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359B1 - Drum type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Drum type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359B1
KR101157359B1 KR1020100081374A KR20100081374A KR101157359B1 KR 101157359 B1 KR101157359 B1 KR 101157359B1 KR 1020100081374 A KR1020100081374 A KR 1020100081374A KR 20100081374 A KR20100081374 A KR 20100081374A KR 101157359 B1 KR101157359 B1 KR 101157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box
bellows
fixing member
inle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3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20752A (en
Inventor
다츠야 오야부
히로시 니시무라
데츠유키 고노
고지 히사노
히로키 하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10020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7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3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식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상자(14)의 투입구(12)와 수조(16)의 개구부(28)의 사이를 수밀하게 접속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원통 형상의 벨로우즈(34)를 구비한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벨로우즈(34)에 투입구(12)의 개구 테두리부에 끼워 맞춰지는 환형 고정 부재부(68)를 설치하고, 고정부재부에 링형상의 와이어(70)를 끼워 맞춰 외부 상자(14)에 고정하도록 하며, 또한 고정 부재부(68)에는 와이어(70)에 의한 조임부 보다도 외주측의 선단부에 상기 조임부에서의 두께(T0) 보다도 두께(T1)를 크게 설정하여 벨로우즈(34)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80)를 설치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벨로우즈의 외부 상자로부터의 빠짐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um type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drum type having an elastically deformable cylindrical bellows (34) which tightly connects an opening (12) of an outer box (14) and an opening (28) of a water tank (16). In the washing machine, the bellows 34 is provided with an annular fixing member 68 fitted to the opening edge of the inlet 12, and the ring-shaped wire 70 is fitted to the fixing member to fit the outer box 14. And the thickness T1 is set to the fixing member 68 at a tip por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fixing member 68 so as to have a larger thickness T1 than the thickness T0 at the tightening portion. By providing a projection (80) for preventing the omission of,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suppress the omission from the outer box of the bellows with a simple configuration.

Figure R1020100081374
Figure R1020100081374

Description

드럼식 세탁기{DRUM TYPE WASHING MACHINE}Drum-type washing machine {DRUM TYP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드럼식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um type washing machine.

일반적으로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외부 상자 전면에 원형으로 형성된 세탁물의 투입구와 이 투입구에 안쪽으로부터 향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된 수조의 개구부와의 사이가 방진 및 방수 기능을 가진 탄성재제로서 자바라 원통 형상의 벨로우즈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In general, in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dustproof and waterproof function is connected between an opening of a laundry formed in a circular shape on the front of an outer box and an opening of a tank formed in a circular shape so as to face the inside of the opening. It is.

이 벨로우즈를 외부 상자의 투입구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는 투입구의 개구 테두리부에 벨로우즈의 외부 상자측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덮고, 이 플랜지부를 링형상의 와이어로 조여 고정하는 방법이 있다.As a method of fixing the bellows to the inlet of the outer box, there is a method of covering the flange portion formed at the outer box side end of the bellows in the opening edge portion of the inlet and tightening the flange by a ring-shaped wire.

그러나 이와 같은 고정 구조의 경우, 수조 내에 설치된 회전조로부터 세탁물을 취출하거나 회전조 내에 세탁물을 투입할 때, 벨로우즈가 세탁물에 끌어 당겨지게 되면 벨로우즈의 외부 상자측 단부가 전방 또는 회전조의 내부 방향으로 당겨져 와이어로부터 벗겨지도록 움직이고, 그 결과 벨로우즈가 외부 상자의 상기 투입구로부터 빠질 우려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fixed structure, when the laundry is taken out from the rotating tank installed in the water tank or the laundry is put into the rotating tank, if the bellows are pulled to the laundry, the outer box side end of the bellows is pulled forward or inside the rotating tank. It moves away from the wire, and as a result, there is a risk that the bellows may fall out of the inlet of the outer box.

이 때문에 벨로우즈의 외부 상자측 단부를 링형상으로 형성된 벨로우즈 고정 금구를 이용한 나사 체결에 의해 상기 플랜지부를 외부 상자에 고정하여 빠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11382호 참조).For this reason, the structure which fixed the said flange part to an outer box by screwing using the bellows fixing bracket which formed the outer box side end of a bellows in ring shape is employ | adopted (for example,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0). -211382).

그러나 상기 종래와 같이 벨로우즈 고정 금구 및 나사를 이용한 고정 방법에서는 부품점수가 많아지고, 구조도 복잡하다.However, in the fixing method using the bellows fixing bracket and screw as in the conventional art, the number of parts is increased an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벨로우즈의 외부 상자 투입구로부터의 빠짐을 억제할 수 있는 드럼식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um type washing machine which can suppress the dropping out of the bellows outer box inlet with a simple configura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는, 세탁물의 투입구를 구비한 외부 상자, 상기 외부 상자 내에 탄성 지지하여 수납된 수조, 상기 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조, 상기 수조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 상자의 투입구로부터 상기 회전조 내로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개구부, 상기 외부 상자의 투입구와 상기 수조의 개구부의 사이를 수밀(水密)하게 접속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원통 형상의 벨로우즈를 구비하고, 상기 벨로우즈는, 상기 외부 상자의 투입구의 플랜지 형상의 개구 테두리부에 끼워 맞추는 환형 고정부재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재부에 와이어를 링형상으로 끼워 맞춰 상기 외부 상자의 투입구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부재부에는 상기 와이어에 의한 조임부 보다도 외부둘레측의 선단부에 상기 조임부의 두께 보다도 두께를 두껍게 설정한 돌기를 둘레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하여 상기 벨로우즈의 상기 와이어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box having a laundry opening, a water tank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outer box, a rotating tank rotatably installed in the water tank, and installed in the water tank. An opening for injecting laundry into the rotating tank from the inlet of the outer box, and an elastically deformable cylindrical bellows that tightly connects the inlet of the outer box with the opening of the water tank; And an annular fixing member portion fitted to a flange-shaped opening edge portion of the inlet of the outer box, and a wire is fitted into the fixing member in a ring shape and fixed to the inlet of the outer box. At the tip of the outer circumference side than the tightening portion by wires, Than the one to install a projection set the thickness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peripheral direction to prevent strike-through from the wire of the bellows characterized.

