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019B1 -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을 위한 보안 관련 정보의 복구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을 위한 보안 관련 정보의 복구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019B1
KR101188019B1 KR1020080125150A KR20080125150A KR101188019B1 KR 101188019 B1 KR101188019 B1 KR 101188019B1 KR 1020080125150 A KR1020080125150 A KR 1020080125150A KR 20080125150 A KR20080125150 A KR 20080125150A KR 101188019 B1 KR101188019 B1 KR 101188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related information
key
server
targe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6724A (ko
Inventor
정영호
권오형
이수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25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019B1/ko
Priority to US12/607,218 priority patent/US20100146276A1/en
Publication of KR20100066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for key exchange, e.g. in peer-to-pee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16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13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for generating or managing key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 H04N21/637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directed to server
    • H04N21/63775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directed to server for uploading keys, e.g. for a client to communicate its public key to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은 대상 서버로부터 식별 정보 및 안전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보안 관련 정보에 대한 저장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대상 서버에서 상기 보안 관련 정보가 손실되는 것을 대비하여 상기 대상 서버로 복구키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보안 관련 정보가 손실되는 경우, 상기 대상 서버로부터 상기 보안 관련 정보에 대한 복구를 요청 받는 단계, 상기 대상 서버로 상기 보안 관련 정보를 상기 복구키로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보안 관련 정보를 상기 대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80125150
제한 수신, 한정 수신, DCAS, 헤드엔드, 보안 모듈, Secure Micro, 복구, 손실, 재난, 암호화, 보안

Description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을 위한 보안 관련 정보의 복구 및 관리 방법{METHOD OF RECOVERING AND MANAGING SECURITY RELATED INFORMATION FOR DOWNLOADBLE CONDITIONAL ACCESS SYSTEM}
본 발명은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난 상황 또는 특수한 상황을 대비하여 보안 관련 정보를 관리하고 복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7-S-007-02, 과제명: Downloadable 제한수신 시스템 개발].
케이블 망에서의 제한 수신 시스템(Conditional Access System)은 사용자들이 특정 프로그램을 시청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 인증을 기반으로 서비스 허용 여부를 판단하여 허가된 사용자만이 프로그램 수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초기의 제한 수신 시스템은 제조사마다 각각 다른 규격을 사용함으로써 특정 업체의 장비 외에는 다른 장비와 호환되지 아니하였다. 따라서, 방송 서비스 사업 자가 직접 가입자에게 수신 단말을 공급해야 함으로써, 방송 서비스 사업자의 부담이 크고, 제한수신 시스템의 갱신이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북미의 OpenCable에서는 가입자 단말에서 제한 수신 모듈을 분리하는 규격을 발표하였다. 이는 장비 업체의 독점적인 시장 점유를 방지하고, 경쟁을 촉진하여 제품 가격 하락을 유도하기 위함이었다. 이에 따라 단말에서 분리된 제한 수신 모듈은 PCMCIA 카드 타입의 케이블 카드로 표준화되었으며, 방송 서비스 사업자는 과거와 같이 단말을 가입자에게 대여하지 않고도 케이블 카드만을 가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유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케이블 카드의 가격이 상승하고, 관리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단말에 대한 소매 시장이 활성화되지 못하여 OpenCable이 원하는 결과가 달성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하드웨어 제한 수신 모듈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고, 제한 수신 소프트웨어를 가입자 단말에 다운로드함으로써, 유료 방송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다운로더블(downloadable) 제한 수신 시스템(DCAS) 관련 기술이 등장하였다.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헤드엔드 시스템은 다양한 서버들로 구성된다. 이 때, 서버들 각각은 서로 안전한 통신 채널을 확보하기 위하여 보안 관련 정보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인증 프록시 서버는 보안 모듈과 상호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보안 관련 정보를 사용한다.
