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655B1 - 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additive for feedstuff using ultra high-pressure extraction and additive for feedstuff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additive for feedstuff using ultra high-pressure extraction and additive for feedstuff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655B1
KR101202655B1 KR1020090078245A KR20090078245A KR101202655B1 KR 101202655 B1 KR101202655 B1 KR 101202655B1 KR 1020090078245 A KR1020090078245 A KR 1020090078245A KR 20090078245 A KR20090078245 A KR 20090078245A KR 101202655 B1 KR101202655 B1 KR 101202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additive
yeast
producing
functional feed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2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20567A (en
Inventor
장원철
박수민
안영창
윤일규
김도중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78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655B1/en
Publication of KR20110020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5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6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89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사료의 소화율을 향상시키고 축산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혈액 내의 면역 글로불린을 증가시키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기능성 사료첨가제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비활성 건조 효모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첨가하며, 상기 비활성 건조 효모를 고압으로 가압하여 세포벽과 세포내용물로 분리하고, 분리된 효모에 세척액을 첨가하고 원심분리하여 세포내용물을 추출하며, 상기 세포내용물을 동결건조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은 효모가 지니는 풍부한 단백질을 비롯한 각종 영양소, 효소 및 성장인자 등을 가축이 효율적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작용하여 가축의 육질 향상, 번식률 및 성장률의 개선시킴으로써 축산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Disclosed are a method of preparing a functional feed additive which can improve the digestibility of the feed and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livestock product, as well as increase the immunoglobulin in the blood, and the functional feed additive produced thereby. To this end, a protease is added to the inactive dry yeast, the inactive dry yeast is pressurized at high pressure to separate the cell wall and the cell contents, the washing solution is added to the separated yeast, and the cell contents are extracted by centrifugation to extract the cell contents. Provided are a method for preparing a functional feed additive for freeze-drying the contents and a feed additive thereby. The method for producing a functional feed addi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vestock industry by improving the meat quality, breeding rate and growth rate of livestock by acting so that livestock can efficiently ingest various nutrients, enzymes and growth factors, including abundant protein of yeast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roductivity.

Description

초고압 추출법을 활용한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사료 첨가제{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ADDITIVE FOR FEEDSTUFF USING ULTRA HIGH-PRESSURE EXTRACTION AND ADDITIVE FOR FEEDSTUFF USING THE SAME}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ADDITIVE FOR FEEDSTUFF USING ULTRA HIGH-PRESSURE EXTRACTION AND ADDITIVE FOR FEEDSTUF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료에 대한 소화율을 향상시키고, 축산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혈액 내의 면역 글로불린을 증가시키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functional feed additive and a feed additive produced by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ctional feed additive which improves digestibility for feed, improves productivity of livestock products, and increases immunoglobulins in blood. It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and a feed additive produced thereby.

최근 사료용 원료의 가파른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어 사료업계와 축산업계의 최대 관심사로 부각되고 잇다. 이와 같은 국제 곡물가격과 해상운임의 상승은 전 세계 곡물수입국에게는 큰 타격이 되고 있으며, 곡물 수출국인 미국, 캐나다, 호주 등의 소비자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쳐 전 세계적인 곡물의 수급불안정을 야기시키며 사료가격의 상승을 유발시키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배합사료 제조비용 중 원재 료비의 비중이 80%를 차지하고 있고, 대부분의 원료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축산물의 생산비에 대한 사료비의 비중이 40~60%를 차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이 같은 수입 원료 가격의 폭등은 앞으로 배합사료의 원가상승은 물론 축산물 생산비의 상승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Recently, the raw material for feed has been on a steep rise, making it a major concern for the feed industry and the livestock industry. This rise in international grain prices and sea freight rates is a major blow to grain importers around the world, affecting consumers in the US, Canada, and Australia, which are exporters of grains, leading to instability in grain supply and feed prices worldwide. Is causing an increase. In Korea, raw material costs account for 80% of the total cost of formulated feed, most raw materials depend on imports, and feed costs account for 40-60% of livestock production. The same surge in imported raw material prices will lead to higher feed costs and higher livestock production costs.

이에, 축산업에 있어 생산비 절감과 환경오염의 경감문제 및 생산성 향상은 현재 축산업이 당면한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으며, 이의 해결을 위한 방안중의 하나로써 여러 가지 사료 첨가제가 사용되고 있다. 즉, 가축들은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등의 소화를 위한 각종 소화 효소의 분비가 충분하지 못하므로, 영양소의 소화율을 높이기 위해 각종 효소제의 사용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었다.Accordingly, in the livestock industry, production cost reduction, environmental pollution reduction problem,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are presently urgent and important tasks facing livestock industry, and various feed additives have been used as one of the solutions for the livestock industry. That is, since animals do not have enough secretion of various digestive enzymes for digestion of carbohydrates, fats and proteins, studies on the use of various enzymes have been attempted to increase the digestibility of nutrients.

이와 같이, 가축의 성장을 촉진하고, 사료효율을 개선하며 생산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사료 첨가제로는 항생제가 가장 널리 사용되어 왔다. 사료에 항생제를 첨가하여 병원균의 성장을 억제시킴으로써 축산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었으며, 축산물의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었다. As such, antibiotics have been widely used as feed additives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livestock growth, improving feed efficiency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products. Inhibiting the growth of pathogens by adding antibiotics to the feed could promote the growth of livestock products and improve the productivity of livestock products.

