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760B1 - A ubiquitous control system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and th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ubiquitous control system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and th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760B1
KR101187760B1 KR1020110007708A KR20110007708A KR101187760B1 KR 101187760 B1 KR101187760 B1 KR 101187760B1 KR 1020110007708 A KR1020110007708 A KR 1020110007708A KR 20110007708 A KR20110007708 A KR 20110007708A KR 101187760 B1 KR101187760 B1 KR 101187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lectronic device
power line
control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88433A (en
Inventor
윤 식 최
명기성
Original Assignee
휴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먼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88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4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7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12Energy storage unit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e.g. in the last power distribution st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8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를 장착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전원 및 대기전력 차단을 휴대폰에 의해 원격에서 제어하는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력라인을 온/오프하는 전력 차단기; 전력라인에 인가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측정부; 휴대폰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모듈; 및 휴대폰으로부터 전력라인의 차단명령을 수신하여, 전력라인에 인가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의 이하이면 전력라인을 차단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고, 특히, 중앙처리장치는, 전력라인에 인가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의 이상이면, 전력라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카메라 영상을 휴대폰으로 전송하고 수신되는 오프명령에 따라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를 통해 전자기기의 전원을 오프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여, 휴대폰으로 원격에서 집안내의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고, 특히, 전자기기를 켜놓은 상태에서도 이를 원격에서 전원을 오프하고 차단할 수 있는 등, 어느 상태에서도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power supply and standby power cutoff of an electronic device by using a camera equipped with an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wherein the at least one power line is turned on / off. Power breaker; A power measuring unit measuring an amount of power applied to the power line; A network modul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mobile phone;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receives a shut-off command of the power line from the mobile phone, and cuts off the power line if the amount of power applied to the power lin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power amount. In particula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ncludes: If more than the reference power amount, the camera image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lin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phone and according to the received off command to provide a configuration for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By the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ut off the standby power of the house guide remotely from the mobile phone, in particular, it can be turned off and cut off the power remotely even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on, The standby power can be cut off even in the state.

Description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A ubiquitous control system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and the method thereof }Ubiquitous control system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제어와 연동하여 대기전력의 차단을 제어하는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terruption of standby powe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f the electronic device.

특히, 본 발명은 상시 공급되는 상시 전력라인과 일시 공급되는 절전 전력라인을 구분하여 일시 공급되는 절전 전력라인을 차단하는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locking a power-saving power line to be temporarily supplied by distinguishing the power supply is always supplied and the power-saving power line supplied temporarily.

또한, 본 발명은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를 장착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전원 및 대기전력 차단을 휴대폰에 의해 원격에서 제어하는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power and standby power cutoff of an electronic device by using a camera equipped with an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일반적으로 대기전력은 선풍기, 텔레비전 등 전기기기를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시켜 놓지 않는 이상 전기기기의 파워 스위치가 오프(off)되더라도 플러그 소켓의 전류가 플러그를 통하여 흐르는 미세 전력을 말한다. 즉, 대기전력은 전기기기가 외부의 전원과 연결된 상태에서 해당기기의 주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에서 소비하고 있는 전력이나 전기기기가 외부로부터 켜짐 신호를 기다리는 대기상태에서 소비하고 있는 전력을 말한다.
In general, standby power refers to minute power flowing through the plug even when the power switch of the electrical device is turned off (off), unless the electrical device such as a fan or a television is disconnected from the outlet. That is, standby power refers to power consumed in a state in which an electric device is not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does not perform a main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or power consumed in a standby state waiting for an ON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전자기기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와 가전기기의 오용 및 잘못된 습관으로 인하여, 대기전력에 의한 피해는 전체 전력사용량의 약 11%에 달하는 등 상당한 양이다. 따라서 이러한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각 가정마다 잘못된 에너지 소비패턴을 시정하도록 하는 적극적인 홍보와 동시에 대기전력을 차단 기술 개발, 대기전력 소모가 없는 새로운 제품 개발 및 보급, 대기전력 차단 기술의 장려 및 신제품의 사용 의무화 정책 도입 등의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Due to the explosive increase in demand for electronic devices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living standards, misuse of home appliances, and wrong habits, the damage caused by standby power amounts to about 11% o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such energy consump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mote false energy consumption patterns in each household, develop standby power blocking technology, develop and distribute new products without standby power consumption, encourage standby power blocking technology and Efforts such as introducing a mandatory use policy are urgently needed.

유럽에서는 대기전력 1W이상의 전자제품의 판매를 강제규제하고 있으며, 미국, 일본, 호주 등도 전자제품의 1W 대기전력을 목표로 국가정책을 이끌어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기전력 1W정책 로드맵 작성을 기반으로 갖가지 에너지 효율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친환경 주택건설 기준을 도입하면서 신규 아파트에는 대기전력 차단용 콘센트 도입을 의무화하는 정책을 시행 예정에 있다.In Europe, sales of electronic products with standby power above 1W are forcibly regulated, and the United States, Japan and Australia are also leading national policies aiming for 1W standby power of electronic products. In Korea, various energy efficiency systems are being implemented based on the 1W standby roadmap, and recently, eco-friendly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are being introduced.

하지만 신규가옥에 최신기술의 대기전력 1W이하의 친환경 제품이 공급된다고 가정하였을 시 향후 신규가옥에 대한 대기전력 소모는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대기전력의 소모는 구가옥에서 더욱 크게 발생하는바 구가옥에 대한 대기전력 절감 정책이 필요하다.However, assuming that new homes are supplied with eco-friendly products with the latest technology of standby power of less than 1W, standby power consumption for new homes will not be very high. Therefore, the consumption of standby power is more generated in houses, so the standby power reduction policy for the houses is needed.

친환경주택건설기준이 도입되면서 최근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가 신규아파트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정책을 구가옥까지 확대하여 시행하기에는 구가옥 주거 세대의 반발을 불러올 수가 있다. 각종보고서에 따르면 1년에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 1개로 절감되는 전기량은 약 39.215 kWh(약 4,314원)으로 설치비를 포함한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의 가격을 40,000원으로 가정하였을 시 9년을 사용하여야 소비자에게 이익이 돌아오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With the introduction of eco-friendly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outlets for standby power cut-offs have recently been spreading around new apartments. However, extending such policies to the old houses can lead to a backlash from old households. According to various reports, the amount of electricity saved by one standby power cut-off outlet per year is about 39.215 kWh (approximately KRW 4,314). This is because it is a structure that benefits the return.

도 8은 현재 구가옥의 전력공급 구조를 간단히 표현한 도면이다.8 is a view simply showing the power supply structure of the current house.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중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위치는 ① 분전함. ② 콘센트, ③ 멀티탭에서 각각 차단할 수 있다. 하지만 콘센트와 멀티탭에서는 전자기기의 수에 맞춰 구입을 하여야 하므로 초기 투자비용이 매우 많이 필요하다. 따라서 배전반의 전력차단기에 의한 대기전력 차단 기술이 필요하다.As shown in Figure 8, the position that can cut off the double standby power is ① distribution box. You can block them at ② outlets and ③ power strips. However, outlets and power strips need to be purchas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electronic devices, so the initial investment is very expensiv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tandby power blocking technology by a power circuit breaker of a switchboard.

배전반의 전력차단기에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도입하였을 경우 1회의 설치로 설치비가 저렴하고, 1회의 설치로 대기전력의 절감효과가 뛰어나고,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에 비하여 부가 전선이 없는 등 깔끔하게 설치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배전반의 전력차단기에 대기전력 차단은 개별차단이 힘들고, 전문가가 설치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개별차단은 홈네트워크 기술 등을 도입하여 기능 개선을 통해 극복될 수 있다.When the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is introduced to the power switchboard of the switchboard, the installation cost is low by one installation, and the one time installation saves the standby power, and there is no additional wire compared to the standby power cut-off outlet. There is an advantage. On the other hand, the standby power cut-off in the power breaker of the switchboard is difficult to block the individual,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installed by professionals. However, individual blocking can be overcome by improving the function by introducing home network technology.

