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959B1 - Flower pot - Google Patents

Flower 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959B1
KR101140959B1 KR1020090090331A KR20090090331A KR101140959B1 KR 101140959 B1 KR101140959 B1 KR 101140959B1 KR 1020090090331 A KR1020090090331 A KR 1020090090331A KR 20090090331 A KR20090090331 A KR 20090090331A KR 101140959 B1 KR101140959 B1 KR 101140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nter
fitting hole
strut
pro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32704A (en
Inventor
정화석
Original Assignee
정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화석 filed Critical 정화석
Priority to KR1020090090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959B1/en
Publication of KR20110032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7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9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3Devices for setting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A01G9/124Means for holding stakes upright in, on, or beside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렌지부에 지주 고정수단을 설치한 화분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flower pot provided with a holding means for holding the flange portion.

이같은 본 발명은, 화분본체; 및 상기 화분본체에 심어지는 식물의 가지 또는 과실의 늘어짐을 억제하기 위하여 화분본체의 둘레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대를 포함하는 화분에 있어서, 상기 화분본체의 상측 테두리면에 상기 지주대가 관통되도록 제 1 끼움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끼움홀에는 이를 관통하는 상기 지주대의 외면 소정구간을 감싸는 지주삽입관을 설치하되, 상기 지주삽입관의 상측에 상기 화분본체의 상측 테두리면과 충분한 밀착되도록 확장후렌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지주삽입관에 삽입된 체 상기 제 1 끼움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상기 지주대가 기울어짐 없이 안정된 지지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인데, 이는 화초나 과수가 심기어지는 화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화분에 심기어진 나무의 가지가 지나치게 넓게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지주대를 화분에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설치함으로서, 화분에 심어지는 식물의 생장에 따른 가지와 과실의 늘어짐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나아가 지주대의 설치 반경을 식물의 특성에 따라 화분의 내외측으로 신축적으로 확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Such the present invention, pollen body; And a plurality of props installed around the pollen body to suppress sagging of the branches or fruits of the plant planted in the pollen body, wherein the props penetrate the upper edge of the pollen body. A fitting hole is formed, and the first fitting hole is provided with a support insertion tube surrounding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base penetrating therethrough, and is expan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dge surface of the planter body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insertion tube. The integral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so that the strut which is inserted into the strut insertion pipe and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hole is fixed so as to maintain a stable support state without tilting. To support and to prevent the overgrown branches of potted trees By stably and stably installing the props installed in the flowerpots, it effectively suppresses the swelling of branches and fruits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plants planted in the pots, and further expands the installation radius of the props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lowerpo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s. It can be expanded or reduced automatically.

화분 고정, 관상용 식물, 유실수, 지주, 지지대 Plant pots, ornamental plants, fruit trees, props, supports

Description

후렌지부에 지주 고정수단을 설치한 화분 {FLOWER POT}Flowerpot with Shoring Fixture Installed in Furenji Part {FLOWER POT}

본 발명은 후렌지부에 지주 고정수단을 설치한 화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초나 과수가 심기어지는 화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화분에 심기어진 나무의 가지가 지나치게 넓게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지주대를 화분에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설치함으로서, 화분에 심어지는 식물의 생장에 따른 가지와 과실의 늘어짐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나아가 지주대의 설치 반경을 식물의 특성에 따라 화분의 내외측으로 신축적으로 확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후렌지부에 지주 고정수단을 설치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 pot provided with a holding means for holding a holding portion in the Hurenji, in particular, to stably support the flower pots planted with flowers or fruit trees, and is installed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branches of the tree planted in the pot too wide By simply and stably installing the props in the flowerpot, it effectively suppresses the swelling of branches and fruits due to the growth of the plants planted in the pots, and further expands the installation radius of the props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po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Or it relates to a potted plant installed holding means fixed to the Hurenji portion configured to be reduced.

경제 성장에 따른 국민 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생활 환경의 개선을 포함하여 안전한 먹거리에 관한 관심이 더욱 증대되고 있는데, 이러한 관심 속에 도심에 가까운 주말농장을 찾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더욱 적극적으로 아파트의 베란다 혹은 옥상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유기농 채소와 과실들을 가정에서 재배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보게 된다.As the national income level increases with economic growth,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safe food, including an improvement in the living environment, and more and more people are looking for weekend farms near the city center. The rooftops are often used to grow various kinds of organic vegetables and fruits at home.

이는 친환경 웰빙 식품의 점진적 소비확대에 따라 더욱 확산되는 추세에 있는 것이며, 따라서 최근에는 가정에서도 유기농 채소를 간편하게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재배용기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같은 재배용기들은 대체로 상자형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키가 작은 채소류의 재배에 주로 사용된다.This is a trend that is spreading with the gradual increase in the consumption of eco-friendly well-being food, so in recent years, various types of cultivation containers have been proposed to facilitate the cultivation of organic vegetables at home, but such cultivation containers are generally box-shaped. As a structure, it is mainly used for the cultivation of short vegetables.