이 때, 보안 관련 정보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관리하는 것은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을 위하여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예상할 수 없는 특수한 상황 등으 로 인해 서버들 각각에 의해 사용되는 보안 관련 정보가 손실되는 경우, 손실된 보안 관련 정보를 안전하게 복구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은 보안 관련 정보가 손실되는 것을 대비하여 손실된 보안 관련 정보를 안전하게 복구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은 보안 관련 정보가 손실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대상 서버의 보안 관련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고, 복구키를 안전하게 해당 서버로 제공함으로써, 대상 서버가 효율적으로 보안 관련 정보를 복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은 대상 서버로부터 식별 정보 및 안전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보안 관련 정보에 대한 저장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대상 서버에서 상기 보안 관련 정보가 손실되는 것을 대비하여 상기 대상 서버로 복구키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보안 관련 정보가 손실되는 경우, 상기 대상 서버로부터 상기 보안 관련 정보에 대한 복구를 요청 받는 단계, 상기 대상 서버로 상기 보안 관련 정보를 상기 복구키로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보안 관련 정보를 상기 대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대상 서버는 상기 암호화된 보안 관련 정보를 상기 복구키로 복호화함으로써, 상기 손실된 보안 관련 정보를 복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은 대상 서버에 의해 사용된 미리 결정된 보안 프로토콜 기반의 세션키 및 상기 대상 서버의 안전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특정 키로 암호화된 보안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 상기 세션키 및 상기 암호화된 보안 관련 정보는 서로 맵핑됨. -, 상기 대상 서버에서 상기 특정 키로 암호화된 보안 관련 정보가 손실되는 것을 대비하여 상기 대상 서버로 복구키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대상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키로 암호화된 보안 관련 정보에 대한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구 요청 메시지는 상기 세션키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함. -, 상기 복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세션키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키로 암호화된 보안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구키로 상기 특정 키로 암호화된 보안 관련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서버로 상기 복구키로 암호화된 보안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은 보안 관련 정보가 손실되는 것을 대비하여 손실된 보안 관련 정보를 안전하게 복구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은 보안 관련 정보가 손실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대상 서버의 보안 관련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고, 복구키를 안전하게 해당 서버로 제공함으로써, 대상 서버가 효율적으로 보안 관련 정보를 복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한 수신 서비스를 위한 헤드엔드 시스템(110)은 인증 프록시(Authentication Proxy, AP, 111) 서버, 키 관리 서버(Local Key Server, LKS 112), 정책 서버(DCAS Provisioning Server, DPS, 113) 및 개인화 통합 시스템(Integrated Personalization System, IPS, 114) 서버를 포함한다.
헤드엔드 시스템(110)은 기존의 CAS 서버(140)와 분리되어 설치되고, 기존의 CAS 서버(140)로부터 독립적으로 운용됨으로써 기존의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호환될 수 있다.
이 때, LKS(112)는 보안 모듈(SM)의 키, 보안 모듈(SM)의 ID 정보에 대한 이력, AP 서버(111)의 키, AP 서버(111)의 ID 정보에 대한 이력, IPS 서버(114)의 키 정보에 대한 이력 등 각종 서버의 키 관련 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DPS(113)는 DCAS 서비스의 관련 정책 및 다운로드 정책을 결정하고, 상기 정책들과 관련된 정보(이하, 다운로드 관련 정보 또는 다운로드 정책 관련 정보라고 함)를 관리한다.
또한, IPS 서버(114)는 DCAS 호스트(160)로 다운로드되는 보안 모듈(SM) 클 라이언트를 저장 및 관리한다.
AP 서버(111)는 케이블 망에 접속한 DCAS 호스트(160)가 존재하는 경우, DCAS 호스트(160)의 인증을 위하여 외부의 신뢰할 수 있는 인증 장치인 외부 인증 장치(Trusted Authority, 120)로 DCAS 호스트(160)의 보안 모듈(Secure Micro, SM) 관련 정보를 전송하고, 외부 인증 장치(120)는 수신된 보안 모듈(SM)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DCAS 호스트(160)를 인증한다.
