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494B1 - Endcap of wiper - Google Patents

Endcap of wi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494B1
KR101166494B1 KR1020120035820A KR20120035820A KR101166494B1 KR 101166494 B1 KR101166494 B1 KR 101166494B1 KR 1020120035820 A KR1020120035820 A KR 1020120035820A KR 20120035820 A KR20120035820 A KR 20120035820A KR 101166494 B1 KR101166494 B1 KR 101166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ap
coupling
jaw
wi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8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병갑
Original Assignee
유병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갑 filed Critical 유병갑
Priority to KR1020120035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4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494B1/en
Priority to PCT/KR2012/009352 priority patent/WO201315122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86End caps
    • B60S1/3887Mounting of end caps
    • B60S1/3889Mounting of end caps cooperating with holes in the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60S1/3875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 B60S1/3879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placed in side grooves in the squeeg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Springs (AREA)

Abstract

PURPOSE: An end cap for a vehicle wiper is provided to prevent tremor of a wiper strip by maintaining tight coupling and horizontality of the wiper strip when the wiper strip operates. CONSTITUTION: An end cap for a vehicle wiper comprises a lower cap(10) and an upper cap(20). Placed surfaces(11) where a spring is placed are formed in both side surfaces and a bottom surface. Coupling sills(12) where coupling grooves(2a) are coupled are formed on the bottom placed surface. The end of the spring is fixed by a first anti-distortion sill(13) and the upper cap is coupled to the lower cap. An upper coupling surface(21)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cap and coupling units(22) are formed in both side surfaces of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ap to coupl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p. A second anti-distortion sill is formed in the upper coupling surface. The second anti-distortion sill prevents distortion of the spring downwardly projected and restricts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Description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Endcap of wiper}End cap of wiper for vehicle {Endcap of wiper}

본 발명은 와이퍼의 양 끝단에 결합하는 차량용 와이퍼 엔드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프링의 움직임을 방지하면서 스프링과 고정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된 하부캡과 상기 하부캡과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의해 고정력을 발생함과 동시에 스프링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상부캡을 결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여 스프링의 움직임을 방지함과 동시에 결합력을 증대시켜 와이퍼 작동시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각각의 스프링 사이의 간격 및 수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와이퍼 스트립을 통한 이물질 제거시 떨림 현상 및 와이퍼 스트립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캡의 상부 결합면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해 스포일러의 유, 무에 상관없이 다양한 형태의 와이퍼에 적용할 수 있는 차량용 와이퍼 엔드캡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wiper end cap coupled to both ends of the wiper, and more specifically, a lower cap and an organic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 cap and the lower cap configured to generate the spring and the fixing force while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spring At the same time, the upper cap configured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spring at the same time can be configured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spring at the same time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detachment during wiper operation, respectively, The spacing and horizontality between the springs of the springs are always kept constant, which prevents shaking and damage to the wiper strips when removing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 wiper strips.The upper coupling surface of the upper cap is formed in various shapes to Regarding the wiper end cap for the vehicle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wipers, will be.

통상의 차량용 와이퍼는 자동차의 앞 유리창에 묻은 이물질(빗물, 눈, 먼지 등)에 대하여 아암과 어댑터에 연결된 브라켓, 일정한 곡률을 형성하고 있는 스프링 및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와이퍼 스트립이 조립되어 좌, 우 선회작동에 의해 깨끗이 닦아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부품이며, 와이퍼 스트립은 와이퍼 작동시 차량의 앞 또는 앞, 뒤 유리창 면에 직접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그 유리창에 묻은 각종 이물질을 깨끗이 긁어내는 역할을 담당하는 핵심 구성 부재로서 결합의 견고성이 중요한 요소이다.In general, the vehicle wiper is turned left and right by assembling the bracket connected to the arm and the adapter against the foreign matter (rain, snow, dust, etc.)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and the wiper strip made of spring and rubber material forming a certain curvature. It is a car part that can be wiped clean by operation, and the wiper strip is the key that cleans and scrapes off the foreign matters on the windshield while the wiper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ront, front, and rear window surface of the vehicle. As a constituent member, the tightness of the bond is an important factor.

또한, 상기와 같은 와이퍼에는 추가로 와이퍼 스트립 상측으로 스포일러를 더 구성할 수 있으며, 스프링 및 와이퍼 스트립 또는 스프링, 와이퍼 스트립 및 스포일러의 양단을 결합하기 위한 엔드캡의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다.In addition, such a wiper may further configure the spoiler further above the wiper strip,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of an end cap for coupling both ends of the spring and the wiper strip or the spring, the wiper strip, and the spoiler.

상기 엔드캡의 경우 일정한 곡률을 형성하고 있는 스프링 양단의 뒤틀림 방지 및 상술한 구성요소들을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 구성된다.The end cap is configured to prevent distortion of both ends of the spring forming a constant curvature and to firmly couple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한편, 종래의 엔드캡의 구성은 도 1은 등록특허 10-0629161호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한쌍의 스프링(130) 사이에 와이퍼 스트립(도면에 미도시)을 결합할 수 있는 장홈(131)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스프링(130)의 끝단부에는 요입부(132)가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end cap is shown in Figure 1 is a long groove 131 that can be coupled to the wiper strip (not shown in the figure) between a pair of springs 130 as described in the Patent No. 10-0629161 The concave inlet 132 is formed at the end of each spring 130.

또한, 상기 스프링(130) 및 스포일러(도면에 미도시)을 결합하기 위한 엔드캡(170)에는 쐐기 형상의 끼움턱(171)이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nd cap 170 for coupling the spring 130 and the spoiler (not shown) is formed with a wedge-shaped fitting jaw 171.

따라서, 사용자가 엔드캡(170)에 스프링(130)의 끝단을 밀어넣어 스프링(130)의 요입부(132)가 엔드캡(170)의 끼움턱(171)에 결합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Therefore, the user pushes the end of the spring 130 to the end cap 170, so that the concave portion 132 of the spring 130 is coupled to the fitting jaw 171 of the end cap 170.

이때에, 상기 끼움턱(171)은 스프링(130)의 삽입시 스프링(130)의 끝단면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올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fitting jaw 171 has a structure that can be lowered by the elastic force in the downward direction by the end surface of the spring 130 when the spring 130 is inserted and rise again.