특히, 홈네트워크 기술에 유비쿼터스 기술을 접목시켜, 사용자가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집안내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게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by combining ubiquitous technology with home network technology, the user can freely connect to the network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computer or network without blocking the standby power of the house guide.

상기와 같이, 홈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대기전력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기술의 일례가 [한국특허출원 10-2009-0071456,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이하 선행기술 1)에 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수단과 홈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Gateway)를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월패드,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 또는 각종 단말장치를 통해 손쉽게 대기 상태에 있는 전력소비 장치의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an example of a technique for remotely controlling standby power using a home network is present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10-2009-0071456,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home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have. The prior art 1 connects a means having a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and a gateway of a home network so that a user can easily standby power of a power consumption device that is in a standby state through a wall pad, a standby power cutoff switch, or various terminal devices. It suggests a technology that allows you to block.

즉, 상기 선행기술 1의 게이트웨이는 유티피 케이블(UTP Cable)을 통해 대기전력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릴레이 구동부(대기전력 차단모듈)를 제어함으로써, 세대 분전반, 실외기 차단기, 또는 전력소비(전자기기) 장치 내부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한다.
That is, the gateway of the prior art 1 transmits a standby power control signal through a UTP cable to control a relay driver (standby power interruption module), thereby generating a generation panel, an outdoor unit breaker, or power consumption (electronic device). Shut off standby power inside the device.

그러나 사용자가 전자기기의 전원을 켜놓고 외출하는 경우, 무작정 전력을 차단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과 같이 일시적으로만 전원이 공급되는 전자기기가 켜져 있는 경우 전원을 오프하고 전력을 차단해야 하나, 냉장고와 같이 항상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 전자기기는 차단하지 않아야 한다.However, when the user goes out with the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turned off, the problem may occur if the power is cut off. For example, if a temporarily powered electronic device such as a television is turned on, the power should be turned off and the power cut off, but th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refrigerator should always be powered.

또한, 사용자가 컴퓨터에서 소정의 작업을 수행시켜 놓고 외출한 경우에는, 컴퓨터의 전원을 차단하지 말아야 한다. 또, 소정의 작업을 예약하거나 원격에서 제어하는 전자기기는 일시적인 전원 공급 제품이라 하더라도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귀가시 미리 적당한 실내 온도를 설정하기 위해, 냉난방기의 작동을 예약하거나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또, 전기밥솥을 예약하여 귀가시 취사작동을 하여 따뜻한 밥을 바로 먹을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 user performs a predetermined task in the computer and goes out, the power of the computer should not be cut off. In addition, electronic devices that schedule or remotely control certain tasks must be supplied with power, even for temporary power supplies. For example, in order to set an appropriate room temperature in advance,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scheduled or remotely controlled. You can also reserve an electric rice cooker and cook hot rice when you go home.

이와 같이, 각 전자기기의 작동여부와 상관없이 일괄적으로 전력을 차단하는 것은 많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 전자기기의 상태를 체크하여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하다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cut off the power collectively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each electronic device, so that a lot of problems may occur.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기기의 제어 및 대기전력 차단을 연동하여, 휴대폰에 의해 원격에서 제어하는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by a mobile phone by interlocking the control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standby power.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상시 공급되는 상시 전력라인과 일시 공급되는 절전 전력라인을 구분하여 일시 공급되는 절전 전력라인을 차단하는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locking the power-saving power line to be temporarily supplied by distinguishing the power supply is always supplied and the power-saving power line supplied temporarily.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라인의 전력량을 각각 측정하여 전자기기가 켜져 있는 전력라인에 대해서만 원격에서 전자기기의 전원을 오프하도록 휴대폰에 영상을 전송하는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of the power line to transmit the image to the mobile phone to remotely turn off the electronic device only for the power line that the electronic device is turned on will 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를 장착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전원 및 대기전력 차단을 휴대폰에 의해 원격에서 제어하는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력라인을 온/오프하는 전력 차단기; 상기 전력라인에 인가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측정부; 상기 휴대폰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모듈; 및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전력라인의 차단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전력라인에 인가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의 이하이면 상기 전력라인을 차단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 power supply and standby power cutoff of an electronic device by using a camera equipped with an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A power breaker to turn on / off the power line; A power measuring unit measuring an amount of power applied to the power line; A network modul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phone;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which receives a shutoff command of a power line from the mobile phone and cuts off the power line if the amount of power applied to the power line is less than a reference power amount.

또,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전력라인에 인가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의 이상이면, 상기 전력라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카메라 영상을 휴대폰으로 전송하고 수신되는 오프명령에 따라 상기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를 통해 전자기기의 전원을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ransmits and receives a camera image of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line to a mobile phone when the amount of power applied to the power lin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power. According to the off command to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off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또,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측정된 전력량을 사용자가 지정한 단위로 환산할 수 있는 전력량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측정된 전력량을 가시화하거나 사용자가 지정한 단위로 변환된 정보로 표시하는 영상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where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ncludes a power conversion unit that can convert the measured power amount in a user-specified unit, the system visualizes the measured power amount or user-specifi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information converted into units.

또,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전력라인을 상시 전력라인과 절전 전력라인으로 구분되어 기억하고, 차단명령에 따라 절전 전력라인만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line is divided into a regular power line and a power saving power line and stored, and cut off only the power saving power line according to the blocking command. .

또,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전자기기의 위치,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신호, 및 상기 전자기기의 연결된 전력라인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소; 전자기기에 상기 카메라의 초점을 맞추고 상기 전자기기의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휴대폰으로 영상을 송신하는 영상제어 전송부;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에 적외선 신호의 출력을 명령하는 제어신호 명령부; 및 전력라인 차단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전력라인에 연결된 전자기기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선택된 전자기기의 영상을 휴대폰으로 전송하고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 명령부가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전자기기의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가 연결된 전력라인을 온(On)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where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stores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power line of the electronic device. Data storage; An image control transmitter for focusing the camera on an electronic device, acquiring an imag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ransmitting an image to the mobile phone; A control signal command unit which receives a control command of the electronic device from the mobile phone and instructs an output of an infrared signal to the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sequentially select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line to receive a power line blocking command, to transmit an image of the selected electronic device to a mobile phone, and to receive and control a control command for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signal command unit receives a control command of the electronic device from the mobile phone,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power lin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또,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어 전송부는 획득된 영상을 정지화상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되, 상기 정지화상이 이전 정지화상에 비해 변화가 있는 경우에만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the image control transmitter converts the acquired image into a still image and transmits it, but retransmits only when the still image changes from a previous still image. do.

또,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명령부는 상기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의 신호출력 방향이 상기 카메라의 전방 방향으로 설정되어 상기 카메라의 초점이 맞추어졌을 때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wherein the control signal command unit outputs an infrared signal when the signal output direction of the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is set to the front direction of the camera and the camera focuses. It is characterized by.

또,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명령부는 적외선 출력 각도가 카메라의 초점 부근 이내로만 전송되도록 적외선 출력의 각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the control signal command unit controls the angle of the infrared output so that the infrared output angle is transmitted only within the focus of the camera.

