments, but only some of them.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If the number of all possible cases is not included, the motion-music signal converter 140 determines whether the determined motion information is located in the mapping table and is located between the numbers and uses an interpolation technique. The output value can be determined or set to the nearest number of output values. The values of the input factor and the output factor of the mapping tables of FIGS. 4B and 4C are in the form of the absolute value calculated from the motion sensor or the relative value scaled according to a specific criterion. It may be taken, and such formal changes may be readily applied. 4 (b) and 4 (c) exemplarily show positions in two-dimensional coordinates, they may be represented by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and may also be converted to corresponding two-dimensional coordinates even when the position determined from the movement is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It is easy to apply. In FIG. 4, only the speed, position, or size of the movement is displayed as an input factor. For example, the rotation speed, the azimuth information, or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may be included as an input factor. The number and type of these input factors may vary depending on the operation method for playing each instrument.

도 5는 무선 전자 퍼커션(100)과 연동하여 노래 반주 장치(200)에서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동작으로부터 채점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의 예시적 흐름도는 두 개의 무선 전자 퍼커션(100)을 이용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나, 하나 또는 셋 이상의 무선 전자 퍼커션(100)을 이용해서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coring from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in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in conjunction with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lthough the example flow diagram of FIG. 5 illustrates the use of two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it will be apparent that one or mor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may be implemented.

도 5를 살펴보면, ① 노래 반주 장치(200)와 무선 전자 퍼커션(100)은 서로간에 설정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셋업 과정을 거친다. 셋업 과정은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서 미리 지정된 주소 또는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 검색된 주소로 노래 반주 장치(200)와 무선 전자 퍼커션(100)간에 통신 연결을 설정하고 환경을 설정하도록 한다. 이 셋업 과정에서 노래 반주 장치(200)는 추가로 복수의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 노래 반주 장치(200)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악기 정보와 맵핑 테이블들을 전달할 수 있고, 무선 전자 퍼커션(100)은 수신된 복수의 악기 정보와 맵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서 사용할 악기와 맵핑 테이블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노래 반주 장치(200)는 이러한 셋업 과정에서 각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 대해서 사용될 악기를 달리 지정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자 퍼커션(100) 1에 대해서는 타악기로만, 무선 전자 퍼커션(100) 2에 대해서는 관현악기로만 선정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and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undergo a setup process for determining setting information between each other. The setup process is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200 and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to a predetermined address or a searched address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to set up the environment. In this setup process,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may additionally transmit a plurality of musical instrument information and mapping tables that can be used in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to the plurality of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nd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The controller may select a musical instrument and a mapping table to be used i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using the received musical instrument information and the mapping table. Meanwhile,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may be configured to specify a musical instrument to be used for each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during this setup process. For example,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1 may be set to be selected only as a percussion instrument and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2 may be selected only as an orchestration instrument.

② 셋업이 끝난 후에는 무선 전자 퍼커션(100)은 무선 전자 퍼커션(100)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혹은 미리 지정된 설정에 의해서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서 음악 신호를 생성할 해당 악기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해당 악기에 대응하는 맵핑 테이블을 선택하고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움직임에 따라 악기의 음악 신호를 생성할 준비를 완료한다. 추가하여 이렇게 설정된 악기의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 다시 노래 반주 장치(2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② After the setup is completed,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sets a corresponding instrument to generate a music signal i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by the user's selection using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or by a predetermined setting. Accordingly, a mapping tabl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nstrument is selected, and preparation for generating a musical signal of the instrum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is completed.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f the instrument thus set may be transferred back to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③ 셋업이 끝난 후에 노래방의 사용자는 재생할 곡을 선곡하고 시작한다. 한편 이렇게 곡을 선곡함에 따라서, 해당 곡의 특성에 따라서는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서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악기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곡에서는 특정 타악기의 음악 신호를 생성하지 못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악기의 제한 정보를 무선 전자 퍼커션(100) 전체에 알리거나 혹은 해당 악기로 설정된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 알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③ After the setup is finished, the karaoke user selects and starts the song to play.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ong sele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ng can be limited to the instrument that can be dynamically generated i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For example, a specific song may not be able to generate a music signal for a particular percussion instrument. 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notify the entire electronic electronic percussion 100 or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set as the instrument. can do.

