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675B1 - Improved continuous hand 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mproved continuous hand 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675B1
KR101144675B1 KR1020100032615A KR20100032615A KR101144675B1 KR 101144675 B1 KR101144675 B1 KR 101144675B1 KR 1020100032615 A KR1020100032615 A KR 1020100032615A KR 20100032615 A KR20100032615 A KR 20100032615A KR 101144675 B1 KR101144675 B1 KR 101144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handwriting
display unit
input display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6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13301A (en
Inventor
임경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텍
Priority to KR102010003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675B1/en
Publication of KR20110113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3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6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해결하려는 과제는 필기 입력 시간을 단축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필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필기 입력 실행 버튼을 갖는 제1입력 표시부; 필기 인식 실행 버튼을 갖는 제2입력 표시부; 및, 상기 제1입력 표시부의 필기 입력 실행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제1입력 표시부 위에 상기 제2입력 표시부를 표시하고, 상기 제2입력 표시부를 통하여 적어도 한 라인의 필기가 입력된 후, 상기 필기 인식 실행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필기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제2입력 표시부를 숨기는 동시에 상기 제1입력 표시부에 상기 텍스트를 표시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a method thereof. The problem to be solved is to shorten the writing input tim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dwriting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omprising: a first input display unit having a handwriting input execution button; A second input display unit having a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And when the writing input execution button of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is touched, displays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and at least one line of writing is input through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and then the handwriting is performed. Disclosed is an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recognizing the handwriting, converting the handwriting into text, hiding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and displaying the text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when the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is touched. .

Description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IMPROVED CONTINUOUS HAND 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IMPROVED CONTINUOUS HAND 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피쳐폰 또는 스마트 폰 등은 필기 입력 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필기 자체를 표시하는 동시에, 이를 인식하여 그 결과를 표시한다. 통상 필기 입력 장치에 의한 필기 인식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필기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필기를 텍스트로 인식하는 단계, 텍스트로 인식된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추가적으로 오타 교정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general, feature phones or smart phones, etc. have a writing input device, they display the writing itself received from the user, at the same time recognizes it and displays the result. In general, a handwriting recognition method using a handwriting input device may include receiving a handwriting from a user, recognizing the input handwriting as text, and displaying a result recognized as text, and may further include a typo correcting step. .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필기 입력 장치는 제한된 개수의 필기 글자를 입력받은 후, 입력된 필기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표시한다. 예를 들면, 한 라인의 필기 입력을 받은 후, 상기 한 라인의 필기 입력에 대한 텍스트 인식 및 표시 과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 라인의 필기를 입력한 후 인식 결과가 나올 때까지 일정 시간 대기하여야 한다. 즉, 사용자는 인식 결과가 나올 때까지 필기 작업을 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필기 입력 및 인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handwriting input device recognizes and displays the input handwriting as text after receiving a limited number of handwritten characters. For example, after receiving a line of handwriting input, a text recognition and display process for the line of handwriting is performed. Therefore, after inputting a line of writing, the user must wait for a predetermined time until a recognition result is displayed. In other words, the user cannot write until the recognition result is obtained. Accordingly, a lot of time is required for handwriting input and recognition.

또한, 종래의 필기 입력 장치는 스크린의 크기에 따라 한 번에 입력할 수 있는 최대 글자 수가 제한된다. 즉, 상기와 같이 한 라인의 필기 입력후 한 라인의 필기 인식이 수행되기 때문에, 한번에 입력할 수 있는 글자 수에 제한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andwriting input device is limited to the maximum number of characters that can be input at one tim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creen. That is, since one line of handwriting recognition is performed after one line of handwriting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limit to the number of characters that can be input at one time.

더불어, 종래의 필기 입력 장치는 스크린 주변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키 또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필기 입력중 사용자가 실수로 다른 키 또는 영역을 터치하기 쉽고, 이에 따라 필기 입력에 오동작이 많이 발생한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handwriting input device, a key or an area for executing another application is formed around the screen, so that a user may easily touch another key or area by mistake during the handwriting input, and thus malfunctions may occur in the handwriting input. It happens a lot.

더불어, 사용자의 관점에서 볼 때, 필기가 올바르게 인식되지 않거나 오동작이 발생할 경우 필기 입력에 집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from a user's point of view, when writing is not correctly recognized or a malfunction occurs, it is difficult to concentrate on the writing input.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에 의한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필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필기 입력 실행 버튼을 갖는 제1입력 표시부; 필기 인식 실행 버튼을 갖는 제2입력 표시부; 및, 상기 제1입력 표시부의 필기 입력 실행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제1입력 표시부 위에 상기 제2입력 표시부를 표시하고, 상기 제2입력 표시부를 통하여 적어도 한 라인의 필기가 입력된 후, 상기 필기 인식 실행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필기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제2입력 표시부를 숨기는 동시에 상기 제1입력 표시부에 상기 텍스트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andwriting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omprising: a first input display having a handwriting input execution button; A second input display unit having a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And when the writing input execution button of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is touched, displays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and at least one line of writing is input through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and then the handwriting is performed. When the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is touched,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handwriting, converts it into text, hides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and simultaneously displays the text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상기 제2입력 표시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전체에 형성된다.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is formed on the entire touch scree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입력 표시부가 적어도 한 라인의 필기를 입력받은 후,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추가적인 필기 입력이 없으면, 상기 필기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제2입력 표시부를 숨기는 동시에 상기 제1입력 표시부에 상기 텍스트를 표시한다.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handwriting and converts the handwriting into text if there is no additional handwriting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receives at least one line of handwriting, and simultaneously hides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The text is displayed on the input display unit.

