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702B1 - Method for originating call in dual-band dual-mode terminal and dual-band dual-mode terminal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for originating call in dual-band dual-mode terminal and dual-band dual-mode terminal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702B1
KR101146702B1 KR1020090082040A KR20090082040A KR101146702B1 KR 101146702 B1 KR101146702 B1 KR 101146702B1 KR 1020090082040 A KR1020090082040 A KR 1020090082040A KR 20090082040 A KR20090082040 A KR 20090082040A KR 101146702 B1 KR101146702 B1 KR 101146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eans
call
digits
called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0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24154A (en
Inventor
최도형
이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82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702B1/en
Publication of KR20110024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1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7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통합망(FMC:Fixed Mobile Convergence)에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의 호 발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은, 제 1 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통신수단; 제 2 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2 통신수단;; 및 착신 번호의 자릿수와 임계값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통신수단 및 상기 제 2 통신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여 호를 발신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가 입력된 착신 번호의 자릿수와 임계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복수의 통신수단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함으로써, 매번 호를 발신할 때마다 통신 유형을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origination method of a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in a fixed mobile convergence network (FMC) and a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for the same, and dual band dual support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interfa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e terminal includes: first communication means connected to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Second communication means connected to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And control means for selectively activating any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digits of the called number and the threshold value to transmit a call. By comparing the digits of the incoming call number with the threshold and activa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an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user has to select the communication type every time a call is sent.

유무선통합, FMC, DBDM, 듀얼밴드 듀얼모드, VoIP, 무선랜, 이동통신, WCDMA, 자릿수, 착신 번호, 착신 전화번호 Wired / Wireless Integration, FMC, DBDM, Dual Band Dual Mode, VoIP, Wireless LAN, Mobile Communication, WCDMA, Digits, Called Number, Called Phone Number

Description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의 호 발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METHOD FOR ORIGINATING CALL IN DUAL-BAND DUAL-MODE TERMINAL AND DUAL-BAND DUAL-MODE TERMINAL THEREFOR}Calling method of dual-band dual-mode terminal and dual-band dual-mode terminal for this purpose {METHOD FOR ORIGINATING CALL IN DUAL-BAND DUAL-MODE TERMINAL AND DUAL-BAND DUAL-MODE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은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유무선통합망(FMC:Fixed Mobile Convergence)에서의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의 호 발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ll origination method of a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in a fixed mobile convergence network (FMC) and a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for the same.

유선 통신망은 IP 기반의 NGN(Next Generation Network) 망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무선 통신망도 IP 기반의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는 개별적으로 발전해왔던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이 IP 기반 위에서 통합되어 가고 있고, 이러한 통합 기술을 유무선통합(FMC:Fixed Mobile Convergence)이라 한다. 이러한 유무선통합 기술의 개발에 수반하여 유선 통신망에 접속해 IP 기반의 인터넷 전화(VoIP)를 이용할 수 있고, 동시에 WCDMA와 같은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상적인 이동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듀얼 모드 단말이 개발되고 있다. Wired communication networks are developing into IP-based NGN (Next Generation Network) networks,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re also developing into IP-based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networks. Accordingly,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which have been developed so far, are being integrated on an IP basis, and this integration technology is called fixed mobile convergence (FMC). With the development of the wired / wireless integrated technology, a dual-mode terminal can be connected to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o use IP-based Internet telephony (VoIP), and at the same time, to acces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CDMA and use ordinary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It is becoming.

특히, 유무선통합 기술은 기업 통신 시장에서 이슈가 되고 있다. 종래에는 기업 내에서 내선 통화는 내선용 단말을 이용해야 하고 이러한 내선용 단말은 이동에 제약이 있으나, 기업 내에 유무선통합망을 구축하면 직원들은 하나의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을 이용하여 이동하며 무선랜 등에 접속이 가능한 사업장 내에서 인터넷 전화를 이용하여 내선 통화나 외부 통화를 할 수 있고, 무선랜 등에 접속이 불가능한 사업장 내에서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직원 간 무료 통화 또는 개인적인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기업의 통신 요금은 많은 부분 절감이 가능해지고, 이동 중 내선 통화나 메일 송수신 등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기업의 업무 효율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In particular, wired / wireless integrated technology has become an issue in the corporate communications market. Conventionally, an extension call must be used for an extension terminal in an enterprise, and such an extension terminal has limitations in movement. However, when a wired / wireless integrated network is established in an enterprise, employees move using one dual-band dual-mode terminal. Within a workpla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back, you can make internal or external calls using an Internet phone, and within a workplace that cannot be connected to a wireless LAN, you can make free or personal calls between employees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s a result, the company's communication costs can be greatly reduced, and the company's work efficiency is further enhanced because it enables the user to make calls and send and receive e-mails while traveling.

