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513B1 - Device for collecting and injecting sample and biomedical data measurement set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vice for collecting and injecting sample and biomedical data measurement set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513B1
KR101159513B1 KR1020100044718A KR20100044718A KR101159513B1 KR 101159513 B1 KR101159513 B1 KR 101159513B1 KR 1020100044718 A KR1020100044718 A KR 1020100044718A KR 20100044718 A KR20100044718 A KR 20100044718A KR 101159513 B1 KR101159513 B1 KR 101159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sampling
measurement
gap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7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25283A (en
Inventor
안범주
안구철
배병우
이성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90048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534B1/en
Priority to US12/722,165 priority patent/US8221703B2/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to KR1020100044718A priority patent/KR101159513B1/en
Priority to CN201080030120.6A priority patent/CN102576031B/en
Priority to JP2012513860A priority patent/JP5677416B2/en
Priority to EP10783528.2A priority patent/EP2439540B1/en
Priority to PCT/KR2010/003080 priority patent/WO2010140779A2/en
Publication of KR20110125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2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5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Ec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 스트립이 혈액의 적혈구 성분을 보다 양호하게 거를 수 있도록 보조하고, 또한 측정 스트립의 최종 반응 레이어에 그 적혈구가 걸러진 혈액이 신속하게 도달하도록 보조하는 구조의 시료 채취/주입기구를 갖는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having a structure that assists the measurement strip to better filter the red blood cell components of blood and also aids the rapid reaching of the red blood cells filtered out of the final reaction layer of the measurement strip. A set for measuring biometric data.

Description

시료 채취/주입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DEVICE FOR COLLECTING AND INJECTING SAMPLE AND BIOMEDICAL DATA MEASUREMENT SET COMPRISING THE SAME}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and set for measuring biological data including the same {DEVICE FOR COLLECTING AND INJECTING SAMPLE AND BIOMEDICAL DATA MEASUREMENT SE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개선된 시료 채취/주입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측정 스트립이 혈액의 적혈구 성분을 더욱 양호하게 거를 수 있도록 보조하고, 또한 측정 스트립의 최종 반응 레이어에 그 적혈구가 걸러진 혈액이 신속하게 도달하도록 보조하는 구조의 시료 채취/주입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sampling / injection device and a set for measuring biometric data comprising the same, in particular to assist the measurement strip to better filter the red blood cell components of the blood, and to provide the final reaction layer of the measurement stri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mpling / injection device having a structure for assisting the erythrocyte-filtered blood to reach quickly, and a biometric data set including the same.

혈액과 같은 생체시료 내에 존재하는 분석 물질을 정량 또는 정성으로 분석하는 것은 화학적으로나 임상학적으로 중요하다. 여러 성인병의 요인이 되는 콜레스테롤을 측정하거나, 당뇨환자를 위해 혈액 내의 혈당을 측정하는 것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콜레스테롤, 혈당과 같은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기술로 측정 스트립에 혈액 등과 같은 생체시료를 떨어뜨리고, 반응 영역에서의 효소 반응 결과 나타나는 색깔 변화 혹은 전기 화학적 변화를 검출하는 것들이 널리 알려져 있다. Quantitative or qualitative analysis of analytes present in biological samples such as blood is important chemically and clinically. Typical examples include measuring cholesterol, which is a factor of various adult diseases, and measuring blood glucose in diabetics. As a technique for measuring biological data such as cholesterol and blood sugar, it is widely known to drop a biological sample such as blood on a measurement strip and to detect color change or electrochemical change resulting from an enzyme reaction in a reaction region.

이를 위해 생체시료에 포함된 분석 물질을 측정하기 위한 생체 데이터 측정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혈액 내의 혈당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시료 채취/주입기구를 사용하여 측정 스트립에 소량의 혈액을 주입한 후에, 그 측정 스트립에 주입된 혈액 성분을 생체 데이터를 처리하는 별도의 생체데이터 측정장치, 예를 들면, 효소분해 방식(광도측정방식)의 생체데이터 측정장치 또는 전극분해방식(전기화학 방식)의 생체데이터 측정장치에 의해 분석하는 기술들이 제안되어 있다.To this end, biometric data measurement techniques for measuring analytes included in biological samples have been proposed. For example, if a blood glucose level is to be measured, a small amount of blood is injected into the measurement strip using a sampling / injection device, and then the biometric data of the blood component injected into the measurement strip is processed into biometric data. Techniques for analyzing by a measuring device, for example, a biodata measuring device of an enzyme decomposition method (photometry method) or a biodata measuring device of an electrode decomposition method (electrochemical method) have been proposed.

이때, 생체 데이터를 처리하는 생체데이터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신뢰성 있는 측정 결과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이 생체데이터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감지부가 적혈구 성분에 의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혈액의 적혈구 성분을 잘 거를 수 있도록 하는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시료 채취/주입 기구와 측정용 스트립을 포함함)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At this time, in order to calculate a reliable measurement result using a biometric data measuring device for processing biometric data, in order to prevent the sensing unit constituting the biometric data measuring device from being disturbed by red blood cell components, blood red blood cell components may be well-prepared. It is important to construct a set of biometric data measurements (including sample collection / injection instruments and measurement strips) that can be filtered.

또한, 생체 데이터를 처리하는 생체데이터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신속하게 그 결과값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측정 스트립을 구성하는 최종 반응 레이어에 생체시료가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calculate the result value more quickly using a biometric data processing device that processes the biometric data, a biometric data measurement set is provided so that the biological sample can quickly reach the final reaction layer constituting the measurement strip. It is important to construct.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착안된 것으로서, 측정 스트립이 혈액의 적혈구 성분을 더욱 양호하게 거를 수 있도록 보조하고, 또한 측정 스트립의 최종 반응 레이어에 그 적혈구가 분리된 혈액이 신속하게 도달하도록 보조하는 구조의 시료 채취/주입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oints, wherein the measurement strip helps to better filter out the red blood cell components of the blood, and also the blood whose red blood cells have been separated in the final reaction layer of the measurement strip quick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assisting to reach, and a set for measuring biological data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라서, 시료를 채취하여 생체 데이터 측정용 스트립에 주입하는 시료 채취/주입기구가 제공되며, 이 기구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모세관 힘에 의해 상기 생체시료가 수용되는 틈이 형성된 시료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료수용부의 몸체의 선단부에는 상기 틈이, 상기 시료 채취/주입기구를 정면측 방향에서 봤을 때 '一'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료수용부의 몸체의 선단 중앙부에는 상기 틈의 벌어진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for taking a sample and injecting the sample into a strip for measuring biological data, the apparatus be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t the tip thereof with a capillary force And a sample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 gap for accommodating the biological sample is formed, wherein the gap is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body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in a 'one' shape when the sample / injection device is viewed from the front side. And a groov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gap width of the gap is formed at the tip center portion of the body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라서, 시료를 채취하여 생체 데이터 측정용 스트립에 주입하는 시료 채취/주입기구가 제공되며, 이 기구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모세관 힘에 의해 상기 생체시료가 수용되는 틈이 형성된 시료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료수용부의 몸체는 구(球)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틈은, 상기 시료 채취/주입기구를 정면측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시료수용부의 몸체 선단부의 중앙 부위에서 적어도 2 방향으로 분기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for taking a sample and injecting the sample into a strip for measuring biometric data, the apparatus be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t the tip thereof with a capillary force And a sample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 gap for accommodating the biological sample is formed, the body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and the gap is viewed from the front side when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is viewed. It is formed in the shape which branches in at least 2 directions from the center part of the body front-end | tip part of the said sample accommodating part.

한편, 상기 제 2 측면에 따른 기구에 있어서, 상기 시료수용부의 몸체 선단부의 중앙 부위에는 상기 틈의 벌어진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a groov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gap width of the gap can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tip portion of the sample receiv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라서, 시료가 주입되는 시료 수용 영역을 구비한 생체 데이터 측정용 스트립과, 상기 제 1 또는 제 2 측면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 기구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가 제공된다.Further,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iological data measuring strip having a sample receiving region into which a sample is injected, and a biological data measuring set including a 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aspect. Is provided.

본 발명의 시료 채취/주입 기구는 측정 스트립이 혈액의 적혈구 성분을 더욱 양호하게 거를 수 있도록 보조하고, 또한 측정 스트립의 최종 반응 레이어에 그 적혈구가 분리된 혈액이 신속하게 도달하도록 보조한다.The sampling / inj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sists the measurement strip to better filter out the red blood cell components of the blood, and also to help the blood with the red blood cells separated to reach the final reaction layer of the measurement strip quick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에 포함되는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시료 채취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에 포함되는 측정 스트립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b는 도 3a의 측정 스트립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a는 측정 스트립에 주입된 생체시료 샘플의 흐름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4b는 측정 스트립에 생체시료 샘플이 주입되었을 때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a는 정상적인 F1 흐름 경로를 따라 혈액 주입이 이루어진 경우의 측정 스트립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비정상적인 F1 흐름 경로를 따라 혈액 주입이 이루어진 경우의 측정 스트립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에 포함되는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b 내지 도 6d는 도 6a의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측면도, 정면도 및 평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유리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에 포함되는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유리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에 포함되는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유리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에 포함되는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유리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에 포함되는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다양한 변형 실시예들을 나타낸 사시도들.
도 2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생체 시료 채취 및 주입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t for measuring biometric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ampling operation of a 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included in a set for measuring biologic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easuring strip included in the set for measuring biometric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easuring strip of FIG. 3A is assembled;
4A shows the flow path of a biosample sample injected into a measurement strip.
4B shows an initial state when a biological sample is injected into the measurement strip.
5A shows the measurement strip state when blood injection is made along the normal F1 flow path.
5B shows the measurement strip state when blood injection is made along an abnormal F1 flow path.
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included in a set for measuring biometric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B-6D are side, front and top views of the sampling / injection device of FIG. 6A;
7A and 7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advantageous effects of the 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included in a set for measuring biometric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dvantageous effect of the sampling /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included in a set for measuring biometric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dvantageous effect of the sampling /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included in a set for measuring biometric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dvantageous operation and effect of the sampling /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a 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included in a set for measuring biologic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to 21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iological sample collection and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t for measuring biometric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는 혈액 등의 생체시료가 주입되어 색깔 변화 또는 전기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측정 스트립(1)과, 사용자의 생체시료, 예를 들면 혈액을 채취하여 측정 스트립(1)에 그 혈액을 주입하기 위한 시료 채취/주입기구(2)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측정 스트립(1)은 측정 스트립(1)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판별하는 별도의 생체데이터 측정장치(미도시)에 삽입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set for measuring biologic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asurement strip 1 in which a biological sample such as blood is injected to cause a color change or an electrochemical change, and a biological sample of a user, for example, blood And a sampling / injection device 2 for injecting the blood into the measuring strip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measuring strip 1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a separate biological data measuring device (not shown) for determining the result measured by the measuring strip (1).

