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275B1 - Door control device coupled with wing deploying and flight vehicl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oor control device coupled with wing deploying and flight vehicl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275B1
KR101181275B1 KR1020100004075A KR20100004075A KR101181275B1 KR 101181275 B1 KR101181275 B1 KR 101181275B1 KR 1020100004075 A KR1020100004075 A KR 1020100004075A KR 20100004075 A KR20100004075 A KR 20100004075A KR 101181275 B1 KR101181275 B1 KR 101181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ate
wing
opening
lock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0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94968A (en
Inventor
이우용
신상훈
홍헌석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00004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275B1/en
Priority to PCT/KR2010/003756 priority patent/WO2011087189A1/en
Publication of KR20120094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9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2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0Means for influencing, e.g. improving,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projectiles or missiles; Arrangements on projectiles or missiles for stabilising, steering, range-reducing, range-increasing or fall-retarding
    • F42B10/02Stabilising arrangements
    • F42B10/14Stabilising arrangements using fins spread or deployed after launch, e.g. after leaving the barr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행체의 도어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행체에 관한 것으로, 비행체의 도어 제어장치는 비행체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날개가 전개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개구와, 상기 개구를 여는 제1 상태와 상기 개구를 닫는 제2 상태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회전되도록 상기 도어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유닛, 및 상기 도어를 상기 제1 상태에서 록킹하며 상기 날개가 전개되면 상기 도어가 상기 제2 상태로 회전되도록 상기 날개의 전개와 연동하여 상기 도어를 언록킹하는 도어 록킹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별도의 구동장치의 적용 및 인위적인 작동 신호의 인가없이 도어의 닫힘이 가능하게 하며, 작동 신뢰성이 높은 비행체의 도어 제어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control apparatus of a vehicle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the door control apparatus of the aircraft is an opening formed in the main body so that the wings are deploye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f the aircraft, and the first state of opening the opening and A door mounted to the main body to be rotatable between a second state of closing the opening, an elastic unit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door to rotate the door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and the door It locks in the state 1 and includes a door locking unit for unlocking the door in conjunction with the deployment of the wing so that the door is rotated to the second state when the wing is deploy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door to be closed without the application of a separate driving device and the application of an artificial operating signal, and provides a door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with high operational reliability.

Description

날개 전개와 연동된 비행체의 도어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행체{DOOR CONTROL DEVICE COUPLED WITH WING DEPLOYING AND FLIGHT VEHICLE HAVING THE SAME} DOOR CONTROL DEVICE COUPLED WITH WING DEPLOYING AND FLIGHT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날개의 전개와 연동하여 도어를 제어하는 비행체의 도어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행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that controls the door in conjunction with the deployment of the wing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안정적인 비행을 위하여 비행체에는 날개가 장착된다. 특히 유도탄의 경우에, 날개는 발사관 내에서 동체 내부로 접혀 있다가 발사관 이탈 후 적정 비행 시점에서 동체 밖으로 전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날개의 전개 시점에서는 동체의 외표면에 날개가 전개될 수 있도록 개구가 존재하여야 하는 반면, 비행 시의 공력 성능을 유지하도록 날개 전개 이후에는 이와 같이 개구를 닫아야 한다. 이를 통하여 연속적인 유도탄 외표면을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를 닫기 위하여 유동탄에는 도어가 구비된다.The aircraft is equipped with wings for stable fligh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guided missiles, the wing may be folded into the fuselage within the launch tube and then deployed out of the fuselage at the appropriate flight point after the launch tube exits. In this case, the opening must be present at the time of deployment of the wing so that the wing can be deploy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uselage, while the opening must be closed after the deployment of the wing to maintain aerodynamic performance during flight. Through this, a continuous guided outer surface of the missile can be formed, and the coal is provided with a door to close the opening.

도어를 제어하는 방식에는 전기식, 유공압 방식 및 화약식 구동장치 등을 이용하여 적정 시점에서 도어를 인위적으로 닫는 방식과, 탄성력을 가하여 도어를 닫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인위적으로 닫는 방식은 별도의 구동원이 필요하고, 탄성력을 가하는 방식은 도어가 닫히는 시점을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door may include a method of artificially closing the door at an appropriate time by using an electric, pneumatic, and explosive driving device, and a method of closing the door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However, the artificial closing method requires a separate driving source, and the method of applying an elastic forc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timing of closing the door cannot be adjusted.

