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657B1 - A sheet for counterfeit prevention with diffracting grat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A sheet for counterfeit prevention with diffracting grat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657B1
KR101170657B1 KR1020100076575A KR20100076575A KR101170657B1 KR 101170657 B1 KR101170657 B1 KR 101170657B1 KR 1020100076575 A KR1020100076575 A KR 1020100076575A KR 20100076575 A KR20100076575 A KR 20100076575A KR 101170657 B1 KR101170657 B1 KR 101170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tice
layer
sheet
resin lay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5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14476A (en
Inventor
서구원
유한솔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1020100076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657B1/en
Publication of KR20120014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4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6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2Metallic printing; Printing with powdered 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11Pre-treatment or treatment during printing of the recording material, e.g. heating, irradi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4Ablative recording, e.g. by burning marks; Spark recording

Landscapes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자 구조를 이용한 위조방지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색상을 서로 달리하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번갈아서, 혹은 무작위로 적층되는 상부층에 높이가 서로 다른 격자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관점에 따라 색상과 문양이 달리 보이도록 함으로써, 저렴하고 간소한 구성으로도, 고도의 위조방지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 구조를 이용한 위조방지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counterfeiting sheet using a lattice struct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by forming a lattice structure having different heights in an alternating resin layer and a metal layer having different colors or on a randomly stacked upper lay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et for preventing counterfeit using a lattice struct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by allowing colors and patterns to be seen differently, according to a viewpoint, to provide a high level of anti-counterfeiting even with a simple and inexpensive configuration.

Description

격자 구조를 이용한 위조방지용 시트 제조방법{A sheet for counterfeit prevention with diffracting grat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A sheet for counterfeit prevention with diffracting grat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광가변 효과를 응용한 위조 방지용 시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sheet for preventing forgery applying the light variable effect.

보다 상세하게는, 색상을 서로 달리하는 수지층과 금속층이 다수 적층되되, 상부층에 격자 구조가 형성되어, 보는 관점에 따라 시각적 흥미와 시각적 진위 식별을 위하여 색상과 문양이 달리 보여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저렴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고도의 위조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resin layers and metal layers having different colors are stacked, and a lattice structure is formed on the upper layer, so that colors and patterns may be differently displayed for visual interest and visual authenticity according to a viewing point of view.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can provide a high level of anti-counterfeiting function with a simple configuration.

본 발명의 광가변 효과를 적용한 시트는, 진위 식별이 필요한 어떠한 형태의 제품에도 부착, 활용될 수 있는 등 그 적용 대상 및 범위는 엄청나게 넓다고 할 수 있다. 즉 필름형태나 카드형태, 은반(confetti)형태, 시트형태 등으로 제작 및 적용 가능하다.
The sheet to which the light-variabl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an be attached and utilized to any type of product requiring authenticity identification, and the application object and scope thereof are enormously wide. That is, it can be produced and applied in film form, card form, confetti form, sheet form,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보는 각도에 따라서 색상이나 이미지가 달라 보이게 하는 기술은 빛의 반사, 굴절, 회절 등의 원리를 이용하는데, 이를 응용하여 홀로그램 필름, 펄 안료 등을 제작하기도 한다.
In general, the technology to make the color or image look different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uses the principle of light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etc., and also applies to this to produce hologram film and pearl pigment.

이와 같이 보는 각도에 따라서 대상물의 색상이 다르게 보이는 현상을 광가변 효과 (optical variable effect) 라고 하며, 은행권(지폐)과 같은 보안인쇄 제품에 홀로그램 필름을 부착하거나, 펄 안료와 광가변 안료를 잉크화 하여 인쇄하고 있다.
The phenomenon in which the color of the object looks different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s called an optical variable effect, and a hologram film is attached to a security printed product such as banknotes (banknotes), or ink pearl pigments and photovariable pigments are inkized. Is printing.

홀로그램은 알루미늄이 증착된 플라스틱 필름에 매우 작은 크기의 격자 구조를 엠보싱한 것으로서, 2차원이나 3차원 이미지 및 색상 변화가 뚜렷하다.
Holograms are embossed grating structures of very small size on a plastic film on which aluminum is deposited, and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images and color variations are obvious.

펄 안료 혹은 색변환 안료는 굴절율이 다른 물질을 다층으로 증착하거나 코팅하여 만드는 것으로서, 각 층간의 굴절율과 반사율의 차이를 유발시켜 보는 각도에 따라 색상이 다르게 보인다.
Pearl pigments or color conversion pigments are made by depositing or coating multi-layered materials with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nd the colors look different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causing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and reflectance between layer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광가변 효과를 이용한, 위조 방지 기술을 은행권 등에 적용하는 데는, 제조 비용이 상당하며, 제조 공정 또한 복잡하고 번거로와서 이를 개선시키고자 하는 요구가 끊임 없이 요구되어 오고 있지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 못하고 있었다.
However, the application of the conventional anti-counterfeiting technology using the above-described optical variable effects, such as banknotes, manufacturing costs are considerable,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cumbersome, and there is a constant demand for improvement. However, no way to solve this problem has been propose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제시되지 않은 새로운 기술에 해당한다. 즉 다층으로 구성된 광가변 효과가 발휘되는 시트에 관한 기술로서, 상부층에 여러 치수 및 형태로 격자 구조와 비격자구조를 형성시켜 보는 각도에 따라서 시트의 색상과 이미지가 변화되어 보이게 함으로써, 진위 여부 판단이 필요한 각종 상업적, 비상업적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인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corresponds to a new technology not proposed in the art. In other words, it is a technology for a sheet having a multi-layered light variable effect. The lattice structure and the non-lattice structure are formed in various dimensions and shapes on the upper layer so that the color and image of the shee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This is a breakthrough technology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commercial and non-commercial products.

