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547B1 - Using the USB interface and pattern recognition for image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Using the USB interface and pattern recognition for image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547B1
KR101175547B1 KR1020040099348A KR20040099348A KR101175547B1 KR 101175547 B1 KR101175547 B1 KR 101175547B1 KR 1020040099348 A KR1020040099348 A KR 1020040099348A KR 20040099348 A KR20040099348 A KR 20040099348A KR 101175547 B1 KR101175547 B1 KR 101175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user
light emitting
controller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3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60313A (en
Inventor
김규학
Original Assignee
지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9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547B1/en
Publication of KR20060060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3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5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4Information to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86Speci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발광소자 점멸을 이용한 잔상효과를 이용한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부채모양으로 회전하는 막대모양 회로기판에 지지판으로 발광소자를 일열로 다수 설치하여서 허공에서 발광소자가 회전표시하도록하는 휴대가능한 이동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유에스비포트를 내장한 컴퓨터의 접속으로 문자 및 그림등 표시하고자 하는 데이터신호를 유에스비인터페이스수단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메모리로 전송하고 발광소자에 표시하도록 하며 스윙의 패턴을 감지하여 정확한 문자 및 그림을 표시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using an afterimage effect using a flashing LED light emitting device, and to install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in a row on a rod-shaped circuit board rotating in a fan shape so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s rotate in the air. A portable mobile display device, which transmits a data signal to be displayed, such as a character and a picture, to a memory of the display device through a USB interface means, and displays it on a light emitting device by detecting a swing patter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ccurate characters and pictures.

본 발명은 손으로 쥘 수 있는 막대 모양의 막대안에 회로기판의 지지판으로 발광소자 일열 다수 설치하여 손으로 부채모양으로 좌우 흔들어 표시하도록 하는데 있어, 발광소자의 전기적인 단락을 제어하는 LED 발광부와 점멸 시작점과 디스플레이장치가 이동하는 방향 및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으로부터 패턴인식 및 보정을 수행하는 적응제어수단과 유에스비가 내장된 컴퓨터에 장착 연결시켜 표시하고자하는 문자 및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유에스비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유에스비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전송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are installed as a supporting plate of a circuit board in a bar-shaped bar that can be held by hand,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an shape are shaken and displayed by hand. Speed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starting point and the direction and speed at which the display device moves, adaptive control means for performing pattern recognition and correction from the detection means, and transmitting character and image data to be displayed by being connected to a computer with a built-in USB. And a memory means for storing the digital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USB interface means.

LED어레이,적응제어부,속도검출부,제1가변제어기,패턴저장적응제어기,제1가산누적제어기,좌측제한지지대,우측광수신부,DMA제어기,유에스비트랜시버 LED array, adaptive controller, speed detector, first variable controller, pattern storage adaptive controller, first additive accumulator, left limit support, right light receiver, DMA controller, U.S. transceiver                                    

Description

유에스비인터페이스 장치와 패턴인식을 이용한 잔상 디스플레이 장치{Using the USB interface and pattern recognition for image display apparatus}Using after USB interface and pattern recognition for image 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의 이해를 위한 동작이해도1 is an operation diagram for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있어 잔상을 이용한 문자표시용 발광소자와 점멸 순서를 보인 이해도 Figure 2 is an understanding of showing the sequence and the flashing sequence for the character display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afterimag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운로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ownloa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 적응제어장치와 속도감지 및 유에스비인터페이스를 위한 블럭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for the adaptive control device and the speed sensing and USB interfac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4의 적응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5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daptive control device of FIG.

도 6는 도4의 적응제어장치의 동작중 패턴인식 및 보정을 위한 블럭도6 is a block diagram for pattern recognition and correction during operation of the adaptive control device of FIG.

도 7은 도4의 속도감지 수단의 블럭도7 is a block diagram of the speed sensing means of FIG.

도 8은 도4의 유에스비인터페이스를 위한 블럭도FIG. 8 is a block diagram for the USB interface of FIG.

도 9는 도3의 웹서버로부터 동기화하여 다운로드 가능한 데이터흐름도
9 is a data flow diagram downloadable in synchronization from the web server of FIG.

본 고안은 LED 반도체 발광소자 점멸을 이용한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채모양으로 회전하는 막대모양 회로기판에 지지판으로 발광소자를 일열로 다수 설치하여서 허공에서 발광소자가 회전표시하도록 하고 유에스비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용문자입력기와 접속하여 문자 및 화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데이터신호를 전달하게 하여 발광소자에 표시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using a flashing L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are installed in a row on a bar-shaped circuit board rotating in a fan shape so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s can be rotated and displayed in the air, and a USB interface is u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a dedicated character input device to transmit a data signal for displaying a character and an image to be displayed on a light emitting device.

일반적으로 눈의 잔상을 이용하여 동화상 숫자, 문자등 정지화상을 표현할 수 있게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표시)장치들은 평면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또 넓은 평면판에 다량의 발광소자를 평면적으로 배치시킨 구성이므로 이는 시야각이 한정되어 있어 보이는 범위가 제한적으로 적은 폐단이 있을 뿐 아니라, 다량의 발광소자를 사용해야 하므로 제작비가 고가로 되고 또 전력소모비도 많은 문제점등이 있었다.In general, display devices using light emitting devices can be used to represent still images such as moving picture numbers and letters using afterimages of eyes. Therefore, the viewing angle is limited, so there is not only a limited viewable range, but also a large amount of light emitting devices have to be used, so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there are also many power consumption problems.

