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751B1 - RF cavity filter for generating notches with use of input/output ports - Google Patents

RF cavity filter for generating notches with use of input/output por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751B1
KR101191751B1 KR1020110016632A KR20110016632A KR101191751B1 KR 101191751 B1 KR101191751 B1 KR 101191751B1 KR 1020110016632 A KR1020110016632 A KR 1020110016632A KR 20110016632 A KR20110016632 A KR 20110016632A KR 101191751 B1 KR101191751 B1 KR 101191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coupling
cavity filter
inpu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6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97723A (en
Inventor
한성진
박동희
이홍재
이용훈
Original Assignee
(주)지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지엠더블유
Publication of KR20110097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7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7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6Cavity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8Phase-shif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캐비티 필터는 설계시 공진기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초단 공진기 또는 말단 공진기와 연결된 결합부를 이용하여 너치(Notch)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RF 캐비티 필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커플링 윈도우를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캐비티; 상기 복수의 캐비티의 각각에 형성되며 적어도 초단 공진기와 말단 공진기를 구비하는 복수의 공진기; 및 일단이 입력포트의 말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초단 공진기 이외의 공진기에 연결되어 두 연결지점 간의 커플링 정도를 조절하는 제1너치를 포함하는 커플링 조절부;를 구비한다. An RF cavity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RF cavity filter that can increase the number of notches by using a coupling part connected to an ultra-short resonator or a terminal resonator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resonators in design. A plurality of cavities connected through a coupling window; A plurality of resonators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avities and having at least an ultra-short resonator and a terminal resonator; And a coupling adjust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end of the input po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resonator other than the first stage resonator to adjust a degree of coupling between two connection points.

Description

입출력 포트를 이용하여 너치를 구현하는 RF캐비티 필터{RF cavity filter for generating notches with use of input/output ports}RF cavity filter for generating notches with use of input / output ports

본 발명은 너치를 갖는 RF 캐비티 필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입출력포트를 이용하여 너치를 구현하는 RF 캐비티 필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RF cavity filter having a nugge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RF cavity filter implementing a nugget using an input / output port.

일반적으로 RF 캐비티 필터에서는 너치(Notch)가 단순히 감쇄(Attenuation) 증가, 손실(Loss) 감소 등의 특성적인 역할뿐만 아니라 사이즈 감소, 무게 감소, 설계용이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RF 캐비티 필터를 설계하고자 하는 회로에서는 Notch수가 정형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입출력 Resonator를 포함한 2포트 3단(2port-3pole) RF 캐비티 필터에서 Notch 수의 구현은 한 개이다. 즉, Notch는 대역통과 필터에서 하나의 Transmission zero를 형성하며, 인덕턴스(Inductance) 혹은 캐패시턴스(Capacitance)의 성분을 갖는 특성을 나타낸다. In the RF cavity filter, notch is a factor that affects size reduction, weight reduction, design ease, as well as characteristic roles such as attenuation increase and loss loss. In the circuit to design the RF cavity filter, Notch number is used. For example, there is only one implementation of the Notch number in a 2port-3pole RF cavity filter with an input and output resonator. That is, Notch forms one transmission zero in the bandpass filter and has a characteristic of hav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이것은 결국 대역통과 필터의 응답특성으로 볼 때 통과대역을 중심으로 오른쪽이나 왼쪽에 하나의 Notch를 형성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4극 2포트(2port-4pole) 대역통과 필터인 경우는 Notch의 수가 두 개 구현이 가능하다. 필터를 설계하는 경우에는 Notch수가 알맞게 구현되어야 한다.
This results in the formation of a single notch on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passband in terms of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bandpass filter. Likewise, a two-port, four-pole bandpass filter can implement two notches. When designing a filter, the Notch number must be properly implement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2포트 3극(2port-3pole) RF 캐비티 필터의 등가회로와 시뮬레이션에 의한 응답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1 illustrates an equivalent circuit and simulation response of a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는 입력포트 및 출력포트(11,12)와, 3개의 캐비티의 각각에 형성된 공진기(31,32,33)와, 초단 공진기(31)와 입력포트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21) 및 말단 공진기(33)과 출력포트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22)와, 상기 캐비티의 사이에 형성된 윈도우(41,42)와, 초단 공진기(31)와 말단 공진기(33)를 연결하는 너치(50)로 형성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에서는 인덕턴스 소자를 이용하여 너치(50)를 구현한다. 1 and 2, the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n input port and an output port (11, 12), resonators (31, 32, 33) formed in each of the three cavities, A first connector 21 connecting the first stage resonator 31 and an input port and a second connector 22 connecting the terminal resonator 33 and an output port, and windows 41 and 42 formed between the cavities; And a notch 50 connecting the first stage resonator 31 and the terminal resonator 33. In the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notch 50 is implemented using an inductance elemen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치(50)에 의하여 형성된 경로 1(path1)과 초단 공진기(31)와 두번째 공진기(32) 사이에 형성된 경로 2(path2)는 공진주파수보다 높은 구간 즉, 대역통과 필터의 중심주파수를 기준으로 오른쪽 부분이 서로 180도의 위상차이가 발생하여 Notch를 형성한다. 그리고, 공진주파수보다 낮은 구간인 중심주파수의 왼쪽 부분은 서로 동위상이 되므로 너치(Notch)를 형성하지 못한다. As shown in FIG. 2, path 1 formed by the notch 50 and path 2 formed between the first stage resonator 31 and the second resonator 32 are higher than the resonance frequency, that is, band pass. The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from the right part occurs with respect to the center frequency of the filter to form a notch. The left portions of the center frequencies, which are lower than the resonance frequency, are in phase with each other and thus do not form a notch.

