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766B1 -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766B1
KR101194766B1 KR1020120044023A KR20120044023A KR101194766B1 KR 101194766 B1 KR101194766 B1 KR 101194766B1 KR 1020120044023 A KR1020120044023 A KR 1020120044023A KR 20120044023 A KR20120044023 A KR 20120044023A KR 101194766 B1 KR101194766 B1 KR 101194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ocial networking
displayed
screen
networking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영
Original Assignee
메타빌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타빌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타빌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4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묶어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은, 제1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나타내는 제1 라인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2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나타내는 제2 라인을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이 상기 화면상에 연결되어 표시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Social Networking Service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묶어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는 온라인상에서 타인과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이다. 즉,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는 온라인상에서 친구, 선후배, 동료 등 지인과의 인맥 관계를 강화시켜주고, 새로운 인맥을 쌓으며 폭넓은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는 복수개의 다양한 서비스가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의 다양한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는 서로 유사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서로 다른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처럼 다양한 종류의 복수개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에 가입되어 복수개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각각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에 직접 접속하여 각각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복수개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하고 하는 경우에, 이처럼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개별적으로 접속하여 이용하면, 사용자가 서로 다른 서비스를 번갈아 가면서 실행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0-0010109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1-0118025
본 발명은, 복수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묶어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은, 제1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나타내는 제1 라인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2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나타내는 제2 라인을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이 상기 화면상에 연결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화면상에 중심 라인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라인이 상기 중심 라인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표시되고, 상기 제2 라인이 상기 중심 라인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나타내는 제1 아이콘이 상기 제1 라인에 대응되도록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고, 상기 제2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이 상기 제2 라인에 대응되도록 상기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아이콘이 상기 화면상에서 상기 제1 라인의 상기 중심 라인 측 끝단 또는 상기 제1 라인의 상기 중심 라인의 반대측 끝단에 표시되고, 상기 제2 아이콘이 상기 화면상에서 상기 제2 라인의 상기 중심 라인 측 끝단 또는 상기 제2 라인의 상기 중심 라인의 반대측 끝단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중심 라인,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 중의 적어도 2이상이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중심 라인,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직선 또는 곡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중심 라인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시간이 지나가는 것을 표시하거나, 상기 중심 라인에 가까워짐에 따라 시간이 지나가는 것을 표시하는, 시간의 흐름을 표시하는 타임 라인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라인이 상기 중심 라인의 일 지점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표시되고, 상기 제2 라인이 상기 중심 라인의 다른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라인과 같은측 방향 또는 다른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의 콘텐츠 상태가 최근에 발생한 콘텐츠의 생성 순서에 따라서 상기 제1 라인을 따라 상기 화면상에 콘텐츠 서클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의 콘텐츠 상태가 최근에 발생한 콘텐츠의 생성 순서에 따라서 상기 제1 라인을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상태가 각각의 이벤트 또는 사람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상태가 해당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에서 관심도 또는 이벤트 발생 회수에 비례하는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상태가 각각의 사람 단위로 표시되고, 상기 콘텐츠 상태에 그 사람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표시, 이벤트 발생 회수, 및 이벤트 종류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의 발생 회수가 설정된 회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식별 표시, 상기 발생 회수, 및 상기 이벤트 종류가 표시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중심 라인의 선택 또는 다른 입력에 대응되어 상기 화면상에 서브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화면에서 선택된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가 삭제되거나 새로운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제1 라인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의 설정된 기준시간부터 현재시간까지의 콘텐츠가 상기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는 상기 제1 라인의 표시 영역이 이동되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이 표시되는 배경 화면을 설정된 화면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들 중에서 선택된 콘텐츠의 세부 내용을 별도로 생성되는 화면 또는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장치는, 상기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에 의하여 복수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트리 구조로 상호 연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1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나타내는 제1 라인이 표시되고, 제2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나타내는 제2 라인이 표시되고,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이 서로 연결되도록 표시되는 표시 화면; 및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이 서로 연결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장치가,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폰, 