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602B1 -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teractive service using ubiquitous server and ubiquitous terminal on digital cable broadcasting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teractive service using ubiquitous server and ubiquitous terminal on digital cable broadcas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602B1
KR101197602B1 KR1020100044538A KR20100044538A KR101197602B1 KR 101197602 B1 KR101197602 B1 KR 101197602B1 KR 1020100044538 A KR1020100044538 A KR 1020100044538A KR 20100044538 A KR20100044538 A KR 20100044538A KR 101197602 B1 KR101197602 B1 KR 101197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ata
receiving unit
ser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5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25019A (en
Inventor
서성호
Original Assignee
(주) 아이티비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이티비엠지 filed Critical (주) 아이티비엠지
Priority to KR1020100044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602B1/en
Publication of KR20110125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0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6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using different networks or channels, e.g. using out of band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84Client identification by a unique number or address, e.g. serial number, MAC address, socket 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고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유비쿼터스 서버를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 송신 방법은 양방향서비스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브라우징하는 단계, 상기 브라우징 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로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실행된 컨텐츠의 실행 상태를 이미지 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대역외 채널(Out of Band)을 통하여 수신 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수신 유닛을 이용한 양방향서비스 수신 방법은 수신 중인 채널 신호가 상기 채널과 관련된 양방향서비스로 제공되는 컨텐츠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정보를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정보와 관련된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이벤트 트리거(trigger)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벤트 트리거를 통하여 컨텐츠 실행 요청을 받는 단계 및 상기 실행 요청받은 컨텐츠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대역외 채널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receiving an interactive service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transmitting an interactive service using a ubiquitous server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may include browsing content provided by an interactive service, receiving data of the browsed content, and executing content with the received content data. And encoding the execution state of the executed content into image data, and transmitting the encoded image data to a receiving unit through an out of band channel.
In addition, in the digital cable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receiving an interactive service using a receiving unit includes, when the channel signal being received includes information on whether there is content provided by the interactive service associated with the channel. Filtering information, displaying an event trigger on the screen that executes the content related to the filtered information, receiving a content execution request through the displayed event trigger, and an image of the requested content to be executed. Receiving data via an out-of-band channel.

Figure R1020100044538
Figure R1020100044538

Description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유비쿼터스 서버를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TERACTIVE SERVICE USING UBIQUITOUS SERVER AND UBIQUITOUS TERMINAL ON DIGITAL CABLE BROADCASTING SYSTEM}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TERACTIVE SERVICE USING UBIQUITOUS SERVER AND UBIQUITOUS TERMINAL ON DIGITAL CABLE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케이블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양방향으로 서비스되는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gital cable broadcasting servi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serviced in both directions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방송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시스템에서 디지털 방송 시스템으로 방송체계가 변화하고 있다. 또한, 통신기술과 방송기술의 융합으로 시청자는 고품질의 프로그램과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따른 고품질의 프로그램 및 컨텐츠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broadcasting technology, the broadcasting system is changing from the existing analog broadcasting system to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In addition, due to the convergence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broadcasting technology, viewers can be provided with high quality programs and contents, and accordingly, demand for high quality programs and contents is increasing.

현 시점에서 방송은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지상파 방송으로 나뉜다. 초기 케이블 방송은 HFC(Hybrid Fiber Coaxial) 망을 통한 디지털 케이블 방송으로 화질과 음질 면에서 다른 매체보다 뛰어난 품질 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 또한, 케이블 방송망에 대한 전폭적인 설비 투자와 빠른 서비스 정착으로 현재 케이블 HFC 망은 방송 통신 매체 중 가장 폭넓게 설비되어 상용화되어 있는 매체이다. 이러한 HFC 망의 광대역성과 경제성 바탕으로 케이블 방송은 국내는 물론 미국 및 중국 등지에서도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고려되어 널리 설비되어 있는 현황이다.At this point, broadcasting is divided into cable broadcasting, satellite broadcasting and terrestrial broadcasting. Early cable broadcasting was a digital cable broadcasting through HFC (Hybrid Fiber Coaxial) network, which was superior to other media in terms of image quality and sound quality. In addition, cable HFC networks are the most widely installed and commercially available media among broadcast communication media due to the full facility investment in cable broadcasting networks and fast service settlement. Based on the broadband and economic feasibility of HFC networks, cable broadcasting is widely considered as the most efficient method in Korea, the US and China.

특히, 케이블 방송의 HFC 망을 이용하게 됨으로써, OpenCable 및 DOCSIS return path(DSG)를 사용한 양방향 디지털 방송의 제공뿐만 아니라, DOCSIS(Data over Cable Service Interface Specification) 및 PacketCable 기반의 QoS(Quality of Service)가 보장되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 및 DOCSIS 기반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른바 Triple Play Service(TPS)가 가능하다. In particular, by using the HFC network of cable broadcasting, in addition to providing two-way digital broadcasting using OpenCable and DOCSIS return path (DSG), Data over Cable Service Interface Specification (DOCSIS) and Quality of Service (QoS) based on PacketCable The so-called Triple Play Service (TPS), which provides guaranteed Internet telephony services and DOCSIS-based high-speed Internet services, is possible.

한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은 HFC 망 기반의 초고속 통신 네트워킹 기술을 사용하여 TV 수상기가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일방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아닌, 시청자가 직접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거나, 방송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른바, 방송의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Meanwhile, the cable broadcasting system uses an HFC network-based high-speed communication networking technology that allows a TV receiver to select a desired program or participate in a broadcast program instead of unilaterally receiving a broadcast program transmitted from a broadcast station. Content can be provided. The so-called two-way service of broadcasting has become possible.

그러나 케이블 방송은 방송 통신 융합 시대에 이르러 종합 미디어 플랫폼 사업자를 표방하는 IPTV 통신 사업자나 웹컨텐츠 플랫폼 사업자의 경쟁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대형 통신 사업자와 웹컨텐츠 플랫폼 사업자는 지상파 컨텐츠는 물론, 인터넷 기반의 컨텐츠까지 제공함으로써, 타 매체 간의 다양한 결합 상품으로 방송 통신 서비스의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방송과 통신의 경계가 사라지는 방송 통신 융합 시대에 디지털 케이블 방송은 새로운 수익 모델의 발굴과 열악한 컨텐츠 수급의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다.However, in the era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convergence, cable broadcasting has inevitably faced competition from IPTV carriers and web content platform providers. Large telecommunications operators and web content platform operators are increasing the share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services through various combined products among other media by providing not only terrestrial contents but also internet-based contents. In the age of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where the boundary between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disappears, digital cable broadcasting has come to the point of discovering new revenue models and solving the problem of poor content supply and demand.

그러나 웹 기반 컨텐츠는 기존의 방송 시스템 장비와 호환이 불가능하다. 또한, 웹 기반 컨텐츠 사업자는 방송 수신 유닛의 낮은 하드웨어 성능으로 인하여 양질의 컨텐츠를 방송 수신 유닛으로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eb-based contents are not compatible with existing broadcasting system equipment. In addition, the web-based content provider has a problem in that it is unable to provide high quality content to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due to the low hardware performance of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또한, 일반 방송 채널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에도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방송 전송 시스템에는 채널 신호의 가용 대역폭의 한계가 존재하며, 이미 대부분의 대역폭이 특정 채널을 위한 것으로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양방향 서비스를 인밴드(inband) 채널로 송출하는 경우, 케이블 HFC 망의 다수의 사용자에 의한 다수의 양방향 서비스에 대한 동시다발적 수요로 인하여 무리한 네트워크 자원 경쟁이 야기되고, 이에 따라 대역폭의 포화에 기인하는 전송 속도 및 서비스 품질의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a method of providing a bidirectional service through a general broadcast channel. In general, cable broadcast transmission systems have limitations on the available bandwidth of channel signals, and most of the bandwidth is already designated for a particular channel. Therefore, when transmitting a bidirectional service on an inband channel, simultaneous demand for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services by a plurality of users of a cable HFC network causes excessive network resource contention, thereby saturating bandwidth. Problems such as a decrease in transmission speed and quality of service are cau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케이블 방송 인프라를 이용하여 웹 기반 컨텐츠 등과 같은 타 매체를 위한 컨텐츠를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 양방향 서비스로 제공 및 활용 가능하도록 하여, 디지털 케이블 방송 사업자의 경쟁력을 높이고,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d use the content for other media such as web-based content as a bidirectional service in the digital cable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cable broadcasting infrastructure In this way, the competitiveness of digital cable broadcasting providers is enhanced and the demands of consumers are met.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유비쿼터스 서버를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 송신 방법은 양방향서비스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브라우징하는 단계, 상기 브라우징 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로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실행된 컨텐츠의 실행 상태를 이미지 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대역외 채널(Out of Band)을 통하여 수신 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the digital cable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idirectional service transmission method using a ubiquitous server, the step of browsing the content provided by the bidirectional service, receiving the data of the browsed content and Executing content with the received content data, encoding an execution state of the executed content into image data, and transmitting the encoded image data to a receiving unit through an out of band channel;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수신 유닛을 이용한 양방향서비스 수신 방법은 수신 중인 채널 신호가 상기 채널과 관련된 양방향서비스로 제공되는 컨텐츠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정보를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정보와 관련된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이벤트 트리거(trigger)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벤트 트리거를 통하여 컨텐츠 실행 요청을 받는 단계 및 상기 실행 요청받은 컨텐츠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대역외 채널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digital cable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receiving an interactive service using a receiving unit includes, when the channel signal being received includes information on whether there is content provided by the interactive service associated with the channel. Filtering information, displaying an event trigger on the screen that executes the content related to the filtered information, receiving a content execution request through the displayed event trigger, and an image of the requested content to be executed. Receiving data via an out-of-band channel.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bidirectional broadcast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첫째, 대역외 채널(Out of Band)을 통하여 양방향 서비스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송수신하게 됨으로써, 대역내 채널 전송을 위한 TS(Transport Stream) 패킷타이징 과정이 필요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 정보의 처리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First,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content provided by the bidirectional service through the out of band (TS), the TS (Transport Stream) packetizing process for in-band channel transmission is eliminated. Therefore, when the bidirectional service is provided, the processing speed of the information is improved.

둘째, TS 패킷타이징을 하지 않고 IP 패킷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므로, TS 헤더에 할당되는 데이터 비트 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 량을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전송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Second, since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n an IP packet without TS packetizing, the number of data bits allocated to the TS header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amount of data required to transmit the content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transmission efficiency.

셋째, 상이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컨텐츠를 디지털 케이블 방송 서비스에서 제공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별도의 추가적인 기술적 노력 및 경제적 손실 없이 방송 사업자 및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by providing content used in different network protocols in the digital cable broadcasting ser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contents to broadcasters and users without additional technical effort and economic lo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인밴드채널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인밴드채널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대역외 채널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대역외 채널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서버와 수신 유닛 사이의 양방향 서비스 컨테츠의 무결성을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유비쿼터스 서버의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서버의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의 무결성 확인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유닛의 동일한 양방향 컨텐츠에 대한 중복 또는 차 회 요청에 대한 유비쿼터스 서버의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수신 유닛이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채널과 관련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이벤트 트리거를 방송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유닛의 사용자가 수신 유닛에서 실행되는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 내에 포함된 이벤트를 호출할 수 있도록 유비쿼터스 서버에서 이벤트 트리거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 유닛이 수신하여 포커스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커스 처리가 된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idirectional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n in-band channel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 bidirectional service through an in-band channel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activ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n out-of-band channel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bidirectional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n out-of-band channel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of an interactive service of an interactive service providing system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firming the integrity of a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between a ubiquitous server and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idirectional service providing method of a ubiquitous server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hecking integrity of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s of a ubiquitous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ing method of a ubiquitous server for overlapping or next request for the same bidirectional content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eiving interactive service contents by a receiving unit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vent trigger for executing an interactive service content associated with a broadcast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broadcast scree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cessing event trigger information in a ubiquitous server so that a user of a receiving unit may call an event included in interactive service content executed in the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 receiving unit receives and focuses data including event trigger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cution screen of interactive service content including an image area subjected to focus process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o the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As used herein,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wide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rather than on the name of the term, and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디지털 케이블 방송은 인밴드 채널의 전송대역폭이 54~680MHz이며, 대역외 채널의 전송 대역폭은 하향식인 경우에는 70~130MHz, 상향식인 경우에는 5~42MHz이다. 인밴드 채널은 방송 프로그램인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가 송출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채널이며, 대역외 채널은 CA(Conditional Access) 정보,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등의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로 사용된다. 특히 국내에 적용된 OpenCable 규격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DOCSIS를 대역외 채널로 이용하는 DSG(DOCSIS Settop Gateway)를 적용하였다.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the in-band channel has a transmission bandwidth of 54 to 680 MHz, and the out-of-band channel has a transmission bandwidth of 70 to 130 MHz for the top-down channel and 5 to 42 MHz for the bottom-up channel. The in-band channel is a channel through which video and audio signals, which are broadcast programs, are transmitted from a transmission system, and the out-of-band channel is used as a channel for transmitting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content such as CA (Conditional Access) information and program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OpenCable standard applied in Korea applied DSG (DOCSIS Settop Gateway) using DOCSIS which provides internet service as out-of-band channel.

