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988B1 - Method and apparatus for offering user interface in a mobile sta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offering user interface in a mobile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988B1
KR101192988B1 KR1020060026349A KR20060026349A KR101192988B1 KR 101192988 B1 KR101192988 B1 KR 101192988B1 KR 1020060026349 A KR1020060026349 A KR 1020060026349A KR 20060026349 A KR20060026349 A KR 20060026349A KR 101192988 B1 KR101192988 B1 KR 101192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screen
user interface
submenu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3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96274A (en
Inventor
윤이은
황병철
정석현
김영미
김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6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988B1/en
Publication of KR20070096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2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9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리된 창을 통해 다수의 메뉴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위 메뉴 리스트에서 특정 상위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상위 메뉴에 종속되는 하위 메뉴가 존재하는지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상위 메뉴에 종속되는 하위 메뉴가 존재하면, 화면을 분리하는 과정과, 분리되는 상위 메뉴 창에 상기 상위 메뉴 리스트를 표시하고, 분리되는 상기 하위 메뉴 창에 상기 선택된 상위 메뉴에 상응하는 하위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60026349

이동 단말기, 사용자 인터페이스(UI), depth, 상위/하위 메뉴, 소프트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viding a plurality of menus through at least one or more separate windows in a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 a mobile terminal, wherein the upper menu list is provided. If a specific upper menu is selected in the step,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lower menu dependent on the selected upper menu, and if there is a lower menu dependent on the selected upper menu, separating the screen, and separating the upper menu window And displaying a lower menu list corresponding to the upper menu list and a lower menu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upper menu in the separated lower menu window.

Figure R1020060026349

Mobile terminal, user interface (UI), depth, upper / lower menus, softkeys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OFFERING USER INTERFACE IN A MOBILE STATION}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 a mobile terminal {METHOD AND APPARATUS FOR OFFERING USER INTERFACE IN A MOBILE STATION}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에서 1 깊이 리스트 방식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1A and 1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one depth list scheme in a general mobile terminal,

도 2a 및 도 2b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에서 2 깊이 탭 방식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2A and 2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two-depth tap method in a general mobile terminal,

도 3a 및 도 3b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분리형 방식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3A and 3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creen separation type method in a general mobile terminal,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5 is a view illustrating a concept of a screen separation type user interface provid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레벨 간 이동 및 선택 메뉴를 구분하는 동작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istinguishing a moving and selection menu between menu levels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뷰 모드 변경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7A and 7B are views illustrating a view mode change operatio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동일 레벨 내에서의 이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8 is a view illustrating a movement operation within the same level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하위메뉴 선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9 is a view illustrating a submenu selection operatio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 창의 비율을 설정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setting a ratio of a screen window displayed o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11A to 11C illustrate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MS, Mobile Station)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편의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에 따른 효율적인 메뉴 구성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M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fficient menu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user interface (UI) for user convenience in a mobile terminal.

일반적으로, 현재 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동 단말기의 보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동 단말기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통신 사업자들은 가입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즉, 현재 이동통신 서비스업자들은 공간 및 시간에 구애됨이 없는 통화는 물론, 무선 인터넷,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및 이미지, 화상, 동영 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고 있다.In general,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spread of mobile terminals is increasing exponentially, and as the spread of mobile terminals is generalized, communication providers are providing various services to satisfy various needs of subscribers. That is, mobile service providers currently move various services such as wireless Internet, short message service (SMS), and multimedia services such as image, video, and video, as well as space- and time-independent calls. It is provided by the terminal.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이동통신 서비스 지역 안을 임의로 이동하면서 기지국(BS, Base Station)을 통해 일반전화 가입자 또는 다른 이동통신 가입자와 통화를 수행하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개인 정보관리, 컴퓨터와의 정보교류 및 데이터 통신 접속을 수행하는 등의 부가적 기능을 가진다. 근래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화상이나 동영상의 송수신, 가상 3차원 음향 및 스테레오 사운드 구현, MP3 플레이어 기능 및 사진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내장 등 하루가 다르게 그 성능이 향상된 이동 단말기들이 등장하고 있다.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 of making a call with a general subscriber or another mobile subscriber through a base station (BS) while arbitrarily mov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ea, manages personal information, exchanges information with a computer, and communicates data. It ha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performing a connection. Recently, mobile terminals having improved performances have emerged differently each day, such a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mages and videos, implementation of virtual 3D sound and stereo sound, MP3 player functions, and a built-in camera capable of taking pictures.

또한, 기능에 따라서 인터넷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 장치, 문자 전송을 위한 단말기 장치, 동영상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 장치, 사용자의 건강을 체크해 줄 수 있는 위한 단말기 장치 및 게임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 장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TV나 주문형 영상(비디오) 서비스(VOD: Video On Demand) 등과 같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제공되고 상용화 되고 있다.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function, it may be classified into a terminal device having an Internet function, a terminal device for transmitting a text, a terminal device having a video function, a terminal device for checking a user's health, and a terminal device having a game function. . In addition, digital multimedia services such as digital TV and video on demand (VOD) services are provided and commercialized.

또한 현재 이동 단말기는 단순한 텍스트만을 이용한 게임뿐만 아니라 현재 3D까지 구현하는 게임 기능들을 수행하고 메신저 기능까지 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이동 단말기에서는 상기 방법뿐만 아니라 많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기능들이 구현되고 있으며 이동 단말기에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 기능들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In addition, the current mobile terminal is not only a game using only text, but also currently performing game functions that implement 3D and providing a messenger function. Currently, not only the method but also many application functions are implement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application functions a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are increasing.

상기와 같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기능들을 수용한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게 되면서 상기 이동 단말기 자체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 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기능들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때 상기 기능들을 사용하기 위한 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As the mobile terminal accommodates various application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the demand for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itself is increasing. In addition, when various functions are a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mobile terminal, the demand for an efficient user interface for using the functions also increases.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기능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Therefore, studies on a user interface for more efficiently using the various application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ing user convenience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편의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user convenience in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 화면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at least one split screen in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에서 상위메뉴 및 상기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하위메뉴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interface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viding an upper menu and a lower menu corresponding to the upper menu in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에서 상위메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메뉴를 동시에 표시하는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lit screen user interface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n upper menu and at least one lower menu in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에서 상위메뉴와 하위메뉴를 화면 분할 형태로 동시에 제공하고, 상기 각 메뉴들 간 계층적인 이동(hierarchical navigation)을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simultaneously providing upper menus and lower menus in a screen division form in a mobile terminal and enabling hierarchical navigation between the menus.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소정 메인메뉴에서 소정 리스트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리스트에 하위메뉴가 존재하는지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리스트에 상응하는 하위메뉴가 존재하면, 상기 메인메뉴와 상기 리스트에 상응하는 하위메뉴를 분리된 창을 통해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위 메뉴 리스트에서 특정 상위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상위 메뉴에 종속되는 하위 메뉴가 존재하는지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상위 메뉴에 종속되는 하위 메뉴가 존재하면, 화면을 분리하는 과정과, 분리되는 상위 메뉴 창에 상기 상위 메뉴 리스트를 표시하고, 분리되는 상기 하위 메뉴 창에 상기 선택된 상위 메뉴에 상응하는 하위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 a mobile terminal, if a predetermined list is selected from a predetermined main menu, determining whether a submenu exists in the selected list And if there is a submenu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ist, providing the main menu and the submenu corresponding to the list through separate window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in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 a mobile terminal, when a specific upper menu is selected from the upper menu list, there is a lower menu dependent on the selected upper menu. Determining whether the operation is performed; if there is a submenu dependent on the selected upper menu, separating the screen; displaying the upper menu list on the separated upper menu window; and selecting the selected upper level on the separated lower menu window. Displaying a sub-menu corresponding to the menu.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른 메뉴 화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소정 메뉴가 선택되면, 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화면 분할로 활성화된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상응하여 상위메뉴와 하위메뉴를 분리된 창을 통해 동시에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menu screen according to the user interface in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checks the predetermined user interface when a predetermined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And if the user interface is activated by screen division, simultaneously providing a higher menu and a lower menu through separate windows corresponding to the user interface.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른 메뉴 화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부가기능 요청시 그에 상응하는 소정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식에 따라 소정 상위메뉴와 상기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하위메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 화면 형태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형태에 따라 기본 화면 또는 분할 화면에 상응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상응하여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기본 화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전환 및 설정을 제어하고, 입력되는 설정 신호에 상응하여 생성되거나 관리되는 부가기능 또는 사용자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apparatus for providing a menu screen according to the user interface in the mobile terminal, provides a predetermined menu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function requested by the user, the user interface A user interface processor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upper menu and a lower menu corresponding to the upper menu in at least one split screen form according to a setting method, and corresponding to a base screen or a split screen according to a user interface provision form of the user interface processor; A display unit that provides a scree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and setting of a split screen type user interface or a basic screen user interface when the user interface setting change signal is input and correspondingly generated or managed according to the input setting signal. And a function, o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user data.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in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are contemplating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defined as the concept of term.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제안하는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MS, Mobile Station)에서 사용자 편의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위메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메뉴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interface (UI) for user convenience in a mobile terminal (MS). In particula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creen-separated user interface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viding an upper menu and at least one lower menu.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기술적 발전으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의 기본 통 화 기능 이외에도 여러 가지 부가기능들을 구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부가기능들을 나타내는 메뉴 리스트의 수와 그 부가기능들을 통해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데이터도 함께 증가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메뉴 구성 역시 복잡해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부가기능이라 함은 예컨대, 폰북에 저장되는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영상 데이터, 벨소리/멜로디, 메모장, 일정관리, 다이어리, 계산기 및 사용 환경 설정 등의 기능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들에 상응하여 상기 각 기능들을 나타내는 메뉴들이 포함된다. In general, the mobile terminal has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basic call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As a result, the number of menu lists representing additional functions and the user data available through the additional functions have also increased. Due to this, the menu composition is also complicated. Here, the additional func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 phone number stored in a phone book, a short message service (SMS),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image data, a ringtone / melody, a notepad, and schedule management. Functions such as a diary, a calculator, and a user environment setting may be included, and menus representing each of the functions may be included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s.

따라서 종래 이동 단말기에서는 텍스트(text) 형식 또는 아이콘(icon) 형식으로 상기와 같은 많은 수의 메뉴 목록들을 표시하는 데에는 한계가 따른다. 즉, 종래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메뉴 목록의 항목 수가 한정된다. 이에 메뉴 트리(Menu Tree) 방식이 제안되었으며, 상기 메뉴 트리 방식을 통해 같은 등급의 메뉴들을 소정 그룹으로 매핑하고, 상기 매핑된 소정 그룹의 메뉴 예컨대, 같은 등급의 상위메뉴만을 텍스트 혹은 메뉴 아이콘으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였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there is a limit in displaying such a large number of menu lists in text format or icon format. That is, the user interface of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is limited in the number of items of the menu list tha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Accordingly, a menu tree method has been proposed, and menus of the same class are mapped to a predetermined group through the menu tree method, and only the menus of the mapped predetermined group, for example, upper menus of the same class are displayed as text or menu icons. On display.

따라서 사용자가 소정 하위메뉴에서 검색 및 관리할 수 있는 기능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특정 상위메뉴에 대한 하위메뉴 목록을 파악하여 특정 기능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검색 및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execute a function or user data that a user can search and manage in a predetermined submenu, it is troublesome to search and manage a specific function or user data by identifying a list of submenu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upper menu. have.

