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085B1 -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n emergency mod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n emergency mod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085B1
KR101196085B1 KR1020060014089A KR20060014089A KR101196085B1 KR 101196085 B1 KR101196085 B1 KR 101196085B1 KR 1020060014089 A KR1020060014089 A KR 1020060014089A KR 20060014089 A KR20060014089 A KR 20060014089A KR 101196085 B1 KR101196085 B1 KR 101196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mergency mode
terminal
stat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0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81861A (en
Inventor
김호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4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085B1/en
Publication of KR20070081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8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0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모드 시 배터리 저전력 상태에 따른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battery low power state in an emergency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단말기가 저전압 상태에서 긴급 모드 진입 시 주기적으로 파워 오프시켜 배터리 소모를 줄이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저전압 상태에서 긴급 모드 진입에 따른 파워 오프 시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해 파워 오프 동작 수행에 따라 시스템으로의 위치 등록(Registration or Location Update)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파워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battery consumption by periodically powering off when the terminal enters the emergency mode in a low voltage state. In this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is powered off without performing a registration or location update process to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ower off operation in order to reduce the battery consumption when the power off due to entering the emergency mode in the low voltage state. It is done.

저전압, 긴급 모드, 위치 등록, 전원 제어 Low voltage, emergency mode, position registration, power control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모드 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N EMERGENCY MOD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N EMERGENCY MOD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긴급 모드 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a power supply in an emergency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모드 시 전원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power in an emergency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모드 시 배터리 저전력 상태에 따른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battery low power state in an emergency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동통신 서비스의 가입자 수는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이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긴급 상황 예컨대 교통사고가 나거나, 화재가 발생하거나, 강도가 침입하거나, 폭력배를 만나게 되는 상황 등에 처했을 경우 이를 누군가에게 알 리고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많이 사용한다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number of subscribers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has exploded, and now most people own one or mor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s a result, people often use mobile terminals to inform and call for help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car accident, fire, robbery, or encountering a gangster.

종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을 예를 들면, 첫째,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도움을 받고자 하는 사람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자신의 상황을 설명하고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둘째, 사용자가 이동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하고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긴급 구조 요청을 하는 방법이 있다. 둘째 방법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긴급 구조 요청을 하면 이동통신 사업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사람에게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나 현재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사진 또는 동영상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이 긴급 상황에 처함을 미리 정해진 사람 또는 기관으로 알리기 위한 방법으로는 미리 설정된 키 입력을 통해 자동으로 긴급 상황에 처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해당 사람 또는 기관으로 자동으로 통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면,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 처함을 인지한 상대방 또는 기관의 요원은 해당 사용자와 통화를 시도하여 긴급 상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만약, 긴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통화가 불가능한 상황이라면 상대방 또는 기관의 요원은 사용자의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긴급 상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For example, a conventional user uses a mobile terminal to request help from someone. First, a user directly calls a person who wants to receive help through a mobile terminal to explain his situation and asks for help. There is a way. Second, there is a method in which a user subscribes to a service provided by a mobile service provider and makes an emergency rescue request to the mobile service provider. In the second method, when a user makes an emergency rescue request to a mobile service provider, the mobile service provider informs the user of the user's situation by providing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r photo or video information that can determine the current situation to a person designated in advance. You will be asked for help. As a way for a user to notify a predetermined person or agency that he or she is in an emergency, a user can send a message to the person or agency automatically by using a predetermined key input or automatically make a call to the person or organization. You may. Then, the agent of the counterpart or agency that the user is aware of the emergency situation may try to speak with the user to help the emergency situation. If the user in an emergency situation is unable to make a call, an agent of the counterpart or agency may check the location of the user by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user's terminal and use the information to assist in an emergency.