또한, 본 발명은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를 장착한 카메라, 적어도 하나의 전력라인을 온/오프하는 전력 차단기, 및 휴대폰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모듈로 구성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의, 전자기기의 전원 및 대기전력 차단을 휴대폰에 의해 원격에서 제어하는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전력라인의 차단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전력라인에 인가되는 전력량을 측정하고 기준 전력량과 비교하여 기준 전력량 이하이면 상기 전력라인을 차단하는 단계; (c) 측정된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 이상이면, 상기 전력라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카메라 영상을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전자기기의 오프명령에 따라 상기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를 통해 전자기기의 전원을 오프하는 단계; 및 (e) 상기 (b)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source of an electronic device of a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comprising a camera equipped with an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a power breaker for turning on / off at least one power line, and a network modul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mobile phone; A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standby power cutoff by a mobile phone, the method comprising: (a) receiving a shutoff command of a power line from the mobile phone; (b)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applied to the power line and cutting off the power line if the reference power amount is less than the reference power amount; (c) transmitting the camera image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line to the mobile phone when the measured power am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power amount; (d)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off command of the electronic device received from the mobile phone; And (e) performing step (b) again.

또,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전력라인은 상시 전력라인과 절전 전력라인으로 구분되어, 차단명령에 따라 절전 전력라인만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method, in step (b), the power line is divided into a regular power line and a power saving power line, characterized in that to cut off only the power saving power line according to the blocking command. .

또,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전자기기의 정지영상을 전송하되, 상기 정지영상이 이전 정지영상에 비해 변화가 있는 경우에만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method, the step (c) is to transmit a still image of the electronic device, but retransmits only when the still image changes compared to the previous still image. .

또,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의 신호출력 방향이 상기 카메라의 전방 방향으로 설정되어 상기 카메라의 초점이 맞추어졌을 때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method, the step (d) outputs an infrared signal when the signal output direction of the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is set to the front direction of the camera and the camera focuses. Characterized in tha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휴대폰으로 원격에서 집안내의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고, 특히, 전자기기를 켜놓은 상태에서도 이를 원격에서 전원을 오프하고 차단할 수 있는 등, 어느 상태에서도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ut off the standby power of the house guidance from the mobile phone remotely, and in particular, even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turned on, It is possible to cut off the standby power in any state, such as to cut off.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전력라인의 전력량을 각각 측정하여 전자기기가 켜져 있는 전력라인에 대해서만 원격에서 전자기기의 전원을 오프하도록 휴대폰에 영상을 전송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량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of each power line to transmit the image to the mobile phone to turn off the electronic device remotely only for the power line that the electronic device is turned on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amount of transmission is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전자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경우 차단된 전력라인을 자동으로 온 시킴으로써 원격에서 전자기기를 제어하더라도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에만 전력을 공급하고 그 외에는 차단시켜 대기전력의 절감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얻어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remotely controlled, the power supply is supplied only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used even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remotely controlled by automatically turning on a blocked power line. And other than that,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standby power savings is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라인 및 콘센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fms 카메라의 초점을 맞추는 방식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옥의 전력공급 구조를 간단히 표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휴대폰 21 : 네트워크
22 : 이동통신망 30 : 제어 시스템
31 : 전력차단기 32 : 전력측정부
33 : 네트워크 모듈 34 : 근거리통신 모듈
35 : 영상 표시부 36 : 메인 차단기
40 : 중앙처리장치 41 : 데이터 저장소
42 : 제어명령 수신부 43 : 영상제어 전송부
44 : 제어신호 명령부 45 : 전력량 변환부
46 : 제어부
50 : 감시카메라 51 : 렌즈부
52 : 렌즈 55 : 구동장치
56 :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
70 : 서버 80,81,82 : 전자기기
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overall system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line and an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urveillanc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focusing method of the fms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imply showing a power supply structure of a hou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cell phone 21: network
22: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0: control system
31: power breaker 32: power measurement unit
33: network module 34: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35: video display unit 36: main breaker
40: central processing unit 41: data storage
42: control command receiver 43: image control transmitter
44: control signal command unit 45: power amount conversion unit
46: control unit
50: surveillance camera 51: lens unit
52 lens 55 driving device
56: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70: server 80,81,82: electronic equip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is inven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the repeat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일례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an example of the whole structure of the whole system for implementing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감시카메라(50),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30), 서버(70), 휴대폰(10)으로 구성된다.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또는 분전함)(30)과 서버(70)는 네트워크(21)로 연결된다. 또, 휴대폰(10)은 이동통신망(22)을 통해 서버(70)에 접속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entire syste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urveillance camera 50,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30, server 70, the mobile phone (10). The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or distribution box) 30 and the server 70 are connected to the network 21. The mobile phone 10 also connects to the server 70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2.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30)은 일반적인 세대의 분전함(배전반)에 설치되는 제어 시스템으로서, 분전함과 일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분전함과 제어 시스템(30)을 모두 동일한 참조번호로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의 일체 구성은 일실시예일뿐, 종래의 분전함에 추가되는 제어모듈만을 제어 시스템(30)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분전함과 일체로 구성되는 제어시스템으로서 설명한다.The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30 is a control system installed in a general generation of distribution boxes (distribution boards) and is integrated with the distribution box. Therefore, the distribution box and the control system 30 are all us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However, the above integrated configuration is only an embodiment, and only the control module added to the conventional distribution box may be configured as the control system 30. Hereinafter, it describes as a control system integrated with a distribution box.

제어 시스템(30)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전력라인(60)을 경유하여 내부의 전력소비 장치 또는 전자기기(80)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제어 시스템(30)은 누전을 방지하기 위한 누전차단기, 각 전력라인을 차단하는 전력차단기을 포함한다.
The control system 30 is a device that delivers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power consumption device or the electronic device 80 through the power line 60. The control system 30 includes a circuit breaker for preventing a short circuit and a power circuit breaker for blocking each power line.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력라인(60)은 집안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으로서 다수 개로 나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라인; 김치냉장고, 감시카메라, 가스누설감지기, 보일러, 밥솥 등 항상 켜져 있어야 하는 전기기기(이하 상시전력 사용 전기기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상시 전력라인; TV, 오디오, 컴퓨터, 라디오, 홈씨어터, 컴퓨터 등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전기기기(이하 대기전력 사용 전기기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절전 전력라인 등으로 구분된다. 또, 에어콘 등 대용량 전력을 사용하는 전기기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대용량 전력라인으로도 구분된다.As shown in Figure 2a, the power line 6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wer lines for supplying power inside the house. For example, a power line for powering a light; Always-on power line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al equipment (hereinafter, always used electrical equipment) such as kimchi refrigerator, surveillance camera, gas leakage detector, boiler, rice cooker; It is divided into power-saving power lines that supply power to temporarily used electric devices (hereinafter, standby electric devices) such as TV, audio, computer, radio, home theater, and computer. In addition, it is also divided into a large-capacity power line for supplying power to electric equipment using a large-capacity power, such as air conditioning.

또, 상기 전등 전력라인, 상시 전력라인, 절전 전력라인, 대용량 전력라인 등은 각각 여러 개의 전력라인으로 다시 나뉘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power line, the regular power line, the power saving power line, the large-capacity power line, etc.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wer lines, respectively.

한편, 상기 전력라인(60)들 각각에 외부에서 공급되는 외부전력을 차단하는 전력차단기(31)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power line 60 is provided with a power circuit breaker 31 to cut off the external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그리고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콘센트는 상시 전력라인의 콘센트와 절전 전력라인의 콘센트로 분리하여 각기 다른 색으로 표시한다. 즉, 콘센트를 별도의 구분(커버색, 스티커 등)을 통하여, 사용자는 쉽게 상시전력과 대기전력을 구분하여 전자기기에 전원을 연결할 수 있다.
And as shown in Figure 2b, preferably, the outlet is divided into the outlet of the constant power line and the outlet of the power saving power line is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That is, through a separate classification (cover color, sticker, etc.), the user can easily connect the power source to the electronic device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 regular power and standby power.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시카메라(50)는 집안 내에 설치되어 전자기기(80) 등을 촬영하여 전자기기(80)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광학기기이다. 또, 감시카메라(50)에는 전자기기(80)를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56)가 장착된다.As shown in FIG. 3A, the surveillance camera 50 is an optical device that is installed in a house and may acquire an image of the electronic device 80 by photographing the electronic device 80 and the like. The surveillance camera 50 is also equipped with an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56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80.