예를 들면, 사용자는 이전에 카메라 기능이 지원되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촬 영한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서, 메뉴 혹은 소정 기능 키(Key) 예컨대, 카메라 촬영키를 조절하여 카메라 촬영에 관한 상위메뉴로 진입한다. 이후, 상기 상위메뉴에서 사용자가 희망하는 하위메뉴를 선택하고, 새롭게 디스플레이 되는 하위메뉴 중 사용자가 희망하는 예컨대, 영상 데이터 검색을 위한 사진 관리 등의 메뉴를 선택하고, 상기 사진 관리의 하위메뉴에 저장된 사진을 검색하는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For example, a user enters a higher menu regarding camera shooting by adjusting a menu or a predetermined function key, for example, a camera shooting key, to retrieve image data previously photographed through a mobile terminal that supports a camera function. do. Thereafter, the user selects a desired submenu from the upper menu, and selects a menu desired by the user, for example, picture management for retrieving image data, from among newly displayed submenus, and is stored in the submenu of the picture management.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 picture is performed.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이동 단말기의 메뉴 구성 방식은 해당 부가기능 선택 또는 사용자 데이터 검색 및 관리를 위해 항상 해당 부가기능 또는 사용자 데이터가 포함된 특정 상위메뉴와, 상기 상위메뉴의 하위메뉴로 진입한 후, 해당 부가기능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해서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menu configuration method of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always enters a specific upper menu including the additional function or user data for selecting the additional function or searching and managing the user data, and enters a lower menu of the upper menu. After that,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select and perform the corresponding additional function or user data.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정 개수 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깊이(depth, 이하 'depth'라 칭하기로 한다) 즉, 하위메뉴의 유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는 메뉴 창을 통해, 소정 depth를 가지는 메뉴들을 동시에 제공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분할된 화면의 하위메뉴 창에서 표시되는 소정의 항목 선택시, 해당 기능을 바로 실행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부가기능 수행 또는 사용자 데이터 검색에 있어서 하위메뉴로의 진입 경로 단축 및 사용자 편의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depth is determined through a menu window divided into at least one or more depths, for example, at least one or more depths (that is, referred to as 'depth'), that i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ubmenu. Proposes a user interface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viding menus. In addition, when a predetermined item displayed in the submenu window of the divided screen is selected, a corresponding function is immediately execut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entry path to the lower menu and increase user convenience in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s or retrieving user data.

또한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일 레벨 간 이동 즉, 상위메뉴 간 이동, 하위메뉴 간 이동 및 상위(하위) 메뉴에서 하위(상위) 메뉴로의 이동 즉, 분할된 화면 내에서의 메뉴 레벨 간 이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각 메뉴 간 이동을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소정의 방향키 또는 볼륨 조절키 등을 통해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기존 이동 단말기에서 각 메뉴 간 이동을 위해 매번 수행해야 하는 선택(Select) 및 취소(Back) 등의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The split-screen user interface also allows you to move between the same levels, that is, between upper menus, between submenus, and from upper (sub) menus to lower (upper) menus, that is, between menu levels within a split screen. It can provide more efficiently. For example, the movement between the menus is performed through a predetermined direction key or a volume control key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selection and cancellation of each menu must be performed each time for movement between the menus in the existing mobile terminal. Back) may be omitt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 하위메뉴의 유무에 상응하여 화면 분리 형태의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안하고, 또한 분할된 화면에서 표시되는 항목 선택 시, 해당 부가기능을 바로 실행하거나 또는 사용자 데이터 검색을 쉽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위메뉴 검색을 위한 진입 경로를 단축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creen separation type menu interfa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lower menu in the mobile terminal, and when the item displayed on the divided screen is selected, the corresponding additional function is executed immediately or the user is selected. You can make data retrieval easier. This can shorten the entry path for the submenu search and provide a more convenient user interface to the mobile terminal users.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유/무선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mobile terminal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for providing convenience to a user, and preferab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phone, a wired / wireless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smart phone.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he like, and applications thereof.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안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2개 이상의 메뉴 창을 하나의 화면에 분리하여 상위/하위 메뉴를 동시에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안한 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위/하위 메뉴에서 소정 정보를 검색/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메뉴 보기, 검색 및 선택 등의 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계층적인 이동(hierarchical navigation)을 가능하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opos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user interface for simultaneously providing an upper / lower menu by separating at least two or more menu windows on one screen through a split screen user interface. Through this, when the user wants to search / select predetermined information in the upper / lower menu, the user can more efficiently use operations such as viewing, searching, and selecting a menu, and enable hierarchical navigation.

먼저, 이하에서는 종래 기술에서 제안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First,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menu proposed by the prior art and a problem thereof will be described.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에서는 화면의 협소함으로 인해, 1 depth의 메뉴만을 리스트 방식으로 나타낸다. 또는 2 depths 메뉴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탭(tab) 방식을 사용하여 상위메뉴를 아이콘(icon)화 하거나 메뉴 명을 줄여 소정 탭(tab)에 담고, 하위메뉴를 탭 박스(tab box) 안에 리스트 방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메뉴 형식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In general, due to the narrow screen,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only a menu having a depth of 1 list. Or, if the 2 depths menu is displayed, use the tab method to iconify the upper menu or shorten the menu name to put it in a predetermined tab, and list the submenus in a tab box. It is shown. 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a menu form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에서 1 depth 리스트 방식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1A and 1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1 depth list method in a general mobile terminal.

상기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 1a 및 도 1b는 1 depth 리스트(List)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위메뉴 예컨대, <Music & Media>, <Camera>, <My Albums> 및 <Image Album>에 각각 종속되는 하위메뉴들을 1 depth의 리스트 방식으로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As shown in FIGS. 1A and 1B, FIGS. 1A and 1B illustrate examples of a user interface of a 1 depth list method, and include upper menus such as <Music & Media>, <Camera>, and <My. The following shows an example of providing submenus subordinate to Albums> and <Image Album>, respectively, in a list depth of 1 depth.

상기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소정의 메뉴 예컨대, 도 1a의 <Music & Media>를 선택하면 상기 <Music & Media>에 관련된 하위메뉴를 리스트 방식으로 제공한다. 상기 리스트 되는 하위메뉴에서 사용자가 소정 항목 예컨대, <Camera>를 선택하면 상기 <Camera>에 관련된 하위메뉴를 리스트 방식으로 제공한다. 1A and 1B, when a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menu, for example, <Music & Media> of FIG. 1A, a submenu related to the <Music & Media> is provided in a list manner.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item, for example, <Camera>, the submenu related to the <Camera> is provided in a list manner.

이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Camera> 메뉴에 리스트 되는 하위메뉴 항목 중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소정 메뉴의 항목을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메뉴에 상응하는 하위메뉴가 더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선택 절차를 종속되는 하위메뉴의 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최종 리스트 항목에서 자신이 희망하는 메뉴가 존재하지 않으면 이전 메뉴 또는 상기 초기 메뉴 예컨대, 상기 <Music & Media> 메뉴로 다시 이동하여 자신이 희망하는 메뉴 검색을 재차 수행해야 한다.Subsequently, the user selects an item of a predetermined menu to be used by the user from among submenu items listed in the <Camera> menu to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B, when there are further submenu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the user sequentially performs the selection procedur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ubmenus that are dependent. In addition, if the user's desired menu does not exist in the final list item, the user must go back to the previous menu or the initial menu, for example, the <Music & Media> menu, and perform the user's desired menu search again.

여기서, 상기 상위/하위 메뉴는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각 항목별로 연계되어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위메뉴는 자신이 속한 상위메뉴의 각 항목에 상응하게 각각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하위메뉴 역시 자신의 하위에 속하는 하위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위메뉴는 종속으로 제2 하위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하위메뉴는 상기 제2 하위메뉴의 상위메뉴가 될 수 있다.Here, the upper / lower menu may be stored in a memory in association with each item in a database form. In addition, the submenu may be configured in a separate database form corresponding to each item of the upper menu to which the submenu belongs, and the submenu may also include a submenu belonging to its own submenu. For example, the first submenu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bmenu, and in this case, the first submenu may be an upper menu of the second submenu.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1 depth 리스트 방식에서는, 그 depth가 깊은 경우 즉, 소정 메뉴에 대하여 종속되는 하위메뉴들이 많은 경우에는, 상위메뉴 만으로는 모든 하위메뉴의 내용을 인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메뉴의 항목들을 일일이 선택하여 해당 메뉴를 검색하여 살펴보거나, 하위메뉴 검색 중 상위메뉴에 관련 메뉴가 있는 경우 이를 검색하지 못하게 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상위메뉴를 다시 확인하기 위해서는 하위메뉴로의 이동에 상응하여 이전단계로의 이동을 반복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As described above, in the one depth list method, when the depth is deep, that is, when there are many submenus dependent on a predetermined menu,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contents of all the submenus only by the upper menu. Therefore, the user may select an item of the corresponding menu to search and look up the corresponding menu, or if there is a relevant menu in the upper menu during the lower menu search, it may be inconvenient to fail to search it. In addition, in order to check the upper menu again, the hassle of having to repeatedly move to the previous step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to the lower menu.

다시 말해, 1 depth 리스트 방식에서는 한번에 1 depth의 메뉴만을 제공하며, 메뉴 트리(Menu Tree) 구조를 제공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이전 메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소정 키 예컨대, <Back> 기능을 통해 이전단계로의 이동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하위메뉴에 포함되는 정보들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소정 키 예컨대, <Select>, <OK> 등의 기능을 통해 해당 항목에 대하여 선택한 후 다음 단계로 이동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1 depth 리스트 방식에서는 메뉴 간 이동에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상기 1 depth 리스트 방식에서는 같은 등급의 메뉴들 간 이동을 위해서는 상기 같은 등급의 메뉴 예컨대, 상기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Camera> 및 <My Albums>를 모두 포함하는 보다 상위의 메뉴 예컨대, <Music & Media>로 이동하여 다시 해당 메뉴로 이동해야 한다. 즉, 같은 등급의 메뉴들 간 이동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1 depth list method provides only a menu of 1 depth at a time, and cannot provide a menu tree structure. For this reason, in order for the user to check the previous menu, the user must move to the previous step through a predetermined key, for example, the <Back> function. In addition, in order to check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ubmenu, it is necessary to select a corresponding item through a function of a predetermined key, for example, <Select> or <OK>, and then move to the next step.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lot of inconvenience in moving between menus in the 1 depth list method. In addition, in the 1 depth list method, in order to move between menus of the same grade, a menu of the same grade, for example, a higher menu example including both <Camera> and <My Albums>, referring to FIGS. 1A and 1B, Go to <Music & Media> and go back to the menu. 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moving between menus of the same grade cannot be performed.

도 2a 및 도 2b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에서 2 depth 탭 방식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2A and 2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2 depth tap method in a general mobile terminal.

상기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 2a 및 도 2b는 2 depth 탭(Tab)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위메뉴와 상기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해당 하위메뉴들을 2 depth 탭 방식으로 동시에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As shown in FIGS. 2A and 2B, FIGS. 2A and 2B illustrate examples of a two-depth tab-type user interface, wherein the upper menu and corresponding submenus corresponding to the upper menu are 2 depth tabs. It shows an example of providing simultaneously in a manner.

상기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소정의 기능 예컨대, 스케줄러 기능을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는 상기 스케줄러 기능 실행에 따른 해당 상위메뉴 및 하위메뉴를 2 depth 탭 방식으로 동시에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케줄러 기능에 따른 소정 상위메뉴를 텍스트 또는 아이콘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해당 하위메뉴들을 동시에 제공한다. 2A and 2B, when a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function, for example, a scheduler function, the mobile terminal simultaneously provides a corresponding upper menu and lower menu according to execution of the scheduler function in a 2 depth tap method.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2A and 2B, a predetermined upper menu according to the scheduler func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ext or an icon, and corresponding lower menus corresponding to the upper menu are simultaneously provided.

구체적으로, <일간일정> 상위메뉴가 활성화되면 상기 <일간일정>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해당 하위메뉴 즉,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시간별 스케줄 정보들이 표시되고, <기념일> 상위메뉴가 활성화되면 상기 <기념일>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해당 하위메뉴 즉,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기념일에 대한 스케줄 정보들이 표시되고, <디데이(D-day)> 또는 <카운트다운(Countdown)> 상위메뉴가 활성화되면 상기 <디데이> 또는 <카운트다운>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해당 하위메뉴 즉,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디데이, 카운트다운 등의 정보들이 표시된다.Specifically, when the upper menu of <daily schedule> is activated, corresponding submenus corresponding to the upper menu of <daily schedule>, that is, the schedule information by time registered by the user are displayed, and the <anniversary day> when the upper menu is activated, the <anniversary day > The corresponding submenu corresponding to the upper menu, that is, schedule information about an anniversary registered by the user is displayed, and when the <D-day> or <Countdown> upper menu is activated, the <D-day> Alternatively,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submenu corresponding to the <Countdown> upper menu, that is, the D-Day and the countdown registered by the user is displayed.