한편, 최근 DOCSIS 3.0은 채널 본딩(channel bonding)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본딩되는 채널 개수에 비례하는 크기의 데이터 통신 대역폭을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채널 본딩 기술로 기존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인터넷 서비스는 저속 인터넷 서비스에서 고속 인터넷 서비스로의 전환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제3자의 주파수 대역 사용에 의한 간섭의 영향이 줄어들게 되었다. 이에 따라, 케이블 방송의 HFC 망에서의 대역외 채널의 활용 가능성이 증대되었다.Meanwhile, in recent years, DOCSIS 3.0 has applied channel bonding technology to obtain a data communication bandwidth having a size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channels to be bonded. With this channel bonding technology, the internet service of the existing digital cable broadcasting system can be switched from the low speed internet service to the high speed internet service.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interference due to the use of third party frequency bands is reduced. Accordingly, the possibility of using an out-of-band channel in an HFC network of cable broadcasting has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인밴드채널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idirectional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n in-band channel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 소스(contents source; 1010), Head/End 시스템(H/E; 1020), PSIP/SI 시스템(PSIP/SI; 1030), 유비쿼터스 서버(UBS SVR; 1040),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UBS Manager; 1050), QAM 시스템(QAM; 1060) 및 수신 유닛(STB; 1070)을 포함한다.The interactive service providing system of FIG. 1 includes a content source (1010), a head / end system (H / E; 1020), a PSIP / SI system (PSIP / SI; 1030), a ubiquitous server (UBS SVR; 1040), A ubiquitous network manager (UBS Manager) 1050, a QAM system (QAM) 1060, and a receiving unit (STB) 1070.

컨텐츠 소스(1010)는 CP(contents provider), PP(program provider) 또는 웹 상의 컨텐츠 제공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source 1010 may include a content provider (CP), a program provider (PP), or a content provider on the web.

Head/End 시스템(1020)은 A/V 및 방송 정보를 제공한다. The head / end system 1020 provides A / V and broadcast information.

PSIP/SI 시스템(1030)은 방송 편성 정보 및 방송의 SI(System Information) 정보를 생성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PSIP / SI system 1030 may play a role of generating and delivering broadcast organization information and system information (SI) information of a broadcast.

유비쿼터스 서버(1040)는 상기 컨텐츠 소스(1010)에서 제공받은 컨텐츠 데이터로 수신 유닛(1070)이 이용 가능한 형태의 컨텐츠를 생성하게 된다.The ubiquitous server 1040 generates content in a form that can be used by the receiving unit 1070 from the content data provided from the content source 1010.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1050)는 케이블 네트워크의 사용량 관리 및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을 위한 전반적인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1050)는 유비쿼터스 서버(1040)에 내부에 구성될 수도 있다.The ubiquitous network manager 1050 may perform overall management functions for usage management and efficient content transmission of the cable network. The ubiquitous network manager 1050 may be configured internally in the ubiquitous server 1040.

QAM 시스템(1060)은 디지털 케이블 방송신호를 송출하는 수신 유닛(1070)으로 송출한다.The QAM system 1060 transmits to the receiving unit 1070 which transmits a digital cable broadcast signal.

수신 유닛(1070)은 유비쿼터스 서버(1040)에서 생성된 양방향 컨텐츠를 수신하여 실행한다. 이때, 수신 유닛(1070) 내에 양방향 컨텐츠의 원활한 실행을 위하여 플렉서블 브라우저(Flexible Browser; 1080)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1070 receives and executes the bidirectional content generated by the ubiquitous server 1040. In this case, the flexible browser 1080 may be provided in a hardware or software form in order to smoothly execute the interactive content in the receiving unit 107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인밴드채널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 bidirectional service through an in-band channel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 소스(2010), Head/End 시스템(H/E; 2020), PSIP/SI 시스템(PSIP/SI; 2030), 유비쿼터스 서버(UBS SVR; 2040),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UBS Manager; 2050), QAM 시스템(QAM; 2060), 수신 유닛(STB; 2070) 및 수신 유닛(2070) 내에 구비될 수 있는 플렉서블 브라우저(Flexible Browser; 208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interactive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es a content source 2010, a head / end system (H / E) 2020, a PSIP / SI system (PSIP / SI; 2030), and a ubiquitous server (UBS SVR) 2040. ), A ubiquitous network manager (UBS Manager) 2050, a QAM system (QAM) 2060, a receiving unit (STB) 2070, and a flexible browser 2080 that may be provided in the receiving unit 2070.

컨텐츠 소스(2010)는 CP/PP(2012), EPG 제공자(EPG Provider; 2011), 월드 가든(walled garden)형태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매니저 시스템(Contents Manager System; 2013), 오픈 컨텐츠의 형태인 인터넷 컨텐츠(Internet; 2014) 및 디지털 케이블 방송의 가입자의 특정 방송 또는 컨텐츠의 서비스 이용 권한을 확인하는 가입자관리시스템(Subscriptor Management System; 2015)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source 2010 is a content manager system (2013) that provides content in the form of CP / PP (2012), EPG Provider (EPG Provider) 2011, walled garden, and open content. It may include a subscriber management system (Subscriptor Management System; 2015) for confirming the subscriber's right to use the specific broadcast or content of the Internet content (Internet) 2014 and digital cable broadcasting.

Head/End 시스템(2020)은 A/V 및 방송 정보를 제공한다. The head / end system 2020 provides A / V and broadcast information.

PSIP/SI 시스템(2030)은 방송 편성 정보 및 방송의 SI(System Information) 정보를 생성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PSIP / SI system 2030 may play a role of generating and delivering broadcast organization information and system information (SI) information of a broadcast.

유비쿼터스 서버(2040)는 브라우저 모듈(Browser Module; 2041), 세션매니저(Session MGR; 2042), 캐시매니저(Cache MGR; 2043), 이미지인코더(Image Encoder; 2044), 압축부(Compressioner; 2045), 스크램블러(Scrambler; 2046), PSI 생성부(Program Specific Information Generator; 2047), TS 패킷타이저(Transport Stream packetizer; 2048) 및 송수신부(Transmitter; 2049)를 포함할 수 있다.The ubiquitous server 2040 may include a browser module 2041, a session manager 2042, a cache manager 2043, an image encoder 2044, a compression unit 2045, It may include a scrambler 2046, a PSI generator 2047, a transport stream packetizer 2048, and a transmitter and a transmitter 2049.

브라우저 모듈(2041)은 유비쿼터스 서버(2040) 내부와 외부의 컨텐츠 제공자들로부터 수신 유닛(2070)이 요청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브라우징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유비쿼터스 서버(2040) 내부에서 해당 컨텐츠를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실행된 컨텐츠의 실행 상태를 이미지 인코더(2044)에서 이미지화하여 이미지데이터로 인코딩한다.The browser module 2041 browses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requested by the receiving unit 2070 from the content providers inside and outside the ubiquitous server 2040 to receive data on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the ubiquitous server 2040. To play a role. The execution state of the executed content is imaged by the image encoder 2044 and encoded into image data.

도 2에 도시된 유비쿼터스 서버(2040)의 세부구성 중 인밴드채널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구성으로, PSI생성부(2047), TS(Transport Stream) 패킷타이저(2048)가 있다. In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ubiquitous server 2040 illustrated in FIG. 2, a PSI generation unit 2047 and a TS (Transport Stream) packetizer 2048 are provided for providing a bidirectional service through an in-band channel.

PSI생성부(2047)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비쿼터스 서버(2040)에서는 양방향 컨텐츠의 정보를 일반 A/V 와 마찬가지로 MPEG2-TS로 생성하여 수신 유닛(2070)으로 전달하는데, 유비쿼터스 서버(2040)에서 최초 수신한 양방향 컨텐츠는 TS의 형태가 아니므로 해당 컨텐츠에 대한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프로그램 지정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 The PSI generation unit 2047 will be described below. In the ubiquitous server 2040, the information of the bidirectional content is generated in MPEG2-TS like the general A / V and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unit 2070, but the bidirectional content first received by the ubiquitous server 2040 is not in the form of TS. There is no PSI (Program Specific Information) for this content.

방송 시스템의 TS 패킷은 188 바이트로 정해져 있으며, 4 바이트의 헤더,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가 존재한다. 페이로드에는 MPEG2-TS의 역 다중화 및 프로그램 제현에 필요한 정보를 테이블 형식으로 담아낸 메타데이터가 존재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PSI라고 지칭할 수 있다.The TS packet of the broadcasting system is determined to be 188 bytes, and there are 4 bytes of header and 184 bytes of payload. The payload includes metadata that contains information necessary for demultiplexing and program representation of MPEG2-TS in a table format, which may be referred to herein as PSI.

방송 신호는 방송 규격에 따라야 하므로, 최초 유비쿼터스 서버에서 수신한 양방향 컨텐츠는 방송망을 통하여 전송되려면 규격에 맞도록 PSI정보 등을 가지고 있는 형태의 TS(Transport Stream)로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PSI 생성부(2047)는 양방향 컨텐츠 데이터를 MPEG2-TS로 변경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컨텐츠에 대한 PSI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Since the broadcast signal must comply with the broadcast standard, the bidirectional content received from the first ubiquitous server should be changed to a TS (Transport Stream) having PSI information or the like in order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broadcast network. In this case, the PSI generation unit 2047 generates PSI information on content requir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bidirectional content data to MPEG2-TS.

PSI 생성부(2047)는 PSI 이외에 통상의 방송 시스템에서 필요한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S 패킷 헤더에 포함되는 PID(Packet Identifier)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2050)에서 할당될 수 있으나, PSI 생성부(2047)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 The PSI generator 2047 may play a role of generating information about a program required by a general broadcast system in addition to the PSI. For example, the PID (Packet Identifier) included in the TS packet header may be allocated by the ubiquitous network manager 2050, but may be generated by the PSI generator 2047.

즉, PSI 생성 부(2047)은 통상의 데이터 방송 시스템에서의 PSIP/SI와 같은 각종 방송 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 정보 생성자(System Information Generator; 미도시)와 연동하여 해당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PSI generator 2047 may generate and provid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cooperation with a system information generator (not shown) that generates various broadcast information such as PSIP / SI in a conventional data broadcasting system. .

TS 패킷타이저(TS Packetizer; 2048)는 브라우저 모듈(2041), 이미지 인코더(2044), 압축부(2045), 스크램블러(2046)를 통해 생성된 데이터를 디지털 방송으로 송출하기 위해 방송 규격에 맞추어 TS 패킷화하는 작업을 수행한다.The TS packetizer 2048 is a TS according to a broadcast standard to transmit data generated through the browser module 2041, the image encoder 2044, the compression unit 2045, and the scrambler 2046 through digital broadcasting. Perform packetization.

PSI 생성부(2047) 및 TS 패킷타이저(2048)에 의하여 MPEG2-TS 방송 규격에 맞추어 생성된 양방향 컨텐츠의 TS는 QAM 시스템(2060)을 통하여 수신 유닛(2070)으로 송출된다.The TS of the bidirectional content generated according to the MPEG2-TS broadcast standard by the PSI generation unit 2047 and the TS packetizer 2048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unit 2070 through the QAM system 2060.

도 2에서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2050)를 유비쿼터스 서버(2040) 외부에 도시하였으나, 시스템의 부하, 처리 성능 등의 조건에 따라 유비쿼터스 서버(2040) 내부에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2050)가 포함될 수 있다.In FIG. 2, the ubiquitous network manager 2050 is illustrated outside the ubiquitous server 2040, but the ubiquitous network manager 2050 may be included in the ubiquitous server 2040 according to the load, processing performance, and the like of the system.

도 2에 도시된 인밴드 채널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주파수 대역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대역외 채널을 사용하지 않고, 양방향 컨텐츠를 TS 패킷화 하여 인밴드 채널을 통하여 수신 유닛으로 송출하게 되므로, 기존의 방송망을 통하여, 기존의 방송 인프라로 양방향 컨텐츠를 수신 유닛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인밴드 채널의 주파수 대역에는 제한이 존재하여 다수의 디지털 케이블 방송 사용자의 요청을 모두 수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용량의 고급 컨텐츠의 제공은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bidirectional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in-band channel shown in FIG. 2 does not use an out-of-band channel having a relatively limited frequency band, and transmits the bidirectional contents into TS packets through the in-band channel to the receiving unit. Through the broadcasting network of th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xisting broadcasting infrastructure can utilize the interactive content in the receiving unit. However, there is a limit in the frequency band of the in-band channel has a problem that can not accommodate all the requests of a plurality of digital cable broadcasting user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provide a large amount of advanced content.

도 2에서 도시되었으나 설명되지 않은 구성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A configuration not shown but illustrated in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대역외 채널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activ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n out-of-band channel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 소스(3010), Head/End 시스템(H/E; 3020), PSI/SI 시스템(PSI/SI; 3030), 유비쿼터스 서버(Ubiquitous Server / UBS SVR; 3040),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Ubiquitous Network Manager / UBS MGR; 3050), 데이터 변환부(3060), QAM 시스템(QAM; 3070), 수신 유닛(STB; 3080) 및 플렉서블 브라우저(Flexible Browser; 309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interactiv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source 3010, a head / end system (H / E) 3020, a PSI / SI system (PSI / SI; 3030), a ubiquitous server ( Ubiquitous Server / UBS SVR; 3040, Ubiquitous Network Manager / UBS MGR; 3050, Data Conversion Unit 3060, QAM System (QAM; 3070), Receiving Unit (STB; 3080), and Flexible Browser (Flexible) Browser 3090).

