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569B1 - Trocar apparatus - Google Patents

Trocar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569B1
KR101142569B1 KR1020100008204A KR20100008204A KR101142569B1 KR 101142569 B1 KR101142569 B1 KR 101142569B1 KR 1020100008204 A KR1020100008204 A KR 1020100008204A KR 20100008204 A KR20100008204 A KR 20100008204A KR 101142569 B1 KR101142569 B1 KR 101142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car
fluid
cap
guide
ute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2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88625A (en
Inventor
박상윤
임명철
김광기
남경원
김현호
Original Assignee
국립암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암센터 filed Critical 국립암센터
Priority to KR1020100008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569B1/en
Publication of KR20110088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6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5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2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expressing the material, e.g. through sieves and fragmenting the extruded leng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경질 무흉터수술(transvaginal NOTES) 시술 시 환자의 질 내로 삽입된 투관침의 위치 고정 및 내부 밀폐를 하는 동시에 복강 내 수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환자의 자궁을 위로 들어 올려주는 투관침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투관침 장치는, 투관침부와, 투관침부와 결합되며 환자의 질을 통한 투관침부의 삽입 및 위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와, 투관침부에 구비되며 가이드부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질 내에 삽입된 투관침부의 위치 고정 및 내부 밀폐를 하는 동시에 환자의 자궁을 위로 들어 올려주는 벌륜부를 포함할 수 있다.Disclosed is a trocar device for lifting a patient's uterus upward so as to secure the position of a trocar inserted into a patient's vagina during a transvaginal NOTES procedure, and to secure an internal cavity and an intra-abdominal operation space. The trocar device includes a trocar cap, a guide part coupled to the trocar cap and guiding the insertion and position of the trocar cap through the quality of the patient, and a guide part provided in the trocar cap part and expanded by the fluid injected through the guide part, And a bushing portion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inserted trocar cap and sealing the inside of the trocar while simultaneously lifting the patient's uterus upward.

Description

투관침 장치{TROCAR APPARATUS}[0001] TROCAR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수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술도구의 체내 이송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투관침(trocar)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gica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ocar apparatus used for securing a delivery channel of a surgical instrument.

일반적으로 환자 치료를 위한 기존의 개복 절개 수술의 경우, 절개 부위가 크고 수술 시 발생하는 출혈량이 커서 수술 이후의 환자 회복이 더디고, 수술 후 커다란 흉터가 남게 되어 환자의 이후 생활에도 지장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은 개복 절개 수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최소 침습 수술(Minimal Invasive Surgery; MIS) 및 무흉터 수술(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NOTES) 등의 새로운 수술 기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Generally, in the case of conventional open incision surgery for patient treatment, since the incision site is large and the amount of bleeding occurring during surgery is large, the patient recovery after surgery is slow and a large scar remains after surgery, Recently, new surgical techniques such as Minimal Invasive Surgery (MIS) and 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NOTES) have been develop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such open incision surgery.

최소 침습 수술은 수술을 위해 필요한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가늘고 긴 수술 도구를 써서 환자의 신체에 최소한의 부위만을 절개하여 시술하는 수술 기법이며, 무흉터 수술은 환자의 체내에 있는 시술 부위로 수술 도구를 이송하기 위해 환자의 신체를 절개하지 않고, 사람의 신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구멍(식도, 항문, 질 등)을 통해 수술 도구를 삽입하여 체내 시술 부위로 수술 도구를 이송, 시술하는 수술 기법이다. 이러한 최소 침습 수술 및 무흉터 수술은 시술을 위해 필요한 절개 부위가 적고 시술 시 출혈량이 개복 수술에 비해 현저히 적으므로, 수술 후 환자의 회복 기간이 빠르고 외부로 드러나는 흉터가 작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그 시술 건수가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Minimally invasive surgery is a surgical technique that uses a thin and long surgical tool specially designed to minimize the incision required for surgery, so that the minimally invasive surgery is performed on the patient's body. The scarless surgery is performed on the patient's body In order to transfer the surgical tool, a surgical tool is inserted through a hole (esophagus, anus, vagina, etc.) naturally present in the human body without cutting the body of the patient, Technique. These minimally invasive and non-scarring procedures require fewer incisions for the procedure, and the amount of bleeding during operation is considerably less than that of the open surgery.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atient's recovery period is fast and the scarring is small. The number of procedures is increasing significantly.

상술한 최소 침습 수술 혹은 무흉터 수술을 통해 부인암 시술을 수행하려면 환자의 질을 통한 수술도구의 자유로운 진퇴 및 움직임을 확보하기 위한 투관침(trocar)이 필요하다. In order to perform gynecologic cancer through minimally invasive surgery or non-scar operation, a trocar is needed to secure free movement and movement of surgical instruments through the quality of the patient.

그러나, 현재 환자의 질을 통한 수술도구의 자유로운 진퇴 및 활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전용의 투관침은 나와 있지 않으며, 기존의 복강경 시술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투관침을 환자의 질 내에 삽입할 경우, 질 내벽의 자연적인 조임만으로는 투관침이 충분히 고정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시술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미국등록특허 US 5,697,946 "METHOD AND APPARATUS FOR ANCHORING LAPAROSCOPIC INSTRUMENTS" 에서 투관침에 풍선을 장착하고 투관침을 생체조직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풍선을 확장시켜 투관침을 생체조직에 고정하는 복강경 수술 도구가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사용할 경우 투관침의 질 내 고정은 어느 정도 가능하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환자의 질을 통해 투관침을 삽입한 후 시술을 하고자 할 때, 자궁을 위로 들어올려 복강 내의 수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게 되므로, 이로 인한 시술자의 불편함을 야기하고 또한 투관침에 장착된 풍선이 자궁을 들어올리는 수술 장치에 의해 손상을 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re is no dedicated trocar to secure the free space and activity space of the surgical tool through the quality of the current patient, and when the general trocar used for the conventional laparoscopic procedure is inserted into the patient's vagina, It is not possible to perform stable operation because the trocar is not fixed enough. US Pat. No. 5,697,946 discloses a laparoscopic surgical tool for attaching a balloon to a trocar and inserting the trocar into the tissue to expand the balloon to fix the trocar to the biotissue i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ANCHORING LAPAROSCOPIC INSTRUMENTS" In some cases, fixation of the trocar in the vagina is possible. However, in this case, when the user inserts the trocar needle through the vagina of the patient, a separate device for lifting the uterus up and securing the operative space in the abdominal cavity is required. This causes inconvenience of the operato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alloon attached to the trocar can be damaged by a surgical device that raises the uteru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경질 무흉터수술(transvaginal NOTES) 시술 시 환자의 질 내로 삽입된 투관침의 위치 고정 및 내부 밀폐를 하는 동시에 복강 내 수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환자의 자궁을 위로 들어 올려주는 투관침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nsvaginal NOT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ocar device for lifting a patient's uterus upward.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관침 장치는, 투관침부, 상기 투관침부와 결합되며 환자의 질을 통한 상기 투관침부의 삽입 및 위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투관침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질 내에 삽입된 상기 투관침부의 위치 고정 및 내부 밀폐를 하는 동시에 환자의 자궁을 위로 들어 올려주는 벌륜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ocar tapping device including a trocar cap, a guide unit coupled to the trocar cap unit to guide insertion and position of the trocar cap unit through a patient's body, And a scouring part which expands by the fluid injected through the guide part, fixes the position of the trocar tapper inserted in the vagina, closes the inside of the trocar, and lifts up the patient's uterus.

상기 벌륜부는, 상기 투관침부의 일측 외주연에 장착되며 상기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자궁의 내벽과 밀착되는 제 1 벌륜부, 및 상기 투관침부의 타측 외주연에 장착되며 상기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자궁의 외벽과 밀착되면서 상기 자궁을 위로 들어 올려주는 제 2 벌륜부로 구성될 수 있다.A first bevel wheel portion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one side of the trocar cap portion and expanded by the fluid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n inner wall of the uterine wall and a second bead wheel portion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other side of the trocar cap portion, And a second piercing part for lifting the uterus upward while closely adhering to the outer wall.