한편, 상기 도 2a 및 도 2b와 같은 방식에서 상기 같은 등급의 상위메뉴 예컨대, <일간일정>, <기념일> 및 <디데이> 등의 메뉴 간 이동 및 상위메뉴에서 하위메뉴로의 이동은,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소정의 방향키 또는 등록된 숫자 키 등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예컨대, 상기 같은 등급의 상위메뉴 간 이동은 상기 방향키의 좌/우(Left/Right) 동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위메뉴와 하위메뉴 간 이동은 상기 방향키의 상/하(Up/Down)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2A and FIG. 2B, the menu between the upper menus of the same grade, for example, <Daily Schedule>, <Anniversary Day> and <D-Day> and moving from the upper menu to the lower menu, the mobile terminal. By a predetermined direction key or a registered numeric key. For example, the movement between the upper menu of the same grade is performed by the left / right operation of the direction key, and the movement between the upper menu and the lower menu is performed by the up / down operation of the direction key. Can be.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2 depth 탭 방식에서는 2 depth의 메뉴를 동시에 제공한다. 즉, 사용자에게 상위메뉴와 상기 상위메뉴에 따른 해당 하위메뉴 리스트를 모두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해당 메뉴를 이용하더라도 상위메뉴의 확인/인지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2 depth 탭 방식에서는 소정 기능키에 소정 옵션(options)을 매핑(mapping)하여 해당 메뉴의 컨텐츠에서 동작 가능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2 depth tap method simultaneously provides a menu having 2 depths. That is, the upper menu and the corresponding submenu list according to the upper menu ar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is, even if the user uses the corresponding menu, the upper menu can be identified / recognized. In addition, in the 2 depth tap method, functions that are operable in contents of a corresponding menu may be used by mapping predetermined options to predetermined function keys.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2 depth 탭 방식에 따르면, 2 depth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2 depth의 메뉴들을 동시에 제공한다는 점에서 작은 화면에서의 효율적인 계층적인 이동(hierarchical navigation)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예에서와 같이, 아이콘화가 불가능한 일반 메뉴의 경우에는 아이콘 인지도가 낮아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메뉴 명을 그대로 탭에 포함한다 하더라도 메뉴 명의 길이가 상기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 경우 실질적인 탭의 장점을 살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wo-depth tap method, it is possible to provide efficient hierarchical navigation on a small screen in that menus of two depths are simultaneously provided through a user interface of two depths. However, as 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S. 2A and 2B, in the case of a general menu that cannot be iconiz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usability is low due to low icon recognition. In addition, even if the menu name is included in the tab as it is, when the length of the menu name is long as shown in FIG. 2B,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dvantage of the actual tab cannot be utilized.

즉, 상기 2 depth 탭 방식은 제공되는 메뉴 명의 길이 또는 아이콘화가 어려운 이동 단말기에서의 적용이 무의미하며, 탭 방식의 사용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하위메뉴는 확인하지 않고, 상위메뉴만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도 상위메뉴만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또한 상기 2 depth 탭 방식은 현재 상기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케줄러와 같은 특정 기능에 대해서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 depth 탭 방식에 따른 메뉴 표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뉴 명 길이의 제약 또는 아이콘화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메뉴 간 검색/이동/선택 등의 네비게이션을 주 목적으로 하기 보다는, 스케줄러 등의 최하위 depth의 메뉴와 컨텐츠를 이용하는 데에 한정된다. 또한, 상기 2 depth 탭 방식에서는 메뉴 리스트만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단지 옵션에 의한 컨텐츠 이용에 필요한 기능만을 제공한다.That is, the 2-depth tap method is meaningless to apply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difficult name or length of a menu name provided, and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use the tap method. In addition, even if the user wants to check only the upper menu without checking the lower menu, there is no way to check only the upper menu. In addition, the 2 depth tap method is currently available only for a specific function such as a scheduler,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refore, the menu display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2 depth tab method has a menu of the lowest depth such as a scheduler, rather than the main purpose of navigation, such as searching / moving / selecting between menus due to limitation of menu name length or difficulty of iconization. It is limited to using and content. In addition, in the 2 depth tap method, there is no method of checking only a menu list, and provides only functions necessary for using contents by an option.

도 3a 및 도 3b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분리형 방식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3A and 3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creen separation type method in a general mobile terminal.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 3a 및 도 3b는 화면 분리형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소정 상위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해당 하위메뉴를 동시에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As shown in FIGS. 3A and 3B, FIGS. 3A and 3B illustrate examples of a user interface of a split screen type. When a predetermined upper menu is selected, a corresponding lower menu corresponding to the upper menu is simultaneously provided. An example is shown.

상기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소정의 기능 예컨대, 전화번호부 기능을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전화번호부 기능 실행에 따른 해당 상위메뉴 리스트 예컨대,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용자 이름 리스트를 소정의 정렬 방식에 상응하여 제공한다. 3A and 3B, when a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function, for example, a phone book function, the mobile terminal selects a list of user names registered in a corresponding upper menu list, for example, a phone book, according to execution of the phone book function. Provides corresponding to the sorting method.

상기와 같이 등록 사용자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소정의 메뉴 항목 예컨대,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Bakery Hong>을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는 설정된 방식에 상응하여, 상기 도 3a와 같이 화면 하단에 화면을 분리하는 형태로 상기 <Bakery Hong>에 대한 하위메뉴 즉, 상기 <Bakery Hong>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도 3b와 같이 선택 메뉴의 바로 하단에 2줄(line)로 화면을 확장하는 형태로 상기 <Bakery Hong>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이라 함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선택되는 것이 아니라, 방향키 등에 의해 사용자가 수행하는 검색 동작을 포함하며, 이동시마다 해당 항목의 하위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한다.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menu item in the registered user list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Bakery Hong> illustrated in FIGS. 3A and 3B,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 screen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s shown in FIG. Provides submenus for <Bakery Hong>, that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Bakery Hong>, in a separate form, or expands the screen to two lines immediately below the selection menu as shown in FIG. 3B. It provid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akery Hong> in the form. In this case, the selection is not arbitrarily selected by the user, but includes a search operation performed by the user by using a direction key and the like, and automatically provides sub-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item whenever moving.

상기에서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화면 분리형 방식에서는 화면을 분리하여, 상단에 위치하는 화면은 전체 리스트 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항목을 표시하여 보여주고, 하단에 위치하는 화면은 상기 표시되는 해당 항목 리스트의 내용을 자동으로 보여준다. 이와 같이 상기 화면 분리형 방식에서는 사용자가 선택되는 소정 상위메뉴에 대한 해당 하위메뉴의 내용을 보기 위해 별도의 동작 예컨대, 선택 등의 동작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creen separation typ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screen is separated, and the screen located at the top displays and displays the item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entire list, and the screen located at the bottom is the corresponding item list displayed. Automatically show the contents of As described above, in the screen split type, a separate operation, for example, selection or the like, may be omitted in order to view contents of a corresponding lower menu for a predetermined upper menu selected by the user.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화면 분리형 방식에서는 해당 메뉴의 컨텐츠 전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즉,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되는 소정 메뉴에 대해 설정된 특정 정보만이 선택되는 상위메뉴에 상응하여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하는 해당 메뉴의 전체 컨텐츠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방향키 예컨대, 상/하/좌/우(Up/Down/Left/Right) 키를 이용하여 하나씩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However, in the split screen metho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re is no method of checking the entire contents of the menu. That is, as shown in FIG. 3A and FIG. 3B, only the specific information set for the selected menu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upper menu. In addition, in order to check the entire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menu selected by the user, it is cumbersome to check one by one using a predetermined direction key, for example, an up / down / left / right key.

또한, 상기 화면 분리형 방식은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화번호부와 같은 특정 기능에 대해서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화면 분리형 방식에서는 상위메뉴 또는 하위메뉴를 각각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선택권이 없다. 즉, 분리형 화면을 선택하지 않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separation type can be used only for a specific function such as a phone book, as shown in FIGS. 3A and 3B. In addition, in the screen separation typ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option of individually checking the upper menu or the lower menu. 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screen cannot be selected.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면 분리형 방식은, 메뉴 간 이동을 주 목적으로 하기 보다는, 전화번호부 등의 한정된 기능에서 최하위 depth의 메뉴와 컨텐츠를 단순 확인하는 데에 적합하며, 그 사용에 한계가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screen separation typ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suitable for simply checking the lowest depth menus and contents in limited functions such as a phone book, rather than the main purpose of moving between menus. There is a problem that follow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중간 depth(1st depth ~ 3rd depths)의 메뉴 리스팅 방식에는 1 depth 리스트 보기(list view)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사용자들이 depth가 깊은 이동 단말기의 메뉴 명을 모두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짧은 메뉴 명에 하위메뉴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들이 원하는 메뉴를 검색/사용하는 데에 많은 번거로움이 따른다. 즉, 희망하는 메뉴 검색을 위해, 매번 해당 메뉴의 최상위 메뉴에서부터 최하위 메뉴까지 순차적으로 진입하고, 상기 역순으로 취소(back)하는 절차를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As described above, the 1 depth list view method is used for the menu listing method of the intermediate depths (1st depth to 3rd depth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this case, when the users do not remember all the menu names of the mobile terminal with deep depth or when the user cannot effectively express the contents of the submenu in the short menu name, the user has a lot of trouble to search / use the desired menu. Follow. That is, in order to search for a desired menu, it is inconvenient to repeatedly enter the menu from the top menu to the bottom menu of the corresponding menu each time, and then repeat the reverse procedure.

또한, 메인 메뉴(main menu)나 2 depths 메뉴(depths menu)의 경우 하위메뉴의 내용을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메뉴 명이 사용됨으로 인해, 실제로 어떤 메뉴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Multimedia)라는 메뉴와 툴(Tools)이라는 메뉴가 있을 경우, 카메라(Camera) 메뉴를 멀티미디어로 분류하여 멀티미디어의 하위메뉴에 포함하였는지, 또는 카메라 메뉴를 툴로 분류하여 툴의 하위메뉴에 포함하였는지, 실제 선택하여 하위메뉴를 검색하지 않고서는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main menu or the 2 depths menu, since a menu name indicating comprehensively the contents of the submenu is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know which menus are actually included. For example, if there is a menu called Multimedia and a menu called Tools, the camera menu is classified as multimedia and included in the submenu of multimedia, or the camera menu is classified as a tool. There is a problem that you do not know whether you included in, without actually searching the submenu by selecting.

그러면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동작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구성에 대한 일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First,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크게, 입력 수단, 처리 수단, 저장 수단, 출력 수단 및 통신 수단으로 구분된다. 4,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an input means, a processing means, a storage means, an output means, and a communication means.

상기 입력 수단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407), 사용자로부터 숫자/문자 데이터를 입력받는 키입력부(409) 및 외부 소정 물체의 촬영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카메라(4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와 같은 구성 장치들을 통해, 음성 데이터, 숫자/문자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는 기능을 담당한다.The input means includes an audio processor 407 for processing voice data input through a microphone, a key input unit 409 for receiving numeric / character data from a user, and a camera 413 for inputting image data by photographing an external predetermined object. ) May be included. That is, the input means is responsible for receiving multimedia data such as voice data, numeric / text data, and video data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devices.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카메라(413)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415), 상기 신호 처리부(415)에서 디지털 처리된 입력 영상 데이터의 처리를 담당하고,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형태에 따라 기본 화면 또는 분할 화면에 상응하게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417), 상기 오디오 처리부(407)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데이터 또는 상기 키입력부(409)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문자 데이터 등의 처리를 담당하는 데이터 처리부(405), 상기 이동 단말기 내부 블록들의 일련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401)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한 부가기능 요청시 그에 상응하는 소정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식에 따라 소정 상위메뉴와 상기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하위메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 화면 형태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421)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 예컨대, 상기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부가기능 각각에 대응하는 일련의 처리를 담당한다.The processing means is responsible for the processing of the input image data digitally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415, the signal processing unit 415 for converting the image data input through the camera 413 to a digital signal, the user According to the interface provision form, voice data transmitted from the image processor 417, the audio processor 407, or the like corresponding to the basic screen or the split screen, or a number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409. A data processing unit 405 in charge of processing text data, a control unit 401 in charge of a series of control of the internal blocks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predetermined menu corresponding to an additional function request through the input means by a user. A lower menu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upper menu and the upper menu according to a user interface setting method. And a user interface processor 421 for providing a menu in the form of at least one divided screen. That is, the processing means is responsible for a series of process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user data input from the input means, for example, the voice data, text data and video data, and additional functions requested by the user.

