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222B1 - 이용자 인증 장치, 이용자 인증 방법 및 이용자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이용자 인증 장치, 이용자 인증 방법 및 이용자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222B1
KR101170222B1 KR1020107000475A KR20107000475A KR101170222B1 KR 101170222 B1 KR101170222 B1 KR 101170222B1 KR 1020107000475 A KR1020107000475 A KR 1020107000475A KR 20107000475 A KR20107000475 A KR 20107000475A KR 101170222 B1 KR101170222 B1 KR 101170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iometric inform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0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7211A (ko
Inventor
나오코 하야시다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7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마다 등록된 생체 정보를 유지하고, 이용자마다 대응시킨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인 이용자 정보를 유지하며, 유지하는 이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마다 이 이용자가 인증 요구를 하게 될 가능성을 예측하여 예측치를 산출하고, 인증 요구를 위한 생체 정보를 접수한 경우에, 접수한 생체 정보와, 산출된 예측치에 의해 결정되는 복수의 이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를 대조하며, 대조된 결과에 기초하여 접수한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을 이용자로서 인증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용자 인증 장치, 이용자 인증 방법 및 이용자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USER AUTHENTICATION DEVICE,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USER AUTHENTICATION PROGRAM}
본 발명은, 이용자 인증 장치, 이용자 인증 방법 및 이용자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개인에게 고유한 정보이고, 위조하는 것이 곤란한 생체 정보(예컨대, 지문, 손바닥의 정맥 패턴, 안구의 홍채 등)를 이용함으로써 개인을 인증하는 생체 인증이 보급되고 있다.
예컨대, 생체 인증을 이용한 시설 내 입실 관리에 있어서는, 그 시설 내로의 입실 희망자로부터 접수한 생체 정보가, 미리 이용자로서 등록되어 있는 생체 정보와 일치한 경우에만, 그 입실 희망자를, 그 시설 내로의 입실이 확인되고 있는 이용자로서 인증하고, 그 시설 내로의 입실을 허가하고 있다.
여기서, 생체 인증의 방법은 「1:1 인증」과 「1:N 인증」의 2종류로 대별된다. 「1:1 인증」이란, 인증을 요구하는 인물(예컨대, 시설 내로의 입실 희망자)로부터, 생체 정보와 함께 ID 등의 식별 정보를 접수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생체 정보로부터 이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특정하고, 특정된 생체 정보와, 접수한 생체 정보를 대조함으로써, 정당한 이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것이며, 「1:N 인증」이란, 인증을 요구하는 인물로부터, 생체 정보만을 접수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복수의 생체 정보(전부 또는 대조 대상으로 함)와, 접수한 생체 정보를 대조함으로써, 정당한 이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1:N 인증」은, ID 등의 식별 정보가 필요 없기(예컨대, 이용자가 식별 정보를 기억하여 발신할 수 있는 ID 카드 등을 휴대할 필요가 없음) 때문에, 「1:1 인증」에 비하여 편리성이 우수한 방법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1:N 인증」에 있어서는, 대조 대상이 되는 생체 정보의 수(N)의 증대와 함께 접수한 생체 정보와의 대조 처리에 필요한 시간이 증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특허 문헌 1에서는, 회사원의 출근 시간 등과 같이, 각 개인의 행동 패턴에 일정한 경향이 나타나는 정보에 주목하여 등록된 생체 정보에 대하여, 예컨대, 시간대에 따른 우선순위를 부가하고, 어떤 시간대에 접수한 생체 정보에 관해서는, 등록된 생체 정보 중에서도, 그 시간대에 따라 부가된 우선순위가 높은 생체 정보에서부터 차례로 대조함으로써 대조 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키는 우선 처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서는, 등록된 이용자 모두의 생체 정보를 유지하는 서버가, 어떤 이용자가 소유하는 단말을 통해 그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접수하고, 접수한 생체 정보와, 등록된 이용자 모두의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그 단말로부터의 액세스를 인증한 경우, 서버가 유지하는 그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그 단말의 캐시 메모리에 다운로드하며, 다음 번부터의 인증은, 그 단말의 캐시 메모리에 다운로드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행함으로써 대조 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키는 데이터 인증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서는, 요주의 인물의 정보나, 빈번히 게이트를 통과하는 인물의 정보를 서버로부터 게이트의 캐시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대조 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키는 게이트 관리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40707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03-44442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67305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우선순위가 높은 생체 정보에서부터 차례로 대조하는 기술은, 하나의 행동 패턴에만 주목하여 우선순위를 부가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효율적인 인증이 실현되는 것은 아니라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각 개인의 행동 패턴은, 하나의 요소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시간대, 요일, 근무대의 변화 등, 복수의 요소에 따라 변화되는 것이기 때문에, 하나의 행동 패턴에만 주목하여 우선순위를 부가하여도, 반드시 효율적인 인증이 실현되는 것은 아니라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캐시 메모리를 이용하는 기술은, 미리 결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 정보를 캐시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요소에 따라 변화되는 각 개인의 행동 패턴에 대응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반드시 효율적인 인증이 실현되는 것은 아니라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효율적인 인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이용자 인증 장치, 이용자 인증 방법 및 이용자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를 인증하는 이용자 인증 장치로서, 상기 이용자마다 등록된 상기 생체 정보를 유지하는 등록 생체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이용자마다 대응시킨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인 이용자 정보를 유지하는 이용자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이용자 정보 유지 수단이 유지하는 상기 이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마다 이 이용자가 인증 요구를 하게 될 가능성을 예측하여 예측치를 산출하는 예측치 산출 수단과, 인증 요구를 위한 생체 정보를 접수한 경우에, 접수한 생체 정보와, 상기 예측치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예측치로 결정되는 복수의 이용자에 대해서, 상기 등록 생체 정보 유지 수단이 유지하는 생체 정보를 대조하는 대조 수단과, 상기 대조 수단에 의해 대조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접수한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을 상기 이용자로서 인증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인증 판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정보 유지 수단이 유지하는 상기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로부터, 상기 예측치 산출 수단이 상기 이용자마다 상기 예측치를 산출할 때에 이용하는 속성 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예측치 산출 수단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속성 정보로부터, 상기 이용자마다의 상기 예측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예측치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예측치를 이용하여 상기 대조 수단이 대조한 결과에 가중을 행하는 가중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예측치 산출 수단은, 상기 예측치로서의 이용 확률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조 수단에 의해 실시되는 대조에 있어서, 상기 예측치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예측치로 결정되는 복수의 이용자에 대하여 생체 정보가 이용되는 이용 효율을 산출하는 이용 효율 산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이용 효율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이용 효율이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일 때, 상기 이용자마다 상기 예측치를 산출할 때에 이용하는 속성 정보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이용 효율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이용 효율이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인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상기 대조 수단에 의해 대조되는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이용 이력 정보, 건물 이용 정보, 이용 시간대 정보, 이용자 직무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예측치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상기 예측치로 결정되는 복수의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억부에 미리 저장하는 저장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대조 수단은, 접수한 생체 정보와, 상기 저장 수단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기억부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조 수단은, 접수한 생체 정보와, 상기 저장 수단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기억부에 저장된 생체 정보 전부와의 대조가 완전히 종료되기 전이라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억부에 상기 저장 수단에 의해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생체 정보를, 다음 대조 후보로서 상기 미리 정해진 기억부와는 별도의 기억부로 판독할 것을 상기 저장 수단에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예측치 산출 수단이 상기 예측치를 산출할 때에 이용하는 상기 속성 정보의 설정을 동적으로 변경하고, 상기 저장 수단은, 상기 예측치 산출 수단이 동적으로 변경된 상기 속성 정보의 설정에 기초해서 변경하여 산출된 예측치를 이용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기억부에 저장되는 상기 생체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에 의해 저장된 생체 정보를 기억하는 상기 미리 정해진 기억부 및 이 미리 정해진 기억부를 보관하는 장치를 감시하여 이 미리 정해진 기억부로의 부정 액세스를 검출하는 감시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저장 수단은, 상기 감시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기억부로의 부정 액세스가 검출된 경우에, 이 미리 정해진 기억부가 기억하는 생체 정보를 소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를 인증하는 이용자 인증 방법으로서, 상기 이용자마다 등록된 상기 생체 정보를 유지하는 등록 생체 정보 유지 단계와, 상기 이용자마다 대응시킨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인 이용자 정보를 유지하는 이용자 정보 유지 단계와, 상기 이용자 정보 유지 단계가 유지하는 상기 이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마다 이 이용자가 인증 요구를 하게 될 가능성을 예측하여 예측치를 산출하는 예측치 산출 단계와, 인증 요구를 위한 생체 정보를 접수한 경우에, 접수한 생체 정보와, 상기 예측치 산출 단계에 의해 산출된 예측치로 결정되는 복수의 이용자에 대해서 상기 등록 생체 정보 유지 단계가 유지하는 생체 정보를 대조하는 대조 단계와, 상기 대조 단계에 의해 대조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접수한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을 상기 이용자로서 인증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인증 판정 단계와, 상기 이용자 정보 유지 단계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로부터, 