한편, 산업화의 부산물로서 도심의 공기 오염정도가 날로 심각해지면서 각종의 알레르기 환자가 급증하고 있어 많은 가정에서 실내에 공기정화를 목적으로 하는 크고 작은 화분들을 다수 키우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by-product of industrialization, the degree of air pollution in urban centers is increasing day by day, and various allergic patients are rapidly increasing, and many homes have grown many large and small pots for the purpose of air purification indoors.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식물을 가꾸거나 정원을 조성하게 되면 정서적인 안정과 풍요로움을 느낄 수 있게 되고, 이때 식물은 인체에서 내뿜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인체에 필요한 산소를 배출해 줌으로써 실내공기 정화라는 부수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In general, when plants or gardens are planted indoors, emotional stability and abundance can be felt. At this time, plants absorb the carbon dioxide emitted by the human body and release oxygen necessary for the human body, thereby causing the side effect of indoor air purification. I'm looking forward to it.

이러한 복합적 요구를 반영하여 최근에는 실내공기를 정화하면서도 유기농의 안전한 먹거리를 얻고자 하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고, 따라서 토마토, 블루베리, 감귤 등의 관상용 과실수 재배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Reflecting such complex demands,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families who want to obtain safe foods while organically purifying indoor air, and thus, much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cultivating ornamental fruits such as tomatoes, blueberries, and tangerines.

하지만, 유실수는 성장시 가지가 좌우로 심하게 뻗어나가 공간적인 손실이 크며, 화분 등에 심는 경우 그 식물의 특성상 열매는 흩어진 형태로 나무의 가지는 모이지 않고 좌우로 퍼진 형태로 넓게 성장하게 되므로 실내의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관상용으로서 적합한 장식효과를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However, the fruit trees have a large spatial loss due to the growing branches extending from side to side, and when planted in pots, the fruit grows in a scattered form, spreading out from side to side, rather than gathering the branches of tre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It will not be able to provide a decorative effect suitable for ornamental use.

더욱이 이를 옥상이나 개방된 공간에서 재배하는 경우에도 나뭇가지와 무성한 잎들로 인하여 비바람이나 강풍이 몰아칠 때 이들을 받치고 있는 화분이 나무의 흔들림에 무게중심을 잃고 쓰러져 화분은 물론 나무에 심각한 손상을 입히게 되는 것이었다.Moreover, even when grown on a rooftop or in an open space, the pollen that supports them in the wind and strong winds due to twigs and lush leaves may lose their center of gravity due to the shaking of the trees and cause serious damage to the pots as well as the trees. Was.

따라서, 통상의 화분 내면에 지주 고정용 돌기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화분에 설치되는 지주대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구조가 실용공개번호 제88-4089호를 비롯하여, 실용신안등록 제20-0420677호 등 다수 제안되기도 하였다.Therefore, the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inclination of the props installed in the pots by providing the support fixing projection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rdinary pots, including the Utility Model No. 88-4089,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20677 It also became.

그러나, 이들은 화분본체 내부에 별도의 고정돌기를 일체로 성형하여야 함에 따른 제작비용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그 지주의 설치범위가 고정되어 있어, 식물의 특성에 따라 나뭇가지가 화분의 바깥으로 상당히 펼쳐지는 식물인 경우 재배가 불가능한 것이었다.However, in spite of an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cost due to the formation of separate fixing protrusions integrally inside the plant body, the installation range of the prop is fixed, a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the branches are spread out to the outside of the plant pot. If the plant was not cultivable.