상기 제2입력 표시부는 연속 필기 입력 감지부를 갖고, 상기 연속 필기 입력 감지부는 상기 제2입력 표시부에 입력 및 표시된 필기중 첫번째 필기가 터치되면, 상기 제어부에 연속 필기 입력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속 필기 입력 감지부로부터 연속 필기 입력 감지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2입력 표시부에 입력 및 표시된 필기를 스크롤시켜 상부로 이동시킨다.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has a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tection unit, and the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tection unit outputs a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when the first handwriting of the writings input and displayed o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is touched. When the controller receives a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tection signal from the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sensor, the controller scrolls the handwriting input and displayed o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and moves upward.

상기 제어부는 텍스트 저장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입력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텍스트를 상기 텍스트 저장부에 저장한다.The controller has a text storage unit, and the controller stores the text displayed through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in the text storage unit.

상기 제어부는 필기 저장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입력 표시부를 통해 입력 및 표시된 필기를 상기 필기 저장부에 저장한다.The control unit has a handwriting storage unit, and the control unit stores the handwriting input and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in the handwriting storage unit.

상기 제1입력 표시부는 오타 교정 감지부를 갖고, 상기 오타 교정 감지부는 상기 제1입력 표시부의 텍스트를 터치하면 오타 교정 감지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타 교정 감지부로부터 오타 교정 감지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1입력 표시부와 상기 제2입력 표시부를 동시에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입력 표시부에서 터치된 텍스트와 대응하는 사용자에 의해 이미 입력된 필기를 상기 제2입력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한다.The first input display unit has a typo correcting detection unit, and the typo correcting detection unit outputs a typo correcting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when the text of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is touched.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display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on the touch screen when the typos correction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typo correction sensor. The control unit may display, through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a handwriting already input by a user corresponding to the text touched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필기 입력 방법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필기 입력 방법에 있어서, 제1입력 표시부에 구비된 필기 입력 실행 버튼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필기 입력 실행 버튼이 터치되었으면, 상기 제1입력 표시부 위에 필기 인식 실행 버튼이 구비된 제2입력 표시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입력 표시부에 적어도 한 라인의 필기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입력 표시부에 적어도 한 라인의 필기가 입력되었으면, 상기 필기 인식 실행 버튼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필기 인식 실행 버튼이 터치되었으면, 상기 제2입력 표시부에 입력 및 표시된 필기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제1입력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텍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mproved handwriting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writing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 handwriting input execution button provided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is touched; If the handwriting input execution button is touched, displaying a second input display part including a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on the first input display part; Determining whether at least one line of writing has been input to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has been touched when at least one line of writing has been input to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And when the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is touched, recognizing a handwriting inputted and displayed o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converting the handwriting into text, and displaying the text through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상기 제2입력 표시부에 적어도 한 라인의 필기를 입력받은 후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필기 입력이 없으면, 자동적으로 상기 제2입력 표시부에 입력 및 표시된 필기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제1입력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텍스트를 표시한다.If there is no handwriting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receiving at least one line of handwriting o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the handwriting input and displayed o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are automatically recognized and converted into text, and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The text is displayed through.

상기 필기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필기 인식 실행 버튼 터치 판단 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2입력 표시부를 통하여 다수의 라인에 필기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연속 필기 입력 판단 단계; 및, 다수의 라인에 필기가 입력되는 경우 먼저 입력 및 표시된 라인의 필기를 상부로 스크롤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handwriting is input to a plurality of lines through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betwee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handwriting is input and the touch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touch determination step; And, if the writing is input to a plurality of lines, first scrolling the writing of the input and displayed lines upward.

상기 인식된 텍스트 표시 단계 이후에 오타 교정 단계가 더 수행된다.After the recognized text display step, an error correction step is further performed.

