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906B1 - Data inpu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Data inpu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906B1
KR101201906B1 KR1020050102611A KR20050102611A KR101201906B1 KR 101201906 B1 KR101201906 B1 KR 101201906B1 KR 1020050102611 A KR1020050102611 A KR 1020050102611A KR 20050102611 A KR20050102611 A KR 20050102611A KR 101201906 B1 KR101201906 B1 KR 101201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nit
main body
data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6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45854A (en
Inventor
최성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2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906B1/en
Priority to CNA2006101502617A priority patent/CN1956468A/en
Publication of KR20070045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8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9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측면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외부로 선택적으로 인입 및 인출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입력부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키패드 설치공간을 절약함으로 인해 제한된 크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전체의 크기를 소형화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키패드가 제외된 공간에 별도의 구성부품을 실장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폴더타입일 경우 상기 폴더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 폴더부의 개폐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데이터를 입력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구현할 수 있는 각종의 기능을 원활히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입력데이터 신호의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마련된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외부로 인입 및 인출되는 데이터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particular, an unnecessary keypad installation space is provided by providing a data input unit configured to selectively move in and o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on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ize of the entir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limited size can be miniaturized due to saving the cost, and a separate component can be mounted in a space excluding the keypad. Particularl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folder type, the folder type Regardless of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lder is opened or closed, input data is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moothly implement various function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maximizing user convenience. As related,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main body hav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signal of an input data sig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data input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drawn in and out of the main body through one side of the main body. It provides a data input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이동통신 단말기, 데이터 입력부, 데이터 감지부, 감지부 인쇄회로기판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ata input unit, data sensing unit, sensing unit printed circuit board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DATA INPU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DATA INPU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의 데이터 입력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data input unit.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부를 도시한 것으로서,2 to 6 illustrate a data input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2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ata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부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ata input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부가 작동되는 형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4 to 6 are operation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ata input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본체부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in body

111 : 키 입력부 112 : 아이오 포트111: key input 112: Io port

113 : 네비게이션 키 114 : 메인 인쇄회로기판113: navigation key 114: main printed circuit board

115 : 삽입구 120 : 폴더부115: insertion hole 120: folder portion

121 : 내부 디스플레이부 122 : 외부 디스플레이부121: internal display unit 122: external display unit

123 : 인쇄회로기판 130 : 힌지결합부123: printed circuit board 130: hinge coupling portion

200 : 데이터 입력부 210 : 데이터 감지부200: data input unit 210: data detection unit

220 : 감지부 인쇄회로기판 230 : 케이스220: printed circuit board 230: case

240 : 연성회로기판 300 : 칩셋240: flexible circuit board 300: chipse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측면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외부로 선택적으로 인입 및 인출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입력부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키패드 설치공간을 절약함으로 인해 제한된 크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전체의 크기를 소형화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키패드가 제외된 공간에 별도의 구성부품을 실장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폴더타입일 경우 상기 폴더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 폴더부의 개폐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데이터를 입력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구현할 수 있는 각종의 기능을 원활히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particular, an unnecessary keypad installation space is provided by providing a data input unit configured to selectively move in and o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on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ize of the entir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limited size can be miniaturized due to saving the cost, and a separate component can be mounted in a space excluding the keypad. Particularl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folder type, the folder type Regardless of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lder is opened or closed, input data is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moothly implement various function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maximizing user convenience. It is about.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하기 위해 기지국의 호출채널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번호가 포함된 호출 메시지를 송출한 후 특정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오는 경우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이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ds a call message including a unique numb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call channel of a base station to cal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a response comes from a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ender. It is a system configured to allow a call between the receiver and the receiver.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근래에 들어 전자, 통신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전술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요기능인 단순한 음성통화 뿐만 아니라 게임 및 VOD(Video On Demand), 전자사전, MP3 플레이어, 사진 및 동영상촬영, TV시청 등에 이르는 최신의 기능이 추가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최신 기능을 이용하기 위하여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상기 단말기의 상태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하거나 상기 최신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 필요한 화상정보를 표시해주는 LCD 모듈 등의 화상표시부와 데이터 입력부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electronic and communication industries, as well as simple voice calls, which are the main functions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s well as games and VODs, electronic dictionaries, MP3 players, photographs, and the like. The latest functions such as video shooting, TV watching, etc. are being added, and in order to use the latest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ires the user to visually identify the state of the terminal or to implement the latest functions. An image display unit such as an LCD module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a data input unit are provided.

상기와 같은 화상표시부와 데이터 입력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형태에 따라 그것이 구비되는 위치와 배치 및 형태가 달라지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데이터 입력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image display unit and the data input unit vary in position, arrangement, and shape of the image display unit and the data input unit. As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FIG. Is the same as

도 1은 종래의 데이터 입력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data input unit.

