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890B1 - Transferring system - Google Patents

Transfer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890B1
KR101203890B1 KR1020090014852A KR20090014852A KR101203890B1 KR 101203890 B1 KR101203890 B1 KR 101203890B1 KR 1020090014852 A KR1020090014852 A KR 1020090014852A KR 20090014852 A KR20090014852 A KR 20090014852A KR 101203890 B1 KR101203890 B1 KR 101203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unit
frame
transfer
pal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8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95839A (en
Inventor
이경남
이춘식
박남
곽기웅
김기웅
Original Assignee
디씨티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씨티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디씨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4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890B1/en
Publication of KR20100095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8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8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32Control or regulation of multiple-unit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3Process monitoring, e.g. flow or thickness monito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6Loading to or unloading from a convey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Mechanical Conveyor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이송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송 시스템은, 피이송물의 이송라인을 따라 마련되는 이송 프레임; 상부에서 피이송물이 탑재되며, 이송 프레임 상에서 피이송물과 함께 이송 프레임을 따라 이송되는 다수의 팔레트; 및 이송 프레임과 팔레트에 마련되어 이송 프레임 상에서의 팔레트에 대한 주행 및 정지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고도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피이송물에 대한 연속 반송이 요구되는 다양한 작업 환경 하에 적용되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피이송물을 이송시킬 수 있으며, 특히 피이송물에 대한 주행 및 정지 동작을 종래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피이송물 간의 충돌 등에 의한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14852

A transport system is disclosed. The convey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ing frame provided along a conveying line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A plurality of pallets mounted on the transfer object and transported along the transfer frame together with the transfer object on the transfer frame; And an individual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transport frame and the pallet to individually control the traveling and stopping operations for the pallet on the trans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mple and simple structure can be applied under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in which continuous conveyance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is required, so that the object can be easily and efficiently conveyed. The stop operation can be controlled more simply and easily than in the prior art, thereby preventing damage due to collision between the objects to be conveyed.

Figure R1020090014852

Description

이송 시스템{TRANSFERRING SYSTEM}Transport system {TRANSFERRING SYSTEM}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고도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피이송물에 대한 연속 반송이 요구되는 다양한 작업 환경 하에 적용되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피이송물을 이송시킬 수 있으며, 특히 피이송물에 대한 주행 및 정지 동작을 종래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피이송물 간의 충돌 등에 의한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be conveyed in a variety of working environments that have a simple and simple structure, but requires continuous conveyance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easily and efficiently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system that can easily and easily control the traveling and stopping operation of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thereby preventing damage due to collision between the objects to be conveyed.

이송 시스템이란, 피이송물을 원하는 장소로 이송하는 일련의 시스템이다. 여기서, 피이송물이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하는 기판, 반도체용 웨이퍼(wafer), 기판이나 웨이퍼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트레이나 카세트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박스(box)를 비롯한 각종 다양한 물류품이 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로/세로의 길이가 3 미터(m) 내외에 이르는 11세대용 LCD 기판(glass)을 피이송물이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 conveying system is a series of systems for conveying a conveyed object to a desired place. Here,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includes a substrate including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 wafer for semiconductors, a tray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a substrate or a wafer.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be a cassette or a variety of logistic products including a general box (box), for the convenience of the following description, 11th generation LCD substrate for the length and width of the vertical / 3 meters (m) (glass) will be described as a transfer object.

이러한 LCD 기판은 크게 TFT 공정, Cell 공정 및 Module 공정을 통해 제품으로 출시된다.These LCD substrates are largely released as products through TFT process, Cell process, and Module process.

TFT 공정은 반도체 제조 공정과 매우 유사한데, 증착(Deposition), 사진식각(Photo lithography), 식각(Etching)을 반복하여 유리기판 위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배열하는 공정이다.The TFT process is very similar to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in which thin film transistors are arranged on a glass substrate by repeating deposition, photolithography, and etching.

Cell 공정은, TFT 공정에 의해 제조된 TFT 하판과, 칼라 필터(Color Filter)인 상판에 액정이 잘 정렬될 수 있도록 배향막을 형성하고, 실(Seal) 인쇄를 하여 상하판을 합착하는 공정이다.The Cell process is a process of forming an alignment film so that a liquid crystal can be aligned with the TFT lower plate manufactured by the TFT process, and the upper plate which is a color filter, and sealing printing the upper and lower plates together.

그리고 모듈(Module)공정은 완성된 LCD패널에 편광판을 부착하고 집적 회로(Drive-IC)를 실장한 후, PCB(Printed Circuit Board)와 조립한 다음, 그 배면으로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과 기구물을 조립하는 일련의 단계를 가리킨다.The module process attaches a polarizing plate to the completed LCD panel, mounts an integrated circuit (Drive-IC), assembles it with a PCB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n back-lights the unit. Point out a series of steps to assemble the tool.

이러한 공정들 또는 이들 공정 내의 각 공정들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각 공정들을 연결하는 라인(line) 간에는 전 공정으로부터 LCD 기판을 전달 받아, 후 공정으로 기판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시스템이 마련된다.A transfer system for receiving the LCD substrate from the previous process and transferring the substrate to the subsequent process is provided between the lines connecting the processes so that these processes or the processes in the processes can be sequentially performed.

기판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로서, 기판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킬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구간별로 기판의 주행 및 정지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마그네틱 컨베이어(magnet conveyor)를 적용한 이송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As an embodiment of a transfer system for transferring a substrate, a transfer system using a magnetic conveyor that can not only continuously transfer a substrate but also control driving and stopping of the substrate for each section has been disclosed. .

마그네틱 컨베이어가 적용된 이송 시스템은 기판을 연속적으로 이송할 수도 있고, 또한 작업을 위해 앞선 기판이 멈춘 경우에 뒤따르던 기판의 이송을 멈출 수 있기 때문에 LCD 기판과 같이 깨지기 쉬운 피이송물을 이송할 때 효율적일 수 있으며, 특히 클린 룸(clean room) 환경에 적용하기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Magnetic conveyors can be used to transfer substrates continuously, and can also be used to transfer fragile workpieces, such as LCD substrates, because the transfer of substrates can be stopped when the preceding substrate is stopped for work.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applied, especially in a clean room environment.

그렇지만, 이러한 구조의 마그네틱 컨베이어가 적용된 이송 시스템의 경우, 일반적인 컨베이어에 비해 고정밀도를 요하는 한편 기판이 대형화되면 될 수록 보다 많은 수의 롤러축과 롤러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하기도 쉽지 않고, 조립 및 제어하기도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 또한 증가하며, 많은 수의 롤러가 직접 기판에 접촉함으로 인하여 기판에 잠재적인 파손 위험성을 유발시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ying system with this type of magnetic conveyor requires higher precision than the general conveyor, and the larger the substrate, the larger the number of roller shafts and rollers. Not only is it complicated, but also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large number of rollers directly contact the substrate, causing a potential risk of damage to the substrate.

기판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로서, 기판과 구동 롤러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해 팔레트 상에 기판을 고정한 후 , 팔레트를 이용한 연속 반송으로 이송 시스템을 구현하되, 구동 롤러가 프릭션 롤러로 구성되어 있는 프릭션 컨베이어(friction conveyor)를 적용한 이송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transfer system for transferring the substrate, the substrate is fixed on the pallet to avoid direct contact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drive roller, and then the transfer system is implemented by continuous conveying using the pallet, the drive roller being the friction roller. A transfer system using a configured friction conveyor has been disclosed.

