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094B1 - The image display device which is affixed in the switch and the smart switch which has this - Google Patents

The image display device which is affixed in the switch and the smart switch which has th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094B1
KR101198094B1 KR1020110041472A KR20110041472A KR101198094B1 KR 101198094 B1 KR101198094 B1 KR 101198094B1 KR 1020110041472 A KR1020110041472 A KR 1020110041472A KR 20110041472 A KR20110041472 A KR 20110041472A KR 101198094 B1 KR101198094 B1 KR 101198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switch
knob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4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영
박홍준
전영국
Original Assignee
김진영
전영국
박홍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영, 전영국, 박홍준 filed Critical 김진영
Priority to KR1020110041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0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0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1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using a programmable display, e.g. LED or LC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25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PURPOSE: An image display unit of a switch and a smart switch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easily recognize an installation location or kind of a lamp operated by the switch. CONSTITUTION: A fixing plate(20) is fixed to a switch box(3) buried in a wall. A switch socket(13) is operated by a knob(30). A cover part(40) surrounds the edge of the fixing plate. An image display unit(50) specifies the installation location or kind of a lamp and includes a light source unit(51), an image sheet(52), and a control unit(53)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Description

스위치의 이미지 표시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스위치{The image display device which is affixed in the switch and the smart switch which has this}The image display device which is affixed in the switch and the smart switch which has this}

본 발명은 스위치의 이미지 표시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 작동하는 조명등의 종류 또는 설치위치를 사용자가 알기 쉽도록 특정하는 스위치의 이미지 표시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unit of a switch and a smart switch having the same. An image display unit of a switch for specifying a type or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 lighting light operated on and off by a switch so as to be easily understood by a user, and a smart switch having the same. It is about.

통상적으로 실내의 전등을 작동하기 위해 텀블러스위치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데 건축물에 실내장식의 고급화에 따라 외관상의 미적 유지를 위해 스위치 버튼을 제외한 설치단자를 벽면에 매립하는 매립형 텀블러스위치를 사용한다.Usually, the tumbler switch is used the most to operate the indoor light, but the buried tumbler switch is used to bury the installation terminal except the switch button on the wall for maintaining the aesthetic appearance according to the high-end interior decoration in the building.

텀블러스위치는 사람이 건물 내로 들어오는 순간부터 가장 먼저 손으로 만지는 설치물로서 어두운 실내에서 찾기 쉽고, 조작하기 용이하며, 쉽게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실내장식의 고급화에 따라 외형의 미려함도 있어야 한다.The tumbler switch is the first hand-held installation from the moment a person enters the building. It is easy to find in a dark room, easy to operate, and not easily contaminat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igh-grade interior decoration, the appearance should be beautiful.

종래의 텀블러스위치는 어두운 실내에서 스위치의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찾도록 스위치가 전원을 차단하였을 때 노브 전면 일 측에 설치된 LED 불빛으로 어두운 실내에서 찾기 쉽도록 구성하였다. The conventional tumbler switch is configured to be easily found in a dark room with an LED ligh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knob when the switch is cut off to easily fi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witch in a dark room.

그러나, 건물 내에는 다수의 조명등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조명등을 작동하는 스위치 또한 다수 마련되어 있으므로 어떤 스위치가 어떤 조명등에 연결되어 있는지 알 수 없고, 켜고자 하는 조명등을 조작하는 스위치를 찾기 위해서는 각각의 스위치를 켜고 끄는 확인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re are many lights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many switches for operating each light, it is not possible to know which switch is connected to which light and to find a switch for manipulating the light to be turned 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firmation operation to turn on and off must be perform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명등이 설치된 위치를 스위치에 조명등이 설치된 설치위치와 연관된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해당 스위치에 의해 작동하는 조명등의 설치위치를 특정하며, 스위치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는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specifying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ights to operate by the switch by displaying an image associated with the installation location is installed on the switch to the light installed position, the image displayed on the switch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witch that can be chang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는 벽면에 설치되어 조명등을 온,오프하는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코드와 연결되고 전면에 조명등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소켓이 마련된 단자부와, 상기 스위치소켓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단자부에 결합되는 노브와, 상기 노브에 의해 온오프 작동하는 상기 조명등의 종류 또는 설치위치를 특정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등의 종류 또는 설치위치와 연관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 유니트를 구비한다.Smart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witch installed on the wall to turn on, off the lamp, the switch is connected to a power cord for supplying power to the lamp and the power to the lamp in front The type of the lamp to specify the type or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erminal portion provided with a switch socket for applying or blocking, the knob coupled to the terminal portion to operate the switch socket, and the type or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amp to be turned on and off by the knob Or an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ssociated with the installation position.

