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895B1 - A system producing a playing image in runner's views for the baseball game broadcasting and the recording medium thereof - Google Patents

A system producing a playing image in runner's views for the baseball game broadcasting and the recording mediu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895B1
KR101164895B1 KR1020100038163A KR20100038163A KR101164895B1 KR 101164895 B1 KR101164895 B1 KR 101164895B1 KR 1020100038163 A KR1020100038163 A KR 1020100038163A KR 20100038163 A KR20100038163 A KR 20100038163A KR 101164895 B1 KR101164895 B1 KR 101164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image
runner
base
imag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1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18518A (en
Inventor
송지을
Original Assignee
송지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지을 filed Critical 송지을
Priority to KR1020100038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895B1/en
Publication of KR20110118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5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8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Abstract

야구장의 내야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주자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경기 영상을 생성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베이스 지점을 촬영하는 촬영장치로부터 경기 영상을 수신하되, 경기 영상은 2개의 베이스를 잇는 직선 방향으로 촬영되는 경기영상 수신부; 주자의 이동위치를 수신하는 주자위치 수신부; 및 주자의 이동위치에 따라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하는 경기영상 조절부를 포함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에 의하여, 야구 경기장의 상황을 주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영상으로 생성하여 방송함으로써 시청자들이 주자관점에서 보다 생동감 있는 경기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A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 baseball game image of a runner's point of view, which generate a game image viewed from a runner's point of view from an image of an infield of a baseball field, wherein the game medium is received from a photographing device for photographing a base point. However, the game image is a game image receiving unit photographed in a straight direction connecting the two bases; A runner posi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runner's moving position; And a match imag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n image size of the match image according to the moving position of the runner.
By the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of the runner's viewpoint and the recording medium of the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viewer can watch the game video more vividly from the runner's perspective by generating and broadcasting the image of the baseball stadium from the runner's perspective. .

Description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 { A system producing a playing image in runner's views for the baseball game broadcasting and the recording medium thereof }A system producing a playing image in runner's views for the baseball game broadcasting and th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야구장의 내야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주자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경기 영상을 생성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baseball game image of a runner's point of view for generating a game image viewed from a runner's point of view from an image of an infield of a baseball field, and a recording medium of the method.

특히, 본 발명은 주자의 이동위치에 따라 카메라의 줌을 조절하거나 경기 영상 자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경기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and a recording medium of the runner's point of view to adjust the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by adjusting the zoom of the camera or the size of the game image itself according to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runner. .

일반적으로, 스포츠 경기 중계방송이라 함은 운동 경기가 열리는 현장에서 다수의 중계 요원과 중계 장비를 통해 스포츠 경기의 진행 상황을 방송국으로 전송하고, 방송국은 일반 사용자가 보유한 텔레비전, 라디오 등의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해 스포츠 경기 진행 상황을 알려주는 것이다.In general, a sports event broadcast is transmitted to a broadcasting station through a plurality of relay agents and relay equipment at a site where an athletic event is held, and the broadcast station is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such as a television or a radio owned by a general user. Through the sports game progress will be informed.

텔레비전을 통해 스포츠 경기를 중계방송 하는 경우, 스포츠 경기를 중계방송 하는 과정에서 경기장의 크기와 경기 특성으로 인하여 경기장 전체를 여러 대의 카메라를 요소요소에 배치 촬영하여 필요 화면을 방영하고 있다. 따라서 시청자들은 방송사에서 결정한 화면을 선택의 여지 없이 볼 수 밖에 없다.In the case of broadcasting a sports game through a television, in the process of broadcasting a sports game, the entire stadium is photographed by placing several cameras on the element elements due to the size of the stadiu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me. Therefore, viewers have no choice but to view the screen determined by the broadcaster.

특히, 실제의 야구 경기를 중계 방송할 때에는 대부분 공이 있는 장소의 부분만을 촬영하여 그 화면만을 중계해준다. 따라서 이러한 화면만으로는 전체적인 선수들의 위치나 움직임을 파악하기 힘들다.In particular, when broadcasting a real baseball game, only the part of the place where the ball is mostly shot and relays only the scree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entire players by such a screen alon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시청자가 원하는 관람시점을 임의로 선택하여 볼 수 있는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2001-0074508호(2001.08.04.공개), "스포츠 경기의 가상시야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이하 선행기술 1)에 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스포츠 경기장 주변의 중요위치에 위치된 미리 선택된 다수의 카메라로부터 원 2차원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원 2차원 데이터로부터 각 스포츠 선수 등의 신체상태를 이미지 처리하여 선수 위치정보와 비쥬얼 모델을 생성한다. 이를 이용하여, 시청자가 원하는 가상시야(임의의 선택된 시점에서의 영상)를 생성하고 원격의 시청자에게 가상시야 이미지를 전송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선행기술 1은 카메라 위치, 범위, 포커스 및, 줌을 변경하고, 스포츠 경기에 대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보조 시스템 등도 포함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 technology that allows the viewer to arbitrarily select a desired viewing poin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2001-0074508 (August 2001, published), "A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field of a sports game, and Device "]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The prior art 1 receives original two-dimensional video data from a plurality of pre-selected cameras located at important positions around a sports stadium, and processes the body state of each sports athlete and the like from the original two-dimensional data, and displays the player position information and Create a visual model. Using this, a technique for generating a virtual field (image at any selected point in time) desired by a viewer and transmitting a virtual field image to a remote viewer is proposed. On the other hand, the prior art 1 also includes an auxiliary system and the like for changing the camera position, range, focus and zoom, and storing the processed data for the sporting event.

한편, 야구 경기의 중계방송은 대부분 제3자적인 관점에서 촬영된 영상들이 방영된다. 즉, 중계방송들은 경기장 밖 관람객 입장에서 바라본 경기를 영상에 담아 방송한다. 그러나 경기장 밖에서 관람객이 경기를 바라보는 것과 경기장 내에서 선수들이 경기를 바라보는 것은 매우 다르다. 경기장 내에의 선수들의 관점에서 경기를 시청한다면 시청자들은 자신이 마치 선수와 된 것과 같은 가상 현실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시청자들은 훨씬 박진감 있고 실감나게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most broadcasts of baseball games are broadcast video from a third party perspective. In other words, the broadcast broadcasts the game viewed from the audience outside the stadium in the video. But watching the game from the outside of the stadium is very different from watching the game from the inside of the stadium. If you watch the gam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layers in the stadium, viewers will feel as if they are with the player. As a result, viewers can watch the video more realistically and realistically.