상기 예측치 산출 단계에 의해 상기 이용자마다 상기 예측치를 산출할 때에 이용되는 속성 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상기 예측치 산출 단계에 의해 산출된 예측치를 이용하여 상기 대조 단계에 의해 대조된 결과에 가중을 행하는 가중 단계와, 상기 대조 단계에 의해 실시되는 대조에 있어서, 상기 예측치 산출 단계에 의해 산출된 예측치로 결정되는 복수의 이용자에게 있어서의 생체 정보가 이용되는 이용 효율을 산출하는 이용 효율 산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예측치 산출 단계는, 상기 예측치로서 이용 확률을 산출하며, 상기 설정 단계는, 상기 이용 효율 산출 단계에 의해 산출되는 이용 효율이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일 때, 상기 이용자마다 상기 예측치를 산출할 때에 이용하는 속성 정보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를 인증하는 이용자 인증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이용자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이용자 인증 프로그램은, 상기 이용자마다 등록된 상기 생체 정보를 유지하는 등록 생체 정보 유지 단계와, 상기 이용자마다 대응시킨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인 이용자 정보를 유지하는 이용자 정보 유지 단계와, 상기 이용자 정보 유지 단계가 유지하는 상기 이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마다 이 이용자가 인증 요구를 하게 될 가능성을 예측하여 예측치를 산출하는 예측치 산출 단계와, 인증 요구를 위한 생체 정보를 접수한 경우에, 접수한 생체 정보와, 상기 예측치 산출 단계에 의해 산출된 예측치로 결정되는 복수의 이용자에 대해서, 상기 등록 생체 정보 유지 단계가 유지하는 생체 정보를 대조하는 대조 단계와, 상기 대조 단계에 의해 대조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접수한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을 상기 이용자로서 인증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인증 판정 단계와, 상기 이용자 정보 유지 단계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로부터, 상기 예측치 산출 단계에 의해 상기 이용자마다 상기 예측치를 산출할 때에 이용되는 속성 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상기 예측치 산출 단계에 의해 산출된 예측치를 이용하여 상기 대조 단계에 의해 대조된 결과에 가중을 행하는 가중 단계와, 상기 대조 단계에 의해 실시되는 대조에 있어서, 상기 예측치 산출 단계에 의해 산출된 예측치로 결정되는 복수의 이용자에게 있어서의 생체 정보가 이용되는 이용 효율을 산출하는 이용 효율 산출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고, 상기 예측치 산출 단계는, 상기 예측치로서 이용 확률을 산출하며, 상기 설정 단계는, 상기 이용 효율 산출 단계에 의해 산출되는 이용 효율이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일 때, 상기 이용자마다 상기 예측치를 산출할 때에 이용하는 속성 정보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등록되어 있는 생체 정보에,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로부터 산출한 이용자마다의 예측치에 기초한 우선순위를 부가할 수 있어 효율적인 인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우선해야 할 속성 정보를 이용자마다 설정하여 예측치를 산출하여 정밀도가 높은 우선순위를 생체 정보에 부가할 수 있어 효율적인 인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중에 기초하여 보다 정밀도가 높은 대조 처리를 실현할 수 있어 효율적인 인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용자마다 이 이용자가 인증 요구를 하게 될 가능성을, 명확한 척도인 확률로서 산출할 수 있어 효율적인 인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의 운용 실적에 기초하여 예측치의 산출 방법을 재검토할 수 있어 효율적인 인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조 대상의 범위를 좁힐 수 있어 효율적인 인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예컨대, 「직무」가 「이사」나 「경비원」 등의 인물과 같이, 빠른 인증이 필요로 되는 이용자에 대해서는, 이것을 배려하여 항상 우선순위가 상위가 되는 예측치를 설정할 수 있어 효율적인 인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증 결과의 산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인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고속의 대조 처리를 실현할 수 있어 효율적인 인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적으로 변경된 속성 정보의 설정에 기초하여 새롭게 산출된 예측치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밀도가 높은 대조 처리를 실현할 수 있어 효율적인 인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정보 유출의 피해를 최저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또한 안정성이 높은 인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a은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개요 및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는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개요 및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c은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개요 및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d는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별도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의 생체 정보 기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정보 기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서의 속성 정보 설정 기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서의 산출 결과 기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예측치 산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생체 정보 저장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생체 정보 접수로부터 인증에 이르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 2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개요 및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 2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2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 1의 이용자 인증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 인증 장치, 이용자 인증 방법 및 이용자 인증 프로그램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 인증 장치를 시설 내로의 입실 관리에 적용한 경우를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개요 및 특징,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구성 및 처리의 절차, 실시예 1의 효과를 차례로 설명하고, 다음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예 2에 따른 이용자 인증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며, 마지막으로,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개요 및 특징]
우선, 처음에, 도 1a, 도 1b 및 도 1c을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주된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 도 1b 및 도 1c은,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개요 및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는,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를 인증하는 것을 개요로 한다.
즉,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회사의 부지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시설 중 하나인 「제1 시설」 내로의 입실을 희망하는 사원인 이용자(이용자 ID: 00001)가, 생체 정보 판독 장치에 자신의 지문을 판독시키고, 생체 정보 판독 장치가, 그 이용자의 생체 정보로서 「지문 화상」을 이용자 인증 장치에 송신하면, 이용자 인증 장치는, 「1:N 인증」을 행하고, 접수한 생체 정보가, 미리 이용자로서 등록되어 있는 생체 정보와 일치한 경우에만, 접수한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을, 「제1 시설」 내로의 입실이 확인되고 있는 이용자로서 인증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효율적인 인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다. 이 주된 특징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는, 이용자마다 등록된 생체 정보를 유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등록되는 모든 이용자(예컨대, 전 사원 5만명)에게 있어서, 이용자마다 할당된 「이용자 ID」와, 이 이용자의 생체 정보인 「지문 화상」으로부터 추출한 「지문 특징량 정보」를 대응시켜 메인 메모리 등에 유지한다. 예컨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 ID: 00001」과, 「지문 특징량 정보: 특징량 00001」을 대응시켜 유지한다. 또한, 「지문 특징량 정보」란, 「지문 화상」으로부터, 지문을 구성하는 곡선의 끊어지는 곳이나 갈라진 곳 등의 특징적인 부분을 특징량으로서 추출한 정보를 말한다.
그리고,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는, 이용자마다 대응시킨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인 이용자 정보를 유지한다. 예컨대, 도 1b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마다 대응시켜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인 「고정 정보」, 「전체 입실 이력」, 「개인 입실 이력」 및 「직무」를, 이용자 인증 장치가 설치되는 시설(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시설」)에서의 「요일」마다의 「이용자 정보」로서 유지한다. 이하, 「이용자 ID: 00001」이 할당된 이용자의 「제1 시설」에서의 「월요일」의 속성 정보를 중심으로, 이용자 정보에 대해서 설명한다.
「고정 정보」는 이용자의 근무대로부터 추정되는 속성 정보이다. 예컨대, 그 회사에서의 근무대가 「8:30」을 업무 개시 시간으로 정하고 있으면, 「제1 시설」이 근무 장소로서 지정되어 있는 이용자에 대해서는, 「~ 8:00」 및 「~ 8:30」의 「시간대」에 대응시켜 「1」을 부여한다. 즉, 도 1b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시설」이 근무 장소로서 지정되어 있는 이용자(이용자 ID: 00001) 및 이용자(이용자 ID: 00002)의 「고정 정보」로서, 「~ 8:00」 및 「~ 8:30」의 「시간대」에는 「1」을 부여하고, 「~ 9:00」, 「~ 9:30」, 「~ 10:00」 및 「그 외(기타)」의 「시간대」에는 「0」을 부여한다. 또한, 별도의 시설이 근무 장소로서 지정되어 있는 이용자(이용자 ID: 00003)의 「고정 정보」로서는, 모든 「시간대」에 있어서 「0」을 부여한다[도 1b의 (A) 참조]. 또한, 「~ 8:00」는 「6:00 ~ 8:00」의 시간대를 나타내고, 「~ 8:30」은 「8:01 ~ 8:30」의 시간대를 나타내며, 「~ 9:00」는 「8:31 ~ 9:00」의 시간대를 나타내고, 「~ 9:30」은 「9:01 ~ 9:30」의 시간대를 나타내며, 「~ 10:00」는 「9:31 ~ 10:00」의 시간대를 나타내고, 「그 외」는 이들 이외의 시간대를 나타내는 것이다.
「전체 입실 이력」은 이용자 전원(예컨대, 전 사원 5만명 전원)의 「제1 시설」 입실의 관리 이력으로부터 통계적으로 산출된 「시간대」마다의 입실의 확률로서 부여되는 속성 정보로서, 모든 이용자에 대하여 동일한 값이 된다. 예컨대, 도 1b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시설」의 「시설 ID: 01」에 대응시켜 모든 이용자에 대하여, 「시간대: ~ 8:00」에는 「20%」를 부여하고, 「시간대: ~ 8:30」에는 「40%」를 부여하며, 「시간대: ~ 9:00」에는 「10%」를 부여하고, 「시간대: ~ 9:30」에는 「10%」를 부여하며, 「시간대: ~ 10:00」에는 「10%」를 부여하고, 「시간대: 그 외」에는 「10%」를 부여한다.
「개인 입실 이력」은 이용자마다(예컨대, 전 사원 5만명마다)의 「제1 시설」 입실의 관리 이력으로부터 통계적으로 산출된 「시간대」마다의 확률이다. 예컨대, 도 1b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용자(이용자 ID: 00001)의 「개인 입실 이력」으로서, 「시간대: ~ 8:00」에는 「90%」를 부여하고, 「시간대: ~ 8:30」에는 「5%」를 부여하며, 「시간대: ~ 9:00」에는 「0%」를 부여하고, 「시간대: ~ 9:30」에는 「0%」를 부여하며, 「시간대: ~ 10:00」에는 「0%」를 부여하고, 「시간대: 그 외」에는 「5%」를 부여한다.
「직무」는, 이용자마다의 직무에 기초하여 부여되는 수치이다. 예컨대, 도 1b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무: 없음」의 이용자(이용자 ID: 00001) 및 이용자(이용자 ID: 00003)에 대해서는, 「수치: 0」을 부여하고, 「직무: 임원」의 이용자(이용자 ID: 00002)에 대해서는, 「수치: 1」을 부여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는, 도 1b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용자마다 대응시킨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인 「고정 정보」, 「전체 입실 이력」, 「개인 입실 이력」 및 「직무」를 「제1 시설」에서의 「이용자 정보」로서 「월요일」 이외의 「화요일」~「일요일」에 대해서도 각각 유지한다.
