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625B1 - mobile terminal with RFID reader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with RFID rea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625B1
KR101170625B1 KR1020060054689A KR20060054689A KR101170625B1 KR 101170625 B1 KR101170625 B1 KR 101170625B1 KR 1020060054689 A KR1020060054689 A KR 1020060054689A KR 20060054689 A KR20060054689 A KR 20060054689A KR 101170625 B1 KR101170625 B1 KR 101170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antenna
wireless
recogni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6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120224A (en
Inventor
윤성호
김경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4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625B1/en
Publication of KR20070120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02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6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인식 판독기를 탑재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무선통신 시스템과 무선인식 판독기 간의 부품 공유를 구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신호의 송신 경로와 무선인식 신호의 송신 경로에 전력 증폭기를 공유한다. 전력 증폭기의 출력 쪽에 위치한 제1 안테나는 무선통신 신호의 송수신 경로와 무선인식 신호의 송신 경로에 공유된다. 전력 증폭기의 입력 쪽 및 출력 쪽, 제1 안테나의 앞쪽에 각각 설치된 세 개의 스위치는 무선통신 신호의 송신 경로와 무선인식 신호의 송신 경로를 선택할 수 있게 제어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부품을 공유하여 부품 수와 부품 장착공간을 줄이고 제조단가를 낮춘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안테나와 떨어져 설치된 제2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인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인식 신호의 송수신 경로를 서로 다른 안테나에 연결하여 무선인식 신호의 송신 누설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reader, and implements part sharing betwee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wireless reade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shares a power amplifier in a transmission path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and a transmission path of a radio recognition signal. The first antenna located at the output side of the power amplifier is shared betwee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 of the radio communication signal and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Three switches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input side, the output side, and the front side of the first antenna of the power amplifier control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and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number of parts and parts mounting space by sharing the parts and lowers the manufacturing cos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a radio recognition signal through a second antenna installed away from the first antenna.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ransmission leakage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by connect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s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to different antennas.

무선인식 판독기(RFID reader), 부품 공유, 전력 증폭기, 안테나, 스위치, 커플러 RFID readers, component sharing, power amplifiers, antennas, switches, couplers

Description

무선인식 판독기를 탑재한 휴대 단말기{mobile terminal with RFID reader}Mobile terminal with radio reader {mobile terminal with RFID read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무선인식 판독기를 탑재한 휴대 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read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 판독기를 탑재한 휴대 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 판독기를 탑재한 휴대 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rea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20, 30: 휴대 단말기10, 20, 30: mobile terminal

11, 21, 31: 기저대역 처리부(baseband IC)11, 21, 31: baseband IC

12, 22, 32: 고주파 처리부(RF IC)12, 22, 32: Radio Frequency Processing Unit (RF IC)

13, 17, 23, 33: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13, 17, 23, 33: power amplifier

14, 24, 34: 듀플렉서(duplexer)14, 24, 34: duplexer

15, 19, 25, 27, 35: 안테나15, 19, 25, 27, 35: antenna

16, 26, 36: 무선인식 처리부(RFID IC)16, 26, 36: RF IC

18, 37: 커플러(coupler)18, 37: coupler

28a, 28b, 28c, 38a, 38b, 38c: 스위치28a, 28b, 28c, 38a, 38b, 38c: switch

본 발명은 무선인식 판독기를 탑재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무선통신 시스템과 무선인식 판독기 간의 부품 공유를 구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rea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implementing component sharing between a gener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wireless reader.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무선인식'이라 지칭함)란 물품에 대한 정보를 담은 태그(tag)를 해당 물품에 부착하고 그 정보를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판독기(reader 또는 interrogator)로 판독할 수 있는 기술이다. 무선인식 판독기는 태그에 정보요청 명령을 보내고 태그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받아 해독한다. 무선인식 태그는 판독기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자동적으로 응답을 보내는 트랜스폰더(transponder)이다. 기존의 광학식 바코드(bar code)가 50cm 이내에 불과한 인식거리를 가지는 반면, 무선인식 기술은 주파수 대역에 따라 수십m 떨어진 곳에서도 인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radio recognition') is a tag that contains information about an item can be attached to the item and the information can be read by a reader or interrogator using radio frequency. Technology. The radio reader sends an information request command to the tag and receives and decrypts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ag. A radio tag is a transponder that automatically sends a response when it receives a signal from a reader. While the conventional optical bar code has a recognition distance of less than 50 cm, the wireless recognition technology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recognized even at a distance of several tens of meters depending on the frequency band.