및 태블릿을 포함하는 다양한 통신 장치들 중의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은, 제1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나타내는 제1 타임 라인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제2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나타내는 제2 타임 라인을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타임 라인 및 상기 제2 타임 라인이 상기 화면상에 트리 구조로 연결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통합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소셜 허브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텍스트 기반으로 단순히 해당 서비스의 실행 고리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그래픽컬한 요소를 반영하여 복수의 서비스들을 사용자가 관리하기 쉽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통합 관리하는 통합 관리 서비스를 트리 구조와 타임 라인을 이용하여 그래피컬하게 표현함으로써,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통합 관리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통합 관리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통합 관리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통합 관리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에서, 콘텐츠의 발생 회수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크기를 달리하여 표시한 것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에서, 표시되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가 추가 및/또는 삭제 가능하도록 표시된 화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에서, 선택된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의 타임 라인이 확대되어 표시된 화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에서, 선택된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의 내용이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된 화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에서, 통합 관리 화면의 배경 화면이 설정된 화면으로 변경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이 구현되기 위해 필요한 공지의 기능 및 구성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고,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S100)을 도시한 흐름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는 도 1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에 의하여 표시 화면(예를 들어 도 11의 11)에 보여주는 통합 관리 화면(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S100)은 복수개의 서비스 라인들(110a 내지 110g)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서비스 라인들(110a 내지 110g)은 화면상에 연결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묶어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S100)은 제1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110a)를 나타내는 제1 라인(111a)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제2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110b)를 나타내는 제2 라인(111b)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라인(111a) 및 제2 라인(111b)이 화면상에 연결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들이 트리 형태로 연결되는 구조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화면에 복수개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서로 연결되는 트리 구조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복수개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의 상황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편이하게 연결하여 그 내용을 확인 및/또는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표시되는 서비스 라인들은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들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들(110a 내지 110g)은 예를 들어 현재 서비스 되고 있는 유클라우드(110a), 페이스북(110b), 트위터(110c), 미투데이(110d), 커넥트(110e), 티스토리(110f), 및 카카오톡(110g)을 포함하는 다양한 서비스들 중의 2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들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서비스들 중의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제1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110a) 및 제2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110b)를 중심으로 설명되나, 이들에 적용되는 내용들은 다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들(110c 내지 110g)에도 적용될 수 있다.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S100)은 중심 라인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S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심 라인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S110)에는 화면상에 중심 라인(12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라인(111a)이 중심 라인(120)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표시되고, 제2 라인(111b)이 중심 라인(120)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110a 및 110b)들이 중심 라인(120)을 기준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타임 라인(111a 및 111b)에 따라 표시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개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110a 및 110b)들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110a)를 나타내는 제1 아이콘(112a)이 제1 라인(111a)에 대응되도록 화면상에 표시되고, 제2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110b)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112b)이 제2 라인(111b)에 대응되도록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들(110a 및 110b)은 하나의 타임 라인(111a 및 111b)과 아이콘(112a 및 112b)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표시하는 아이콘이 타임 라인과 함께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화면상에 표시되는 복수개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들 중에서 각각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들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하나의 화면에 복수개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들을 표시하면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기기들에서 사용자의 개별의 서비스들에 대한 식별성을 높임으로써,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에서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S100)은, 중심라인 표시단계(S110); 서비스라인 표시단계(S120); 서비스 변경단계(S130); 서비스라인 확대표시단계(S140); 타임라인 이동단계(S150); 콘텐츠 세부내용 표시단계(S160); 및 배경화면 변경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라인 표시단계(S110)에는 화면상에 중심 라인(120)을 표시한다(도 2 참조). 서비스라인 표시단계(S120)에는 화면상에 복수개의 서비스 라인들(110a 및 110b)을 표시한다.
서비스 변경단계(S130)에는 별도의 추가적인 화면 및/또는 서브 화면에 표시되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추가 및/또는 삭제한다(도 7 참조). 서비스라인 확대표시단계(S140)에는 선택된 서비스 라인을 확대하여 표시한다(도 8 참조). 타임라인 이동단계(S150)에는 선택된 서비스 라인의 타임 라인을 이동시켜 보여준다(도 8 참조).