컨텐츠 소스(3010)는 웹 기반 컨텐츠, 월드 가든 컨텐츠, CC, PP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양방향으로 서비스될 수 있는 컨텐츠를 유비쿼터스 서버(3040)로 제공한다.The content source 3010 may include web-based content, world garden content, CC, PP, and provide content that can be serviced in both directions to the ubiquitous server 3040.

H/E 시스템(3020)은, 디지털 케이블 방송시스템에서 A/V 신호 및 각종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고 압축 다중화하여 디지털 케이블 방송 대역폭으로 전송한다.The H / E system 3020 generates, compresses and multiplexes an A / V signal and various digital information in a digital cable broadcasting system, and transmits the digital cable broadcasting bandwidth.

PSIP/SI 시스템(3030)은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채널 라인업 및 프로그램 편성 정보 등의 채널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전송하여 수신 유닛(3080)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The PSIP / SI system 3030 generates channel related information such as channel lineup and program programming information of the digital cable broadcasting system and transmits the channel related information to be processed by the receiving unit 3080.

유비쿼터스 서버(3040)는 양방향 서비스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자(3010)로부터 수신하여 수신 유닛(3080)에게로 전송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유비쿼터스 서버(3040)는 컨텐츠 제공자(3010)로부터 수신한 최초 양방향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 유닛(3080)의 플랙서블 브라우저를 통해 수신 유닛(3080)의 플랫폼, 수신 유닛(3080)의 성능으로 구동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고 디지털 케이블 방송 환경에 적합하게 인코딩하여 케이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 유닛(3080)으로 전송한다. 또한, 유비쿼터스 서버(3040)는 SMS(Subscripter Management Sysyem),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등과 같은 케이블 방송시스템 내의 다른 시스템들과 연동하여 각 수신 유닛에 따른 개인화 정보와 같은 추가적인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The ubiquitous server 3040 serves to receive content provided by the interactive service from the content provider 3010 and transmit the content to the receiving unit 3080. At this time, the ubiquitous server 3040 can drive the first interactive content data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er 3010 at the performance of the platform of the receiving unit 3080 and the receiving unit 3080 through the flexible browser of the receiving unit 3080. Form and encode to suit the digital cable broadcasting environment and transmit to the receiving unit 3080 via the cable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he ubiquitous server 3040 may deliver additional data such as personalization information for each receiving unit in association with other systems in a cable broadcasting system such as a SMS (Subscripter Management Sysyem), a CAS (Conditional Access System), and the like.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3050)는 유비쿼터스 서버(3040)의 효율적인 응답을 위해 수신 유닛(3080)의 세션 관리를 수행한다. 일 실시 예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3050)에서 케이블 네트워크의 사용량 관리 및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을 위한 각종 제어가 실시될 수 있다. The ubiquitous network manager 3050 performs session management of the receiving unit 3080 for an efficient response of the ubiquitous server 3040. As an embodiment, the ubiquitous network manager 3050 may perform various controls for managing the usage of the cable network and for efficient content transmission.

도 3에서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3050)를 유비쿼터스 서버(3040) 외부에 도시하였으나, 시스템의 부하, 처리 성능 등의 조건에 따라 유비쿼터스 서버(3040) 내부에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3050)가 포함될 수 있다. In FIG. 3, the ubiquitous network manager 3050 is illustrated outside the ubiquitous server 3040, but the ubiquitous network manager 3050 may be included in the ubiquitous server 3040 according to the load, processing performance, and the like of the system.

데이터변환부(3060)는 모든 IP 멀티캐스트(Multicast) 세션에 대한 정보 관리 기능을 담당하고, 본딩 채널을 이용해 IP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해 DOCSIS 규격에 의한 멀티캐스트 제어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일 실시 예로서, 데이터변환부(3060)는 CMTS (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가 될 수 있다.The data conversion unit 3060 is responsible for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s for all IP multicast sessions, and defines a multicast control protocol according to the DOCSIS standard for transmitting IP multicast traffic using a bonding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 converter 3060 may be a 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 (CMTS).

QAM 시스템(3070)은 디지털 케이블방송에서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등의 MPEG 스트림을 채널별로 설정된 대역폭으로 송출하도록 관리할 수 있는 장비이다.The QAM system 3070 is a device capable of managing to transmit MPEG streams such as video, audio, data, etc. in a digital cable broadcasting with a bandwidth set for each channel.

플렉서블 브라우저(3090)는 수신 유닛(3080) 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유비쿼터스 서버(3040) 및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3050)와 통신하여 양방향 서비스를 요청하고 대역외 채널을 통하여 양방향 서비스를 수신받아 이를 실행한다. 즉, 플렉서블 브라우저(3090)는 수신 유닛(3080)의 운영체제 또는 플랫폼에 관계없이 유비쿼터스 서버(3040)로부터 전송되는 양방향 컨텐츠를 수신하여 수신 유닛(3080)이 활용하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flexible browser 3090 communicates with the ubiquitous server 3040 and the ubiquitous network manager 3050 as an application running in the receiving unit 3080 to request a bidirectional service and to receive a bidirectional service through an out-of-band channel. Do this. That is, the flexible browser 309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bidirectional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ubiquitous server 3040 and utilize the receiving unit 3080 regardless of the operating system or the platform of the receiving unit 3080.

도 4는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대역외 채널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bidirectional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n out-of-band channel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컨텐츠 소스(4010)는 CP/PP, EPG 제공자(EPG Provider, 월드 가든(walled garden)형태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매니저 시스템(Contents Manager System), 오픈 컨텐츠의 형태인 인터넷 컨텐츠(Internet) 및 디지털 케이블 방송의 가입자의 특정 방송 또는 컨텐츠의 서비스 이용 권한을 확인하는 가입자관리시스템(Subscriptor Management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source 4010 is a content manager system that provides content in the form of CP / PP, EPG provider, walled garden, Internet content in the form of open content, and digital cable. It may include a subscriber management system (Subscriptor Management System) for confirming the service use rights of the specific broadcast or content of the subscriber of the broadcast.

유비쿼터스 서버(4040)는 브라우저 모듈(Browser Module; 4041), 세션매니저(Session MGR; 4042), 캐쉬 매니저(Cache MGR; 4043), 인코더(Encoder; 4043), 압축부(Compressioner; 4044), 스크램블러(Scrambler; 4045) 및 송수신부(Transmitter; 4046)를 포함할 수 있다.The ubiquitous server 4040 includes a browser module 4041, a session manager 4042, a cache manager 4043, an encoder 4043, a compression unit 4044, and a scrambler. It may include a sccrambler 4045 and a transmitter / receiver 4046.

브라우저 모듈(4041)은 수신 유닛의 요청이나, 특정 스케줄에 의해 자동으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가 호출되어야 할 때, 서버 내에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에 대한 브라우징을 수행하고 해당 컨텐츠를 수신 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한다. 브라우저 모듈(4041)은 동영상, Flash, 각종 Application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와 컨텐츠에 속한 Active X와 같은 다양한 컴포넌트를 구동하기 위한 플러그인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통하여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실행시킬 수 있다.The browser module 4041 performs processing for browsing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in the server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receiving unit when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is to be automatically called by a request of the receiving unit or a specific schedule. Receive content data to perform. The browser module 4041 may include a plug-in for driving various types of content such as a video, Flash, various applications, and various components such as Active X belonging to the content. Therefore,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may be executed through the received content data.

브라우저 모듈(4041)의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순서에 있어서, 브라우저 모듈(4041)은 월드 가든(Walled Garden)형 컨텐츠인 경우 캐쉬 매니저(4043)와 연계하여 해당 컨텐츠의 우선 순위를 높게 설정하여 다른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 보다 선처리 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In the processing order of the content data of the browser module 4041, the browser module 4041 may set the priority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association with the cache manager 4043 in the case of World Garden-type content to set another priority for the interactive service. It can play a role of controlling to preprocess content.

브라우저 모듈(4041)은 인터넷 컨텐츠와 같은 오픈 컨텐츠 유형의 서비스는 실시간으로 컨텐츠를 브라우징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브라우저 모듈(4041)에서는 수신 유닛(4080)으로 전달한 이전에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와 수신 유닛(4080)의 재요청에 의해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비교하여 후에 실행 요청되어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에 변경된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변경된 영역만 전송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이렇게 유비쿼터스 서버(4040)와 수신 유닛(4080)에서 주고받는 데이터 양을 줄임으로써, 네트워크 사용 효율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The browser module 4041 may receive content data by browsing content in real time such as an open content type service such as Internet content. In addition, the browser module 4041 compares the previously received content data delivered to the receiving unit 4080 with the content data received by the re-request of the receiving unit 4080, and is subsequently executed to be changed to the received content data. If this exists, only the changed area can be transferred. By reducing the amount of data exchanged between the ubiquitous server 4040 and the receiving unit 4080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mprove network usage efficiency.

세션 매니저(4042)는 수신 유닛(4080)의 요청이나, 특정스케줄에 의해 자동으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생성하는 등의 유비쿼터스 서버(4040)와 수신 유닛(4080) 사이에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 전송이 일어날 때, 유비쿼터스 서버(4040)의 자원 관리를 위해 세션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외에 수신 유닛(4080)의 장애나 네트워크의 장애 등 예상하지 못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유비쿼터스 서버(4040)의 리소스 반환을 위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유비쿼터스 서버는 병렬적으로 구성되어 수많은 방송 및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 처리를 수행하게 되는데, 특정 유비쿼터스 서버(4040)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다른 유비쿼터스 서버와 통신하여 복구 기능을 수행하도록 처리할 수 있고, 장애 유비쿼터스 서버가 복구될 때까지 수신 유닛(4080)의 요청을 다른 유비쿼터스 서버(4040)가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session manager 4042 sends a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between the ubiquitous server 4040 and the receiving unit 4080 such as a request of the receiving unit 4080 or automatically generating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according to a specific schedule, The session processing is performed for resource management of the ubiquitous server 4040. In addition, a process for resource return of the ubiquitous server 4040 may be performed in case an unexpected error occurs such as a failure of the receiving unit 4080 or a network failure. In addition, the ubiquitous server is configured in parallel to perform numerous broadcast and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processing. When a specific ubiquitous server 4040 fails, the ubiquitous server can communicate with other ubiquitous servers to perform a recovery function. Until the ubiquitous server is restored, another ubiquitous server 4040 may control the request of the receiving unit 4080 to process.

캐쉬 매니저(4043)는 양방향 서비스의 응답 성능 및 유비쿼터스 서버(4040)의 작업 수행 성능의 개선을 위해 캐쉬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량이 많은 양방향 서비스는 캐쉬 매니저에 등록하고 저장하여, 이미 등록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는 인코더(4044)에서 인코딩하지 않도록 처리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 유닛(4080)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가 오픈 컨텐츠 같은 것인 경우, 인터넷 프락시(Proxy)기능을 캐쉬 매니져(4043)에서 수행할 수 있다.The cache manager 4043 performs a cache function to improve the response performance of the bidirectional service and the performance performance of the ubiquitous server 4040. The bidirectional service that is busy may be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cache manager so that the already registered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may not be encoded by the encoder 4044 and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he stored data to the receiving unit 4080. In addition, when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is an open content, the Internet proxy function may be performed by the cache manager 4043.

인코더(4044)는 브라우저 모듈(4041)에 의해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가 실행되면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전송부분을 수신 유닛이 처리할 수 있는 포맷으로 인코딩한다. 브라우저 모듈(4041)에서는 동영상, Flash 및 각종 Application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와 그에 속한 Active X와 같은 다양한 컴포넌트를 구동할 수 있고, 인코더는 구동된 컨텐츠와 컴포넌트를 함께 인코딩한다.The encoder 4044 encodes a transmission part for the content in a format that the receiving unit can process when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is executed by the browser module 4041. The browser module 4041 may drive various kinds of content such as video, Flash, and various applications, and various components such as Active X. The encoder encodes the driven content and components together.

인코더(4044)의 인코딩 방법의 일 실시 예로, 브라우저 모듈(4041)이 수신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의 컨텐츠 데이터로 해당 컨텐츠를 실행하면, 컨텐츠가 실행된 상태의 화면을 전체 이미지로 하여, 전체 이미지에서 영역을 구분하여 영역별 인코딩을 실행할 수 있다. 영역별로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는 인코딩 시, 인코더(4044)는 해당 이미지 데이터가 수신 유닛(4080)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위치하는 좌표의 정보를 포함시켜 인코딩할 수 있다. 수신 유닛(4080)에서는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좌표 정보를 통하여 각 영역별로 구분된 이미지를 정확한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인코딩 방식으로 수신 유닛(4080)은 수신 유닛(4080)의 하드웨어 또는 미들웨어의 성능과 관계없이 이미지 처리된 컨텐츠 데이터를 유비쿼터스 서버(4040)에서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으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미지화 인코딩으로 이미 웹이나 인터넷 방송에서 제공되고 있는 컨텐츠를 디지털 케이블 방송을 위하여 변경하여 재생산하는 과정이 필요 없게 되고, 디지털 케이블 방송을 위한 독자적인 컨텐츠 개발에 필요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encoding method of the encoder 4044, when the browser module 4041 executes the content with the content data of the received interactive service content, the screen in which the content is executed is a full image, and the area of the entire image is displayed. Area-specific encoding can be performed by separating. When encoding the image data encoded for each region, the encoder 4044 may encode the image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coordinates located when the image data is displayed on the receiving unit 4080. The receiving unit 4080 may decode the encoded image data and display the image divided for each region at the correct position through the coordina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mage data. In this encoding scheme, the reception unit 4080 may us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by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imaged content data from the ubiquitous server 4040 regardless of the performance of hardware or middleware of the reception unit 4080. In addition, this image encoding method eliminates the process of reproducing and reproducing contents already provided on the web or internet broadcasting for digital cable broadcasting, and saves the cost and time required to develop original contents for digital cable broadcasting. It works.