측정 스트립(1)은 생체시료와 반응하여 색깔 변화 혹은 전기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측정 레이어(110)와, 측정 레이어(110)의 상(上)면 중의 일부 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방구(121)가 형성된 상부 커버(120)와, 측정 레이어(110)의 하(下)면 중의 일부 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방구(131)가 형성된 하부 기판(130)을 포함한다.The measurement strip 1 may include a measurement layer 110 that reacts with a biological sample to cause a color change or an electrochemical change, and an opening 121 that exposes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easurement layer 110 to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upper cover 120 and the lower substrate 130 having an opening 131 for exposing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easurement layer 110 to the outside.

시료 채취/주입기구(2)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안착홈(211)이 형성된 본체부(210)와, 본체부(2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모세관 힘에 의해 생체시료가 수용되는 틈(221)이 형성된 시료수용부(220)를 포함한다. 한편, 틈(221)의 중앙 부위에는 측정 스트립(1)의 측정 레이어(110)의 상단과 직접 접촉하는 구조의 홈(223)이 형성되어 있다.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 is formed at a main body 210 having a seating groove 211 formed therein for easy gripping, an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210, and a biological sample is formed at a distal end thereof by capillary force. And a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 having a gap 221 accommodated therein. Meanwhile, a groove 223 having a structu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measurement layer 110 of the measurement strip 1 is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gap 221.

도 2a 및 도 2b를 함께 참조하여 시료 채취/주입기구(2)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시료 채취/주입기구(2)는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으로 안착홈(211)을 파지한 상태로 그 선단부의 틈(221) 및 중앙홈(223)을 생체시료(예를 들면 혈액(3)) 부위에 접촉시키면 모세관 힘에 의해 그 혈액(3)이 본체부(210)측 방향으로 수용되는 장치이다. 또한,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시료 채취/주입기구(2)는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홈(223) 구조에 의해 그 내부에 수용된 혈액(3')을 측정 레이어(110)측으로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주입하는 장치이다.2A and 2B, the sampling / injection device 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sampling / injection device 2, the user grips the seating groove 211 with the thumb and index finger. When the gap 221 and the central groove 223 of the tip of the log are in contact with a biological sample (for example, blood 3), the blood 3 is received in the main body 210 side by capillary force. Device. 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 is quick and easy to move the blood 3 ′ contained therein by the structure of the groove 223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to the measurement layer 110 side. Injection devic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시료 채취/주입기구(2)는 투명한 재질의 피엠엠에이(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투명 플라스틱 중의 어느 하나의 소재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료 채취/주입기구(2) 내에 생체시료(예를 들면, 혈액)가 수용된 상태 또는 시료 채취/주입기구(2)로부터 측정 레이어(110)측으로 생체시료가 주입된 상태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sampling / injection device 2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transparent material of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acrylic, polycarbonate, and transparent plastic. Accordingly, the user can directly check the state in which the biological sample (for example, blood) is accommodated in the sample collection / injection device 2 or the state in which the biological sample is injected from the sample collection / injection device 2 to the measurement layer 110 side. It can be confirmed by eye.

이하, 도 3a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에 적용 또는 포함될 수 있는 측정 스트립 및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3A to 11, a specific embodiment of a measurement strip and a 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that can be applied or included in a biometric data measuring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측정 스트립][Measurement strip]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에 적용 또는 포함될 수 있는 측정 스트립(1)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의 I-I'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b는 도 3a의 측정 스트립(1)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1 to illustrate the structure of a measuring strip 1 that may be applied or included in a biometric data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easuring strip 1 of FIG. 3A is assembled.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측정 스트립(1)은 측정 레이어(110), 상부 커버(120) 및 하부 기판(130)을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 3A, the measurement strip 1 includes a measurement layer 110, an upper cover 120, and a lower substrate 130.

측정 레이어(110)는 생체시료와 반응 여부 측정을 위한 것으로, 혈액 등과 같은 생체시료와 반응하여 색깔 변화 혹은 전기 화학적 변화를 일으킨다. The measurement layer 110 is for measuring the reaction with a biological sample, and reacts with a biological sample such as blood to cause a color change or an electrochemical change.

측정 레이어(110)는 확산 레이어(111), 분리 레이어(113), 및 반응 레이어(115)가 적층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measurement layer 110 may be implemented by stacking the diffusion layer 111, the separation layer 113, and the reaction layer 115.

확산 레이어(111)는 주입되는 혈액 혹은 플라즈마와 같은 생체시료가 신속하고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한다. 확산 레이어(111)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polyester)나 무명(cotton)과 같은 직조 물질(woven material) 혹은 패브릭(fabric), 거즈(gauze), 모노필라먼트(Monofilament)와 같은 부직포 물질(non-woven fabric)로 구성할 수 있다.The diffusion layer 111 allows the biological sample such as blood or plasma to be injected to be spread quickly and uniformly. The diffusion layer 111 may be, for example, a woven material such as polyester or cotton or a nonwoven material such as fabric, gauze, or monofilament. non-woven fabric).

분리 레이어(113)는 확산 레이어(111) 하단에 구비되며, 확산 레이어(111)에서 확산되는 생체시료 예를 들면, 혈액으로부터 적혈구(erythrocytes) 등의 혈구를 걸러내는 필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분리 레이어(113)는 확산 레이어(111)로부터 유입되는 혈액 내에서 혈구를 거른 후에, 그 혈구가 걸러진 혈청만을 반응 레이어(115)측으로 유출한다.The separation layer 113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diffusion layer 111, and serves as a filter for filtering blood cells, such as erythrocytes, from the biological sample diffused from the diffusion layer 111. For example, the separation layer 113 filters blood cells in the blood flowing from the diffusion layer 111, and then only the serum from which the blood cells are filtered out flows to the reaction layer 115.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분리 레이어(113)는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패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리 레이어(113)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폴리-술포네이트(Poly-sulfonate) 재질의 패드로 구현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paration layer 113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ad containing glass fiber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solation layer 113 may be implemented as a pad made of polyester, nitrocellulose, and poly-sulfonate.

반응 레이어(115)는 건성 화학제(dry chemicals)와 반응물질(reactant)을 포함하여, 콜레스테롤 등과 반응하여 색 변화를 일으킨다. The reaction layer 115 includes dry chemicals and reactants, and reacts with cholesterol to cause color change.

상부 커버(120)에는 일정한 곡률로 오목하게 패인 테두리부(121a)에 의해 형성된 개방구(121)를 구비하고, 그 하면에는 하부 기판(130)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23)를 포함한다. 돌출부(123)는 조립시에 측정 레이어(110)를 하향 방향으로 압박한다.The upper cover 120 includes an opening 121 formed by a rim 121a recessed with a constant curvature, and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120 includes a protrusion 123 protruding toward the lower substrate 130. The protrusion 123 presses the measurement layer 110 in the downward direction during assembly.

하부 기판(130)에는 상부 커버(120)의 개방구(121)와 대응되는 형상의 개방구(131)가 형성되어 있고, 개방구(131)의 주위면에는 상부 커버(120)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33)는 조립시에 측정 레이어(110)를 상향 방향으로 압박한다.An opening 13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121 of the upper cover 120 is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130, and protrudes toward the upper cover 120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131. The protrusion 133 is formed. The protrusion 133 presses the measurement layer 110 in the upward direction during assembly.

다음, 도 3b를 참조하면, 측정 레이어(110)는 상부의 돌출부(123)와 하부의 돌출부(133)가 엇갈린 형태로 측정 레이어(110)를 가압하는 작용에 의해 상단부가 위로 볼록한 형태가 되고, 그 하단부는 평평한 형태가 된다.Next, referring to FIG. 3B, the measurement layer 110 is formed to have a convex upper end by pressing the measurement layer 110 in a form where the upper protrusion 123 and the lower protrusion 133 are staggered. Its lower end is flat.

