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402B1 -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method providing handover between speaker devices - Google Patents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method providing handover between speaker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402B1
KR101198402B1 KR1020090084801A KR20090084801A KR101198402B1 KR 101198402 B1 KR101198402 B1 KR 101198402B1 KR 1020090084801 A KR1020090084801 A KR 1020090084801A KR 20090084801 A KR20090084801 A KR 20090084801A KR 101198402 B1 KR101198402 B1 KR 101198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output
output device
wireless microphone
wireless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8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26938A (en
Inventor
손지연
배창석
문경덕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84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402B1/en
Publication of KR20110026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9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4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출력장치 장치간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오디오 출력장치가 설치된 공간 내에서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그 무선 마이크를 기준으로 그 무선 마이크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오디오 출력장치를 통해 그 무선 마이크에서 발생하는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무선 마이크와 오디오 출력장치를 자동 연결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90084801

오디오 출력장치, 핸드오버, 무선 마이크, 지그비, 와이파이, 블루투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microphone device providing a handover function between audio output device device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when a user using a wireless microphone moves in a space where a plurality of audio output devices are installed, the wireless microphone may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microphone through an audio output device closest to the wireless microphone based on the wireless micro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provide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onnecting the wireless microphone and the audio output device to output the generated voice message.

Figure R1020090084801

Audio Output, Handover, Wireless Microphone, Zigbee, Wifi, Bluetooth

Description

오디오 출력장치 장치간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 및 그 방법{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method providing handover between speaker devices}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method providing handover function between audio output device device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오디오 출력장치 장치간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오디오 출력장치가 설치된 공간 내에서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그 무선 마이크를 기준으로 그 무선 마이크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오디오 출력장치를 통해 그 무선 마이크에서 발생하는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무선 마이크와 오디오 출력장치를 자동 연결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microphone device providing a handover function between audio output device devices. More specifically, when a user using a wireless microphone moves in a space where a plurality of audio output devices are installed, the wireless microphone may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microphone through an audio output device closest to the wireless microphone based on the wireless micro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microphone device that provide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onnecting a wireless microphone and an audio output device to output a voice message.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2009-F-027-01,과제명:홈네트워크 이질성 극복을 위한 홈네트워크 상호연동 미들웨어 기술 개발].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a study conducted as part of the IT growth engin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of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Task management number: 2009-F-027-01, Title: Home network interworking middleware technology to overcome home network heterogeneity Development].

최근 근거리 무선 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존의 유선을 대체하는 무선 오디오 기기들이 제품으로 많이 출시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short-range wireless technology, a lot of wireless audio devices that replace existing wires have been introduced as products.

무선 마이크나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와 같은 무선 오디오 기기들은 공통적으로 기존의 복잡한 케이블들을 제거함으로써 시각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이동의 자유를 줄 수 있다. Wireless audio devices, such as wireless microphones and wireless audio outputs, can commonly provide freedom of movement as well as a visual aspect by eliminating existing complex cables.

또한,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의 경우에는 휴대단말과 같이 휴대형 오디오 소스 기기와 쉽게 무선으로 연동하여 오디오를 감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wireless audio output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listen to the audio by wirelessly interworking with a portable audio source device such as a portable terminal.

그러나, 기존의 무선 마이크는 출력을 담당하는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가 고정되어 있어 이동에 따라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를 수작업으로 일일이 변경해 주어야만 했다. 때문에 사용자에게 이동의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existing wireless microphone has a fixed basic audio output device for output, so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had to be changed manually by hand as it was mov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provide the user with the convenience of mov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다수의 오디오 출력장치가 설치된 공간 내에서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그 무선 마이크를 기준으로 그 무선 마이크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오디오 출력장치를 선정하고, 그 선정된 오디오 출력장치를 통해 무선 마이크에서 발생하는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무선 마이크와 오디오 출력장치를 자동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공간을 이동할 때마다 무선 마이크와 그 공간 내 오디오 출력장치를 연결할 필요가 없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오디오 출력장치 장치간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When a user using a wireless microphone moves in a space where a plurality of audio output devices are installed, an audio output device closest to the wireless microphone is selected based on the wireless microphone, and the selected audio output device is selected. By automatically connecting the wireless microphone and the audio output device so that voice messages generated by the wireless microphone are outputted, the user does not need to connect the wireless microphone and the audio output device in the space each time the user moves through the spa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microphone device that provides a handover function between audio output device devices.

