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569B1 - Twitbook service system - Google Patents

Twitbook servic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569B1
KR101182569B1 KR1020100105152A KR20100105152A KR101182569B1 KR 101182569 B1 KR101182569 B1 KR 101182569B1 KR 1020100105152 A KR1020100105152 A KR 1020100105152A KR 20100105152 A KR20100105152 A KR 20100105152A KR 101182569 B1 KR101182569 B1 KR 101182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eet
tweets
template
unit
tw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1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46806A (en
Inventor
서명일
김수미
Original Assignee
김수미
서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미, 서명일 filed Critical 김수미
Priority to KR1020100105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569B1/en
Publication of KR20120046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8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5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인 트위터(twitter)에 자신이 남긴 글인 트윗이나 타인의 트위터에 있는 글을 자신의 트위터로 옮겨온 리트윗 등의 글을 추출하여 자신만의 책으로 소유할 수 있도록, 트위터에 게재되어 있는 트윗을 다양한 조건에 의해 추출하고, 다양한 템플릿을 이용하여 추출된 트윗들의 레이아웃을 형성하고, 이를 책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게 한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eet 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a tweet, which is his or her leftovers on twitter, a social network service, or a retweet that transfers an article on another person's Twitter to his or her Twitter. In order to extract the text and own it as a book, you can extract tweets posted on Twitter under various conditions, form the layout of the extracted tweets using various templates, and provide them in the form of books. It relates to a tweet 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Figure R1020100105152
Figure R1020100105152

Description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TWITBOOK SERVICE SYSTEM}Tweet book service provision system {TWITBOOK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인 트위터(twitter)에 자신이 남긴 글인 트윗이나 타인의 트위터에 있는 글을 자신의 트위터로 옮겨온 리트윗 등의 글을 추출하여 자신만의 책으로 소유할 수 있도록, 트위터에 게재되어 있는 트윗을 다양한 조건에 의해 추출하고, 다양한 템플릿을 이용하여 추출된 트윗들의 레이아웃을 형성하고, 이를 책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게 한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eet 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a tweet, which is his or her leftovers on twitter, a social network service, or a retweet that transfers an article on another person's Twitter to his or her Twitter. In order to extract the text and own it as a book, you can extract tweets posted on Twitter under various conditions, form the layout of the extracted tweets using various templates, and provide them in the form of books. It relates to a tweet 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근래에 이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 SNS)는 웹과 모바일상에서 이용자들이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게 해 주는 서비스로서, 국내의 싸이월드, 미국의 트위터, 페이스북 등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Social Network Service (SNS), which is rapid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is a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form a human network on the web and mobile devices. Cyworld, Twitter, Facebook, etc. It can be mentioned representatively.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에서도, 특히 트위터(Twitter)는 젊은 세대들만의 문화를 교류하는 수단으로 이용하던 기존 서비스들과는 달리, 국내외 저명인사들도 다수의 팔로어를 보유하면서 일반 대중과 소통하는데 이용하는 등 그 이용자의 범위가 훨씬 폭넓게 확대되어 하나의 전 세계적 트렌드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Among these social network services, in particular, the Twitter (Twitter), unlike the existing services used as a means of exchanging the culture of the young generatio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elebrities also have a large number of followers to use the communication with the general public, such as the range of users Is expanding far and wider and becoming a global trend.

이러한 트위터에는 자신이 직접 글을 작성하여 트위터에 남기는 트윗과, 타인의 트위터에 있는 글이나 정보를 자신의 트위터로 옮겨온 리트윗 등 많은 정보와 글 또는 이미지 등의 콘텐츠가 있게 되는데, 이러한 트윗과 리트윗 등의 콘텐츠들은 퍼스널 컴퓨터나 스마트 폰 등을 이용하여 통신망상에서 해당 트위터에 접속한 후 그 내용을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This Twitter will contain a lot of information, such as tweets that you write your own posts and leave on Twitter, and retweets that transfer posts or information from other people's Twitter to your Twitter. The contents of Wit, etc. are generally viewed after accessing the corresponding Twitter on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personal computer or a smart phone.

이와 같이 통신망상에서 트위터에 접속하여 트윗과 리트윗 등의 콘텐츠를 볼 경우 트위터에 새로이 올라온 콘텐츠들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편리한 점은 있지만, 이러한 트윗과 리트윗 등의 내용이 작성되어 있는 타임라인의 트윗은 일정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뒤로 밀리게 되어 다시 보기 어렵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As such, when accessing Twitt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viewing contents such as tweets and retweets, it is convenient to check the contents newly posted on Twitter in real time, but the contents of the timeline where such tweets and retweets are written Tweets are usually pushed back over time, making it difficult to see them again.

또한, 다수의 트위터 이용자들은 자신이 남긴 글이 팔로워들에 의해 일시적으로 읽혀지다가 사라지는 것보다는 자신에 관한 트윗활동 기록의 일환으로 장기간 보관하고 싶은 바람을 갖고 있으나, 실시간으로 갱신되어야 하는 온라인 서비스의 제약으로 인해 이러한 트윗이나 리트윗 등의 콘텐츠를 장기간 보관할 수 없었던 아쉬움이 있었다.In addition, many Twitter users want to keep their posts as part of their tweet activity record rather than being read and disappeared by followers temporarily, but the limitations of online services that need to be updated in real time. Due to this, there was a pity that the contents such as tweets and retweets could not be kept for a long time.