프릭션 컨베이어는 롤러축에 결합된 롤러가 롤러축에 대해 자유회전하거나 선택적으로 롤러축과 함께 롤러가 회전 구동될 수 있는 것으로서, 기판을 고정하고 있는 팔레트가 롤러에 로딩되어 지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롤러가 롤러축에 대해 자유회전하면서 헛돌게 되나 기판을 고정하고 있는 팔레트가 롤러에 접촉되어 접촉 마찰력이 발생되면, 즉 롤러와 롤러축 간의 접촉 마찰력이 팔레트와 롤러 사이의 접촉 마찰력보다 커지면 롤러가 롤러축을 따라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프릭션 컨베이어는 현재 자동화 라인에서 반송물의 연속 반송이 요구되는 경우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Friction conveyor is a roller coupled to the roller shaft can be freely rotated relative to the roller shaft, or optionally the roller can be driven to rotate with the roller shaft, if the roller holding the substrate is not loaded and supported on the roller Is rotated freely with respect to the roller shaft, but when the pallet holding the substrate contacts the roller and the contact friction occurs, that is, when the contact friction between the roller and the roller shaft is greater than the contact friction between the pallet and the roller, the roller Has a structure that rotates accordingly. Such friction conveyors are now known to be used when continuous conveyance of conveyed goods is required in an automated line.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프릭션 컨베이어가 적용된 이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LCD 기판과 같은 피이송물에 대한 주행 및 정지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어가 용이하지도 않은 고가의 통신장비가 추가로 사용 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다양한 작업 환경 하에서의 자동화 라인에 적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individually control the traveling and stopping operations for the object to be conveyed, such as an LCD substrate, by using a conveying system having a friction conveyor having such a structure, expensive communication equipment, which is not only complicated but also difficult to control, is additionally added. The disadvantage is that it must be used, which is practically undesirable for application to automation lines under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도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피이송물에 대한 연속 반송이 요구되는 다양한 작업 환경 하에 적용되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피이송물을 이송시킬 수 있으며, 특히 피이송물에 대한 주행 및 정지 동작을 종래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피이송물 간의 충돌 등에 의한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a variety of working environment that has a simple and simple structure, but continuous conveyance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can be easily and efficiently conveyed, particularly traveling to the object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top operation more simply and easily than conventional to provide a transport system that can prevent damage due to collision between the object to be conveye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피이송물의 이송라인을 따라 마련되는 이송 프레임; 상부에서 상기 피이송물이 탑재되며, 상기 이송 프레임 상에서 상기 피이송물과 함께 상기 이송 프레임을 따라 이송되는 다수의 팔레트; 및 상기 이송 프레임과 상기 팔레트에 마련되어 상기 이송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팔레트에 대한 주행 및 정지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port frame provided along the transport line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A plurality of pallets on which the object to be conveyed is mounted and transported along the conveying frame together with the object to be conveyed on the conveying frame; And a separate control unit provided on the conveying frame and the pallet to individually control the traveling and stopping operations for the pallet on the conveying frame.

여기서, 상기 개별 제어 유닛은, 상기 이송 프레임과 상기 팔레트에 마련되어 상기 이송 프레임 상에서 상기 팔레트를 주행시키는 주행 유닛; 상기 팔레트의 일측에 마련되어 앞선 팔레트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유닛의 동작을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유닛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dividual control unit may include: a traveling unit provided on the transfer frame and the pallet to drive the pallet on the transfer frame; A sensing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allet to sense a distance from the previous pallet; And a unit controller configured to turn on / off an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based on a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or.

상기 감지부는, 상기 팔레트의 전방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팔레트가 정주행(+X)할 때 앞선 팔레트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전방 센서; 및 상기 팔레트의 후방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팔레트가 역주행(-X)할 때 앞선 팔레트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후방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ction unit, a front sens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of the pallet for detecting the distance to the pallet in advance when the pallet is running (+ X); And a rear sens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pallet to sense a distance to the previous pallet when the pallet is reversed (-X).

상기 전방 및 후방 센서는 레이저 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팔레트에는, 인접된 팔레트에 마련된 상기 전방 및 후방 센서와의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전방 및 후방 센서로부터의 레이저를 반사시키는 다수의 반사판이 더 마련될 수 있다.The front and rear sensors may be laser sensors, and the palle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reflecting plates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rear sensors provided on adjacent pallets to reflect lasers from the front and rear sensors. Can be.

상기 개별 제어 유닛은, 상기 팔레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유닛 제어부가 상기 주행 유닛을 통해 상기 팔레트의 속도를 가속 또는 감속할 수 있도록 상기 유닛 제어부로 속도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속도 제어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dividual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peed control sens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allet and transmitting a speed control signal to the unit control unit so that the unit control unit accelerates or decelerates the speed of the pallet through the traveling unit. Can be.

상기 개별 제어 유닛은, 상기 팔레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유닛 제어부가 상기 주행 유닛을 통해 상기 팔레트의 주행 방향을 정방향(+X) 또는 역방향(-X)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유닛 제어부로 방향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방향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dividual control un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allet, the direction control signal to the unit control unit so that the unit control unit can select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pallet in the forward direction (+ X) or reverse direction (-X) through the traveling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direction sensor for transmitting.

상기 주행 유닛은, 상기 이송 프레임과 상기 팔레트에 마련되어 상기 팔레트의 주행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 프레임 상에서 상기 팔레트를 주행시키는 주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veling unit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provided at the transfer frame and the pallet to supply power for driving the pallet; And a driving unit configured to drive the pallet on the transport frame based on the power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unit.

상기 전원 공급부는,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비접촉식 전원 공급부일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may be a non-contact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in a non-contact manner.

상기 비접촉식 전원 공급부는, 상기 이송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이송라인을 따라 길게 마련되는 유도 레일; 및 상기 유도 레일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팔레트의 하부에 마련되어 전자유도법칙에 의해 비접촉 상태에서 일정한 전류를 인가받아 상기 주행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픽업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non-contact power supply unit, the induction rail is provided along the transfer lin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frame; And a pickup unit provided below the pallet so as to be adjacent to the induction rail and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part by receiving a constant current in a non-contact state by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law.

상기 유도 레일은 상호간 이격 배치되고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레일블록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픽업 유닛은 상기 한 쌍의 레일블록 사이 및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기전력 생성 돌기부를 구비한 영문 대문자 E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guide rail may include a pair of rail bloc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side by side, and the pickup unit may have an uppercase E letter having an electromotive force generating protrusion disposed between and outside the pair of rail blocks, respectively. It may have a shape.

상기 주행부는, 전자기력으로 리니어(linear) 구동하는 마그네틱 리니어 주행부일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be a magnetic linear driving unit that linearly drives by electromagnetic force.

상기 마그네틱 리니어 주행부는, 상기 이송 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되는 고정자; 및 상기 팔레트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팔레트의 주행을 위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받아 상기 고정자와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으로 상기 팔레트를 주행시키는 가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gnetic linear running unit, the stato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frame; And a mover provided under the pallet to selectively dr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drive the pallet, and to move the pallet with electromagnetic force by interaction with the stator.

상기 고정자는 낱개로 분리되되 상호간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영구 막대자석에 의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가동자는 전자석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The stators may be provided by a plurality of permanent bar magnets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arranged in a line with each other, and the mover may be provided by an electromagnet.

상기 다수의 영구 막대자석은 상기 이송 프레임의 상부에서 일정한 경사도를 가지고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ermanent bar magnets may be arranged in a row with a constant inclination at the top of the transfer frame.