상기 오타 교정 단계는 제1입력 표시부에 표시된 텍스트가 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제1입력 표시부의 텍스트가 터치되었으면, 상기 제1입력 표시부의 일측에 제2입력 표시부를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제2입력 표시부에 상기 터치된 텍스트와 대응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입력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필기가 수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필기가 수정되었다면 상기 필기 인식 실행 버튼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필기 인식 실행 버튼이 터치되었으면, 수정된 필기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제1입력 표시부에 인식된 텍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필기의 수정은 이미 표시된 필기 위에 새롭게 필기가 입력되어 이루어진다.The error correction step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text displayed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is touched; If the text of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is touched, displaying a second input display unit on one side of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and simultaneously displaying a writing input by a user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text o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 Determining whether the handwriting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is corrected; Determining whether the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has been touched if the handwriting has been modified; And when the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is touched, recognizing and converting the corrected handwriting into text, and displaying the recognized text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Correction of the handwriting is performed by newly writing the handwriting on the already displayed handwrit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필기 입력 방법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필기 입력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라인에 걸쳐 필기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다수의 라인에 입력된 필기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텍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텍스트 표시 단계 이후에 오타 교정 단계가 더 수행된다.In addition, an improved handwriting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writing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handwriting input over a plurality of lines; Recognizing and converting handwriting input to the plurality of lines into text; And displaying the converted text. After the text display step, a typo correcting step is further performed.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은 다수의 라인에 필기 입력이 완료된 후 텍스트로의 인식 및 표시 동작이 이루어짐으로써 필기 입력 시간이 상당히 단축된다.The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gnificantly shorten the handwriting input time by performing the recognition and display operation as text after handwriting input is completed on a plurality of lin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은 필기 입력 스크린에 다른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키, 버튼 또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필기 입력중 사용자 실수에 의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have a key, a button, or a region for executing another application on the handwriting input screen, thereby preventing execution of another application due to a user mistake during handwriting input.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방법의 구성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i는 도 2에 도시된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j는 도 4에 도시된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종래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입력 방법의 타임 라인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I illustrate an example of the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method illustrated in FIG. 2.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hrough 5J illustrate the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method illustrated in FIG. 4.
6A and 6B illustrate a timeline of a writing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장치(100)는 제1입력 표시부(110), 제2입력 표시부(120), 제어부(130), 텍스트 저장부(140) 및 필기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장치(100)는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널을 갖는 피쳐폰 및 스마트폰 등에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s illustrated in FIG. 1, an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a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a controller 130, and a text storage unit. 140 and the handwriting storage unit 150. Here, the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for example, a feature phone and a smart phone having a touch screen or a touch pane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1입력 표시부(110)는 입력 기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갖는다. 즉, 상기 제1입력 표시부(110)는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널에 의해 구현됨으로써, 기본적으로 터치에 의한 입력 기능과 광 출력에 의한 표시 기능을 동시에 갖는다. 이러한 제1입력 표시부(11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소정 텍스트가 터치(입력 기능)되거나, 또는 인식된 텍스트를 표시한다. 더불어, 상기 제1입력 표시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될 수 있는 필기 입력 실행 버튼(112)을 포함한다. 이러한 필기 입력 실행 버튼(112)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면, 필기 입력 실행 신호가 제어부(130)에 전달되고, 이어서 제어부(130)는 상기 제1입력 표시부(110) 위에 제2입력 표시부(120)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는 제1입력 표시부(110) 위에 중첩되어 표시되거나, 또는 제1입력 표시부(110)가 완전히 사라진 후 제2입력 표시부(120)만이 독립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입력 표시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될 수 있는 오타 교정 감지부(114)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오타 교정 감지부(114)는 사용자가 상기 제1입력 표시부(110)의 특정 텍스트를 터치하면 오타 교정 감지 신호를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입력 표시부(110)와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를 동시에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제1입력 표시부(110)에서 터치된 텍스트와 대응하는 사용자에 의해 이미 입력된 필기를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이러한 오타 교정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has an input function and a display function at the same time. That is,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is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touch screen or a touch panel, and thus basically has an input function by touch and a display function by light output. The first input display 110 displays, for example, text in which predetermined text is touched (input function) or recogniz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includes a writing input execution button 112 that can be touched by the user. When the handwriting input execution button 112 is touched by the user, the handwriting input execu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30, and the controller 130 then moves o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Is displayed. Here,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may overlap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or may be displayed independently of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after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disappears completely. . In additi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further includes a typo correction detector 114 that can be touched by the user. The typo correcting detection unit 114 outputs a typo correcting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130 when the user touches a specific text of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Then, the controller 130 causes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and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to b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corresponds to the text touched by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The handwriting already input by the user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This error correc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 역시 입력 기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갖는다. 즉,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는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널에 의해 구현됨으로써, 기본적으로 터치에 의한 입력 기능과 광 출력에 의한 표시 기능을 동시에 갖는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1입력 표시부(110) 및 제2입력 표시부(120)는 동일한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널에서 구현된 것이며,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구분해 놓은 것이다.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필기가 입력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를 표시한다. 더불어, 이러한 제2입력 표시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될 수 있는 필기 인식 실행 버튼(122)을 포함한다. 이러한 필기 인식 실행 버튼(122)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었을 경우, 필기 인식 실행 신호가 제어부(130)에 전달되고, 그러면 제어부(130)가 지금까지 제2입력 표시부(120)에 입력된 모든 필기를 텍스트로 인식 및 변환하여 제1입력 표시부(110)에 출력한다. 더불어,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는 연속 필기 입력 감지부(124)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연속 필기 입력 감지부(124)는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에 입력 및 표시된 필기중 첫번째 필기가 터치되면 동작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30)에 연속 필기 입력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에 입력 및 표시된 필기를 스크롤시켜 상부로 이동시킴으로써, 끊김없는 필기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필기 입력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also has an input function and a display function at the same time. That is,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is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touch screen or a touch panel, and thus basically has an input function by touch and a display function by light output. Here,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and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are substantially implemented in the same touch screen or touch panel, and are divided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displays, for example, a writing input by the user or a writing input by the user. In additio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includes a 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122 that can be touched by the user. When the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122 is touched by the user, the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30, and the controller 130 then writes all the handwriting inputted to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so far. The text is recognized and converted into text and output to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In additio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further includes a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tector 124. The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tection unit 124 operates when the first handwriting of the handwriting input and displayed o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is touched, and specifically outputs the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130. Then, the controller 130 scrolls the handwriting input and displayed o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to move upward, thereby enabling seamless handwriting input. This handwriting input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입력 표시부(110)를 통하여 인식 및 변환된 텍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를 표시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제어부(130)는 기본적으로 제2입력 표시부(120)를 통하여 입력된 필기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이와 같이 변환된 텍스트를 제1입력 표시부(110)를 통해 표시한다.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text recognized and converted through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and displays the handwriting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Of course, the controller 130 basically recognizes the handwriting input through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and converts the handwriting into text, and displays the converted text through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입력 표시부(110)의 필기 입력 실행 버튼(112)이 터치되면, 상기 제1입력 표시부(110) 위에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를 표시한다. 그런 후, 상기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를 통하여 적어도 한 라인의 필기가 입력된 후, 상기 필기 인식 실행 버튼(122)이 터치되면, 상기 입력된 필기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를 숨기는 동시에 상기 제1입력 표시부(110)에 상기 인식 및 변환된 텍스트를 표시한다.To this end, the controller 130 touches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when the writing input execution button 112 of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is touched by a user. Display. Then, the controller 130 recognizes the input writing when the 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122 is touched after the writing of at least one line is input through the second input display 120 by a user. To text. Subsequently, the controller 130 hides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and displays the recognized and converted text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여기서, 상기 제1입력 표시부(110)의 필기 입력 실행 버튼(112)이 터치되었을 경우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는 터치 스크린 전체에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를 통하여 필기 입력할 때, 원하지 않는 영역을 터치하여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도록 한다.Here, when the writing input execution button 112 of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is touched,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is formed on the entire touch screen. Therefore, when the user writes through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the user touches an undesired area so that no other application is executed.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가 적어도 한 라인의 필기를 입력받은 후,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추가적인 필기 입력이 없으면, 상기 필기 입력 실행 버튼(112)이 터치된 것과 같이 상기 필기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를 숨기는 동시에 상기 제1입력 표시부(110)에 상기 텍스트를 표시한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의 필기 인식 실행 버튼(122)이 터치되지 않아도, 필기 입력중 소정 시간동안 추가적인 필기 입력이 없으면 자동적으로 필기를 텍스트로 인식, 변환 및 표시한다.In addition, if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receives at least one line of writing after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receives no additional writing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130 may touch the writing input execution button 112. The handwriting is recognized and converted into text, and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is hidden and the text is displayed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That is, even if the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122 of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is not touched, the controller 130 automatically recognizes, converts, and converts the handwriting into text if there is no additional handwriting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during the handwriting input. Display.