또한, 유명한 소설가나 정치인 등 다수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는 저명인사들의 트위터에는 해당 저명인사들의 삶의 철학 등이 직접적으로 투영된 좋은 트윗들이 다수 존재하게 되므로, 이를 일종의 격언집과 같이 보유하고자 하는 바람도 있으나, 온라인상에서 제공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자체의 특성상 리트윗과 별표표시(Favorite) 이외에는 이를 별도로 저장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are many good tweets that directly reflect the philosophies of the famous people's life on Twitter of prominent celebrities who have a large number of followers such as famous novelists and politicians.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itself provided online, it was difficult to store it separately except for retweets and stars.

이러한 저명인사들의 트윗을 모은 모음집을 출판사에서 격언집의 형태로 제작하여 판매하기에는 그 수요의 예측이 어렵다는 문제점과, 출판에 드는 옵셋 인쇄 등의 제작기본 단가가 높다는 문제점과, 온라인상에서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 내용의 새로움이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demand to produce and sell a collection of tweets of prominent celebrities in the form of aphorisms, the problem of high production basic costs such as offset printing for publishing, and its contents onlin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freshness of the content is reduced.

또한, 트위터에서는 운영 정책상 트윗 개수가 3200개가 넘으면 이전의 트윗을 추출할 수 없게 하고 있는바, 예전에 작성하였던 트윗이나 리트윗 등의 콘텐츠를 다시 보고자 할 경우 이를 추출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witter, if the number of tweets exceeds 3200, the previous tweets cannot be extracted. If the user wants to see the contents of tweets or retweets that were previously written, there is a problem that they cannot be extracted. .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트위터에 자신이 남긴 글인 트윗이나 타인의 트위터에 있는 글을 자신의 트위터로 옮겨온 리트윗 등의 콘텐츠를 추출하여 자신만의 책으로 소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온라인상에 남겨진 자신의 기록들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게 한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by extracting content such as tweets that he left on Twitter or retweets of others' tweets to his Twitter, it is possible to own and own the book onli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eet 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enables long-term preservation of leftover records.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상에서만 존재하던 트윗을 오프라인 형태의 트윗 북으로 소장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본인의 소장용 트윗과 준전문가들의 특수 기능에 관한 기술정보집과, 다수의 팔로워를 보유하는 저명인사들의 삶의 철학 등이 자연스럽게 투영되어 있는 트윗을 격언집과 같이 장기간 보유할 수 있게 한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collection of tweets that existed only online in an offline form of tweet book, so that the collection of technical information about the special functions of the tweets and quasi-professionals of the own collection and the celebrities who have a large number of follow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eet 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enables a user to keep a tweet that is naturally reflected in his philosophy, such as a proverb.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트윗 북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통신망상에서 접속한 사용자를 트위터의 계정을 이용하여 인증하는 트위터 연동 인증부; 상기 트위터의 계정을 이용하여 인증된 사용자가 작성한 트윗이나 자신의 트위터로 옮겨온 리트윗 등의 콘텐츠를 추출하는 트윗 추출부; 상기 추출된 트윗 등이 배치될 템플릿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고, 선택된 템플릿에 추출된 트윗 등의 콘텐츠가 배치되어 템플릿을 적용하고, 컬러와 폰트 등을 편집하여 저장하는 템플릿 적용부; 및 상기 템플릿에의 적용과 편집이 이루어진 추출된 트윗 등의 콘텐츠를 해당 템플릿과 함께 저장하여 인쇄용 파일을 생성하는 트윗 북 파일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weet 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witter linked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a user connected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use the tweet book service using a Twitter account; A tweet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content such as tweets written by an authenticated user or retweets transferred to their Twitter using the Twitter account; A template application unit for selecting a template in which the extracted tweets are to be arranged from a database, applying content such as extracted tweets to the selected template, applying a template, and editing and storing colors and fonts; And a tweet book fil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file for printing by storing content such as an extracted tweet, which has been applied and edited in the template, with the template.

상기 트윗 추출부는, 트윗이나 리트윗 등의 콘텐츠가 자신의 트위터에 작성되었던 기간을 설정하는 추출 기간 설정부; 해당 기간 내에 작성된 트윗이나 리트윗 중에서 추출하고자 하는 트윗 등의 개수를 설정하는 추출 트윗수 설정부;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이나 이미지 등을 추출하는 유저 이미지 추출부; 및 추출된 트윗 등의 콘텐츠 중 인쇄될 필요가 없는 단어들을 필터링하여 트윗을 배제시키는 트윗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weet extracting unit may include: an extracting period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period during which content such as a tweet or a retweet is written in its own tweeter; An extraction tweet number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number of tweets to be extracted among tweets or retweets created within a corresponding period; A user image extracting unit which extracts a user's profile picture or image; And a tweet filter for filtering out words that do not need to be printed among contents such as extracted tweets to exclude tweets.

이때, 상기 트위터 연동 인증부는 오스 인증(oAuth API : Open Authorizatio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을 기반으로 하여 구성되고, 상기 트윗 추출부는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트윗 등을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twitter interworking authentication unit is configured based on OAuth API (OAuth API: Open Authorizatio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the tweet extraction unit using a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 user information and the user's tweet, etc.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extract the.