다만, 기업 내 유무선통합망에서 사용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은 인터넷 전화 서비스와 일반 이동통신서비스를 모두 지원하기 때문에 개인 사생활 보호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즉, 기업 내 유무선통합망을 통해 인터넷 전화를 이용하여 내선 통화 또는 개인적인 통화를 하게 되면, 그 통화 기록 또는 통화 내용이 녹음되는 등의 개인 사생활이 무방비로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을 이용하여 기업 내에서 통화를 시도할 때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의 사용자는 인터넷 전화로 통화를 할 것인지 아니면 일반 이동통신서비스로 통화를 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However,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used in the wired / wireless integrated network in the enterpris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vulnerable to privacy protection because it supports both Internet telephony service and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 other words, when an internal call or a personal call is made using an internet phone through a wired / wireless integrated network in a company, personal privacy such as recording of the call record or the contents of the call may be unprotected. Therefore, when attempting to make a call in an enterprise using a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the user of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should decide whether to make a call using an Internet phone or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이를 위해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은 사용자가 착신 번호를 입력하여 통화를 시도할 때마다 인터넷 전화로 통화로 할 것인지 아니면 일반 이동통신서비스로 통화를 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팝업창을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거나, 또는 듀얼 모드 단말에 특수 키를 할당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팝업창을 표시하는 방식이나 특수 키를 할당하는 방식 모두 착신 번호가 입력될 때마다 매번 행해져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To this end,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displays a pop-up window asking whether to make a call using an Internet phone or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henever a user inputs an incoming number and attempts to make a call. Alternatively, a special key may be assigned to the dual mod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freely select it. However, both the method of displaying a pop-up window and the method of assigning a special key have a very troublesome problem because each time a called number is input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유무선통합망 환경에서 사용자의 조작을 최소화하며 인터넷 전화망 또는 이동통신망으로 선택적으로 호를 발신하기 위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의 호 발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he call origination method of the dual-band dual-mode terminal for minimizing the user's operation in the wired / wireless integrated network environment and to selectively send the call to the Internet telephone network 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am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ual-band dual-mode terminal f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nd will be appreciated by the practice of the invention. Fur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the combination shown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은, 제 1 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통신수단; 제 2 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2 통신수단; 및 착신 번호의 자릿수와 임계값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통신수단 및 상기 제 2 통신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여 호를 발신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dual-band dual-mode terminal support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interfaces,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Second communication means connected to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And control means for selectively activating any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digits of the called number and the threshold value to transmit a call.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제 1 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통신수단과, 제 2 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2 통신수단을 포함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에서의 호 발신 방법은, 착신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착신 번호의 자릿수와 임계값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통신수단 및 상기 제 2 통신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단계; 및 활성화된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착신 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eans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and a second communication means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Call origination method in a dual-band dual-mode terminal, the step of receiving the incoming number; Selectively activating any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of the digits of the called number and a threshold value; And sending a call to the called number through an activated communication mean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에서 입력되는 착신 번호의 자릿수를 확인하여 소정 임계값 미만 자릿수의 착신 번호가 입력될 때에는 사용자 의 확인 없이 회사 전화로 판단하여 인터넷 전화 연결을 시도하고, 임계값 이상 자릿수의 착신 번호가 입력될 때에만 사용자에게 개인 전화인지 회사 전화인지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인터넷 전화 연결을 하거나 이동통신 전화 연결을 시도함으로써, 회사 내에서 전화를 걸 때마다 매번 사용자에게 전화 연결 방식을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한다. 특히, 자릿수가 임계값 미만으로 정해진 내선 통화를 시도할 때 일반 내선용 단말에서와 같이 내선 번호 다이얼링만 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the number of digits of the incoming number input from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and when the incoming number of digit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is input, it is determined as a work telephone without user confirmation and attempts to connect to the Internet. When making a call from within the company by checking whether the user is a personal phone or a work phone only when a forwarding number of more than the threshold is entered, and optionally making an Internet phone call or attempting a mobile phone call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It solves the hassle of checking how the user connects to the phone every time. In particular, when attempting an extension call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digits below the threshold value,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because only extension number dialing is required as in a general extension terminal.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oregoing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re will b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의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은, 인터넷 전화모듈(110), 이동통신 전화모듈(120), 표시부(130), 송수화부(140), 저장부(150), 입력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ternet telephony module 110, a mobile communication telephone module 120, a display unit 130, a handset 140, and a storage unit ( 150, an input unit 160, and a controller 170.