도 1 및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는 1개 이상의 Notch를 구현 할 수 없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2포트 3극 RF 필터는 하나의 Notch 만을 구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can not implement more than one notch. That is, the two-port three-pole RF fil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may implement only one Notch.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RF 캐비티 필터의 설계시 공진기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입력포트와 초단 공진기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이용하여 너치(Notch)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RF 캐비티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RF cavity filter that can increase the number of notches by using a connection connecting the input port and the ultra-short resonator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resonators in the design of the RF cavity filter. .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RF 캐비티 필터의 설계시 공진기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출력포트와 말단 공진기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이용하여 너치(Notch)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RF 캐비티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RF cavity filter that can increase the number of notches by using a connection connecting the output port and the terminal resonator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resonators in the design of the RF cavity filter.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캐비티 필터는 커플링 윈도우를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캐비티; 상기 복수의 캐비티의 각각에 형성되며 적어도 초단 공진기와 말단 공진기를 구비하는 복수의 공진기; 및 일단이 입력포트의 말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초단 공진기 이외의 공진기에 연결되어 두 연결지점 간의 커플링 정도를 조절하는 제1너치를 포함하는 커플링 조절부;를 포함한다. RF cavity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cavities connected through a coupling window; A plurality of resonators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avities and having at least an ultra-short resonator and a terminal resonator; And a coupling adjuster including one end connected to an end of the input po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resonator other than the first stage resonator to adjust a degree of coupling between two connection points.

상기 커플링 조절부는, 일단이 출력 포트의 말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말단 공진기 이외의 공진기에 연결되어 두 연결지점 간의 커플링 정도를 조절하는 제2 너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coupling adjust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notch,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output por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resonator other than the terminal resonator to adjust a degree of coupling between two connection points.

상기 제1 너치의 타단은 상기 초단 공진기 이외의 공진기와 단락 결합 또는 개방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other end of the first nutch may be short-coupled or open-coupled with a resonator other than the ultra-short resonator.

상기 제2 너치의 타단은 상기 말단 공진기 이외의 공진기와 단락 결합 또는 개방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other end of the second nutch may be short-circuited or open-coupled with a resonator other than the terminal resonator.

상기 커플링 조절부는 상기 초단 공진기 또는 상기 말단 공진기와의 이격 거리보다 상기 타단이 결합된 공진기와의 이격 거리가 더 좁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coupling adjusting unit may be formed such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resonator coupled to the other end is small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first stage resonator or the terminal resonator.

상기 커플링 조절부는 동일한 두 공진간의 결합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도록 굴곡된 길이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coupling adjuster may include a length adjuster that is bent to form a different length even for the coupling between the same two resonances.

상기 복수의 캐비티는 3개이고, 상기 제1,2커플링 조절부는 상기 커플링 윈도우를 통하여 상기 이웃하지 않은 두 연결지점을 연결한다. The plurality of cavities are three,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adjusting units connect two non-neighboring connection points through the coupling window.

상기 제1,2 너치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길이의 변화에 따라 용량성(inductance) 또는 유도성(capacitance)의 전기적 특성을 갖는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notches has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inductance or capacitance according to a change in length.

상기 RF 캐비티 필터는 상기 초단 공진기와 상기 입력포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입력포트로 유입된 입력신호를 초단 공진기로 전송하는 입력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RF cavity filter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coupling unit formed between the first stage resonator and the input port to transmit an input signal introduced into the input port to the first stage resonator.

상기 RF 캐비티 필터는 상기 말단 공진기와 상기 출력포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말단 공진기로부터 공진된 신호를 상기 말단 공진기로 전송하는 출력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RF cavity filter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coupling unit formed between the end resonator and the output port to transmit a signal resonated from the end resonator to the end resonato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캐비티 필터는 커플링 윈도우를 통하여 직렬로 연결된 3개의 캐비티; 상기 3개의 캐비티 각각에 형성되고, 입력 연결부를 통하여 입력포트와 연결된 초단 공진기와, 출력 연결부를 통하여 출력포트와 연결된 말단 공진기와, 상기 초단 공진기와 상기 말단 공진기의 사이에서 형성된 중간 공진기를 포함하는 공진부; 및 일단은 상기 입력포트와 상기 입력 연결부의 연결마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간 공진기에 연결된 제1 너치(notch)와, 일단은 상기 입력포트와 상기 입력 연결부의 연결마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말단 공진기에 연결된 제2 너치(notch)를 구비하는 커플링 조절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RF cavity filter includes three cavities connected in series through a coupling window; A resonance formed in each of the three cavities and including an first stage resonator connected to an input port through an input connection unit, a terminal resonator connected to an output port through an output connection unit, and an intermediate resonator formed between the first stage resonator and the terminal resonator; part; And a first notch connected at one end to a connection node of the input port and the input connection part, and at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connection node of the input port and the input connection part, and the other end to the terminal end thereof. And a coupling adjuster having a second notch connected to the resonator.