상기 단자부가 삽입장착되고 상기 벽면에 고정된 스위치박스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미지 표시 유니트는 상기 노브를 향해 광을 출사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광원부와, 상기 노브와 결합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사된 빛을 부분적으로 투과시키거나 차단하여 상기 조명등의 종류 또는 설치위치와 연관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이미지시트를 포함한다.And a fixing plate inserted into the terminal unit and coupled to a switch box fixed to the wall, wherein the image display unit is coupled to the knob and a light source unit installed on the fixing plate to emit light toward the knob. And an image sheet for partially transmitting or block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to form an image associated with the type or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lamp.

상기 노브에는 전면과 후면 사이로 상기 이미지시트를 삽입 및 인출시킬 수 있게 일 측면으로부터 타 측면을 향하여 인입된 입출홈이 형성된다.The knob is provided with an entrance and exit groove drawn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o insert and withdraw the image sheet between the front and rear.

상기 단자부가 삽입장착되고 상기 벽면에 고정된 스위치박스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이미지 표시 유니트는 상기 노브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의 전면을 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다수의 LED칩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광원부와, 상기 각 LED칩을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광원부를 통해 상기 조명등이 설치된 장소와 연관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게 상기 각 LED칩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에서 생성되는 이미지의 패턴을 선택 변경할 수 있게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감싸도록 형성된 커버부에 마련된 이미지선택부를 구비한다.And a fixing plate inserted into the terminal unit and coupled to a switch box fixed to the wall, wherein the image display unit is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knob and emits light toward the front of the knob. A light source unit arranged in a matrix form, a control unit controlling each of the LED chips to selectively drive each of the LED chips to generate an image associated with a place where the lighting lamp is installed through the light source unit, and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an image selection unit provided on a cover unit formed to surround the cover plate so as to selectively change a pattern of an image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unit.