AP 서버(111)는 DPS(113)로부터 다운로드 관련 정보 또는 다운로드 정책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다운로드 관련 정보 또는 다운로드 정책 관련 정보는 IPS 서버(114)와 DCAS 호스트(160)의 연결(맵핑)과 관련된 정보, 보안 모듈(SM)의 다운로딩 방식과 관련된 정보, DCAS 운용 정책과 관련된 정보, 다운로드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AP 서버(111)는 IPS 서버(114)가 다운로드 관련 정보 또는 다운로드 정책 관련 정보에 따라 보안 모듈(SM) 클라이언트의 다운로드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도록 명령한다. 이 때, IPS 서버(114)는 다양한 다운로딩 방식들 중 DPS에 의해 선택된 다운로드 관련 정보 또는 다운로드 정책 관련 정보에 상응하는 다운로딩 방식에 따라 보안 모듈(SM) 클라이언트의 다운로드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 때, 다운로딩 방식들 각각은 carousel, TFTP(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등 다양한 전송 규약들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DCAS 호스트(160)의 인증이 완료된 경우, DCAS 호스트(160)는 DCAS 호스 트(160)의 보안 모듈(SM)에 보안 모듈(SM) 클라이언트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DPS(113)는 빌링 시스템(130)을 통하여 인증 완료된 DCAS 호스트(160)의 프로그램 접근 권한을 CAS 서버(140)에게 통보한다. 이 때, CAS 서버(140)는 CMTS(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 150)을 통하여 자격 관리 메시지(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EMM)를 DCAS 호스트(160)로 전송한다.
DCAS 호스트(160)의 보안 모듈(SM)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보안 모듈(SM) 클라이언트는 수신된 자격 관리 메시지를 이용하여 일련의 CAS 메시지 처리 절차를 통해 제어 단어(code word)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어 단어를 TP(Transport Processor)로 전송한다. TP는 암호화되어 수신된 프로그램을 제어 단어를 이용하여 복호화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엔티티들의 유기적인 동작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AP 서버는 DCAS 네트워크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DCAS 호스트에게 보안 모듈(SM) 클라이언트의 다운로드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초가 되는 현재 운용되고 있는 보안 모듈(SM) 클라이언트의 버전 정보 및 AP 서버의 인증서를 지속적으로 전송한다.
이 때, AP 서버의 인증서는 DCAS 호스트가 AP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를 인증하고 AP 서버의 신원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DCAS 네트워크에 접속된 DCAS 호스트는 수신된 보안 모듈(SM) 클라이언트의 버전 정보를 이용하여 보안 모듈(SM) 클라이언트가 새롭게 설치되어야 하는지 여부 또는 갱신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 때, 보안 모듈(SM) 클라이언트가 새롭게 설치되어야 하거나 갱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DCAS 호스트는 인증 기초 정보를 AP 서버로 전송한다.
이 때, 인증 기초 정보는 보안 모듈(SM)과 TP(Transport Processor)의 key pairing과 관련된 정보 및 보안 모듈(SM)의 인증서 등을 포함한다. 이 때, 보안 모듈(SM)의 인증서는 AP 서버가 DCAS 호스토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에 대한 인증 및 DCAS 호스트의 신원 확인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AP 서버는 인증 기초 정보를 외부 인증 장치(Trusted Authority)로 전송하고, 외부 인증 장치는 보안 모듈(SM)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외부 인증 장치가 보안 모듈(SM)에 대한 인증을 완료하면, 세션 키 공유 인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세션 키 공유 인자를 AP 서버로 전송한다.
AP 서버는 세션 키 공유 인자를 DCAS 호스트와 공유한다. 세션 키 공유 인자를 공유하는 AP 서버 및 DCAS 호스트는 상호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각각 세션 키를 생성한다. 이 때, 세션 키는 DCAS 메시지 및 보안 모듈(SM) 클라이언트에 대한 암호화 또는 복호화에 사용될 수 있다.
AP 서버는 DPS(DCAS Provisioning Server)로 다운로드 관련 정보 또는 다운로드 정책 관련 정보를 요청한다. 이 때, 다운로드 관련 정보 또는 다운로드 정책 관련 정보는 DCAS 호스트와 IPS(Integrated Personalization System) 서버 사이의 연결(맵핑) 정보, IPS 서버의 주소와 관련된 정보, 보안 모듈(SM) 클라이언트의 이름 또는 보안 모듈(SM) 클라이언트의 다운로딩 방식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 다. 이 때, AP 서버는 다운로드 관련 정보 또는 다운로드 정책 관련 정보를 DCAS 호스트로 전달한다.
이 때, AP 서버는 IPS 서버에게 다운로딩 방식에 따라 보안 모듈(SM) 클라이언트의 다운로드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도록 명령한다. IPS 서버는 선택된 다운로딩 방식에 따라 보안 모듈(SM) 클라이언트의 다운로드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 때, 다운로드되는 보안 모듈(SM) 클라이언트는 세션 키로 암호화된 것이다.