상기 제1 너치는 용량성 전기적 특성을 갖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너치는 유도성 전기적 특성을 갖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first nutch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having capacitiv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econd nutch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having inductive electrical characteristics.

상기 제1너치는 상기 초단 공진기와의 이격 거리보다 상기 중간 공진기와의 이격 거리가 더 좁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first notch may be formed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intermediate resonator is small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ultra-short resonator.

상기 제2너치는 상기 초단 공진기 및 상기 중간 공진기와의 이격 거리보다 상기 말단 공진기와의 이격 거리가 더 좁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second notch may be formed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terminal resonator is small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first stage resonator and the intermediate resonat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RF 캐비티 필터는 공진기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초단 공진기 또는 초단 공진기와 연결된 커넥터를 이용하여 너치(Notch)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단순히 감쇄율을 증가시키고, 손실율을 감소시키며, RF필터를 구현하는 구조물의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RF cavity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number of notches by using the connector connected to the first stage resonator or the first stage resonator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resonators, thereby simply increasing the attenuation rate and reducing the loss rate. As a result, the size and weight of the structure implementing the RF filter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RF 캐비티 필터는 공진기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초단 공진기 또는 초단 공진기와 연결된 커넥터를 이용하여 너치(Notch)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설계의 용이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RF cavity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number of notches by using the first resonator or the connector connected to the first resonator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resonators, thereby increasing the ease of design and manufacturing cost. There is an effect to reduce th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2포트 3극(2port-3pole) RF 캐비티 필터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등가회로의 시뮬레이션 응답특성을 도시한 것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의 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의 등가회로와 주파수 응답특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커플링 조절부를 구비한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의 평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의 등가회로와 주파수 응답 특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커플링 조절부를 구비한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의 평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의 등가회로와 주파수 응답 특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끝부분이 개방된 구조의 커플링 조절부를 구비한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 평면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의 등가회로와 주파수 응답 특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커플링 조절부를 구비한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커플링 조절부를 구비한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커플링 조절부를 구비한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shows an equivalent circuit of a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llustrates simulation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equivalent circuit of FIG. 1.
3 is a plan view of a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show an equivalent circuit and frequency response of the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of FIG.
6 is a plan view of a two port three pole RF cavity filter with two coupling contro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7 and 8 show an equivalent circuit and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of FIG.
9 is a plan view of a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with two coupling contro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0 and 11 show an equivalent circuit and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of FIG.
FIG. 13 is a plan view of a two port three pole RF cavity filter having a coupling control having an open end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4 and 15 show equivalent circuits and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of FIG.
FIG. 16 illustrates an equivalent circuit of a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having two coupling adjust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7 illustrates an equivalent circuit of a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having two coupling adjust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8 shows an equivalent circuit of a two port three pole RF cavity filter with two coupling adjust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단수로 기재된 용어도 복수의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in the singular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concepts .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RF 캐비티 필터를 설계하는 경우에는 너치(Notch)의 수가 충분하게 구현되어야 한다. 만약 Notch수의 구현이 부족하게 된다면 제작하고자 하는 필터 특성을 저해시키거나 혹은 극(pole) 수의 증가로 이어지게 되어 삽입손실의 증가로 나타난다. 따라서 대부분의 RF 캐비티 필터 설계자들은 적은 수의 공진기를 이용하여 많은 수의 Notch를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 목표이다. When designing an RF cavity filter, a sufficient number of notches must be implemented. If the implementation of notch number is insufficient, the filter characteristics to be manufactured may be impaired or lea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oles, resulting in an increase in insertion loss. Therefore, most RF cavity filter designers aim to implement a large number of notches using a small number of resonators.

상기의 목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수많은 반복된 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통과대역필터의 등가회로에서 사용하지 않는 초단 공진기 및 말단 공진기와 연결된 연결부를 이용하여 Notch수가 증가됨을 유도하게 되었다. 또한 물리적인 특성은 샘플을 제작하고 계측기를 이용한 측정결과를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본 실시예들에서는 Notch 구현을 위해 사각 판 소재를 사용하였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ors have le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Notch using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an ultra-short resonator and a terminal resonator which are not used in the equivalent circuit of a conventional passband filter through numerous repeated experiments. In addition, the physical properties were confirmed through the measurement results using a sample produced by the measuring instru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used a rectangular plate material to implement the notch.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RF 필터는 커플링 윈도우를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캐비티와, 상기 복수의 캐비티의 각각에 형성되고, 초단 연결부를 통하여 입력포트와 연결된 초단 공진기와 말단 연결부를 통하여 출력포트와 연결된 말단 공진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공진기와, 일단은 상기 초단 공진기와 상기 초단 연결부의 연결마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초단 공진기 이외의 공진기에 연결되어 두 연결지점 간의 커플링 정도를 조절하는 제1 너치(Notch)를 구비한 커플링 조절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ndpass RF filter includes a plurality of cavities connected through a coupling window, and an output port formed through each of the plurality of cavities and a first resonator and an end connection connected to an input port through a first connection. A plurality of resonators including an end resonator connected to the first end, an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node of the first end resonator and the first end connect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resonator other than the first end resonator to adjust a degree of coupling between two connection points. It is formed to include a coupling adjusting portion having a notch (Notch).