그러나 최근 항생제의 사용에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으며, 특히 유럽연합(EU)을 위시한 일부국가에서는 항생제를 급여한 가축의 고기수입을 규제하고 있어 항생제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비항생제적 생물학 제제가 개발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효소제(enzymes), 생균제(probiotics), 효모제(yeast culture) 및 천연항균물질들이다.Recently, however, many problems have been raised in the use of antibiotics. In particular, some countries including the European Union (EU) regulate the importation of antibiotic-fed livestock and restrict the use of antibiotics. For this reason, non-antibiotic biological agents are being developed, such as enzymes, probiotics, yeast cultures and natural antibiotics.

효모는 아미노산 조성이 우수하여 가축에 대한 아미노산 소화율이 98%이다. 또한, 효모의 성장을 위하여 필요한 아연(Zn), 철(Fe) 등과 같은 광물질을 유기태 로 전환하기 때문에 우수한 광물질공급원이며, 비타민의 좋은 공급원으로서 가축의 영양과 장내 미생물의 성장에 좋은 조건을 만들어 준다. 그리고 효모의 세포벽은 전체 무게의 약 30%를 차지하고 -glucans, -mannans 등의 고단위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어 이들의 자가분해를 위한 효소가 다량 생산되어 분비된다. Yeast has an excellent amino acid composition and has an amino acid digestibility of 98% for livestock. In addition, because it converts minerals such as zinc (Zn), iron (Fe), etc. necessary for the growth of yeast into an organic state, it is an excellent mineral source and a good source of vitamins and makes good conditions for livestock nutrition and intestinal microbial growth. . And the cell wall of yeast accounts for about 30% of the total weight and is composed of high-molecular compounds such as -glucans and -mannans, so that a large amount of enzymes for their autolysis are produced and secreted.

또한 장내 미생물에 대해 농축된 영양소의 공급원으로 작용하며, 산소와 강력한 친화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장내의 산소를 제거하여 혐기상태를 만들어 혐기적 유익균의 증식을 도모함으로써 소화조건을 좋게 하여 영양소의 흡수를 최적상태로 하여 증체량, 사료효율을 개선시킨다.In addition, it acts as a source of concentrated nutrients to the intestinal microorganisms, and has a strong affinity with oxygen, thus eliminating the oxygen in the intestine, making it anaerobic, and promoting the growth of anaerobic beneficial bacteria. In order to improve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이러한 효모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두 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Such yeast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specifically.

첫째는 생균제제의 형태로, 이는 살아있는 생효모를 배양액과 함께 저온건조 처리하여 가축에게 급여하여 가축의 장내(臟內)에서 효모가 번식할 때 생성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효소와 영양물질을 가축에게 공급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사료 첨가제로 이용되는 것이다. The first is in the form of a probiotic, which feeds live live yeast with a broth to a livestock and feeds it to the livestock to produce various types of enzymes and nutrients that can be produced when the yeast breeds in the intestine of the livestock. It is used as a feed additive under the assumption that it can be supplied to a cow.

둘째는 건조효모의 형태로, 이는 주로 주정발효 후 분리되는 효모를 건조하여 사료에 첨가하는 방법으로서, 효모가 함유하고 있는 다량의 단백질을 가축에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료 첨가제로 이용되는 것이다.Second, in the form of dry yeast, which is mainly a method of drying yeast separated after alcoholic fermentation and adding it to a feed, it is used as a feed additive for the purpose of supplying a large amount of protein contained in the yeast to livestock.

그러나 종래의 효모를 이용하는 사료 첨가제의 응용에 있어서 효모의 형태학적 특징인 두터운 세포벽은 상기와 같은 효모 첨가물이 효율적으로 사료로서 이용되는데 커다란 장애가 되어왔다. 일반적으로 효모의 세포벽 두께는 0.1 내지 0.4㎛ 정도인데, 그 외층과 내층은 각각 만노프로테인(mannoprotein)과 글루 칸(glucan)으로 구성되어 강한 산성조건에서도 쉽게 분해되지 않는 견고한 이층막(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효모의 막구조는 가축이 효모의 내부물질을 쉽게 섭취할 수 없게 하는 가장 큰 장애가 되었으며, 생균제제 또는 건조효모와 같은 사료 첨가제의 효율성을 저하시켜 왔다.However, in the application of feed additives using conventional yeast, the thick cell wall, which is a morphological feature of yeast, has been a major obstacle to the efficient use of such yeast additives as feed. Generally, the cell wall thickness of yeast is about 0.1 to 0.4㎛, and the outer and inner layers are composed of mannoprotein and glucan, respectively. It is. Therefore, the membrane structure of the yeast has become the biggest obstacle to the livestock can not easily consume the internal material of the yeast, and has reduced the efficiency of feed additives such as probiotics or dry yeas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 1995-009943호(1994. 7. 15. 공개)에서는 효모가 지니는 풍부한 단백질을 비롯한 각종 영양소, 효소 및 성장인자 등을 가축이 효율적으로 섭취 이용할 수 있도록 자기소화 과정 중에 있는 효모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5-009943 (published on July 15, 1994) discloses a variety of nutrients, enzymes, and growth factors, including protein, that yeasts can use to efficiently consume livestock. A method for producing yeast that is in the process of digestion is disclosed.