따라서, 별도의 구동원이 없이 적정 시점에서 도어의 닫음이 가능한 도어 제어장치가 고려될 수 있다.
Therefore, a door control device capable of closing the door at an appropriate time without a separate driving source may be considered.

본 발명은 종래와는 도어 닫힘 시기를 기하하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비행체의 도어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행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that can geometrically set the door closing timing and the aircraft having the same as in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하며 작동 신뢰성이 높은 비행체의 도어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행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with a simpler and more reliable operation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비행체의 도어 제어장치는, 비행체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날개가 전개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개구와, 상기 개구를 여는 제1 상태와 상기 개구를 닫는 제2 상태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회전되도록 상기 도어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유닛, 및 상기 도어를 상기 제1 상태에서 록킹하며, 상기 날개가 전개되면 상기 도어가 상기 제2 상태로 회전되도록 상기 날개의 전개와 연동하여 상기 도어를 언록킹하는 도어 록킹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oo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opening formed in the main body such that a wing extends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a first state of opening the opening, and A door mounted to the main body to be rotatable between a second state of closing the opening, an elastic unit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door so that the door rotates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and the door to the first It locks in a state, and when the wing is deployed includes a door locking unit for unlocking the door in conjunction with the deployment of the wing so that the door is rotated to the second state.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 록킹부는 록킹 바, 홀더 및 접촉 핀을 포함한다. 록킹 바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홀더는 상기 도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록킹 바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접촉 핀은 상기 록킹바의 타단과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록킹 바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록킹 바가 상기 홀더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날개가 전개되는 도중에 상기 날개에 걸리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locking part includes a locking bar, a holder and a contact pin. The locking bar is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mount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slidable. The holder extends from the door and is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of the locking bar is inserted in the first state. The contact pin protrude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cking bar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bar, and is formed to be caught by the wing while the wing is deployed so that the locking bar slides in the direction of exit from the holder.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날개는 회전에 의하여 전개되며, 상기 록킹 바는 상기 날개의 회전 작동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접촉 핀은 상기 회전 작동면을 관통한다. 상기 날개는 상기 전개되는 도중에 상기 날개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선단이 상기 접촉 핀에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 록킹부는 상기 록킹 바에 상기 홀더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is deployed by rotation, the locking bar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rotational operation surface of the blade, the contact pin penetrates through the rotational operation surface. The blade is made so that the tip is caught by the contact pin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blade during the deployment. The door locking unit may include a spring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locking bar in a direction toward the holder.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는 도어 몸체 및 홀더를 포함한다. 도어 몸체는 상기 개구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 유닛에 의하여 지지된다. 홀더는 상기 도어 몸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를 록킹시키도록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도어 록킹부의 적어도 일부에 의하여 구속된다.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탄성 유닛은 상기 힌지 결합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비틀림 모멘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includes a door body and a holder. The door body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and is supported by the elastic unit. The holder is form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door body and is constrained by at least a portion of the door locking portion in the first state to lock the door. The door may be hinged to the main body, and the elastic unit may be formed to generate a torsional moment based on a central axis of the hinge coupl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는 비행체는, 비행체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전개되는 날개, 및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날개의 전개와 연동하여 상기 도어를 상기 개구를 여는 제1 상태에서 상기 개구를 닫는 제2 상태로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상기 비행체의 도어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ng body and a wing that extends from the inside of the body to the outside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a door, And a door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configured to interlock to rotate the door from a first state of opening the opening to a second state of closing the open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날개 전개와 연동된 비행체의 도어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행체는 날개 전개와 연동되어 개폐되는 도어에 의하여 별도의 구동원이 필요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를 감소 또는 방지하며, 비행체의 체적 및 중량 감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oor control device of the aircraft and interlock with the wing deploy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o not require a separate drive source by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in conjunction with the wing deployment. In addition,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or prevent additional energy consumption and obtain the effect of volume and weight reduction of the aircraft.