본 발명에 의하면 벨로우즈의 외부 상자측의 고정부에 있어서, 빠짐 고정 형상의 돌기를 설치함으로써 와이어에 의한 고정 구조이면서 충분한 빠짐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어 벨로우즈의 외부 상자로부터의 빠짐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xing portion on the outer box side of the bellows, by providing a projection having a release fixing shape,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holding force while being a fixing structure by a wire, 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removal of the bellows from the outer box.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세탁기의 투입구 주변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상기 세탁기의 투입구 주변부의 일부 절단 정면도(도 2의 Ⅲ-Ⅲ선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절단),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벨로우즈의 정면도,
도 5는 상기 벨로우즈의 단면도,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벨로우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벨로우즈의 정면도,
도 8은 상기 벨로우즈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a)는 도 7의 VⅢa-VⅢa선에 상당하는 단면도, (b)는 VⅢb-VⅢb선에 상당하는 단면도,
도 9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벨로우즈의 정면도,
도 10은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벨로우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1은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벨로우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2는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벨로우즈의 요부 정면도,
도 13은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벨로우즈의 요부 정면도 및
도 14는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벨로우즈의 요부 정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um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a periphery of an inlet of the washing machine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3 is a partial cutaway front view (cutt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line III-III in FIG. 2) around the inlet periphery of the washing machine;
4 is a front view of the bellow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llows,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bellow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7 is a front view of the bellow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main parts of the bellows, (a)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the VIIIa-VIIIa line in FIG. 7, (b)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the VIIIb-VIIIb line,
9 is a front view of the bellow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10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a bellow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the bellow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12 is a front view of main parts of the bellows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13 is a front view of main parts of the bellows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14 is a front view of main parts of the bellows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drawing.

(제 1 실시형태)(1st embodiment)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식 세탁기(10)는 세탁물의 투입구(12)를 구비한 외부 상자(14)와, 외부 상자(14) 내에 수납되어 탄성 지지된 저수 용기로서의 수조(16)와, 수조(16)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드럼으로서의 회전조(18)를 구비하고 있다.1 and 2,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10 includes an outer box 14 having a laundry inlet 12, and a water tank 16 serving as a storage container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outer box 14. ) And a rotating tank 18 as a drum rotatably disposed in the water tank 16.

외부 상자(14)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그 전면에 원형의 오목부(20)가 설치되며, 오목부(20)에 원형 세탁물의 투입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0)에는 상기 투입구(12)를 개폐하는 도어(22)가 장착되어 있다.The outer box 14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 circular recess 2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and an inlet 12 of circular laundry is formed in the recess 20. The recess 20 is equipped with a door 22 that opens and closes the inlet 12.

도어(22)는 투입구(12)의 개구 테두리부의 좌우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힌지(2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투입구(12)를 폐쇄한 상태로 오목부(20) 내에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어(22)는 환형 도어 프레임(24)과, 그 내측에서 세탁기 내부를 투시 가능한 재료로 구성된 유리창으로서의 도어 본체부(26)로 이루어지고, 도어 본체부(26)의 내면 형상은 투입구(12) 보다 안쪽으로 팽창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The door 22 is rotatably installed by a hinge 23 provided on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pening edge of the inlet 12, and is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in the recess 20 with the inlet 12 closed. have. The door 22 is composed of an annular door frame 24 and a door main body 26 as a glass window made of a material that can see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from the inside thereof, and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main body 26 has an inlet 12. It is a shape expanded inward more.

수조(16)는, 축심이 대략 수평 방향, 엄밀하게는 전방을 향해 약간 상방으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고, 또 후면이 닫혀진 원통 형상을 이루며, 도시하지 않은 댐퍼를 통해 외부 상자(14)의 저판에 탄성 지지되어 있다.The water tank 16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axis is inclined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strictly upwardly and slightly upward, and the rear surface is closed, and the bottom plate of the outer box 14 is provided through a damper (not shown). It is elastically supported.

수조(16)의 전면은 상기 외부 상자(14)의 투입구(12)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전방으로 개구되어 있고, 투입구(12)로부터 회전조(18) 내에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원형 개구부(28)를 구성하고 있다.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tank 16 is opened forward at a position facing the inlet 12 of the outer box 14, and a circular opening 28 for injecting laundry into the rotary tank 18 from the inlet 12 It consists of.

회전조(18)는 수조(16)의 내부에서 수조(16)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또한 후면이 닫혀진 원통 형상 부재이며,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연결되어 수조(16)와 동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rotating tank 18 is a cylindrical member which is disposed coaxially with the water tank 16 inside the water tank 16 and whose rear surface is closed, and is connected to the motor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and centers around the axis coaxial with the water tank 16. It is comprised rotatably.

회전조(18)의 전면의 개구부(30)는 수조(16)의 개구부(28)의 후방에서 축방향으로 대향하여 설치되고, 투입구(12)로부터 개구부(28) 및 개구부(30)를 통해 세탁물이 회전조(18) 내로 투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opening part 30 of the front side of the rotating tank 18 is installed in the axial direction opposing the rear part of the opening part 28 of the water tank 16, and it washes through the opening part 28 and the opening part 30 from the inlet 12.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input into this rotating tank 18. As shown in FIG.

또한, 회전조(18)의 원통 벽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32)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조(18) 내의 물과 수조(16) 내의 물이 이들 복수의 관통 구멍(32)을 통해 서로 유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2 are formed in the cylindrical wall of the rotating tank 18, and water in the rotating tank 18 and water in the water tank 16 flow through each other through thes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2. It is possible.

외부 상자(14)의 투입구(12)와 수조(16)의 개구부(28) 사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벨로우즈(34)가 배치되어 있고, 양자 사이를 수밀하게 접속하고 있다. 벨로우즈(34)는 EPDM(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등의 엘라스토머(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수조(16)가 세탁 동작 시, 헹굼 동작 시 및 탈수 동작 시의 진동에 대해 외부 상자(14)가 상대적으로 추종하여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한 방수 기능과, 세탁 시의 모터의 진동이 수조(16)로부터 외부 상자(14)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방진 기능을 발휘한다.Cylindrical bellows 34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inlet 12 of the outer box 14, and the opening part 28 of the water tank 16, and the both are tightly connected. The bellows 34 is made of an elastomer (elastic material) such as EPDM (ethylene-propylene rubber), and the outer box 14 is relative to the vibration during the washing operation, the rinsing operation and the dewatering operation of the water tank 16. It exhibits the waterproof function by following and elastically deforming, and the dust-proof function which suppresses the transmission of the vibration of the motor at the time of washing from the water tank 16 to the outer box 14.

벨로우즈(34)는, 그 축 방향의 일 단부(전단부)에는 외부 상자(14)의 투입구(12)에 장착되는 외부 상자측 장착부(36)를 구비하고, 축 방향의 타단부(후단부)에는 수조(16)의 개구부(28)에 장착되는 수조측 장착부(38)를 구비한 짧은 통형상 부재이다.The bellows 34 has an outer box side mounting portion 36 attached to the inlet 12 of the outer box 14 at one end (front end) in the axial direction thereof, and the other end (back end) in the axial direction. It is a short cylindrical member provided with the water tank side mounting part 38 attached to the opening part 28 of the water tank 16. As shown in FIG.