본 발명의 무선 마이크 장치는, 무선 마이크 장치 주변에 있는 오디오 출력장치들을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오디오 출력장치들과 상기 무선 마이크 장치와의 거리값을 각각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상기 거리 산출부로부터 각각의 거리값을 입력받아 가장 작은 거리값을 갖는 오디오 출력장치를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로 선정하는 선정부; 및 상기 선정부에 의해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로 선정된 오디오 출력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Wireless microphon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rch unit for searching for audio output devices in the vicinity of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 distance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distance value between the audio output devices searched by the searcher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 selection unit which receives each distance value from the distance calculator and selects an audio output device having the smallest distance value as a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an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a microphone from a user through an audio output device selected as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by the selection unit.

특히,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오디오 출력장치들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거리 산출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검색된 오디오 출력장치들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무선 신호의 세기값, 수신 파워, 및 수신 각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마이크 장치와 상기 검색된 오디오 출력장치들간의 각각의 거리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udio output apparatuses searched by the search unit, and the distance calculator receives and receives a wireless signal from the searched audio output apparatuses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distance value between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the searched audio output devices may be calculated using any one of a strength value, a reception power, and a reception angle of a wireless signal.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및 유더블유비(UWB)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ny one of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of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Bluetooth, Wi-Fi, Zigbee, and UWB.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의 고유식별정보 및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와 상기 무선 마이크와의 페어링을 위한 핀코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configured to stor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udio output device and pin code information for pairing the audio output device with the wireless microphon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상기 무선 마이크가 서로 페어링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마이크 장치 상호 간에 페어링이 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페어링을 위한 핀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마이크 장치를 페어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are paired with each other, and if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re not paired with each other, a pin code for pairing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re paired using the information.

또한, 상기 무선 마이크를 통해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 처리부; 및 상기 오디오 처리부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dio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through the wireless microphone to convert the digital signal; And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digital signal converted by the audio processo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디지털 신호가 무선 통신부를 통해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the digital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er to be transmitted to the basic audio output apparatus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또한, 사용자로부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의 연결해제 요청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의 처리결과 및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for receiving a request for disconnection with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from the user; And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control unit and the information on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to the us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현재 연결되어 있는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의 연결해제 요청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무선마이크 장치와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의 오디오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may release the audio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disconnection from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currently connected through the input unit.

본 발명의 무선 마이크 장치 작동방법은, 검색부가 무선 마이크 장치 주변의 오디오 출력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무선 통신부가 상기 검색된 오디오 출력장치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거리 산출부가 상기 무선 마이크 장치와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들 간의 무선 신호의 세기값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한 무선 신호의 세기값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마이크 장치와 상기 검색된 오디오 출력장치들간의 각각의 거리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선정부가 상기 산출된 각각의 거리값을 비교하여 가장 작은 거리값을 가지는 오디오 출력장치를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operating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searcher searching for an audio output device arou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Receiving, by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radio signal from the searched audio output device; The distance calculator measures the strength value of the wireless signal between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the audio output devices, respectively, and uses the measured strength value of the wireless signal to measure the distance values between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the searched audio output devices. Calculating; And selecting the audio output device having the smallest distance value as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by comparing each of the calculated distance values.

특히, 상기 선정부가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를 선정하면, 제어부가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상기 무선 마이크 장치가 페어링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when the selection unit selects a basic audio output device,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is paired.

또한,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마이크 장치가 페어링 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가 저장된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마이크 장치와의 페어링을 위한 핀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페어링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re not paired, the controller performs a pairing process by using pincode information for pairing the stored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

또한,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마이크 장치가 페어링되면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마이크 장치 간의 오디오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re paired, an audio connection between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is established.

또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의 연결해제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연결해제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무선 마이크 장치와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의 오디오 연결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disconnection signal from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from a user; And canceling an audio connection setting between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s the disconnect signal is input.

또한,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마이크 장치가 페어링 되어 있는 경우, 페어링 과정을 생략하고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마이크 장치 간의 오디오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re paired, a pairing process may be omitted and an audio connection between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may be established.