한편, 도 2는 공개특허 10-2011-0031788호에 관한 것으로 구성을 살펴보면, 립(211)과 레일홈(217)으로 이루어진 와이퍼 스트립(210)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있으며, 내측으로 제1 고정홈(221)을 형성하고 끝단에는 제2 고정홈(222)을 형성한 스프링(220)에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2 relates to the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31788 When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the wiper strip 210 consisting of a lip 211 and the rail groove 217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he first inside Forming the fixing groove 221 and the end is composed of a structure coupled to the spring 220, the second fixing groove 222 is formed.

또한, 상기 스프링(220)과 결합하기 위한 엔드캡(240)은 스프링(220)을 가이드하기 위한 슬라이드 결합부(241)를 구성하고 있으며, 스프링(220)의 제1 고정홈(221)과 대응하는 제1 고정돌기(243)와 제2 고정홈(222)에 대응하는 제2 고정돌기(242)가 각각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nd cap 240 for coupling with the spring 220 constitutes a slide coupling portion 241 for guiding the spring 220, and corresponds to the first fixing groove 221 of the spring 220. The second fixing protrusions 242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protrusions 243 and the second fixing grooves 222 are respectively configured.

따라서, 사용자가 스프링(220)에 엔드캡(240)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스프링(220)을 엔드캡(240)의 슬라이드 결합부(241)에 삽입시켜 밀어 넣게 되면, 스프링(220)의 제2 고정홈(222)이 형성된 끝단이 제1 고정돌기(243)를 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inserts and pushes the spring 220 into the slide coupling portion 241 of the end cap 240 in order to couple the end cap 240 to the spring 220, the second fixing of the spring 220 is performed. An end where the groove 222 is formed pushes the first fixing protrusion 243.

특히, 상기 제1 고정돌기(243)는 상, 하로 탄성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와 같이 스프링(220)의 삽입시 끝단 부분에 의해 하측으로 내려가게 되면서, 스프링(220)에 형성된 제2 고정홈(222)이 엔드캡(240)의 제2 고정돌기(242)에 결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탄성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였던 제1 고정돌기(243)가 스프링(220)의 제1 고정홈(221)에 결합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In particular, the first fixing protrusion 243 is configured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up and down, an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fixing member 243 is lowered to the lower side by the end portion when the spring 220 is inserted as described above. As the fixing groove 222 is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242 of the end cap 240, the first fixing protrusion 243 which is moved downward by the elastic force is the first fixing groove of the spring 220 ( 221 may be coupled to.

하지만, 도 1에서 도시한 종래의 엔드캡(170)(등록특허 10-0629161호)의 경우 스프링(130)의 결합시 스프링(130) 끝단 부분을 통해 끼움턱(171)이 탄성작용에 의해 내려갈 때에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end cap 170 (Registration No. 10-0629161) shown in FIG. 1, the fitting jaw 171 through the end portion of the spring 130 when the spring 130 is coupled is lowered by elastic ac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breakage occurred.

즉, 통상적으로 엔드캡은 스프링 및 와이퍼 스트립 또는 스프링, 와이퍼 스트립 및 스포일러를 고정결합하기 위해 구성되는데, 상기와 같이 엔드캡(170)에 형성된 끼움턱(171)이 파손될 경우 결합력이 저하되어 와이퍼 작동시 원심력에 의해 엔드캡(170)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엔드캡(170)의 목적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end cap is typically configured to fix the spring and the wiper strip or the spring, the wiper strip and the spoiler, if the fitting jaw 171 formed in the end cap 170 is broken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force is lowered to operate the wiper When the end cap 170 is separated by a centrifugal force at the time, the problem that the purpose of the end cap 170 is lost.

특히, 두개가 한조로 이루어진 스프링(130)의 경우 브라켓(도면에 미도시)을 통해 중앙부분의 수평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긴 하지만 스프링(130)의 끝단 부분은 엔드캡을 통해 스프링(130) 및 와이퍼 스트립(도면에 미도시)이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스프링(130)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wo-piece spring 130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horizontal force of the central portion through the bracket (not shown in the figure), but the end portion of the spring 130 is the spring 130 and the end cap through the end cap It is generally configured to maintain the spacing of the spring 130 while preventing the wiper strip (not shown in the figure) from coming off.

하지만, 상기와 같이 엔드캡(170)의 분리가 이루어졌을 경우 스프링(130) 및 와이퍼 스트립의 결합력이 전혀 형성되지 않아 상술한 바와 같은 엔드캡(170)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되어, 도 3에서와 같이 엔드캡(170)이 스프링(130)의 수평력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However, when the end cap 170 is separated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force of the spring 130 and the wiper strip is not formed at all, so that the purpose of the end cap 170 as described above cannot be achieved. As in the end cap 170 is unable to play a role of holding the horizontal force of the spring (130).

따라서, 와이퍼 스트립(도면에 미도시) 끝단 부분에서는 스프링(130)을 통한 결합력 저하로 인해 와이퍼 스트립이 와이퍼가 작동할 때마다 눕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와이퍼의 떨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지적되어 왔다.Therefore, the wiper strips have been pointed out at the end of the wiper strips (not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wiper strips lie down each time the wiper is operated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coupling force through the spring 130. .

또한, 도 2에서 도시한 종래의 엔드캡(240)(공개특허 10-2011-0031788호)도 상술한 도 1에서와 마찬가지의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nd cap 240 shown in Fig. 2 (Patent No. 10-2011-0031788) also has the same problem as in Fig. 1 described above.

즉, 스프링(220)과 엔드캡(240)의 결합시 스프링(220) 중 제2 고정홈(222)이 형성된 끝단이 제1 고정돌기(243)을 밀어서 탄성력에 의해 하측으로 내려감으로써 스프링(220)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데, 이때에, 상기 스프링(220)의 끝단에 의해 탄성력이 작용하는 제1 고정돌기(243)가 파손되는 경우가 많았다.That is, when the spring 220 and the end cap 24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pring 220, the end of the second fixing groove 222 is formed by pushing the first fixing projection 243 is lowered by the elastic force to the spring 220 ), But the first fixing protrusion 243 in which the elastic force acts by the end of the spring 220 is often broken.