본 발명은 다층구조로 된 시트(sheet) 중, 상부층에 위치하는 수지층에, 소정의 격자 구조를 형성시켜, 격자의 높이와 간격에서 발생하는 시각 차이로 인해서 보는 각도에 따라 색상과 이미지가 다르게 보이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lattice structure is formed on a resin layer located in an upper layer among sheets having a multi-layered structure, and colors and images vary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due to visual differences occurring at the height and interval of the lattice. It's about the technology that makes it visible.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광가변 효과를 이용하여 적층구조, 격자 간격, 격자 높이, 격자 방향에 따라서 다양한 시각적 색상과 이미지 변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위조 방지용 시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unterfeit preventing sheet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exhibit various visual colors and image conversion effects according to the lamination structure, lattice spacing, lattice height, and lattice direction by using the optical variable effect.

둘째, 단순한 제작 공정을 통하여 제작 비용을 종래보다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위조방지용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Second, through a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for preventing forgery that can significantly lower the production cost than conventional.

세째, 시각적 다양성으로 인해 각종 지폐 등의 위, 변조를 방지할 수 있어 일반인들이라도 그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위조방지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ird, it is possible to prevent tampering of various banknotes and the like due to visual diversity, and to provide an anti-counterfeiting sheet capable of checking the authenticity of even ordinary people.

네째, 본 발명을 필름형태, 시트형태, 카드형태, 은반(confetti)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용함으로써, 시각적 흥미와 시각적 진위 식별 요소로 사용되는 각종 상업적, 비상업적 제품에 적용 가능한 위조 방지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Fourth,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 variety of forms, such as film form, sheet form, card form, confetti form, to provide a counterfeit prevention sheet applicable to various commercial and non-commercial products used as visual interest and visual authenticity identification elements I would like t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즉 위조 방지용 시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호 색상이 다른 수지층들과 금속층을 무작위로 2층 이상 적층하여 시트 적층구조를 만드는 단계(S10); 상기 적층된 구조의 상부 일측을 특정문자, 이미지, 혹은 패턴을 디자인하여 자외선 혹은 레이저에 의해 광경화시키는 단계(S20); 상기 광경화된 부분 이외의 부분을 제거하여, 돌출된 격자 부분과 오목하게 들어간 비격자 부분을 형성시키는 단계(S30); 를 포함함으로써, 관찰하는 각도에 따라서 상기 격자 및 비격자 구조 폭과 높이에 의해 창출되는 광가변효과에 의해, 색상과 이미지가 연속적으로 달라 보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시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That is, in the anti-counterfeiting sheet manufacturing method, a step of forming a sheet laminated structure by laminating two or more layers of resin layers and metal layers of different colors at random (S10); Designing a specific character, an image, or a pattern on an upper side of the stacked structure and photocuring the same by ultraviolet or laser (S20); Removing a portion other than the photocured portion to form a protruding grating portion and a concave non-lattice portion (S30); By including, by the optical variable effect created by the grating and non-lattice structure width and height according to the angle of observa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ducing a counterfeit prevention shee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or and image look continuously different. .

한편, 상기 격자와 비격자 부분은, 상기 적층된 구조의 상부 일측을 특정문자, 이미지, 혹은 패턴을 디자인한 후, 레이저로써 조각 회화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attice and the non-lattice portion, by designing a specific character, image, or pattern on the upper side of the laminated structure, may be formed by engraving with a laser.

상기 격자와 비격자의 폭 비율은 1 : 0.1 ~ 2.0 내에서 형성됨으로써, 수직상부로부터 관찰 각도를 바꿔가면서 상기 시트를 관찰할 경우, 적층 구조 중 외부로 드러나는(관찰되는) 폭이 지속적으로 변함에 따라 관찰되는 적층물 색상과 이미지도 동시에 변해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idth ratio of the lattice and the non-lattice is formed in 1: 0.1 to 2.0, so that when the sheet is observed while changing the viewing angle from the vertical portion, the width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aminated structure (observed) is continuously changed. The color and image of the laminate obser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onfigured to change at the same time.