그리고,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는, 유지하는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로부터, 후술하는 예측치를 산출할 때에 이용하는 속성 정보를 설정한다. 예컨대, 도 1b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시설」에서의 「월요일」의 「속성 정보 설정」으로서 「이용자 ID: 00001」의 이용자에 대해서는, 확률로 나타내고 있는 「시간대」마다의 「개인 입실 이력」을 예측치로서 채용한다고 설정하고, 「이용자 ID: 00002」의 이용자에 대해서는, 「직무: 임원」에 대하여 부여된 「수치: 1」을 「100배」한 값(100)을, 모든 시간대에 있어서 채용한다고 설정한다.
또한, 「이용자 ID: 00003」의 이용자에 대해서는, 도 1b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시설」에서의 「월요일」의 「속성 정보 설정」으로서, 「시간대: ~ 8:00」 및 「시간대: ~ 8:30」에 대해서는, 「전체 입실 이력」의 확률을 채용한다고 설정하고, 「시간대: ~ 9:00」, 「시간대: ~ 9:30」, 「시간대: ~ 10:00」 및 「시간대: 그 외」에 대해서는, 「개인 입실 이력」의 확률을 채용한다고 설정한다.
그리고,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는, 전술한 「속성 정보 설정」을 참조하며, 유지하는 이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로부터, 이용자마다 이 이용자가 인증 요구를 행하여 「제1 시설」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 확률로서의 예측치를 산출한다. 즉,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는, 도 1b의 (B)에 도시하는 「제1 시설」에서의 「월요일」의 「속성 정보 설정」을 참조하며, 도 1b의 (A)에 도시하는 「제1 시설」에서의 「월요일」의 「이용자 정보」로부터, 이용자마다의 이용 확률로서의 예측치를 산출한다[도 1b의 (C) 참조]. 예컨대, 「이용자 ID: 00003」의 이용자에 대해서는, 「제1 시설」에서의 「월요일」의 예측치로서, 「시간대: ~ 8:00」는 「20%」, 「시간대: ~ 8:30」는 「40%」, 「시간대: ~ 9:00」는 「45%」, 「시간대: ~ 9:30」은 「45%」, 「시간대: ~ 10:00」는 「0%」,「시간대: 그 외」는 「5%」를 산출한다.
그리고,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는 산출된 예측치로 결정되는 복수의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소정의 기억부[예컨대, 후술하는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및 제2 저장 정보기 억부(15f)]에 미리 저장한다. 즉,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는, 도 1b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1 시설」에서의 「월요일」의 이용자마다의 예측치의 리스트를 참조하여 결정되는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소정의 기억부에 미리 저장한다[도 1c의 (1) 참조]. 구체적으로는, 「월요일」의 「시간대」 각각에 있어서, 이용자마다의 예측치의 리스트를 참조하여, 예컨대, 예측치가 높은 상위 100명분의 「지문 특징량 정보」를, 도 1a에 도시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소정의 기억부에 미리 저장한다. 예컨대, 월요일의 「~ 8:00」, 「~ 8:30」, 「~ 9:00」, 「~ 9:30」, 「~ 10:00」 및 「그 외」 각각의 시간대에서의 개시 시각마다 소정의 기억부에 미리 저장한다.
그리고,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는, 인증 요구를 위한 생체 정보를 접수한 경우에, 접수한 생체 정보와, 소정의 기억부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대조한다.
예컨대, 「제1 시설」 내로의 입실을 희망하는 사원인 이용자(이용자 ID: 00001)가, 월요일 오전 8시 15분에, 생체 정보 판독 장치에 자신의 지문을 판독시키고, 이 생체 정보 판독 장치가, 그 이용자의 생체 정보로서 「지문 화상」을 송신하면,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는, 접수한 생체 정보를 대조용 데이터(지문 특징량 정보)로 변환하며, 월요일의 그 시간대(~ 8:30)에 소정의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예측치가 높은 상위 100명분의 「지문 특징량 정보」로부터 대조 처리를 행한다[도 1c의 (2) 참조]. 또한, 소정의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 정보에 접수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리스트에 있어서 하위에 있는 이용자의 생체 정보와 대조를 더 행한다.
그리고,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는, 대조된 결과에 기초하여 접수한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을 이용자로서 인증할지 여부를 판정한다[도 1c의 (3) 참조]. 즉,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는, 접수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생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접수한 생체 정보를 생체 정보 판독 장치에 입력한 이용자(이용자 ID: 00001)를 이용자로서 인증한다고 판정한다. 한편, 등록된 모든 대조 대상과 대조를 행하여도, 접수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생체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용자로서 인증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생체 정보로서 「지문」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손바닥의 정맥 패턴」, 「안구의 홍채」, 「손가락의 정맥 패턴」, 「얼굴 화상 데이터」 등 다른 생체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요일」 각각에 대해서 「시간대」마다 「속성 정보 설정」을 설정하여 예측치의 리스트를 작성하고, 이것을 참조하여 대조 및 인증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주 단위」로 「시간대」마다 「속성 정보 설정」을 설정하거나, 「월단위」로 「시간대」마다 「속성 정보 설정」을 설정하거나 하여 예측치의 리스트를 작성하며, 이것을 참조하여 대조 및 인증을 행하는 경우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속성 정보 이외에, 「행동 이력」이나 「기호 정보」나 「예약 상황」이라는 이용자 개인의 배경 정보를 이용하여 「속성 정보 설정」을 설정하고, 예측치의 리스트를 작성하는 경우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이용자 인증 장치가 하나의 시설 내로의 입실을 관리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하나의 이용자 인증 장치가 복수의 시설 내로의 입실을 관리하는 경우라도 된다. 즉, 상술한 이용자 정보를 복수의 시설마다 유지하고, 시설마다 산출한 이용자마다의 예측치를 이용하여 시설 각각의 입실 관리를 행하는 경우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속성 정보 설정에 의해 산출되는 예측치로 결정되는 생체 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대조 및 인증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산출된 예측치로 결정되는 복수의 이용자에게 있어서의 생체 정보가 이용되는 이용 효율을 산출하며, 산출되는 이용 효율이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일 때, 이용자마다 예측치를 산출할 때에 이용하는 속성 정보를 재설정하는 경우라도 된다.
예컨대, 접수한 생체 정보가, 소정의 기억부가 미리 기억해 둔 생체 정보와 일치한 확률을 이용 효율로 하여 소정의 간격마다(예컨대, 주 단위) 산출하고, 이용 효율이 미리 정해진 값(예컨대, 50%) 미만인 경우는, 속성 정보 설정의 재검토를 행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등록되는 생체 정보 전부를 대조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요주의 인물 리스트를 미리 유지해 두고, 그 리스트에 해당하는 이용자의 생체 정보는, 대조 대상에서 제외하는 경우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생체 정보 판독 장치가, 생체 정보(지문 화상)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생체 정보 판독 장치가, 생체 정보와 함께 그 생체 정보 판독 장치에 할당된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라도 된다. 이에 따라, 예컨대, 이용자 인증 장치는, 자신과 통신 가능한 생체 정보 판독 장치가 송신한 생체 정보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정당한(등록된 식별 번호가 할당된) 생체 정보 판독 장치로부터의 생체 정보만을 수신하여 대조 및 인증 처리를 행할 수 있어 보다 안정성이 높은 인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시설 내로의 입실 관리를 본 발명의 적용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컴퓨터 등의 정보 단말의 로그인 인증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라도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생체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과, 이용자가 출입하는 공간이 상이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시에 이용자로부터 수취한 생체 정보의 송신을 행하는 단말과 이용 가능 여부를 통지할 곳의 단말이 동일한 경우라도 된다. 그 이외의 상정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도 1 내지 도 4는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별도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는, 등록되어 있는 생체 정보에,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로부터 산출한 이용자마다의 예측치에 기초한 우선순위를 부가할 수 있어, 상술한 주된 특징과 같이, 효율적인 인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구성]
다음에, 도 2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실시예 1에서의 생체 정보 기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정보 기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실시예 1에서의 속성 정보 설정 기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실시예 1에서의 산출 결과 기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10)는 입력부(11)와, 출력부(12)와, 통신 제어부(13)와, 입출력 제어 I/F부(14)와, 기억부(15)와, 처리부(16)로 구성된다.
입력부(11)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고, 키보드나 마우스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특히, 본 발명에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으로서는, 「이용자 정보」나 「속성 정보 설정」 등을, 예컨대, 키보드로부터 접수하여 입력한다.
출력부(12)는 각종 정보를 출력하고, 모니터나 스피커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특히, 본 발명에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으로서는, 예컨대, 후술하는 인증부(16d)에 의한 인증 판정 결과가 「인증하지 않는다」고 하는 경우에는, 경고음을 스피커로부터 발생시키거나 한다.
통신 제어부(13)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고, 특히, 본 발명에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으로서는, 「지문 화상」이나 「인증 판정 결과」등, 생체 정보 판독 장치와의 정보 교환을, 예컨대, 전파 통신 등의 무선 통신에 의해 제어하거나 한다.
입출력 제어 I/F부(14)는, 입력부(11), 출력부(12) 및 통신 제어부(13)와, 기억부(15) 및 처리부(16)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한다.
기억부(15)는, 처리부(16)에 의한 각종 처리에 이용하는 데이터와, 처리부(16)에 의한 각종 처리 결과를 기억하고, 특히, 본 발명에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으로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 정보 기억부(15a)와, 속성 정보 설정 기억부(15b)와, 산출 결과 기억부(15c)와, 생체 정보 기억부(15d)와,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와,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를 구비한다. 여기서, 이용자 정보 기억부(15a)는, 청구 범위에 기재한 「이용자 정보 유지 수단」에 대응하며, 속성 정보 설정 기억부(15b)는, 그 「설정 수단」에 대응하며, 생체 정보 기억부(15d)는, 그 「등록 생체 정보 유지 수단」에 대응한다. 또한,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와,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는 청구 범위에 기재한 「미리 정해진 기억부」에 대응한다.