한국 특허등록 20-0329745는 프로그램 되어진 문자나 기호의 크기 및 개수의 변동에 따라 사람이 스윙(흔듦)의 폭을 변화 시켜주기 위하여 수동 스위치 조작으로 흔드는 거리에 따른 글자크기와 글자 수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으며, 한국 특허공개 특1999-0086565와 특1999-0080132는 흔들리는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표시장치에 순차적으로 표시하게 하였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96-8660는 수동으로 반복적으로 스윙시킬 때 전자유니트와 광전센서를 이용하여 스윙조작이 어느정도 숙련되지 않아도 기대하는 화상을 안정하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스윙식 표시장치를 기술하고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20-0329745 allows a person to adjust the font size and the number of letters according to the shaking distance by manual switch operation to change the swing width according to the size and number of programmed characters or symbols. Korean Patent Laid-Open Nos. 1999-0086565 and 1999-0080132 allow the display device to b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by using a dir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shaking direction. In addi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6-8660 describes a swing-type display device capable of stably displaying an expected image even if the swing operation is not skillful by using an electronic unit and a photoelectric sensor when manually swinging repeatedly.

한국 특허출원 특1998-0003949는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PC의 RS232C포트를 이용하는것을 기술하고 있다.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998-0003949 describes using a PC's RS232C port to provide a way for a user to input desired image data into a display device.

그러나, 이들 종래 기술에 의한 장치중 LED의 배열을 복수열로 구성하여 정밀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발광 소자를 사용함으로서 소모되는 전력소비와 제작비용 상승의 문제가 있고, 스윙시 화상을 안정하게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나 방향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된 신호의 변화량만을 이용하여 LED의 점멸을 표시하는데 그치고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할 수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별도의 전송 보오드레이트 및 오류 검증을 위한 복잡한 설정을 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displaying a precise image by arranging an array of LEDs in a plurality of columns among these conventional devices, there is a problem of power consumption and manufacturing cost increase by us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and thus stable image during swing. If the user wants to display it, the LED blinks only by using the amount of change of the signal detected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or the direction sensor, and when the user can input the desired image data to the display device, the user separately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omplicated setting for transmission baud rate and error verific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이 용이하며 적은 수의 발광소자를 사용해 문자나 그림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which is easy to move and can display characters or pictures using a small number of light emitting element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윙속도와 함께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인식하여 항상 안정된 디스플레이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도록 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can provide stable display information by recognizing a user's usage pattern together with a swing speed of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손쉽게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asily inputting desired image data to a display device.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에스비인터페이스 및 패턴 인식을 구비한 잔상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표시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표시정보를 소정 갯수의 도트로 구성된 가상의 도트매트릭스에 표시할 때, 상기 도트 매트릭스의 세로 또는 가로의 도트열에 해당하는 정보를 일열의 발광 LED소자를 온 또는 오프 시켜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LED 디스플레이 수단과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fter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a US B interface and pattern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when the display information is received and the display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 virtual dot matrix composed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dots, the dot matrix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ED display means for sequentially displaying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or horizontal dot array of on or off by turning on or off a series of light emitting LED elements.

또한 일열 도트의 발광 LED소자를 구성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표시정보를 제공 받아 표시하는데 있어 사용자가 흔드는 속도를 측정하여 문자나 화상을 일열의 도트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 수단에 동기를 맞추어 사용자의 스윙 패턴을 인식하여 공간열의 잔상 시간차를 추정 보정하는 보정부와 패턴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ght emitting LED device having a row of dots measures the speed at which the user shakes the display information in order to display the text or image in a row of dot row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etection unit. And a correction unit and a pattern recognition unit for estimating and correcting the residual time difference of the space train by recognizing the swing pattern of the space train.

또한 패턴인식을 구비한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에스비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일반 컴퓨터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유에스비포트에 직접 연결하여 상기 인터페이장치로부터 표시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제공하는 유에스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웹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표시정보를 웹정보와 동기화 시켜 개인 사용자나 회원중심의 사용자에게 홍보 및 광고 문안을 일괄 다운로드 받아 손쉽게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다.In addition, the LED display device having a pattern recognition includes a USB control unit for providing a display control unit by receiving the display information from the interface device by directly connected to the USB port widely used in general computers with a USB control device The display information may be synchronized with the web server to be synchronized with the web server, and the promotion and advertisement text may be downloaded to an individual user or a member-oriented user, and may be easily input to th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고안의 이해를 위한 동작이해도를 도시하고 있다.1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for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본체(1)을 전원을 인가한후, 원하는 문자나 그림등의 폰트를 선택한 후에 일정한 속도로 좌우 흔들면 t=0 에서 n까지의 시간차(2)동안 표시문자(3)이 표시된다. 즉 사람의 눈은 t+n 시간차동안 발광의 잔상이 남아 문자나 그림을 인식한다. As shown in FIG. 1, after the user applies power to the main body 1 and selects a font such as a desired character or picture, the user shakes the left and right at a constant speed for a time difference 2 from t = 0 to n . The letter 3 is displayed. That is, the human eye recognizes a character or a picture by remaining after luminescence during the t + n time difference.