상기 저장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의 저장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부가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메모리(411) 등을 포함한다.The storage means is responsible for storing user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and storing an application for implementing additional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and includes a memory 411 and the like.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입력 또는 요청되는 사용자 데이터 및 부가기능에 대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식에 상응하는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419) 및 상기 음성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407)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 또는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에 관련된 데이터 및 각 부가기능에 따른 화면을 출력한다.The output means may include a display unit 419 for constructing and outputting a screen corresponding to a user interface setting method for the input or requested user data and additional functions, and an audio processor 407 for outputting the voice data to the outside. Include. That is, the output means outputs user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or data related to user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nd a screen according to each additional function.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외부 다른 사용자 등으로 무선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웹 서버(Web Server)와의 연동을 통한 컨텐츠의 송수신 기능을 담당하며,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이하 'RF'라 칭하기로 한다) 처리부(403) 및 안테나(Antenna) 등을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means wirelessly transmits the user data to another external user or the like and is responsible for a function of transmitting / receiving content through interworking with an external web server, and will be referred to as a radio frequency (hereinafter referred to as 'RF'). A processor 403, an antenna, and the like.

상기한 바와 같은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RF 처리부(403)는 휴대전화 통신, SMS 통신 및 데이터 통신 등과 관련한 일련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 처리부(40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405)는 상기 RF 처리부(403)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부호화 및 변조를 수행하는 수단, 상기 RF 처리부(403)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복조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Looking at each of the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the RF processing unit 403 performs a series of communication related to the mobile phone communication, SMS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The RF processor 403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The data processor 405 may include a means for performing encoding and modulation on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RF processor 403, a means for performing demodulation and decoding on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F processor 403, and the like. It may include.

상기 오디오 처리부(407)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405)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405)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키입력부(409)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숫자, 문자 및/또는 기능 키들을 포함한다. The audio processor 407 plays a function of reproducing a receive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data processor 405 or transmitting an audio signal such as a voice input from a microphone to the data processor 405. The key input unit 409 includes numerals, letters and / or function keys for inputting numeric and text information and setting various functions.

상기 메모리(411)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이동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 모듈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 및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설정 정보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각각의 데이터 및 메뉴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모든 상위/하위 메뉴, 각 메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데이터 등이 서로 간에 매핑(mapping)되어 각각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수록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The memory 411 may be composed of a program memory and a data memory. The program memory may store program modules including program modules for controlling a genera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a screen separation typ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memory may include a database configured to store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modules and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creen-separable user interface, and to store respective data and menu data in a database form. have. Here, the database includes a database in which all upper / lower menus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and user data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menus are mapped to each other, and each database is recorded.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모듈은, 사용자 입력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 등의 입력에 상응하여 분할 화면 또는 기본 화 면에 대한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모듈, 상기 각 입력에 대한 설정 정보를 인식하는 프로그램 모듈, 상기 인식되는 정보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 상기 판단 정보에 상응하여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의 변환 및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등이 탑재될 수 있다.The program module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may further include a program module providing result information on a split screen or a basic screen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example, user interface setting information, and the like. A program module for performing a determination on the recognized information, a program module for providing a screen separation typ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and a program module for converting and managing information on the user input. Dedicated applications may be mounted.

상기 제어부(401)는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1)는 상기 키입력부(409)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대응하는 모드 설정을 제어한다. 예컨대,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기본 화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전환 및 설정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1)는 상기 입력되는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거나 관리되는 부가기능 또는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 사용자 데이터 예컨대, 각 상위메뉴 또는 하위메뉴를 제공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19)와의 연동을 통해 소정의 텍스트 형태로 제공함을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다양한 형태 예컨대, 동화상, 이미지 및 아이콘 등의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으며, 상기 오디오 출력부(407)와의 연동을 통해 소정의 오디오 신호 예컨대, 경고음, 멜로디 또는 배경음악 등을 함께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controller 401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401 controls a mode setting corresponding to a user interface setting change signal from the key input unit 409. For example, to control the switching and setting of the split screen user interface or the basic screen user interface. In addition, the controller 401 controls to display additional functions or user data generated or managed according to the input setting signal. He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the user data, for example, each upper menu or lower menu when providing a separate screen type user interfac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 predetermined text form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display unit 419. It provides a description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user data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moving picture, an image, an icon, and the like, and a predetermined audio signal may be provided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audio output unit 407. Of course, you can also be accompanied by a warning sound, melody or background music.

상기 제어부(4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식에 상응하여 화면 분리형으로 제공되는 경우, 각 메뉴 레벨(level) 간 이동, 화면 분리 비율, 각 메뉴들이 연 계되는 경로 및 화면 분리 형태에 따른 표시 등을 제어한다.When the control unit 401 is provided as a screen separation type according to a user interface setting method, the control unit 401 controls movement between each menu level, screen separation ratio, a path to which each menu is connected, and a display according to the screen separation type. do.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1)는 사용자로부터 소정 메뉴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메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가 화면 분리형 방식에 의한 모드 설정이 되어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결과에 상응하여 화면 분리형 방식 또는 기본 방식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화면 분리형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화면 분리 형태, 예컨대, 화면 비율 또는 화면 분리 개수 등을 판단하고, 그 결과에 상응하여 상위메뉴 및 하위메뉴 간 연결/이동 경로를 제어한다.For example, when a predetermined menu request is generated from the user, the controller 401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nterface type of the menu is set to a mode by a screen split type, an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screen split type or the basic Control to display the screen according to the method. In addition, when provided as the screen split type, the screen split type, for example, the screen ratio or the number of screen splits is determined, and the connection / movement path between the upper menu and the lower menu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result.

상기 카메라(413)는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인코더(미도시)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 변환을 수행한다. 상기 신호처리부(415)는 상기 카메라(413)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이미지 신호로 변환한다. The camera 413 captures a predetermined image to receive a data signal, and performs digital signal conversion of the received image data through interworking with an encoder (not shown). The signal processor 415 converts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413 into an image signal.

상기 영상 처리부(417)는 상기 신호 처리부(415)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415)는 상기 제어부(401)의 제어 하에 수신되는 영상 신호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제공 형태에 상응하여 기본 화면 또는 분할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419)의 규격에 맞추어 전송하며, 상위/하위 메뉴를 분할된 형태의 창을 통해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417)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image processor 417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screen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or 415. The image processing unit 415 transmits a basic screen or a split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of the display unit 419 in accordance with the image signal and the user interface menu provided form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1, and the upper / lower The menu is provided through a split window.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or 417 compresses and expands the image data.

상기 디스플레이부(419)는 상기 영상 처리부(417)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에 상응하는 실행 화면들 및 상기 제어부(401)의 제어에 상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리되는 창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419)는 상위/하위 메뉴를 각각 분리된 창을 통해 제공하고, 또한 이에 관련된 부가정보를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The display unit 419 displays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417 on a screen. In addition, execution screens corresponding to applications for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and at least one window divid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1 are displayed on the screen.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419 provides the upper / lower menus through separate windows, and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hereto to the user according to a set user interface method.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421)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메뉴 형식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되는 메뉴 형식에 상응하여 상위메뉴, 하위메뉴를 각기 분할된 창을 통해 각각 제공하고, 또한 상기 상위/하위 메뉴에 관련/매핑된 사용자 데이터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분할된 창을 통해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421)는 같은 등급의 메뉴 간 이동, 메뉴 레벨 즉, 상위메뉴와 하위메뉴 간 이동 및 해당 메뉴 내의 항목별 이동 등을 소정의 소프트키, 방향키 또는 기능키에 입력에 상응하여 처리한다.The user interface processor 421 recognizes a menu format requested by the user, and provides upper menus and lower menus through respective divided windows according to the recognized menu formats, and further provides the menus to the upper / lower menus. Process to provide related / mapped user data or application simultaneously through the divided window. 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processor 421 may correspond to an input of a soft key, a direction key, or a function key for moving between menus of the same grade, moving between menu levels, that is, moving between upper menus and lower menus, and moving items by menu items. Proces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을 위한 이동 단말기 구성에 대한 일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를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바람직한 동작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In the above,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implement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Nex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operating embodiments for providing a screen-separabl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of a screen separation type user interface provid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참조부호 510의 상위메뉴 화면과, 상기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참조부호 530의 하위메뉴 화면을 결합하여, 참조부호 5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메뉴와 하위메뉴 화면을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제공한다. 상기 도 5의 예에서는 분리 형태가 2개인 경우를 예로 하여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분리 형태를 사용자 설정에 따라 3개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설정은 이동 단말기에서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설정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5,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an upper menu screen of reference numeral 510 with a lower menu screen of reference numeral 530 corresponding to the upper menu, and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550. As such, the upper menu and lower menu screens are simultaneously provided on one screen. In the example of FIG. 5, the case of two separate forms is shown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eparation type may be configured as three according to a user setting, and such setting is preferably set within a range allowed by the mobile terminal.

상기 참조부호 5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바람직하게는 화면의 상단에 상기 참조부호 5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위메뉴가 위치하고, 화면의 하단에 상기 참조부호 530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위메뉴가 위치하는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하지만, 이러한 화면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구성은 상단에 하위메뉴가 위치하고, 하단에 상위메뉴가 위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550,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n upper menu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510 at the top of the screen, and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530 at the bottom of the screen. Form an interface with the same submenu. However, such a screen configuration is one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screen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 lower menu is located at the top, the upper menu can be located at the bottom, which can be various configurations by user settings.

상기와 같이 상위메뉴와 상기 상위메뉴 예컨대, <Image Album>에 상응하는 하위메뉴가 분리된 화면에서, 상기 상위메뉴와 하위메뉴 간 이동 즉, 메뉴 레벨(mene level) 간 이동은 소정의 소프트키(Soft Key) 예컨대, 상기 도 5의 참조부호 5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Upper> 구동을 위해 매핑된 소정키를 이용하여 이동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 5의 참조부호 550에서와 같이 상위메뉴와 하위메뉴가 분리된 형태로 제공된 화면 즉, 2 depth의 화면 구성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화면 즉, 1 depth의 화면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도 5의 참조부호 5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depth> 구동을 위해 매핑된 소정키를 이용하여 전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메뉴 레벨 즉, 상위메뉴 또는 하위메뉴 각각에서의 항목 이동은 소정의 방향키 등을 이용하여 이동함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in a screen in which the upper menu and the lower menu corresponding to the upper menu, for example, <Image Album> are separated, the movement between the upper menu and the lower menu, that is, the menu level, is performed by a predetermined soft key ( Soft Key) For example,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550 of FIG. 5, it is preferable to move using a predetermined key mapped for driving <Upper>. In addition, as shown in the reference numeral 550 of FIG. 5, when the user wants to switch to one screen, that is, a screen having a depth of 1 screen, the upper menu and the lower menu are provided in a separated form, that is, the screen configuration of 2 depth.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550 of 5, it is preferable to switch using a predetermined key mapped for driving <1 depth>. In addition, the item movement in the menu level, that is, the upper menu or the lower menu, is preferably moved by using a predetermined direction key.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2 depths 즉, 두 레벨의 메뉴 리스트 화면을 하나로 결합하여 이동 단말기의 좁은 화면에 수직으로 분리하는 메뉴 구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위메뉴 이동시에 해당 하위메뉴를 함께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메뉴에 대한 이해도 및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위메뉴를 확인하면서 동시에 하위메뉴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예컨대, <Back> 키 등을 통해 상위메뉴로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nu configuration for vertically separating a narrow screen of a mobile terminal by combining two depths, that is, a menu list screen of two levels into one. Through this, the user can check the corresponding submenu when moving the upper menu, and can improve the understanding and usability of the menu. In addition, as the lower menu can be simultaneously moved while checking the upper menu,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moving to the upper menu through, for example, the <Back> key as in the related 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설정에 따라 설정 즉, 1 depth 화면 또는 2 depths 화면을 사용자 취향에 따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화면 분리형을 원하지 않는 사용자들은 1 depth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2 depths로 사용하던 사용자들도 메뉴가 많아 스크롤이 불편할 경우, 전체화면으로 메뉴 전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separated user interface may be set according to a user setting, that is, a 1 depth screen or a 2 depths screen may be implemented according to a user's taste. Therefore, users who do not want to separate the screen can be used as 1 depth, and users who used 2 depths can also check the full screen menu when scrolling is inconvenient because there are many menus.