만약, 격자와 격자의 사이 간격(즉, 비격자 부분의 폭)이 너무 크면,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를 관찰자가 볼 때, 비격자 부분의 저면(底面)이 너무 많이 보이게 되므로, 관찰 각도를 변화시키더라도 시트의 색상이나 이미지 변환이 미미하게 되므로 바람직 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말미암아, 상기 비율 (1 : 0.1 ~ 2,0)과 같이 선택된 것이다.
If the distance between the lattice and the lattice (i.e., the width of the non-lattice portion) is too large, when the viewer views th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lattice portion becomes too visible, and thus the viewing angle is changed. Even if you do so, the color or image conversion of the sheet is insignificant, which is undesirable. For this reason, it is selected as the ratio (1: 0.1 to 2,0).

한편, 상기 금속층은 금속 증착층이거나, 혹은 금속분말 잉크를 코팅함에 의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형성 가능하다. 당업자 수준에서 이러한 금속층 형성 방법은 공지의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Meanwhile, the metal layer may be a metal deposition layer or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by coating a metal powder ink.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 method of forming a metal layer is well known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격자 부분과 비격자 부분은 형성은 1차원적으로(일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격자 부분과 비격자 부분은 2차원적으로(평면을 이루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 동시에 교대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격자 구조하에서는, 일방향으로 격자 구조가 형성되었을 때 보다도 훨씬 관찰되는 이미지 변환의 정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The lattice portion and the non-lattice portion are formed on the basis of alternating formation in one dimension (one dir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attice portion and the non-lattice portion are two-dimensional (the X-axis direction forming a plane). And the Y-axis direction) may be alternately formed at the same time. Under such a lattice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gree of image conversion observed much more than when a lattice structure is formed in one direction is improved.

격자의 높이도 다양화 시켜서, 관찰되는 이미지 변환을 보다 변화무쌍하게 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grid can also be varied, making the observed image transformation more variable.

즉, 상기 격자 부분들의 최상부 표면의 높이는 동일하나, 비격자 부분의 저면(底面)은 상이(相異)하게 형성함으로써(Z축 방향의 격자 높이의 변화), 적층된 물질들이 가진 고유한 색상이 복합적으로 관찰될 수도 있다.
That is, the height of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grating portions is the same, but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lattice portion is formed differently (change of the grating height in the Z-axis direction), so that the unique color of the laminated materials It may be observed in combination.

본 발명에 따른 광가변 효과를 응용한 위조방지용 시트는 층구조, 격자 간격, 격자 높이, 격자 방향에 따라서 다양한 시각적 색상과 이미지 변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The anti-counterfeiting sheet to which the optical variabl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exhibits various visual colors and image conversion effects depending on the layer structure, lattice spacing, lattice height, and lattice direction.

이러한 시각적 다양성으로 인해 각종 지폐 등의 위, 변조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일반인들이라도 그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ue to such visual diversit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ampering of various banknotes and the like, and even the general public has an advantage of verifying its authenticity.

한편, 본 발명은 필름, 시트, 카등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용할 수 있어 상업적, 비상업적 적용 범위는 매우 넓다고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film, sheet, car and the like, it can be said that the commercial and non-commercial application range is very wid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도.
도 2a는 도 1의 최상부층에 격자구조를 형성한 상태도.
도 2b는 도 2a의 사시도.
도 3은 도 2a 를 수직상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2a 를 K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2a 를 L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도.
도 7은 도 6의 수직상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 6을 약 45도 정도로 비스듬히 상공에서 바라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로부터 격자구조를 형성시킨 도면,
도 10은 격자의 높이를 다양화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격자 및 비격자 구조의 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관찰하는 시선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laminated structure diagra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state diagram in which a lattice structure is formed on the uppermost layer of FIG. 1; FIG.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2A; FIG.
FIG. 3 is a view from above of FIG. 2A in a vertical view; FIG.
FIG. 4 is a view of FIG. 2A viewed from the K direction. FIG.
FIG. 5 is a view of FIG. 2A viewed from the L direction. FIG.
6 is a laminated structure diagra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from above of FIG. 6;
FIG. 8 is a view from above at an angle of about 45 degrees to FIG. 6;
9 is a view showing a lattice structure formed from a laminated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height of the lattice is diversified;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idth of the lattice and the non-lattice structure,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change of the visual line to observ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나타낼 수 있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specific embodiment that can repres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이하의 실시예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 수준에서 용이하게 수정, 변형 가능한 일체의 발명도 본 발명의 요지를 갖추고 있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any invention that can be easily modified and modified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has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에서는 광가변 효과를 발휘하는 시트 제조의 최초 공정을 도시하고 있다.In FIG. 1, the initial process of sheet manufacture which exhibits a photovariable effect is shown.

다층구조를 가진 시트(10)는 수지층(20), 금속층(30) 및 최상부의 또다른 수지층인 광경화성 수지층(21)으로 구성된다.
The sheet 10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is composed of a resin layer 20, a metal layer 30 and a photocurable resin layer 21, which is another resin layer on top.

다만, 본 발명의 시트는 도 1과 같은 3층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2층 혹은 4층 이상으로도 얼마든지 확장 가능하다.However, th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hree-layer structure as shown in FIG. 1, and can be expanded to two or four layers or more.