최근 휴대 단말기(예컨대, 휴대폰)에 무선인식 판독기를 탑재하여 여러 응용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무선인식 주파수 대역으로 기존의 13.56MHz 이외에 UHF 대역(908.5-914MHz)을 선택하여 진행 중에 있다. 이 대역은 통상의 CDMA 대역(824-894MHz)과 가깝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무선통신 시스템과 무선인식 판독기 간에 부품을 공유하고자 하는 방안이 다각도로 검토되고 있다.Recently, research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to build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by mounting a wireless reader in a mobile terminal (eg, a mobile phone). Currently in Korea, the UHF band (908.5-914MHz) is being selecte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13.56MHz as a radio recognition frequency band. Since this band is close to the conventional CDMA band (824-894 MHz), various ways have been considered to share the component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radio reader by using thi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무선인식 판독기를 탑재한 휴대 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read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는 기존의 무선통신 시스템과 새로 추가되는 무선인식 판독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기저대역 처리부(11), 고주파 처리부(12), 제1 전력 증폭기(13), 듀플렉서(14), 제1 안테나(15)를 구비하며, 무선인식 판독기는 무선인식 처리부(16), 제2 전력 증폭기(17), 커플러(18), 제2 안테나(19)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terminal 10 includes an exist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newly added wireless read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baseband processor 11, a high frequency processor 12, a first power amplifier 13, a duplexer 14, and a first antenna 15. The wireless recognition reader 16 includes a wireless recognition processor 16. And a second power amplifier 17, a coupler 18, and a second antenna 19.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10)에 무선인식 판독기를 탑재할 경우, 새로 추가되는 무선인식 시스템은 기존의 무선통신 시스템과 각각 다른 부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제1 전력 증폭기(13)와 제2 전력 증폭기(17), 듀플렉서(14)와 커플러(18), 제1 안테나(15)와 제2 안테나(19)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각각 별도의 부품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 내부의 부품 장착공간이 늘어나므로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 추세에 역행하게 되고, 휴대 단말기의 제조단가가 증가하므로 휴대 단말기의 경쟁력이 저하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is equipped with a wireless reader, the newly added wireless recognition system generally uses different components from the exist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is, although the first power amplifier 13 and the second power amplifier 17, the duplexer 14 and the coupler 18, the first antenna 15 and the second antenna 19 perform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Nevertheless, they are mounted as separate parts. Therefore, the mounting space of components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increases, thereby miniaturizing the trend of miniaturiz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ortable terminal increases, thereby reduc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한편, 무선인식 판독기를 탑재한 종래의 휴대 단말기(10)에서 송수신 주파수가 서로 다른 무선통신 신호와 달리 무선인식 신호는 송수신 주파수가 동일하다. 따라서 커플러(18)가 송수신 경로를 분리하는 역할을 하기는 하지만, 송신 신호의 누설 현상이 완전히 없어지지는 않는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10 equipped with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unlike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having a differ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frequency, the wireless recognition signal has the same transmission and reception frequency. Therefore, although the coupler 18 serves to separat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s, leakage of the transmission signal is not completely eliminated.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인식 판독기를 탑재한 휴대 단말기에서 일반적인 무선통신 시스템과 무선인식 판독기 간의 부품 공유를 실현하고자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lize component sharing between a gener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wireless reader in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read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인식 판독기를 탑재한 휴대 단말기의 부품 장착공간을 줄이고 제조단가를 낮추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manufacturing space and the component mounting space of the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read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인식 판독기를 탑재한 휴대 단말기에서 무선인식 신호의 송신 누설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ransmission leakage of a radio recognition signal in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radio reader.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인식 판독기가 탑재되고 무선통신 신호의 송수신 경로와 무선인식 신호의 송수신 경로가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신호의 송신 경로와 무선인식 신호의 송신 경로에 공유되는 전력 증폭기와, 전력 증폭기의 출력 쪽에 위치하며 무선통신 신호의 송수신 경로와 무선인식 신호의 송신 경로에 공유되어 무선통신 신호를 송수신하고 무선인식 신호를 송신하는 제1 안테나와, 전력 증폭기의 입력 쪽 및 출력 쪽, 제1 안테나의 앞쪽에 각각 설치되며 무선통신 신호의 송신 경로와 무선인식 신호의 송신 경로를 선택할 수 있게 제어하는 세 개의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of a wireless recognition signal, in particular,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The power amplifier is shared in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wireless recognition signal and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wireless recognition signal, and is located on the output side of the power amplifier, and is shared i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and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wireless recognition signal. Including a first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an input side and an output side of the power amplifier, and the front of the first antenna, respectively, three switches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and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It is composed.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2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 안테나는 제1 안테나와 소정 간격 이상으로 떨어져 설치되며 무선인식 신호의 수신 경로에 위치하여 무선인식 신호를 수신한다.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ntenna, which is installed at a distance apart from the first antenn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nd is located in a recept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to receive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 제1 안테나는 무선인식 신호의 수신 경로에도 공유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커플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커플러는 무선인식 신호의 송수신 경로에 위치하여 무선인식 신호의 송수신 경로를 분리한다.I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tenna may be shared in the recept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At this time,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upler, which is located i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to separat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 전력 증폭기는 가변 증폭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선통신 신호는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방식의 신호일 수 있고, 무선인식 신호는 진폭편이(ASK) 방식의 신호일 수 있다. 아울러, 스위치는 각각 SPDT 스위치 또는 MEMS 스위치일 수 있고, 제1 안테나는 824-894MHz 대역폭 및 확장된 908.5-914MHz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I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amplifier is preferably a variable amplifier.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may be a signal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ignal, the wireless recognition signal may be an amplitude shift (ASK) signal. In addition, the switch may be an SPDT switch or a MEMS switch,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tenna may have a 824-894 MHz bandwidth and an extended 908.5-914 MHz bandwidth.