상기 마그네틱 리니어 주행부는, 상기 이송 프레임의 하부에 구름 접촉되어 상기 팔레트의 주행 시 상기 팔레트를 따라 회전하는 다수의 자유회전형 롤러; 및 상기 고정자와 상기 가동자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상기 팔레트에 대해 상기 자유회전형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롤러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gnetic linear driv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ree-rotating rollers which are in rolling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frame and rotate along the pallet when the pallet is driven; And a roller connecting portion rotatably connecting the free-rotating roller with respect to the pallet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stator and the mover.

이송 중인 상기 팔레트의 수평도 유지를 위해 상기 팔레트의 네 모서리 영역에는 수평형 롤러가 각각 마련되고, 양측면에는 다수의 수직형 롤러가 마련될 수 있다.In order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pallet being transferred, horizontal rollers may be provided at four corners of the pallet, and a plurality of vertical rollers may be provided at both sides.

상기 피이송물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판일 수 있다.The object to be transferred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substrate.

상기 팔레트의 상부에는 상기 LCD 기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기판 지지용 핀이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기판 지지용 핀의 상단부에는 탄성재질의 완충캡이 더 마련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ubstrate supporting pins for supporting the LCD substrate may be furth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allet, and an elastic buffer cap may be further provided on an upper end of the plurality of substrate supporting pins.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고도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피이송물에 대한 연속 반송이 요구되는 다양한 작업 환경 하에 적용되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피이송물을 이송시킬 수 있으며, 특히 피이송물에 대한 주행 및 정지 동작을 종래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피이송물 간의 충돌 등에 의한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mple and simple structure can be applied under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in which continuous conveyance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is required, so that the object to be conveyed can be easily and efficiently conveyed. The stop operation can be controlled more simply and easily than in the prior art, thereby preventing damage due to collision between the objects to be conveyed.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 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면 대비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될 피이송물이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하는 기판, 반도체용 웨이퍼(wafer), 기판이나 웨이퍼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트레이(tray)나 카세트(cassette)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박스(box)를 비롯한 각종 다양한 물류품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피이송물을 기판이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 to be described below is a substrate including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 wafer for a semiconductor, a substrate, and the like. In addition, it can be a tray or a cassette for accommodating and supporting a wafer, as well as various logistic products including a general box.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ollowing example will be described as a substrate to be transpor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시스템이 적용될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to which a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송 시스템은 실시예로서 도 1과 같은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즉 (A) 위치에서 기판이 공급되어 이송 프레임(110) 상의 팔레트(130)에 탑재되면, 팔레트(130)는 이송 프레임(110) 상에서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정방향인 +X 방향으로 이동하여 (B) 위치로 기판을 이송시킨다.As shown in this figure, the transfer system of this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 1 as an embodiment. That is, when the substrate is supplied at position (A) and mounted on the pallet 130 on the transfer frame 110, the pallet 130 moves along the first transfer line in the positive + X direction on the transfer frame 110 ( B) Transfer the substrate to the position.

기판이 탑재된 팔레트(130)가 (B) 위치에 도달되면 (B) 위치에서 로봇(robot) 등에 의해 기판이 취출된다. 기판이 취출되고 나면 팔레트(130)는 제1 리프터(101)에 의해 -Z 방향으로 다운(down)된 후, 제2 이송라인을 따라 역방향인 -X 방향으로 이동하여 (A) 위치로 복귀된다.When the pallet 130 on which the substrate is mounted reaches the position (B), the substrate is taken out by a robot or the like at the position (B). After the substrate is taken out, the pallet 130 is moved down in the -Z direction by the first lifter 101 and then moved in the reverse -X direction along the second transfer line to return to the position (A). .

(A) 위치로 복귀된 후에는 제2 리프터(102)에 의해 +Z 방향으로 업(up)된 후, 다시 새로운 기판을 공급받아 기판을 이송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이송 시스템은 기판에 대한 연속 반송이 요구되는 작업 환경 하에 주로 적용될 수 있다.After returning to the position (A), it is up (up) by the second lifter 102 in the + Z direction, and then receives a new substrate and performs a series of operations for transferring the substrate. Such a transfer system can be applied primarily under working environments where continuous conveyance to the substrate is required.

한편, 기판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상 요인이나 혹은 별도의 작업 환경 요인에 의해 기판을 탑재한 앞선 팔레트(130)가 정지될 경우, 뒤따르던 팔레트(130) 역시 정지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뒤따르던 팔레트(130)가 앞선 팔레트(130)에 부딪혀 팔레트(130) 또는 그에 탑재된 기판이 손상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vious pallet 130 on which the substrate is mounted due to an abnormal factor or a separate working environment factor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substrate continuously, the following pallet 130 should also stop. Otherwise, the subsequent pallet 130 may hit the previous pallet 130 and damage the pallet 130 or the substrate mounted thereon.

이를 위해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마그네틱 컨베이어(magnet conveyor) 또는 프릭션 컨베이어(friction conveyor)를 적용한 이송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지만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현실적으로 적용이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와 같이 간단하고도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기판에 대한 연속 반송이 요구되는 다양한 작업 환경 하에 적용되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기판을 이송시킬 수 있으며, 특히 기판에 대한 주행 및 정지 동작을 종래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팔레트 또는 기판 간의 충돌 등에 의한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이송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는 것이다.To this end, in the prior art, a transfer system using a magnetic conveyor or a friction conveyor has been proposed, but in view of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in reality,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has a simple and simple structure and is applied under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requiring continuous conveyance to the substrate, so that the substrate can be easily and efficiently transferred, and in particular, the driving and stopping operations of the substrate can be easily and easily controlled. Therefore, it is proposed a transfer system that can prevent damage due to collision between pallets or substrate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팔레트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2의 Ⅴ-Ⅴ 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6은 전방 및 후방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팔레트의 평면도들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y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allet shown in FIG. 2,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main parts of FIG. 2, and FIG. 5 is V- of FIG. 2. Schematic cross section along line V, and FIG. 6 is a plan view of a palle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ront and rear sensors.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송 시스템은, 기판의 이송라 인(도 1 참조)을 따라 마련되는 이송 프레임(110)과, 상부에서 기판이 탑재되며 이송 프레임(110) 상에서 기판과 함께 이송 프레임(110)을 따라 이송되는 다수의 팔레트(130a~130c)와, 이송 프레임(110)과 팔레트(130a~130c)에 마련되어 이송 프레임(110) 상에서의 팔레트(130a~130c)에 대한 주행 및 정지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제어 유닛(140)을 구비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transfer system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transfer frame 110 provided along a transfer line of the substrate (see FIG. 1), a substrate mounted thereon, and a substrate on the transfer frame 110. A plurality of pallets 130a to 130c conveyed along the conveying frame 110 together with the conveying frame 110 and the pallets 130a to 130c are provided for traveling on the pallets 130a to 130c on the conveying frame 110. And an individual control unit 140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stop operation.

이송 프레임(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130a~130c)를 이송시키는 이송라인을 형성한다. 도 1과 같이 이송 프레임(110)은 지면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된 제1 이송라인과, 제1 이송라인보다 하방에 위치되는 제2 이송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The conveying frame 110, as shown in Figure 2, forms a conveying line for conveying the pallet (130a ~ 130c). As shown in FIG. 1, the transfer frame 110 may form a first transfer line spaced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a second transfer line positioned below the first transfer line.