또한 상기 도 5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에서는 이동 단말기에 설정되는 기본(default) 화면을 기준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낸 것으로, 통상적으로 7개 정도의 메뉴 리스팅이 가능하다. 또한 상위메뉴와 하위메뉴의 화면 비율 구성은 상기 도 5의 예에서는 4:3의 비율을 예로 하여 나타내었으나, 이는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여 다른 비율로 설정 가능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화면 구성에 대한 자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화면 비율 설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example of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formed based on a default screen set in the mobile terminal, and typically seven menu listings are possible. In addition, although the aspect ratio configuration of the upper menu and the lower menu is shown as an example of 4: 3 ratio in the example of FIG. 5, this may be set to another ratio corresponding to the user setting, and thus autonomy of the user's screen configuration Can increase. Since the aspect ratio setting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구성 방식은, 메뉴 명의 길이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메뉴 명을 줄이거나, 아이콘화 하지 않아도 전체 메뉴 명을 확인할 수 있으며, 메뉴 레벨 간 이동이 소프트키 등을 이용한 한번의 동작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configu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affected by the length of the menu name. That is, the entire menu name can be confirmed even if the menu name is not reduced or iconized, and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ncreased as the movement between menu levels is performed in one operation using a soft key.

그러면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상세 동작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operation process using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레벨 간 이동 및 선택 메뉴를 구분하는 동작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istinguishing a moving and selecting menu between menu levels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6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메뉴가 활성화된 2 depths의 화면상에서, 상기 상위메뉴 내에서의 각 항목별 예컨대, <Sound Album>, <Image Album>, <Video Album> 등의 항목별 이동은 참조부호 610 및 6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방향키를 이용한 상/하(Up/Down) 명령에 의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뉴 레벨 간 이동 예컨대, 상위메뉴에서 하위메뉴로의 이동 또는 하위메뉴에서 상위메뉴로의 이동은 소정의 소프트키에 의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참조부호 610 또는 참조부호 660과 같이 상위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참조부호 630 또는 참조부호 670과 같이 하위메뉴로의 이동은 <Lower>와 같이 매핑된 소정 소프트키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참조부호 630 또는 670과 같이 하위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참조부호 610 또는 660과 같이 상위메뉴로의 이동은 <Upper>와 같이 매핑된 소정 소프트키를 이용 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상위메뉴 또는 하위메뉴의 활성화 상태에 상응하여 상기 소프트키에 매핑되는 <Lower> 및 <Upper>이 토글(toggle)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first,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610, on the screen of 2 depths where the upper menu is activated, each item in the upper menu, for example, <Sound Album>, <Image Album>, <Video Album The movement of each item such as > &gt; is preferably performed by an up / down command using a predetermined direction key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s 610 and 660. In addition, movement between menu levels, for example, moving from an upper menu to a lower menu or a lower menu to an upper menu is preferably performed by a predetermined softkey. For example, when the upper menu is activated, such as 610 or 660, the movement to the lower menu, such as 630 or 670, can be moved using a predetermined softkey mapped as <Lower>. On the contrary, while the lower menu is activated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630 or 670, the movement to the upper menu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610 or 660 can be moved by using a predetermined softkey mapped as shown by <Upper>. As can be seen above, it can be seen that <Lower> and <Upper> mapped to the softkey are toggled corresponding to the activation state of the upper menu or the lower menu.

또한 참조부호 630 내지 6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위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하위메뉴 내에서의 각 항목별 즉, 동일 레벨 예컨대, <Photo Gallery>, <MMS>, <Transferred Images> 등의 동일 레벨 간 이동은 소정의 방향키를 이용한 상/하(Up/Down) 명령에 의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s 630 to 650, in the state in which the submenu is activated, the same level for each item in the submenu, that is, the same level, for example, <Photo Gallery>, <MMS>, <Transferred Images>, etc. The movement between the two is preferably made by an up / down command using a predetermined direction key.

다음으로, 예를 들어 상기 참조부호 610 또는 참조부호 630과 같이 상위메뉴 또는 하위메뉴가 각각 활성화되는 2 depths의 화면에서 보기 모드(View Mode) 변경 예컨대, 참조부호 620과 같이 1 depth 화면으로의 변경은 <1 depth>와 같이 매핑된 소정 소프트키를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참조부호 620과 같이 1 depth 화면에서 참조부호 610과 같은 2 depths 화면으로의 변경은 <2 depths>에 매핑된 소정 소프트키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상위메뉴에 대한 보기 모드 변경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하위메뉴에 대한 보기 모드 변경도 상기와 같은 절차에 의해 이루어짐은 자명하다.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화면 제공 방식에 상응하여 상기 소프트키에 매핑되는 <1 depth> 및 <2 depths>가 토클됨을 알 수 있다.Next, for example, the view mode is changed on the screen of 2 depths where the upper menu or the lower menu is activated, for example, the reference 610 or the reference 630, for example, the display is changed to the 1 depth screen such as the reference 620. Can be changed using a predetermined softkey mapped as <1 depth>, whereas a change from a 1 depth screen as shown at 620 to a 2 depths screen as shown at 610 is indicated by a predetermined softkey mapped as <2 depths>. You can move using the softkeys. In addition, although the view mode change for the upper menu has been described above, it is obvious that the change of the view mode for the lower menu is made by the above procedure. As can be seen from above, it can be seen that <1 depth> and <2 depths> mapped to the softkey correspond to the screen providing method.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되는 메뉴 및 메뉴 레벨 간 구분은, 예를 들면 소정 칼라 톤, 배경 이미지 등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상위메뉴가 활성화되면 상위메뉴의 배경색을 기본 배경색과 다르게 표현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소정 배경 이미지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위메뉴가 활성화되면 하위메뉴의 배경색을 기본 배경색과 다르게 표현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소정 배경 이미지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Next, the menu and the menu level selected in the user interface as described above may be divided into, for example,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uch as a predetermined color tone and a background image. That is, when the upper menu is activated, the background color of the upper menu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from the basic background color, or may be changed to a predetermined background image according to a user setting.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bmenu is activated, the background color of the submenu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from the basic background color, or may be changed to a predetermined background image according to a user setting.

이때, 바람직하게는 활성화되지 않는 메뉴는 기본 색 예컨대, 흰색을 바탕으로 나타낸다. 또한 선택되는 메뉴는 상기와 같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적으로 소정 칼라 톤, 하이라이트 표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위메뉴 창이 선택되어 있을 경우 하위메뉴 창은 해당 상위메뉴의 하위메뉴를 보여주나, 하위메뉴 창에서는 어떤 메뉴도 선택되어 있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위메뉴 창이 선택되어 있을 경우 상위메뉴 창에서는 그 하위메뉴가 해당되는 상위메뉴의 항목이 선택되어 하이라이트 등의 표시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menu which is not activated is preferably displayed based on a basic color, for example, white. In addition, the selected menu may be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color tone, a highlight display, and the like through the graphic user interface. Here, when the upper menu window is selected, the lower menu window shows the lower menu of the upper menu, but it is preferable that no menu is selected in the lower menu window. In addition, when the lower menu window is selected, it is preferable that an item of the upper menu corresponding to the lower menu is selected in the upper menu window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as a highlight or the like.

다음으로, 상기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화면 구성에서, 상기 상위메뉴 리스트들을 포함하는 최상위 메뉴 간 이동은 소정의 방향키를 이용한 좌/우(Left/Right) 명령에 의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Next, in the screen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6, the movement between the uppermost menus including the upper menu lists is preferably performed by a left / right command using a predetermined direction key.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뷰 모드 변경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7A and 7B illustrate a view mode change operatio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7a를 참조하면, 먼저 소정의 메뉴가 선택되면, 참조부호 7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메뉴 예컨대, <Music & Media>에 상응하는 하위메뉴가 2 depths 화면의 상단에 표시되고, 상기 하위메뉴에서 선택되는 메뉴 예컨대, <My Albums>에 상응하는 하위메뉴가 2 depths 화면의 하단에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7A, when a predetermined menu is first selected, a submenu corresponding to an upper menu, for example, <Music & Media>,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701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2 depths screen, and in the submenu A submenu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for example, <My Albums>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2 depths screen.

여기서, 상기 상위/하위 메뉴는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각 항목별로 연계되어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위메뉴는 자신이 속한 상위메뉴의 각 항목에 상응하게 각각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하위메뉴 역시 자신의 하위에 속하는 다른 하위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위메뉴는 종속으로 제2 하위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하위메뉴는 상기 제2 하위메뉴의 상위메뉴가 될 수 있다.Here, the upper / lower menu may be stored in a memory in association with each item in a database form. In addition, the submenu may be configured in a separate database form corresponding to each item of the upper menu to which the submenu belongs, and the submenu may also include other submenus belonging to the submenu. For example, the first submenu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bmenu, and in this case, the first submenu may be an upper menu of the second submenu.

다음으로, 참조부호 7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메뉴 예컨대, <My Albums> 메뉴가 소정의 키 예컨대, <Select>, <OK> 등에 의해 선택되면, 참조부호 7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My Albums>에 속한 하위메뉴들이 상위메뉴 창에 표시되고, 상기 상위메뉴 리스트에서 선택되어지는 예컨대, <Image Album> 메뉴에 상응하는 하위메뉴 리스트들이 하위메뉴 창에 표시된다.Next,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701, if a predetermined menu such as <My Albums> menu is selected by a predetermined key such as <Select>, <OK> or the like,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703, the <My Albums> Submenus belonging to> are displayed in the upper menu window, and submenu lists corresponding to, for example, an <Image Album> menu selected from the upper menu list are displayed in the lower menu window.

다음으로, 참조부호 7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메뉴가 활성화된 2 depths 모드에서, 소정의 소프트키 예컨대, 레프트 소프트키(LSK, Left Soft Key) <1 depth>가 선택되면, 참조부호 705와 같이 선택된 메뉴 창의 리스트만 1 depth로 표시한다. 또한 참조부호 70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위메뉴가 활성화된 2 depths 모드에서, 소정의 소프트키 예컨대, 레프트 소프트키 <1 depth>가 선택되면, 참조부호 709와 같이 선택된 메뉴 창의 리스트만 1 depth로 표시한다.Next, in 2 depths mode in which the upper menu is activated,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703, if a predetermined soft key, for example, the left soft key (LSK) <1 depth> is selected,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705, Displays only a list of selected menu windows in 1 depth. In addition, as shown at 707, in a 2 depths mode in which a submenu is activated, if a predetermined softkey, for example, the left softkey <1 depth> is selected, only a list of the selected menu window is shown at 1 depth, as indicated by 709. do.

이와는 반대로, 상기 참조부호 705 또는 참조부호 709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depth 모드에서, 소정의 소프트키 예컨대, 레프트 소프트키 <2 depths>가 선택되면, 참조부호 703 또는 707과 같이 포커스된 메뉴의 하위메뉴와 함께 2 depths로 표시한다.Conversely, if a predetermined softkey, such as the left softkey <2 depths>, is selected in one depth mode, as indicated by reference 705 or 709, the submenu of the focused menu, such as reference 703 or 707, is selected. Display with 2 depths with menu.

이때, 하위메뉴가 depth의 최하위단으로서 리스트 메뉴로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현재 메뉴가 포커스된 상태로 그 상위메뉴와 함께 2 depths로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참조부호 707 또는 709에서와 같이 최하위단의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소정 항목 예컨대, <Photo Gallery>이 선택되면, 참조부호 7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실행된다.In this case, when the lower menu cannot be displayed as a list menu as the lowermost end of the depth, it is preferable to display at 2 depths together with the upper menu while the current menu is in focus. Also, preferably, when a predetermined item, for example, <Photo Gallery> is selected in a state in which a lowermost list is displayed as in reference numerals 707 or 709,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executed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711.

또한 상기 참조부호 709 및 711에서는 최하위단의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나타냄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예컨대, 상기 최하위단의 메뉴 항목이 상기 참조부호 709와 같이 이미지 관련 메뉴 또는 동영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메뉴를 나타내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을 하위메뉴 창에 텍스트 또는 아이콘 형태로 상기 최하위 메뉴와 함께 2 depths로 표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reference numerals 709 and 711 preferably indicate that the application is executed when the lowermost menu item is sel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the lowest-most menu item represents a multimedia menu such as an image-related menu or a video as shown by the reference numeral 709, the application, for example, an image or a video, etc. Of course, the menu window may be displayed in 2 depths together with the lowest menu in the form of text or an icon.