실시예Exampl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which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to more clearly communicate without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 판독기를 탑재한 휴대 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20)는 기저대역 처리부(21), 고주파 처리부(22), 전력 증폭기(23), 듀플렉서(24), 제1 안테나(25), 무선인식 처리부(26), 제2 안테나(27), 스위치(28a, 28b, 28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밖에 키입력부, 표시부, 메모리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20)의 통상적인 구성요소들이면서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구성요소들은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2, the portable terminal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aseband processor 21, a high frequency processor 22, a power amplifier 23, a duplexer 24, a first antenna 25, and a radio recognition processor ( 26), the second antenna 27, and the switches 28a, 28b, and 28c. In addition, components that are typical components of the portable terminal 20 such as a key input unit, a display unit, and a memory, which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shown and described.

휴대 단말기(20)의 구성 중에서 무선통신 신호의 송수신 경로에 위치하는 기저대역 처리부(21)와 고주파 처리부(22)와 듀플렉서(24), 무선인식 신호의 송수신 경로에 위치하는 무선인식 처리부(26)는 종래기술과 동일하다. 즉, 기저대역 처리부(21)는 송신 신호를 부호화, 변조하거나 수신 신호를 복조, 복호화하며, 고주파 처리부(22)는 송신 신호를 상승변환, 증폭하거나 수신 신호를 저잡음 증폭, 하강변환한다. 듀플렉서(24)는 송수신 주파수를 분리한다. 무선인식 처리부(26)는 태그에 전송하는 무선반송파 신호를 처리하고 태그로부터 수신한 응답 신호를 복원한다.The baseband processor 21, the high frequency processor 22, the duplexer 24, and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26 located i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0. Is the same as the prior art. That is, the baseband processor 21 encodes and modulates the transmitted signal, demodulates and decodes the received signal, and the high frequency processor 22 up-converts and amplifies the transmission signal or low-noise amplifies and down-converts the received signal. The duplexer 24 separates the transmit and receive frequencies. The radio recognition processor 26 processes a radio carrier signal transmitted to the tag and restores a response signal received from the tag.

