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356B1 - Shock-absorbing sheet for improving body balance and blood flow - Google Patents

Shock-absorbing sheet for improving body balance and blood f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356B1
KR101154356B1 KR20110008785A KR20110008785A KR101154356B1 KR 101154356 B1 KR101154356 B1 KR 101154356B1 KR 20110008785 A KR20110008785 A KR 20110008785A KR 20110008785 A KR20110008785 A KR 20110008785A KR 101154356 B1 KR101154356 B1 KR 101154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sheet
pressure
shock absorbing
buff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087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희운
Original Assignee
(주) 엘비스가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비스가버 filed Critical (주) 엘비스가버
Priority to KR20110008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356B1/en
Priority to US14/369,704 priority patent/US20150113828A1/en
Priority to PCT/KR2011/010186 priority patent/WO2012102489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3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1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to support or cush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i.e. the joint between the first metatarsal and first phalan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3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joint between the fifth phalange and the fifth metatarsal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3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be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1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to support or cushion
    • A47G27/0231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to support or cushion for fighting fatig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PURPOSE: A shock absorbing sheet for improving body balance and blood flow is provided to alleviate unbalance of muscles and skeleton by absorbing a shock. CONSTITUTION: A shock absorbing sheet for improving body balance and blood flow comprises a base, buffer members(200), an absorbing body, and a sensor is included. In the base, a plurality of first penetration holes is formed. A plurality of buffer members supports the base and forms a first buffer space buffing external pressure. A second penetration hol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uffer space and outside. The absorbing body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post of the buffer member. The sensor senses pressure or temperature applied to a plurality of the buffer members.

Description

신체 균형 및 혈류 흐름 개선용 완충시트{SHOCK-ABSORBING SHEET FOR IMPROVING BODY BALANCE AND BLOOD FLOW}Buffer sheet for improving body balance and blood flow {SHOCK-ABSORBING SHEET FOR IMPROVING BODY BALANCE AND BLOOD FLOW}

본 발명은 완충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 균형과 혈류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완충시트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ffer she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ffer sheet that can improve the body balance and blood flow.

직립 보행으로 인한 신체의 하중과 지구 중력에 의하여 발 골격과 지면 사이에 발생하는 충격 압력이 지속적으로 사람의 척추, 골반, 무릎 등 관절 부위에 가해져 신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상기 지속적인 충격 압력으로 인하여 관절 부위의 불균형 또는 뒤틀림이 발생하고 이는 근골격계의 불군형을 초래할 수 있고, 상기 근골격계의 불균형이 또한 혈관에 영향을 미쳐 혈류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어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Due to the load of the body and the earth's gravity caused by the upright walking, the impact pressure generated between the foot skeleton and the ground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joints such as the spine, pelvis, and knee of the person, which may adversely affect the body. Due to the constant impact pressure, an imbalance or distortion of the joint area may occur, which may cause an imbalance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and the imbalance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also affects blood vessels, causing blood flow to be not smooth and causing disease. .

그러나 종래 건강관리 및 의료기술은 근골격계의 불균형 및/또는 비정상적인 혈류 흐름에 기인한 질병의 치료에만 집중하고 있을 뿐, 상기 근골격계의 불균형 및/또는 비정상적인 혈류 흐름을 발생시키는 환경 개선에는 집중하고 있지 않다.However, conventional health care and medical technologies focus only on the treatment of diseases caused by imbalance and / or abnormal blood flow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and not on improving the environment causing the imbalance and / or abnormal blood flow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 골격과 지면 사이에 발생하는 충격 압력을 흡수하여 완화시켜 근골격계의 불균형을 완화시켜 신체의 균형 및 혈류의 흐름을 개선시키는 완충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ffer sheet for absorbing and relieving impact pressure generated between the foot skeleton and the ground to alleviate imbalance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to improve the balance of the body and the flow of blood flow.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완충시트에 있어서, 복수의 제1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며, 내부에는 외부의 압력을 완충시키는 제1완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완충공간과 외부사이에 제2관통공이 형성된 복수의 완충부재와; 상기 복수의 완충부재에 가해지는 압력 및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시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ushioning sheet, a bas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formed; A plurality of buffer members supporting the base and having a first buffer space for buffering external pressure therein, an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between the first buffer space and the outside; It can be achieved by a cushioning sheet comprising a sensing unit for sensing at least one of pressure and temperatur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buffer members.

상기 복수의 완충부재는, 상기 제1완충공간이 형성되는 제1충격흡수부재와; 제1포스트를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members may include: a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having the first buffer space; It includes the first post.

상기 제1충격흡수부재는, 상기 외부의 압력을 받는 제1가압부와; 상기 외부의 압력 유무에 대응하여 탄성적으로 변형이 일어나는 제1탄성변형부를 포함한다.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includes: a first pressurizing part that receives the external pressure; And a first elastic deformation part elastically deformed in response to the external pressure.

상기 복수의 완충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완충부재는, 상기 제1포스트의 하부에 연결되어 제2완충공간이 형성되는 제2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한다.At least one buffer member of the plurality of buffer members further includes a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ost to form a second buffer space.

상기 제2충격흡수부재는, 상기 외부의 압력을 받는 제2가압부와; 상기 외부의 압력 유무에 대응하여 탄성적으로 변형이 일어나는 제2탄성변형부를 포함한다.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may include: a second pressurizing part receiving the external pressure; And a second elastic deformation part elastically deformed in response to the external pressure.

상기 제1포스트에 연결되고, 상기 완충시트를 소정의 면에 고정시키는 흡착부를 더 포함한다.It is connected to the first post, and further comprises an adsorption unit for fixing the buffer sheet to a predetermined surface.

상기 베이스와 상기 복수의 완충부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and the plurality of buffer members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제1 및 제2 충격흡수부재는, 구 형성, 타원 형상, 세모 형상, 네모 형상 및 다각형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s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sphere shape, elliptic shape, triangular shape, square shape, and polygonal shape.

상기 감지부는, 상기 완충시트에 가해지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완충시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완충시트에 가해지는 온도 및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광섬유센서를 포함한다.The sensing unit,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applied to the buffer sheet;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a pressure applied to the buffer sheet; It includes an optical fiber sensor for sensing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applied to the buffer sheet.

상기 감지부에 의한 감지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It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etection result by the detection unit.

상기 감지부에 의한 감지결과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the detection result by the detection unit to an external device.

