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716B1 -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시그너처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사용을 제어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시그너처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사용을 제어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716B1
KR101205716B1 KR1020080130530A KR20080130530A KR101205716B1 KR 101205716 B1 KR101205716 B1 KR 101205716B1 KR 1020080130530 A KR1020080130530 A KR 1020080130530A KR 20080130530 A KR20080130530 A KR 20080130530A KR 101205716 B1 KR101205716 B1 KR 101205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signature
information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1720A (ko
Inventor
추현곤
남제호
오문균
안상우
신상권
이주영
정원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0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716B1/ko
Priority to US12/608,172 priority patent/US8495376B2/en
Publication of KR20100071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6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on play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04H20/3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a single channel
    • H04H20/31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a single channel using in-band signals, e.g. subsonic or cu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7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segments of broadcast information, e.g. scenes or extracting programme 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1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65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for using the result on users'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3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 H04H60/7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using programme related information, e.g. title, composer or interpr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4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3Processing of entitlement messages, e.g. ECM [Entitlement Control Message] or EMM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9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ign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 H04L2209/603Digital right managament [D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신호 수신 장치에 있어서,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또는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내의 RC 기술자(Redistribution Control descriptor) 내에 시그너처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증용 시그너처를 생성하고, 상기 추출된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상기 시그너처와 상기 검증용 시그너처를 비교하여 상기 프로그램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시그너처와 프로그램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증용 시그너처를 비교하여 프로그램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함으로써, 방송 프로그램의 무단 복제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방송 신호, 방송 프로그램, 시그너처, 저작권

Description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시그너처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사용을 제어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USING OF BROADCASTING PROGRAM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의 사용을 제어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시그너처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사용을 제어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 성장동력기술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고유번호: 2007-S-003-02, 과제명: 지상파 DTV 방송프로그램 보호기술 개발].
최근 지상파 및 케이블 등의 디지털 방송망이 보급되면서,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저작권 보호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여기서,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은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된 방송 프로그램을 말하는데,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은 특성상 복사가 쉽고 빠르며, 복사본이 원본과 동일한 품질을 유지하는 특징을 갖는다. 그에 따라, 인터넷의 P2P 사이트를 통해 무단으로 복제 및 배포되거나, DVD로 제작되어 불법 배포 및 판매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적법한 유통 과정을 거치지 않은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복제 및 배포를 근절하기 위하여, 방송 신호에 프로그램 보호 정보 및 프로그램 식별자를 함께 전송하고, 수신 장치에서 이를 함께 관리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하, 종래기술에 따른 RC 기술자(Redistribution Control descriptor) 및 콘텐츠 라벨링 기술자(contents labeling descriptor)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보호 정보 및 프로그램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표 1은 ATSC에 따른 RC 기술자의 구조를 나타내고, 표 2는 프로그램 보호 정보(Program Protection Information; PPI)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 밖에도 TTA의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 보호 정보 송수신 규격의 프로그램 보호 정보 규격에 따라 프로그램 보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Figure 112008087564114-pat00001
Figure 112008087564114-pat00002
이와 같이, RC 기술자의 rc_information 내에 프로그램 보호 정보를 포함시켜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보호 정보는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재배포 가능 여부 및 저작권 정보를 포함한다.
