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226B1 - Digital apparatus on which a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is installed - Google Patents

Digital apparatus on which a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is install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226B1
KR101166226B1 KR1020110004173A KR20110004173A KR101166226B1 KR 101166226 B1 KR101166226 B1 KR 101166226B1 KR 1020110004173 A KR1020110004173 A KR 1020110004173A KR 20110004173 A KR20110004173 A KR 20110004173A KR 101166226 B1 KR101166226 B1 KR 101166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oring tool
digital device
xhtml
scalable application
markup langu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1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윤주
임태범
문재원
김경원
이석필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04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2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2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3Content authoring using a description language, e.g.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 Group [MHE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PURPOSE: A digital device with a scalable application editing program is provided to supply an optimized application to a user in consideration of watching conditions. CONSTITUTION: An object hierarchy management unit(220) manages an object-tree. A source editing unit(230) provides a text based markup language source editing unit. An object attribute editing unit(240) manipulates attributes of each object. A preview rendering unit(250) provides a preview about a written markup language document. An XHTML import unit(260) imports the external XHTML document.

Description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 저작 도구 프로그램이 설치된 디지털 기기{Digital Apparatus on which a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is installed}Digital Apparatus on which a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is installed}

본 발명은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 저작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홈 네트워크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단말장치들에게 각 단말장치에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 저작 도구 프로그램이 설치된 디지털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device provided with a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program capable of providing an application optimized for each terminal device to terminal devices sharing an application on a home network. It is about.

이동통신망을 통한 Mobile IPTV 서비스에 대한 기술적 준비가 시작되고 유무선 IPTV 융합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는 시점에서, 다양한 단말에 동시 적용 가능케 하기 위한 비디오 scalability(SVC)는 표준화가 완료되었고, 구체적인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IPTV 방송 환경에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스케일러빌러티(scalability)에 대한 표준화나 기술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At the time of technical preparation for Mobile IPTV service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preparation of wired / wireless IPTV convergence service, video scalability (SVC) for simultaneous application to various terminals has been standardized, and specific technology development is in progress. have. However, standardization or technology development of scalability of applications in IPTV broadcasting environment is insufficient.

현재 IPTV 서비스에서는 동일한 성능 규격을 가지는 단말기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주어진 단말기 성능 규격에 최적화된 컨텐츠(미디어와 응용프로그램)만을 제공하면 되었다. 그러나 다양한 단말에 동시에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각 단말의 규격에 맞도록 컨텐츠가 제공되어야 한다. Currently, IPTV service only provides the terminal with the same performance specification, so only the contents (media and application) optimized for the given terminal performance specification need to be provided. However, in order to provide services to various terminals at the same time, content must be provided to meet the specifications of each terminal.

그런데, 기존의 XML로 구성된 문서를 일반인들이 저작하기 위해서는 익숙하지 않은 XML 엘리먼트(Element)와 속성(Attribute)을 사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단말기기 성능과 시청환경 요소를 기반으로 다양한 단말기기에 최적화된 스케일러블 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저작도구는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고 있다.However, there is a difficulty to use an XML element and an attribute that are not familiar to the general public to author a document composed of existing XML. In addition, an authoring tool that can create scalable documents optimized for various terminal devices based on terminal device performance and viewing environment factors has not been developed yet.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홈 네트워크 상에서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 간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공유/연동하는 데 있어서, 단말기기 성능과 시청환경 요소를 기반으로 다양한 단말기기에 최적화된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구성요소와 속성값을 추가, 수정, 삭제하고, 시청환경 요소를 선택할 수 있는 스케일러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고려한 컨텐츠를 생성하는 저작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technical backgroun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hare / link multimedia contents among various digital devices on a home network. In order to provide an optimized application program, an authoring tool is provided that allows users to add, modify and delete components and attribute values easily and conveniently, and to create content considering a scalable user interface that allows selection of viewing environment elements. .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 저작도구는, 디지털 기기에 설치되어 상기 디지털 기기 외부의 서버 또는 상기 디지털 기기의 저장장치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다수의 단말장치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저작도구로서, 객체 트리를 관리하는 객체(Object) 계층구조 관리부; 텍스트 기반의 마크업 언어 소스 편집을 제공하는 소스 편집부; 각 객체의 속성을 조작하는 객체 속성(Attribute) 편집부; 작성된 마크업 언어 문서의 프리뷰를 제공하는 프리뷰 랜더링부; 및 외부의 XHTML 문서를 임포트하는 XHTML 임포트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digital device to a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using content provided from a server outside the digital device or a storage device of the digital device. An authoring tool for creating a suitable application, comprising: an object hierarchy manager for managing an object tree; A source editing unit providing text-based markup language source editing; An object attribute editor for manipulating the attributes of each object; A preview rendering unit providing a preview of the created markup language document; And an XHTML importer for importing external XHTML documents.