여기서, 서비스 라인은 중심 라인을 기준으로 대응되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트리 형태로 표시하는 것으로, 서비스 라인이 타임 라인, 아이콘, 콘텐츠 서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콘텐츠 세부내용 표시단계(S160)에는 화면상에 선택된 콘텐츠의 세부 내용을 표시한다(도 9 참조). 배경화면 변경단계(S170)에는 배경 화면을 설정된 화면으로 변경한다(도 10 참조).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묶어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에서는 각각의 단계들이 편의상 시계열적으로 순서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각각의 단계가 순서적으로 제한되지 아니하고, 일부 구성요소가 없이도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S100)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들(110a 및 110b)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중심 라인(120), 제1 라인(111a), 및 제2 라인(111b) 중의 적어도 2이상 또는 각각이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색상은 미리 설정되고 변경 가능한 색상이 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들(110a 및 110b)을 표시하는 요소들은 같은 색상을 중심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가 설정된 색상으로 표시되어 서로 구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화면상에 표시되는 복수개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들 중에서 각각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들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색상들은 해당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고유의 색상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화면상에 표시되는 복수개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들 중에서 각각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들을 더욱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라인(111a) 및 제2 라인(111a)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중심 라인(120)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시간의 흐름을 표시하는 타임 라인이 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라인(120)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현재로부터 시간이 멀어지는 시간의 흐름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중심 라인(120)을 중심으로 시간을 판단하므로, 중심 라인(120)에서 멀어질수록 현재로부터 먼 시간의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어, 직관적이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화면의 하단에는 시간을 지시하는 시간 지시 라인(130)이 표시되고 시간의 흐름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되는 시간 및 시간 간격은 미리 설정된 내용 및 양식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또는, 표시되어야 할 콘텐츠의 시간 정보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만, 본 발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중심 라인(120)에 가까워짐에 따라 시간이 지나가는 것을 표시하는 방식, 예를 들어 제1 라인(111a) 및 제2 라인(111a)의 중심 라인(120)에 먼 반대편이 현재 상태가 될 수도 있다.
제1 아이콘(112a)이 화면상에서 제1 라인(111a)의 중심 라인 (120)측 끝단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아이콘(112b)이 화면상에서 제2 라인(111b)의 중심 라인(120)측 끝단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아이콘들(112a 및 112b)들 타임 라인들을 가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해당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타임 라인을 가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정보들에 대한 시인성 및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통합 관리 화면(2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아이콘(212a)이 화면상에서 제1 라인(211a)의 중심 라인(220)의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반대측 끝단 즉 중심 라인(22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아이콘(212b)이 화면상에서 제2 라인(211b)의 중심 라인(220)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반대측 끝단 즉 중심 라인(22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통합 관리 화면(200)에서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설명되는 사항 이외에는 도 1의 통합 관리 화면(100)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1 라인(111a)이 중심 라인(120)의 일 지점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제2 라인(111b)이 중심 라인(120)의 다른 지점으로부터 제1 라인(111a)과 다른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중심 라인(12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트리 구조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통합 관리 화면(3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 라인(311b)이 중심 라인(120)의 다른 지점으로부터 제1 라인(311a)과 같은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타임 라인들(311a 및 311b)이 더 길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긴 타임 라인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통합 관리 화면(300)에서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설명되는 사항 이외에는 도 1의 통합 관리 화면(100)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중심 라인(120), 제1 라인(111a), 및 제2 라인(111b)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직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라인(420), 제1 라인(411a), 및 제2 라인(411b)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곡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라인(420)은 직선으로 표시되고, 제1 라인(411a) 및 제2 라인(411b) 모두가 곡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1 라인(411a)과 제2 라인(411b)이 중심 라인(420)의 양측에 배치되면서도 더 긴 타임 라인을 표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더 많은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통합 관리 화면(4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중심 라인(420)이 곡선으로 표시되고, 제1 라인(411a) 및 제2 라인(411b) 모두가 곡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라인(411a)과 제2 라인(411b)이 중심 라인(420)의 양측에 배치되면서도 더 긴 타임 라인을 표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더 많은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중심 라인(420)에 더 