상기 완충 시트는,The buffer sheet,

발열 소재, 음이온 발생 소재 및 원적외선 발생 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질 수 있다.It may be made of at least one of a heat generating material, an anion generating material and a far infrared ray generating material.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 완충 시트에 의해 제조된 신발 밑창, 운동기구용 매트 및 바닥 매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bject can be achieved by a shoe sole, a mat for exercise equipment and a floor mat manufactured by the cushioning shee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충시트는 신체 하중 및 중력에 의하여 보행 시 발에 가해지는 지속적인 충격 압력을 완화시킬 수 있어 근골격계의 균형을 개신시키고, 또한 혈류의 흐름이 원활해지도록 함으로써 혈액순환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buffer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leviate the continuous impact pressure applied to the foot when walking by body load and gravity to improve the balance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and also to facilitate the flow of blood flow Has the effect of improv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시트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완충시트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완충시트의 작용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시트의 단면도이고,
도 9a 내지 도 9c는 척추 골격과 발 사이의 연관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a 및 도 10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시트에 따른 신체 균형 및 혈류 흐름 개선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시트의 적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cushioning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ffer sheet of Figure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buffer sheet of FIG.
4 to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ffer she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9C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inal skeleton and the feet.
10a and 10b is a view showing the effect of improving body balance and blood flow according to the buffer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to 11d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buffer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시트의 개략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완충시트(1)는 복수의 제1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100), 복수의 완충부재(200) 및 감지부(400, 도 8참조)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완충시트(1)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buffer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ffer sheet 1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is a base 100, a plurality of buffer members 200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And a detector 400 (see FIG. 8). With reference to Figures 2 to 8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buffer shee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에는 복수의 제1관통공(11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제1관통공(110)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완충시트(1)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완충시트(1)가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지 않으면 상기 완충시트(1)의 내부에는 공기가 차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110 are formed in the base 100. Therefore, the outside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buffer sheet 1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110, and the buffer sheet 1 may not be pressurized from the outside of the buffer sheet 1. There is air inside.

완충부재(200)는 상기 베이스(100)를 지지하며, 내부에는 외부의 압력을 완충시키는 제1완충공간(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완충공간(211)과 외부 사이에 제2관통공(21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관통공(212)은 상기 베이스(100)를 관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관통공(212)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완충공간(2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완충시트(1)가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지 않으면 상기 제1완충공간(211)의 내부에는 공기가 차 있게 된다. 상기 완충부재(200)는 상기 베이스(100)에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The buffer member 200 supports the base 100, and a first buffer space 211 is formed therein to buffer external pressure, and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uffer space 211 and the outside. 212 is formed. Therefore, the second through hole 212 may pass through the base 100 to allow external air to flow therethrough. Accordingly, outside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buffer space 211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212, and the first buffer space may be applied when the buffer sheet 1 does not receive pressure from the outside. 211) is filled with air. The buffer member 200 may be provided in plural in the base 100.

상기 완충부재(200)는 상기 제1완충공간(211)이 형성되는 제1충격흡수부재(217)와 상기 제1충격흡수부재(217)를 지지하는 제1포스트(219)를 포함한다. 상기 제1충격흡수부재(217)는 외부 압력을 받는 제1가압부(213)와 상기 외부 압력의 유무에 대응하여 탄성적으로 변형이 일어나는 제1탄성변형부(215)를 포함한다.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가압부(213)로 압력이 전달되고 상기 압력에 의하여 제1탄성변형부(215)가 변형이 일어나고, 상기 외부의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탄성변형부(215)는 탄성적으로 변형 이전의 형상으로 복귀한다.The shock absorbing member 200 includes a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217 on which the first shock absorbing space 211 is formed and a first post 219 supporting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217.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217 includes a first pressurizing part 213 that receives external pressure and a first elastic deformation part 215 that elastically deforms in response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xternal pressure. When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pressurizing part 213, and the first elastic deformation part 215 is deformed by the pressure. When the external pressure is removed, the first elastic deformation part is removed. 215 elastically returns to the shape before de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재(200)는 상기 제1포스트(219)에 연결되어 제2완충공간(221)이 형성되는 제2충격흡수부재(2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충격흡수부재(220)는 외부 압력을 받는 제2가압부(223)와 외부 압력의 유무에 대응하여 탄성적으로 변형이 일어나는 제2탄성변형부(225)를 포함한다. 상기 제2충격흡수부재(220)는 상기 제1포스트(219)에 바로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1포스트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1포스트(219)와 상기 제2충격흡수부재(220)를 연결하는 제2포스트(2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충격흡수부재(220)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100)와 유사한 크기 및 형상의 제2베이스(227)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제2충격흡수부재(220)는 상기 제2베이스(227)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에는 일체로 형성된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ffer member 200 further includes a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220 connected to the first post 219 to form a second buffer space 221.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220 includes a second pressurizing part 223 which is subjected to external pressure and a second elastic deformation part 225 which elastically deforms in response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external pressure.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22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post 219 or corresponds to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first post, so that the first post 219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ost 229 connecting the 220. In addition,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22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ase 227 having a size and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base 100,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22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220. I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227 and is shown in Figure 2 formed integrally.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완충시트(1)의 작용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완충부재(220)에 제2충격흡수부재(220)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경우의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A)는 외부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완충시트(1)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완충시트(1)의 내부는 베이스(100)에 마련된 제1관통공(110)으로 인하여 공기로 가득차고, 완충부재(200)의 경우에는 외부로 관통되는 제2관통공(212)로 인하여 제1완충공간(211)이 외부의 공기로 가득차 있게 된다. 도 3의 (B)는 외부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의 완충시트(1)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압력이 완충시트(1)의 베이스(100)의 상부에서 가해지면, 상기 압력부는 제1가압부(213) 및 제2가압부(223)로 압력이 전달되고, 상기 압력에 의하여 제1탄성변형부(215) 및 제2탄성변형부(225)가 각각 제1포스트(219) 및 제2포스트(229)로 인하여 변형이 일어 나게 된다.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으로 베이스(100)가 제1포스트(219)와 근접하게 되고 이는 제1탄성변형부(215)의 변형에 기인한 것이고 이로 인하여 제1완충공간(211)에 존재하던 공기는 상기 제2관통공(212)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고, 또한 완충시트(1)의 내부의 공기 역시 제1관통공(110)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는 제2충격흡수부재(220)에서도 동일하게 일어나는데, 그러나 제2충격흡수부재(220)에는 외부와 관통되는 관통공이 존재하지 않으나, 제2탄성변형부(225)는 제2포스트(229)가 제2충격흡수부재(220)의 저면에 도달할 때까지 충분히 탄성적으로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An operation example of the buffer sheet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3 is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220 is further included in the shock absorbing member 220. As shown in FIG. 3, FIG. 3A illustrates a shock absorbing sheet when external pressure is not applied.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tate of 1). As described above, the interior of the buffer sheet 1 is filled with air due to the first through hole 110 provided in the base 100, and in the case of the buffer member 200, the second through hole penetrating to the outside ( Due to 212, the first buffered space 211 is filled with outside air. 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the cushioning sheet 1 when a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and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100 of the buffering sheet 1, The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pressure unit 213 and the second pressure unit 223, the first elastic deformation unit 215 and the second elastic deformation unit 225 by the pressure respectively the first post Deformation occurs due to 219 and second post 229.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outside makes the base 100 close to the first post 219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elastic deformation part 215, and thus the air existing in the first buffer space 211 is Out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212 to the outside, the air inside the buffer sheet 1 is also to be out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10). The same occurs in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220, but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220 does not have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outside, but the second elastic deformation part 225 has a second post 229. Deformation may occur sufficiently elastically until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220 is reached.