또한, 측정 레이어(110)의 영역 중 상부의 돌출부(15)와 하부의 돌출부(35)가 서로 어긋나는 A 영역의 주위는 돌출부(123)와 돌출부(133)에 의한 상하 방향 가압력이 직접 전달되고 있기 때문에, 측정 레이어(110)를 구성하는 확산 레이어(111), 분리 레이어(113) 및 반응 레이어(115)가 서로 긴밀하게 접촉되고 있다. 이에 반해, 측정 레이어(110)의 영역 중 개방구(121)의 중앙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인 B영역의 주위에는 돌출부(123)와 돌출부(133)에 의한 상하 방향 가압력이 완화되어 전달되고 있기 때문에, 측정 레이어(110)를 구성하는 확산 레이어(111), 분리 레이어(113) 및 반응 레이어(115)간의 압착 정도(精度)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In addition, in the area of the measurement layer 110, where the upper protrusion 15 and the lower protrusion 35 are shifted from each other, a vertical pressing force by the protrusion 123 and the protrusion 133 is directly transmitted. Therefore, the diffusion layer 111, the separation layer 113, and the reaction layer 115 constituting the measurement layer 110 are in intimate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contrary, since the up-down pressure applied by the protrusion 123 and the protrusion 133 is transmitted to the periphery of the region B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opening 121 in the region of the measurement layer 110, The degree of compression between the diffusion layer 111, the separation layer 113, and the reaction layer 115 constituting the measurement layer 110 is relatively inferior.

도 4a는 측정 스트립(1)에 주입된 생체시료 샘플의 흐름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측정 스트립(1)에 생체시료 샘플이 주입되었을 때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4A is a view showing a flow path of a biological sample injected into the measurement strip 1, and FIG. 4B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state when the biological sample is injected into the measurement strip 1.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에 적용 또는 포함되는 측정 스트립(1)의 개방구(121)의 외곽 영역에서는 측정 레이어(110)의 하단부로 흡수되는 시료 샘플의 흐름(F1)과 측정 영역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시료 샘플의 흐름(F2)이 동시에 나타난다. 그러나, 측정 레이어(110)의 영역 중 상부의 돌출부(123)와 하부의 돌출부(133)가 서로 어긋나는 A 영역의 주위는 돌출부(123)와 돌출부(133)에 의한 강한 가압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F1 흐름이 주(主)가되고, F2 흐름은 F1 흐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미미하다. 또한, 개방구(121)의 중앙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인 B영역의 주위에서는 측정 레이어(110)의 하단부로 흡수되는 시료 샘플의 흐름(F3)(수직 플로우)이 존재하긴 하지만 매우 미미하다.As shown in FIG. 4A, in the outer region of the opening 121 of the measurement strip 1 applied or included in the biometric measurement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of the sample sample absorbed into the lower end of the measurement layer 110. (F1) and the flow (F2) of the sample sample exiting the outside of the measurement region appear simultaneously. However, in the region of the area of the measurement layer 110 where the upper protrusion 123 and the lower protrusion 133 are shifted from each other, the F1 flows due to the strong pressing force by the protrusion 123 and the protrusion 133. This master, and the F2 flow is relatively insignificant compared to the F1 flow. In addition, although the flow F3 (vertical flow) of the sample sample absorbed to the lower end of the measurement layer 110 exists around the region B corresponding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opening 121, the flow rate is very small.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 스트립(1)의 개방구(121)를 통해 혈액이 주입된 초기에는, 측정 레이어(110) 상단의 볼록한 형태에 의해 개방구(121)의 외곽 영역으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혈액이 로딩된다. 또한, 개방구(121)의 외곽 영역에 로딩된 혈액의 대부분은 F1 흐름의 경로를 따라 혈액이 확산(확산 레이어(111)에 의해) 및 혈구 분리(분리 레이어(113)에 의해)된 후에, 최종적으로 반응 레이어(115)에 도달한다(수직 플로우).As shown in FIG. 4B, initially, the blood is injected through the opening 121 of the measuring strip 1, and due to the convex shape on the top of the measuring layer 110, a relatively large area is formed in the outer region of the opening 121. Sheep blood is loaded. In addition, most of the blood loaded in the outer region of the opening 121 after the blood is diffused (by the diffusion layer 111) and blood cells separation (by the separation layer 113) along the path of the F1 flow, Finally, the reaction layer 115 is reached (vertical flow).

그 후, F1 흐름의 경로를 따라 최종적으로 반응 레이어(115)에 도달한 혈구 분리된 혈청들은 측정 영역 내부 방향 혹은 외부 방향으로 퍼져나가게 된다(수평 플로우). 이 때, 반응 레이어(115)의 영역 중 상부의 돌출부(123)와 하부의 돌출부(133)가 서로 어긋나는 영역(도 4a에서의 A 영역)의 주위는 돌출부(123)와 돌출부(133)에 의한 강한 가압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혈청의 대부분은 측정 영역 내부 방향으로 유입되고 측정 영역 외부 방향으로 흐르는 혈청의 양은 매우 미미하다.Thereafter, the blood-separated serum finally reaching the reaction layer 115 along the path of the F1 flow is spread out into the measuring region inward or outward (horizontal flow). At this time, the area around the region where the upper protrusion 123 and the lower protrusion 133 are shifted from each other (region A in FIG. 4A) among the regions of the reaction layer 115 is formed by the protrusion 123 and the protrusion 133. Due to the strong pressing force, most of the serum is introduced into the measuring region and the amount of serum flowing out of the measuring region is very small.

한편, F1 흐름 경로에 따라 반응 레이어(115)에 계속하여 혈청이 유입되고(수직 플로우), 그 유입된 혈청이 계속하여 측정 영역 내부 방향으로 이동하여(수평 플로우), 반응 레이어(115) 중의 측정 영역에 대응하는 부위가 포화 상태에 이른 경우에는, 그 측정 영역 내부 방향으로의 혈청 흐름(수평 플로우)이 정지된다.On the other hand, serum is continuously introduced into the reaction layer 115 along the F1 flow path (vertical flow), and the introduced serum is continuously moved in the direction inside the measurement area (horizontal flow), so that the measurement in the reaction layer 115 is performed. When the site corresponding to the region reaches the saturation state, the serum flow (horizontal flow) toward the inside of the measurement region is stopped.

또한, 반응 레이어(115)에 있어서의 측정 영역 내부 방향으로의 혈청 흐름이 정지되면, 여분의 혈청은 측정 영역 외부 방향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이에 따라 반응 레이어(115) 중의 측정 영역에 대응하는 부위에 축적되는 생체시료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된다.In addition, when the flow of serum in the direction of the measurement region in the reaction layer 115 is stopped, the excess serum exits in the direction outside the measurement region, and thus the portion of the reaction layer 115 corresponding to the measurement region in the reaction layer 115 is stopped. The amount of biosample accumulated is kept constant.

한편, 측정 레이어(110) 중의 개방구(121)의 중앙부위에 해당하는 영역(도 4a에서의 B 영역)의 주위에는 그 외곽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혈액이 로딩되고 있고(측정 레이어(110) 상단의 볼록한 형태에 의해), 또한 앞서 도 3b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측정 레이어(110)의 영역 중 개방구(121)의 중앙부위에 해당하는 영역(B영역)에서는 확산 레이어(111), 분리 레이어(113) 및 반응 레이어(115)간의 압착 정도(精度)가 외곽부위의 영역(A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F3 흐름 경로의 혈액이 반응 레이어(115)의 혈청 포화에 기여하는 정도는 매우 작다.On the other hand,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blood is loaded around the region (region B in FIG. 4A)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opening 121 in the measurement layer 110 (measurement layer ( 110) by the convex shape at the top), and also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B, in the region B region of the measurement layer 110 that corresponds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opening 121, the diffusion layer 111. Since the degree of compression between the separation layer 113 and the reaction layer 115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the outer region (area A), the blood of the F3 flow path is affected by the serum saturation of the reaction layer 115. The contribution is very small.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에 적용 또는 포함되는 측정 스트립(1)에서는 F1 흐름 경로의 혈액이 반응 레이어(115)의 혈청 포화에 직접적으로 기여를 하게 된다.As such, in the measurement strip 1 applied or included in the biometric measurement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od of the F1 flow path contributes directly to the serum saturation of the reaction layer 115.

도 5a는 정상적인 F1 흐름 경로를 따라 혈액 주입이 이루어진 경우의 측정 스트립(1)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5b는 비정상적인 F1 흐름 경로를 따라 혈액 주입이 이루어진 경우의 측정 스트립(1)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5A shows the state of the measurement strip 1 when blood is injected along the normal F1 flow path, and FIG. 5B shows the state of the measurement strip 1 when blood injection is made along the abnormal F1 flow path. to be.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 스트립(1)에 있어서, 정상적인 방법에 따라 혈액이 주입된 상태에서는 그 주입된 혈액이 확산 레이어(111)에 의해 혈액 확산되고, 그 확산된 혈액이 분리 레이어(113)에 의해 혈구 필터링된 후에, 최종적으로 혈청만이 반응 레이어(115)에 도달한다.As shown in FIG. 5A, in the measurement strip 1, in the state in which blood is injected according to the normal method, the injected blood is diffused by the diffusion layer 111, and the diffused blood is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layer 113. After hemocytosis, the serum only reaches the reaction layer 115.

그러나, 예를 들면, 측정 스트립(121)에 혈액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개방구 테두리부(121a)에 국부적인 압박력이 가해지는 경우 등에서는 F1 흐름 경로가 비정상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방구 테두리부(121a)가 국부적으로 하방으로 눌리게 되어 그 하부의 측정 레이어(110)가 강제 압축되는 경우에는, 분리 레이어(113)에 존재하고 있던 혈구(예를 들면, 적혈구)가 반응 레이어(115) 내로 강제 인입될 수가 있다.However, the F1 flow path may be abnormally deformed, for example, when a local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opening edge portion 121a in the process of injecting blood into the measurement strip 121. For example, when the opening edge 121a is locally pushed downward and the lower measurement layer 110 is forcibly compressed, the blood cells existing in the separation layer 113 (for example, red blood cells) ) May be forced into the reaction layer 115.