상기 단자부가 삽입장착되고 상기 벽면에 고정된 스위치박스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가 삽입될 수 있게 삽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감싸도록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광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커버부로부터 소정거리 이내에서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이 감지될 시 제어부로 검출신호를 전달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에 상기 검출신호가 수신될 경우에만 전원이 인가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검출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노브의 위치를 알릴 수 있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시 점등 또는 점멸되는 위치확인램프가 구비된다.A cover plate having a terminal plate inserted and coupled to a switch box fixed to the wall; an insertion groove provided to insert the knob, and a cover unit formed to surround the fixing plate; and opera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movement of an objec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ver unit and transmitting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when a movement is detected, wherein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only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When the power is set to be applied and the det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the power is set to be cut off, and the cover part is provided with a positioning lamp which is always turned on or flashed by the control unit to inform the position of the knob.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의 이미지 표시 유니트는 스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되는 조명등의 설치장소를 특정할 수 있게 상기 조명등의 설치위치와 연관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스위치 노브의 후방에서 광을 출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스위치 노브에 장착되고, 상기 광원부에서 출사된 광을 부분적으로 투과시키거나 차단하여 상기 조명등의 종류 또는 설치위치와 연관된 이미지를 형상화하는 이미지시트를 포함한다.The image display unit of th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display an image associated with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amp so as to specify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lamp mounted on the switch and turned on and off by the switch. And an image sheet configured to form an image associated with the type or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amp by partially transmitting or block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to emit light from the rear of the switch knob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It includ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의 이미지 표시 유니트는 스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되는 조명등의 설치장소를 특정할 수 있게 상기 조명등의 설치위치와 연관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스위치의 노브 후면으로 광을 출사하도록 다수의 LED칩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발광모듈과, 상기 각 LED칩을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발광모듈을 통해 상기 조명등이 설치된 장소와 연관된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게 상기 각 LED칩을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구비한다.The image display unit of th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display an image associated with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amp so as to specify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lamp mounted on the switch and turned on and off by the switch. And a light emitting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LED chip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to emit light to the rear of the knob of the switch, and selectively driving the respective LED chips to form an image associated with a place where the lamp is install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module. It is provided with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n-off of each LED chip.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에 의하면, 스위치에 마련된 이미지 표시 유니트를 통해 스위치에 의해 작동하는 조명등의 종류 또는 조명등이 설치된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이미지 표시 유니트를 통해 표시되는 이미지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mart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imag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switch,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type or the location of the installation of the lamp operating by the switch, the image displayed through the image display unit user's preference I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미지시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브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마트 스위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6은 커버부에 입력포트 및 이미지선택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스마트 스위치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switc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mage sheet show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switc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mart switch shown i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put port and an image selection unit in a cover unit;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the smart switch illustrated in FIG. 4.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는 건물 벽체에 일부가 매입되는 매입형 텀블러스위치를 적용한다.Hereinafter, a smart switch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mart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n embedded tumbler switch in which a part is embedded in a building wall.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1)는 단자부(10), 고정플레이트(20), 노브(30), 커버부(40), 이미지 표시 유니트(50)를 포함한다.  1 to 2 illustrate a smart switch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2, the smart switch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portion 10, a fixing plate 20, a knob 30, a cover portion 40, and an image display unit 50.

단자부(10)는 후면에 건물 벽체 내에 배선된 전원코드(11) 및 조명등과 연결된 전원공급선(12)이 결합되고 전면에는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소켓(13)이 마련된다. 상기의 스위치소켓(13)은 좌우 또는 상하로 작동되면서 전원코드(11)와 전원공급선(12)과 단락시키거나 개방시킨다. 스위치소켓(13)에는 후술하는 노브(30)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13a)이 마련된다.The terminal unit 10 is coupled to a power cord 11 and a power supply line 12 connected to a lighting lamp in a building wall at a rear side thereof, and a switch socket 13 for applying or cutting power to the front side is provided. The switch socket 13 is operated to th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to short-circuit or open the power cord 11 and the power supply line 12. The switch socket 13 is provided with a fitting groove 13a which is fitted with the knob 30 to be described later.

고정플레이트(20)는 벽체 내에 매입된 스위치박스(3)에 고정되는 것으로 평판형상을 갖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스위치박스(3)와 나사결합되는 결합홀과, 단자부(10)가 삽입될 수 있게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장착홀이 형성된다.The fixing plate 20 is fixed to the switch box 3 embedded in the wall, has a flat plate shape, a coupling hole screwed with the switch box 3 at the top and the bottom thereof, and a terminal portion 10 can be inserted therein. Mounting holes are formed throug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노브(30)는 스위치소켓(13)을 조작하는 것으로 스위치소켓(13)의 끼움홈(13a)에 끼움결합될 수 있게 후방으로 돌출된 끼움돌기(31)가 구비된다. 노브(30)는 후술하는 이미지 표시 유니트(50)의 광원부(51)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투과할 수 있게 투명 또는 반투명소재로 형성된다.The knob 30 is provided with a fitting protrusion 31 which protrudes rearward to be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13a of the switch socket 13 by manipulating the switch socket 13. The knob 30 is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51 of the image display unit 50 to be described later can transmit.