상기 도 7b를 참조하면, 먼저 소정의 메뉴가 선택되면, 참조부호 7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메뉴 예컨대, <Music & Media>에 상응하는 하위메뉴가 2 depths 화면의 상단에 표시되고, 상기 하위메뉴에서 선택되는 메뉴 예컨대, <My Albums>에 상응하는 하위메뉴가 2 depths 화면의 하단에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소정 하위메뉴 역시 자신에게 종속되는 다른 하위메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소정 하위메뉴는 상기 다른 하위메뉴의 상위메뉴가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B, when a predetermined menu is first selected, a submenu corresponding to an upper menu, for example, <Music & Media>,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731,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2 depths screen, and in the submenu A submenu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for example, <My Albums>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2 depths screen. Here, as described above, the predetermined submenu may also include other submenus dependent on the submenu.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submenu may be an upper menu of the other submenu.

다음으로, 참조부호 7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메뉴가 활성화된 2 depths 모드에서, 소정의 소프트키 예컨대, 레프트 소프트키(LSK, Left Soft Key) <1 depth>가 선택되면, 참조부호 733과 같이 선택된 메뉴 창의 리스트만 1 depth로 표시한다. 또한 참조부호 7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위메뉴가 활성화된 2 depths 모드에서, 소정의 소프트키 예컨대, 레프트 소프트키 <1 depth>가 선택되면, 참조부호 737과 같이 선택된 메뉴 창의 리스트만 1 depth로 표시한다.Next, in 2 depths mode in which the upper menu is activated,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731, when a predetermined soft key, for example, the left soft key (LSK) <1 depth> is selected,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733. Displays only a list of selected menu windows in 1 depth. In addition, as shown at 735, in a 2 depths mode in which a submenu is activated, if a predetermined softkey, for example, the left softkey <1 depth> is selected, only a list of the selected menu window as 1 737 is displayed at 1 depth. do.

이와는 반대로, 상기 참조부호 7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depth 모드에서, 소정의 소프트키 예컨대, 레프트 소프트키 <2 depths>가 선택되면, 참조부호 731과 같이 포커스된 메뉴의 하위메뉴와 함께 2 depths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참조부호 7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depth 모드에서, 소정의 소프트키 예컨대, 레프트 소프트키 <2 depths>가 선택되면, 참조부호 739와 같이 포커스된 메뉴의 하위메뉴와 함께 2 depths로 표시한다.In contrast,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733, in a 1 depth mode, if a predetermined softkey, e.g., left softkey <2 depths> is selected, 2 depths together with the submenu of the focused menu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731 Display. In addition,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737, when a predetermined soft key, for example, the left soft key <2 depths> is selected in 1 depth mode, the display indicates 2 depths together with the submenu of the focused menu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739. FIG. .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동일 레벨 내에서의 이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vement operation within the same level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 메뉴 리스트 내에서 항목별 즉, 동일 레벨 간 이동은 소정의 상/하 방향키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참조부호 8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활성화된 상위메뉴에서 각 동일 레벨의 메뉴 예컨대, <Sound Album>, <Image Album>, <Video Album> 및 <Online Album> 등의 메뉴 간 이동은 상/하 방향키에 의하여 참조부호 8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movement of each item, that is, the same level, within a predetermined menu list selected by the user may be operated by using a predetermined up / down arrow key. That is,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810, the menus of the same level menus, such as <Sound Album>, <Image Album>, <Video Album>, and <Online Album>, are moved up and down in the currently active upper menu. The direction keys can be used to move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820.

또한 상기 상위메뉴 창에서 동일 레벨 간 이동에 따라 메뉴들이 변경/선택되면, 하위메뉴 창에서는 상기 변경/선택되는 해당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하위메뉴들 이 변경되어 표시된다. 예컨대, 참조부호 8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메뉴 창에서 <Sound Album>이 선택되어지면, 그에 상응하여 하위메뉴 창에는 상기 <Sound Album>에 상응하는 하위메뉴 <Sound Gallery>, <MMS> 및 <Transferred Sounds> 등이 표시된다. 또한 참조부호 8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메뉴 창에서 상/하 방향키를 통해 동일 레벨 간 이동 예컨대, <Sound Album>에서 <Image Album>으로 이동되면, 그에 상응하여 하위메뉴 창에는 상기 <Image Album>에 상응하는 하위메뉴 <Photo Gallery>, <MMS> 및 <Transferred Images> 등이 표시된다.In addition, when the menus are changed / selec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between the same level in the upper menu window, the lower menus corresponding to the upper menu to be changed / selected are changed and displayed in the lower menu window. For example, when <Sound Album> is selected in the upper menu window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810, the submenu <Sound Gallery>, <MMS> and <Transferred corresponding to the <Sound Album> are correspondingly displayed in the lower menu window. Sounds>, etc. are displayed. Also,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820, when the user moves to the same level through the up / down arrow keys in the upper menu window, for example, from <Sound Album> to <Image Album>, the lower menu window corresponds to the <Image Album>. Corresponding submenus <Photo Gallery>, <MMS> and <Transferred Images> are displayed.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820에서 하위메뉴 창으로의 이동은, 하위메뉴로의 이동을 위한 소프트키 예컨대, 라이트 소프트키 <Lower>에 의해 이동되어, 참조부호 8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위메뉴 창을 활성화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참조부호 830에서 하위메뉴 리스트 내에서 항목별 즉, 동일 레벨 간 이동은 소정의 상/하 방향키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참조부호 8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활성화된 하위메뉴에서 동일 레벨의 메뉴 예컨대, <Photo Gallery>, <MMS> 및 <Transferred Images>의 메뉴 간 이동은 상/하 방향키에 의하여 참조부호 840 내지 참조부호 8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항목별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며, 이동되는 항목이 하이라이트로 표시됨을 알 수 있다.Next, the movement from the reference numeral 820 to the submenu window is performed by a soft key for moving to the submenu, for example, the light softkey <Lower>, to activate the submenu window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830. can do. Subsequently, in reference numeral 830, movement of each item, that is, the same level, in the lower menu list may be operated by using a predetermined up / down arrow key. That is,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830, the movement between the menus of the same level, for example, <Photo Gallery>, <MMS>, and <Transferred Images>, in the currently activated submenu i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840 through up / down arrow keys.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860, the items are sequentially moved for each item, and the items to be moved are highlighted.

또한 상기 참조부호 8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뉴 리스트가 제공되는 화면 크기를 넘어 보이지 않는 경우, 상기 상/하 방향키를 통해 이동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메뉴 또는 하위메뉴에 따른 리스트들이 제공되는 화면 크기보다 많은 경우, 화면상의 일측에 메뉴 리스트들이 더 포함되어 방향키 이동에 따라 더 표시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 예컨대, <↕>를 각 메뉴 창에 나타냄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860, if the menu list does not appear beyond the size of the provided screen, it is preferable to move through the up / down arrow keys to confirm. Accordingly, as shown in FIG. 8, when the list according to the upper menu or the lower menu is larger than the screen size provided, the menu list may be further included on one side of the screen, and the display may be further displayed as the direction keys move. It is preferable to display <↕> in each menu window.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하위메뉴 선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illustrating a submenu selection operatio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9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활성화된 상위메뉴에서 각 동일 레벨의 메뉴 예컨대, <Sound Album>, <Image Album>, <Video Album> 및 <Online Album>의 메뉴 간 이동은, 상/하 방향키에 의하여 참조부호 9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위메뉴 창에서 동일 레벨 간 이동에 따라 메뉴들이 변경/선택되면, 하위메뉴 창에서는 상기 변경/선택되는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하위메뉴들이 변경되어 표시된다. 예컨대, 참조부호 9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메뉴 창에서 <Sound Album>이 선택되어지면, 그에 상응하여 하위메뉴 창에는 상기 <Sound Album>에 상응하는 하위메뉴 <Sound Gallery>, <MMS> 및 <Transferred Sounds> 등이 표시된다. Referring to FIG. 9,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910, the menus of the same level menus, for example, <Sound Album>, <Image Album>, <Video Album>, and <Online Album> are moved between the menus currently active. Can be moved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920 by the up / down arrow keys. In addition, when menus are changed / selec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between the same level in the upper menu window, lower menus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 selected upper menu are changed and displayed in the lower menu window. For example, when <Sound Album> is selected in the upper menu window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910, the submenu <Sound Gallery>, <MMS> and <Transferred corresponding to the <Sound Album> are correspondingly displayed in the lower menu window. Sounds>, etc. are displayed.

또한 참조부호 9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메뉴 창에서 상/하 방향키를 통해 동일 레벨 간 이동 예컨대, <Sound Album>에서 <Image Album>으로 이동되면, 그에 상응하여 하위메뉴 창에는 상기 <Image Album>에 상응하는 하위메뉴 <Photo Gallery>, <MMS> 및 <Transferred Images> 등이 표시된다.In addition,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920, when moving from the upper menu window to the same level through the up / down arrow keys, for example, from <Sound Album> to <Image Album>, the lower menu window corresponds to the <Image Album>. Corresponding submenus <Photo Gallery>, <MMS> and <Transferred Images> are displayed.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920에서 하위메뉴 창으로의 이동은, 하위메뉴로의 이동을 위한 소프트키 예컨대, 라이트 소프트키 <Lower>에 의해 이동하여 참조부호 9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위메뉴 창을 활성화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참조부호 930에서 하위메뉴 리스트 내에서 항목별 즉, 동일 레벨 간 이동은 소정의 상/하 방향키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Next, the movement from the reference numeral 920 to the submenu window is performed by using a soft key for moving to the submenu, for example, the light softkey <Lower>, to activate the submenu window as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930. Can be. Subsequently, movement of each item, that is, the same level, in the lower menu list may be performed by using a predetermined up / down arrow key at 930.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9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활성화된 하위메뉴가 최하위 메뉴인 경우에, 상기 하위메뉴에서 <Select> 또는 <OK>와 같은 소정의 선택 또는 확인키를 통해 선택되면, 그에 상응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예컨대, 상기 참조부호 930에서 하위메뉴 중 <Photo Gallery>가 선택되어지면, 상기 <Photo Gallery>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Photo Gallery>에 포함된 이미지 리스트들을 텍스트, 아이콘 또는 이미지 등의 형태로 제공된다.Next,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930, when the currently activated submenu is the lowest menu, if it is selected through a predetermined selection or confirmation key such as <Select> or <OK> in the submenu, The application is executed. For example, if <Photo Gallery> is selected from the submenus at the reference numeral 930,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Photo Gallery> is executed to form a list of images included in the <Photo Gallery> in the form of text, an icon, or an image. Is provided.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 창의 비율을 설정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setting a ratio of a screen window display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화면상에서 분할되는 창 크기의 변경은, 환경 설정 등의 메뉴를 이용하여 <2 depths Mode>와 같은 변경 메뉴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2 depths Mode>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변경 모드를 통해 창 크기 변경을 위한 메뉴를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에서는 참조부호 10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미리 설정된 화면 비율 리스트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상위메뉴 창과 하위메뉴 창의 화면 비율 값들 예컨대, <1:6>, <2:5>, <3:4>, <4:3>, <5:2> 및 <6:1> 등은 사용자 임의에 의해 선택 가능하며, 이러한 값들은 초기 설정된 값 이외에도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값들로 설정 가능함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10, the size of the window divided on the screen may be changed through a change menu such as <2 depths Mode> using a menu such as an environment setting.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a menu for changing the window size through a user interface setting change mode such as <2 depths Mode>,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 list of preset aspect ratios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010. Here, the aspect ratio values of the displayed upper menu window and lower menu window, for example, <1: 6>, <2: 5>, <3: 4>, <4: 3>, <5: 2>, and <6: 1 > Etc. can be selected by the user, and these values can be set to various values by the user in addition to the initially set values.

한편, 상기 참조부호 10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면 비율 리스트에서 사용자 에 의해 <4:3>의 비율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는 참조부호 10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4:3> 비율에 대한 예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참조부호 1020과 같은 <4:3> 예시 화면에서, 소정의 방향키 예컨대, 좌/우 방향키의 조작을 통해 참조부호 1030 및 참조부호 10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화면 비율의 예시 화면들을 순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ratio of <4: 3> is selected by the user in the aspect ratio list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010,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n example screen for the ratio of <4: 3>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020. to provide. Also, in the <4: 3> example screen as shown in the reference numeral 1020, the example screens of different aspect ratios may be sequentially checked as shown in the reference numeral 1030 and the reference numeral 1040 by operating a predetermined direction key, for example, a left / right arrow key. Can be.