도 2는 본 고안에 있어 잔상을 이용한 문자표시용 발광소자와 점멸 순서를 보인 이해도이다.Figure 2 is an understanding of show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for character display and the blinking sequence using the afterimag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LED 발광소자를 D 0 ~ D 15 일열어레이(11)형태로 배열하여 LED 어레이(12)를 구성하고 t=0 부터 t=15 까지의 폰트구성시간축(14) 영역동안 LED를 발광시간간격(13)인 t=0,1,2 …, 15 간격별 해당 문자나 그림의 폰트 위치열의 일열어레이(11)를 발광하여 원하는 문자나 그림을 디스플레이하면 잔상이 남는다.In FIG. 2, the LED light emitting devices are arranged in the form of D 0 to D 15 arrays 11 to form an LED array 12, and from t = 0 During the area of the font configuration time axis 14 up to t = 15 , t = 0, 1, 2... , 15 after the light emitting a row array 11 of the font position column of the corresponding character or picture to display the desired character or picture is left afterimag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운로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ownloa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본체(1)은 도 2에서 도시된 LED 어레이(12)를 포함한 LED 표시장치(37), 동작모드 및 전원을 단락하는 스위치(35) 와 유에스비포트(35)로 구성되어 있다. 컴퓨터입력 유에스비콘넥터32)와디스플레이 유에스비콘넥터 (34)를 포함하는 유에스비케이블(33)은 본체(1)와 유에스비포트를 내장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컴퓨터(31)에 연결하여 원하는 문자나 그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컴퓨터(31)은 인터넷망(38)을 통하여 서버컴퓨터(39)에 연결된다. 상기 서버컴퓨터(39)는 클라이언트 컴퓨터(31)에 최근 지원 소프트웨어 배포 버전 및 문자나 그림의 폰트 데이터를 전송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폰트매니저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딩한뒤 인스톨하여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문자나 그림을 폰트매니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제작하거나 서버컴퓨터(39)가 제공한 폰트데이터를 유에스비포트에 연결된 본체(1)에 다운로딩하여 원하는 문자나 그림의 폰트를 디스플레이한다.The main body 1 is composed of an LED display device 37 including the LED array 12 shown in FIG. 2, a switch 35 for shorting an operation mode and a power supply, and a USB port 35. The USB cable 33 including the computer input USB connector 32 and the display USB connector 34 can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 and the client computer 31 containing the USB port to download desired characters or pictures. . The client computer 31 is also connected to the server computer 39 via the Internet network 38. The server computer 39 transmits the latest supported software distribution version and font data of characters or pictures to the client computer 31. The client computer downloads and installs the font manager software, and the user directly creates the desired character or picture by using the font manager software, or downloads the font data provided by the server computer 39 to the main body 1 connected to the US Viport. Load to display the font of the desired character or picture.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 도 2에 표시된 LED 어레이(12)를 제어하기위한 블록도이고 블록도에는 적응제어부(41)와 속도검출부(43),LED 발광부(44),메모리(42),전원(46) 및 유에스비인터페이스(45)의 주요 블록을 보여주고 있다. FIG. 4 is a block diagram for controlling the LED array 12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block diagram, the adaptive controller 41, the speed detector 43, the LED light emitter 44, the memory 42, The main blocks of the power supply 46 and the USB interface 45 are shown.

도 4의 유에스비인터페이스(45)는 도 3의 디스플레이 유에스비콘넥터(31)를 포함하며 유에스비규격의 준한 프로토콜에 의하여 디지털데이터를 전송한다. 사용자는 도 3의 클라이언트 컴퓨터(31)에 본체(1)를 연결하여 별도의 복잡한 접속프로토콜의 변수들을 설정하지 않고 클라이언트 컴퓨터(31)의 드라이버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자동 감지 및 설정이 종료된다. 또한 유에스비인터페이스(45)는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나 그림들의 폰트용 디지털데이터를 유에스비프로토콜에 의하여 다운로드 받아 적응제어부(41)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메모리(42)에 저장한다. 메모리(42)는 폰트데이터의 저장은 물론 도 2에 표시된 LED 어레아(12)를 제어하기 위한 여러가지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4의 적응제어부(41)는 속도 검출부(43)와 메모리(42)의 실측 속도 데이터와 사용자의 본체(1) 동작 패턴이 저장된 패턴 데이터를 입력으로 적응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최적화된 제어함수의 변수를 누적 가감하고 업데이트 시키면서 동시에 보정제어를 수행하여 LED발광부(44)를 정확하게 제어하여 사용자가 본체(1)을 다소 불규칙적하게 스윙하더라도 정확하게 LED 어레이(12)를 동작시켜 표시문자(3)를 정확하게 표현하기위한 제어를 한다. LED 발광부(44)는 일열어레이(11)로 구성되어 있으며 적응제어부(41)에 의한 제어신호에 따라 일열어레이(11)을 발광시간간격(13)에 맞추어 발광하여 원하는 문자나 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전원(46)은 밧데리로부터 공급받아 적응제어부(41), 메모리(42),속도검출부(43), LED 발광부(44), 유에스비인터페이스(45)에 전기적인 회로소자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USB interface 45 of FIG. 4 includes the display USB connector 31 of FIG. 3 and transmits digital data according to a standard protocol of the USB standard. The user automatically connects the main body 1 to the client computer 31 of FIG. 3 and automatically detects and ends the setting by the driver software of the client computer 31 without setting parameters of a separate complicated connection protocol. In addition, the USB interface 45 downloads digital data for fonts of characters or pictures desired by the user by using the USB protocol, and stores the digital data in the memory 42 by a microprocessor executing the adaptive control unit 41. The memory 42 includes various data for controlling the LED array 12 shown in FIG. 2 as well as storing font data. The adaptive controller 41 of FIG. 4 performs the adaptive control by inputting the velocity data of the speed detector 43 and the memory 42 and the pattern data in which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user's main body 1 is stored. In addition, by accurately adjusting and updating the variables of the optimized control function and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correction control to accurately control the LED light emitting unit 44 to operate the LED array 12 accurately even if the user swings the body 1 somewhat irregularly. Control to accurately represent the display character (3). The LED light emitting unit 44 is composed of a row array 11 and emits a desired character or picture by emitting the row array 11 in accordance with the emission time interval 13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by the adaptive control unit 41. It can be displayed. The power supply 46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and supplies power to the electric circuit elements to the adaptive control unit 41, the memory 42, the speed detection unit 43, the LED light emitting unit 44, and the USB interface 45.

도 5는 도4의 적응제어부(4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것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adaptive control unit 41 of FIG. 4.