④ 곡이 진행됨에 따라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통해 채점 결과 표시부(250)에서 표시한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한다. 표시되는 가이드 이미지는 무선 전자 퍼커션(100) 1 및 2에 대해서 동일한 가이드 이미지일 수도 있고 혹은 각각의 무선 전자 퍼커션(100)을 위한 분할된 가이드 이미지 일 수 있다. 표시된 아이콘들은 해당 아이콘으로부터 대응하는 동작을 취해야 하는 시점, 움직임의 크기나 속도나 방향 또는 강도와 같이 해당 무선 전자 퍼커션이 취해야할 동작을 알 수 있도록 표시하고 이에 더해서 무선 전자 퍼커션(100)이 동작을 취해야하는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한다. ④ As the song progresses, the guide image including the icons displayed on the scoring result display unit 250 is displayed through the video display apparatus 400. The displayed guide image may be the same guide image for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nd the divided guide image for each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The displayed icons are displayed to indicate the action to be taken by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such as the point in time at which the corresponding action should be taken from the icon, the size, the speed, the direction, or the intensity of the movement. Make sure you know where to take it.

⑤ 이렇게 가이드 이미지에 표시된 아이콘들을 보면서 무선 전자 퍼커션(100)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무선 전자 퍼커션(100)을 예를 들어 손에 들고 동작을 취하고 취해진 동작은 동작 센서(130)에 의해 감지된다. ⑤ The user who uses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while looking at the icons displayed on the guide image, takes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in his hand and takes an action, for example, and the operation is detected by the motion sensor 130.

⑥ 감지된 동작은 다시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 의해서 음악 신호와 이에 더해 움직임 정보로 변환되고 변환된 음악 신호와 움직임 정보를 노래 반주 장치(200)로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 전달한다. ⑥ The detected motion is converted into the music signal and the motion information by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gain and transfers the converted music signal and the motion information to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⑦ 노래 반주 장치(200)는 무선 전자 퍼커션(100)으로부터 수신된 음악 신호를 선곡된 곡의 음악 신호에 합성하여 출력하여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사용자에 의한 동작으로부터 생성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더해서, 수신된 음악 신호와 그리고 움직임 정보로부터 각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동작의 채점 결과를 미리 저장된 동작 파일 등으로부터 비교하여 산출한다. ⑦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synthesizes and outputs the music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to the music signal of the selected song to output the au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operation of the user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In addition, the scoring result of the operation of each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is compared and calculated from the received music signal and the motion information from a previously stored motion file or the like.

⑧ 산출된 채점의 결과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시되도록 채점 결과 표시부(250)가 표시한다. 표시되는 채점 결과는 현재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시된 아이콘 등의 색깔을 변화시키거나 혹은 사용자가 알 수 있는 정보를 표시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아직 선곡된 곡의 재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라면 노래 반주 장치(200)의 채점 결과 표시부는 다시 새롭게 변화된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하고 계속하여 무선 전자 퍼커션(100)으로부터 음악 신호 등을 수신하기 위해 ④ 단계로 점프하여 계속 실행할 수 있다. ⑧ The scoring result display unit 250 displays the calculated scoring result so as to be displayed on the video display apparatus 400. The displayed scoring result is performed by changing a color of an icon or the like currently displayed on the video display apparatus 400 or by displaying information that a user can know. If the playback of the selected song has not been completed yet, the scoring result display unit of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200 again displays the newly changed guide image and continues to receive a music signal from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You can jump to and continue running.