그러나 상기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은 효소에 따라 세포벽이 파괴되는데 요구되는 시간이 증가되며, pH 조절제로 물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세포내용물에 포함된 질소의 함량 및 조단백질의 함량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method of preparing the feed additive increases the time required to destroy the cell wall according to the enzy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ent of nitrogen and crude protein contained in the cell content is increased because water is used as a pH regulator.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비타민의 양질의 공급원으로서 가축의 영양과 장내 미생물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모의 세포내용물을 효모의 세포벽으로부터 원활하게 추출할 수 있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functional feed additive capable of smoothly extracting the cell contents of yeast from the yeast cell wall, which can help the nutrition of livestock and the growth of intestinal microorganisms as a good source of vitamin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술한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사료 첨가제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ed additive prepared by the method for producing a functional feed additive described above.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비활성 건조 효모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가 첨가된 비활성 건조 효모를 40 내지 60℃ 온도 하에서 50 내지 100 MPa로 가압하여 상기 효모를 세포벽과 세포내용물로 분리하는 단계; 세포벽과 세포내용물로 분리된 효모를 원심분리하여 세포내용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세포내용물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adding a protease to the inactive dry yeast to form a mixture; Separating the yeast into cell walls and cell contents by pressurizing the inactive dry yeast to which the protease is added at 50 to 100 MPa at a temperature of 40 to 60 ° C .; Centrifuging the yeast separated into the cell wall and the cell contents to extract the cell contents; And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functional feed additive comprising the step of lyophilizing the cell contents.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additive prepared by the method for producing a functional feed additive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의한 사료 첨가제는 효모가 지니는 풍부한 단백질을 비롯한 각종 영양소, 효소 및 성장인자 등을 가축이 효율적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작용하여 가축의 육질 향상, 번식률 및 성장률의 개선시킴으로써 축산산업의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The feed addi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ts to enable the livestock to efficiently consume various nutrients, enzymes, and growth factors, including abundant proteins of yeast,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livestock, improving the breeding rate, and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livestock industry. It can contribute greatly.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사료 첨가제는 가축의 혈액에 존재하는 면역 글로불린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효모에 포함된 질소 및 조단백질의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사료 첨가제는 항생제의 대체 물질로 사용함으로써 육류의 항생제 체내 축적량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feed addi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immunoglobulin present in the blood of livestock, and can reduce the content of nitrogen and crude protein contained in yeast. In addition, the feed addi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antibiotics, which may help to reduce the amount of antibiotics in mea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초고압 추출법을 활용한 기능성 사료 첨가제(이하, "사료 첨가제"이라 한다)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사료 첨가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functional feed additiv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eed additives") and feed additives prepared by using the ultra-high pressure extr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은 비활성 건조 효모(inactive dried yeast)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첨가하는 단계와, 상기 비활성 건조 효모를 일정온도로 높은 압력으로 가압하여 세포벽과 세포내용물로 분리하는 단계와, 세포벽과 세포내용물로 분리된 비활성 건조 효모를 원심분리하여 상기 세포내용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세포내용물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eparing a feed additive includes adding protease to an inactive dried yeast, and pressurizing the inactive dry yeast at a constant temperature to a high temperature to a cell wall and cell contents. Separating, extracting the cell contents by centrifuging the inactive dry yeast separated into the cell wall and the cell contents, and lyophilizing the cell cont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단계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eed addit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첫 번째 단계(S10)는 비활성 건조 효모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첨가하는 단계이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first step (S10) is the step of adding a protease to inactive dry yeast.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의 첨가량은 단백질 분해효소의 종류에 따라 변동되므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비활성 건조 효모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0 내지 60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ddition amount of the protease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protease,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add 300 to 6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inactive dry yeast.

상기 비활성 건조 효모 100 중량부에 대해 단백질 분해효소가 30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면 비활성 건조 효모의 세포벽과 세포내용물이 분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며, 600 중량부 초과로 사용되면 세포벽의 가수분해 반응 후 단백질 분해효소의 잔존량이 증가된다.When the protease is less than 3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inactive dry yeast, the time taken to separate the cell wall and the cell contents of the inactive dry yeast is increased, 600 parts by weight When used in excess, the residual amount of protease increases after hydrolysis of the cell wall.

상기 비활성 건조 효모로는 단백질 함량이 35 내지 43%인 비활성 효모 배양물 또는 단백질 함량이 35 내지 43%인 당밀효모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정적으로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As the inactive dry yeast, it is preferable to use an inactive yeast culture having a protein content of 35 to 43% or a molasses yeast having a protein content of 35 to 43%, and specifically Saccharomyces cerevisiae It is good to use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로는 효모의 세포벽을 가수분해할 수 있다면 어떠한 단백질 분해효소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셀룰라아제, 라이소자임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완충용액(buffer)을 포함하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시 말해, 단백질 분해효소는 완충용액과 셀룰라아제, 완충용액과 라이소자임, 또는 완충용액과 셀룰라아제 및 라이소자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용액으로는 슈크로스(Sucrose)와, Tris(Tris-HCL)와, 에틸렌디아민 사초산(EDTA), 및 Triton X-100(시그마사의 제품명)을 포함하는 STET 완충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완충용액은 셀룰라아제, 라이소자임 등의 효소가 원활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pH를 맞춰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완충용액은 상기 효소의 pH를 약 7.0 내지 8.0으로 조절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tease may be any protease, as long as it can hydrolyze the cell wall of the yeast, but preferably a protease including cellulase, lysozyme or a mixture thereof and a buffer is used. Good to do. In other words, the protease may include buffer and cellulase, buffer and lysozyme, or buffer and cellulase and lysozyme. At this time, the buffer solution using a STET buffer containing sucrose (Sucrose), Tris (Tris-HCL),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EDTA), and Triton X-100 (product name of Sigma) desirable. Here, the buffer solution serves to adjust the pH so that enzymes such as cellulase and lysozyme can work smoothly. At this time, the buffer solution is preferably used to adjust the pH of the enzyme to about 7.0 to 8.0.