또한,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마이크 장치 간의 오디오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상기 무선 마이크 장치 간의 오디오 연결을 설정한 후 마이크로부터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증폭시키고, 상기 증폭된 디지털 신호가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에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stablishing an audio connection between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Converting the input voic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when a voice signal is input from a microphone after establishing an audio connection between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amplifying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and processing the amplified digital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또한, 상기 무선 마이크 장치와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및 유더블유비(UWB)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ny one of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uetooth, Wi-Fi, Zigbee, and UWB.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다수의 오디오 출력장치가 설치된 공간 내(예컨대, 전시장,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무선 마이크를 기준으로 그 무선 마이크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오디오 출력장치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오디오 출력장치를 통해 무선 마이크에서 발생하는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공간을 이동할 때마다 마이크와 그 공간 내 오디오 출력장치를 연결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who uses a wireless microphone moves in a space where a plurality of audio output devices are installed (for example, an exhibition hall, a museum, an art gallery, and the like), the audio output is the closest to the wireless microphone based on the wireless microphone. By extracting the device and outputting the voice message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through the extracted audio output device, there is no need to connect the microphone and the audio output device in the space each time the user using the wireless microphone moves through the space. There is an advantage of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적은 양의 출력 파워를 가지고도 오디오 출력장치가 설치된 전 공간(예컨대, 전시장, 박물관, 미술관 등)을 커버하는 고출력 오디오 출력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having the same effect as the high-output audio output device that covers the entire space (for example, exhibition halls, museums, galleries, etc.) is installed even with a small amount of output power.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오디오 출력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특정 공간 또는 특정 장소에 제한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무선 마이크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pace or a specific place where an audio output device is installed, a user using a wireless microphon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use the wireless microphone while moving freely.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a repeated description, a known function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출력장치 장치간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wireless microphone device providing a handover function between audio output device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출력장치 장치간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시스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무선 마이크 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system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microphone device providing a handover function between audio output device devic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of FIG. A block diagram is show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마이크 장치(100)와 다수의 오디오 출력장치(200)를 구비한다. 무선 마이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장치(200)는 별도 구비된 장치로서, 무선 마이크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장치(200)와 동기화를 수행한 후, 무선 마이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장치(20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오 디오 출력장치(200)의 구동을 제어한다.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microphone device 100 and a plurality of audio output devices 200.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100 and the audio output device 200 are separately provided devices,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100 synchronizes with the audio output device 200 and then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100 and the audio output device. The driving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20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200.

무선 마이크 장치(100)는 마이크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증폭부(미도시), 저장부(130), 제어부(140), 핸드오버부(150), 검색부(151), 거리산출부(153), 선정부(155), 무선통신부(160), 입력부(170), 및 출력부(180)를 구비한다.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100 may include a microphone 110, an audio processor 120, an amplifier (not shown), a storage 130, a controller 140, a handover 150, a searcher 151, The distance calculating unit 153, the selecting unit 155,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the input unit 170, and the output unit 180 are provided.

마이크부(110)는 사용자의 음성(즉,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입력받는다.The microphone unit 110 receives a user's voice (ie, an analog voice signal).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20)는 마이크부(110)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The audio processor 120 converts the voice analog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unit 110 into a digital signal.

그리고, 증폭부(미도시)는 오디오 처리부(120)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신호를 증폭한다.The amplifier amplifies the digital signal generated by the audio processor 120.

저장부(130)에는 무선 마이크 장치(100)가 오디오 출력장치(2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가 저장되며, 제어부(1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소정의 정보를 제어부(140)에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부(130)는 각 오디오 출력장치의 고유식별정보, 어드레스정보, 서비스의 프로파일정보,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마이크 장치와의 페어링(pairing)을 위한 핀코드(Pin code) 정보,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마이크 장치와의 연결 핸들값 정보가 저장된다. The storage unit 130 stores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200 by the wireless microphone apparatus 100, and provides the controller 140 with predetermined information stored at the request of the controller 140. do. More specifically, the storage unit 130 may includ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ddress information, service profile information, and pin code information for pairing the audio output device with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The connection handle value information between the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is stored.

또한, 저장부(130)에는 증폭부(미도시)에 의해 생성된 증폭된 디지털 신호가 오디오 출력장치에 전송되기 전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상기 저장부(130)에는 저장되는 데이터의 용량에 따라, 이이피롬(EPROM), 플래쉬메모리와 같은 다양한 저장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30 temporarily stores the amplified digital signal generated by the amplifier (not shown) before being transmitted to the audio output device. The storage unit 13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storage media such as an EPROM and a flash memory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data to be stored.

한편, 핸드오버부(150)는 검색부(151), 거리 산출부(153), 및 선정부(155)를 구비한다.The handover unit 150 includes a search unit 151, a distance calculator 153, and a selector 155.

검색부(151)는 상기 무선 마이크 장치의 주변에 오디오 출력장치가 있는지 검색한다. The search unit 151 searches whether there is an audio output device in the vicinity of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무선 통신부(160)는 검색부(151)에 의해 검색된 오디오 출력장치들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무선 통신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하에 검색부(151)를 통해 검색된 하나 이상의 오디오 출력장치(200)들에게 무선 신호를 송신하며, 하나 이상의 오디오 출력장치(20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udio output devices searched by the search unit 151.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transmits a wireless signal to one or more audio output apparatuses 200 searched through the search unit 15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and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one or more audio output apparatuses 200. Receive