DCAS 호스트는 보안 모듈(SM) 클라이언트가 정상적으로 다운로드되었는지 여부와 관련하여 다운로드 상태 정보를 AP 서버로 전송한다. AP 서버는 수신된 다운로드 상태 정보를 토대로 보안 모듈(SM) 클라이언트가 다시 다운로드 되어야 하는 지 판단한다. 만약, 보안 모듈(SM) 클라이언트가 다시 다운로드 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AP 서버는 보안 모듈(SM) 클라이언트를 다시 다운로드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에 따라 여러 정보를 송/수신하는 대상 서버 및 키 관리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TEP 1에서, 대상 서버(310)는 보안 관련 정보를 저장할 것을 키 관리 서버(320)으로 요청한다. 이 때, 대상 서버(310)는 보안 관련 정보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업데이트된 보안 관련 정보를 저장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서버(310)는 DCAS 헤드엔드 시스템에 속하는 AP 서버, IPS 서버, DPS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보안 관련 정보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AP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보안 관련 정보는 AP 서버의 아이디 정보(AP_ID), 비밀키 정보(AP_Private_Key), 인증서 정보(AP_Certificat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인증된 보안 모듈을 위하여 AP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보안 관련 정보는 AP 서버의 아이디 정보(AP_ID), 보안 모듈의 아이디 정보(SM_ID), 세션 아이디 정보(Session_ID), 보안 모듈의 아이디와 보안 모듈에 제공된 키의 페어링 정보(Key_pairing_ID), 3*RAND_TA, 3*Kc, 3*RES, Nounce_SM, 보안 모듈의 하드웨어 버전 정보(HW_Version),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SW_Version), (IV), 세션 키 정보(Session_Key)를 포함한다. 여기서, 3*RAND_TA는 인증 프록시 서버 또는 보안 모듈이 세션키를 생성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인자로서, 여러 세션들마다 서로 다른 세션키를 생성하기 위하여 외부 인증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난수이다. 이 때, 세션키를 생성하기 위한 초기 인자는 Ki와 RAND_TA이다. 또한, 세션키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3*Kc 및 3*RES는 Ki와 RAND_TA를 기초로 얻어지는 중간 인자이다. 그리고, Nounce_SM은 세션키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보안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난수이다.
또한, IPS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보안 관련 정보는 IPS 서버의 아이디 정보(IPS_ID), IPS 서버의 비밀키 정보(IPS_Private), IPS 서버의 인증서 정보(IPS_Certificate)를 포함한다. 또한, DPS에 의해 관리되는 보안 관련 정보는 DPS의 아이디 정보(DPS-ID), DPS의 비밀키 정보(DPS_Private_Key), DPS의 인증서 정보(DPS_Certificate)를 포함한다.
또한, STEP2에서, LKS(320)는 대상 서버(310)의 요청에 응답하여 대상 서버(310)의 보안 관련 정보를 미리 준비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한다. 이 때, 대상 서버(310)의 보안 관련 정보는 대상 서버(310)의 식별 정보에 따라 구별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다.
또한, SPEP3에서, LKS(320)는 대상 서버(310)에 의해 관리되는 보안 관련 정보가 손실되는 것을 대비하여 대상 서버(310)로 복구키를 전송한다. 즉, 대상 서버(310) 및 LKS(320)는 추후 보안 관련 정보를 복구하는 데에 사용되는 동일한 복구키를 공유한다.
이 때, STE1 및 STEP2에서 대상 서버(310)의 보안 관련 정보 또는 키 관련 정보는 손실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대상 서버(310) 및 LKS(320)는 SSL(Secure Socket Layer) 혹은 TLS(Transport Layer Security)와 같은 안전한 보안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보안 관련 정보는 세션키로 암호화된 채로 안전하게 대상 서버(310)으로부터 LKS(320)로 전달될 수 있으며, 복구키 또한 세션키로 암호화된 채로 안전하게 LKS(320)로부터 대상 서버(310)로 전달될 수 있다.