여기에서, 상기 저작도구는, 객체 트리를 보여주는 트리 뷰; 구성요소 및 속성을 편집하는 객체 속성 제어부; 마크업 언어 소스 편집 화면을 보여주는 소스 뷰; 작성된 마크업 언어 문서의 프리뷰를 보여주는 랜더러; 및 사용가능한 메뉴를 보여주는 메뉴바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uthoring tool may include: a tree view showing an object tree; An object property control unit for editing the component and the property; A source view showing a markup language source edit screen; A renderer showing a preview of the written markup language document; And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menu bar showing the available menus.

상기 디지털 기기는 상기 다수의 단말장치가 포함된 홈 네트워크 상의 홈 서버 또는 홈 게이트웨이이거나, 상기 다수의 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digital device may be a home server or a home gateway on a home network including the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or may b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상기 객체속성 편집부는, 상기 다수의 단말장치 각각의 성능, 해상도, 대역폭, 위치, 상기 위치의 현재시각, 사용자 정보, 보안설정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특성정보를 편집할 수 있으며, 상기 XHTML 임포트부는 로컬 파일 시스템 상의 XHTML 문서 또는 URL로 명시된 리모트 웹 서버에 존재하는 XHTML 문서를 임포트할 수 있다.The object property editing unit may edit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terminal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of performance, resolution, bandwidth, location, current time of the location, user information, and security setting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The XHTML importer may import an XHTML document existing on a remote web server specified by an URL or an XHTML document on a local file system.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상에서 시청 환경(Delivery Context)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성능(Device Capability)을 가지는 단말장치들에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XML 문서 저작도구는 구성 요소(Element)들과 속성(Attribute)값을 사용자가 추가, 수정, 삭제할 수 있는 기본 기능들만을 제공하는 데 비해, 본 발명의 저작도구는 단말장치 성능과 시청환경 요소인 Delivery Context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마크업 언어로 된문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케일러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고려한 컨텐츠를 저작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optimized for terminal devices having different capabilities may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a delivery context on a home network including various terminal devices. In particular, the existing XML document authoring tool provides only basic functions for the user to add, modify, and delete elements and attribute values. By selecting the Delivery Context, a viewing environment element, the user can create a document in a markup language so that content can be created considering the scalable user interf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 저작도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 저작도구의 실행 화면예를 나타낸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calabl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execution screen of the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s intended to enab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readi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noted that " comprises, " or "comprising," as used herein, means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Do not exclude the addition.

이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rst, a scalabl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calabl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서버(20)와 다수의 사용자 그룹(40_1, 40_2,.., 40_N)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scalabl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20 and a plurality of user groups 40_1, 40_2, .., 40_N.

각 사용자 그룹(40_1, 40_2,.., 40_N)은 공통의 단말장치 구성을 갖는 다수의 사용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그룹(40_2) 내의 하나의 사용자인 홈 네트워크는 IPTV 셋톱박스(410)와 HD TV(420), 스마트폰(430), PC(440)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구성을 가질 수 있다.Each user group 40_1, 40_2, .., 40_N includes a plurality of users having a common terminal configuration. For example, a home network that is one user in the second user group 40_2 is an IPTV set-top box. It may have a terminal devic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410, HD TV 420, smart phone 430, PC 440.