생체 정보 기억부(15d)는 이용자마다 등록된 생체 정보를 유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등록되는 모든 이용자(예컨대, 전 사원 5만명)에 있어서, 이용자마다 할당된 「이용자 ID」와, 이 이용자의 생체 정보인 「지문 화상」으로부터 추출한 「지문 특징량 정보」를 대응시켜 유지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 ID: 00001」과, 「지문 특징량 정보: 특징량 00001」을 대응시켜 유지한다.
이용자 정보 기억부(15a)는, 이용자마다 대응시킨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인 이용자 정보를 기억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마다 대응시켜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인 「고정 정보」, 「전체 입실 이력」, 「개인 입실 이력」 및 「직무」를, 이용자 인증 장치(10)가 설치되는 「제1 시설」에서의 「요일」마다의 「이용자 정보」로서 기억한다.
「고정 정보」는, 이용자의 근무대로부터 추정되는 속성 정보이다. 예컨대, 그 회사에서의 근무 시간대가 「8:30」을 업무 개시 시간으로서 정하고 있으면, 「제1 시설」이 근무 장소로서 지정되어 있는 이용자에 대해서는, 「~ 8:00」 및 「~ 8:30」의 「시간대」에 대응시켜 「1」을 부여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요일에서의, 이용자(이용자 ID: 00001) 및 이용자(이용자 ID: 00002)의 「고정 정보」로서, 「~ 8:00」 및 「~ 8:30」의 「시간대」에는 「1」을 부여하고, 「~ 9:00」, 「~ 9:30」, 「~ 10:00」 및 「그 외」의 「시간대」에는 「0」을 부여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시설이 근무 장소로서 지정되어 있는 이용자(이용자 ID: 00003)의 「고정 정보」로서는, 모든 「시간대」에 있어서 「0」을 부여한다.
「전체 입실 이력」은, 이용자 전원(예컨대, 전 사원 5만명 전원)의 「제1 시설」 입실의 관리 이력으로부터 통계적으로 산출된 「시간대」마다의 입실의 확률로서 부여되는 속성 정보로서, 모든 이용자에 대하여 동일한 값이 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요일에서의 「전체 입실 이력」으로서, 「제1 시설」의 「시설 ID:01」에 대응시켜 모든 이용자에 대하여, 「시간대: ~ 8:00」에는 「20%」를 부여하고, 「시간대: ~ 8:30」에는 「40%」를 부여하며, 「시간대: ~9:00」에는 「10%」를 부여하고, 「시간대: ~ 9:30」에는 「10%」를 부여하며, 「시간대: ~ 10:00」에는 「10%」을 부여하고, 「시간대: 그 외」에는 「10%」를 부여한다.
「개인 입실 이력」은, 이용자마다(예컨대, 전 사원 5만명마다)의 「제1 시설」 입실의 관리 이력으로부터 통계적으로 산출된 「시간대」마다의 확률이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요일에서의 이용자(이용자 ID: 00001)의「개인 입실 이력」으로서, 「시간대: ~ 8:00」에는 「90%」를 부여하고, 「시간대: ~ 8:30」에는 「5%」를 부여하며, 「시간대: ~ 9:00」에는 「0%」을 부여하고, 「시간대: ~ 9:30」에는 「0%」를 부여하며, 「시간대: ~ 10:00」에는 「0%」를 부여하고, 「시간대: 그 외」에는 「5%」를 부여한다.
「직무」는, 이용자마다의 직무에 기초하여 부여되는 수치이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무: 없음」의 이용자(이용자 ID: 00001) 및 이용자(이용자 ID: 00003)에 대해서는, 「수치: 0」을 부여하고, 「직무: 임원」의 이용자(이용자 ID: 00002)에 대해서는, 「수치: 1」을 부여한다.
이와 같이, 이용자 정보 기억부(15a)는, 이용자마다 대응시킨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로서, 전술한 「고정 정보」, 「전체 입실 이력」, 「개인 입실 이력」 및 「직무」를 「제1 시설」에서의 「월요일」의 「이용자 정보」로서 기억한다. 또한, 이용자 정보 기억부(15a)는, 이용자마다 대응시킨 「고정 정보」, 「전체 입실 이력」, 「개인 입실 이력」 및 「직무」를 「제1 시설」에서의 「이용자 정보」로서, 「월요일」 이외의 「화요일」~「일요일」에 대해서 각각 기억한다.
속성 정보 설정 기억부(15b)는, 이용자 정보 기억부(15a)가 기억하는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로부터, 후술하는 예측치 산출부(16a)가 예측치를 산출할 때에 이용하는 속성 정보의 설정을 「속성 정보 설정」으로서 기억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설」에서의 「월요일」의 「속성 정보 설정」으로서, 「이용자 ID: 00001」의 이용자에 대해서는, 확률로 나타내고 있는 「시간대」마다의 「개인 입실 이력」을 예측치로서 채용한다고 기억하고, 「이용자 ID: 00002」의 이용자에 대해서는, 「직무: 임원」에 대하여 부여된 「수치: 1」을 「100배」한 값(100)을, 모든 시간대에 있어서 채용한다고 기억한다.
또한, 「이용자 ID: 00003」의 이용자에 대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설」에서의 「월요일」의 「속성 정보 설정」과, 「시간대: ~ 8:00」 및 「시간대: ~ 8:30」에 대해서는, 「전체 입실 이력」의 확률을 채용한다고 기억하고, 「시간대: ~ 9:00」, 「시간대: ~ 9:30」, 「시간대: ~ 10:00」 및 「시간대: 그 외」에 대해서는, 「개인 입실 이력」의 확률을 채용한다고 기억한다.
산출 결과 기억부(15c)는, 후술하는 예측치 산출부(16a)에 의한 산출 결과를 기억하고,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및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는 생체 정보 기억부(15d)가 기억하는 생체 정보 중, 후술하는 저장부(16b)에 의해 지정되는 생체 정보를 기억한다. 또한, 이들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처리부(16)는 입출력 제어 I/F부(14)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하고, 특히 본 발명에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으로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측치 산출부(16a)와, 저장부(16b)와, 대조부(16c)와, 인증부(16d)를 구비한다. 여기서, 예측치 산출부(16a)는 청구 범위에 기재한 「예측치 산출 수단」에 대응하고, 저장부(16b)는 그 「저장 수단」에 대응하며, 대조부(16c)는 그 「대조 수단」에 대응하고, 인증부(16d)는 그 「인증 판정 수단」에 대응한다.
예측치 산출부(16a)는 속성 정보 설정 기억부(15b)가 기억하는 「속성 정보 설정」을 참조하여 이용자 정보 기억부(15a)가 기억하는 이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로부터, 이용자마다 이 이용자가 인증 요구를 행하여 「제1 시설」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 확률로서의 예측치를 산출하고, 그 결과를 산출 결과 기억부(15c)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측치 산출부(16a)는, 도 5에 도시하는 속성 정보 설정 기억부(15b)가 기억하는 「제1 시설」에서의 「월요일」의 「속성 정보 설정」을 참조하여 도 4에 도시하는 이용자 정보 기억부(15a)가 기억하는 「제1 시설」에서의 「월요일」의 「이용자 정보」로부터, 이용자마다의 이용 확률로서의 예측치를 산출하고, 그 결과를 산출 결과 기억부(15c)에 저장한다(도 6 참조).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 ID: 00003」의 이용자에 대해서는, 「제1 시설」에서의 「월요일」의 예측치로서, 「시간대: ~ 8:00」는 「20%」, 「시간대: ~ 8:30」은 「40%」, 「시간대: ~ 9:00」는 「45%」, 「시간대: ~ 9:30」은 「45%」, 「시간대: ~ 10:00」는 「0%」, 「시간대: 그 외」는 「5%」라고 하는 산출 결과를 저장한다.
저장부(16b)는, 산출된 예측치로 결정되는 복수의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또는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에 미리 저장한다. 즉, 저장부(16b)는, 생체 정보 기억부(15d)가 기억하는 생체 정보 중, 도 6에 도시된 산출 결과 기억부(15c)가 기억하는 산출 결과를 참조하여 결정되는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또는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에 미리 저장한다. 구체적으로는, 「월요일」의 「시간대」 각각에 있어서, 예측치가 높은 순으로 재배열된 이용자의 리스트를 참조하고, 도 3에 도시된 생체 정보 기억부(15d)가 기억하는 생체 정보로서의 「지문 특징량 정보」 중, 예컨대, 예측치가 높은 상위 100명분의 「지문 특징량 정보」를, 처음에,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에 미리 저장한다. 즉, 월요일의 「~ 8:00」, 「~ 8:30」, 「~ 9:00」, 「~ 9:30」, 「~ 10:00」 및 「그 외」의 시간대마다 저장 정보 기억부(15e)에 미리 저장한다. 또한,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에 대해서는, 하기의 대조부(16c)의 설명에 있어서, 상세히 설명한다.
대조부(16c)는, 인증 요구를 위한 생체 정보를 접수한 경우에, 접수한 생체 정보와,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가 기억하는 생체 정보를 처음에 대조한다.
예컨대, 「제1 시설」 내로의 입실을 희망하는 사원인 이용자(이용자 ID: 00001)가, 월요일 오전 8시 15분에, 생체 정보 판독 장치에 자신의 지문을 판독시키고, 이 생체 정보판독 장치가, 그 이용자의 생체 정보로서 「지문 화상」을 송신하면, 대조부(16c)는, 접수한 생체 정보를 대조용 데이터(지문 특징량 정보)로 변환하며, 월요일의 그 시간대(~ 8:30)에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가 기억하는 예측치가 높은 상위 100명분의 「지문 특징량 정보」와 대조 처리를 행한다.