많은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통합 관리 화면(400)에서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설명되는 사항 이외에는 도 1의 통합 관리 화면(100)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S100)은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폰, 및 태블릿과 같이 다른 기기와의 통신 기능을 내장한 시스템 내에서, 응용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서비스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테스트 중심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들의 지루함을 해소하고, 도식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사회적 트리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한 눈에 확인 및 조작할 수 있는 소셜 허브(social hub)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오픈 에이피아이(Open API)를 제공함으로써,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이종 기기들에서도 서로 다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트리 형태로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들을 서로 연계하여 타임 라인을 기준으로 맵(ma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맵의 확대 및/또는 축소를 통하여 타임 라인을 이동하고, 해당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에 대해 세부적으로 확인 및/또는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S100)에서, 타임 라인을 따라 콘텐츠의 상태가 콘텐츠 서클(613a, 613b)로 표시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각각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의 콘텐츠 상태는 최근에 발생한 콘텐츠의 생성 순서에 따라서 화면상에 각각의 타임 라인을 따라 콘텐츠 서클로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610a)는 제1 타임라인(611a), 제1 아이콘(612a), 및 제1 콘텐츠 서클(61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타임라인(611a)은 중심 라인(620)으로부터 연장되어 직선 및/또는 곡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중심 라인(620)이 현재 상태(NOW)고, 중심 라인(620)에서 멀어질수록 현재로부터 멀어진 과거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아이콘(612a)은 제1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610a)의 고유의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1 콘텐츠 서클(613a)은 제1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610a)의 콘텐츠 상태를 최근에 발생한 콘텐츠의 생성 순서에 따라서 화면상에 각각의 타임 라인을 따라 표시한 것이 될 수 있다. 즉, 제1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610a)의 콘텐츠 상태가 최근에 발생한 콘텐츠의 생성 순서에 따라서 제1 타임라인(611a)을 따라 콘텐츠 서클(613a)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묶어서 통합적으로 표시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셜 허브를 통하여 복수개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 및/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610a)의 구성은 제2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610b)를 포함한 다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610c 내지 610e)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서클(613a)은 콘텐츠의 상태를 원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원 이외에도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또는 다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상태는 각각의 이벤트 또는 사람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이는 콘텐츠 및/또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의 서비스 종류 또는 유형에 따라 콘텐츠 상태는 다른 기준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610a)는 클라우드 서비스로서, 발생되는 이벤트 예를 들어 업로드되는 사진, 비디오, 오디오, 및 문서 등을 기준으로 콘텐츠 서클(613a)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비디오 3건 및 사진 14건이 업로드 되어 있으며, 최근에 저장된 것 기준으로 사진이 비디오보다 최근에 업로드 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제2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610b)는 페이스북 서비스로서, 콘텐츠가 생산된 사람을 기준으로 콘텐츠 서클(613b)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백일현, 홍길동, 김유동의 콘텐츠가 업로드 되어 있으며, 최근에 저장된 것 기준으로 백일현 5건, 홍길동 7건, 및 김유동 9건의 순서로 타임 라인 상에 표시되어 있다. 이때, 누구의 것인지 표시되지 아니한 것이 5건 정도 있다.
콘텐츠 상태가 콘텐츠 서클의 형태로 해당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에서 관심도 또는 이벤트 발생 회수에 비례하는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상태가 각각의 사람 단위로 표시되고, 콘텐츠 상태에 그 사람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표시, 이벤트 발생 회수, 및 최근에 발생한 이벤트 종류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의 발생 회수가 설정된 회수 이하인 경우에는 식별 표시, 발생 회수, 및 이벤트 종류 등이 표시되지 아니하고 콘텐츠 서클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6에서 사람의 이름 즉 식별 표시가 표시되지 아니한 콘텐츠 서클은 그 발생 회수가 설정된 회수(예를 들어 2건) 이하인 경우이다.
그에 따라, 한정된 표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도, 사용자 식별성 및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에서, 서비스 변경단계(S130)가 구현되는 방법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서비스 변경단계(S130)에는 별도의 추가적인 화면 및/또는 서브 화면에 표시되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추가 및/또는 삭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7에서는 메인 화면(700) 내에 별도의 서브 화면(700a)이 도시될 수 있다. 메인 화면(700)에는 중심 라인(720)을 중심으로 각각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710)들이 연결되어 표시되고, 하단에는 시간 지시 라인(730)이 도시되어 있다.
서비스 변경단계(S130)에는 중심 라인(720)의 선택 또는 다른 입력에 대응되어 메인 화면(700)상에 서브 화면(700a)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서브 화면(700a)에서 선택된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가 삭제되거나 새로운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가 추가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표시 가능하도록 포함되어 있는 사회적 네트워킹 시스템들의 리스트가 표시되어, 이를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서브 화면(700a)의 표시 및/또는 활성화는 중심 라인을 길게 터치 또는 선택, 더블 터치, 터치 슬라이드 등의 입력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메인 화면(700)의 빈 공간을 길게 터치, 더블 터치, 터치 슬라이드 등의 작동에 의하여 서브 화면(700)의 표시 및 활성화 될 수 있다.