선수의 관점에서 경기 영상을 보여주려면 선수의 위치를 알아야 한다. 선수들의 움직임을 경기 영상 이미지로부터 트래킹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2007-0083575호(2007.08.24.공개), "이미지 기반 움직임 트래킹"](이하 선행기술 2) 등에 제시되고 있다.In order to show the game video from the athlete's point of view, the athlete's position must be known. Techniques for tracking the movements of athletes from the game image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7-0083575 (published Aug. 24, 2007), "Image-Based Motion Track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상기 선행기술 1과 2를 응용하여, 선수 관점에서의 경기 영상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은 2차원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3차원 위치 데이터, 각 선수들의 신체 상태 등을 추출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컴퓨터 처리작업이 요구된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방송하기 어렵거나 고가의 컴퓨팅 장비들을 이용해야 하는 문제점들이 있다.By applying the prior art 1 and 2, it will be possible to show a game imag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layer. However, since the prior art 1 has to extract three-dimensional position data, body state of each athlete, and the like from the two-dimensional video data, a lot of computer processing work is required. Therefore, there are problems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ocess and broadcast in real time or use expensive computing equipment.

또한, 선행기술 2는 2차원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가상시야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경기장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원 비디오의 실제 이미지와 다를 수도 있다. 따라서 시청자는 원하는 시점으로 경기를 시청할 수 있더라도, 경기 영상이 마치 스포츠 전자 게임 영상과 비슷한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ior art 2 may be different from the actual image of the original video received from the stadium camera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virtual field image from the two-dimensional video data. Therefore, even if the viewer can watch the game at a desired time point, the game video has a problem similar to that of a sports electronic game video.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야구장의 내야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간단한 처리만으로 주자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경기 영상을 생성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runner's point of view for generating a game image viewed from the runner's point of view with a simple process from the image taken the infield of the baseball field It is to provide a recording medium.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자의 이동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카메라의 줌을 조절하거나 경기 영상 자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경기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ord the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runner perspective to adjust the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zoom of the camera or the size of the game image itself according to the runner's moving position To provide a mediu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야구장의 내야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주자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경기 영상을 생성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지점을 촬영하는 촬영장치로부터 경기 영상을 수신하되, 상기 경기 영상은 2개의 베이스를 잇는 직선 방향으로 촬영되는 경기영상 수신부; 주자의 이동위치를 수신하는 주자위치 수신부; 및 상기 주자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하는 경기영상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device of the runner's point of view to generate a game image viewed from the runner's point of view from the image taken the infield of the baseball field, the game image from the photographing device for shooting the base point Receiving, but the game video is a game video receiving unit photographed in a straight direction connecting the two bases; A runner posi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runner's moving position; And a game imag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n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according to a moving position of the runner.

또, 본 발명은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기영상 조절부는 상기 촬영장치의 줌을 조절하여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of the runner's point of view, wherein the game imag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by adjusting the zoom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to adjust the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또, 본 발명은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기영상 조절부는 다음 [수식 1]에 의해 줌의 비율 Zd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of the runner's point of view, the game imag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adjust the zoom ratio Z 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수식 1][Equation 1]

Figure 112010026473119-pat00001
Figure 112010026473119-pat00001

단, Z1과 Z2는 각각 출발 베이스와 도착 베이스에서의 줌의 비율.Where Z 1 and Z 2 are the ratios of the zoom at the starting base and the arriving base, respectively.

D는 출발 베이스와 도착 베이스의 거리.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departure base and the arrival base.

d는 주자의 이동위치와 도착 베이스 사이의 거리.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runner's moving position and the arrival base.

또, 본 발명은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기영상 조절부는 상기 경기 영상 자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of the runner point of view, wherein the game imag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game image itself to adjust the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또, 본 발명은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기영상 조절부는 다음 [수식 2]에 의해 줌의 비율 Zd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of the runner's point of view, the game imag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adjust the zoom ratio Z 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수식 2][Equation 2]

Figure 112010026473119-pat00002
Figure 112010026473119-pat00002

단, Z1과 Z2는 각각 출발 베이스와 도착 베이스에서의 줌의 비율.Where Z 1 and Z 2 are the ratios of the zoom at the starting base and the arriving base, respectively.

D는 출발 베이스와 도착 베이스의 거리.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departure base and the arrival base.

d는 주자의 이동위치와 도착 베이스 사이의 거리.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runner's moving position and the arrival base.

또, 본 발명은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기영상 조절부는 상기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되는 베이스와 상기 주자의 이동위치의 거리에 반비례하여,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of a runner's point of view, wherein the game image adjusting unit is configured to enlarge an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the moving position of the runner. It is characterized by.

또, 본 발명은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기영상 수신부는 홈베이스에서 1루 베이스, 1루 베이스에서 2루 베이스, 2루 베이스에서 3루 베이스, 및 3루 베이스에서 홈 베이스의 방향으로 촬영되는 경기 영상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of the runner's point of view, the game image receiving unit in the first base base, the first base base second base base, the second base base 3 base base, and the third base base home base Receiving a game video photographed in the direction of the.

또, 본 발명은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기영상 수신부는 홈베이스에서 3루 베이스, 3루 베이스에서 2루 베이스, 2루 베이스에서 1루 베이스의 방향으로 촬영되는 경기 영상을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of the runner's point of view, the game image receiving unit is a game image taken in the direction of the third base base, the second base from the third base, the second base from the first base Further receiving.

또, 본 발명은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크기 조절부는 수신하는 다수의 경기 영상 중에서 주자가 이동하는 방향의 전후 베이스 방향으로 촬영되는 경기 영상을 선택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of the runner point of view, wherein the image size adjusting unit selects and adjusts a game image photographed in the front and rear base direction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runner moves from among a plurality of game images received; do.

또, 본 발명은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기영상 조절부는 주자의 이동위치와 베이스 위치의 거리차이가 사전에 정해진 거리(이하 최소 거리) 이내이면 상기 베이스 지점을 촬영하는 경기 영상을 선택하여 조절하고, 상기 거리차이가 상기 최소 거리 보다 크면 주자의 이동위치의 이동방향의 베이스 지점을 촬영하는 경기 영상을 선택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of the runner's point of view, the game image control unit for shooting the base point if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runner's moving position and the base position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hereinafter the minimum distance) Selecting and adjusting an image, and if the distance difference is greater than the minimum distance, it is characterized by selecting and adjusting the competition image photographing the base point of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runner's moving 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야구장의 내야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주자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경기 영상을 생성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a) 베이스 지점을 촬영하는 촬영장치로부터 경기 영상을 수신하되, 상기 경기 영상은 2개의 베이스를 잇는 직선 방향으로 촬영되는 단계; (b) 주자의 이동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주자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for generating a baseball game image of the runner's point of view to generate a game image viewed from the runner's point of view from the image taken infield of the baseball field, ( a) receiving a game image from a photographing apparatus photographing a base point, wherein the game image is photographed in a straight direction connecting two bases; (b) receiving a runner's moving position; And (c) adjusting the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according to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runner.