인코딩 과정에서 구분되는 영역의 픽셀이나 크기는 컨텐츠 내에 포함되는 이벤트 트리거(Event Trigger) 표시 부분, 컨텐츠 내에서 자주 변경이 일어나는 부분 등의 정보를 참조하여 유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인코더(4044)는 자주 변경되어야 하는 영역이나, 이벤트 트리거를 포함하는 부분에 대한 포커스 처리 정보, 티커(Ticker) 서비스의 텍스트 부분으로 실시간 인코딩되어 전송되어야 할 부분에 대한 정보를 함께 포함시켜 인코딩할 수 있다.The pixel or size of the region divided in the encoding process may be changed flexibly with reference to information such as an event trigger display part included in the content and a part frequently changed in the content. In addition, the encoder 4044 encodes an area to be frequently changed, focus processing information on a part including an event trigger, and information on a part to be encoded and transmitted in real time into a text part of a ticker service. can do.

컨텐츠에 대한 전송부분은 수신 유닛(4080)이 컨텐츠를 활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내용으로서, 예를 들면 컨텐츠의 실행 상태, 컨텐츠에 포함된 컴포넌트, 바이너리(binary), 텍스트(text),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image) 등이 될 수 있다.The transmission part for the content is the content necessary for the receiving unit 4080 to utilize the content, for example, the execution status of the content,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ntent, binary, text, and images included in the content. (image) or the like.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의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과정에서 유비쿼터스 시스템의 규약에 맞게 인코딩할 수 있는데, 유비쿼터스 시스템의 규약에는 수신 유닛에서 이미지화되어 인코딩된 컨텐츠 데이터가 처리되어야 하는 방식에 대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화되어 인코딩된 컨텐츠 테이터가 수신 유닛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어야 할 위치의 좌표 정보, 수신 유닛(4080)에서 인식하여야 할 포커스처리 정보, 티커(Ticker)와 같이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텍스트 부분에 대한 정보, 월드 가든 서비스와 같이 서비스에서 통일성을 위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용 컴포넌트 및 라이브러리의 취급 방법과 같은 다양한 규약이 존재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encoding the data of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the encoding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otocol of the ubiquitous system. The protocol of the ubiquitous system may include a method in which the content data imaged and encoded in the receiving unit should be processed. For example, the image data encoded in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receiving unit, the focusing information to be recognized in the receiving unit 4080, the text portion that is changed in real time, such as ticker (Ticker) There can be various conventions such as information about how to handle common components and libraries that can be used together for uniformity in services, such as World Garden Services.

압축부(4045)는 네트워크 사용량과 전송시간의 단축을 위해 이미지화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압축한다.The compression unit 4045 compresses the imaged interactive service content in order to reduce network usage and transmission time.

스크램블러(4046)는 유비쿼터스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양방향 서비스가 유료 컨텐츠이거나 컨텐츠 내에서 처리되는 데이터가 개인정보, 결제 정보 등의 보안이 필요한 정보인 경우에는 암호화시켜 특정 수신 유닛(4080)에서만 처리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암호화하는 데이터는 전체 컨텐츠 일 수 있고, 컨텐츠에 포함된 텍스트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 등 컨텐츠의 일부 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게임이라는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 묶음에 바둑, 테트리스, 맞고와 같은 개별의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묶어서 유료서비스로 구성하거나, 각 개별 서비스를 유료서비스로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오픈 컨텐츠를 이용하는 권한을 할당하여 유료화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램블러(4045)가 해당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유비쿼터스 서버(4040)에서 수신 유닛(4080)으로 전송하기 위해 처리하는 과정에서 암호화한다. 스크램블러(4046)는 해당 양방향 서비스에 대한 권한을 종래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가입자 관리 시스템의 정보, CAS(Conditional Access System)와 연동하여 처리할 수 있다.The scrambler 4046 may encrypt and process only the specific receiving unit 4080 when the interactive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ubiquitous system is paid content or data processed in the content is information requiring security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and payment information. Process it. The data to be encrypted may be the entire content, or may be part of the content such as text data or image data included in the content. In one embodiment, a bundle of interactive service contents, such as a game, may be configured as a paid service by tying individual interactive service contents such as Go, Tetris, and Batgi, or each individual service may be configured as a paid service. Alternatively, an authority to use open content may be assigned and paid. In this case, the scrambler 4045 encrypts the corresponding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in the process of being processed by the ubiquitous server 4040 for transmission to the receiving unit 4080. The scrambler 4046 may process rights for the corresponding interactive service in association with information of a subscriber management system of a conventional digital cable broadcasting system and a conditional access system (CAS).

송수신부(4047)는 인코더(4044) 및 압축부(4045)에서 생성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의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 유닛(4080)으로 전송한다.The transmitter / receiver 4047 transmits encoded image data of the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generated by the encoder 4044 and the compressor 4045 to the receiving unit 4080.

데이터변환부(4060)는 전송 과정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IP 데이터 패킷 등으로 변환하고 IP 소켓 통신을 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유니캐스팅(Unicasting) 또는 멀티캐스팅(Muliticasting)을 수행한다. 멀티캐스팅의 경우, 수신 유닛(4080) 내에 세션 필터(Session Filter; 미도시)를 구비하여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여러 수신 유닛에 전달 되도록 할 수 있다.The data conversion unit 4060 performs unicasting or multicasting that converts the image data into IP data packets and the like and transmits the data through IP socket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multicasting, a session filte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receiving unit 4080 to transmit encoded image data to various receiving units.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는 대역외 채널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종래의 DOCSIS 1.0, 2.0 규격에서는 대역외 채널을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은 좁은 대역폭으로 인하여 그 속도 면에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DOCSIS 3.0의 채널 본딩 기술로 대역외 채널의 대역폭을 획기적으로 확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데이터 전송 속도와 전송량이 향상되었다.Image data converted into data packets may be transmitted through an out-of-band channel. In the conventional DOCSIS 1.0 and 2.0 standard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through an out-of-band channel is not suitable for real-tim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s in view of its speed due to a narrow bandwidth. However, the recent channel bonding technology of DOCSIS 3.0 enables significant bandwidth expansion of out-of-band channels, resulting in increased data rates and throughput.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4050)는 서버 세션 모니터(SVR Session Monitor; 4051) 및 데이터 베이스(DB; 40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ubiquitous network manager 4050 may include a server session monitor 4051 and a database 4052.

서버 세션 모니터(4051)는, 수신 유닛(4080)에서 양방향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양방향 서비스를 요청한 수신 유닛(4080)과 유비쿼터스 서버(4040)와 양방향 통신을 하게 되면 해당 서버에 세션이 발생했다는 것을 감지한다. 유비쿼터스 서버(4040)는 병렬로 연결되어 구성할 수 있는데, 서버 세션 모니터(4051)는 수신 유닛(4080)의 요청을 처리하는 유비쿼터스 서버(4040) 자원 배분을 수행하며, 특정 유비쿼터스 서버(4040)의 장애 시 수신 유닛(4080)의 요청에 대한 세션을 다른 유비쿼터스 서버(4040)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정보를 갱신해준다.When the server session monitor 4051 requests the bidirectional service from the receiving unit 4080, when the receiving unit 4080 perform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unit 4080 requesting the bidirectional service and the ubiquitous server 4040, the server session monitor 4041 indicates that a session has occurred in the server. Detect. The ubiquitous server 4040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in parallel. The server session monitor 4041 performs resource allocation of the ubiquitous server 4040 which processes a request of the receiving unit 4080, and performs a specific ubiquitous server 4040. In the event of a failure, the ubiquitous server 4040 updates the information so that the session for the request of the receiving unit 4080 can be processed.

데이터 베이스(4052)는 서버 별 세션에 대한 정보, 월드 가든 서비스와 지정된 오픈 컨텐츠 등과 같은 이용 가능한 컨텐츠의 서비스ID와 같은 관리 정보 등을 관리한다.The database 4052 manages information about sessions per server, management information such as service IDs of available contents such as world garden services and designated open contents, and the like.

도 4에서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4050)를 유비쿼터스 서버(4040) 외부에 도시하였으나, 시스템의 부하, 처리 성능 등의 조건에 따라 유비쿼터스 서버(4040) 내부에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4050)가 포함될 수 있다.In FIG. 4, the ubiquitous network manager 4050 is shown outside the ubiquitous server 4040, but the ubiquitous network manager 4050 may be included in the ubiquitous server 4040 according to the load, processing performance, and the like of the system.

수신 유닛(4080)은 인밴드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고 수신 유닛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인밴드 프로세서(inband Processor; 4081), 대역외 채널을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대역외 채널 프로세서(Out of Band Processor; 4083) 및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4082)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4080 may include an inband processor 4081 that processes a signal received through inband and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receiving unit, and an out-of-band channel processor that processes a signal received through an out-of-band channel ( An out of band processor 4083 and a transceiver 4022 that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signals.

수신 유닛(4080)은 플렉서블 브라우저(40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4080 may further include a flexible browser 4090.

플렉서블 브라우저(4090)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수신 유닛(4080) 내에 저장되는 언 바운드 어플리케이션(Unbound Application)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수신 유닛(4080) 구동 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유비쿼터스 시스템을 이용한 양방향 및 단방향 서비스를 실행 및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flexible browser 4090 may be in the form of an unbound application stored in the receiving unit 4080 in a digital cable broadcasting environment. The flexible browser 4090 is an application executed when the receiving unit 4080 is driven. It can play a role of executing and managing two-way and one-way services.

플렉서블 브라우저(4090)는 파서(Parser; 4091), 필터(filter; 4092), 컨텐츠 관리부(Content Manager; 4093), 프로토콜 관리부(Protocol Manager; 4094), 포커스 처리부(Focus Handler; 4095), 플러그인(Plug-in; 4096), 이미지 관리부(Image Manager; 4097) 및 저장부(Memory; 4098)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exible browser 4090 includes a parser 4091, a filter 4092, a content manager 4093, a protocol manager 4094, a focus handler 4095, and a plug-in. -in; 4096, an image manager 4097, and a memory 4098.

파서(4091)는 서비스 컨텐츠를 파싱하여 자료별로 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파서(4091)는 유비쿼터스 서버의 이미지 인코더에서 포함되는 여러 정보를 조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의 종류에 대한 정보, 이미지화되어 인코딩된 컨텐츠 테이터가 수신 유닛(4080)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어야 할 위치의 좌표 정보, 수신 유닛(4080)에서 인식하여야 할 포커스 처리 정보, 티커(Ticker) 서비스와 같이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텍스트 부분에 대한 정보, 월드 가든 서비스와 같이 서비스에서 통일성을 위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용컴포넌트 및 라이브러리의 취급 정보가 조합될 수 있다.The parser 4091 parses the service contents and combines them for each material. The parser 4091 may combine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mage encoder of the ubiquitous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formation on the type of interactive service content, coordinate information of a position at which imaged and encoded content data is to be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receiving unit 4080, focus processing information to be recognized by the receiving unit 4080, and a ticker (Ticker) Information about text parts that change in real time, such as the World Garden service, and common component and library handling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gether for uniformity in the service can be combined.

필터(4092)는 수신 중인 채널의 스트림 중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 실행 정보가 존재하면 해당 정보를 필터링하여,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 타입에 맞게 서비스 실행을 위한 이벤트 처리를 수행한다.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 실행 정보는 양방향으로만 처리되어야 하는지 혹은 단방향으로 처리 가능한 것인지 식별하는 서비스의 타입, 서비스 종류, 서비스 ID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이러한 양방향 서비스 실행 정보는 컨텐츠를 편성하는 시스템에서 제공될 수 있으며, 위 시스템에서 TS(Transport Stream) 내에 특정 위치에 양방향 서비스 실행 정보를 포함하도록 TS를 가공할 수 있을 것이다.The filter 4092 filter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when there is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execution information in the stream of the receiving channel, and performs event processing for service execution according to the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type.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execu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service type, service type, and service ID for identifying whether only bidirectional processing or unidirectional processing is possible. Such bidirectional service execu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a system for organizing content, and in the above system, the TS may be processed to include the bidirectional service execution information at a specific location in a transport stream (TS).