상기 트윗 추출부는 해쉬태그를 이용하여 특정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트윗들 만을 추출할 수 있는 해쉬태그 추출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템플릿 적용부는 트윗 추출부에서 추출된 트윗 등의 개수에 따라 레이아웃의 밀집 또는 분산 형태를 선택적으로 자동 변형하여 템플릿에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tweet extractor further includes a hash tag extractor configured to extract only tweets including a specific word using a hash tag, and the template applier is configured to the number of tweets extracted from the tweet extractor.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dense or distributed form of the layout to be automatically modified to apply to the template.

또한, 상기 트윗 추출부에서 추출된 트윗의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는 URL이나 Short URL, 또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자기소개(Bio)나 홈페이지의 주소에 해당하는 QR코드를 생성하여 템플릿에 배치시키는 QR코드 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QR code for generating a QR code corresponding to a URL or a short URL included in the contents of the tweet extracted by the tweet extracting unit, or a self-introduction (Bio) or a homepage address directly input by the user and placing the QR code on a template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generation unit.

또한, 상기 트위터 연동 인증부에서 인증된 사용자의 트윗을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일로 백업하여 트위터와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트윗 백업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weeter may further include a tweet backup unit configured to back up the tweet of the user authenticated by the twitter interworking authentication unit as an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file and store it in a database separate from Twitter.

본 발명은 온라인상의 트위터에 존재하는 많은 트윗이나 리트윗 등의 콘텐츠를 추출하여 인쇄물의 형태인 자신만의 책으로 소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온라인상에 남겨진 기록들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serve the records left online for a long time by extracting a lot of content such as tweets or retweets existing on Twitter online and owned in their own book for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트윗 추출부에서 트윗을 추출하기 위해 적용되는 프로그램 소스의 일부 예시화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템플릿 적용부에서 템플릿을 선택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화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선택한 템플릿을 적용한 것을 나타낸 예시화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템플릿이 적용된 트윗북의 커버를 나타낸 예시화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템플릿이 적용된 트윗북의 내용을 나타낸 예시화면.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tweet 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tweet 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program source applied to extract a tweet from a tweet extra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ample screen showing the selection of a template in the template apply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screen showing that the selected template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screen showing a cover of a tweetbook to which a template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screen showing the contents of the tweetbook to which the template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tweet 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tweet 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은 트위터와 연동하면서 트위터의 계정을 이용하여 트윗 북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통신망상에서 접속한 사용자를 인증하는 트위터 연동 인증부(100)와, 상기 트위터의 계정을 이용하여 인증된 사용자가 작성한 트윗이나 자신의 트위터로 옮겨온 리트윗 등의 콘텐츠를 추출하는 트윗 추출부(200)와, 추출된 트윗 등의 수에 따라 레이아웃을 변형하면서 템플릿을 적용하고 컬러와 폰트 등을 편집하는 템플릿 적용부(300)와, 상기 템플릿에의 적용과 편집이 이루어진 추출된 트윗을 책으로 출력할 수 있는 인쇄용 파일로 생성하는 트윗 북 파일생성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tweet 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witter interworking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a user connected on a communication network to use a tweet book service using a Twitter account while interworking with twitter 100 and a tweet extracting unit 200 for extracting content such as tweets written by an authenticated user using the Twitter account or retweets transferred to their Twitter, and the layo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extracted tweets. Template applying unit 300 for applying a template while editing and editing colors and fonts, and a tweet book fil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printable file for outputting the extracted tweets applied and edited to the template as a book. And 400.

상기 트위터 연동 인증부(100)는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에의 별도의 회원 가입 없이 사용자의 트위터 계정으로 트위터에 보관되어 있는 트위터 사용자의 보호된 데이터에 대한 접근권한을 인증 받을 수 있도록 오스 인증(oAuth API : Open Authorizatio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을 기반으로 하여 구성된다.The Twitter interworking authentication unit 100 authenticates the OS so that the user can authenticate access rights to the protected data of the Twitter user stored in Twitter with the user's Twitter account without registering as a separate member in the tweet 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oAuth API: Open Authorizatio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그에 따라, 상기 트위터 연동 인증부(100)가 트위터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바이더(40)에게 임시로 사용되는 리퀘스트 토큰을 요청하면, 그에 대하여 상기 서비스 프로바이더(40)는 리퀘스트 토큰을 발급해 주게 된다. 이후 상기 트위터 연동 인증부(100)가 상기 리퀘스트 토큰과 인증 URL을 트윗 북 사용자에게 알려주면,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인증을 수행한 후 상기 서비스 프로바이더(40)로부터 핀번호를 수신 받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twitter interworking authentication unit 100 requests a request token to be used temporarily from the service provider 40 providing the twitter service, the service provider 40 issues a request token to it. do. Thereafter, when the twitter interworking authentication unit 100 informs the tweet book user of the request token and the authentication URL, the user performs authentication by using this and receives a pin number from the service provider 40.

상기 트위터 연동 인증부(100)는 상기 핀번호를 받은 후 해당 핀번호와 리퀘스트 토큰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바이더(40)에게 억세스 토큰을 요청하게 되며, 상기 서비스 프로바이더(40)는 이러한 요청을 검증하여 해당 트위터 사용자의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는 억세스 토큰을 발급하게 되고, 상기 트위터 연동 인증부(100)는 상기 억세스 토큰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보호된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게 된다.After receiving the pin number, the Twitter interworking authentication unit 100 requests an access token from the service provider 40 by using the corresponding pin number and request token information, and the service provider 40 requests the access token. By verifying the request, an access token for issuing a twitter user's resource is issued, and the twitter interworking authentication unit 100 is authorized to access a user's protected resource using the access token. do.