예컨대, 대조부(16c)는,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가 기억하는 생체 정보 중 상위 절반의 생체 정보에, 접수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가 기억하는 생체 정보 중 하위 절반의 생체 정보와의 대조를 행하는 동시에,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에, 저장부(16b)가 작성한 리스트에 있어서 「더욱 하위에 있는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미리 저장해 둔다. 또한,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가 기억하는 생체 정보 중 하위 절반의 생체 정보에, 접수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가 기억하는 생체 정보 중, 상위 절반의 생체 정보와의 대조와, 하위 절반의 생체 정보와의 대조를 동일하게 행한다. 이 때, 대조부(16c)는,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가 기억하는 생체 정보를 소거하고,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가 기억하는 생체 정보 중, 상위 절반의 생체 정보에 접수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에, 「더욱 하위에 있는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미리 저장해 둔다. 그리고, 대조부(16c)는,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가 기억하는 생체 정보 중, 하위 절반의 생체 정보에 접수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번에는,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생체 정보와의 대조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상술한 처리는, 생체 정보 기억부(15d)에 등록된 생체 정보의 전부가 대조될 때까지 행해진다.
즉, 처음에는,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를 「대조 처리용 기억부」로서,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를 「대조 처리 준비용 기억부」로서 이용하고,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에 저장된 생체 정보에 접수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계속해서,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를 「대조 처리용 기억부」로서,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를 「대조 처리 준비용 기억부」로서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교대로 그 역할을 변환시켜 대조 처리를 행해 나간다.
인증부(16d)는, 대조부(16c)의 대조 결과에 기초하여 접수한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을 이용자로서 인증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인증부(16d)는, 접수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생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접수한 생체 정보를 생체 정보 판독 장치에 입력한 이용자(이용자 ID: 00001)를 이용자로서 인증한다고 판정하고, 인증한다고 하는 판정 결과를 생체 정보 판독 장치에 통신 제어부(13)를 통해 통지한다. 한편, 접수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생체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용자로서 인증하지 않는다고 판정하고, 인증하지 않는다고 하는 판정 결과를 생체 정보 판독 장치에 통신 제어부(13)를 통해 통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미리 생체 정보를 기억하는 소정의 기억부로서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및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의 2개를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미리 생체 정보를 기억하는 소정의 기억부로서의 설치 수는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용자 인증 장치(10)에, 생체 정보 기억부(15d)나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나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 등이 전부 배치되는 경우 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생체 정보 기억부(15d)나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나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가, 집중 관리실 등의 별도의 공간에서 분리되어 배치되고, 데이터의 송수신이 네트워크를 통해 행해지는 경우라도 된다.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에 의한 처리의 절차]
다음에, 도 7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10)에 의한 처리를 설명한다. 도 7은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예측치 산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생체 정보 저장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생체 정보 접수로부터 인증에 이르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예측치 산출 처리의 절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10)는, 제1 시설 내로의 입실 관리를 행하는 관리자로부터, 예측치 산출 요구를 접수하면(단계 S701: "Yes(예)"), 예측치 산출부(16a)는 이용자마다 이 이용자가 인증 요구를 행하여 「제1 시설」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 확률로서의 예측치를 산출하고(단계 S702), 처리를 종료한다.
예컨대, 제1 시설 내로의 입실 관리를 행하는 관리자로부터, 월요일의 예측치를 산출하는 요구를 접수하면, 예측치 산출부(16a)는, 도 5에 도시된 속성 정보 설정 기억부(15b)가 기억하는 「제1 시설」에서의 「월요일」의 「속성 정보 설정」을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이용자 정보 기억부(15a)가 기억하는 「제1 시설」에서의 「월요일」의 「이용자 정보」로부터, 이용자마다의 이용 확률로서의 예측치를 산출하고, 그 결과를 산출 결과 기억부(15c)에 저장한다(도 6 참조).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 ID: 00003」의 이용자에 대해서는, 「제1 시설」에서의 「월요일」의 예측치로서, 「시간대: ~ 8:00」는 「20%」, 「시간대: ~ 8:30」은 「40%」, 「시간대: ~ 9:00」는 「45%」, 「시간대: ~ 9:30」은 「45%」, 「시간대: ~ 10:00」는 「0%」, 「시간대: 그 외」는 「5%」로 산출한다.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생체 정보 저장 처리의 절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10)는 제1 시설 내로의 입실 관리를 행하는 관리자로부터 지정된 시간대가 되면(단계 S801: "Yes(예)"), 저장부(16b)는, 예측치로부터 결정되는 복수의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에 미리 저장하고(단계 S802), 처리를 종료한다.
예컨대, 월요일 「8:01」이 되면, 저장부(16b)는 도 6에 도시된 산출 결과 기억부(15c)가 기억하는 산출 결과를 참조하여 「시간대: ~ 8:30」에서의 예측치가 높은 순으로 재배열된 이용자의 리스트를 작성하고, 이 리스트를 참조하여 결정되는 예측치가 높은 상위 100명분의 「지문 특징량 정보」를, 도 3에 도시된 생체 정보 기억부(15d)로부터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에 미리 저장한다.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생체 정보 접수로부터 인증에 이르는 처리의 절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10)는, 대조용 생체 정보를 「대조 처리용 기억부」에 저장하고(단계 S901), 저장한 대조 정보의 대조용 데이터를, 「대조 처리용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 정보 중 예측치가 높은 상위 절반과 대조를 행한다(단계 S902).
예컨대, 월요일 「8:01」이 되면, 저장부(16b)는 「시간대: ~ 8:30」에서의 예측치가 높은 순으로 재배열된 이용자의 리스트를 참조하여 결정되는 예측치가 높은 상위 100명분의 「지문 특징량 정보」를, 생체 정보 기억부(15d)로부터 「대조 처리용 기억부」로서의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에 미리 저장하고, 대조부(16c)는, 「제1 시설」 내로의 입실을 희망하는 사원인 이용자(이용자 ID: 00001)로부터 접수한 생체 정보를 변환하여 저장한 대조용 데이터(지문 특징량 정보)를,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에 미리 대조용 데이터로서 저장되어 있는 예측치가 높은 상위 100명분의 「지문 특징량 정보」 중, 상위 50명분(첫 번째 ~ 50번째의 50명분)과 대조를 더 행한다.
그리고, 대조부(16c)는, 일치하는 생체 정보(구체적으로는, 일치하는 지문 특징량 정보)가 있었을 경우에는(단계 S903: "Yes(예)"), 인증부(16d)는, 접수한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을 이용자로서 인증한다고 판정하고, 생체 정보 판독 장치에 인증 통지를 행하고(단계 S906), 처리를 종료한다.
이것에 반하여, 대조부(16c)는, 일치하는 생체 정보(구체적으로는, 일치하는 지문 특징량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단계 S903: "No(아니오)"),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생체 정보의 대조용 데이터(지문 특징량 정보) 중, 나머지 하위 절반(51번째 ~ 100번째의 나머지 50명분)과 대조를 행하고(단계 S904), 그리고 동시에, 생체 정보 기억부(15d)에 등록되는 생체 정보의 대조 대상 데이터 중에, 「대조 처리 준비용의 기억부」로서의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907).
여기서, 생체 정보 기억부(15d)에 등록되는 생체 정보의 대조 대상 데이터 중에, 「대조 처리 준비용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단계 S907: "Yes(예)"), 대조부(16c)는 다음 대조 대상 데이터를, 「대조 처리 준비용 기억부」로서의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에 저장한다(단계 S908). 예컨대, 대조부(16c)는, 하위의 이용자(예컨대, 101번째 ~ 200번째)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의 대조용 데이터(지문 특징량 정보)를 다음 대조 대상 데이터로서 생체 정보 기억부(15d)로부터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에 더 저장한다.
그리고, 대조부(16c)는, 나머지 하위 절반(51번째 ~ 100번째의 나머지 50명분) 중에, 일치하는 생체 정보(구체적으로는, 일치하는 지문 특징량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단계 S905: "Yes(예)"), 인증부(16d)는 접수한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을 이용자로서 인증한다고 판정하고, 생체 정보 판독 장치에 인증 통지를 행하고(단계 S906), 처리를 종료한다.
이것에 반하여, 대조부(16c)는, 나머지 하위 절반(51번째 ~ 100번째의 나머지 50명분) 중에, 일치하는 생체 정보(구체적으로는, 일치하는 지문 특징량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단계 S905: "No(아니오)"),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를 「대조 처리용 기억부」로서,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를 「대조 처리 준비용 기억부」로서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이 이후는, 단계 S901로부터,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생체 정보 기억부(15d)에 등록되는 생체 정보의 대조용 데이터 전부를 대조할 때까지,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및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에 교대로 생체 정보의 대조용 데이터를 저장하고, 대조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생체 정보 기억부(15d)에 등록되는 생체 정보의 대조 대상 데이터 중에, 「대조 처리 준비용의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가 없는 경우는(단계 S907: "No(아니오)"), 인증부(16d)는, 접수한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을 이용자로서 인증하지 않는다고 판정하고, 생체 정보 판독 장치에 인증하지 않는다고 하는 통지를 행하고(단계 S906), 처리를 종료한다.