본 발명은 날개에 걸림되어 록킹이 해제되는 도어 록킹부를 통하여, 날개의 전개 정도에 따른 최적의 도어 닫힘 시점을 기하하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보다 간단하게 구성되고, 작동 신뢰성이 높은 비행체의 도어 제어장치가 구현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geometrically set the optimal door closing time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ployment of the blade through the door locking portion that is locked to the wing to release the lock. In addition, through this, a door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which is more simply configured and has high operational reliability is implem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비행체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제1 상태에서의 도어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동작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날개가 전개 중인 상태에서 도어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동작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제2 상태에서의 도어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동작도, 정면도 및 측면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C are an operation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respectively showing a door control device in a first state.
3A to 3C are an operation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respectively showing a door control device in a state where the wing is being deployed.
4A to 4C are operation, front and side views showing the door control device in the second state, respectively.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비행체의 도어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행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Hereinafter, a door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ifferent embodiments are give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비행체(10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는 비행체(100)의 일 예로 유도탄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비행체(100)는 본체(110), 날개(120) 및 도어 제어장치(200)을 포함한다.In FIG. 1, a missile is shown as an example of a vehicle 100, and as shown, the vehicle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a wing 120, and a door control device 200.

본체(110)는 추진력에 의하여 비행하도록 형성되고, 선단부(111), 중간부(112) 및 후미부(113)를 포함한다.The main body 110 is formed to fly by a driving force, and includes a front end portion 111, an intermediate portion 112, and a tail portion 113.

선단부(111)는 본체(11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선단에 형성되고, 유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중간부(112)는 선단부(111)와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일정한 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The front end 111 is formed at the front end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and is made in a streamlined shape. The intermediate portion 112 is connected to the tip portion 111, and at least a portion thereof is formed in a constant circular cross section.

후미부(113)는 중간부(112)를 중심으로 선단부(111)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후미부(113)에는 본체(110)가 일방향으로 진행하도록 날개(120)가 배치된다. 날개(120)는 본체의 원주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를 통하여 비행체(100)는 안정적으로 직진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날개(120)는 중간부(112)에 배치되거나, 중간부(112)와 후미부(113)에 걸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rear portion 113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ront end portion 111 with respect to the middle portion 112, the wing portion 120 is disposed in the rear portion 113 so that the main body 110 proceeds in one direction. The wings 120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Through this, the vehicle 100 can stably go straigh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wing 120 may be disposed at the middle portion 112 or may be disposed to span the middle portion 112 and the tail portion 113.

날개(120)는 본체(110)의 외면에 형성되는 개구(130, 도 2b 참조)를 통하여 본체(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전개된다. 즉, 날개(120)는 본체의 내부에 접힌 상태로 있다가, 본체가 발사되면 개구(130)를 관통하여 외부로 전개된다.The wing 120 is developed from the inside of the body 110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30 (see FIG. 2B)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0. That is, the wing 120 is in a folded state inside the main body, and when the main body is launched, it passes through the opening 130 and is developed outward.

도어 제어장치(200)는 상기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211)를 구비한다. 도어 제어장치(200)는 날개(120)의 전개와 연동하여 도어(211)가 개구(130)를 여는 제1 상태에서 개구(130)를 닫는 제2 상태로 도어(211)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The door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door 211 rotat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110. The door control apparatus 200 is configured to rotate the door 211 to a second state in which the door 211 closes the opening 130 in a first state in which the door 211 opens the opening 130 in association with the deployment of the vanes 120. .

이하, 도 2a 내지 도 4c을 참조하여, 도 1의 도어 제어장치(2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oor control device 200 of FIG.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4C.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제1 상태에서의 도어 제어장치(200)를 나타내는 동작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날개가 전개 중인 상태에서 도어 제어장치(200)를 나타내는 동작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제2 상태에서의 도어 제어장치(200)를 나타내는 동작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2A to 2C are operation diagrams, front views and side views respectively showing the door control apparatus 200 in the first state, and FIGS. 3A to 3C show the door control apparatus 200 in the state where the wings are being deployed, respectively. It is an operation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and FIGS. 4A-4C are the operation view, front view, and side view which show the door control apparatus 200 in a 2nd state, respectively.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어 제어장치(200)는 도어(211), 탄성 유닛(212) 및 도어 록킹부(2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oor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door 211, the elastic unit 212 and the door locking unit 220.