상기 대역통과 RF 필터는 상기 제1 너치와 함께, 일단이 상기 말단 공진기와 상기 말단 연결부의 연결마디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말단 공진기 이외의 공진기에 연결되어 두 연결지점 간의 커플링 정도를 조절하는 제2 너치(Notch)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The bandpass RF filter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end resonator and the end connection part together with the first nutch,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resonator other than the end resonator to adjust the degree of coupling between two connection points. It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second notch.

상기 제1,2 너치의 각각의 타단은 상기 복수의 공진기 중 상기 제1,2 너치의 각각의 일단과 결합하지 않은 공진기와 단락 결합되거나, 개방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Each of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notches may be short-circuited or open-coupled with a resonator that is not coupled to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notches among the plurality of resonators.

상기 제1,2너치는 상기 초단 공진기 또는 상기 말단 공진기와의 이격 거리보다 상기 타단이 결합된 공진기와의 이격 거리가 더 좁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nuts are formed such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end resonator and the end resonator is smaller than the resonator with the other end coupled thereto.

상기 제1,2 너치는 동일한 두 연결지점 간의 결합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도록 길이를 조절하는 굴곡된 길이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1,2 너치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용량성(inductance) 또는 유도성(capacitance)의 전기적 특성을 갖도록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notches may be provided with a curved length adjusting part for adjusting the length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notches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for the coupling between the same connection points,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notches may have inductance. Or length can be determined to have electrical properties of inductance.

상기 제1,2너치는 타단이 커플링되는 공진기와 물리적 연결없이 결합되어 용량성(capacitance) 특성을 갖거나, 물리적 연결에 의하여 결합되어 유도성 특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The first and second nuts may be coupled without a physical connection to a resonator to which the other end is coupled to have a capacitive property, or may be coupled by a physical connection to have an inductive property.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RF 필터의 일예로서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의 등가회로와 주파수 응답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FIG. 3 shows a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as an example of a bandpass RF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show an equivalent circuit and frequency of the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of FIG.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are shown.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예에 따른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는 입출력포트(111,112)와, 3개의 캐비티(191,192,193)와, 상기 3개의 캐비티 각각에 형성된 3개의 공진기(131,132,133)와, 제1캐비티(191)와 제2캐비티 사이에 형성된 제1커플링 윈도우(141)와 제2캐비티(192)와 제3캐비티(193) 사이에 형성된 제2커플링 윈도우(142)와, 상기 입력포트와 제1공진기(초단 공진기)(131) 사이에 형성된 입력 결합부(121)와 상기 출력포트와 제3공진기(말단 공진기)(133) 사이에 형성된 출력 결합부(122)와, 상기 입력포트와 상기 입력 결합부(121)의 연결마디와 상기 제3 공진기(133)를 연결하여 커플링을 조절하는 제1커플링 조절부(151)로 형성된다. 3 to 5, the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input / output ports 111 and 112, three cavities 191, 192, and 193, three resonators 131, 132, and 133 formed in the three cavities, respectively. A first coupling window 141 formed between the first cavity 191 and the second cavity, a second coupling window 142 formed between the second cavity 192 and the third cavity 193, and the input An input coupling part 121 formed between the port and the first resonator (first resonator) 131, an output coupling part 122 formed between the output port and the third resonator (end resonator) 133, and the input port And a first coupling adjusting unit 151 connecting the connecting node of the input coupling unit 121 and the third resonator 133 to adjust the coupling.

여기서, 상기 제1커플이 조절부(151)는 일단이 상기 출력포트(112)와 상기 출력 결합부(122)의 연결마디와 상기 제1 공진기(132)를 연결하여 커플링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the first coupler adjusting unit 151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output port 112 and the output coupling unit 122 and the first resonator 132 to adjust the coupling. Do.

상기 커플링 조절부에는 길이에 따라 용량성 특성 또는 유도성 특성을 갖게 되고 동일한 두 연결지점 간의 연결시에서 특성의 변경을 위하여 길이 굴곡진 반 구각 형태의 길이 조절부(153)가 형성되어 있고, 끝부분은 금속성 연결수단(152)을 이용하여 상기 제2공진기와는 단락 결합된다. The coupling adjusting part has a capacitive characteristic or an inductiv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length and is formed with a length adjusting part 153 having a length and a half curvature shape in order to change the characteristic at the time of connection between the same two connection points, The end is short-circuited with the second resonator using the metallic connecting means 152.

