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688B1 - Method for offer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vedeio service by on-screen in a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s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offer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vedeio service by on-screen in a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s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688B1
KR101139688B1 KR1020110102126A KR20110102126A KR101139688B1 KR 101139688 B1 KR101139688 B1 KR 101139688B1 KR 1020110102126 A KR1020110102126 A KR 1020110102126A KR 20110102126 A KR20110102126 A KR 20110102126A KR 101139688 B1 KR101139688 B1 KR 101139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ub
video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이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수 filed Critical 이현수
Priority to KR1020110102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68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688B1/en
Priority to PCT/KR2012/007267 priority patent/WO201303608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04N21/435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dditional data, e.g. HTML pages on a television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6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a ticker, e.g. scrolling banner for news, stock exchange, weath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for a moving picture of an on screen type on a mobile terminal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with a program for the same are provided to easily identify additional information with the moving picture. CONSTITUTION: A control unit displays a sub screen mark with a moving picture(S500). The control unit generates an internal structure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about a sub screen(S502).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sub screen mark with a first sub screen with the on screen type(S504) moving picture. Given specific phrases on the first sub screen, the control unit performs an on screen display of a second sub screen(S506, S508).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의 부가정보 온 스크린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METHOD FOR OFFER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VEDEIO SERVICE BY ON-SCREEN IN A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S FOR THE SAME}TECHNICAL FOR OFFER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VEDEIO SERVICE BY ON-SCREEN IN A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부가정보를 온 스크린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 그리고 PMP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협소한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갖는 이동 단말기 상에서 동영상의 부가정보를 온 스크린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a mobile screen in a mobile terminal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therefor. In particular, the mobile terminal has a relatively narrow display size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pad, and a PM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for effectively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a moving image on a screen.

최근들어 이동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이동 단말기에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 추가되어 현재는 이동 단말기가 사실상 손 안의 컴퓨터에 근접할 정도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대표적인 예가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과 아이패드와 같은 스마트패드이다.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에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여러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살펴보면, 각종 게임, 실시간 문자 대화, DMB 서비스 제공, 인터넷 검색,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이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have been add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now the mobile terminal has a function that is virtually close to the computer in the hand. Representative examples of such mobile terminals are smart phones such as an iPhone and smart pads such as an iPad. Smartphones or smart pads are equipped with a variety of applications to provide a variety of convenience to the user. Looking at these applications, there are various games, real-time text chat, DMB service, Internet search, applications for providing video services.

이러한 서비스 중 스마트폰에서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은 단순히 동영상 서비스만을 제공하던 형태에서 점차로 발전하여 동영상 서비스를 이용해 다양한 서비스, 예컨대 어학학습을 함께 제공하기 위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처럼 동영상을 통해 어학학습을 비롯한 각종의 동영상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에 따른 적절한 방법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와 달리 휴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매우 협소하기 때문이다. Among these services, the function of providing a video service in a smart phone has been gradually developed from the form of simply providing a video service, and has been developed in the form of providing various services such as language learning using the video service. As such, in order to provide various video services including language learning through video, an appropriate method is required. This is because, unlike a personal computer (PC), a smartphone or a smart pad has a relatively small size of the display screen to secure portability.