즉, 화분본체에 심기어지는 식물의 특성에 따라 지주대의 설치반경을 조절하 수 없어 가지가 넓게 퍼지는 식물의 경우 지주대 설치를 위해 필요이상으로 폭이 넓고 큰 화분을 사용하여야 하는 중대한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In other words,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is a serious problem of using a large and wider pot than necessary for the installation of props for plants that cannot be controll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planted in the pollen body. com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식물의 종류에 따라 화분으로 지주대를 결합시 그 결합에 따른 지주대의 설치폭을 가변하면서 기울어짐없이 안정적인 지지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주대가 비바람이나 강풍에 의해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는 문제를 해소하며, 화분에서 식물의 가지 또는 과실의 늘어짐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후렌지부에 지주 고정수단을 설치한 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so that when holding the support stand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plants to maintain a stable support state without tilting while varying the installation width of the support stan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potted plant equipped with a holding means for holding in the Hurenji part, which solves the problem of the props tilting or falling down due to the rain or strong winds, and suppressing the sagging of the branches or fruits of the plants in the pots. It 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적인 기구를 사용하지 아니하고도 화분에 설치가 가능하고, 더욱이 화분고정용 받침대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그 기능이 더욱 향상되도록 한 후렌지부에 지주 고정수단을 설치한 화분을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tted plant can be installed in the pot without using an auxiliary device, and furthermore,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pot fixing bracket, the function of the potted plant to install the holding fixing means in the Hurenji part to further improv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주대의 설치 반경을 식물의 특성에 따라 화분의 내외측으로 신축적으로 확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후렌지부에 지주 고정수단을 설치한 화분을 제공하려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tted plant in which a support fixing means is installed in a furrenji part configured to expand or contract the installation radius of the plant stand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flower po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후렌지부에 지주 고정수단을 설치한 화분은, 다수의 통기 및 배수용 홀을 가지는 화분본체; 및, 상기 화분본체에 심어지는 식물의 가지 또는 과실의 늘어짐을 억제하기 위하여 화분본체의 둘레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대를 포함하는 지주 고정수단을 갖는 화분에 있어서, 상기 화분본체의 상측 테두리면에 상기 지주대가 관통되도록 제 1 끼움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끼움홀에는 이를 관통하는 상기 지주대의 외면 소정구간을 감싸는 지주삽입관을 설치하되, 상기 지주삽입관의 상측에 상기 화분본체의 상측 테두리면과 충분한 밀착되도록 확장후렌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지주삽입관에 삽입된 체 상기 제 1 끼움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상기 지주대가 기울어짐 없이 안정된 지지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tted plant is installed in the holding portion fixing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ollen body having a plurality of aeration and drainage holes; And a support holding means including a plurality of props installed around the flower pot body in order to suppress sagging of the branches or fruits of the plant planted in the flower pot body. A first fitting hole is formed to penetrate the strut, and the first fitting hole is provided with a strut insertion tube surrounding a predetermined sec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strut passage penetrating the strut, and an upper edge of the planter body on the top of the strut insertion tube. The expansion flange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and the support post inserted into the support insertion pipe a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rst fitting hole is configured to maintain a stable support state without tilting.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상기 지주대가 상기 화분본체 중심으로부터 거리를 달리하며 설치될 수 있도록, 인접한 두개 이상의 지주삽입관을 확장후렌지부로 연결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tru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expansion flange portion of two or more strut insertion pipe adjacent to be installed at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the plant body.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지주삽입관은, 그 내측 또는 외측 벽면에 복수개의 밀착리브를 방사상으로 돌설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rop insertion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ally protruding a plurality of the contact ribs on the inner or outer wall su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화분본체는, 원형의 고리를 이루며 상하 이격되게 위치하는 한쌍의 상하부프레임과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상부프레임 내측에 상기 화분본체의 하측부를 수용함으로서, 화분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화분고정용 받침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분고정용 받침대의 상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화분본체 상측 테두리면의 제 1 끼움홀에 고정된 상기 지주삽입관을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는 상기 지주대의 하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지주고정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len body is composed of a pair of upper and lower frames and a connecting frame connecting them to form a circular ring spaced apart vertically. By accommodating the lower side of the planter body inside the upper frame, further comprising a planter fixing pedestal formed to support the planter body stably;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stand extending downwards through the support insertion tube fixed to the first fitting hole of the upper rim of the planter body can be fixed to the connecting frame and the lower frame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of the planter fixing pedestal.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ing fixture is forme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화분고정용 받침대의 상부프레임에는 그 둘레면을 따라 복수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끼움홀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끼움홀에는 상기 상부프레임 내면과 상기 상부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화분본체 하측 둘레면과의 이격거리를 보상하도록 화분이격방지부재를 폭 조절 가능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upper frame of the planter fixing pedestal to form a second fitting hol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irs along its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econd fitting hole in the upper frame inner surface and the upper fram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adjustable member is installed width adjustable member to compensate the separation distance with the low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anter body inserted into the in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화분이격방지부재는, 상기 상부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화분본체의 외측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전방에 제공되는 수직접촉판과, 이 수직접촉판으로부터 수평 절곡되는 수평연장판, 및 이 수평연장판의 하부에 다단으로 돌설되어 상기 상부프레임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 2 끼움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간격조절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ot separation member, the vertical contact plate provided in fron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anter body inserted into the upper frame, and the horizontal bent from the vertical contact pl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extension plate, and the gap adjusting pin is protruded in multiple stages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late and selectively coupled to the second fitting hole formed on the upper frame circumferential su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연결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에 형성되는 상기 지주고정구는, 제 1 끼움홀에 고정된 상기 지주삽입관을 관통하여 하부로 연 장되는 상기 지주대의 하단이, 상기 상부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화분본체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화분고정용 받침대 중심으로부터 거리를 달리하며 복수 설치되는 삽입관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upport fixture is formed in the connecting frame and the lower frame,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st extending downward through the support insertion tube fixed to the first fitting hole, the upper In order to selectively insert and fix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lant body to be inserted into th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ructure of a plurality of insertion pipes are installed at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the plant pot fixing pedesta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연결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에 형성되는 상기 지주고정구는, 제 1 끼움홀에 고정된 상기 지주삽입관을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 설치되는 상기 지주대의 하단이 상기 상부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화분본체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끼움 고정되도록 상기 화분고정용 받침대 중심으로부터 거리를 달리하며 복수 설치되는 결합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fixture formed in the connecting frame and the lower frame,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stand is installed to extend through the support post inserted through the support pipe fixed to the first fitting hole is the upper fram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tted plant body inserted into the interior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upling pins are installed a plurality of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the plant pot fixing pedestal so as to be fixe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화분본체에 심어지는 식물의 가지 또는 과실의 늘어짐을 억제하기 위하여 화분본체의 둘레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대는, 그 둘레면을 따라 지지대 고정클램프를 등간격으로 돌설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링에 의해 다단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truts installed around the pollen body in order to suppress sagging of the branches or fruits planted in the planter body, the support fixing clamps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t equal interval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supported in multiple stages by one or more fixing rings protruding.