도 5의 적응제어(41)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제어를 시작한다. 먼저 동작이 개시되면 동작이 인식모드(51)인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인식모드로 설정하였다면 패턴인식(512) 절차에 들어가는데 패턴인식(512) 절차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본체(1)을 인식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 LED 어레이(12)의 i=0 번째 LED를 발광하면 사용자는 3~4회 좌우로 본체(1)를 흔들면 속도검출부(43)에서는 펄스 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속도검출(514) 기능을 수행하고 i번째 평균속도계산 프로세스(515)를 이용하여 평균속도 계산을 완료하면 i단계 평균속도값 저장 (516)프로세스에서는 저장과정을 마치게된다. 사용자의 패턴 인식 횟수 n의 필요에 따라 i < n 까지 상기 기술의 내용을 반복 계산하여 패턴 인식을 수행한다. In the adaptive control 41 of Fig. 5, the microprocessor starts the control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when the operation is star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peration is the recognition mode 51, and if the user is set to the recognition mode, the pattern recognition 512 procedure is entered. The pattern recognition 512 procedure is as follows. When the user emits the i = 0th LED of the LED array 12 while the user sets the main body 1 to the recognition mode, the user When the main body 1 is shaken three to four times, the speed detector 43 performs the speed detection function 514 using the data of the pulse train and completes the average speed calculation using the i- th average speed calculation process 515. In step i , the process of storing the average speed value (516) is completed. The pattern recognition is performed by repeatedly calculating the contents of the technology until i < n as needed by the number n of times of pattern recognition by the user.

도 5의 동작모드중 인식모드(51)가 아니라면 또다시 디스플레이모드(52)인지를 판단하는 프로세스를 거치게되는데 디스플레이모드(52)가 아니라면 플래시라이트 동작(54)프로세스를 수행한다. 플래시라이트 동작(54)프로세스는 LED발광부(44)의 제어에 따라 일열어레이(11)을 모두 정적으로 동작하면 라이트 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어두운 곳을 비출 수 있는 플래시라이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플래시라이트 기능을 종료하려면 종료(55)판단 프로세스에 따라 LED발광부(44) 동작을 종료하면된다. If it is not the recognition mode 51 of the operation mode of FIG. 5, the process goes through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display mode 52 again. If not the display mode 52, the flashlight operation 54 is performed. The flash light operation 54 may perform a light function when all the arrays 11 are statically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LED light emitting unit 44, and may perform a flash light function that can illuminate a dark place. have. In order to terminate the flashlight function, the LED light emitting unit 44 may be terminated according to the termination 55 determination process.

도 5의 디스플레이모드(52)가 선택되어지면 적응제어(41)의 마이크로프로세스는 메모리(42)로부터 디스플레이할 폰트를 선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폰트 선택(53)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속도검출부(43)에서 검출된 펄스열의 신호 데이터를 이용 속도검출(56)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측정되어진 스윙 속도값과 메모리(42)에 저장되어진 사용자 동작패턴 비교에 대하여 도 6에 도시된 적응제어 함수 계산후 패턴비교 결과 판별(57)의 유무를 판단하는 프로세스를 거치게 된다. 이때 패턴 비교 결과가 일정한 에러 범주 수준이하로 수렴하면 디스플레이 동작(59) 프로세스를 거쳐 LED발광부(44)에 제어 명령을 내리고 일열어레이(11)의 i번째 LED를 순차적으로 발광시킨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종료(511) 판단 프로세스를 종료라는 명령을 수행하면 즉시 LED발광부(44)의 일열어레이(11)의 LED는 동작을 멈출것이다. 한편 적응제어 함수 계산후 패턴비교 결과 판별(57)의 프로세스 과정중 일정한 에러 범주를 초과하면 보정계수 연산후 업데이트(58) 프로세스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가변 제어 파라메이터 변수와 보정 계수 업데이트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산 과정을 거친후 다시 속도검출(56)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폰트구성시간축(14) 영역동안 LED를 발광시간간격(13)내에 최적의 변수 추출 및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이런 과정을 거쳐 잔상의 발광 시간 제어를 수행한다.When the display mode 52 of FIG. 5 is selected, the microprocess of the adaptive control 41 performs a display font selection 53 process for selecting a font to display from the memory 42 and is detected by the speed detector 43. The speed detection 56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signal data of the acquired pulse train. After comparing the measured swing speed value and the user's operation pattern stored in the memory 42,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pattern comparison result determination 57 is performed after calculating the adaptive control function shown in FIG. 6 is performed. At this time, when the result of the pattern comparison converges below a certain error category level, a control command is given to the LED light emitting unit 44 through the display operation 59 process, and the i- th LED of the array 11 is sequentially emitted. When the user performs a command to end the display end 511 determination process, the LED of the row array 11 of the LED light emitting unit 44 will stop the operation. On the other hand, if a certain error category is exceeded during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pattern comparison result 57 after the adaptive control function calculation, a process of updating the correction coefficient after the correction coefficient 58 is performed. . After performing the operation process, the speed detection 56 is performed again to enable the optimal parameter extraction and control of the LED within the emission time interval 13 during the font configuration time axis 14 region. After this process, afterimage emission time control is performed.

도 6는 도4의 적응제어(41)장치의 동작중 패턴인식 및 보정을 위한 좀더 상세한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FIG. 6 shows a more detailed block diagram for pattern recognition and correction during operation of the adaptive control 41 device of FIG.