이는, 상기 스프링(220)의 삽입시 슬라이드 결합부(241)를 통해 스프링(220)을 이동하는 구조를 채택하였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스프링(220)의 끝단이 제1 고정돌기(243)를 파손시킬 수 밖에 없는 구조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spring 220 is adopted to move the spring 220 through the slide coupling portion 241 when the insertion of the spring 220 is inevitably damaged the end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243 This is because it is made of a structure.

특히, 상기 스프링(220)과 엔드캡(240)의 결합시 고정력이 발생하는 부분은 슬라이드 결합부(241) 및 제2 고정돌기(242)에서만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제2 고정돌기(242)는 스프링(220)의 고정력 보다는 위치를 선정하여 자리를 잡아주는 역할만 수행할 뿐 고정력의 발생이 전혀 없기 때문에 실제로는 슬라이드 결합부(241)에서만 고정력이 발생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portion in which the fixing force is generated when the spring 220 and the end cap 240 are coupled is made only in the slide coupling portion 241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242,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242 Rather than the fixing force of the spring 220, the position is selected only to hold the position, since only the occurrence of the fixing force does not occur at all, the fixing force is actually generated only in the slide coupling portion 241.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엔드캡(240)의 제1 고정돌기(243)의 파손이 발생하게 되면, 슬라이드 결합부(241)가 각각의 스프링(220) 외측면만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스프링(220)이 좌, 우측으로 뒤틀려지게 되어 도 3에서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와이퍼 스트립(210)이 와이퍼가 작동할 때마다 눕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와이퍼의 떨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irst fixing protrusion 243 of the end cap 240 is damaged as described above, the slide coupling portion 241 serves to fix only the outer surface of each spring 220, the spring As the 220 is distorted left and right, the same phenomenon as in FIG. 3 occurs, so that the wiper strip 210 is lying down every time the wiper is operated,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shaking of the wiper. do.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제1 고정돌기(243)의 파손이 발생하게 되면 와이퍼(도면에 미도시)의 작동시 엔드캡(240)을 고정할 수 있을만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는 문제점도 지적되어 왔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fixing protrusion 243 is damaged as described above, a means for fixing the end cap 240 during the operation of the wiper (not shown) is not provided and is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Problems have also been pointed ou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은 스프링 전, 후, 좌, 우측 및 상측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는 하부캡과, 스프링 상측의 움직임을 방지하면서 하부캡과 결합하기 위한 상부캡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캡은, 상측 및 전, 후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하되, 양 측면과 바닥으로 스프링이 안착할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하고, 바닥에 형성된 안착면에는 스프링의 결합홈이 결합할 수 있는 결합턱을 형성하며, 스프링 끝단을 고정하기 위해 상측 개방된 일부에 형성되는 제1 뒤틀림 방지턱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캡은, 상기 하부캡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측 및 후측은 개방된 상태로 형성하되, 상측은 상부 결합면을 형성하고, 하단부의 양 측면에는 하부캡의 하측면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결합면에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스프링의 뒤틀림 방지 및 전, 후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 뒤틀림 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nd cap of the vehicle wip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lower cap that can prevent the movement of the left, right, and upper side before and after the spring, to combine with the lower cap while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upper side of the spring Consists of the upper cap, the lower cap, the upper and front, the rear side is formed in an open state, to form a seating surface that can be seated on both sides and the bottom of the spring, the mounting surfac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pring The coupling groove forms a coupling jaw that can be coupled, and is composed of a first twist prevention jaw formed in a part of the upper open to fix the spring end, the upper cap, the lower and rear to be coupled to the lower cap Side is formed in an open state, the upper side forms an upper coupling surface,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is formed with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cap, The second engagement surface protrudes downward to prevent twisting of the spring and a second twist preventing jaw for limiting movement to the front and rear side is formed.

본 발명에서 하부캡 바닥에 형성된 안착면에는 스프링의 끝단이 결합되는 위치에 이물질 배출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surfac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ca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eign material discharge groove is further formed at the position where the end of the spring is coupled.

본 발명에서 하부캡에 형성된 결합턱의 크기는 스프링의 결합홈을 결합턱에 결합할 때에 결합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에 형성된 결합홈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coupling jaw formed in the lower cap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spring to prevent breakage of the coupling jaw when the coupling groove of the spring is coupled to the coupling jaw.

본 발명에서 하부캡에 형성된 결합턱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는 쐐기 형상의 쐐기턱이 형성되되, 상기 쐐기턱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jaw formed on the lower cap is formed with a wedge-shaped wedge jaw wider in cross section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wherein the wedge jaw is formed to protrude inwardly.

본 발명에서 하부캡에 형성된 제1 뒤틀림 방지턱의 하부와 바닥에 형성된 안착면 사이에는 스프링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턱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twist prevention jaw formed in the lower cap and the seating surface formed on the botto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is further formed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spring.

본 발명에서 상부캡에 형성된 상부 결합면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coupling surface formed on the upper cap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본 발명에서 상부캡의 결합수단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단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upling means of the upper cap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cutting groove inward to be made in a dual structure.

본 발명은 스프링이 전, 후, 좌, 우측 및 상측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캡과 스프링이 상측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캡이 결합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와이퍼 스트립이 작동하였을 때에 와이퍼 스트립의 견고한 결합 및 수평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와이퍼 스트립의 떨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cap which prevents the spring from moving forward, backward, left, right and up and the upper cap which prevents the spring from moving upward are firmly coupled to the wiper strip when the wiper strip is operated. And by maintaining the horizont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aking phenomenon of the wiper strip.

또한, 하부캡과 스프링의 결합시 안착면과 제1 뒤틀림 방지턱 사이에 삽입한 후 스프링의 결합홈보다 작은 크기의 결합턱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스프링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ower cap and the spring is coupled between the seating surface and the first twist prevention jaw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jaw of a smaller size than the coupling groove of the spring to prevent breakage of the coupling jaw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spring. Can be.

그리고 하부캡에 형성된 간격조절턱을 통해 스프링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와이퍼 스트립의 결합력 향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p between the springs may be maintained through the gap adjusting jaw formed in the lower cap, thereby improving the bonding force of the wiper strip and preventing breakage.