거리 산출부(153)는 무선 통신부(160)을 통해 수신된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마이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장치(200)간의 각각의 상대 거리값을 산출한다. 이때, 거리 산출부(153)는 오디오 출력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응답 신호의 세기, 송수신 파워, 응답 신호가 수신된 각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무선 마이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장치(200)간의 거리값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거리 산출부(153)는 무선 통신부(160)로부터 검색된 오디오 출력장치(200)와 무선 마이크 장치(100)간의 각각의 무선신호세기값을 전송받아 그 무선신호세기값을 미리 설정된 함수(f(x))에 대입하여 각각의 거리값을 산출한다. 일반적으로, 무선신호세기값은 무선 마이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장치(200)간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증가한다. The distance calculator 153 calculates a relative distance value between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100 and the audio output device 200 using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In this case, the distance calculator 153 may use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100 and the audio output device 200 using any one of the strength of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from the audio output device 200, transmission / reception power, and an angle at which the response signal is received. Calculate the distance value between). For example, the distance calculator 153 receives a wireless signal strength value between the audio output device 200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100 retrie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and sets the wireless signal strength value in advance. Each distance value is calculated by substituting for (f (x)). In general, the wireless signal strength value in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100 and the audio output device 200 approaches.

거리 산출부(153)을 통해 산출된 거리값은 제어부(140)의 제어하에 저장부(130)에 저장된다.The distance value calculated by the distance calculator 153 is stored in the storage 1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선정부(155)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무선 마이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간의 각각의 거리값을 입력받아 가장 작은 거리값을 가지는 오디오 출력장치를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로 선정한다. 여기서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는 마이크부(110)를 통해 입력된 음력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오디오 출력장치를 의미한다. The selecting unit 155 receives the distance value between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100 and the audio output device 200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and selects the audio output device having the smallest distance value as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do. Here,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refers to an audio output device configured to output a sound power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unit 110.

제어부(140)는 선정부(130)에 의해 선정된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네트워크 및 오디오 서비스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무선 통신부(160)를 통해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이 설정된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의 정보가 저장부(130)에 저장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후 마이크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무선 통신부(160)를 통해 현재 저장부(130)에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로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출력장치로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The controller 140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selected by the selector 130 and the wireless network and the audio service to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 allows the storage unit 130 to store the information of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to which the wireless network connection is established. Then, when a voice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microphone unit 110, the voice signal is output to the audio output device currently stored as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in the storage unit 13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do.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40)는 선정부(155)가 선정한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마이크 장치가 서로 페어링(pairing)되어 있는지 판단한 뒤, 선정부가 선정한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마이크 장치 상호 간에 페어링이 되지 않은 경우, 저장부(130)에 저장된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마이크 장치와의 페어링(pairing)을 위한 핀코드(Pin code) 정보를 이용하여 그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마이크 장치 간의 페어링 과정을 수행한 뒤,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마이크 장치를 연결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저장부에 저장된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마이크 장치와의 연결 핸들값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마이크 장치를 오디오 연결로 설정한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whether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selected by the selector 155 are paired with each other, and then pairs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selected by the selector. If not, the pairing process between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using pin code information for pairing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After connecting, connect the default audio output device to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40 sets the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to the audio connection by using the connection handle value information between the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여기서, 페어링(pairing) 과정이라 함은 무선 마이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장치간의 연결을 위하여 두 기기간의 정보를 서로 교환해서 상대 디바이스의 정보를 가지도록 만드는 과정을 의미한다. 그리고, 여기서 '오디오 연결'이라 함은 서로 페어링(pairing)된 무선 마이크 장치(100)와 오디오 출력장치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채널 연결상태(무선 네트워크 연결 포함)를 의미한다. Here, the pairing process means a process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two devices to have information of a counterpart device for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100 and the audio output device. In addition, the term 'audio connection' refers to a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ion state (including a wireless network connection) through which paired wireless microphone devices 100 and audio output devices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그리고, 제어부(140)는 무선 마이크 장치(100)와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가 연결된 상태에서 마이크부(110)로부터 음성이 입력되면, 그 입력된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부(미도시)에 의해 증폭한 뒤, 그 증폭된 디지털 신호가 무선통신부(160)를 통해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로 전송되도록 처리한다.In addition, when the voice is input from the microphone unit 110 while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100 and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re connected, the controller 140 converts the input voice into a digital signal and converts the input signal into an amplification unit (not shown). After the amplification, the amplified digital signal is processed to be transmitted to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또한, 제어부(140)는 후술되는 입력부(170)로부터 현재 연결되어 있는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의 연결해제 요청을 입력받는 경우, 무선 마이크 장치(100)와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의 연결을 해제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140 receives a request for disconnection from the input unit 170 to be described below from the currently connected basic audio output device, the controller 140 disconnects the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100 and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입력부(170)는 무선 마이크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요구(예컨대, 무선 마이크 장치(100)와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의 연결해제 요청 등)를 입력받는다. 입력부(170)는 사용자의 요구를 입력받기 위한 각종 동작 및 메뉴 설정(기본 오디오 출력장치 변경, 녹음재생, 녹음, 일시정지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아이콘 또는 버튼이 구비된다. 이러한 입력부(170)는 키패드로 구성되는 입력장치 또는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일반적인 표시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입력 및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패널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put unit 170 receives a user's request for operating the wireless microphone (eg, a request for dis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100 and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The input unit 170 is provided with an icon or a button for receiving various operations and menu settings (change of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recording play, recording, pause, etc.) for receiving a user's request. The input unit 170 may be configured as a general display device such as an input device 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figured as a keypad. However, according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t is preferable that the touch panel be provided with a touch panel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input and display functions.