이때, 서브 화면(700a)에는 현재 표시 가능하도록 포함되어 있는 사회적 네트워킹 시스템들이 표시되고, 그 선택에 의하여 삭제될 수 있는 별도의 아이콘이 추가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현재 리스트에 없는 다른 서비스를 추가할 수 있는 버튼 또는 아이콘(740)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화면에 표시되는 서비스들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 나열 또는 다른 정보를 더 포함하는 텍스트 리스트의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에서, 서비스라인 확대표시단계(S140) 및 타임라인 이동단계(S150)가 구현되는 방법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서비스라인 확대표시단계(S140)에는 선택된 서비스의 타임 라인을 확대하여 표시하고, 타임라인 이동단계(S150)에는 선택된 서비스 의 타임 라인을 이동시켜 보여줄 수 있다.
메인 화면(800)에는 중심 라인(820)을 중심으로 각각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810)들이 연결되어 표시되고, 하단에는 시간 지시 라인(830)이 도시되어 있다.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810)는 타임 라인(810), 아이콘(820), 및 콘텐츠 서클(830)을 포함하여 메인 화면(800)에 표시될 수 있다.
서비스라인 확대표시단계(S140)는 해당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810)의 선택에 의하여 확대 화면(800a)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서비스라인 확대표시단계(S140)는 해당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810)의 타임 라인(811), 아이콘(812), 및 콘텐츠 서클(813)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선택에 대응되어 확대 화면(800a)을 표시할 수 있다.
서비스라인 확대표시단계(S140)에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810)의 설정된 기준시간(예를 들어 2시간)부터 현재시간까지의 콘텐츠가 확대 화면(800a)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기준 시간은 콘텐츠의 분포 및/또는 내용에 따라 적응적으로 설정되거나, 사용자 입력의 정도에 따라 또는 미리 설정된 설정 단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때, 화면이 확대되어 확대 화면(800a)에 표시되는 경우, 콘텐츠가 표시될 기준 회수가 더 적어질 수 있다. 즉, 확대전 메인 화면(800)에서는 콘텐츠 개수가 5이상인 경우에 이름과 함께 콘텐츠 개수가 표시되었으나, 확대 화면(800a)에서는 5이하인 콘텐츠 개수 3인 신태자, 콘텐츠 개수 2인 이을호, 콘텐츠 개수 1인 홍을청의 경우에도 이름과 콘텐츠 개수가 표시될 수 있다.
타임라인 이동단계(S150)에는 화면에 대한 터치 슬라이딩 등의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대응되어 선택된 서비스 의 타임 라인을 이동시켜 보여줄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에서, 콘텐츠 세부내용 표시단계(S160)가 구현되는 방법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콘텐츠 세부내용 표시단계(S160)에는 화면상에 선택된 콘텐츠의 세부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세부내용 표시단계(S160)는 도 8에서와 같은 메인 화면(800) 또는 확대 화면(800a)에서 콘텐츠 서클(913)의 터치, 더블터치, 및 길게 터치 등의 선택에 활성화될 수 있다.
확대 화면(900a)에는 중심 라인(920)을 중심으로 각각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910)들이 연결되어 표시되고, 하단에는 시간 지시 라인(930)이 도시되어 있다.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910)는 타임 라인(911), 아이콘(912), 및 콘텐츠 서클(913)을 포함하여 확대 화면(900a)에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메인 화면(800) 또는 확대 화면(900a)에서 콘텐츠 서클(913)의 선택에 따라 콘텐츠 세부내용 표시단계(S160)에 서브 화면(900b)이 표시되고, 서브 화면(900b)에 선택된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910)의 세부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서브 화면(900b)은 터치 슬라이드 동작에 대응되어 그 크기 조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배경 화면의 터치에 의하여 해당 서브 화면(900b)이 숨겨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에서, 배경화면 변경단계(S170)가 구현되는 방법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배경화면 변경단계(S170)에는 배경 화면을 설정된 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배경 화면은 기기 내에 저장된 화면들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결정되는 임의의 화면이 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동일한 내용이 서로 다른 배경 화면을 갖는 실시예가 각각 (a), (b), (c)로 표시되어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S100)에 의하여 복수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들을 트리 구조로 상호 연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화면에 복수개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서로 연결되는 트리 구조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복수개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의 상황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편이하게 연결하여 그 내용을 확인 및/또는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장치(10)는 표시 화면(11); 제어부(12); 통신 인터페이스(13); 입력 인터페이스(14); 제1 메모리(15); 제2 메모리(16); 및 오디오 출력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장치(10)는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폰, 및 태블릿을 포함하는 다양한 외부와 통신 가능한 장치들 중의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표시 화면(11)에는 제1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나타내는 제1 라인이 표시되고, 제2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나타내는 제2 라인이 표시되고,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이 서로 연결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표시 화면(11)에는 중심 라인이 표시되고, 제1 라인과 제2 라인이 중심 라인을 기준으로 연장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2)는 제1 라인 및 제2 라인이 서로 연결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는 기기를 외부 장치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다른 기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외부 장치는 서로 다른 복수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 및/또는 다른 사람의 개별 기기가 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4)는 외부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받는 것으로, 터치스크린, 버튼, 및 마우스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입력 수단을 제어부(12)와 연결시켜준다. 