그리고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층은 그 재료와 색상이 달리하여(예, 도 1) 배치될 수도 있지만, 수지층/수지층 과 같이 재료는 동일하되, 색상이나 재질을 달리하여서도 적층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two adjacent layers may be arranged differently from their materials and colors (eg, FIG. 1), but the materials may be the same as those of the resin layer / resin layer, but may be stacked with different colors or materials.

즉, 본 발명의 요지가 보는 각도에 따라 색상, 이미지가 변화하는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적층 구조는 매우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eet whose color and image change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the lamination structure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도 1의 최하층의 수지층(20)은 투명한 수지층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착색 물질에 의해 착색된 수지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lowest resin layer 20 of FIG. 1 may be composed of a transparent resin layer, or may be composed of a resin layer colored by a coloring material.

이러한 수지층(20)은 수십 마이크로미터 정도 두께가 바람직하지만, 그 보다 얇거나 두텁게 형성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The resin layer 20 is preferably about tens of micrometers thick, but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thinner or thicker than that.

수지층(2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수지로써 형성하되, 기타 수지라도 충분히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resin layer 20 is formed of a resin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but of course, it can be sufficiently applied.

금속층(30)은 금속분말을 잉크화 하여 코팅을 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혹은 금속 증착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metal layer 3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coating by coating the metal powder, or may be composed of a metal deposition layer.

금속층(30)은 알루미늄을 1마이크로미터 정도로 증착하여 형성시킬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그 보다 두껍게 혹은 얇게 증착시키거나, 혹은 금속분말을 잉크화하여 코팅할 수 있으며, 기타 금속 재료를 적용하는 것을 배제하지 아니한다.
The metal layer 30 may be formed by depositing aluminum to about 1 microme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etal layer 30 may be thicker or thinner, or may be coated with ink by coating metal powder. It is not excluded.

광경화성 수지층(21)은 착색되지 않은 상태 혹은 착색물질로 착색된 상태 중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지만, 광가변 효과 측면에서는 투명한 상태 보다는 염료나 안료로써 착색한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the photocurable resin layer 21 may be selectively applied in a non-colored state or a state colored with a coloring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apply a colored thing with a dye or a pigment rather than a transparent state in view of the photovariable effect.

예를 들어, 적색으로 착색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수지(UA)가 20 마이크로미터 정도 도포 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rethane acrylate resin (UA) colored in red may be applied to about 20 micrometers.

한편 수지층의 착색은 상기와 다르게, 격자구조를 형성한 다음에 염색을 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loring of the resin layer may be dyed after forming a lattice structure differently from the above.

도 2a는 도 1의 광경화성 수지층(21)에 일정한 격자 구조를 형성시킨 장면이고 도 2b는 도 2a를 입체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그 제조 과정에 관한 설명은 이하와 같다.
FIG. 2A is a scene in which a certain lattice structure is formed on the photocurable resin layer 21 of FIG. 1, and FIG. 2B shows a stereoscopic view of FIG. 2A. Descrip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as follows.

즉, 도 1의 최상층에 있는 광경화성 수지층(21)을 원하는 패턴으로 광경화를 한 다음, 용제에 의해 세척하면 A 부분과 같은 돌출격자가 형성되고, 기타 광경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은 제거되어 B와 같은 비격자부분(공간에 해당함)이 형성된다.
That is, when the photocurable resin layer 21 on the uppermost layer of FIG. 1 is photocured in a desired pattern and then washed with a solvent, a protruding lattice such as a portion A is formed, and other photocurable portions are removed. A non-lattice portion (corresponding to a space) such as B is formed.

상기 광경화 공정은, 격자부분 A와 비격자부분 B으로 될 부분을 나누어서 광경화성 수지층(21) 표면을 세선(細線)으로써 특정문자, 이미지, 패턴을 디자인 한 후, 마스킹 방식으로 자외선 경화를 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화는 자외선 외에도 전자빔, 레이저 등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photocuring process, a specific character, an image, a pattern is designed by dividing a portion to be a lattice portion A and a non-lattice portion B by thinning the surface of the photocurable resin layer 21, and then performing ultraviolet curing using a masking method. You can. In addition to the ultraviolet rays, such curing may also use an electron beam, a laser, or the like.

따라서, 상기 비격자부분 B의 저면(底面)에서는, 금속층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어 그 색상이 일정각도에서 관찰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lattice portion B, the metal layer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ts color can be observed at a certain angle.

도 3은 도 2a의 격자 구조의 시트를 수직 상부로부터 바라본 그림이고, 도 4는, 도2a 의 K방향으로부터 바라 본 즉,경사 약 45도 정도에서 바라 본 버드뷰(bird view)에 해당하는 그림이며, 도 5는 눈높이의 경사를 더욱 낮추어 도 2a의 L 방향으로 부터 바라 본 그림으로서, 금속층(30)이 더 이상 보이지 않을 정도이다.
FIG. 3 is a view of the lattice sheet of FIG. 2A viewed from the vertical top, and FIG. 4 is a view corresponding to a bird view viewed from the K direction of FIG. 2A, that is, viewed from about 45 degrees of inclination. 5 is a view viewed from the L direction of FIG. 2A by further lowering the inclination of the eye level, and the metal layer 30 is no longer visible.