또한, 상부캡의 상부 결합면을 블레이드의 상측 형상 또는 스포일러의 상측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함으로써 스포일러의 유, 무에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upper coupling surface of the upper cap in a variety of forms depending on the upper shape of the blade or the upper shape of the spoiler can be used with or without spoiler.

그리고 상부캡의 제2 뒤틀림 방지턱을 통해 스프링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와이퍼 스트립의 하단부가 차량 유리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와이퍼가 작동하였을 때에 와이퍼 스트립에 의한 스프링이 좌, 우로 움직이는 현상을 방지해 떨림현상을 방지하면서, 하부캡의 제1 뒤틀림 방지턱과의 결합에 의해 와이퍼 작동시 원심력에 의해 상부캡의 파손 및 탈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iper is operated while the lower end of the wiper strip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ehicle glass surface by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spring through the second anti-twisting jaw of the upper cap, the spring caused by the wiper strip is prevented from moving left and right. While prevent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eakage and detachment of the upper cap by the centrifugal force during the wiper operation by coupling with the first twist prevention jaw of the lower cap.

아울러, 상부캡에 형성된 결합수단에 절단홈을 형성해 이중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결합력 증대 및 파손율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In addition, by forming a cutting groove in the coupling means formed in the upper cap to form a double structure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increase the bonding force and reduce the breakage rate.

도 1은 종래의 엔드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엔드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스프링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와이퍼에 본 발명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 하부캡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을 단면하여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nd cap.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ventional end cap.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deformed state of the spring.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wiper.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and lower ca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from another angle;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d cap of the vehicle wi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도 4에서와 같이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암(도면에 미도시)에 연결하는 브라켓(4)과 상기 브라켓(4)에 연결되어 있는 스프링(2) 및 스프링(2) 사이에 결합하여 차량 유리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와이퍼 스트립(3)으로 구성된 와이퍼(1)의 양 끝단에 설치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between the bracket (4) and the spring (2) and the spring (2) connected to the bracket (4) connected to the arm (not shown in the figure) installed in the vehicle as shown in FIG. It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wiper 1 composed of a wiper strip 3 made of a rubber material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특히,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 하부캡(10, 20)이 각각 구성되어 서로 결합함으로써 스프링(2)의 수평력 유지 및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mprove the horizontal force retention and coupling force of the spring (2) by coupling the upper and lower caps 10 and 2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ures 5 to 6, respectively.

우선, 하부캡(10)은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측 및 전, 후측이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First, the lower cap 10 is configur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ide,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are open as shown in FIGS.

또한, 양 측면과 바닥으로는 스프링(2)이 안착되는 안착면(11)이 구성되어 있으며, 바닥에 형성된 안착면(11)에는 스프링(2)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2a)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턱(12)이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both sides and the bottom is composed of a seating surface (11) on which the spring (2) is seated, and the seating surface (11) formed at the bottom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a) formed in the spring (2). Combination jaw 12 can be configured.

여기서, 상기 안착면(11)에는 스프링(2) 사이의 공간에 결합하는 와이퍼 스트립(3)의 립(3a)이 하부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와이퍼 스트립 결합홈(11a)이 내측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Here, the mounting surface 11 has a wiper strip engaging groove (11a) is formed in the inner center so that the lip (3a) of the wiper strip (3) coupled to the space between the spring (2) can protrude downward have.

또한, 상기 결합턱(12)은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전체 크기가 스프링(2)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2a)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여 스프링(2)의 결합 및 결합 후 스프링(2)의 일부 움직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coupling jaw 12 is made of a structure protruding in the upper direction, the overall size is form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coupling groove (2a) formed in the spring (2) after the coupling and coupling of the spring (2) It is good to configure so that some movement of the spring (2) can be made.

특히, 상기 결합턱(12)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은 쐐기 형상의 쐐기턱(12a)이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In particular, the wedge jaw 12a having a wide cross-sectional area is formed in the coupling jaw 12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o protrude inward.

또한, 상기 하부캡(10)의 전방 방향에는 스프링(2)의 끝단을 고정하여 스프링(2)이 좌, 우측으로의 뒤틀림 및 상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뒤틀림 방지턱(13)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lower cap 10 is fixed to the end of the spring (2) is formed a first warp prevention jaw 13 for preventing the spring (2) to move left and right, and to move in the upper direction It is.

따라서, 상기 제1 뒤틀림 방지턱(13)은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면(11) 상단을 연결하여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안착면(11) 중 바닥의 안착면(11)은 전, 후 방향으로 관통된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warp prevention jaw 13 has a structure formed by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seating surfaces 11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and the seating surface 11 at the bottom of the seating surfaces 11 is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t is made of a penetrated structure.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바닥의 안착면(11) 전방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제1 뒤틀림 방지턱(13)이 전방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작게 구성되어 형성되는 이물질 배출홈(14)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eign material discharge groove 14 is formed by forming a length extending toward the seating surface 11 of the bottom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twist prevention jaw 13 extending forward.

또한, 상기 하부캡(10)의 바닥의 안착면(11)과 제1 뒤틀림 방지턱(13) 하부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간격조절턱(11b)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gap adjusting jaw (11b) is formed by connecting the seating surface 11 of the bottom of the lower cap 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twist prevention jaw (13).

상기 간격조절턱(11b)은 바닥의 안착면(11)에 결합하는 각각의 스프링(2)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바닥의 안착면(11)의 내측 중앙에 형성된다.The gap adjustment jaw (11b) is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seating surface 11 of the floor in a configuration for forming a constant gap between each spring (2) coupled to the seating surface 11 of the floor.

한편, 본 발명에서의 상부캡(20)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look at the structure of the upper cap 20 in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우선, 상기 상부캡(20)은 하부캡(10)과 결합하여 하부캡(10) 및 상부캡(20)이 원심력에 의해 이탈되지 않으면서, 스프링(2)의 움직임 방지 및 와이퍼 스트립(3)의 상단 또는 스포일러(도면에 미도시) 상단과 결합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이다.First, the upper cap 20 is combined with the lower cap 10 to prevent the lower cap 10 and the upper cap 20 from being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preventing movement of the spring 2 and the wiper strip 3. Combination with the top or spoiler (not shown in the figure) of the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 fixed force.