여기서, 상기 제 1 벌륜부는 상기 유체에 의해 상기 투관침부의 반경 방향으로 균일하게 팽창되는 대칭형 도넛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벌륜부는 상기 유체에 의해 상기 자궁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편심되게 팽창되어 상기 자궁을 위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비대칭형 도넛 형상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first bee ring part has a symmetrical donut shape that is uniformly expand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rocar cap by the fluid, and the second bee ring part is eccentrically expanded in the direction opposed to the uterus by the fluid, It may have an asymmetric donut shape to lift it up.

또한, 상기 투관침부의 후단 외주연에 상기 제 1 벌륜부의 내주연이 끼워져 장착되도록 제 1 벌륜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투관침부의 선단 외주연에 상기 제 2 벌륜부의 내주연이 끼워져 장착되도록 제 2 벌륜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iercing hole is formed so that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first piercing ring is fitted and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rear end of the trocar cap. The second piercing hole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piercing cap, A mounting groove can be formed.

또한,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주입되는 상기 유체가 상기 제 1 벌륜부와 상기 제 2 벌륜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투관침부의 단면 내부에는 상기 제 1 벌륜 장착홈과 연결되는 제 1 벌륜 유체연결로와, 상기 제 2 벌륜 장착홈과 연결되는 제 2 벌륜 유체연결로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A first pneumatic fluid connection path connected to the first pneumatic fitting groove in an end surface of the trocar cap so that the fluid injected through the guide portion is supplied to the first bevel wheel portion and the second bevel wheel portion independently, And a second pair of pillar fluid connecting paths connected to the second pillar mounting grooves, respectively.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투관침부의 후단에 결합되는 가이드몸체, 상기 가이드몸체의 전방으로 길게 마련되며 상기 투관침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첨두부, 상기 가이드몸체의 후방으로 길게 마련되는 가이드손잡이, 및 상기 가이드몸체를 상기 투관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The guide part includes a guide body coupled to a rear end of the trocar cap, a tip extending forwardly of the guide body and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trocar cap, a guide handle extended to the rear of the guide body, And a fastening part for detachably coupling to the trocar cap.

여기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투관침부의 후단에 형성된 후크홈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상기 가이드몸체에 마련되는 후크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hook lever provided on the guide body to be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a hook groove formed at a rear end of the trocar cap.

상기 가이드몸체에는 상기 제 1 벌륜부와 상기 제 2 벌륜부를 팽창시키기 위한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유체주입포트가 마련될 수 있다.The guide body may be provided with a fluid injection port for injecting fluid for inflating the first bee ring part and the second bee ring part.

여기서, 상기 유체주입포트는, 상기 가이드몸체의 일측에 상기 제 1 벌륜 유체연결로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 1 벌륜부를 팽창시키기 위한 유체가 주입되는 제 1 벌륜 유체주입포트, 및 상기 가이드몸체의 타측에 상기 제 2 벌륜 유체연결로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 2 벌륜부를 팽창시키기 위한 유체가 주입되는 제 2 벌륜 유체주입포트로 구성될 수 있다.The fluid injection port includes a first pillar fluid injection por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guide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pillar fluid connection path and into which a fluid for inflating the first pillar portion is injected, And a second bushing fluid injection port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bushing fluid connection path and into which fluid for inflating the second bee ring is injected.

또한,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투관침부와 결합된 상태에서만 상기 유체주입포트를 통해 주입되는 상기 유체가 상기 벌륜부로 공급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투관침부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벌륜부에 공급된 상기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유체조절부가 상기 투관침부에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guide portion is engaged with the trocar cap portion, the fluid injected through the fluid injection port can be supplied to the wiper portion, and when the guide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trocar cap portion, A fluid regulating unit for regulating the flow of the fluid may be provided in the trocar unit.

여기서, 상기 유체조절부는, 상기 투관침부의 상기 제 1 벌륜 유체연결로 및 상기 제 2 벌륜 유체연결로 상에 마련되는 밸브챔버, 상기 밸브챔버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벌륜 유체연결로 및 상기 제 2 벌륜 유체연결로를 개폐하는 체크밸브, 상기 가이드부의 제 1 벌륜 유체주입포트 및 제 2 벌륜 유체주입포트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투관침부와 결합될 때 상기 체크밸브를 가압하여 상기 제 1 벌륜 유체연결로 및 상기 제 2 벌륜 유체연결로를 개방하는 밸브가압부, 및 상기 밸브챔버와 상기 체크밸브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투관침부와 분리되어 상기 체크밸브에 대한 상기 밸브가압부의 가압이 해제될 때 상기 체크밸브가 상기 제 1 벌륜 유체연결로 및 상기 제 2 벌륜 유체연결로를 밀폐하도록 상기 체크밸브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luid regulating section may include: a valve chamber provided on the first pair of fluid-fluid connection paths and the second pair of fluid-fluid connection paths of the trocar-cap portion; and a valve chamber provided in the valve chamber, A check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uid connection path, a first pillar fluid injection port and a second pillar fluid injection port protruding from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pillar fluid injection port, and pressing the check valve when the guide part is engaged with the trocar cap, A valve for opening the fluid connection path and the second bushing fluid connection path is provided between the valve chamber and the check valve, and the guide part is separated from the trocar cap so that the pressure of the valve pressurization part against the check valve is released The check valve closes the first and second bead fluid connection paths and the second bead fluid connection path, It may be of a resilient member that provides a force.

본 발명의 투관침 장치는, 투관침부, 상기 투관침부와 결합되며, 한 쌍의 유체주입포트가 독립되게 마련되며 환자의 질을 통한 상기 투관침부의 삽입 및 위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투관침부의 일측 외주연에 장착되며 한 쌍의 상기 유체주입포트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자궁의 내벽과 밀착되는 제 1 벌륜부, 및 상기 투관침부의 타측 외주연에 장착되며, 한 쌍의 상기 유체주입포트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자궁의 외벽과 밀착되면서 상기 자궁을 위로 들어 올려주는 제 2 벌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ocar apparatus comprising a trocar cap, a guide unit coupled to the trocar cap unit, a pair of fluid injection ports being independent from each other and guiding insertion and position of the trocar cap through the quality of a patient, A first bead wheel portion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uterus and inflated by a fluid injected through one of the pair of the fluid injection ports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n inner wall of the uterus; And a second beeper part which is expanded by the fluid injected through the other one of the fluid injection ports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uterus to lift the uterus upward.

또한, 한 쌍의 상기 유체주입포트를 통해 주입되는 상기 유체가 상기 제 1 벌륜부와 상기 제 2 벌륜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투관침부의 단면 내부에는 한 쌍의 상기 유체주입포트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 1 벌륜부를 연결하는 제 1 벌륜 유체연결로와, 한 쌍의 상기 유체주입포트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제 2 벌륜부를 연결하는 제 2 벌륜 유체연결로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ross-section of the trocar cap so that the fluid injected through the pair of fluid injection ports is independently supplied to the first bee ring and the second beehive, A first bipolar fluid connection path connecting the first non-rotating portion and a second bipolar fluid connection path connecting the other of the pair of fluid injection ports to the second non-rotating portion may be formed.

여기서, 상기 제 1 벌륜부는 상기 유체에 의해 상기 투관침부의 반경 방향으로 균일하게 팽창하는 대칭형 도넛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bee ring part has a symmetrical donut shape that uniformly expand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rocar cap by the fluid.