⑨ 한편 선곡된 곡의 재생이 완료된 경우 혹은 사용자에 의한 중지 명령 등과 같이 임의로 선곡된 곡의 재생이 완료된 경우에는 연주를 종료하고 현재까지 채점한 채점 결과를 종합하여 채점 결과 표시부(250)에 표시하여 무선 전자 퍼커션(100)과의 연동을 완료할 수 있다. ⑨ On the other hand, when the playback of the selected song is completed or when the playback of the arbitrarily selected song is completed, such as a stop command by the user, the performance is terminated and the scoring result display unit 250 is synthesized and displayed on the scoring result display unit 250. Interworking with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can be completed.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서 생성할 수 있는 악기는 각 무선 전자 퍼커션(100) 별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고, 각 무선 전자 퍼커션(100) 별로 다른 동작 시점을 부가할 수 있고, 이런 방식을 취함으로써 합주가 가능하고 액션을 취할 수 있는 노래방 사용자와 유기적으로 연동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노래방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FIG. 5, the musical instrument that can be generated i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for each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nd a different operation time may be added for each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build a new way of karaoke system that can organically interact with karaoke users who can join together and take action.

이상에서는 무선 전자 퍼커션(100)의 동작으로부터 생성된 악기의 음악 신호와 움직임 정보가 무선 전자 퍼커션(100)으로부터 다른 사항의 고려 없이 출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서 생성된 일련의 악기의 음악 신호와 움직임 정보 중 일부는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 의해서 노래 반주 장치(200)로 전달하지 않을 수 있고 혹은 노래 반주 장치(200)에서 수신된 일련의 악기의 음악 신호와 움직임 정보 중 일부는 음악을 생성하고 동작을 채점하기 위해서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자 퍼커션(100)에서는 특정 동작은 바로 이전 동작에 의해 생성된 움직임 정보(음악 신호)의 반작용에 의해서 생성된 동작일 수 있다. 이러한 반작용에 의해 생성된 동작은 속도나 크기에 있어 작을 수 있어 미리 결정된 임계 크기 또는 임계 속도를 이용해서 걸러 낼 수 있다. 또는 노래 반주 장치(200)는 수신된 음악 신호와 움직임 정보 중에 동작 파일 등으로부터 예정된 입력 시점보다 임계 시간 이상 (예를 들어 1초 등) 차이가 나는 수신된 음악 신호 또는 움직임 정보를 음악의 합성이나 채점에 고려하지 않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music signal and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generated from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re output from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without considering other matters. However, some of the music signal and movement information of the series of musical instruments generated i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by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or in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Some of the musical signals and mo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series of instruments may not be used to generate music and to score actions. For example, in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00, a specific action may be an action generated by reaction of motion information (music signal) generated by the immediately previous action. The action generated by this reaction can be small in speed or magnitude so that it can be filtered us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size or threshold speed. Alternatively,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200 may be configured to synthesize the received music signal or motion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music signal and the motion information by a threshold time difference (for example, 1 second) or more from a predetermined input time point from the motion file or the like. It may be designed so that it is not considered for scoring.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100 : 무선 전자 퍼커션 110 : 사용자 입력부
120 : 악기 선택부 130 : 동작 센서
140 : 움직임-음악 신호 변환부 150 : 무선 신호 송수신부
160 : 선택 악기 표시부 170 : 선곡 번호 인식부
180 : 선곡 번호 표시부 200 : 노래 반주 장치
210 : 무선 신호 송수신부 220 : 음악 신호 생성부
230 : 동작 채점부 240 : 음악 합성부
250 : 채점 결과 표시부 260 : 음악 신호 출력부
300 : 통신 네트워크 400 :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500 : 오디오 생성 장치
100: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110: user input unit
120: instrument selection unit 130: motion sensor
140: motion-music signal converter 150: wireless signal transceiver
160: selection instrument display unit 170: selection number recognition unit
180: music number display unit 200: song accompaniment device
210: wireless signal transceiver 220: music signal generator
230: operation scoring unit 240: music synthesis unit
250: scoring result display unit 260: music signal output unit
300: communication network 400: video display device
500: audio generation device