도 5b는 측정 스트립(1)의 개방구 테두리부(121a)의 일부 영역이 시료 채취/주입기구 등에 의해 강하게 하방으로 압박되어 F1 흐름 경로에 이상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혈액 주입 도중, 개방구 테두리부(121a)의 일부가 시료 채취/주입기구 등에 의해 강하게 압박되는 경우에는 분리 레이어(113)에서 필터링되어야 할 적혈구 등이 그 압박력에 의해 반응 레이어(115) 측으로 강제 인입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반응 레이어(115) 측으로 강제 인입된 적혈구 성분은 생체데이터 측정 결과값에 오류를 발생시키는 주요 인자(因子)로 작용한다. FIG. 5B shows a state where a part of the opening edge portion 121a of the measurement strip 1 is pressed downward strongly by a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or the like and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F1 flow path. That is, during the blood injection, when a part of the opening edge 121a is strongly pressed by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or the like, red blood cells to be filtered in the separation layer 113 are moved toward the reaction layer 115 by the pressing force. Forced pulling in occurs. The erythrocyte component forced into the reaction layer 115 acts as a major factor causing an error in the biodata measurement result.

[시료 채취/주입기구][Sample Collection / Injection Device]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에 적용 또는 포함되는 시료 채취/주입기구(2)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b 내지 도 6d는 각각 시료 채취/주입기구(2)의 측면도,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a에 나타낸 X축 방향을 시료 채취/주입기구(2)의 측면측 방향으로 하고, Y축 방향을 시료 채취/주입기구(2)의 정면측 방향으로 하며, Z축 방향을 시료 채취/주입기구(2)의 평면측 방향으로 규정한다.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2 applied or included in a biometric data measuring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B to 6D are 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2, respectively. Is a side view,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Hereinafter, the X-axis direction shown in FIG. 6A is made into the side surface direction of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 the Y-axis direction is made into the front side direction of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 and the Z-axis direction is a sample. It defines in the plane side direction of the collection / injection mechanism 2. As shown in FIG.

시료 채취/주입기구(2)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211)을 갖는 본체부(210)와, 본체부(210)의 정면측 방향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모세관 힘에 의해 생체시료, 예를 들면 혈액이 수용되는 틈(221)이 형성된 시료수용부(220)를 포함한다.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 is formed at a main body portion 210 having a seating groove 211 formed in a concave shape so as to be easily gripped, and at the front side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210, and at the front end thereof is subjected to capillary force. By the biological sample, for example, the sample receiving portion 220 is formed a gap 221 is accommodated.

시료수용부(220)는 평면측 방향의 상부면(220-1)과 그 반대편 방향의 하부면(220-2)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220-1)과 하부면(220-2)을 연결하는 외주면(220-3)은 소정 곡률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with the upper surface 220-1 in the planar direction and the lower surface 220-2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has an upper surface 220-1 and a lower surface 220.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20-3 connecting -2)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시료수용부(220)는 정면측 방향에서 봤을 때 외주면(220-3)의 양측 폭(W1)이 중앙의 폭(W2)보다 더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도 6c 참조).As for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 both width | variety W1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220-3 is formed in the dimension larger than the center width W2 when it sees from the front side direction (refer FIG. 6C).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시료수용부(220)를 구성하는 외주면(220-3)의 곡률이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를 이루는 곡률과 대응되는 치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료 채취/주입기구(2)를 통해 측정 스트립(1)의 측정 레이어(110)에 혈액을 주입하고자 하는 경우, 시료수용부(220)의 외주면(220-3)을 매우 안정적으로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에 안착시킬 수 있다(도 7a 참조).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rvatur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20-3 constituting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 is formed to have a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constituting the edge portion 121a of the opening 121. Accordingly, when blood is to be injected into the measurement layer 110 of the measurement strip 1 through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20-3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 is stably opened. It can be seated on the edge portion 121a of the fart 121 (see FIG. 7A).

시료수용부(220)의 선단에 형성된 틈(221)은 정면측 방향에서 봤을 때 좌측단으로부터 우측단까지 '一'자 형상으로 파여 있다. 특히, 시료수용부(220)의 틈(221)은 그 측면측 방향에서 봤을 때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료 채취/주입기구(2)를 통해 혈액을 채취 및 수용함에 있어서는, 혈액이 외주면(220-3) 주위에 묻지 않고 시료수용부(220) 내측으로 더욱 빨려들어가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V 자형의 형상은 시료 수용부를 사출 성형할 시에 그 성형의 용이성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The gap 221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 is dug in a 'one' shape from the left end to the right end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direction. In particular, the gap 221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220 is formed in a 'V' shape in which the width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inside when viewed from the side surface side direction. Accordingly, in collecting and accommodating blood through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 the blood may be sucked further into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 without being buri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20-3. On the other hand, the V-shaped shape has the advantage that the ease of molding when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sample receiving portion is large.

또한, 시료수용부(220)의 선단의 중앙 부위에는 틈(221)의 벌어진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홈(223)이 형성되어 있다. 홈(223)은 측정 스트립(1)의 측정 레이어(110)의 상단과 직접 접촉한다. 이에 따라, 시료 채취/주입기구(2)를 통해 혈액을 주입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시료수용부(220)의 틈(221)에 수용된 혈액이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홈(223)을 통해 측정 스트립(1)의 측정 레이어(110)에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홈(223)은 시료수용부(220)의 선단부측으로부터 종단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groove 223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gap width of the gap 221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tip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220. The groove 223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top of the measuring layer 110 of the measuring strip 1. Accordingly, in the case of injecting blood through the sampling / injection device 2, the blood contained in the gap 221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 passes through the groove 223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It can quickly flow into the measurement layer 110 of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groove 223 may be formed in a conical shape, the diameter of the sample receiving portion 220 toward the end portion from the end portion side.

도 7a 및 도 7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유리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A and 7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advantageous effects of the 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2)는 틈(221)의 벌어진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홈(223)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홈(223)은 시료 주입시에 측정 스트립(1)의 측정 레이어(110) 상단과 직접 접촉하므로, 시료수용부(220) 내에 수용된 혈액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측정 스트립(1)(측정 레이어(110))측으로 유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생체데이터 측정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측정 스트립(1)의 측정 결과를 산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보다 신속하게 그 측정된 결과값을 도출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7A,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groove 223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gap width of the gap 221. Since the sample is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measurement layer 110 of the measurement strip 1, the blood contained in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 flows out to the measurement strip 1 (measurement layer 110) more smoothly and quickly. can do. Thus, for example, whe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measurement strip 1 is calculated using a biometric data measuring device (not shown), the measured result value can be derived more quickly.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2)는 시료수용부(220)를 구성하는 외주면(220-3)의 곡률이 개방구(121)를 구성하는 테두리부(121a)의 곡률과 대응되는 치수를 갖고 있으므로, 시료수용부(220)의 외주면(220-3)을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에 안착시키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시료 채취/주입기구(2)를 어떤 방향으로부터 측정 스트립(1)의 개방구(121)측으로 접근시키더라도,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의 곡률과 일치하는 곡률을 갖는 시료수용부(220)의 외주면(220-3)을 통해, 시료수용부(220)를 매우 안정적으로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에 안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rvatur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20-3 constituting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220 is the curvature of the edge portion 121a constituting the opening 121. Since it has a corresponding dimension, it is very easy to moun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220-3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 to the edge part 121a of the opening 121. As shown in FIG. For example, even if the user approaches the sampling / injection device 2 from the direction toward the opening 121 side of the measurement strip 1, the curvature of the edge 121a of the opening 121 is matched.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20-3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 having a curvature,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 may be mounted on the edge portion 121a of the opening 121 in a very stable manner.

다음, 도 7b는 시료 채취/주입기구(2)의 시료수용부(220)(그것의 외주면(220-3))이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에 안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7b의 C 영역은 시료 채취/주입기구(2)의 홈(223)과 측정 스트립(1)의 측정 레이어(110)가 접촉하는 부위이고, 도 7b의 D 영역은 시료 채취/주입기구(1)의 외주면(220-3)과 측정 스트립(1)의 테두리부(121a)가 접촉하는 부위이다.Next, FIG. 7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20-3) of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 is seated on the edge portion 121a of the opening 121. Drawing. For reference, the region C of FIG. 7B is a portion where the groove 223 of the 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2 and the measurement layer 110 of the measurement strip 1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region D of FIG. 7B is sampling / injection. It is a site whe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20-3 of the instrument 1 and the edge portion 121a of the measurement strip 1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도 7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2)는 시료수용부(220)를 정면측 방향에서 봤을 때 외주면(220-3)의 양 측단부 폭(W1)이 중앙부의 폭(W2)보다 더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료 채취/주입기구(2)의 외주면(220-3)으로부터 테두리부(121a)측으로 전달되는 압박력이 테두리부(121a)의 거의 전(全)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된다. 즉, 앞서 도 5b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에 부분적인 압박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그 부분적으로 압박된 테두리부(121a)의 영역이 하방으로 눌리게 되고, 이에 따라 측정 스트립(1)의 반응 레이어(115)의 혈청 포화에 직접기여하는 F1 흐름 경로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2)를 이용할 경우에는 시료 채취/주입기구(1)의 외주면(220-3)으로부터 하방 테두리부(121a)측으로 전달되는 압박력이 개방구 테두리부(121a)의 거의 전(全)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되기 때문에 테두리부(121a) 중의 일부분만이 국부적으로 눌리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배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B, in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oth side end widths W1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20-3 when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 is viewed from the front side direction are formed in the center part. Since it is formed with a dimension larger than the width W2, the press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20-3 of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 to the edge portion 121a is almost full of the edge portion 121a. It is uniformly dispersed in the area. That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B, when parti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edge portion 121a of the opening 121, the region of the partially pressed edge portion 121a is pressed downward, As a result, abnormalities may occur in the F1 flow path that directly contributes to the serum saturation of the reaction layer 115 of the measurement strip 1.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s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20-3 of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1 to the lower edge portion 121a is the opening edge portion. Since it is uniformly distributed over almost the entire area of 121a, the phenomenon in which only a part of the edge portion 121a is locally pressed can be effectively excluded.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에 적용 또는 포함되는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b는 본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유리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applied or included in a biometric data measuring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B is an advantageous operation of the 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an effect.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2a)는 시료수용부(220a)의 구조만이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시료 채취/주입기구(2)와 상이할 뿐이고, 나머지 구조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 of the first embodiment only in the structure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220a, and the rest of the structure is the first embodiment. Same as the example.