인터넷 전화모듈(110)은, 안테나를 통해 무선랜 등과 통신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VoIP 통화를 수행한다. 인터넷 전화모듈(110)은 H.323이나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프로토콜 스택을 탑재하여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H.323이나 SIP 프로토콜 스택에 의해 호 연결이 이루어지면 음성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한다. 인터넷 전화모듈(110)이 기업이나 가정 등의 AP(Access Point)와 통신하는 방법의 예로 WIFI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기술 등을 들 수 있다.The Internet telephony module 110 communicates with a wireless LAN and the like through an antenna to perform a VoIP call through an Internet network. The Internet telephony module 110 may be implemented by mounting a H.323 or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protocol stack, and transmits and receives voice data packets when a call connection is made by the H.323 or SIP protocol stack. An example of a method in which the Internet telephony module 110 communicates with an access point (AP) such as an enterprise or a home may include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technology such as WIFI or Bluetooth.

이동통신 전화모듈(120)은,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통신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회선 교환 기반의 통화를 수행한다. 이동통신망은 CDMA 시스템, WCDMA 시스템, GSM 시스템 등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이동통신은 이러한 CDMA 시스템, WCDMA 시스템, GSM 시스템 등의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 중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통신이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lephone module 120 communicates with 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n antenna to perform a circuit switched based cal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a CDMA system, a WCDMA system, a GSM system, and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is a communication for performing a voice or video call while moving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CDMA system, a WCDMA system, or a GSM system.

표시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표시 장치로서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의 상태 및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 등을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30 is a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and displays a screen corresponding to a state of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100 and a user's key inpu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송수화부(14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통화 상대방의 음성을 복호화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또한 사용자의 음성을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아 부호화하고 이를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handset 140 performs a function of decoding a voice of a call counterpart through a speak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outputting the voice through a speaker, encoding a user's voice through a microphone, and transmitting the voice to a call counterpart. .

저장부(150)는, 메시지, 전화번호부, 사진, 동영상 등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50 stores various data such as a message, a phone book, a picture, a video, and the like.

입력부(160)는, 사용자로부터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을 조작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다. 입력부(160)는 통상적인 키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다.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신호는 제어부(170)로 전달된다.The input unit 160 receives a signal for operating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100 from a user. The input unit 160 receives a signal from a user through a conventional keypad or a touch screen. The user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6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70.

제어부(170)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부(170)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데이터들이 저장된 시스템 메모리를 구비한다.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100. 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ler 170 includes a program memory in which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100 is recorded, and a system memory in which data for executing the program is stored.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착신 번호에 따라 상기 인터넷 전화모듈(110) 및 상기 이동통신 전화모듈(1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활성화한다.The controller 170 selects and activates any one of the Internet phone module 1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phone module 120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r a called number input by the user.

바람직하게,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해 입력부(160)를 통해 착신 번호를 입력하면, 그 입력된 착신 번호의 자릿수를 분석하여, 착신 번호의 자릿수가 소정의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인터넷 전화모듈(110)을 바로 활성화하여 인터넷 전화를 시도한다. Preferably, when the user inputs the called number through the input unit 160 to make a phone call, the controller 170 analyzes the number of digits of the received called number, and when the number of digits of the called number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Internet phone module 110 is immediately activated to attempt an internet phone call.

반면, 제어부(170)는 상기 착신 번호의 자릿수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 표시부(130)에 인터넷 전화를 할 것인지 아니면 이동통신 전화를 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선택 메뉴(예, 팝업창)를 표시하고, 이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입력부(160)를 통해 수신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70 displays a selection menu (eg, a pop-up window) asking whether to make an Internet call or a mobile communication call on the display unit 130 when the number of the called number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ccordingly, a user's selection input is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160.

본 실시예에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은 기업의 유무선통합망에서 사용되므로,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입력한 착신 번호의 자릿수가 소정의 임계값 이 상인 경우, 도 4와 같이 '개인 전화'인지 아니면 '회사 전화'인지 여부를 묻는 선택 메뉴(예, 팝업창)를 표시하고, 이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입력부(160)를 통해 수신한다. 임계값은 '7'이 바람직하다. 이동통신 전화번호의 최소 자릿수는 '10'이고, 유선 전화번호의 최소 자릿수는 '7'이므로, 착신 번호의 자릿수가 '7' 미만이면 내선 번호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확인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없고, '7' 이상이면 내선 번호 이외의 전화번호라고 볼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확인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100 is used in a wired / wireless integrated network of an enterprise, the control unit 170 is a personal as shown in FIG. 4 when the number of digits of the called number input by the us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A selection menu (eg, a pop-up window) asking whether the telephone is a 'call' or a 'work phone', and receives a user's selec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60 accordingly. The threshold is preferably '7'. Since the minimum number of digi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umber is '10' and the minimum number of digits of the landline number is '7', if the number of the called number is less than '7', the extension is an extension number. If '7' or more, it can be regarded as a phone number other than the extension number, so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above verification procedure.