감시카메라(50)는 구동장치(55)에 의해 가로 평면상에서 360도 회전을 할 수 있고, 세로 평면상에서 180도 회전을 할 수 있다. 즉, 360도의 가로 평면과 180도의 세로 평면 내의 물체를 촬영할 수 있다.The surveillance camera 50 can rotate 360 degrees on the horizontal plane by the drive device 55, and can rotate 180 degrees on the vertical plane. That is, the object can be photographed in a horizontal plane of 360 degrees and a vertical plane of 180 degrees.

그러나 감시카메라(50)는 상기 촬영범위를 가지는 카메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회전각도가 상기 범위보다 작더라도 카메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는 어느 것이나 적용될 수 있다.However, the surveillance camera 50 is not limited to the camera having the shooting range. That is, even if the rotation angle is smaller than the above range, any surveillance camera tha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camera can be applied.

한편, 감시카메라(50)에는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56)가 설치된다. 즉, 감시카메라(50)는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부(51)와,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는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56), 구동장치(55)로 구성된다. 또,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 또는 제어모듈(미도시)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surveillance camera 50 is provided with an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56. That is, the surveillance camera 50 is composed of a lens unit 51 is provided with a lens, an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56 for outputting infrared signals, and a driving device 55. It also includes a control circuit or a control module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바람직하게는, 카메라의 전방 방향, 즉, 렌즈부(51)와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56)는 방향이 일치하도록 설치된다. 즉, 렌즈부(51)의 렌즈 방향과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56)의 신호출력 방향이 같도록 설치된다.Preferably, the front direction of the camera, that is, the lens unit 51 and the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56 are installed so that their directions coincide with each other. That is, the lens direction of the lens 51 and the signal output direction of the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56 is provided to be the same.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렌즈부(51)를 통해 촬영 가능한 전방의 범위와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53)에서 출력되는 적외선 신호의 도달 범위가 비슷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3b에서, 카메라의 렌즈(52)에 의해 텔레비전(81)은 촬영될 수 있으나, 냉장고(82)는 촬영될 수 없다. 유사하게, 적외선 발광소자(57)의 적외선은 텔레비전(81)까지 도달할 수 있으나, 냉장고(82)는 도달할 수 없다.As shown in FIG. 3B, the front range that can be photographed through the lens unit 51 and the arrival range of the infrared signal output from the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53 are installed to be similar. For example, in FIG. 3B, the television 81 may be photographed by the lens 52 of the camera, but the refrigerator 82 may not be photographed. Similarly, the infrared rays of the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 57 can reach the television 81, but the refrigerator 82 cannot reach it.

렌즈부(51)는 렌즈의 줌을 조절하여 촬영범위를 설정할 수 있고,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56)는 반사판(58)을 설치하여 적외선의 출력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감시카메라(50)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내의 전자기기만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The lens unit 51 may set the photographing range by adjusting the zoom of the lens, and the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56 may set the output range of the infrared ray by installing the reflector 58. Through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surveillance camera 50 can control only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56)는 일반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컨에서 사용되는 적외선(IR)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로서, 적외선 발광소자(57) 및 반사판(58)을 구비한다. 적외선 발광소자(57)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감시카메라(50)의 제어모듈(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The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56 is an apparatus capable of outputting an infrared (IR) signal used in a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general electronic device, and includes an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 57 and a reflecting plate 58. The signal output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 57 is controlled by a control module (not shown) of the surveillance camera 50.

한편, 감시카메라(50)의 개수는 2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마다 감시카메라(50)가 설치되거나, 방이 큰 경우 하나의 방에 2 대 이상의 감시카메라(50)가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the monitoring camera 50 may be installed in two or more. For example, a surveillance camera 50 may be installed in each room, or two or more surveillance cameras 50 may be installed in one room.

제어 시스템(30)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감시카메라(50)와 연결한다. 무선으로서 주파수(RF) 방식, 블루투스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고, 유선으로서 USB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The control system 30 is connected to the surveillance camera 50 by wireless or wired. A radio frequency (RF) method, a Bluetooth method, or the like may be applied, and a wired USB method or the like may be applied.

제어 시스템(30)은 감시카메라(50)의 제어모듈(미도시)을 제어함으로써 감시카메라(50)를 제어하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 시스템(30)은 감시카메라(50)가 특정 전자기기에 초점을 맞추도록 제어하고, 감시카메라(5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감시카메라(50)에 설치된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56)로 하여금 신호를 출력하게 한다.
The control system 30 controls the surveillance module 50 of the surveillance camera 50 to control the surveillance camera 50 or transmit and receive data. The control system 30 controls the surveillance camera 50 to focus on a specific electronic device, receives an image captured by the surveillance camera 50, and outputs an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56 installed in the surveillance camera 50. To output the signal.

서버(70)는 제어 시스템(30)과 휴대폰(10)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전자기기(80)의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신호 등을 제어 시스템(30)에 제공한다. 서버(70)는 제어 시스템(30)과 TCP/IP 프로토콜(또는 인터넷 프로토콜) 상에서 데이터 통신을 하고, 휴대폰(10)과 이동통신망(CDMA 또는 HSDPA 등) 상에서 데이터 통신을 한다.The server 70 provides a communication service with the control system 30 and the mobile phone 10, and provides the control system 30 with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electronic device 80. The server 70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system 30 on the TCP / IP protocol (or Internet protocol), and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ellular phone 10 o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DMA or HSDPA, etc.).

따라서 서버(70)는 필요에 따라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거나 휴대폰(10)에서 구동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서버(70)는 제어 시스템(30)에서 휴대폰(10)으로 전송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WAP 상에서 실행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휴대폰(10)으로 전송한다. 또, 서버(70)는 휴대폰(10)에 입력되는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 시스템(30)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으로 전환한다.Therefore, the server 70 provides a user interface that can perform data conversion or can be driven in the mobile phone 10 as necessary. For example, the server 70 receives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ystem 30 to the mobile phone 10, converts the data into an executable form on the WAP,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mobile phone 10. In addition, the server 70 receives a command input to the mobile phone 10 and switches to a command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control system 30.

또, 서버(70)는 각 전자기기의 제어명령에 따른 제어신호 DB를 구축하여 제어 시스템(30)의 요구에 따라 다운로드 해준다. 제어명령은 전자기기의 기능을 수행시키는 명령으로서, 예를 들어, 텔레비전인 경우, 전원 켜기, 전원 끄기, 채널 둘리기, 소리조절 등이 제어명령이고, 가스 보일러인 경우, 작동, 중단, 온도조절 등이 제어명령이다. 이에 반해, 제어명령의 제어신호는 상기 제어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56)에서 출력되어야 할 적외선 신호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server 70 builds a control signal DB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each electronic device and downloads i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ontrol system 30. The control command is a command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elevision, the control command is a control command, and in the case of a gas boiler, the operation, shutdown, and temperature control are performed. And the like are control commands. On the contrar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command means an infrared signal to be output from the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56 for executing the control command.

전자기기의 제어명령에 따른 적외선 신호는 기기의 종류 또는 제조사별로 각기 다르다. 그러나 겹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A사의 (가)제품의 전원켜기 신호와 B사의 (나)제품의 전원끄기 신호가 동일한 경우도 있다.The infrared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electronic device varies according to the type or manufacturer of the device.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they overlap. For example, the power-on signal of company A's (A) product may be the same as that of company B's (B) product.