노브(30)와 단자부(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전등을 작동시킬 수 있게 하나씩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독립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다수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자부(10) 또한 다수의 노브(30)와 결합 될 수 있게 다수의 끼움부(13a)가 형성된다.Only one knob 30 and one terminal portion 10 may be formed to operate one lamp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and a plurality of knobs 30 and terminal portions 10 may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s illustrated in FIG. 3. May be formed. In this case, the terminal part 10 is also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tting portions 13a to b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knobs 30.

노브(30)에는 전면과 후면 사이에 후술하는 이미지시트(52)를 삽입 및 인출시킬 수 있도록 가장자리 측면(33)으로부터 타 측면으로 인입된 입출홈(32)이 형성되며, 입출홈(32)에 삽입된 이미지시트(52)의 가장자리를 잡고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노브(30)의 전방으로 이미지시트(52)의 가장자리 일부분을 노출되게 형성한 노출홈(34)이 형성된다.The knob 30 has an entry and exit groove 32 drawn from the edge side 33 to the other side to insert and withdraw the image sheet 52 to be described later between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is formed in the entry and exit groove 32. An exposed groove 34 is formed to expose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image sheet 52 in front of the knob 30 so as to grasp the edge of the inserted image sheet 52 and to easily withdraw the edge.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의 노출홈(34)은 노브(30)에 이미지시트(52)를 삽입 또는 인출하는 과정에서 이미지시트(52)에 즉, 빈번한 접촉이 이루어지는 가장자리 부분에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노출홈(34)을 노브(30)의 횡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그 폭을 좁게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노출홈(34)의 크기에 대응되는 핀 또는 바늘 등의 인출부재를 이용하여 입출홈(32)으로부터 이미지시트(52)를 인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exposed groove 34 is contaminated with the image sheet 52 in the process of inserting or withdrawing the image sheet 52 in the knob 30, that is, the edge portion where frequent contact is made. The exposure groove 34 may be extended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knob 30 and the width thereof may be narrow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exposure groove 34. In this case, the image sheet 52 may be withdrawn from the entry and exit groove 32 by using an extraction member such as a pin or a needl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exposure groove 34.

커버부(40)는 벽체 내에 설치된 스위치박스(3) 및 스위치박스(3)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은폐하는 것으로, 고정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중앙에는 노브(30)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통과홀(41)이 형성된다. 커버부(40)의 일 측에는 야간에 스위치의 설치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게 위치확인램프(42)가 설치된다. 위치확인램프(42)는 후술하는 제어부(53)에 의해 상시 점등되거나 일정주기로 점멸하도록 제어된다.The cover part 40 is concealed so that the switch box 3 installed in the wall and the fixed plate 20 fixed to the switch box 3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surround the edge of the fixed plate 20. In the center, a through hole 41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knob 3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portion 40, a positioning lamp 42 is installed to inform the user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witch at night. The positioning lamp 4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53 to be described later so as to be constantly turned on or to blink at a predetermined cycle.

또한, 커버부(40)에는 소정거리 이내에서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후술하는 제어부(53)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센서(43)가 더 구비된다. 센서(43)는 통상적으로 센서 자체에서 적외선을 방출하고 수광하는 방식과, 피사체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방식의 적외선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ver unit 40 further includes a sensor 43 that detects a movement of the human body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53 to be described later. The sensor 43 may apply an infrared sensor of a method of emitting and receiving infrared rays from the sensor itself and a method of sensing infrared rays emitted from a subject.

이미지 표시 유니트(50)는 노브(30) 조작에 의해 온/오프되는 조명등의 설치위치 또는 조명등의 종류를 특정할 수 있게 즉, 노브(30)를 조작하는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게 조명등의 설치위치와 연관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으로 광원부(51)와, 광원부(51)로부터 출사된 빛을 투과시키거나 차단하는 이미지시트(52) 및 광원부(5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3)를 포함한다.The image display unit 50 is able to specify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llumination lamp which is turned on / off by operating the knob 30 or the type of the illumination lamp, that i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llumination lamp so as to be recognized by the user who operates the knob 30. And a control unit 53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51, an image sheet 52 for transmitting or block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51, and an opera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51.