또한, 비활성 건조 효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완충용액은 350 내지 450 중량 부, 바람직하게는 약 40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비활성 건조 효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셀룰라아제와 라이소자임은 각각 0.05 내지 0.1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buffer solution is preferably 350 to 450 parts by weight, preferably about 4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inert dry yeast. And, it is preferable to use 0.05 to 0.1 parts by weight of the cellulase and lysozyme, respectively,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inactive dry yeast.

상기 셀룰라아제와 라이소자임이 0.0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면 세포벽의 가수분해가 어려워지고, 0.1 중량부 초과로 사용되면 나타나는 효과에 비하여 제조비용이 더 과다하여 경제성이 나빠지게 된다.The cellulase and lysozyme is 0.05 When used in parts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hydrolyze the cell wall, and when used in excess of 0.1 parts by weight, the manufacturing cost is excessively increased, resulting in poor economic efficiency.

특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STET 완충용액으로는 8% 슈크로스, 5% Triton X-100, 50mM EDTA, 50mM Tris pH 8.0을 포함하는 완충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1리터의 STET 완충용액은 슈크로스 80.0g, Triton X-100 50㎖, EDTA-Na 16.8g, Tris 6.0g을 포함하며, 4리터의 STET 완충용액은 슈크로스 320.0g, Triton X-100 200㎖, EDTA-Na 67.2g, Tris 31.5g을 포함한다.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use a buffer solution containing 8% sucrose, 5% Triton X-100, 50 mM EDTA, 50 mM Tris pH 8.0 as the STET buff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1 liter of STET buffer solution contains sucrose 80.0g, Triton X-100 50ml, EDTA-Na 16.8g, Tris 6.0g, 4 liter STET buffer solution is sucrose 320.0g, Triton X 200 ml -100, 67.2 g EDTA-Na, 31.5 g Tris.

두 번째 단계(S20)는 상기 첫 번째 단계(S10)를 통해 단백질 분해효소가 첨가된 비활성 건조 효모를 일정 온도에서 고압으로 가압하여 상기 효모를 세포벽과 세포내용물로 분리하는 단계이다. The second step (S20) is a step of separating the yeast into the cell wall and the cell contents by pressing the inert dry yeast to which the proteolytic enzyme is added at a high temperature through the first step (S10).

상기 일정 온도는 40 내지 60℃의 범위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압은 50 내지 100 MPa의 범위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비활성 건조 효모가 고압 하에서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세포벽과 세포내용물로 분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상기 효모의 종류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 본 단계를 수행하는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6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 이 좋다. The constant temperature is preferably selected in the range of 40 to 60 ℃, the high pressure is preferably selected in the range of 50 to 100 MPa. At this time, since the time required for the inactive dry yeast to separate into the cell wall and the cell contents by the protease under high pressur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yeast, the time for performing this ste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preferably 22 It is good to carry out for 26 to 26 hours.

본 단계에서는 비활성 건조 효모와 단백질 분해효소의 혼합물에 고압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의 작용을 촉진시켜 비활성 건조 효모가 세포벽과 세포내용물로 분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상기 효모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시킨다. In this step, by applying a high pressure to the mixture of inert dry yeast and protease, it promotes the action of the protease to shorten the time it takes to separate the inert dry yeast into the cell wall and the cell contents, Inhibit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present.

보다 구체적으로, 단백질 분해효소로 사용된 STET 완충용액은 비활성 건조 효모의 세포벽 및 세포막을 가수분해하여 상기 세포벽 및 세포막으로부터 세포내용물을 분리한다.More specifically, the STET buffer used as a protease separates the cell contents from the cell wall and the cell membrane by hydrolyzing the cell wall and the cell membrane of the inactive dry yeast.

세 번째 단계(S30)는 상기 두 번째 단계(S20)를 통해 세포벽과 세포내용물로 분리된 효모를 원심분리하여 세포내용물을 추출하는 단계이다.The third step (S30) is a step of extracting the cell contents by centrifuging the yeast separated into the cell wall and the cell contents through the second step (S20).

본 단계에서는 원심분리기를 통해 상기 효모를 7,000 내지 12,000 rpm으로 약 1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으로부터 세포내용물로 형성된 하층액을 분리한다. In this step, the yeast is centrifuged at about 7,000 to 12,000 rpm for about 10 minutes through a centrifugal separator to separate the supernatant formed from the cell contents.

상기 두 번째 단계(S20)와 세 번째 단계(S30)의 사이에는 세포벽과 세포내용물로 분리된 효모에 세척액을 첨가하는 단계(S25)가 더 포함될 수 있다.Between the second step (S20) and the third step (S30)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S25) of adding a wash solution to the yeast separated into the cell wall and the cell contents.