도 3에서는 격자의 광경화성 수지층(21)의 상부면(즉, 격자구조 A의 상부면)과 노출된 금속층(30)이 번갈아 가며 도시되어 있는데, 육안으로는 실제 광경화성 수지층(21)과 금속층(30)의 색상이 혼합 되어 관찰되어 진다.
In FIG. 3, the upper surface of the photocurable resin layer 21 of the lattice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lattice structure A) and the exposed metal layer 30 are alternately shown. In the naked eye, the actual photocurable resin layer 21 is shown. And the colors of the metal layer 30 are mixed and observed.

도 4에서는 광경화성 수지층(21)과 금속층(30)이 모두 보이기는 하지만, 도 3의 경우보다 금속층(30)은 더 협소하게 보이며, 격자구조(A)의 상단부와 측면이 동시에 보이게 되어 도 3의 경우보다 광경화성 수지층(21)의 상부면 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어 보인다.
Although the photocurable resin layer 21 and the metal layer 30 are both visible in FIG. 4, the metal layer 30 is narrower than in the case of FIG. 3, and the upper end and side surfaces of the lattice structure A are simultaneously visible. It appears relatively wid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photocurable resin layer 21 than in the case of 3.

도 5와 같이 시선(視線)의 각도를 더욱 낮추면, 격자구조 A의 상단부와 그 측면만이 보이게 된다.
As shown in FIG. 5, when the angle of the gaze is further lowered, only the upper end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grid A are visible.

상기와 같이, 관찰자가 보는 각도에 따라서 보이는 색상과 이미지가 달라지면서,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이미지 변환이 이루어 지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color and image seen differ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 complex and dynamic image conversion is performed.

한편, 도 2에서 도시된 격자구조 A는 돌출된 부위와 그 사이 간격이 일정한데, 도 10과 같이 돌출된 부위간 간격을 크게 혹은 작게 하거나 그 높이를 달리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 1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차후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the lattice structure A shown in Figure 2 is a constant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interval therebetween, as shown in Figure 10 may be form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spacing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s. A detailed description of FIG. 10 will be provided later.

이와 같이, 격자구조를 형성시킬 경우, 관찰되는 색상과 이미지는 원래의 격자구조로부터 관찰되는 이미지, 색상과는 달라지게 되므로 격자 구조의 형태를 다양화 함에 따라 관찰되는 색상과 이미지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As such, when the grid structure is formed, the color and image observed are different from the image and color observed from the original grid structure. As the shape of the grid structure is diversified, the observed color and image may vary. It can be produced.

도 11에서와 같이, 격자 구조와 비격자부분의 폭 비율은 1 : 0.1 ~ 2.0 정도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격자구조의 높이는 0.1 마이크로미터 내지 50 마이크로미터 정도가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s shown in Figure 11, the width ratio of the lattice structure and the non-lattice portion is preferably about 1: 0.1 ~ 2.0. The height of the lattice structure is preferably about 0.1 micrometers to about 50 micromet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격자와 비격자의 폭 비율은 1 : 0.1 ~ 2.0 내에서 형성된 이유는, 수직상부로부터 관찰 각도를 바꿔가면서 상기 시트를 관찰할 경우, 적층 구조 중 외부로 드러나는(관찰되는) 폭이 지속적으로 변함에 따라 관찰되는 적층물 색상과 이미지도 동시에 변해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width ratio of the lattice and the non-lattice is formed in 1: 0.1 to 2.0 because, when the sheet is observed while changing the viewing angle from the vertical portion, the width exposed to the outside (observed) of the laminated structure is continuously changed. This is to ensure that the color and image of the stack observed at the same time changes.

만약, 격자와 격자의 사이 간격(즉, 비격자 부분의 폭)이 너무 크면,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를 관찰자가 볼 때, 비격자 부분의 저면(底面)이 너무 많이 보이게 되므로, 관찰 각도를 변화시키더라도 시트의 색상이나 이미지 변환이 미미하게 되므로 바람직 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말미암아, 상기 비율 (1 : 0.1 ~ 2,0)과 같이 선택된 것이다.
If the distance between the lattice and the lattice (i.e., the width of the non-lattice portion) is too large, when the viewer views th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lattice portion becomes too visible, and thus the viewing angle is changed. Even if you do so, the color or image conversion of the sheet is insignificant, which is undesirable. For this reason, it is selected as the ratio (1: 0.1 to 2,0).

한편, 시트를 이루는 적층 구조의 요소(금속층 및 수지층)들의 적층 순서를 도 1과는 다르게 변화시키면 또다른 색상 및 이미지가 연출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tacking order of the elements (metal layer and resin layer) of the laminated structure forming a sheet different from that of FIG. 1, another color and image may be produced.

즉, 도 1에서는 아래로부터 수지층 , 금속층, 광경화성 수지층 의 순서이지만, 그 적층 개수와 순서를 바꾸어서, 아래로부터 위로 수지층, 금속층, 수지층, 광경화성수지층과 같이 보다 많은 개수의 층으로도 얼마든지 가능하다.That is, in FIG. 1, the resin layer, the metal layer, and the photocurable resin layer are shown in order from the bottom, but the number of layers and the order of the layers are reversed, and a larger number of layers such as the resin layer, the metal layer, the resin layer, and the photocurable resin layer are display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s much as possible.