또한, 상기 제 2 벌륜부는 상기 유체에 의해 상기 자궁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편심되게 팽창되어 상기 자궁을 위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비대칭형 도넛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bee ring part has an asymmetric donut shape so that the fluid is expanded eccentrically in a direction opposed to the uterus to lift the uterus upward.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투관침 장치에 따르면, 투관침의 선단과 후단에 풍선을 장착하고 투관침을 환자의 질 내로 삽입한 후 유체를 주입하여 각각의 풍선을 팽창시킴으로써, 질 내에 삽입된 투관침 장치의 위치 고정 및 내부 밀폐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troca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alloon is attached to the distal end and the rear end of the trocar, and the trocar is inserted into the vagina of the patient, and the fluid is inflated to inflate the respective balloon. It can be fixed and sealed inside.

또한, 본 발명의 투관침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추가적인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풍선 확대를 통한 투관침 장치만으로 자궁을 들어 올려 줌으로써, 경질 무흉터수술(transvaginal NOTES) 시술 시 복강 내의 수술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roca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operation space in the abdominal cavity can be effectively secured in the transvaginal NOTES procedure by lifting the uterus only by the trocar device through the balloon enlargement without using additional tools .

또한, 투관침에 가이드 장치를 체결하였을 때만 풍선의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시술도중에 투관침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편하고 안전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balloon is designed to be enlarged and reduced only when the guide device is fastened to the trocar, so that the trocar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during the procedure, so that a more convenient and safe operation can be achiev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관침 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투관침 장치를 구성하는 투관침부의 사시도,
도 4는 벌륜부가 팽창된 상태의 투관침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도 4의 우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투관침 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부의 사시도,
도 9 및 10은 도 8의 요부에 대한 확대도,
도 11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요부에 대한 확대도,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체크밸브의 사시도,
도 14는 도 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요부에 대한 확대도, 그리고,
도 16 내지 20은 본 발명의 투관침 장치를 이용하여 수술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and 2 are schematic views of a trocar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ocar cap portion constituting the troca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trocar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ve ring part is expande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right side of Fig. 4,
Fig. 6 is a front view of Fig. 5,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6,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guide portion constituting the troca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9 and 10 are enlarged views of the main portion of Fig. 8,
1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2,
Fig. 12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1,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eck valve shown in Fig. 12, Fig.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2,
Fig. 15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4,
FIGS. 16 to 20 are illustrations for sequentially explaining a procedure of operation using the troca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관침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trocar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관침 장치의 개략도로서, 도 1은 투관침부에 벌륜부가 장착된 초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벌륜부가 팽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and 2 are schematic views of a trocar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1 is an initial state in which a fastener is attached to a trocar cap, and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fastener.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투관침 장치는 투관침부(100)와, 투관침부(100)와 결합되고 환자의 질(1, 도 16 참조)을 통한 투관침부(100)의 삽입 및 위치를 가이드 하는 기능을 질(1) 바깥에서 용이하게 해주는 가이드부(200)와, 투관침부(100)에 구비되고 가이드부(200)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질 내에 삽입된 투관침부(100)의 위치 고정 및 내부 밀폐를 하는 동시에 환자의 자궁(3, 도 16 참조)을 위로 들어 올려주는 벌륜부(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벌륜부(300)를 팽창시키기 위해 주입되는 유체는 기체 또는 액체가 사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기체(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1 and 2, a troca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ocar 100, a needle 100 coupled to the trocar 100 and inserted into the trocar 100 through the patient's vagina 1 (see FIG. 16) And a guiding part 200 provided on the trocar cap 100 and expanded by a fluid injected through the guiding part 200 to be inserted into the vagina 1, A bee ring unit 300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trocar cap unit 100 and sealing the inside of the trocar unit 100 and lifting the patient's uterus 3 (see FIG. 16) upward. Here, gas or liquid may be used as the fluid to be inflated to expand the bead wheel part 300, but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 gas (gas) in the present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투관침 장치를 구성하는 투관침부의 사시도, 도 4는 벌륜부가 팽창된 상태의 투관침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도 4의 우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그리고,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ocar cap unit constituting the troca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rocar cap unit in a state in which a piercing member is expande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right side of 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관침(trocar)부(100)는 통상적으로, 생체친화성, 내부식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체내 장기에 유해하지 않는 소재이면 충분하다.As shown in Figs. 3 to 7, the trocar unit 100 is preferably made of a biocompatible or corrosion-resistant met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material that is not harmful to an organ in the body.

본 실시예에서, 투관침부(100)는 질(1) 내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테이퍼진 원통 형상을 가지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ocar cartridge 100 has a tapered cylindrical shape having a smaller diameter toward the tip so as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vagina 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또한, 투관침부(10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가이드부(200)가 중심을 관통하도록 중공부(101)가 형성되고, 중공부(101) 내에는 수술도구(미도시)가 삽입될 때 투관침부(100)와 수술도구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부재(103)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밀폐부재(103)는 복강을 부풀려주기 위해서 복강 내에 주입한 가스가 경질 무흉터수술(transvaginal NOTES) 시술 시 수술도구의 삽입이나 제거 시에 가스가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밀폐부재(103)는 투관침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기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 hollow portion 101 is formed in the trocar cap 100 so that the guide portion 200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hollow portion 101. When the surgical instrument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101, At least one or more sealing members 103 may be provided for sealing between the surgical instrument 100 and the surgical instrument. The sealing member 103 serves to prevent the gas from leaking when inserting or removing the surgical instrument during the transvaginal NOTES, in order to inflate the abdominal cavity. Since the sealing member 103 can be understood as a known technique generally used in the trocar devic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투관침부(100)는 후단 또는 대략 중간 부분의 외주연에 후술하는 제 1 벌륜부(310)의 내주연이 끼워져 장착되도록 제 1 벌륜 장착홈(111)이 형성되고, 투관침부(100)의 선단 외주연에 후술하는 제 2 벌륜부(320)의 내주연이 끼워져 장착되도록 제 2 벌륜 장착홈(112)이 형성된다. 즉, 초기 상태의 제 1 벌륜부(310)와 제 2 벌륜부(320)는 투관침부(100)에 형성된 제 1 벌륜 장착홈(111)과 제 2 벌륜 장착홈(112)에 각각 정돈되게 밀어 넣어진 상태로 제작된다(도 1 참조). 따라서, 제 1 벌륜부(310)와 제 2 벌륜부(320)가 수축된 상태에서 제 1 벌륜 장착홈(111)과 제 2 벌륜 장착홈(112)에 정돈된 상태로 위치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투관침부(100)를 질을 통해 삽입 시에도 벌륜부(310)와 제 2 벌륜부(320)가 뒤로 밀리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first piercing cap 100 is formed with a first piercing hole 111 so that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first bee ring 310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rear end or substantially middle portion of the piercing cap 100, The second pawl mounting groove 112 is formed so that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second bead wheel portion 3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fitted. That is, the first bee ring part 310 and the second bee ring part 320 in the initial state are pushed into the first padding mounting groove 111 and the second padding mounting groove 112 formed in the trocar cap 100, (See Fig. 1). Therefore, since the first bead wheel portion 310 and the second bead wheel portion 320 can be position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ead wheel mounting groove 111 and the second bead wheel mounting groove 112 are arranged in a contracted state, The phenomenon in which the bee ring portion 310 and the second bee ring portion 320 are pushed backward even when the portion 100 is inserted through the vagina can be minimized.

또한, 투관침부(100)의 단면 내부에는 가이드부(200)가 투관침부(100)에 체결되면 후술하는 가이드부(200)의 제 1 벌륜 유체주입포트(211)와 제 2 벌륜 유체주입포트(212)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가 제 1 벌륜부(310)와 제 2 벌륜부(320)에 각각 독립적으로 공급되도록 제 1 벌륜 장착홈(111)과 대응되게 연결되는 제 1 벌륜 유체연결로(121)와, 제 2 벌륜 장착홈(112)과 대응되게 연결되는 제 2 벌륜 유체연결로(122)가 각각 형성된다. When the guide portion 200 is fastened to the trocar cartridge 100 in the end surface of the trocar cap 100, the first and second inflation fluid injection ports 211 and 211 of the guide portion 200, The first pillar fluid connection path 121 (corresponding to the first pillar mounting groove 111) is connected to the first pillar mounting groove 111 so that the fluid injected through the first pillar portion 212 is supplied to the first pillar portion 310 and the second pillar portion 320 independently. And a second pair of pillar fluid connection paths 12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illar mounting grooves 112, respectively.