즉, 개인용컴퓨터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넓기 때문에 동영상을 보면서 어학학습에 관련된 부가정보(자막이나 교재 내용)를 동영상 옆에 공간을 할당하여 함께 표시하더라도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받아 어학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동 단말기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어학학습 정보를 일반적인 PC에서와 같이 제공할 경우 동영상이 매우 작게 표시되거나 또는 제공되는 부가정보를 정확히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a personal computer, since the display screen is wide,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this service without any inconvenience even if the user displays the additional information (subtitle or textbook contents) related to language learning while allocating a space next to the video while watching a video. Can be performed. However, 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since the size of the display screen is relatively narrow, when a language learning information is provided as in a general PC, a video is displayed very small or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identify additional information provid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와 같이 협소한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갖는 이동 단말기에서 각종의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때 동영상과 함께 제공되는 부가정보를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for efficiently identifying additional information provided with a video when providing various video services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narrow display size such as a smart phone or a smart pad. .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시 함께 제공되는 부가정보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easily us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vided when providing a video service in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mart phone or a smart pad and a recording medium theref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과 부가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으로, 재생되는 동영상과 함께 동영상에 대한 부가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보조화면 마크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상기 보조화면에 대한 정보들을 상기 동영상에 온 스크린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내부 구조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에, 상기 보조화면 마크에 대한 조작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 중인 동영상에 대응되는 부가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보조화면을 형성하여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 화면의 일부분에 온 스크린 형태로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isplaying a video and additional information in a mobile terminal, including: displaying a sub-screen mark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video together with the played video; Generating an internal structure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sub screen in an on-screen form on the video; While the video is being played, a first sub screen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ideo being played is formed in response to an operation input to the sub screen mark, and the screen is displayed on a portion of the video screen being played. And overlaying and display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이동 단말기가 동영상 재생 시 재생되는 동영상과 함께 상기 동영상에 대한 부가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보조화면 마크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수단;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보조화면에 대한 정보들을 상기 동영상에 온 스크린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내부 구조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에, 상기 보조화면 마크에 대한 조작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 중인 동영상에 대응되는 부가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보조화면을 형성하여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 화면의 일부분에 온 스크린 형태로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includes: means for displaying an auxiliary screen mark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video together with the video played when the mobile terminal plays back the video; Means for generating an internal structure for the mobile terminal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sub-screen on the video in an on-screen form; While the video is being played, a first sub screen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ideo being played is formed in response to an operation input to the sub screen mark, and the screen is displayed on a portion of the video screen being played. And means for overlaying and displaying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 program.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시 함께 제공되는 부가정보를 손쉽고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더욱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부가정보를 표시함에 있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동영상에 지장을 최소화하면서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nd efficiently check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vided when providing a video service, which can be more easily implemented using a smartphone. In addition, in display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the video may be provided with minimal disruption to the basically provided video.

[도 1]은 스마트폰에서 동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된 화면을 캡처한 경우의 예시도,
[도 2]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해 액티비티를 전환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단말기의 내부 기능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온 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중 온 스크린 방법으로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의 제어 흐름도,
[도 6]은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온 스크린으로 표시되는 동영상에서 보조화면 마크와 재생시간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동영상을 재생 시 메인화면과 제 1 보조화면이 온 스크린 형태로 제공되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동영상을 재생 시 메인화면과 제 1 보조화면 및 제 2 보조화면이 온 스크린 형태로 제공되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동영상을 재생 시 제 3 보조화면이 메인화면과 함께 온 스크린 형태로 제공되는 예시도.
FIG. 1 is an example of capturing a displayed screen when providing video information in a smartphon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switching activities using a display device of a smartphone;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rnal functional block of a smartphone terminal as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on-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trol flowchart when additional information is displayed by an on-screen method while a video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xiliary screen mark and a playing time in a video in which a display screen of a mobile terminal is displayed on-screen;
7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a main screen and a first sub screen are provided in an on-screen form when playing a video o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a main screen, a first sub screen, and a second sub screen are provided in an on-screen form when a video is played o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a third sub-screen is provided in an on-screen form together with a main screen when playing a video o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 첨부된 본 발명의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도면에 예시된 형태 또는 배치 등에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에 대한 부가적인 실시예에 대한 균등 또는 확장은 도면을 참조한 설명을 통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below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or arrangemen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Equivalent or extension of additional embodiments to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through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기본적으로 PC에서 동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와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하자.Prior to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video information is provided by a PC and a video information is provided by a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PC의 경우 제공되는 동영상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넓기 때문에 동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다양한 부가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강의/스포츠중계/드라마/영화 동영상을 1024 사이즈로 표시하면서 그 우측과 하단으로 각종의 정보(영어교제 내용/선수 데이터/드라마정보/영화자막/기타 T-커머스 관련내용)를 표시할 수 있다.First of all, in the case of a PC, since a display screen has a large display screen,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by dividing an area displaying the video information. For example, English lecture / sports broadcast / drama / movie video is displayed in 1024 size and various information (English companion contents / player data / drama information / movie subtitles / other T-commerce related contents) is displayed on the right and bottom sides. I can display it.

하지만,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작기 때문에 그 안에서 영역을 구분하여 표시한다는 것이 부적절하다. 따라서 정보를 작은 단위로 구분하고, 화면을 전환시켜가면서 개별 단위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스마트폰(아이 폰, 안드로이드 폰)에서 소프트웨어 설계의 기본 개념이다.However, since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mart phone has a small display screen, it is inappropriate to display areas separately therein. Therefore, it is a basic concept of software design in smart phone (iPhone, Android phone) to divide information into small units and display the information of individual units while switching screens.