뿐만 아니라 이송 프레임(110)에 의한 이송라인은 도 1에 도시된 단순한 일직선 형태에서 벗어나 마치 한글 'ㅁ'자 같은 구조로서 순환되는 형태가 되어도 좋다. 어떠한 구조나 형상, 또는 사이즈(size)에 무관하게 이송 프레임(110)은 기판이 탑재된 팔레트(130a~130c)나 혹은 팔레트(130a~130c) 그 자체를 이송시키는 이송라인을 형성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In addition, the conveying line by the conveying frame 110 may be in a form circulating as a structure such as Hangul 'ㅁ' apart from the simple straight form shown in FIG. Regardless of the structure, shape, or size, the transfer frame 110 is sufficient to form a transfer line for transferring the pallets 130a to 130c or the pallets 130a to 130c on which the substrate is mounted. Do.

팔레트(130a~130c)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프레임(110) 상에 마련되어 이송 프레임(110)을 따라 이송되는 구조체이다. 본 실시예의 이송 시스템은 실시예로서 기판을 이송시키고 있으므로 팔레트(130a~130c)의 상부에는 기판이 탑재된다.As shown in FIG. 3, the pallets 130a to 130c are provided on the transfer frame 110 to be transferred along the transfer frame 110. Since the transfer system of this embodiment transfers a board | substrate as an Example, a board | substrate is mounted in the upper part of pallet 130a-130c.

기판은 유리재질로 제작되므로 스크래치(scratch)에 매우 민감하다. 따라서 팔레트(130a~130c)의 상부에는 기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기판 지지용 핀(131)이 더 마련된다. 기판 지지용 핀(131)들의 상단부에는 탄성재질의 완충캡(132)이 마련되어 기판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저지하면서 팔레트(130a~130c)에 탑재된 기판이 이송 중에 팔레트(130a~130c)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한다.Since the substrate is made of glass, it is very sensitive to scratches. Therefore, a plurality of substrate supporting pins 131 supporting the substrate are further provided on the pallets 130a to 130c. An elastic buffer cap 132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ubstrate supporting pins 131 to prevent scratches on the substrate while the substrate mounted on the pallets 130a to 130c is separated from the pallets 130a to 130c during transportation. Stop being.

팔레트(130a~130c)는 평면 투영 시 사각형의 구조를 갖는데, 팔레트(130a~130c)의 네 모서리 영역에는 각각 하나씩의 수평형 롤러(133)가, 그리고 양측면에는 다수의 수직형 롤러(134)가 마련되어 있다. 수평형 롤러(133)와 수직형 롤러(134)들은 모두가 이송 프레임(110)의 양측 내면 및 하면에 각각 접촉되어 팔레트(130a~130c)의 구름 이동을 돕는 역할을 한다.The pallets 130a to 130c have a rectangular structure in a plane projection. Each of the pallets 130a to 130c has one horizontal roller 133 and four vertical rollers 134 on both sides thereof. It is prepared. The horizontal rollers 133 and the vertical rollers 134 are both in contact with both inn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ransfer frame 110 to serve to help the rolling movement of the pallet (130a ~ 130c).

이 경우, 본 실시예의 수평형 롤러(133)와 수직형 롤러(134)들은 모두 비동력의 자유회전형 롤러로 적용된다. 즉 자세히 수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팔레트(130a~130c)는 비접촉식 전원 공급에 따른 전자기력에 의해 이동(이송, 구동)되므로 사실상 수평형 롤러(133)와 수직형 롤러(134)들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팔레트(130a~130c)의 이동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In this case, both the horizontal roller 133 and the vertical roller 134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applied as non-powered free-rotating rollers. That is, as the operation in detail, the pallets (130a ~ 130c) in this embodiment is moved (transfer, driven)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according to the non-contact power supply, so there is virtually no horizontal roller 133 and vertical rollers 134 If not, there is no problem in the movement of the pallets 130a to 130c.

다만, 본 실시예와 같이 수평형 롤러(133)와 수직형 롤러(134)들이 마련되는 경우에는 이송 중인 팔레트(130a~130c)의 수평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horizontal rollers 133 and the vertical rollers 134 are provid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of maintaining the horizontality of the pallets 130a to 130c being transferred.

한편, 개별 제어 유닛(140)은, 이송 프레임(110)과 팔레트(130a~130c)에 마련되어 이송 프레임(110) 상에서 팔레트(130a~130c)를 정방향(+X) 또는 역방향(-X)으로 주행시키는 주행 유닛(150)과, 팔레트(130a~130c)의 일측에 마련되어 앞선 팔레트(130a~130c)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181,182)와, 감지부(181,182)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주행 유닛(150)의 동작을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유닛 제어부 (미도시)를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dividual control unit 140 is provided in the conveyance frame 110 and the pallets 130a to 130c to travel the pallets 130a to 130c in the forward direction (+ X) or in the reverse direction (-X) on the transport frame 110. Traveling unit 150 to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allet (130a ~ 130c), the sensing unit (181, 182) for detec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revious pallet (130a ~ 130c), and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unit (181, 182) A unit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150 (on / off) is provided.

주행 유닛(150)의 설명에 앞서 감지부(181,182)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감지부(181,182)는, 팔레트(130a~130c)의 전방 일측에 마련되어 팔레트(130a~130c)가 정주행(+X)할 때 앞선 팔레트(130a~130c)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전방 센서(181)와, 팔레트(181)의 후방 일측에 마련되어 팔레트(181)가 역주행(-X)할 때 역시 앞선 팔레트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후방 센서(182)를 구비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traveling unit 150, the sensing units 181 and 182 will be described first. The sensing units 181 and 182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be provided at one front side of the pallets 130a to 130c to provide the pallets 130a to 130c. The front sensor 181 detects the distance from the front pallets 130a to 130c when forward driving (+ X),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pallet 181, and also when the pallet 181 is reverse driving (-X). And a rear sensor 182 for sensing a distance from the pallet.

본 실시예에서 전방 및 후방 센서(181,182) 모두는 레이저 센서로 적용되는데, 센서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팔레트(130a~130c)에는, 인접된 팔레트(130a~130c)에 마련된 전방 및 후방 센서(181,182)와의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전방 및 후방 센서(181,182)로부터의 레이저를 반사시키는 제1 및 제2 반사판(181a,182a)이 더 마련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both the front and rear sensors 181 and 182 are applied to the laser sensor,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sensor can be performed on the pallets 130a to 130c, the front and rear sensors provided on the adjacent pallets 130a to 130c. First and second reflecting plates 181a and 182a are further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181 and 182 to reflect the laser beams from the front and rear sensors 181 and 182.

이에 따라, 이상 요인이나 혹은 별도의 작업 환경 요인에 의해 예를 들어 앞선 팔레트(130a~130c)를 정지시킨 경우, 뒤따르던 팔레트(130a~130c)가 정지된 앞선 팔레트(130a~130c)로 일정 거리 접근되면 감지부(181,182)로서의 전방 및 후방 센서(181,182) 중 어느 하나가 제1 및 제2 반사판(181a,182a)으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를 통해 거리를 감지하게 되고, 이어 유닛 제어부가 주행 유닛(150)의 동작을 오프(off)시켜 뒤따르던 팔레트(130a~130c)를 정시시키게 된다. 따라서 팔레트(130a~130c)끼리 또는 팔레트(130a~130c)에 탑재된 기판끼리의 충돌에 의해 팔레트(130a~130c) 또는 기판이 손상되는 현상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전방 및 후방 센서(181,182)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거리는 대략 200 mm로 세팅될 수 있 지만, 이의 수치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Accordingly, in the case where the previous pallets 130a to 130c are stopped due to an abnormal factor or a separate working environment factor, for exampl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receding pallets 130a to 130c where the subsequent pallets 130a to 130c are stopped. When approaching, any one of the front and rear sensors 181 and 182 as the sensing units 181 and 182 senses the distance through the laser refle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reflecting plates 181a and 182a, and the unit controller then moves the driving unit 150. By turning off the operation of ()) to follow the palette (130a ~ 130c).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pallets 130a to 130c or the substrate are damaged by collision between the pallets 130a to 130c or the substrates mounted on the pallets 130a to 130c. For reference, the distance that can be detected by the front and rear sensors 181 and 182 may be set to approximately 200 mm,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numerical values thereof.