상기 텍스트 저장부(14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입력 표시부(110)를 통해 표시된 텍스트를 저장한다. The text storage unit 140 stores the text displayed through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상기 필기 저장부(15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를 통해 입력 및 표시된 필기를 저장한다.The handwriting storage unit 150 stores the handwriting input and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물론, 상기 텍스트 및 필기는 상호간 매칭되어 저장됨으로써, 추후 제어부(130)가 텍스트를 호출하였을 때, 이에 대응되는 필기도 호출될 수 있다.Of course, the text and the handwriting are matched with each other and stored, so that when the controller 130 calls the text later, the handwriting corresponding to the text may be called.

한편, 여기서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에 입력된 필기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이를 제1입력 표시부(110)에 표시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주지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Meanwhile, the method of recognizing the handwriting inputted to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and converting the handwriting into text and displaying the handwriting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방법의 구성을 도시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방법은 제1입력 표시부에 구비된 필기 입력 실행 버튼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1), 상기 필기 입력 실행 버튼이 터치되었으면, 상기 제1입력 표시부 위에 필기 인식 실행 버튼이 구비된 제2입력 표시부를 표시하는 단계(S2), 상기 제2입력 표시부에 적어도 한 라인의 필기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3), 상기 제2입력 표시부를 통하여 다수의 라인에 필기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연속 필기 입력 판단 단계(S4), 다수의 라인에 필기가 입력되는 경우 먼저 입력 및 표시된 라인의 필기를 상부로 스크롤시키는 단계(S5), 상기 제2입력 표시부에 적어도 한 라인의 필기가 입력되었으면, 상기 필기 인식 실행 버튼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6), 상기 필기 인식 실행 버튼이 터치되었으면, 상기 제2입력 표시부에 입력 및 표시된 필기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제1입력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텍스트를 표시하는 단계(S7)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method using the touch screen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handwriting input execution button provided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is touched (S1), and if the handwriting input execution button is touched, Displaying a second input display unit including a 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S2), determining whether at least one line of writing has been input o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S3), and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writing is input to a plurality of lines through (S4), if the writing is input to a plurality of lines, the first step of scrolling the writing of the input and the displayed line upward (S5), the second If at least one line of handwriting is input to the input display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is touched (S6), and the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is touched. If, converted to text by the second recognizing the input handwriting and displayed on the input display section 2, and a step (S7) of displaying the text inpu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도 3a 내지 도 3i는 도 2에 도시된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2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방법의 일례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방법의 제어 주체는 제어부(130)임을 밝혀 둔다.3A to 3I illustrate an example of the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method illustrated in FIG. 2. 1 and 2 together, an example of an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ere, the control subject of the method is revealed to be the controller 130.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 입력 실행 버튼 터치 판단 단계(S1)에서는, 제1입력 표시부(110)에 구비된 필기 입력 실행 버튼(112)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었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면, 필기 입력 실행 버튼(112)은 제1입력 표시부(110)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필기 입력 실행 버튼(112)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면 필기 입력 실행 신호가 제어부(130)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다음 단계(S2)를 수행한다. 여기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0은 스타일러스 펜이다. 또한, 도면에서는 비록 스타일러스 펜으로 터치하는 방법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방법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3A, in the touch input execution button touch determination step (S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handwriting input execution button 112 included i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has been touched by the user. For example, the writing input execution button 112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When the handwriting input execution button 112 is touched by the user, the handwriting input execu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30, and accordingly, the controller 130 performs the next step S2. Here, reference numeral 200 in the drawings is a stylus pen. Further, although the drawing shows a method of touching with a stylus pen as an example, a method of touching with a finger is also possible.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입력 표시부 표시 단계(S2)에서는, 제어부(130)가 상기 제1입력 표시부(110) 위에 필기 인식 실행 버튼(122)이 구비된 제2입력 표시부(120)를 중첩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를 터치 스크린 전체에 형성한다.As shown in FIG. 3B, i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displaying step S2, the control unit 130 includes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provided with the 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122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Display overlapping.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forms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on the entire touch screen.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 입력 판단 단계(S3)에서는 제어부(130)가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에 적어도 한 라인의 필기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 도 3c에서는 제2입력 표시부(120)에 스타일러스 펜(200)으로 제1라인의 필기가 입력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As illustrated in FIG. 3C, in the writing input determination step S3,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at least one line of writing is input to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3C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writing of the first line is input to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by the stylus pen 200.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필기 입력 판단 단계(S4)에서는 제어부(130)가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를 통하여 다수의 라인에 필기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라인의 시작 부분을 터치하였는지 판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라인의 시작 부분이 연속 필기 입력 감지부(124)가 된다. 즉, 제2입력 표시부(120)중에서 필기가 입력된 제1라인의 시작 부분을 연속 필기 입력 감지부(124)로 설정하고, 이러한 부분이 터치되면 제어부(130)에 연속 필기 입력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다음 단계(S5)를 수행한다.As shown in FIG. 3D, in the continuous writing input determination step (S4),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writing is input to a plurality of lines through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3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touches the beginning of the first line. In more detail, the start portion of the first line becomes the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tector 124. That is, the start portion of the first line in which handwriting is input i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is set as the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tection unit 124, and when such a portion is touched, the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tection signal is output to the controller 130. do.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30 performs the next step (S5).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스크롤 단계(S5)에서는 제어부(130)가 상기와 같이 연속 필기 입력 감지 신호를 입력받았을 경우, 이미 입력 및 표시된 필기 라인을 상부로 스크롤시킨다. 따라서,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필기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As shown in FIG. 3E, in the screen scrolling step S5, when the controller 130 receives the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tection signal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30 scrolls the already input and displayed handwriting lines upward. Thus, as shown in FIG. 3E, the user can continuously input handwriting.