또한 상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사용자에 의한 상위메뉴 창 및 하위메뉴 창의 비율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희망하는 화면 비율을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n interface for setting the ratio of the upper menu window and lower menu window by the user. This interface allows the user to enter and set the desired aspect ratio.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변경 모드를 통해 화면 비율의 변경뿐만 아니라, 예컨대, 분리되는 화면의 개수를 변경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도 10에서는 분리되는 창이 2개인 경우를 예로 하여 나타내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3개, 4개와 같이 사용자 설정이 가능하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예컨대, 3개의 창으로 분리하는 경우, <상위메뉴:제1하위메뉴:제2하위메뉴>와 같은 형태로 제공 가능하며, 상기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위메뉴:제1하위메뉴:제2하위메뉴> 창의 크기 비율을 <3:2:2>와 같이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not only the aspect ratio, but also the number of divided screens, for example, through the change mode as described above. That is, FIG. 10 illustrates the case where two windows are separated.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more preferable to enable user setting such as three or four. In this case, for example, when divided into three windows, it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upper menu: first submenu: second submenu>, referring to Figure 10 above, <upper menu: first submenu Of course, the size ratio of the menu: second submenu> window may be set as <3: 2: 2>.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11A to 11C illustrate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1a 내지 도 11b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 단말기는 1101단계에서 사 용자에 의해 소정 메뉴가 선택되면 1103단계로 진행하여 기 설정된 메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확인한다. 상기 1103단계에서의 확인결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화면 분할로 활성화되어 있으면 1105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1103단계에서의 확인결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화면 분할로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즉, 기본 화면으로 활성화되어 있으면 도 11c의 1141단계로 진행한다.11A to 11B, when a predetermined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in step 1101, the mobile terminal proceeds to step 1103 and checks the preset menu user interface. If the user interface is activated in the screen division 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1103,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105. If the user interface is not activated in the screen division, that is, the main screen is activated as the main screen. Proceed to step 1141 of 11c.

상기 1105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정된 화면 분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상응하여 상위메뉴와 하위메뉴를 각각 분리된 창을 통해 동시에 제공한 후 1107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상기 1107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기본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청되면 상기 도 11c의 1141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1105단계에서에서 제공된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메뉴 이동이 요청되면 11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메뉴 이동이 동일 레벨 간 메뉴 이동 예컨대, 상위메뉴 내에서의 메뉴 이동인지를 판단한다.In step 1105, the mobile terminal simultaneously provides the upper menu and the lower menu through separate windows corresponding to the set screen division user interface, and then proceeds to step 1107. In this case, when the user interface of the base screen is requested by the user as in step 1107,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141 of FIG. 11C. On the other hand, if a menu movement is requested by the user on the screen provided in step 1105,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111 to determine whether the menu movement is a menu movement between the same levels, for example, a menu movement within the upper menu.

상기 1111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동일 레벨 간 이동인 경우에는 1113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1111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동일 레벨 간 이동이 아닌 경우에는 11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113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동일 레벨 간 이동인 경우 현재 활성화된 창 예컨대, 상위메뉴의 소정 항목을 하이라이트 표시하고, 상기 하이라이트로 표시되는 상위메뉴 항목에 상응하는 해당 하위메뉴를 상기 하위메뉴 창에 표시한다.If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1111 is the movement between the same level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113. If the determination in the step 1111 is not the movement between the same level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115. In step 1113, when the mobile terminal moves between the same levels, the mobile terminal highlights a predetermined item of a currently active window, for example, an upper menu, and displays a corresponding submenu corresponding to the upper menu item indicated by the highlight on the lower menu window. Display.

상기 1115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상위메뉴에서 선택되는 소정 항목에 상응하여 표시되는 하위메뉴로의 이동이 요청되면, 이동 단말기는 도 11b의 11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되는 상위메뉴의 소정 항목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하고, 상기 상위메뉴 항목에 상응하는 하위메뉴 창을 활성화하여 초기 하위메뉴 항목을 하이라이트 표시한다.When the user requests to move to the lower menu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item selected from the upper menu as in step 1115, the mobile terminal proceeds to step 1117 of FIG. 11B to select the predetermined item of the selected upper menu. The initial submenu item is highlighted by activating a submenu window corresponding to the upper menu item.

다음으로, 상기 도 11b의 1117단계에서와 같이 하위메뉴 활성화 후,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1119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하위메뉴 내의 소정 항목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1119단계에서의 판단결과 하위메뉴 내의 소정 항목 선택이 없으면 1121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1119단계에서의 판단결과 하위메뉴 내의 소정 항목이 선택되면 1127단계로 진행한다.Next, after activation of the submenu as in step 1117 of FIG. 11B, the mobile terminal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item in the submenu is selected by the user as in step 1119. If there is no selection of the predetermined item in the submenu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1119, the operation proceeds to step 1121.

상기 1121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하위메뉴 내의 동일 레벨 간 이동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1121단계에서의 확인결과 하위메뉴 내의 동일 레벨 간 이동인 경우 이동되는 하위메뉴 항목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한다. 상기 1121단계에서의 확인결과 하위메뉴 내의 동일 레벨 간 이동이 아닌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현재 활성화된 상기 하위메뉴에서 상위메뉴로의 이동이 요청되면, 상기 상위메뉴 창을 활성화 하고, 또는 현재 활성화된 상기 하위메뉴에서 기본화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청되면, 상기 하위메뉴를 기본화면 즉, 1 depth로 제공한다.In step 1121,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same level is moved within the lower menu. 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1121, when the movement between the same level in the submenu is displayed, the submenu item to be moved is highlighted. 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1121, if the mobile terminal does not move between the same levels in the lower menu, the mobile terminal performs a corresponding opera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For example, when a movement to the upper menu is requested from the currently activated lower menu, the upper menu window is activated, or when a basic screen user interface is requested from the currently activated lower menu, the lower menu is displayed as a basic screen. Provided at 1 depth.

상기 1127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선택되는 하위메뉴 항목에 대한 다른 하위메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1127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다른 하위메뉴가 존재하지 않으면, 112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한 해 당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1127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다른 하위메뉴가 존재하면, 113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하위메뉴를 상위메뉴 창에 표시하고, 상기 하위메뉴에 상응하는 다른 하위메뉴 리스트를 하위메뉴 창에 표시한 후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In step 1127,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other submenu for the selected submenu item. If there is no other submenu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1127,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129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function for the selected item. If there is another submenu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1127,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131 to display the submenu on the upper menu window, and displays a list of other submenus corresponding to the submenu on the submenu window, and then requests a user. Correspondingly, the procedure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한편, 상기 1103단계에서의 확인결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화면 분할로 활성화 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절차 수행 중 사용자에 의해 기본화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청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도 11c의 1141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interface is not activated by splitting the screen 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1103 or when the basic screen user interface is requested by the user during the procedure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performs step 1141 of FIG. 11C. Proceed to

상기 1141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방식 또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기본화면을 1 depth 형태로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1103단계에서와 같이 기본화면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해당 메뉴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또는 하위메뉴 창에서 기본화면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청되면 상기 하위메뉴 리스트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1 depth 형태로 화면 제공 후, 1143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화면 분할 사용자 인터페이스 즉, 2 depths 형태의 화면 요청이 발생하면, 이동 단말기는 상기 도 11a의 11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In step 1141, the mobile terminal provides a base screen in 1 depth form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or a user request. For example, when it is set as the base screen as in step 1103, the list of the corresponding menu is displayed, or when the user interface is requested from the lower menu window to the base screen, the submenu list is displayed. In addition, after providing the screen in the form of 1 depth as described above, if a screen split user interface, that is, a screen request in the form of 2 depths, is generated from the user as in step 1143, the mobile terminal proceeds to step 1105 of FIG. 11A. Can be performed.

다음으로, 상기 1141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공하는 기본화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상응하여 소정 메뉴 리스트를 제공된 화면에서 1145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소정 메뉴 항목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1145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소정의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1153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1145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소정의 메뉴 항목이 선택되지 않으면 사용자에 1147단계로 진 행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동일 레벨 즉, 상기 메뉴 항목 간 이동인지를 확인한다.Next, as in step 1141,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menu item is selected by the user as in step 1145 on the screen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menu list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basic screen user interface. If the predetermined menu item is selected as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1145,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153. If the predetermined menu item is not selected as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1145, the user proceeds to step 1147 to the user at the same level as the request. Check whether the menu item is moved.

상기 1147단계에서의 확인결과 메뉴 이동이 요청되면 1149단계로 진행하여 이동되는 메뉴 항목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한다. 상기 1147단계에서의 확인결과 메뉴 이동 요청이 없으면 1151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요청에 따른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In step 1147, if the menu movement is requested, the menu item moved to step 1149 is highlighted. If there is no request to move to the menu 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1147,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151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 request.

다음으로, 상기 1153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선택되는 소정 메뉴의 하위메뉴 리스트를 표시하고, 115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하위메뉴 리스트 중 선택되는 메뉴가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1155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소정 메뉴가 선택되면, 115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하위메뉴에 대한 다른 하위메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다른 하위메뉴가 존재하지 않으면 115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되는 메뉴의 해당 기능을 실행한다.In operation 1153,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 list of submenus of the selected menu, and in step 1155,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menu selected from the list of submenus. In operation 1155, if a predetermined menu is selected, the method proceeds to step 1157 to check whether there is another sub menu for the sub menu, and if the other sub menu does not exist, proceeds to step 1159 of the selected menu. Run the function.

한편, 상기 도 11a 내지 도 11c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화면 또는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 화면상에서 자신보다 상위의 메뉴 간 이동 예컨대,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위메뉴 창에서 좌/우 방향키 등이 입력되면, 상위메뉴 창에 표시된 메뉴 리스트들을 포함하는 상위메뉴와 동일 레벨의 메뉴 간 이동을 수행한다. 또한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하위메뉴 창에서 좌/우 방향키 등이 입력되면, 하위메뉴 창에 표시된 메뉴 리스트들을 포함하는 상위메뉴와 동일 레벨의 메뉴 간 이동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11a to 11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ing between menus higher than the one on the screen provided through the base screen or the screen separation type user interface, for example, in the upper menu window in the screen separation type user interface When a left / right arrow key or the like is input, the menu moves at the same level as the upper menu including the menu lists displayed in the upper menu window. In addition, when a left / right arrow key is input in the lower menu window in the split screen user interface, the menu moves at the same level as the upper menu including the menu lists displayed in the lower menu window.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 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위메뉴와 그에 상응하는 하위메뉴를 서로 다른 창을 통해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직적인 화면 분리를 통해 좁은 화면에서 효과적으로 2 depths 메뉴 확인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상위메뉴와 하위메뉴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어느 한 메뉴를 선택해서 다음 depth로의 이동이 보다 편리한 메뉴 이동 경로를 단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a menu in a mobile terminal, an upper menu and a corresponding lower menu can be simultaneously provided through different windows. Therefore, a more convenient user interfac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n addition, the vertical screen separation allows you to effectively check the 2 depths menu on narrow screens. By providing the upper menu and the lower menu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menu moving path which is more convenient to select one menu and move to the next depth.

또한 <Select> 또는 <Back> 이외에는 구체적인 기능이 없었던 소프트키 영역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직관적인 소프트키 기능을 삽입함으로써 상위/하위 메뉴 간, 동일 레벨 메뉴 간 이동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1 depth list view를 원하는 사용자들에게 적응적으로 1 depth <-> 2 depths view mode 간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메뉴 창 분리 비율을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 모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성 및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by effectively using the softkey area that had no specific function other than <Select> or <Back>, the intuitive softkey function can be insert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moving between the upper / lower menu and the same level menu. It also allows the user to choose between a 1 depth <-> 2 depths view mode adaptively to users who want a 1 depth list view. In addition, by providing a setting mode that allows the user to adjust the menu window separation ratio, usability and convenience can be enhanced.