이러한 전방 및 후방 센서(181,182) 외에 본 실시예의 개별 제어 유닛(140)은 속도 제어센서(183)와 방향 감지센서(184)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front and rear sensors 181 and 182, the individual control unit 140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peed control sensor 183 and a direction sensor 184.

속도 제어센서(183)는, 팔레트(130a~130c)의 측면에 마련되며 유닛 제어부가 주행 유닛(150)을 통해 팔레트(130a~130c)의 속도를 가속 또는 감속할 수 있도록 유닛 제어부로 속도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speed control sensor 183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pallets 130a to 130c and the unit controller controls the speed control signal to the unit controller so that the speed of the pallets 130a to 130c can be accelerated or decelerated through the traveling unit 150. It serves to transmit.

그리고 방향 감지센서(184)는, 역시 팔레트(130a~130c)의 측면에 마련되며 유닛 제어부가 주행 유닛(150)을 통해 팔레트(130a~130c)의 주행 방향을 정방향(+X) 또는 역방향(-X)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팔레트(130a~130c)의 주행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유닛 제어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direction sensor 184 is also provid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pallets 130a to 130c and the unit controller controls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pallets 130a to 130c in the forward direction (+ X) or the reverse direction (−) through the travel unit 150. X) detects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pallet (130a ~ 130c) to select, and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to the unit controller.

본 실시예의 경우, 속도 제어센서(183)와 방향 감지센서(184)는 팔레트(130a~130c)의 측면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인접되게 마련되고 있지만, 이들의 위치가 반드시 도면과 같을 필요는 없다. 속도 제어센서(183)와 방향 감지센서(184)는 전술한 전방 및 후방 센서(181,182)와 마찬가지로 레이저 센서일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eed control sensor 183 and the direction sensor 184 are provid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ide surfaces of the pallets 130a to 130c, but their positions are not necessarily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speed control sensor 183 and the direction sensor 184 may be laser sensors like the front and rear sensors 181 and 182 described above.

이러한 속도 제어센서(183)와 방향 감지센서(184)의 필요성에 대해 도 1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기판을 탑재한 팔레트(130a~130c)가 제1 이송라인을 따라 (A) 위치에서 (B) 위치로 정방향(+X) 주행하는 경우에는 기판의 흔들림이나 기판의 이탈 우려가 예상될 수 있기 때문에 정속도 또는 정속도보다 다소 낮은 속도로 팔레트(130a~130c)를 이송시키는 것이 안전할 수 있다.The necessity of the speed control sensor 183 and the direction sensor 18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gain. For example, when the pallets 130a to 130c on which the substrate is mounted travel forward (+ X) from the position (A) to the position (B) along the first transfer line, the substrate may be shaken or the board may be separated. Because of this, it may be safe to transfer the pallets 130a to 130c at a constant speed or a speed slightly lower than the constant speed.

하지만, 기판이 취출된 빈 팔레트(130a~130c)가 제2 이송라인을 따라 (B) 위 치에서 (A) 위치로 복귀하는 경우에는 그 속도를 높이는 것이 택트 타임(tact time) 감소를 위해 유리하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 사용하기 위해 속도 제어센서(183)가 마련된다.However, when the empty pallets 130a to 130c from which the substrate is taken out return from the position (B) to the position (A) along the second transfer line, increasing the speed is advantageous to reduce the tact time. Therefore, the speed control sensor 183 is provided for use in such a case.

그리고 방향 감지센서(184)의 경우에는 (B) 위치에 도달된 팔레트(130a~130c)를 회전시켜 (A) 위치로 이송시키기가 곤란하다는 점을 감안하여 즉 (A) 위치에서 (B) 위치로 방향 전환 없이 팔레트(130a~130c)가 왕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하지만, 만약 속도 제어 및 방향 전환의 필요성이 없다면 속도 제어센서(183)와 방향 감지센서(184)를 굳이 적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In the case of the direction sensor 184, it is difficult to rotate the pallets 130a to 130c that have reached the position (B) to be transferred to the position (A), that is, the position (B) from the position (A). The pallets 130a to 130c may be reciprocated without changing the furnace direction. However, if there is no need for speed control and direction change, the speed control sensor 183 and the direction sensor 184 may not necessarily be applied.

한편, 주행 유닛(150)은, 이송 프레임(110)과 팔레트(130a~130c)에 마련되어 팔레트(130a~130c)의 주행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60)와, 전원 공급부(160)에 의해 공급된 전원에 기초하여 이송 프레임(110) 상에서 팔레트(130a~130c)를 주행시키는 주행부(170)를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travel unit 150 is provided in the transfer frame 110 and the pallets 130a to 130c and to the power supply unit 160 and power supply unit 160 for supplying power for traveling of the pallets 130a to 130c. It is provided with a running unit 170 for running the pallet (130a ~ 130c) on the transfer frame 110 based on the power supplied by the.

전원 공급부(160)는,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비접촉식 전원 공급부(160)로 적용된다.The power supply unit 160 is applied to the non-contact power supply unit 160 that supplies power in a non-contact manner.

이러한 비접촉식 전원 공급부(160)는, 이송 프레임(110)의 상부에서 이송라인을 따라 길게 마련되는 유도 레일(161)과, 유도 레일(161)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유도 레일(161)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팔레트(130a~130c)의 하부에 마련되어 전자유도법칙에 의해 비접촉 상태에서 일정한 전류를 인가받아 주행부(170)로 전원을 공급하는 픽업 유닛(162)을 구비한다.The non-contact power supply unit 160 is adjacent to the induction rail 161 and the induction rail 161 is formed long along the transfer lin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frame 110, and in contact with the induction rail 161. The pickup unit 162 is provided below the pallets 130a to 130c so as to be supplied with a constant current in a non-contact state by the law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to supply power to the driving unit 170.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레일(161)은 상호간 이격 배치되고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레일블록(161a)을 구비한다. 그리고 픽업 유닛(162)은 유도 레일(161)에 대응되도록, 즉 한 쌍의 레일블록(161a) 사이 및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기전력 생성 돌기부(162a)를 구비한 영문 대문자 E자 형상을 갖는다. 이에, 유도 레일(161)에 고주파 교류전원이 인가되면 전자유도법칙에 의해 유도 레일(161)에 인접된 픽업 유닛(162)으로 기전력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전력은 주행부(170)의 동력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4 and 5, the guide rail 161 is provided with a pair of rail blocks 161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side by side. In addition, the pickup unit 162 has an English capital letter E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duction rail 161, that is, provided with an electromotive force generating protrusion 162a disposed between and outside the pair of rail blocks 161a, respectively. Accordingly, when a high frequency AC power is applied to the induction rail 161, electromotive force may be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law to the pickup unit 162 adjacent to the induction rail 161, and the electromotive force may be a power source of the driving unit 170. Can be used as

주행부(170)는, 전자기력으로 리니어(linear) 구동하는 마그네틱 리니어 주행부(170)로 적용된다.The traveling part 170 is applied to the magnetic linear traveling part 170 which linearly drives by electromagnetic force.