한편, 이와 같이 긴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통화가 불가능한 상황이라면 상대방 또는 기관의 요원은 사용자의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경우에는 단말기가 주기적으로 시스템으로 업 데이트하는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 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배터리의 잔여 용량에 관계없이 주기적으로 시스템으로 위치 등록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in an emergency situation is unable to make a call, the agent of the other party or the agency tracks the location of the user's terminal, and us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periodically updated to the system. You can check the location. In general, the terminal periodically performs location registration with the system regardless of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그러나, 만약 긴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의 단말기의 전원이 저전력 상태가 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주기적으로 시스템으로 위치 등록을 수행하게 되면 배터리 소모가 빨라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서 구출되기 전에 단말기의 배터리 잔여 용량이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배터리 용량 이하로 떨어져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파워 오프(Power Off)된다. However, even if the power of the terminal of the user in an emergency situation is a low power state, if the location registration to the system period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consumption is fast, so that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of the terminal before the user is rescued in an emergency situation If the battery becomes less than the battery capacity required to operate the terminal and cannot be used, the power is turned off.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긴급 상황 발생에 따른 긴급 모드에서 배터리 잔여 용량 부족 시에도 주기적으로 계속하여 위치 등록을 한다거나, 현재 긴급 모드에서 실제 필요하지 않은 키 입력부나 표시부 등에 계속해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배터리 소모가 빨라져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시간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inuously registers the location even when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is insufficient in the emergency mod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or continuously supplies power to a key input unit or a display unit which is not actually needed in the current emergency mode. By supplying the battery is fast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ime for checking the location of the user is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기 동작 모드가 긴급 모드인 경우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 시켜 배터리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battery operation time to be extended by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when the terminal operation mode is an emergency mode.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모드 시 전 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배터리가 저전력 상태인지를 검사하는 제1 과정과, 상기 배터리가 저전력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기의 동작모드가 긴급 모드인지를 검사하는 제2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긴급 모드인 경우 실시간 클럭(RTC) 알람 주기를 설정하고, 단말기 상태가 긴급 모드임을 저장하고,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바로 전원을 오프시키는 제3 과정과, 상기 실시간 클럭 알람 주기에 따른 단말기 전원 온을 위한 클럭이 발생하면, 단말기 전원을 온 시킨 후, 시스템으로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제4 과정과, 상기 긴급 모드가 해제되었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긴급 모드가 해제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3 내지 제4과정을 수행하는 제5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an emergency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first process of checking whether a batter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low power state; And a second process of checking whether an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is an emergency mode, and setting a real time clock (RTC) alarm period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is an emergency mode, storing that the terminal state is an emergency mode, and registering a location. A third process of immediately turning off the power without performing a process; and a fourth process of performing a location registration to the system after turning on the terminal power when a clock for powering o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al-time clock alarm cycle occurs And checking whether the emergency mode has been released, and if the emergency mode has not been released, perform the third to fourth processes. It is characterized by the yirueojim including the fifth step.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본 발명은 단말기가 저전압 상태에서 긴급 모드 진입 시 주기적으로 파워 오프시켜 배터리 소모를 줄이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저전압 상태에서 긴급 모드 진입에 따른 파워 오프 시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해 파워 오프 동작 수행에 따라 시스템으로의 위치 등록(Registration or Location Update)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파워 오프한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현재 긴급 상황임을 알리기 위해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통화한 후에는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긴급모드로 동작한다. 또한, 이러한 긴급 모드 설정은 상기 와 같이 미리 설정된 긴급 전화번호로 통화 이후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긴급 모드 설정을 위한 별도의 키 입력을 통해 설정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by periodically powering off when the terminal enters the emergency mode in a low voltage state.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powers off without performing a registration or location update process to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ower off operation in order to reduce the battery consumption when the power off due to entering the emergency mode in the low voltage stat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terminal uses a preset telephone number to inform the user of the current emergency situation, the terminal operates in the emergency mode. In addition, the emergency mode setting may be set after the call to the emergency telephone number set in advance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set by a user through a separate key input for emergency mode sett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긴급 모드 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어부(100), 무선부(102), 실시간 클럭 발생부(RTC : Real Time Clock)(104), 보조 전원 공급부(106), 메인 전원 공급부(108), 음성 처리부(110), 키 입력부(112), 메모리부(114), 표시부(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a power supply in an emergency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00, a wireless unit 102, a real time clock generator (RTC) 104,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106, The main power supply unit 108 includes a main power supply unit 108, a voice processing unit 110, a key input unit 112, a memory unit 114, and a display unit 116.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긴급 모드 시 배터리 잔여 용량이 임계치 값 이하가 될 경우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100)는 긴급 모드 시 배터리 잔여 용량이 임계치 값 이하가 되어 배터리 저전력 상태가 되면, 단말기 상태를 긴급 모드 상태로 저장한다. 이후, 제어부(100)는 보조 전원 공급부(106)에서 실시간 클럭 발생부(104)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 후, 파워 오프시킨다. 이때, 제어부(100)는 파워 오프에 따른 시스템으로의 위치 등록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바로 파워 오프시킨다. 이후, 실시간 클럭 발생부(104)에서 발생되는 클럭에 따라 메인 전원 공급부(108)에서 전원이 제어부(100)로 공급되면 파워 온된다. 이때, 파워 온 되면 제어부(100)는 실시간 클럭에 따른 파워 온이고, 현재 단말기의 동작 상태가 긴급 모드이면 위치 등록를 위한 구성 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들로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위치 등록을 수행한다.The controller 100 performs an overall control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power when the battery remaining capacity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in the emergency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00 stores the terminal state in the emergency mode state when the battery remaining capacity become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in the emergency mode and becomes the battery low power state. 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100 supplies power to the real time clock generator 104 from the auxiliary power supply 106 and then powers off.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00 immediately powers off without performing the position registration operation to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ower off. Thereafter,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main power supply unit 108 to the controller 100 according to the clock generated by the real time clock generator 104, the power is turned on. In this case,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controller 100 is powered on according to a real time clock. If the current terminal is in an emergency mode, the controller 100 performs location registration without supplying power to components other than the location registration component.