본 단계는 상기 효모에 잔존하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잔류물질을 세척하는 단계로서, 상기 세척액으로는 효모의 가수분해 반응에 사용된 단백질 분해효소의 잔류물질을 세척하는 물질이라면 어떠한 물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This step is a step of washing the residual material of the protease remaining in the yeast, and any material may be used as the washing liqui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for washing the residual material of the protease used in the hydrolysis reaction of the yeast. 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ethanol.

상기 세척액은 비활성 건조 효모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0 내지 60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활성 건조 효모 및 단백질 분해효소와 약 1:1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The washing solution may be used 400 to 6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inert dry yeast, preferably in a ratio of about 1: 1 with inert dry yeast and protease.

상기 세척액은 세 번째 단계(S30)를 통해 세포내용물로부터 분리된다. The wash solution is separated from the cell contents through a third step (S30).

네 번째 단계(S40)는 세 번째 단계(S30)를 통해 분리된 상기 세포내용물을 동결건조하는 단계이다.The fourth step (S40) is a step of lyophilizing the cell contents separated through the third step (S30).

본 단계는 상기 세포내용물을 -30 내지 -60℃의 온도에서 동결시키고, 0.5 내지 5×10-3 torr로 감압시켜 세포내용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This step is to freeze the cell contents at a temperature of -30 to -60 ℃, and to depressurize to 0.5 to 5 × 10 -3 torr to remove the water contained in the cell cont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료 첨가제는 전술한 제조방법을 통해 생성한다.Feed addit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상기 사료 첨가제는 효모에서 세포내용물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알코올과 페놀을 사용하지 않으며, 사료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료 조성물은 영양소 소화율을 향상시켜 가축의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상온에서 장기간 보존할 수 있으며, 가축의 면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eed additive does not use alcohol and phenol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cell contents from yeast, and may replace antibiotics used as an additive in feed. In addition, the feed composition can increase the digestibility of nutrients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the livestock,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at room temperature, can improve the immunity of the livestock.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다음에서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 is for illustrating this invention concretely, It does not limit only to this.

<실시예 1>&Lt; Example 1 >

1. 상온 1기압 하에서,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 1㎏, STET 완충용액 4㎏, 라이소자임[LYSOZYME, MPBIO, 일본] 1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였다.1. Under normal pressure of 1 atm, Saccharomyces cerevisiae 1 kg, STET buffer solution 4 kg, Lysozyme [LYSOZYME, MPBIO, Japan] 1 g was mixed to form a mixture.

2. 도 2의 사진과 같이, 상기 혼합물을 초고압기[TFS-50L, 디마퓨어텍, 한국]을 이용하여 50℃로 100 MPa에서 24 시간 동안 가압하여 상기 혼합물에 포함된 효모를 세포벽과 세포내용물로 분리시켰다.2. As shown in the photo of Figure 2, the mixture was pressurized at 50 MPa at 100 MPa for 24 hours using an ultrahigh pressure machine [TFS-50L, Dima Puretech, Korea] to the cell wall and the cell contents Separated.

3.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혼합물에 에탄올 5㎏을 첨가한 다음,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10,000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제거함으로써 하층액을 추출하였다.3. As shown in FIG. 3, 5 kg of ethanol was added to the mixture, and then the lower layer was extracted by centrifuging the mixture at 10,000 rpm for 10 minutes using a centrifuge and then removing the supernatant.

4. 도 4의 사진과 같이, 상기 상등액을 제거하여 추출한 하층액을 -50℃로 냉각하고, 0.5 torr로 감압시키는 동결건조 과정을 통해 사료 첨가제를 수득하였다.4. As shown in the photo of Figure 4, the supernatant was removed to extract the lower layer was cooled to -50 ℃, to obtain a feed additive through a freeze-drying process to reduce the pressure to 0.5 torr.

<실시예 2><Example 2>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되, 실시예 1의 라이소자임[LYSOZYME, MPBIO, 일본] 1g 대신 셀룰라아제[Cellulase, Duchefa, 미국] 1g을 사용하였다.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feed additives were prepa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but instead of 1 g of lysozyme [LYSOZYME, MPBIO, Japan] 1g of cellulase [Cellulase, Duchefa, USA] 1 g was used.

<실시예 3><Example 3>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되, 실시예 1의 라이소자임[LYSOZYME, MPBIO, 일본] 1g 대신 라이소자임[LYSOZYME, MPBIO, 일본] 1g과 셀룰라아제[Cellulase, Duchefa, 미국] 1g을 사용하였다.As shown in Figure 2 to 4, to prepare a feed additive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1g of lysozyme [LYSOZYME, MPBIO, Japan] instead of 1g of lysozyme [LYSOZYME, MPBIO, Japan] of Example 1 and cellulase [ Cellulase, Duchefa, USA] 1g was used.

<비교예 1>&Lt; Comparative Example 1 &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되, 실시예 1의 STET 완충용액 4㎏ 대신 물 4㎏을 사용하였다.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feed additives were prepa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but 4 kg of water was used instead of 4 kg of the STET buffer solution of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에서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되, 실시예 2의 STET 완충용액 4㎏ 대신 물 4㎏을 사용하였다.2 to 4, feed additives were prepa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2, but 4 kg of water was used instead of 4 kg of the STET buffer solution of Example 2.