다른 실시 형태로서,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입력한 착신 번호가 '0'으로 시작하면서 자릿수가 '7' 자리 이상인 경우에만 도 4와 같이 '개인 전화'인지 아니면 '회사 전화'인지 여부를 묻는 선택 메뉴를 표시하고, 이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내선 번호는 '0'으로 번호가 시작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착신 번호가 '0'으로 시작하면서 '7' 자리 이상인 경우에만 상술한 바와 같은 확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70 determines whether it is a 'personal phone' or a 'work phone' as shown in FIG. 4 only when the called number input by the user starts with '0' and has seven or more digits. A selection menu may be displayed and a user's selection input may be received accordingly. Since the extension number generally does not start with '0', the confirmation procedure as described above can be performed only when the called number starts with '0' and has more than '7' digits.

한편, 착신 번호가 임계값 미만일 때 이동통신망을 통해 호 발신이 이루어져야만 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지정된 번호로 착신 호가 수신되도록 하는 착신 전환 서비스의 경우, 착신 전환 서비스를 신청하기 위해 특수 번호(예컨대, **71)로 시작하는 '7' 자리 미만의 착신 번호를 입력하여 호를 발신하는데, 이러한 착신 전환 서비스를 위한 발신 호는 이동통신망으로 호 발신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른 예로, '112', '119'와 같은 긴급 호의 경우에도 이동통신망으로 호 발신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lled number is less than the threshold there is a case that the call must be mad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all forwarding service that allows an incoming call to be received at a specified number, a call is input by entering a called number of less than 7 digits starting with a special number (for example, ** 71) to apply for call forwarding service. For example, outgoing calls for such forwarding services should be sen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s another example, in case of an emergency call, such as '112', '119' it is necessary to make a cal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따라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의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입력한 착신 번호의 자릿수가 소정의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착신 번호가 특수 번호로 시작하거나 또는 긴급 호의 번호인지 확인하여, 특수 번호로 시작하거나 긴급 호인 때에는, 도 4와 같이 '개인 전화'인지 아니면 '회사 전화'인지 여부를 묻는 선택 메뉴를 표시하고 이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확인을 받지 않고 바로 이동통신 전화모듈(120)을 활성화하여 호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Therefore, when the number of digits of the called number input by the user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controller 170 of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100 checks whether the called number starts with a special number or is an emergency call number. When starting with a special number or an emergency call, as shown in FIG. 4, a selection menu may be displayed asking whether the user is a 'personal phone' or a 'company phone', and a user's selection input may be received accordingly. In this case, the call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y immediately activ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phone module 120 without receiving confirmation from the us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의 호 발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origination method of a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에 제어부(170)는 입력부(1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착신 번호를 입력받고(S201), 그리고 통화 연결 입력을 수신한다(S203). 통화 연결 입력은 통화 버튼을 누름으로써, 또는 통화 연결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 unit 170 receives an incoming number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60 (S201) and receives a call connection input (S203). The call connection input may be made by pressing a call button or by selecting a call connection menu.

착신 번호 및 통화 연결 입력을 수신한 제어부(170)는, 상기 입력된 착신 번호의 자릿수를 분석하여 상기 착신 번호의 자릿수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 확인한다(S205). 여기서, 임계값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7'이 바람직하며, 또는 착신 번호가 '0'으로 시작하며 '7' 자리 이상인지 확인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형태에 따라 판단 조건은 변경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70 receiving the called number and the call connection input analyzes the number of digits of the received called number and checks whether the number of digits of the called numb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S205). Here, the threshold value is preferably '7'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or it may be checked whether the called number starts with '0' and is '7' or mo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judgment condi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착신 번호의 자릿수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의 제어부(170)는, 인터넷 전화모듈(110)을 활성화하여 무선랜 등에 접속하여 상기 착신 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한다(S215).If the number of the called number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controller 170 of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100 activates the Internet telephony module 110 and attempts to connect to the called number by accessing the wireless LAN or the like (S215). ).