컨텐츠 관리부(4093)는 수신받은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한다. 라이프 사이클 관리는 미들웨어나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인 모니터 어플리케이션이 제어 및 관리하는 라이프 사이클과는 상이한 것으로, 유비쿼터스 서버(4040)에서 전달하는 이미지 및 메타데이터 기반의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는 것이다. 더불어 종래의 언 바운드 어플리케이션 및 바운드 어플리케이션 등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중복 처리 및 표시가 되지 않도록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의 처리를 수행한다. 일 실시 예로, 수신받은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가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이면 자동으로 화면상에 출력하고, 대기 상태로 있는 것이면 시청자의 외부입력이 있기 전까지 대기 상태로 있도록 처리한다. 또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의 시작 및 종료에 대한 수신 유닛(4080)의 요청을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4050)로 전달한다. 동시에 수신 유닛(4080)의 자원 배분과 같은 리소스에 대한 처리도 함께 수행한다. 즉, 컨텐츠 관리부(4093)는 한정된 수신 유닛(4080)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The content manager 4093 manages a life cycle of the received interactive service content. Life cycle management is different from the life cycle controlled and managed by the monitor application, which is a middleware or a system application, and manages the life cycle of the image and metadata-based interactive service contents delivered from the ubiquitous server 4040. In addition, when the conventional unbound application, the bound application, and the like are activated, the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is processed so that the overlapping and display of the application service is not performed. In one embodiment, if the received interactive service content is automatically executed, the screen automatically outputs the received interactive service content, and if the received interactive service content is in the standby state, the received interactive service content is in the standby state until there is an external input of the viewer. In addition, the request of the receiving unit 4080 for the start and end of the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ubiquitous network manager 4050. At the same time, processing for resources such as resource allocation of the receiving unit 4080 is also performed. That is, the content management unit 4093 serves to assist the resource of the limited receiving unit 4080 to be used efficiently.

프로토콜 관리부(4094)는 유비쿼터스 서버(4040)에서 생성된 이미지 및 데이터를 프로토콜에 맞게 처리한다. 유비쿼터스 시스템의 규약에는 이미지화되어 인코딩된 컨텐츠 테이터가 수신 유닛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어야 할 위치의 좌표 정보, 수신 유닛(4080)에서 인식하여야 할 포커스처리 정보, 티커(Ticker) 서비스와 같이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텍스트 부분에 대한 정보, 월드 가든 서비스와 같이 서비스에서 통일성을 위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용컴포넌트 및 라이브러리의 취급 방법과 같은 다양한 규약 존재할 수 있는데, 이러한 규약에 따른 정보를 해석하여 수신 유닛(4080)이 해석된 정보에 따라 컨텐츠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otocol manager 4094 processes the image and data generated by the ubiquitous server 4040 according to the protocol. In the protocol of the ubiquitous system, text that is changed in real time such as coordinate information of a location where image data encoded and encoded is to be displayed on a screen of a receiving unit, focus processing information to be recognized by the receiving unit 4080, and a ticker service. There may be various protocols such as information on parts, how to handle common components and libraries that can be used together for uniformity in services, such as World Garden Service, and the receiving unit 4080 is interpreted by interpreting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se protocols. Use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일 실시 예로, 티커(Ticker)가 표시되는 이미지 영역은 실시간으로 변경되어야하므로, 이 영역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 실시간으로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정보를 인식하여 티커(Ticker)가 표시되는 이미지 영역은 실시간으로 바뀔 수 있도록 제어하는 한편 나머지 영역의 이미지는 종래의 이미지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좌표 정보를 디코딩하고 디코딩 과정에서 프로토콜에 맞게 해석하여 구분된 이미지 영역이 수신 유닛(4080)에서 정확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since the image area in which the ticker is displayed should be changed in real time, the image area in which the ticker is displayed is changed in real time by recognizing information controlling to receive new image data for this area in real time. While the image of the remaining area can be controlled to maintain the conventional image. In addition, the coordina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ncoded image data may be decoded and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otocol in the decoding process so that the divided image region may be displayed at the correct position in the receiving unit 4080.

포커스 처리부(4095)는 TV 화면상에 서비스가 표시되고 시청자가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방송 특성상 서비스 화면에서의 유용한 포커스 처리를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커스 이동에 대한 입력 처리를 즉각적으로 발생시켜 서비스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이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The focus processing unit 4095 displays a service on a TV screen and performs useful focus processing on the service screen due to the digital broadcasting characteristic that the viewer uses it. In more detail, an input process for focus movement is immediately generated to process the service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using a service.

일 실시 예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의 실행 상태의 특정 영역에 이벤트 트리거가 포함된 경우, 인코딩된 특정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이벤트 트리거 포함 정보를 해석하여 수신 유닛(4080)에서 해당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 실행 상태를 디스플레이 시, 이벤트 트리거가 포함된 이미지 영역을 리모컨의 방향 키 등의 사용자 입력으로 포커스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포커스 된 이미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실행 키 등의 입력으로 이벤트가 호출될 수 있다. 또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중 해당 프로그램과 관련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 실행을 위한 이벤트 트리거가 디스플레이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이에 대한 처리와 2 이상의 이벤트 트리거가 존재하는 경우 이벤트 트리거 사이의 포커스 이동 요청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an event trigger is included in a specific region of the execution state of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the corresponding interactive service content execution state is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4080 by interpreting the event trigger inclus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mage data of the encoded specific region. , The image area including the event trigger can be processed to focus on a user input such as a direction key of the remote controller. In the focused image area, an event can be called by input of an execution key of the user. Alternatively, when viewing an digital broadcast program, an event trigger for executing an interactive service content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program needs to be displayed and receiving a focus shift request between the event triggers when two or more event triggers exist. Can be processed.

마우스와 키보드로 제어하는 PC기반의 서비스와 다르게 통상 방송 서비스는 리모컨의 방향키와 숫자버튼 및 특정기능키만으로 제어할 수 있다. 리모컨의 네비게이션이 상/하/좌/우 방향키로 되기 때문에 오픈 컨텐츠와 같은 네비게이션이 자유로운 컨텐츠는 입력 포커스가 가능한 부분만 포커싱이 가능하게 포커스 ID, 포커스 입력순위와 좌표위치를 할당하여 상/하/좌/우를 선택함에 따라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포커스가 이동하게 처리한다. 포커싱 정보는 유비쿼터스 서버(4040)의 인코딩 시점에 프로토콜에 맞게 인코딩된다. 또한, 입력마다 포커스가 반응하고 화면에 출력되지 않는 정보가 실시간으로 갱신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포커스 처리부(4095)는 이미지 관리부(4097)와 연계하여 저장 가능한 다량의 정보를 저장하여 안정적인 네비게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Unlike a PC-based service controlled by a mouse and a keyboard, a general broadcast service can be controlled only by using a direction key, a number button, and a specific function key of a remote controller. Since the navigation of the remote control is the up, down, left, and right arrow keys, freely navigable content such as open content can be focused only on the part where the input focus is possible, by assigning focus ID, focus input rank, and coordinate position. As the left / right is selected, the priority is determined and the focus is moved. The focusing information is encoded according to the protocol at the time of encoding of the ubiquitous server 4040. In addition, the focus responds to each input and functions to update the information that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in real time. In this case, the focus processor 4095 may perform a stable navigation by stor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that can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image manager 4097.

플러그 인(4096)은 인터넷과 같은 오픈 컨텐츠 서비스의 특성상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가 서비스될 수 있는데, 이러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실행하기 위한 각종 이미지 재생기, 텍스트 리더, 인터넷 동영상 재생기, Flash, Active X 및 Pay Gate와 같은 결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 브라우저(4090)에 내장될 수 있다. 인터넷 컨텐츠 이외에 PC상에서 실행 가능한 모든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에 적용이 가능하다. 플렉서블 브라우저(4090)에 해당 멀티미디어 정보의 실행 모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멀티미디어 정보는 유비쿼터스 서버(4040)에서 해당 멀티미디어 정보에 대한 이미지 인코딩 과정을 거치지 않고, 해당 멀티미디어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직접 수신 유닛(408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 유닛(4080)에서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플러그 인(4096)은 저장한 데이터를 통해 해당 멀티미디어 정보를 실행할 수 있다. The plug-in 4096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multimedia informa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n open content service such as the Internet, and various image players, text readers, Internet video players, Flash, Active X, and Pay Gate for executing such multimedia information. The payment module may be included, and may be embedded in the flexible browser 4090. It can be applied to all services and applications that can be executed on a PC in addition to Internet contents. When the execution module for the multimedia information exists in the flexible browser 4090, the multimedia information is directly received by the ubiquitous server 4040 without receiving an image encoding process for the multimedia information, and receiving the data for the multimedia information directly. 4080). The receiving unit 4080 may receive and store the corresponding data, and the plug-in 4096 may execute the corresponding multimedia information through the stored data.

플러그 인(4096)이 어떠한 종류의 실행 모듈을 포함할 것인지는 수신 유닛(4080)의 하드웨어의 성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플러그 인(4096)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는 유비쿼터스 서버(4040)에서의 인코딩 과정과 수신 유닛(4080)에서의 별도의 디코딩 과정이 필요 없으므로 유비쿼터스 시스템의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at kind of execution module the plug-in 4096 will include may depend on the capabilities of the hardware of the receiving unit 4080.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that can be executed by the plug-in 4096 does not need an encoding process in the ubiquitous server 4040 and a separate decoding process in the receiving unit 4080, thereby saving resources of the ubiquitous system. .

이미지 관리부(4097)는, 사용이 빈번한 이미지, 라이브러리 등과 같은 공통모듈은 이미지 관리부(4097)에서 관리하며 새로 다운로드 하지 않고 바로 수신 유닛(4080)의 저장부(4098)에서 읽어서 처리한다. 이미지 관리부(4097)에서, 웹 페이지와 같은 오픈 컨텐츠 서비스의 경우 히스토리 저장 기능을 두어 이전에 시청했던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시청자가 이전 화면을 호출하면 서버에서 재수신 받지 않고 바로 저장부(4098)의 데이터를 활용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사용이 빈번한 공통 모듈인지 여부는 유비쿼터스 서버(4040)에서 인코딩시 포함되는 정보에 의하여 프로토콜 관리부(4094)에서 디코딩하여 인식할 수 있고, 이미지 관리부(4097)의 자체적인 이미지 사용 빈도 측정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The image manager 4097 manages common modules such as frequently used images, libraries, etc. in the image manager 4097 and immediately reads them from the storage 4098 of the receiving unit 4080 without newly downloading them. In the image management unit 4097, in the case of an open content service such as a web page, a history storage function is provided to store information on a previously viewed page, and when the viewer calls a previous screen, the storage unit 4098 is not received again from the server. Control to utilize the data. In this case, whether the common module is frequently used may be decoded and recognized by the protocol manager 4094 based 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ncoding of the ubiquitous server 4040, and may be determined by measuring an image use frequency of the image manager 4097. It may be.

즉, 이미지 관리부(4097)의 역할로 동일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에 대한 수신 유닛(4080)의 재요청이 있는 경우, 이미 생성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유비쿼터스 서버(4040)에서 다시 생성하여 수신 유닛(4080)으로 전송하는 경우 발생하는 수신 유닛(4080) 및 유비쿼터스 서버(4040)의 자원 낭비와 수신 유닛(4080)과 유비쿼터스 서버(4040) 사이의 전송 효율 저하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That is, when there is a re-request of the receiving unit 4080 for the sam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as the role of the image manager 4097, the ubiquitous server 4040 generates the image data for the already generated content data again and receives the receiving unit (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resource waste of the reception unit 4080 and the ubiquitous server 4040 and the decrease in transmission efficiency between the reception unit 4080 and the ubiquitous server 4040 generated when transmitting to the 4080.

저장부(4098)는 수신 유닛(4080)의 메모리 중 특정 영역을 플렉서블 브라우저(4090)가 사용 가능한 영역으로 지정한 공간으로, 저장부(4098)에는 이미지 및 각종 이용 정보를 저장하고 이미지 관리부(4097) 등이 필요할 때마다 로드(Load)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리소스 반납을 적절한 시기에 수행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4098 is a space in which a specific area of the memory of the receiving unit 4080 is designated as an area available to the flexible browser 4090. The storage unit 4098 stores an image and various usage information, and stores the image manager 4097. It can be loaded and used whenever it is needed. Resource return can be done in a timely manner for efficient use of resource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of an interactive service of an interactive service providing system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채널로 이동하면 수신 유닛의 플렉서블 브라우저는 현재 수신 중인 채널의 스트림 중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의 실행 정보를 필터링한다(S5010). 필터링 결과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 실행정보가 있다면, 양방향 서비스 타입을 확인하고,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 실행을 위한 이벤트 트리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moves to a broadcast channel including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the flexible browser of the receiving unit filters execution information of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in the stream of the channel currently being received (S5010). If the filtering result includes the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execution information, the bidirectional service type may be checked and an event trigger for executing the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may be displayed.

사용자가 이벤트 트리거를 인지하고 양방향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외부입력을 선택하면, 플렉서블 브라우저는 대역외 채널(리턴패스)을 통해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로 서비스 확인 요청 정보를 전달한다(S5020). 서비스 확인 요청을 수행할 때 플렉서블 브라우저는 현재 시청하는 채널의 TSID(Transport Stream ID), 채널 할당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서비스 ID,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수신 유닛의 맥 주소(Mac Address) 정보 등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URL 정보는 오픈 컨텐츠의 경우 서비스 ID가 없는 인터넷 컨텐츠의 URL을 바로 요청할 때 필요하다.When the user recognizes an event trigger and selects an external input for executing a bidirectional service, the flexible browser transmits service confirm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ubiquitous network manager through an out-of-band channel (return pass) (S5020). When performing the service check request, the flexible browser checks the transport stream ID (TSID), channel allocation frequency, program number, service ID,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of the channel being viewed, and the MAC address of the receiving unit. Can be sent together. URL information is required when requesting a URL of Internet content without a service ID in the case of open content.