Claims (8)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으로서,
지정된 악기에 대한 미디 포맷의 음악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송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자 퍼커션; 및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송출된 상기 미디 포맷의 음악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미디 포맷의 음악 신호를 사용자에 의해 선곡 되어 재생중인 음악 신호에 합성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노래 반주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전자 퍼커션은,
복수의 악기 중 하나의 악기를 지정하도록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무선 전자 퍼커션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동작 센서,
상기 동작 센서에서 인식된 움직임에 따라 지정된 악기에 대한 미디 포맷의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움직임-음악신호 변환부, 및
상기 움직임-음악신호 변환부에서 생성된 미디 포맷의 음악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움직임-음악신호 변환부는, 상기 동작 센서로부터 수신된 동작 신호를 주기적으로 메모리에 저장하고, 주기적으로 저장된 복수의 동작 신호에서 미디 포맷의 음악 신호를 생성할 이벤트(event) 지점을 결정하여 미디 포맷의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하며,
상기 이벤트 지점의 결정은, 주기적으로 저장된 복수의 동작 신호에 대한, 복수의 악기 중 지정된 악기별로 상이한 움직임 파라미터(parameter)의 변화량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시스템.
A karaoke system capable of dynamically generating a music signal from the operation of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At least on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for transmitting, via wireless communication, a music signal in a MIDI format for a designated instrument; And
A song accompaniment device for receiving a music signal of the MIDI format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nthesizing the received music signal of the MIDI format by a user, and synthesizing it into a music signal being played;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A user input that can be selected to specify one of a plurality of instruments,
A motion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a movement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A motion-music signal converter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music signal in a MIDI format for a specified instrument according to the motion recognized by the motion sensor;
And a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music signal of a MIDI format generated by the motion-music signal conversion unit,
The motion-music signal converting unit periodically stores an oper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motion sensor in a memory, and determines an event point for generating a music signal in a MIDI format from a plurality of periodically stored operation signals. Dynamically generates a music signal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event poi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by the amount of change of the movement parameter (parameter) different for each of the specified instruments for a plurality of periodically stored operation signals,
Karaoke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 반주 장치는, 상기 재생 중인 음악 신호와 수신된 미디 포맷의 음악 신호를 합성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악 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usic synthesizer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by synthesizing the music signal being reproduced with the music signal of the received MIDI format,
Karaoke system.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센서는 자이로센서, 자이로스코프, 가속도센서, 및 적외선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움직임-음악신호 변환부는, 주기적으로 저장된 복수의 동작 신호로부터, 움직임 파라미터인 움직임의 크기, 감지된 움직임의 속도, 감지된 움직임의 방향 및 감지된 움직임의 위치 중 지정된 악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된 지정된 악기의 음의 높낮이 또는 세기를 포함하는 미디 포맷의 음악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motion sensor includes at least one of a gyro sensor, a gyroscope, an acceleration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The motion-music signal convert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periodically stored motion signals corresponding to a specified instrument among a motion parameter, a speed of a detected motion, a detected motion direction, and a detected motion position. Generating a music signal in MIDI format comprising the pitch or intensity of the specified instrument determined by the motion parameter,
Karaoke system.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 반주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송출된 미디 포맷의 음악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신호 송수신부,
수신된 미디 포맷의 음악 신호의 수신 시점, 지정된 악기의 음의 높낮이 또는 음의 세기를, 미리 결정된 수신 시점, 음의 높낮이 또는 음의 세기와 비교하여 채점 결과를 산출하는 동작 채점부, 및
상기 동작 채점부로부터 산출된 채점 결과를 표시하는 채점 결과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A wireless signal transceiver for receiving a music signal of the MIDI format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 operation scoring unit for calculating a scoring result by comparing a reception time of the received MIDI format music signal, a pitch of the designated instrument with a pitch or a loudness of the specified instrument, with a predetermined reception time, pitch of a loudness or the loudness of the sound, and
Further comprising a scoring resul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coring results calculated from the operation scoring unit,
Karaoke system.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자 퍼커션 각각은 서로 다른 지정된 악기에 대한 미디 포맷의 음악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동작 채점부는 무선 전자 퍼커션 각각에 대하여 채점 결과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Each of the at least on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transmits a music signal in a MIDI format for a different designated instrument,
Wherein the operation scoring unit calculates a scoring result for each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s,
Karaoke system.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음악신호 변환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파라미터로부터 지정된 악기의 음의 높낮이 또는 음의 세기를 결정하기 위한 맵핑 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맵핑 테이블은 상기 노래 반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otion-music signal converting unit may include a mapping table for determining the pitch or the intensity of the sound of the musical instrument designated from the at least one motion parameter, wherein the mapping table is received from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
Karaoke system.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 송수신부는 움직임 파라미터인 움직임의 크기, 감지된 움직임의 속도, 및 감지된 움직임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를 상기 노래 반주 장치로 더 송출하며,
상기 동작 채점부는 수신된 상기 움직임 정보를 더 반영하여 채점 결과를 산출하며,
상기 채점 결과 표시부는 상기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이미지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wireless signal transceiver further transmits mo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motion parameter among a motion size, a detected motion speed, and a detected motion position, which are motion parameters, to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The operation scoring unit further calculates a scoring result by further reflecting the received movement information.
The scoring result display unit further displays an image for guid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Karaoke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자 퍼커션은, 상기 동작 센서에서 인식된 움직임으로부터 상기 노래 반주 장치에서 사용될 선곡 번호를 추출하는 선곡 번호 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선곡 번호를 더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electronic percussion further includes a music selection number recognition unit for extracting a music selection number to be used in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from the movement recognized by the motion sensor,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transmitting the selection number,
Karaoke system.
KR1020100129129A 2010-12-16 2010-12-16 Karaoke system for producing music signal dynamically from wireless electronic percurssion KR1012120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129A KR101212019B1 (en) 2010-12-16 2010-12-16 Karaoke system for producing music signal dynamically from wireless electronic percur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129A KR101212019B1 (en) 2010-12-16 2010-12-16 Karaoke system for producing music signal dynamically from wireless electronic percur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622A KR20120067622A (en) 2012-06-26
KR101212019B1 true KR101212019B1 (en) 2012-12-12