광원부(51)는 노브(30)와 고정플레이트(20) 사이에서 노브(30)의 후면을 향하여 광을 출사하도록 고정플레이트(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된다. 광원부(51)는 도시된 바와는 다르게 회로기판상에 다수의 LED를 배열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The light source unit 51 is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xed plate 20 so as to emit light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knob 30 between the knob 30 and the fixed plate 20. The light source unit 51 may be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LEDs on a circuit board differently from the illustrated.

이미지시트(52)는 노브(30)의 입출홈(32)에 삽입 및 인출되어 광원부(51)에서 제공되는 빛을 노브(30)의 전면으로 부분적 투과 또는 차단하여 노브(30)에 이미지가 표현되게 하는 것으로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노브(30)의 입출홈(33)에 삽입 및 인출가능하도록 얇게 형성되며, 표면에는 조명등이 설치된 장소와 연관된 이미지가 형성된다.The image sheet 52 is inserted into and withdrawn from the entry and exit groove 32 of the knob 30 to partially transmit or block the light provid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51 to the front of the knob 30 to express the image on the knob 30. It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s made thin so as to be inserted into and withdrawn from the entry and exit groove 33 of the knob 30, the image is formed on the surface associated with the place where the lamp is installed.

이미지시트(52)에는 일 예로 일반 주택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거실, 주방, 화장실로부터 연상될 수 있는 이미지 즉, 거실은 쇼파 또는 TV, 주방은 식탁, 화장실 또는 욕실은 변기 또는 세면대 등의 이미지가 형성된다. In the image sheet 52, for example, as shown in the case of a typical house, an image that may be associated with a living room, a kitchen, a toilet, that is, a living room is a sofa or a TV, a kitchen table, a toilet, a bathroom, or an image of a toilet or a sink. Is formed.

이미지시트(52)의 표면에는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가 음각 형성된 시트지를 부착할 수도 있고, 이와는 다르게 이미지가 양각 형성된 시트지를 부착할 수도 있다.On the surface of the image sheet 52, a sheet of paper on which the image to be expressed is engraved may be attached. Alternatively, the sheet of paper on which the image is embossed may be attached.

전자의 경우 광원부(51)로부터 출사된 광이 이미지시트(52)를 통과하면서 음각 형성된 부분에서만 투과되어 노브(30) 전면으로 방출되고, 후자의 경우 광원부(51)로부터 출사된 광이 이미지시트(52)를 통과하면서 양각 형성된 부분에서는 차단되고 양각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여백부분에서는 투과되어 노브(30)의 전면으로 방출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자의 방식이 적용되었다.In the former ca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51 passes through the image sheet 52 and is transmitted only to the indented portion, and is emitted to the front of the knob 30. In the latter ca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51 is transferred to the image sheet ( While passing through the 52, it is blocked at the embossed portion and is transmitted through the remaining margins except the embossed portion to be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knob 3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rmer method is applied.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노브(30)의 전면에 부착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노브(30)를 둘러싸는 덮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ttach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knob 30,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ver surrounding the knob 30.

제어부(53)는 광원부(51)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게 센서(43)에서 인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때에는 광원부(5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센서(43)에서 인체 감지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만 전원을 인가하며, 야간에 사용자가 스위치(1)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위치확인램프(42)를 상시 점등 또는 점멸되게 제어한다.When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is not detected by the sensor 43 so a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51, the controller 53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light source unit 51, and the sensor 43 detects the human body detection signal. Power is applied only when received and controls the positioning lamp 42 to be always lit or flash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switch 1 at night.

도 4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2)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 스위치(2)는 노브(30)의 후면에 결합된 광원부(70)와, 광원부(70)를 제어하는 제어부(80)와, 광원부(70) 및 제어부(8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81)와, 제어부(80)를 통해 광원부(70)의 동작패턴을 변화시키는 이미지선택부(91)를 포함하는 이미지표시수단(60)을 포함한다.4 to 5 illustrate a smart switch 2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5, the smart switch 2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70 coupled to the rear of the knob 30, a controller 80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unit 70, a light source unit 70, and a controller ( And an image display unit 60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81 for supplying power to the 80 and an image selection unit 91 for changing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light source unit 70 through the control unit 80.