표 3은 콘텐츠 라벨링 기술자의 구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8087564114-pat00003
이와 같이, ATSC A/57B 규격에 따르면, 콘텐츠 라벨링 기술자 내의 content_reference_id_byte에 프로그램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방송 신호에 프로그램 보호 정보 및 프로그램 식별자를 함께 전송하고, 수신 장치에서 이를 함께 관리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을 뿐, 방송 프로그램의 무단 복제 및 배포를 방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방송 프로그램의 무단 복제 및 배포에 따른 저작권 침해를 근절하기 위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사용을 제어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시그너처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사용을 제어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방송 신호 수신 장치에 있어서,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또는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내의 RC 기술자(Redistribution Control descriptor) 내에 시그너처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증용 시그너처를 생성하고, 상기 추출된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상기 시그너처와 상기 검증용 시그너처를 비교하여 상기 프로그램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신호 수신 장치에서 방송 프로그램 사용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또는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내의 RC 기술자(Redistribution Control descriptor) 내에 시그너처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증용 시그너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상기 시그너처와 상기 검증용 시그너처를 비교하여 상기 프로그램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시그너처와 프로그램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증용 시그너처를 비교하여 프로그램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즉, 방송 프로그램 수신 장치에서 방송 프로그램을 사용하기에 앞서 프로그램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해당 방송 프로그램이 위,변조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사용 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 사용 제어 시스템은 방송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국(100)과 방송 신호 수신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국(100)은 방송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정보를 다중화하여 방송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방송 신호를 방송 신호 수신 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방송 프로그램은 드라마, 영화 등의 시청각 콘텐츠일 수 있으며, 부호?문자?음성?음향 이미지?영상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 처리한 디지털 콘텐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정보는 프로그램 보호 정보 또는 프로그램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보호 정보는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복제 및 배포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 저작권 정보, 암호화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프로그램 보호 정보는 시그너처(X)를 포함하는데, 시그너처(X)는 방송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정보 생성 시 각 필드 값의 에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삽입되는 정보이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 보호 정보는 예를 들어, RC 기술자에 포함되어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또는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를 통해 방송 신호 수신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콘텐츠 라벨링 기술자에 포함되어 PSIP 또는 PSI를 통해 방송 신호 수신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방송 신호 수신 장치(20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방송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방송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송국과 방송 신호 수신 장치 간의 방송 신호 송수신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사용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방송 신호 수신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방송 신호 수신 장치들 간에는 방송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방송 신호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신호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 수신 장치 간에 송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신호 수신 장치(20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210),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220), 추출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증용 시그너처를 생성하고, 추출된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시그너처와 검증용 시그너처를 비교하여 프로그램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판단부(230)를 포함하며, 판단부(230)에 의해 프로그램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한해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부(240) 및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부(210)는 방송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소정의 서버 또는 타 방송 신호 수신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방송국 또는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와 통신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타 방송 신호 수신 장치(200)와 통신하여 방송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추출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추출된 프로그램 정보는 판단부(230)로 전달되고, 방송 프로그램은 재생부(24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정보는 저장부(250)에 저장될 수 있다.
판단부(230)는 해당 방송 프로그램이 적법한 유통 절차에 의해 유통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검증용 시그너처(X')를 생성하여 해당 프로그램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방송 신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송국(100)에 의해 최초로 생성되는데, 방송 규격에 따라 형성된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며, 특히, 프로그램 정보 내에 필드 값의 에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그너처(X)가 포함되는데, 시그너처(X)는 최초 방송 신호 생성 시의 프로그램 정보를 반영하여 생성된다. 한편, 방송 신호를 수신한 방송 신호 수신 장치(200)에서 방송 프로그램을 무단 복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를 일부 변경하게 된다. 즉, 프로그램 보호 정보에 포함된 암호화 정보, 배포 정보 또는 저작권 정보를 변경하거나, 프로그램 식별 정보를 변경하게 된다. 다만, 무단 복제 시에도 최초 방송 신호 생성 시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시그너처(X)는 초기 값을 그대로 유지한다.
따라서 판단부(230)는 프로그램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현재의 프로그램 정보를 반영하는 검증용 시그너처(X')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정보에 프로그램 보호 정보 또는 프로그램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판단부(230)는 프로그램 보호 정보 또는 프로그램 식별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증용 시그너처(X')를 형성한다.