한편, 도 8a에서는 X축 방향을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측면측 방향으로 하고, Y축 방향을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정면측 방향으로 하며, Z축 방향을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평면측 방향으로 규정한다.On the other hand, in FIG. 8A, the X-axis direction is the side surface direction of the sampling / injection device, the Y-axis direction is the front side direction of the sampling / injection device, and the Z-axis direction is the plane side direction of the sampling / injection device. It is prescribed by.

시료 채취/주입기구(2a)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211)을 갖는 본체부(210)와, 본체부(210)의 정면측 방향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모세관 힘에 의해 생체시료, 예를 들면 혈액이 수용되는 틈(221a, 221b)이 형성된 시료수용부(220a)를 포함한다.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a is formed at a main body portion 210 having a seating groove 211 formed in a concave shape so as to be easily gripped, and at the front end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210, and at the distal end thereof, a capillary force is applied. This includes a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a in which gaps 221a and 221b for receiving a biological sample, for example, blood, are formed.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료수용부(220a)의 몸체는 정면측 방향에서 봤을 때, 몸체 선단의 중앙 부위에서 그 몸체가 3 방향으로 분기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시료수용부(220a)의 몸체는 정면측 방향에서 봤을 때 '十'자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A, the body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220a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body branches in three directions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body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dire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body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220a) can be configured in the shape of '十'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direction.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시료수용부(220a)의 몸체는 모세관 힘에 의해 생체시료를 수용하는 틈(221a)이 형성된 제1몸체(220a-1)와, 제1몸체(220a-1)를 시료 채취/주입기구(2a)의 정면측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90°회전한 형상으로 형성된 제2몸체(220a-2)로 구성되어 있다.In more detail, the body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a includes a first body 220a-1 and a first body 220a-1 having a gap 221a for accommodating a biological sample by capillary force. It consists of the 2nd body 220a-2 formed in the shape which rotated 90 degrees about the axis | shaft of the front side direction of the collection / injection mechanism 2a.

또한, 제1몸체(220a-1) 및 제2몸체(220a-2)를 구성하는 외주면(220a-1a, 220a-2a)의 곡률은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의 곡률과 대응되는 치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료 채취/주입기구(2a)를 통해 측정 스트립(1)의 측정 레이어(110)에 혈액을 주입하고자 하는 경우, 시료수용부(220a)의 외주면(220a-1a, 220a-2a)을 안정적으로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에 안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urvatur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220a-1a and 220a-2a constituting the first body 220a-1 and the second body 220a-2 corresponds to the curvature of the edge 121a of the opening 121. It is formed to have a dimension to become. Accordingly, when blood is to be injected into the measurement layer 110 of the measurement strip 1 through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a,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220a-1a and 220a-2a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220a are formed. It can be stably seated on the edge portion 121a of the opening 121.

제1몸체(220a-1) 및 제2몸체(220a-2)의 선단에 형성된 틈(221a, 221b)은 그 측면측 방향에서 봤을 때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V'자 형상으로 파여 있다. 이에 따라, 시료 채취/주입기구(2a)를 통해 혈액을 채취 및 수용함에 있어서는, 혈액이 외주면(220a-1a, 220a-2a) 주위에 묻지 않고 시료수용부(220a) 내측으로 더욱 빨려들어가게 할 수 있다.The gaps 221a and 221b formed at the ends of the first body 220a-1 and the second body 220a-2 are dug into a 'V' shape in which the width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inside when viewed from the lateral side direction. have. Accordingly, in collecting and accommodating blood through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a, the blood can be sucked further into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220a without getting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220a-1a and 220a-2a. have.

또한, 시료수용부(220a)의 몸체 선단의 중앙 부위에는 틈(221a, 221b)의 벌어진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홈(223)이 형성되어 있다. 홈(223)은 측정 스트립(1)의 측정 레이어(110)와 직접 접촉한다. 이에 따라, 시료 채취/주입기구(2a)를 통해 혈액을 주입하는 경우에는, 시료수용부(220)의 틈(221a, 221b)에 수용되어 있던 혈액이 비교적 넓은 면적의 홈(223)을 통해 측정 스트립(1)의 측정 레이어(110)에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홈(223)은 시료수용부(220a)의 선단부측으로부터 종단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groove 223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gap width of the gaps 221a and 221b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body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220a. The groove 223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measurement layer 110 of the measurement strip 1. Accordingly, in the case of injecting blood through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a, the blood contained in the gaps 221a and 221b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 is measured through the groove 223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It can be introduced quickly into the measuring layer 110 of the strip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groove 223 may be formed in a conical shape, the diameter of the sample receiving portion 220a toward the end portion toward the end portion.

도 8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유리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dvantageous effect of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는 틈(221a, 221b)의 벌어진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홈(223)이 형성되어 있고, 홈(223)은 측정 스트립(1)의 측정 레이어(110) 상단과 직접 접촉하고 있으므로, 시료수용부(220a) 내에 수용되어 있던 혈액이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측정 스트립(1)의 측정 레이어(110)로 유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생체데이터 측정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측정 스트립(1)의 측정 결과를 산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보다 신속하게 그 측정 결과값을 도출할 수 있다.In the 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groove 223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gap width of the gaps 221a and 221b is formed, and the groove 223 is the measurement layer 110 of the measurement strip 1. Since i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end, the blood contained in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a may flow out to the measurement layer 110 of the measurement strip 1 more smoothly and quickly. As a result, for example, whe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measurement strip 1 is calculated using a biometric data measurement device (not shown), the measurement result value can be derived more quickly.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2a)는 시료수용부(220a)를 구성하는 외주면(220a-1a, 220a-2a)의 곡률이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의 곡률과 대응되는 치수를 갖고 있으므로, 시료수용부(220a)의 외주면(220a-1a, 220a-2a)을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에 안착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시료 채취/주입기구(2a)를 어떤 방향으로부터 측정 스트립(1)의 개방구(121)측으로 접근시키더라도,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의 곡률과 일치하는 곡률을 갖는 시료수용부(220a)의 외주면(220a-1a, 220a-2a)을 통해, 시료수용부(220a)를 매우 안정적으로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에 안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rvatur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220a-1a and 220a-2a constituting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220a is determined by the edge portion 121a of the opening 121. Since it has the dimension corresponding to curvature, it is easy to moun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220a-1a and 220a-2a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a to the edge part 121a of the opening 121. As shown in FIG. For example, even if the user approaches the sampling / injection device 2a from the direction toward the opening 121 side of the measuring strip 1, the curvature of the edge 121a of the opening 121 is matched.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220a-1a and 220a-2a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a having the curvature,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a can be mounted to the edge portion 121a of the opening 121 very stably.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2a)는 시료수용부(220a)를 정면측 방향에서 봤을 때 그 몸체가 상하 좌우로 펼쳐진 '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료수용부(220a)의 외주면(220a-1a, 220a-2a)을 통해 테두리부(121a)측으로 전달되는 압박력을 상하 좌우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즉, 앞서 도 5b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에 부분적인 압박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그 부분적으로 압박된 테두리부(121a)가 하방으로 눌리게 되고, 이에 따라 측정 스트립(1)의 반응 레이어(130)의 혈청 포화에 직접기여하는 F1 흐름 경로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2a)를 이용할 경우에는 시료 채취/주입기구(2a)를 구성하는 시료수용부(220a)의 외주면(220a-1a, 220a-2a)으로부터 테두리부(121a)측으로 전달되는 압박력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산되기 때문에 테두리부(121a)의 일부분이 하방으로 눌리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배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mple taking / injecting mechanism (2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wist' shape when the body is extended up, down, left and right when the sample receiving portion (220a) is viewed from the front side direction, the sample receiving portion ( The pressing force transmitted to the edge portion 121a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220a-1a and 220a-2a of the 220a is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at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B, when a parti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edge portion 121a of the opening 121, the partially pressed edge portion 121a is pressed downward, thereby Abnormalities could occur in the F1 flow path directly contributing to the serum saturation of the reaction layer 130 of the measurement strip 1.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dge portion is form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220a-1a and 220a-2a of the sample receiving portion 220a constituting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a. Since the pressing force transmitted to the 121a side is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 phenomenon in which a part of the edge portion 121a is pressed downward can be effectively excluded.

[제 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에 적용 또는 포함되는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유리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applied or included in a biometric data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B is an advantageous operation of the 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an effect.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2b)는 시료수용부(220b)의 구조만이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시료 채취/주입기구(2)와 상이할 뿐이고, 나머지 구조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only the structure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220b different from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rest of the structure is the first embodiment. Same as the example.