도 3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가 커플링 조절부로 이용된 하나의 사각판(153)을 이용하여 2개의 너치(Notch)를 구현하고 있다. 상기 사각판의 길이를 제3 공진기가 있는 방향으로 증가시켜 구현한 것으로 공진주파수를 중심으로 상기 사각판에 의하여 생성된 경로 1과 상기 입력 결합부(121)와 커플링 윈도우(141,142)에 의하여 생성된 경로 2는 낮은 주파수 부분과 높은 주파수 부분이 모두 역 위상을 가지게 되어 양쪽에 각각 하나씩의 Notch가 구현된다. 상기 사각판은 끝 지점에서 금속 볼트를 사용하여 사각판과 제3공진기(133)를 단락(short)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에서 구현된 notch는 이론으로 설계된 시뮬레이션과 실제로 제작한 필터 구조에서 같은 필터 응답특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Notch특성 구현 기술을 이용할 경우 기존의 제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설계 및 구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implements two notches using one square plate 153 used as a coupling control unit. It is implemented by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rectangular plate in the direction of the third resonator, and is generated by the path 1 generated by the rectangular plate and the input coupling part 121 and the coupling windows 141 and 142 around the resonance frequency. Path 2 has a low frequency portion and a high frequency portion reversed in phase so that one notch is provided on each side. The square plate is short-coupled to the square plate and the third resonator 133 by using a metal bolt at the end poi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otch implemented in the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shows the same filter response characteristics in the theoretically designed simulation and the fabricated filter structure. Therefore, when the technology of implementing the notch characteristic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existing products can be more efficiently designed and implemented.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커플링 조절부를 구비한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의 평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의 등가회로와 주파수 응답 특성도 이다. 6 is a plan view of a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having two coupling adjust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S. 7 and 8 are equivalent circuits and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of FIG. 6. Is also.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는 커플링 조절부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제1실예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는 입력포트(111)와 입력 결합부(121)의 연결마디와 상기 제2 공진기(132)를 연결하여 커플링을 조절하는 사각판 형상의 제1커플링 조절부(161)과, 출력포트(121)와 출력 결합부(122)의 연결마디와 사각판 형상의 제2 공진기(132)를 연결하여 커플링을 조절하는 제2커플링 조절부(162)를 구비한다. 6 to 7, the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adjusting unit. The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nects the connection node of the input port 111 and the input coupling unit 121 and the second resonator 132 to form a square plate-shaped first first coupling. A second coupling adjusting unit for controlling the coupling by connecting the coupling adjusting unit 161, the connection node of the output port 121 and the output coupling unit 122 and the second resonator 132 of the rectangular plate shape ( 162).

제1커플링 조절부(161)는 끝 부분에서 제2공진기(132)와 개방(open) 결합되나, 제2커플링 조정부(162)는 끝 부분에서 제2공진기(132)와 단락(short) 결합되어 두 개의 notch를 구현한다. 제1커플링 조절부(161)는 끝 부분에서 플라스틱 볼트를 이용하여 제2공진기(132)와 개방(open)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first coupling adjuster 161 is openly coupled with the second resonator 132 at the end, but the second coupling adjuster 162 is shorted with the second resonator 132 at the end. Combined to implement two notch. The first coupling adjusting unit 161 may be openly coupled to the second resonator 132 using a plastic bolt at an end thereof.

본 실시예에서 도 8과 같은 Notch특성을 얻었으므로, 이와는 반대로 중심주파수를 기준으로 낮은 부분의 주파수에도 두개의Notch 특성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notch characteristic as shown in FIG. 8 is obtaine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wo notch characteristics even at a frequency of a low portion based on the center frequency.

실시예 3Example 3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실시예2와 같이 두 개의 커플링 조절부를 구비한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를 구현하는 경우에 있어서, 다른 구조의 커플링 조절부를 갖는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 평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의 등가회로와 주파수 응답 특성도 이다. FIG. 9 shows another embodiment, in the case of implementing a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having two coupling controls as in Embodiment 2, the two-port three-pole RF cavity having a coupling control of another structure. 10 and 11 are equivalent circuit and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of FIG. 9.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제1커플링 조절부(171)은 입력포트(111)와 입력 결합부(121)의 연결마디와 제2 공진기(132)를 연결하여 커플링을 조절하는 사각판 형상이며, 인덕턴스 특성 또는 캐패시턴스 특성을 결정하는 굴곡된 길이 조절부(173)를 구비한고, 끝부분은 금속 볼트를 이용하여 제2공진기(132)와 단락 결합된다. 이 경우에 두개의 너치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2커플링 조절부가 필요하다. 9 to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upling adjusting unit 171 couples the connection node of the input port 111 and the input coupling unit 121 and the second resonator 132 to couple. It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for adjusting the ring, and has a bent length adjuster 173 for determin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characteristics, and an end thereof is short-circuited with the second resonator 132 using a metal bolt. In this case, the second coupling adjusting part is required to realize the two knuckle characteristics.

커플링 조절부의 길이 변화는 도 10의 등가회로에서 위상 천이기(173)으로 표시하였다. 즉, 위상(Phase)의 변화는 Notch 길이의 변화 및 Coupling 양의 변화를 의미하므로 도면 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he change in length of the coupling control unit is represented by a phase shifter 173 in the equivalent circuit of FIG. 10. That is, since the change in phase means a change in notch length and a change in amount of coupling, it can be represented as shown in FIG. 10.