이를 위해 스마트폰에서 채택하고 있는 시스템 중 하나인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는 액티비티(activity)라는 개념을 채용하고 있다. 다른 스마트 플랫폼 중의 하나인 아이폰의 경우에도 용어만 다를 뿐 동일한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 액티비티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기본단위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태스크'가 있다. 그런데,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액티비티 전환 또는 화면전환을 기반으로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시청자의 집중도를 저하시켜 서비스의 효율이 전반적으로 떨어진다.
To this end, the Android platform, one of the systems adopted by smartphones, adopts the concept of activity. The iPhone, one of the other smart platforms, uses the same concept, except for terminology. Activity refers to the basic unit process for displaying a screen on the Android platform. A similar concept is 'task'. However, when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ctivity switching or screen switching while watching a video, the efficiency of the service is generally lowered by lowering the concentration of viewers.

[도 1]은 스마트폰에서 동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된 화면을 캡처한 경우의 예시도이다.1 illustrates an example of capturing a displayed screen when providing video information in a smartphone.

영어강의 동영상의 메인화면은 [도 1]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애니메이션은 '타잔' 동영상의 한 장면을 캡쳐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사용해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별도의 영어교재를 함께 봐야만 한다. PC 환경이라면 화면을 분할하여 우측이나 하단에 영어교재의 텍스트를 표시했겠지만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환경에서는 그렇게 하면 동영상이 너무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정작 영어교재의 텍스트도 잘 보이지도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영상을 시청하다가 필요한 정보가 있으면 다른 화면으로 이동하여 그 내용을 찾아야 한다. 이처럼 다른 화면으로 이동하는 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The main screen of the English lecture video is shown in [Figure 1]. The animation shown in FIG. 1 captures a scene of a 'Tarzan' video. As shown in FIG. 1, a user must watch a separate English textbook while watching a video using a mobile terminal. In a PC environment, the text of the English textbook was displayed on the right or the bottom by splitting the screen, but in a mobile terminal environment including a smartphone, the video becomes too small, and the text of the English textbook is hard to see. Therefore, when a user watches a video and needs information, the user must move to another screen to find the content. An example of moving to another scree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해 액티비티를 전환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switching activities using a display device of a smartphone.

[도 2]에 부가된 각 참조부호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참조부호 100은 이동 단말기에서 단말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각과 배터리의 잔량,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 세기, 진동/벨 등의 모드 등을 알리는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그 외의 부분은 동영상에 해당하는 부가정보를 표시하고 있다.Each reference numeral added to FIG. 2 will be described. Reference numeral 100 is a part indicating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in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it is an area for displaying basic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time, remaining battery power, signal strength from a base station, a mode such as vibration / bell, and the like. The other part displays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ideo.

참조부호 101은 선택된 외국어와 그에 대한 뜻을 나타내는 부분이며, 참조부호 102는 외국어의 대사를 표시하는 영역이고, 참조부호 103은 대사의 번역된 내용을 표시한 부분이며, 참조부호 104는 이동 단말기에서 외국어에 대한 의미 또는 뜻 등을 검색하거나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영역이다. 또한 하단의 자동번역(105)은 현재 표시되어 있는 자막 또는 대사를 자동으로 번역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해 설정된 영역이며, 비디오 실행(Play Viedo)(106) 영역은 다시 비디오를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영역이며, 설명 보기(107)의 영역은 추가적인 설명을 볼 수 있도록 구성하는 영역이다.Reference numeral 101 denotes a selected foreign language and a meaning thereof, reference 102 denotes an area for displaying a dialogue of a foreign language, reference 103 denotes a translated content of an dialogue, and reference numeral 104 denotes a mobile terminal. This is an area for searching for a meaning or meaning of a foreign language 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automatic translation 105 is an area set to automatically translate the currently displayed subtitles or dialogue, and the video play (Play Viedo) 106 is an area for executing the video again, The area of the description view 107 is an area configured to view additional description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과 같은 동영상의 부가정보를 조회하는 화면을 스마트폰 또는 안드로이드 폰에서 사용하는 액티비티 방식으로 소프트웨어를 구성하게 되면 화면 전환으로 인해 사용자의 집중도가 너무 떨어진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oftware is configured in an activity method using a smartphone or an Android phone, the screen for view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a video as illustrated in FIG. Falls too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기존의 화면전환 방식이 아닌 온 스크린(On Screen) 방식으로 동영상의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을 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온 스크린 또는 레이어 스크린(Layer Screen)은 유사한 개념의 의미로서,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 위에 다른 화면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온 스크린과 레이어 스크린의 개념을 모두 총칭하여 '온 스크린'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온 스크린에 대한 방법들은 후술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configure a technology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a video in an on-screen method instead of a conventional screen switching method in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mart phone or a smart pad. The term "on screen" or "layer scree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milar concept, and means a method of displaying another screen on one display scree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oncepts of on screen and layer screen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on screen'. In addition, the method for the on-scree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단말기의 내부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functional block of a smartphone terminal as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무선부(301)는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간 통신을 위해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송신할 기저대역의 신호를 무선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증폭해 안테나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무선부(301)는 기지국으로부터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신호를 대역하강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radio unit 301 converts a baseband signal to be transmitted into a radioband signal to transmit a signal to a base sta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nd amplifies and outputs the signal through an antenna. 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unit 301 receives a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band-down conversion of the received signal and outputs.