각 사용자 그룹(40_1, 40_2,.., 40_N) 내의 사용자인 홈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단말장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일 수 있다. 예컨대 단말장치는 스마트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폰 및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고, 또는 PC, 테블릿 PC 등의 PC용 디바이스일 수 있고, 또는 HD TV와 같은 TV용 디바이스일 수 있다. Terminal devices included in a home network that is a user in each user group 40_1, 40_2, .., 40_N may be various digital devices capable of receiving multimedia content. For example, the terminal device may be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cellular phone, a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phone, a hand-held PC (GPS), a global system for mobile (GSM) phone, a wideband CDMA (WCDMA) phone. , A mobile device such as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phone and a Mobile Broadband System (MBS) phone, or a device for a PC such as a PC, a tablet PC, or a device for a TV such as an HD TV. Can be.

이하에서는 제2 사용자 그룹(40_2)에 포함된 하나의 홈 네트워크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based on one home network included in the second user group 40_2.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수의 단말장치(420, 430, 440)는 IPTV 셋톱박스(410)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20)와 연결되어 있다. 다수의 단말장치(420, 430, 440)는 IPTV 셋톱박스(410)를 통하여 서버(20)로 컨텐츠를 요청하고, 서버(20)는 IPTV 셋톱박스(410)를 통하여 각 단말장치(420, 430, 440)로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각 단말장치(420, 430, 440)는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420, 430, and 440 constituting the home network are connected to the server 20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through the IPTV set-top box 410. A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420, 430, 440) requests content to the server 20 through the IPTV set-top box 410, the server 20 through each of the terminal devices (420, 430) through the IPTV set-top box 410 By providing the content to, 440, each terminal device 420, 430, 440 may share the content.

다만 홈 네트워크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미들웨어인 IPTV 셋톱박스(410) 없이 각 단말장치(420, 430, 440)가 직접 서버(2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라면 각 단말장치(420, 430, 440)는 서버(20)로 컨텐츠를 요청하고, 서버(20)는 제공하고자 하는 컨텐츠(10)를 각 단말장치(420, 430, 440)에 제공한다.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home network is not limited thereto, and each terminal device 420, 430, or 44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erver 20 without the middleware IPTV set-top box 410. In this case, each terminal device 420, 430, 440 requests content from the server 20, and the server 20 provides the content 10 to be provided to each terminal device 420, 430, 440. .

이 때, 서버(20)는 단말장치(420, 430, 440)에 의해 요청된 컨텐츠를 각 단말장치(420, 430, 440)의 성능과 시청환경 요소를 기반으로 다양한 단말기에 최적화된 응용 프로그램으로 제공한다.At this time, the server 20 is an application program optimized for various terminals based on the performance and viewing environment elements of each terminal device 420, 430, 440,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terminal device (420, 430, 440) to provide.

서버(20)가 제공하는 컨텐츠(10)는 다양한 컨텐츠 타입 및/또는 컨텐츠 포맷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컨텐츠 타입은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컨텐츠의 포맷은 XHTML, JAVA, FLAS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의 포맷은 앞서 예시한 XHTML, JAVA, FLASH 이외에도 객체 지향적이고 서술화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일 경우 더 확장 가능하다. 즉, 단말장치들(420, 430, 440) 간 또는 단말장치(420, 430, 440)와 서버(20)간에 약속된 포맷을 갖는 컨텐츠에 대해 요청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들(420, 430, 440)은 단말장치들(420, 430, 440) 간 또는 단말장치(420, 430, 440)와 서버(20) 간에 약속된 포맷들이 속한 그룹 내에서 어느 하나의 포맷을 갖는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The content 10 provided by the server 20 may have various content types and / or content formats. The content type may be any one of audio, video, image, and application, and the format of the content may be XHTML or JAVA.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FLASH.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XHTML, JAVA, and FLASH, the content format can be further extended in an object-oriented and descriptive application. That is, the terminal may request content having a format promised between the terminal devices 420, 430, and 440 or between the terminal devices 420, 430, and 440 and the server 20. That is, the terminal devices 420, 430, and 440 may be any one of the groups belonging to the formats promised between the terminal devices 420, 430, and 440 or between the terminal devices 420, 430, and 440 and the server 20. You can request content with a format.