이와같이 본 발명은 식물의 종류에 따라 화분으로 지주대를 결합시 그 결합에 따른 지주대의 설치폭을 가변하면서 기울어짐없이 안정적인 지지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이를 화분고정용 받침대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그 기능을 더욱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이를 통해 지주대가 비바람이나 강풍에 의해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는 문제를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stable support state without tilting while varying the installation width of the support stan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when the support stand is combined with the flower po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lant, and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planter fixing pedestal. The function is to maximize the function, which provide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roblem that the holding pole is inclined or collapsed by rain or win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후렌지부에 지주 고정수단을 설치한 화분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지주대 고정부인 하나의 지주삽입관 또는 한 쌍의 지주삽입관과 지주 고정수단을 갖는 화분의 분해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한 쌍의 지주삽입관을 이용하여 화분본체의 상측방향 또는 내측방향으로 지주대를 고정시킨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한 쌍의 지주삽입관을 이용하여 화분본체의 상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지주대를 고정시킨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후렌지부에 지주 고정수단을 설치한 화분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werpot structure in which the holding means is installed in the flang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a pot having a support stem or a pair of prop insertion pipes and a prop holding means that is a support stand fixing por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stem is fixed in the upper direction or the inner direction of the planter body using a pair of strut insertion pip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post is fixed in the upper direction or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planter body using a pair of prop insertion pip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nter is installed holding means for holding the flang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렌지부에 지주 고정수단을 설치한 화분은, 화분본체(10), 지주대(30), 상기 화분본체(10)의 상측 테두리면에 형성되는 제 1 끼움홀(13)에 끼움 결합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확장후렌지부(73)을 형성하는 하나의 지주삽입관(71) 또는 한 쌍의 지주삽입관(71)(72)으로 구성한 것이다.1 to 5, the planter is installed in the holding portion fixing means in the Hurenj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ter body 10, the holding table 30, the upper edge of the planter body 10 One support insertion tube 71 or a pair of support insertion tubes 71 and 72 which form an expansion flange portion 73 to be engaged by being fitted into the first fitting hole 13 formed on the surface. It is made up.

구체적으로, 상기 화분본체(10)는 다수의 통기 및 배수용 홀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화분본체(10)의 상측 테두리면과 충분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화분본체(10)의 상측 테두리면에 형성되는 제 1 끼움홀(13)에 확장후렌지부(73)가 걸리도록 하는 상태에서 하나의 지주삽입관(71) 또는 상기 확장후렌지부(73)를 통해 화분본체(10)의 중심으로부터 거리를 달리하며 설치되는 한 쌍의 지주삽입관(71)(72) 중 어느 하나를 끼움 결합되도록 설치된다.Specifically, the pollen body 10 has a plurality of aeration and drainage holes, the agent is formed on the upper border surface of the planter body 1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border surface of the planter body 10 1 installed in the state that the expansion flange portion 73 is caught in the fitting hole 13 by varying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planter body 10 through one support insertion tube 71 or the expansion flange portion 73 Is installed to fit any one of the pair of strut insertion pipe (71) (72).

이같이 상기 화분본체(10) 상측 테두리면의 제 1 끼움홀(13)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설치되는 상기 한 쌍의 지주삽입관(71)(72)은, 상기 지주삽입관(71)(72)의 상측에 상기 화분본체(10)의 상측 테두리면과 충분한 밀착되도록 확장후렌지부(73)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인데, 이 확장후렌지부(73)는 화분본체(10)의 상측 테두리면과 충분한 밀착을 이루게 됨에 따라 상기 지주삽입관(71)(72)의 기울어짐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상기 지주삽입관(71)(72)에 삽입된 체 상기 제 1 끼움홀(13)에 끼워져 고정되는 지주대(30)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는 경우라 할지라도 기울어짐 없이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prop insertion pipes 71 and 72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hole 13 on the upper rim surface of the pollen body 10 is formed of the prop insertion pipes 71 and 72. The expansion flange portion 73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id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dge surface of the planter body 10, the expansion flange portion 73 is sufficient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dge surface of the planter body 10. As a result, the inclination of the prop insertion pipes 71 and 72 is effectively suppressed, and thus the props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first fitting hole 13 inserted into the prop insertion pipes 71 and 72 are fixed. Even if the stand 30 is impacted from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state without tilting.

이러한 상기 지주삽입관(71)(72)은 또한, 그 내측 또는 외측 벽면에 복수개의 밀착리브(74)를 방사상으로 돌설하고 있어 상기 제 1 끼움홀(13)과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그 중앙으로 가로질러 삽입되는 지주대(30)을 또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 support insertion pipes 71 and 72 also radially protrude a plurality of the contact ribs 74 on the inner or outer wall thereof, so that not only a stable coupling with the first fitting hole 13 is achieved. It is also possible to firmly support the strut 30 inserted across the center.