상기와 같이 제어부(100)에서 긴급 모드시 배터리 저전력에 따른 전원 제어 과정에 대하여 하기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upply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battery low power in the emergency mode in the control uni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무선부(102)는 제어부(100)에서 발생한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무선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100)로 전달한다. The wireless unit 102 receives a signal generated from the control unit 100 and digitally modulates the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hrough an antenna.

실시간 클럭 발생부(104)는 보조 전원 공급부(10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설정된 주기의 클럭을 발생시킨다. 이때, 설정된 주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단말기 생산 단계에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정 주기는 긴급 모드 시 단말기의 배터리 잔여 용량이 소정의 임계치 값 이하가 되어 저전력 상태가 되는 경우 배터리 소모를 최소한으로 소모되도록 하기 위해 설정된 주기가 되면 단말기 전원을 온(ON)시키기 위한 주기이다. 이러한 설정 주기는 메모리부(114)에 미리 저장할 수도 있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키 입력을 통해 입력된 주기로 설정할 수도 있다.The real time clock generator 104 receives the power from the auxiliary power supply 106 to generate a clock of a set period. At this time, the set period may be set by the user or may be set in the terminal production stag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cycle is to turn on the terminal power when the set period is set to minimize the battery consumption when the battery remaining capacity of the terminal become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n a low power state in the emergency mode. It is a cycle for. The setting period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unit 114 or may be set to a period input through a user's key input as described above.

보조 전원 공급부(106)는 실시간 클럭 발생부(104)로 전원을 공급한다.The auxiliary power supply 106 supplies power to the real time clock generator 104.

메인 전원 공급부(106)는 일반적인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main power supply 106 supplies power to components required for normal terminal operation.

음성처리부(110)는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eaker; SPK) 를 통해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폰(microphone; MIC)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제어부(100)로 출력한다.The voice processing unit 110 converts the voice data into an audio signal that can be heard by a user through a speaker (SP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0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received from a microphone (MIC). Output to the control unit 100.