모뎀부(303)는 송신할 데이터를 변조하여 출력하며, 그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이때 수신된 신호가 음성 신호인 경우 오디오 복조를 수행하며, 오디오 복조된 신호는 스피커(SPK)로 제공된다. 반면에 데이터 신호인 경우 수신된 데이터는 제어부(305)로 제공된다. 또한 송신할 신호가 음성 신호인 경우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된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음성 변조하여 무선부(301)로 제공하며,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데이터 형식에 맞춰 변조하여 무선부(301)로 제공한다.The modem unit 303 modulates and outputs data to be transmitted, and demodulates and outputs the received data. In this case, when the received signal is a voice signal, audio demodulation is performed, and the audio demodulated signal is provided to a speaker SPK.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data signal, the received data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305. In addition, when the signal to be transmitted is a voice signal, the electrical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MIC) is voice-modulated and provided to the wireless unit 301. When transmitting a data signal, the wireless unit 301 is modulated according to the data format. To provide.

제어부(305)는 이동 단말기(스마트폰)의 기본적인 통신을 위한 제어는 물론이며 본 발명에 따라 동영상의 온 스크린 또는 레이어 스크린에 따른 각종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05)는 메모리(307)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 스크린 또는 레이어 스크린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동작은 후술되는 제어 흐름도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e controller 305 controls not only basic commun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smartphone) but also various operations according to the on-screen or layer screen of the vide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305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on-screen or layer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307. A detailed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a control flowchart to be described below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터치 감지부(309)는 터치 스크린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서 키패드의 입력을 대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터치 정보를 감지해 제어부(305)로 제공한다. 키패드(311)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 값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제어부(305)로 제공한다.The touch sensing unit 309 detects and provides the user's touch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305 so that the user can input desired data in place of the keypad input in the touch screen-enabled mobile terminal. The keypad 311 obtains information on a key value input by the user,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ler 305.

메모리(307)는 제어부(110)에서 구동될 각종 어플리케이션 정보들을 저장하며, 본 발명에 따라 온 스크린 또는 레이어 스크린을 적용하여 동영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307)는 동영상 정보와 동영상 정보와 함께 제공할 부가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영역을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만일 메모리(307)에 동영상 정보와 부가정보를 저장할 영역을 갖지 못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정보를 외부의 메모리로부터 획득하기 위해 외부 메모리 접속부(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The memory 307 stores various application information to be driven by the controller 110, and stores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video information by applying an on-screen or layer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memory 307 may further include an area for storing video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gether with the video information. If the memory 307 does not have an area for storing moving picture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external memory connection unit (not shown) to obtain such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memory.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에는 키패드(311)와 터치 감지부(309) 중 하나만을 채용하는 경우도 있고, 둘을 모두 채용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둘을 모두 채용한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Generally, only one of the keypad 311 and the touch sensing unit 309 may be employ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both may be employ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both are employed. .