한편, 출력부(180)는 핸드오버부(150) 및 제어부(140)의 처리결과,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출력부(180)는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이 사용된다.The output unit 180 displays basic audio output device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of the handover unit 150 and the control unit 140. The output unit 180 generally us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nel.

한편, 상기 무선 마이크 장치(100)와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유더블유비(UWB:Ultra Wide Band)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100 and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200 may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Wi-Fi, Zigbee, and UWB (Ultra Wide Band).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그리고, 오디오 출력장치(200)는 특정 공간(예컨대; 박물관, 미술관, 강당 등) 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마이크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디지털신호를 수신하여 아날로그로 변환시킨 뒤 오디오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audio output devices 200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within a specific space (for example, a museum, an art gallery, an auditorium, etc.), and receive digital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device 100, convert them into analog, and then output audio. Output through the devi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출력장치 장치간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의 동작과정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a wireless microphone device providing a handover function between audio output device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도 3에는 본 발명이 동작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출력장치 장치간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가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3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how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nd FIG. 4 shows the operation of a wireless microphone device providing a handover function between audio output device devic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flowchart is shown.

우선, 검색부(151)는 무선 마이크 장치(100)의 주변에 오디오 출력장치가 있는지 검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오디오 출력장치, 제4오디오 출력장치가 검색된 것을 가정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First, the search unit 151 searches whether there is an audio output device in the vicinity of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third audio output device and the fourth audio output device are found.

먼저, 검색부(151)는 무선 마이크 장치 주변에 있는 오디오 출력장치를 검색 하고, 검색된 오디오 출력장치의 정보를 무선통신부(160)에 전송한다(S100).First, the search unit 151 searches for an audio output device arou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found audio output device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S100).

이후, 무선통신부(160)는 검색부(151)에 의해 검색된 오디오 출력장치들(제3오디오출력장치, 제4오디오 출력장치)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검색된 오디오 출력장치 각각에 무선신호를 송신하여, 무선 마이크 장치와 오디오 출력장치간의 무선신호세기값을 측정한 뒤, 거리산출부(153)에 이를 전송한다(S110).Subsequent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udio output devices (third audio output device and fourth audio output device) searched by the searcher 151 and transmits a radio signal to each of the searched audio output devices. By transmitting, after measuring the wireless signal strength value between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the audio output device, and transmits it to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153 (S110).

그리고, 거리산출부(153)는 무선통신부(160)로부터 검색된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마이크간의 각각의 무선신호세기값을 전송받아 그 무선신호세기값을 미리 설정된 함수에 대입하여 각각의 거리값을 산출한다(S120).The distance calculating unit 153 receives the wireless signal strength values between the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retrie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and substitutes the wireless signal strength values into a preset function to calculate each distance value. (S120).

그러면, 선정부(155)는 거리산출부(153)로부터 각각의 거리값을 전송받아 그 거리값을 비교한다(S130). Then, the selector 155 receives each distance value from the distance calculator 153 and compares the distance values (S130).

S130 단계의 판단결과, 제3오디오 출력장치가 제4오디오 출력장치보다 작은 거리값을 가지면, 제3오디오 출력장치를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로 선정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30, when the third audio output device has a smaller distance value than the fourth audio output device, the third audio output device is selected as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이후, 제어부(140)는 무선 마이크 장치가 제4오디오 출력장치와 연결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150).Thereafter,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whether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is connected to the fourth audio output device (S150).

S150 단계의 판단결과, 무선 마이크 장치가 제4오디오 출력장치와 연결되어 있다면, 제어부(140)는 무선 마이크 장치가 제4오디오 출력장치의 연결을 해제한다(S15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50, if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is connected to the fourth audio output device, the controller 140 releases the connection of the fourth audio output device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S150).