<비교예 3>&Lt; Comparative Example 3 &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에서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되, 실시예 3의 STET 완충용액 4㎏ 대신 물 4㎏을 사용하였다.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feed additives were prepa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3, but 4 kg of water was used instead of 4 kg of the STET buffer solution of Example 3.

<실험예 1> 사료 첨가제의 단백질 함량분석 Experimental Example 1 Analysis of Protein Content of Feed Additives

상기 사료 첨가제는 품질 분석 결과 하기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 다. 이때, 1회 분석량은 사료 첨가제를 0.4g씩 사용하였으며, 각 샘플 당 2회씩 반복 실험을 수행하였다.The feed additives were obtained as shown in Table 1 as a result of quality analysis. At this time, the amount of analyte was used 0.4g feed additive once, and repeated experiments were performed twice for each sample.

[표 1][Table 1]

Figure 112009051720413-pat00001
Figure 112009051720413-pat00001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질소의 함량이 4 내지 6%이고, 조단백질의 함량이 28 내지 33%인 비교예 1 내지 3과 달리 질소의 함량이 3 내지 4%이고, 조단백질의 함량이 24 내지 26%로 관찰되었다.As can be seen in Table 1, the feed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itrogen content of 3 to 4%, in contrast to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herein the content of nitrogen is 4 to 6% and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is 28 to 33%. And a crude protein content of 24 to 26% was observ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질소와 조단백질의 함량을 낮춤으로써 가축의 분뇨를 통해 배출되는 환경오염물질인 질소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기존 비활성 건조 효모의 단백질 함량이 35 내지 43%인 점을 감안할 때 상기 사료 첨가제는 단백질 함량을 대거 줄임으로써 가축에게 순수 핵산만을 섭취시킬 수 있다.As such, the feed addi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nitrogen content, which is an environmental pollutant discharged through the manure of livestock by lowering the content of nitrogen and crude protein. Given that the protein content of the existing inactive dry yeast is 35 to 43%, the feed additive can reduce the protein content by ingesting only pure nucleic acids to the livestock.

<실험예 2> 이유자돈에 대한 사료 첨가제의 사양실험Experimental Example 2 Specification Test of Feed Additives for Weaning Pigs

3원 교잡종 [(Landrace × Yorkshire) × Duroc] 이유자돈 72두를 공시하였다. 시험 개시시의 체중은 8.47×1.49 kg 이었고 21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72 two-way hybrids (Landrace × Yorkshire × Duroc) were reported. The body weight at the start of the test was 8.47 × 1.49 kg and the specification test was carried out for 21 days.

시험설계는 1) 기초 사료구 (CON ; basal diet), 2) 0.025% 가공효모 첨가 사료구(H25 ; basal diet + 0.025% 가공효모) 및 3) 0.050% 가공효모 첨가 사료구(H50 ; basal diet + 0.050% 가공효모)로 3개 처리를 하여 처리 당 4회 반복, 반복 당 6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이러한 사양시험은 전북 덕영농장에서 실시하였다. The design of the test was 1) basic diet (CON; basal diet), 2) feed diet with 0.025% processed yeast (H25; basal diet + 0.025% processed yeast) and 3) feed diet with 0.050% processed yeast (H50; basal diet + 0.050% processed yeast) for 3 treatments, 4 replicates per treatment and 6 batches per replicate. These specification tests were conducted at Deokyoung Farm, Jeonbuk.

기초사료는 NRC(1998) 요구량에 따라 배합한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가루형태로 자유 채식토록 하였으며, 물은 자동급수기를 이용하여 자유로이 먹을 수 있도록 조절하였다.The basic feed was free-vegetable in the form of corn-soybean-based powder formulated according to NRC (1998) requirements, and water was adjusted to be freely eaten using an automatic water dispenser.

1.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1. Daily weight gain, daily feed intake and feed efficiency

이유자돈의 체중 및 사료 섭취량은 1주일 별로 3주 동안 각각 측정하여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을 계산하였다.The body weight and feed intake of weaning pigs were measured for 3 weeks per week to calculate the daily gain, feed intake and feed efficiency.

이유자돈에 있어서 가공효모의 첨가 급여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은 표 2로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의 SE2의 값은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AS(SAS 코리아, 1996) 소프트웨어의 'General Linear Model Procedure'를 이용하여 분산분석실시하고 398a 와 371b를 비교하여 산출하였다. The effect of dietary yeast supplementation on productivity in weaning piglets is shown in Table 2. The values of SE 2 in Table 2 were analyzed by variance analysis using 'General Linear Model Procedure' of SAS (SAS Korea, 1996) software, which is a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and was calculated by comparing 398 a and 371 b .

아래에 도시된 표 2를 참조하면, 1주차의 사료효율은 기초 사료구와 H25 사료구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H50 사료구가 다른 사료구에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다.Referring to Table 2 shown below, the feed efficiency of week 1 was found to be the same as the basic feed and H25 feed, but the H50 feed was higher than the other feed.

2주차의 사료효율은 H25 사료구가 기초 사료구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H50 사료구는 기초 사료구보다 높게 나타났다.At 2 weeks, the H25 diet was lower than the basic diet, but the H50 diet was higher than the basic diet.

3주차의 사료효율은 H25 사료구 및 H50 사료구가 기초 사료구에 비교하여 5% 이상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Feed efficiency at 3 weeks was improved by more than 5% in H25 and H50 diets.