디스플레이부(313)는 액정표시판넬(LCD) 등으로 구성되며,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13)는 제어부(305)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감지부(309)를 채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313)에는 터치를 위한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13)는 본 발명에 따라 온 스크린 또는 레이어 스크린을 지원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313 is compos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and the like, and is a part for providing visual information to the user. The display unit 313 may visually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5. In addition, when the touch sensing unit 309 is adopted, the display unit 313 may display information for touch together.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13 may support an on-screen or layer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온 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n-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는 3 개의 층(레이어)을 도시하였다. 제 1 레이어(410)는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레어어이다. 그 위에 필요에 따라 제 2 레이어(420)와 제 3 레이어(430)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제 2 레이어(420)와 제 3 레이어(430)는 필요에 따라 투명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제 1 레이어(410)가 보이도록 또는 어느 정도는 보이지 않도록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제 1 레이어(410)와 제 2 레이어(420)만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제 3 레이어(430)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더 많은 레어어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레이어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각 레어어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투명도가 조정될 수도 있다.4 shows three layers (layers). The first layer 410 is a rare layer on which a video is displayed. If necessary, the second layer 420 and the third layer 430 may be displayed together. In this case, transparency of the second layer 420 and the third layer 430 may be adjusted as necessary. That is, the first layer 410 may be adjusted to be visible or to some extent. If necessary, only the first layer 410 and the second layer 420 may be displayed, or the third layer 430 may be displayed together. You can also have more rare. Such a layer structure can be arrange | positioned suitably as needed. In addition, each rare layer may be arbitrarily adjusted by the user.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레이어가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응하는 사이즈를 가질 수도 있으나, 선택에 따라서는 특정한 위치와 특정한 영역에서 한정된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레이어가 화면의 절반에 해당하며, 오른쪽에 위치하고, 제 3 레이어가 화면의 절반에 해당하며, 왼쪽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실제로는 하나의 레이어를 둘로 분할한 형태로 이해될 수도 있으며, 또는 두 개의 레이어 또는 3개의 레이어가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예는 후술되는 도면을 통해 조금 더 설명될 것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one layer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entire display screen. Alternatively, the layer may be configured to have a limited size in a specific position and a specific area. For example, the second layer may correspond to half of the screen, may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and the third layer may correspond to half of the screen, and may be positioned on the left side. In this case, it may be understood that a single layer is divided into two, or two layers or three layers may constitute one screen. This example will be described furth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described below.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중 온 스크린 방법으로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의 제어 흐름도이다.5 is a control flowchart when additional information is displayed by an on-screen method while a moving image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305)는 (S500) 단계에서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보조화면의 마크를 표시한다.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보조화면의 마크를 표시하는 것은 앞에서 설명한 [도 4]에서와 같이 하나의 레이어에서 모두 표시가 가능하다. 이를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The controller 305 displays the mark of the subscreen while playing the video at step S500. Displaying the marks of the sub-screen while playing the video can be displayed in one layer as shown in Fig. 4 described abov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Fig. 6].

[도 6]은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온 스크린으로 표시되는 동영상에서 보조화면 마크와 재생시간을 예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xiliary screen mark and a playing time in a video in which a display screen of a mobile terminal is displayed on-scree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선택 영역(600)은 사용자가 터치 또는 해당 영역을 선택하는 키를 입력할 경우 보조화면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또한 동영상의 재생 시간 영역(602)은 동영상 정보가 재생되고 있는 시간을 표시하는 영역이다.As shown in FIG. 6, the selection area 600 for displaying the sub screen is a part for displaying the sub screen when the user inputs a touch or a key for selecting a corresponding area. Also, the play time region 602 of the video is an area for displaying the time at which the video information is being played.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도 6]과 같이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제어부(305)는 (S502) 단계로 진행하여 보조화면들을 온 스크린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내부 구조를 생성한다. 이때, 보조화면들은 하나의 보조화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여러 개의 보조화면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이상 여러 개의 보조화면들로 구성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보조화면들을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보조화면', '제 2 보조화면', '제 3 보조화면'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5 again, while playing a video as shown in FIG. 6, the controller 305 proceeds to step S502 to generate an internal structure for displaying sub-screens on the screen. In this case, the subscreens may be composed of one subscreen, or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screens.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screens more than the description. First, the sub screens will be divided into 'first sub screen', 'second sub screen', and 'third sub scree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이처럼 생성된 보조화면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05)는 (S504) 단계에서 보조화면 마크와 제 1 보조화면을 온 스크린 형태로 동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 한다.Using the generated auxiliary screens, the control unit 30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sub-screen mark and the first sub-screen together with the video on the screen in step S504.

그러면 이를 앞서 설명한 [도 4]를 이용하여 살펴보기로 하자.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described above.