상기 완충시트(1)에 가해지던 외부의 압력이 제거되면, 제1탄성변형부(215) 및 제2탄성변형부(225)는 탄성적으로 원형의 형태로 되돌아오게 되고 이 작용으로 인하여 제1관통공(110) 및 제2관통공(212)으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처음의 형태인 도 3의 (A)의 모습으로 되돌아오게 된다.When the external pressure applied to the cushioning sheet 1 is removed, the first elastic deformation part 215 and the second elastic deformation part 225 are elastically returned to the circular shape and due to this action, the first As air flows into the through hole 11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12, the air flows back to the first shape of FIG. 3A.

도 4 내지 도 7은 완충시트(1)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4 to 7 show various embodiments of the cushioning sheet 1.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시트(1)는 복수의 제1관통공(110)이 형성된 베이스(100)와 복수의 완충부재(200a) 및 감지부(400, 도 8참조)를 포함하고, 상기 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 완충시트(1)를 소정의 면에 고정시키는 흡착부(300)를 더 포함하는 점이다. 여기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4, the buffer sheet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00 having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110, a plurality of buffer members 200a, and a sensing unit ( 400, see FIG. 8),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bove embodiment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n adsorption part 300 for fixing the buffer sheet 1 to a predetermined surface. Here,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elements will be omitted.

상기 흡착부(300)는 일반적인 진공 흡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흡착부(300)는 상기 완충부재(200)의 제1포스트(219)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완충시트를 소정의 면에 진공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100)의 가장자리는 상기 완충시트(1)가 놓여지는 바닥 또는 물건의 표면까지 도달하여 맞닿게되어 완충시트(1)의 내부가 밀폐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The adsorption part 300 may include a general vacuum adsorption part, and the adsorption part 300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ost 219 of the buffer member 200 to vacuum the buffer sheet on a predetermined surface. Can be fix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dge of the base 100 reaches the bottom or the surface of the object on which the buffer sheet 1 is plac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forming a sealed space inside the buffer sheet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시트(1)는 다양한 형태의 완충부재(200)를 포함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5 and 6, the buffer sheet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n example including various types of buffer members 200. Here,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elements will be omitt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완충시트(1)는 상기 실시예와 다른 점이 서로 다양한 형태의 완충부재(200b)를 포함하는 경우로서, 상기 완충부재(200b)는 제1완충공간이 형성되는 제1충격흡수부재와 제1포스트만을 포함하는 것(200b-1)과, 제1완충공간이 형성되는 제1충격흡수부재와 제1포스트와 제2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200b-2)와, 제1완충공간이 형성되는 제1충격흡수부재와 복수 개의 제1포스트를 포함하는 것(200b-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buffer sheet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uffer member 200b having various shape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embodiment, and the buffer member 200b has a first buffer space. Including only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and the first post to be formed (200b-1), and including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and the first post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to which the first buffer space is formed (200b). -2)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having a first buffer space and a plurality of first posts 200b-3.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완충시트(1)에 포함되는 완충부재(200c)는 제1완충공간의 크기가 서로 다른 제1충격흡수부재와 제1포스트를 포함하는 것(200c-1 및 200c-3)과 제1완충공간이 형성되는 제1충격흡수부재와 제1포스트와 제2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200c-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shock absorbing member 200c included in the shock absorbing sheet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and a first post having different sizes of first shock absorbing spaces (200c-1 and 200c-3) and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having the first shock absorbing space and the first post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200c-2.

도 7은 본 실시예의 완충시트(1)의 완충부재(200d, 200e)의 형상이 상이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7(A)를 참조하면, 제1 충격흡수부재 및 제2충격흡수부재의 형상이 타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 충격흡수부재 및 제2충격흡수부재의 형상이 세모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는 본 실시예의 완충부재에 포함되는 충격흡수부재의 형상이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일 실시예로서, 형상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형상은 구 형상, 타원 형상, 세모 형상, 네모 형상 및 다각형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hapes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s 200d and 200e of the shock absorbing sheet 1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different. Referring to FIG. 7A,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are formed. The shape is elliptical. Referring to FIG. 7B,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have triangular shapes. This is an embodiment showing that the shap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included in the shock absorbing member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form a variety of shapes, the shape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shap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a spherical shape, an elliptic shape, a triangular shape, a square shape, and a polygonal shape.

도 8은 본 실시예의 완충시트(1)에 포함되는 감지부(4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8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sensing unit 400 included in the buffer sheet (1) of the present embodiment.

감지부(400)는 완충시트(1)에 가해지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완충시트(1)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완충시트에 가해지는 온도 및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광섬유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The sensing unit 40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temperature applied to the buffer sheet 1,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a pressure applied to the buffer sheet 1, and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and a pressure applied to the buffer sheet. At least one of the optical fiber sensor for detecting one.