즉, 현재의 프로그램 정보를 기초로 하는 검증용 시그너처(X')를 생성하고, 이를 최초 방송 신호 생성 시의 프로그램 정보를 기초로 하는 시그너처(X)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시그너처(X)와 검증용 시그너처(X')가 동일한 경우에는 프로그램 정보가 변경되지 않은 것을 의미하므로, 프로그램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다. 즉, 해당 방송 프로그램이 사용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에, 시그너처(X)와 검증용 시그너처(X')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방송 프로그램이 무단 복제되어 프로그램 정보가 변경된 것을 의미하므로, 프로그램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즉, 해당 방송 프로그램이 사용 불가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판단부(230)는 추출부(220)에 의해 추출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검증용 시그너처(X')를 생성하는데, 예를 들어, 시그너처(X)를 제외한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스트림을 생성하고, 입력 스트림의 해쉬 값을 산출한 후, 해쉬 값, 공개 키 파라미터 및 시그너처(X)로부터 검증용 시그너처(X')를 생성할 수 있 다. 이와 관련하여, 검증용 시그너처(X') 생성의 구체적인 방법은 도 4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재생부(240)는 추출부(220)에 의해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을 전달받아 재생한다. 다만, 판단부(230)의 판단 결과 프로그램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하지 않는다. 이때, 해당 방송 프로그램이 사용 불가함을 사용자에게 알림음 또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추출부(220)에 의해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방송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정보는 암호화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사용 제어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여기서, 방송 프로그램 사용 제어 방법의 상세한 사항은 앞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먼저, 통신부(210)를 통해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S310), 추출부(220)는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한다(S320). 이어서, 판단부(230)는 추출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증용 시그너처(X')를 생성한다(S330).
이어서, 추출된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시그너처(X)와 검증용 시그너처(X')를 비교하여 프로그램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한다(S340).
판단 결과, 시그너처(X)와 검증용 시그너처(X')가 동일한 경우에는 프로그램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여, 재생부(240)에 의해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한다(S350). 반면에, 시그너처(X)와 검증용 시그너처(X')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그램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하지 않고 종료시킨다. 이때, 사용자에게 해당 방송 프로그램은 사용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증용 시그너처(X') 생성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도 3의 검증용 시그너처(X') 생성 단계(S330)를 보다 구체화 한 것이다.
이하, 프로그램 정보에 프로그램 보호 정보 및 프로그램 식별 정보가 포함되고, 프로그램 보호 정보 내에 시그너처(X)가 포함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시그너처(X)는 {R,S}로 구성되고, 프로그램 보호 정보는 {A,X}로 구성되고, 프로그램 식별정보는 {B}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시그너처(X)를 제외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입력 스트림{I={A,B}}를 생성한다(S410). 즉, 시그너처를 제외한 프로그램 보호정보{A}와 프로그램 식별 정보{B}를 결합하여, 입력 스트림{I={A,B}}을 생성한다.
이어서, 입력 스트림(I)의 해쉬 값(H)을 산출한다(S420). 여기서, 해쉬 값(H) 산출은 예를 들어, HAS-160, SHA-1과 같은 해쉬 함수(H=h(I))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해쉬 값 산출 방법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풀이 과정은 설명하지 않는다.
이어서, 해쉬 값(H), 공개 키 파라미터(P,Q,G,Y) 및 시그너처(X)를 이용하여 검증용 시그너처(X')를 생성한다(S430). 여기서, 공개 키는 방송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정보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되는 암호화 키로서, 공개된 암호화 키를 말하는데, 검증용 시그너처(X') 생성 시 이러한 공개 키의 파라미터(P,Q,G,Y)를 이용한다. 공개키 파라미터의 구성 및 길이는 공개 키 알고리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공개 키의 사용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이나 예시는 생략한다.
이때, 검증용 시그너처(X')는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X'=(YSGRH mod P) mod Q
여기서, 공개 키 파라미터(P,Q,G,Y)는 방송 프로그램의 무단 복제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값을 갖는다. 그러나 해쉬 값(H)은 시그너처(X)를 제외한 프로그램 신호 및 프로그램 식별자를 기초로 생성되므로, 무단 복제 여부에 따라 해쉬 값(H)이 변동되게 된다.