광원부(70)는 회로기판(72)상에 다수의 LED칩(71)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발광모듈(73)과, 발광모듈(73)이 삽입될 수 있게 삽입홈이 마련되며 발광모듈(73)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노브(30)의 후면으로 입사될 수 있게 노브(30)의 후면에 부착 고정되는 지지판(74)을 포함한다.The light source unit 70 includes a light emitting module 73 in which a plurality of LED chips 71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on a circuit board 72, and an insertion groove is provided to allow the light emitting module 73 to be inserted into the light emitting module ( And a support plate 74 attached and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knob 30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73 may be incident on the rear surface of the knob 30.

발광모듈(73)은 각각의 LED칩(71)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커넥터에 의해 제어부(80)와 연결된다. 지지판(74)은 발광모듈(73)에서 발생하는 열의 방출이 용이하도록 금속재로 형성되고, 후면에는 단자부(10)에 결합될 수 있게 끼움돌기(74b)가 형성된다.The light emitting module 73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80 by a connector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each LED chip 71. The support plate 74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o facilitate the emission of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module 73, and a fitting protrusion 74b is formed at the rear surface thereof so as to be coupled to the terminal unit 10.

제어부(80)는 고정플레이트(20)의 전면에 설치되고 발광모듈(73)을 통해 조명등이 설치된 장소와 연관된 다양한 이미지를 독립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LED칩(71)들에 부여되는 작동정보를 각각 저장하는 메모리(81)와, 메모리(81)에 저장된 작동정보에 따라서 각각의 LED칩(81)을 독립적으로 온/오프 구동하는 구동드라이버(82)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모리(81)에는 특정 이미지를 표현하도록 각각의 LED칩(71)들의 작동정보와, 앞선 이미지와는 다른 이미지를 표현하도록 LED칩(71)들에 부여되는 작동정보가 서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즉, 서로 다른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게 모드별로 LED칩(71)의 작동정보가 저장된다. The control unit 80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fixing plate 20 and stor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given to the LED chip 71 to independently represent the various images associated with the place where the lamp is install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module 73, respectively. Memory 81 and a driver driver 82 for independently driving each LED chip 81 on and off in accordance with ope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81. In this case, the memory 81 stores operation information of each LED chip 71 so as to express a specific image, and operation information provided to the LED chips 71 so as to express an imag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image. That i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LED chip 71 is stored for each mode so that different images can be expressed.

전원공급부(83)는 제어부(80)를 통해 발광모듈(73)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일반적인 건전지 또는 충전가능한 리튬건전지가 적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83 may be a general battery or a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to supply power to the light emitting module 73 through the controller 80.

이미지선택부(91)는 일 측이 커버부(40)의 전면에 노출되게 설치되고, 타측은 제어부(80)에 연결된다. 이미지선택부(91)는 사용자가 조작동작을 통해 메모리(81)에 모드별로 저장된 발광모듈(73)의 동작패턴을 선택변경할 수 있도록 누름식 버튼으로 구성된다. The image selecting unit 91 is installed so that one side is expos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unit 4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80. The image selector 91 is configured as a push button so that a user can select and change an operation patter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73 stored in each mode in the memory 81 through an operation operation.

커버부(40)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포트(9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입력포트(92)는 메모리(81)에 각각의 LED칩(71)의 작동정보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작동정보를 별도로 추가함으로써 발광모듈(73)에 의해서 표현되는 이미지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이미지를 추가할 수 있게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접속단자이다. 입력포트(92)는 LED칩(71)의 작동정보를 수정 및 추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PC(94) 또는 전자기기와 인터페이스(93)에 의해 연결된다.The cover part 4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port 92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input port 92 may modify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each LED chip 71 in the memory 81 or modify the image represented by the light emitting module 73 or add a new image by adding new operation information separately. It is a connection terminal through which an electric signal can be input. The input port 92 is connected by an interface 93 with a PC 94 or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a program capable of modifying and add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LED chip 71 is installed.