서버(70)의 제어신호 DB는 상기와 같은 전자기기의 제어명령과 적외선 신호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이다. 따라서 제어 시스템(30)은 서버(70)에 접속하여 전자기기와 그 제어명령만 알면 상기 제어명령에 대한 제어신호를 얻을 수 있다.The control signal DB of the server 70 is a database composed of the control command and the infrared signal of the electronic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control system 30 can obtain a control signal for the control command by connecting to the server 70 and knowing only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trol comman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30)의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30)은 전력 차단기(31), 전력측정부(32), 네트워크 모듈(33), 근거리 통신모듈(34), 중앙처리장치(40)로 구성된다. 또, 영상표시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breaker 31, a power measurement unit 32, a network module 33,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34, and a center. It consists of a processing apparatus 40. In addition, the image display unit 35 may further include.

전력 차단기(31)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라인(60)을 온/오프한다. 앞서 본 바와 같이, 전력라인(60)은 다수 개로 나뉘어질 수 있다. 특히, 전력라인(60)은 전등 전력라인, 상시 전력라인, 절전 전력라인, 대용량 전력라인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전력차단의 기능면에서 상시 전력라인과 절전 전력라인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The power breaker 31 turns on / off at least one power line 60. As seen above, the power line 6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In particular, the power line 60 may be classified into a light electric power line, a regular power line, a power saving power line, a large capacity power line, etc., but may be largely divided into a regular power line and a power saving power line in terms of power blocking function. .

즉, 상시적으로 전력을 공급해야 하는 상시 전력라인과 그 외 전력라인으로서 절전 전력라인으로 구분된다. 상시 전력라인(60)은 화재 등 비상사태가 발생되지 않는 한, 전력을 차단하지 않는 전력라인이다. 따라서 대기전력의 제어 대상은 상시 전력라인이다.That is, it is divided into a regular power line to supply power at all times and a power saving power line as other power lines. The power line 60 is a power line that does not cut off power unless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ccurs. Therefore, the standby power control target is the power line at all times.

전력 차단기(31)는 각 전력라인 별로 설치되거나 하나의 전력 차단기(31)가 각 전력라인 별로 차단을 제어할 수 있다. 이것은 중앙처리장치(40)가 다수의 전력 차단기(31)를 제어하는 것인가, 다수의 전력라인을 제어하는 하나의 전력 차단기(31)를 제어할 것인가의 설계상의 차이일뿐, 본 발명은 모두 포함한다.The power breaker 31 may be installed for each power line or one power breaker 31 may control the blocking for each power line. This is merely a design difference between whethe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0 controls a plurality of power breakers 31 or a single power breaker 31 that controls a plurality of power lines. .

전력측정부(32)는 상기 전력라인(60)에 인가되는 전력량을 측정한다. 이때, 전력측정부(32)는 각 전력라인(60) 별로 구분하여 전력량을 측정한다. 상기 측정된 전력량은 중앙처리장치(40)로 입력된다.The power measuring unit 32 measures the amount of power applied to the power line 60. At this time, the power measuring unit 32 measures the amount of power divided by each power line (60). The measured amount of power is input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0.

네트워크 모듈(33)은 인터넷 등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통신모듈로서, 서버(70)를 통해 휴대폰(1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The network module 33 is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nnecting to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phone 10 through the server 70.

일실시예로서, 네트워크 모듈(33)은 유티피 케이블(UTP Cable)을 연결할 수 있는 단자로 구성된다. 또, TCP/IP 통신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물리적 구성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기술은 공지이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In one embodiment, the network module 33 is composed of a terminal that can connect a UTP cable. It also includes both physical and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perform TCP / IP communication protocols. Since the network technology is well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근거리통신 모듈(34)은 감시카메라(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이다. 앞서 본 바와 같이, 주파수(RF) 방식, 블루투스 방식 등의 무선방식이나, USB 방식 등의 유선방식에 따라 근거리통신 모듈이 구현된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34 i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surveillance camera 50. As described abov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implemented according to a wireless method such as a frequency (RF) method, a Bluetooth method, or a wired method such as a USB method.

중앙처리장치(40)는 휴대폰(10)으로부터 전력라인(60)의 차단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전력라인(60)에 인가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의 이하이면 상기 전력라인을 차단한다.The CPU 40 receives a blocking command of the power line 60 from the mobile phone 10, and blocks the power line when the amount of power applied to the power line 60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power amount.

전력측정부(32)에서 측정된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의 이하이면, 측정된 전력라인(60)에 연결된 전기기기(80)들의 전원이 모두 오프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라인(60)을 차단하여도 문제될 것이 없다.If the amount of power measured by the power measuring unit 32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amount of power, it may be assumed that all of the electric devices 80 connected to the measured power line 60 are turned off. Therefore, there is no problem even if the power line 60 is cut off.

다만, 중앙처리장치(40)는 전력라인(60)에 인가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의 이상이면, 상기 전력라인(60)에 연결된 전자기기(80)의 카메라 영상을 휴대폰(10)으로 전송하고 수신되는 오프명령에 따라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56)를 통해 전자기기(80)의 전원을 오프한다. 모든 전기기기(80)가 오프되면, 측정된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의 이하가 될 것이고, 이 경우에만 전력라인(60)을 차단한다.Howeve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0 transmits and receives a camera image of the electronic device 80 connected to the power line 60 to the mobile phone 10 when the amount of power applied to the power line 6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power amount. According to the off command to be turned off the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80 through the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56). When all electrical devices 80 are off, the measured power amount will be less than the reference power amount, and only in this case, the power line 60 is cut off.

한편, 중앙처리장치(40)는 제어회로로 구성되어 주문형 반도체로 구현될 수도 있고,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범용 프로세스 칩 등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0 may be implemented as a custom semiconductor is composed of a control circuit, or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may be performed by a general-purpose process chip.

영상표시부(35)는 측정된 전력량을 가시화하거나 사용자가 지정한 단위로 변환된 정보로 표시하는 표시장치이다. 영상표시부(35)는 LCD 또는 LED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unit 35 is a display device that visualizes the measured amount of power or displays the converted information in a unit designated by a user. The image display unit 35 may be implemented as an LCD or LED display.

영상표시부(35)에서 표시되는 전력량의 단위는 시스템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단위로 표시되거나, 사용자가 지정한 단위로 환산되어 표시될 수 있다.The unit of power amount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unit 35 may be displayed as a unit provided by the system by default, or converted into a unit designated by a user.

또, 바람직하게는, 영상표시부(35)에 현재 사용중인 전력량을 표시하고, 그 금액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부(35)는 현재 사용중인 전력량 표시 및 단위 변환 (kWh → 원)하여 금액으로도 표시한다.
Preferably, the video display unit 35 displays the amount of power currently being used, and also displays the amount of money. For example, the image display unit 35 displays the amount of power currently used and unit conversion (kWh → w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처리장치(40)의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처리장치(40)는 데이터 저장소(41), 제어명령 수신부(42), 영상제어 전송부(43), 제어신호 명령부(44), 제어부(46)로 구성된다. 또, 측정된 전력량을 변환하는 전력량 변환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storage 41, a control command receiving unit 42, an image control transmitting unit 43, and a control signal commanding unit 44. And a control unit 46. In addi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wer amount converter 45 for converting the measured power amount.

데이터 저장소(41)에는 전자기기의 위치,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신호, 및 상기 전자기기의 연결된 전력라인의 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된다.The data storage 41 receives and stores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information of a connected power line of the electronic device.

바람직하게는, 전자기기의 위치는 감시카메라(50)의 영상을 통해 입력된다. 즉, 사용자가 감시카메라(50)를 작동시켜 전자기기가 카메라 화면의 정 중앙에 오도록 초점을 맞추고, 그때의 위치를 전자기기의 위치로 인식시킨다. 이때 제품정보 입력부(41)는 감시카메라(50)의 위치상태를 기억하였다가 상기 전자기기가 선택되면 상기 감시카메라(50)를 기억시켰던 위치상태로 복원함으로써 전자기기에 초점을 맞춘다.Preferably,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s input through the image of the surveillance camera 50. That is, the user operates the surveillance camera 50 to focus the electronic device at the center of the camera screen, and recognizes the position at that time as the loc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t this time, the product information input unit 41 stores the position state of the surveillance camera 50 and focuses on the electronic apparatus by restoring to the position state where the surveillance camera 50 has been stored when the electronic apparatus is selected.