Family

ID=46686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129A KR101212019B1 (en) 2010-12-16 2010-12-16 Karaoke system for producing music signal dynamically from wireless electronic percur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0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584B1 (en) * 2019-12-12 2021-07-07 주식회사 투애니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Electronic Tambourine by Using Music Accompaniment
KR102274585B1 (en) * 2019-12-12 2021-07-07 주식회사 투애니시스템 Karaoke System by using Electronic Tambourine Equipped Poin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622A (en) 201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48986A1 (en) Stick Controller
US6388183B1 (en) Virtual musical instruments with user selectable and controllable mapping of position input to sound output
TWI470473B (en) Gesture-related feedback in electronic entertainment system
JP4307193B2 (en) Program,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game system
US7842875B2 (en) Scheme for providing audio effects for a musical instrument and for controlling images with same
JP6344578B2 (en) How to play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TWI574252B (en) Synchronous beat effect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ynchronous beat effect
JP4247626B2 (en) Playback apparatus and playback method
JP3915257B2 (en) Karaoke equipment
WO2008004690A1 (en) Portable chord output device,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574216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setting control system
KR101212019B1 (en) Karaoke system for producing music signal dynamically from wireless electronic percurssion
JP6501344B2 (en) Karaoke scoring system considering listener's evaluation
JP6708537B2 (en) Karaoke system
JP6070652B2 (en) Reference display device and program
JP5842383B2 (en) Karaoke system and karaoke device
JP5486941B2 (en) A karaoke device that makes you feel like singing to the audience
JP4585473B2 (en) Electronic sampler
JP5537246B2 (en) Singing position display system
JP6651729B2 (en) Electronic music device and program
WO2016017623A1 (en) Reference display device, referen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10227458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Electronic Tambourine by Using Music Accompaniment
KR101842282B1 (en) Guitar playing system, playing guitar and, method for displaying of guitar playing information
Lehrman The wii remote as a musical instrument: Technology and case studies
Angell Combining Acoustic Percussion Performance with Gesture Control Electron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