서비스 확인 요청을 수행함으로써, 첫째, 수신 유닛에서는 양방향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안전한 네트워크 대역폭을 확보할 수 있으며, 둘째, 유비쿼터스 서버 단에서는 네트워크 리소스에 대한 재분배가 가능해진다. 셋째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에 대한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무결성 검증이란, 컨텐츠의 사용 권한 요구, 컨텐츠 데이터에 오류 발생 등의 조건하에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가 정상적으로 수신 유닛에 서비스 가능한지 여부를 검토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By performing the service confirmation request, first, the receiving unit can secure a secure network bandwidth for receiving the bidirectional service, and second, the ubiquitous server end can redistribute network resources. Third, the effect of verifying the integrity of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can be expected. In this case, the integrity verification refers to a process of examining whether or not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can be serviced to the receiving unit normally under conditions such as a request for permission to use the content and an error in the content data.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유비쿼터스 서버의 세션 정보 및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 관리정보가 존재한다.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가 유비쿼터스 서버 외부에 구성되는 경우, 유비쿼터스 서버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의 데이터베이스와 별도로 유비쿼터스 서버 내에 유비쿼터스 서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의 데이터베이스의 내용과 유비쿼터스 서버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은 동기화될 수 있다.In the database of the ubiquitous network manager, session information and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ubiquitous server exist. When the ubiquitous network manager is configured outside the ubiquitous server, the ubiquitous server may include a ubiquitous server database in the ubiquitous server separately from the database of the ubiquitous network manager. In this case, the contents of the database of the ubiquitous network manager and the contents of the ubiquitous server database may be synchronized.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는 유비쿼터스 서버로 네트워크 정보를 전달하며,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는 유비쿼터스 서버로 해당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의 무결성을 확인 요청한다(S5030). 무결성 확인 요청 시, 서비스 ID, 맥 주소(Mac Address) 및 URL 등의 정보를 함께 전달할 수 있다. 플렉서블 브라우저 입장에서 응답대기 상 해당 흐름은 비동기적으로 수행된다.The ubiquitous network manager transmits network information to the ubiquitous server, and the ubiquitous network manager requests the ubiquitous server to check the integrity of the corresponding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S5030). When requesting integrity check, information such as service ID, Mac address and URL can be delivered together. From the standpoint of the flexible browser, the flow is asynchronous in response.

유비쿼터스 서버는 요청받은 서비스에 대해 캐쉬 존재 확인, 무결성 확인, 수신 유닛의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 확인 등의 절차를 수행한다(S5040). 수신 유닛으로 정상적인 양방향 서비스 정보를 송출할 수 있으면 수신 유닛으로 정상적인 확인 응답 코드를 전달한다.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는 서비스 확인요청에 대한 결과를 플렉서블 브라우저로 전달한다. 서비스 컨텐츠가 전송될 대역폭의 정보, 서비스 생성을 하는 유비쿼터스 서버의 정보, 유비쿼터스 서버 IP 및 URL 정보가 서비스 확인 요청에 대한 결과에 포함되어 전달될 수 있다.The ubiquitous server performs a procedure such as checking the cache existence, checking the integrity, and checking the access authority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of the receiving unit with respect to the requested service (S5040). If the normal bidirectional service information can be sent to the receiving unit, the normal acknowledgment code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unit. Ubiquitous network manager delivers the result of the service confirmation request to the flexible browser. The information on the bandwidth to which the service content is to be transmitted, the information of the ubiquitous server generating the service, the ubiquitous server IP and the URL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result of the service confirmation request.

양방향 서비스가 정상 서비스 가능하다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플렉서블 브라우저는 해당 양방향 서비스를 요청한다(S5050). 유비쿼터스 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전달 단계에서 전달받은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대역외 채널로 CMTS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If the bidirectional service receives a signal that the normal service is available, the flexible browser requests the corresponding bidirectional service (S5050). The ubiquitous server may transmit the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s received in the network delivery step through the CMTS through the out-of-band channel.

플렉서블 브라우저는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수신하고, 서비스 컨텐츠를 파싱하여 유비쿼터스 서버의 이미지 인코딩 과정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자료별로 조합한다(S5060).The flexible browser receives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parses the service content, and combines the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image encoding process of the ubiquitous server for each material (S5060).

수신 유닛은 조합된 정보를 참조하여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구동하여 디스플레이 한다(S5070).The receiving unit drives and displays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with reference to the combined information (S507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서버와 수신 유닛 사이의 양방향 서비스 컨테츠의 무결성을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firming the integrity of a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between a ubiquitous server and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유닛은 유비쿼터스 서버로 사용하고자 하는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에 대한 무결성 확인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6010). 이 경우, 수신 유닛의 무결성 확인 요청은 유비쿼터스 서버로 바로 전달될 수도 있으나, 네트워크 관리 등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로 전달되고,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에서 네트워크 관리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 후, 해당 요청을 유비쿼터스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receiving unit transmits an integrity check request signal for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to be used as a ubiquitous server (S6010). In this case, the integrity check request of the receiving unit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ubiquitous server, but if there is a necessity of network management, the request is transferred to the ubiquitous network manager, and the request is performed after the ubiquitous network manager performs necessary tasks for network management. Can be passed to a ubiquitous server.

유비쿼터스 서버는 무결성 확인 요청이 들어온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에 대해 정상 서비스가 가능한지 확인한다(S6020).The ubiquitous server checks whether normal service is available for the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that has received the integrity check request (S6020).

정상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 유비쿼터스 서버에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6030).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의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컨텐츠를 요청한 수신 유닛으로 전송한다. 사용량이 빈번한 오픈 컨텐츠의 경우, 캐쉬 정책을 사용하여 미리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유비쿼터스 서버가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If normal service is possible, it is checked whether the encoded image data exists in the ubiquitous server (S6030). If the encoded image data exists, the encoded image data of the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requesting unit that requested the content. In the case of frequently used open content, the ubiquitous server may store image data pre-encoded using a cache policy.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유비쿼터스 서버는 수신 유닛으로 무결성 확인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달한다(S6040).If the encoded image data does not exist, the ubiquitous server transmits a response to the integrity check request to the receiving unit (S6040).

응답 결과로 해당 양방향 서비스가 정상 서비스 가능한 경우(S6050), 유비쿼터스 서버는 컨텐츠에 대한 인코딩을 수행하고,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 유닛으로 전달한다(S6060). 이 경우, 네트워크의 관리가 필요하다면, 무결성 확인 요청에 대한 응답을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매니저를 통하여 수신 유닛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If the corresponding bidirectional service is normally available as a result of the response (S6050), the ubiquitous server performs encoding on the content, and transmits the encoded image data to the receiving unit (S6060). In this case, if management of the network is required, the response to the integrity check request may b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unit through the ubiquitous network manager.

성공적인 응답결과는 컨텐츠에 대한 정상 확인 및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는 권한 확인 결과의 두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Successful response result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normal confirmation of the content and authority confirmation result of viewing the content.

무결성 확인 요청에 대한 결과, 정상 서비스가 불가능한 경우, 서비스가 가능하지 않다는 오류 코드를 수신 유닛으로 전달하고(S6070), 절차를 종료한다.As a result of the integrity check request, when normal service is not available, an error code indicating that service is not available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unit (S6070), and the procedure is terminated.

오류 코드는, 예를 들면, 200: 시청권한 없으므로 이용불가, 300: 서비스 이용 기간 만료, 500: 내부 서버 오류(Internal Server Error), 404: 서비스를 찾을 수 없음(Not Found) 등이 존재할 수 있다.The error code may be, for example, 200: unavailable due to viewing authority, 300: expired service period, 500: internal server error, 404: service not found, etc.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유비쿼터스 서버의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idirectional service providing method of a ubiquitous server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유닛의 요청이나, 방송되는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자동으로 실행되어야 할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가 있는 경우, 유비쿼터스 서버는 해당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자들로부터 브라우징하여, 해당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한다(S7010). As shown in FIG. 7,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a receiving unit or interactive service content to be executed automatically in connection with a broadcast program, the ubiquitous server browses the content from content providers to retrieve data of the content. It receives (S7010).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에 의하여 유비쿼터스 서버는 자체적으로 해당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실행시킨다(S7020). 컨텐츠의 실행이라 함은, 수요자가 컨텐츠를 사용하는 경우처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실행하는 것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외부적으로는 화면 등에 그 실행 여부를 확인할 수 없지만, 내부적으로는 컨텐츠의 실행 상태 정보를 유비쿼터스 서버에서 읽고 있는 상태를 포함한다.In response to the received content data, the ubiquitous server executes the corresponding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in itself (S7020). Execution of content includes not only the execution of the content on the display screen as if the consumer uses the content, but also the execution status information of the content internally, although it cannot be checked externally on the screen or the like. Contains the state being read from the ubiquitous server.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가 실행되면, 실행된 컨텐츠의 실행 상태에 해당되는 화면을 특정 영역별로 구분한다(S7030). 특정 영역의 크기나 픽셀은 컨텐츠의 종류, 자주 변경되는 영역의 존재 여부, 영역별 이미지의 이벤트 트리거 포함 여부 등의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When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is executed,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state of the executed content is divided into specific areas (S7030). The size or pixel of a specific reg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ent, the existence of a region that is frequently changed, and whether or not an event trigger is included in the image for each region.

영역별로 구분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수신 유닛에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 실행 과정 중 자주 변경되는 부분의 이미지만 유비쿼터스 서버에 요청하거나, 유비쿼터스 서버에서 변경되는 부분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수신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되므로, 시스템의 자원 사용과 데이터 전송에서의 효율성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When generating image data divided by regions, the receiving unit requests only the image of the frequently changed part of the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execution process from the receiving unit to the ubiquitous server, or generates image data of the changed part from the ubiquitous server and transmits it to the receiving uni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obtaining efficiency of system resource usage and data transmission.

한편, 일 실시 예로, 고정영역은 인코딩 시, 정적인 화면 구성을 이루는 서비스인 경우, 백그라운드라고 일컬어지는 전체 배경화면을 Iframe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백그라운드 Iframe은 미리 인코딩되어 전송 준비가 가능하다. Iframe 사용의 장점으로는 하드웨어 디코딩이 되어 Display되기 때문에, CPU 처리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 embodiment, when encoding, the fixed region may encode and transmit an entire background screen called a background when the service forms a static screen configuration. Background Iframes are pre-encoded and ready for transmission. The advantage of using Iframe is that hardware decoding is displayed and can reduce CPU processing load.

또한, 일 실시 예로서 720x480의 해상도를 인코딩하게 되면 보통 800 KB의 화면 정보를 얻는다. Iframe으로 변환 시 50KB로 줄게 되어 전송 컨텐츠의 압축 효과를 얻을 수 있다.Also, as an example, when the resolution of 720x480 is encoded, 800 KB of screen information is obtained. When converted to Iframe, it can be reduced to 50KB, which can compress the transmission contents.

또한, 송수신 과정에서 딜레이나 장애가 발생하여도, 영역별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화면 전체의 공백이 발생하거나, 화면 전체가 끊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ven if a delay or an error occurs i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 since the image data for each area is receive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blanking of the entire screen or the entire screen being cut off.

또한, 영역별 이미지 데이터에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여 해당 이미지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통해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수용하도록 하고 수요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vent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mage data for each region so that the event can be executed through an input for selecting the corresponding image region so that various interactive service contents can be accommodated in the digital cable broadcasting and the convenience of the consumer can be achieved. have.

특정 영역별로 구분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 실행 상태의 부분 이미지가 수신 유닛의 화면에서 위치하여야 할 좌표 정보를 생성한다(S7040).The partial image of the execution state of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divided by the specific area generates coordinate information to be located on the screen of the receiving unit (S7040).

유비쿼터스 서버는 구분된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 정보에 상기 생성된 좌표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로 인코딩한다(S7050). 인코딩 과정에서, 유비쿼터스 시스템 프로토콜에 필요한 정보를 인코딩되는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 유닛에서 인식하여야 할 포커스처리 정보, 티커(Ticker) 서비스와 같이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텍스트 부분에 대한 인식 정보, 월드 가든 서비스와 같이 서비스에서 통일성을 위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용컴포넌트 및 라이브러리의 취급 정보와 같은 다양한 규약이 존재할 수 있다.The ubiquitous server encodes the generated coordinate information into data for transmission by including the generated coordinate information in the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vided region (S7050). In the encoding proces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biquitous system protocol may be included in the encoded data. For example, focusing information that should be recognized by the receiving unit, recognition information for text parts that change in real time, such as a ticker service, and common components and libraries that can be used together for uniformity in services, such as the World Garden service. Various protocols may exist, such as the handling information.