재난 상황 또는 재난 상황과 유사한 특수한 상황이 대상 서버(310)에서 발생하여 대상 서버(310)에 의해 관리되는 보안 관련 정보가 손실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때, STEP4에서 대상 서버(310)는 대상 서버(310)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아이디)를 이용하여 LKS(320)로 손실된 보안 관련 정보의 복구를 요청한다. 여기서, 대상 서버(310)의 식별 정보는 미리 LKS(320)로 제공된 것이다. 특히, 대상 서버(310)는 대상 서버(3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복구 요청 메시지를 LKS(320) 로 전달함으로써, 손실된 보안 관련 정보의 복구를 요청할 수 있다.
대상 서버(310)는 미리 제공된 복구키를 이용하여 복구 요청 메시지를 암호화함으로써, 복구 요청 메시지를 안전하게 LKS(3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복구키는 DES(Data Encryption Standard), 3-DES,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와 같은 대칭키 방식의 암호화 키일 수 있다.
또한, LKS(320)는 미리 가지고 있던 복구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복구 요청 메시지를 복호화함으로써, 복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대상 서버(310)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STEP5에서, LKS(320)는 복구 메시지에 포함된 대상 서버(310)의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식별 정보를 검색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330)를 조회한다. 그리고, LKS(320)는 대상 서버(310)의 보안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로부터 획득한다.
또한, STEP 6에서, LKS(320)는 획득된 대상 서버(310)의 보안 관련 정보를 복구키로 암호화하고, 복구키로 암호화된 대상 서버(310)의 보안 관련 정보를 대상 서버(310)로 전송한다. 이 때, 대상 서버(310)는 미리 가지고 있던 복구키를 이용하여 LKS(320)로부터 전송된 보안 관련 정보를 복호화함으로써, 손실된 보안 관련 정보를 복구한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서버(310) 및 LKS(320)는 재난 상황 등으로 인하여 보안 관련 정보가 손실되는 것을 대비하여 복구키를 미리 공유함으로써, 손실된 보안 관련 정보를 안전하게 복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에 따라 여러 정보를 송/수신하는 대상 서버 및 키 관리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대상 서버(410)는 STEP1에서, LKS(420)가 알 수 없는 특정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대상 서버(410)의 보안 관련 정보를 암호화한다.
또한, STEP 2에서, 대상 서버(410)는 대상 서버(410)의 보안 관련 정보를 저장할 것을 LKS(420)로 요청한다. 이 때, 보안 관련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경우, 대상 서버(410)는 업데이트된 보안 관련 정보의 저장을 요청한다. 여기서, 보안 관련 정보는 세션키로 암호화되어 안전하게 LKS(420)로 전달된다.
또한, STEP3에서, LKS(420)는 보안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한다. 그리고, STEP4에서, LKS(420)는 대상 서버(410)에서 보안 관련 정보가 손실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복구키를 대상 서버(410)로 전달한다. 여기서, 복구키는 대칭키 방식의 암호화 키일 수 있다.
STEP5에서, 보안 관련 정보가 손실된 경우, 대상 서버(410)는 대상 서버(410)에 의해 사용된 세션키를 포함하는 복구 요청 메시지를 LKS(420)로 전달한다. 이 때, 대상 서버(410)는 복구키로 복구 요청 메시지를 암호화하고, 복구키로 암호화된 복구 요청 메시지를 안전하게 LKS(420)로 전달한다.
STEP6에서, LKS(420)는 복구키를 이용하여 복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세션키를 추출한다. 그리고, LKS(420)는 추출된 세션키를 이용하여 대상 서버(410)에서 손실된 보안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430)를 조회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430)는 세션키 및 보안 관련 정보를 서로 맵핑하여 저장한다.
STEP7에서, LKS(420)는 획득된 보안 관련 정보를 대상 서버(410)로 전송한다. 이 때, LKS(420)는 미리 가지고 있는 복구키를 이용하여 보안 관련 정보를 암호화함으로써, 안전하게 획득된 보안 관련 정보를 대상 서버(410)로 전송할 수 있다.