또한, 투관침부(100)의 후단에는 제 1 벌륜 유체연결로(121)와 제 2 벌륜 유체연결로(122) 상에 후술하는 밸브챔버(410)가 각각 마련된다. A valve chamber 4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trocar cap 100 on the first pillar fluid connection path 121 and the second pillar fluid connection path 122, respectively.

또한, 투관침부(100)의 후단에는 후술하는 한 쌍의 후크레버(510,520)가 끼워져 체결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후크홈(131,132)이 형성된다.A pair of hook grooves 131 and 132 are formed at a rear end of the trocar cap 100 so that a pair of hook levers 510 and 52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여기서, 한 쌍의 후크홈(131,132)은 투관침부(100) 중심을 기준으로 180도의 위상에 대칭되게 위치하며, 제 1 벌륜 유체연결로(121) 및 제 2 벌륜 유체연결로(122)와는 90도의 위상차를 가진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후크홈(131,132)은 투관침부(100)의 후단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제 1 벌륜 유체연결로(121)와 제 2 벌륜 유체연결로(122)는 투관침부(100)의 후단 하측과 상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The pair of hook grooves 131 and 132 are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trocar cap 100 at an angle of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pillar fluid connecting paths 121 and 122, . For example, a pair of hook grooves 131 and 13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trocar 100,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pillar fluid connecting paths 121 and 122 are connected to the trocar 100 As shown in FIG.

벌륜(balloon)부(300)는 가이드부(200)의 제 1 및 제 2 벌륜 유체주입포트(211,212)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질(1) 내에 삽입된 투관침부(100)의 위치 고정 및 내부 밀폐를 하는 동시에 환자의 자궁(3)을 위로 들어 올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벌륜부(300)는 통상적으로, 생체친화성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체내 장기에 유해하지 않는 팽창 및 수축 가능한 소재이면 충분하다.The balloon portion 300 is expanded by the fluid inje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bead wheel fluid injection ports 211 and 212 of the guide portion 200 and is inserted into the vagina 1, (3) to lift the patient's uterus (3). The bead wheel portion 300 is preferably made of a biocompatible polyvinyl chloride (PVC) or the like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 expandable and shrinkable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organs organs.

벌륜부(300)는 투관침부(100)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풍선(balloon) 형태의 제 1 벌륜부(310) 및 제 2 벌륜부(320)로 구성될 수 있다.The bead wheel section 300 may include a balloon-shaped first bead wheel section 310 and a second bead wheel section 320 provid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trocar cap section 100.

제 1 벌륜부(310)는 투관침부(100)의 일측 외주연, 보다 상세하게는 투관침부(100)의 후단 또는 대략 중간 부분 외주연에 형성된 제 1 벌륜 장착홈(111)에 끼워져 장착되며,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자궁(3)의 내벽과 접촉되면서 투관침부(100)의 일측에 대한 위치 고정 및 내부 밀폐를 한다. 이때, 제 1 벌륜부(310)의 내부 공간은 제 1 벌륜 장착홈(111)을 통해 제 1 벌륜 유체연결로(121)와 연통된다.The first bead wheel 310 is fitted to the first bead ring mounting groove 111 formed at the outer periphery of one side of the trocar cap 100, more specifically, at the rear end of the trocar cap 100, It is inflated by the fluid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uterus (3), there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trocar cap (100) to one side and sealing the inside of the trocar cap (100). At this time,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bead wheel portion 310 is communicated with the first beating wheel fluid connection path 121 through the first beating wheel mounting groove 111.

또한, 제 1 벌륜부(310)는 유체에 의해 투관침부(100)의 반경 방향으로 균일하게 팽창되는 대칭형 도넛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bead wheel 310 has a symmetrical donut shape that is uniformly expand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rocar cap 100 by the fluid.

제 2 벌륜부(320)는 투관침부(100)의 타측 외주연, 보다 상세하게는 투관침부(100)의 선단 외주연에 형성된 제 2 벌륜 장착홈(112)에 끼워져 장착되며,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자궁(3)의 외벽과 접촉되면서 투관침부(100)의 타측에 대한 위치 고정 및 내부 밀폐를 함과 아울러 자궁(3)을 위로 들어 올려준다. 이때, 제 2 벌륜부(320)의 내부 공간은 제 2 벌륜 장착홈(112)을 통해 제 2 벌륜 유체연결로(122)와 연통된다.The second bead wheel portion 320 is fitted in and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other side of the trocar cartridge 100,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bead wheel mounting groove 112 formed at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tip of the trocar cap 100, So as to fix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trocar cap 100 and seal the inside of the trocar cap 100 and to lift the uterus 3 upward. At this time,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bead wheel portion 320 is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bead wheel fluid connection path 122 through the second bead wheel mounting groove 112.

또한, 제 2 벌륜부(320)는 유체에 의해 자궁(3)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편심되게 팽창되어 자궁(3)을 위로 들어 올려 줄 수 있도록 비대칭형 도넛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2 벌륜부(320)는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자궁(3)을 위로 들어 올려 줄 수 있도록 자궁(3)과 마주하는 위쪽 방향은 크고 아래쪽은 작게 팽창하도록 제작된다. 이는 경질 무흉터수술(transvaginal NOTES) 시술 시 자궁을 위로 들어 올려 주어서 복강 내의 수술 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second bead wheel 320 has an asymmetric donut shape so that the second bead wheel 320 is eccentrically expand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uterine 3 by the fluid to lift the uterus 3 upward. In other words, the second bead wheel 320 is formed so as to expand in the upward direction facing the uterine horn 3 so that the second bead wheel 320 can expand by the fluid and lift the uterus 3 upward. This is because during the transvaginal NOTES procedure, the uterus must be lifted up to secure the operative space within the abdominal cavity.

도 8은 본 발명의 투관침 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부의 사시도, 도 9 및 10은 도 8의 요부에 대한 전후방측 확대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guide portion constituting the troca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and 10 are enlarged views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recess in Fig.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200)는 투관침부(100)의 후단에 결합되는 가이드몸체(210)와, 가이드몸체(210)의 전방으로 길게 마련되어 투관침부(100)의 중심을 관통하는 첨두부(220)와, 가이드몸체(210)의 후방으로 길게 마련되는 가이드손잡이(230)로 구성될 수 있다.8 to 10, the guide part 200 includes a guide body 210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trocar cap 100, and a guide body 210 extending forwardly from the guide body 210, And a guide knob 230 that is extended toward the rear of the guide body 210. The guide body 230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aluminum,

가이드몸체(210)는 투관침부(100)의 후단 직경과 대응되는 원형 단면을 가진다.The guide body 210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diameter of the trocar cap 100.

가이드몸체(210)에는 제 1 벌륜부(310)와 제 2 벌륜부(320)를 팽창시키기 위한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유체주입포트가 마련된다.The guide body 210 is provided with a fluid injection port for injecting a fluid for inflating the first bead wheel 310 and the second bead wheel 320.