반면에, 전력 증폭기(23)는 종래와 달리 무선통신 신호의 송신 경로와 무선인식 신호의 송신 경로에 공유된다. 전력 증폭기(23)는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의 전력을 소정 레벨로 증폭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통화품질 및 배터리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부품이다. 전력 증폭기(23)는 서로 신호의 종류가 다른 무선통신 신호와 무선인식 신호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가변 증폭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무선통신 신호는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방식의 신호이고, 무선인식 신호는 진폭편이(ASK) 방식의 신호이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amplifier 23 is shared with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radio communication signal and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unlike the conventional art. The power amplifier 23 amplifies the power of a signal to be transmitted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is a component that generally affects call quality and battery efficiency. The power amplifier 23 is preferably a variable amplifier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both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s and radio recognition signals having different kinds of signals.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is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ignal, and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is an amplitude shift (ASK) signal.

한편, 종래의 제1 안테나(도 1의 15)가 824-894MHz의 대역폭을 가지는 반면, 본 실시예의 제1 안테나(25)는 대역폭이 908.5-914MHz까지 확장된다. 따라서 제1 안테나(25)는 통상의 무선통신 신호를 송수신할 뿐만 아니라, 무선인식 신호도 송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 안테나(25)가 무선인식 신호의 송신만 담당한다. 무선인식 신호의 수신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제2 안테나(27)가 담 당한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conventional first antenna (15 in FIG. 1) has a bandwidth of 824-894 MHz, the first antenna 25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bandwidth extended to 908.5-914 MHz. Therefore, the first antenna 25 may not only transmit and receive normal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s, but may als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recognition signals.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ntenna 25 is only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The reception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is handled by the second antenna 27 as in the prior art.

이처럼 무선인식 신호의 송수신 경로를 서로 다른 안테나(25, 27)에 연결하면, 종래의 문제점인 송신 신호 누설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무선인식 신호의 송수신 경로를 확실히 분리하기 위하여 제1 안테나(25)와 제2 안테나(27)는 소정 간격 이상으로 사이가 떨어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uch, whe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s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s are connected to the different antennas 25 and 27, the transmission signal leakage phenomenon, which is a conventional problem,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However, in order to reliably separat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tenna 25 and the second antenna 27 are provided to be separated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interval.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20)는 무선통신 신호의 송신 경로와 무선인식 신호의 송신 경로에 전력 증폭기(23)와 제1 안테나(25)를 공유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커플러(도 1의 18)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하는 부품이 줄어들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20) 내부의 부품 장착공간을 줄일 수 있고 휴대 단말기(20)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not only shares the power amplifier 23 and the first antenna 25 in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and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but also the conventional coupler (Fig. There is no need to use 1). Therefore, since the number of parts to be used is reduced, the component mounting space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20 can be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ortable terminal 20 can be lowered.

서로 다른 송신 경로에 부품을 공유하여 사용하려면 전력 증폭기(23)의 앞뒷쪽 및 제1 안테나(25)의 앞쪽에 각각 스위치(28a, 28b, 28c)를 설치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치(28a)는 전력 증폭기(23)의 입력 쪽에 위치하여 고주파 처리부(22)와 무선인식 처리부(26)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제2 스위치(28b)는 전력 증폭기(23)의 출력 쪽에 위치하여 듀플렉서(24)와 제3 스위치(28c)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3 스위치(28c)는 제1 안테나(25)의 앞쪽에 위치하여 듀플렉서(24)와 제2 스위치(28b)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In order to share components in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witches 28a, 28b, and 28c should be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power amplifier 23 and the front of the first antenna 25,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first switch 28a is located at the input side of the power amplifier 23 and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high frequency processor 22 and the radio recognition processor 26, and the second switch 28b is the power amplifier 23. It is located at the output side of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uplexer 24 and the third switch 28c. In addition, the third switch 28c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antenna 25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uplexer 24 and the second switch 28b.