STEP8에서, 대상 서버(410)는 복구키로 암호화된 보안 관련 정보를 복호화한다. 그리고, 대상 서버(410)는 STEP1에서 사용되었던 특정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보안 관련 정보를 복호화함으로써, 손실된 보안 관련 정보를 복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증된 보안 모듈을 위한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에 따라 여러 정보를 송/수신하는 대상 서버, 키 관리 서버 및 외부 인증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STEP1에서, AP 서버(510)는 인증된 보안 모듈을 위한 보안 관련 정보를 암호화되지 않은 채로 LKS(520)로 제공한다. 즉, LKS(520)의 관리자는 인증된 보안 모듈을 위한 보안 관련 정보에 대해 아무런 제한 없이 접근할 수 있다. 왜냐 하면, LKS(520)의 관리자의 접근 권한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AP 서버(510) 및 외부 인증 장치(540)는 특정 암호화 키를 공유할 수 있어야 하며, AP 서버(510) 및 외부 인증 장치(540)가 특정 암호화 키를 공유하기 위하여 외부 인증 장치(540)에서 과도한 부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안 관련 정보가 손실되는 경우, STEP2에서, AP 서버(510)는 AP 서버(510)의 식별 정보(AP_ID) 및 인증된 보안 모듈의 식별 정보(SM_ID)를 포함하는 제1 복구 요청 메시지를 LKS(520)로 제공한다. 이 때, 제1 복구 요청 메시지는 세션키로 암호화된 채로 LKS(520)로 제공된다.
또한, STEP3에서, LKS(520)는 제1 복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AP 서버(510)의 식별 정보(AP_ID) 및 인증된 보안 모듈의 식별 정보(SM_ID)를 추출한다. 그리고, LKS(520)는 추출된 AP 서버(510)의 식별 정보(AP_ID) 및 인증된 보안 모듈의 식별 정보(SM_ID)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530)에 손실된 보안 관련 정보가 저장되었는지를 조회한다.
만약, 데이터베이스1(530)에 손실된 보안 관련 정보가 저장되지 않았다면, LKS(520)는 STEP4에서, 제2 복구 요청 메시지를 외부 인증 장치(540)로 전송한다. 이 때, 제2 복구 요청 메시지는 AP 서버(510)의 식별 정보 및 인증된 보안 모듈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STEP5에서, 외부 인증 장치는 제2 복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AP 서버(510)의 식별 정보 및 인증된 보안 모듈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2(550)에 손실된 보안 관련 정보가 저장되었는지를 조회한다. 그리고, STEP6에서, 외부 인증 장치(540)는 보안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550)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보안 관련 정보를 LKS(520)로 제공한다.
또한, STEP7에서, LKS(520)는 보안 관련 정보를 AP 서버(510)로 제공한다. 이 때, AP 서버(510)는 제공된 보안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손실된 보안 관련 정보를 복구할 수 있다.
상술한 STEP2, 4, 6, 7에서 전송되는 제1 복구 요청 메시지, 보안 관련 정보, 제2 복구 요청 메시지는 세션키로 암호화된 채로 안전하게 송수신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상 서버가 보안 관련 정보의 무결성을 검사함으로써 복구 알고리즘을 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대상 서버는 보안 프로토콜의 연결 횟수를 의미하는 N을 '0'으로 초기화한다(S610).
또한, 대상 서버는 DCAS 네트워크에 속하는 다른 서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버와 보안 프로토콜의 연결을 시도한다(S620). 그리고, 대상 서버는 보안 프로토콜의 연결이 성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30).
만약, 보안 프로토콜의 연결이 성공하였다면, 대상 서버는 도 6에 도시된 알고리즘을 죵료한다. 다만, 보안 프로토콜의 연결이 성공하지 못하였다면, 대상 서버는 N을 N+1로 업데이트하고, N+1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 Nth을 비교한다(S640).
이 때, N+1이 설정된 임계값 Nth보다 큰 경우, 대상 서버는 보안 관련 정보의 무결성 검사를 수행한다(S650). 반대로, N+1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Nth보다 작거나 같다면, 대상 서버는 단계 S620을 수행한다. 즉, 대상 서버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Nth에 대응하는 횟수만큼 보안 프로토콜의 연결을 시도한다.