키입력부(112)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로 각종 기능(예컨대 카메라, 스피커 볼륨조절)키 및 통화 또는 문자 입력 등을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한 다. 본 발명에서 키입력부(112)는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긴급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키를 포함하고, 상기의 긴급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키는 별도의 버튼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기능을 위해 할당된 버튼을 새롭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 볼륨 업/다운키를 수초이상 누른다거나 연속하여 수회 입력하는 것을 긴급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으로 정의하여 사용 가능하다. 키 입력부(112)는 사용자에 의해 긴급 모드 설정을 위한 키 입력이 있으면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긴급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The key input unit 112 is a device for interfacing with a user and include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camera and speaker volume control) keys and a plurality of keys for call or text inp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input unit 112 includes a key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to the emergency mode, the key for setting the emergency mode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button, assigned for other functions You can also define a new button. For example, pressing the speaker volume up / down key for several seconds or several times in succession can be defined as an input for setting the emergency mode. The key input unit 112 outputs a signal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to the emergency mode when the user inputs a key for emergency mode setting to the controller 100.

메모리부(114)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 READ ONLY MEMORY) 및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 모드 시 전원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부(114)는 배터리 저전력 상태임을 감지하기 위한 임계치 값을 저장하고, 긴급 모드 시 배터리 저전력에 대응하여 단말기 파워 오프 된 상태에서 파워 온(Power On) 상태로 단말기 동작 상태 전환을 위한 주기 값을 저장한다. 이때, 주기 값은 RTC 알람 주기 값과 동일한 의미로 기재하도록 한다.The memory unit 114 may be formed of a ROM (READ ONLY MEMORY) and a RAM (RAM: RANDOM ACCESS MEMORY) for storing a plurality of programs and data, and power control in an emergency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programs and data for In particular, the memory unit 1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threshold value for detecting that the battery low power state, and in the emergency mode from the power-off state of the terminal to the power-off state in response to the battery low power (Power On) state Saves the cycle value for switching the terminal operation status. At this time, the cycle value is described with the same meaning as the RTC alarm cycle value.

표시부(116)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표시 장치)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The display unit 116 may be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the like, and outputs various display data genera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러면, 상기의 도 1과 같이 구성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모드 시 전원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Next, a process of controlling power in an emergency mod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20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대기상태를 유지하다가 202단계에서 배터리 용량 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가 되는지를 검사한다. 즉, 202단계에서 단말기 배터리가 저전력 상태인지를 검사한다. 이때 검사하는 배터리 용량은 도 1에서의 메인 전원 공급부(108)의 용량을 의미한다.In step 200, the control unit 100 maintains the standby state, and in step 202, the controller 100 checks whether the battery capacity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That is, in step 202 it is checked whether the terminal battery is in a low power state. In this case, the battery capacity to be examined refers to the capacity of the main power supply 108 in FIG. 1.

202단계 검사결과 배터리 용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가 되면 제어부(100)는 배터리가 저전력 상태임을 감지하고, 20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단말기의 동작모드가 긴급 모드인지를 검사한다. 만약, 배터리가 저전력 상태에서 긴급 모드임이 감지되면 20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00단계로 진행한다.If the battery capacity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as a result of step 202, the controller 100 detects that the battery is in a low power state, and proceeds to step 204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is an emergency mode. If it is detected that the battery is in the emergency mode in the low power stat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06, otherwise proceeds to step 200.

206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실시간 클럭(RTC) 알람 주기를 설정하고, 단말기 상태가 긴급 모드임을 저장한다. 이때, 실시간 클럭 알람 주기는 상기의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긴급 모드 시 배터리 저전력에 대응하여 단말기 파워 오프 된 상태에서 파워 온(Power On) 상태로 단말기 동작 상태 전환을 위한 주기로 사용자에 의해 206단계에서 설정될 수도 있고, 단말기 생산 시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만약, 실시간 클럭 알람 주기가 설정되어 있다면 206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미리 설정된 실시간 클럭 알람 주기를 확인하여 208단계에서 전원 오프 후 확인된 실시간 클럭 알람 주기로 클럭을 발생하도록 실시간 클럭 발생부(104)를 제어한다.In step 206, the controller 100 sets a real time clock (RTC) alarm period and stores that the terminal state is an emergency mode. At this time, the real-time clock alarm cycle is a cycle for switching the terminal operation state from the power-off state of the terminal to the power-on state in response to the low battery power in the emergency mode as described in FIG. 1 in step 206. It may be set, or may be stored at the time of terminal production or the user preset. If the real time clock alarm period is set, the control unit 100 checks the preset real time clock alarm period in step 206 and generates a clock with the real time clock alarm period checked after the power-off in step 208. To control.