도어(211)는 개구(130)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개구(130)를 개폐시킨다.The door 21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130, is rotatable betwee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and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130 by the rotation.

탄성 유닛(212)은 도어(211)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회전되도록 도어(211)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211)는 본체(110)에 힌지 결합되고, 탄성 유닛(212)은 상기 힌지 결합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비틀림 모멘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된다. 탄성 유닛(212)은, 예를 들어 비틀림 스프링이 될 수 있다.The elastic unit 212 is form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door 211 so that the door 211 is rotat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More specifically, the door 211 is hinged to the body 110, the elastic unit 212 is formed to generate a torsional moment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hinge coupling. The elastic unit 212 may be a torsion spring, for example.

도어(211)는 도어 몸체(211a) 및 홀더(211b)를 포함한다.The door 211 includes a door body 211a and a holder 211b.

도어 몸체(211a)는 개구(130)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즉, 도어 몸체(211a)의 형상 및 면적은 날개(120)의 통과에 필요한 개구(130)의 형상 및 면적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이루어진다.The door body 211a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130. That is, the shape and area of the door body 211a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shape and area of the opening 130 required for the passage of the wing 120.

도어 몸체(211a)는 상기 탄성 유닛(212)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를 통하여 도어 몸체(211a)에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진다. 각 동작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어 몸체(211a)가 생략되었다.The door body 211a is supported by the elastic unit 212. As a result, an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door body 211a in a direction of rotation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In each operation diagram, the door body 211a is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홀더(211b)는 도어 몸체(211a)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211)를 록킹시키도록 제1 상태에서 상기 도어 록킹부(220)의 적어도 일부에 의하여 구속된다. The holder 211b is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oor body 211a and is constrained by at least a portion of the door locking part 220 in a first state to lock the door 211.

도어 록킹부(220)는 도어(211)를 제1 상태에서 록킹하며, 날개(120)가 전개되면 도어(211)가 제2 상태로 회전되도록 날개(120)의 전개와 연동하여 도어(211)를 언록킹하도록 형성된다.The door locking unit 220 locks the door 211 in the first state, and when the wing 120 is deployed, the door 211 is interlocked with the deployment of the wing 120 so that the door 211 is rotated to the second state. It is formed to unlock.

도어 록킹부(220)는 홀더(211b)와 본체(110)에 장착되는 복수의 요소들에 의하여 구현된다. 이하 이들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door locking part 220 is implemented by a plurality of elements mounted to the holder 211b and the main body 110. These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below.

도어 록킹부(220)는 상기 홀더(211b), 록킹 바(222) 및 접촉 핀(223)을 포함한다.The door locking part 220 includes the holder 211b, the locking bar 222, and the contact pin 223.

홀더(211b)는 도어(211)에서 연장되며, 제1 상태에서 록킹 바(222)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홀더(211b)에는 록킹 바(222)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구비되고, 록킹 바(222)의 삽입에 의하여 삽입홀의 직경 방향으로 도어의 회전을 제한한다.The holder 211b extends from the door 211 and is formed such that one end of the locking bar 222 is inserted in the first state. More specifically, the holder 211b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locking bar 222 is inserted, thereby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door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hole by the insertion of the locking bar 222.

록킹 바(222)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본체(1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록킹 바(222)의 지지 및 슬라이딩을 위하여 상기 록킹 바(222)를 지지하는 지지 베어링(224)이 구비될 수 있다.The locking bar 222 is form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and is mounted to the main body 110 to be slidable. A support bearing 224 supporting the locking bar 222 may be provided to support and slide the locking bar 222.

접촉 핀(223)은 록킹 바(222)의 타단과 인접한 부분에서 록킹 바(222)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록킹 바(222)가 홀더(211b)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날개(120)가 전개되는 도중에 날개(120)에 걸리도록 형성된다.The contact pin 223 protrude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cking bar 222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bar 222, and the wing 120 is sli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bar 222 slides out of the holder 211b. It is formed to be caught on the wing 120 during the deployment.

도 2a 내지 도 2c는 날개(120)가 본체(110)의 내부에 접힌 상태이고, 도어(211)가 개구(130)를 개방시킨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며, 이는 전술한 제1 상태가 된다.2A to 2C illustrate a case in which the wing 120 is folded inside the main body 110 and the door 211 opens the opening 130, which is the first state described above.