또한, 대상 서버는 보안 관련 정보의 무결성 검사 결과에 오류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660). 이 때,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 대상 서버는 복구 알고리즘을 시작하고(S670), 오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상 서버는 도 6에 도시된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은 다양 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엔티티들의 유기적인 동작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에 따라 여러 정보를 송/수신하는 대상 서버 및 키 관리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에 따라 여러 정보를 송/수신하는 대상 서버 및 키 관리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에 따라 여러 정보를 송/수신하는 대상 서버, 키 관리 서버 및 외부 인증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상 서버가 보안 관련 정보의 무결성을 검사함으로써 복구 알고리즘을 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Claims (17)

  1. 키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 관리 서버가 대상 서버로부터 식별 정보 및 안전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보안 관련 정보에 대한 저장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키 관리 서버가 상기 대상 서버에서 상기 보안 관련 정보가 손실되는 것을 대비하여 상기 대상 서버로 복구키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키 관리 서버가 상기 보안 관련 정보가 손실되는 경우, 상기 대상 서버로부터 상기 보안 관련 정보에 대한 복구를 요청 받는 단계;
    상기 키 관리 서버가 상기 대상 서버로 상기 보안 관련 정보를 상기 복구키로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키 관리 서버가 상기 암호화된 보안 관련 정보를 상기 대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관련 정보에 대한 복구를 요청 받는 단계는
    상기 대상 서버의 아이디(ID, IDentifier)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서버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서버의 상기 보안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서버는 미리 결정된 보안 프로토콜 기반의 세션키로 상기 보안 관련 정보를 암호화하고,
    상기 보안 관련 정보에 대한 저장을 요청 받는 단계는
    상기 세션키로 암호화된 보안 관련 정보에 대한 저장을 요청 받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서버는 보안 관련 정보가 업데이트됨에 응답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보안 관련 정보에 대한 저장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서버는 상기 암호화된 보안 관련 정보를 상기 복구키로 복호화함으로써, 상기 손실된 보안 관련 정보를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키는 대칭키 방식의 암호화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서버는 호스트를 상호 인증하는 인증 프록시 서버, 상기 호스트로 다운로드되는 보안 모듈 클라이언트를 관리하는 개인화 통합 시스템 서버 또는 상기 보안 모듈 클라이언트의 다운로드 정책을 관리하는 정책 서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서버는 상기 보안 관련 정보가 손실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보안 관련 정보에 대한 복구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서버는 미리 설정된 주기를 가지고 상기 대상 서버는 상기 보안 관련 정보가 손실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
  10. 키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 관리 서버가 대상 서버에 의해 사용된 미리 결정된 보안 프로토콜 기반의 세션키 및 상기 대상 서버의 안전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특정 키로 암호화된 보안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 상기 세션키 및 상기 암호화된 보안 관련 정보는 서로 맵핑됨. -;
    상기 키 관리 서버가 상기 대상 서버에서 상기 특정 키로 암호화된 보안 관련 정보가 손실되는 것을 대비하여 상기 대상 서버로 복구키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키 관리 서버가 상기 대상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키로 암호화된 보안 관련 정보에 대한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구 요청 메시지는 상기 세션키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함. -;
    상기 키 관리 서버가 상기 복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세션키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키로 암호화된 보안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키 관리 서버가 상기 복구키로 상기 특정 키로 암호화된 보안 관련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키 관리 서버가 상기 대상 서버로 상기 복구키로 암호화된 보안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서버는 상기 복구키를 이용하여 상기 복구키로 암호화된 보안 관련 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특정 키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키로 암호화된 보안 관련 정보를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키는 대칭키 방식의 암호화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보안 프로토콜은 SSL(Secure Socket Layer) 기반의 프로토콜 또는 TLS(Transport Layer Security) 기반의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
  14. 키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 관리 서버가 인증 프록시 서버로부터 인증된 보안 모듈을 위한 보안 관련 정보에 대한 저장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키 관리 서버가 상기 보안 관련 정보의 저장을 완료한 이후에, 상기 키 관리 서버가 상기 인증 프록시 서버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인증된 보안 모듈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키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키 관리 서버가 상기 보안 관련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미리 준비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키 관리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한 이후에, 상기 키 관리 서버가 외부 인증 장치로 상기 인증 프록시 서버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인증된 보안 모듈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복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인증 장치가 상기 인증 프록시 서버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인증된 보안 모듈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안 관련 정보를 추출한 경우, 상기 키 관리 서버가 상기 추출된 보안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키 관리 서버가 상기 추출된 보안 관련 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키 관리 서버가 상기 외부 인증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보안 관련 정보를 상기 인증 프록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관련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미리 준비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 프록시 서버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인증된 보안 모듈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리 준비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관련 정보 관리 방법.