상기 감지부(400)는 완충시트(1)의 베이스(100)에 마련되거나 완충시트(1)의 내부 공간에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100)에 마련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100)의 성형 시에 상기 감지부(400)를 제1관통공(110)이 있는 부위를 회피하여 위치하도록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 센서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완충시트(1) 위에 서 있을 경우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 발바닥 각각의 부위별 체온 정보를 감지하고, 압력센서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좌, 우, 앞, 뒤측의 신체 압력 정보 각각을 감지한다. 상기 온도 센서 및/또는 압력 센서의 감지 결과는 후술할 저장부(500) 또는 통신부(미도시)로 전달되는데, 상기 감지부와, 저장부 또는 통신부는 유선의 형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또한 포토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결과를 광신호로 전송하면 상기 저장부(500) 또는 통신부(미도시)는 광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상기 광신호를 상기 광센서(미도시)가 감지하여 이를 저장부(500) 또는 통신부(미도시)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본 실시예의 완충시트(1)는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400 may be provided in the base 100 of the buffer sheet 1 or in an inner space of the buffer sheet 1, and when provided in the base 100, molding of the base 100 is performed. At the time, the sensing unit 400 may be inserted to be positioned to avoid a portion having the first through hole 110.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temperature sensor, when the user stands on the cushioning sheet 1,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each part of the left and right foot of the user is sensed, and in the case of the pressure sensor, the left, right, front, Sensing each of the body pressure information in the back. The detection result of the temperature sensor and / or pressure sensor is transmitted to a storage unit 500 or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etection unit, the storage unit or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a wired form. When the sensing unit transmits the sensing result as an optical signal using a photo coupler, the storage unit 500 or th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includes an optical sensor (not shown), and transmits the optical signal to the optical sensor (not shown). ) Can be detected and delivered to the storage unit 500 or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When the optical sensor is used, the buffer sheet 1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to block light.

광섬유 센서는 빛의 굴절률이 높고 외부는 낮게 구성되어 섬유 내부에서 전반사 광학현상이 일어나도록 형성된 직경 0.1mm 정도의 가는 섬유인 광섬유를 이용하여 온도, 압력에 의해 광섬유가 신축하는 경우 그 내부를 통과하는 빛의 세기, 광섬유의 굴절률 및 길이, 모드, 편광상태의 변화 등을 검출하여 온도,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상기 광섬유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합성수지 피복을 1-2회 입힌 것을 이용한다. 상기 광섬유 센서를 감지부(400)로서 이용하는 경우, 광신호를 전달하는 광섬유(420)와, 상기 광섬유로 전달되는 광신호를 발하는 광원(410a, 410b)과 상기 광섬유에 의해 반사되는 광신호의 파장변화 등을 측정하여 처리하는 광신호 처리기(미도시)가 완충시트(1)의 내부에 마련된다. 상기 광섬유(420)의 경우에는 베이스(100)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베이스(100)에 형성된 제1관통구(110)의 위치를 회피하여 마련되고, 상기 광원은 상기 광섬유의 배치에 따라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The optical fiber sensor has a high refractive index of light and a low external one, and when the optical fiber is stretched by temperature and pressure using a thin optical fiber having a diameter of about 0.1 mm and formed so that total reflection optical phenomenon occurs inside the fiber, It is a sensor that can measure temperature and pressure by detecting light intensity, refractive index and length of optical fiber, mode, and change of polarization state. The optical fiber uses a coating of 1-2 times a synthetic resin coating to protect from external impact. When using the optical fiber sensor as the sensing unit 400, the optical fiber 420 for transmitting the optical signal, the light source (410a, 410b) for emitting the optical signal transmitted to the optical fiber and the wavelength of the optical signal reflected by the optical fiber An optical signal processor (not shown) that measures and processes changes and the like is provided inside the buffer sheet 1. In the case of the optical fiber 420 may be provided in the base 100, provided to avoid the position of the first through-hole 110 formed in the base 100,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optical fiber Can be prepared.

또한 완충시트(1)는 상기 감지부(400)의 감지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결과는 설정에 따라 초단위, 분단위, 시간단위, 일단위 등으로 상기 감지부(400)에 의해 감지된 결과가 저장부(50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00)는 상기 완충시트(1)로부터 탈착이 가능하고 교체 가능한 형태의 메모리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부(500)는 상기 완충시트(1)에 상기 탈착 가능 및/또는 교체 가능한 메모리 모듈로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ffer sheet 1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500 for stor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unit 400. The detection result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500 in accordance with a setting, the resul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400 in units of seconds, minutes, hours, days, and the like. The storage unit 500 may be provided as a detachable and replaceable memory from the buffer sheet 1. Therefore, the storage unit 500 may be provided in the buffer sheet 1 as the removable and / or replaceable memory module.

또한, 완충시트(1)는 상기 감지부(400)의 감지결과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미도시)는 상기 감지결과를 설정에 따라 초단위, 분단위, 시간단위, 일단위 등으로 외부 장치와의 통신 수행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블루트스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buffer sheet 1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for transmitt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unit 400 to an external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may transmit the detection result through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in units of seconds, minutes, hours, days, etc. according to a setting. The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module for performing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a module for performing wired or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상기 저장부(500)에 저장되거나 상기 통신부(미도시)를 통하여 외부장치로 전송되는 감지부(400)에 의한 감지결과는, 완충시트(1)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좌우측 발바닥 각각의 부위별 체온 정보 및/또는 좌우앞뒤측 발의 신체 압력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는 사용자의 신체 균형 및 혈류 흐름에 대한 기초 정보로서 의료기관 또는 의료기구 선정 등의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The detection result by the detection unit 400 stored in the storage unit 500 or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the body temperature of each part of the left and right feet of the user using the buffer sheet (1) It includes information and / or body pressure information of the left and right front and rear feet, which may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selecting a medical institution or a medical device as basic information on the user's body balance and blood flow.

또한 상기 기재한 본 발명의 완충시트(1)는 일반적인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완충시트(1)는 상기 실리콘에 발열소재, 음이온 발생 소재 및 원적외선 발생 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첨가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 소재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열을 발생할 수 있는 소재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알려진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운 환경에서도 본 실시예의 완충시트(1)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발열 소재를 포함하는 완충시트(1)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센서류들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음이온 및/또는 원적외선 발생 소재는 맥반석, 게르마늄, 견운모, 황토, 맥섬석, 참숯, 옥 또는 세라믹 등의 물질을 함유하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의 경우에는 스트레스 해소, 두통을 완화해주고 피를 맑게 하고 피로를 풀어주며 식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원적외선은 피하 심층의 체온을 상승시키고 미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음이온 및/또는 원적외선 발생 소재를 함유할 경우, 본 발명의 완충시트(1)의 효과와 더불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buffer sheet 1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made of a general silicon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buffer sheet 1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heating material, an anion generating material, and a far infrared ray generating material in the silico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may include not only a material capable of generating heat generally known but also a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generally known. Accordingly, the buffer sheet 1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even in a cold environment. In the case of the buffer sheet 1 including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the sensors for detecting the user's body temperature may not be included. The anion and / or far-infrared ray generating material may include a material containing materials such as elvan, germanium, biotite, loess, macsumite, true charcoal, jade or ceramic. In the case of the anion has the effect of relieving stress, relieving headaches, clearing blood, releasing fatigue and enhancing appetite, far infrared rays have the effect of promoting blood circulation by increasing body temperature in the subcutaneous depth and expanding microvascular vessels. It is known. Therefore, when it contains the anion and / or far-infrared ray generating material, it can have a synergistic effect with the effect of the buffer shee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내지 도 10b를 통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시트(1)의 신체 균형 및 혈류 흐름 개선 효과에 대하여 기술한다.9A to 10B, the effect of improving the body balance and blood flow of the buffer sheet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9a 내지 도 9c는 척추 골격과 발 사이의 연관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9a는 척추 균형 유지 상태 내지는 척추 균형 틀어짐에 따른 발에 걸리는 압력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척추 균형도표를 살펴보면 전체 균형이 좌측으로 치우치게 되면 척추가 휘어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바로 사용자의 일상생활에서의 습관 등의 문제로 신체 불균형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이다. 9A to 9C are diagram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inal skeleton and the foot, and FIG. 9A is a diagram show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oot according to the state of maintaining the spine balance or the balance of the spine, as shown in FIG. Looking at the spinal balance chart of the left side of the total balance is skewed can occur. This is a problem caused by body imbalance, such as a problem in the daily life of the user.