벨로우즈(34)는 외부상자측 장착부(36)로부터 후방(안쪽)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통형상부(39)와, 상기 통형상부(39)의 후단으로부터 외주측에 자바라 형상으로 되접어져 수조측 장착부(38)에 연결된 신축부(40)를 구비한다.The bellows 34 has a cylindrical tubular portion 39 extending rearward (inside) from the outer box side mounting portion 36 and a bellows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from the rea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39. And a stretchable portion 40 connected to the tank side mounting portion 38.

통형상부(39)의 외주에는 원통 형상의 완충 부재(41)가 배치되어 있다. 완충 부재(41)는 수조(16)의 진동 시에 신축부(40)가 탄성 변형하여 통형상부(39)에 직접 접촉하는 것에 의해 이음(異音)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쿠션재이며, EPDM의 발포제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cylindrical buffer member 41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rical part 39. As shown in FIG. The shock absorbing member 41 is a cushioning material which prevents joints from being generated by the elastic portion 40 elastically deforming and directly contacting the cylindrical portion 39 when the water tank 16 vibrates. It is formed of a blowing agent or the like.

또한, 통형상부(39)의 외주면에는 직경 방향 바깥쪽을 향해 플랜지 형상의 완충 벽(4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완충 벽(42)은 신축부(40)와 그 전방에 위치하는 외부 상자(14)의 전판(前板)(44) 사이에 개재되어 신축부(40)가 탄성 변형했을 때 전판(44)의 내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Moreover, the flange-shaped buffer wall 42 is integrally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art 39 toward radial direction outward. The buffer wall 42 is interposed betwee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ortion 40 and the front plate 44 of the outer box 14 positioned in front of the expansion wall 40 so that whe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ortion 40 elastically deforms, Prevents direct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벨로우즈(34)의 전단부에 상당하는 외부 상자측 장착부(36)에는 직경 방향 안쪽을 향해 환형 립(46)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립(46)은 도어(22)의 폐쇄 상태에서 도어 본체부(26)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도어(22)와의 사이에서 시일 기능을 발휘한다.The annular lip 46 protrudes toward the radially inner side in the outer box side attachment part 36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bellows 34. The lip 46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body 26 in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22 to exert a sealing function between the door 22 and the door 22.

수조측 장착부(38)의 수조(16)로의 고정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수조(16)의 전단부에는 직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되는 내부 플랜지부(48)가 설치되고, 내부 플랜지부(48)의 내측이 개구부(28)로서 형성되어 있다.The fixing structure of the water tank side attachment part 38 to the water tank 16 is demonstrated. An inner flange portion 48 protruding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water tank 16, and an inner side of the inner flange portion 48 is formed as the opening portion 28.

내부 플랜지부(48)에는 앞쪽을 향해 돌출된 원통 형상의 장착 통부(50)와, 장착 통부(50)의 선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장착 플랜지부(52)가 설치되고, 이에 의해 장착 통부(50)의 외주측에 끼워맞춤 오목홈(54)이 형성되어 있다.The inner flange portion 48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mounting cylinder portion 50 protruding toward the front and a mounting flange portion 52 protru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tip of the mounting cylinder portion 50, whereby the mounting cylinder portion is provided. The fitting recessed groove 54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50. As shown in FIG.

벨로우즈(34)의 수조측 장착부(38)는 장착 플랜지부(52)가 끼워지는 홈부(56)와, 끼워맞춤 오목홈(54)에 끼워 맞추는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인 걸어맞춤부(58)를 구비하고, 걸어맞춤부(58)의 외부 둘레에 와이어(60)를 링형상으로 끼워 맞춰 조이는 것에 의해 수조측 장착부(38)는 수조(16)의 개구부(28)에 장착 고정된다.The water tank side mounting portion 38 of the bellows 34 includes a groove portion 56 into which the mounting flange portion 52 is fitted, and an engagement portion 58 having a substantially U-shaped cross section for fitting into the fitting concave groove 54. And the water tank side mounting portion 38 is fixed to the opening 28 of the water tank 16 by fitting and tightening the wire 60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gaging portion 58 in a ring shape.

계속해서 외부 상자측 장착부(36)의 외부 상자(14)로의 고정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외부 상자(14)의 전면부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전판(44)이 설치되고, 전판(44)에 원형의 개구부를 설치하여, 개구부에 의해 투입구(12)를 형성하고 있다.Next, the fixing structure of the outer box side mounting part 36 to the outer box 14 is demonstrated. A front plate 44 made of a metal plate is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outer box 14, and a circular opening is provided in the front plate 44, and an opening 12 is formed by the opening.

보다 상세하게는 전판(44)의 전면은 수지제 화장판(62)에 의해 덮혀 있고, 화장판(62)에 의해 외부 상자(14) 전면부의 오목부(20)가 형성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late 44 is covered with a resin decorative plate 62, and the concave portion 20 of the front portion of the outer box 14 is formed by the decorative plate 62.

투입구(12)의 개구 테두리부는, 외부 방향 역 테이퍼 형상으로 접어 돌출시킨 플랜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투입구(12)의 개구 테두리부는 전판(44)의 개구 테두리부를 전방 또 직경 방향 바깥측으로 되접어 역 테이퍼 형상으로 넓어지는 전측 플랜지부(64)를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하고, 이에 의해 전측 플랜지부(64)의 외부 둘레와 전판(44)의 본체 부분과의 사이에 단면이 대략 V자형, 즉 예각 형상의 끼워맞춤 홈(66)을 형성하고 있다.The opening edge part of the injection opening 12 has comprised the flange shape which folded and protruded outwardly in a taper shape. That is, the opening edge part of the inlet 12 forms the front flange part 64 which spreads the opening edge part of the front plate 44 forward and radially outward and spreads in reverse taper shape over the whole periphery, and thereby the front side plan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ranch portion 64 and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front plate 44, a cross section is formed with a fitting groove 66 having a substantially V shape, that is, an acute angle shape.

한편, 벨로우즈(34)의 외부 상자측 장착부(36)는 상기 끼워맞춤 홈(66)의 외측에서 끼워 맞춰지는 환형으로서, 또한, 필렛(fillet)형의 고정 부재부(68)를 구비하고, 고정 부재부(68)에 와이어(70)를 링형상으로 하여 끼워 맞춰 전판(44)에 고정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box-side mounting portion 36 of the bellows 34 is an annular shape to be f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fitting groove 66, and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llet-type fixing member 68, The wire 70 is fitted into the member portion 68 in a ring shape, and is fixed to the front plate 44.