여기서, 유체주입포트는 제 1 벌륜 유체연결로(121)와 대응되게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제 1 벌륜부(310)를 팽창시키기 위한 유체가 주입되는 제 1 벌륜 유체주입포트(211)와, 제 2 벌륜 유체연결로(122)와 대응되게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제 2 벌륜부(320)를 팽창시키기 위한 유체가 주입되는 제 2 벌륜 유체주입포트(212)로 구성되며, 가이드몸체(21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200)가 투관침부(100)와 결합될 때 투관침부(100) 후단의 밸브챔버(410) 내에 구비된 체크밸브(420)를 전방으로 가압하여 제 1 벌륜 유체연결로(121) 및 제 2 벌륜 유체연결로(122)를 개방할 수 있도록 제 1 벌륜 유체주입포트(211)와 제 2 벌륜 유체주입포트(212)의 선단에는 각각 밸브가압부(211a,212a)가 돌출 형성된다.Here, the fluid injection port includes a first pillar fluid injection port 211 that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pillar fluid connection path 121 in a corresponding manner and into which a fluid for inflating the first bead wheel portion 310 is injected, And a second bevel wheel fluid injection port 212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bell wheel fluid connection passage 122 in correspondence with the bell wheel fluid connection path 122 and to which the fluid for inflating the second bead wheel section 320 is injected. May be respective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guide part 200 is engaged with the trocar cap 100, the check valve 420 provided in the valve chamber 410 at the rear end of the trocar cap 100 is pressed forward to open the first bushing fluid connection path 121 (211a, 212a)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ead wheel fluid injection ports (211, 212) so as to open the first and second bead wheel fluid connection paths do.

도 11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요부에 대한 확대도,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체크밸브의 사시도이다.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2, Fig. 12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 11, and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eck valve shown in Fig.

도 11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투관침 장치는 가이드부(200)가 투관침부(100)와 결합된 상태에서만 제 1 및 제 2 벌륜 유체주입포트(211,212)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가 제 1 및 제 2 벌륜부(310,320)로 공급될 수 있고 가이드부(200)가 투관침부(100)와 분리된 상태에서는 제 1 및 제 2 벌륜부(310,320)에 공급된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유체조절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1 to 13, the troca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luid to be inje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bead fluid injection ports 211 and 212 only when the guide part 200 is engaged with the trocar 100 The fluid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bee ring parts 310 and 320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bee ring parts 310 and 320 and the fluids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bee ring parts 310 and 320, And a fluid regulator 400 for regulating the flow of the fluid.

여기서, 유체조절부(400)는 밸브챔버(410), 체크밸브(420), 탄성부재(430) 및 밸브가압부(211a,212a)로 구성될 수 있다.The fluid regulating unit 400 may include a valve chamber 410, a check valve 420, an elastic member 430, and valve pressing portions 211a and 212a.

밸브챔버(410)는 투관침부(100) 후단에 제 1 벌륜 유체연결로(121)와 제 2 벌륜 유체연결로(122) 상에 각각 마련된다. 여기서, 각 밸브챔버(410)는 한 쌍의 챔버공간(411,413)과,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챔버연결통로(415)로 구성될 수 있다. The valve chamber 410 is provided on the first bead wheel fluid connection path 121 and the second bead wheel fluid connection path 122 at the rear end of the trocar 100, respectively. Here, each of the valve chambers 410 may include a pair of chamber spaces 411 and 413 and a chamber connecting passage 415 connecting them.

체크밸브(420)는 각각의 밸브챔버(410) 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체크밸브(420)를 밸브챔버(410) 내에 삽입하는 방법의 일 예로는 밸브챔버(410)를 기준으로 투관침부(100)를 두 개의 반원통 형상으로 분리 제작한 후, 밸브챔버(410) 내에 체크밸브(420)를 위치시키고 반원통 형상의 투관침부(미도시) 한 쌍을 다시 원통형상으로 조립하여 완성할 수 있다.The check valve 420 is provided movabl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each valve chamber 410. One example of the method of inserting the check valve 420 into the valve chamber 410 is to divide the trocar cap 100 into two semicylindrical shapes with reference to the valve chamber 410, And a pair of semi-cylindrical trocar tapping parts (not shown) are again assembled into a cylindrical shape.

체크밸브(420)는 가이드부(200)가 투관침부(100)와 결합 또는 분리됨에 따라 가이드부(200)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에 대하여 제 1 벌륜 유체연결로(121) 및 제 2 벌륜 유체연결로(122)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체크밸브(420)는 한 쌍의 챔버공간(411,413) 중 앞쪽에 위치하는 챔버공간(411) 내에 삽입되는 밸브헤드(421)와, 뒤쪽에 위치한 챔버공간(413) 내에 삽입되는 밸브푸시판(423)과, 밸브헤드(421)와 밸브푸시판(423)을 연결해주는 밸브로드(425)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밸브헤드(421) 및 밸브로드(425)는 밸브챔버(410)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체크밸브(420)가 개폐될 수 있도록 챔버공간(421)과 챔버연결통로(415)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밸브푸시판(423)에는 밸브가압부(211a,212a)에 의해 가압되어 전진하면서 유체주입포트의 밸브가압부(211a,212a)를 통해 주입된 유체가 밸브챔버(41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멍(423a)이 형성된다.The check valve 420 is connected to the first inflation fluid connection path 121 and the second inflation fluid connection port 121 with respect to the fluid to be introduced through the guide part 200 as the guide part 200 is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trocar 100. [ And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passage 122. The check valve 420 includes a valve head 421 to be inserted into the chamber space 411 located in the front of the pair of chamber spaces 411 and 413 and a valve head 421 to be inserted into the chamber space 413 located at the rear, And a valve rod 425 connecting the valve head 421 and the valve push plate 423 to each other. At this time, at least the valve head 421 and the valve rod 425 form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valve chamber 421 and the valve chamber 410 so that the chamber 421 can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diameter of the chamber connection passage 415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hamber connection passage 415. The valve push plate 423 is pressurized by the pressures 211a and 212a to advance the fluid injected through the press portions 211a and 212a of the fluid injection port into the valve chamber 410 At least one hole 423a is formed.

본 발명에서 체크벨브(420)는 가이드부(200)가 투관침부(100)와 결합된 상태에서만 제 1 및 제 2 벌륜부(310,320)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고 가이드부(200)가 투관침부(100)와 분리된 상태에서는 유입된 유체가 다시 외부로 빠져 나가지 않는 구조면 가능하다.The check valve 42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luid can flow into the first and second bee ring portions 310 and 320 only when the guide portion 200 is engaged with the trocar cartridge 10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the inflow fluid does not escape to the outside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inflow port 100.

밸브가압부(211a,212a)는 가이드부(200)의 제 1 벌륜 유체주입포트(211)와 제 2 벌륜 유체주입포트(212)의 선단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 밸브가압부(211a,212a)는 가이드부(200)가 투관침부(100)와 결합될 때 체크밸브(420)의 밸브푸시판(423)을 가압하여 체크밸브(420)를 전진시킴으로써 제 1 벌륜 유체연결로(121)와 제 2 벌륜 유체연결로(122)를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The valve pressing portions 211a and 212a are respectively protruded from the first bead wheel fluid injection port 211 and the second bead wheel fluid injection port 212 of the guide portion 200, respectively. The valve pressing portions 211a and 212a press the valve push plate 423 of the check valve 420 to advance the check valve 420 when the guide portion 200 is engaged with the trocar cap 100, And serves to open the fluid connecting path 121 and the second pillar fluid connecting path 122.

탄성부재(430)는 밸브챔버(410)와 체크밸브(420) 사이에 개재되며, 가이드부(200)가 투관침부(100)로부터 분리되어 체크밸브(420)에 대한 밸브가압부(211a,212a)의 가압이 해제될 때 체크밸브(420)를 후진시켜 제 1 벌륜 유체연결로(121) 및 제 2 벌륜 유체연결로(122)를 밀폐하도록 체크밸브(42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The elastic member 430 is interposed between the valve chamber 410 and the check valve 420 so that the guide portion 200 is separated from the trocar cap 100 so that the valve for the check valve 420 is compressed by the pressure portions 211a and 212a Includes a spring that retracts the check valve (420) when the pressure on the check valve (420) is released to provide restoring force to the check valve (420) to seal the first and second bead wheel fluid pathways (121, 122) do.

도 14는 도 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요부에 대한 확대도이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2, and Fig. 15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

도 14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200)에는 가이드몸체(210)를 투관침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 guide part 200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part 500 for detachably coupling the guide body 210 to the trocar cap 100.

