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985B1 - Method for displating an user interface picture in po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displating an user interface picture in po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985B1
KR101196985B1 KR1020060005881A KR20060005881A KR101196985B1 KR 101196985 B1 KR101196985 B1 KR 101196985B1 KR 1020060005881 A KR1020060005881 A KR 1020060005881A KR 20060005881 A KR20060005881 A KR 20060005881A KR 101196985 B1 KR101196985 B1 KR 101196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face
screen
scene information
event
sc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8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76700A (en
Inventor
정순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5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985B1/en
Publication of KR20070076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7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9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2Altars; Religious shrines; Fonts for holy water; Crucifi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15Fastening arrangements intended to retain light sources
    • F21V19/0025Fastening arrangements intended to retain light sources the fastening means engaging the conductors of the light source, i.e. providing simultaneous fastening of the light sources and their electric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5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6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4Provision of filling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이동 통신 단말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은 미리 저장된 씬(scene) 테이블에서 현재 상태 스테이지와 링크된 이벤트 동작 테이블을 검색하여 발생한 이벤트를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가 다른 상태 스테이지로 전환을 요구하는 이벤트이면 상기 씬 테이블에서 상기 다른 상태 스테이지와 링크된 씬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과, 미리 저장된 유저 인터페이스 객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씬 정보에 포함된 UI 객체 코드에 해당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객체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에 구비된 표시 영역 크기와 상기 씬 정보에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전체 크기를 비교하여 확대/축소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검출된 각 유저 인터페이스 객체의 크기를 결정된 확대/축소 비율에 따라 변경하여 상기 씬 정보에 포함된 기준 위치와, 위치 좌표에 따라 배치하여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interface (UI) screen of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detects an event generated by searching an event action table linked with a current state stage in a pre-stored scene table; Detecting the scene information linked with the other state stage in the scene table and corresponding to UI object code included in the scene information in a pre-stored user interface object database if the event requires an event to switch to another state stage; Detecting a user interface object, comparing the display area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total size of the user interface screen included in the scene information, and determining an enlargement / reduction ratio; Siz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zoom ratio. The path including the reference position and the scene information,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coordinat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by configuring the user interface screen.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유저 인터페이스 객체, 씬 정보 User interface screens, user interface objects, scene information

Description

휴대용 단말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METHOD FOR DISPLATING AN USER INTERFACE PICTURE IN POTABLE TERMINAL} How to display the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METHOD FOR DISPLATING AN USER INTERFACE PICTURE IN POTABLE TERMINAL}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생성 장치 및 휴대용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interface screen generating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프로그래밍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2 is an operation flowchart showing a user interface screen programm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디스플레이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a user interfac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용 이동 통신 단말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이동 통신 단말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프로그래밍하고,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interface screen of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programming and displaying a user interface screen of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집적 회로의 발달로 인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크기의 다양한 전자 단말, 즉, 휴대용 단말이 개발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 말의 일 예로, 이동 통신 단말,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SP(Play Station Portable), PNP(Portable Navigation Player)등을 들 수 있으며, 각각의 휴대용 단말들 디자인이나 구비되는 기능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진다. 이에 따라 각 휴대용 단말에 장착되는 표시화면, 즉, LCD(Liquid Crystal Display)의 크기도 다양하게 존재한다.Due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nd integrated circuits, various electronic terminals, i.e., portable terminals, of a size portable by a user have been developed and produced. An example of such a portable terminal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play station portable (PSP), a portable navigation player (PNP), and the like. It has a variety of sizes. Accordingly, there are various sizes of display screens, that is,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mounted on each portable terminal.

한편, 상기한 휴대용 단말은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라 함.)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란 사용자와 휴대용 단말 장치가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휴대용 단말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동작 상태에 대응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이동 통신 단말에서 메뉴 키 입력 시 디스플레이 되는 메뉴 화면이 그 일 예이다.Meanwhile,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a screen of a user inte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UI") in response to a user's operation. The user interface screen is a screen indic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order for a user and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to exchange information, and are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tate. An example is a menu screen displayed when a menu key is inpu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휴대용 단말은 구비한 기능에 관련된 다양한 UI화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다양한 UI화면 중 사용자 입력 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등과 관련된 UI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UI화면을 통해 현재 휴대 단말의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을 제어를 위한 다음 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various UI screens related to the provided functions, and displays a UI screen related to a user input or an operation of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among various UI screens. The user may grasp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displayed UI screen, and may input the next selection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일반적으로 이러한 UI화면에 포함되는 UI객체의 위치 및 크기는 #define 매크로를 이용하여 정의되거나 하드 코딩(hard coding)되어 프로그래밍 되어 있으며, 휴대용 단말의 워크플로(work-flow)에 따른 이벤트 처리 동작이 UI화면과 구분되지 않고 코딩 되어 있다. In general,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UI object included in the UI screen is defined or hard coded using the #define macro, and the event process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workflow of the portable terminal is performed. It is coded separately from UI screen.