즉,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입력 표시부(120)의 제2라인에 필기가 입력될 수 있다.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3F, handwriting may be input to the second line of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더불어,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라인의 시작 부분을 다시 터치하면, 연속 필기 입력 감지부(124)가 연속 필기 입력 신호를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다시 제2라인의 필기를 상부로 스크롤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다수의 라인에 필기가 완료될 때까지 끊김없는 연속적인 필기 입력이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G, when the user touches the beginning of the second line again, the continuous writing input detector 124 outputs the continuous writing input signal to the controller 130. Accordingly, the controller 130 scrolls the writing of the second line upward. In this way, seamless handwriting input is possible until handwriting is completed on a plurality of lines.

일례로, 도 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입력 표시부(120)의 제3라인에 까지 필기가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3H, writing may be input to a third line of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한편, 필기 인식 실행 버튼 터치 판단 단계(S6)에서는, 도 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가 다수 라인의 필기 입력을 마친 후, 사용자가 필기 인식 실행 버튼(122)을 터치하였는지 판단한다. 물론, 사용자가 필기 인식 실행 버튼(122)을 터치하면 필기 인식 실행 신호가 제어부(130)에 입력된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다음 단계(S7)를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touch determination step (S6), as shown in FIG. 3H, after the controller 130 finishes the handwriting input of a plurality of line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touches the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122. . Of course, when the user touches the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122, the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ler 130. Then, the controller 130 performs the next step (S7).

또한, 사용자가 다수 라인의 필기 입력을 마친 후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더 이상의 필기 입력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자동적으로 다음 단계(S7)를 수행한다.In addition, if the user does not perform any further writing input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finishing the handwriting input of the plurality of lines, the controller 130 automatically performs the next step (S7).

도 3i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 인식 및 표시 단계(S8)에서는, 제어부(130)가 제2입력 표시부(120)에 입력 및 표시된 필기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동시에, 상기 인식 및 변환된 텍스트를 제1입력 표시부(110)에 표시한다. 물론, 이때 제어부(130)는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를 표시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3I, in the handwriting recognition and display step S8, the controller 130 recognizes the handwriting input and displayed o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converts the handwriting into text, and simultaneously recognizes and converted the text. Is displayed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Of course, the controller 130 does not display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다수 라인의 필기 입력이 모두 완료된 후, 필기가 인식되어 텍스트로 변환되고, 이와 같이 변환된 텍스트가 한 번에 모두 표시됨으로써, 필기 입력 시간을 상당히 단축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significantly shorten the writing input time by completing a plurality of handwriting inputs, handwriting is recognized and converted into text, and all the converted texts are displayed at once.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방법은 인식된 텍스트 표시 이후 오타 교정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rror correction step may be further performed after the recognized text is display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타 교정 단계는 제1입력 표시부에 표시된 텍스트가 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11), 제1입력 표시부의 텍스트가 터치되었으면, 상기 제1입력 표시부의 일측에 제2입력 표시부를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제2입력 표시부에 상기 터치된 텍스트와 대응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를 표시하는 단계(S22), 상기 제2입력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필기가 수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23), 상기 필기가 수정되었다면 상기 필기 인식 실행 버튼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24) 및 상기 필기 인식 실행 버튼이 터치되었으면, 수정된 필기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제1입력 표시부에 인식된 텍스트를 표시하는 단계(S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필기의 수정은 이미 표시된 필기 위에 새롭게 필기가 입력됨을 의미한다.
As shown in FIG. 4, in the error correcting step, determining whether the text displayed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is touched (S11), and when the text of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is touched, a second side of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is touched. Displaying the input display unit and displaying the writing input by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text o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S22); determining whether the writing displayed o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has been modified ( S23), if the handwriting is corrected, determining whether the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is touched (S24); and if the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is touched, recognizes the corrected handwriting and converts it into text, and recognizes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And displaying the text (S25). Here, the correction of the writing means that the writing is newly input on the already displayed writing.