이때, 인접한 두개의 지주삽입관(71)(72)을 확장후렌지부(73)로 연결한 한 쌍의 지주삽입관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 1 끼움홀(13)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하나의 지주삽입관(71 또는 72)과 이격되어 있는 또 하나의 지주삽입관(72 또는 71)은 화분본체(10)의 내측방향으로 또는 외측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상기 지주삽입관(71,72)의 설치위치로부터 지주대(30)의 폭이 좁혀지거나 또는 넓혀지면서, 상기 화분본체(10)에 심어지는 식물의 가지와 과실의 생장이 이루어질 때 그 생장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지주대(30)는 비,바람이나 기타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상기 화분본체(1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기울어짐없이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case, when a pair of strut insertion tubes connecting two adjacent strut insertion tubes 71 and 72 to the expansion flange portion 73 is used, one stably coupled to the first fitting hole 13 is used. Another strut insertion tube (72 or 71) spaced apart from the strut insertion tube (71 or 72) can be located in the inward or outward direction of the pollen body 10, through which the strut insertion tube ( 71, 72, while the width of the support stand 30 is narrowed or widened from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 growth of the branches and fruits of the plant planted in the pollen body 10 can help the growth, In addition, the holding table 30 can maintain a stable support state without being inclin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pollen body 10 by rain, wind or other external impact.

이같은 상기 화분본체(10)는, 원형의 고리를 이루며 상하 이격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상,하부 프레임(21)(22)과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분 받침대(20)에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서 더욱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pollen body 10 is a planter base 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upper and lower frames 21, 22 and the connecting frame 23 connecting them to form a circular ring and spaced apart up and down. ) Can be used to maintain a more stable state.

상기 화분 받침대(20)는 상기 화분본체(10)를 받쳐주도록 구성된 것으로, 원형의 고리를 이루며 상하 이격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상,하부 프레임(21)(22)과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ot stand 2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pot body 10, a pair of upper and lower frames 21, 22 and the connecting frame 23 connecting them to form a circular ring spaced up and down spaced apar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하부프레임(22)은 상기 상부프레임(21)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프레임(21)의 내측에 상기 화분본체(10)의 하측부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화분본체(1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것인데, 상기 상부프레임(21)에는 그 둘레면을 따라 복수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끼움홀(21a)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배열 구성된다.The lower frame 22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frame 21, the lower side of the planter body 10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frame 21, the planter body 10 is It can be stably supported, the upper frame 21 is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fitting holes (21a)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irs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지주대(30)는 상기 화분본체(10)에 심어지는 식물의 생장에 따른 가지와 과실의 늘어짐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화분본체(10)의 둘레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주대(30)가 상기 제 1 끼움홀(13)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하나의 지주삽입관(71 또는 72)에 끼워진 상태로 화분본체(10) 상측 테두리면을 따라 다수개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될 때, 상기 다수개를 이루는 지주대(30)의 둘레면에는 클램프(101)를 등간격으로 돌설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링(100)에 의해 다단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The support stand 30 is to be installed around the pollen body 10 in order to suppress the sagging of the branches and fruits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plant planted in the planter body 10, the support stand 30 is the The plurality of when the plurality of the vertically fixed along the upper rim surface of the planter body 10 in the state fitted to one holding insertion tube (71 or 72) that is stably coupled to the first fitting hole 13, the plurality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stand 30 to form a multi-stage is supported by one or more fixing rings 100 protruding the clamp 101 at equal intervals.

상기 화분고정용 받침대(20)의 상부프레임(21)에는 그 둘레면을 따라 복수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끼움홀(21a)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끼움홀(21a)에는 상기 상부프레임(21) 내면과 상기 상부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화분본체(10) 하측 둘레면과의 이격거리를 보상하도록 다수개의 화분이격방지부재(40)를 폭 조절 가능하게 설치한다.The upper frame 21 of the plant pot fixing base 20 is formed with a second fitting hole (21a)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irs along its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upper frame (21) in the second fitting hole (21a) The width of the plurality of plant pot separation preventing members 40 are installed to be adjustable in width to compensat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bottom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nt body 10 inserted into the upper frame.

상기 화분이격방지부재(40)는 상기 상부프레임(21) 내부로 삽입되는 화분본체(10)의 외측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전방에 제공되는 수직접촉판(42)과, 상기 수직접촉판(42)으로부터 수평 절곡되는 수평연장판(43), 그리고 상기 수평연장판(43)의 하부에 다단으로 돌설되어 상기 상부프레임(21)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 2 끼움홀(21a)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간격조절핀(41)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The plant pot separation member 40 is a vertical contact plate 42 provided in fron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nter body 10 is inserted into the upper frame 21, the vertical contact plate 42 A horizontal extension plate 43 that is horizontally bent from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late 43 and selectively coupled to the second fitting hole 21a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frame 21. It comprises a control pin (41).