KR1020080125150A 2008-12-10 2008-12-10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을 위한 보안 관련 정보의 복구 및 관리 방법 KR101188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150A KR101188019B1 (ko) 2008-12-10 2008-12-10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을 위한 보안 관련 정보의 복구 및 관리 방법
US12/607,218 US20100146276A1 (en) 2008-12-10 2009-10-28 Method of recovering and managing security-related information for 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150A KR101188019B1 (ko) 2008-12-10 2008-12-10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을 위한 보안 관련 정보의 복구 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724A KR20100066724A (ko) 2010-06-18
KR101188019B1 true KR101188019B1 (ko) 2012-10-05

Family

ID=42232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150A KR101188019B1 (ko) 2008-12-10 2008-12-10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을 위한 보안 관련 정보의 복구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146276A1 (ko)
KR (1) KR1011880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799B1 (ko) * 2014-08-07 2017-05-29 주식회사 케이티 Sdn 환경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장애 극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517B1 (ko) * 2010-09-15 2012-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환가능형 제한 수신 시스템의 보안 모듈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US10693639B2 (en) 2017-02-28 2020-06-23 Blackberry Limited Recovering a key in a secure man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8212A1 (en) * 2006-10-20 2008-04-24 Helms William L Downloadable security and protection methods and apparatus
US20080177998A1 (en) * 2007-01-24 2008-07-24 Shrikant Apsangi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sioning in a download-enable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6767B1 (en) * 1995-04-03 2001-06-12 Scientific-Atlanta, Inc. Source authentication of download information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US6185308B1 (en) * 1997-07-07 2001-02-06 Fujitsu Limited Key recovery system
US8364952B2 (en) * 2006-06-06 2013-01-29 Red Hat, Inc. Methods and system for a key recovery pla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8212A1 (en) * 2006-10-20 2008-04-24 Helms William L Downloadable security and protection methods and apparatus
US20080177998A1 (en) * 2007-01-24 2008-07-24 Shrikant Apsangi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sioning in a download-enabled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799B1 (ko) * 2014-08-07 2017-05-29 주식회사 케이티 Sdn 환경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장애 극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724A (ko) 2010-06-18
US20100146276A1 (en)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111B1 (ko)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서비스를 위한 헤드엔드 시스템 및그 동작 방법
US8949595B2 (en) Mutual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
KR100936885B1 (ko) 다운로드 가능한 제한수신시스템에서의 상호 인증 방법 및그 장치
US9438584B2 (en) Provisioning DRM credentials on a client device using an update server
US20150172739A1 (en) Device authentication
US10498540B2 (en) Efficient encrypted software distribution mechanism
CN103067333A (zh) 验证机顶盒接入身份的方法和认证服务器
CN102833593A (zh) 一种智能电视应用的授权方法、系统及智能电视
KR20090058736A (ko) 보안모듈 프로그램을 보호하기 위한 디지털 케이블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880965B1 (ko) 다운로드 가능한 콘텐츠 보안시스템 및 그 보안방법
KR101188019B1 (ko)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을 위한 보안 관련 정보의 복구 및 관리 방법
KR100963420B1 (ko) 복제된 보안 모듈을 갖는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호스트를감지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141428B1 (ko) 보안 모듈의 고유 정보를 이용한 불법적인 시청 방지 방법
KR101355700B1 (ko)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에서 보안 모듈 클라이언트의 다운로드 부하 제어 방법
KR100925328B1 (ko) Dcas 호스트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자격 관리 메시지관리 방법 및 그 장치
US84901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 host with duplicated secure micro
US8583930B2 (en) 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 secure micro, and transport processor, and security authent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901970B1 (ko) 분배키를 이용한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서비스 제공 장치및 그 방법
US201002356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tual authentication in 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
KR101068015B1 (ko)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의 메시지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1281928B1 (ko)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인증 장치 및 방법
KR101110678B1 (ko) 다운로드 가능한 제한수신시스템에서 제한수신시스템 소프트웨어의 보안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