제어부(12)는 입력 인터페이스(14)를 통하여 입력되는 다양한 입력에 대응되어 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1 메모리(120)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장치(10)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것으로, 비휘발성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제2 메모리(130)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장치(10)의 작동에 필요한 정보와 입출력 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 휘발성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7)는 음성, 음악, 및 기타 소리 등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장치(10)에 의하여 조작되는 데이터는, 문서, 오디오, 및 비디오를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가 될 수 있는데, 이러한 데이터들은 주로 표시 화면(11) 및 오디오 출력부(17)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묶어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서비스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테스트 중심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들의 지루함을 해소하고, 도식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사회적 트리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한 눈에 확인 및 조작할 수 있는 소셜 허브(social hub)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오픈 에이피아이(Open API)를 제공함으로써,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이종 기기들에서도 서로 다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트리 형태로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들을 서로 연계하여 타임 라인을 기준으로 맵(ma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맵의 확대 및/또는 축소를 통하여 타임 라인을 이동하고, 해당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에 대해 세부적으로 확인 및/또는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통합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소셜 허브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텍스트 기반으로 단순히 해당 서비스의 실행 고리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그래픽컬한 요소를 반영하여 복수의 서비스들을 사용자가 관리하기 쉽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통합 관리하는 통합 관리 서비스를 트리 구조와 타임 라인을 이용하여 그래피컬하게 표현함으로써,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또는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 및/또는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1: 표시 화 12: 제어부
13: 통신 인터페이스 14: 입력 인터페이스
15: 제1 메모리 16: 제2 메모리
17: 오디오 출력부

Claims (23)

  1. 다른 기기와의 통신 기능을 내장한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장치의 화면 상에 중심 라인을 표시하는 단계;
    제1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나타내는 제1 라인을 상기 중심 라인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제2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나타내는 제2 라인을 상기 중심 라인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의 하단에는 상기 중심 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시간을 지시하는 시간 지시 라인이 표시되고,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은, 상기 중심 라인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시간 지시 라인의 시간에 대응되는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타임 라인이고,
    상기 제1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의 콘텐츠 상태가 상기 제1 라인에 표시되되, 상기 시간 지시 라인의 시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되고,
    상기 제2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의 콘텐츠 상태가 상기 제2 라인에 표시되되, 상기 시간 지시 라인의 시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되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나타내는 제1 아이콘이 상기 제1 라인에 대응되도록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고,
    상기 제2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이 상기 제2 라인에 대응되도록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콘이 상기 화면상에서 상기 제1 라인의 상기 중심 라인 측 끝단 또는 상기 제1 라인의 상기 중심 라인의 반대측 끝단에 표시되고,
    상기 제2 아이콘이 상기 화면상에서 상기 제2 라인의 상기 중심 라인 측 끝단 또는 상기 제2 라인의 상기 중심 라인의 반대측 끝단에 표시되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라인,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 중의 적어도 2이상이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라인,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직선 또는 곡선으로 표시되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이 상기 중심 라인의 일 지점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표시되고,
    상기 제2 라인이 상기 중심 라인의 다른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라인과 같은측 방향 또는 다른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표시되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의 콘텐츠 상태가 상기 화면상에 콘텐츠 서클로 표시되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상태가 각각의 이벤트 또는 사람 단위로 표시되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상태가 해당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에서 관심도 또는 이벤트 발생 회수에 비례하는 크기로 표시되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상태가 각각의 사람 단위로 표시되고,
    상기 콘텐츠 상태에 그 사람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표시, 이벤트 발생 회수, 및 이벤트 종류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되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발생 회수가 설정된 회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식별 표시, 상기 발생 회수, 및 상기 이벤트 종류가 표시되지 아니하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라인의 선택 또는 다른 입력에 대응되어 상기 화면상에 서브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서브 화면에서 선택된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가 삭제되거나 새로운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가 추가될 수 있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의 설정된 기준시간부터 현재시간까지의 콘텐츠가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는 상기 제1 라인의 표시 영역이 이동되어 표시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들 중에서 선택된 콘텐츠의 세부 내용을 별도로 생성되는 화면 또는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이 표시되는 배경 화면을 설정된 화면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20.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제8항 내지 제9항, 또는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장치.