또, 본 발명은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촬영장치의 줌을 조절하여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a baseball game image generation method of the runner's point of view, in the step (c), by adjusting the zoom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It characterized in that to adjust.

또, 본 발명은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경기 영상 자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a baseball game image generation method of the runner's point of view, in the step (c),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game image itself image of the game image It is characterized by adjusting the size.

또, 본 발명은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되는 베이스와 상기 주자의 이동위치의 거리에 반비례하여,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a baseball game image generation method of the runner's point of view, in step (c), the base and the moving position of the runner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characterized in that to enlarge the image size of the game video.

또한, 본 발명은 야구장의 내야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주자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경기 영상을 생성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지점을 촬영하여 경기 영상을 송신하되, 2개의 베이스를 잇는 직선 방향으로 촬영되는 다수의 촬영장치; 야구장의 내야를 촬영하는 영상으로부터 선수의 이동위치를 추출하는 위치 추적장치; 및 상기 촬영장치로부터 경기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선수위치 추출장치로부터 주자의 이동위치를 수신하여, 상기 주자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하는 경기영상 생성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baseball game image generation system of a runner's point of view that generates a game image viewed from the runner's point of view from an image of the infield of the baseball field, transmitting a game image by shooting a base point, A plurality of photographing apparatuses photographed in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same; A position tracking device for extracting a player's moving position from an image photographing an infield of a baseball field; And a game image generating device for receiving a game image from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receiving a runner's moving position from the player position extracting device to adjust an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according to the runner's moving position. d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에 의하면, 야구 경기장의 상황을 주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영상으로 생성하여 방송함으로써 시청자들이 주자관점에서 보다 생동감 있는 경기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 baseball game image of the runner's point of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cording medium of the method, viewers can be more lively from the runner's point of view by generating and broadcasting the image of the baseball stadium as viewed from the runner's point of view. The effect of watching a game video is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에 의하면, 주자의 이동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카메라의 줌 또는 경기영상 자체 크기를 조절하여 경기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원 경기 영상을 그대로 이용하여 영상 손실을 줄이고 경제적이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 baseball game image of the runner's point of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cording medium of the method, the original game image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zoom of the camera or the size of the game image itself according to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runner By using it, it is possible to reduce image loss and achieve economical and fast processing.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야구 경기장에 설치된 카메라의 위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줌인되는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주자의 이동위치에 따라 경기 영상의 화면 크기를 점차 확대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원 경기영상에서 일부분을 잘라 이미지를 확대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주자의 이동위치에 따라 경기 영상의 화면 크기를 점차 확대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2 : 촬영장치 20 : 네트워크
30 : 경기영상 생성장치 31 : 경기영상 수신부
32 : 주자위치 수신부 33 : 경기영상 조절부
34 : 카메라 제어모듈 35 : 경기영상 출력모듈
36 : 영상크기 확대모듈
50 : 위치추적장치 60 : 시청자 단말
81 : 베이스 82 : 주자
90 : 원 경기영상 90a,90b,90c : 원 경기영상의 일부분
91a : 확대된 영상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illustrat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installed in the baseball sta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 baseball game image of the runner's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examples of an image captured by a zooming-in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for one example of gradually increasing a screen size of a game image according to a moving position of a run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baseball game image of a runner's perspectiv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examples of enlarging an image by cutting a portion from an original game ima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for one example of gradually increasing a screen size of a game image according to a moving position of a run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baseball game image of a runner's perspect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1,12: Recording device 20: Network
30: game video generating device 31: game video receiving unit
32: runner position receiving unit 33: game video adjusting unit
34: camera control module 35: game video output module
36: Image size expansion module
50: location tracking device 60: viewer terminal
81: base 82: runners
90: original game video 90a, 90b, 90c: part of the original game video
91a: magnified image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is inven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the repeat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an example of the whole system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다수의 촬영장치(11), 경기영상 생성장치(30), 위치추적장치(50), 시청자 단말(60)로 구성된다. 또, 경기영상 생성장치(30)는 방송서버(미도시)를 거쳐 네트워크(20)를 통해 시청자 단말(60)에 경기 중계 영상을 송출한다.As shown in FIG. 1, the entire syste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hotographing apparatuses 11, a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30, a position tracking apparatus 50, and a viewer terminal 60. In addition, the game image generating device 30 transmits the game relay image to the viewer terminal 60 through the network 20 via a broadcast server (not shown).

촬영장치(11)는 야구 경기장에 설치되어 카메라(11a~11g) 등으로서, 경기장을 촬영하여 경기 영상을 생성장치(30)에 송출한다. 촬영장치(11)는 기존 방송용 촬영 장치(12)와 별도로 설치되거나 방송용 촬영장치(12)를 이용할 수 있다. 촬영장치(11)는 여러 대로 구성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 is installed in a baseball stadium, and photographs the stadium as cameras 11a to 11g, and sends a game image to the generating device 30.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 may be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existing broadcasting photographing apparatus 12 or may use the broadcasting photographing apparatus 12.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촬영장치(11)는 야구 경기장(80)의 밖에 설치되되, 야구장 내야의 베이스(81a,81b,81c,81d)를 잇는 직선 상에 설치되어 베이스 지점을 초점으로 촬영한다.As shown in FIG. 2,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 is installed outside the baseball stadium 80, and is installed on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bases 81a, 81b, 81c, and 81d of the baseball field infield to photograph the base point as a focal point. .

제1 카메라(11a)는 홈베이스(81a)에서 1루 베이스(81b)를 잇는 직선 상에 설치되고, 1루 베이스(81b) 지점에 초점을 맞추어 촬영한다. 제2 카메라(11b)는 1루 베이스(81b)에서 2루 베이스(81c)를 잇는 직선 상에 설치되고, 2루 베이스(81c) 지점에 초점을 맞추어 촬영한다. 또, 제3 및 제4 카메라(11c,11d)는 각각 2루 베이스(81c)에서 3루 베이스(81d)와, 3루 베이스(81d)에서 홈베이스(81a)를 잇는 직선 상에 설치되고, 각각 3루 베이스(81d) 지점 및 홈베이스(81a) 지점에 초점을 맞추어 촬영한다.The first camera 11a is installed on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first base 81b from the home base 81a, and focuses on the first base 81b to capture the image. The second camera 11b is provided on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first base 81b to the second base 81c, and focuses on the second base 81c point to take a picture. In addition, the third and fourth cameras 11c and 11d are provided on straight lines connecting the third base 81d to the second base 81c and the groove base 81a to the third base 81d, respectively. Shoots focusing on the third base 81d point and the home base 81a point.