또한, 커버부(40)에는 소정거리 이내에서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43)와 스위치(2)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게 발광하는 위치확인램프(42)가 더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cover portion 4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ositioning lamp 42 for emitting light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sensor 43 and the switch 2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제어부(80)는 센서(43)에서 인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때에는 광원부(7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센서(43)에서 인체 감지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광원부(70)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광원부(70)의 전력소모를 줄인다. 그리고, 야간에 사용자가 스위치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위치확인램프(42)를 상시 점등 또는 점멸되게 제어한다.The controller 80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light source unit 70 when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is not detected by the sensor 43, and supplies power to the light source unit 70 when the human body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nsor 43. The application reduc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70. In addition, the positioning lamp 42 is controlled to be always on or flashing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switch at nigh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The smart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implementation therefrom.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xamples are possible.

1 : 스위치
3 : 스위치박스
10 : 단자부
20 : 고정플레이트
30 : 노브
40 : 커버부
50 : 이미지 표시 유니트
1: switch
3: switch box
10: terminal
20: fixed plate
30: knob
40: cover part
50: image display unit

Claims (7)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벽면에 설치되어 조명등을 온,오프하는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코드와 연결되고 전면에 조명등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소켓이 마련된 단자부와;
상기 스위치소켓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단자부에 결합되는 노브와;
상기 노브에 의해 온오프 작동하는 상기 조명등의 종류 또는 설치위치를 특정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등의 종류 또는 설치위치와 연관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유니트와;
상기 단자부가 삽입장착되고 상기 벽면에 고정된 스위치박스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이미지 표시유니트는 상기 노브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의 전면을 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다수의 LED칩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광원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LED칩을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광원부를 통해 상기 조명등이 설치된 장소와 연관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게 상기 각 LED칩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에서 생성되는 이미지의 패턴을 선택 변경할 수 있게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감싸도록 형성된 커버부에 마련된 이미지선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
In the switch installed on the wall to turn on or off the lamp,
A terminal part connected to a power cord for supplying power to the lamp and provided with a switch socket on the front thereof to supply or cut off power to the lamp;
A knob coupled to the terminal portion to actuate the switch socket;
An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ssociated with the type or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amp so as to specify the type or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amp that is turned on and off by the knob;
And a fixing plate inserted into the terminal unit and coupled to the switch box fixed to the wall.
The image display unit has a light source unit coupled to the rear of the knob and the plurality of LED chips for emitting light toward the front of the knob arranged in a matrix form,
A controller for selectively driving the LED chips to control the LED chips to generate an image associated with a place where the lamp is installed through the light source;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And an image selector provided in a cover part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covers the fixed plate so as to select and change the pattern of the image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unit.
벽면에 설치되어 조명등을 온,오프하는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코드와 연결되고 전면에 조명등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소켓이 마련된 단자부와;
상기 스위치소켓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단자부에 결합되는 노브와;
상기 노브에 의해 온오프 작동하는 상기 조명등의 종류 또는 설치위치를 특정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등의 종류 또는 설치위치와 연관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유니트와;
상기 단자부가 삽입장착되고 상기 벽면에 고정된 스위치박스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노브가 삽입될 수 있게 삽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감싸도록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노브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의 전면을 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다수의 LED칩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광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커버부로부터 소정거리 이내에서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이 감지될 시 제어부로 검출신호를 전달하는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에 상기 검출신호가 수신될 경우에만 전원이 인가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검출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노브의 위치를 알릴 수 있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시 점등 또는 점멸되는 위치확인램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
In the switch installed on the wall to turn on or off the lamp,
A terminal part connected to a power cord for supplying power to the lamp and provided with a switch socket on the front thereof to supply or cut off power to the lamp;
A knob coupled to the terminal portion to actuate the switch socket;
An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ssociated with the type or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amp so as to specify the type or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amp that is turned on and off by the knob;
A fixing plate inserted into the terminal unit and coupled to a switch box fixed to the wall; and
An insertion groove provided to allow the knob to be inserted and formed to surround the fixing plate;
A control unit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knob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light source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LED chips emitting light toward the front of the knob are arranged in a matrix;
And a sensor that detects a movement of an objec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ver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a controller when a movement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is set such that power is applied only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and the power is cut off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Smart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positioning lamp that is always lit or flashing by the control unit to inform the position of the knob.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041472A 2011-05-02 2011-05-02 The image display device which is affixed in the switch and the smart switch which has this KR1011980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472A KR101198094B1 (en) 2011-05-02 2011-05-02 The image display device which is affixed in the switch and the smart switch which has th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472A KR101198094B1 (en) 2011-05-02 2011-05-02 The image display device which is affixed in the switch and the smart switch which has thi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8094B1 true KR101198094B1 (en) 2012-11-09