직립 보행을 하는 사람의 특성 상 인체의 하중 및 중력이 머리에서 경추, 척추, 골반, 다리, 발로 전달되면서 최종 지면 마찰부의 좌우 각각26개의 발의 뼈를 통하여 상기 하중 및 중력이 지면으로 전달하게 된다. 그러나 사람마다 신체의 하중 및 습관 등으로 인하여 발의 뼈에 전해지는 압력이 상이하게 되고 상기 압력에 따라 발의 골격의 형태도 서서히 변하게 되고 이는 곧 신체 불균형을 야기시킬 수 있게 된다. Due to the nature of the person walking upright, the load and gravity of the human body is transferred from the head to the cervical spine, vertebrae, pelvis, legs, and feet, and the load and gravity are transmitted to the ground through the bones of 26 feet each of the left and right ground friction parts. However, the pressure transmitted to the bone of the foot is different due to the load and habit of the body, and the shape of the skeleton of the foot is gradu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sure, which can cause body imbalance.

두 손을 위아래로 포개어 15도 정도 앞으로 숙인 상태에서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5-10Kg의 하중이 전달되면 일반 지면에서 상기 하중을 흡수하지 못하고 반발탄성압력이 발로 전달되면서 우리 신체가 앞으로 무너지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또한 양손을 뒤로 한 체 손바닥을 하늘을 보면서 깍지를 끼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하중을 전달하면 일반 지면에서 상기 하중을 흡수하지 못하고 다시 발을 통하여 척추 및 골격으로 반발탄성압력이 전달되는 것이다. 이러한 반발탄성압력이 보행 습관과 결부되어 신체의 균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If you put your hands up and down and lean forward about 15 degrees and the load of 5-10Kg is transferr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body will collapse forward as the elastic resilience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foot without absorbing the load from the general ground. Also do. Also, if you put your hands on the palm of your body with both hands behind the sky and transfer the load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the same way as above, the resilient elastic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spine and the skeleton through the foot again without absorbing the load from the general ground. will be. This repulsive elasticity pressure is associated with the walking habit can adversely affect the balance of the body.

도 9b는 척추 골격과 발 골격 사이의 연관관계를 보인 도면이고, 도 9c는 인체의 장기와 발의 연관관계를 보인 반사구 도표이다. 상기 도 9b 및 도 9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은 인체의 척추 골격 및 장기와 연관되어 있어서 발에 미치는 충격 압력이 결국에는 인체의 척추 골격 및 장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인체에는 약 51억개의 모세혈관이 존재하며 이중 60%인 30억개가 집중되어 있는 신체부위가 바로 발이다. 발에는 모세혈관 이외에도 자율신경이 집중 분포되어 있어 제2의 심장이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발은 좌우 각각 26개의 뼈를 중심으로 근육계가 조성되어 있어 인체의 혈액순환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일반 보행 시 발의 근육계는 부분 별로 지면과 마찰 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모세혈관의 운동을 촉진시켜 혈류량이 증가된다. 그러나 신체의 균형이 맞지 않는 경우에는 발에 불균형적으로 압력이 미치게 되고 이는 모세혈관의 혈액순환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FIG. 9B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inal skeleton and the foot skeleton, and FIG. 9C is a reflector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s of the human body and the foot. As shown in FIGS. 9B and 9C, the foot is associated with the vertebral skeleton and organs of the human body, and thus the impact pressure on the foot may eventually affect the vertebral skeleton and organs of the human body. There are about 5.1 billion capillaries in the human body, of which 60%, 3 billion are concentrated in the body part is the foot. In addition to capillaries, the foot has an autonomic nerve that is concentrated and is also called a second heart. These feet have a muscular system centered on 26 bones each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hich have the most influence on the blood circulation of the human body. The muscle system of the foot during normal walking promotes the movement of capillaries by the pressure exerted on friction with the ground. To increase blood flow. However, if the body is not balanced, the pressure is imbalanced on the foot, which may adversely affect the blood circulation of the capillaries.

이하, 도 10a 및 도 10b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시트에 따른 신체 균형 및 혈류 흐름의 개선 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발에 미치는 압력과 혈류 흐름의 살펴보기 위하여 일반 지면에 발을 내딛는 경우를 대조구로, 본 발명의 완충시트(1)를 약 10분 정도 적용한 후의 발에 미치는 압력 및 혈류 흐름을 일반적으로 알려진 압력 및 혈류 흐름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압력은 양발에 미치는 압력을 퍼센트로 나타내고, 혈류 흐름은 온도 측정을 수행하여 온도 색차로 나타낸다. 신체의 밸런싱 상태는 좌(L) 50%, 우(R) 50%, 앞(T) 50%, 뒤(B) 50%인 경우가 균등하다고 할 수 있으며 부분 압력으로는 좌앞(LT) 25%, 우앞(RT) 25%, 좌뒤(LB) 25%, 우뒤(RB) 25%의 백분율로 나뉘어질 때 인체 각 부분에 대한 밸런싱 상태가 최적이다. 10A and 10B, the effect of improving the body balance and blood flow according to the buffer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examine the pressure and blood flow on the foot as a control, the pressure and blood flow on the foot after applying the buffer shee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bout 10 minutes are generally known. Measurement was made using a blood flow meter. Pressure is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pressure on both feet and blood flow is represented by temperature chrominance by taking temperature measurements. The balance of the body is equal to 50% of the left (L), 50% of the right (R), 50% of the front (T) and 50% of the back (B). When the ratio is divided into 25% of the right front (RT), 25% of the left rear (LB), and 25% of the right rear (RB), the balancing state for each part of the human body is optimal.