전체 시험기간 동안의 사료효율은 H25 사료구 및 H50 사료구가 기초 사료구에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를 사료에 0.025% 및 0.050%의 함량으로 미량 첨가하여도 사료효율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eed efficiency was higher in the H25 and H50 diets than in the basal diets. In other words, even if the feed addi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in a small amount of the feed content of 0.025% and 0.050% it was confirmed that the feed efficiency is improved.

[표 2] 가공효모의 급여가 이유자돈의 성장능력에 미치는 영향[Table 2] Effects of Processing Yeast on Growth Capacity of Weaning Pigs

Figure 112009051720413-pat00002
Figure 112009051720413-pat00002

2. 영양소 소화율2. Nutrient digestibility

영양소 소화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험 표시물로 산화크롬 0.2% 첨가한 시험 사료를 시험 종료 전에 7일간 급여한 후, 항문 마시지 법으로 분뇨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분뇨는 60℃의 건조기에 72시간 건조 시킨 후 분쇄기(Willey mill)로 분쇄 후 분석에 이용하였다. 사료의 일반성분과 표시물로 혼합된 크롬(Cr)은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Journal(1995)에 제시된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In order to measure the nutrient digestibility, test feed supplemented with 0.2% of chromium oxide as a test indicator was fed for 7 days before the end of the test, and manure was collected by the anal massage method. The collected manure was dried in a dryer at 60 ° C. for 72 hours, and then used for analysis after crushing with a milling mill. Chromium (Cr) mixed with feed ingredients and markers was analyzed by the method presented in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Journal (1995).

이유자돈에 있어서 가공효모의 첨가 급여가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은 표 3으로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을 통해 각 시료간의 평균값에 대한 유의적 차이를 'Du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점검하였다.[Duncan, D. 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 pp 1-14.]The effect of dietary yeast supplementation on nutrient digestibility in weaning pigs is shown in Table 3. In Table 3,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mean value between the samples was examined using 'Ducan's multiple range test'. [Duncan, D. 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 pp 1-14.]

아래에 도시된 표 3을 참조하면, 건조물량 및 질소함량에 있어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Referring to Table 3 shown below,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eatment section in the dry matter content and nitrogen content (P> 0.05).

[표 3] 가공효모의 급여가 이유자돈의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Table 3] Effect of Feeding Processed Yeast on Nutrient Digestibility of Weaning Pigs

구분(%)division(%) CONCON H25H25 H50H50 건조물량
(Dry matter)
Dry matter
(Dry matter)
77.1277.12 78.7678.76 78.8378.83
질소
(Nitrogen)
nitrogen
(Nitrogen)
76.4476.44 78.2778.27 80.4280.42

(3) 혈액성상(3) blood properties

혈액채취는 각 처리당 4마리를 임의 선발하여 종료시에 각각 경정맥(Jugular)에서 K3 EDTA 진공관(Becton Dickinson Vacutainer Systems, 미국)을 이용하여 혈액 2㎖를 채취 후 비탁분석(nephelometry) 방법으로 탁도계[데이드 베링사, 독일]를 사용하여 면역글로불린 G(IgG)를 분석하였다.Blood samples were randomly selected for each treatment, and at the end of each treatment, 2 ml of blood was collected using a K 3 EDTA tube (Becton Dickinson Vacutainer Systems, USA) from the jugular vein (Jugular), and the turbidimeter [nephelometry method] Dade Berings, Germany] was used to analyze immunoglobulin G (IgG).

이유자돈에 있어서 가공효모의 첨가 급여가 혈액내 IgG에 미치는 영향은 표 3으로 나타내었다. The effect of dietary yeast supplementation on IgG in blood in weaning pigs is shown in Table 3.

아래에 도시된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첨가한 사료구가 상기 사료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기초 사료구에 비해 혈액내 IgG가 높게 나타나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가축에게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첨가한 사료를 제공하면 가축의 면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ferring to Table 4 shown below, it can be seen that the feed diet to which the feed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has higher IgG in blood than the basic feed diet to which the feed additive is not added. That is, it was confirmed that providing the feed to which the feed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to the livestock can improve the immunity of the livestock.

[표 4] 가공효모의 급여가 이유자돈의 혈액내 IgG에 미치는 영향[Table 4] Effect of Feeding Processed Yeast on IgG in Blood of Weaning Pigs