체결부(500)는 투관침부(100)의 후단에 형성된 한 쌍의 후크홈(131,132)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가이드몸체(210) 양측의 레버장착구(201,202)에 각각 삽입된 한 쌍의 후크레버(510,520)를 포함한다. The fastening part 500 includes a pair of hook levers inserted into the lever mounting holes 201 and 202 on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210 so as to be inserted into a pair of hook grooves 131 and 132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trocar cap 100, 510,520).

또한, 후크레버(510,520)는 레버장착구(201,202) 내에 힌지(513,523)로 결합되어 가이드몸체(210)의 반경 방향으로 회동 운동함에 따라 후크레버(510,520)의 선단에 경사면을 가지는 후크돌기(511,521)가 투관침부(100)의 후크홈(131,132)에 내측으로 걸림 체결되거나 외측으로 체결해제 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200)가 투관침부(100)와 결합될 때 후크레버(510,520)의 후크돌기(511,521)가 후크홈(131,132)에 걸림 체결이 유지될 수 있도록 후크레버(510,520)를 후크홈(131,132) 내측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515,525)이 레버장착구(201,202)의 내부에 개재될 수 있다. The hook levers 510 and 520 are coupled to the lever mounting holes 201 and 202 by the hinges 513 and 523 and rotat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guide body 210. The hook levers 510 and 520 have hook protrusions 511 and 521 Can be engaged or disengaged to the inside of the hook grooves 131 and 132 of the trocar cap 100. When the guide portion 200 is engaged with the trocar cartridge 100, the hook levers 510 and 520 are hooked to the hook grooves 131 and 132 so that the hook protrusions 511 and 521 are retained in the hook grooves 131 and 132, Springes 515 and 525 elastically urged inwardly of the lever mounts 201 and 202 can be interposed inside the lever mounts 201 and 202. [

즉, 본 발명에서는 후크레버(510,520)의 선단에 경사면을 가지는 후크돌기(511,521)가 마련되어 투관침부(100)와 가이드부(200)의 체결 시에는 후크레버(510,520)가 벌어진다. 그리고, 가이드부(200)가 체결 위치까지 끼워지게 되면 후크레버(510,520)는 스프링(515,525)에 의해 다시 모여지게 되고 투관침부(100)의 후크홈(131,132)에 걸리게 된다. 가이드부(200)를 투관침부(1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후크레버(510,520)의 후단을 시술자가 누르면서 후크레버(510,520)를 벌려줌으로써 후방으로 분리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hook protrusions 511 and 521 having inclined surfaces are provided at the tip of the hook levers 510 and 520, and the hook levers 510 and 520 are opened when the trocar cap 100 and the guide part 200 are fastened. When the guide part 20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osition, the hook levers 510 and 520 are gathered again by the springs 515 and 525 and caught in the hook grooves 131 and 132 of the trocar cap 100. In order to separate the guide unit 200 from the trocar cap 100, the operator may press the rear ends of the hook levers 510 and 520 to open the hook levers 510 and 520,

또한, 한 쌍의 후크레버(510,520)는 가이드몸체(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180도의 위상에 대칭되게 위치하며, 제 1 벌륜 유체주입포트(211) 및 제 2 벌륜 유체주입포트(212)와는 90도의 위상차를 가진다.The pair of hook levers 510 and 520 are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guide body 210 by 180 degrees and the first and second pivotal fluid injection ports 211 and 212 And has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도 16 내지 20은 본 발명의 투관침 장치를 이용하여 수술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S. 16 to 20 are illustrations for sequentially explaining a procedure of operation using the troca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200)를 투관침부(100)의 후단에 체결하고, 가이드손잡이(230)를 파지한 상태에서 투관침부(100)를 환자의 질(1) 내로 삽입하여 자궁(3) 내막을 관통하도록 투관침부(100)를 가이드한다. 이때, 초기 상태의 제 1 벌륜부(310)와 제 2 벌륜부(320)는 투관침부(100)에 형성된 제 1 벌륜 장착홈(111)과 제 2 벌륜 장착홈(112)에 각각 정돈되게 밀어 넣어진 상태, 즉 팽창되지 않고 수축된 상태이다. 또한, 제 1 벌륜부(310)는 자궁(3)의 입구 내측에 위치하고, 제 2 벌륜부(320)는 자궁(3)의 안쪽 외측에 위치한다.16, the guide part 200 is fastened to the rear end of the trocar cap 100 and the trocar cap 100 is inserted into the patient's vagina 1 in a state of holding the guide knob 230 And guides the trocar cap 100 through the inner membrane of the uterine cavity 3. At this time, the first bevel wheel portion 310 and the second bevel wheel portion 320 in the initial state are pushed in order to the first pillar attachment groove 111 and the second pillar attachment groove 112 formed in the trocar cap 100, respectively That is, in a contracted state without being inflated. The first bee ring 310 is located inside the entrance of the uterus 3 and the second bee ring 320 is located inside the uterus 3 inside.

다음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200)가 투관침부(100)와 체결된 상태에서는 밸브가압부(211a,212a)가 체크밸브(420)를 가압하여 전진시킴으로써 밸브챔버(410) 내의 체크밸브(420)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체크밸브(420)가 열린 상태에서 가이드부(200)의 제 1 및 제 2 벌륜 유체주입포트(211,212)를 통해 유체를 주입하게 된다. 도 18에서는 체크밸브(420)가 열린 상태의 유체 흐름을 보여준다. 가이드부(200)가 투관침부(100)와 체결되면서 밸브가압부(211a,212a)가 밸브푸시판(423)을 가압하게 되면 탄성부재(스프링)(430)이 압축되면서 체크밸브(420)는 밸브챔버(410) 내에서 전진하게 된다. 이때, 밸브헤드(421)는 밸브챔버(410)와의 사이에 소정의 이격 공간이 생기게 되므로 제 1 및 제 2 벌륜 유체주입포트(211,212)의 밸브가압부(211a,212a) 내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는 화살표로 표시된 것처럼 밸브푸시판(423)의 구멍(423a)과, 밸브헤드(421) 및 밸브로드(425)와 밸브챔버(410) 사이의 공간을 경유하여 제 1 벌륜 유체연결로(121)와 제 2 벌륜 유체연결로(122)로 유입된다.17, when the guide portion 200 is fastened to the trocar cartridge 100, the pressing portions 211a and 212a push the check valve 420 forward to advance the valve chamber 410 The check valve 420 in the guide part 200 maintains the open state and injects the flui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bead fluid injection ports 211 and 212 of the guide part 200 with the check valve 420 opened. 18 shows the fluid flow with the check valve 420 open. When the guide portion 200 is fastened to the trocar cap 100 and the pressing portions 211a and 212a press the valve pushing plate 423, the elastic member (spring) 430 is compressed and the check valve 420 And is advanced in the valve chamber 410. At this time, since the valve head 421 has a predetermined spacing space from the valve chamber 410, the valve of the first and second bead wheel fluid injection ports 211, As shown by the arrow, through the hole 423a of the valve push plate 423 and the space between the valve head 421 and the valve rod 425 and the valve chamber 410, And the second pillar fluid connection path 122. [

체크밸브(420)가 열린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벌륜 유체주입포트(211,212)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는 제 1 벌륜 장착홈(111)과 연결되는 제 1 벌륜 유체연결로(121)를 통해 제 1 벌륜부(310) 내로 공급되어 제 1 벌륜부(310)를 팽창시키고, 제 2 벌륜 장착홈(112)과 연결되는 제 2 벌륜 유체연결로(122)를 통해 제 2 벌륜부(320) 내로 공급되어 제 2 벌륜부(320)를 팽창시킨다. The fluid to be inje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bead wheel fluid injection ports 211 and 212 in the state in which the check valve 420 is opened is passed through the first bead wheel fluid connection passage 121 connected to the first bead wheel mounting groove 111, Is supplied into the first bead wheel portion 310 to expand the first bead wheel portion 310 and into the second bead wheel portion 320 through the second bead wheel fluid connection passage 122 connected to the second bead wheel mounting groove 112 Thereby expanding the second bead wheel portion 320. [