이후, 제어부(140)는 무선 마이크 장치가 제3오디오 출력장치가 페어링(pairing)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170).Thereafter,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whether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is paired with the third audio output device (S170).

S170 단계의 판단결과 무선 마이크 장치가 제3오디오 출력장치가 페어링 되 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제3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마이크 장치와의 페어링(pairing)을 위한 핀코드(Pin code) 정보를 이용하여 제3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마이크 장치를 페어링 과정을 수행한 뒤(S175), 제3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마이크 장치를 연결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70 that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is not paired with the third audio output device, the controller 140 performs pairing between the third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After performing a pairing process between the third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using pin code information (S175), the third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re connected.

그리고, S170 단계의 판단결과 무선 마이크 장치가 제3오디오 출력장치가 페어링 되어 있는 경우, 제3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마이크 장치를 연결한다(S180).In operation S170, when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is paired with the third audio output device, the third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re connected (S180).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장소에서 소그룹 별 인원이 이동하면서 마이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설명하는 설명을 들을 때, 국부적으로 위치해 있는 오디오 출력장치(예컨대, 스피커)를 활용하게 되므로 오디오 출력장치의 활용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hen listen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user using the microphone while moving the personnel of each small group in a specific place, it uses a locally located audio output device (for example, a speaker) There is an advantag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audio output device.

한편, 도 5에는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가 설정된 후에 음성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본 발명이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는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voice signal is input after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is set.

도 5를 참조하면,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로 제3오디오 출력장치가 설정된 후 마이크부(110)를 통해 음성신호가 입력되면(S190), 제어부(140)는 제3 오디오출력장치)로 그 음성신호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S200).Referring to FIG. 5, when a third audio output device is set as a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a voice signal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unit 110 (S190), the controller 140 transmits the voice signal to the third audio output device. Process to output the (S200).

한편, 제3오디오 출력장치에 의해 무선 마이크(100)에 입력된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중, 제어부(140)는 입력부(170)로부터 그 제3오디오 출력장치와의 연결해제 요청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S210).Meanwhile, while the voice signal input to the wireless microphone 100 is output by the third audio output device, the controller 140 may receive a request for disconnection from the input unit 170 with the third audio output device. (S210).

그러면 제어부(140)는 마이크 장치(100)와 그 제3오디오 출력장치와의 연결 이 해제되도록 처리한다(S220).Then, the controller 140 process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microphone device 100 and the third audio output device to be released (S220).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S130 단계의 판단결과, 제4오디오 출력장치가 제3오디오 출력장치의 거리값보다 작은값을 가지면, 제어부(140)는 무선 마이크 장치와 제4오디오 출력장치가 연결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132).Meanwhile, referring to FIG. 6,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130 that the fourth audio output device has a smaller value than the distance value of the third audio output device, the controller 140 connects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to the fourth audio output devic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S132).

S132 단계의 판단결과, 무선 마이크 장치가 제4오디오 출력장치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140)는 무선 마이크 장치가 제4오디오 출력장치를 연결한다(S134).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32, when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is not connected to the fourth audio output device, the controller 140 connects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to the fourth audio output device (S134).

이후,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로 제4오디오 출력장치가 설정된 후 마이크부(110)를 통해 음성신호가 입력되면(S136), 제어부(140)는 제4 오디오출력장치로 그 음성신호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S138).Subsequently, after the fourth audio output device is set as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voice signal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unit 110 (S136), the controller 140 processes the voice signal to be output to the fourth audio output device. (S138).

한편, 제4오디오 출력장치에 의해 무선 마이크(100)에 입력된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중, 제어부(140)는 입력부(170)로부터 그 제4오디오 출력장치와의 연결해제 요청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S140).Meanwhile, while the voice signal input to the wireless microphone 100 is output by the fourth audio output device, the controller 140 may receive a disconnect request from the input unit 170 with the fourth audio output device. (S140).

그러면 제어부(140)는 마이크 장치(100)와 그 제4오디오 출력장치와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처리한다(S142).Then, the controller 140 process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microphone device 100 and the fourth audio output device to be released (S142).

상술한 바와 같은 본원발명에 따르면, 전시장, 박물관, 미술관 같은 공공장소에서 소그룹 별 인원이 이동하면서 마이크 장치를 사용하는 해설자에게 설명을 듣는 경우, 그 해설자가 위치를 이동해도 그 위치에 따라 국부적으로 위치해 있는 오디오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됨으로써 해설자에게는 번거로운 설치작업을 하지 않게 함으로써 편의성을 제공하고, 사용자에게는 흥미를 배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a small group of personnel moves in a public place such as an exhibition hall, a museum, an art gallery, and listens to an explanation by a commentator using a microphone device, the commentator is locally located according to the location even if the commentator moves. By outputting through the audio output device which is provided by the commentator to avoid the cumbersome installation work provides convenien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double the interest to the user.