상세하게는, 고정 부재부(68)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장착부(36)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부재부(68A)와, 제 1 부재부(68A)의 후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재부(68B)로 이루어지며, 제 1 부재부(68A)의 내주측에 전측 플랜지부(64)가 끼워 맞춰지는 후방을 향해 개방된 홈부(72)가 설치되어 단면이 대략 Z자형을 이루고 있다.Specifically, the fixing member 68 includes a first member 68A extending rea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outer mounting portion 36 and the first member 68A as shown in FIGS. 2 and 5. And a second member portion 68B extending in the radially outward direction from the rear end thereof, and opening toward the rear in which the front flange portion 64 is fit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first member portion 68A. 72) is provided so that the cross section is substantially Z-shaped.

와이어(70)는 둘레 방향의 일부에 코일 스프링부(74)를 구비하고(도 3 참조), 그 직경을 축소하려고 하는 스프링력에 의해 고정 부재부(68)를 전판(44)에 조여 고정한다. 즉, 고정 부재부(68)는 와이어(70)에 의해 끼워맞춤 홈(66) 내에 압입되고, 와이어(70)의 조이는 힘에 의해 끼워맞춤 홈(66) 내에 고정된다.The wire 70 is provided with the coil spring part 74 in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refer FIG. 3), and fastens and fixes the fastening member part 68 to the front plate 44 by the spring force which tries to reduce the diameter. . That is, the fixing member 68 is press-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66 by the wire 70, and is fixed in the fitting groove 66 by the tightening force of the wire 70.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70)는 그 일 단부(70A)를 외부 상자(14)의 투입구(12)의 개구 테두리부에 설치된 제 1 장착 구멍(76)에 걸어 일단이 고정되고, 그곳으로부터 투입구(12)의 둘레에 링 형상으로 한바퀴 감아 부착되며, 또한 타단부(70B)를 투입구(12)의 개구 테두리부에 설치된 제 2 장착 구멍(78)에 걸어 타단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링 형상으로 장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one end of the wire 70 is fixed by hooking one end 70A to the first mounting hole 76 provided in the opening edge of the inlet 12 of the outer box 14, There, a ring shape is wound around the inlet 12 in a ring shape, and the other end 70B is hooked on the second mounting hole 78 provided in the opening edge of the inlet 12 so that the other end is fixed. Equipped with.

타단부(70B)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부(7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코일 스프링부(74)를 포함하는 둘레 방향 부분의 일부가 일 단부(70A)와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겹치는 부분(70C)를 갖도록 하여 타단부(70B)가 제 2 장착 구멍(78)에 걸려 고정되고 있다. 이 겹치는 부분(70C)은 와이어(70)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투입구(12)의 상부 테두리측에 배치되어 있다.The coil spring portion 74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portion 70B, and a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including the coil spring portion 74 overlaps one end 70A with a predetermined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70C. The other end 70B is caught and fixed to the second mounting hole 78 so as to have. This overlapping part 70C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edge side of the inlet 12 so that attachment operation of the wire 70 can be performed easily.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부(68)에는 와이어(70)에 의한 조임부 보다도 외주측의 타단부에 벨로우즈(34)가 와이어(70)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80)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ixing member 68 includes a protrusion 80 that prevents the bellows 34 from escaping from the wire 70 at the other end por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fastening portion by the wire 70. It is installed.

돌기(80)는 고정 부재부(68)의 선단부에서의 두께(T1)가 와이어(70)에 의한 조임부에서의 두께(T0) 보다도 커지도록 고정 부재부(68)의 선단부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The protrusion 80 protrudes from the tip of the fixing member 68 so that the thickness T1 at the tip of the fixing member 68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T0 at the tightening portion by the wire 70. .

상세하게는 돌기(80)는 전판(44)의 벽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2 부재부(68B)의 직경 방향 외부 둘레 테두리부에서 전판(44)의 벽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벽면에 대해 직립하여 설치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projection 80 is erect with respect to the wall surface so as to project toward the direction away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front plate 44 at the radially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second member portion 68B extending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front plate 44. It is installed.

돌기(80)는 고정 부재부(68)의 선단부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돌조(突條)에 형성되고, 이 예에서는,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70)의 상기 상기 겹치는 부분(70C)에 상당하는 둘레 방향 위치(즉, 상측 부분)에 절개부(82)를 구비한 평면에서 봐서 대략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protrusion 80 is formed in a protrusion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tip end of the fixing member 68. In this example, as shown in Figs. It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 shape in plan view with the cutout portion 82 at the circumferential position (that is, the upp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portion 70C.

또한, 돌기(80)는 둘레 방향으로 높이가 일정하고, 또 폭도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3, 도 4에서는 돌기(80)의 형상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빈틈없이 칠해 도시하고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projection 80 is set constan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width is set constant. In addition, in FIG. 3, FIG. 4, the shape of the processus | protrusion 80 is shown in order to make it easy to understand.

상기 구성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10)에서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벨로우즈(34)의 외부 상자측 장착부(36)에서는 회전조(18) 내로부터 세탁물을 취출하거나 투입구(12)로부터 회전조(18) 내에 세탁물을 투입할 때, 벨로우즈(34)의 립(46)이 세탁물에 의해 전방 또는 회전조(18)의 내부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In the washing machin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f the above configuration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That is, in the outer box side mounting portion 36 of the bellows 34, the lip of the bellows 34 is removed when the laundry is taken out from the rotary tub 18 or the laundry is fed into the rotary tub 18 from the inlet 12. 46 may be pulled forward or inward of the rotating tub 18 by the laundry.

이 때, 벨로우즈(34)의 고정 부재부(68)에는 외부 상자(14)의 전판(44)에 설치한 전측 플랜지부(64)를 타고 넘어 직경 방향 내측으로 당겨지는 힘이 작용하므로 와이어(70)에 의한 체결부로부터 고정 부재부(68)가 벗겨지고, 그 결과 벨로우즈(34)가 외부 상자(14)로부터 빠질 우려가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force pulled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is applied to the fixing member portion 68 of the bellows 34 via the front flange portion 64 provided on the front plate 44 of the outer box 14. ), The fastening member portion 68 is peeled off from the fastening portion, and as a result, the bellows 34 may come off from the outer box 14.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벨로우즈(34)의 고정 부재부(68)의 선단부에 빠짐 고정 방지를 위한 돌기(80)를 설치했으므로 와이어(70)가 돌기(80)를 타고 넘기까지의 동안, 바꿔 말하면 돌기(80)가 와이어(70)를 빠져나가기까지의 동안, 벨로우즈(34)가 외부 상자(14)에 설치된 전측 플랜지부(64)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projection 80 for preventing a fall-out is provided in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fixing member 68 of the bellows 34, it changes while the wire 70 passes over the projection 80.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llows 34 from coming off the front flange portion 64 provided in the outer box 14 while the projection 80 exits the wire 70.