이러한 마그네틱 리니어 주행부(170)는, 이송 프레임(110)의 상부에 마련되는 고정자(171)와, 팔레트(130a~130c)의 하부에 마련되며 팔레트(130a~130c)의 주행을 위해 전원 공급부(160)로부터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받아 고정자(171)와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으로 팔레트(130a~130c)를 주행시키는 가동자(172)를 구비한다.The magnetic linear driving unit 170, the stator 171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port frame 110, and is provided below the pallets (130a ~ 130c) and the power supply unit for running the pallets (130a ~ 130c) And a mover 172 that selectively receives power from 160 to drive the pallets 130a to 130c by electromagnetic force by interaction with the stator 171.

고정자(17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낱개로 분리되되 상호간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영구 막대자석에 의해 마련되며, 가동자(172)는 전자석에 의해 마련된다. 이때, 고정자(171)로서의 다수의 영구 막대자석은 이송 프레임(110)의 상부에서 일정한 경사도를 가지고 일렬로 배치된다. 영구 막대자석들은 그 일측 변이 이송 프레임(110)에 접촉되고 접촉된 일측 변의 반대편인 타측 변이 이송 프레임(110)으로부터 이격되게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다수의 영구 막대자석이 일정한 경사도를 가지고 일렬로 배치되면 팔레트(130a~130c)의 주행이 좀 더 유연해지는 이점이 있다. 즉 마그네틱 리니어 주행부(170)에 의한 팔레트(130a~130c)의 주행은 고정자(171)에 대한 가동자(172)의 척력의 힘에 의해 수행되는데, 다수의 영구 막대자석이 일자의 형태로 이격 배치되지 않고 본 실시예와 같이 일정한 경사도를 가지고 일렬로 접면 배치될 경우에는 팔레트(130a~130c)의 주행에 필요한 척력이 보다 유연하고 연속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팔레트(130a~130c)의 주행이 좀 더 유연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4, the stator 171 is provided by a plurality of permanent bar magnets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in a line with each other, and the mover 172 is provided by an electromagnet.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permanent bar magnets as the stator 171 is arranged in a row with a constant inclination i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frame (110). The permanent bar magnets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so that one side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transfer frame 110 and the other side of the one side opposite to the contacted side is spaced apart from the transfer frame 110. As such, when a plurality of permanent bar magnets are arranged in a row with a constant inclination, driving of the pallets 130a to 130c may be more flexible. That is, the traveling of the pallets 130a to 130c by the magnetic linear driving unit 170 is performed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movable member 172 with respect to the stator 171, and a plurality of permanent bar magnets are spaced apart in the form of straight lines. When not arranged, and arranged in a line with a constant inclination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pulsive force required for running the pallets 130a to 130c can act more flexibly and continuously, so that the pallets 130a to 130c travel more. It will be more flexible.

이 외에도, 본 실시예의 마그네틱 리니어 주행부(170)는, 이송 프레임(110)의 하부에 구름 접촉되어 팔레트(130a~130c)의 주행 시 팔레트(130a~130c)를 따라 회전하는 다수의 회전 롤러(173)와, 고정자(171)와 가동자(172)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팔레트(130a~130c)에 대해 회전 롤러(173)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롤러 연결부(174)를 더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회전 롤러(173) 역시 별도의 동력이 필요치 않은 자유회전형 롤러로 적용되고 있다.In addition, the magnetic linear running unit 17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plurality of rotating rollers that rotate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frame 110 and rotate along the pallets 130a to 130c when the pallets 130a to 130c travel. 173 and the roller connection part 174 which rotatably connects the rotating roller 173 with respect to the pallets 130a-130c, keeping the space | interval of the stator 171 and the mover 172 constant. In this embodiment, the rotary roller 173 is also applied as a free-rotating roller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ower.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송 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transport system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6 as follows.

우선, (A) 위치에서 기판이 공급되어 이송 프레임(110) 상의 팔레트(130a,130b,130c, 도 6 참조)에 차례로 탑재되면, 팔레트(130a,130b,130c)들은 이송 프레임(110) 상에서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정방향인 +X 방향으로 이동하여 (B) 위치로 기판을 이송시킨다.First, when a substrate is supplied at position (A) and subsequently mounted on pallets 130a, 130b, 130c (see FIG. 6) on the transport frame 110, the pallets 130a, 130b, 130c are removed on the transport frame 110. 1 Move the substrate in the positive + X direction along the transfer line to transfer the substrate to position (B).

이에 대해 살펴보면, 유도 레일(161)에 고주파 교류전원이 인가되면 전자유도법칙에 의해 유도 레일(161)에 인접된 픽업 유닛(162)으로 기전력이 생성되며, 생성된 기전력은 마그네틱 리니어 주행부(170)의 가동자(172)의 코일(coil)로 제공됨으로써 가동자(172)에는 자력이 발생된다. 발생된 가동자(172)의 자력은 고정 자(171)와의 사이에서 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팔레트(130a,130b,130c)들은 이송 프레임(110) 상에서 정방향인 +X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팔레트(130a,130b,130c)들에 구비된 다수의 회전 롤러(173), 그리고 수평형 롤러(133) 및 수직형 롤러(134)들은 해당 위치에서 자유 회전됨으로써 팔레트(130a,130b,130c)들의 원활한 이동, 그리고 수평도를 유지시킨다.Referring to this, when a high frequency AC power is applied to the induction rail 161,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law to the pickup unit 162 adjacent to the induction rail 161, and the generated electromotive force is the magnetic linear driving unit 170. The 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mover 172 by being provided as a coil of the mover 172. The generated magnetic force of the movable member 172 generates a repulsive force with the stator 171, so that the pallet (130a, 130b, 130c) is moved in the positive + X direction on the transfer frame (110).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rotating rollers 173, the horizontal roller 133 and the vertical rollers 134 provided on the pallets (130a, 130b, 130c) are freely rotat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so that the pallets (130a, 130b, 130c) ) Move smoothly, and maintain horizontality.

이처럼 기판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상 요인이나 혹은 별도의 작업 환경 요인에 의해 기판을 탑재한 앞선 제1 팔레트(130a)가 정지된다. 그러면 뒤따르던 제2 팔레트(130b)는 계속 주행하다가 정지되는데, 즉 제2 팔레트(130b)에 구비된 전방 센서(181)가 제1 팔레트(130a)의 제1 반사판(181a)으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를 통해 거리를 감지하게 되고, 도 6과 같이 그 거리가 일정한 기준치 이하로 짧아지면 유닛 제어부가 주행 유닛(150)의 동작을 오프(off)시킴으로써 뒤따르던 제2 팔레트(130b)는 정지된다. 즉 제2 팔레트(130b)에 구비된 픽업 유닛(162)에서 생성된 기전력이 제2 팔레트(130b)에 구비된 마그네틱 리니어 주행부(170)의 가동자(172)의 코일(coil)로 제공되지 않도록 유닛 제어부가 주행 유닛(150)의 동작을 오프(off)시킴으로써 뒤따르던 제2 팔레트(130b)는 정지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allet 130a on which the substrate is mounted is stopped due to an abnormality factor or a separate working environment factor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substrate continuously. Then, the following second pallet 130b continues to travel and stops, that is, the front sensor 181 provided in the second pallet 130b receives the laser reflected from the first reflecting plate 181a of the first pallet 130a. 6, the second pallet 130b is stopped by turning off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50 when the distance is shortened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less as shown in FIG. 6. That is, the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by the pickup unit 162 provided in the second pallet 130b is not provided to the coil of the mover 172 of the magnetic linear traveling unit 170 provided in the second pallet 130b. The second pallet 130b that follows is stopped by the unit controller turning off the operation of the travel unit 150.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팔레트(130a,130b)끼리 또는 제1 및 제2 팔레트(130a,130b)에 탑재된 기판끼리의 충돌에 의해 제1 및 제2 팔레트(130a,130b) 또는 기판이 손상되는 현상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2 팔레트(130b)가 정지된 경우일지라도 도 6과 같이 아직 멀리 떨어져서 이송 중인 제3 팔레트(130c)는 계속 정방향인 +X 방향으로 이동된다.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pallets 130a and 130b or the substrate are collided by the collis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allets 130a and 130b or the substrates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pallets 130a and 130b.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damage. Of course, even when the second pallet 130b is stopped, as shown in FIG. 6, the third pallet 130c still being transported is moved in the + X direction which is still in the forward direction.