이러한 UI화면 프로그래밍 방식은 휴대용 단말의 하드웨어 사양이 바뀌거나 새로운 기능이 추가/변경 될 때마다 UI화면을 구성하는 이미지 UI객체의 위치 및 크기가 일일이 수정 변경되어야 했으며, 실질적으로는 UI화면 대부분이 새롭게 프로그래밍 되어야만 했다. 또한 프로그램의 워크플로에 대한 이벤트 처리가 UI코드와 분리되지 않아서 코드 재활용뿐만 아니라 디버깅의 효율성을 떨어뜨렸다.In the UI screen programming method, whenever the hardware specif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hanged or a new function is added / changed,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image UI object constituting the UI screen must be modified and changed. Had to be programmed. In addition, event handling of the program's workflow is not separated from the UI code, which reduces the efficiency of debugging as well as code reus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유저 인터페이스 객체의 위치 및 크기를 화면사이즈 및 윈도사이즈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하고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과 프로그램의 워크플로 이벤트 처리를 분리하여 프로그래밍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gram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user interface object in the user interface screen programming of the portable terminal to correspond to the change of the screen size and window size, and to separate the workflow event processing of the user interface screen and the program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programm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screen for increasing.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저장된 씬(scene) 테이블에서 현재 상태 스테이지와 링크된 이벤트 동작 테이블을 검색하여 발생한 이벤트를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가 다른 상태 스테이지로 전환을 요구하는 이벤트이면 상기 씬 테이블에서 상기 다른 상태 스테이지와 링크된 씬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과, 미리 저장된 유저 인터페이스 객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씬 정보에 포함된 UI 객체 코드에 해당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객체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에 구비된 표시 영역 크기와 상기 씬 정보에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전체 크기를 비교하여 확대/축소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검출된 각 유저 인터페이스 객체의 크기를 결정된 확대/축소 비율에 따라 변경하여 상기 씬 정보에 포함된 기준 위치와, 위치 좌표에 따라 배치하여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n event generated by searching an event action table linked with a current state stage in a previously stored scene table; Detecting the scene information linked with the other state stage in the scene table and corresponding to UI object code included in the scene information in a pre-stored user interface object database if the event requires an event to switch to another state stage; Detecting a user interface object, comparing the display area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total size of the user interface screen included in the scene information, and determining an enlargement / reduction ratio; At a determined zoom ratio La changes along the reference position and the position coordinates included in the scene information,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by configuring the user interface scree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ymbo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라 함.) 화면은 UI화면 생성 장치에서 운영자에 의해 디자인되며, 상기 UI화면을 실제로 사용할 휴대용 단말의 동작 시나리오와 운영자의 요구에 따라 디자인된 UI화면의 상태 스테이지가 설정되어, 전체적인 씬 테이블 구성이 완료된다. 이후, 해당 휴대용 단말은 씬 테이블과 UI객체 데이터베이스가 탑재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른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UI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inte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UI") screen is designed by an operator in a UI screen generating apparatus, and is designed according to an operation scenario of a portable terminal that will actually use the UI screen and the needs of the operator. The state stage of the completed UI screen is set, and the overall scene table configuration is completed. Thereafter,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with a scene table and a UI object database to construct and display a UI screen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a user input.

이에 따라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UI화면 생성 장치와 휴대용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고, 도2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UI화면을 코딩 하는 과정과, 휴대용 단말에서 상기 UI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을 설명한다. Accordingly, referring to FIG. 1, a configuration of a UI screen generating apparatus and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and referring to FIGS. 2 to 3, a process of coding a UI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UI screen in the portab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먼저,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생성 장치 및 휴대용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여, UI화면 생성 장치(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UI화면을 코딩 하여 생성하는 장치로서, 제어부(11)와, 표시부(13)와, 메모리부(15)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부(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UI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다수의 이미지를 객체화한 UI객체들이 저장된 UI객체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한다. 상기 다수의 UI객체는 UI화면의 배경 이미지, 다양한 크기의 각종 2D 이미지, 3D 이미지, 아이콘 이미지, 플래시 이미지, 다양한 종류의 문자 폰트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화면 생성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수행 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15)는 제어부(11)의 제어 하에 각종 이미지 및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화면 생성 과정과 관련된 모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제어부(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13)에 저장된 UI화면 생성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운영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UI객체를 선택하여 배치함으로써 UI화면을 구성하여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생성된 UI화면에 포함된 UI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기본 씬(scene) 정보로 저장하고, 운영자의 설정과 상기 UI화면을 사용할 휴대용 단말의 동작 시나리오 워크플로(work flow)에 따라 상기 UI화면과 관련된 상태 스테이지를 설정하고, 상태 스테이지와 관련된 이벤트 동작 테이블을 구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이벤트 동작 테이블 구성과 관련하여 이벤트 씬 정보를 상기 기본 씬 정보에 추가하여 최종 씬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최종 씬 정보와 상기 동작 테이블을 포함하는 씬 테이블을 구성한다. First,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interface screen generating apparatus and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UI screen generating apparatus 10 is an apparatus for coding and generating a UI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I screen generating apparatus 10 includes a control unit 11, a display unit 13, and a memory unit 15. Include. The memory unit 15 stores a UI object database in which UI objects that objectize a plurality of images constituting a UI screen are sto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UI objects include a background image of a UI screen, various 2D images of various sizes, 3D images, icon images, flash images, and various kinds of character fonts. The memory unit 15 stores UI screen generation program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tores data generated when an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5 displays various images and text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 and displays all images related to the UI screen gener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1 configures and generates a UI screen by driving a UI screen gener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unit 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ng and placing a corresponding UI object at the request of an operator. . The controller 11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UI object included in the generated UI screen as basic scene information, and sets the operator's settings and workflow scenarios of the portable terminal to use the UI screen. Accordingly, a state stage related to the UI screen is set, and an event action table related to the state stage is configured. The controller 11 configures final scene information by adding event scene information to the basic scene information in relation to the event motion table configuration, and configures a scene table including the final scene information and the motion table.