상기 연결프레임(22) 및 하부프레임(23)에 형성되는 지주고정구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끼움홀(13)에 삽입되는 지주삽입관(71)(72)을 상기 지주대(30)가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지주대(30)의 하단이 상기 화분고정용 받침대(20)의 중심으로부터 거리를 달리하며 복수 설치되는 삽입관(51)(51')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도록 구성한다.The holding fixtures formed in the connecting frame 22 and the lower frame 23, as shown in Figures 1 to 4 attached to the holding insertion tube (71) (72)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hole (13) Insertion pipe 51 having a plurality of lower end of the support stand 30 is installed in a different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planter fixing pedestal 20 in the state installed so that the support stand 30 extends through the bottom ( 51 ').

이때, 상기 지주고정구는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지주삽입관(71,72)을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 설치되는 상기 지주대(30)의 하단이 상기 상부프레임(21) 내부로 삽입되는 화분본체(10)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끼움 고정되도록 상기 화분고정용 받침대(20)의 중심으로부터 거리를 달리하며 복수 설치되는 결합핀(61)의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upport fixture is a planter that is inserted into the upper frame 21,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stand 30 is installed to extend through the support insertion pipe (71, 72) to the lower portion as shown in Figure 5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ain body 1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tructure of a plurality of coupling pins 61 ar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the pot fixing bracket 20 to selectively fit.

이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렌지부에 지주 고정수단을 설치한 화 분은, 첨부된 도 1 및 도 5에서와 같이, 화분본체(10)의 상측 테두리면과 충분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화분본체(10)의 상측 테두리면에 형성되는 제 1 끼움홀(13)에 확장후렌지부(73)를 통해 하분본체(10)의 중심으로부터 거리를 달리하며 설치되도록 연결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지주삽입관(71)(72) 중 어느 하나를 끼움 결합시킨다.As such, the flower pots provided with the holding fixing means in the flang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and 5 attached, the flower pots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dge of the main body 10 A pair of strut insertion pipes are connected to the first fitting hole 13 formed on the upper ri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installed at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body 10 through the expansion flange portion 73. Fit any one of (71) (72).

이어서 상기 지주삽입관(71 또는 72)에 지주대(30)의 일측끝단부를 끼움 결합시키면 상기 지주대(30)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인데, 이로 인하여 상기 지주삽입관(71,72)의 어느 하나에 끼워져 고정된 지주대(30)에 의해, 상기 화분본체(10)에 심어지는 식물의 가지와 과실의 생장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지주대(30)는 비바람이나 강풍에 의해서도 상기 화분본체(1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기울어짐없이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Subsequently, when one side end portion of the support stand 30 is fitted to the support insert pipe 71 or 72,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stand 30 is completed, and thus, any one of the support insert pipes 71 and 72 is completed. By the support stand 30 fixed to the support, it is possible to help the growth of the branches and fruits of the plant planted in the flower pot body 10, and the support stand 30 is the pollen even by rain or win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support state.

이같은 본 발명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화분 받침대(20)를 이루는 상부프레임(21)에 결합하여 지지되도록 하는 경우 더욱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maintain a more stable state when it is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upper frame 21 constituting the plant pot 20 as shown in FIGS. 1 to 4.

다시말해, 화분고정용 받침대(20)에 의해 화분본체(10)의 받침 고정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상기 화분본체(10)의 상측 테두리면과 충분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화분본체(10)의 상측 테두리면에 형성되는 제 1 끼움홀(13)에 확장후렌지부(73)를 통해 하분본체(10)의 중심으로부터 거리를 달리하며 설치되는 한 쌍의 지주삽입관(71)(72) 중 어느 하나를 끼운 다음, 상기 지주삽입관(71 또는 72)에 지주대(30)의 일측끝단부를 끼움 결합함으로서 상기 지주대(30)의 설치를 완료하면, 상기 지주삽입관(71,72)의 어느 하나에 끼워져 고정된 지주대(30)는 비바람이나 강풍에 의해서 도 상기 화분본체(1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기울어짐없이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state where the base of the planter body 10 is fixed by the planter fixing pedestal 20, the upper border surface of the planter body 1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border surface of the planter body 10. Any one of a pair of strut insertion pipes 71 and 72 is installed in the first fitting hole 13 formed at a different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body 10 through the expansion flange portion 73. Next, by fitting the one end of the support post 30 to the support insertion tube (71 or 72) by completing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post 30,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support insertion tubes (71, 72) The fixed prop 30 is able to maintain a stable support state without being inclin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pollen body 10 even by rain or wind.

이때, 상기 화분본체(10)의 직경이 상기 상부프레임(21)의 직경과 동일한 경우에는 그대로 상기 상부프레임(21)에 의해 상기 화분본체(1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상부프레임(21)의 직경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상부프레임(21)에 한 쌍으로서 다단으로 형성되는 제 2 끼움홀(21a)에 화분이격방지부재(40)를 이루는 수평연장판(43)에 다단으로 돌출 구성된 간격조절핀(41)을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diameter of the planter body 10 is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upper frame 21, the planter body 10 is to be stably supported by the upper frame 21 as it is, the upper frame ( 21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frame 21 is formed in a multi-stage protruding to the horizontal extension plate 43 to form the potted plant separation member 40 in the second fitting hole (21a) formed in multiple stages as a pair Spacer adjustment pin 41 can be selectively fitted.