상기 제1 내지 제4 카메라들은 주자의 진로 방향으로 촬영한다. 즉, 상기 카메라들은 주자의 진로방향인 홈베이스에서 1루 베이스, 1루 베이스에서 2루 베이스, 2루 베이스에서 3루 베이스, 및 3루 베이스에서 홈 베이스의 방향으로 촬영한다.The first to fourth cameras photograph the runner's career direction. That is, the cameras shoot in the direction of the runner's career direction from the home base to the first base, the first base to the second base, the second base to the third base, and the third base.

바람직하게는, 그 주자의 역 진로방향으로도 카메라를 설치한다. 즉, 도 2에서, 제5 카메라(11e)는 2루 베이스(81c)에서 1루 베이스(81b)를 잇는 직선 상에 설치되고, 1루 베이스(81b) 지점에 초점을 맞추어 촬영한다. 또, 제6 및 제7 카메라(11f,11g)는 각각 3루 베이스(81d)에서 2루 베이스(81c)와, 홈베이스(81a)에서 3루 베이스(81d)를 잇는 직선 상에 설치되고, 각각 2루 베이스(81c) 지점 및 3루 베이스(81d) 지점에 초점을 맞추어 촬영한다.Preferably, the camera is also installed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runner. That is, in FIG. 2, the 5th camera 11e is installed on the straight line which connects the 1st base 81b to the 2nd base 81c, and focuses on the 1st base 81b point, and is image | photographed. The sixth and seventh cameras 11f and 11g are provided on straight lines connecting the second base 81c to the third base 81d and the third base 81d to the groove base 81a, respectively. The image is focused on the second base 81c point and the third base 81d point.

제5 내지 제7 카메라(11e,11f,11g)는 주자가 다음 베이스로 진출하려다 다시 뒤돌아 가는 경우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들이다. 예를 들면, 주자가 다음 베이스로 진출하였으나 수비수가 타자의 공을 플라이 아웃으로 잡거나 또는 다음 베이스의 수비수가 공을 먼저 잡고 태그 준비를 하고 있는 등의 경우에는 주자는 이전 베이스로 다시 되돌아 와야 한다. 홈베이스(81)로 되돌아 것은 큰 의미가 없으므로, 1루 베이스에서 홈베이스로 촬영하는 카메라는 설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fth to seventh cameras 11e, 11f, and 11g are cameras for photographing a case in which the runner moves back to the next base. For example, if a runner advances to the next base but the defender catches the batter's ball as a fly out, or the next base defender catches the ball first and prepares for the tag, the runner must return to the previous base. Since returning to the home base 81 does not mean much, it is preferable that a camera photographing from the first base to the home base is not installed.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촬영장치(11)는 경기장 밖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향하여 베이스(81)를 촬영하되, 베이스(81) 사이에서 뛰는 주자(82) 보다 위쪽 뒤에서 촬영한다. 이로 인해, 주자(82)가 베이스(81) 근처에 도착하기 전에는, 촬영장치(11)가 주자(82)를 촬영하지 않는다. 주자가 베이스(81) 근처에 도착하면 머리부터 차츰 몸통까지 영상에 잡힐 것이다.
As shown in FIG. 3,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 photographs the base 81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outside of the stadium, but photographs the upper part behind the runner 82 that runs between the bases 81. For this reason, the imaging device 11 does not photograph the runner 82 until the runner 82 arrives near the base 81. When the runner arrives near the base 81, it will be captured from the head to the body gradually.

위치추적장치(50)는 경기장에서 경기를 하는 선수들의 위치를 추적하는 장치이다. 즉,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이동위치를 추출한다. 특히, 위치추적장치(50)는 주자의 이동위치를 추출한다.Position tracking device 50 is a device for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players playing in the stadium. That is, the player movement position on the playing field plane is extracted. In particular, the position tracking device 50 extracts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runner.

주자의 이동위치 추적은 경기장을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경기 영상으로부터 선수의 위치를 추출하는 기술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특허출원 제10-2009-0094492호(2009.6.23.출원)에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출원의 기술을 응용하여 주자의 이동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앞서 배경기술에 기재된 선행기술들에서도 선수의 위치를 추출하는 기술들이 본 발명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running position tracking of the runner can be obtained from the image of the stadium. The technique of extracting the position of the athlete from the game image is described in more detail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094492 filed on Sep. 23, 2009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The application of the patent application can be applied to determine the moving position of the runner. In addition, the techniques for extracting the position of the athlete can also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위치추적장치(50)는 선수의 위치를 표현하는 선수 좌표를 계산하고, 경기장 좌표에 대비하여, 경기장 좌표 상에서의 선수좌표를 실시간으로 계산한다.
The position tracking device 50 calculates the player coordinates representing the position of the player, and calculates the player coordinates on the stadium coordinates in real time in preparation for the stadium coordinates.

경기영상 생성장치(30)는 촬영장치(11)로부터 경기 영상을 전송 받아 주자의 이동위치에 따라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한다. 경기영상 생성장치(30)는 위치추적장치(50)로부터 주자의 좌표를 수신하여 이동위치를 계산한다. 또는 계산된 주자의 이동위치를 바로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주자의 이동위치는 경기장 모형 상의 위치이므로, 주자가 어느 베이스에서 어느 베이스로 뛰고 있는지, 베이스 사이에서의 위치가 어느 곳인지를 알 수 있다.The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30 receives the game image from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 and adjusts and outputs the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according to the moving position of the runner. The game image generating device 30 receives the coordinates of the runner from the position tracking device 50 and calculates a moving position. Alternatively, the calculated movement position of the runner may be immediately received. In particular, since the running position of the runner is a position on the playing field model, it is possible to know from which base to which base the runner runs, and where the positions between the bases are located.

바람직하게는, 생성장치(30)는 주자(82)가 베이스(81)에 가까이 다가갈수록 경기 영상의 화상 크기는 커지도록 조절한다. 즉, 경기 영상이 줌인(zoom-in)된다. 이로 인해, 출력되는 영상은 주자(82)가 보는 시야에 의한 화면으로 보여지게 된다.Preferably, the generating device 30 adjusts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game image as the runner 82 approaches the base 81. That is, the game image is zoomed in. As a result, the output image is seen as a screen by the field of view seen by the runner 82.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은 촬영장치(11)의 줌을 직접 제어하는 방식과 경기 영상 자체의 화상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전자 방식에 따르면, 생성장치(30)는 주자(82)가 베이스(81)에 다가갈수록 카메라 등의 줌을 더 확대하도록 촬영장치(11)를 제어한다.The method of adjusting the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is divided into a method of directly controlling the zoom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 and a method of adjusting the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itself. According to the electronic method, the generator 30 controls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 to further enlarge the zoom of the camera or the like as the runner 82 approaches the base 81.