이러한 제어부(11)의 동작 과정을 도2에 도시하였다. 도2를 참조하여, 제어부(11)는 101단계에서 UI화면 구성 시 사용될 수 있는 다수의 이미지를 객체화하여 UI객체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저장한다. 이후, 103단계에서 제어부(11)는 운영자로부터 UI화면 디자인 요구가 있으면 105단계로 진행한다. 105단계에서 제어부(11)는 미리 저장된 UI객체 리스트 및 UI화면 생성 툴을 제공한다. 상기 UI객체 리스트는 상기 UI객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수의 UI객체들을 나타내는 리스트로서, 각 UI객체에 대응되는 UI객체 코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상기 UI객체 리스트는 각각의 UI객체와 대응되는 명칭을 나타내는 텍스트 리스트 또는 간략 이미지 리스트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각 UI객체의 이미지 종류에 따라 구분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UI화면 생성 툴은 운영자가 UI화면을 보다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툴로서, UI화면 구성 시 운영자가 프로그램 코딩을 통해 UI화면을 구성하는 것이 아닌 윈도우 방식으로 UI화면을 구성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 툴로서, 하기 운영자의 UI화면 디자인 과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1 i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2, in step 101, the controller 11 constructs and stores a UI object database by objectizing a plurality of images that can be used when constructing a UI screen. Thereafter, in step 103, the control unit 11 proceeds to step 105 when a UI screen design request is made from the operator. In step 105, the control unit 11 provides a UI object list and a UI screen generation tool which are stored in advance. The UI object list is a list representing a plurality of UI objects stored in the UI object database, and includes a UI object code corresponding to each UI objec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I object list may be provided as a text list or a simplified image list indicating a name corresponding to each UI object. In addition, it may be provid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image type of each UI object. The UI screen generation tool is a tool provided to enable the operator to easily configure the UI screen, and when the UI screen is configured, the operator may configure the UI screen in a window manner instead of configuring the UI screen through program coding. As a program tool to enable, it provides an environment that enables the following UI screen design process of the operator.

운영자는 UI화면 생성 장치(10)가 UI화면 생성 툴과 UI객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면, 원하는 UI화면 크기, 레이아웃, UI화면의 디자인을 결정하고, 결정된 UI화면의 크기와 레이아웃을 UI화면 생성 장치(10)에 키 입력부 또는 마우스(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입력하고, 디스플레이 된 UI객체 리스트 중 결정에 따른 UI 객체를 선택하고, 선택된 UI객체가 UI화면의 레이아웃 상에 원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입력을 한다. 그리고 운영자는 원한다면 선택한 각 UI객체의 크기나 색상 등 UI객체의 상태 조건을 변경한다. 운영자는 상기한 과정을 통해서 원하는 UI화면의 디자인을 손쉽게 할 수 있다. When the UI screen generating apparatus 10 displays the UI screen generating tool and the UI object list, the operator determines a desired UI screen size, layout, and design of the UI screen, and determines the size and layout of the determined UI screen. 10) input by using a key input unit or a mouse (not shown), selects a UI objec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displayed UI object list, and arranges the selected UI object to be positioned in the desired position on the layout of the UI screen Enter. If desired, the operator can change the state of the UI object, such as the size and color of each selected UI object. The operator can easily design the desired UI screen through the above process.