세 개의 스위치(28a, 28b, 28c)는 하나의 제어 핀으로 그 경로가 동시에 제어된다. 즉, 세 스위치(28a, 28b, 28c)의 동시 제어에 따라 무선통신 신호의 송신 경로와 무선인식 신호의 송신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스위치(28a-28c)는 통상의 SPDT(Single Pole Dual Throw) 스위치 또는 MEMS(Micro-Electro Mechanical System) 스위치를 이용한다.Three switches 28a, 28b and 28c are controlled simultaneously by one control pin. That is,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and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can be selected under the simultaneous control of the three switches 28a, 28b, and 28c. The switches 28a-28c use a conventional single pole dual throw (SPDT) switch or a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switch.

이상 설명한 바를 종합하면, 무선통신 신호의 송신 경로는 기저대역 처리부(21), 고주파 처리부(22), 제1 스위치(28a), 전력 증폭기(23), 제2 스위치(28b), 듀플렉서(24), 제3 스위치(28c), 제1 안테나(25)를 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무선통신 신호의 수신 경로는 제1 안테나(25), 제3 스위치(28c), 듀플렉서(24), 고주파 처리부(22), 기저대역 처리부(21)를 통하여 형성된다.In summary,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includes the baseband processor 21, the high frequency processor 22, the first switch 28a, the power amplifier 23, the second switch 28b, and the duplexer 24. The third switch 28c is formed through the first antenna 25. In addition, a reception pa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is formed through the first antenna 25, the third switch 28c, the duplexer 24, the high frequency processor 22, and the baseband processor 21.

한편, 무선인식 신호의 송신 경로는 무선인식 처리부(26), 제1 스위치(28a), 전력 증폭기(23), 제2 스위치(28b), 제3 스위치(28c), 제1 안테나(25)를 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무선인식 신호의 수신 경로는 제2 안테나(27)와 무선인식 처리부(26)를 통하여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is the radio recognition processor 26, the first switch 28a, the power amplifier 23, the second switch 28b, the third switch 28c, the first antenna 25 It is formed through. In addition, a recept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is formed through the second antenna 27 and the radio recognition processor 26.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전술한 실시예와 조금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slightly differently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 판독기를 탑재한 휴대 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rea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30)는 기저대역 처리부(31), 고주파 처리부(32), 전력 증폭기(33), 듀플렉서(34), 안테나(35), 무선인식 처리부(36), 커플러(37), 스위치(38a, 38b, 38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mobile terminal 3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aseband processor 31, a high frequency processor 32, a power amplifier 33, a duplexer 34, an antenna 35, and a wireless recognition processor 36. And a coupler 37 and switches 38a, 38b, 38c.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30)는 전력 증폭기(33) 외에 안테나(35)도 하나로 공유한다. 즉, 전력 증폭기(33)는 무선통신 신호의 송신 경로와 무선인식 신호의 송신 경로에 공유되며, 안테나(35)는 무선통신 신호의 송수신 경로 및 무선인식 신호의 송수신 경로 모두에 공유된다.In addition to the power amplifier 33, the portable terminal 30 of this embodiment also shares the antenna 35 as one. That is, the power amplifier 33 is shared between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radio communication signal and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and the antenna 35 is shared in bot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 of the radio communication signal and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전력 증폭기(33)도 가변 증폭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테나(35)는 기존의 824-894MHz 대역폭 및 확장된 908.5-914MHz 대역폭을 가진다. 전력 증폭기(33)를 공유하여 사용하려면 전술한 바와 동일한 스위치들(38a, 38b, 38c)이 필요하다. 또한, 안테나(35)를 공유하려면 종래기술의 커플러(37)가 필요하다. 커플러(37)는 무선인식 신호의 송수신 경로에 위치하며, 커플러(37)의 한쪽은 제2 스위치(38b)와 무선인식 처리부(36)에 연결되고, 반대쪽은 제3 스위치(38c)에 연결된다.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power amplifier 33 of this embodiment is also a variable amplifier. The antenna 35 also has an existing 824-894 MHz bandwidth and an extended 908.5-914 MHz bandwidth. In order to share and use the power amplifier 33, the same switches 38a, 38b, 38c as described above are required. In addition, prior art couplers 37 are required to share the antenna 35. Coupler 37 is located i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one side of the coupler 37 is connected to the second switch 38b and the radio recognition processing unit 36,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third switch 38c. .