CONCON H25H25 H50H50 IgG(mg/dL)IgG (mg / dL) 240.4240.4 258.1258.1 262.4262.4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unctional feed addit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가수분해된 세포벽을 나타내는 도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cell wall hydrolyzed through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효모로부터 추출된 세포내용물을 나타내는 도이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cell contents extracted from yeast through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동결건조된 세포내용물을 나타내는 도이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cell contents lyophilized through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ⅰ) 비활성 건조 효모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Iii) adding proteolytic enzymes to the inactive dry yeast to form a mixture; (ⅱ)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가 첨가된 비활성 건조 효모를 40 내지 60℃ 온도 하에서 50 내지 100MPa로 가압하여 상기 효모를 세포벽과 세포내용물로 분리하는 단계; (Ii) separating the yeast into cell walls and cell contents by pressurizing the inactive dry yeast to which the protease is added at 50 to 100 MPa at a temperature of 40 to 60 ° C .; (ⅲ) 세포벽과 세포내용물로 분리된 효모를 원심분리하여 세포내용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Iii) centrifuging the yeast separated into the cell wall and the cell contents to extract the cell contents; And (ⅳ) 상기 세포내용물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Iii) a method of producing a functional feed additive comprising lyophilizing the cell contents.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계 (ⅱ)와 단계 (ⅲ)의 사이에 세척액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functional feed additiv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adding a wash solution between the step (ii) and step (iii).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세척액은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The washing solution is a method of producing a functional feed additive, characterized in that ethano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ease is 셀룰라아제와 완충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a functional feed additiv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ellulase and a buffer solu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ease is 라이소자임과 완충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a functional feed additive comprising a lysozyme and a buffer solu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ease is 셀룰라아제, 라이소자임 및 완충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A method of producing a functional feed additive, comprising cellulase, lysozyme and a buffer solution.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상기 완충용액은 STET 완충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The buffer solu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functional feed additiv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T buffer solution.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상기 완충용액은 비활성 건조 효모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0 내지 50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The buffer solu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functional feed additive, characterized in that for adding 300 to 5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inert dry yeast. 제 4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상기 셀룰라아제는 상기 비활성 건조 효모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0.1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The cellulase is a method for producing a functional feed additiv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 of 0.05 to 0.1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inactive dry yeast.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6, 상기 라이소자임은 상기 비활성 건조 효모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0.1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The lysozyme is a method for producing a functional feed additiv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 of 0.05 to 0.1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inactive dry yeast.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STET 완충용액은 8% Sucrose, 5% Triton X-100, 50mM EDTA, 및 50mM Tris pH 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The STET buffer solu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8% Sucrose, 5% Triton X-100, 50mM EDTA, and 50mM Tris pH 8.0, the method of producing a functional feed additi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건조 효모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active dry yeast is 단백질 함량이 35 내지 43중량%인 비활성 효모 배양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a functional feed additiv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ert yeast culture with a protein content of 35 to 43% by weigh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건조 효모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active dry yeast is 단백질 함량이 35 내지 43중량%인 당밀효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a functional feed additiv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lasses yeast protein content of 35 to 43% by weight. 삭제delete
KR1020090078245A 2009-08-24 2009-08-24 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additive for feedstuff using ultra high-pressure extraction and additive for feedstuff using the same KR1012026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245A KR101202655B1 (en) 2009-08-24 2009-08-24 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additive for feedstuff using ultra high-pressure extraction and additive for feedstuff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245A KR101202655B1 (en) 2009-08-24 2009-08-24 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additive for feedstuff using ultra high-pressure extraction and additive for feedstuff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567A KR20110020567A (en) 2011-03-03
KR101202655B1 true KR101202655B1 (en) 2012-11-19

Family

ID=43929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245A KR101202655B1 (en) 2009-08-24 2009-08-24 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additive for feedstuff using ultra high-pressure extraction and additive for feedstuff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65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019B1 (en) * 2018-02-12 2019-11-2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animal feed additive for immune activity and animal feed comprising the same
KR102437393B1 (en) * 2020-04-29 2022-08-30 주식회사 대호 Manufacturing method of growth promoters for livestoc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850B1 (en) 1999-11-01 2002-07-19 김중균 Manufacture of yeast fee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850B1 (en) 1999-11-01 2002-07-19 김중균 Manufacture of yeast fe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567A (en)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2454B1 (en) Microbial-based process for high-quality protein concentrate
US8722392B2 (en) Livestock feed from corn ethanol byproduct
US8603801B1 (en) Method of processing stillage
CN105614023B (en) Fermentation enzymolysis agent for soybean meal fermentation and application thereof
TW201703641A (en) A method of and system for producing a high value animal feed additive from a stillage in an alcohol production process
US20060233864A1 (en) Methods for improving the nutritional quality of residues of the fuel, beverage alcohol, food and feed industries
CN103907747B (en) A kind of high-protein feeding preparation method for material
EP2793607B9 (en) Ingredients for animal feed compositions
CN110218688B (en) Bacillus marinus LY-23, microbial inoculum and application thereof and product using same
CA2934976A1 (en) Use of an enzymatic composition in the feed of ruminants
CN111345395A (en) Production method of fiber-containing ruminant fermented feed
CN101463320B (en) Biological nitrogen, and preparation and use thereof
CN106035990B (en) Method for preparing biological feed by solid-state enzymolysis fermentation of citrus pulp, product and application thereof
CN105614022B (en) Method for preparing astaxanthin-rich feed additive through symbiotic culture
CN114365799A (en) Growing and fattening pig feed capable of improving growth performan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20265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additive for feedstuff using ultra high-pressure extraction and additive for feedstuff using the same
CN111466480B (en) Tea residue and tea polysaccharide probiotic fermented fee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20220132885A1 (en) Microbial-based process for quality protein concentrate from hempseed
CN114680230A (en) Low-gossypol high-nutrition fermented cottonseed meal,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CN105639115B (en) Amino acid-enhanced fermented and enzymolyzed soybean meal and application thereof
Naing et al. Solid state fermentation of soybean meal with Aspergillus niger for upgrading nutritive values
CN109170220A (en) A kind of curing method of corn pulp
CN112544786B (en) Recovery method of low-value fish processing byproducts
CN116515644B (en) Method for preparing corn straw yellow storage feed by using fermentation inoculant
EP4014748A1 (en) Secretomes of aspergillus strains for the degradation of soybean me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