한편, 제어부(11)는 107단계에서 상기한 사용자의 UI화면 디자인과 관련된 입력에 대응하여 생성할 UI화면의 크기와 레이아웃을 설정하고, 미리 저장된 UI객체 중 운영자 선택에 대응되도록 UI객체의 상태 조건을 변경하고, 배치하여 UI화면을 구성한다. 109단계에서 제어부(11)는 운영자로부터 디자인 완료 입력이 있으면 111단계로 진행하여 디자인된 UI화면의 전체 크기, UI화면에 포함된 UI객체 코드, 각 UI객체별 기준 위치, 위치 좌표, 크기, 변경된 상태 조건을 UI화면에 대응하는 기본 씬(scene)정보로 저장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1 sets the size and layout of the UI screen to b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input related to the UI screen design of the user in step 107, and the condition condition of the UI object to correspond to the operator selection of the pre-stored UI objects Change and arrange to configure the UI screen. In step 109, if there is a design completion input from the operator, the control unit 11 proceeds to step 111 and the overall size of the designed UI screen, the UI object code included in the UI screen, the reference position for each UI object, the position coordinates, the size, and the changed value. The state condition is stored as basic scen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I scre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UI화면에서 UI객체를 운영자가 설정한 위치에 표현하기 위해서는 UI객체의 기준 위치, 위치 좌표, 상태 조건 등이 필요하다. 하나의 UI객체 위치는 기준 위치와, 위치 좌표와, 크기로 표현된다. 2D화면의 경우 위치 좌표와 크기가 x, y 좌표 평면에서만 정의 되고, 3D화면의 경우 x, y, z 좌표계에서 정의된다. 상기 기준 위치는 UI객체의 실제 위치의 기준이 되는 좌표이다. UI객체가 싱글 픽셀(single pixel)이 아니라면 위치의 기준이 필요하다. 기준좌표는 2D UI화면의 레이아웃인 직사각형의 꼭지점 또는 UI화면의 중심 혹은 임의의 좌표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UI화면 레이아웃의 왼쪽 위쪽 꼭지 좌표 또는 UI화면의 중심좌표가 기준 위치로 정해진다. 상기 위치 좌표는 UI객체가 UI화면상에서 실질적 위치를 나타낸 좌표로서, 절대 좌표와 상대 좌표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대 좌표와 절대 좌표 각각은 픽셀 좌표(AX)와 퍼센트 좌표(AC)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절대 픽셀 좌표는 전체 스크린을 기준으로 한 객체의 시작지점 픽셀 위치를 나타내고, 절대 퍼센트 좌표는 전체 스크린을 기준으로 한 퍼센트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상대 픽셀 좌표(RX) 및 상대 퍼센트 좌표(RC)는 패런트 윈도우(parent window)에서 운영자에 의해 설정된 UI화면 영역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나타낸다. 가령, 스크린의 크기가 240x320이고, 패런트 윈도우의 운영자 설정 영역이 box(10,10,210,210)이며, 표현하고자 하는 UI객체가 AX(60,60)위치에 위치한다면, 이 좌표는 AC(25%, 18.75%), 혹은 RX(50,50) 혹은 RC(25%, 25%)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크기는 UI객체의 크기로서, 상기 위치 좌표의 표현과 유사하게 절대적인 픽셀 크기로 나타내거나 스크린 혹은 부모 윈도우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조건은 UI객체의 색상, 명도, 체도, 폰트, 효과 등 UI객체의 디자인적 정보이다. 상기 상태 조건에 대한 저장 정보를 줄이기 위해 각 객체마다 기본 테마와 자주 사용하는 다수의 변경 테마를 정의해 두고, 기본 테마와 운영자에 의해 객체에 설정된 변경 테마와의 차이만이 기본 씬 정보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xpress a UI object in a position set by an operator in a UI screen, a reference position, a position coordinate, a state condition, etc. of the UI object are required. A UI object position is represented by a reference position, position coordinates, and size. In the case of 2D screen, the position coordinate and size are defined only in the x, y coordinate plane, and in the 3D screen, it is defined in the x, y, z coordinate system. The reference position is a coordinate that is a reference of the actual position of the UI object. If the UI object is not a single pixel, a positional reference is required. The reference coordinate may be a vertex of a rectangle that is a layout of a 2D UI screen, or a center or arbitrary coordinates of the UI screen. In general, the upper left corner coordinate of the UI screen layout or the center coordinate of the UI screen is determined as a reference position. The position coordinates are coordinates indicating a substantial position of the UI object on the UI screen and may be represented by absolute coordinates and relative coordinates. Each of the relative coordinates and the absolute coordinates may be divided into pixel coordinates AX and percent coordinates AC. The absolute pixel coordinates represent the starting pixel position of the object with respect to the entire screen, and the absolute percentage coordinates represent the percen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entire screen. In addition, the relative pixel coordinates RX and the relative percentage coordinates RC indicate relative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UI screen area set by the operator in the parent window. For example, if the screen size is 240x320, the parent window's operator setting area is box (10,10,210,210), and the UI object to be represented is located at AX (60,60), this coordinate is AC (25%, 18.75%), or RX (50, 50) or RC (25%, 25%). The size is the size of the UI object, similar to the representation of the position coordinates can be represented by the absolute pixel size or relative size relative to the screen or the parent window. The state condition is design information of the UI object such as color, brightness, body diagram, font, and effect of the UI object. In order to reduce the storage information of the state condition, each object is defined with a default theme and a number of frequently used change themes, and on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fault theme and the change theme set on the object by the operator is included in the base scene information. It can also be configur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UI화면의 디자인이 완료되고, 디자인이 완료된 UI화면의 기본 씬 정보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UI화면 생성 장치(10)를 통해 상기 UI화면을 사용할 휴대용 단말의 동작 시나리오와 운영자 입력에 따라 상기 UI화면의 상태 스테이지를 설정한다. 휴대용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은 워크플로라 불리는 동작 시나리오를 가지는데, 이러한 동작 시나리오는 여러 개의 씬(scen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씬은 하나의 UI화면과 하나의 상태 스테이지와 대응된다. 즉, 워크플로는 각 씬을 하나의 상황으로 하는 상태 스테이지들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으며, 상태 스테이지란 관련 휴대용 단말의 동작 시나리오 중 임의의 UI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상기 상태 스테이지의 일 예로는 각종 메뉴 화면, 전화 발신 화면, 전화 수신 화면, 단문 메시지 작성 화면 등을 들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design of the UI screen is completed and the basic scene information storage of the completed UI screen is comple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use the UI screen through the UI screen generating apparatus 10 is completed. Set a state stage of the UI screen according to a scenario and an operator input. An application of a portable terminal has an operation scenario called a workflow, which is composed of several scenes, and one scene corresponds to one UI screen and one state stage. That is, the workflow can be said to be composed of state stages in which each scene has one situation, and the state stage means a situation in which an arbitrary UI screen is displayed among operating scenarios of a related portable terminal. Examples of the status stage may include various menu screens, call origination screens, call reception screens, and short message creation screens.