이때, 상기 트위터 연동 인증부(100)는 소켓 통신에서 일반 텍스트를 이용하는 대신 SSL이나 TLS 프로토콜을 통해 세션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데이터의 적절한 보호를 보장할 수 있도록, 월드 와이드 웹 통신 프로토콜인 HTTP에서 보안이 강화된 프로토콜인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를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twitter interworking authentication unit 100 is secured in the world wide web communication protocol HTTP so as to ensure proper protection of data by encrypting session data through SSL or TLS protocol instead of using plain text in socket communication. It is desirable to be configured to use the enhanced protocol 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 (HTTPS).

상기 트윗 추출부(200)는 상기 트위터 계정으로 인증된 사용자가 작성하였던 트윗이나 자신의 트위터로 옮겨온 리트윗 등의 콘텐츠가 자신의 트위터에 작성되었던 기간을 설정하는 추출 기간 설정부(210)와, 해당 기간 내에 작성된 트윗이나 리트윗 중에서 추출하고자 하는 트윗 등의 개수를 설정하는 추출 트윗수 설정부(220)와,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이나 이미지 등을 추출하는 유저 이미지 추출부(230)와, 추출된 트윗 등의 콘텐츠 중 책의 형태로 인쇄될 필요가 없는 단어들을 필터링하여 트윗을 배제시키는 트윗 필터(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weet extractor 200 may include an extraction period setting unit 210 for setting a period during which content such as tweets written by a user authenticated with the Twitter account or retweets transferred to their tweeter was written in their Twitter; An extracted tweet number setting unit 220 for setting the number of tweets to be extracted among tweets or retweets created within a corresponding period, a user image extracting unit 230 for extracting a user's profile picture or image, and the like; It includes a tweet filter 240 to filter out words that do not need to be printed in the form of a book, such as tweets, to exclude tweets.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트윗 추출부에서 트윗을 추출하기 위해 적용되는 프로그램 소스의 일부 예시화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윗 추출부(200)는 도메인 지향 데이터를 HTTP위에서 SOAP나 쿠키를 통한 세션 트래킹 등의 부가적인 전송 레이어 없이 전송하기 위한 간단한 인터페이스인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트윗 등을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program source applied to extract a tweet from a tweet extra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tweet extractor 200 is a simple interface for transferring domain-oriented data without additional transport layers such as session tracking through SOAP or cookies over HTTP.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extract the user's information and the user's tweet using the.

또한, 상기 트윗 추출부(200)는 트위터에서 특정 단어(예를 들어, #마이트윗북_, #mytwitbook)가 포함되어 있는 트윗 등을 검색하여 추출할 수 있도록 해쉬태그를 이용하여 트윗을 추출하는 해쉬태그 추출부(25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weet extractor 200 extracts a tweet using a hash tag to search for and extract a tweet including a specific word (for example, #mytweetbook_, #mytwitbook) on Twit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hash tag extraction unit 250 is further included.

상기 해쉬태그 추출부(250)에서는 단어 전단에 구비된 해쉬태그(#)를 이용하여 특정 단어 또는 특정 주제에 대한 그룹단위의 추출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 단위가 아니라 특정 주제를 단위로 한 트윗북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특정 주제로 이루어진 전시회나 박람회 또는 회의, 컨퍼런스를 포함하는 이벤트 현장을 실시간으로 중계하는 트위터를 운영하면서, 해쉬태그를 통한 특정 주제에 대한 전문가들의 토론 내용과 의견 등을 수집하여 이벤트 트윗 북의 형태로 배포함으로써 전문적인 분야에서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기록물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The hash tag extractor 250 extracts a specific word or a group unit for a specific subject by using a hash tag (#)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a word, thereby tweeting the book based on a specific subject rather than a user unit. Can be made. Therefore, while operating Twitter to broadcast the event site including exhibitions, fairs, conferences, and conferences on a specific topic in real time, hashtags gather expert discussions and opinions on specific topics, By distributing it in a form, it is easy to produce records that can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even in specialized fields.

상기 템플릿 적용부(300)는 상기 트윗 추출부에서 추출된 트윗이나 리트윗 또는 이미지 등의 콘텐츠가 배치될 템플릿을 데이터베이스(800)에서 선택하고, 선택된 템플릿에 추출된 트윗 등의 콘텐츠가 자동 배치되어 템플릿이 적용되도록 구성된다. The template application unit 300 selects a template in which the content such as tweets, retweets or images extracted from the tweet extraction unit is to be placed in the database 800, and the content such as tweets extracted in the selected template is automatically arranged. The template is configured to be appli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템플릿 적용부에서 템플릿을 선택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화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선택한 템플릿을 적용한 것을 나타낸 예시화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템플릿이 적용된 트윗북의 커버를 나타낸 예시화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템플릿이 적용된 트윗북의 내용을 나타낸 예시화면이다.4 is an exemplary screen showing the selection of a template in the template apply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emplary screen showing the application of the selected tem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tweet book to which the template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screen showing a cover of FIG. 7 is an example screen showing contents of a tweetbook to which a template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템플릿 적용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윗북을 형성하기 위해 여러 색상으로 표현된 다양한 템플릿의 예시화면을 보면서 자신의 트윗북을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을 선택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한 템플릿의 세부정보를 보면서 적용여부를 결정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template applying unit 300 selects a template for generating its own tweetbook while viewing example screens of various templates expressed in various colors to form a tweetbook. As shown, it is determined whether to apply while viewing the details of the selected template.