따라서, 상부캡(20)은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하측 및 후방 방향으로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측에는 상부 결합면(21)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된다.Therefore, the upper cap 20 has a structure that is open in the lower and rearward direction, as shown in Figures 5 to 6, the upper coupling surface 21 is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즉, 상기 상부 결합면(21)은 와이퍼 스트립(3)의 상단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스포일러를 추가할 경우에는 스포일러의 상단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upper coupling surface 21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top shape of the wiper strip 3, or when adding a spoiler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top shape of the spoiler.

또한, 상기 상부캡(20)의 양 측면 하단에는 하부캡(10)과의 결합시 고정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결합수단(22)이 구성된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ap 20 is configured with a coupling means 22 that can generate a fixing force when engaging with the lower cap 10.

상기 결합수단(22)은 도면에서와 같이 쐐기형상으로 구성되어 하부캡(10)의 하측면에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e coupling means 22 is formed in a wedge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is made of a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cap (10).

특히, 상기 결합수단(22)의 중앙에는 절단홈(22a)이 구성되어 결합수단(22)이 이중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particular, the center of the coupling means 22 is a cutting groove 22a is configured so that the coupling means 22 can be made in a double structure.

또한, 상기 상부캡(20)의 상부 결합면(21) 내측에는 제2 뒤틀림 방지턱(23)이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second twist prevention jaw 23 is configured inside the upper coupling surface 21 of the upper cap 20.

상기 제2 뒤틀림 방지턱(23)은 하부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어, 하부캡(10)의 안착면(11)에 안착되는 스프링(2)의 상단부와 맞닿아 스프링(2)이 좌, 우측으로 뒤틀려서 수평력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second twist prevention jaw 23 is configured to protrude downward, abuts the upper end of the spring (2)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11 of the lower cap 10, the spring 2 is left and right It is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the phenomenon that the horizontal force is lowered by warping.

이러한, 제2 비틀림 방지턱(23)은 상부캡(20)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면(UF)에서 일정한 거리를 형성하여 형성된다.The second torsion preventing jaw 23 is formed by form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surface (UF) formed in front of the upper cap 20.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부캡(10)과의 결합시 하부캡(1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뒤틀림 방지턱(13)이 전, 후방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약간 더 간격을 두고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warp prevention jaw 13 formed in the lower cap 10 at the time of engagement with the lower cap 10 is configured so as to be formed at a slightly more interval than the length extending in the front, rear direction good.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effect of the end cap of the vehicle wip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우선, 본 발명은 상, 하부캡(10, 20)의 결합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스프링(2)의 수평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structure that combines the upper and lower caps 10 and 20 to improve the horizontal force and the fixing force of the spring 2 without causing breakage of each component.

즉, 와이퍼(1)의 메카니즘을 살펴보면 브라켓(4)을 중심으로 차량 유리면에 와이퍼 스트립(3)이 완전히 밀착하여 이물질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한 곡률을 형성한 각각의 스프링(2) 사이의 이격공간에 와이퍼 스트립(3)을 고정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That is, looking at the mechanism of the wiper 1, the space between the springs (2) having a constant curvature so that the wiper strip (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ehicle glass surface around the bracket (4) to completely remove the foreign matter This is achieved by fixing the wiper strip 3 to the space.

따라서, 상기 각각의 스프링(2)은 항상 수평력을 유지하여 와이퍼 스트립(3)을 고정시킬 수 있어야만 하고, 특히, 각각의 스프링(2) 사이의 이격공간은 일정하게 유지하여야만 와이퍼 스트립(3)을 원활하게 고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respective springs 2 must always be able to fix the wiper strip 3 by maintaining a horizontal force, and in particular, the space between the respective springs 2 must be kept constant to maintain the wiper strip 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xing and breakage smoothly.

만약, 상기 스프링(2)과 본 발명의 엔드캡(50)의 고정력이 약해지게 되면 엔드캡(50)이 와이퍼(1) 작동시 원심력에 의해 스프링(2)으로부터 분리되어 재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또한, 수평력을 유지할 수 없게 되면 와이퍼 스트립(3)이 와이퍼(1) 작동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서 차량 유리면과의 접지면이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게 되어 떨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If the fixing force of the spring 2 and the end cap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eakened, the end cap 50 is separated from the spring 2 by the centrifugal force when the wiper 1 is operated, and thus loses its function. In addition, when the horizontal force cannot be maintained, the wiper strip 3 is inclined when the wiper 1 is operated, and the ground plane with the vehicle glass surface is not evenly distributed, resulting in a shaking phenomenon.

특히, 각각의 스프링(2) 사이 이격간격이 달라지게 되면, 예컨대, 이격간격이 넓어지게 되면 와이퍼 스트립(3)이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와이퍼(1) 작동시 양 끝단 부분에서 떨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격간격이 좁아지게 되면 고무재질의 와이퍼 스트립(3)을 가압하게 되어 결합부위의 파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when the spacing interval between each spring 2 is changed, for example, when the spacing is widened, the phenomenon that the wiper strip (3) is separated and the vibration phenomenon at both ends when the wiper (1) operation When the spacing is narrowed, the wiper strip (3) of the rubber material is pressed and breakage of the coupling part occurs.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하부캡(10)을 통해 스프링(2)과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스프링(2)의 일부 움직임을 방지하고, 상부캡(20)을 통해 스프링(2)의 움직임 방지와 더불어 하부캡(10)과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본 발명의 엔드캡(50)이 스프링(2)과 결합 후 와이퍼(1) 작동시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fixing force with the spring (2) through the lower cap 10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some movement of the spring (2), prevent the movement of the spring (2) through the upper cap (20) In addition, the end cap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the centrifugal forc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wiper 1 after coupling with the spring 2 by improving the coupling force with the lower cap 10.

본 발명의 엔드캡(50)과 스프링(2)의 결합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coupling process of the end cap 50 and the spring (2)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결합과정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과 직접관련이 있는 결합과정만 설명하고 일반적인 결합과정은 생략하도록 한다.In describing the bond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bonding process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a general bonding process will be omitted.