후자 방식에 따르면, 촬영장치(11)는 초점과 줌을 고정한 채 지속적으로 경기 영상을 촬영하고, 생성장치(30)는 촬영된 경기 영상을 수신하여, 주자(82)가 베이스(81)에 다가갈수록 경기 영상 자체를 확대한다.According to the latter method,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 continuously photographs the game image while fixing the focus and the zoom, and the generating device 30 receives the photographed game image, and the runner 82 approaches the base 81. Increasingly, the game video itself is enlarged.

생성장치(30)에서 출력되는 영상은 방송서버(미도시)에 보내지게 된다. 방송서버는 경기장에 설치된 다른 카메라들의 영상 또는 생성장치(30)에서 출력되는 영상들을 수신하여, 방송 편집자에 의해 그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이 선택되어 방송된다.The image output from the generating device 30 is sent to a broadcast server (not shown). The broadcast server receives images of other cameras installed in the stadium or images output from the generation device 30, and any one of them is selected and broadcasted by the broadcast editor.

즉, 경기영상 생성장치(30)는 생성된 경기 영상을 방송서버로부터 송출되는 중계방송 영상으로 선택되어, 방송망 등 네트워크(20)를 통해 시청자 단말(60)에 제공한다. 이때, 경기영상 생성장치(30)는 방송망 외에도 유/무선 통신망, 예를 들면 인터넷망이나 이동통신망 등을 통하여 생성된 경기 영상을 시청자 단말(60)에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30 selects the generated game image as a relay broadcast image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 server, and provides the game image to the viewer terminal 60 through a network 20 such as a broadcasting network. In this case, the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30 may provide the viewer terminal 60 with the game image generated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n internet network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o the broadcasting network.

한편, 방송서버가 인터넷 상의 웹, 또는 IPTV, 양방향 TV 등의 매체에 방송을 제공하는 경우, 동시에 다수의 경기 영상을 전송하고, 그 중 일부가 시청자에 의해 선택되어 출력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broadcast server provides a broadcast on the web or the medium such as IPTV, interactive TV, etc. on the Internet, a plurality of game images may be simultaneously transmitted, some of which may be selected and output by the viewer.

또, 시청자 단말(60)은 텔레비전 등 방송 수신기, 또는,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고정/이동 단말로서, 방송영상을 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말이다.In addition, the viewer terminal 60 is a stationary / mobile terminal such as a broadcast receiver such as a television or a computer, a laptop, a mobile phone, etc., and is a terminal that receives a broadcast image and displays it on a screen.

이에 따라, 시청자 단말(60)을 통해 경기중계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는 중계방송 영상 중에서 생성장치(30)에서 생성된 경기 영상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시청자는 주자관점에서의 경기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선수 입장에서 느끼는 생동감 있는 경기를 시청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viewer watching the game relay image through the viewer terminal 60 may view the game image generated by the generating device 30 from among the broadcast image. Therefore, viewers can watch the game video from the runner's point of view, and through this, they can watch the lively game felt by the players.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기영상 생성장치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기영상 생성장치(30)는 경기영상 수신부(31), 주자위치 수신부(32), 및 경기영상 조절부(33)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ame image receiving unit 31, a runner position receiving unit 32, and a game image adjusting unit 33.

경기영상 수신부(31)는 베이스(81) 지점을 촬영하는 촬영장치(11)로부터 경기 영상을 수신한다. 앞서 본 바와 같이, 상기 경기 영상은 2개의 베이스를 잇는 직선 방향으로 촬영한 영상이다.The game image receiving unit 31 receives a game image from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 photographing the base 81 point. As described above, the competition video is a video taken in a straight line connecting two bases.

또한, 경기영상 수신부(31)는 홈베이스에서 1루 베이스, 1루 베이스에서 2루 베이스, 2루 베이스에서 3루 베이스, 및 3루 베이스에서 홈 베이스의 방향으로 촬영되는 경기 영상을 수신한다. 앞서 본 바와 같이, 상기 영상들은 제1 내지 제4 카메라(11a~11d)에 의해 촬영된 경기 영상들이다.In addition, the game image receiving unit 31 receives a game image photographed in the direction of the home base from the first base, second base from the first base, second base from the second base, and third base from the first base. As described above, the images are game images photographed by the first to fourth cameras 11a to 11d.

바람직하게는, 경기영상 수신부(31)는 홈베이스에서 3루 베이스, 3루 베이스에서 2루 베이스, 2루 베이스에서 1루 베이스의 방향으로 촬영되는 경기 영상을 더 수신한다. 상기 영상들은 제5 내지 제7 카메라(11e~11g)에 의해 촬영된 경기 영상들이다.Preferably, the game image receiving unit 31 further receives a game image photographed in the direction of the third base, the third base, the second base, the second base, and the first base. The images are game images photographed by the fifth to seventh cameras 11e to 11g.

주자위치 수신부(32)는 주자의 이동위치를 수신한다. 위치추적장치(50)에 의해 선수 중 주자의 이동위치 좌표가 구해지고, 주자위치 수신부(32)는 위치추적장치(50)로부터 주자의 이동위치를 수신한다.The runner position receiving unit 32 receives the runner's moving position. The coordinates of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runner among the athletes are obtained by the position tracking device 50, and the runner position receiving unit 32 receives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runner from the position tracking device 50.

다른 실시예로서, 주자위치 수신부(32)는 주자를 촬영한 경기 영상을 수신하고 직접 주자의 이동위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자위치 수신부(32)는 경기 영상으로부터 선수의 이동위치를 추적하는 모듈(또는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runner position receiving unit 32 may receive a game image photographing the runner and directly obtain the runner's movement position coordinates. In this case, the runner position receiving unit 32 may further include a module (or system) for tracking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athlete from the game image.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기영상 조절부(33)는 주자의 이동위치에 따라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한다. 경기영상 조절부(33)는 촬영장치(11)에 의해 촬영되는 베이스(81)와 상기 주자의 이동위치의 거리에 반비례하여,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확대한다.As shown in Figure 5, the game image adjusting unit 33 adjusts the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according to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runner. The game image adjusting unit 33 enlarges the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81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 and the moving position of the runner.

경기영상 조절부(33)는 촬영장치(11)의 줌을 조절하여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한다. 이때, 경기영상 조절부(33)는 카메라 등 촬영장치(11)를 제어할 수 있는 카메라 제어모듈(34)을 별도로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제어모듈(34)을 제어함으로써 카메라의 줌을 조절한다.The game image controller 33 adjusts the zoom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 to adjust the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At this time, the game image adjusting unit 33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amera control module 34 that can control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 such as a camera, and adjusts the zoom of the camera by controlling the camera control module 34.