이때, 벌륜부(300)는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질(1) 내에 삽입된 투관침부(100)의 위치 고정 및 내부 밀폐를 하는 동시에 환자의 자궁(3)을 위로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벌륜부(310)는 팽창 시 대칭형 도넛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되므로 제 1 벌륜 유체연결로(121)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투관침부(100)의 반경 방향으로 균일하게 팽창하여 자궁(3)의 내벽과 접촉되면서 투관침부(100)의 일측에 대한 위치 고정 및 내부 밀폐를 한다. 또한, 제 2 벌륜부(320)는 팽창 시 비대칭형 도넛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되므로 제 2 벌륜 유체연결로(122)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자궁(3)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편심되게 팽창하여 자궁(3)의 외벽과 접촉되면서 투관침부(100)의 타측에 대한 위치 고정 및 내부 밀폐를 함과 아울러 자궁(3)을 위로 들어 올려주게 된다. 이처럼 투관침부(100)에 구비된 벌륜부(300)를 팽창시켜 자궁(3)을 위로 들어 올려주게 되면, 경질 무흉터수술(transvaginal NOTES) 시술 시 복강 내의 수술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투관침부(100)를 통해 삽입되는 수술도구(미도시)들의 넓은 운동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ee ring part 300 expands by the fluid, fixes the position of the trocar cap 100 inserted in the vagina 1, performs internal sealing, and lifts the patient's uterus 3 upward. More specifically, since the first bead wheel portion 310 is formed to have a symmetrical donut shape at the time of inflation, the first bead wheel portion 310 is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rocar member 100 by 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first bead wheel fluid connection passage 121 So that it is fixed to the one side of the trocar cap 100 and is sealed therei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uterus 3. Since the second bead wheel portion 320 is formed to have an asymmetrical donut shape when inflated, the second bead wheel portion 320 is expanded eccentrically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terus 3 by 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second bead wheel fluid connection passage 122 The uterus 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uterus 3 to fix the position of the trocar cap 100 to the other side and to seal the uterus 3 and to lift the uterus 3 upward. When the bee wheel part 300 provided in the trocar cap 100 is expanded to lift the uterus 3 upward, a surgical space in the abdominal cavity can be secured during the transvaginal NOTES procedure, (Not shown)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opening 100 can be ensured.

다음으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관침부(100)와 가이드부(200)의 체결을 해제한 후 투관침부(100)로부터 가이드부(200)를 분리한다. 이때, 가이드부(200)가 투관침부(1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체크밸브(420)에 대한 밸브가압부(211a,212a)의 가압이 해제되어 체크밸브(420)를 후진시킴으로써 밸브챔버(410) 내의 체크밸브(420)는 닫힌 상태가 된다(도 20 참조). 이처럼 체크밸브(4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 1 벌륜부(310) 및 제 2 벌륜부(320)에 공급된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므로 제 1 벌륜부(310) 및 제 2 벌륜부(320)의 팽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 19, the guide part 200 is detached from the trocar cap 100 after releasing the fastening of the trocar cap 100 and the guide part 200. At this time, when the guide part 200 is separated from the trocar cap 100, the pressurization of the press portions 211a and 212a against the check valve 420 is released to move the check valve 420 backward, The check valve 420 is closed (see Fig. 20). Since the fluid supplied to the first beeswax portion 310 and the second beeswing portion 320 does not flow out to the outside when the check valve 420 is closed, the first beeswheel portion 310 and the second beeswheel portion 320, Can be maintain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부(200)가 투관침부(100)와 결합된 상태에서만 제 1 및 제 2 벌륜 유체주입포트(211,212)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가 제 1 및 제 2 벌륜부(310,320)로 공급될 수 있고, 가이드부(200)가 투관침부(100)와 분리된 상태에서는 제 1 및 제 2 벌륜부(310,320)에 공급된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유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즉, 투관침부(100)에 가이드부(200)를 체결하였을 때만 벌륜부(300)의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시술도중에 투관침부(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id inje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bead wheel fluid injection ports 211 and 212 is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bead wheel parts 310 and 320 only when the guide part 200 is engaged with the trocar cap part 100 The flow of the fluid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fluid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bee ring parts 310 and 320 does not flow out to the outside when the guide part 200 is separated from the trocar cap part 100. [ That is, it is possible to enlarge and reduce the nugget wheel unit 300 only when the guide unit 200 is fastened to the trocar cap unit 100, thereby preventing the trocar cap unit 100 from being detached during the procedure.

또한, 본 발명에서는 투관침부(100)의 선단과 후단에 유체에 의해 팽창하는 제 1 벌륜부(310)와 제 2 벌륜부(320)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투관침부(100)를 환자의 질(1) 내 삽입 후 투관침부(100)의 위치 고정 및 내부 밀폐가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ead wheel portion 310 and the second bead wheel portion 320 which are expanded by the fluid at the distal end and the posterior end of the trocar cap 100 respectively provide the trocar cap 100 with the patient's quality 1 The position of the trocar cap 100 can be fixed and the inside can be sealed.

또한, 본 발명의 투관침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추가적인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풍선 확대를 통한 투관침 장치만으로 자궁(3)을 들어 올려 줌으로써, 경질 무흉터수술(transvaginal NOTES) 시술 시 복강 내의 수술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roca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uterine (3) can be lifted only by the trocar device through the balloon enlargement without using additional tools, thereby effectively securing the operation space in the abdominal cavity during the transvaginal NOTES procedure can do.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투관침부 200 : 가이드부
210 : 가이드몸체 211 : 제 1 벌륜 유체주입포트
212 : 제 2 벌륜 유체주입포트 220 : 첨두부
230 : 가이드손잡이 300 : 벌륜부
310 : 제 1 벌륜부 320 : 제 2 벌륜부
400 : 유체조절부 410 : 밸브챔버
420 : 체크밸브 421 : 밸브헤드
423 : 벨브푸시판 425 : 밸브로드
430 : 탄성부재(스프링) 500 : 체결부
510,520 : 후크레버
100: trocar cap portion 200: guide portion
210: guide body 211: first cleft fluid injection port
212: second piercing fluid injection port 220:
230: guide handle 300: bevel wheel
310: first bevel wheel 320: second bevel wheel
400: fluid regulator 410: valve chamber
420: check valve 421: valve head
423: valve push plate 425: valve rod
430: elastic member (spring) 500: fastening portion
510,520: Hook lever

Claims (17)