도 12(a) 내지 (d)는 도 9에서의 위상의 변화를 90도씩 추가 변화하여, 즉 커플이 조절부의 길이를 변화하여 나타낸 시뮬레이션 특성이다. 도 12(a) 내지 (d)를 참조하면, 180도 위상변화에서는 커플링 조절부(Notch)의 특성이 중심주파수를 기준으로 반대로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Notch 값에 변화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Notch 특성을 만들어 줄 수 있음을 의미하며, 원래 특성과 180도 위상차이를 만들어 주면 서로의 Notch 특성이 반전됨을 의미한다. 즉, Notch를 사각판으로 구현하였을 경우, 끝부분의 형태가 Open 이나 Short 따라서 Notch 의 특성이 변화함을 의미한다. 다시 위상의 변화를 360도 추가하면 0도의 값과 동일한 결과 값을 얻게 된다.
12A to 12D are simulation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phase change in FIG. 9 is further changed by 90 degrees, that is, the couple changes the length of the control unit. 12 (a) to 12 (d), it can be see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pling adjusting unit (Notch) move opposite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frequency at 180 degree phase shift. This means that the Notch characteristic can be made at the desired posi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Notch value, and if the 180 degree phase difference with the original characteristic is made, it means that the Notch characteristic of each other is reversed. That is, when the notch is implemented as a square plate, it mean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tch chang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nd portion of the open or short. Again adding 360 degrees of phase change yields the same result as 0 degrees.

실시예 4Example 4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실시예3에 있어서, 끝부분이 개방된 구조의 커플링 조절부를 구비한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 평면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의 등가회로와 주파수 응답 특성도 이다.FIG. 13 is a further embodiment of Example 3, which is a plan view of a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having a coupling control having an open end, and FIGS. 14 and 15 are two-port three-poles of FIG. The equivalent circuit and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RF cavity filter are also shown.

도 13및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커플링 조절부(사각판)는 끝부분에 플라스틱 볼트를 적용하여 제2공진기와 개방 결합되고, 용량성(Capacitance) 특성의 Notch를 구현한다.
Referring to FIGS. 13 and 14, the coupling adjusting part (square plate) in this embodiment is openly coupled to the second resonator by applying a plastic bolt to an end thereof, and realizes a notch of capacitance characteristic.

실시예 5Example 5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커플링 조절부를 구비한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의 평면도이다. 16 is a top view of a two port three pole RF cavity filter with two coupling contro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는 제1커플링 조절부(C201)는 일단이 입력포트(R201)와 입력 연결부(L202)의 연결마디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공진기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제2커플링 조절부(L201)는 일단이 입력포트(R201)와 입력 연결부(L202)의 연결마디에 연결되고, 타단이 출력포트(R205)와 출력 연결부(L205)의 연결마디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1커플링 조절부(C201)는 캐패시턴스 특성을 갖도록 길이가 결정되고, 제2커플링 조절부(L201)는 인덕턴스 특성을 갖도록 길이가 결정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one end of the first coupling adjusting unit C20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input port R201 and the input connection unit L20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sonator, and the second coupling adjustment is performed. One end of the unit L20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input port R201 and the input connection part L202,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output port R205 and the output connection part L205. The length of the first coupling adjusting unit C201 is determined to have a capacitance characteristic,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coupling adjusting unit C201 is determined to have an inductance characteristic.

기타 실시예들로서, 도 17은 두 개의 커플링 조절부를 구비한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캐패시턴스 특성을 갖는 실시예 2와 같은 구조의 커플링 조절부를 구비한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구조의 커플링 조절부를 구비하나 하나는 인덕턴스 특성을 갖고, 다른 하나는 캐패시턴스 특성을 가는 2포트 3극 RF 캐비티 필터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As another embodiment, FIG. 17 is another embodiment of a two-port three-pole RF cavity filter having two coupling adjustments, and a two-port three having a coupling adjustment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Embodiment 2 having capacitance characteristics. FIG. 18 shows an equivalent circuit of a pole RF cavity filter, and FIG. 18 includes a coupling control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17, but one of which has an inductance characteristic and the other of a two port three pole RF cavity filter having capacitance characteristics. An equivalent circuit is shown.