도어(211)의 힌지 결합부분의 탄성 유닛(212)에 의하여 도어(211)가 닫히려는 방향으로 비틀림력이 작용하나, 도어(211)와 한 몸체로 조립되거나 형성된 홀더(211b)의 관통홀 내에 록킹 바(222)가 삽입되어 도어(211)가 전개되지 못하도록 억제하고 있다.The torsion force act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211 is to be closed by the elastic unit 212 of the hinge engaging portion of the door 211, but the through hole of the holder 211b assembled or formed in one body with the door 211. The locking bar 222 is inserted into the door 211 to prevent the door 211 from being developed.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록킹부(220)는 스프링(225)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225)은 록킹 바(222)에 홀더(211b)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프링(225)에는 록킹 바(222)가 삽입되고, 스프링(225)은 록킹 바(222)의 일부를 지지하는 압축 스프링일 될 수 있으며, 압축 스프링이 록킹 바(222)이 홀더(211b)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밀어주게 된다.As shown, the door locking portion 220 includes a spring 225, the spring 225 is made to apply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holder 211b to the locking bar 222. More specifically, the locking bar 222 is inserted into the spring 225, the spring 225 may be a compression spring that supports a portion of the locking bar 222, the compression spring is the locking bar 222 holder It is pushed so as not to escape from (211b).

도 3a 내지 도 3c는 날개(120)가 어느 정도(약 75도) 정도 전개된 형상으로, 전개되는 날개(120)의 앞쪽 면이 접촉 핀(223)과 접촉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보여준다. 3A to 3C show a shape in which the wing 120 is deployed to some extent (about 75 degrees), and shows a time point at which the front surface of the developing wing 120 starts to contact the contact pin 223.

도시에 의하면, 날개(120)는 회전에 의하여 전개되며, 록킹 바(222)는 날개(120)의 회전 작동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접촉 핀(223)은 상기 회전 작동면을 관통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날개(120)는 전개되는 도중에 날개(120)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선단(날개의 앞쪽 면)이 접촉 핀(223)에 걸리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illustration, the blade 120 is deployed by rotation, the locking bar 222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rotary operating surface of the blade 120, the contact pin 223 is made to pass through the rotary operating surface. Moreover, the blade | wing 120 is formed so that the front-end | tip (front surface of a blade | wing) may be caught by the contact pin 223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lade | wing 120 in the middle of deployment.

이때 날개(120)의 전개 운동이 조금 더 진행되면 날개(120)의 선단이 접촉 핀(223)을 전방(그림에서는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접촉 핀(223)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록킹 바(222)가 홀더(211b)의 관통홀로부터 빠져나오며, 이를 통하여 도어(211)는 더 이상 열린 상태로 고정될 수 없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deployment movement of the wing 120 is further progressed, the tip of the wing 120 moves the contact pin 223 to the front (left direction in the figure), the locking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ct pin 223 The bar 222 exits from the through hole of the holder 211b, through which the door 211 can no longer be fixed in an open state.

도 4a 내지 도 4c는 날개(120)가 본체(110)의 외부에서 완전히 전개된 상태이고, 도어(211)가 개구(130)를 막은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며, 이는 전술한 제2 상태가 된다.4A to 4C show a case in which the wing 120 is fully deployed outside the main body 110 and the door 211 is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130 is blocked, which is the second state described above.

도시에 의하면, 접촉 핀(223)은 날개(120)의 전개 운동에 따라 날개(120)의 선단에 밀려서 이동하였고, 접촉 핀(223)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록킹 바(222)가 홀더(211b)에서 완전히 빠져나온다. 따라서 도어(211)를 열린 상태로 고정하는 구속력은 해제되고, 이후 도어(211)의 힌지 결합부분에 장착된 탄성 유닛(212)의 탄성력에 의해 도어(211)가 닫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drawing, the contact pin 223 is pushed to the tip of the wing 12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wing 120, the locking bar 222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tact pin 223 holder 211b To escape completely. Therefore, the restraining force for fixing the door 211 to the open state is released, and then the door 211 is clo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unit 212 mounted to the hinge coupling portion of the door 211.