또, 감시카메라(50)가 다수인 경우, 어느 카메라인지를 선택하고 그 카메라의 초점을 전자기기에 맞춘다. 이때, 제품정보 입력부(41)는 선택된 카메라 정보와 위치 데이터를 모두 기억시킨다.In addition, when there are many surveillance cameras 50, which camera is selected, and the camera focuses on an electronic device. At this time, the product information input unit 41 stores both the selected camera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data.

전자기기의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는 서버(7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고, 컴퓨터 단말(미도시)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도 있다. 즉, 컴퓨터 단말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모듈(33)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시켜 저장시킬 수 있다.Th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received from the server 70 or may be directly input by the user through a computer terminal (not shown). That is, the computer terminal can be connected to the network module 33 to input and store data.

별도로 제공되는 수신모듈을 컴퓨터 단말(미도시)에 연결한다. 사용자 제품명을 등록하고, 설정할 버튼을 클릭한다. 보유중인 리모컨의 해당버튼을 눌러 적외선 신호를 수신모듈에서 받아들이게 되고 주변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3회에 거쳐 인지하게 된다.Connect a separately provided receiving module to a computer terminal (not shown). Register your product name and click the button to set.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button on the remote controller, the infrared signal is received by the receiving module and recognized three times to prevent the surrounding error.

한편, 인지된 신호는 서버(70)에 전송되어 전체 사용자에게 공유될 수 있다. 즉, 인지된 신호는 DB에 저장되고 인터넷(21)을 통해 상호 연동이 가능하다. 신제품의 경우 1번 등록으로 모든 사용자 사용 가능하다. 또, 서버(70)는 새로 등록된 신호를 재 확인후 정정하여 공유폴더에 저장하게 된다.Meanwhile, the recognized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70 and shared with all users. In other words, the recognized signal is stored in the DB and can be interoperable through the Internet 21. In case of new product, all users can use it by registering once. In addition, the server 70 confirms and corrects the newly registered signal and stores it in the shared folder.

전력라인의 정보는 다수의 전력라인 중에서 해당 전자기기(80)가 연결되는 전력라인이 어떤 것인가에 관한 정보이다. 전력라인이 다수인 경우, 하나의 전기기기(80)는 이 중 어느 하나의 전력라인(60)에 연결된다. The information on the power line is information on which power line the electronic device 80 is connected to among the plurality of power line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ower lines, one electric device 80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se power lines 60.

도 2a의 예에서와 같이, 냉장고는 제2 전력라인에 연결되고, 오디오 시스템은 제K 전력라인에 연결된다. 이때 냉장고의 전력라인 정보는 제2 전력라인이고, 오디오 시스템의 전력라인 정보는 제K 전력라인이다.As in the example of FIG. 2A, the refrigerator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line and the audio system is connected to the K th power line. In this case, the power line information of the refrigerator is the second power line, and the power line information of the audio system is the K-th power line.

제어명령 수신부(42)는 휴대폰(10)으로부터 전자기기를 선택받고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명령을 수신한다.The control command receiver 42 receives an electronic device from the mobile phone 10 and receives a control command of the electronic device.

사용자가 집 밖으로 외출한 경우 휴대폰(10)으로 원격에서 서버(70)를 통해 제어 시스템(30)에 접속한다. 접속한 사용자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또는 등록한) 전자제품의 목록과 해당 제품의 제어명령 목록을 열람할 수 있다.When the user goes out of the house, the mobile phone 10 is remotely connected to the control system 30 through the server 70. The connected user can view the list of electronic products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or registered) and the control command list of the corresponding products.

사용자는 휴대폰(10)에 제어하고자 하는 전기기기(80)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기기기(80)에 대한 제어명령도 선택한다. 제어명령은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여 직접 제어하는 명령도 있고, 단지 전기기기(80)의 영상을 보는 명령도 포함된다. 이때 제어명령 수신부(42)는 상기 휴대폰(10)으로부터 전송되는 선택된 전기기기(80)와 선택된 제어명령을 수신한다.The user selects the electric device 80 to be controlled by the mobile phone 10 and also selects a control command for the selected electric device 80. The control command may include a command for directly transmitting an infrared signal, and also includes a command for viewing an image of the electric device 80. At this time, the control command receiver 42 receives the selected electric device 80 and the selected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mobile phone 10.

영상제어 전송부(43)는 선택된 전자기기(80)에 상기 카메라(50)의 초점을 맞추고 전자기기(80)의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휴대폰으로 영상을 송신한다.The image control transmitter 43 focuses the camera 50 on the selected electronic device 80, acquires an image of the electronic device 80,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mobile phone.

영상제어 전송부(43)는 선택된 전자기기(80)의 위치를 찾고, 그 위치에 초점을 맞추도록 감시카메라(50)를 회전시킨다.The image control transmitter 43 finds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electronic device 80 and rotates the surveillance camera 50 to focus on the position.

특히, 영상제어 전송부(43)는 다수의 카메라 중에서 선택된 전자기기(80)의 위치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 카메라를 선정하여, 선정된 카메라의 초점을 상기 위치에 맞춘다.In particular, the image control transmitter 43 selects a camera capable of focusing on a position of the selected electronic device 80 among a plurality of cameras, and focuses the selected camera on the position.

초점이 맞추어지면 감시카메라(50)에게 촬영하도록 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영상을 획득한다. When the focus is focused, the surveillance camera 50 captures an image of the electronic device.

바람직하게는, 영상제어 전송부(43)는 획득된 영상을 정지화상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되, 상기 정지화상이 이전 정지화상에 비해 변화가 있는 경우에만 재전송한다.Preferably, the image control transmitter 43 converts the obtained image into a still image and transmits it, but retransmits only when the still image changes from the previous still image.

즉, 영상을 스트림 형태로 지속적으로 보내지 않고 정지화상만을 송부한다. 영상제어 전송부(43)는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이 변화가 있는 경우 다시 정지화상을 보낸다. 구체적으로, 영상 변화의 문턱값(threshold)을 정하여, 문턱값 이상으로 영상 변화가 발생하면 영상을 재차 전송한다.That is, only the still picture is sent without continuously sending the video in the form of a stream. The image control transmitter 43 sends a still image again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amera. In detail, a threshold of image change is determined, and when an image change occurs above the threshold, the image is transmitted again.

제어신호 명령부(44)는 전자기기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56)에 적외선 신호의 출력을 명령한다.The control signal command unit 44 commands the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56 to output an infrared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electronic device.

제어신호 명령부(44)는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56)의 신호출력 방향이 카메라(50)의 전방 방향으로 설정되어 카메라(50)의 초점이 맞추어졌을 때 적외선 신호를 출력한다. The control signal command unit 44 outputs an infrared signal when the signal output direction of the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56 is set to the front direction of the camera 50 and the camera 50 is focused.

특히, 제어신호 명령부(44)는 적외선 출력 각도가 카메라의 초점 부근 이내로만 전송되도록 적외선 출력의 각도를 제어한다.In particular, the control signal command unit 44 controls the angle of the infrared output such that the infrared output angle is transmitted only within the focal point of the camera.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시카메라(50)의 렌즈부(51)와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56)의 출력방향을 동일하게 맞추고 그 범위도 맞춤으로써, 제어신호 명령부(44)는 단지 카메라가 초점을 맞추면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는 명령만 내린다.As described above, by matching the output direction of the lens unit 51 and the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56 of the surveillance camera 50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range thereof, the control signal command unit 44 makes the camera focus only. When set, only commands to send infrared signals.