상기 실시예들에서 커플링 조절부의 Notch의 특성이 유도성(Inductance)인지 혹은 용량성(Capacitance)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사각판(Notch or 커플링 조절부)의 끝부분이 개방 결합되었는지 또는 단락 결합되었는지 보다는 커플링 조절부(Notch)의 길이가 더욱 큰 영향을 미친다. 커플링 조절부(Notch)의 결합 세기는 공진기와 커플링 경합부의 근접거리 즉, 커플이 양과 사각판의 길이로 조절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s, determining whether the characteristic of the notch of the coupling regulator is inductance or capacitive is determined by whether the end of the square plate (notch or coupling regulator) is open-coupled or short-circuited. The length of the coupling notch has a greater effect than if it is. Coupling strength of the coupling adjusting unit (Notch) may be adjusted to the distance between the resonator and the coupling contention, that is, the couple and the length of the square plate.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크로스 커플링(Cross coupling)을 위하여 판 Loop를 사용하였지만, 다른 구조물을 이용하여 동일한 Cross coupling만 구현할 수 있다면 동축 케이블이나 동선 혹은 스트립선로나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등 구현하는 재질이나 형태 모양과는 무관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판 Loop의 위치도 캐비티 공간 안의 외곽부분이 아닌 위쪽이나 아래쪽 혹은, 캐비티의 폐쇄하는 커버(미도시) 위를 통과하는 위치 구현도 가능하다. 이용 가능한 필터의 종류는 캐비티(Cavity) 공간을 이용한 Air 타입 혹은 DR 타입 이외에도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스트립 선로 혹은 LC 소자를 이용한 PCB 타입의 필터까지 회로적으로 동일하게 등가화 시킬 수 있는 필터의 모든 종류 및 제품에 사용이 가능하다.In the above embodiments, the plate loop is used for cross coupling. However, if only the same cross coupling can be implemented using different structures, the material or shape shape of the coaxial cable, copper wire, strip line or microstrip line can be implemented. It can be implemented regardless.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plate loop can also be implemented to pass through the top or bottom of the cavity space, or above the closing cover (not shown) of the cavity. The types of filters that can be used include all types of filters that can be equally equivalent in circuit type to microstrip line, strip line or PCB type filter using LC element as well as Air type or DR type using cavity space. It can be used for the product.

111,112 : 입력포트, 출력포트121,122 : 입출력단 공진기 연결부
131,132,133 : 공진기 141,142 : 커플링 윈도우
151,161,162,171,181 : 공진기152,163 : 단락부
191,192,193 : 캐비티
111,112: input port, output port 121,122: input and output resonator connection
131,132,133: resonator 141,142: coupling window
151,161,162,171,181: resonator 152,163: short circuit
191,192,193: Cavity

Claims (14)

커플링 윈도우를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캐비티;
상기 복수의 캐비티의 각각에 형성되며 적어도 초단 공진기와 말단 공진기를 구비하는 복수의 공진기; 및
일단이 입력포트의 말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초단 공진기 이외의 공진기에 연결되어 두 연결지점 간의 커플링 정도를 조절하는 제1너치를 포함하는 커플링 조절부;를 포함하는 RF 캐비티 필터.
A plurality of cavities connected through a coupling window;
A plurality of resonators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avities and having at least an ultra-short resonator and a terminal resonator; And
And a coupling adjust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distal end of the input po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resonator other than the first stage resonator to adjust a degree of coupling between two connection poi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조절부는, 일단이 출력 포트의 말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말단 공진기 이외의 공진기에 연결되어 두 연결지점 간의 커플링 정도를 조절하는 제2 너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캐비티 필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adjus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avity,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output por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resonator other than the terminal resonator to adjust a degree of coupling between two connection points. filt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너치의 타단은 상기 초단 공진기 이외의 공진기와 단락 결합 또는 개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캐비티 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RF cavity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nutch is short-coupled or open-coupled with a resonator other than the first stage resona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너치의 타단은 상기 말단 공진기 이외의 공진기와 단락 결합 또는 개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캐비티 필터.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nutch is short-coupled or open-coupled with a resonator other than the terminal resonato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조절부는 상기 초단 공진기 또는 상기 말단 공진기와의 이격 거리보다 상기 타단이 결합된 공진기와의 이격 거리가 더 좁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캐비티 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upling control unit is an RF cavity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with the resonator coupled the other end is small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with the first stage resonator or the end resonator.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조절부는 동일한 두 공진간의 결합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도록 굴곡된 길이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캐비티 필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coupling adjusting part includes a length adjusting part that is bent to form a different length even for the coupling between the same two resonanc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비티는 3개이고,
상기 커플링 조절부는 상기 커플링 윈도우를 통하여 두 연결지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캐비티 필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plurality of cavities are three,
And the coupling adjusting unit connects two connection points through the coupling window.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너치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길이의 변화에 따라 용량성(inductance) 또는 유도성(capacitance)의 전기적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캐비티 필터.
The method of claim 2,
RF cavity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notches has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inductance or capacitance according to a change in length.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단 공진기와 상기 입력포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입력포트로 유입된 입력신호를 초단 공진기로 전송하는 입력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캐비티 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n input coupling unit formed between the first stage resonator and the input port to transmit an input signal introduced into the input port to the first stage resonato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 공진기와 출력포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말단 공진기로부터 공진된 신호를 상기 말단 공진기로 전송하는 출력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캐비티 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n output coupling unit formed between the terminal resonator and the output port to transmit a signal resonated from the terminal resonator to the terminal resonator.
커플링 윈도우를 통하여 직렬로 연결된 3개의 캐비티;
상기 3개의 캐비티 각각에 형성되고, 입력 연결부를 통하여 입력포트와 연결된 초단 공진기와, 출력 연결부를 통하여 출력포트와 연결된 말단 공진기와, 상기 초단 공진기와 상기 말단 공진기의 사이에서 형성된 중간 공진기를 포함하는 공진부; 및
일단은 상기 입력포트와 상기 입력 연결부의 연결마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간 공진기에 연결된 제1 너치(notch)와, 일단은 상기 입력포트와 상기 입력 연결부의 연결마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말단 공진기에 연결된 제2 너치(notch)를 구비하는 커플링 조절부;를 포함하는 RF 캐비티 필터.
Three cavities connected in series through a coupling window;
A resonance formed in each of the three cavities and including an first stage resonator connected to an input port through an input connection unit, a terminal resonator connected to an output port through an output connection unit, and an intermediate resonator formed between the first stage resonator and the terminal resonator; part;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input port and the input connection, the other end is a first notch (notch)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resonator,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input port and the input connection and the other end is the terminal resonator And a coupling adjuster having a second notch connected to the RF cavity filt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너치는 용량성 전기적 특성을 갖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너치는 유도성 전기적 특성을 갖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RF 캐비티 필터.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cavity is formed of a length having a capacitive electrical characteristics, the second nucleu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F cavity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length having an inductive electrical characteristic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너치는 상기 초단 공진기와의 이격 거리보다 상기 중간 공진기와의 이격 거리가 더 좁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캐비티 필터.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cavity is RF cavity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intermediate resonator is narrow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with the first stage resonato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너치는 상기 초단 공진기 및 상기 중간 공진기와의 이격 거리보다 상기 말단 공진기와의 이격 거리가 더 좁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캐비티 필터.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cond cavity is RF cavity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with the terminal resonator is narrow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with the first stage resonator and the intermediate resonator.
KR1020110016632A 2010-02-24 2011-02-24 RF cavity filter for generating notches with use of input/output ports KR10119175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6797 2010-02-24
KR1020100016797 2010-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723A KR20110097723A (en) 2011-08-31
KR101191751B1 true KR101191751B1 (en) 2012-10-16