이러한 각 상태 스테이지와 관련하여, 특정 상태 스테이지가 설정된 상태에서 다른 상태 스테이지로 전환되게 하는 각종 전환 이벤트들과, 상기 특정 상태 스테이지를 유지하면서 해당 UI화면을 약간씩 변경시키는 각종 변경 이벤트들을 정의하고 테이블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각종 변경 이벤트가 수행됨에 따라 일부 UI화면이 변경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추가되는 이벤트 씬 정보를 기본 씬 정보에 첨부하여 최종 씬 정보를 생성한다. 즉, 하나의 상태 스테이지와 관련하여 키 패드 등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동작 이벤트, 또는 휴대용 단말과 연관된 네트워크를 통한 외부 동작 이벤트 처리에 대한 모든 정보들이 정의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하나의 상태 스테이지와 관련된 이벤트 테이블과 최종 씬 정보는 링크되어, 씬 테이블에 포함된다. 상기 씬 테이블은 임의의 휴대용 단말의 동작 시나리오와 관련된 다수의 상태 스테이지와, 각 상태 스테이지에 대응되는 이벤트 테이블과, 최종 씬 정보를 포함한다. With respect to each of these state stages, a table is defined that defines various transition events that cause a particular state stage to transition from one set state to another, and various change events that slightly change the corresponding UI screen while maintaining the specific state stage. It consists of. Since some UI screens change as the various change events are performed, final scene information is generated by attaching additional event scene information to basic scene information. That is, in relation to one state stage, all information on input operation events through a user interface such as a keypad or external operation events through a network associated with a portable terminal is defined. The event table and the final scene information related to one configured state stage are linked and included in the scene table. The scene table includes a plurality of state stages related to an operation scenario of a portable terminal, an event table corresponding to each state stage, and final scene information.

상기한 상태 스테이지 설정 및 이벤트 정의 과정은 도2의 113단계 내지 119 단계에 해당한다. 도2를 참조하여, UI화면 생성 장치(10)의 제어부(11)는 113단계 에서 사용자로부터 디자인된 UI화면과 관련된 상태 스테이지 설정 요구가 있으면 115단계로 진행한다. 115단계에서 제어부(11)는 운영자 입력과 미리 정해진 휴대용 단말의 동작 시나리오에 따라 해당 UI화면에 대응되는 상태 스테이지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태 스테이지와 관련된 이벤트 동작 테이블을 구성하고 1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이벤트 동작 테이블은 상기 디자인된 UI화면에 설정된 상태 스테이지와 관련된 상기한 각종 이벤트와 각 이벤트에 대응되어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루어진 테이블이다. 즉, 상기 이벤트 테이블은 상기 전환 이벤트와, 상기 변경 이벤트를 포함하며, 각 이벤트 발생시 수행되어야 하는 UI화면 디스플레이관련 동작을 상기 각 이벤트와 링크시켜 포함한다. 117단계에서 제어부(11)는 이벤트 동작 테이블에 포함되는 변경 이벤트에 따라 새롭게 추가되는 씬 정보를 기본 씬 정보에 이벤트 씬 정보로 추가하여 최종 씬 정보를 구성하고 119단계로 진행한다. 119단계에서 제어부(11)는 해당 UI화면에 대응하여 설정된 상태 스테이지와, 최종 씬 정보와, 이벤트 동작 테이블을 링크하여 포함하는 씬 테이블을 구성, 저장하고 121단계로 진행한다. 121단계에서 제어부(11)는 새로운 UI화면 디자인 요구가 있으면 상기 105단계로 진행하여, 105단계 내지 119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The state stage setting and event definition process correspond to steps 113 to 119 of FIG. 2. Referring to FIG. 2, in step 113, the controller 11 of the UI screen generating apparatus 10 proceeds to step 115 when a state stage setting request relating to a UI screen designed by a user is requested. In step 115, the controller 11 sets a state stage corresponding to the UI screen according to an operator input and a predetermined operation scenario of the portable terminal, configures an event operation table related to the set state stage, and proceeds to step 117. The event operation table is a table including the various events related to the state stage set on the designed UI screen and the operations per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event. That is, the event table includes the switching event and the change event, and includes a UI screen display related operation to be performed when each event is linked with the respective events. In step 117, the control unit 11 adds the newly added scen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event included in the event operation table as the event scene information to configure the final scene information and proceeds to step 119. In step 119, the control unit 11 constructs and stores a scene table including a state stage se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UI screen, final scene information, and an event action table by linking, and proceeds to step 121. In step 121, if there is a new UI screen design request, the controller 11 proceeds to step 105 and repeats steps 105 to 119.