우선, 한쌍의 스프링(2)을 하부캡(10)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면(11)에 안착시키되, 스프링(2) 끝단을 바닥에 형성된 안착면(11)과 제1 뒤틀림 방지턱(13) 사이의 공간에 삽입함과 동시에 스프링(2)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2a)을 하부캡(10) 바닥의 안착면(11)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턱(12)에 삽입한다.First, the pair of springs 2 are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11 formed on the lower cap 10, but the end of the spring 2 is disposed between the seating surface 11 and the first warp prevention jaw 13 formed at the bottom. At the same time, the coupling groove 2a formed in the spring 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jaw 12 formed in the seating surface 11 of the bottom of the lower cap 10.

여기서, 상기 스프링(2)의 결합홈(2a)의 크기는 하부캡(10)의 결합턱(12)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2)과의 결합시 결합턱(12)의 파손이 방지되면서 삽입이 이루어지게 된다.Here, since the size of the coupling groove 2a of the spring 2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coupling jaw 12 of the lower cap 10, the coupling jaw 12 is coupled with the spring 2. Insertion is made while preventing damage.

이렇게, 하부캡(10)에 결합된 스프링(2)은 스프링(2)에 형성된 결합홈(2a)이 하부캡(10)의 결합턱(1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전, 후, 좌, 우측으로 스프링(2)이 움직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한편, 하부캡(10)의 바닥부분 안착면(11)과 제1 뒤틀림 방지턱(13) 사이의 공간에 스프링(2) 끝단이 결합되어 상부방향으로의 움직임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As such, the spring 2 coupled to the lower cap 10 is before and after, because the coupling groove 2a formed in the spring 2 maintains the coupling jaw 12 of the lower cap 10. The spring 2 is prevented from moving left and right, and the end of the spring 2 is coupled to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seating surface 11 of the lower cap 10 and the first warp prevention jaw 13 so that the top is It also acts to prevent movement in the direction.

특히, 상기 하부캡(1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턱(12)에는 쐐기 형상의 쐐기턱(12a)이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In particular, the wedge jaw (12a) of the wedge shape is formed in the engaging jaw 12 formed in the lower cap 10 is protruded in the inward direction.

따라서, 하부캡(10)에 결합하는 스프링(2) 중 외곽쪽 측면이 결합턱(12) 중 쐐기턱(12a)이 형성되지 않은 타측면과 맞닿아 있어 한쌍의 스프링(2)이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쐐기턱(12a)을 통해 스프링(2)에 형성된 결합홈(2a)의 결합도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Accordingly, the outer side of the spring 2 coupled to the lower cap 10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jaw 12 where the wedge jaw 12a is not formed so that the pair of springs 2 are always at regular intervals. While maintaining the coupled state, as well as the coupling groove (2a) formed in the spring (2) through the wedge jaw (12a) is to act to be made smoothly.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바닥의 안착면(11)과 제1 뒤틀림 걸림턱(13) 사이의 공간에 간격조절턱(11b)이 형성되어 각각의 스프링(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adjustment jaw (11b)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ating surface 11 and the first twisting engaging jaw 13 of the bottom to act to maintain the gap between each spring (2). .

따라서, 하부캡(10)에 결합하는 스프링(2)은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와이퍼 스트립(3)와 결합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와이퍼 스트립(3)과의 결합력 증대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Therefore, the spring 2 coupled to the lower cap 10 is fixed to the wiper strip 3 in a state of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at all times, thereby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with the wiper strip 3 and preventing breakage. Effect occurs.

즉, 하부캡(10)의 결합턱(12), 제1 뒤틀림 방지턱(13), 간격조절턱(11b)을 통해 스프링(2)의 움직임 방지 및 결합력을 향상시켜 스프링(2)과 와이퍼 스트립(3) 간의 결합력 증대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spring 2 and the wiper strip may be improved by preventing movement and coupling force of the spring 2 through the engaging jaw 12, the first twist preventing jaw 13, and the gap adjusting jaw 11b of the lower cap 10. 3) It will act to prevent the increase of bonding strength and damage between.

한편, 상기와 같이 하부캡(10)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부캡(20)을 하부캡(10)에 고정 결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upling of the lower cap 10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cap 20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cap 10.

즉, 상기 상부캡(20)의 하측 양 단에는 쐐기 형상의 결합수단(22)이 구성되어 하부캡(10)의 하측면에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at is, the lower ends of the upper cap 20 is formed with a wedge-shaped coupling means 22 is configured to couple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cap 10.

특히, 상기 결합수단(22)은 내측의 절단홈(22a)을 통해 이중구조로 구성된다.In particular, the coupling means 22 is configured in a dual structure through the inner cutting groove (22a).

따라서, 이중구조의 결합수단(22)은 너비가 줄어든 만큼 하부캡(10)과의 결합시 탄성력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질 때에 파손이 방지됨은 물론 이중구조로 락(Lock) 기능을 수행하여 결합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coupling means 22 of the dual structure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when the coupling is made by the elastic force at the time of coupling with the lower cap 10 as the width is reduced, as well as performs a lock (Lock) function in a dual structure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You can get the effect.

한편, 상기 상부캡(20)의 내부에는 상부 결합면(21)에 제2 뒤틀림 방지턱(23)이 구성되어 하부캡(10)과의 결합 후 하부캡(10)에 결합된 스프링(2) 상단부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작용하게 되어, 이중으로 스프링(2)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upper cap 20 has a second twist prevention jaw (23) is configured on the upper coupling surface 21, the upper end of the spring (2) coupled to the lower cap 10 after coupling with the lower cap 10 It is to act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double acts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spring (2).

따라서, 하부캡(10)에 결합된 스프링(2)은 와이퍼 스트립(3)이 와이퍼(1) 작동시 일부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와이퍼 스트립(3)을 고정하고 있는 각각의 스프링(2)이 도 2에서와 같이 수평력을 잃지 않으면서 와이퍼 스트립(3)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spring 2 coupled to the lower cap 10 may have a respective spring 2 holding the wiper strip 3 even if the wiper strip 3 is partially inclined when the wiper 1 operates. As shown in FIG. 2, the wiper strip 3 can be fixed without losing the horizontal force.

또한, 상기 상부캡(2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뒤틀림 방지턱(23)은 스프링(2)의 움직임을 방지함과 동시에 와이퍼(1) 작동시 상부캡(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warp prevention jaw 23 formed in the upper cap 20 prevents the movement of the spring 2 and at the same time performs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detachment of the upper cap 20 when the wiper 1 is operated. Done.