제어부(46)는 전력라인 차단명령을 수신하면, 전력라인(60)에 연결된 전자기기(80)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선택된 전자기기(80)의 영상을 휴대폰(10)으로 전송하고 전자기기(80)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제어한다.When the controller 46 receives the power line blocking command, the controller 46 sequentially selects the electronic device 80 connected to the power line 60, and transmits an image of the selected electronic device 80 to the mobile phone 10. Receive and control the control command for 80).

즉, 휴대폰(10)으로부터 전력라인 차단명령이 수신되면, 차단할 전력라인, 특히 절전 전력라인을 차단한다. 절전 전력라인이 다수인 경우에는 각각에 대하여 전력차단을 수행한다.That is, when the power line blocking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mobile phone 10, the power line to be blocked is cut off, particularly the power saving power lin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ower saving power lines, power off is performed for each.

이때, 먼저 각 전력라인의 전력량을 측정하고 기준 전력량 이하이면 바로 차단하고,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 이상이면 해당 전력라인(60)에 연결된 전기기기(80)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휴대폰(10)으로 영상을 전달한다.In this case, first, the power amount of each power line is measured and immediately cuts off if it is less than the reference power amount, and if the power amount is more than the reference power amount, the electric device 80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ower line 60 is sequentially selected to display an image with the mobile phone 10. To pass.

도 2a의 예에서, 제K 전력라인이 기준 전력량 이상이면, 이 전력라인에 연결된 TV, VTR, 오디오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전기기기(80)의 영상을 휴대폰(10)으로 전송한다.In the example of FIG. 2A, when the K-th power lin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power amount, a TV, a VTR, and an audio system connected to the power line are sequentially selected and an image of the selected electric device 80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phone 10.

사용자는 휴대폰(10)으로 각 전기기기(80)의 영상을 수신하여 전원 오프 여부를 결정한다. 사용자가 전기기기(80)의 오프명령을 전송하면, 이에 따라 제어부(46)는 전기기기(80)의 전원을 오프한다. 전원오프의 제어명령은 앞서 본 바와 같이 일반 제어명령 수행과 동일하게 수행된다.The user receives the image of each electric device 80 by the mobile phone 10 to determine whether to power off. When the user transmits an off command of the electric device 80, the controller 46 accordingly turns off the power of the electric device 80. The control command of the power off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general control command as described above.

또한, 제어부(46)는 휴대폰(10)으로부터 전자기기(80)의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전자기기(80)가 연결된 전력라인을 온(On) 시킨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46 turns on the power line to which the electronic device 80 is connected when receiving the control command of the electronic device 80 from the mobile phone 10.

즉, 사용자가 귀가시 미리 보일러를 가동하기 위하여, 보일러를 가동시키는 제어명령을 휴대폰을 통해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46)는 이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해당 전기기기(보일러)가 연결된 전력라인(60)을 확인한다. 만약 전력라인(60)이 차단되어 있으면 전력라인(60)을 온(On) 시켜 해당 전기기기(보일러)에 전력을 공급해준다.
That is, in order to start the boiler in advance when the user returns home, the control command for starting the boiler is transmitted through the mobile phone. At this time, the controller 46 receives the control command and checks the power line 60 to which the corresponding electric device (boiler) is connected. If the power line 60 is cut off, the power line 60 is turned on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ic device (boiler).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방법은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56)를 장착한 카메라(50), 적어도 하나의 전력라인(60)을 온/오프하는 전력 차단기(31), 및 휴대폰(1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모듈로 구성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30)의, 전자기기의 전원 및 대기전력 차단을 휴대폰에 의해 원격에서 제어하는 방법이다.The method includes a camera 50 equipped with an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56, a power breaker 31 for turning on / off at least one power line 60, and a network modul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phone 10. The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3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power and standby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remotely by the mobile phone.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a)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전력라인의 차단명령을 수신하는 단계(S10); (b) 상기 전력라인에 인가되는 전력량을 측정하고 기준 전력량과 비교하여(S20) 기준 전력량 이하이면 상기 전력라인을 차단하는(S60) 단계; (c) 측정된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 이상이면, 상기 전력라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카메라 영상을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단계(S30); (d)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전자기기의 오프명령에 따라 상기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를 통해 전자기기의 전원을 오프하는 단계(S40); 및 (e) 상기 (b)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S50)로 구분된다.As shown in Figure 6,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a) receiving a block command of the power line from the mobile phone (S10); (B)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applied to the power line and comparing the amount of power (S20) to cut off the power line if less than the reference power amount (S60); (c) transmitting the camera image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line to the cellular phone when the measured power am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power amount (S30); (d)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off command of the electronic device received from the mobile phone (S40); And (e) performing step (b) again (S50).

특히,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전력라인은 상시 전력라인과 절전 전력라인으로 구분되어, 차단명령에 따라 절전 전력라인만을 차단한다. 또, 상기 (c)단계는 상기 전자기기의 정지영상을 전송하되, 상기 정지영상이 이전 정지영상에 비해 변화가 있는 경우에만 재전송한다. 또, 상기 (d)단계는 상기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의 신호출력 방향이 상기 카메라의 전방 방향으로 설정되어 상기 카메라의 초점이 맞추어졌을 때 적외선 신호를 출력한다.
In particular, in the step (b), the power line is divided into a regular power line and a power saving power line, and cuts only the power saving power line according to a blocking command. In addition, in step (c), the still imag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transmitted, but only if the still image has a change compared to the previous still image. In addition, the step (d) outputs an infrared signal when the signal output direction of the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is set to the front direction of the camera and the camera focuses.

상기 대기전력 제어 방법 중 생략된 부분은 앞서 설명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30)의 설명을 참조한다.The omitted part of the standby power control method refers to the description of the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30 described above.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50)의 초점을 맞추는 방식의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부연한다.7, the effect of the focusing method of the camera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사용자가 휴대폰(10)으로 전자기기와 제어명령을 선택하면 카메라(50)가 자동으로 전자기기의 초점을 맞춘 후 영상을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기기를 찾기 위해 영상을 계속 수신해야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영상 데이터의 전송량을 줄일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trol command to the mobile phone 10, the camera 50 automatically focuses the electronic device and transmits an image. Thus, the user does not need to continuously receive the image to find the electronic device. Therefore, the transmission amount of the image data can be reduced.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기기에 초점이 맞추어진 영상만을 볼 수 있고, 휴대폰의 화면 밖의 영상을 볼 수 없다. 만약 2개의 전자기기가 동일한 제어신호를 갖는다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Therefore, the user can see only the image focused on the electronic device, and cannot see the image outside the screen of the mobile phone. If two electronic devices have the same control signal, the following problem occurs.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 A와 B가 동일한 제어신호를 갖는 경우를 살펴본다. 감시카메라(50)가 전자기기 A에 초점을 맞추면 사용자는 전자기기 B를 볼 수 없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명령을 선택하면 전자기기 A와 B에 모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전자기기 B의 상황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잘못된 제어신호에 대하여 대처를 할 수 없다.As shown in FIG. 7A, a cas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s A and B have the same control signal will be described. When the surveillance camera 50 focuses on the electronic device A, the user cannot see the electronic device B. At this time, if the user selects a control command for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it affects both the electronic devices A and B. However, the user cannot know the situ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 and cannot cope with the wrong control signal.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가 초점을 맞추는 부분이외로 제어신호가 도달하지 않으므로 상기 문제점은 중요하지 않다. 즉, 사용자가 휴대폰으로 보는 화면 밖의 전자기기 B에는 제어신호가 도달하지 않으므로, 전자기기 B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rol signal does not reach the part other than the camera focusing, the problem is not important. That is, since the control signal does not reach the electronic device B outside the screen viewed by the user, the electronic device B is not affected.