그러나, 착신 번호의 자릿수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의 제어부(170)는 통화 유형을 묻는 팝업창을 표시부(130)에 출력한다(S207).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전화'인지 아니면 '회사 전화'인지 여부를 묻는 팝업창을 표시부(130)에 출력한다.However, when the number of digits of the called numb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the controller 170 of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100 outputs a popup window for the call type to the display 130 (S207). As shown in FIG. 4, the display unit 130 outputs a pop-up window asking whether it is a personal phone or a work phone.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의 제어부(170)는 이러한 통화 유형 문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입력부(160)를 통해 수신한다(S209). 사용자의 입력은 키 버튼을 통해 수신할 수도 있고 또는 터치패드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roller 170 of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100 receives a user input for the call type inquiry through the input unit 160 (S209). The user's input may be received via a key button or may be received via a touchpad. The method of receiving a user input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통화 유형 선택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의 제어부(170)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회사 전화'인지 아니면 '개인 전화'인지 확인하여(S211), '회사 전화'가 아닌 '개인 전화'의 입력인 경우 이동통신 전화모듈(120)을 활성화하여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에 접속하여 상기 착신 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한다(S213).The controller 170 of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100 receiving the user's input for the call type selection checks whether the user's input is a 'work phone' or a 'personal phone' (S211). In the case of input of 'personal phone' instead of 'telephone',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is activated to access the base s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ttempt to connect the call to the called number (S213).

반면,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회사 전화'인 경우,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의 제어부(170)는, 인터넷 전화모듈(110)을 활성화하여 무선랜 등에 접속하여 상기 착신 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한다(S215). 여기서 상기 착신 번호는 내선 번호일 수도 있고 또는 회사 내의 유무선통합망을 통해 기업 내외의 이동통신단말로 호를 시도하기 위한 번호일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s input is a 'work phone', the controller 170 of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100 activates the Internet telephony module 110 and accesses a wireless LAN or the like to connect a call to the called number. It tries (S215). The called number may be an extension number or may be a number for attempting to cal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side or outside a company through a wired / wireless integrated network in a company.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업 내의 유무선통합망 환경에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은, 착신 번호의 자릿수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만 사용자에게 인터넷 전화로 호를 발신할 것인지 아니면 이동통신망으로 호를 발신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착신 번호의 자릿수가 임계값 미만일 경우에는 자동으로 인터넷 전화로 호를 발신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착신 번호가 입력될 때마다 연결할 망을 선택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in a wired / wireless integrated network environment in an enterprise,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100 transmits a call to the user via an Internet phone only when the number of the called numb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or moves. It checks whether or not to make a call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automatically sends a call to the Internet telephone when the number of the called number is less than the threshold. Accordingly, the user can solve the hassle of selecting a network to connect to whenever a called number is input.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의 호 발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origination method of a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에 제어부(170)는 입력부(1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착신 번호를 입력받고(S301), 그리고 통화 연결 입력을 수신한다(S303). 통화 연결 입력은 통화 버튼을 누름으로써, 또는 통화 연결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ler 170 in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100 receives an incoming number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60 (S301), and receives a call connection input (S303). The call connection input may be made by pressing a call button or by selecting a call connection menu.

착신 번호 및 통화 연결 입력을 수신한 제어부(170)는, 상기 입력된 착신 번호의 자릿수를 분석하여 상기 착신 번호의 자릿수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 확인한다(S305). 여기서, 임계값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7'이 바람직하며, 또는 착신 번호가 '0'으로 시작하며 '7' 자리 이상인지 확인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형태에 따라 판단 조건은 변경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70 receiving the called number and the call connection input analyzes the number of digits of the received called number and checks whether the number of digits of the called numb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S305). Here, the threshold value is preferably '7'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or it may be checked whether the called number starts with '0' and is '7' or mo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judgment condi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착신 번호의 자릿수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의 제어부(170)는, 상기 착신 번호에 특수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또는 상기 착신 번호가 긴급 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07). 상기 특수 번호의 예로서, 착신 전환 서비스를 위한 '**71'를 들 수 있고, 상기 긴급 호의 예는 '112', 119' 등의 번호이다. When the number of digits of the called number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controller 170 of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100 checks whether the called number includes a special number or whether the called number is an emergency call (S307). ). An example of the special number may include '** 71' for call forwarding service, and examples of the emergency call are numbers such as' 112 'and 119'.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의 제어부(170)는, 상기 착신 번호에 특수 번호가 포함되어 있거나, 상기 착신 번호가 긴급 호인 경우, 이동통신 전화모듈(120)을 활성화하여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에 접속하여 상기 착신 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한다(S317). The control unit 170 of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100 includes a special number in the called number, or when the called number is an emergency call, activates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and accesses the base s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ttempts to connect the call to the called number (S317).

반면,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의 제어부(170)는, 상기 착신 번호에 특수 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또한 상기 착신 번호가 긴급 호가 아닌 경우, 인터넷 전화모듈(110)을 활성화하여 무선랜 등에 접속하여 상기 착신 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한다(S317). 즉,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은 회사 내의 인터넷망을 통해 내선 통화 또는 외부 통화를 시도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70 of the dual-band dual-mode terminal 100, if the incoming number does not contain a special number, and the incoming number is not an emergency call, by activating the Internet telephony module 110 to wireless LAN The call is attempted to connect to the called number by accessing the terminal and the like (S317). That is,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100 attempts an extension call or an external call through the Internet in the company.