즉, 상기 하부캡(10)의 제1 뒤틀림 방지턱(13)은 상부캡(20)의 전방면(UF) 및 제2 뒤틀림 방지턱(23) 사이에 결합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That is, the first twist prevention jaw 13 of the lower cap 10 is disposed at a position that can be coupled between the front surface UF and the second twist prevention jaw 23 of the upper cap 20.

따라서, 스프링(2)의 결합홈(2a)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하부캡(10)의 결합턱(12)에 의해 하부캡(10)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하부캡(10)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캡(20)이 하부캡(10)에서 고정력이 발생하게 되어, 하부캡(10)과 상부캡(20)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의해 와이퍼(1)의 작동시 원심력이 발생하였을 때에 하부캡(10)과 상부캡(20)이 원심력방향으로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게 작용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lower cap 1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the coupling jaw 12 of the lower cap 10 which maintains the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a of the spring 2, and the lower cap 10 Fixing force is generated in the upper cap 20 coupled to the lower cap 10, the centrifugal forc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wiper 1 by the organic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 cap 10 and the upper cap 20 When this occurs, the lower cap 10 and the upper cap 20 is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separation in the centrifugal force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캡(20)에 형성된 상부 결합면(21)을 사출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oupling surface 21 formed on the upper cap 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during injection.

따라서, 와이퍼 스트립(3)의 상단 형상 또는 스포일러(도면에 미도시)를 추가하였을 경우에는 스포일러 상단 형상과 동일하게 사출하여 스포일러의 적용도 매우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top shape or spoiler (not shown) of the wiper strip 3 is added, the spoiler can be ejec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top shape of the spoiler, so that the application of the spoiler can be made very easily.

한편, 상기 하부캡(10)과 스프링(2)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오랫동안 머무르게 되면 스프링(2)의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foreign matter flows in between the lower cap 10 and the spring 2 and stays for a long time, the operation of the spring 2 may not be made smoothly.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하부캡(10)에 이물질 배출홈(14)을 형성하고 있다.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eign substance discharge groove 14 is formed in the lower cap 10.

상기 이물질 배출홈(14)은 와이퍼(1) 사용시 하부캡(10)의 안착면(11)과 스프링(2)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었을 때에 와이퍼(1) 작동과 더불어 이물질 배출홈(14)을 통해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The foreign substance discharge groove 14 is provided with a foreign substance discharge groove 14 together with the wiper 1 when foreign matter is introduced between the seating surface 11 and the spring 2 of the lower cap 10 when the wiper 1 is used. It acts to release foreign substances.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는 자명한 사항이다.
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dified and modif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ordinary technicians working in the field.

1 : 와이퍼
2 : 스프링 2a : 결합홈
3 : 와이퍼 스트립
4 : 브라켓
10 : 하부캡
11 : 안착면 11a : 블레이드 결합홈 11b : 간격조절턱 12 : 결합턱
12a : 쐐기턱 13 : 제1 뒤틀림 방지턱 14 : 이물질 배출홈
20 : 상부캡
21 : 상부 결합면 22 : 결합수단 22a : 절단홈 23 : 제2 뒤틀림 방지턱
UF : 전방면
50 :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1: wiper
2: spring 2a: coupling groove
3: wiper strip
4: Bracket
10: lower cap
11: seating surface 11a: blade coupling groove 11b: gap adjustment jaw 12: coupling jaw
12a: wedge jaw 13: the first twist prevention jaw 14: foreign matter discharge groove
20: upper cap
21: upper engaging surface 22: coupling means 22a: cutting groove 23: second warping prevention jaw
UF: front side
50: End cap of car wiper

Claims (7)

스프링(2) 전, 후, 좌, 우측 및 상측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는 하부캡(10)과, 스프링(2) 상측의 움직임을 방지하면서 하부캡과 결합하기 위한 상부캡(20)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캡(10)은,
상측 및 전, 후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하되, 양 측면과 바닥으로 스프링(2)이 안착할 수 있는 안착면(11)을 형성하고, 바닥에 형성된 안착면(11)에는 스프링(2)의 결합홈(2a)이 결합할 수 있는 결합턱(12)을 형성하며, 스프링(2) 끝단을 고정하기 위해 상측 개방된 일부에 형성되는 제1 뒤틀림 방지턱(13)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캡(20)은,
상기 하부캡(1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측 및 후측은 개방된 상태로 형성하되, 상측은 상부 결합면(21)을 형성하고, 하단부의 양 측면에는 하부캡(10)의 하측면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결합면(21)에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스프링(2)의 뒤틀림 방지 및 전, 후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 뒤틀림 방지턱(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It consists of a lower cap 10 that can prevent the movement of the left, right and upper sides before and after the spring 2, and an upper cap 20 for engaging with the lower cap while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upper side of the spring (2). ,
The lower cap 10,
The upper side,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are formed in an open state, and both sides and the bottom form a seating surface 11 on which the spring 2 can be seated, and the seating surface 11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pring 2 The coupling groove 2a forms a coupling jaw 12 to which the coupling can be coupled, and includes a first warp prevention jaw 13 formed at a part of the upper side open to fix the end of the spring 2,
The upper cap 20,
The lower side and the rear side are formed in an open state so as to be coupled to the lower cap 10, and the upper side forms the upper coupling surface 21, and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ar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cap 10. Coupling means 22 is formed, and the upper coupling surface 21 is protruded downward to prevent the twisting of the spring (2) and the second twist prevention jaw (23) for limiting movement to the front and rear End cap of a vehicle wiper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10) 바닥에 형성된 안착면(11)에는 스프링(2)의 끝단이 결합되는 위치에 이물질 배출홈(14)이 더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The end of the vehicle wip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oreign substance discharge groove 14 is further formed at a seating surface 11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cap 10 at a position at which the end of the spring 2 is coupled. ca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10)에 형성된 결합턱(12)의 크기는 스프링(2)의 결합홈(2a)을 결합턱(12)에 결합할 때에 결합턱(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2)에 형성된 결합홈(2a)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ze of the coupling jaw 12 formed in the lower cap 10 is the coupling jaw 12 when the coupling groove (2a) of the spring (2) to the coupling jaw 12 to breakage of the coupling jaw (12) End cap of the vehicle wip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coupling groove (2a) formed in the spring (2) to prev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10)에 형성된 결합턱(12)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는 쐐기 형상의 쐐기턱(12a)이 형성되되, 상기 쐐기턱(12a)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jaw 12 formed in the lower cap 10 is formed with a wedge-shaped wedge jaw (12a) is wider in cross section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wedge jaw (12a) is in the inner direction End cap of the vehicle wip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protru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10)에 형성된 제1 뒤틀림 방지턱(13)의 하부와 바닥에 형성된 안착면(11) 사이에는 스프링(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턱(11b)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According to claim 1,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twist prevention jaw 13 formed in the lower cap 10 and the seating surface 11 formed on the bottom interval adjustment jaw (11b) that can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spring (2) End cap of the vehicle wiper, characterized in that is further forme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20)의 결합수단(22)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단홈(22a)을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The end cap of the vehicle wip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means (22) of the upper cap (20) forms a cutting groove (22a) inwardly so as to have a double structure.
KR1020120035820A 2012-04-06 2012-04-06 Endcap of wiper KR1011664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820A KR101166494B1 (en) 2012-04-06 2012-04-06 Endcap of wiper
PCT/KR2012/009352 WO2013151222A1 (en) 2012-04-06 2012-11-08 Vehicle wiper end c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820A KR101166494B1 (en) 2012-04-06 2012-04-06 Endcap of wip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494B1 true KR101166494B1 (en) 2012-07-20