또,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 A와 B가 모두 감시카메라(50)의 화면 안에 있는 경우,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의해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양 전자기기 모두에 도달하고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도 7b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자기기 A와 B를 모두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에 대처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B, when both of the electronic devices A and B are in the screen of the surveillance camera 50, the control signal output by the user's control command reaches and affects both electronic devices. However, in FIG. 7B, the user can cope with this because the user can see both the electronic devices A and B. FIG.

예를 들어, 전자기기 B의 전원을 끄고 전자기기 A에 제어명령을 송신하고, 전자기기 B의 전원을 켜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카메라의 초점을 좌측으로 이동하여 카메라의 영상에서 전자기기 B가 화면에서 나타나지 않도록 이동시킨 다음, 제어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B may be turned off, a control command may be sent to the electronic device A, and the electronic device B may be turned on. Alternatively, the user may move the focus of the camera to the left to move the electronic device B so that it does not appear on the screen in the image of the camera, and then transmit a control comman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카메라를 조정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경우를 최소화함으로써 영상 데이터의 전송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휴대폰의 경우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므로 데이터 전송량의 축소는 곧 비용절감과 직결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transmission of image data can be minimized by minimizing a case where a user adjusts a camera to acquire an image. In particular, since a mobile phone use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reduction of data transmission is directly related to cost reduction.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is inventor was demonstrated concretely according to the said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제어 및 대기전력 차단을 연동하여, 휴대폰에 의해 원격에서 제어하는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를 장착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전원 및 대기전력 차단을 휴대폰에 의해 원격에서 제어하는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유용하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develop a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that is controlled by a mobile phone by interlocking the control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standby power cut off.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to develop a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that remotely controls the power and standby power cutoff of electronic devices by using a camera equipped with an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Claims (8)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를 장착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전원 및 대기전력 차단을 휴대폰에 의해 원격에서 제어하는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력라인을 온/오프하는 전력 차단기;
상기 전력라인에 인가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측정부;
상기 휴대폰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모듈; 및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전력라인의 차단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전력라인에 인가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의 이하이면 상기 전력라인을 차단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전력라인에 인가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의 이상이면, 상기 전력라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카메라 영상을 휴대폰으로 전송하고 수신되는 오프명령에 따라 상기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를 통해 전자기기의 전원을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In the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that remotely controls the power and standby power off of the electronic device by using a camera equipped with an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A power breaker to turn on / off at least one power line;
A power measuring unit measuring an amount of power applied to the power line;
A network modul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phone; And
Receiving a power off command of the power line from the mobile phone, and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shutting off the power line if the amount of power applied to the power line is less than the reference powe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f the amount of power applied to the power line is greater than a reference power amount, transmitting the camera image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line to the mobile phone and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received off command.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b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측정된 전력량을 사용자가 지정한 단위로 환산할 수 있는 전력량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측정된 전력량을 가시화하거나 사용자가 지정한 단위로 변환된 정보로 표시하는 영상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ncludes a power amount conversion unit that can convert the measured amount of power in a user-specified unit,
The system further comprises an image display unit for visualizing the measured amount of power or to display the converted information in a unit designated by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전력라인을 상시 전력라인과 절전 전력라인으로 구분되어 기억하고, 차단명령에 따라 절전 전력라인만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entral processing unit stores the power line divided into a regular power line and a power saving power line, and cuts only the power saving power line according to the blocking comm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전자기기의 위치,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신호, 및 상기 전자기기의 연결된 전력라인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소;
전자기기에 상기 카메라의 초점을 맞추고 상기 전자기기의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휴대폰으로 영상을 송신하는 영상제어 전송부;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에 적외선 신호의 출력을 명령하는 제어신호 명령부; 및
전력라인 차단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전력라인에 연결된 전자기기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선택된 전자기기의 영상을 휴대폰으로 전송하고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 명령부가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전자기기의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가 연결된 전력라인을 온(On)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 data store for storing a loc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information of a connected power line of the electronic device;
An image control transmitter for focusing the camera on an electronic device, acquiring an imag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ransmitting an image to the mobile phone;
A control signal command unit which receives a control command of the electronic device from the mobile phone and instructs an output of an infrared signal to the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And
Receiving a power line block command, and sequentially selects the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power lin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image of the selected electronic device to the mobile phone and receiv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command for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control signal command unit receives a control command of the electronic device from the mobile phone, the control unit turns on (On) the power lin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어 전송부는 획득된 영상을 정지화상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되, 상기 정지화상이 이전 정지화상에 비해 변화가 있는 경우에만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image control transmitter converts the acquired image into a still image and transmits the same, but retransmits the still image only when there is a change from the previous still imag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명령부는 상기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의 신호출력 방향이 상기 카메라의 전방 방향으로 설정되어 상기 카메라의 초점이 맞추어졌을 때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control signal command unit outputs an infrared signal when the signal output direction of the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is set to the front direction of the camera and the camera focuses.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를 장착한 카메라, 적어도 하나의 전력라인을 온/오프하는 전력 차단기, 및 휴대폰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모듈로 구성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의, 전자기기의 전원 및 대기전력 차단을 휴대폰에 의해 원격에서 제어하는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전력라인의 차단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전력라인에 인가되는 전력량을 측정하고 기준 전력량과 비교하여 기준 전력량 이하이면 상기 전력라인을 차단하는 단계;
(c) 측정된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 이상이면, 상기 전력라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카메라 영상을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전자기기의 오프명령에 따라 상기 적외선 신호 출력장치를 통해 전자기기의 전원을 오프하는 단계; 및
(e) 상기 (b)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방법.
The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consisting of a camera equipped with an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a power circuit breaker for turning on / off at least one power line, and a network modul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phone, cuts off the power supply and standby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method to remotely control by
(a) receiving an interruption command of a power line from the mobile phone;
(b)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applied to the power line and cutting off the power line if the reference power amount is less than the reference power amount;
(c) transmitting the camera image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line to the mobile phone when the measured power am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power amount;
(d)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infrared sign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off command of the electronic device received from the mobile phone; And
(E) the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step (b) again.
KR1020110007708A 2010-01-26 2011-01-26 A ubiquitous control system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and the method thereof KR10118776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991 2010-01-26
KR20100006991 2010-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433A KR20110088433A (en) 2011-08-03
KR101187760B1 true KR101187760B1 (en) 2012-10-05

Family

ID=44926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708A KR101187760B1 (en) 2010-01-26 2011-01-26 A ubiquitous control system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and th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760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433A (en)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0555B2 (en) Bluetooth thermostat and hub
JP56269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AC driven instrument via a video intercom, a bi-directional IR driver, and a remote control device
US9153126B2 (en) Smart switch and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US20140067144A1 (en) Smart switch and smart home system using the same
TWI411243B (en) Remote controlling system and gateway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liances within space
US20110230236A1 (en) Integrated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Home Appliances by Cell Phone
JP6425000B2 (en) Remote control system
KR101272653B1 (en) System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household appliances
WO2011080986A1 (en) Control device, power us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KR20130080278A (en) Digital device control and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smart phone
JP2010213367A (en) Energy saving system using ubiquitous sensor and intelligent table tap
KR20110019894A (en) Home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77065B1 (en) Home-automation system using mobile device
KR20160072006A (en) Smart concent system
CN102685598A (en) Video switching management device and switching method
KR101187760B1 (en) A ubiquitous control system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and the method thereof
KR20090071456A (en)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home-network
JP2019011887A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US10084610B2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20160181036A1 (en) Semi-wireless electric switch system
KR100511621B1 (en) Home network system by electric charging equipment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ame control method
KR101402796B1 (en)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used mobile device and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JP2006319906A (en)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 system
US9898927B2 (en) Wi-Fi/radio frequency converting device
KR20160122447A (en) Hub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in home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