그러면, 상기 수평연장판(43)으로부터 꺽임이 이루어지는 수직접촉판(42)이 상기 화분본체(10)의 둘레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상부프레임(21)의 직경보다 작은 화분본체(10)는 상기 화분이격방지부재(40)를 통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이며, 상기 간격조절핀(41)이 상기 제 2 끼움홀(21a)에 끼움 결합되는 위치는 상기 화분본체(10)와 상기 상부프레임(21)의 간격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이다.Then, the vertical contact plate 42 which is bent from the horizontal extension plate 4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nt body 10, the planter body 10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frame 21 is The pot is spaced apart from the member 40 to be stably supported, and the position where the gap adjusting pin 41 is fitted into the second fitting hole 21a is the pot body 10 and the upper frame 21. It is determined from the interval of.

다음으로, 상기 화분본체(10)의 상측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 1 끼움홀(13)에 끼워진 지주삽입관(71,7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상기 지주대(30)의 일측 끝단부를 화분 받침대(20)에 포함되는 하부프레임(22)에 형성되는 지주고정구인 삽입관(51)에 끼움 결합시키거나, 또는 화분고정용 받침대(20)에 포함되는 연결프레임(23)에 형성되는 삽입관(51')에 끼움 결합시킨다.Next, one side end portion of the support stand 30 is installed through the support insertion pipes (71, 72)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hole (13) formed on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nter body (10) Insertion tube formed in the connecting frame 23 included in the insertion pipe 51, which is a holding fixture formed on the lower frame 22 included in the 20, or the planter fixing bracket 20 ( 51 ').

그리고, 상기 지주대(30)의 상측 둘레면을 하나 이상의 고정링(100)에 형성되는 클램프(101)에 끼움 결합시키면, 상기 지주대(30)는 그 끝단부가 상기 삽입관 (51)(51')에 의해 지지되고, 중간부분은 화분본체(10)의 제 1 끼움홀(13)에 끼워진 지주삽입관(71,72)에 의해 지지되며, 상측부분은 상기 고정링(100)에 의해 지지되면서 비바람이나 강풍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되며, 따라서 기울어짐이나 쓰러짐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지주대(30)에 의해 식물의 가지 또는 과실의 늘어짐은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n, when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ut 30 is fitted to the clamp 101 formed in one or more fixing rings 100, the strut 30 has its end port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tube 51 or 51. '), The middle part is supported by the prop insertion pipes 71 and 72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hole 13 of the planter body 10, and the upper part is supported by the fixing ring 100. While being not affected by rain or strong winds,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blems such as tilting and falling, and accordingly, sagging of branches or fruits of the plant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by the props 30. .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후렌지부에 지주 고정수단을 설치한 화분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otted plant installed holding means for holding the hurenji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지주대 고정부인 하나의 지주삽입관 또는 한 쌍의 지주삽입관과 지주 고정수단을 갖는 화분의 분해도.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a pot having a support stem or a pair of prop insertion pipes and a prop holding means that is a support stand fixing por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한 쌍의 지주삽입관을 이용하여 화분본체의 상측방향 또는 내측방향으로 지주대를 고정시킨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Figure 3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stem is fixed in the upper direction or the inner direction of the planter body using a pair of strut insertion pip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한 쌍의 지주삽입관을 이용하여 화분본체의 상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지주대를 고정시킨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Figure 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post is fixed in the upper direction or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planter body using a pair of prop insertion pip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후렌지부에 지주 고정수단을 설치한 화분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nter installed holding means for holding the flang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화분본체 13; 제 1 끼움홀10; Pollen body 13; 1st fitting hole

20; 화분고정용 받침대 21; 상부프레임20; Planter holders 21; Upper frame

21a; 제 2 끼움홀 22; 하부프레임21a; Second fitting hole 22; Underframe

23; 연결프레임 30; 지주대23; Connecting frame 30; Prop

40; 화분이격방지부재 41; 간격조절핀40; Pollen separation member 41; Spacing adjustment pin

42; 수직접촉판 43; 수평연장판42; Vertical contact plates 43; Horizontal extension board

51,51'; 삽입관 61; 결합핀부51,51 '; Insertion tube 61; Coupling Pin

71,72; 지주삽입관 73; 확장후렌지부71,72; Strut insertion tube 73; Expansion Hurenji

100; 고정링 101; 클램프100; Fixing ring 101; clamp

Claims (4)