또한, 상기 템플릿 적용부(3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템플릿에 추출된 트윗을 자동으로 얹어서 미리보기 할 수 있게 하여 책으로 출력된 후의 상태를 미리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emplate application unit 300, as shown in Figures 6 and 7, to automatically load the preview of the tweet extracted on the selected template to preview the state after being output to the book in advance visually It may be configured.

이때, 상기 트윗 추출부(200)에서 추출된 트윗 등의 개수에 따라, 즉 트윗이 많을 경우에는 밀집된 형태의 레이아웃을 형성하고, 트윗이 적을 경우에는 분산된 형태의 레이아웃을 형성하는 등 레이아웃이 자동으로 변형되면서 템플릿을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weets extracted by the tweet extractor 200, that is, when there are many tweets, a dense layout is formed, and when there are few tweets, the layout is automatically formed.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apply a template while transforming to.

또한, 추출된 트윗은 추후 인쇄되어 책자인 트윗 북의 형태로 출력 및 보관될 것을 예정하고 있으므로, 트윗 북의 커버 페이지를 선택하고, 제목이나 컬러 또는 폰트 등을 수정하면서 편집할 수 있는 편집수단도 상기 템플릿 적용부(300)에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xtracted tweets will be printed later and output and stored in the form of a tweet book, which is a booklet. Therefore, editing means can be edited while selecting the cover page of the tweet book and modifying the title, color, or font.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included in the template applying unit 300.

상기 트윗 북 파일생성부(400)는 상기 템플릿 적용부(300)에서 템플릿이 적용된 트윗 등의 콘텐츠를 해당 템플릿과 함께 데이터베이스(800)에 저장하여 책으로 출력되기 직전의 트윗 북 파일인 인쇄용 템플릿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트윗 북 파일은 다양한 종류의 문서 또는 이미지 파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오픈 소스 PHP Library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는 PDF 파일로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weet book file generating unit 400 stores a content such as a tweet to which the template is applied by the template applying unit 300 together with the template in a database 800 and prints a template for a tweet book file immediately before being output as a book. Configured to generate. In this case, the tweet book file may be composed of various types of documents or image files, bu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generate a PDF file that can be easily generated using an open source PHP Library.

이때, 상기 트윗 북 파일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인쇄용 템플릿은 해당 내용을 다른 인쇄용 템플릿과 구별할 수 있는 이름을 생성하여 폴더 및 파일의 형태로 저장되며, 추후 프린트샵(50)에서 통신망(30)을 통하여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template for printing generated by the tweet book file generating unit 400 generates a name that can distinguish the corresponding content from other printing templates, and is stored in the form of a folder and a file. Configured to be accessible via 30).

따라서, 트윗 북을 제작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트윗 북에 담겨질 내용을 추출하고 템플릿에 배치시켜 인쇄용 템플릿의 형태로 생성하고, 이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800)에 저장한 후, 프린트샵(50)에서 이러한 인쇄용 템플릿을 다운받아 출력함으로써 자신만의 소장용 트윗 북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 user who wants to produce a tweet book extracts the contents to be contained in the tweet book, places them in a template, creates them in the form of a printable template, stores them in a separate database 800, and then prints them in the print shop 50. By downloading the template and printing it, you can easily create your own collection of tweets.

또한, 상기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은 추출된 트윗의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는 URL이나 Short URL 들에의 링크를 제공하는 매트릭스 형태의 이차원 바코드인 QR코드를 생성한 후 해당 트윗의 주변에 배치시키는 QR코드 생성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weet 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10 generates a QR code, which is a two-dimensional barcode in a matrix form, which provides a link to URLs or short URLs included in the contents of the extracted tweets, and then places them around the corresponding tweets. It is preferable that the QR code generating unit 500 further comprises a.

그에 따라, 상기 QR코드 생성부(500)는 추출된 트윗의 내용 중에서 홈페이지 주소인 URL이나 Short URL 등을 추출하고, 추출된 URL에 해당하는 QR코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됨은 물론,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자기소개(Bio)나 홈페이지의 주소에 해당하는 QR코드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the QR code generation unit 500 is configured to extract a URL or a short URL, such as a homepage address, from the contents of the extracted tweets, and generate a QR cod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URL, as well as directly input by the user. It is also configured to generate a QR code corresponding to a bio or homepage address.

이와 같이 상기 QR코드 생성부(500)에서 생성된 QR코드를 관련된 트윗의 주변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책자 형태로 출력된 트윗 북의 트윗을 보다가 관련된 상세정보를 알고 싶을 경우 스마트폰(20)으로 상기 QR코드를 스캔하여 즉시 확인할 수 있게 하여, 해당 트윗에 기재된 링크를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by placing the QR code generated by the QR code generation unit 500 to be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relevant tweet, if you want to know the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tweet of the tweet book output in booklet form, the smartphone 20 By scanning the QR code so that you can check immediate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assle of having to enter the link described in the tweet.

또한, 상기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은 사용자 본인의 트윗을 월드 와이드 웹페이지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문서형식인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일로 자동 백업하여 트위터 자체와는 별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하는 트윗 백업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weet 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10 automatically tweets the user's own tweets as an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file, which is a general document format used for world wide web pages, and stores the tweets separately from Twitter itself. Preferably, the backup unit 600 further includes a backup unit 600.