[실시예 1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르면, 이용자마다 등록된 생체 정보(예컨대, 대조용 데이터로서 지문 특징량 정보)를 유지하고, 이용자마다 대응시킨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인 「고정 정보」, 「전체 입실 이력」, 「개인 입실 이력」 및 「직무」인 이용자 정보를 유지하며, 유지하는 이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이들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마다 이 이용자가 인증 요구를 하게 될 가능성을 예측하여 예측치를 산출하고, 인증 요구를 위한 생체 정보를 접수한 경우에, 접수한 생체 정보와, 산출된 예측치로 결정되는 복수의 이용자에 대해서, 생체 정보 기억부(15d)가 기억하는 생체 정보를 대조하며, 대조된 결과에 기초하여 접수한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을 이용자로서 인증할지 여부를 판정하기 때문에, 등록되어 있는 생체 정보에,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로부터 산출한 이용자마다의 예측치에 기초한 우선순위를 부가할 수 있어 효율적인 인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르면,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로부터, 이용자마다 예측치를 산출할 때에 이용하는 속성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속성 정보로부터, 이용자마다의 예측치를 산출하기 때문에, 우선해야 할 속성 정보를 이용자마다 설정하여 예측치를 산출하여 정밀도가 높은 우선순위를 생체 정보에 부가할 수 있어 효율적인 인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무: 임원」인 「이용자 ID: 00002」의 이용자에 대해서는, 모든 시간대에서 높은 예측치를 부여하는 설정을 선택할 수 있고, 별도의 시설이 근무 장소로서 지정되어 있는 「이용자 ID: 00003」의 이용자에 대해서는, 업무 개시 시간인 「8:30」까지는 「전체 입실 이력」을 채용하고, 그 이후의 시간대에 대해서는, 「개인 입실 이력」을 채용한다고 하는 설정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른 설정을 임의로 선택하여 효율적인 인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직무: 경비원」과 같이, 긴급시에 즉시 입실이 인증될 필요가 있는 인물에 대해서도, 예컨대, 「수치: 1」을 부여하여 모든 시간대에서 높은 예측치가 산출되도록 속성 정보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르면, 예측치의 하나로서 이용 확률을 산출하기 때문에, 이용자마다 이 이용자가 인증 요구를 하게 될 가능성을, 명확한 척도인 확률로서 산출할 수 있어 효율적인 인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르면, 산출된 예측치로 결정되는 복수의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또는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에 미리 저장하고, 접수한 생체 정보와,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또는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기 때문에, 인증 결과의 산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인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
전술한 실시예 1에서는, 소정의 기억부에 생체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경우 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실시예 2에서는, 소정의 기억부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상황에 따라 소거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2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개요 및 특징]
우선 처음에, 도 10을 이용하여 실시예 2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주된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예 2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개요 및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 2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는, 저장부(16b)에 의해 저장된 복수의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기억하는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및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를 보관하는 자(自) 장치를 감시하여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및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로의 부정 액세스를 검출한다. 여기서 「부정 액세스」란, 등록 정보의 탈취(奪取)를 목적으로 하는 전기적 또는 물리적인 부정 행위를 의미하는 것이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부정 액세스로서, 이용자 인증 장치 그 자체의 탈취를 상정하고,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는, 생체 정보 판독 장치와의 통신 상황을 감시하며, 이 생체 정보 판독 장치와 통신 가능한 경우는,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및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를 보관하는 자(自) 장치가 부정 액세스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실시예 2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는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및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로의 부정 액세스가 검출된 경우에,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및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가 기억하는 생체 정보를 소거한다. 예컨대,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는, 생체 정보 판독 장치와의 통신 상황을 감시하고, 이 생체 정보 판독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 장해가 발생한 경우는, 부정 액세스 검출로서,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및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가 기억하는 생체 정보를 소거한다. 또한, 생체 정보 기억부(15d)에 관해서도, 탈취된 경우에, 등록되는 생체 정보를 소거하도록 설정해 두어도 된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실시예 2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는, 개인 정보 유출의 피해를 최저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또한 안정성이 높은 인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구성]
다음에, 도 11을 이용하여 실시예 2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를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예 2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실시예 2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10)와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감시 검출부(16e)를 새롭게 구비하고 있는 점이 서로 다르다. 이하, 이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감시 검출부(16e)는 청구 범위에 기재한 「감시 검출 수단」에 대응한다.
감시 검출부(16e)는,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및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와, 이들을 보관하는 이용자 인증 장치(10)를 감시하여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및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로의 부정 액세스를 검출한다. 예컨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 검출부(16e)는 통신 제어부(13)를 통해 생체 정보 판독 장치와의 통신 상황을 감시하고, 이 생체 정보 판독 장치와 통신 가능한 경우는,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및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를 보관하는 이용자 인증 장치(10)가 부정 액세스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저장부(16b)는 감시 검출부(16e)가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및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로의 부정 액세스를 검출한 경우에,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및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가 기억하는 생체 정보를 소거한다. 예컨대,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6b)는 생체 정보 판독 장치와의 통신 상황을 감시하고, 이 생체 정보 판독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 장해가 발생한 경우는, 부정 액세스 검출로서,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및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가 기억하는 생체 정보를 소거한다.
[실시예 2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에 의한 처리의 절차]
다음에, 도 12를 이용하여 실시예 2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10)에 의한 처리를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예 2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 2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의 처리의 절차]
우선, 실시예 2에서의 이용자 인증 장치(10)는 감시 검출부(16e)가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및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로의 부정 액세스를 검출하면(단계 S1201: "Yes(예)"), 저장부(16b)는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및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가 기억하는 생체 정보를 소거하고(단계 S1202), 처리를 종료한다.
예컨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 검출부(16e)는 통신 제어부(13)를 통해 생체 정보 판독 장치와의 통신 상황을 감시하고, 이 생체 정보 판독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 장해가 발생한 경우는, 부정 액세스 검출로 판정하며, 저장부(16b)는,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및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가 기억하는 생체 정보를 소거한다.
[실시예 2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따르면, 저장부(16b)에 의해 저장된 복수의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기억하는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및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를 보관하는 자(自) 장치를 감시하여 이들 기억부로의 부정 액세스를 검출하고, 부정 액세스가 검출된 경우에, 이들 기억부가 기억하는 생체 정보를 소거하기 때문에, 개인 정보 유출의 피해를 최저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또한 안정성이 높은 인증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상술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는, 하드웨어 로직에 의해 각종 처리를 실현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미리 준비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실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도 13을 이용하여 상술한 실시예 1에 나타낸 이용자 인증 장치(10)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이용자 인증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3은 실시예 1에서의 이용자 인증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로서의 컴퓨터(130)는, 키보드(131), 디스플레이(132), CPU(133), ROM(134), HDD(135), RAM(136) 및 통신 제어부(13)를 버스(137) 등으로 접속하여 구성된다.
ROM(134)에는, 상술한 실시예 1에 나타낸 이용자 인증 장치(10)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이용자 인증 프로그램,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측치 산출 프로그램(134a), 저장 프로그램(134b), 대조 프로그램(134c), 인증 프로그램(134d)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한, 이들 프로그램(134a~134d)에 대해서는, 도 2에 도시된 이용자 인증 장치(10)의 각 구성 요소와 마찬가지로 적절하게 통합 또는 분산하여도 된다.
그리고, CPU(133)가, 이들 프로그램(134a~134d)을 ROM(134)으로부터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프로그램(134a~134d)은 예측치 산출 프로세스(133a), 저장 프로세스(133b), 대조 프로세스(133c), 인증 프로세스(133d)로서 기능하도록 된다. 또한, 각 프로세스(133a~133d)는 도 2에 도시된 예측치 산출부(16a), 저장부(16b), 대조부(16c), 인증부(16d)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HDD(135)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 정보 데이터(135a)와, 속성 정보 설정 데이터(135b)와, 산출 결과 데이터(135c)와, 생체 정보 데이터(135d)와, 제1 저장 정보 데이터(135e)와, 제2 저장 정보 데이터(135f)가 설치된다. 이 이용자 정보 데이터(135a)는, 도 2에 이용한 이용자 정보 기억부(15a)에 대응하고, 속성 정보 설정 데이터(135b)는 속성 정보 설정 기억부(15b)에 대응하며, 산출 결과 데이터(135c)는 산출 결과 기억부(15c)에 대응하고, 생체 정보 데이터(135d)는 생체 정보 기억부(15d)에 대응하며, 제1 저장 정보 데이터(135e)는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에 대응하고, 제2 저장 정보 데이터(135f)는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에 대응한다. 그리고, CPU(133)는 이용자 정보 데이터(136a)를 이용자 정보 데이터(135a)에 대하여 등록하고, 속성 정보 설정 데이터(136b)를 속성 정보 설정 데이터(135b)에 대하여 등록하며, 산출 결과 데이터(136c)를 산출 결과 데이터(135c)에 대하여 등록하고, 생체 정보 데이터(136d)를 생체 정보 데이터(135d)에 대하여 등록하며, 제1 저장 정보 데이터(136e)를 제1 저장 정보 데이터(135e)에 대하여 등록하고, 제2 저장 정보 데이터(136f)를 제2 저장 정보 데이터(135f)에 대하여 등록하며, 이 이용자 정보 데이터(136a)와, 속성 정보 설정 데이터(136b)와, 산출 결과 데이터(136c)와, 생체 정보 데이터(136d)와, 제1 저장 정보 데이터(136e)와, 제2 저장 정보 데이터(136f)를 판독하여 RAM(136)에 저장하고, RAM(136)에 저장된 이용자 정보 데이터(136a)와, 속성 정보 설정 데이터(136b)와, 산출 결과 데이터(136c)와, 생체 정보 데이터(136d)와, 제1 저장 정보 데이터(136e)와, 제2 저장 정보 데이터(136f)에 기초하여 이용자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상술한 각 프로그램(134a~134d)에 대해서는, 반드시 처음부터 ROM(134)에 기억시켜 둘 필요는 없고, 예컨대 컴퓨터(130)에 삽입되는 플렉시블 디스크(FD), CD-ROM, MO 디스크, DVD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IC 카드 등의 「휴대용 물리 매체」, 또는, 컴퓨터(130)의 내외에 구비되는 HDD 등의 「고정용 물리 매체」, 나아가서는, 공중회선, 인터넷, LAN, WAN 등을 통해 컴퓨터(130)에 접속되는 「다른 컴퓨터(또는 서버)」 등에 각 프로그램을 기억시켜 두고, 컴퓨터(130)가 이들로부터 각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각 처리 중, 자동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서 설명한 처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동으로 행할 수도 있고(예컨대, 예측치 산출 요구를 관리자로부터 접수하지 않고, 일정 기간마다 자동적으로 예측치 산출 요구를 생성하는 등), 또는, 수동적으로 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한 처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지의 방법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 밖에, 상기 문장 중이나 도면 내에서 도시한 처리 절차, 구체적 명칭, 각종 데이터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정보[예컨대, 제1 저장 정보 기억부(15e) 및 제2 저장 정보 기억부(15f)에 저장되는 생체 정보의 수 등]에 대해서는, 특기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임의로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각 장치의 각 구성 요소는 기능 개념적인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즉, 각 처리부 및 각 기억부의 분산?통합의 구체적 형태(예컨대, 도 2의 형태 등)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대조부(16c)와 인증부(16d)를 통합하는 등, 그 전부 또는 일부를, 각종 부하나 사용 상황 등에 따라 임의의 단위로 기능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산?통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 장치에서 행해지는 각 처리 기능은, 그 전부 또는 임의의 일부가 CPU 및 이 CPU에 의해 해석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써 실현되거나 또는 와이어드 로직에 의한 하드웨어로서 실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 인증 장치, 이용자 인증 방법 및 이용자 인증 프로그램은,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를 인증하는 경우에 유용하며, 특히, 효율적인 인증을 실현시킬 수 있는 것에 적합하다.