한편, 단말장치들(420, 430, 440) 각각은 그 종류에 따라 사용자에게 다양한 시청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각 단말장치들(420, 430, 440)에게 컨텐츠를 서비스할 때, 각 단말장치(420, 430, 440)가 재생하기에 적절한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terminal devices (420, 430, 440) provides a variety of viewing environment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type. Therefore, when serving contents to each of the terminal devices 420, 430, and 440, it is preferable that each terminal device 420, 430, and 440 serves content suitable for playback.

이하에서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다양한 단말장치(420, 430, 440)가 컨텐츠를 공유하면서도 각각의 특성에 따라 최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스케일러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고려한 컨텐츠를 생성하는 저작도구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n authoring tool for generating content in consideration of a scalable user interface so that various terminal devices 420, 430, and 440 may share content while playing the content optimally in a home network system.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 저작도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 저작도구의 실행 화면예,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llustrates an execution screen example of the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user interf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 저작도구(200)는 XML 기반의 마크업 언어의 구성요소(Element)들과 속성(Attriibute) 값을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추가, 수정, 삭제하고, 사용자의 시청환경 정보를 선택하여, 각 단말장치에 최적화된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도록 한다.The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easily, conveniently, add, modify, and delete elements and attribute values of an XML-based markup language. The viewing environment information is selected to generate a scalable application optimized for each terminal devic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 저작도구(200)는 다양한 단말장치(420, 430, 440)의 특성정보에 대응하는 컴포넌트들이 통합된 하나의 문서로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할 수 있도록 본 출원인에 의해 새롭게 정의된 SAML(Scalable Application Markup Language)을 이용하여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한다. To this end, the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reate a scalable application as a single document in which components corresponding to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various terminal devices 420, 430, and 440 are integrated. Create a scalable application using Scalable Application Markup Language (SAML) newly defined by the applicant.

여기에서, 다양한 단말장치(420, 430, 440)의 특성정보는 단말장치 각각의 성능, 해상도, 대역폭, 단말장치의 위치, 단말장치가 위치한 지역의 시간, 사용자 정보, 보안설정 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various terminal devices 420, 430, and 440 may include performance, resolution, bandwidth,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ime of the region where the terminal device is located, user information, security setting degree, etc. of each terminal device. Can be.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 저작도구(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210), 객체(Object) 계층구조 관리부(220), 소스 편집부(230), 객체 속성 편집부(240), 프리뷰 랜더링부(250) 및 XHTML 임포트부(2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terface (UI) 210, an object hierarchy manager 220, a source editor 230, and an object. The property editor 240, the preview renderer 250, and the XHTML importer 260 are included.

객체 계층구조 관리부(220)는 Use Case상의 구성요소 트리(ElementTree)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객체 트리를 구성하고, 각 객체별 속성에 대한 조회, 수정을 지원하며, 객체 트리를 검색하고, 객체 트리에 구성요소를 추가, 삭제할 수 있도록 한다. The object hierarchy manager 220 serves as a component tree (ElementTree) on the use case. Therefore, it composes object tree, supports inquiry and modification of property of each object, searches object tree, and adds and deletes components to object tree.

또한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 문서를 파싱하여 객체 트리를 구성할 수 있고, 지정된 객체의 하위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마크업 언어 문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You can also parse a document written in a markup language to construct an object tree, and create a markup language document that contains all the child elements of a specified object.

소스 편집부(230)는 Use Case 상의 소스 에디터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텍스트 기반의 마크업 언어 소스 편집 기능을 가지며, 문자열에 대한 삽입, 삭제, 덧쓰기, 줄바꾸기 기능을 지원한다. The source editor 230 serves as a source editor on the use case. As a result, it has a text-based markup language source editing function, and supports inserting, deleting, overwriting, and wrapping of text.

또한, 소스 편집 적용 버튼을 작동할 때에는 수정된 소스의 구문 분석을 통한 마크업 언어 문법 확인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문법에 이상이 없을 때, 수정 사항을 로드된 마크업 문서에 반영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operating the source edit apply butt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markup language grammar by parsing the modified source, and when the grammar does not have any abnormality, the modifications may be reflected in the loaded markup document.

객체 속성 편집부(240)는 Use case 상의 속성 편집 제어를 수행하며, 지정 된 구성요소의 속성에 대한 조회 및 수정을 지원한다. The object property editing unit 240 performs property editing control on the use case and supports inquiry and modification of the property of a specified component.