Family

ID=44932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632A KR101191751B1 (en) 2010-02-24 2011-02-24 RF cavity filter for generating notches with use of input/output por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75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5836A (en) * 2015-12-24 2018-08-31 华为技术有限公司 A kind of filt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WO2020145590A1 (en) * 2019-01-08 2020-07-1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Waveguide filter
US11955680B2 (en) 2019-01-08 2024-04-09 Kmw Inc. Waveguide fil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599B1 (en) * 2011-11-02 2013-04-2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Rf signal multiplexing device having window structure
KR101422722B1 (en) * 2013-02-19 2014-07-24 주식회사 이너트론 Notch coupling RF filter
CN105244574B (en) * 2015-08-18 2018-03-09 深圳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A kind of novel cavity wave filter
WO2022092792A1 (en) * 2020-10-29 2022-05-0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Ceramic waveguide filter for antenn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3073B1 (en) 1997-09-12 1999-10-15 김덕용 Filter with notch for dielectric resonator
JPH11308009A (en) 1998-04-02 1999-11-05 Space Syst Loral Inc Single mode and dual mode helix-mounted cavity fil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3073B1 (en) 1997-09-12 1999-10-15 김덕용 Filter with notch for dielectric resonator
JPH11308009A (en) 1998-04-02 1999-11-05 Space Syst Loral Inc Single mode and dual mode helix-mounted cavity filt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5836A (en) * 2015-12-24 2018-08-31 华为技术有限公司 A kind of filt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US10873119B2 (en) 2015-12-24 2020-12-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Filter and wireless network device
WO2020145590A1 (en) * 2019-01-08 2020-07-1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Waveguide filter
US11955680B2 (en) 2019-01-08 2024-04-09 Kmw Inc. Waveguide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723A (en)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751B1 (en) RF cavity filter for generating notches with use of input/output ports
CN101304108B (en) Dual frequency resonator and dual frequency filter
US9325044B2 (en) Multi-layer digital elliptic filter and method
WO2016167190A1 (en) Filter circuit and frequency switching method
CN105789787A (en) Frequency and bandwidth adjustable broadband balanced band pass filter
CN103378388A (en) Coaxial wide-band filter
US20180159194A1 (en) Coupling window, dielectric waveguide filter, and resonator assembly
CN110556614B (en) Microstrip filter composed of C-shaped resonance pairs
WO2019187761A1 (en) Tunable band-pass fil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DE60016821T2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JP5459225B2 (en) Band pass filter
US20160240905A1 (en) Hybrid folded rectangular waveguide filter
US8143973B2 (en) Cavity filter coupling system
KR100449226B1 (en) Dielectric Duplexer
JP6262437B2 (en) Polarized bandpass filter
US7479856B2 (en) High-frequency filter using coplanar line resonator
CN103700911B (en) A kind of novel T-shaped dual-mode microstrip band-pass filter
US6566984B2 (en) Resonator filter with reduced variation in the pass band attenuation
WO2018203521A1 (en) Dual-band resonator and dual-band bandpass filter using same
KR100541067B1 (en) Duplexer dielectric filter
WO2017199766A1 (en) Band-pass filt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787638B1 (en) Notch coupling filter
WO1999018630A1 (en) Slot line band pass filter
TWI528624B (en) Balanced tri - band band - pass filter
RU2432643C1 (en) Bandpass microwave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