먼저 제 1 보조화면은 [도 4]에서 설명한 제 2 레이어(420)에 표시되는 화면이 될 수 있으며, 제 1 레이어(410)는 동영상(예: 영어학습 동영상)이 표시되는 메인 화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보조화면은 메인화면 위에 온 스크린 형태로 표시되며, 화면상에 동영상에 관계된 내용을 리스트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리스트 형식으로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 동영상과 함께 전체 동영상 내용에 대한 리스트가 표시됨으로써 동영상의 전체 내용의 파악이 용이하다. 또한 해당하는 리스트를 터치하거나 해당하는 리스트에 대응하는 키를 입력함으로써 동영상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동영상 메인 화면의 플레이 시간과 연계하여 메인화면과 함께 자동으로 동기화가 이루어져 표시될 수도 있다. 이처럼 제 1 보조화면이 제공되는 형태를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First, the first sub screen may be a screen displayed on the second layer 420 described in FIG. 4, and the first layer 410 may be a main screen on which a video (eg, an English learning video) is displayed. have. Accordingly, the first sub screen may be displayed in an on-screen form on the main screen, and contents related to a video may be provided on the screen in a list format. As such, when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list format, a list of all video contents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video, so that it is easy to grasp the entire contents of the video. In addition, the video may be moved by touching a corresponding list or by inputting a key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list. In addi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play time of the video main screen, the main screen may be automatically synchronized and displayed. Thus, the form in which the first sub picture is provid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은 본 발명의 따라 이동 단말기에 동영상을 재생 시 메인화면과 제 1 보조화면이 온 스크린 형태로 제공되는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a main screen and a first sub screen are provided in an on-screen form when playing a video o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참조부호 700과 참조부호 702는 앞서 설명한 [도 6]의 예시와 동일하게 설정되었다. 즉, 보조화면을 선택하기 위한 영역과 동영상의 재생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보조화면은 메인화면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였다. 동영상의 우측에 동영상의 재생시간과 함께 동영상 재생시간에 대응하는 학습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학습자료 정보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제 2 보조화면와 연계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 2 보조화면와 연계되도록 선택된 제 1 보조화면의 데이터(720)와 제 2 보조화면와 연계되도록 선택되지 않은 제 1 보조화면의 데이터(710)를 함께 도시하고 있다.Reference numeral 700 and reference numeral 702 are set in the same manner as the example of FIG. 6 described above. That is, it is an area for selecting an auxiliary screen and an area for displaying a playing time of a video. In addition, the first sub-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screen. On the right side of the video, there is a learning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playing time of the video along with the playing time of the video. Such learning material information may be individually associated with the second sub-screen. FIG. 7 illustrates the data 720 of the first subscreen selected to be linked to the second subscreen and the data 710 of the first subscreen not selected to be linked to the second subscreen.

먼저 제 1 보조화면의 데이터는 메인화면의 진행 상황에 따라 함께 변화하며 표시된다. 이때, 제 1 보조화면의 데이터에는 메인화면에서 제공되는 동영상의 시간 정보와 제 2 보조화면와 연계 가능한 정보(도면에 '>>'로 표시)를 함께 표시하고 있다. 또한 제 1 보조화면의 데이터는 동영상 자막 데이터 형식 파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SMI의 확장자 파일, SUB 확장자 파일, SRT 확장자 파일 등과 같은 자막 파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05)는 파일들을 분석하여 동영상 정보, 동영상 시간 정보, 제 1 보조화면의 데이터, 제 2 보조화면 데이터와 자막 종류를 함께 저장한다.First, data of the first sub-screen is displayed while changing with the progress of the main screen. At this time, the data of the first sub-screen is displayed together with time information of the video provided on the main screen and information that can be associated with the second sub-screen (indicated by '>>' in the drawing). The data of the first sub picture may be a subtitle file such as an SMI extension file, a SUB extension file, an SRT extension file, or the like, which is generally used as a moving image subtitle data format file. The controller 305 analyzes the files and stores the video information, the video time information, the data of the first subscreen, the second subscreen data, and the subtitle type together.

이처럼 동영상과 제 1 보조화면을 함께 표시하는 중에 제어부(305)는 (S506) 단계에서 제 1 보조화면의 특정 문구가 선택되었는가를 검사한다. (S506) 단계의 검사결과 보조화면의 특정 문구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305)는 (S508) 단계로 진행하여 제 2 보조화면을 온 스크린 형식으로 표시한다.As such, while displaying the video and the first subscreen together, the controller 305 checks whether a specific phrase of the first subscreen is selected in step S506. If a specific phrase of the sub-screen is selected in operation S506, the controller 305 proceeds to operation S508 and displays the second sub-screen in an on-screen format.