Claims (25)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 a mobile terminal, 상위 메뉴 리스트에서 특정 상위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상위 메뉴에 종속되는 하위 메뉴가 존재하는지 판별하는 과정과,If a particular upper menu is selected from the upper menu list,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lower menu dependent on the selected upper menu; 상기 선택된 상위 메뉴에 종속되는 하위 메뉴가 존재하면, 화면을 분리하는 과정과,If there is a lower menu subordinate to the selected upper menu, separating the screen; 분리되는 상위 메뉴 창에 상기 상위 메뉴 리스트를 표시하고, 분리되는 상기 하위 메뉴 창에 상기 선택된 상위 메뉴에 상응하는 하위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Displaying the upper menu list in a separated upper menu window, and displaying a lower menu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upper menu in the separated lower menu windo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parating process 상기 화면을 설정된 비율 및 개수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상위 메뉴 창 및 하위 메뉴 창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And dividing the screen into at least two upper menu windows and lower menu windows according to a set ratio and numb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위 메뉴 창에 표시되는 하위 메뉴에서 소정 항목 선택 시, 상기 하위 메뉴의 소정 항목에 상응하는 부가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And selecting a predetermined item from a lower menu displayed on the lower menu window, executing an additional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item of the lower menu.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른 메뉴 화면 제공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providing a menu screen according to a user interface in a mobile terminal,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소정 메뉴가 선택되면, 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확인하는 과정과,When the mobile terminal selects a predetermined menu, the mobile terminal checks a preset user interface;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화면 분할로 활성화된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상응하여 상위메뉴와 하위메뉴를 분리된 창을 통해 동시에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If the user interface is activated by splitting the screen, a method of providing a menu screen in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simultaneously providing a higher menu and a lower menu in separate windows corresponding to the user interfac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분리된 창을 통한 상위 메뉴 및 하위 메뉴 제공 방법은,The upper menu and lower menu providing method through the separated window, 상기 상위메뉴를 분리된 상위메뉴 창에 표시하는 과정과, Displaying the upper menu in a separate upper menu window; 상기 상위메뉴에서 선택되는 소정 메뉴 리스트에 상응하는 하위메뉴를 분리된 하위메뉴 창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And displaying a submenu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menu list selected from the upper menu in a separate submenu window.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분리된 창에서 동일 레벨 간 메뉴 이동이 요청되면, If a menu movement between the same level is requested in the separated window, 현재 활성화된 창에서 선택되는 소정 항목을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과정과,Highlighting a predetermined item selected in the currently active window; 상기 하이라이트로 표시되는 상위메뉴 항목에 상응하는 해당 하위메뉴를 분리된 하위메뉴 창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And displaying a corresponding submenu corresponding to the upper menu item indicated by the highlight in a separate submenu window.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분리된 창에서 메뉴 레벨 간 메뉴 이동이 요청되면, When a menu movement between menu levels is requested in the separated window, 현재 활성화된 창에서 선택된 소정 항목을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과정과,Highlighting the selected item in the currently active window; 상기 하이라이트로 표시되는 상위메뉴 항목에 상응하는 하위메뉴를 표시하는 하위메뉴 창을 활성화하는 과정과,Activating a submenu window displaying a submenu corresponding to the upper menu item indicated by the highlight; 상기 하위메뉴 창에서 초기 설정되는 위치의 하위메뉴 항목을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And highlighting a submenu item at a position initially set in the submenu window. 제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하위메뉴 창 활성화 후 상기 하위메뉴 내의 소정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항목에 상응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And if a predetermined item in the submenu is selected after the submenu window is activated, executing a corresponding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item. 제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하위메뉴 창 활성화 후 상기 하위메뉴 내의 동일 레벨 간 이동이 요청되면, 상기 이동되는 하위메뉴 항목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하는 과정과,If a movement between the same level in the submenu is requested after the submenu window is activated, displaying the moved submenu item as a highlight; 상기 하위메뉴 내의 동일 레벨 간 이동이 아닌 경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And performing a corresponding opera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f not moving between the same levels in the submenu.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해당 동작 수행은, Perform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 request, 현재 활성화된 상기 하위메뉴에서 상위메뉴로의 이동이 요청되면, 상기 상위메뉴 창을 활성화 하는 과정과,Activating the upper menu window when a movement to the upper menu is requested from the currently activated lower menu; 현재 활성화된 상기 하위메뉴에서 기본화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청되면, 상기 하위메뉴의 메뉴 리스트들을 기본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 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When the base screen user interface is requested in the currently activated submenu, displaying a menu list of the submenu as a base screen. 제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하위메뉴 창 활성화 후 상기 하위메뉴 내의 소정 항목이 선택되면, If a predetermined item in the submenu is selected after activating the submenu window, 상기 선택되는 하위메뉴 항목에 대한 다른 하위메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other submenu for the selected submenu item; 상기 다른 하위메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한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과,If the other submenu does not exist, execut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for the selected item; 상기 다른 하위메뉴가 존재하면 상기 하위메뉴를 상위메뉴 창에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the lower menu in an upper menu window if the other lower menu exists; 상기 하위메뉴에 상응하는 다른 하위메뉴 리스트를 하위메뉴 창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And displaying a list of other submenus corresponding to the submenu in a submenu window.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확인결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기본화면으로 활성화된 경우, 상기 소정 메뉴 리스트를 기본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과,If the user interface is activated as a basic screen, displaying the predetermined menu list as a basic screen; 상기 소정 메뉴 리스트에서 소정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되는 소정 메뉴의 하위메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If a predetermined menu item is selected in the predetermined menu list, determining whether a submenu of the selected predetermined menu exists; 상기 하위메뉴가 존재하면 상기 하위메뉴의 메뉴 리스트를 기본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the menu list of the submenu as a base screen when the submenu exists; 상기 하위메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되는 소정 메뉴 항목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And executing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item when the submenu does not exist. 제13항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하위메뉴 창에서 기본화면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청되면 상기 하위메뉴 리스트를 기본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If the user interface is requested from the lower menu window to the base screen, the method of providing a menu screen in the mobile terminal comprising displaying the sub-menu list as the base screen.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상응하여 화면상에서 소정 방향키가 입력되면,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는 메뉴 리스트들을 포함하는 상위메뉴와 동일 레벨의 메뉴 간 이동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If a predetermined direction key is input on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preset user interface, the menu screen providing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enu moves on the same level as the upper menu including the menu list displayed on the screen.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화면 분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하위메뉴 창에서 소정 방향키가 입 력되면, 하위메뉴 창에 표시된 메뉴 리스트들을 포함하는 상위메뉴와 동일 레벨의 메뉴 간 이동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In the split screen user interface, when a predetermined direction key is input in a lower menu window, a method of providing a menu screen in a mobile terminal is performed between menus having the same level as the upper menu including menu lists displayed in the lower menu window. .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상응하여 제공되는 화면보다 표시되는 메뉴 리스트가 큰 경우, If the menu list displayed is larger than the screen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user interface, 상기 상위메뉴 또는 하위메뉴에 따른 리스트들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상응하여 제공되는 화면 크기보다 많은 경우, 화면상의 일측에 메뉴 리스트들이 더 포함되어 방향키 이동에 따라 더 표시될 수 있음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방법.If the list according to the upper menu or the lower menu is larger than the screen siz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user interface, the menu list may be further included on one side of the screen to be further displayed as the direction key is moved. How to provide a menu screen on a mobile terminal.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른 메뉴 화면 제공 장치에 있어서,In the mobile terminal providing a menu screen according to the user interface, 사용자에 의해 부가기능 요청시 그에 상응하는 소정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식에 따라 소정 상위메뉴와 상기 상위메뉴에 상응하는 하위메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 화면 형태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와,A user interface processor configured to provide a predetermined menu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function request by the user, and provide a predetermined upper menu and a lower menu corresponding to the upper menu in the form of at least one split screen according to a user interface setting method;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형태에 따라 기본 화면 또는 분할 화면에 상응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와,A display unit which provides a screen corresponding to a basic screen or a split screen according to a user interface provision form of the user interface processor;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상응하여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기본 화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전환 및 설정을 제어하고, 입력되는 설정 신호에 상응하여 생성되거나 관리되는 부가기능 또는 사용자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장치.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and setting of the screen-separated user interface or the basic screen user interface when the user interface setting change signal is input, an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additional functions or user data generated or managed according to the input setting signal. Apparatus for providing a menu screen in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제18항에 있어서,19. 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형태에 따라 기본 화면 또는 분할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규격에 맞추어 전송하며, 상위 메뉴 및 하위 메뉴를 분할된 형태의 창을 통해 제공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장치.A menu in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n image processor for transmitting a basic screen or a split screen according to a standard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user interface provision form of the user interface processor, and providing an upper menu and a lower menu through divided windows. Screen providing device. 제18항에 있어서,19. 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모듈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 및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설정 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장치.A menu in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memory for storing program modules including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the screen-separable user interface and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modules and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separable user interface Screen providing device. 제20항에 있어서,21. 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프로그램 모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 입력에 상응하여 분할 화면 또는 기본 화면에 대한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모듈, 상기 입력에 대한 설정 정보를 인식하는 프로그램 모듈, 상기 인식되는 정보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 상기 판단 정보에 상응하여 화면 분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의 변환 및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장치.The program module may include a program module for providing result information on a split screen or a base screen in response to an input of user interface setting information, a program module for recognizing setting information about the input, and determining the recognized information. And a program module for providing a split screen user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and a program module for converting and managing information on the user input. 제18항에 있어서,19. 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형태에 상응하는 각 화면상에 사용자 데이터를 동화상, 이미지 및 아이콘 형태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장치.The display unit, the menu screen providing apparatus in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the user data in the form of moving pictures, images and icons on each scree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terface providing form. 제18항에 있어서,19. 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식에 상응하여 화면 분리형으로 제공되는 경우, 각 메뉴 레벨(level) 간 이동, 화면 분리 비율, 화면 분리 수, 각 메뉴들이 연계되는 경로 및 화면 분리 형태에 따른 표시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장치.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each menu level, the screen separation ratio, the number of screen separation, the path to which each menu is linked, and the screen separation type when the screen is provided in a screen separation type according to the user interface setting metho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nu screen in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18항에 있어서,19. 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요청되는 메뉴 형식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되는 메뉴 형식에 상응하여 상위메뉴, 하위메뉴를 각기 분할된 창을 통해 각각 제공하고, 상기 상위 메뉴와 하위 메뉴에 매핑된 사용자 데이터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분할된 창을 통해 동시에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장치.The user interface processor recognizes the requested menu format, and provides the upper menu and the lower menu respectively through divided windows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menu format, and user data or an application mapped to the upper menu and the lower menu. Apparatus for providing a menu screen in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simultaneously provided through a divided window. 제18항에 있어서,19. 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같은 등급의 메뉴 간 이동, 상위메뉴와 하위메뉴 간 이동 및 해당 메뉴 내의 항목별 이동을 소정의 소프트키, 방향키 또는 기능키에 입력에 상응하여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뉴 화면 제공 장치.In the mobile terminal, the user interface processing unit processes the movement between menus of the same class, the movement between the upper menu and the lower menu, and the movement of each item in the corresponding menu in response to an input to a predetermined soft key, direction key, or function key. Menu screen providing device.
KR1020060026349A 2006-03-23 2006-03-23 Method and apparatus for offering user interface in a mobile station KR1011929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349A KR101192988B1 (en) 2006-03-23 2006-03-23 Method and apparatus for offering user interface in a mobil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349A KR101192988B1 (en) 2006-03-23 2006-03-23 Method and apparatus for offering user interface in a mobile s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274A KR20070096274A (en) 2007-10-02
KR101192988B1 true KR101192988B1 (en) 2012-10-22

Family

ID=38803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349A KR101192988B1 (en) 2006-03-23 2006-03-23 Method and apparatus for offering user interface in a mobile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9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560B1 (en) 2012-02-29 2014-02-18 주식회사 팬택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device
KR102069322B1 (en) 2013-06-05 2020-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operating program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274A (en) 2007-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97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ize of user data in a portable terminal
KR1007468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f service using the touch pad in a mobile station
KR100816286B1 (en) Display apparatus and support method us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KR101191816B1 (en) User interface with augmented searching characteristics
KR101912602B1 (en) Mobile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8006833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8799818B2 (en) Content search method and mobile terminal having content search function
EP2105853A1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composite processing of images
KR101633824B1 (en) Method for setting background scree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0700880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ffering user interface in a mobile station
KR2008007639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ouch event in a portable terminal
KR20130090947A (en) Method for interoperably performing service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US20050245281A1 (en) Wireless communicating terminal for providing integrated messaging service and method thereof
CN101600021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with dial-in direct function of utilizing call history
KR101771013B1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1017378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call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JP2007310650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130004713A (en)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271030B2 (en) Method of providing preview imag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9298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ffering user interface in a mobile station
RU2366106C2 (en) Message processing in hand-held electronic devices
CN113542488B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controlled terminal using terminal device
US20140009380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toring activity thereof
KR101452700B1 (en) Potab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information thereof
KR10104619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ize of user data in a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