상기한 과정에 따라 휴대용 단말(20)에 필요한 UI화면들도 디자인될 수 있으며, 디자인된 UI화면들에 대한 씬 테이블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씬 테이블을 저장한 휴대용 단말(20)은 제어부(21), 표시부(23), 메모리부(25)를 포함한다. 메모리부(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UI객체 데이터베이스와, 씬 테이블과, UI화면 디스플레이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씬 테이블은 상기 휴대 용 단말(20)의 동작 시나리오에 따라 미리 정해진 다수의 상태 스테이지와, 각각의 상태 스테이지와 링크되는 이벤트 동작 테이블과, 각각의 상태 스테이지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UI화면과 관련된 최종 씬 정보로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the above process, UI screens required for the portable terminal 20 may also be designed, and a scene table for the designed UI screens may be configured. The portable terminal 20 storing the scene table includes a control unit 21, a display unit 23, and a memory unit 25. The memory unit 25 stores the UI object database, the scene table, and UI screen display program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ene tab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tate stages according to an operation scenario of the portable terminal 20, event operation tables linked to each state stage, and final scene information related to a UI screen displayed at each state stage. Is made of.

상기 표시부(23)는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각종 텍스트 및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The display unit 23 displays various texts and imag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1.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휴대용 단말(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라 UI화면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UI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에 따른 제어부(21)의 동작 흐름을 도3에 도시하였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디스플레이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3을 참조하여 임의의 UI화면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제어부(21)는 201단계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205단계로 진행한다. 205단계에서 제어부(21)는 씬 테이블에서 현재 상태 스테이지에 대응하는 이벤트 동작 테이블을 검색하여,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와 이벤트에 따른 수행동작을 파악하여 113단계로 진행한다. 113단계에서 제어부(21)는 상기 201단계에서 발생한 이벤트가 상태 스테이지를 전환해야 하는 전환 이벤트인지 확인하여, 전환 이벤트이면 205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21)는 현재 상태 스테이지와 발생한 이벤트를 조합하여 씬 테이블에서 전환해야 할 상태 스테이지에 대응하는 기본 씬 정보를 검색하고 209단계로 진행한다. 209단계에서 제어부(21)는 디스플레이 할 표시영역 크기와 검색된 기본 씬 정보에 포함된 UI화면의 전체 크기, UI화면에 포함된 UI객체 코드, 각 UI객체별 기준 위치, 위치 좌표, 상태 조건에 따라 UI객체 데이터베이스에서 필요한 UI객체를 검출 하고, 변환하여 UI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201단계로 진행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21)는 휴대용 단말(20)에 구비된 표시 영역의 크기와 상기 기본 씬 정보에 포함된 UI화면의 전체 크기를 비교하여, 크기 차이에 따라 UI객체의 확대 축소 비율을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21)는 상기 기본 씬 정보에 포함된 UI객체 코드에 해당하는 UI객체를 UI객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출하여, 상기 결정된 확대 축소 비율에 따라 확대 축소한다. 이후, 제어부(21)는 상기 씬 정보에 포함된 상태 조건에 따라 UI객체의 색상, 명도, 체도, 폰트, 효과 등 상태를 변경하여, 상기 씬 정보에 포함된 각 UI객체별 기준 위치, 위치 좌표와 상기 확대 축소 비율을 고려하여 적정 위치에 상기 UI객체를 배치하여 UI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한편, 상기 201단계에서 발생한 이벤트가 현재 상태 스테이지를 유지한 채 현재 디스플레이 된 UI화면의 일부만 변경하는 변경 이벤트이면 제어부(21)는 211단계로 진행한다. 211 단계에서 제어부(21)는 현재 상태 스테이지를 이용해 씬 테이블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된 UI화면과 관련된 이벤트 씬 정보를 검출하여, 검출된 이벤트 씬 정보에 포함된 UI객체와 관련된 각종 정보에 따라 상기 209단계와 유사한 과정으로 UI화면을 일부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201단계로 진행한다. The controller 21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controls the UI screen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n operation flow of the controller 21 according to a process of displaying a UI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a user interfac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when an arbitrary UI screen is displayed, the controller 21 proceeds to step 205 when an event occurs in step 201. In step 205, the control unit 21 searches the event operation tabl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tate stage in the scene table, determines the type of the generated event and the perform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event, and proceeds to step 113. In step 113, the controller 21 determines whether the event generated in step 201 is a switching event that requires switching the state stage, and if the switching event proceeds to step 205. The control unit 21 searches for basic scen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stage to be switched in the scene table by combining the current state stage and the generated event, and proceeds to step 209. In step 209, the control unit 21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to be displayed, the total size of the UI screen included in the retrieved basic scene information, the UI object code included in the UI screen, the reference position for each UI object, the position coordinates, and the state condition. In step 201, the UI object is detected in the UI object database, converted, and then configured and displayed. 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21 compares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20 with the overall size of the UI screen included in the basic scene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enlargement and reduction ratio of the UI object according to the size difference. . The controller 21 detects a UI object corresponding to the UI object code included in the basic scene information in the UI object database and expands and contract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enlargement reduction ratio. Subsequently, the controller 21 changes the color, brightness, body size, font, effect, etc. of the UI object according to the state condition included in the scene information, and then the reference position and position coordinate for each UI object included in the scene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enlargement and reduction ratio, the UI object is arrang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to configure and display a UI screen. On the other hand, if the event occurred in step 201 is a change event that changes only a part of the currently displayed UI screen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state stage, the controller 21 proceeds to step 211. In step 211, the control unit 21 detects event scen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I screen currently displayed in the scene table using the current state stage, and according to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UI object included in the detected event scene information. In a similar process, the UI screen is partially changed and display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01.