삭제delete 다수의 통기 및 배수용 홀을 가지는 화분본체; 및, 상기 화분본체에 심어지는 식물의 가지 또는 과실의 늘어짐을 억제하기 위하여 화분본체의 둘레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대를 포함하는 지주 고정수단을 갖는 화분에 있어서, Pollen body having a plurality of aeration and drainage holes; And, in the potted plant having a holding means including a plurality of struts installed around the pollen body to suppress sagging of the branches or fruit planted in the planter body, 상기 화분본체의 상측 테두리면에 상기 지주대가 관통되도록 제 1 끼움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끼움홀에는 이를 관통하는 상기 지주대의 외면 소정구간을 감싸는 지주삽입관을 설치하되, 상기 지주삽입관의 상측에 상기 화분본체의 상측 테두리면과 충분한 밀착되도록 확장후렌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지주삽입관에 삽입된 체 상기 제 1 끼움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상기 지주대가 기울어짐 없이 안정된 지지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한편, A first fitting hole is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planter body so that the support stand penetrates, and a first insertion hole is installed at the first fitting hole to surround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stand penetrating therein. The expansion flange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id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dge surface of the planter body, so that the strut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hole inserted into the strut insertion tube maintains a stable support state without tilting. On the other hand, 상기 지주대가 상기 화분본체 중심으로부터 거리를 달리하며 설치될 수 있도록, 인접한 두개 이상의 지주삽입관을 확장후렌지부로 연결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렌지부에 지주 고정수단을 설치한 화분.Pots with support holding means installed in the Hurenji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ts are formed so as to be installed at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the plant body, the adjacent two or more strut insertion pipe connected to the expansion flange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지주삽입관은, 그 내측 또는 외측 벽면에 복수개의 밀착리브를 방사상으로 돌설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렌지부에 지주 고정수단을 설치한 화분.And the support insertion pipe is provided with support fixing means in the flange por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contact ribs radially protrude from the inner or outer wall surface thereof.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화분본체는, 원형의 고리를 이루며 상하 이격되게 위치하는 한쌍의 상하부프레임과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상부프레임 내측에 상기 화분본체의 하측부를 수용함으로서, 화분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화분고정용 받침대를 더 포함하며; The pollen body comprises a pair of upper and lower frames and a connecting frame connecting them to form a circular ring spaced apart up and down. By accommodating the lower side of the planter body inside the upper frame, further comprising a planter fixing pedestal formed to support the planter body stably; 상기 화분고정용 받침대의 상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화분본체 상측 테두리면의 제 1 끼움홀에 고정된 상기 지주삽입관을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는 상기 지주대의 하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지주고정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렌지부에 지주 고정수단을 설치한 화분.The lower end of the support stand extending downwards through the support insertion tube fixed to the first fitting hole of the upper rim of the planter body can be fixed to the connecting frame and the lower frame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of the planter fixing pedestal. Potted plant that has a holding means fixed to the Hurenji,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ing fixture is formed.
KR1020090090331A 2009-09-24 2009-09-24 Flower pot KR1011409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331A KR101140959B1 (en) 2009-09-24 2009-09-24 Flower 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331A KR101140959B1 (en) 2009-09-24 2009-09-24 Flower p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704A KR20110032704A (en) 2011-03-30
KR101140959B1 true KR101140959B1 (en) 2012-05-04

Family

ID=43937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331A KR101140959B1 (en) 2009-09-24 2009-09-24 Flower 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95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484A (en) * 2019-11-25 2021-06-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Crops growth tr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7534B (en) * 2011-12-13 2015-05-06 Christopher Robert Neal A planting container
KR200488944Y1 (en) * 2018-08-28 2019-04-08 김준영 support for wicker tray
CN109924035A (en) * 2018-11-29 2019-06-25 王永波 Potted landscape fixed fr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3352U (en) * 1977-08-10 1979-03-05
KR930000867Y1 (en) * 1991-03-19 1993-02-27 김영식 Pot for culture of orchi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3352U (en) * 1977-08-10 1979-03-05
KR930000867Y1 (en) * 1991-03-19 1993-02-27 김영식 Pot for culture of orchi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484A (en) * 2019-11-25 2021-06-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Crops growth tray
KR102412897B1 (en) * 2019-11-25 2022-06-28 대한민국 Crops growth t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704A (en)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981B1 (en) Flower pot support apparatus
US20180064038A1 (en) Mobile Trellis
KR101140959B1 (en) Flower pot
JP4976482B2 (en) Mobile vine plant support device
KR101121032B1 (en) Cultivation box of crops for kitchen garden rooftop
KR200444397Y1 (en) Pot for the culture orchid of porous great
US20120204488A1 (en) Plant container with rigidly reversibly attachable canopy training rack
KR102062495B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N206137743U (en) Combined flowerpot rack
KR101685969B1 (en) The fixing holder for flowerpot
KR100905800B1 (en) Fruit trees for display using connect frame
KR200186528Y1 (en) Flowerpot
KR200464036Y1 (en) A table provide with a jardiniere
KR200457722Y1 (en) Growth Support Frame of Tendril Plant
CN212971119U (en) Household sprout cultivation device
KR20190125730A (en) Flower container
KR101788460B1 (en) A flowerpot of mobile-type
KR102471354B1 (en) Voluble plant support pole or flowerpot for Voluble plant support
CN212677890U (en) Support for preventing lily from lodging
KR101348027B1 (en) A fixing ring for plant of flowerpot
KR200414410Y1 (en) Ornamental flower pots
JP2023061457A (en) Orchid nursery pot and method for growing orchid
KR0115675Y1 (en) Stand for flower pot
JP3012673U (en) Plant pot saucer
JP2016214113A (en) Rooftop gree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