이러한 정지 동작이 모두 해제되어 기판이 탑재된 팔레트(130a,130b,130c)들이 차례로 (B) 위치에 도달되면 (B) 위치에서 로봇(robot) 등에 의해 탑재된 기판이 순차적으로 취출된다.When all of these stop operations are released and the pallets 130a, 130b, and 130c on which the substrates are mounted reach the position (B) in turn, the substrates mounted by the robot or the like are sequentially taken out at the position (B).

기판이 취출되고 나면 팔레트(130a,130b,130c)들은 제1 리프터(101)에 의해 차례로 -Z 방향으로 다운(down)된 후, 제2 이송라인을 따라 역방향인 -X 방향으로 이동하여 (A) 위치로 복귀된다. (A) 위치로 복귀되기 위해 방향 감지센서(184)에 방향 전환을 위한 신호가 감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유닛 제어부가 주행 유닛(150)의 동작을 역방향인 -X 방향으로 제어하여 팔레트(130a,130b,130c)들이 역방향인 -X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경우에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기판이 탑재되지 않은 빈 팔레트(130a,130b,130c)들의 이동이기 때문에, 속도 제어센서(183)가 신호를 발생시켜 유닛 제어부로 하여금 주행 유닛(150)의 제어를 통해 팔레트(130a,130b,130c)들의 속도가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After the substrate is taken out, the pallets 130a, 130b, and 130c are sequentially down by the first lifter 101 in the -Z direction, and then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along the second transfer line in the -X direction (A ) Is returned to the position. In order to return to the position (A), the direction detecting sensor 184 is configured to detect a direction change signal so that the unit controll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aveling unit 150 in the reverse direction of -X to control the pallets 130a and 130b, 130c) generate a signal to move in the reverse direction -X.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mpty pallets 130a, 130b, and 130c on which the substrate is not mounted are moved, the speed control sensor 183 generates a signal to cause the unit controller to control the traveling unit 150. Through this, the speed of the pallets 130a, 130b, and 130c may be increased.

팔레트(130a,130b,130c)들이 (A) 위치로 차례로 복귀된 후에는 제2 리프터(102)에 의해 +Z 방향으로 각각 업(up)된 후, 다시 새로운 기판을 공급받아 기판을 이송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After the pallets 130a, 130b, and 130c are sequentially returned to the position (A), they are respectively lifted up in the + Z direction by the second lifter 102, and then a series of new substrates is supplied to transfer the substrates. Will perform the operation of.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고도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피이송물인 기판에 대한 연속 반송이 요구되는 다양한 작업 환경 하에 적용되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기판을 이송시킬 수 있으며, 특히 기판에 대한 주행 및 정지 동작을 종래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기판 간의 충돌 등에 의한 손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bstrate can be easily and efficiently transferred under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having a simple and simple structure but requiring continuous conveyance of the substrate to be conveyed, and in particular, traveling on the substrate.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top operation more simply and easily than b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due to collision between the substrat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시스템이 적용될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to which a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시스템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팔레트의 확대 사시도이다.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allet shown in FIG. 2.

도 4는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다.4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2.

도 5는 도 2의 Ⅴ-Ⅴ 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2.

도 6은 전방 및 후방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팔레트의 평면도들이다.6 are plan views of pallet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ront and rear sensors.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10 : 이송 프레임 130a~130c : 팔레트110: transfer frame 130a to 130c: pallet

133 : 수평형 롤러 134 : 수직형 롤러133: horizontal roller 134: vertical roller

140 : 개별 제어 유닛 150 : 주행 유닛140: individual control unit 150: driving unit

160 : 전원 공급부 161 : 유도 레일160: power supply unit 161: induction rail

162 : 픽업 유닛 170 : 주행부162: pickup unit 170: driving unit

171 : 고정자 172 : 가동자171: stator 172: mover

181 : 전방 센서 182 : 후방 센서181: front sensor 182: rear sensor

183 : 속도 제어센서 184 : 방향 감지센서183: speed control sensor 184: direction detection sensor

Claims (18)