도 6에서는 2층 구조의 시트를 도시하고 있는데, 아래층에는 20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적색으로 착색된 PET층(22)이 있고, 그 위로 황색으로 착색된 20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UA층(24)가 형성되어 있다.
In Fig. 6, a two-layered sheet is shown, with the lower layer having a red colored PET layer 22 of about 20 micrometers, and a UA layer 24 of about 20 micrometers colored yellow thereon. Formed.

도 6의 격자구조 C 는, 도 2의 격자구조 A 와는 달리 레이저 조각에 의해서 형성시킨 것이다. The lattice structure C of FIG. 6 is formed by laser engraving, unlike the lattice structure A of FIG.

이때 레이저 가공기는 1.06마이크로미터 발진 파장을 가지는 20와트 저출력 엔디야그 레이저(Nd: YAG LASER)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이저의 에너지와 초점을 조절하여 10~30 마이크로미터의 세선(細線)으로 특정문자나 이미지 혹은 패턴을 조각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laser processing machine may use a 20-watt low-power ended laser having a 1.06 micrometer oscillation wavelength (Nd: YAG LASER). By adjusting the energy and focus of the laser, you can engrave specific characters, images or patterns in thin lines of 10 to 30 micrometers.

도 7은 각각 도 6의 시트구조를 수직 상방향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8은 도 7의 시선의 위치로부터 점점 바라보는 각도를 줄여간 결과, 결국 PET층(22)이 보이지 않는 각도에서 바라본 장면이다.
FIG. 7 is a view of the sheet structure of FIG. 6 from the vertically upward direction, and FIG. 8 is a view of the PET layer 22 not being seen as a result, as a result of gradually decreasing the viewing angle from the position of the line of sight of FIG. 7. .

한편, 도 2a 에서는 1차원적으로만(일방향, 가령 X축 방향) 격자구조 A 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를 확장하여, 2차원적으로도 격자구조 A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In FIG. 2A, the lattice structure A is formed only in one dimension (one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X-axis direction). However, the lattice structure A may be formed in two dimensions.

여기서, 2차원적인 격자구조라 함은, 격자구조의 배치가 도 9와 같이 X축, Y축 방향으로 모두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도 2a의 시트 구조와 비교해 볼 때 바라보는 시선 위치가 움직임에 따라, 보다 많은 색상과 이미지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Here, the two-dimensional lattice structure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lattice structure is arranged in both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as shown in FIG. 9, and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gaze viewed as compared to the sheet structure of FIG. As you move, you can observe more color and image changes.

즉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관찰하는 시선을 e 방향 혹은 f 방향 어디로 움직이더라도 이미지나 색상의 변화는 현란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단순하게 한방향으로만 형성된 격자보다는, 위조, 변조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고, 진위식별 방법도 수월해 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12, the image or color change can be made splendid even if the gaze observed in the e direction or the f direction is moved,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forgery and modulation rather than a grating formed only in one direction.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ethod of authenticity identification can be facilitated.

한편, 도 10에 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각 인접하게 적층된 물질들은 재료 혹은 색상이 다르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 10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adjacently stacked material is formed of a different material or color.

그리고 격자구조의 높이와 폭을 변화시킨 형태를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격자구조를 이루도록 응용함으로써, 보다 복합적이고 역동적이며 특유한 색상과 이미지를 표출시킬 수 있게 된다.
And it is characterized by changing the height and width of the grid structure. As such, by applying the grid structure in various forms, it is possible to express more complex, dynamic and unique colors and images.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도 10에서는 격자구조의 돌출된 부분인 A1,A2,A3,A4,A5 는 각각 좌우로의 폭이 다를 수 있으며, 비격자구조 부분인 B1,B2, B3,B4 들의 저면부의 위치(높낮이)도 각각 달리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그 좌우폭도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들은 모두 관찰하는 시선의 각도를 바꾸어 갈 때, 관찰되는 적층물들의 색상과 이미지가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More specifically, in FIG. 10, A1, A2, A3, A4, and A5, which are protruding portions of the lattice structure, may have different widths from side to side, respectively, and bottom surfaces of B1, B2, B3, and B4 non-lattice structures. Negative position (height) can also be formed differently, as well as the left and right width can be changed. All of these structures are intended to continuously change the color and image of the stacks observed when changing the angle of the gaze observed.

예를 들어, 도 10의 수직 상부 방향으로부터 점점 각도를 낮춰가거나 각도를 올려가면서 관찰할 경우, 처음에는(수직상부에서 볼 경우) A1 내지 A5 및 B1 내지 B4 모두 관찰되지만, B2 와 같이 제일 낮은 곳의 층(52)의 상부면은 제일 먼저 시야에서 사라지게 된다.
For example, when observing while gradually lowering or raising the angle from the vertically upward direction of FIG. 10, initially A1 to A5 and B1 to B4 are all observed (vertically above), but the lowest point such as B2. The top surface of the layer 52 of is first disappeared from view.