도 5a 내지 도 5j는 도 4에 도시된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3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방법의 일례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방법의 제어 주체는 제어부(130)임을 밝혀 둔다.5A through 5J illustrate the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method illustrated in FIG. 4. 1 and 3 together, an example of an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ere, the control subject of the method is revealed to be the controller 130.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타 교정 실행 판단 단계(S11)에서는 제어부(130)가 제1입력 표시부(110)에 표시된 텍스트가 터치되었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력 표시부(110)에 표시된 텍스트중에서 "tle"라는 텍스트 블록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다음 단계(S12)를 수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선택된 텍스트 블록이 오타 교정 감지부(114)가 된다. 즉, 제1입력 표시부(110)를 통하여 표시되고 있는 텍스트중 스타일러스 펜(200)으로 터치된 특정 텍스트 또는 텍스트 블록이 오타 교정 감지부(114)가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특정 텍스트 또는 텍스트 블록이 터치되면 오타 교정 감지부(114)가 제어부(130)에 오타 교정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다음 단계(S12)를 수행한다.As shown in FIG. 5A, in the error correction execution determination step (S11),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text displayed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has been touched.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5A, when the text block “tle” is selected from the text displayed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the controller 130 performs the next step S12. In more detail, the text block selected as described above becomes the typo correction detector 114. That is, the specific text or text block touched by the stylus pen 200 among the texts displayed through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becomes the typo correction detection unit 114, and the specific text or text block is touched. If the correction error correction unit 114 outputs a correction error corr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130. Accordingly, the controller 130 performs the next step (S12).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력부 및 제2입력부 동시 표시 단계(S22)에서는 제어부(130)가 상기 제1입력 표시부(110)의 일측에 제2입력 표시부(120)를 동시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제1입력 표시부(110)를 대략 위쪽에, 제2입력 표시부(120)를 대략 아래쪽에 표시한다.As shown in FIG. 5B, in step S22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first in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unit, the controller 130 simultaneously displays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on one side of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substantially above and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approximately below.

더불어, 제어부(130)는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에 상기 제1입력 표시부(110)에서 터치된 텍스트와 대응되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입력 및 저장된 필기를 함께 표시한다. 즉, 제어부(130)는 필기 저장부(150)에 상기 텍스트와 대응되어 저장된 필기 데이터를 로딩하여 제2입력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제2입력 표시부(120)에 대략 "tle"와 유사한 필기를 표시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writing input and stored in advance by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text touched by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o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That is, the controller 130 loads the writing data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text in the writing storage unit 150 and displays the writing data o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B, the controller 130 displays a writing similar to “tle” o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 판단 단계(S23)에서는 제어부(130)가 상기 제2입력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된 필기가 수정되었는지 판단한다.As illustrated in FIG. 5C, in the correction determination step (S23),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handwriting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has been corrected.

이러한 수정은 단순히 잘못 표시된 필기 위에 새로운 필기를 입력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l"의 필기가 대략 "h"의 필기로 수정될 수 있다.This correction simply consists of entering a new handwriting over the wrongly marked handwriting.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C, the writing of approximately "l" may be modified to the writing of approximately "h".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 인식 실행 버튼 터치 판단 단계(S24)에서는 제어부(130)가 제2입력 표시부(120)에 형성된 필기 인식 실행 버튼(122)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한다. 물론,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동안 추가적인 필기 입력을 하지 않는 경우에도, 이와 같이 필기 인식 실행 버튼(122)이 터치된 것으로 간주하여 다음 단계(S25)를 실행한다.As shown in FIG. 5D, in the touch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touch determination step (S24),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122 formed o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has been touched. Of course, even if the user does not perform additional handwriting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130 considers the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122 to be touched as described above and executes the next step S25.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표시 단계(S26)에서는 제어부(130)가 수정된 필기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이를 제1입력 표시부(110)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제2입력 표시부(120)를 표시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5E, in the text display step S26, the controller 130 recognizes the corrected handwriting and converts it into text, and displays it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does not display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다른 예로, 도 5f 내지 도 5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되는 필기의 개수가 오리지널 필기의 개수보다 더 많을 수도 있다. 즉,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력 표시부(110)의 "creted"라는 텍스트가 선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와 대응되는 대략 "creted"라는 필기가 표시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에 의해 도 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입력 표시부(120)에 "created"라는 필기가 새롭게 입력되고, 도 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 인식 실행 버튼(122)이 터치될 수 있다. 그러면, 도 5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력 표시부(110)를 통하여 "created"라는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또다른 예로, 비록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1입력 표시부(110)에 표시된 텍스트의 개수보다 더 작은 개수의 텍스트의 수정도 가능하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S. 5F to 5J, the number of notes to be modified may be greater than the number of original notes. That is, as shown in FIG. 5F, the text “creted” of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may be selected. Accordingly, as shown in FIG. 5G, a handwriting of “creted” corresponding to the text may be displayed. Can be. Then, as illustrated in FIG. 5H, the writing “created” may be newly input to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120 by the user, and the 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122 may be touched as illustrated in FIG. 5I. . Then, as illustrated in FIG. 5J, the text “created”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As another example, although not shown, the number of texts smaller than the number of texts displayed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110 may be modified.