도 1에서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적인 형태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100)로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폴더부와 본체부가 힌지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되어 그 외관이 형성되며 상기 폴더부의 내측에는 내부 디스플레이부(121)가 구비되며 상기 폴더부의 외측에는 외부 디스플레이부(122)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간단한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 데이터를 상기 폴더부(120)의 외부에서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기능키(미도시)가 구비된다.The external for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is a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combined with a folder portion and a main body by a hinge coupling portion to form an appearance thereof. An inner display unit 121 is provided inside the folder unit, and outside of the folder unit 120, function data for controlling simple functions of the external display unit 122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put to the outside of the folder unit. There is provided a function key (not shown) provided.

또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요기능을 처리하는 칩셋(300)과 상기 칩셋(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칩셋(300)의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14)이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has a chipset 300 for processing main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ain printed circuit board 114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ipset 300 to process an electrical signal of the chipset 300. It is.

그리고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에는 상기 칩셋(300)에 전기적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버튼형식으로 마련된 키 입력부(111)와 상기 키 입력신호 이외에 각종의 기능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네비게이션 키(113)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10, a navigation key for inputting a variety of function data in addition to the key input unit 111 and the key input signal provided in the form of a button for inputting an electrical input signal to the chipset (300) 113 is provid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폴더부의 외부에 구비되는 상기 기능키(미도시)만으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할 수 없으며, 또한 상기 폴더부의 외측에 구비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부(122)는 그 크기가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부(121)보다 상대적으로 작음으로 인해 상기 폴더부(120)를 상기 본체부(110)에 대하여 접은 상태에서는 대형화된 화상출력신호를 감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above structure cannot control the whole function implemen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ly by the function key (not shown) provided outside the folder portion, and also outside the folder portion. Since the size of the external display unit 122 provided in the display unit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internal display unit 121, the enlarged image output signal in the folded state of the folder unit 12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unit 110.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appreciate.

그로 인해 대형화된 화상출력신호를 감상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주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상기 폴더부를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항상 개방한 상태에서 조작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enjoy the enlarged image output signal or to control the main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t is inconvenient to operate the folder unit with the main body unit always open.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는 각종의 데이터 입력부는 누름버튼 형식으로 구성되는 입력키로 구성됨으로 인해 그 기능이 목록화되어 제공되는 각종의 기능이나 파일을 선택함에 있어 파일검색이나 항목을 선택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various data input units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configured with input keys configured in a push button format, it is inconvenient to search for files or select items in selecting various functions or files provided by listing the functions.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측면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외부로 선택적으로 인입 및 인출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입력부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키패드 설치공간을 절약함으로 인해 제한된 크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전체의 크기를 소형화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키패드가 제외된 공간에 별도의 구성부품을 실장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폴더타입일 경우 상기 폴더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 폴더부의 개폐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데이터를 입력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구현할 수 있는 각종의 기능을 원활히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부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input unit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introduced into and o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on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entir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limited size by saving the keypad installation space and to mount a separate component in the space excluding the keypad, especiall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folder type Regardless of whether the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lder is opened or clos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maximize user convenience by smoothly implementing various function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implement by inputting data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roviding a data input un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부는, 입력데이터 신호의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마련된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외부로 인입 및 인출되는 데이터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부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ata input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main body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signal of an input data sig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It provides a data input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data input unit which is drawn in and out of the main body through one side of the unit.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측면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외부로 선택적으로 인입 및 인출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입력부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키패드 설치공간을 절약함으로 인해 제한된 크기 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전체의 크기를 소형화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키패드가 제외된 공간에 별도의 구성부품을 실장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폴더타입일 경우 상기 폴더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 폴더부의 개폐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데이터를 입력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구현할 수 있는 각종의 기능을 원활히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data input unit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drawn in and o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on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moving a limited size by saving unnecessary keypad installation spa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entir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mount a separate component in a space excluding the keypad. Particularl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folder typ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older typ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lder and Regardless,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maximized by inputting input data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moothly implement various function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단말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obile phon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부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2 to 6 illustrate a data input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ata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ata input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데이터 입력부(200)는, 입력데이터 신호의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300)가 마련된 본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서, 상기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면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110)의 내외부로 인입 및 인출되는 데이터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data input unit 2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unit 110 provided with a controller 300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signal of an input data signal.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configured to includ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data input and withdrawal into and out of the main body unit 110 through one side of the main body unit 1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wealth.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상기 데이터 입력부(200)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면이 개방되어 형성된 삽입구(115)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110)와 그 일측이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슬라이드 레일(미도시)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조립됨이 바람직하다.The data input unit 200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5 formed by opening one side of the main body unit 110. The main body 110 and one side thereof are coupled to the slide rail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main body 110 can be slidably moved into and out of the main body 110. It is preferable to combine and assemble.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부(200)는, 상기 데이터 입력부(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30)와, 상기 케이스(230)의 전면에 마련되는 데이터 감지부(210)와, 상기 데이터 감지부(210)의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감지부 인쇄회로기판(220) 및 상기 감지부 인쇄회로기판(220)과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14)의 전기적 신호를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data input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case 230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data input unit 200, and the data sensing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ase 230 The main part 210 and the main part provided inside the sensing part printed circuit board 220 and the sensing part printed circuit board 220 and the main body 110 which process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data sensing part 21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lexible circuit board 240 for connecting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14.