피이송물의 이송라인을 따라 마련되는 이송 프레임;A conveying frame provided along a conveying line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상부에서 상기 피이송물이 탑재되며, 상기 이송 프레임 상에서 상기 피이송물과 함께 상기 이송 프레임을 따라 이송되되 수평도 유지를 위해 네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는 수평형 롤러와, 양측면에 마련되는 다수의 수직형 롤러를 구비하는 다수의 팔레트; 및The transported object is mounted in an upper portion, and is transported along the transport frame along with the transported object on the transport frame, and horizontal rollers are provided at four corner regions to maintain horizontality, and a plurality of vertical planes provided at both sides. A plurality of pallets having mold rollers; And 상기 이송 프레임과 상기 팔레트에 마련되어 상기 이송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팔레트에 대한 주행 및 정지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An individual control unit provided on the conveying frame and the pallet to individually control the traveling and stopping operation of the pallet on the conveying frame, 상기 개별 제어 유닛은,The individual control unit, 상기 이송 프레임과 상기 팔레트에 마련되어 상기 이송 프레임 상에서 상기 팔레트를 주행시키는 주행 유닛;A traveling unit provided on the transfer frame and the pallet to drive the pallet on the transfer frame; 상기 팔레트의 전방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팔레트가 정주행(+X)할 때 앞선 팔레트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전방 센서와, 상기 팔레트의 후방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팔레트가 역주행(-X)할 때 앞선 팔레트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후방 센서를 구비하는 감지부;A front sens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allet and detecting a distance to the pallet in front of the pallet when forward running (+ X), and a palle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ar of the pallet in front of the pallet when the pallet is reversed (-X); Detecting unit having a rear sensor for detecting the distance of;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유닛의 동작을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유닛 제어부;A unit controller configured to turn on / off an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based on a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or; 상기 팔레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유닛 제어부가 상기 주행 유닛을 통해 상기 팔레트의 속도를 가속 또는 감속할 수 있도록 상기 유닛 제어부로 속도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속도 제어센서; 및A speed control sens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allet and transmitting a speed control signal to the unit controller so that the unit controller accelerates or decelerates the speed of the pallet through the traveling unit; And 상기 팔레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유닛 제어부가 상기 주행 유닛을 통해 상기 팔레트의 주행 방향을 정방향(+X) 또는 역방향(-X)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팔레트의 주행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 감지센서를 포함하며,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allet and includes a dir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pallet so that the unit control unit to select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pallet in the forward (+ X) or reverse (-X) through the travel unit , 상기 전방 및 후방 센서는 레이저 센서이고, 상기 팔레트에는 인접된 팔레트에 마련된 상기 전방 및 후방 센서와의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전방 및 후방 센서로부터의 레이저를 반사시키는 다수의 반사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The front and rear sensors are laser sensors, and the palle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flecting plates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rear sensors provided on adjacent pallets to reflect the laser from the front and rear sensors. Conveying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주행 유닛은,The traveling unit, 상기 이송 프레임과 상기 팔레트에 마련되어 상기 팔레트의 주행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A power supply unit provided to the transfer frame and the pallet to supply power for driving the pallet; And 상기 전원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 프레임 상에서 상기 팔레트를 주행시키는 주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And a traveling unit for driving the pallet on the transport frame based on the power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unit.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전원 공급부는,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비접촉식 전원 공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The power supply unit is a transf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contact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in a non-contact manner. 제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비접촉식 전원 공급부는,The contactless power supply unit, 상기 이송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이송라인을 따라 길게 마련되는 유도 레일; 및An induction rail provided along the transfer line at an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frame; And 상기 유도 레일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팔레트의 하부에 마련되어 전자 유도법칙에 의해 비접촉 상태에서 일정한 전류를 인가받아 상기 주행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픽업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And a pickup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allet so as to be adjacent to the induction rail and supplied with a constant current in a non-contact state by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law to supply power to the driving unit.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유도 레일은 상호간 이격 배치되고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레일블록을 구비하며,The guide rail has a pair of rail bloc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side by side, 상기 픽업 유닛은 상기 한 쌍의 레일블록 사이 및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기전력 생성 돌기부를 구비한 영문 대문자 E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And said pick-up unit has a capital letter E shape with an electromotive force generating protrusion disposed respectively between and outside said pair of rail blocks.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주행부는, 전자기력으로 리니어(linear) 구동하는 마그네틱 리니어 주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And the traveling portion is a magnetic linear traveling portion that linearly drives with electromagnetic force. 제11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마그네틱 리니어 주행부는,The magnetic linear running unit, 상기 이송 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되는 고정자; 및A stato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frame; And 상기 팔레트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팔레트의 주행을 위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받아 상기 고정자와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으로 상기 팔레트를 주행시키는 가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 템.And a mover provided below the pallet to move the pallet with electromagnetic force by interaction with the stator, by selectivel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for traveling the pallet.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고정자는 낱개로 분리되되 상호간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영구 막대자석에 의해 마련되며,The stator is provided by a plurality of permanent bar magnets are separated into a single but arranged in a line with each other, 상기 가동자는 전자석에 의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And the mover is provided by an electromagnet. 제13항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다수의 영구 막대자석은 그 일측 변이 상기 이송 프레임에 접촉되고 접촉된 상기 일측 변의 반대편인 타측 변이 상기 이송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게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The plurality of permanent bar magnets, the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transfer frame and the other sid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conveying fram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clined apart from the conveying frame.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마그네틱 리니어 주행부는,The magnetic linear running unit, 상기 이송 프레임의 하부에 구름 접촉되어 상기 팔레트의 주행 시 상기 팔레트를 따라 회전하는 다수의 자유회전형 롤러; 및A plurality of free-rotating rollers which ar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conveying frame and rotate along the pallet when the pallet is driven; And 상기 고정자와 상기 가동자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상기 팔레트에 대해 상기 자유회전형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롤러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And a roller connecting portion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free-rotating roller with respect to the pallet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stator and the mov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피이송물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The transfer sy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quid crystal display (LCD) substrate. 제17항에 있어서,18.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팔레트의 상부에는 상기 LCD 기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기판 지지용 핀이 더 마련되며,The upper portion of the pallet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bstrate support pins for supporting the LCD substrate, 상기 다수의 기판 지지용 핀의 상단부에는 탄성재질의 완충캡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The upper end of the plurality of substrate support pins transf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uffer cap further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KR1020090014852A 2009-02-23 2009-02-23 Transferring system KR1012038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852A KR101203890B1 (en) 2009-02-23 2009-02-23 Transfer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852A KR101203890B1 (en) 2009-02-23 2009-02-23 Transferr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839A KR20100095839A (en) 2010-09-01
KR101203890B1 true KR101203890B1 (en) 2012-11-23

Family

ID=4300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852A KR101203890B1 (en) 2009-02-23 2009-02-23 Transfer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89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760B1 (en) * 2013-06-05 2015-01-26 이지훈 The one axis robot
WO2019055227A1 (en) * 2017-09-13 2019-03-21 Laitram, L.L.C. Monorail tray conveyor with passive guide rai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297B1 (en) * 2014-12-31 2016-12-1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Apparatus for aligning transport carriage
US20180258519A1 (en) * 2015-10-25 2018-09-13 Applied Materials, Inc. Apparatus for vacuum deposition on a substrate and method for masking the substrate during vacuum deposition
KR102607317B1 (en) * 2016-12-15 2023-11-29 세메스 주식회사 Tower lift
KR101986359B1 (en) * 2017-07-03 2019-06-05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Appatatus for blister packaging
JP2020500255A (en) * 2017-10-27 2020-01-09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ied Materials,Incorporated Carrier for non-contact conveyance in deposition system, apparatus for non-contact conveyance of carrier, and method for non-contact conveyance of carrier in deposition system
KR102504683B1 (en) * 2020-12-03 2023-02-27 세메스 주식회사 Carriage apparatus and tower lif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16553122B (en) * 2023-07-06 2023-11-17 果栗智造(上海)技术股份有限公司 Logistics conveying l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760B1 (en) * 2013-06-05 2015-01-26 이지훈 The one axis robot
WO2019055227A1 (en) * 2017-09-13 2019-03-21 Laitram, L.L.C. Monorail tray conveyor with passive guide rails
US10968055B2 (en) 2017-09-13 2021-04-06 Laitram, L.L.C. Monorail tray conveyor with passive guide rails
EP3681830A4 (en) * 2017-09-13 2021-06-23 Laitram, LLC Monorail tray conveyor with passive guide rails
AU2018331269B2 (en) * 2017-09-13 2024-01-04 Laitram, L.L.C. Monorail tray conveyor with passive guide rai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839A (en)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890B1 (en) Transferring system
CN109417044B (en) Conveying system
US8590688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veying large-area, thin glass plates
JP5062965B2 (en) Branch and junction device
KR100555620B1 (en) System for carrying flat panel display and the carry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10082371A (en) Integrated load port-conveyor transfer system
KR101683870B1 (en) Linear transfer apparatus
CN110436107B (en) Material conveying robot and conveying method thereof
TW201526137A (en) Processing object transport system, and substrate inspection system
EP1845552B1 (en) Transportation system and transportation method
JP4564084B2 (en) Transport system
KR101737816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glass
KR20090060321A (en)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KR101022315B1 (en) Aging system
JP2003182811A (en) Carrier device of article
KR101340833B1 (en) Transferring apparatus
KR20080022378A (en) The substrate transfer
CN108352350B (en) Conveying system
KR20080048364A (en) Inter stk conveyor for inter bay system using thereof
CN219313662U (en)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nd system
KR20110025080A (en) Loader unloader, and load unload method between guided vehicle and equipment
JP4216029B2 (en) Thin plate conveyor
KR20060136000A (en) automatic guided vehicle for conveying cassette and method for conveying cassette
KR100542400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KR20070000030A (en) Automatic guided vehicle for conveying cassette and method for conveying casset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