통상적으로 트위터 자체에서는 트윗 개수가 3200개를 넘게 되면 이전 트윗을 추출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전의 트윗을 다시 추출하여 오프라인 상에서도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트윗 북의 형태로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를 추출할 수 없었던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트윗 백업부(600)에서 본인의 트윗을 별도로 백업하여 저장함으로써, 트윗을 추출해야 함에 있어서의 트윗수의 제약이나 시간적인 제약을 받지 않고 예전의 트윗을 다시 추출하여 트윗 북의 형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Typically, Twitter itself is configured not to extract previous tweets when the number of tweets exceeds 3200, so if you want to extract the previous tweets and keep them in the form of Tweetbooks that can be checked offline, extract them. There was an inconvenience that could not be done. However, by directly backing up and storing the tweets of the tweeter in the tweet backup unit 600, the tweets are extracted again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number of tweets or the time constraints of the tweets. You can keep it.

또한, 상기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은 트윗 북의 기본 프레임을 형성하는 디자인 템플릿이나 자신의 트윗 등을 모아서 형성된 트윗 북 자체를 판매할 수 있도록 구성된 셀러 등록부(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weet 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1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eller register unit 700 configured to sell the tweet design itself formed by collecting the design template or their own tweets and the like forming the basic frame of the tweet book. It is preferable.

이때, 상기 셀러 등록부(700)는 책의 판형이나 디자인 템플릿을 일반 디자이너에게도 오픈하여 배포할 수 있도록 템플릿을 등록하는 디자인 템플릿 셀링부(710)와, 작가나 특정 분야의 전문가 또는 정치인이나 종교인 등 다수인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있는 사용자의 경우 자신의 트윗을 이용한 트윗 북 자체를 일반인에게 판매할 수 있도록 등록하는 트윗 셀링부(7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ller registration unit 700 is a design template selling unit 710 for registering a template to open and distribute the book form or design template of the book to a general designer, a number of writers or experts in a particular field or politician or religious In the case of a user having an influence on the user, the tweet book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weet selling unit 720 that registers the tweet book itself using the tweet of the user to the general public.

이와 같이, 트윗 북 자체를 판매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스쳐 지나가는 일시적인 온라인상의 트윗이 장기간 보존될 수 있는 책의 형태로 널리 배포될 수 있게 되므로 저명인사들이 자신의 평소 생활철학이나 삶의 모습을 대중에게 널리 알리며 교감할 수 있게 된다.Likewise, by enabling the sale of the tweet book itself, prominent online tweets can be widely distributed in the form of books that can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so that celebrities can spread their usual philosophy of life and life to the public. You can communicate and communicate.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이용하여 트윗 북을 제작하는 것을 설명한다.Next, it will be described to produce a tweet book using the tweet 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먼저, 퍼스널 컴퓨터나 스마트 폰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를 이용하여 통신망(30)상에서 트위터 연동 인증부(100)에 접속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오스 인증(oAuth API)을 기반으로 하여 트위터 계정(40)으로부터 인증을 받게 된다.First, at the request of a user who accesses the Twitter interworking authentication unit 100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30 using a client terminal 20 such as a personal computer or a smart phone, OS authentication (oAuth API) is performed without additional registration. Based on the authentication from the Twitter account 40.

이와 같이 인증을 받은 사용자의 트위터에서 트윗 북으로 생성하여 장기간 보관하고자 하는 트윗이나 리트윗 또는 이미지 등 콘텐츠의 추출 기간과 추출하고자 하는 트윗수를 트윗 추출부(200)에서 설정한 후, REST API를 이용하여 해당 트윗들을 추출하게 된다.In this way, the tweet extraction unit 200 sets the extraction period and the number of tweets to be extracted, such as tweets, retweets, or images, which are generated as tweetbooks from the authenticated user's Twitter, for a long time, and then the REST API The tweets are extracted.

이때, 추출된 모든 내용을 다시 보는 것은 번거로울 수 있으므로, 지면으로 인쇄될 필요가 없는 단어들을 트윗 필터(240)에서 자동으로 필터링 할 수 있음은 물론, 특정한 주제에 관한 내용들만을 추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해쉬태그 추출부(250)에 의해 특정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트윗들만을 추출할 수도 있게 된다.In this case, since it may be cumbersome to see all the extracted contents again, the words that do not need to be printed on the page may be automatically filtered by the tweet filter 240, and of course, if you want to extract only the contents of a specific subject. The hash tag extractor 250 may extract only tweets that include a specific word.

상기 트윗 추출부(200)에서 추출된 트윗의 개수에 따라 트윗 북의 기본 프레임을 이루는 템플릿에 트윗들이 자동 배치되면서 템플릿을 적용하게 된다. 이때, 템플릿 적용부(300)에서는 상기 템플릿이 적용된 트윗들의 예상되는 출력형태를 시각적으로 미리 보면서 템플릿을 변경하거나 배치를 바꾸는 등 편집을 수행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number of tweets extracted by the tweet extractor 200, tweets are automatically arranged in a template forming a basic frame of the tweet book, and the template is applied. In this case, the template applying unit 300 performs editing such as changing the template or changing the layout while visually previewing an expected output form of the tweets to which the template is applied.