접촉 핀(223)과 날개(120)의 선단이 접촉하는 시점에서 도어(211)의 닫힘이 시작되므로, 접촉 핀(223)의 초기 위치를 조정함으로서 도어 닫힘 시점이 기하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구동장치의 적용 및 인위적인 작동 신호의 인가 없이 주익 운동과의 연동을 통하여 도어의 닫힘이 가능하게 된다.Since the closing of the door 211 starts when the tip of the contact pin 223 and the wing 120 is in contact, the door closing timing may be geometrically determined by adjusting the initial position of the contact pin 223. In addition, the door can be closed by interlocking with the main blade movement without the application of a separate driving device and the application of an artificial operating signal.

또한, 상기와 같은 비행체의 도어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행체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oor control apparatus of the aircraft and the aircraft having the sam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are all or part of each of the embodiments is optional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may be configured in combination.

Claims (8)

비행체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날개가 전개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개구;
상기 개구를 여는 제1 상태와 상기 개구를 닫는 제2 상태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회전되도록 상기 도어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유닛; 및
상기 도어를 상기 제1 상태에서 록킹하며, 상기 날개가 전개되면 상기 도어가 상기 제2 상태로 회전되도록 상기 날개의 전개와 연동하여 상기 도어를 언록킹하는 도어 록킹부를 포함하는 비행체의 도어 제어장치.
An opening formed in the main body such that a wing extends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A door mounted to the body to be rotatable between a first state of opening the opening and a second state of closing the opening;
An elastic unit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door such that the door is rotat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And
And a door locking unit that locks the door in the first state and unlocks the door in conjunction with the deployment of the wing so that the door rotates to the second state when the wing is deploy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록킹부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록킹 바;
상기 도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록킹 바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는 홀더; 및
상기 록킹바의 타단과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록킹 바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록킹 바가 상기 홀더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상기 날개가 전개되는 도중에 상기 날개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접촉 핀을 포함하는 비행체의 도어 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oor locking unit,
A locking bar which is form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and is slid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A holder extending from the door and configured to insert one end of the locking bar in the first state; And
A contact pin protru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locking bar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bar, the contact pin being formed to be caught by the wing while the wing is deployed such that the locking bar slides in a direction of exiting from the holder; Door control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회전에 의하여 전개되며, 상기 록킹 바는 상기 날개의 회전 작동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접촉 핀은 상기 회전 작동면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의 도어 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wing is deployed by the rotation, the locking bar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rotation operation surface of the wing, the contact pin is a door control device of the aircraft, characterized in that penetrates through the rotation operation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전개되는 도중에 상기 날개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선단이 상기 접촉 핀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의 도어 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wing is door control device of the aircraft,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is caught by the contact pin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ing during the deploy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록킹부는,
상기 록킹 바에 상기 홀더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비행체의 도어 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door locking unit,
And a spring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locking bar in a direction toward the hol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 유닛에 의하여 지지되는 도어 몸체; 및
상기 도어 몸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를 록킹시키도록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도어 록킹부의 적어도 일부에 의하여 구속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비행체의 도어 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oor
A door bod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and supported by the elastic unit; And
And a holder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oor body, the holder being locked by at least a portion of the door locking part in the first state to lock the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탄성 유닛은 상기 힌지 결합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비틀림 모멘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의 도어 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oor is hinged to the body,
And the elastic unit is formed to generate a torsional moment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hinge coupling.
비행체 본체;
상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전개되는 날개; 및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날개의 전개와 연동하여 상기 도어를 상기 개구를 여는 제1 상태에서 상기 개구를 닫는 제2 상태로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비행체의 도어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비행체.
Aircraft body;
A blade that is developed from the inside of the body to the outside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A door having a door, wherein the door is rotated from a first state of opening the opening to a second state of closing the opening in cooper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vane, an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 vehicle comprising a door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KR1020100004075A 2010-01-15 2010-01-15 Door control device coupled with wing deploying and flight vehicle having the same KR1011812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075A KR101181275B1 (en) 2010-01-15 2010-01-15 Door control device coupled with wing deploying and flight vehicle having the same
PCT/KR2010/003756 WO2011087189A1 (en) 2010-01-15 2010-06-11 Door control device coupled with wing deployment and flight vehicl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075A KR101181275B1 (en) 2010-01-15 2010-01-15 Door control device coupled with wing deploying and flight vehicl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968A KR20120094968A (en) 2012-08-28
KR101181275B1 true KR101181275B1 (en) 2012-09-11