전송을 위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 데이터의 인코딩은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의 실행 상태의 이미지 정보 이외에 오디오 정보의 인코딩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인코딩은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여 오디오 신호만을 인코딩하고 이미지 신호와 동기화를 위한 정보를 인코딩시 오디오 신호 또는 이미지 신호에 포함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또는 영역별로 구분되어 인코딩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 영역의 실행에 오디오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면, 이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포함시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로 인코딩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를 포함한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 수신 유닛은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Encoding of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data for transmission may also encode audio information in addition to image information of an execution state of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In this case, there may be a method for encoding to separate the audio signal so as to encode only the audio signal and to include information for synchronization with the image signal in the audio signal or the image signal. Alternatively, if the audio data is included in the execution of the region in the image data divided and encoded for each region, the audio signal may be included and encoded as data for transmission. If it is necessary to transmit data including an audio signal, the receiving unit may include an application that can reproduce the audio signal.

유비쿼터스 서버는 인코딩 과정을 거쳐 생성된 데이터를 수신 유닛으로 전송한다(S7060). 전송과정에서 대역외 채널에서의 통신 규격에 맞추어 데이터 패킷 형태로 인코딩된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변환에 필요한 장치는 CMTS가 일 예가 될 수 있다.The ubiquitous server transmits the data generated through the encoding process to the receiving unit (S7060). During transmission, data encoded in the form of a data packet may be converted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standard in an out-of-band channel. CMTS may be an example of a device required for conversion.

유비쿼터스 서버가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브라우징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 유닛으로 전송을 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처리 과정에 있어서 우선 순위를 달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컨텐츠 A, B에 대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컨텐츠 B가 컨텐츠 A에 비하여 우선 순위가 높을 경우, 컨텐츠 B의 데이터를 우선 인코딩하여 전송한다. 우선 순위가 높은 컨텐츠의 예로, 월드 가든 형태의 컨텐츠나, 컨텐츠 제공자나 방송 사업자의 수익 창출에 직접 관련된 컨텐츠 또는 수신 유닛의 컨텐츠 수요자의 요청이나 이익을 위한 컨텐츠 등이 있다.When the ubiquitous server browses the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s and generates the data for receiving the contents data and transmitting the contents data to the receiving unit, the ubiquitous server may have different priorities in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bidirectional services contents. As an example, when content data for content A and B is received and the received data is analyzed, when content B has a higher priority than content A, data of content B is first encoded and transmitted. Examples of high-priority content include content in the form of a world garden, content directly related to revenue generation of a content provider or broadcaster, or content for request or benefit of a content consumer of a receiving unit.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서버의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의 무결성 확인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hecking integrity of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s of a ubiquitous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비쿼터스 서버는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요청한 수신 유닛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S8010). 수신 유닛의 식별 정보는 수신 유닛의 ID로서 유비쿼터스 서버에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요청한 수신 유닛을 인식할 수 있는 정보이다.As shown in FIG. 8, the ubiquitous server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unit that has requested the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S801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unit is the ID of the receiving unit, and is information capable of recognizing the receiving unit that requested the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from the ubiquitous server.

유비쿼터스 서버는 수신 유닛이 요청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브라우징하고, 해당 컨텐츠를 수신 유닛으로 정상 서비스할 수 있는지 검사한다(S8020). 정상 서비스가 가능한지 여부는 해당 컨텐츠를 요청한 수신 유닛의 식별정보를 통해 확인되는 수신 유닛이 해당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여부 및 컨텐츠 제공자 측에서 현재 수신 유닛이 요청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정상적으로 제공하고 있는지 여부 등의 정보로 판단될 수 있다.The ubiquitous server browses the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requested by the receiving unit and checks whether the corresponding content can be normally serviced to the receiving unit (S8020). Whether the normal service is available includes whether the receiving unit identifi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unit request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authorized to access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the content provider side normally provides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requested by the receiving unit. It can be determined by information such as whether there is.

유비쿼터스 서버가 수신 유닛이 요청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의 정상 서비스 여부를 확인하고(S8030), 정상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도 7에 도시된 과정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수신 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한 처리 및 수신 유닛으로 처리된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한다(S8040).The ubiquitous server checks whether the two-way service content requested by the receiving unit is normal service (S8030), and when the normal service is available, according to the process shown in FIG. 7, processing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receiving unit and processing by the receiving unit. The transferred data is performed (S8040).

수신 유닛이 요청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가 정상 서비스될 수 없는 경우, 정상 서비스될 수 없는 이유에 대한 오류코드를 수신 유닛으로 전송하고 절차를 종료한다(S8050).If the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requested by the receiving unit cannot be normally serviced, an error code on why it cannot be normally serviced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unit and the procedure is terminated (S8050).

양방향 서비스로 제공되는 컨텐츠의 정상 서비스 가능 여부를 유비쿼터스 서버에서 미리 확인함으로써, 수신 유닛에 접근 권한이 없는 컨텐츠 또는 컨텐츠 제공자들로부터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컨텐츠의 처리를 위한 시스템의 자원 할당을 방지하고, 수신 유닛과 유비쿼터스 서버 사이의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막아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By confirming in advance whether the contents provided by the interactive service can be normally serviced by the ubiquitous server, it is possible to prevent resource allocation of the system for the processing of contents that are not normally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er or contents that do not have access to the receiving unit, and are received. By preventing unnecessary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unit and the ubiquitous server, the transmission efficiency is improv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유닛의 동일한 양방향 컨텐츠에 대한 중복 또는 차 회 요청에 대한 유비쿼터스 서버의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ing method of a ubiquitous server for overlapping or next request for the same bidirectional content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유닛의 요청이나,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자동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컨테츠 A를 브라우징하여 컨텐츠 A의 데이터를 수신한다(S9010).As shown in FIG. 9, the content A is received by browsing the content A, which should be automatically executed in connection with a request of the receiving unit or a broadcast program (S9010).

유비쿼터스 서버는 수신된 컨텐츠 A에 대한 기(旣)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브라우징한다(S9020). 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는 일정 조건에 의하여 일정 시간 동안 유비쿼터스 서버 내부 또는 외부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The ubiquitous server browses whether there is already received content data for the received content A (S9020). The received content data may be stored in a memory inside or outside the ubiquitous server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유비쿼터스 서버는 컨텐츠 A에 대한 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가 없는 경우(S9030), 도 7에 도시된 과정에 따라 컨텐츠 A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고(S9040, S9050, S9060), 컨텐츠 A에 대한 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가 있는 경우, 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된 컨텐츠 A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수신된 컨텐츠 A의 데이터에 변경된 영역이 있는지 판단한다(S9070).If there is no previously received content data for content A (S9030), the ubiquitous server executes processing for content A according to the process shown in FIG. 7 (S9040, S9050, S9060), and previously received content for content A. If there is content data, the received content data is compared with the data of the received content A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changed area in the data of the received content A (S9070).

유비쿼터스 서버는 수신된 컨텐츠 A의 데이터에 변경된 영역이 있는 경우, 컨텐츠 A의 변경된 영역을 포함하는 부분을 실행하고(S9080), 그 부분만을 인코딩하여(S9090) 수신 유닛으로 전송한다(S9100). 이 경우, 변경된 부분에 대한 인코딩된 데이터는 컨텐츠 A의 어느 부분이 변경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통하여 수신 유닛은 변경된 부분의 데이터를 새로 수신되는 데이터로 교체할 수 있다.If there is a changed area in the data of the received content A, the ubiquitous server executes a part including the changed area of the content A (S9080), encodes only that part (S9090), and transmits the part to the receiving unit (S9100). In this case, the encoded data for the changed part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ich part of the content A has changed, and through this information, the receiving unit may replace the data of the changed part with newly received data.

유비쿼터스 서버는 수신된 컨텐츠 A의 데이터에 변경된 영역이 없는 경우, 기 수신된 컨테츠 A의 인코딩된 데이터를 수신 유닛으로 전송한다(S9110).If there is no changed area in the data of the received content A, the ubiquitous server transmits the encoded data of the previously received content A to the receiving unit (S9110).

위 과정을 통하여, 수신 유닛에서 동일한 양방향 컨텐츠에 대한 중복 또는 차 회 요청이 있는 경우, 동일한 컨텐츠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전송하는 절차를 피할 수 있어, 시스템의 자원 사용상의 효율성과 수신 유닛과 유비쿼터스 서버 사이의 전송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if there is a duplicate or next request for the same bidirectional content in the receiving unit, the procedure of encoding and transmitting the same content data can be avoided,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resource usage of the system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eiving unit and the ubiquitous server.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ransmission efficiency.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수신 유닛이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eiving interactive service contents by a receiving unit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유닛이 특정 방송 채널을 수신한다(S10010).As shown in FIG. 10, the receiving unit receives a specific broadcast channel (S10010).

수신 유닛에서 수신 중인 채널과 관련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가 존재한다는 정보를 수신 중인 방송 신호에서 필터링한다(S10020). 필터링 된 정보는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수신 중인 채널과 관련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의 정보가 없는 경우, 수신 유닛은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 수신을 위한 절차를 종료한다.In operation S10020, the broadcast signal is filtered for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re is interactive service content related to the channel being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The filtered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for executing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If there is no information of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related to the channel being received, the receiving unit ends the procedure for receiving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반대로, 수신 중인 채널과 관련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의 정보가 있는 경우, 수신 유닛은 방송 채널의 시청 화면에 관련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이벤트 트리거를 디스플레이 한다(S10030).On the contrary, when there is information on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related to the channel being received, the receiving unit displays an event trigger for executing the related interactive service content on the viewing screen of the broadcast channel (S10030).

시청자가 디스플레이된 이벤트 트리거를 통하여 컨텐츠 실행 요청을 입력하지 않는 경우, 수신 유닛은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 수신을 위한 절차를 종료한다(S10040).If the viewer does not input the content execution request through the displayed event trigger, the receiving unit ends the procedure for receiving the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S10040).

반대로, 시청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수신 유닛은 해당 컨텐츠의 정상 서비스 가능 확인 요청을 전송한다(S10050).On the contrary,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viewer, the receiving unit transmits a normal service availability confirmation request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S10050).

해당 컨텐츠가 수신 유닛에서 정상적으로 서비스될 수 있는 경우, 수신 유닛은 해당 컨텐츠의 이미지화되어 인코딩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좌표 정보, 포커스 정보 등을 프로토콜에 따라 해석하여 수신 유닛에서 컨텐츠를 실행한다(S10060).If the corresponding content can be normally serviced by the receiving unit, the receiving unit receives the imaged and encoded data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decodes it, and interprets coordinate information, focus information, etc.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a protocol. The content is executed in the receiving unit (S10060).

수신 유닛이 수신하는 데이터는 대역외 채널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대역외 채널을 통하여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수신함으로써, 방송 주파수 대역에 대한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다양한 종류의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Data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may be transmitted via an out-of-band channel. By receiving interactive service contents related to a broadcast program through an out-of-band channel, various kinds of interactive service contents may be provided without being interfered with the broadcast frequency band.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채널과 관련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이벤트 트리거를 방송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한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vent trigger for executing an interactive service content associated with a broadcast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broadcast scree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화면상에 방송 프로그램의 웹 페이지를 호출하는 이벤트 트리거(110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시청자는 방송 시청 중간이라도 상기 이벤트 트리거를(11000) 통하여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수신하고 실행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1, an event trigger 11000 for calling a web page of a broadcast program may be displayed on a viewing screen of the broadcast program. The viewer may receive and execute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through the event trigger 11000 even during broadcasting.

이벤트 트리거는 2 이상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신 유닛은 시청자의 포커스 이동 입력에 따라 이벤트 트리거 사이에 포커스를 이동시키면서, 시청자가 원하는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There may be two or more event triggers. In this case, the receiving unit processes the viewer to selectively execute desired interactive service content while moving the focus between the event triggers according to the viewer's focus movement input.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유닛의 사용자가 수신 유닛에서 실행되는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 내에 포함된 이벤트를 호출할 수 있도록 유비쿼터스 서버에서 이벤트 트리거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cessing event trigger information in a ubiquitous server so that a user of a receiving unit may call an event included in interactive service content executed in the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비쿼터스 서버는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의 실행상태 화면을 영역별로 구분한다(S12010). 유비쿼터스 서버는 구분된 이미지가 수신 유닛에서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 위치의 좌표 정보를 생성한다(S12020). 유비쿼터스 서버는 구분된 영역의 이미지에 다른 컨텐츠를 호출하는 이벤트 트리거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여(S12030), 이벤트 트리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벤트 호출을 위한 정보를 읽어온다(S12040). 유비쿼터스 서버는 읽어온 이벤트 호출 정보를 좌표 정보와 함께 인코딩하여 데이터를 생성한다(S12050).As shown in FIG. 12, the ubiquitous server divides execution state screens of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s by regions (S12010). The ubiquitous server generates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position where the separated image should be displayed in the receiving unit (S12020). The ubiquitous server checks whether an event trigger for calling other content is included in the image of the divided region (S12030), and if the event trigger is included, reads information for event invocation (S12040). The ubiquitous server encodes the read event call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coordinate information to generate data (S12050).