10 : 이용자 인증 장치 11 : 입력부
12 : 출력부 13 : 통신 제어부
14 : 입출력 제어 I/F부 15 : 기억부
15a : 이용자 정보 기억부 15b : 속성 정보 설정 기억부
15c : 산출 결과 기억부 15d : 생체 정보 기억부
15e : 제1 저장 정보 기억부 15f : 제2 저장 정보 기억부
16 : 처리부 16a : 예측치 산출부
16b : 저장부 16c : 대조부
16d : 인증부

Claims (13)

  1.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를 인증하는 이용자 인증 장치로서,
    상기 이용자마다 등록된 상기 생체 정보를 유지하는 등록 생체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이용자마다 대응시킨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인 이용자 정보를 유지하는 이용자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이용자 정보 유지 수단이 유지하는 상기 이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마다 이 이용자가 인증 요구를 하게 될 가능성을 예측하여 예측치를 산출하는 예측치 산출 수단과,
    인증 요구를 위한 생체 정보를 접수한 경우에, 접수한 생체 정보와, 상기 예측치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예측치로 결정되는 복수의 이용자에 대해서, 상기 등록 생체 정보 유지 수단이 유지하는 생체 정보를 대조하는 대조 수단과,
    상기 대조 수단에 의해 대조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접수한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을 상기 이용자로서 인증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인증 판정 수단과,
    상기 이용자 정보 유지 수단이 유지하는 상기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로부터, 상기 예측치 산출 수단이 상기 이용자마다 상기 예측치를 산출할 때에 이용하는 속성 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예측치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예측치를 이용하여 상기 대조 수단이 대조한 결과에 가중을 행하는 가중 수단과,
    상기 대조 수단에 의해 실시되는 대조에 있어서, 상기 예측치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예측치로 결정되는 복수의 이용자에게 있어서의 생체 정보가 이용되는 이용 효율을 산출하는 이용 효율 산출 수단과,
    상기 예측치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상기 예측치로 결정되는 복수의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억부에 미리 저장하는 저장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예측치 산출 수단은, 상기 예측치로서 이용 확률을 산출하며,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이용 효율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이용 효율이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일 때, 상기 이용자마다 상기 예측치를 산출할 때에 이용하는 속성 정보를 재설정하고,
    상기 대조 수단은, 접수한 생체 정보와, 상기 저장 수단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기억부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며, 접수한 생체 정보와, 상기 저장 수단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기억부에 저장된 생체 정보 전부와의 대조가 완전하게 종료되기 전이라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억부에 상기 저장 수단에 의해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생체 정보를, 다음 대조 후보로서 상기 미리 정해진 기억부와는 별도의 기억부로 판독할 것을 상기 저장 수단에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 인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이용 효율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이용 효율이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인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상기 대조 수단에 의해 대조되는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 인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이용 이력 정보, 건물 이용 정보, 이용 시간대 정보, 이용자 직무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 인증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예측치 산출 수단이 상기 예측치를 산출할 때에 이용하는 상기 속성 정보의 설정을 동적으로 변경하고,
    상기 저장 수단은, 상기 예측치 산출 수단이 동적으로 변경된 상기 속성 정보의 설정에 기초해서 변경하여 산출된 예측치를 이용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기억부에 저장되는 상기 생체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 인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에 의해 저장된 생체 정보를 기억하는 상기 미리 정해진 기억부 및 이 미리 정해진 기억부를 보관하는 장치를 감시하여, 이 미리 정해진 기억부로의 부정 액세스를 검출하는 감시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저장 수단은, 상기 감시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기억부로의 부정 액세스가 검출된 경우에, 이 미리 정해진 기억부가 기억하는 생체 정보를 소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 인증 장치.
  7.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를 인증하는 이용자 인증 방법으로서,
    상기 이용자마다 등록된 상기 생체 정보를 유지하는 등록 생체 정보 유지 단계와,
    상기 이용자마다 대응시킨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인 이용자 정보를 유지하는 이용자 정보 유지 단계와,
    상기 이용자 정보 유지 단계가 유지하는 상기 이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마다 이 이용자가 인증 요구를 하게 될 가능성을 예측하여 예측치를 산출하는 예측치 산출 단계와,
    인증 요구를 위한 생체 정보를 접수한 경우에, 접수한 생체 정보와, 상기 예측치 산출 단계에 의해 산출된 예측치로 결정되는 복수의 이용자에 대해서, 상기 등록 생체 정보 유지 단계가 유지하는 생체 정보를 대조하는 대조 단계와,
    상기 대조 단계에 의해 대조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접수한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을 상기 이용자로서 인증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인증 판정 단계와,
    상기 이용자 정보 유지 단계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로부터, 상기 예측치 산출 단계에 의해 상기 이용자마다 상기 예측치를 산출할 때에 이용되는 속성 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상기 예측치 산출 단계에 의해 산출된 예측치를 이용하여 상기 대조 단계에 의해 대조된 결과에 가중을 행하는 가중 단계와,
    상기 대조 단계에 의해 실시되는 대조에 있어서, 상기 예측치 산출 단계에 의해 산출된 예측치로 결정되는 복수의 이용자에게 있어서의 생체 정보가 이용되는 이용 효율을 산출하는 이용 효율 산출 단계와,
    상기 예측치 산출 단계에 의해 산출된 상기 예측치로 결정되는 복수의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억부에 미리 저장하는 저장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예측치 산출 단계는, 상기 예측치로서 이용 확률을 산출하며,
    상기 설정 단계는, 상기 이용 효율 산출 단계에 의해 산출되는 이용 효율이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일 때, 상기 이용자마다 상기 예측치를 산출할 때에 이용하는 속성 정보를 재설정하고,
    상기 대조 단계는, 접수한 생체 정보와, 상기 저장 단계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기억부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며, 접수한 생체 정보와, 상기 저장 단계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기억부에 저장된 생체 정보 전부와의 대조가 완전하게 종료되기 전이라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억부에 상기 저장 단계에 의해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생체 정보를, 다음 대조 후보로서 상기 미리 정해진 기억부와는 별도의 기억부로 판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용자 인증 방법.