일반 지면에 발을 내딛는 경우 발가락 쪽과 뒤꿈치 쪽에 압력이 미치게 되고(도 10a의 (a) 참조), 이의 압력을 측정한 결과 왼발의 앞부분(발가락 쪽)에는 21.0%, 왼발의 뒷부분(뒤꿈치 쪽)은 16.0%의 압력이, 오른발의 앞부분은 17.8%, 오른발의 뒷부분은 45.2% 로써 전체적으로 왼발보다는 오른발에 가해지는 압력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생활 습관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평소에 오른발에 더 힘을 주어 걷는 상태로 알 수 있고, 지속적으로 왼발 보다는 오른 발에 충격 압력이 더 가해지게 됨으로써 척추도 오른쪽으로 휘게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측될 수 있다(도 10의 B참조). 또한 도 10a의 (b)를 참조하면 왼발 및 오른발의 온도 측정 결과를 볼 수 있는데, 오른발의 뒷부분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푸른색의 온도를 띄는 것으로 확인되므로 이는 결국 양 발에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foot is placed on the ground, pressure is applied to the side of the toe and the heel (see (a) of FIG. 10a), an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ressure, 21.0% of the front of the left foot (toe side) and the back of the left foot (heel side) Silver pressure was 16.0%, 17.8% at the front of the right foot and 45.2% at the back of the right foot. This can be seen as a walking state by giving more strength to the right foot due to the causes of lifestyle, etc., and it is assumed that the spine is also more likely to be bent to the right due to the constant pressure applied to the right foot rather than the left foot. (See FIG. 10B). 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10a (b) it can be seen the temperature measurement results of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except for the back of the right foot is confirmed that the overall blue temperature, so that the blood circulation to both feet smoothly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not made.

본 발명의 완충시트(1)를 최소 10분 정도 적용한 후 다시 왼발 및 오른 발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보았다(도 10b의 (a) 참조). 그 결과, 왼발의 앞부분에는 30.6%, 왼발의 뒷부분은 17.7%, 오른발의 앞부분에는 28.9%, 오른발의 뒷부분에는 22.8%의 압력이 가해진 것으로서 왼발과 오른 발에 전체적으로 미치는 압력이 왼발은 48.3%, 오른발은 51.7%로서 거의 비슷하게 압력이 가해짐을 알 수 있다(도 10b의 (b) 참조). 상기 도 10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완충시트(1)를 적용하기 전에는 오른 발의 뒷부분에 47.2%의 높은 압력이 가해졌으나, 본 발명의 완충시트(1)를 적용한 후에는 오른 발의 뒷부분에 미치는 압력이 22.8%로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완충시트(1)가 왼발과 오른발의 앞, 뒷부분 각각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하여 완충시트(1)의 완충부재(200)의 완충 정도가 상이하게 되어, 즉 압력이 많이 가해지는 발 부분에 대응하는 완충부재(200)가 많이 압축되어 상대적으로 압력이 적게 가해지는 발 부분에 대응하는 완충부재(200)가 적게 압축되어 발로 전달되어야 할 압력이 완충부재(200)가 흡수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는 발에 보행 중 신체의 하중 및 중력에 의한 반발 탄성 압력이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완충시트(1)를 이용하면, 사람의 직립 보행으로 인하여 신체에 가해지는 신체 하중 및 중력으로 인한 압력을 완충시트(1)가 흡수하여 신체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여 척추골격계 및 관절 부위에 직접적으로 압력이 미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척추골격계 및 관절 부위의 질병 등으로 인한 통증을 현저히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완충시트(1)를 사용한 후 약 10분경부터 근육의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며 본 발명의 완충시트(1)를 3일 내지 60일 사용하는 경우 발 골격의 변화가 나타나서 신체 균형이 보정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완충시트(1)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신체 균형 개선으로 인하여 휘었던 척추의 정위교정도 가능하게 된다.After applying the buffer shee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t least 10 minut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was again measured (see (a) of FIG. 10B). As a result, 30.6% was applied to the front of the left foot, 17.7% to the back of the left foot, 28.9% to the front of the right foot, and 22.8% to the back of the right foot.The overall pressure on the left and right feet was 48.3% on the left and right feet. 51.7% is almost similar pressure can be seen (see (b) of Figure 10b). As shown in FIG. 10B, a high pressure of 47.2% was appli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right foot before applying the cushioning sheet 1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fter applying the cushioning shee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back of the right foot. It can be seen that the pressure is significantly reduced to 22.8%. This is because the cushioning shee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in the degree of cushioning of the buffer member 200 of the cushioning sheet 1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applied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that is, a lot of pressure is applied Since the buffer member 200 corresponding to the foot portion is compressed a lot, the buffer member 200 corresponding to the foot portion to which the pressure is applied relatively less is compressed so that the pressure to be transmitted to the foot is absorbed by the buffer member 200. As a result, the resilient pressure due to the body's load and gravity is not directly applied to the foot while walking. Therefore, when using the cushioning shee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hioning sheet 1 absorbs the pressure due to the body load and gravity applied to the body due to the human walking upright, so as not to directly affect the body vertebral skeletal system And by preventing the pressure directly on the joint area may have an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relieve the pain caused by diseases of the vertebral skeletal system and the joint area. After about 10 minutes of using the buffer sheet 1 of the present invention, muscle changes begin to appear, and when the buffer shee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3 to 60 days, changes in foot skeleton appear and body balance is corrected. You can see the effect. In addition, when the buffer shee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inuously used, it becomes possible to orthogonal alignment of the curved spine due to improved body balance.

또한, 도 10b의 (b)를 참조하면 왼발 및 오른 발의 온도 측정 결과를 볼 수 있는데, 양발의 온도가 상기 도 10a의 (b)에서 보았던 푸른 색이 아닌 노란색 위주의 온도 색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이는 본 발명의 완충시트(1)를 적용한 후에 혈액순환이 잘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완충시트(1) 내부에 포함되는 완충부재(200)로 인하여 사용자가 완충시트(1) 위를 보행하는 경우 지압하는 효과를 향유하게 되어 혈액순환 또는 혈류 흐름이 개선되는 효과를 누리게 되는 것이다. 혈액순환개선으로 인하여 혈류에 잔존하던 노폐물 및 불순물의 배출이 용이하게 되어 신체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10b (b) it can be seen the temperature measurement results of the left and right feet, the temperature of both feet can see the color of the mainly yellow color other than the blue color seen in Figure 10a (b) , This is to confirm that the blood circulation is well made after applying the buffer shee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due to the buffer member 200 included in the buffer shee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joy the effect of acupressure when the user walks on the buffer sheet 1 to enjoy the effect of improving blood circulation or blood flow Will be. Improved blood circulation facilitates the discharge of wastes and impurities remaining in the bloodstream and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body.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시트의 적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1a to 11d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buffer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완충시트(1)는 그 적용 부위에 대응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The buffer sheet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to have a variety of sizes and shapes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site.