돌기(80)의 높이에도 의존하지만, 고정 부재부(68)가 외부 상자(14)로부터 벗겨지는 데에 필요한 힘인 빠지는 힘을 예를 들면 2배 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projection 80, the releasing force, which is the force required for the fixing member portion 68 to be peeled off the outer box 14, can be improved, for example, by two or more times.

바꿔 말하면 와이어(70)에 의한 고정 구조이면서 돌기(80)라는 간단한 구성의 부가로 벨로우즈의 외부 상자로부터의 빠짐을 억제하는 빠짐 고정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In other words, by the addition of the simple structure of the projection 80 while being a fixed structure by the wire 70,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release locking force that suppresses the release of the bellows from the outer box.

돌기(80)는 둘레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있으면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둘레 방향을 따르는 돌조에 의해 형성했으므로 복수의 돌기를 점형상으로 배치하여 형성한 경우에 비해 둘레 방향으로 서로 보강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와이어(70)가 보다 타고 넘어가기 어려워져 빠짐 고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Although the protrusions 80 should just be provided in at least one part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protrusions were formed by the protrus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can reinforce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ome processus | protrusion was formed in the point shape. As a result, the wire 70 is more difficult to ride over, thereby improving the release fixing effect.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기(80)가 와이어(70)의 겹치는 부분(70C)에서 절개부(82)를 구비한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즉 겹치는 부분(70C)에는 돌기(80)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jection 80 is formed in a C shape having the cutout portion 82 at the overlapping portion 70C of the wire 70. That is, the projection 80 is formed at the overlapping portion 70C. It is not installed.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와이어(70)의 코일 스프링부(74)가 돌기(80)상에 타고 올라간 상태로 조립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와이어(70)의 장착 작업성이 향상된다.For this reason, for example, the problem that the coil spring part 74 of the wire 70 is assembled on the protrusion 80 can be eliminated, and the workability of the wire 70 is improved.

또한, 이 돌기(80)를 설치하지 않은 절개부(82)에서는 겹치는 부분(70C)에 의해 와이어(70)가 이중으로 감겨 부착되어 있으므로 돌기(80)를 없애도 어느 정도의 벨로우즈의 외부 상자로부터의 빠짐을 억제하는 빠짐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utout portion 82 where the projection 80 is not provided, since the wire 70 is wound in duplicate by the overlapping portion 70C, even if the projection 80 is removed, the bellows from the outer box of some degree is remove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missing fixing force to suppress the missing.

또한, 벨로우즈(34)의 수조측 장착부(38)에서는, 와이어(60)에 의해 조여지는 걸어맞춤부(58)에는 이와 같은 빠짐 고정 돌기를 설치하고 있지 않다. 수조측 장착부(38)는 벨로우즈(34)의 통형상부(39) 보다도 직경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고, 또한 신축부(40)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므로 세탁물의 출입 시에 과대한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water tank side attachment part 38 of the bellows 34, the said engagement | fixed part 58 fastened by the wire 60 does not provide such a removal fixing protrusion. The water tank side mounting portion 38 is located radially outward from the tubular portion 39 of the bellows 34, and is connected via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ortion 40, so that an excessive force does not act upon the entry and exit of the laundry.

이 때문에 외부 상자측 장착부(36)와 같이 큰 빠짐 고정력을 확보할 필요성이 적으므로, 수조측 장착부(38)의 걸어맞춤부(58)를 끼워맞춤 오목홈(54)을 따라서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다.For this reason, since there is little need to ensure a large pull-out force like the outer box side mounting part 36, the cross section is substantially U-shaped along the recessed recess 54 by fitting the engagement part 58 of the tank side mounting part 38. It is just installed in the shape.

(제 2 실시형태)(2nd embodiment)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벨로우즈(34A)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벨로우즈(34A)의 고정 부재부(68)에 설치된 돌기(80A)가 높이 방향으로 단(段) 부착 형상으로 된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는 다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bellows 34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is example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projection 80A provided on the fixing member portion 68 of the bellows 34A has a stepped shape in the height direction.

즉, 이 예에서 돌기(80A)는 도 6에 도시한 단면 형상에서 와이어(70)에 의한 체결부에 가까운 측의 내주측 부분(84)과, 내주측 부분(84) 보다도 돌출 높이가 낮은 외주측 부분(86)으로 이루어진 단 부착 형상을 이루고 있다.That is, in this example, the projection 80A has an inner circumferential side portion 84 on the side near the fastening portion by the wire 70 and an outer circumference lower tha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portion 84 in the cross-sectional shape shown in FIG. 6. The end attachment shape which consists of the side parts 86 is comprised.

이 경우, 돌출 높이가 높은 내주측 부분(84)이 와이어(70)가 타고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본래의 빠짐 고정 돌기이고, 내주측 부분(84)의 외주에 일체로 설치된 높이가 낮은 외주측 부분(86)은 내주측 부분(84)을 보강하여 빠짐 고정 효과를 향상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portion 84 having a high projecting height is an original release fixing protrusion that prevents the wire 70 from riding ove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portion having a low height integrally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portion 84. 86 is provided to reinfor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portion 84 to improve the detachment fixing effect.

이 단 부착 형상의 돌기(80A)는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단면 형상으로 해도 좋고, 또는 외주측 부분(86)을 구비하지 않은 단면 형상과 둘레 방향으로 번갈아 설치해도 좋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설명은 생략한다.This end-attached protrusion 80A may have a constant cross-sectional shap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may be alternately provided in the cross-sectional shape without the outer peripheral side portion 86 a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other structure and effect are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제 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도 7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벨로우즈(34B)의 평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벨로우즈(34B)의 고정 부재부(68)에 설치된 돌기(80B)를 고정 부재부(68)의 둘레 방향에서 폭이 넓은 제 1 돌조 부분(88)과, 이 제 1 돌조 부분(88)과 비교하여 폭이 좁은 제 2 돌조 부분(90)을 번갈아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또한, 도 7에서는 돌기(80B)의 형상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빈틈없이 칠해 도시하고 있다(단, 확대도는 제외).7 is a plan view of the bellows 34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projection 80B provided in the fixing member portion 68 of the bellows 34B has a wide first protrusion portion 88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xing member portion 68, and the first protrusion portion ( Compared with 88), it differs from 1st Embodiment in that the narrow 2nd protrusion part 90 is alternately provided and comprised. In addition, in FIG. 7, the shape of the processus | protrusion 80B is shown in order to make it easy to understand (however, an enlarged view is excluded).