그리고 B1 과 B3는 그 저면의 높이는 동일하나, 좌우 폭이 B1이 크기 때문에, B3의 저면에 있는 층(56)이 보이지 않는 각도에서도, B1은 미세하게 관찰 될 수 있는 각도가 존재하는 것이다.
And since B1 and B3 have the same height of the bottom, but the left and right widths are B1, the angle B1 can be minutely observed even at an angle where the layer 56 at the bottom of B3 is not visible.

또 다른 예를 들면, 최상층(60)으로부터 도면부호 52 에 해당하는 층(B2의 저면부분)이 관찰시선의 각도에 따라서 " 보였다가 보이지 않았다 " 하는 과정이 연출되는 등, 매우 다양한 이미지와 색상 연출이 되는 것이다.
For another example, a variety of images and colors are produced, such as a process in which the layer (bottom portion of B2)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numeral 52 from the top layer 60 is “visible and invisibl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t will be.

또 다른 예를 들어보면, 격자부분 중 A2 격자의 좌측 벽면(도면부호 58, 60)은 도 10 왼쪽 상부에서 관찰할 때, 2개의 층이 관찰되지만, 도 10의 오른쪽 상부에서 관찰하면, A2 격자의 우측벽면(도면부호 54, 56, 58, 60)은 4개의 층이 동시에 관찰될 수도 있어, 도 2a 에서 도시된 격자 구조 보다는 훨씬 다양한 색상과 이미지 관찰이 가능하게 된다.
As another example, the left wall surface of the A2 lattice (58, 60) of the lattice portion has two layers observed when viewed from the upper left of FIG. 10, but when viewed from the upper right of FIG. The right wall surface of the reference numerals 54, 56, 58, and 60 may be observed simultaneously with four layers, allowing a much wider variety of colors and images than the lattice structure shown in FIG. 2A.

결국, 도 10에서는 격자 높이(Z축 방향)의 다양화, 격자와 비격자 부분의 폭의 다양화를 통해 진위식별, 위변조 방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in FIG. 10, the authenticity identification and the forgery prevention function can be improved by diversifying the grid height (Z-axis direction) and the width of the grid and the non-lattice portion.

10: 시트 20: 수지층
21: 광경화성 수지층 30:금속층
A, C, : 격자 구조 B, D : 비격자구조
22: PET 층
24 : UA 층
10: sheet 20: resin layer
21: photocurable resin layer 30: metal layer
A, C,: lattice structure B, D: non-lattice structure
22: PET layer
24: UA floor

Claims (7)

위조 방지용 시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수지층과, 수지층과 금속층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층을 포함한 2층 이상의 다층 시트 적층구조를 만들되, 상하로 인접한 층의 색상을 달리 형성하는 단계(S10);
상기 적층된 구조의 상부 일측을 특정문자, 이미지, 혹은 패턴을 디자인하여 자외선 혹은 레이저에 의해 광경화시키는 단계(S20);
상기 광경화된 부분 이외의 부분을 제거하여, 돌출된 격자 부분과 오목하게 들어간 비격자 부분을 형성시키는 단계(S30);
를 포함함으로써,
관찰하는 각도에 따라서 상기 격자 및 비격자 구조 폭과 높이에 의해 창출되는 광가변효과에 의해, 색상과 이미지가 연속적으로 달라 보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시트 제조 방법.
In the anti-counterfeiting sheet manufacturing method,
Creating a multi-layered multilayer stack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including a resin layer and any one layer selected from the resin layer and the metal layer, and differently forming the colors of the upper and lower adjacent layers (S10);
Designing a specific character, an image, or a pattern on an upper side of the stacked structure and photocuring the same by ultraviolet or laser (S20);
Removing a portion other than the photocured portion to form a protruding grating portion and a concave non-lattice portion (S30);
By including
The anti-counterfeiting sheet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or and image look continuously different by the optical variable effect generated by the lattice and non-lattice structure width and height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위조방지용 시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수지층과, 수지층과 금속층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층을 포함한 2층 이상의 다층 시트 적층구조를 만들되, 상하로 인접한 층의 색상을 달리 형성하는 단계(S10);
상기 적층된 구조의 상부 일측을 특정문자, 이미지, 혹은 패턴을 디자인한 후, 레이저로써 조각 회화함으로써, 돌출된 격자 부분과 오목하게 들어간 비격자 부분을 형성시키는 단계(S30);
를 포함하여, 관찰하는 각도에 따라서 상기 격자 및 비격자 구조 폭과 높이에 의해 창출되는 광가변효과에 의해, 색상과 이미지가 연속적으로 달라 보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시트 제조 방법.
In the anti-counterfeiting sheet manufacturing method,
Creating a multi-layered multilayer stack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including a resin layer and any one layer selected from the resin layer and the metal layer, and differently forming the colors of the upper and lower adjacent layers (S10);
Designing a specific letter, image, or pattern on the upper side of the stacked structure, and engraving by laser to form a protruding lattice portion and a concave non-lattice portion (S30);
Including, the anti-counterfeiting sheet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or and image look continuously different by the optical variable effect generated by the grating and non-lattice structure width and height according to the angle to observ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격자와 비격자의 폭 비율은 1 : 0.1 ~ 2.0 내에서 형성됨으로써,
수직상부로부터 관찰 각도를 바꿔가면서 상기 시트를 관찰할 경우,
적층 구조 중 외부로 드러나는(관찰되는) 폭이 지속적으로 변함에 따라 관찰되는 적층물 색상과 이미지도 동시에 변해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시트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width ratio of the lattice and the non-lattice is formed within 1: 0.1 to 2.0,
When observing the sheet while changing the viewing angle from the vertical top,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nti-counterfeiting sheet, characterized in that the laminated color and image observed are also changed simultaneously as the width exposed to the outside (observed) of the laminated structure is continuously chang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금속 증착층이거나, 혹은 금속분말 잉크를 코팅함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시트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metal layer is a metal deposition layer, or formed by coating a metal powder ink, anti-counterfeiting sheet manufacturing metho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격자 부분과 비격자 부분은 형성은 1차원적으로(일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시트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lattice portion and the non-lattice portion are formed in a one-dimensional (one direction) alternately formed sheet for preventing forgery,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격자 부분과 비격자 부분은 2차원적으로(평면을 이루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 동시에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시트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lattice portion and the non-lattice portion are alternately formed simultaneously two-dimensionally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forming a plan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격자 부분들의 최상부 표면의 높이는 동일하나, 비격자 부분의 저면(底面)은 상이(相異)하게 형성함으로써(Z축 방향의 격자 높이의 변화),
적층된 물질들이 가진 고유한 색상이 복합적으로 관찰될 수 있도록 하는,
위조방지용 시트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height of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grating portions is the same, but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lattice portion is formed differently (change of the grating height in the Z-axis direction),
The unique colors of the stacked materials can be observed in combination,
Anti-counterfeiting sheet manufacturing method.
KR1020100076575A 2010-08-09 2010-08-09 A sheet for counterfeit prevention with diffracting grat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1706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575A KR101170657B1 (en) 2010-08-09 2010-08-09 A sheet for counterfeit prevention with diffracting grat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575A KR101170657B1 (en) 2010-08-09 2010-08-09 A sheet for counterfeit prevention with diffracting grat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476A KR20120014476A (en) 2012-02-17
KR101170657B1 true KR101170657B1 (en) 2012-08-07