또한 기본(Default) 속성과 지정된 속성을 구분할 수 있으며, 마크업 언어 구문에 적합한 속성 값만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default attribute and the specified attribute, and to specify only attribute values suitable for the markup language syntax.

프리뷰 랜더링부(250)는 Use case 상의 마크업 언어 뷰 랜더러로서,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 문서를 랜더링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The preview rendering unit 250 is a markup language view renderer on a use case. The preview rendering unit 250 may render a document written in a markup language and display it to a user.

여기에서는, 단말 프로파일 지정 기능을 지원하며, 지정된 프로파일에 따라 추출(Extraction) 과정을 거쳐 랜더링한다. In this case, the terminal profile designation function is supported and rendered through an extra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specified profile.

XHTML 임포트부(260)는 Use Case상의 임포트(import) 역할을 수행한다. 즉, 로컬 파일 시스템 상의 XHTML 문서에 대한 임포트와 URL로 명시된 리모트 웹 서버에 존재하는 XHTML 문서에 대한 임포트를 지원한다. The XHTML importer 260 serves as an import on the use case. In other words, it supports the import of XHTML documents on the local file system and the import of XHTML documents on the remote web server specified by the URL.

임포트 시에는 프로파일을 지정할 수 있으며, 지정된 프로파일에 따라 Encapsulation하여 임포트한다.You can specify a profile when importing, and import by encapsulating according to the specified profi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 저작도구(200)는 구성요소와 속성값을 사용자가 추가, 수정, 삭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홈 네트워크 상의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다양한 단말장치들의 성능과 시청환경 요소(Delivery Context)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할 수 있게 하며,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The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only add, modify, and delete components and attribute values, but also perform performance and viewing environment elements of various terminal devices sharing an application on a home network. (Delivery Context) allows the user to choose a custom scalable application and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i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 저작도구의 실행 화면예를 나타낸다.3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execution screen of the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는 객체 트리를 보여주는 트리 뷰(310), 구성요소 및 속성을 편집하는 객체 속성 제어부(350), 마크업 언어 소스 편집 화면을 보여주는 소스 뷰(330), 작성된 마크업 언어 문서의 프리뷰를 보여주는 랜더러(340) 및 및 사용가능한 메뉴를 보여주는 메뉴바(320)가 제공되어,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손쉽게 각 단말장치에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저작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user has a tree view 310 showing an object tree, an object property control unit 350 for editing components and properties, a source view 330 showing a markup language source editing screen, and created markup. A renderer 340 showing a preview of the language document and a menu bar 320 showing available menus are provided, so that an application optimized for each terminal device can be easily created through such a user interfac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 저작도구는 댁 내의 홈 서버 또는 홈 게이트웨이에 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각 단말장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서버에서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Such a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and used in a home server or home gateway in a home, or may be installed in each terminal device. It can also be used on the server if necessary.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Claims (6)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 저작도구 프로그램이 설치된 디지털 기기로서,
상기 저작도구 프로그램은,
객체 트리를 관리하는 객체(Object) 계층구조 관리부;
텍스트 기반의 마크업 언어 소스 편집을 제공하는 소스 편집부;
각 객체의 속성을 조작하는 객체 속성(Attribute) 편집부;
작성된 마크업 언어 문서의 프리뷰를 제공하는 프리뷰 랜더링부; 및
외부의 XHTML 문서를 임포트하는 XHTML 임포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기기 외부의 서버 또는 상기 디지털 기기의 저장장치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단말장치에서 동작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 저작도구 프로그램이 설치된 디지털 기기.
A digital device with a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program installed,
The authoring tool program,
An object hierarchy manager managing an object tree;
A source editing unit providing text-based markup language source editing;
An object attribute editor for manipulating the attributes of each object;
A preview rendering unit providing a preview of the created markup language document; And
Contains an XHTML importer that imports external XHTML documents.
By using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server outside the digital device or the storage device of the digital device to generate an application that can be operated on two or more different terminal devices
Digital device with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도구 프로그램은,
객체 트리를 보여주는 트리 뷰; 구성요소 및 속성을 편집하는 객체 속성 제어부; 마크업 언어 소스 편집 화면을 보여주는 소스 뷰; 작성된 마크업 언어 문서의 프리뷰를 보여주는 랜더러; 및 사용가능한 메뉴를 보여주는 메뉴바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 저작도구 프로그램이 설치된 디지털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thoring tool program,
A tree view showing the object tree; An object property control unit for editing the component and the property; A source view showing a markup language source edit screen; A renderer showing a preview of the written markup language document; And a user interface display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menu bar showing available menus.
Digital device with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기기는,
상기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단말장치가 포함된 홈 네트워크 상의 홈 서버 또는 홈 게이트웨이인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 저작도구 프로그램이 설치된 디지털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gital device,
A home server or a home gateway on a home network including two or more different terminal devices.
Digital device with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기기는,
상기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인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 저작도구 프로그램이 설치된 디지털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gital device,
At least one of the two or more different terminal devices
Digital device with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속성 편집부는,
상기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단말장치 각각의 성능, 해상도, 대역폭, 위치, 상기 위치의 현재시각, 사용자 정보, 보안설정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특성정보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 저작도구 프로그램이 설치된 디지털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bject property editing unit,
To edit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performance, resolution, bandwidth, location, current time of the location, user information, security settings of each of the two or more different terminal devices;
Digital device with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HTML 임포트부는
로컬 파일 시스템 상의 XHTML 문서 또는 URL로 명시된 리모트 웹 서버에 존재하는 XHTML 문서를 임포트하는 것인
스케일러블 애플리케이션 저작도구 프로그램이 설치된 디지털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XHTML import unit
Importing an XHTML document on a local file system or an XHTML document that exists on a remote web server specified by a URL
Digital device with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installed.
KR1020110004173A 2011-01-14 2011-01-14 Digital apparatus on which a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is installed KR1011662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173A KR101166226B1 (en) 2011-01-14 2011-01-14 Digital apparatus on which a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is install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173A KR101166226B1 (en) 2011-01-14 2011-01-14 Digital apparatus on which a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is install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226B1 true KR101166226B1 (en) 2012-07-16