한편, 도 9a에서는 X축 방향을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측면측 방향으로 하고, Y축 방향을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정면측 방향으로 하며, Z축 방향을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평면측 방향으로 규정한다.On the other hand, in FIG. 9A, the X-axis direction is the side surface direction of the sampling / injection device, the Y-axis direction is the front side direction of the sampling / injection device, and the Z-axis direction is the plane side direction of the sampling / injection device. It is prescribed by.

시료 채취/주입기구(2b)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211)을 갖는 본체부(210)와, 본체부(210)의 정면측 방향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모세관 힘에 의해 생체시료, 예를 들면 혈액이 수용되는 틈(221a', 221b')이 형성된 시료수용부(220b)를 포함한다.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b is formed at a main body portion 210 having a seating groove 211 formed in a concave shape so as to be easily gripped, and at the front side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210, and at the front end thereof is subjected to capillary force. This includes a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b in which gaps 221a 'and 221b' for receiving a biological sample, for example, blood, are formed.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료수용부(220b)의 몸체는 정면측 방향에서 봤을 때, 몸체 선단의 중앙 부위에서 그 몸체가 3 방향으로 분기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시료수용부(220b)의 몸체는 정면측 방향에서 봤을 때 '十'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A, the body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220b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body branches in three directions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body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dire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body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220b may be formed in a 'double'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direction.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시료수용부(220b)의 몸체는 모세관 힘에 의해 생체시료를 수용하는 틈(221a')이 형성된 제1몸체(220b-1)와, 제1몸체(220b-1)를 시료 채취/주입기구(2b)의 정면측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90°회전한 형상으로 형성된 제2몸체(220b-2)로 구성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ody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b includes a first body 220b-1 and a first body 220b-1 having a gap 221a 'for accommodating a biological sample by capillary force. It is comprised by the 2nd body 220b-2 formed in the shape which rotated 90 degrees about the axis of the front side direction of the sample collection / injection mechanism 2b.

또한, 제1몸체(220b-1) 및 제2몸체(220b-2)를 구성하는 외주면(220b-1a, 220b-2a)의 곡률은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의 곡률과 대응되는 치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료 채취/주입기구(2b)를 통해 측정 스트립(1)의 측정 레이어(110)에 혈액을 주입하고자 하는 경우, 시료수용부(220b)의 외주면(220b-1a, 220b-2a)을 안정적으로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에 안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urvatur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220b-1a and 220b-2a constituting the first body 220b-1 and the second body 220b-2 corresponds to the curvature of the edge 121a of the opening 121. It is formed to have a dimension to become. Accordingly, when blood is to be injected into the measurement layer 110 of the measurement strip 1 through the sampling / injection device 2b,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220b-1a and 220b-2a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b are disposed. It can be stably seated on the edge portion 121a of the opening 121.

도 9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유리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dvantageous effect of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2b)는 시료수용부(220b)를 구성하는 외주면(220b-1a, 220b-2a)의 곡률이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의 곡률과 대응되는 치수를 갖고 있으므로, 시료수용부(220b)의 외주면(220b-1a, 220b-2a)을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에 안착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시료 채취/주입기구(2b)를 어떤 방향으로부터 측정 스트립(1)의 개방구(121)측으로 접근시키더라도,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의 곡률과 일치하는 곡률을 갖는 시료수용부(220b)의 외주면(220b-1a, 220b-2a)을 통해, 시료수용부(220b)를 매우 안정적으로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에 안착시킬 수 있다.In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rvatur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220b-1a and 220b-2a constituting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220b are equal to the curvature of the edge portion 121a of the opening 121. Since it has a corresponding dimension, it is easy to moun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220b-1a and 220b-2a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b to the edge part 121a of the opening 121. As shown in FIG. For example, even if the user approaches the sampling / injection device 2b toward the opening 121 side of the measurement strip 1 from any direction, the curvature of the edge 121a of the opening 121 is matched.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220b-1a and 220b-2a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b having a curvature,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b can be mounted on the edge portion 121a of the opening 121 very stably.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2b)는 시료수용부(220b)를 정면측 방향에서 봤을 때 그 몸체가 상하 좌우로 펼쳐진 '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료수용부(220b)의 외주면(220b-1a, 220b-2a)을 통해 테두리부(121a)측으로 전달되는 압박력을 상하 좌우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즉, 앞서 도 5b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에 부분적인 압박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그 부분적으로 압박된 테두리부(121a)가 하방으로 눌리게 되고, 이에 따라 측정 스트립(1)의 반응 레이어(130)의 혈청 포화에 직접기여하는 F1 흐름 경로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2b)를 이용할 경우에는 시료 채취/주입기구(2b)를 구성하는 시료수용부(220b)의 외주면(220b-1a, 220b-2a)으로부터 테두리부(121a)측으로 전달되는 압박력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산되기 때문에 테두리부(121a)의 일부분만이 하방으로 강하게 눌리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배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mple taking / injecting mechanism (2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ouble' shape when the body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220b)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direction, spread up, down, left and right,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 The pressing force transmitted to the edge portion 121a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220b-1a and 220b-2a of 220b is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vertical, horizont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hat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B, when a parti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edge portion 121a of the opening 121, the partially pressed edge portion 121a is pressed downward, thereby Abnormalities could occur in the F1 flow path directly contributing to the serum saturation of the reaction layer 130 of the measurement strip 1.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dge portion is form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220b-1a and 220b-2a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220b constituting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b. Since the pressing force transmitted to the (121a) side is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only a part of the edge portion 121a may be effectively excluded from being pushed downward.

[제 4 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에 적용 또는 포함되는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b는 본 제 4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유리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applied or included in a biometric data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B is an advantageous operation of the 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an effect.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2c)는 시료수용부(220c)의 구조만이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시료 채취/주입기구(2)와 상이할 뿐이고, 나머지 구조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c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nly differs from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only in the structure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220c, and the rest of the structure is the first embodiment. Same as the example.

한편, 도 10a에서는 X축 방향을 시료 채취/주입기구(2c)의 측면측 방향으로, Y축 방향을 시료 채취/주입기구(2c)의 정면측 방향으로, Z축 방향을 시료 채취/주입기구(2c)의 평면측 방향으로 각각 규정한다.On the other hand, in Fig. 10A, the X-axis direction is toward the side of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c, the Y-axis direction is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c, and the Z-axis direction is about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It defines in the plane side direction of (2c), respectively.

시료 채취/주입기구(2c)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211)을 갖는 본체부(210)와, 본체부(210)의 정면측 방향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모세관 힘에 의해 생체시료, 예를 들면 혈액이 수용되는 틈이 형성된 시료수용부(220c)를 포함한다.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c is formed at a main body portion 210 having a seating groove 211 formed in a concave shape to facilitate gripping, and at the front side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210, and at the front end thereof is subjected to capillary force. It includes a sample receiving portion 220c formed with a gap for receiving a biological sample, for example, blood.

시료수용부(220c)의 몸체는 구(球)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body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c is comprised in spherical shape.

또한, 구(球) 형상인 몸체를 구성하는 외주면(220c-1)의 곡률은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의 곡률과 대응되는 치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료 채취/주입기구(2c)를 통해 측정 스트립(1)의 측정 레이어(110)에 혈액을 주입하고자 하는 경우, 시료수용부(220c)의 외주면(220c-1)을 안정적으로 개방구(1)의 테두리부(121a)에 안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urvatur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20c-1 constituting the spherical body is formed to have a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edge portion 121a of the opening 121. Accordingly, when blood is to be injected into the measurement layer 110 of the measurement strip 1 through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c,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220c-1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220c is stably opened. It can be seated on the edge part 121a of (1).

시료수용부(220c) 몸체의 선단에 형성된 틈(221)은 그 측면측 방향에서 봤을 때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V'자 형상으로 파여 있다. 이에 따라, 시료 채취/주입기구(2c)를 통해 혈액을 채취 및 수용함에 있어서는, 혈액이 외주면(220c-1) 주위에 묻지 않고 시료수용부(220c) 내측으로 더욱 빨려들어가게 할 수 있다.The gap 221 formed at the tip of the body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c is dug into a 'V' shape, the width of which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inner side when viewed from the lateral side direction. Accordingly, in collecting and accommodating blood through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c, blood can be sucked further into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220c without being buri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20c-1.

또한, 시료수용부(220c) 몸체 선단의 중앙 부위에는 틈(221)의 벌어진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홈(223)이 형성되어 있다. 홈(223)은 측정 스트립(1)의 측정 레이어(110)와 직접 접촉한다. 이에 따라, 시료 채취/주입기구(2c)를 통해 혈액을 주입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시료수용부(220c)의 틈(221)에 수용된 혈액이 비교적 넓은 면적의 홈(223)을 통해 측정 스트립(1)의 측정 레이어(110)로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홈(223)은 시료수용부(220c)의 선단부측으로부터 종단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 groove 223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gap width of the gap 221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tip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c. The groove 223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measurement layer 110 of the measurement strip 1. Accordingly, in the case of injecting blood through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c, the blood contained in the gap 221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c passes through the groove 223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Can be quickly introduced into the measurement layer (1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groove 223 may be formed in a conical shape, the diameter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220c toward the end portion from the end portion side.