즉, 평면에서 봐서 C자 형상을 이루는 돌기(80B)는 폭이 넓은 제 1 돌조 부분(88)과, 이 보다도 폭이 좁은 제 2 돌조 부분(90)이 둘레 방향으로 번갈아 설치되어 폭 방향으로의 단 부착 형상이 된다.That is, in the plan view, the projection 80B having a C shape has a wide first protrusion portion 88 and a narrower second protrusion portion 90 alternately install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us, in the width direction. However, the attached shape becomes.

보다 상세하게는,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넓은 제 1 돌조 부분(88)은 폭이 좁은 제 2 돌조 부분(90)에 대해 직경 방향 바깥측으로 두껍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둘레 방향의 소정 간격마다 직경 방향 바깥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wide first protruding portion 88 is thicken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narrow second protruding portion 90. By configuring in this way, it is formed in the shape which protrudes radially outward every predetermined space | interval of a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 경우, 폭이 넓은 제 1 돌조 부분(88)을 둘레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빠짐 고정 형상이 보강되어 와이어(70)로부터의 벨로우즈(34B)의 분리를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by providing the wide first projection portion 88 intermittent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missing fixing shape is reinforced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bellows 34B from the wire 70 more effectively.

또한, 둘레 방향의 전체에서 폭이 넓은 제 1 돌조 부분을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벨로우즈(34B)를 외부 상자(14)에 조립할 때, 고정 부재부(68)를 넓혀 끼워맞춤 홈(66)에 장착하기 쉽고, 따라서 장착 작업성과 빠짐 고정 효과를 양립시킬 수 있다. 그 외 다른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assembling the bellows 34B to the outer box 14, the fixing member 68 is widened and attached to the fitting groove 66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wide first protrusion is provided in the en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easy to do it, and therefore, mounting workability and a missing fixing effect can be made compatible. The other structure and effect are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제 4 실시형태)(Fourth Embodiment)

도 9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벨로우즈(34C)의 평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벨로우즈(34C)의 고정 부재부(68)에 설치된 돌기(80C)를 둘레 방향에서 단속하여 바꿔 말하면 돌기(80C)를 단속적으로 설치한 점이 제 1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또한, 도 9에서는 돌기(80C)의 형상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빈틈없이 칠해 도시하고 있다.9 is a plan view of the bellows 34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is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projection 80C provided on the fixing member portion 68 of the bellows 34C is intermittently intermittently installed, that is, the projection 80C is intermittently provided. In addition, in FIG. 9, in order to understand the shape of the processus | protrusion 80C, it is shown by painting seamlessly.

즉, 이 예에서 돌기(80C)는 와이어(70)의 겹치는 부분(70C)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절개부(82)가 설치된 평면에서 봐서 C자 형상인 점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지만, C자 형상 부분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속된 돌조가 아니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단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That is, in this example, the projection 80C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projection 80C is C-shaped in view of the plane in which the cutout 82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portion 70C of the wire 70. It is provided intermittent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stead of the continuous protrus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magnetic part.

이와 같이 돌기(80C)를 단속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벨로우즈(34C)를 외부 상자(14)에 조립할 때, 고정 부재부(68)를 넓혀 끼워맞춤 홈(66)에 장착하기 쉽고, 장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외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way, when the projections 80C are intermittently installed, when the bellows 34C is assembled to the outer box 14, the fixing member 68 is extended to be easily mounted in the fitting groove 66, thereby improving the mounting workability. Can be. The other structure and effect are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제 5 실시형태)(Fifth Embodiment)

도 10은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벨로우즈(34D)의 고정 부재부(68)에서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부재부(68)의 단면 형상에서 제 2 부재부(68B)에 대한 돌기(80D)의 밑동부의 형상이 제 1 실시형태와는 다르다.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68 of the bellows 34D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base of the projection 80D with respect to the second member portion 68B 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xing member portion 68 is different from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즉, 제 2 부재부(68B)로부터 돌출되는 돌기(80D)의 밑동부의 곡률반경을 내주측과 외주측에서 다르게 되어 있고, 와이어(70)측에 위치하는 내주측의 밑동부의 곡률반경(R1) 보다도 외주측의 밑동부의 곡률 반경(R2)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That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base portion of the protrusion 80D projecting from the second member portion 68B is different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side and the outer circumference side,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base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ce side located on the wire 70 side ( The radius of curvature R2 of the base por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is set larger than that of R1).

이와 같이 내주측 곡률 반경(R1)을 작게 하여 와이어(70)가 돌기(80D)를 타고 올라가기 어렵게 할 수 있고, 또한 외주측 곡률반경(R2)을 크게 하여 돌기(80D)를 외측으로 쓰러지기 어렵게 보강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curvature radius R1 can be made small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wire 70 to climb on the protrusion 80D,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curvature radius R2 is made large to make the protrusion 80D fall outward. It can be hardly reinforced.

그 결과, 와이어(70)로부터의 벨로우즈(34D)의 분리를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외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설명은 생략한다.As a result, separation of the bellows 34D from the wire 70 can be prevented more effectively. The other structure and effect are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제 6 실시형태)(Sixth Embodiment)

도 11은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벨로우즈(34E)의 고정 부재부(68)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고정 부재부(68)의 단면 형상에서 돌기(80E)를 제 2 부재부(68B)의 표리 양면에 설치한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는 다르다.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portion 68 of the bellows 34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This example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projection 80E is provided on both front and back sides of the second member portion 68B 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xing member portion 68.

즉, 이 실시형태에서 돌기(80E)는 제 2 부재부(68B)의 표면(즉,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 1 볼록부(92)와, 제 2 부재부(68B)의 내면(즉, 후면)으로부터 전판(44)측으로 돌출되는 제 2 볼록부(94)로 이루어진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projection 80E is the first convex portion 92 projecting forward from the surface (ie,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member portion 68B, and the inner surface (ie, the second member portion 68B). And a second convex portion 94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toward the front plate 44 side.

이와 같이 내면측에도 돌기(제 2 볼록부(94))를 설치한 경우, 고정 부재부(68)를 와이어(70)로 조여 부착했을 때, 내면측의 제 2 볼록부(94)의 존재에 의해 표면측의 제 1 볼록부(92)가 와이어(70)측으로 기운 상태가 되고, 제 1 볼록부(92)를 외측으로 넘어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Thus, when the projection (second convex part 94) is provided also in the inner surface side, when the fixing member 68 is fastened and attached by the wire 70, by the presence of the 2nd convex part 94 of the inner surface side, The surface 1st convex part 92 will be inclined to the wire 70 side, and it can make it difficult to fall the 1st convex part 92 to the outside.