그리고 상기 데이터 감지부(210)는 그 일면에 접촉되는 접촉체의 이동방향과 접촉압력에 따라 입력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00)에 전달하는 터치스크린(210)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data sensing unit 21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210 which transmits input data to the control unit 300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contact pressure of the contact body contacting one surface thereof.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제공되는 상기 각각의 기능키(미도시)와 네비게이션 키(113) 및 키 입력부(111)는 누름버튼형식으로 제공됨으로 인해 그 기능이 목록화되어 제공되는 각종의 기능이나 파일을 선택함에 있어 상기 파일이나 항목이 위치하는 부분까지 상기 각각의 기능키(미도시)와 네비게이션 키(113) 및 키 입력부(111)를 일일이 눌러 상기 파일이나 항목을 선택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감지부(21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됨으로 인해 상기 터치스크린(210)에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기타 접촉물체를 접촉시켜 움직이면 상기 손가락이나 접촉물체와 같이 그 일면에 접촉되는 접촉체의 이동방향과 접촉압력에 따라 입력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00)에 전달함으로 인해 데이터 검색이나 기능구현에 더욱 편리한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respective function keys (not shown), the navigation key 113, and the key input unit 111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push button, so the functions are listed. In selecting various functions or files provided by the user, each of the function keys (not shown), the navigation key 113, and the key input unit 111 are pressed to the part where the file or item is located. However, the data input unit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ata sensing unit 210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he user's finger or other contact object on the touch screen 210. When contacted to move the input data to the control unit 300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contact pressure of the contact body in contact with the one surface, such as the finger or the contact object. Because it can provide a more convenient configuration and data retrieval functions implement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데이터 입력부(200)가 작동되는 형태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data input unit 2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as follows.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부가 작동되는 형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4 to 6 are operation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ata input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데이터 입력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에 마련되는 칩셋(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일측면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외부로 인입 및 인출가능하게 연결됨으로 인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폴더부(120)를 본체부(110)에 대하여 개방하거나 폐쇄함에 관계없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First, as illustrated in FIGS. 4 to 6, the data input unit 2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hipset 300 provided insi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lder unit 1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ue to being connect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on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t is configured to input predetermined data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gardless of whether the main body 110 is opened or closed.

즉,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데이터 입력부(200)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에 버튼형식으로 마련된 키 입력부(111)와 상기 키 입력신호 이외에 각종의 기능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된 네비게이션 키(113)를 사용하여 기본적인 입력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does not use the data input unit 200. Basic input data may be input using a key input unit 111 provided in the form of a butt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anel and a navigation key 113 provided to input various function data in addition to the key input signal.

그러나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된 데이터 입력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일측면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외부로 인입 및 인출가능하게 구성됨으로 인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입력부(200)를 이동통신 단말기(100)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끌어낸 후 상기 데이터 입력부(200)를 구성하는 데이터 감지부(210)를 통하여 입력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However, the data input unit 200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into and o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on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ata input unit 200 is pulled out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unit 1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s shown in FIG. 5, the data sensing unit constituting the data input unit 200 can be pulled out and pulled out. It is configured to input the input data through the unit 210.

상기와 같은 구성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폴더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폴더부(120)를 본체부(110)에 대하여 회동시켜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을 개방시킨 상태에서도 그 사용이 가능하며,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폴더부(120)를 본체부(110)에 대하여 회동시켜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을 폐쇄시킨 상태에서도 그 사용이 가능함으로 인해 상기 폴더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 폴더부(120)의 개폐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입력데이터를 입력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구현할 수 있는 각종의 기능을 원활히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folder part 120 of the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110 to ope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10 as shown in FIG. 5. 6, the folder unit 120 of the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unit 110, thereby clo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110. Since the use is possible even in the st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implement the input data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gardless of whether the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r the folder unit 120 is opened or closed. It is configured to smoothly implement various functions.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 폴더부(120)의 개폐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입력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음으로 인해 필요에 따라 상기 폴더부(120)의 외측에 구비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부(122) 및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부(121)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폴더부(120)를 상기 본체부(110)에 대하여 항상 개방한 상태에서 조작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한 구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put data may be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gardless of whether the folder 1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opened or closed. The external display unit 122 and the internal display unit 121 may be selectively used, and the folder unit 120 may not be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folder unit 120 is always open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unit 110. Provide a convenient configuration.