도 5의 적응제어 함수 계산후 패턴비교 결과판단(57) 프로세스와 보정계수 연산후 업데이트(58) 프로세스를 좀더 자세히 블록도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속도검출부(43)의 펄스 데이터를 속도 검출(56) 프로세스에 의하여 계산되어진 데이터를 적응제어함수의 어레이 형태로 저장 호출하기 위하여 센서측정적응제어기(61)를 이용한다. 이때 어레이 열의 데이터 순번에 따라 n=0인 제1가변제어기(63)와 n=n-1차 열의 순번 제2 가변제어기(65)는 대표되는 가변제어기를 표시하는것으로서 데이터열이 n차라면 n차의 가변 제어기가 존재한다. 또한 메모리(42)는 일련의 패턴인식(512)절차를 거쳐 저장된 단계 평균속도값 저장(516) 프로세스 결과의 n차열 데이터 어레이를 저장 및 호출하기 위하여 패턴저장 적응제어기(62)가 이용된다. 이때 호출된 n=0 차열의 어레이 데이터는 제1가산누적제어기(64)에 입력되어지고 n=n-1 차열은 제2가산누적제어기(66)에 입력 되어지게되는데 가산누적제어기는 데이터열의 n차수에 따라 n차의 가산누적기가 존재한다. 대표적인 설명으로서 제1가변제어기(63)과 제1가산누적제어기(64)는 센서측정적응제어기(61)의 데이터 X 0 와 패턴저장적응제어기(62)의 데이터 D 0 입력을 받아 연산을하게 되는데 제1가변제어기(63)는 제1가산누적제어기(64)로부터 연산된 에러값을 이용하여 제어 파라메이터 변수를 가변하게되고 마찬가지로 제1가산누적제어기(64)는 제1가변제어기(63)의 에러 값을 이용하여 가산누적하여 E 0 에러 값을 제1가변제어기(63)에 제공한다. n 차열의 데이터 비트 호출에대하여 n 차항에 동일한 연산을 수행하여 결과 Y 0 , Y 1 ,… ,Yn-1 보정값을 연산한다. 이때 보정적응제어기(67)는 LED 발광부(44)에 인가되어 정확한 잔상제어를 하게된다.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pattern comparison result 57 after the adaptive control function calculation of FIG. 5 and the update 58 process after calculating the correction coefficient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The sensor measurement adaptive controller 61 is used to store and call the pulse data of the speed detector 43 of FIG. 6 in the form of an array of adaptive control functions. At this time, in accordance with the array data in the column sequence number n = 0 is the first variable controller 63 and n = n-1 primary column sequence number second variable controller 65 as indicating the represented variable controller if the data string is an n-ary n There is a variable controller of the car. The memory 42 also uses a pattern storage adaptive controller 62 to store and recall the n- order data array of the resultant step average speed value storage 516 process stored through a series of pattern recognition 512 procedures. At this time, the n = 0 tea column array data call is first adder being inputted to the cumulative controller (64) n = n-1 heat shield is second addition there is becomes the input to the accumulation controller 66 adds the cumulative controller data string n Depending on the order, there are n cumulative accumulations. As a representative description, the first variable controller 63 and the first cumulative accumulation controller 64 are operated by receiving data X 0 of the sensor measurement adaptive controller 61 and data D 0 input of the pattern storage adaptive controller 62. The first variable controller 63 changes the control parameter variable by using the error value calculated from the first cumulative controller 64. Similarly, the first cumulative controller 64 is the first variable controller 63. Accumulate using the error value and add E 0 The error value is provided to the first variable controller 63. The same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nth order for the call of the n- order data bits , resulting in Y 0 , Y 1 ,... Calculate the Yn-1 correction value. In this case, the correction adaptation controller 67 is applied to the LED light emitting unit 44 to perform accurate afterimage control.

도 7은 도4의 속도감지 수단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the speed sensing means of FIG.

도 4의 속도검출부(43)는 도 7의 도시된 몇 개의 기구 구조물과 광입출력 장치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좌ㆍ우측에 이동체(74)의 이탈 방지를 위한 좌측제한지지대(71)와 우측제한지지대(76)는 레일 및 지지대(75)와 구조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이동체(74)가 레일 및 지지대(75)를 통해 움직일 때 이탈방지를 한다. 이동체(74)가 레일 및 지지대(75)에 가이드되어 움직일 때 광입출력장치로 감지 움직임을 감지하게되는데 사용자자가 본체(1)를 좌에서 우로 흔들 때 속도검출모듈(77)은 본체(1)에 지지되어 있고 속도검출모듈(77)의 좌측광출력(72)과 우측광출력(79)은 광출력 램프를 방사하면서 이동체(74)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좌측광픽업센서(73)에 광 변화를 검지하게하여 일정 펄스를 발생하게 하여 펄스열을 발생시킨다. 좌측으로 본체(1)를 흔들면 이동체(74)는 우측 이동하면서 우측광픽업센서(78)의 광 변화를 일으키면서 일정 펄스를 발생하여 이 두펄스열의 조합으로 방향검지 및 이동속도를 알 수 있게되는데 이때 적응제어(41)의 디스플레이 속도검출(56)과 인식 속도검출(514)은 마이크로프호세서의 연산과정을 통하여 수행한다. 속도를 알면 적분등의 연산함수를 통하여 스윙 간격의 거리를 유추할 수 있고, 잔상디스플레이할 일열어레이(11)의 LED를 발광 제어를 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한다.The speed detector 43 of FIG. 4 is constituted by several mechanism structures and the light input / output device shown in FIG. The left limit support 71 and the right limit support 76 for the separation of the movable body 74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structurally connected to the rail and the support 75 so that the movable body 74 is connected to the rail and the support ( 75) to prevent break-out when moving through. When the movable body 74 is guided by the rail and the support 75, the optical input and output device detects the sensing movement. When the user shakes the main body 1 from left to right, the speed detecting module 77 moves to the main body 1. The left light output 72 and the right light output 79 of the speed detection module 77 support the light change to the left optical pickup sensor 73 while the moving body 74 moves to the left while radiating an optical output lamp. Detects to generate a constant pulse to generate a pulse train. When the main body 1 is shaken to the left side, the movable body 74 moves to the right side, causing a change in light of the right optical pickup sensor 78, generating a constant pulse, and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pulse trains enables the direction detection and the moving speed to be known. At this time, the display speed detection 56 and the recognition speed detection 514 of the adaptive control 41 are perform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microprocessor. Knowing the speed, it is possible to infer the distance of the swing interval through an arithmetic function such as an integral and provide data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of the LEDs of the array of arrays 11 to be displayed afterimage.

도 8은 도4의 유에스비인터페이스를 위한 블록도이다.FIG. 8 is a block diagram for the USB interface of FIG. 4.