한편, 상기 단계 S305에서 확인한 결과, 착신 번호의 자릿수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의 제어부(170)는 통화 유형을 묻는 팝업창을 표시부(130)에 출력한다(S309).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전화'인지 아니면 '회사 전화'인지 여부를 묻는 팝업창을 표시부(130)에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S305, if the number of digits of the called number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controller 170 of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100 outputs a pop-up window for the call type to the display unit 130 (S309). As shown in FIG. 4, the display unit 130 outputs a pop-up window asking whether it is a personal phone or a work phone.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의 제어부(170)는 이러한 통화 유형 문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입력부(160)를 통해 수신한다(S311). 사용자의 입력은 키 버튼을 통해 수신할 수도 있고 또는 터치패드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rol unit 170 of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100 receives a user input for the call type inquiry through the input unit 160 (S311). The user's input may be received via a key button or may be received via a touchpad. The method of receiving a user input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통화 유형 선택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의 제어부(170)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회사 전화'인지 아니면 '개인 전화'인지 확인하여(S313), '회사 전화'가 아닌 '개인 전화'의 입력인 경우 이동통신 전화모듈(120)을 활성화하여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에 접속하여 상기 착신 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한다(S317).The controller 170 of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100 receiving the user's input for the call type selection checks whether the user's input is a 'work phone' or a 'personal phone' (S313). In the case of input of 'personal phone' instead of 'telephone',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is activated to access the base s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ttempt to connect the call to the called number (S317).

반면,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회사 전화'인 경우,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의 제어부(170)는, 인터넷 전화모듈(110)을 활성화하여 무선랜 등에 접속하여 상기 착신 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한다(S315). 즉,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은 회사 내의 인터넷망을 통해 내선 통화 또는 외부 통화를 시도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s input is a 'work phone', the controller 170 of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100 activates the Internet telephony module 110 and accesses a wireless LAN or the like to connect a call to the called number. Attempt is made (S315). That is,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100 attempts an extension call or an external call through the Internet in the company.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업 내의 유무선통합망 환경에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은, 착신 번호의 자릿수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만 사용자에게 인터넷 전화로 호를 발신할 것인지 아니면 이동통신망으로 호를 발신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착신 번호의 자릿수가 임계값 미만일 경우에는 자동으로 인터넷 전화로 호를 발신한다. 이때, 착신 번호의 자릿수가 임계값 미만일 경우에도 착신 번호에 특수 번호가 포함되거나 또는 긴급 호인 경우에는 인터넷망을 통해 통화 연결을 시도하지 않고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n a wired / wireless integrated network environment in an enterprise,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100 transmits or receives a call to an Internet telephone to a user only when the number of the called numb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It checks whether or not to make a call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automatically sends a call to the Internet telephone when the number of the called number is less than the threshold. At this time, even when the number of the called number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if the called number includes a special number or in case of an emergency call, the call is attemp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attempting to make a call.

상술한 실시예에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100)은 두 개의 통신모듈로서, 인터넷 전화모듈(110)과 이동통신 전화모듈(120)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기종의 통신 모듈을 탑재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이면 제한없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와이브로(Wibro) 통신 모듈과 HSDPA 통신 모듈을 탑재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100 is described as two communication modules, taking the Internet telephone module 1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lephone module 120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equipped with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equipped with a Wibro communication module and an HSDPA communication module.