Family

ID=46716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173A KR101166226B1 (en) 2011-01-14 2011-01-14 Digital apparatus on which a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is install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22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325A (en) 2013-08-29 2015-03-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ervice apparatus, Us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a Output produced from Web authoring tool
KR20210058321A (en) * 2019-11-14 2021-05-24 주식회사 클비시스템 Producing Apparatus for Editing Conten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325A (en) 2013-08-29 2015-03-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ervice apparatus, Us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a Output produced from Web authoring tool
KR20210058321A (en) * 2019-11-14 2021-05-24 주식회사 클비시스템 Producing Apparatus for Editing Contents
KR102298005B1 (en) 2019-11-14 2021-09-03 주식회사 클비시스템 Producing Apparatus for Editing Cont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86005A1 (en) Method to embedding SVG content into ISO base media file format for progressive downloading and streaming of rich media content
KR101711218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receiving service of plurality of content providers and client
US201201283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shup of multimedia content
CN112383540A (en) Media encapsulation and decapsulation
RU2524394C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presentation of service guides
AU2010294783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mplementary information
JP20155107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directory server presentation
KR101173946B1 (en) Service method and sharing method of application in homenetwork system
KR2011004776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media contents
KR1015252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ich-media service
KR101097372B1 (en) Application service method in homenetwork system and sever
KR2010004054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based structured rich media data
KR101166226B1 (en) Digital apparatus on which a scalable application authoring tool is installed
KR20100084107A (en) A method for offering service guide using rich media in a digital broadcast system and a system thereof
KR101236481B1 (en) Sharing method of contents in homenetwork system
KR1018597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document content using universal plug and play
CN106105249B (en) Method for decoding service guide
KR101158019B1 (en) Service method and sharing method of application in homenetwork system and application service device
KR10180530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media contents
KR20150046948A (en) User Interface Providing System and the Method
Papadimitriou et al. A semantics-aware platform for interactive tv services
CN108702541A (en) Component instruction in release of service
KR100882360B1 (en) Realtime authorizing/providing tool of auxiliary data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33358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document content using universal plug and play
Lemlouma Improving the User Experience by Web Technologies for Complex Multimedia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