도 4의 유에스비인터페이스(45)는 내부블럭에 DMA제어기(81), 수신버퍼(82), 송신버퍼(83), 주파수발진기(86), 메모리(85), 전원(87), 유에스비트랜시버(88) 의 하위블럭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에스비트랜시버(88)은 유에스비포트의 유에스비컨넥터(35)에 연결되어 있으며 유에스비규격에의한 전기적인 기준을 만족한다 또한 차동전압에 의한 시리얼 디지털 데이터 전송을 내부의 유에스비기능제어기(84)에 패러럴 데이터로 전송을 수행한다. 유에스비기능제어기는 유에스비규격에 준하는 전송프로토콜 기능을 수행하 곳으로서 일부의 메모리(85)와 주파수발진기(86)과 연동하여 데이터의 송수신 제어를 담당한다. 유에스비트랜시버(88)에 송신버퍼(83)의 디지털 데이터를 유에스비프로토콜에 준하여 전송하거나 역으로 유에스비트랜시버(88)로부터 인가된 데이터를 유에스비프로토콜에 준하여 도착되었는지 확인후 수신버퍼(82)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신버퍼(82)와 송신버퍼(83)의 데이터는 DMA제어기(81)를 이용하여 다량의 고속 데이터를 시스템의 메인 메모리 (42)로 전송하거나 호출한다. 이때 사용되는 다량의 데이터는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컴퓨터(31)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문자나 그림의 폰트 데이터이고 짧은 시간에 고속의 폰트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The USB interface 45 of FIG. 4 includes a DMA controller 81, a reception buffer 82, a transmission buffer 83, a frequency oscillator 86, a memory 85, a power supply 87, and a US bit transceiver 88 in an internal block. ) Is a subblock of). The USB transceiver 88 is connected to the USB connector 35 of the USB port and satisfies the electrical standard according to the USB standard. Also, the serial digital data transmission by the differential voltage is transmitted to the internal USB controller 84 in parallel. To perform the transfer. The USB function controller performs a transmission protocol function conforming to the USB standard, and is in charge of controll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in association with a part of the memory 85 and the frequency oscillator 86. Function to transmit the digital data of the transmission buffer 83 to the USB transceiver 88 in accordance with the USB protocol or, conversely, to confirm whether the data authorized from the USBB transceiver 88 has arrived in accordance with the USB protocol and deliver the received data to the reception buffer 82. Do this. The data of the receiving buffer 82 and the transmitting buffer 83 transmits or calls a large amount of high-speed data to the main memory 42 of the system using the DMA controller 81. A large amount of data used at this time is a font data of the character or picture downloaded from the client computer 31 and provides the advantage that can be transmitted in a high speed font data in a short time.

도 9는 도3의 웹서버로부터 동기화하여 다운로드 가능한 데이터흐름도이다9 is a data flow chart downloadable in synchronization from the web server of FIG.

도 9는 도 3의 서버컴퓨터(39), 인터넷망(38), 클라이언트 컴퓨터(31), LED표시장치(37)의 연동관계를 구체적인 흐름도로 도시하였다. 최초의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컴퓨터(31)를 통하여 서버컴퓨터(39)에 인터넷 망(38)을 통하여 사이트 방문을 한다. 이때 서버 컴퓨터(39)는 사용자 인증이나 회원 가입 여부등의 내용등 아이디 및 패스워드 체크를 수행한 후 전용프로그램 설치를 요구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31)에서 폰트매니저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후 배포버젼을 체크하여 결과를 서버 컴퓨터(39)에 전송한다. 이때 서버컴퓨터(39)는 최신 버전의 폰트매니저 소프트웨어 및 폰트를 배포한다. 이 후 사용자는 LED표시장치(37)인 본체(1)를 클라이언트 컴퓨터(31)의 유에스비포트에 연결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31)에서는 상기 기술한 유에스비인터페이스(45)의 동작원리를 바탕으로 본체(1)의 인식 및 폰트매니저 소프트웨어를 구동한다. 이때 사용자는 서버 컴퓨터(39)로부터 전송받은 폰트 데이터를 본체(1)에 유에스비인터페이스(45)를 통하여 자동다운로드하는 동기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폰트매니저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직접 구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나 그림의 폰트 데이터를 직접 제작하여 본체(1)에 유에스비인터페이스(45)를 통하여 직접 다운로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인터넷 메일 접속을 통하여 자동생성 폰트재생기가 내장된 서버컴퓨터(39)에 휴대폰이나 기타 컴퓨터를 이용 접속하여 사이트를 방문하여 제작을 의뢰하거나 회원들간에 공유 및 배포하기를 원하는 폰트 데이터를 업로드 시킬 수 있다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terlock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er computer 39, the Internet network 38, the client computer 31, and the LED display device 37 of FIG. The first user visits the site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38 to the server computer 39 via the client computer 31. At this time, the server computer 39 performs ID and password checks such as user authentication or membership registration, etc., and then requests the installation of a dedicated program. If the font manager program is not installed on the client computer 31, it is downloaded and installed, the distribution version is checked, and the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computer 39. At this time, the server computer 39 distributes the latest version of the font manager software and fonts. Thereafter, the user connects the main body 1, which is the LED display device 37, to the USB port of the client computer 31. The client computer 31 drives the recognition of the main body 1 and the font manager software based on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above-mentioned USB interface 45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user performs a synchronization function of automatically downloading font data received from the server computer 39 to the main body 1 via the USB interface 45. On the other hand, a user can directly drive the font manager program of the client computer to directly create the font data of the character or picture desired by the user can be used to download directly to the main body 1 via the USB interface (45). In addition, the user accesses the server computer 39 with an auto-generated font player by using a mobile phone or other computer through an Internet mail connection, visits the site, requests production, or uploads font data desired to be shared and distributed among members. I can make it

이와 같이 본고안의 잔상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일반 컴퓨터에 장착된 유에스비포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문자나 그림의 데이터열을 직접제작하거나 기제작된 폰트를 다운로드 받아 공간상에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광소자를 일열로 배치하여 소정의 문자열을 공간상에 디스플레이이 함으로서 적은 수의 발광소자만으로도 표시하고자 하는 문자나 그림을 나타낼 수 있고, 야간 등행 및 경기장 혹은 콘서트장등에서 신호용나 응원소품 및 플래시라이트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미리 저장하여 잔상디스플레이 동작시 동작을 인식하여 일열의 발광소자를 제어하여 공간상에 정확히 문자나 그림을 표시하는 장점이 있다.