206단계에서 208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100)는 전원을 오프한다. 이때, 일반적으로는 전원 오프 시에는 시스템으로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한 후 전원을 오프하는데, 본 발명에서 제어부(100)는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바로 전원을 오프시킨다. 이후, 210단계에서 실시간 클럭 발생부(1024)는 보조 전원 공급부 (10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206단계에서 설정 또는 확인된 실시간 클럭 알람 주기에 따라 제어부(100)로 클럭을 발생한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210단계에서 파워 오프 된 상태에서 파워 온 시켜야 하는 클럭이 실시간 클럭 발생부(104)로부터 발생하였는지를 검사하는 것이다. 만약, 파워 온을 위한 클럭이 발생하면, 메인 전원 공급부(108)를 통해 제어부(100)로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부(100)는 현재 단말기 동작 상태가 긴급 모드 상태인지를 검사한다. 만약, 파워 온 시 단말기 동작 상태가 긴급 모드 상태이면 제어부(100)는 214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116), 메모리부(114), 음성 처리부(110), 키 입력부(112)와 같은 전원 소모를 하는 구성 요소로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현재 위치 등록 동작을 수행한 후 218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100)는 긴급 모드 해제를 위한 입력이 있는 지를 검사한다. 만약, 긴급 모드 해제를 위한 입력이 있으면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206단계로 진행하여 긴급 모드에서 배터리 저전력 상태에 따른 전원 제어 과정을 수행한다.In step 206 to step 208, the control unit 100 turns off the power. In this case, generally, when the power is off, the power is turned off after perform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process with the syst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00 immediately turns off the power without perform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process. Thereafter, the real time clock generator 1024 receives power from the auxiliary power supply 106 in step 210 to generate a clock to the controller 100 according to the real time clock alarm cycle set or confirmed in step 206. Then, the controller 100 checks whether the clock to be powered on in the power-off state is generated from the real-time clock generator 104 in step 210. If a clock for power-on occurs, power is supplied to the controller 100 through the main power supply 108, and the controller 100 checks whether the current terminal operation state is an emergency mode state. If the terminal operation state is the emergency mode state at power-on,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214 to perform power consumption such as the display unit 116, the memory unit 114, the voice processing unit 110, and the key input unit 112. After the current location regist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without supplying power to the component, the controller 100 checks whether there is an input for releasing the emergency mode. If there is an input for canceling the emergency mode, the process ends. Otherwis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06 to perform a powe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battery low power state in the emergency mod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저전압 상태에서 긴급 모드 진입에 따른 파워 오프 시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해 파워 오프 동작 수행에 따라 시스템으로의 위치 등록(Registration or Location Update)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파워 오프한다. 따라서, 단말기 동작 모드가 긴급 모드인 경우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 시켜 배터리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erform the registration or location update process to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ower-off operation in order to reduce the battery consump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powered off due to entering the emergency mode in a low voltage state. Off. Therefore, when the terminal operation mode is an emergency mode, the battery consumption time can be extended by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Claims (4)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모드 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in the emergency mod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배터리가 저전력 상태인지를 검사하는 제1 과정과,A first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ttery is in a low power state; 상기 배터리가 저전력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기의 동작모드가 긴급 모드인지를 검사하는 제2 과정과,A second process of checking whether an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is an emergency mode when the battery is in a low power state; 상기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긴급 모드인 경우 실시간 클럭(RTC) 알람 주기를 설정하고, 단말기 상태가 긴급 모드임을 저장하고,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바로 전원 오프(off)시키는 제3 과정과,A third process of setting a real time clock (RTC) alarm period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is an emergency mode, storing that the terminal state is an emergency mode, and immediately powering off without performing a location registration process; 상기 실시간 클럭 알람 주기에 따른 단말기 전원 온(on)을 위한 클럭이 발생하면, 단말기 전원을 온 시킨 후, 시스템으로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제4 과정과,A fourth process of performing a location registration to the system after turning on the terminal power when a clock for powering o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al time clock alarm cycle occurs; 상기 긴급 모드가 해제되었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긴급 모드가 해제되지 않으면 상기 제3 내지 제4과정을 수행하는 제5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모드 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Checking whether the emergency mode has been released; and if the emergency mode is not released, a fifth process of performing the third to fourth processes; Wa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클럭 알람 주기는 상기 긴급 모드 시 배터리 저전력에 대응하여 단말기 전원 오프 된 상태에서 전원 온 상태로 단말기 동작 상태 전환을 위한 주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모드 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The emergency mod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real-time clock alarm period is a period for switching the terminal operation state from the power-off state of the terminal to the power-on state in response to the low battery power in the emergency mode.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클럭 알람 주기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3 과정에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모드 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al time clock alarm period is set by the user in the third proces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urth process, 상기 전원 오프 후, 상기 실시간 클럭 알람 주기에 따라 클럭을 발생하고, 상기 전원 오프 된 상태에서 전원 온 시켜야 하는 클럭이 발생하면 전원 온하는 단계와,Generating a clock according to the real-time clock alarm period after the power-off, and turning on the power when a clock to be powered on in the power-off state occurs; 상기 단말기 전원 온 시 단말기 동작 상태가 긴급 모드 상태이면 상기 위치 등록 동작을 위한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위치 등록 동작에 필요한 구성요소 이외의 구성요소로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모드 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If the terminal operation state is the emergency mode state when the terminal is powered on, power is supplied to a component for the location registration operation, and power is not supplied to compon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the location registration opera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an emergency mod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60014089A 2006-02-14 2006-02-14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n emergency mod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960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089A KR101196085B1 (en) 2006-02-14 2006-02-14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n emergency mod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089A KR101196085B1 (en) 2006-02-14 2006-02-14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n emergency mod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861A KR20070081861A (en) 2007-08-20
KR101196085B1 true KR101196085B1 (en) 2012-11-01