  21. 삭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장치가,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폰, 및 태블릿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들 중의 어느 하나인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장치.
  23. 삭제
KR1020120044023A 2012-04-26 2012-04-26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194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023A KR101194766B1 (ko) 2012-04-26 2012-04-26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023A KR101194766B1 (ko) 2012-04-26 2012-04-26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4766B1 true KR101194766B1 (ko) 2012-10-25

Family

ID=47288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023A KR101194766B1 (ko) 2012-04-26 2012-04-26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76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683B1 (ko) * 2015-04-28 2017-08-23 시아오미 아이엔씨. 소셜 네트워크 정보흐름 표시방법, 장치, 서버,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779329B1 (ko) * 2014-10-24 2017-10-11 주식회사 힐링애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 및 시스템
US10249007B2 (en) 2012-12-28 2019-04-02 Facebook, Inc. Social cover feed interface
US10630796B2 (en) 2012-12-28 2020-04-21 Facebook, Inc. Conserving battery and data usage
US10649607B2 (en) 2012-12-28 2020-05-12 Facebook, Inc. Re-ranking story content
US10761672B2 (en) 2012-12-28 2020-09-01 Facebook, Inc. Socialized das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0353A (ja) * 2006-12-01 2008-06-19 Liblog:Kk 複数の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情報を一括で表示するシステム
US20110161827A1 (en) * 2008-03-05 2011-06-30 Anastasia Dedis Social media communication and contact organiz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0353A (ja) * 2006-12-01 2008-06-19 Liblog:Kk 複数の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情報を一括で表示するシステム
US20110161827A1 (en) * 2008-03-05 2011-06-30 Anastasia Dedis Social media communication and contact organizatio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9007B2 (en) 2012-12-28 2019-04-02 Facebook, Inc. Social cover feed interface
US10630796B2 (en) 2012-12-28 2020-04-21 Facebook, Inc. Conserving battery and data usage
US10649607B2 (en) 2012-12-28 2020-05-12 Facebook, Inc. Re-ranking story content
US10761672B2 (en) 2012-12-28 2020-09-01 Facebook, Inc. Socialized dash
US11137869B2 (en) 2012-12-28 2021-10-05 Facebook, Inc. Re-ranking story content
KR101779329B1 (ko) * 2014-10-24 2017-10-11 주식회사 힐링애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 및 시스템
KR101770683B1 (ko) * 2015-04-28 2017-08-23 시아오미 아이엔씨. 소셜 네트워크 정보흐름 표시방법, 장치, 서버,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10097623B2 (en) 2015-04-28 2018-10-09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flows in social network, and ser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40198A1 (en) User interfaces for viewing live video feeds and recorded video
KR101194766B1 (ko)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US20230259319A1 (en) User interfaces for content streaming
US20180253214A1 (en) 3d mobile user interface with configurable workspace management
US20140237378A1 (en) System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multiple personas on mobile technology platforms
TWI569198B (zh) 用於經擴充的通訊服務的動態最小化導覽欄
TWI564734B (zh) 用於提供經擴充的通訊服務的動態導覽欄之方法及計算設備
US10564813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of home network thereof
US20220027025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of home network thereof
US93234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f item
KR10183803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아이콘 관리 방법 및 장치
TWI564782B (zh) 將用於經擴充的通訊服務的動態導覽欄對接和解除對接
US9274686B2 (en) Navigation framework for visual analytic displays
US20120023431A1 (en) Computing device, operating method of the computing device using user interface
KR102270953B1 (ko)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13008017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아이콘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7506249A (zh) 用于显示从多个应用接收到的通知的系统和方法
US11888796B2 (en)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conversations
US20160291832A1 (en) Method and program for displaying information
US20180349010A1 (en) User configurable tiles
CN108885527B (zh) 在压力触控屏上操作多个对象的方法及装置
WO2011156664A2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collecting preference data graphical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