다시 말하면, 복수의 서로 다른 방식의 통신모듈을 탑재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착신 번호의 자릿수와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복수의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여 통화 연결을 할 수 있다. 착신 번호의 자릿수와 임계값을 비교하여 자릿수가 임계값 미만일 때는 복수의 통신모듈 중 제 1 통신모듈이 반드시 활성화되도록 하고, 자릿수가 임계값 이상일 때는 복수의 통신모듈 중 어느 것을 활성화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통신모듈을 활성화하면 된다. 이때, 착신 번호의 자릿수가 임계값 미만이더라도 착신 번호에 특수 문자가 포함되어 있거나 긴급 호인 경우와 같이 제 2 통신모듈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을 때는 제 1 통신모듈을 활성화하지 않고 제 2 통신모듈을 활성화하여 착신 번호로 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other words, in a dual-band dual mode terminal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communication modules, the number of digits of a called number input by a user is compared with a threshold value, an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is selectiv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You can activate it to make a call. By comparing the number of digits of the called number and the threshold value, when the number of digits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must be activated. Check and activate the communication module selected by the user. At this time, even if the number of the called number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when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needs to be activated, such as when the called number includes a special character or an emergency call,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without activating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To make a call to the called number.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embodied as a program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ROM, a RAM, a ROM, a floppy disk, a hard disk, or a magneto-optical disk).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한 부결합(subcombination)에서 구현될 수 있다. While the specification contains many features, such featur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or the scope of the claims. In addition, the features described in the individual embodiments herein may be combined and implemented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described herein in a singl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individually or in a suitable subcombination.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어떤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though the operations have been described in a particular order in the fig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are performed in a particular order as shown, or that a series of sequential orders, or all described operations, . In some circumstanc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ivision of various system component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oes not require such division in all embodiments. The above-described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can generally be implemented as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as a package in multiple software product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상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의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의 호 발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origination method of a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의 호 발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origination method of a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유형 선택 메뉴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ll type selection menu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삭제delete 삭제delete 복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에 있어서,In a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support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thods, 제 1 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통신수단;First communication means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제 2 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2 통신수단; 및Second communication means connected to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And 착신 번호의 자릿수와 임계값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통신수단 및 상기 제 2 통신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여 상기 착신 번호로 호를 발신하되, 상기 자릿수가 임계값 미만이면서 상기 착신 번호에 특수 문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통신수단을 선택하여 활성화하고, 상기 자릿수가 임계값 미만이면서 상기 착신 번호에 특수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통신수단을 선택하여 활성화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Selectively activates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number of digits of the called number and the threshold value to send a call to the called number, wherein the number of digits is less than a threshold Selecting and activating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when no special characters are included in the number, and selecting and activating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when the called number includes special characters when the number of digits is less than a threshold.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comprising a control means. 복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에 있어서,In a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support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thods, 제 1 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통신수단;First communication means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제 2 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2 통신수단; 및Second communication means connected to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And 착신 번호의 자릿수와 임계값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통신수단 및 상기 제 2 통신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여 상기 착신 번호로 호를 발신하되, 상기 자릿수가 임계값 미만이면서 상기 착신 번호가 긴급 호의 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제 1 통신수단을 선택하여 활성화하고, 상기 자릿수가 임계값 미만이면서 상기 착신 번호가 긴급 호의 번호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통신수단을 선택하여 활성화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Selectively activates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number of digits of the called number and the threshold value to send a call to the called number, wherein the number of digits is less than a threshold Control means for selecting and activating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when the number is not the emergency call number, and selecting and activating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when the called number is the emergency call number while the number of digits is less than a threshold;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including. 복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에 있어서,In a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support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thods, 제 1 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통신수단;First communication means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제 2 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2 통신수단; 및Second communication means connected to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And 착신 번호의 자릿수와 임계값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통신수단 및 상기 제 2 통신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여 상기 착신 번호로 호를 발신하되, 상기 자릿수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통신 유형 선택을 위한 메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이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통신수단 및 상기 제 2 통신수단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Selectively activates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number of digits of the called number and the threshold, and sends a call to the called number, when the number of digit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And a control means for displaying a menu for selecting a type to a user and activating any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according to a user input. 제 5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어수단은,The control means, 상기 자릿수가 임계값 이상인지 확인하는데 있어서, 상기 착신 번호가 '0'부터 시작하고 자릿수가 임계값 이상인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In determining whether the number of digit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the dual-band dual mod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alled number starts from '0' and the number of digit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통신수단과, 제 2 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2 통신수단을 포함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에서의 호 발신 방법으로서,A call originating method in a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comprising a first communication means connected to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and a second communication means connected to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착신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Receiving a called number; 상기 착신 번호의 자릿수와 임계값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통신수단 및 상기 제 2 통신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되, 상기 자릿수가 임계값 미만이면서 상기 착신 번호에 특수 문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통신수단을 선택하여 활성화하고, 상기 자릿수가 임계값 미만이면서 상기 착신 번호에 특수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통신수단을 선택하여 활성화하는 단계; 및Selectively activates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number of digits of the called number and a threshold value, wherein the number of digits is less than a threshold value and the called number includes a special character Selecting and activating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if not, and selecting and activating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when the number of digits is less than a threshold and the called number includes a special character; And 활성화된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착신 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에서의 호 발신 방법.Calling a call to the called number through an activated communication means. 제 1 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통신수단과, 제 2 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2 통신수단을 포함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에서의 호 발신 방법으로서,A call originating method in a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comprising a first communication means connected to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and a second communication means connected to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착신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Receiving a called number; 상기 착신 번호의 자릿수와 임계값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통신수단 및 상기 제 2 통신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되, 상기 자릿수가 임계값 미만이면서 상기 착신 번호가 긴급 호의 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제 1 통신수단을 선택하여 활성화하고, 상기 자릿수가 임계값 미만이면서 상기 착신 번호가 긴급 호의 번호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통신수단을 선택하여 활성화하는 단계; 및Selectively activates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number of digits of the called number and a threshold value, wherein the number of digits is less than a threshold and the called number is not an emergency call number; Selecting and activating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and selecting and activating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when the called number is an emergency call number while the number of digits is less than a threshold value; And 활성화된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착신 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에서의 호 발신 방법.Calling a call to the called number through an activated communication means. 제 1 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통신수단과, 제 2 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2 통신수단을 포함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에서의 호 발신 방법으로서,A call originating method in a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comprising a first communication means connected to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and a second communication means connected to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착신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Receiving a called number; 상기 착신 번호의 자릿수와 임계값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통신수단 및 상기 제 2 통신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되, 상기 자릿수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통신 유형 선택을 위한 메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통신 유형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통신 유형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통신수단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Selectively activates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of the number of digits of the called number and the threshold; Displaying and receiving a communication type selection input and activating communication means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mmunication type selection input; And 활성화된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착신 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단계; 포함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에서의 호 발신 방법.Sending a call to the called number through an activated communication means; Call origination method in a dual-band dual-mode terminal comprising.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상기 활성화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통신 유형 선택 메뉴의 표시는The display of the communication type selection menu in the activating step is 상기 착신 번호가 '0'부터 시작하고 상기 자릿수가 임계값 이상일 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에서의 호 발신 방법.The call originating method of the dual-band dual mod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s performed when the called number starts from '0' and the digit is more than the threshold.
KR1020090082040A 2009-09-01 2009-09-01 Method for originating call in dual-band dual-mode terminal and dual-band dual-mode terminal therefor KR1011467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040A KR101146702B1 (en) 2009-09-01 2009-09-01 Method for originating call in dual-band dual-mode terminal and dual-band dual-mode terminal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040A KR101146702B1 (en) 2009-09-01 2009-09-01 Method for originating call in dual-band dual-mode terminal and dual-band dual-mode terminal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154A KR20110024154A (en) 2011-03-09
KR101146702B1 true KR101146702B1 (en) 2012-05-22