도 6a 및 도 6b는 종래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입력 방법의 타임 라인을 도시한 것이다.6A and 6B illustrate a timeline of a writing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필기 입력/인식 대기/결과 확인/필기 입력/인식 대기/결과 확인/오타 교정 등의 순서가 다수회 반복됨으로써, 필기 입력 시간이 오래 걸린다.As shown in FIG. 6A, the writing input / recognition waiting / result checking / writing input / recognition waiting / result checking / typing correction is repeated a plurality of times, and thus, the writing input time is long.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필기 입력/인식 대기/결과 확인/오타 교정이 1회에 완료됨으로써, 필기 입력 시간이 종래에 비해 빠르다.
As shown in FIG. 6B,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riting input / recognition waiting / result checking / typing correction is completed at one time, so that the writing input time is faster than in the related art.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i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As described above, any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장치.
110; 제1입력 표시부 112; 필기 입력 실행 버튼
114; 오타 교정 감지부 120; 제2입력 표시부
122; 필기 인식 실행 버튼 124; 연속 필기 입력 감지부
130; 제어부 140; 텍스트 저장부
150; 필기 저장부
100;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A first input display unit 112; Handwriting input action button
114; A typo correction detector 120; Second input display unit
122;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124;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tector
130; A controller 140; Text storage
150; Handwriting storage

Claims (18)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필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필기 입력 실행 버튼을 갖는 제1입력 표시부;
필기 인식 실행 버튼을 갖는 제2입력 표시부; 및,
상기 제1입력 표시부의 필기 입력 실행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제1입력 표시부 위에 상기 제2입력 표시부를 표시하고, 상기 제2입력 표시부를 통하여 적어도 한 라인의 필기가 입력된 후, 상기 필기 인식 실행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필기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제2입력 표시부를 숨기는 동시에 상기 제1입력 표시부에 상기 텍스트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입력 표시부는 연속 필기 입력 감지부를 갖고,
상기 연속 필기 입력 감지부는
상기 제2입력 표시부에 입력 및 표시된 필기중 첫번째 필기가 터치되면, 상기 제어부에 연속 필기 입력 감지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장치.
In a handwriting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 first input display unit having a handwriting input execution button;
A second input display unit having a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And,
When the writing input execution button of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is touched,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is displayed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and at least one line of writing is input through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and then the 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is performed. When the button is touched,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handwriting and converts the text into text, hides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and simultaneously displays the text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has a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tection unit,
The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tection unit
And a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tection signal is output to the controller when the first handwriting of the handwriting input and displayed on the second input display is touch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 표시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전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hroughout the touch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입력 표시부가 적어도 한 라인의 필기를 입력받은 후,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추가적인 필기 입력이 없으면, 상기 필기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제2입력 표시부를 숨기는 동시에 상기 제1입력 표시부에 상기 텍스트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fter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receives at least one line of handwriting, if there is no additional handwriting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recognizes the handwriting and converts the text into text and hides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and simultaneously hides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tex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속 필기 입력 감지부로부터 연속 필기 입력 감지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2입력 표시부에 입력 및 표시된 필기를 스크롤시켜 상부로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receiving the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tection signal from the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tection unit,
And continually scrolling the handwriting input and displayed on the second input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텍스트 저장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입력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텍스트를 상기 텍스트 저장부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has a text storage unit,
And the control unit stores the text displayed through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in the text storag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필기 저장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입력 표시부를 통해 입력 및 표시된 필기를 상기 필기 저장부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has a handwriting storage unit,
And the controller stores the handwriting input and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in the handwriting storag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 표시부는 오타 교정 감지부를 갖고,
상기 오타 교정 감지부는 상기 제1입력 표시부의 텍스트를 터치하면 오타 교정 감지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has a typo correction detector,
The typo correcting detection unit outputs a typo correcting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when the text of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is touch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타 교정 감지부로부터 오타 교정 감지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1입력 표시부와 상기 제2입력 표시부를 동시에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함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controller receives an error correction signal from the error correction detector,
And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입력 표시부에서 터치된 텍스트와 대응하는 사용자에 의해 이미 입력된 필기를 상기 제2입력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And the handwriting already input by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text touched on the first input display is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input display.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필기 입력 방법에 있어서,
제1입력 표시부에 구비된 필기 입력 실행 버튼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필기 입력 실행 버튼이 터치되었으면, 상기 제1입력 표시부 위에 필기 인식 실행 버튼이 구비된 제2입력 표시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입력 표시부에 적어도 한 라인의 필기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입력 표시부에 적어도 한 라인의 필기가 입력되었으면, 상기 필기 인식 실행 버튼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필기 인식 실행 버튼이 터치되었으면, 상기 제2입력 표시부에 입력 및 표시된 필기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제1입력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텍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기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필기 인식 실행 버튼 터치 판단 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2입력 표시부를 통하여 다수의 라인에 필기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연속 필기 입력 판단 단계; 및,
다수의 라인에 필기가 입력되는 경우 먼저 입력 및 표시된 라인의 필기를 상부로 스크롤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방법.
In the handwriting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Determining whether a handwriting input execution button of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is touched;
If the handwriting input execution button is touched, displaying a second input display part including a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on the first input display part;
Determining whether at least one line of writing has been input to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has been touched when at least one line of writing has been input to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And,
If the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is touched, recognizing a handwriting inputted and displayed o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converting the handwriting into text, and displaying the text through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Betwee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writing is input and the touch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touch determination step
A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handwriting is input to a plurality of lines through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And,
And if the handwriting is input to a plurality of lines, firstly scrolling the handwriting of the input and displayed lines upward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 표시부에 적어도 한 라인의 필기를 입력받은 후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필기 입력이 없으면, 자동적으로 상기 제2입력 표시부에 입력 및 표시된 필기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제1입력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텍스트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If there is no handwriting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receiving at least one line of handwriting o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the handwriting input and displayed o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are automatically recognized and converted into text, and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text through.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텍스트 표시 단계 이후에 오타 교정 단계가 더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typo correcting step is further performed after the recognized text display step.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타 교정 단계는
제1입력 표시부에 표시된 텍스트가 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제1입력 표시부의 텍스트가 터치되었으면, 상기 제1입력 표시부의 일측에 제2입력 표시부를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제2입력 표시부에 상기 터치된 텍스트와 대응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입력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필기가 수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필기가 수정되었다면 상기 필기 인식 실행 버튼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필기 인식 실행 버튼이 터치되었으면, 수정된 필기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제1입력 표시부에 인식된 텍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typo correction step
Determining whether the text displayed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is touched;
If the text of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is touched, displaying a second input display unit on one side of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and simultaneously displaying a writing input by a user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text on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
Determining whether the handwriting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input display unit is corrected;
Determining whether the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has been touched if the handwriting has been modified; And,
And if the handwriting recognition execution button is touched, recognizing and converting the corrected handwriting into text, and displaying the recognized text on the first input display uni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의 수정은 이미 표시된 필기 위에 새롭게 필기가 입력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연속 필기 입력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Improved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ction of the handwriting is a new handwriting is input over the already displayed handwrit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0032615A 2010-04-09 2010-04-09 Improved continuous hand 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1446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615A KR101144675B1 (en) 2010-04-09 2010-04-09 Improved continuous hand 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615A KR101144675B1 (en) 2010-04-09 2010-04-09 Improved continuous hand 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301A KR20110113301A (en) 2011-10-17
KR101144675B1 true KR101144675B1 (en) 2012-05-24