투관침부;
상기 투관침부와 결합되며, 환자의 질을 통한 상기 투관침부의 삽입 및 위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투관침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질 내에 삽입된 상기 투관침부의 위치 고정 및 내부 밀폐를 하는 동시에 환자의 자궁을 위로 들어 올려주는 벌륜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부에는 상기 벌륜부를 팽창시키기 위해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유체주입포트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투관침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유체주입포트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가 상기 벌륜부로 공급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투관침부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벌륜부에 공급된 상기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유체조절부가 상기 투관침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관침 장치.
A trocar unit;
A guide unit coupled to the trocar unit for guiding insertion and position of the trocar unit through the quality of the patient; And
And a puncture part which is provided in the trocar and inflates by the fluid injected through the guide part to fix the position of the trocar cap inserted in the vagina and to seal the inside of the trocar and to lift up the patient's uterus upward,
Wherein the guide portion is provided with a fluid injection port for injecting fluid for inflating the bull ring portion,
The fluid injected through the fluid injection port can be supplied to the fixing part in a state where the guide part is engaged with the trocar cap part and the fluid supplied to the fixing par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when the guide part is separated from the trocar cap part Wherein a fluid regulating unit for regulating the flow of the fluid is provided in the trocar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벌륜부는,
상기 투관침부의 일측 외주연에 장착되며, 상기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자궁의 내벽과 밀착되는 제 1 벌륜부; 및
상기 투관침부의 타측 외주연에 장착되며, 상기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자궁의 외벽과 밀착되면서 상기 자궁을 위로 들어 올려주는 제 2 벌륜부를 포함하는 투관침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bequest wheel part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one side of the trocar cap, being expanded by the fluid and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an inner wall of the uterus; And
And a second bee ring part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ther end of the trocar cap, which is expanded by the flui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uterus to lift the uterus upwar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벌륜부는 상기 유체에 의해 상기 투관침부의 반경 방향으로 균일하게 팽창되는 대칭형 도넛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관침 장치.The trocar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perforating portion has a symmetrical donut shape that is uniformly expand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rocar by the flui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벌륜부는 상기 유체에 의해 상기 자궁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편심되게 팽창되어 상기 자궁을 위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비대칭형 도넛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관침 장치.[2] The trocar device as set forth in claim 2, wherein the second beeper part has an asymmetric donut shape so as to be eccentrically expand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uterus by the fluid to lift the uterus upwar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관침부의 후단 외주연에 상기 제 1 벌륜부의 내주연이 끼워져 장착되도록 제 1 벌륜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투관침부의 선단 외주연에 상기 제 2 벌륜부의 내주연이 끼워져 장착되도록 제 2 벌륜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관침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piercing hole is formed such that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first piercing ring is fitted and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rear end of the trocar cap, and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second piercing ring is fitted And the second pawl mounting groove is formed in the second pawl mounting groov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주입되는 상기 유체가 상기 제 1 벌륜부와 상기 제 2 벌륜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투관침부의 단면 내부에는 상기 제 1 벌륜 장착홈과 연결되는 제 1 벌륜 유체연결로와, 상기 제 2 벌륜 장착홈과 연결되는 제 2 벌륜 유체연결로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관침 장치.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luid is injected through the guide portion so that the fluid is independently supplied to the first bevel wheel portion and the second bevel wheel portion, A fluid connection path, and a second bushing fluid connection path connected to the second pivot mounting groove, respectivel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투관침부의 후단에 결합되는 가이드몸체;
상기 가이드몸체의 전방으로 길게 마련되며, 상기 투관침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첨두부; 및
상기 가이드몸체의 후방으로 길게 마련되는 가이드손잡이를 포함하는 투관침 장치.
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A guide body coupled to a rear end of the trocar cap;
A tip portion extending forwardly of the guide body and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trocar cap; And
And a guide handle extended lengthwise of the guide bod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몸체를 상기 투관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투관침 장치.The trocar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guide part further comprises a fastening part for detachably coupling the guide body to the trocar cap.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투관침부의 후단에 형성된 후크홈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상기 가이드몸체에 마련되는 후크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관침 장치.[12] The trouser cap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astening portion is a hook lever provided on the guide body so as to be inserted into a hook groove formed at a rear end of the trocar cap.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주입포트는,
상기 가이드몸체의 일측에 상기 제 1 벌륜 유체연결로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 1 벌륜부를 팽창시키기 위한 유체가 주입되는 제 1 벌륜 유체주입포트; 및
상기 가이드몸체의 타측에 상기 제 2 벌륜 유체연결로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 2 벌륜부를 팽창시키기 위한 유체가 주입되는 제 2 벌륜 유체주입포트를 포함하는 투관침 장치.
The fluid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7,
A first bushing fluid injection port which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guide body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bushing fluid connection passage and into which fluid for inflating the first bushing portion is injected; And
And a second bushing fluid infusion po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ody, the second bushing fluid infusion port being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bushing fluid connection passage, wherein a fluid for inflating the second bee ring is injected.
삭제delet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조절부는,
상기 투관침부의 상기 제 1 벌륜 유체연결로 및 상기 제 2 벌륜 유체연결로 상에 마련되는 밸브챔버;
상기 밸브챔버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벌륜 유체연결로 및 상기 제 2 벌륜 유체연결로를 개폐하는 체크밸브;
상기 가이드부의 제 1 벌륜 유체주입포트 및 제 2 벌륜 유체주입포트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투관침부와 결합될 때 상기 체크밸브를 가압하여 상기 제 1 벌륜 유체연결로 및 상기 제 2 벌륜 유체연결로를 개방하는 밸브가압부; 및
상기 밸브챔버와 상기 체크밸브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투관침부와 분리되어 상기 체크밸브에 대한 상기 밸브가압부의 가압이 해제될 때 상기 체크밸브가 상기 제 1 벌륜 유체연결로 및 상기 제 2 벌륜 유체연결로를 밀폐하도록 상기 체크밸브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투관침 장치.

The fluid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A valve chamber provided on the first bead wheel fluid connection passage and the second bead wheel fluid connection passage of the trocar cap;
A check valve provided in the valve cha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and second bushings fluid connecting paths;
Wherein the guide portion is protruded from the tip of a first bead wheel fluid injection port and a second bead wheel fluid injection port of the guide portion and presses the check valve when the guide portion is engaged with the trocar cap portion, A valve for opening the bushing fluid connection path; And
The check valve is interposed between the valve chamber and the check valve, and when the guide portion is detached from the trocar unit and the pressurization of the valve pressurizing portion to the check valve is released, And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a restoring force to the check valve to close the bushing fluid connection path.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0008204A 2010-01-29 2010-01-29 Trocar apparatus KR1011425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204A KR101142569B1 (en) 2010-01-29 2010-01-29 Troca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204A KR101142569B1 (en) 2010-01-29 2010-01-29 Trocar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625A KR20110088625A (en) 2011-08-04
KR101142569B1 true KR101142569B1 (en) 2012-05-08

Family

ID=44927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204A KR101142569B1 (en) 2010-01-29 2010-01-29 Trocar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56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235B1 (en) 2015-12-01 2017-04-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Surgical Troca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7946A (en) * 1994-10-07 1997-12-16 Origin Med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choring laparoscopic instruments
US5795325A (en) * 1991-07-16 1998-08-18 Heartport,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nchoring an occluding member
US5865806A (en) * 1996-04-04 1999-02-0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One step catheter advancement automatic needle retraction system
US6558354B1 (en) * 2000-08-04 2003-05-0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dapter for connecting an introducer needle assembly to a catheter introduc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5325A (en) * 1991-07-16 1998-08-18 Heartport,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nchoring an occluding member
US5697946A (en) * 1994-10-07 1997-12-16 Origin Med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choring laparoscopic instruments
US5865806A (en) * 1996-04-04 1999-02-0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One step catheter advancement automatic needle retraction system
US6558354B1 (en) * 2000-08-04 2003-05-0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dapter for connecting an introducer needle assembly to a catheter introduc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235B1 (en) 2015-12-01 2017-04-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Surgical Tro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625A (en)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5636B2 (en) Balloon dissector with cannula
AU2004238307B2 (en) Balloon dissector with balloon anchor cannula
US7300448B2 (en) Balloon dissector with cannula
CN105073040B (en) For the method and apparatus being seated in bladder will to be intubated
WO2017101187A1 (en) Securable puncture device for laparoscope
KR101142569B1 (en) Trocar apparatus
EP2630926B1 (en) Two-part access port
WO2021253881A1 (en) Surgical instrument for piercing tissues
WO2005046425A2 (en) Dilating trocar
CN213372353U (en) Puncture outfit
WO2023104045A1 (en) Suture device and puncture device for use in surgical operation
CN218451626U (en) Blocking and fixing device for laparoscope puncture outfit channel
US20230248387A1 (en) Surgical Implement for Piercing Tissue
US11576701B2 (en) Surgical access assembly having a pump
CN216908062U (en) Puncture cannula ware that two-way can be fixed
EP3871620A1 (en) Surgical access assembly having a button inflator
CN113842179A (en) Balloon distraction device for shoulder arthroscopic surgery
CN109567903A (en) A kind of the single channel elasticity sheath and its puncture release of laparoscopic surgery
CN113180794A (en) Puncture cannula ware that two-way can be fix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