즉, 제어부(21)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씬 테이블에서 현재 상태 스테이지를 검색하고, 현재 상태 스테이지와 링크된 이벤트 동작 테이블을 검색하여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와 이벤트에 대응하여 수행해야 할 동작을 파악한다. 만약 발생한 이벤트가 전환 이벤트라면, 제어부(21)는 상기 이벤트 동작 테이블에서 전환할 상태 스테이지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21)는 검출된 상태 스테이지를 씬 테이블 테이블 에서 검색하여 링크된 씬 기본 정보를 검출할 수 있으며, 씬 기본 정보에 포함된 각종 정보에 따라 UI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만약 발생한 이벤트가 변경 이벤트라면, 제어부(21)는 현재 상태 스테이지와 링크된 상기 이벤트 동작 테이블에서 변경할 UI객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현재 상태 스테이지와 링크된 씬 정보에서 이벤트 씬 정보를 검출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된 UI화면을 상기 이벤트 씬 정보에 따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한다.That is, when an event occurs, the controller 21 searches the current state stage in the scene table, and searches the event action table linked with the current state stage to determine the type of event and the action to be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event. If the generated event is a switching event, the controller 21 may detect a state stage to be switched in the event operation table. The controller 21 can detect the linked scene basic information by searching the detected state stage in the scene table table, and configure and display the UI screen according to vario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cene basic information. If the generated event is a change event, the controller 21 may grasp the UI object to be changed in the event action table linked with the current state stage, and detect current event scene information from the scene information linked with the current state stage to display the current object. The changed UI screen according to the event scene information and display the changed UI scree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객체화된 UI 이미지들을 통해 디자인된 UI화면에 포함되는 UI객체에 대한 위치 정보와 상태 조건을 포함하는 씬 정보와, 임의의 휴대용 단말의 동작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UI화면에 설정되는 상태 스테이지와, 상태 스테이지와 관련된 이벤트들을 포함하는 이벤트 테이블을 링크하여 저장하는 씬 테이블과, UI객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이 이벤트 발생시, 상기 씬 테이블을 검색하여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씬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에 구비된 표시 영역 크기에 따라 UI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휴대용 단말에 구비된 표시 영역의 크기에 적응적인 UI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to the UI screen according to the scene information includ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state conditions for the UI object included in the UI screen designed through the objectized UI images, and any operation scenario of the portable terminal. A scene table linking and storing a state stage, an event table including events related to the state stage, and scen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vent generated by searching the scene table whe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UI object database generates an event. By detecting and configuring the UI scree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 UI screen adaptive to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provided.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객체화된 UI 이미지들을 통해 디자인된 UI화면에 포함되는 UI객체에 대한 위치 정보와 상태 조건을 포함하는 씬 정보와, 임의의 휴대용 단말의 동작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UI화면에 설정되는 상태 스테이지와, 상태 스테이지와 관련된 이벤트들을 포함하는 이벤트 테이블을 링크하여 저장하는 씬 테이블과, UI객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이 이벤트 발생시, 상기 씬 테이블을 검색하여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씬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에 구비된 표시 영역 크기에 따라 UI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휴대용 단말에 구비된 표시 영역의 크기에 적응적인 UI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to the UI screen according to the scene information includ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state conditions for the UI object included in the UI screen designed through the objectized UI image, and any operation scenario of the portable terminal A scene table linking and storing an event table including events related to the state stage, and a scene table corresponding to an event generated by searching the scene table when an event occurs whe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UI object database is generated. By detecting and configuring and displaying the UI scree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I screen adaptive to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Claims (7)