As such, the after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llowing a user to access a USB port mounted on a general computer to directly create a data string of a desired character or picture, or to download a pre-made font and display it in a space. By arrang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s in a row and display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string in the space, a small number of light emitting elements can display a character or a picture to be displayed, and can be used as a signal, a cheering accessory, or a flash light at night climbing, stadium, or concert hal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In addition, by storing the user's operation pattern in advance, it recognizes the operation during the after-image display operation to control a series of light emitting elements to display the characters or pictures accurately in the space.




Claims (11)

발광소자를 이용한 표시장치에 있어서,In a display device using a light emitting element, 일열어레이(11)의 발광소자를 막대모양 본체(1)의 회로기판의 다수 배열하여 표시하는 LED발광부(44)와,An LED light emitting unit 44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of the array of arrays 11 on a circuit board of the rod-shaped main body 1;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나 그림을 유에스비포트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31)로부터 전송받는 유에스비인터페이스(45)와,A USB interface 45 for receiving a character or a picture desired by the user from the client computer 31 through the USB port, 유에스비인터페이스부로 전송받은 문자나 그림의 폰트 데이터와 사용자의 동작패턴을 인식하여 만든 변수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font data of characters or pictures received from the UBS interface unit and variable data created by recognizing a user's operation pattern; LED 발광부(44)를 제어하기 위하여 패턴 인식 및 적응제어를 담당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된 적응제어부(41)와,An adaptive controller 41 made of a microprocessor for pattern recognition and adaptive control to control the LED light emitter 44; 사용자의 동작 패턴인식에 사용하기 위하여 그리고 실제 동작속도를 검지하기 위한 속도검출부(43)와,A speed detector 43 for use in user's motion pattern recognition and for detecting the actual speed of motion; LED발광부(44), 적응제어부(41), 속도검출부(43), 메모리(42), 유에스비인터페이스(45) 회로에 전기를 인가하기 위한 전원(46)을 포함하여 문자나 그림이 잔상으로 표시되며,Characters and pictures are displayed as afterimages, including the LED light emitting unit 44, the adaptive control unit 41, the speed detecting unit 43, the memory 42, and the power supply 46 for applying electricity to the USB interface 45 circuit. , 상기 적응제어부(41)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인식모드(51), 디스플레이모드(52), 플래시라이트동작(54), 적응제어함수 계산후 패턴비교 결과판별(57)의 판별 및 동작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The adaptive controller 41 determines the recognition mode 51, the display mode 52, the flash light operation 54, and the pattern comparison result discrimination 57 after calculating the adaptive control function by the program of the microprocessor.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LED발광부(44)는 일열어레이(12)의 16개 구성으로 문자나 그림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The LED light emitting unit (44) i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represent a character or a picture in 16 configurations of a row array (12).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에스비인터페이(45)는 유에스비프로토콜을 수행하며 내부에 DMA제어기(81),수신버퍼(82),송신버퍼(83),유에스비기능제어기(84),메모리(85),주파수발진기(86)전원(87),유에스비트랜시버(8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표시장치.The USB interface 45 performs the USB protocol, and therein, a DMA controller 81, a reception buffer 82, a transmission buffer 83, a USB function controller 84, a memory 85, and a frequency oscillator 86 (87)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U-bit transceiver (88).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모리(42)는 사용자의 동작패턴 및 전송받은 문자나 그림의 폰트 데이터를 전원이 오프시에도 저장하기 위하여 기억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표시장치.The memory (4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non-volatile memory that can be stored for storing the user's operation pattern and the font data of the transmitted character or picture even when the power is off.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적응제어 함수 계산후 패턴비교결과 판별(57)프로세스는 마이크로프로세스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센서측정적응제어기(61),패턴저장적응제어기(62),제1가변제어기(63),제1가산누적제어기(64),n차항의 대표로서 표현되는 제2가변제어기,제2가산누적기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표시장치.After the adaptive control function is calculated, the pattern comparison result discrimination process 57 is performed by a microprocessor program. The sensor measurement adaptation controller 61, the pattern storage adaptation controller 62, the first variable controller 63, and the first cumulative controller (64), a display apparatu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a process of a second variable controller and a second adder accumulator represented as representative of the nth order term.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상기 속도검출부(43)는 속도검출모듈(77)내에 좌측제한지지대(71),우측제한지지대(76), 레일 및 지지대(75), 이동체(74)를 포함하고 전기적 센서수단으로서 좌측광출력(72)과 우측광출력(79),좌측광픽업센서(73) 우측광픽업센서(7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표시장치.The speed detecting unit 43 includes a left limiting support 71, a right limiting support 76, a rail and a support 75, and a moving body 74 in the speed detecting module 77. 72) and a right optical output sensor (79), a left optical pickup sensor (73) and a right optical pickup sensor (78). 컴퓨터에 연결되어 이용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In the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computer, 클라이언트 컴퓨터(31)의 유에스비포트에 접속이 용이하게 유에스비인터페이스(45) 및 LED어레이(12)를 포함한 LED 표시장치(37)와,An LED display device 37 including a USB interface 45 and an LED array 12 for easy connection to the USB port of the client computer 31; 서버 컴퓨터(39)로부터 폰트매니저 프로그램 및 폰트를 배포받아 설치하고 폰트를 제작가능하며,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된 LED 표시장치(37)에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나 그림의 폰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컴퓨터(31)와,A client computer capable of distributing and installing font manager programs and fonts from the server computer 39 and producing fonts, and transmitting font data of characters or pictures desired by the user to the LED display device 37 connected to the USB port ( 31) and, 인터넷망(38)에 연결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컴퓨터(31)와 통신을 하며 최신버젼의 폰트 매니저프로그램 및 폰트데이터를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배포 가능하게 하는 서버컴퓨터(39)를 이용하며,A server computer 39 is used to communicate with a plurality of client computers 31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38 and to distribute the latest version of the font manager program and font data to the client computer at the request of the user. 상기 LED 표시장치(37)는,The LED display device 37,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나 그림을 유에스비포트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31)로부터 전송받는 유에스비인터페이스(45)와,A USB interface 45 for receiving a character or a picture desired by the user from the client computer 31 through the USB port, 유에스비인터페이스부로 전송받은 문자나 그림의 폰트 데이터와 사용자의 동작패턴을 인식하여 만든 변수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variable data created by recognizing font data of a character or a picture transmitted to a USB interface and a user's operation pattern; LED 발광부(44)를 제어하기 위하여 패턴 인식 및 적응제어를 담당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된 적응제어부(41)와,An adaptive controller 41 made of a microprocessor for pattern recognition and adaptive control to control the LED light emitter 44; 사용자의 동작 패턴인식에 사용하기 위하여 그리고 실제 동작속도를 검지하기 위한 속도검출부(43)를 포함하여 문자나 그림이 잔상으로 표시되며,Characters or pictures are displayed as afterimages, including a speed detector 43 for use in user's motion pattern recognition and for detecting the actual speed of motion. 상기 속도검출부(43)는 속도검출모듈(77)내에 좌측제한지지대(71),우측제한지지대(76), 레일 및 지지대(75), 이동체(74)를 포함하고 전기적 센서수단으로서 좌측광출력(72)과 우측광출력(79),좌측광픽업센서(73) 우측광픽업센서(7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표시장치.The speed detecting unit 43 includes a left limiting support 71, a right limiting support 76, a rail and a support 75, and a moving body 74 in the speed detecting module 77. 72) and a right optical output sensor (79), a left optical pickup sensor (73) and a right optical pickup sensor (78). 삭제delete 제 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클라이언트컴퓨터(31)가 서버컴퓨터(39)에 인터넷망(38)을 통하여 폰트매니저 소프트웨어나 폰트 데이터를 다운로드 수행하고 LED표시장치(37)인식 및 폰트매니저 소프트웨어 구동을 수행하며 문자나 이미지폰트 제작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표시장치. The client computer 31 downloads the font manager software or font data to the server computer 39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38, performs the LED display device 37 recognition and the font manager software, and produces text or image fonts.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제 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서버컴퓨터(39)가 웹서버 기능을 갖추고 사용자의 접속을 클라이언트 컴퓨터(31)의 인터넷망 접속이나 인터넷메일접속의 행위를 통하여 접속가능하게 하고 클라이언트 컴퓨터(31)의 폰트매니저 프로그램의 배포버젼을 자동 감지하고 전용프로그램 설치를 요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사용자의 요구에 의한 문자나 그림의 폰트를 자동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31)에 전송할 수 있게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표시장치.The server computer 39 has a web server function, which enables the user's connection to be accessed through an Internet network connection or an Internet mail connection of the client computer 31, and the distribution version of the font manager program of the client computer 31.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the process of automatically detecting and requesting the installation of a dedicated program, and automatically generates a character or a picture font at the request of the user and transmits it to the client computer (31).
KR1020040099348A 2004-11-30 2004-11-30 Using the USB interface and pattern recognition for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1755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348A KR101175547B1 (en) 2004-11-30 2004-11-30 Using the USB interface and pattern recognition for image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348A KR101175547B1 (en) 2004-11-30 2004-11-30 Using the USB interface and pattern recognition for image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313A KR20060060313A (en) 2006-06-05
KR101175547B1 true KR101175547B1 (en) 2012-08-21