Family

ID=44304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075A KR101181275B1 (en) 2010-01-15 2010-01-15 Door control device coupled with wing deploying and flight vehicl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81275B1 (en)
WO (1) WO2011087189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30674A (en) * 2016-02-02 2016-07-06 玉环天润航空机械制造有限公司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lock and helicop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226980B (en) 2013-06-16 2019-02-28 Rafael Advanced Defense Systems Ltd Shutter mechanism for covering of a wing deployment opening
KR101688951B1 (en) * 2016-07-29 2016-12-22 국방과학연구소 Wing symmetrical deploying apparatus and flight vehicle having the same
CN109502009B (en) * 2018-12-11 2022-06-07 湖北航天飞行器研究所 Aircraft folding wing locking mechanism
KR102231030B1 (en) * 2019-10-30 2021-03-23 국방과학연구소 Method for predicting the deployment performance of a inclined forward folding wing
RU2770959C1 (en) * 2021-12-24 2022-04-25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Машиностроите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Факел"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П.Д. Грушина Mechanism for opening and locking aerodynamic handleba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9410A (en) 1996-12-13 1999-05-04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Aerodynamic body having coplanar joined wings
US6260797B1 (en) 1998-01-13 2001-07-17 Science Applications International Corporation Transformable gun launched aero vehicle
US6446906B1 (en) 2000-04-06 2002-09-10 Versatron, Inc. Fin and cover release system
US6880780B1 (en) 2003-03-17 2005-04-19 General Dynamics Ordnance And Tactical Systems, Inc. Cover ejection and fin deployment system for a gun-launched projecti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9410A (en) 1996-12-13 1999-05-04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Aerodynamic body having coplanar joined wings
US6260797B1 (en) 1998-01-13 2001-07-17 Science Applications International Corporation Transformable gun launched aero vehicle
US6446906B1 (en) 2000-04-06 2002-09-10 Versatron, Inc. Fin and cover release system
US6880780B1 (en) 2003-03-17 2005-04-19 General Dynamics Ordnance And Tactical Systems, Inc. Cover ejection and fin deployment system for a gun-launched projecti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30674A (en) * 2016-02-02 2016-07-06 玉环天润航空机械制造有限公司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lock and helicop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7189A1 (en) 2011-07-21
KR20120094968A (en) 201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275B1 (en) Door control device coupled with wing deploying and flight vehicle having the same
KR0176320B1 (en) Guided missile wing deployment and fixture
JP7289954B2 (en) Aircraft with deployable components
KR101234218B1 (en) Wing device and flight vehicle having the same
EP3130535B1 (en) An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117102B1 (en) Deploying device of folding wing and aircraft having the same
US5671899A (en) Airborne vehicle with wing extension and roll control
US118141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erodynamic deployment of wing structures
KR101069246B1 (en) Apparatus for deploying wing and apparatus for launching flight having the same
US20130099050A1 (en) Aircraft wing with knuckled rib structure
RU2736430C2 (en) Two-stage wing opening mechanism
CN102774494A (en) Aircraft folding rudder capable of stretching automatically
RU2535789C1 (en) Folding aerodynamic rudder
RU2478907C1 (en) Unfolding wing of two-stage rocket
US2925966A (en) Folding fin or wing for missiles
US8274025B2 (en) Aircraft with segmented deployable control surfaces
EP1265050B1 (en) Extendable and controllable flight vehicle wing/control surface assembly
KR101976720B1 (en) Deployment apparatus of control wing
KR101074028B1 (en) Flying object with fixing device for the deployed wing
US11079206B2 (en) Projectile comprising a device for deploying a wing or fin
US6682014B1 (en) Device for exerting drag
US8764506B2 (en) Manually pivoting wings on a toy airplane
KR101338177B1 (en) Adjustable apparatus for control wing of portable guided missile
RU2532286C1 (en) Rocket aerodynamic rudder
KR101493824B1 (en) Apparatus for opening the wing of a guided missile in a wind tu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