따라서 해당 방송 프로그램이 적법한 유통 절차를 거쳐 유통된 경우에는 시그너처(X)와 검증용 시그너처(X')가 동일한 값을 갖게 되지만, 해당 방송 프로그램이 무단 복제된 경우에는 시그너처(X)와 검증용 시그너처(X')가 상이한 값을 갖게 된다.
물론, 수학식 1에 제시된 검증용 시그너처(X') 생성 방법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검증용 시그너처(X')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KCDSA 알고리즘이나 DS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검증용 시그너처(X')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최초 방송사에서 사용한 시그너처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정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사용 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사용 제어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증용 시그너처 생성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Claims (10)

  1. 방송 신호 수신 장치에 있어서,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또는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내의 RC 기술자(Redistribution Control descriptor) 내에 시그너처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증용 시그너처를 생성하고, 상기 추출된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상기 시그너처와 상기 검증용 시그너처를 비교하여 상기 프로그램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시그너처를 제외한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스트림을 생성하고, 상기 입력 스트림의 해쉬 값을 산출하며, 상기 해쉬 값, 공개 키 파라미터 및 상기 시그너처로부터 상기 검증용 시그너처를 생성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시그너처와 상기 검증용 시그너처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프로그램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시그너처와 상기 검증용 시그너처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프로그램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한해 상기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부
    를 더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정보는,
    상기 시그너처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보호 정보 또는 프로그램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프로그램 보호 정보 또는 상기 프로그램 식별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상기 검증용 시그너처를 생성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6. 방송 신호 수신 장치에서 방송 프로그램 사용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또는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내의 RC 기술자(Redistribution Control descriptor) 내에 시그너처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증용 시그너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상기 시그너처와 상기 검증용 시그너처를 비교하여 상기 프로그램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 및 복사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판단 단계는,
    상기 시그너처와 상기 검증용 시그너처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프로그램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시그너처와 상기 검증용 시그너처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프로그램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 및 복사 제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용 시그너처 생성 단계는,
    상기 시그너처를 제외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입력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입력 스트림의 해쉬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해쉬 값, 공개 키 파라미터 및 상기 시그너처를 이용하여 상기 검증용 시그너처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 및 복사 제어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판단 단계 후에,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프로그램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한해 상기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 및 복사 제어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정보는,
    상기 시그너처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보호 정보 또는 프로그램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유효성 판단 단계는,
    상기 프로그램 보호 정보 또는 상기 프로그램 식별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상기 검증용 시그너처를 생성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 및 복사 제어 방법.
KR1020080130530A 2008-12-19 2008-12-19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시그너처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사용을 제어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1205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530A KR101205716B1 (ko) 2008-12-19 2008-12-19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시그너처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사용을 제어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US12/608,172 US8495376B2 (en) 2008-12-19 2009-10-2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 of broadcasting program using signature in program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530A KR101205716B1 (ko) 2008-12-19 2008-12-19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시그너처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사용을 제어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720A KR20100071720A (ko) 2010-06-29
KR101205716B1 true KR101205716B1 (ko) 2012-11-28

Family

ID=4226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530A KR101205716B1 (ko) 2008-12-19 2008-12-19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시그너처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사용을 제어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95376B2 (ko)
KR (1) KR1012057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650B1 (ko) 2000-10-20 2007-05-28 주식회사 케이티 지역코드를 이용한 위성방송의 시청제한 방법