도 13은 본 발명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 유닛이 수신하여 포커스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 receiving unit receives and focuses data including event trigger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Referring to FIG.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유닛은 영역별로 구분되어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S13010),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해당 영역이 이벤트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지 판단한다(S13020). 해당 영역이 이벤트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수신 유닛은 해당 영역의 좌표를 인식한다(S13030). 수신 유닛은 상기 인식된 좌표에 위치하는 이미지 영역을 포커스가 가능한 이미지로 식별하여 처리한다(S13040). 수신 유닛은 디코딩된 이미지를 좌표 정보에 따른 위치에 디스플레이하고, 수신 유닛은 실행 중인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 내에 포함된 이벤트 트리거를 선택하기 위한 포커스 이동 명령을 수신한다(S13050). 수신 유닛은 포커스 이동 명령에 따라 포커스 처리가 된 이미지 영역들 사이에서 포커스를 이동한다(S13060). 사용자가 특정 영역에 포커스를 멈추고 해당 영역에 포함된 이벤트를 호출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수신 유닛은 해당 영역의 이벤트 트리거 정보를 인식하여 관련 이벤트를 실행한다(S13070).As shown in FIG. 13, the receiving unit receives image data divided and encoded for each region (S13010), decodes the data,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region includes event trigger information (S13020). If the corresponding area includes event trigger information, the receiving unit recognizes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area (S13030). The receiving unit identifies and processes an image area located at the recognized coordinates as a focusable image (S13040). The receiving unit displays the decoded image at a position according to the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receiving unit receives a focus shift command for selecting an event trigger included in the executing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 (S13050). The receiving unit moves the focus between the image areas subjected to the focus processing according to the focus shift command (S13060). When the user stops the focus on a specific area and inputs a command for calling an event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area, the receiving unit recognizes event trigger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rea and executes a related event (S13070).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커스 처리가 된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cution screen of interactive service content including an image area subjected to focus process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4는 도시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는 오픈 컨텐츠에 속하는 인터넷상의 웹 페이지를 나타낸다14 shows the web page on the Internet to which the illustrated interactive service content belongs to the open content.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선으로 된 사각형 영역(14010 내지 14090)은 이벤트 트리거를 포함하는 부분으로 포커스 처리가 되었다. 파선은 실행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되지 않을 수 있다(14010, 14020, 14030, 14040, 14050, 14060, 14080, 14090). 다만, 사용자의 포커스 이동 입력에 따라 파선으로 표현된 영역들 사이에 포커스가 이동하는 것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현재는 구성원 소개 탭(14070)이 포커스 된 상태이다. 사용자가 구성원 소개 탭(14070)에 포커스를 둔 채 실행 명령을 입력하면, 구성원을 소개하는 웹 페이지(미도시)를 호출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4, the rectangular areas 1410 to 14090 of broken lines are focused on a portion including an event trigger. The dashed line may not be displayed in the running state (14010, 14020, 14030, 14040, 14050, 14060, 14080, 14090). However, it is possible to display that the focus moves between the areas represented by the broken lines according to the user's focus movement input. The member introduction tab 14070 is currently in focus. When the user enters an execution command with focus on the member introduction tab 1140, a web page (not shown) introducing the member is called.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르면, 대역외 채널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인밴드채널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의 제공 시스템과 비교할 때 몇 가지 유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이미 상당 부분이 특정 방송 채널의 주파수로 할당된 인밴드채널에 비하여 대역외 채널을 이용 시, 제 3 자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간섭이 없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인밴드채널을 통하여 양방향 서비스를 송출하는 경우 컨텐츠 데이터의 이미지화하여 인코딩하는 과정 외에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방송 송출 시스템으로 송출하기 위하여 TS 데이터로 변환하는 구성 및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반해, 대역외 채널을 통한 데이터의 송신은 TS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므로 TS 패킷타이징이 필요 없게 되어 TS 패킷타이징을 위한 자원 및 패킷타이징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지털 케이블방송에서 인밴드채널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유비쿼터스 서버의 구성 중 PSI생성부(2047)과 TS 패킷타이저(2048)의 구성은 필요 없게 된다. 셋째, 188 바이트의 TS 패킷은 방송 규격에 의하여 4 바이트의 헤더 정보를 포함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헤더 내에 포함된 정보가 특별히 필요하지 않더라도 4 바이트의 헤더는 포함되도록 TS 패킷타이징하여야 한다. 따라서, TS가 아닌 데이터 패킷으로 송수신하는 대역외 채널을 이용하는 경우, 인밴드 채널을 통한 전송에 비하여 약 188 바이트의 전송 데이터마다 4 바이트의 전송 데이터를 절약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directional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out-of-band channel can be expected to have some advantageous effects compared to the system for providing bidirectional service through the in-band channel. First, when an out-of-band channel is used compared to the in-band channel, which is already allocated to the frequency of a specific broadcast channel,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that th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out interference to the third-party frequency band. Second, in the case of transmitting the bidirectional service through the in-band channel, a configuration and a process of converting the encoded image data into TS data in order to transmit the encoded image data to the broadcast transmission system, in addition to the process of image and encoding the content data, are required. On the other hand, since data transmission through the out-of-band channel does not transmit a signal to the TS, TS packetizing is not required, thereby saving resources for TS packetizing and time required for packetizing. . For example, the PSI generation unit 2047 and the TS packetizer 2048 in the configuration of the ubiquitous server of the bidirectional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in-band channel in the digital cable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The configuration of is unnecessary. Third, the 188-byte TS packet is configured to include 4 bytes of head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broadcast standard. Therefore, even if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header is not particularly necessary, TS packetizing should be included so that the 4-byte header is included. Therefore, when using an out-of-band channe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packets other than the TS, it is possible to save 4 bytes of transmission data for every 188 bytes of transmission data compared to transmission over the in-band channel. Therefor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is i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Claims (14)

양방향서비스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브라우징하는 단계;
상기 브라우징 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로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실행된 컨텐츠의 실행 상태를 이미지 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대역외 채널(Out of Band)을 통하여 수신 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유비쿼터스 서버를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 송신 방법.
Browsing content provided by an interactive service;
Receiving data of the browsed content and executing content with the received content data;
Encoding an execution state of the executed content into image data; And
Transmitting the encoded image data to a receiving unit through an out of band channel,
And transmitting the encoded image data into a data packet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receiv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실행 상태의 이미지 프레임을 영역별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구분된 영역의 이미지가 위치할 화면상의 좌표 정보를 부가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유비쿼터스 서버를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 송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Encoding into the image data,
Dividing the image frame in the execution state of the contents by region; And
Encoding coordinate information into image data by adding coordinate information on a screen where the divided area image is to be located;
Interactive service transmission method using a ubiquitous server in a digital cable broadcast including a.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서비스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브라우징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를 요청한 수신 유닛을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 유닛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식별정보에 따른 수신 유닛이 상기 컨텐츠를 정상 서비스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결과,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컨텐츠를 정상 서비스 받을 수 없는 경우, 오류코드를 전송하고 절차를 종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유비쿼터스 서버를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 송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Browsing the content provided by the interactive service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unit to recognize the receiving unit that has requested the content;
Checking whether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receive the contents normally;
If the reception unit cannot receive the contents normally, transmitting an error code and ending the procedure;
The bidirectional service transmission method using a ubiquitous server in a digital cable broadcast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우징 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로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브라우징 된 컨텐츠에 대한 기(旣)수신된 컨텐츠 데이터가 있는 경우, 상기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와 상기 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 상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에 변경된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영역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부분만을 실행하도록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유비쿼터스 서버를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 송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data of the browsed content and executing content with the received content data,
Comparing the received content data with the previously received content data when there is previously received content data for the browsed content; And
If there is a changed area in the received content data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processing to execute only a part of the content including the changed area;
The bidirectional service transmission method using a ubiquitous server in a digital cable broadcast further comprising.
수신 중인 채널 신호가 상기 채널과 관련된 양방향서비스로 제공되는 컨텐츠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정보를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정보와 관련된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이벤트 트리거(trigger)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벤트 트리거를 통하여 컨텐츠 실행 요청을 받는 단계;
상기 실행 요청받은 컨텐츠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대역외 채널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역외 채널을 통하여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좌표 정보에 따른 위치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유비쿼터스 단말을 이용한 양방향서비스 수신 방법.
If the channel signal being received includes information on whether there is content provided to the interactive service related to the channel, filtering the information;
Displaying an event trigger on a screen to execute content related to the filtered information;
Receiving a content execution request through the displayed event trigger;
Receiving image data of the content requested to be executed through an out-of-band channel;
Decoding image data received via the out-of-band channel; And
Displaying an image at a position according to coordina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ecoded image data;
A bidirectional service receiving method using a ubiquitous terminal in a digital cable broadcast including a.
삭제delete 양방향서비스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브라우징하고, 상기 브라우징 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로 컨텐츠를 실행하는 브라우저 모듈;
상기 실행된 컨텐츠의 실행 상태를 이미지 데이터로 인코딩하는 인코더; 및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대역외 채널(Out of Band)을 통하여 수신 유닛으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양방향서비스를 송신하는 유비쿼터스 서버.
A browser module for browsing content provided by an interactive service, receiving data of the browsed content, and executing content with the received content data;
An encoder for encoding an execution state of the executed content into image data; And
And a transceiver configured to transmit the encoded image data to a receiving unit through an out of band channel.
And a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converts the encoded image data into a data packet and transmits the ubiquitous serv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더는,
상기 컨텐츠의 실행 상태의 이미지 프레임을 영역별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영역의 이미지가 위치할 화면상의 좌표 정보를 부가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양방향서비스를 송신하는 유비쿼터스 서버.
The method of claim 8,
The encoder comprising:
A ubiquitous server for transmitting an interactive service in a digital cable broadcas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frame of the execution state of the content is divided into regions, and the coordinate information on the screen where the image of the divided region is to be added is encoded into image data. .
삭제delet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우저 모듈은,
상기 브라우징 된 컨텐츠의 정상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브라우징 된 컨텐츠를 정상 서비스할 수 없는 경우, 오류코드를 전송하고 절차를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양방향서비스를 송신하는 유비쿼터스 서버.
The method of claim 8,
The browser module,
A ubiquitous server for transmitting a two-way service in a digital cable broadcast, by checking whether the browsed content can be normally serviced and if the browsed content cannot be normally serviced, transmitting an error code and ending the procedur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우저 모듈은,
상기 브라우징 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로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브라우징 된 컨텐츠에 대한 기(旣)수신된 컨텐츠 데이터가 있는 경우, 상기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와 상기 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에 변경된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영역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부분만을 실행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양방향서비스를 송신하는 유비쿼터스 서버.
The method of claim 8,
The browser module,
Receiving data of the browsed content and executing content with the received content data, and if there is already received content data for the browsed content, the received content data and the previously received content data Comparing and comparing the received content data with the changed content, and executing only the part of the content including the changed area, wherein the ubiquitous server transmits the bidirectional service in the digital cable broadcasting.
수신된 채널 신호가 상기 채널과 관련된 양방향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양방향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링된 정보와 관련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이벤트 트리거(trigger)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인밴드 프로세서(Inband Processor);
상기 이벤트 트리거를 통하여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대역외 채널을 통하여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에 포함된 영역별로 분할된 이미지를 좌표 정보에 따른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대역외 채널 프로세서(Out of Band Processor); 를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컨텐츠가 실행된 실행 상태가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양방향서비스를 수신하는 유비쿼터스 단말.
A filter for filtering information on the bidirectional service when the received channel signal includes information on the bidirectional service associated with the channel;
An inband processor configured to control to display, on a screen, an event trigger for executing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related to the filtered information;
A trans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data about the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s through an out-of-band channel when an execution command of the bidirectional service contents is input through the event trigger; And
An out of band processor for decoding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and controlling to display an image divided for each area included in the decoded data at a position according to coordinate information; Including;
And the data for the interactive service content includes image data encoded in an execution state in which the content is executed. The ubiquitous terminal receiving the interactive service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삭제delete
KR1020100044538A 2010-05-12 2010-05-12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teractive service using ubiquitous server and ubiquitous terminal on digital cable broadcasting system KR1011976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538A KR101197602B1 (en) 2010-05-12 2010-05-12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teractive service using ubiquitous server and ubiquitous terminal on digital cable broadcas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538A KR101197602B1 (en) 2010-05-12 2010-05-12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teractive service using ubiquitous server and ubiquitous terminal on digital cable broadcast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019A KR20110125019A (en) 2011-11-18
KR101197602B1 true KR101197602B1 (en) 2012-11-08

Family

ID=45394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538A KR101197602B1 (en) 2010-05-12 2010-05-12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teractive service using ubiquitous server and ubiquitous terminal on digital cable broadcas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60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019A (en) 201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306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digital access technology for programming and data delivery
US939833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digital interface technology for programming and data delivery
US791675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digital coding/decoding technology for programming and data delivery
CA2643806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digital technology for programming and data delivery
EP1909457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adaptive broadcast signal and method thereof
US845875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vice capabilities discovery and utilization within a content-based network
US20080263611A1 (en) Video interfacing and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video programs
EP2378771A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two-way service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environment
JP4782145B2 (en) Requesting content in a two-way network
US9456240B2 (en) System and method bridging cloud based user interfaces
KR101439318B1 (en) Remote watching control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iptv
KR10119760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teractive service using ubiquitous server and ubiquitous terminal on digital cable broadcasting system
KR2007005671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transmitting oob data in bidirectional digital tv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