본 실시예에서 무선통신 신호의 송신 경로는 기저대역 처리부(31), 고주파 처리부(32), 제1 스위치(38a), 전력 증폭기(33), 제2 스위치(38b), 듀플렉서(34), 제3 스위치(38c), 안테나(35)를 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무선통신 신호의 수신 경로는 안테나(35), 제3 스위치(38c), 듀플렉서(34), 고주파 처리부(32), 기저대역 처리부(31)를 통하여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is the baseband processor 31, the high frequency processor 32, the first switch 38a, the power amplifier 33, the second switch 38b, the duplexer 34, and the It is formed through the three switches 38c and the antenna 35. In addition, a reception pa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is formed through the antenna 35, the third switch 38c, the duplexer 34, the high frequency processor 32, and the baseband processor 31.

한편, 무선인식 신호의 송신 경로는 무선인식 처리부(36), 제1 스위치(38a), 전력 증폭기(33), 제2 스위치(38b), 커플러(37), 제3 스위치(38c), 안테나(35)를 통하여 형성되고, 수신 경로는 안테나(35), 제3 스위치(38c), 커플러(37), 무선인식 처리부(36)를 통하여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is the radio recognition processor 36, the first switch 38a, the power amplifier 33, the second switch 38b, the coupler 37, the third switch 38c, the antenna ( 35, and a reception path is formed through the antenna 35, the third switch 38c, the coupler 37, and the radio recognition processor 36.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30)는 무선인식 신호의 송수신 경로가 동일한 안테나(35)를 사용하기 때문에, 송신 신호의 누설 현상에는 취약한 반면에 안테나(35) 를 하나로 공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송신 신호 누설 현상이 심각하지 않은 경우에는 본 실시예가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Since the portable terminal 30 of the present embodiment uses the same antenna 35 a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the portable terminal 30 is vulnerable to leakage of the transmission signal, but has the advantage of sharing the antenna 35 as one.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eferably applied when the transmission signal leakage phenomenon is not serious.

이상,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n the foregoing specification and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se are mere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인식 판독기를 탑재한 휴대 단말기에서 일반적인 무선통신 시스템과 무선인식 판독기 간의 부품 공유를 실현하여 부품 수와 부품 장착공간을 줄이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예컨대, 무선통신 신호 및 무선인식 신호의 송신 경로에 전력 증폭기와 안테나를 공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component sharing between a gener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wireless reader in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reader,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the space for mounting a component, and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For example, a power amplifier and an antenna may be shared in transmission path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and a radio recognition signal.

또한, 본 발명은 무선인식 판독기를 탑재한 휴대 단말기에서 무선인식 신호의 송수신 경로를 서로 다른 안테나에 연결하여 무선인식 신호의 송신 누설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revent the transmission leakage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by connect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to different antennas in the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radio recognition reader.