Family

ID=38611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089A KR101196085B1 (en) 2006-02-14 2006-02-14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n emergency mod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08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4958A (en) * 2010-08-10 2012-02-21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Emergency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relief service using thereof
CN106125914A (en) * 2016-06-16 2016-11-16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A kind of mobile terminal and alarm clock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861A (en) 2007-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6695B2 (en) Computer having emergency calling function and emergency calling method using computer
US9152186B2 (en) Notebook computer and cell phone assembly
EP219696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alert service in portable terminal
KR10119608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n emergency mod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7036996A (en) Mobile terminal
JP2008123226A (en) Wireless ic tag and wireless ic tag control method
US7440773B2 (en) Method for protecting user data in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telephone
US200800643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enabling cell phone ringing or beeping
JP2003060563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6303974A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emergency contact method
JP3983709B2 (en) Mobile device
JP3578208B2 (en) Mobile phone with emergency signal transmitter
JPH08181755A (en) Lighting system
JP2006270727A (en) Mobile terminal
JP2006074275A (en) Portable telephone terminal
JP4111904B2 (en) Communication device
KR100617689B1 (en) How to prevent overuse of your phone_
CN116743910A (en) Voice wakeup method and device, mobile terminal, vehicle and storage medium
JP2009152659A (en) Mobile terminal, and function use limiting method and program thereof
KR10116618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alarm for voice data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065272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loss of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JP2004126272A (en) Information processor
KR100452924B1 (en) Mobile Terminal Sleeping Method for Manners
KR20130001603A (en) Method for spreading urgent situation using mobilecommunication terminal
CN117014549A (en) Service mode switch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