상기에서는 상기 데이터 입력부(200)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면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110)의 내외부로 인입 및 인출가능 하다고 하였으나, 그에 한하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구성하는 폴더부(120)의 일측면을 통하여 상기 폴더부(120)의 내외부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데이터 입력부(200)는 필요에 따라 그 구성개수도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 the data input unit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can be drawn in and out of the main body unit 110 through one side of the main body unit 11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be pulled in and out of the folder unit 120 through one side of the folder unit 120 constitu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data input unit 200. Of course, the number of components can also be configured as need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Of cours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측면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외부로 선택적으로 인입 및 인출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입력부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키패드 설치공간을 절약함으로 인해 제한된 크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전체의 크기를 소형화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키패드가 제외된 공간에 별도의 구성부품을 실장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폴더타입일 경우 상기 폴더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 폴더부의 개폐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데이터를 입력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구현할 수 있는 각종의 기능을 원활히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ata input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nnecessary keypad installation by providing a data input unit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introduced into and o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on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e to the space sav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entir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limited size and to mount a separate component in a space excluding the keypad. Particularl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folder type, the folder Regardless of whether the fol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n or closed, input data is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moothly implement various function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maximizing user convenience.

Claims (4)

일면에 키패드가 고정되는 본체부;The main body is fixed to the keypad on one side; 닫히고 열릴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와 대면하는 면에 형성되는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과 타면에 형성되는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폴더부; 및A folder unit coupled to the main body unit so as to be closed and opened, the folder unit including an inner display modul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main body unit and an outer display modul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hereof in a closed state; And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폴더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정보와 연관되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데이터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부장치.And a data input unit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unit so as to be pulled out or pulled in, and configured to input a signal associated with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external display module while the folder unit is closed. Data input unit of th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The data input unit,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이 개방되어 형성된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와 그 일측이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는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부장치.On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hole formed to be open, and the main body and one side thereof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slide-assembled to a slide rail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so as to be slidably moved in and out of the main body. Data input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The data input unit, 상기 데이터 입력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A case forming an appearance of the data input unit;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마련되는 데이터 감지부와,A data sensing unit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case; 상기 데이터 감지부의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감지부 인쇄회로기판 및A sensing unit printed circuit board for processing an electrical signal of the data sensing unit;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전기적 신호를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부장치.And a flexible circuit board for connecting electrical signal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in the main body.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데이터 감지부는,The data detector, 그 일면에 접촉되는 접촉체의 이동방향과 접촉압력에 따라 입력데이터를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는 제어부에 전달하는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부장치.The data input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screen for transmitting the input data to the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contact pressure of the contact body in contact with the one surface.
KR1020050102611A 2005-10-28 2005-10-28 Data inpu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2019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611A KR101201906B1 (en) 2005-10-28 2005-10-28 Data inpu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A2006101502617A CN1956468A (en) 2005-10-28 2006-10-17 Data input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611A KR101201906B1 (en) 2005-10-28 2005-10-28 Data inpu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854A KR20070045854A (en) 2007-05-02
KR101201906B1 true KR101201906B1 (en) 2012-11-16

Family

ID=3806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611A KR101201906B1 (en) 2005-10-28 2005-10-28 Data inpu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01906B1 (en)
CN (1) CN1956468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854A (en) 2007-05-02
CN1956468A (en)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1211B2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US7076058B2 (en) Portable telephone set
KR101427264B1 (en) Portable terminal
US8280446B2 (en)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input device
KR101106333B1 (en) Composition open and clos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ata input department and numeric input department
US20090051666A1 (en) Portable terminal
KR10070059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ata input apparatus possible in and out
US7331516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movable keypad
KR101437991B1 (en) Portable terminal
US7852618B2 (en) Function extending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101866766A (en) Portable terminal
US20060229116A1 (en) Folding information processor
US7561686B2 (en) Mobile terminal
US7054670B2 (en) Cellular phone structur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20140048648A (en) Mobile terminal and pouch for a mobile terminal
KR101201906B1 (en) Data inpu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80167096A1 (en) Mobile phone with a slide cover
US8024017B2 (en) Slidable mobile terminal having a slide module
KR100983270B1 (en) Mobile phone
JP2002094624A (en) Radio information terminal
KR10059400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hanging operation mode based on open direction of folder
KR101545571B1 (en) Portable terminal
KR100652766B1 (en) Data inpu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51854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46790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lide type Liquid Crystal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