제어부(305)는 (S508) 단계로 진행하여 제 2 보조화면을 온 스크린 형태로 표시하는 경우를 첨부된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The controller 305 proceeds to step S508 and looks at the case where the second sub-screen is displayed in the on-screen form with reference to FIG. 8.

[도 8]은 본 발명의 따라 이동 단말기에 동영상을 재생 시 메인화면과 제 1 보조화면 및 제 2 보조화면이 온 스크린 형태로 제공되는 예시도이다.8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a main screen, a first sub screen, and a second sub screen are provided in an on-screen form when playing a video o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1 보조화면에서 선택된 문구(800)는 해당하는 데이터가 선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다른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글자를 굵은 글씨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시인성과 직관성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설정 또는 프로그램 과정에서 불필요할 경우 선택되었음을 별도로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The phrase 800 selected on the first sub-screen may be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to indicate that the corresponding data is selected. Alternatively, you can make the text bold. This can increase visibility and intuition. However, if unnecessary in the user's setting or program process, it may not be separately indicated.

또한 제 2 보조화면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문구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동영상을 제공하는 화면 상에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이는 [도 4]에서 설명한 제 3 레이어(430)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 레이어(430)에 표시되는 내용은 기본적으로 그 선택된 데이터와 그 선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추가적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선택된 데이터는 참조부호 820과 같이 제 3 레이어(430)를 이용하여 메인화면의 위에 일정한 투명도를 갖도록 표시된다. 또한 선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추가적인 정보는 참조부호 822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추가적인 정보 또한 제 3 레이어(430)를 이용하여 메인 화면 위에 일정한 투명도를 갖도록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ub-screen may additionally display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phrase selected by the user on the screen providing the video. That is, this may be the third layer 43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third layer 430 may basically display the selected data and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ata. That is, the selected data is displayed to have a certain transparency on the main screen using the third layer 430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820. In addition,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ata may be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822. Additional information may also be displayed to have a certain transparency on the main screen by using the third layer 430.

이와 함께 카테고리 즉, 설명보기(810), 강의 정보(812), 동영상 강의(814)와 같이 다른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 category, that is, a description view 810, lecture information 812, and a video lecture 814, may further include an area for selecting another category.

제 2 보조화면은 메인화면과 제 1 보조화면 내용에 연계되어 표시될 데이터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HTML, 동영상, 그림, 글자 데이터(HTML, Text, Graphic, 동영상)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과 [도 8]의 예시에서는 제 1 보조화면과 제 2 보조화면이 메인화면 위에 서로 다른 영역에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는 형태를 취하거나 또는 제 1 보조화면과 제 2 보조화면은 앞서 설명한 [도 4]에서와 같이 각 레이어 일정 부분은 투명하게 설정되도록 레이어를 구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3개의 레이어가 함께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제 1 보조화면과 제 2 보조화면의 투명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second sub-screen may be composed of HTML, video, picture, and text data (HTML, Text, Graphic, Video)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multimedia information as data to be displayed in association with the main screen and the content of the first sub-screen. . In addition, in the examples of FIGS. 7 and 8, the first subscreen and the second subscreen may be divided into different areas on the main screen, or the first subscreen and the second subscreen may be divided into two types. As shown in FIG. 4, each layer predetermined portion may be included together by configuring three layers so that the layer is set to be transparent.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sub-screen and the second sub-screen may be configured so that a user may change it arbitrarily.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처럼 제 2 보조화면을 온 스크린 형식으로 표시한 후 제어부(305)는 (S510) 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제거 터치가 있는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시간은 제 2 보조화면을 메인화면 위에 표시한 상태에서 제거하기 위해 설정된 시간으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또는 프로그램의 제작 시에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거 터치는 터치 스크린 형식의 이동 단말기인 경우 제 2 보조화면을 제거하기 위한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를 의미하며, 키패드 형식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제거를 위한 키 패드가 입력된 경우가 될 수 있다.This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 5. After displaying the second sub screen in the on-screen format, the controller 305 proceeds to step S510 to check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or there is a removal touch. Here, the predetermined time is a time set for removing the second sub-screen from the state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and may be set in advance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or at the time of producing the program. In addition, when the touch is a touch screen type mobile terminal, a touch for removing the second sub-screen is made. When the touch screen is used, a key pad for removing may be input.