예를 들어, 도 5a는 주자(82)가 1루 베이스(81b)에서 2루 베이스(81c)로 막 출발할 때의 초기 영상이고, 도 5b는 주자(82)가 1루 베이스(81b)에서 출발하여 2루 베이스(81c)에 도착할 때의 마지막 영상이다.For example, FIG. 5A is an initial image when the runner 82 has just started from the first base 81b to the second base 81c, and FIG. 5B shows the runner 82 at the first base 81b. This is the last video when the player arrives at the second base 81c.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자가 1루 베이스(81b)에서 출발하여 2루 베이스(81c)로 이동하면, 도 5a의 화면 크기(1루 베이스에서의 경기 영상의 화면 크기)에서 도 5b의 화면크기(2루 베이스에서의 경기 영상의 화면 크기)로 화면을 점점 확대해 간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runner starts from the first base 81b and moves to the second base 81c, the screen of FIG. 5b is changed from the screen size of FIG. 5a (the screen size of the game image at the first base). The screen is gradually enlarged to the size (screen size of the game video at the base of second base).

바람직하게는, 주자의 이동위치에 따른 줌의 비율 Zd은 다음 [수학식 1]에서 보는 바와 같다.Preferably, the zoom ratio Z d according to the moving position of the runner is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112010026473119-pat00003
Figure 112010026473119-pat00003

단, Z1과 Z2는 각각 출발 베이스와 도착 베이스에서의 줌의 비율.Where Z 1 and Z 2 are the ratios of the zoom at the starting base and the arriving base, respectively.

D는 출발 베이스와 도착 베이스의 거리.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departure base and the arrival base.

d는 주자의 이동위치와 도착 베이스 사이의 거리.
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runner's moving position and the arrival base.

한편, 경기영상 조절부(33)는 수신된 경기영상을 그대로 출력한다. 경기영상 조절부(33)는 경기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경기영상 출력모듈(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game image adjusting unit 33 outputs the received game image as it is. The game image controller 33 includes a game image output module 35 for outputting a game image.

또한, 경기영상 조절부(33)는 수신하는 다수의 경기 영상 중에서 주자(82)가 이동하는 방향의 전후 베이스(81) 방향으로 촬영되는 경기 영상을 선택하여 조절한다. 예를 들어, 주자가 홈베이스(81a)에서 1루 베이스(81b)를 뛸 때에는, 경기영상 조절부(33)는 제1 카메라(11a)로부터 수신되는 경기 영상을 선택하고, 제1 카메라(11a)의 줌을 조절한다.In addition, the game image adjusting unit 33 selects and adjusts the game image photographed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base 8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unner 82 moves among the plurality of game images received. For example, when the runner runs the first base 81b on the home base 81a, the game image adjusting unit 33 selects a game image received from the first camera 11a, and the first camera 11a. Adjust the zoom.

마찬가지로, 주자가 홈베이스(81a)에서 1루 베이스(81b)에서 2루 베이스(81c), 2루 베이스(81c)에서 3루 베이스(81d), 및 3루 베이스(81d)에서 홈 베이스(81a)의 방향으로 뛰면, 경기영상 조절부(33)는 각각 제2 내지 제4 카메라(11a)로부터 수신되는 경기 영상을 선택하고, 선택한 카메라의 줌을 조절한다.Similarly, the runner is the second base 81c at the first base 81b at the home base 81a, the third base 81d at the second base 81c, and the first base 81a at the third base 81d. When running in the direction of, the game image controller 33 selects a game image received from the second to fourth cameras 11a, respectively, and adjusts the zoom of the selected camera.

따라서 주자(82)가 3루타를 쳐서 3루 베이스(81d)까지 진출하면, 1루 베이스(81b) 및 2루 베이스(81c)를 지나는 동안, 경기 영상은 제1 내지 제3 카메라(81a,81b,81c)가 촬영된 영상들이 순차적으로 선택되어 줌비율이 확대된다. 경기영상이 바뀌는 순간은 각각 1루 베이스(81b) 및 2루 베이스(81c)를 돌아 나가는 시점이다.Therefore, when the runner 82 hits the third base and advances to the third base 81d, while passing the first base 81b and the second base 81c, the game image is the first to third cameras 81a and 81b. 81c) are sequentially selected to enlarge the zoom ratio. The moment when the game image changes is the time when the first base base 81b and the second base 81c are returned.

한편, 경기영상 조절부(33)는 주자의 이동위치와 베이스 위치의 거리차이가 최소 거리 이내이면 상기 베이스 지점을 촬영하는 경기 영상을 선택하여 조절하고, 상기 거리차이가 최소 거리 보다 크면 주자의 이동위치의 이동방향의 베이스 지점을 촬영하는 경기 영상을 선택하여 조절한다.Meanwhile, if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runner's moving position and the base position is within the minimum distance, the game image adjusting unit 33 selects and adjusts the game image photographing the base point, and moves the runner if the distance difference is greater than the minimum distance. Select and adjust the game image to capture the base point of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osition.

주자(82)들이 베이스(81)에서 머무는 경우, 주자 관점의 경기 영상을 보여줄 필요 없다. 오히려 주자(82)가 머무는 베이스(81)의 영상을 보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주자의 이동위치가 베이스(81)에서 일정한 거리(최소 거리)를 벗어나는 경우, 다음 베이스(81)를 촬영한 경기 영상으로 전환하고, 그 영상의 화면크기를 조절한다.
When the runners 82 stay at the base 81, there is no need to show a game image from the runner's point of view. Rather, it is desirable to send an image of the base 81 where the runners 82 stay. Therefore, when the runner's moving position is out of a predetermined distance (minimum distance) from the base 81, the next base 81 is switched to the captured game image, and the screen size of the image is adjust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기영상 생성장치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제2 실시예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생략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설명에서 생략된 부분은 제1 실시예를 참조한다.Next, a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the following, the same par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Therefore, the parts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refer to the first embodiment.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기영상 생성장치(30)는 경기영상 수신부(31), 주자위치 수신부(32), 및 경기영상 조절부(33)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7, the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ame image receiving unit 31, a runner position receiving unit 32, and a game image adjusting unit 33.

경기영상 수신부(31)는 베이스(81) 지점을 촬영하는 촬영장치(11)로부터 경기 영상을 수신한다. 이때 경기 영상은 2개의 베이스를 잇는 직선 방향으로 촬영한 영상이되, 경기 영상의 초점은 뒤에 위치한 베이스 지점에 맞추어진다. 특히, 경기 영상의 줌 비율(또는 크기)은 고정된다.The game image receiving unit 31 receives a game image from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 photographing the base 81 point. At this time, the game video is a video taken in a straight line connecting two bases, but the focus of the game video is focused on the base point located behind. In particular, the zoom ratio (or size) of the competition video is fixed.