  8.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를 인증하는 이용자 인증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이용자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이용자 인증 프로그램은,
    상기 이용자마다 등록된 상기 생체 정보를 유지하는 등록 생체 정보 유지 단계와,
    상기 이용자마다 대응시킨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인 이용자 정보를 유지하는 이용자 정보 유지 단계와,
    상기 이용자 정보 유지 단계가 유지하는 상기 이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마다 이 이용자가 인증 요구를 하게 될 가능성을 예측하여 예측치를 산출하는 예측치 산출 단계와,
    인증 요구를 위한 생체 정보를 접수한 경우에, 접수한 생체 정보와, 상기 예측치 산출 단계에 의해 산출된 예측치로 결정되는 복수의 이용자에 대해서, 상기 등록 생체 정보 유지 단계가 유지하는 생체 정보를 대조하는 대조 단계와,
    상기 대조 단계에 의해 대조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접수한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을 상기 이용자로서 인증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인증 판정 단계와,
    상기 이용자 정보 유지 단계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복수 종류의 속성 정보로부터, 상기 예측치 산출 단계에 의해 상기 이용자마다 상기 예측치를 산출할 때에 이용되는 속성 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상기 예측치 산출 단계에 의해 산출된 예측치를 이용하여 상기 대조 단계에 의해 대조된 결과에 가중을 행하는 가중 단계와,
    상기 대조 단계에 의해 실시되는 대조에 있어서, 상기 예측치 산출 단계에 의해 산출된 예측치로 결정되는 복수의 이용자에게 있어서의 생체 정보가 이용되는 이용 효율을 산출하는 이용 효율 산출 단계와,
    상기 예측치 산출 단계에 의해 산출된 상기 예측치로 결정되는 복수의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억부에 미리 저장하는 저장 단계
    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고,
    상기 예측치 산출 단계는, 상기 예측치로서 이용 확률을 산출하며,
    상기 설정 단계는, 상기 이용 효율 산출 단계에 의해 산출되는 이용 효율이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일 때, 상기 이용자마다 상기 예측치를 산출할 때에 이용하는 속성 정보를 재설정하고,
    상기 대조 단계는, 접수한 생체 정보와, 상기 저장 단계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기억부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며, 접수한 생체 정보와, 상기 저장 단계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기억부에 저장된 생체 정보 전부와의 대조가 완전하게 종료되기 전이라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억부에 상기 저장 단계에 의해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생체 정보를, 다음 대조 후보로서 상기 미리 정해진 기억부와는 별도의 기억부로 판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07000475A 2007-07-09 2007-07-09 이용자 인증 장치, 이용자 인증 방법 및 이용자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170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3671 WO2009008051A1 (ja) 2007-07-09 2007-07-09 利用者認証装置、利用者認証方法および利用者認証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211A KR20100027211A (ko) 2010-03-10
KR101170222B1 true KR101170222B1 (ko) 2012-07-31

Family

ID=4022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0475A KR101170222B1 (ko) 2007-07-09 2007-07-09 이용자 인증 장치, 이용자 인증 방법 및 이용자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19075B2 (ko)
EP (1) EP2166481A4 (ko)
JP (1) JP4985773B2 (ko)
KR (1) KR101170222B1 (ko)
CN (1) CN101689235B (ko)
WO (1) WO20090080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222B1 (ko) * 2007-07-09 2012-07-3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이용자 인증 장치, 이용자 인증 방법 및 이용자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4844840B2 (ja) * 2007-10-11 2011-12-28 日本電気株式会社 ログイン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ログイン情報処理方法
JP2010170439A (ja) * 2009-01-26 2010-08-05 Hitachi Ltd 生体認証システム
JP2010244365A (ja) * 2009-04-07 2010-10-28 Sony Corp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生体情報認証サーバ、生体情報認証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JP5397479B2 (ja) 2009-12-08 2014-01-22 富士通株式会社 生体認証システム及び生体認証方法
US20130340061A1 (en) * 2011-03-16 2013-12-19 Ntt Docomo, Inc. User authentication template learning system and user authentication template learning method
JP2014026411A (ja) * 2012-07-26 2014-02-06 Nippon Telegraph & Telephone West Corp ヘルスケアシステム及びそのサーバ
CN102833235B (zh) * 2012-08-13 2016-04-27 鹤山世达光电科技有限公司 身份认证管理装置
FR2996331B1 (fr) * 2012-09-28 2015-12-18 Morpho Procede de detection de la realite de reseaux veineux a des fins d'identification d'individus
JP7067061B2 (ja) * 2018-01-05 2022-05-16 富士通株式会社 生体認証装置、生体認証方法および生体認証プログラム
JP6208492B2 (ja) * 2013-08-07 2017-10-04 株式会社ミツトヨ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50082390A1 (en) * 2013-09-08 2015-03-19 Yona Flink Method and a system for secure login to a computer, computer network, and computer website using biometrics and a mobile computing wireless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US10778672B2 (en) * 2015-11-16 2020-09-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cure biometrics matching with split phase client-server matching protocol
US10044710B2 (en) 2016-02-22 2018-08-07 Bpip Limited Liability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validating a user using an intelligent voice print
JP6805885B2 (ja) * 2017-02-28 2020-12-23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アクセス制御方法、及び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
JP7105812B2 (ja) 2017-06-09 2022-07-25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エチレンアミンの製造方法
CN110709379A (zh) 2017-06-09 2020-01-17 巴斯夫欧洲公司 制备亚乙基胺的方法
WO2018224315A1 (de) 2017-06-09 2018-12-13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thylenaminen
CN107295192B (zh) * 2017-07-13 2020-03-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解锁控制方法及相关产品
CN107463819B (zh) * 2017-07-14 2020-03-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解锁处理方法及相关产品
CN107463822B (zh) * 2017-07-21 2021-04-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生物识别模式控制方法及相关产品
CN107517298B (zh) * 2017-07-21 2020-08-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解锁方法及相关产品
CN107491965B (zh) * 2017-07-31 2020-07-1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生物特征库的建立方法和装置
JP6278149B1 (ja) * 2017-08-07 2018-02-14 株式会社セガゲームス 認証システム、及び、サーバー
WO2019081283A1 (de) 2017-10-27 2019-05-02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thylenaminen
EP3700884B1 (de) 2017-10-27 2021-10-13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thylenaminen
US11880842B2 (en) * 2018-12-17 2024-01-23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United states system and methods for dynamically determined contextual, user-defined, and adaptive authentication
CN113474326A (zh) 2019-03-06 2021-10-01 巴斯夫欧洲公司 制备亚乙基胺的方法
JP7473910B2 (ja) 2020-03-27 2024-04-24 株式会社フュートレック 話者認識装置、話者認識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756740B (zh) * 2020-06-24 2022-07-29 广东科杰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身份鉴权的密盘验证方法和系统
WO2023187970A1 (ja) * 2022-03-29 2023-10-05 富士通株式会社 キャッシュ制御方法、キャッシュ制御装置、及びキャッシュ制御プログラム
CN114978749B (zh) * 2022-06-14 2023-10-10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登录认证方法及系统、存储介质和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0264A (ja) * 1998-09-11 2000-03-31 Omron Corp 生体照合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5242521A (ja) * 2004-02-25 2005-09-08 Ricoh Co Ltd 認証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20072D0 (en) * 1993-09-29 1993-11-17 Ncr Int Inc Self-service system having predictive capability
GB9323489D0 (en) * 1993-11-08 1994-01-05 Ncr Int Inc Self-service business system
JP3743234B2 (ja) 1999-12-06 2006-0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ゲート管理システム
JP3601438B2 (ja) 2000-10-31 2004-12-15 日本電気株式会社 バイオメトリックス式個人識別装置における優先処理装置
KR100460825B1 (ko) * 2001-02-14 2004-12-09 테스텍 주식회사 지문이미지 취득방법
JP2003044442A (ja) 2001-07-30 2003-02-14 Fujitsu Support & Service Kk データ認証方法及びデータ認証装置
JP2004118592A (ja) * 2002-09-26 2004-04-15 Aisin Seiki Co Ltd ユーザ認識装置
JP2006018677A (ja) * 2004-07-02 2006-01-19 Sharp Corp 生体データ照合装置、生体データ照合方法、生体データ照合プログラムおよび生体データ照合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559181B2 (ja) * 2004-10-08 2010-10-06 富士通株式会社 ユーザ認証装置、電子機器、およびユーザ認証プログラム
US20070272744A1 (en) * 2006-05-24 2007-11-2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etection and visualization of patterns and associations in access card data
WO2008091361A2 (en) * 2006-06-19 2008-07-31 Authentec, Inc. Finger sensing device with spoof reduction features and associated methods
KR101170222B1 (ko) * 2007-07-09 2012-07-3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이용자 인증 장치, 이용자 인증 방법 및 이용자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8233722B2 (en) * 2008-06-27 2012-07-31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finding a document image in a document collection using localized two-dimensional visual fingerprints
US8325993B2 (en) * 2009-12-23 2012-12-04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tandoff and mobile fingerprint collection
US8680995B2 (en) * 2010-01-28 2014-03-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ccess control system based upon behavioral patterns
US8903142B2 (en) * 2010-07-12 2014-12-02 Fingerprint Cards Ab Biometric verification device and method
WO2012014308A1 (ja) * 2010-07-29 2012-02-02 富士通株式会社 生体認証装置、生体認証方法及び生体認証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ならびに生体情報登録装置
US8905303B1 (en) * 2013-09-01 2014-12-09 Mourad Ben Ayed Method for adaptive wireless pay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0264A (ja) * 1998-09-11 2000-03-31 Omron Corp 生体照合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5242521A (ja) * 2004-02-25 2005-09-08 Ricoh Co Ltd 認証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89235B (zh) 2012-07-18
JPWO2009008051A1 (ja) 2010-09-02
CN101689235A (zh) 2010-03-31
US20100097179A1 (en) 2010-04-22
KR20100027211A (ko) 2010-03-10
EP2166481A1 (en) 2010-03-24
US9019075B2 (en) 2015-04-28
EP2166481A4 (en) 2011-11-02
WO2009008051A1 (ja) 2009-01-15
JP4985773B2 (ja)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222B1 (ko) 이용자 인증 장치, 이용자 인증 방법 및 이용자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7876928B2 (en) Method and device for authenticating a person, and computer product
JP5011987B2 (ja) 認証システムの管理方法
US201103145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aware authentication
US201103145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iodic context-aware authentication
US7986817B2 (en) Verification apparatus, verification method and verification program
JP6081859B2 (ja) 入退域管理システム及び入退域管理方法
JP7166061B2 (ja) 顔認証システム、顔認証サーバおよび顔認証方法
JP3971408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およびログモニタ装置
EP3659063A1 (en) Intelligent gallery management for biometrics
JP4373314B2 (ja) 生体情報を用いる認証システム
JP3587045B2 (ja) 認証管理装置及び認証管理システム
WO2022029850A1 (ja) 認証端末およ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10090677A (ja) 入退域照合システム、入退域照合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4333842B2 (ja) 入退出管理システム、idカード、制御ユニット、システム管理装置。
JP4885683B2 (ja) 認証装置、認証装置の認証方法および認証装置の認証プログラム
WO2001016871A1 (en)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JP4998050B2 (ja) 生体認証プログラム、生体認証装置及び生体認証方法
JP2006059161A5 (ko)
JP2004246553A (ja) 管理機器及び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及び管理プログラム
JP5203286B2 (ja) 生体認証システム、生体認証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0108116A (ja) 計算機、情報システム、情報システム移行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312557B2 (ja) 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
JP4160433B2 (ja) 指紋による個人認証装置
JP4709473B2 (ja) バイオ認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