Claims (8)

무선인식 판독기가 탑재되고 무선통신 신호의 송수신 경로와 무선인식 신호의 송수신 경로가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에서,In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recognition reader and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and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 of a wireless recognition signal, 상기 무선통신 신호의 송신 경로와 상기 무선인식 신호의 송신 경로에 공유되는 전력 증폭기;A power amplifier shared by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and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 쪽에 위치하며 상기 무선통신 신호의 송수신 경로와 상기 무선인식 신호의 송신 경로에 공유되어 상기 무선통신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무선인식 신호를 송신하는 제1 안테나; 및A first antenna positioned at an output side of the power amplifier and shared between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and a transmission path of the wireless recognition signal to transmit and receive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and to transmit the wireless recognition signal; And 상기 전력 증폭기의 입력 쪽 및 출력 쪽, 상기 제1 안테나의 앞쪽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무선통신 신호의 송신 경로와 상기 무선인식 신호의 송신 경로를 선택할 수 있게 제어하는 세 개의 스위치;Three switches respectively installed at an input side and an output side of the power amplifier, and at a front side of the first antenna to control selection of a transmission path of the radio communication signal and a transmiss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식 판독기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rea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안테나와 소정 간격 이상으로 떨어져 설치되며 상기 무선인식 신호의 수신 경로에 위치하여 상기 무선인식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안테나;A second antenna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tenn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ositioned in a recept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to receive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식 판독기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read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무선인식 신호의 수신 경로에도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식 판독기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And the first antenna is shared in a recept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무선인식 신호의 송수신 경로에 위치하여 상기 무선인식 신호의 송수신 경로를 분리하는 커플러;A coupler positioned on a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to separate a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of the radio recognition signal;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식 판독기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read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전력 증폭기는 가변 증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식 판독기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The power amplifier is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rea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able amplifier.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무선통신 신호는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방식의 신호이고, 상기 무선인식 신호는 진폭편이(ASK) 방식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식 판독기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is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ignal, and the wireless recognition signal is an amplitude shift (ASK) signal.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스위치는 각각 SPDT 스위치 또는 MEMS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식 판독기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And each switch is a SPDT switch or a MEMS switch.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제1 안테나는 824-894MHz 대역폭 및 확장된 908.5-914MHz 대역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식 판독기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And the first antenna has a 824-894 MHz bandwidth and an extended 908.5-914 MHz bandwidth.
KR1020060054689A 2006-06-19 2006-06-19 mobile terminal with RFID reader KR1011706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689A KR101170625B1 (en) 2006-06-19 2006-06-19 mobile terminal with RFID rea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689A KR101170625B1 (en) 2006-06-19 2006-06-19 mobile terminal with RFID rea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224A KR20070120224A (en) 2007-12-24
KR101170625B1 true KR101170625B1 (en) 2012-08-03

Family

ID=39138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689A KR101170625B1 (en) 2006-06-19 2006-06-19 mobile terminal with RFID rea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62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3852A (en) 2001-05-25 2002-12-06 Sharp Corp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3852A (en) 2001-05-25 2002-12-06 Sharp Corp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224A (en) 2007-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6834B2 (en) Mobile terminal hav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function
US7835707B2 (en) Multi-band antenna unit of mobile terminal
KR10069437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fid reader and communicating method thereof
US91727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a mobile phon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echnology
EP1449276B1 (en) Gps equipped cellular phone using a spdt mems switch and single shared antenna
US8090408B2 (en) Portable wireless device
EP1845631B1 (en) Rfi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fid system using the same
WO2001094967A3 (en) Wireless locating and tracking systems
WO2008007871A1 (en) Multiple band rfid reader device
US20110159823A1 (en) RF Front-end Circu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US20070176746A1 (en) Rfid reader and rfid system
WO2005052847A3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US879293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tenna commonly used by first and second circuits, with impedance matched to first or second frequency band
US20060238306A1 (en) Combined RFID reader and RF transceiver
KR101170625B1 (en) mobile terminal with RFID reader
KR100729341B1 (en) Apparatus for selecting rf signalpath
US20090215405A1 (en) Transceiver Antennae Arrangement
US20060270342A1 (en) Apparatus for single three-band intenna
KR100857031B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writer and rfid system
WO2007012893A1 (en) Transceiver apparatus
KR200426555Y1 (en) Apparatus for selecting RF signal path
KR100369656B1 (en) Mobile station transceiver
KR100747594B1 (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 with integrated reader and tag function
CN114389647A (en) Electronic device
WO2006116012A2 (en) Combined rfid reader and rf trans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