도 11a는 본 발명의 완충시트(1)를 거실의 실내 매트(1a)로 적용한 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완충시트(1)는 사람이 신체 하중 및 중력을 받을 수 있는 어떠한 곳에도 이용할 수 있는바, 도 11a의 실내 바닥, 또는 침대에 깔 수 있는 침대 매트, 의자에 깔 수 있는 방석 매트의 형태로도 적용할 수 있다.Figure 11a shows an example of applying the cushioning sheet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indoor mat (1a) of the living room. The cushioning seat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nywhere a person can receive a body load and gravity, the interior floor of Figure 11, or a bed mat can be laid on a bed, a cushion mat can be laid on a chair It can also be applied in the form.

도 11b는 운동기구에 본 발명의 완충시트를 적용한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런닝머신(2)의 런닝 벨트 부위(1b)에 본 발명의 완충시트를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1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buffer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exercise device, but the buffer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running belt portion 1b of the treadmill 2,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1c는 여성용 구두의 밑창으로서 본 발명의 완충시트를 적용한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여성용 구두(3)의 본체(3a)에 상기 본체의 앞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완충시트(1c)를 제단하여 적용하고 그 위에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안창(3b)을 적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완충시트(1c)가 적용된 구두를 신고 보행하는 경우 신체 균형 및 혈액 순환 또는 혈류 흐름이 개선될 수 있다. 비단 여성용 구두뿐만 아니라 남성용 구두, 등산화 등의 아웃도어용 신발, 군화, 안전화, 실내화, 욕실화 등 모든 신발의 유형에 본 발명의 완충시트가 적절한 크기 및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11C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ushioning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a sole of women's shoes, and the cushioning sheet 1c is applied to the body 3a of the women's shoe 3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part of the body. On it can be applied an insole 3b to receive the user's foot. This may improve body balance and blood circulation or blood flow when walking by wearing the shoe to which the buffer sheet 1c is applied. The cushioning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type of shoes, such as women's shoes as well as men's shoes, outdoor shoes such as hiking boots, military boots, safety shoes, indoor shoes, and bathroom shoes.

도 11d는 운동화의 밑창(4)으로서 본 발명의 완충시트를 적용한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상기 운동화의 밑창은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밑창 제작시에 압력을 가장 많이 받는 발의 앞부분 및 뒷부분에 대응하는 밑창 부분에 본 발명의 완충시트(1d)를 적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운동화를 신고 보행하는 동안 사용자의 신체의 균형 및 혈액 순환이 개선될 수 있다.Figure 11d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ushioning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the sole 4 of the sneaker, the sole of the sneaker is a part for accommodating the user's foot, the front and back of the foot that is most pressured when the sole is manufactured The cushioning sheet 1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sole portion. This may improve the balance and blood circulation of the user's body while walking in walking shoes.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Although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pirit of the invention. .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 defined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and their equivalents.

1: 완충시트 100: 베이스
110: 제1관통공 200: 완충부재
210: 제1충격흡수부재 220: 제2충격흡수부재
300: 흡착부 400: 감지부
500: 저장부
1: cushioning sheet 100: base
110: first through hole 200: buffer member
210: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220: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300: adsorption unit 400: detection unit
500: storage unit

Claims (15)

완충시트에 있어서,
복수의 제1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며, 내부에는 외부의 압력을 완충시키는 제1완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완충공간과 외부 사이에 제2관통공이 형성된 복수의 완충부재와;
상기 복수의 완충부재에 가해지는 압력 및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완충부재는 상기 제1완충공간이 형성되는 제1충격흡수부재와, 제1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포스트에 연결되고, 상기 완충시트를 소정의 면에 고정시키는 흡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시트.
In the cushioning sheet,
A bas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buffer members supporting the base and having a first buffer space for buffering external pressure therein, an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between the first buffer space and the outside;
It includes a sensing unit for sensing at least one of pressure and temperatur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buffer members,
The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members include a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and a first post having the first buffer space formed therein.
A cushioning sheet connected to the first post, and further comprising an adsorption unit for fixing the buffer sheet to a predetermined surfa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충격흡수부재는,
상기 외부의 압력을 받는 제1가압부와;
상기 외부의 압력 유무에 대응하여 탄성적으로 변형이 일어나는 제1탄성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시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A first pressing unit which receives the external pressure;
A cushioning sheet comprising a first elastic deformation portion which elastically deforms in response to the external pressu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완충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완충부재는,
상기 제1포스트의 하부에 연결되어 제2완충공간이 형성되는 제2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시트.
The method of claim 3,
At least one buffer member of the plurality of buffer members,
A cushioning sheet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ost to form a second buffer spa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충격흡수부재는,
상기 외부의 압력을 받는 제2가압부와;
상기 외부의 압력 유무에 대응하여 탄성적으로 변형이 일어나는 제2탄성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시트.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A second pressing unit which receives the external pressure;
And a second elastic deformation portion elastically deformed in response to the external pressure.
삭제delete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복수의 완충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to 5,
The buffer sheet,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and the plurality of buffer members are formed integrall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충격흡수부재는,
구 형성, 타원 형상, 세모 형상, 네모 형상 및 다각형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시트.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s,
A cushioning sheet comprising at least one of sphere shape, elliptic shape, triangular shape, square shape and polygonal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완충시트에 가해지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완충시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완충시트에 가해지는 온도 및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광섬유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시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ing unit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temperature applied to the buffer sheet;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a pressure applied to the buffer sheet;
And a fiber optic sensor for sens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and a pressure applied to the buffer shee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 의한 감지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시트.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uffer sheet further compris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etection result by the detection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 의한 감지결과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시트.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uffer sheet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etection result by the detection unit to an exter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시트는,
발열 소재, 음이온 발생 소재 및 원적외선 발생 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시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buffer sheet,
A cushioning sheet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heat generating material, an anion generating material and a far infrared ray generating materi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110008785A 2011-01-28 2011-01-28 Shock-absorbing sheet for improving body balance and blood flow KR1011543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8785A KR101154356B1 (en) 2011-01-28 2011-01-28 Shock-absorbing sheet for improving body balance and blood flow
US14/369,704 US20150113828A1 (en) 2011-01-28 2011-12-28 Cushioning sheet for improving body balance and blood flow
PCT/KR2011/010186 WO2012102489A2 (en) 2011-01-28 2011-12-28 Cushioning sheet for improving body balance and blood f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8785A KR101154356B1 (en) 2011-01-28 2011-01-28 Shock-absorbing sheet for improving body balance and blood flo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4356B1 true KR101154356B1 (en) 2012-06-14