그리고 경기영상 조절부(33)는 상기 경기 영상 자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한다. 경기 영상의 크기를 확대하기 위한 영상크기 확대모듈(36)을 별도로 구비하고, 상기 영상크기 확대모듈(36)을 제어함으로써 화면 크기를 조절한다.And the game image controller 33 adjusts the size of the game image itself to adjust the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An image size enlargement module 36 is provided separately to enlarge the size of the game image, and the screen size is adjusted by controlling the image size enlargement module 36.

예를 들어, 경기영상 수신부(31)는 도 8의 위에 도시된 경기 영상(90)과 같이, 항상 고정된 크기의 영상을 수신한다. 이 경기 영상(90)에서 영상 초점을 중심으로 일부분(90a)을 자르고, 잘려진 경기 영상의 일부분(90a)을 경기영상의 원래 크기로 확대하여 확대된 영상(91a)을 얻는다.For example, the game image receiver 31 always receives an image of a fixed size, such as the game image 90 shown in FIG. 8. The portion 90a is cut out of the race image 90 around the image focus, and the portion 90a of the cut race image is enlarged to the original size of the race image to obtain an enlarged image 91a.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자가 1루 베이스(81b)에서 출발하여 2루 베이스(81c)로 이동하면, 원 경기 영상(90) 내의 일부분의 화면 크기를 점차 작게하여 잘라낸후 잘라낸 화면을 원 경기 영상(90)의 크기로 확대한다.As shown in FIG. 9, when the runner starts from the first base 81b and moves to the second base 81c, the screen of the portion of the original game image 90 is gradually reduced and then cut out. Zoom in to the size of the image (90).

바람직하게는, 주자의 이동위치에 따라 잘라내는 화면의 크기 Zd은 다음 [수학식 2]에서 보는 바와 같다.Preferably, the size Z d of the screen cut out according to the moving position of the runner is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수학식 2][Equation 2]

Figure 112010026473119-pat00004
Figure 112010026473119-pat00004

단, Z1은 원 경기영상의 크기.Z 1 is the size of the original game video.

Z2는 도착 베이스에서의 잘라내는 화면의 크기.Z 2 is the size of the crop screen at the destination base.

D는 출발 베이스와 도착 베이스의 거리.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departure base and the arrival base.

d는 주자의 이동위치와 도착 베이스 사이의 거리.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runner's moving position and the arrival base.

한편, 경기영상 조절부(33)는 확대된 경기영상을 출력한다. 경기영상 조절부(33)는 경기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경기영상 출력모듈(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Meanwhile, the game image controller 33 outputs the enlarged game image. The game image controller 33 includes a game image output module 35 for outputting a game imag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computer readable media includ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 implemented operations.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local data files, local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DVDs,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the same program instructions are included.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Next,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baseball game image of a runner's perspect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game relay auxiliary image implemented as a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베이스(81) 지점을 촬영하는 촬영장치(11)로부터 경기 영상을 수신한다(S10). 이때, 경기 영상은 2개의 베이스를 잇는 직선 방향으로 촬영한 영상이다. 또, 주자의 이동위치를 수신한다(S20).As shown in FIG. 10, first, a competition image is received from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 photographing a base 81 point (S10). At this time, the competition video is a video taken in a straight direction connecting the two bases. In addition,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runner is received (S20).

그리고 주자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한다(S30). 즉,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되는 베이스와 상기 주자의 이동위치의 거리에 반비례하여,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확대한다.Then, the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runner (S30). That is, the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is enlarg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the moving position of the runner.

경기 영상의 화상 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은 2가지의 실시예가 있다. 첫 번째 실시예는 촬영장치의 줌을 조절하여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한다. 두 번째 실시예는 경기 영상 자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한다.There are two embodiments of adjusting the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zoom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The second embodiment adjusts the size of the game image itself to adjust the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생략된 부분은 앞서 설명된 야구경기 영상 생성 생성장치에 대한 설명을 참고한다.The omitted part of the description of the method for generating the baseball game image of the runner's point of view refers to the description of the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is inventor was demonstrated concretely according to the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n Example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본 발명은 야구장의 내야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주자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경기 영상을 생성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적용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the baseball game image generation system of the runner perspective to generate a game image viewed from the runner's point of view from the image taken infield of the baseball field.

Claims (15)

야구장의 내야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주자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경기 영상을 생성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지점을 촬영하는 촬영장치로부터 경기 영상을 수신하되, 상기 경기 영상은 2개의 베이스를 잇는 직선 방향으로 촬영되는 경기영상 수신부;
위치추적장치로부터 주자의 이동위치를 수신하는 주자위치 수신부; 및
상기 주자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하는 경기영상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
In the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device of the runner's point of view to generate a game image viewed from the runner's point of view from the video of the infield of the baseball field,
Receiving a game image from th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the base point, the game image is a game image receiving unit that is taken in a straight direction connecting the two bases;
A runner position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a runner's moving position from a position tracking device; And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device of the runner's point of view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ame imag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according to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run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영상 조절부는 상기 촬영장치의 줌을 조절하여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ame image controller is a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device of the runner's perspective,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by adjusting the zoom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영상 조절부는 다음 [수식 1]에 의해 줌의 비율 Zd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
[수식 1]
Figure 112010026473119-pat00005

단, Z1과 Z2는 각각 출발 베이스와 도착 베이스에서의 줌의 비율.
D는 출발 베이스와 도착 베이스의 거리.
d는 주자의 이동위치와 도착 베이스 사이의 거리.
The method of claim 2,
The game image controller is a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of the runner's perspective,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zoom ratio Z 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Equation 1]
Figure 112010026473119-pat00005

Where Z 1 and Z 2 are the ratios of the zoom at the starting base and the arriving base, respectively.
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departure base and the arrival base.
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runner's moving position and the arrival b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영상 조절부는 상기 경기 영상 자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ame image adjusting unit adjusts the size of the game image itself, the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of the runner's point of view,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영상 조절부는 다음 [수식 2]에 의해 줌의 비율 Zd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
[수식 2]
Figure 112010026473119-pat00006

단, Z1과 Z2는 각각 출발 베이스와 도착 베이스에서의 줌의 비율.
D는 출발 베이스와 도착 베이스의 거리.
d는 주자의 이동위치와 도착 베이스 사이의 거리.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ame image controller is a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of the runner's perspective,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zoom ratio Z 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Equation 2]
Figure 112010026473119-pat00006