도 10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유리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dvantageous effect of the sampling /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2c)는 틈(221)의 벌어진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홈(22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료수용부(220c) 내에 저장되어 있던 혈액이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측정 스트립(1)의 측정 레이어(110)로 유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생체데이터 측정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측정 스트립(1)의 측정 결과를 산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보다 신속하게 그 측정 결과값을 도출할 수 있다.In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c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groove 223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gap width of the gap 221 is formed, the blood stored in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220c is more smoothly. And quickly flows to the measurement layer 110 of the measurement strip 1. As a result, for example, whe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measurement strip 1 is calculated using a biometric data measurement device (not shown), the measurement result value can be derived more quickly.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2c)는 시료수용부(220c)를 구성하는 구(球) 형상의 몸체 외주면(220c-1)의 곡률이 측정 스트립(1)의 개방구(121)를 구성하는 테두리부(121a)의 곡률과 대응되는 치수를 갖고 있으므로, 시료수용부(220c)의 몸체 외주면(220c-1)을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에 안착시키는 것이 용이하다.In addition, in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c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rvature of the spherical body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20c-1 constituting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220c is an opening of the measurement strip 1 ( Since it has dimensions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edge portion 121a constituting 121, it is necessary to moun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220c-1 of the body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220c to the edge portion 121a of the opening 121. It is easy.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220c)는 시료수용부(220c)를 정면측 방향에서 봤을 때 그 몸체가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료 채취/주입기구(2c)의 외주면(220c-1)으로부터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측으로 전달되는 하방 압박력을 테두리부(121a)의 전(全)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즉, 앞서 도 5b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개방구(121)의 테두리부(121a)에 부분적인 압박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그 부분적으로 압박된 테두리부(121a)가 하방으로 눌리게 되고, 이에 따라 측정 스트립(1)의 반응 레이어(115)의 혈청 포화에 직접기여하는 F1 흐름 경로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2c)를 이용할 경우에는 시료 채취/주입기구(2c)를 구성하는 시료수용부(220c)의 외주면(220c-1)으로부터 테두리부(121a)측으로 전달되는 압박력이 테두리부(121a)의 전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되기 때문에 테두리부(121a)의 일부분만이 하방으로 강하게 눌리는 현상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dy of the sample collection / injection mechanism 220c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when the sample receiving portion 220c is viewed from the front side direc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ample collection / injection mechanism 2c ( The downward pressing force transmitted from 220c-1 to the edge portion 121a side of the opening 121 is uniformly distributed to the entire area of the edge portion 121a. That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B, when a parti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edge portion 121a of the opening 121, the partially pressed edge portion 121a is pressed downward, thereby Abnormalities could occur in the F1 flow path directly contributing to the serum saturation of the reaction layer 115 of the measurement strip 1. However, when using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c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220c-1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220c constituting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2c is moved toward the edge portion 121a. Since the pressing force transmitted is uniform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edge portion 121a, only a portion of the edge portion 121a may be strongly pressed downward.

[제 5 실시예][Fifth Embodiment]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에 적용 또는 포함되는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a 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applied or included in a set for measuring biometric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제 5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2d)는 오목홈(211)을 갖는 본체부(210)에 상술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 중의 어느 하나의 시료수용부가 두 개 이상 형성된 구조이다. 도 1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본체부(210)에 제 1 실시예의 시료 채취/주입기구(220)가 두 개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실시예의 시료 채취/주입기구(2d)가 반드시 이러한 형상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ample collection / injection mechanism 2d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two sample receiving portions of any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re formed in the main body 210 having the concave groove 211. to be. 11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two sample collection / injection mechanisms 220 of the first embodiment are formed in one main body 21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sample / injection mechanism 2d of the present embodiment necessarily has such a shape. It is not limited only.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기구(2d)를 이용할 경우에는, 두 개 이상의 개방구(121)가 형성된 측정 스트립(1)의 각 개방구(121) 내에 생체시료를 동시에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case of using the sampling / injection device 2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inject a biological sample into each opening 121 of the measurement strip 1 in which two or more openings 121 are formed.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6a의 시료수용부(220)의 형상, 도 8a의 시료수용부(220a)의 형상, 도 9a의 시료수용부(220b)의 형상 및 도 10a의 시료수용부(220b)의 형상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를 위한 것이며, 이외에도, 시료수용부를 정면측 방향에서 봤을 때 삼십자 형상(

Figure 112010030688987-pat00001
)으로 하는 등의 실시예가 가능하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 of FIG. 6A, the shape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a of FIG. 8A, the shape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b of FIG. 9A, and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220b of FIG. The shape is only for illust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ross-shaped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direction (
Figure 112010030688987-pat00001
Examples such as) are possible.

한편, 상술한 바에서는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는 기법이 효소 반응에 의한 색깔 변화나 전기 화학적 변화를 측정하는 것으로 한정되었으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생체 데이터 측정 방법에는 형광 물질을 이용하는 방법 또는 방사능을 이용하는 방법들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용 분야는 효소 반응에 의한 광학적 색깔 변화 측정 방식이나 전기화학적 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으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이 자명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echnique for measuring biometric data is limited to measuring color change or electrochemical change due to enzymatic reaction.However, the biometric data measuring metho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uses a fluorescent material or a method using radioactivity. There are various ways.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the field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of measuring the optical color change or the electrochemical change by the enzymatic reaction.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른 다양한 변형 실시예들이 도 12 내지 도 21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이 어떻게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지에 대하여 해당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In addition, other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that can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Figs. How these modified embodiments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rief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2는 본 출원인이 2009년 6월 2일자에 출원한 특허 출원 제2009-48804호에 개시된 최초의 시료 채취 및 주입 기구(도 22 참조)에서 ━ 자형 틈의 중간에 홈을 배치하여서 스트립의 반응 영역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여서 시료의 주입 속도를 크게 하여서 측정의 신속성을 추구하는 실시예이다. 참고로, 도 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이 선행 출원한 특허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시료 채취 및 주입 기구를 도시한 것이다. First, FIG. 12 shows a strip in which a groove is placed in the middle of a? -Shaped gap in the first sampling and injection device disclosed in Patent Application No. 2009-48804, filed on June 2, 2009, filed by the applicant on June 2, 2009. This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ntact area with the reaction region is increased, and the injection speed of the sample is increased to pursue the promptness of the measurement. For reference, FIG. 22 illustrates a sampling and injection mechanism disclosed in the patent application previously fil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as described above.

도 13은 위의 도 12의 구성에 있어서 시료 수용부의 틈이 그 측면 측 방향에서 봤을 때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료 채취/주입기구를 통해 혈액을 채취 및 수용함에 있어서는, 혈액이 외주면 주위에 묻지 않고 시료 수용부 내측으로 더욱 빨려들어가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V 자 형상은 사출 성형 시의 성형성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FIG. 13 is formed in a 'V' shape in which the gap between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s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2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inner side when viewed from the side side direction thereof. Accordingly, in collecting and accommodating the blood through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the blood can be sucked further into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without getting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ddition, this V-shape has the advantage that the moldability at the time of injection molding is easy.

도 14는 시료수용부를 정면측 방향에서 봤을 때 그 몸체가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외주면으로부터 개방구의 테두리부 측으로 전달되는 하방 압박력을 테두리부의 전(全)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즉, 앞서 도 5b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개방구의 테두리부에 부분적인 압박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그 부분적으로 압박된 테두리부가 하방으로 눌리게 되고, 이에 따라 측정 스트립(1)의 반응 레이어(115)의 혈청 포화에 직접기여하는 F1 흐름 경로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경우의 시료 채취/주입기구를 이용할 경우에는 시료 채취/주입기구를 구성하는 시료수용부의 외주면으로부터 테두리부 측으로 전달되는 압박력이 테두리부의 전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되기 때문에 테두리부의 일부분만이 하방으로 강하게 눌리는 현상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0a에 비해서 Y 자 형상으로 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채취된 시료를 스트립에 주입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줄어든다. 이로써, 시료 데이터 측정의 신속성이 달성될 수 있다.  Fig. 14 shows that the sampl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so that the downward press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ample collection / injection mechanism to the edge portion of the opening is uniform to the entire area of the edge portion. Disperse That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B, when a parti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edge portion of the opening, the partially pressed edge portion is pressed downward, and thus the reaction layer 115 of the measurement strip 1 is applied. Abnormalities could occur in the F1 flow pathway, which directly contributes to serum saturation.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in this case, only a part of the edge portion is downward since the press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constituting the sampling / injection mechanism is uniform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edge portion. Strong crushing can be completely ruled out. In addition, since the gap is formed in a Y shape as compared with FIG. 10A, the time taken to inject the collected sample into the strip is reduced. In this way, the speed of sample data measurement can be achieved.

도 15는 위의 도 14의 Y 자 형상의 중간의 분기되는 부분에 홈이 더 형성되어 있어서 스트립의 시료 적용 영역과 접촉하는 면적이 더 커져서 시료 데이터 측정의 신속성이 더욱 촉진될 수 있다.FIG. 15 is further provided with a groov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Y-shaped branch of FIG. 14 above, so that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sample application region of the strip may be larger, thereby further facilitating the rapidity of sample data measurement.

도 16은 도 14에서 세 방향으로 분기된 틈이 아니라 4 방향으로 분기된 틈을 가지고 있는 점이 차이가 있으며 그 구성에 따른 효과는 도 14와 대동소이하다.FIG. 16 is different from the one branched in three directions in FIG. 14, but has a branch branched in four directions, and the effect of the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at of FIG. 14.

도 17은 도 16에서 4 방향으로 분기된 틈의 중앙에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구성적 효과는 도 15의 것과 대동소이하다.FIG. 17 is a groov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gap branched in the four directions in FIG. 16, and its structural effect is similar to that of FIG. 15.

도 18은 도 14에 있어서 시료가 수용되는 틈이 시료 수용부의 내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이 아니라 일정하다는 점에서 도 14의 구성과 차이가 있으며, 그 구성적 효과는 도 14의 것과 대동소이하다.FIG. 18 differs from the configuration of FIG. 14 in that the gap in which the sample is accommodated in FIG. 14 is not smaller toward the inside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but is constant, and its structural effect is similar to that of FIG.