Family

ID=46717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820A KR101166494B1 (en) 2012-04-06 2012-04-06 Endcap of wip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66494B1 (en)
WO (1) WO2013151222A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283B1 (en) 2012-10-25 2012-12-13 동양기전 주식회사 A flat blade type wiper apparatus enhancing end cap structure
US20150166015A1 (en) * 2013-12-16 2015-06-18 Trico Products Corporation End cap for wiper assembly
CN104802762A (en) * 2015-05-24 2015-07-29 济南超舜中药科技有限公司 Disassembling method of vehicle wiper adhesive tape
US20150274129A1 (en) * 2014-04-01 2015-10-01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assembly having spline lock coupler
KR101969705B1 (en) 2017-11-27 2019-04-17 한국와이퍼(주) Wiper to prevent deformation of end stopper
KR102042416B1 (en) * 2018-06-29 2019-11-11 주식회사 킴블레이드 Endclip for Wiper blade
US11801807B1 (en) * 2022-10-18 2023-10-31 Danyang Upc Auto Parts Co., Ltd. End cap assembly structure of windshield wip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61993A1 (en) 2005-09-19 2007-03-22 Alberee Products, Inc. Windshield wiper assembly having a body made of spring steel
KR100705663B1 (en) 2006-02-28 2007-04-09 주식회사 캄코 Wiper blade
EP2106979A1 (en) 2008-04-04 2009-10-07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comprising an elastic, elongated carrier element, as well as an elongated wiper blade of a flexible material, which can be placed in abutment with the windscreen to be wiped
JP2009280201A (en) 2008-05-21 2009-12-03 Robert Bosch Gmbh Wiper blad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33375B1 (en) * 2009-03-25 2014-02-26 Unipoint Electric MFG. Co., Ltd. Windshield wiper blade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61993A1 (en) 2005-09-19 2007-03-22 Alberee Products, Inc. Windshield wiper assembly having a body made of spring steel
KR100705663B1 (en) 2006-02-28 2007-04-09 주식회사 캄코 Wiper blade
EP2106979A1 (en) 2008-04-04 2009-10-07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comprising an elastic, elongated carrier element, as well as an elongated wiper blade of a flexible material, which can be placed in abutment with the windscreen to be wiped
JP2009280201A (en) 2008-05-21 2009-12-03 Robert Bosch Gmbh Wiper blad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283B1 (en) 2012-10-25 2012-12-13 동양기전 주식회사 A flat blade type wiper apparatus enhancing end cap structure
US9266505B2 (en) 2012-10-25 2016-02-23 Dongyang Mechatronics Corp. Flat-blade type wiper apparatus having improved end cap structure
US20150166015A1 (en) * 2013-12-16 2015-06-18 Trico Products Corporation End cap for wiper assembly
US10391980B2 (en) * 2013-12-16 2019-08-27 Trico Products Corporation End cap for wiper assembly
US20150274129A1 (en) * 2014-04-01 2015-10-01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assembly having spline lock coupler
CN104802762A (en) * 2015-05-24 2015-07-29 济南超舜中药科技有限公司 Disassembling method of vehicle wiper adhesive tape
KR101969705B1 (en) 2017-11-27 2019-04-17 한국와이퍼(주) Wiper to prevent deformation of end stopper
KR102042416B1 (en) * 2018-06-29 2019-11-11 주식회사 킴블레이드 Endclip for Wiper blade
US11801807B1 (en) * 2022-10-18 2023-10-31 Danyang Upc Auto Parts Co., Ltd. End cap assembly structure of windshield wi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51222A1 (en)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494B1 (en) Endcap of wiper
KR101608257B1 (en) Flat wiper blade and combination method
KR101484062B1 (en) Flat wiper blade
KR101189981B1 (en) A windscreen wiper device
US20190351876A1 (en) Windshield wiper blade
CA2906863C (en) Wiper blade
US9266504B2 (en) Wiper blade and end cap
KR101706322B1 (en) Beam blade wiper assembly having self-locking end cap
KR20150027425A (en) Flat wiper blade and combination method
US7832046B2 (en) Coupling apparatus of wiper arm
US20080098559A1 (en) Wiper Blade
US20150217729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20150032355A (en) Flat wiper blade assembly and combination method
JP2007153324A (en) Wiper blade
KR100629161B1 (en) Wiper blades for a car
KR20130073981A (en) Wiper blade device
KR200475851Y1 (en) An endcap of wiper for vehicle
KR100692369B1 (en) Wiper connection device of wiper arm join a form
KR20090001292U (en) Adaptor of wiper blade
KR100918091B1 (en) Clamping device for wiper blade
KR101369629B1 (en) Wiper device for vehicle
KR100599010B1 (en) Wiper blade
EP3560773A1 (en) Wiper system
KR102042416B1 (en) Endclip for Wiper blade
KR100813644B1 (en) Wiper bl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