Family

ID=4756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472A KR101198094B1 (en) 2011-05-02 2011-05-02 The image display device which is affixed in the switch and the smart switch which has th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094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1540A1 (en) * 2015-04-21 2016-10-27 Newict (M) Sdn. Bhd. Customizable skin for switches
KR101754350B1 (en) * 2015-06-18 2017-07-06 송준화 Buried switch for ligthing
KR20180082660A (en) * 2017-01-09 2018-07-19 주식회사 티케이랩스 Smart power switch
WO2019078468A1 (en) * 2017-10-17 2019-04-25 이소라 Start button and vehicle start switch having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577B1 (en) 2006-09-26 2008-04-21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Wall Builtin Touch switc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577B1 (en) 2006-09-26 2008-04-21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Wall Builtin Touch switch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1540A1 (en) * 2015-04-21 2016-10-27 Newict (M) Sdn. Bhd. Customizable skin for switches
KR101754350B1 (en) * 2015-06-18 2017-07-06 송준화 Buried switch for ligthing
KR20180082660A (en) * 2017-01-09 2018-07-19 주식회사 티케이랩스 Smart power switch
WO2019078468A1 (en) * 2017-10-17 2019-04-25 이소라 Start button and vehicle start switch having same
KR20190043028A (en) * 2017-10-17 2019-04-25 이소라 Starting button and engine start and stop switch having starting button for automobile
KR102049511B1 (en) * 2017-10-17 2020-01-08 이소라 Starting button and engine start and stop switch having starting button for automob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9892B2 (en) Control device having buttons with metallic surfaces and backlit indicia
KR101198094B1 (en) The image display device which is affixed in the switch and the smart switch which has this
KR20120110663A (en) Illumination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of illumination control
RU2546642C2 (en) Wiring device
JP3685101B2 (en) Wiring system
KR200457304Y1 (en) Switch apparatus for saving standby power
KR100951064B1 (en) Control unit for illumin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70087269A (en) A control unit of multiple lighting source
KR101963017B1 (en) LED mood watch
KR101745343B1 (en) Apparatus for led planar illumination
CN217601604U (en) Remote controller for toilet
WO2015129151A1 (en) Occupancy-sensor-equipped automatic switch
JP2012238432A (en) Switching apparatus
JP2022012460A (en) Remote control device
CN209860305U (en) Small night lamp conversion plug
JP6443790B2 (en) Automatic switch with hot wire sensor
EP1602877A2 (en) Light device having an automatic switching device
JP4978793B2 (en) Remote control for bathroom
WO2015129150A1 (en) Motion-sensor-equipped automatic switch system
JP4890361B2 (en) Electric carpet
KR200267538Y1 (en) a wall clock
JP6680821B2 (en) Door device
JP2005222824A (en) Optical sensor switch
CN201629730U (en) Inductive head of soap dispenser
TW201503762A (en) Automatic switch with heat ray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