Family

ID=43932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040A KR101146702B1 (en) 2009-09-01 2009-09-01 Method for originating call in dual-band dual-mode terminal and dual-band dual-mode terminal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70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17415A (en) * 2012-09-28 2013-02-06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Double-mode mobile terminal and mode switching method for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538B1 (en) * 2012-01-27 2013-06-1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537981B1 (en) * 2014-04-01 2015-07-22 (주)헬릭스테크 Two number service system and two number service providing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977A (en) * 2003-06-16 2004-12-23 주식회사 케이티 Wireless telephone system and its method for supporting wireless lan and mobile communication
KR20060129760A (en) * 2005-06-13 2006-12-18 브이케이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number by using dtmf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talking over the teleph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977A (en) * 2003-06-16 2004-12-23 주식회사 케이티 Wireless telephone system and its method for supporting wireless lan and mobile communication
KR20060129760A (en) * 2005-06-13 2006-12-18 브이케이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number by using dtmf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talking over the tele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17415A (en) * 2012-09-28 2013-02-06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Double-mode mobile terminal and mode switching method for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154A (en)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037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utomatic response to a telephone call
US9247067B2 (en) Communications network call initiation transition
EP2822260B1 (en) Cordless telephone equipment, cordless telephone system, and cordless telephone communication method
US9319853B2 (en) Packet switched communication precedence at a multi-mode communication device
JP2002247144A (en) Portable telephone system and its call receiving method
WO2012024844A1 (en) Packet switched communication precedence at multi-mode communication device
KR101146702B1 (en) Method for originating call in dual-band dual-mode terminal and dual-band dual-mode terminal therefor
US10257362B2 (en) Voice gateway
KR100728403B1 (en) Wireless PBX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 call in wireless PBX system
US20080273673A1 (en) Handling of telephone calls
JP2011501552A (en) Providing web-based callbacks that can be implemented simply by dialing and pressing the call button
KR100401701B1 (en) method of notifying received voice call in using wireless data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JP5306129B2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for mobile terminal device
KR102324391B1 (en) System and method connecting a phone from an IP phone using the caller's registered phone number information
KR100901372B1 (en) Method for displaying absent call information
JP2007274644A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8172382A (en) Telephone set,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and call origination/termination history registration/display method used for them
KR100504800B1 (en) Call forwarding method for hand-held terminal using bluetooth operation
KR100948054B1 (en) Method of individualizing received call and multi cordless handset telephone thereof
KR1009252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internet telephone
US8442192B2 (en) Connecting wireless, wireline, and internet-protocol terminals
KR20090063358A (en) Integrated telephone for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and internet
KR100827073B1 (en) Method for sending a call in portable terminal
KR20050055798A (en) Method for operating memopad during convers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5618927B2 (en) User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