Family

ID=45837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575A KR101170657B1 (en) 2010-08-09 2010-08-09 A sheet for counterfeit prevention with diffracting grat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65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571B1 (en) * 2014-12-31 2021-02-01 한국조폐공사 Hologram with polarization image
KR102245885B1 (en) * 2020-07-09 2021-04-29 주식회사 주영지앤에프 Textile print mat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2078263A (en) * 2020-09-09 2020-12-15 深圳市优印印刷有限公司 Metallic texture color printing method for digital print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1791A (en) 1999-06-25 2001-01-16 Dainippon Printing Co Ltd Thread for preventing counterfeit, and paper for preventing counterfeit by using the same
JP2007213094A (en) 2007-04-19 2007-08-23 Dainippon Printing Co Lt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100837593B1 (en) 2000-01-21 2008-06-13 플렉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Optically variable security devices
JP2009143056A (en) 2007-12-12 2009-07-02 Toppan Printing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1791A (en) 1999-06-25 2001-01-16 Dainippon Printing Co Ltd Thread for preventing counterfeit, and paper for preventing counterfeit by using the same
KR100837593B1 (en) 2000-01-21 2008-06-13 플렉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Optically variable security devices
JP2007213094A (en) 2007-04-19 2007-08-23 Dainippon Printing Co Ltd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2009143056A (en) 2007-12-12 2009-07-02 Toppan Printing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476A (en) 201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18965B (en) Optically variable security element with reflective surface area
CN101528474B (en) See-through security element with microstructures
RU2666330C2 (en) Securit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EP2397883B1 (en) Micro-optic security and image presentation system
JP5788886B2 (en) Security device
KR101562991B1 (en) Structured surfaces that exhibit color by rotation
CN104903117A (en) Decorative element and security document comprising a decorative element
CN104602920A (en) Security element having structure creating color effects
JP2009042309A (en) Display body and labeled article
EP3792074A1 (en) An optical device that provides flicker-like optical effects
KR101170657B1 (en) A sheet for counterfeit prevention with diffracting grat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6274641B2 (en) Anti-counterfeit mediu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742361B2 (en) Display and printed information
DE102018004088A1 (en) Security element with micro-reflectors
JP6771020B2 (en) Security element
AU2015207918A1 (en) Micro-optic security and image presentation system
CN112566787B (en) Lenseless micro-optical films
JP2012230183A (en) Display body and information printed matter
DE112016001683T5 (en) Shaped microlenses
AT519158A2 (en) Shaped microlenses
CA2812971A1 (en) Micro-optic security and image presentation system
AU2013204903A1 (en) Micro-optic security and image presentation system
AU2013204884A1 (en) Micro-optic security and image present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