도 19는 도 15에 있어서 시료가 수용되는 틈이 시료 수용부의 내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이 아니라 일정하다는 점에서 도 15의 구성과 차이가 있으며, 그 구성적 효과는 도 15의 것과 대동소이하다.FIG. 19 differs from the configuration of FIG. 15 in that the gap in which the sample is accommodated in FIG. 15 is not smaller toward the inside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but is constant, and its structural effect is similar to that of FIG.

도 20은 도 16에 있어서 시료가 수용되는 틈이 시료 수용부의 내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이 아니라 일정하다는 점에서 도 16의 구성과 차이가 있으며, 그 구성적 효과는 도 16의 것과 대동소이하다.FIG. 20 differs from the configuration of FIG. 16 in that the gap in which the sample is accommodated in FIG. 16 is not smaller toward the inside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but is constant, and its structural effect is similar to that of FIG.

도 21는 도 17에 있어서 시료가 수용되는 틈이 시료 수용부의 내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이 아니라 일정하다는 점에서 도 17의 구성과 차이가 있으며, 그 구성적 효과는 도 17의 것과 대동소이하다.FIG. 21 differs from the configuration of FIG. 17 in that the gap in which the sample is accommodated in FIG. 17 is not smaller toward the inside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but is constant, and its structural effect is similar to that of FIG.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도 12 내지 도 21에 개시된 시료 채취/주입 기구는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측정용 스트립과 함께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disclosed in FIGS. 12 to 21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as a biometric data measurement set together with a measurement strip used to measure biometric data.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도 12 내지 도 21에 개시된 시료 채취/주입 기구가 측정용 스트립 상에서 시료를 주입하는 과정 및 원리는 도 6 내지 도 10에서 개시한 바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rocess and principle of injecting the sample on the measuring strip by the sampling / injection apparatus disclosed in FIGS. 12 to 21 described above are substantially similar to those disclosed in FIGS. 6 to 10.

또한, 도 12에서는 시료수용부의 홈이 상기 시료수용부의 몸체의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시료수용부의 상기 홈은 상기 시료수용부의 몸체의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13에서는 시료수용부의 홈이 상기 시료수용부의 몸체의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시료수용부의 상기 홈이 상기 시료수용부의 몸체의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동일한 원리가 중앙 부위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도 15, 도 17, 도 19 및 도 21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Fig. 12, the groove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diameter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but as shown in Fig. 13, the groove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has a diameter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body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It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becomes smaller. In addition, in Fig. 13, the groove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in a shape that the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but the diameter of the groove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is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body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as shown in Fig. 12. It may be formed in this constant shape. This same principle can be equally applied to FIGS. 15, 17, 19, and 21 in which grooves ar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1: 측정 스트립 2,2a,2b,2c,2d: 시료 채취/주입기구
110: 측정 레이어 111: 확산 레이어
113: 분리 레이어 115: 반응 레이어
120: 상부 커버 121: 개방구
121a: 테두리부 130: 하부 기판
210: 본체부 211: 오목홈
220,220a,220b,220c: 시료수용부 221: 틈
223: 홈
1: measuring strip 2,2a, 2b, 2c, 2d: sampling / injection device
110: measurement layer 111: diffusion layer
113: Separation layer 115: Reaction layer
120: upper cover 121: opening
121a: edge portion 130: lower substrate
210: body portion 211: concave groove
220,220a, 220b, 220c: sample accommodating part 221: gap
223: home

Claims (6)

생체 시료를 채취하여 생체 데이터 측정용 스트립에 주입하는 시료 채취/주입기구로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모세관 힘에 의해 상기 생체시료가 수용되는 틈이 형성된 시료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료수용부의 몸체의 선단부에는 상기 틈이, 상기 시료 채취/주입기구를 정면측 방향에서 봤을 때 '十'자 형상 또는 삼십자 형상(
Figure 112011080994826-pat00035
)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료수용부의 몸체의 선단 중앙부에는 상기 틈의 벌어진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주입기구.
A sampling / injection device for taking a biological sample and injecting the biological sample into a strip for measuring biological data,
A main body portion and a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tip end portion having a gap for accommodating the biological sample by capillary force;
The gap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direction of the sample collection / injection mechanism 'twist' shape or cross shape (
Figure 112011080994826-pat00035
),
And a groov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gap width of the gap is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body of the specimen accommodating portion.
생체 시료를 채취하여 생체 데이터 측정용 스트립에 주입하는 시료 채취/주입기구로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모세관 힘에 의해 상기 생체시료가 수용되는 틈이 형성된 시료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료수용부의 몸체는 구(球)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틈은, 상기 시료 채취/주입기구를 정면측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시료수용부의 몸체 선단부의 중앙 부위에서 적어도 2 방향으로 분기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주입기구.
A sampling / injection device for taking a biological sample and injecting the biological sample into a strip for measuring biological data,
A main body portion and a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tip end portion having a gap for accommodating the biological sample by capillary force;
The body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is composed of a sphere (球) shape,
And the gap is formed so as to branch in at least two directions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body tip portion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when the sample / injection mechanism is viewed from the front si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수용부의 몸체 선단부의 중앙 부위에는 상기 틈의 벌어진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주입기구.
The method of claim 2,
And a groov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gap width of the gap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tip portion of the sample accommodation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수용부의 상기 틈은 상기 시료 채취/주입기구의 측면측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시료수용부의 몸체의 내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좁아지는 'V'자 형상으로 파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주입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gap between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is excavated in a 'V' shape, the width of which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sample accommodating / injection device. Injection apparatus.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수용부의 상기 홈은 상기 시료수용부의 몸체의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주입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And said groove is formed in a shape such that the diameter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becomes smaller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body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시료가 주입되는 시료 수용 영역을 구비한 생체 데이터 측정용 스트립과,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료 채취/주입 기구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








A biological data measuring strip having a sample receiving region into which a sample is injected;
A biometric data set comprising a sampling / injection instrume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KR1020100044718A 2009-06-02 2010-05-13 Device for collecting and injecting sample and biomedical data measurement set comprising the same KR1011595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804A KR101147534B1 (en) 2009-06-02 2009-06-02 Device for collecting body fluid
US12/722,165 US8221703B2 (en) 2009-06-02 2010-03-11 Device for collecting sample
KR1020100044718A KR101159513B1 (en) 2010-05-13 2010-05-13 Device for collecting and injecting sample and biomedical data measurement set comprising the same
CN201080030120.6A CN102576031B (en) 2009-06-02 2010-05-17 Sampling/sample injections device and comprise its biological data measure external member
JP2012513860A JP5677416B2 (en) 2009-06-02 2010-05-17 Sampling / injection device and biological data measurement set including the same
EP10783528.2A EP2439540B1 (en) 2009-06-02 2010-05-17 Sampling/sample-injecting apparatus and biodata-measuring set comprising same
PCT/KR2010/003080 WO2010140779A2 (en) 2009-06-02 2010-05-17 Sampling/sample-injecting apparatus and biodata-measuring set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718A KR101159513B1 (en) 2010-05-13 2010-05-13 Device for collecting and injecting sample and biomedical data measurement set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283A KR20110125283A (en) 2011-11-21
KR101159513B1 true KR101159513B1 (en) 2012-06-26

Family

ID=45394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718A KR101159513B1 (en) 2009-06-02 2010-05-13 Device for collecting and injecting sample and biomedical data measurement set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51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3438A (en) * 1997-12-24 1999-07-26 와치 다카시 Test paper and ingredient measuring tips
JPH11318871A (en) * 1998-05-20 1999-11-24 Dainabotto Kk Assay blood drawing tool
US6176865B1 (en) * 1998-03-30 2001-01-23 Agil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cising
KR20090014161A (en) * 2006-05-03 2009-02-06 엔씨엘 뉴 컨셉 랩 게엠베하 Device and method for chemical, biochemical, biological and physical analysis, reaction, assay and mo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3438A (en) * 1997-12-24 1999-07-26 와치 다카시 Test paper and ingredient measuring tips
US6176865B1 (en) * 1998-03-30 2001-01-23 Agil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cising
JPH11318871A (en) * 1998-05-20 1999-11-24 Dainabotto Kk Assay blood drawing tool
KR20090014161A (en) * 2006-05-03 2009-02-06 엔씨엘 뉴 컨셉 랩 게엠베하 Device and method for chemical, biochemical, biological and physical analysis, reaction, assay and m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283A (en) 201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76031B (en) Sampling/sample injections device and comprise its biological data measure external member
US8101404B2 (en) Plasma extraction apparatus
EP2745779B1 (en) Capillary microcuvette having double collection means
US10760965B2 (en) Porous mesh spectrometry methods and apparatus
KR101204299B1 (en) Improved applicator and measurement strip set comprising the same
US20120252133A1 (en) Test meter with a strip port connector configured for fluid entrapment
CA2618305C (en) Multi-layer strip for use in measuring biological material and system for measuring biological material
KR101110561B1 (en) biosensor
KR101032691B1 (en) Biosensor for the use of diagnosis that prompt blood separation is possible
KR101159513B1 (en) Device for collecting and injecting sample and biomedical data measurement set comprising the same
KR101024382B1 (en) Test Strip for analyzing material of aliving creature
US20190175154A1 (en) Apparatus for Drawing of a Bodily Fluid and Method Therefor
KR101175853B1 (en) Biosensor
KR101915727B1 (en) Cuvette
JP2008003066A (en) Biosensor cartridge
KR101345636B1 (en) Unit for measuring blood glucos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easuring blood glucose
KR20110084136A (en) Bio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