상기 템플릿 적용부(300)에서 템플릿에의 트윗 배치와 편집이 완료된 템플릿과 콘텐츠를 트윗 북 파일 생성부에서 함께 저장하여 트윗 북 파일인 인쇄용 템플릿으로 생성한 후 데이터베이스(80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인쇄용 템플릿은 PDF 파일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생성된 인쇄용 템플릿인 PDF 파일을 프린트샵에서 다운받아 출력함으로써 자신만의 소장용 트윗 북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The template application unit 300 stores the template and the content in which the tweet placement and editing of the template is completed in the tweet book file generation unit, generates the tweet book file as a printable template, and stores the template in the database 800. In this case, the printing template is preferably generated as a PDF file. By downloading and printing the PDF file as a print template generated in the print shop, it is possible to easily create a own collection of tweet books.

이때, 스마트 폰(20) 등을 통한 세부정보 검색이 용이할 수 있도록, 추출된 트윗의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는 홈페이지 주소인 URL이나 Short URL 등을 추출하고 추출된 URL에 해당하는 QR코드를 생성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자기소개(Bio)나 홈페이지의 주소에 해당하는 QR코드를 생성하여 템플릿 상에 배치된 트윗의 주변에 위치하게 하여 출판물의 형태로 제작된 트윗 북의 세부 내용을 보다 용이하게 검색하게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facilitate the detailed search through the smart phone 20, etc., extract the URL or short URL, such as the homepage address included in the content of the extracted tweet and generate a QR cod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URL or In addition, by creating a QR code corresponding to the user's personal input (Bio) or the address of the homepage and placing it around the tweet placed on the template, the details of the tweet book produced in the form of a publication can be more easily. You can also search.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윗 북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 온라인상에서만 존재하던 트윗을 추출하여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자신만의 출판물 형태로 소유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트윗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면서 해쉬태그를 이용하여 특정 주제에 관한 이벤트 트윗 북 등도 용이하게 제작하여 배포할 수 있게 된다.As such, when the tweet book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tweets existing only online can be extracted and owned in the form of their own publication that can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and the hash tag can be easily extracted while the tweets are easily extracted. By using the event tweet book, etc. on a specific topic can be easily produced and distribut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 20 - 클라이언트 단말기
30 - 통신망 40 - 서비스 프로바이더
50 - 프린트샵
100 - 트위터 연동 인증부 200 - 트윗 추출부
210 - 추출 기간 설정부 220 - 추출 트윗수 설정부
230 - 유저 이미지 추출부 240 - 트윗 필터
250 - 해쉬태그 추출부 300 - 템플릿 적용부
400 - 트윗 북 파일생성부 500 - QR코드 생성부
600 - 트윗 백업부 700 - 셀러 등록부
800 - 데이터베이스
10-Tweet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20-Client terminal
30-Network 40-Service Provider
50-Print Shop
100-Twitter interworking authentication unit 200-Tweet extraction unit
210-Extraction period setting unit 220-Extraction tweet number setting unit
230-User image extractor 240-Tweet filter
250-Hashtag Extraction Unit 300-Template Application Unit
400-Tweetbook file generator 500-QR code generator
600-Tweet Backup 700-Seller Register
800-database

Claims (9)