Family

ID=37157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348A KR101175547B1 (en) 2004-11-30 2004-11-30 Using the USB interface and pattern recognition for image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54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912B1 (en) * 2016-02-05 2016-12-02 (주)거노코퍼레이션 A wearable device for displaying image using afterimage of light source
KR102020797B1 (en) * 2019-02-28 2019-09-11 주식회사 이노벡스 Apparatus for synchronizing frame and screen location depending on rotation speed of spinning displa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144Y1 (en) * 2004-02-19 2004-05-20 민병문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144Y1 (en) * 2004-02-19 2004-05-20 민병문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313A (en) 2006-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7112B2 (en) Ball and entertainment system
JP6150604B2 (en) Game machine
JP2013248017A (en) Game machine
KR20070043325A (en) Treadmill system
JP2016171856A (en) Game machine
JP2013248016A (en) Game machine
KR101694772B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of golf swing
KR101175547B1 (en) Using the USB interface and pattern recognition for image display apparatus
KR200387327Y1 (en) Using the USB interface and pattern recognition for image display apparatus
US8337303B2 (en) Light display for a video game device
JP2017124258A (en) Game machine
JP2016026669A (en) Game machine
JP2016137291A (en) Game machine
JP2016137290A (en) Game machine
JP5908864B2 (en) Game machine
KR20030070185A (en) controll system and controll method for health machine
JP2015058222A (en) Game machine
KR101974364B1 (en) Method of providing golf putting line information using mobile device with lidar
KR102018581B1 (en) Operating methods for personalized navigation
KR20110006467A (en) Fishing game device
JP6294409B2 (en) Game machine
JP2014150834A (en) Game machine
ATE336758T1 (en) SURVEYING SYSTEM WITH REMOTE-CONTROLLED VIDEO RECORDING
JP6391760B2 (en) Game machine
US20070057787A1 (en) Virtual display with motion synchron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