Family

ID=46581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08785A KR101154356B1 (en) 2011-01-28 2011-01-28 Shock-absorbing sheet for improving body balance and blood flow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113828A1 (en)
KR (1) KR101154356B1 (en)
WO (1) WO2012102489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9594B2 (en) * 2013-05-07 2022-08-02 Danielle M Kassatly Footwear auxiliaries for synchronously toning leg muscles in order to straighten back posture
WO2017050342A1 (en) * 2015-09-22 2017-03-30 Puma SE Shoe, in particular a sports shoe
EP3788915A1 (en) * 2019-09-05 2021-03-10 Serdar Plastik Sanayi Ve Ticaret A.S. Thermoplastic spring
US20220071425A1 (en) * 2021-11-12 2022-03-10 Joel Heath Active motion anti-fatigue ma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394A (en) * 2002-02-06 2003-04-21 엡텍주식회사 Cushion system providing enhanced cushioning function and aeration
KR200389397Y1 (en) * 2005-04-11 2005-07-14 김동찬 A sole of shoe having a function of air circulation
KR20090091098A (en) * 2009-08-06 2009-08-26 정홍배 Weight balancing system
KR20090124452A (en) * 2008-05-30 2009-12-03 주승돈 Inner sole of sho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D20020246A1 (en) * 2002-09-24 2004-03-25 Geox Spa STRUCTURE OF WATERPROOF AND BREATHABLE SOLE FOR FOOTWEAR AND FOOTWEAR MADE WITH THE SOLE.
JPH11192105A (en) * 1997-12-26 1999-07-21 Masanobu Furuhashi Insole of shoe and wooden pattern as well as manufacture of shoes
DE10038216C2 (en) * 2000-08-04 2002-11-14 Head Sport Ag Shoe insole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IT1317377B1 (en) * 2000-10-31 2003-06-16 Nottington Holding Bv BREATHABLE AND WATERPROOF SOLE FOR FOOTWEAR.
US7250033B2 (en) * 2003-09-03 2007-07-31 Beiruti Ahmad M Flexing multiple function interactive massage and reflexology unit
WO2007032885A2 (en) * 2005-09-13 2007-03-22 Dow Global Technologies Inc. Distannoxane catalysts for silane crosslinking and condensation reactions
US7607243B2 (en) * 2006-05-03 2009-10-27 Nike, Inc. Athletic or other performance sensing systems
ITMC20070115A1 (en) * 2007-06-04 2007-09-03 Eurosuole Spa MEMBRANE WITH CUPS-SHAPED SUCTION CUPS PRINTED DIRECTLY ON A HYDROPHILIC AND / OR BREATHABLE MATERIAL SUPPORT FOR GREATER FOOTWEAR COMFORT.
EP2254671A1 (en) * 2008-01-31 2010-12-01 Jeffrey David Stewart Exercise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SG190588A1 (en) * 2008-05-01 2013-06-28 Plantiga Technologies Inc Footwear assembly with integral footbed suspension system
IT1396032B1 (en) * 2009-10-15 2012-11-09 Geox Spa WATERPROOF AND BREATHABLE FOOTWEAR SOLE AND SHOE MADE WITH ITSELF SOLE
US10113043B2 (en) * 2010-02-26 2018-10-30 Twin Brook Capital Partners, Llc Polyurethane gel particles, methods and use in flexible foams
US20120311887A1 (en) * 2011-06-10 2012-12-13 Peter Wong Therapeutic Shoe Sol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FR2982745B1 (en) * 2011-11-22 2014-01-03 Decathlon Sa SHOE SOLE AND SHOE EQUIPPED WITH SUCH SOLE
US20140325870A1 (en) * 2013-03-15 2014-11-06 Aura Technologies Llc Resilient stabilizer and connecting member for a cushioning device in an article of footwear
US9610543B2 (en) * 2014-01-31 2017-04-04 Infineon Technologies Ag Method for simultaneous structuring and chip singul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394A (en) * 2002-02-06 2003-04-21 엡텍주식회사 Cushion system providing enhanced cushioning function and aeration
KR200389397Y1 (en) * 2005-04-11 2005-07-14 김동찬 A sole of shoe having a function of air circulation
KR20090124452A (en) * 2008-05-30 2009-12-03 주승돈 Inner sole of shoes
KR20090091098A (en) * 2009-08-06 2009-08-26 정홍배 Weight balanc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02489A3 (en) 2012-12-06
WO2012102489A2 (en) 2012-08-02
US20150113828A1 (en)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3508B2 (en) Foot balancing device
US20100305478A1 (en) Weight monitoring apparatus, weight monitor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thereof
AU2013217805B2 (en) Device for rebalancing the pelvis and training method associated therewith
KR101154356B1 (en) Shock-absorbing sheet for improving body balance and blood flow
KR101052202B1 (en) Improving bodily equilibrium improv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834721B1 (en) Sensing device and sensing data processing method
US10568802B2 (en) Foot therapy device
KR100788854B1 (en) A health shoes for rolling type walking
KR101463544B1 (en) Functional molding air insole for impact absorption and pain relieving
KR101353391B1 (en) Functional fitting type unit sole
KR101018905B1 (en) Medical footwear with multi weight control spring device and chiropractic body shape correction that provides pain relief on joints
CN213096415U (en) Massage slippers
EP3053470A1 (en) Foot balancing device
JP2012527297A (en) Human body-balanced footwear that provides cushions that match the user's weight by preventing O or X legs
KR200483752Y1 (en) Wooden shoes for strengthening Achilles tendon
CN102726887B (en) The device of balance foot
CN204132555U (en) The buffering shoe-pad of health equilibrium and improving blood flow
JP3095615U (en) Sole with vibration absorption buffer function
KR102004519B1 (en) Correcting device for scoliosis
TWM393187U (en) Adjustable foot arch stabilizing pad
TWM365165U (en) Insole structure
KR102633388B1 (en) Functional healthy shoes
KR200492086Y1 (en) Weight for shoes
KR102109499B1 (en) Body balancing tool, and manufacturing and using method therefor
KR20240040873A (en) Shoes for walking exerci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