KR100723311B1 (ko) 2005-06-15 2007-05-3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인증키를 이용하여 중계기로부터의 지상파 dmb 신호를수신하는 방법
KR100844705B1 (ko) 2003-10-10 2008-07-07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재생 장치,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 방법, 콘텐츠 기록 매체,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65886B1 (ko) 2002-10-15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타데이터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2218B1 (en) * 1994-12-13 2001-01-30 Mitsubishi Corporation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using electronic watermark
WO1999007145A1 (en) * 1997-08-01 1999-02-11 Scientific-Atlanta, Inc. Verification of the source of program of information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US6233347B1 (en) * 1998-05-21 2001-05-1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ystem method, and product for information embedding using an ensemble of non-intersecting embedding generators
US6530021B1 (en) * 1998-07-20 2003-03-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playback of broadcasted digital data streams
JP2001326952A (ja) * 2000-05-15 2001-11-22 Nec Corp 放送確認システム、放送確認方法及び装置、放送確認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932476B2 (ja) * 2001-06-28 2007-06-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8301884B2 (en) * 2002-09-16 2012-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naging metadata
JP4247044B2 (ja) * 2003-05-23 2009-04-02 株式会社東芝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ビス提供装置及びコンテンツ配信サービス端末装置
CN100562096C (zh) * 2003-12-18 2009-11-1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用于存储、认证以及执行应用程序的方法
WO2005111920A1 (en) * 2004-05-18 2005-11-24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Authentication of an object using a signature encoded in a number of data portions
US8036346B2 (en) * 2005-12-13 2011-10-11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audio server
US8364965B2 (en) * 2006-03-15 2013-01-29 Apple Inc. Optimized integrity verification procedures
US8000474B1 (en) * 2006-12-15 2011-08-16 Quiro Holdings, Inc. Client-side protection of broadcast or multicast content for non-real-time playback
US7895441B2 (en) * 2007-05-31 2011-02-22 Red Hat, Inc. LDAP grouping for digital signature cre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650B1 (ko) 2000-10-20 2007-05-28 주식회사 케이티 지역코드를 이용한 위성방송의 시청제한 방법
KR100965886B1 (ko) 2002-10-15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타데이터 관리 방법
KR100844705B1 (ko) 2003-10-10 2008-07-07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재생 장치,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 방법, 콘텐츠 기록 매체,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723311B1 (ko) 2005-06-15 2007-05-3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인증키를 이용하여 중계기로부터의 지상파 dmb 신호를수신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61991A1 (en) 2010-06-24
KR20100071720A (ko) 2010-06-29
US8495376B2 (en) 201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6365B2 (en) Content-log analyzing system and data-communication controlling device
EP1652383B1 (en) Content identification for broadcast media
JP4009634B2 (ja) アクセス制御方法、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メタデータ制御機、及び送信系装置
US20070256141A1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20140325550A1 (en) Real-time anti-piracy for broadcast streams
US20060005257A1 (en) Encrypted contents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encrypted contents
US8831272B2 (en) Content item identifier
KR20140103331A (ko) 협력된 워터마킹
KR100936124B1 (ko) 워터마크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제공방법 및 장치
KR20160002778A (ko) 미디어 콘텐츠를 워터마킹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JP2011030218A (ja) ストリーム内の記録可能なコンテンツを処理すること
JP4619046B2 (ja) オリジナルコンテンツ生成装置及び派生コンテンツ生成装置
US98200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aque metadata transmission
JP2004294474A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05716B1 (ko)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시그너처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사용을 제어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WO2005046238A1 (ja) メタデータ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受信装置、送信装置
JP5350021B2 (ja) ファイル生成装置、ファイル再生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094963A (ja) アプリケーション送信装置、コンテンツ送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受信装置、並びに、アプリケーション送信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送信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受信プログラム
JP5261050B2 (ja) Ipストリーミングコピー制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5011580A (ja)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配信元証明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0814520B1 (ko) Drm 컨텐츠 제공/재생 방법 및 장치
KR100939174B1 (ko) 콘텐츠 불법 복제 방지 방법 및 콘텐츠 불법 복제 방지시스템
KR101806006B1 (ko) 녹화 및 스트리밍 방송콘텐츠 접근제어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
JP201610330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2342292A (ja)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および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