본 발명의 일부 단계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CD-RW,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HDD, 광 디스크, 광자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Some steps of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CD-RW, magnetic tape, floppy disk, HDD, optical disk, magneto optical storage, ,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n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출력장치 장치간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시스템도.1 is a system diagram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microphone device providing a handover function between audio output device devic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마이크 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icrophone device of Figure 1;

도 3은 본 발명이 동작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설명도.3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how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출력장치 장치간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가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순서도.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a wireless microphone device providing a handover function between the audio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출력장치 장치간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가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순서도.5 to 6 are flowchart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providing a handover function between the audio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마이크 장치 110 : 마이크부100: microphone device 110: microphone

120 : 오디오 처리부 130 : 저장부120: audio processor 130: storage unit

140 : 제어부 150 : 핸드오버부140: control unit 150: handover unit

151 : 검색부 153 : 거리산출부151: search unit 153: distance calculation unit

155 : 선정부 160 : 무선통신부155: selection unit 16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 입력부 180 : 출력부170; Input unit 180: output unit

200 : 오디오 출력장치 200: audio output device

Claims (17)

무선 마이크 장치 주변에 있는 오디오 출력장치들을 검색하는 검색부;A search unit for searching for audio output devices in the vicinity of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오디오 출력장치들과 상기 무선 마이크 장치와의 거리값을 각각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A distance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distance value between the audio output devices searched by the searcher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상기 거리 산출부로부터 각각의 거리값을 입력받아 가장 작은 거리값을 갖는 오디오 출력장치를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로 선정하는 선정부; 및A selection unit which receives each distance value from the distance calculator and selects an audio output device having the smallest distance value as a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상기 선정부에 의해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로 선정된 오디오 출력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a user through a microphone through an audio output device selected as a basic audio output device by the selection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오디오 출력장치들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udio output devices searched by the search unit. 상기 거리 산출부는,The distance calculator,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검색된 오디오 출력장치들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무선 신호의 세기값, 수신 파워, 및 수신 각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마이크 장치와 상기 검색된 오디오 출력장치들간의 각각의 거리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Receiving a wireless signal from the searched audio output devices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between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the searched audio output devices using any one of the received strength value, received power, and receiving angle A wireless microphon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each distance value. 청구항 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무선 통신부는,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cludes: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및 유더블유비(UWB)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Wireless microphone,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ny one of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Bluetooth, Wi-Fi, Zigbee, and UWB.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의 고유식별정보 및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와 상기 무선 마이크와의 페어링을 위한 핀코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udio output device and pin code information for pairing the audio output device with the wireless microphone. 청구항 4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상기 무선 마이크가 서로 페어링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마이크 장치 상호 간에 페어링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페어링을 위한 핀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 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마이크 장치를 페어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are paired with each other, and when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re not paired with each other, the pin code information for pairing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used to determine the image.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airing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무선 마이크를 통해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 처리부; 및 상기 오디오 처리부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An audio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a voice signal through the wireless microphone and convert the voic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an amplifier configured to amplify the digital signal converted by the audio processor. 청구항 6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디지털 신호가 무선 통신부를 통해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And processing the digital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er to be transmitted to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사용자로부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의 연결해제 요청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request for disconnection from the user to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상기 제어부에서의 처리결과 및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result of processing by the controller and information on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to a user.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입력부를 통해 현재 연결되어 있는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의 연결해제 요청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무선마이크 장치와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의 오디오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And receiving an audio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when receiving a disconnect request from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currently connected through the input unit. 검색부가 무선 마이크 장치 주변의 오디오 출력장치를 검색하는 단계;A searcher searching for an audio output device arou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무선 통신부가 상기 검색된 오디오 출력장치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by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radio signal from the searched audio output device; 거리 산출부가 상기 무선 마이크 장치와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들 간의 무선 신호의 세기값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한 무선 신호의 세기값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마이크 장치와 상기 검색된 오디오 출력장치들간의 각각의 거리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The distance calculator measures the strength value of the wireless signal between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the audio output devices, respectively, and uses the measured strength value of the wireless signal to measure the distance values between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the searched audio output devices. Calculating; And 선정부가 상기 산출된 각각의 거리값을 비교하여 가장 작은 거리값을 가지는 오디오 출력장치를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의 작동방법.And selecting the audio output device having the smallest distance value as a basic audio output device by comparing the calculated distance values with each other. 청구항 10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선정부가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를 선정하면, 제어부가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상기 무선 마이크 장치가 페어링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의 작동방법.And selecting, by the selecting unit, a basic audio output device, the controller determining whether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is paired with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청구항 11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마이크 장치가 페어링 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가 저장된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마이크 장치와의 페어링을 위한 핀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페어링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의 작동방법.When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re not paired, the control unit performs a pairing process by using pincode information for pairing the stored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How the device works. 청구항 12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마이크 장치가 페어링되면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마이크 장치 간의 오디오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의 작동방법.And when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re paired, establishing an audio connection between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청구항 13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의 연결해제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Receiving a disconnect signal with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from a user; And 상기 연결해제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무선 마이크 장치와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의 오디오 연결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의 작동방법.And canceling an audio connection setting between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s the disconnect signal is input. 청구항 11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마이크 장치가 페어링 되어 있는 경우, 페어링 과정을 생략하고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마이크 장치 간의 오디오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의 작동방법.If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re paired, the pairing process is omitted and an audio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청구항 10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 마이크 장치 간의 오디오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Establishing an audio connection between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a wireless microphone device;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와 상기 무선 마이크 장치 간의 오디오 연결을 설 정한 후 마이크로부터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Setting up an audio connection between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converting the input voic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when a voice signal is input from a microphone; And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증폭시키고, 상기 증폭된 디지털 신호가 상기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에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의 작동방법.Amplifying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and processing the amplified digital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청구항 10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무선 마이크 장치와 기본 오디오 출력장치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및 유더블유비(UWB)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의 작동방법.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the basic audio output device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ny one of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uetooth, Wi-Fi, Zigbee, and UWB. How to operate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KR1020090084801A 2009-09-09 2009-09-09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method providing handover between speaker devices KR1011984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801A KR101198402B1 (en) 2009-09-09 2009-09-09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method providing handover between speaker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801A KR101198402B1 (en) 2009-09-09 2009-09-09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method providing handover between speaker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938A KR20110026938A (en) 2011-03-16
KR101198402B1 true KR101198402B1 (en) 2012-11-07