Family

ID=4502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615A KR101144675B1 (en) 2010-04-09 2010-04-09 Improved continuous hand 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67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0785A1 (en) * 2014-11-03 2016-05-12 夏普株式会社 Handwritten content dividing method, device and handwritten content editing device
US11829597B2 (en) 2019-08-06 202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handwriting input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787B1 (en) * 2012-07-09 2019-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dditional function in portable terminal
CN107430486B (en) * 2015-01-28 2020-05-05 摩托罗拉解决方案公司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handwritten characte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3114A (en) * 1998-10-15 2000-04-28 Casio Comput Co Ltd Handwritt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03345507A (en) * 2002-05-14 2003-12-05 Microsoft Corp Write anywhere to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3114A (en) * 1998-10-15 2000-04-28 Casio Comput Co Ltd Handwritt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03345507A (en) * 2002-05-14 2003-12-05 Microsoft Corp Write anywhere too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0785A1 (en) * 2014-11-03 2016-05-12 夏普株式会社 Handwritten content dividing method, device and handwritten content editing device
US11829597B2 (en) 2019-08-06 202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handwriting input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301A (en) 201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13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graffiti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KR1017045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face for inpputing character
US928027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108330B2 (en) Automatic highlighting of formula parameters for limited display devices
US20100259482A1 (en) Keyboard gesturing
US10387033B2 (en) Size reduction and utilization of software keyboards
US9612697B2 (en) Touch control method of capacitive and electromagnetic dual-mode touch screen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140181746A1 (en) Electrionic device with shortcut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80029028A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JPWO2012161223A1 (en) Input device, input method, and program
KR101144675B1 (en) Improved continuous hand 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TWI444858B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the gesture track of hand - held touch device
JP2018049319A (en) Document browsing device and program
KR101142270B1 (en) Handwriting input device having the document editt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JP2014056389A (en)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nd program
JP5977764B2 (en)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using extended key
US8949731B1 (en) Input from a soft keyboard on a touchscreen display
US201401681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handwriting input
KR101561783B1 (en)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n touch screen of terminal
JP5712232B2 (en) Input device
JP6603063B6 (en) A simple method for inputting Japanese sounds using an input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keyboard and an input device for realizing the above method
TWI416401B (en) Method of improving the accuracy of selecting a soft button displayed on a touch-sensitive screen and rela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519546B2 (en) Handwritt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2260468B1 (en) Method for Inputting Hangul Vowels Using Software Keypad
KR10114172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small ele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