Where Z 1 and Z 2 are the ratios of the zoom at the starting base and the arriving base, respectively.
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departure base and the arrival base.
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runner's moving position and the arrival b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영상 조절부는 상기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되는 베이스와 상기 주자의 이동위치의 거리에 반비례하여,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ame image adjusting uni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and the run position of the runner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apparatus, the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of the runner's point of view, characterized in that for expanding the image siz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영상 수신부는 홈베이스에서 1루 베이스, 1루 베이스에서 2루 베이스, 2루 베이스에서 3루 베이스, 및 3루 베이스에서 홈 베이스의 방향으로 촬영되는 경기 영상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ame image receiving unit receives a match image photographed in the direction of the home base from the first base, the first base from the second base, the second base from the third base, and the third base from the home base. Baseball game video generat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영상 수신부는 홈베이스에서 3루 베이스, 3루 베이스에서 2루 베이스, 2루 베이스에서 1루 베이스의 방향으로 촬영되는 경기 영상을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game image receiving unit is a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apparatus of a runner's point of view,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receiving the game image taken in the direction of the third base base, the third base base, the second base base, and the second base bas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영상 조절부는 수신하는 다수의 경기 영상 중에서 주자가 이동하는 방향의 전후 베이스 방향으로 촬영되는 경기 영상을 선택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game image adjusting unit selects and adjusts a game image photographed in a front-rear base direction of a direction in which a runner moves among a plurality of game images receiv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영상 조절부는 주자의 이동위치와 베이스 위치의 거리차이가 사전에 정해진 거리(이하 최소 거리) 이내이면 상기 베이스 지점을 촬영하는 경기 영상을 선택하여 조절하고, 상기 거리차이가 상기 최소 거리 보다 크면 주자의 이동위치의 이동방향의 베이스 지점을 촬영하는 경기 영상을 선택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game image adjusting unit selects and adjusts a game image photographing the base point when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runner's moving position and the base position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hereinafter, the minimum distance), and when the distance difference is greater than the minimum distance. A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device of a runner's point of view, characterized in that for selecting and adjusting the game image photographing the base point of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runner's moving position.
야구장의 내야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주자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경기 영상을 생성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a) 베이스 지점을 촬영하는 촬영장치로부터 경기 영상을 수신하되, 상기 경기 영상은 2개의 베이스를 잇는 직선 방향으로 촬영되는 단계;
(b) 위치추적장치로부터 주자의 이동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주자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laims [1]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of generating a baseball game image of a runner's perspective, which generates a game image viewed from a runner's point of view from an image of an infield of a baseball field.
(a) receiving a game image from a photographing apparatus photographing a base point, wherein the game image is photographed in a straight line connecting two bases;
(b) receiving a runner's movement position from the position tracking device; And
and (c) adjusting the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according to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runn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촬영장치의 줌을 조절하여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a baseball game image generation method of the runner's perspective, characterized in that in step (c), by adjusting the zoom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to adjust the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경기 영상 자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step (c),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a baseball game image generating method of the runner's perspectiv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size of the game image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game image itself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되는 베이스와 상기 주자의 이동위치의 거리에 반비례하여,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step (c), the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is enlarg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the moving position of the runner.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to play.
야구장의 내야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주자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경기 영상을 생성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베이스 지점을 촬영하여 경기 영상을 송신하되, 2개의 베이스를 잇는 직선 방향으로 촬영되는 다수의 촬영장치;
야구장의 내야를 촬영하는 영상으로부터 선수의 이동위치를 추출하는 위치 추적장치; 및
상기 촬영장치로부터 경기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위치 추적장치로부터 주자의 이동위치를 수신하여, 상기 주자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경기 영상의 화상크기를 조절하는 경기영상 생성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자관점의 야구경기 영상 생성 시스템.
In the baseball game image generation system of the runner's point of view to generate a game image viewed from the runner's point of view from the video of the infield of the baseball field,
A plurality of photographing apparatuses photographing a base point and transmitting a game image, where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photographed in a linear direction connecting two bases;
A position tracking device for extracting a player's moving position from an image photographing an infield of a baseball field; And
And a game image generating device that receives a game image from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receives a runner's moving position from the position tracking device, and adjusts the image size of the game image according to the runner's moving position. Perspective Baseball Game Image Generation System.
KR1020100038163A 2010-04-23 2010-04-23 A system producing a playing image in runner's views for the baseball game broadcasting and the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1648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163A KR101164895B1 (en) 2010-04-23 2010-04-23 A system producing a playing image in runner's views for the baseball game broadcasting and the recording mediu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163A KR101164895B1 (en) 2010-04-23 2010-04-23 A system producing a playing image in runner's views for the baseball game broadcasting and the recording medium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518A KR20110118518A (en) 2011-10-31
KR101164895B1 true KR101164895B1 (en) 2012-07-11

Family

ID=45032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163A KR101164895B1 (en) 2010-04-23 2010-04-23 A system producing a playing image in runner's views for the baseball game broadcasting and the recording mediu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89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859B1 (en) * 2015-08-04 2016-12-16 주식회사 에이요 Sports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9038A1 (en) 2000-09-19 2002-11-14 Daniel Benjamin S. Baseball umpiring system
US20050179774A1 (en) 2004-02-13 2005-08-18 Whitney Fletcher BASECAM: a system for using a camera within a baseball base
US20050280708A1 (en) 2004-06-18 2005-12-22 Michael Glenn Sports television camera assign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9038A1 (en) 2000-09-19 2002-11-14 Daniel Benjamin S. Baseball umpiring system
US20050179774A1 (en) 2004-02-13 2005-08-18 Whitney Fletcher BASECAM: a system for using a camera within a baseball base
US20050280708A1 (en) 2004-06-18 2005-12-22 Michael Glenn Sports television camera assig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518A (en) 201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89914B (en) Video picture pushing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71235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producing television programs
US8665374B2 (en) Interactive video insertions, and applications thereof
JP713273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8886583B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pan-tilt-zoom, PTZ, video functionality to multiple users over a data network
JP638513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5765959B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video works
CN105939481A (en) Interactive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video program recorded broadcast and live broadcast method
WO2014024475A1 (en) Video provision method, transmission device, and reception device
CN107105315A (en) Live broadcasting method, the live broadcasting method of main broadcaster's client, main broadcaster's client and equipment
JP2018180655A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generation method, and program
JP2016519546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television programs at low cost
JP2010183302A (en) Video processing device, video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3301351B (en) Video play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JP2010512086A (en) Image content generation method and image content generation apparatus
US9736462B2 (en) Three-dimensional video production system
JP2020086983A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6139898A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video processing system and video processing method
KR102239134B1 (en) Broadcast system for provides athletic video taken with VR cameras attached to drones
KR101291765B1 (en) Ball trace providing system for realtime broadcasting
CN106296686A (en) One is static and dynamic camera combines to moving object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method frame by frame
US1117218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video process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JPWO201715495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164894B1 (en) A device and system producing a ball playing image in player's views for the baseball game broadcasting and the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164895B1 (en) A system producing a playing image in runner's views for the baseball game broadcasting and the recording medium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