Family

ID=43933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801A KR101198402B1 (en) 2009-09-09 2009-09-09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method providing handover between speaker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40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687B1 (en) * 2011-07-07 2013-02-22 (주)공간파크 Voice guiding device
KR20180052241A (en) * 2016-11-10 2018-05-18 (주) 로임시스템 Smart connecting control method for wireless audio system
KR20190037918A (en) * 2017-09-29 2019-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87361B1 (en) * 2018-11-07 2019-06-11 주식회사 삼이공 Wireless microphone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00080510A (en) 2018-12-27 2020-07-07 (주) 로임시스템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link method using near field
KR20240062438A (en) * 2022-11-01 2024-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957Y1 (en) 2005-11-08 2006-01-23 (주)이어존 The Radio microphone transmitter-receiver system
KR200410863Y1 (en) 2005-11-02 2006-03-10 (주)사운드 테크 엔터프라이즈 Wireless microphone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channel setting
KR100901849B1 (en) 2008-05-26 2009-06-09 에드뷰시스템 (주) Wireless mik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863Y1 (en) 2005-11-02 2006-03-10 (주)사운드 테크 엔터프라이즈 Wireless microphone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channel setting
KR200406957Y1 (en) 2005-11-08 2006-01-23 (주)이어존 The Radio microphone transmitter-receiver system
KR100901849B1 (en) 2008-05-26 2009-06-09 에드뷰시스템 (주) Wireless mi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938A (en)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402B1 (en)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method providing handover between speaker devices
CN108924706B (en) Bluetooth headset switching control method, Bluetooth headse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077238B1 (en) Method of Establishing Connection between Devices
CN103576125B (en) Method for transferring work among multiple devices and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US11350200B2 (en) Wireless audio source switching
JP433123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4506778B2 (en) In-vehicle device
EP2833646A1 (en) Headset ha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ss prevention function and headset system having loss prevention function
CN110650408B (en) Earphone, anti-lost method, anti-lost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5723675A (en) Vehicle detection
CN112839303B (en) Method and related device for device reconnection
KR201301418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ring function based on speaker
US10051412B2 (en) Loca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loca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20140082541A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device
WO202116738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thereof
WO2016117241A1 (en) Electronic instrument control device, electronic instrument control system, electronic instrument, and control method for same
WO2019066178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30845A (en) Apparatus and Device for Position Measuring of Electronic Apparatuses
EP313681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US2016013471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graphic representations in a user interface
JP2016225710A (en) Management device, terminal device, management method, channel scanning method and program
WO2017223165A1 (en) Wireless audio source switching
CN108848566B (en)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device,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147063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ound presenting method using thereof
JP548817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VEHICLE DEVIC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