이 때문에 와이어(70)로부터의 벨로우즈(34E)의 분리를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설명은 생략한다.For this reason, separation of the bellows 34E from the wire 70 can be prevented more effectively. The other structure and effect are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제 7 실시형태)(Seventh Embodiment)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돌기(80, 80A 내지 80E)는 모두 1중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2중 내지 3중으로 다중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all of the protrusions 80, 80A to 80E are provided in single, but they can also be provided in multiple in two to three.

도 12는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벨로우즈(34F)를 도시하고, 돌기(80F)를 2중으로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단지 내외 2중으로 설치할 뿐만 아니라 내주측 돌조(96)와 외주측 돌조(98) 사이에 방사 형상의 리브(100)를 설치하여 양 돌조(96, 98)를 연결하고 있다. 리브(100)는 둘레 방향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돌기(80F)의 형상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빈틈없이 칠해 도시하고 있다.12 shows the bellows 34F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and the projections 80F are provided in duplicate. In addition, the two ribs 96 and 9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installing radial ribs 100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protrusions 96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protrusions 98 as well as providing the inner and outer doubles. The rib 100 i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ddition, in FIG. 12, the shape of the processus | protrusion 80F is shown in order to make it easy to understand.

이와 같이 내외 2중의 돌조(96, 98)를 설치하고, 양자를 방사 형상의 리브(100)로 연결한 것에 의해 와이어(70)의 빠짐을 방지하는 내주측 돌조(96)를 보강하여 와이어(70)로부터의 벨로우즈(34F)의 분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외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way, the inner and outer double protrusions 96 and 98 are provided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protrusions 96 for preventing the wires 70 from being pulled out by connecting both with the radial ribs 100 to reinforce the wire 70. Separation of the bellows 34F from)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The other structure and effect are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제 8 실시형태)(Eighth embodiment)

도 13은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벨로우즈(34G)를 도시하고 있다. 돌기(80G)를 2중으로 설치하고 있지만, 내외의 돌조(96, 98) 모두 단속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또한 내주측 돌조(96)와 외주측 돌조(98)가 둘레 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13 shows a bellows 34G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Although the projections 80G are provided in duplicate, both the inner and outer ledges 96 and 98 are intermittently provided,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protrusions 96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protrusions 98 are arranged different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와 같이 구성하여 벨로우즈(34G)의 외부 상자(14)로의 장착 작업성과 빠짐 고정 효과를 양립시킬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3에서는 돌기(80G)의 형상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빈틈없이 칠해 도시하고 있다.By configuring in this way, the workability | attachment of the bellows 34G to the outer box 14, and an omission fixing effect are compatible. The other structure and effect are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In addition, in FIG. 13, the shape of the projection 80G is shown to make it easy to understand.

(제 9 실시형태)(Ninth embodiment)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모두 돌기(80, 80A 내지 80G)를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돌조에 의해 구성했지만, 돌기는 둘레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있으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에 한정되지 않는다.Although the protrusions 80 and 80A-80G were comprised by the protrusion exten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ll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if protrusion is provided in at least one part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protrusion exten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14는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벨로우즈(34H)를 도시하고, 돌기(80H)는 대략 핀형상을 이루며,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병설되어 있다.FIG. 14 shows the bellows 34H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and the projections 80H are substantially pin-shaped, and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와 같이 핀 형상의 독립된 돌기(80H)라도 고정 부재부(68)의 선단부를 두껍게 하여 벨로우즈(34H)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manner, even when the pin-shaped independent projection 80H is made thicker, the tip of the fixing member 68 can be thickened to prevent the bellows 34H from being pulled out. The other structure and effect are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기타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상기 각 실시형태 외에 도시하지 않지만, 돌기 형상으로서는 여러 가지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기를 3중 이상으로 설치하고, 이들의 직경 방향으로의 간격을 부등간격으로 배치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의 돌기 형상은 적절히 조합하여 채용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other than the above embodiments, various shapes can be adopted as the projection shape. For example, the protrusions may be provided in three or more times, and the intervals in the radial direction thereof may be arranged at uneven intervals. In addition, the projection shape of each embodiment mentioned above can be employ | adopted combining suitably.

또한, 도 6이나 도 7,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은 돌기의 보강 구조를 설치하는 경우, 투입구(12)의 둘레 방향에서 그 개구 테두리의 하측 부분에만 설치해도 좋다. 투입구(12)의 하부 테두리측 부분에는 세탁물을 출입할 때, 다른 부분 보다도 벨로우즈(34)에 힘이 가해지기 쉽고, 빠지기 쉬우므로 이 부분에 한정하여 보강 구조를 설치하여 보다 효과적인 벨로우즈의 빠짐 고정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providing the reinforcement structure of protrusion like FIG. 6, FIG. 7, and FIG. 10 thru | or 12, you may provide only in the lower part of the opening edg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let 12. As shown in FIG. The lower edge side part of the inlet 12 is easier to apply the force to the bellows 34 than the other part when entering and exiting the laundry, and thus it is easy to be pulled out. We can plan

10 : 드럼식 세탁기 12 : 투입구
14 : 외부 상자 16 : 수조
18 : 회전조 22 : 도어
28 : 수조의 개구부 34(34A 내지 34H) : 벨로우즈
36 : 외부 상자측 장착부 44 : 외부 상자의 전판
64 : 전측 플랜지부 66 : 끼워맞춤 홈
68 : 고정 부재부 70 : 와이어
70A : 일단부 70B : 타단부
70C : 겹치는 부분 80(80A 내지 80H) : 돌기
82 : 절개부 84 : 내주측 부분
86 : 외주측 부분 88 : 제 1 돌조 부분
90 : 제 2 돌조 부분
T0 : 와이어에 의한 체결부에서의 고정 부재부의 두께
T1 : 선단부에서의 고정 부재부의 두께
10 drum washing machine 12 inlet
14: outer box 16: tank
18: rotating tub 22: door
28: opening 34 of a water tank (34A-34H): bellows
36: outer box side mounting portion 44: the front plate of the outer box
64: front flange portion 66: fitting groove
68: fixing member 70: wire
70A: one end 70B: the other end
70C: overlapping part 80 (80A to 80H): protrusion
82: incision 84: inner peripheral portion
86: outer peripheral portion 88: first protruding portion
90: second stone portion
T0: thickness of the fixing member portion at the fastening portion by the wire
T1: thickness of the fixing member at the tip end

Claims (6)