휴대용 단말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In the user interface screen display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미리 저장된 씬(scene) 테이블에서 현재 상태 스테이지와 링크된 이벤트 동작 테이블을 검색하여 발생한 이벤트를 파악하는 과정과,Retrieving the events that occurred by searching the event action table linked to the current state stage in the prestored scene table; 상기 이벤트가 다른 상태 스테이지로 전환을 요구하는 이벤트이면 상기 씬 테이블에서 상기 다른 상태 스테이지와 링크된 씬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과, Detecting scene information linked to the other state stage in the scene table if the event requires an event to switch to another state stage; 미리 저장된 유저 인터페이스 객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씬 정보에 포함된 UI 객체 코드에 해당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객체를 검출하는 과정과, Detecting a user interface object corresponding to a UI object code included in the scene information in a prestored user interface object database; 상기 휴대용 단말에 구비된 표시 영역 크기와 상기 씬 정보에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전체 크기를 비교하여 확대/축소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검출된 각 유저 인터페이스 객체의 크기를 결정된 확대/축소 비율에 따라 변경하여 상기 씬 정보에 포함된 기준 위치와, 위치 좌표에 따라 배치하여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The enlargement / reduction ratio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display area size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entire size of the user interface screen included in the scene information, and the size of each detected user interface objec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enlargement / reduction ratio. And configuring a user interface screen by displaying the reference position and position coordinates included in the scene information to display the user interface screen. 휴대용 단말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In the user interface screen display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미리 저장된 씬(scene) 테이블에서 현재 상태 스테이지와 링크된 이벤트 동작 테이블을 검색하여 발생한 이벤트를 파악하는 과정과,Retrieving the events that occurred by searching the event action table linked to the current state stage in the prestored scene table; 상기 이벤트가 현재 디스플레이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부의 변경을 요구하는 이벤트이면 상기 씬 테이블에서 현재 상태 스테이지와 링크된 씬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과, Detecting scene information linked to a current state stage in the scene table if the event requires an change of a part of the currently displayed user interface screen; 미리 저장된 유저 인터페이스 객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씬 정보에 포함된 UI 객체 코드에 해당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객체를 검출하는 과정과,Detecting a user interface object corresponding to a UI object code included in the scene information in a prestored user interface object database; 상기 휴대용 단말에 구비된 표시 영역 크기와 상기 씬 정보에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전체 크기를 비교하여 확대/축소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검출된 각 유저 인터페이스 객체의 크기를 결정된 확대/축소 비율에 따라 변경하여 상기 씬 정보에 포함된 기준 위치와, 위치 좌표에 따라 배치하고, 상기 씬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 씬 정보를 검출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검출한 씬 정보에 따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The enlargement / reduction ratio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display area size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entire size of the user interface screen included in the scene information, and the size of each detected user interface objec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enlargement / reduction ratio. And disposing according to the reference position and position coordinates included in the scene information, detecting event scen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cene information, and changing and displaying the currently displayed user interface screen according to the detected scene information. A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screen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디스플레이 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객체를 상기 씬 정보에 포함된 디자인적 요소를 결정하는 상태 조건에 따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er interface screen is displayed by changing the user interface object according to a condition condition for determining a design element included in the scene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객체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다수의 이미지 각각을 객체화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user interface object is an object of each of a plurality of images constituting a user interface scree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스테이지는 상기 휴대용 단말의 동작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다수의 씬(scene) 각각에 대응되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ate stage is set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scenes constituting an operation scenario of the portable termi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스테이지는 하나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과 대응되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atus stage is set to correspond to one user interface scree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동작 테이블은 링크된 상태 스테이지에서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와 각각의 이벤트 발생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디스플레이와 관련하여 수행되는 동작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event action table includes all events occurring in a linked state stage and action information performed in relation to the display of the user interface screen according to occurrence of each event. .
KR1020060005881A 2006-01-19 2006-01-19 Method for displating an user interface picture in potable terminal KR1011969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881A KR101196985B1 (en) 2006-01-19 2006-01-19 Method for displating an user interface picture in po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881A KR101196985B1 (en) 2006-01-19 2006-01-19 Method for displating an user interface picture in po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700A KR20070076700A (en) 2007-07-25
KR101196985B1 true KR101196985B1 (en) 2012-11-02

Family

ID=3850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881A KR101196985B1 (en) 2006-01-19 2006-01-19 Method for displating an user interface picture in po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98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6182A1 (en) 2014-02-21 2015-08-27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432B1 (en) * 2002-02-26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esign modification of Graphic User Interface and recorded media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432B1 (en) * 2002-02-26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esign modification of Graphic User Interface and recorded media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700A (en) 200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4972B2 (en) User interface generation apparatus
US9081591B2 (en) User interface generation apparatus
US20040113915A1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JP2007299394A (en) Method of displaying text using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20110035706A1 (en) User interface generation apparatus
US20110022974A1 (en) User interface generation apparatus
US1050425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diting map acquired from server
US20080291294A1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Modifying a Flash Image and Method of Modifying a Flash Image Therewith
KR100686162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 thumbnail image in thereof
US20080137967A1 (en) editing apparatus, design edi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for
KR101196985B1 (en) Method for displating an user interface picture in potable terminal
JP2008084323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14237795B (en) Terminal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2016014737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
JP2008293243A (en) Mobile terminal
JP2007034055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JP2005181424A (en) Mobil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information display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display processing program
JP4518537B2 (en) Screen creation support device
CN111078176A (en) Display screen lighting method, display device and storage medium
JP5262978B2 (en) User interface screen display method and terminal used for the method
JP5191966B2 (en) Electronics
JP2007272382A (en) Process control system
KR20140142488A (en) An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developing responsive widget
JP2006155406A (en) Cad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ircuit component
CN104461591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