트윗 북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통신망상에서 접속한 사용자를 트위터의 계정을 이용하여 인증하는 트위터 연동 인증부;
상기 트위터의 계정을 이용하여 인증된 사용자가 작성한 트윗이나 자신의 트위터로 옮겨온 리트윗과 같은 콘텐츠를 추출하는 트윗 추출부;
상기 추출된 트윗이나 리트윗과 같은 콘텐츠가 배치될 템플릿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고, 선택된 템플릿에 추출된 트윗이나 리트윗과 같은 콘텐츠가 배치되어 템플릿을 적용하고, 컬러와 폰트를 편집하여 저장하는 템플릿 적용부; 및
상기 템플릿에의 적용과 편집이 이루어진 추출된 트윗이나 리트윗과 같은 콘텐츠를 해당 템플릿과 함께 저장하여 인쇄용 파일을 생성하는 트윗 북 파일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
Twitter interworking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the user connected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Twitter account to use the tweet book service;
A tweet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content such as tweets written by an authenticated user or retweets transferred to their Twitter using the Twitter account;
Select a template in which a content such as the extracted tweet or retweet is to be placed in a database, apply the template by placing content such as the extracted tweet or retweet in the selected template, apply a template, and edit and store colors and fonts. part; And
And a tweet book file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file for printing by storing content such as an extracted tweet or retweet, which has been applied and edited in the template, with the tem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터 연동 인증부는 오스 인증(oAuth API : Open Authorizatio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을 기반으로 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tweeter interworking authentication unit is a tweet 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based on the oAuth API (Open Authorizatio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윗 추출부는,
트윗이나 리트윗과 같은 콘텐츠가 자신의 트위터에 작성되었던 기간을 설정하는 추출 기간 설정부;
해당 기간 내에 작성된 트윗이나 리트윗 중에서 추출하고자 하는 트윗이나 리트윗과 같은 콘텐츠의 개수를 설정하는 추출 트윗수 설정부;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이나 이미지와 같은 콘텐츠를 추출하는 유저 이미지 추출부; 및
추출된 트윗이나 리트윗과 같은 콘텐츠 중 인쇄될 필요가 없는 단어들을 필터링하여 트윗을 배제시키는 트윗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tweet extraction unit,
An extraction period setting unit for setting a period during which content such as tweets or retweets has been written in its own Twitter;
An extraction tweet number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number of contents such as tweets or retweets to be extracted among tweets or retweets written within a corresponding period;
A user image extracting unit which extracts content such as a profile picture or an image of the user; And
Tweet 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weet filter to filter out words that do not need to be printed out of the content, such as tweets or retweets extrac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윗 추출부는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트윗이나 리트윗과 같은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tweet extracting unit is a tweet 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extract the user's information and content, such as tweets or retweets of the user using a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윗 추출부는 해쉬태그를 이용하여 특정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트윗들 만을 추출할 수 있는 해쉬태그 추출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weet extracting unit further comprises a hash tag extracting unit configured to extract only tweets including a specific word using a hash ta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적용부는 트윗 추출부에서 추출된 트윗이나 리트윗과 같은 콘텐츠의 개수에 따라 레이아웃의 밀집 또는 분산 형태를 선택적으로 자동 변형하여 템플릿에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template application unit is configured to apply automatically to the template by selectively modifying the dense or distributed form of the layo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tent, such as tweets or retweets extracted from the tweet extraction unit.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윗 추출부에서 추출된 트윗의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는 URL이나 Short URL, 또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자기소개(Bio)나 홈페이지의 주소에 해당하는 QR코드를 생성하여 템플릿에 배치시키는 QR코드 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QR cod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QR code corresponding to a URL or a short URL included in the content of the tweet extracted by the tweet extraction unit, or a self-introduction (Bio) or a homepage address directly input by the user, and placing it on a template. Tweet 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터 연동 인증부에서 인증된 사용자의 트윗을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일로 백업하여 트위터와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트윗 백업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weet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weet backup unit for backing up the tweets of the user authenticated by the twitter interworking authentication unit as an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file and stored in a database separate from Twitt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윗 북의 기본 프레임을 형성하는 디자인 템플릿을 공개하여 배포할 수 있도록 등록하는 디자인 템플릿 셀링부와, 사용자 자신의 트윗을 추출하여 생성된 트윗 북을 판매할 수 있도록 등록하는 트윗 셀링부로 이루어진 셀러 등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Seller register consisting of a design template selling unit for registering to publish and distribute the design template forming the basic frame of the tweet book, and a tweet selling unit for registering to sell the tweet book generated by extracting the user's own tweets Tweet 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KR1020100105152A 2010-10-27 2010-10-27 Twitbook service system KR1011825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152A KR101182569B1 (en) 2010-10-27 2010-10-27 Twitbook servi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152A KR101182569B1 (en) 2010-10-27 2010-10-27 Twitbook servic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806A KR20120046806A (en) 2012-05-11
KR101182569B1 true KR101182569B1 (en) 2012-09-26

Family

ID=46265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152A KR101182569B1 (en) 2010-10-27 2010-10-27 Twitbook servic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56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116B1 (en) * 2012-03-07 2014-01-14 김수미 Mice twit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thereof method using twitter mashup
KR101468294B1 (en) * 2013-03-18 2014-12-0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lbum based on web services dealing with social information
KR101700898B1 (en) * 2014-07-28 2017-02-13 주식회사 동자소 The apparatus which supports a self-introduction process using a video contents
KR101649034B1 (en) * 2014-08-01 2016-08-17 황금석 Method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book service
KR102108231B1 (en) 2017-12-26 2020-05-07 주식회사 포스코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333B1 (en) 2005-03-09 2007-03-29 (주) 능률교육 Web-based electronic book publishing system via educating web log
KR100867199B1 (en) 2008-03-11 2008-11-06 유니닥스주식회사 Pdf-based scraping and publishing system with user orient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333B1 (en) 2005-03-09 2007-03-29 (주) 능률교육 Web-based electronic book publishing system via educating web log
KR100867199B1 (en) 2008-03-11 2008-11-06 유니닥스주식회사 Pdf-based scraping and publishing system with user orien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806A (en)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77824B (en) Content stream is generated and delivery system and its grasping means
JP2017504857A (en) Document management and collaboration system
DE202010018551U1 (en) Automatically deliver content associated with captured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collected in real-time
KR101182569B1 (en) Twitbook service system
CN106796632A (en) To the Remote Visit and Control of data storage
CN103678463B (en) The method and apparatus that metadata is associated with media object
KR101351116B1 (en) Mice twit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thereof method using twitter mashup
JP2019537113A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computing devices
KR100858103B1 (en) Template-based pdf publishing system for web contents
KR102512633B1 (en) System for providing cloud based document template service
KR20130074853A (en) Method for creating and acquiring of document using barcode
WO2020217705A1 (en) Content sharing device for sharing content derived from digital ink, method, program, and system
KR100867199B1 (en) Pdf-based scraping and publishing system with user orientation
US20160162442A1 (en) Cloud based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organizing and managing portable digital format documents
US20090327298A1 (en) Multimedia journal with selective sharing, sealed entries, and legacy protection
US10452683B2 (en) Selectively synchronizing data on computing devices based on selective sync templates
JP7381017B2 (en) Video registr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video registration distribution method
KR20200017995A (en) Method and appartus for providing service for generating and utilizing designed qr code
Schrepel The theory of granularity
Hollaus Annex: The EUs environmental treaties with compliance mechanisms
Brownsword Rethinking crime, control, and channelling
KR102027259B1 (en) A relay system for certification data of objects using the verification URL
Suman Introduction to The Policy Uptake of Citizen Sensing
Sharp Legality and a latent hashtag jurisprudence
Shani et al. Phases, mechanisms and qu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