세탁물의 투입구를 구비한 외부 상자, 상기 외부 상자 내에 탄성 지지하여 수납된 수조, 상기 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조, 상기 수조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 상자의 투입구로부터 상기 회전조 내로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개구부, 상기 외부 상자의 투입구와 상기 수조의 개구부의 사이를 수밀하게 접속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원통 형상의 벨로우즈를 구비하고,
상기 벨로우즈는,
상기 외부 상자의 투입구의 플랜지 형상의 개구 테두리부에 끼워 맞추는 환형 고정 부재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재부에 와이어를 링형상으로 끼워 맞춰 상기 외부 상자의 투입구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부재부에는 상기 와이어에 의한 조임부 보다도 외부둘레측의 선단부에 상기 조임부의 두께 보다도 두께를 두껍게 설정한 돌기를 둘레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하여 상기 벨로우즈의 상기 와이어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An outer box having an inlet for laundry, a water tank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outer box, a rotating tank rotatably installed in the water tank, and installed in the water tank to inject laundry into the rotating tank from the inlet of the outer box. An elastically deformable cylindrical bellows for tightly connecting an opening, an opening of the outer box, and an opening of the tank,
The bellows,
An annular fixing member portion fitted to a flange-shaped opening edge portion of the inlet of the outer box, the wire being fitted in a ring shape to the fixing member, and fixed to the inlet of the outer box,
In the fixing member portion, a protrusion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ightening portion is provid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tip of the outer peripheral side than the tightening portion by the wire to prevent the bellows from falling out of the wire. Drum typ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고정 부재부의 선단부에 설치된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돌조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said projection is formed in a projection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said fix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일단부를 상기 외부 상자의 투입구의 개구 테두리부에 고정하고, 상기 외부 상자의 투입구 둘레에 링형상으로 감아 부착하며, 또한 타단부를 상기 일단부와 둘레 방향으로 겹치는 부분을 갖게 하여 상기 투입구의 개구 테두리부에 고정함으로써 링형상으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돌기는 상기 와이어의 겹치는 부분에 상당하는 둘레 방향 위치에 절개부를 가진 환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 is fixed at one end to the opening edge of the inlet of the outer box, and wound around the inlet of the outer box in a ring shape, and the other end has a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one 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mounted in a ring shape by fixing to the opening edge of the
And said projection is provided in an annular shape having an incision in a circumferential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wir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고정 부재부의 둘레 방향에서 단속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ojection is a drum typ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termittent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xing memb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내주측 부분과 상기 내주측 부분 보다도 돌출 높이가 낮은 외주측 부분을 포함하는 높이 방향의 단 부착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said projection has an end attachment shape in the height direction includ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ide portion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ide portion having a lower projecting height tha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조는 상기 고정 부재부의 둘레 방향에서 폭이 넓은 제 1 돌조 부분과 폭이 좁은 제 2 돌조 부분을 번갈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said protruding protrusion alternately comprises a wide first protruding portion and a narrow second protruding portion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said fixing member portion.
KR1020100081374A 2009-08-24 2010-08-23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115735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93119 2009-08-24
JP2009193119A JP5486871B2 (en) 2009-08-24 2009-08-24 Drum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752A KR20110020752A (en) 2011-03-03
KR101157359B1 true KR101157359B1 (en) 2012-06-15

Family

ID=4382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374A KR101157359B1 (en) 2009-08-24 2010-08-23 Drum type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486871B2 (en)
KR (1) KR101157359B1 (en)
CN (1) CN201801752U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8409A (en) * 2011-04-27 2012-11-22 Panasonic Corp Drum-type washing machine
KR102598162B1 (en) * 2018-06-14 2023-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451A (en) * 2004-06-01 2005-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Structure of tub cover i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060093858A (en) * 2005-02-23 2006-08-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Door gasket for drum washing machine
KR20060098914A (en) * 2005-03-09 2006-09-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Door gasket for drum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6171A (en) * 1983-10-28 1985-05-29 Hitachi Ltd Carrier drive device
JP3629868B2 (en) * 1997-01-30 2005-03-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Drum washing machine
JP2002213484A (en) * 2001-01-15 2002-07-31 Ntn Corp Boot for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EP1690969A1 (en) * 2005-02-10 2006-08-1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Improvement in the front flange of a household-type clothes washing machine
JP4583197B2 (en) * 2005-02-14 2010-11-17 株式会社東芝 Washing machine
JP4552875B2 (en) * 2006-03-13 2010-09-29 豊田合成株式会社 boots
JP4782594B2 (en) * 2006-03-16 2011-09-28 株式会社東芝 Drum washing machine
JP4368898B2 (en) * 2007-04-02 2009-11-1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Drum washing machine
JP2008295957A (en) * 2007-06-04 2008-12-11 Hitachi Appliances Inc Washing/drying machine
JP2010001979A (en) * 2008-06-20 2010-01-07 Ntn Corp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451A (en) * 2004-06-01 2005-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Structure of tub cover i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060093858A (en) * 2005-02-23 2006-08-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Door gasket for drum washing machine
KR20060098914A (en) * 2005-03-09 2006-09-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Door gasket for drum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752A (en) 2011-03-03
CN201801752U (en) 2011-04-20
JP5486871B2 (en) 2014-05-07
JP2011041746A (en)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8756B2 (en) Gasket and a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20080053161A1 (en) Front-Load Drum Washing Machine Comprising an Illumination and/or Spraying Device in the Expansion Joint
JP2005119410A (en) Mounting structure of side sill garnish
KR20150072802A (en) Device for fixing a wall 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1157359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JP5798385B2 (en) Seal structure of vehicle door mirror mounting part
EP2262941A1 (en) Drum of a washing machine
CN107142674B (en) Wall-mounted washing machine
JP6329420B2 (en) Vehicle rear door
JP2006142034A (en) Fixing device for combining balance weight with washing tub
JP5741209B2 (en) Splash cover mounting structure
KR102540927B1 (en) Vehicle clip
JP5550763B2 (en) Grommet
JP2011035972A (en) Grommet with inner
JP2020141895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CN111576007A (en) Screw cover and washing machine
EP2941496B1 (en) A washing machine having a clamping ring
KR20040011965A (en) Structure for prevention of vibration of lower cover in drum washing machine
KR100568673B1 (en) Combination structure of bumper cover and fender
JP5270117B2 (en) Grommet
KR101359984B1 (en) Bracket device for bumper of vehicle
JP2017043162A (en) Assist grip
KR100212517B1 (en) Ball joint fastening structure
JP2015098293A (en) Fitting structure for mounting component of instrument panel
KR20220053288A (en) Sealing Structure Of Foward Trunk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