제어부(305)는 (S510) 단계의 검사결과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제 2 보조화면의 제거를 위한 터치 또는 제 2 보조화면의 제거를 위한 키 입력이 있는 경우 다시 제 2 보조화면을 제거하고 (S504) 단계로 진행한다.The controller 305 removes the second sub-screen again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or when there is a touch for removing the second sub-screen or a key input for removing the second sub-screen. Proceed to step S504.

반면에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305)는 (S512) 단계로 진행하여 제 3 보조화면이 선택되었는가를 검사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predetermined time has not elapsed, the controller 305 proceeds to step S512 to check whether the third sub-screen is selected.

이어서, 제어부(305)는 (S512) 단계의 검사 결과로 보조화면의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S514)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508) 단계를 계속 수행한다.Subsequently, the controller 305 proceeds to step S514 when the sub screen is select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check in step S512. Otherwise, the controller 305 continues to perform step S508.

제어부(305)는 (S514) 단계로 진행하면, 제 2 보조화면와 연계되어 있는 제 3 보조화면의 데이터를 온 스크린 형식으로 표시한다. 이처럼 제 3 보조화면은 [도 4]에서 설명되지 않은 또 다른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4 레이어를 통해 제 3 보조화면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3 보조화면은 동영상이 재생되는 화면 위에 표시되지 않고 별도의 화면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When the controller 305 proceeds to step S514, the controller 305 displays data of the third sub-screen associated with the second sub-screen in an on-screen format. As such, the third subscreen may be configured with another layer not described in FIG. 4. That is, the third sub screen may be configured through the fourth layer. In contrast, the third sub-screen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screen without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where the video is played.

본 발명에서는 제 3 보조화면이 제 4 레이어로 구성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이를 첨부된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third sub-screen is composed of the fourth layer, an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Fig. 9].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동영상을 재생 시 제 3 보조화면이 메인화면과 함께 온 스크린 형태로 제공되는 예시도이다.9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a third sub-screen is provided in an on-screen form together with a main screen when playing a video o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보조화면에서 선택된 데이터(900)는 바람직하게는 색상이 변경된 형태로 표시되어 있으며, 제 2 보조화면에서 제공되는 카테고리들인 설명보기(910)와 강의 정보(912)와 동영상 강의(914)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 2 보조화면에서 제공되는 제 1 보조화면에서 선택된 데이터를 다시 표시하는 영역(920)이 포함되어 있다. 이 위에 제 3 보조화면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부가 기능을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웹의 검색 사이트를 통해 원하는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그 검색 결과를 동영상과 함께 검토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data 900 selected on the first sub-screen is preferably displayed in a color-changed form, and the description view 910 and the lecture information (the categories provided on the second sub-screen) are provided. 912 and video lectures 914 are included. Also included is an area 920 for re-displaying the data selected on the first subscreen provided on the second subscreen. On top of this,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provided by the third sub-screen may be additionally displayed. In other words, the user can perform a desired search through a search site of the web as needed, and can be configured to review the search result along with a video.

이와 같이 제 3 보조화면의 데이터를 온 스크린 형식으로 표시하면서 제어부(305)는 (S516) 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제 3 보조화면의 제거를 위한 터치가 있는가를 검사한다. (S516) 단계의 검사결과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제거를 위한 터치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305)는 제 3 보조화면을 제거하고 (S504)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제 2 보조화면와 제 3 보조화면은 함께 제거될 수 있다.In this way, while displaying the data of the third sub-screen in the on-screen format, the controller 305 proceeds to step S516 to check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or if there is a touch for removing the third sub-screen. If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or if there is a touch for removal, the controller 305 removes the third sub-screen and proceeds to step S504. In this case, the second sub screen and the third sub screen may be removed together.

다른 방법으로 제 3 보조화면의 제거 시간이 경과하면 제 3 보조화면만 제거되고 제 2 보조화면은 제거되지 않고 다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제거 터치가 존재할 경우에만 제 2 보조화면이 제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부분은 설계하는 사람이 선택적으로 프로그램을 설계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3 보조화면만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경우라면, (S516) 단계의 검사에서 제거가 필요한 경우 (S508)단계로 진행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removal time of the third subscreen elapses, only the third subscreen is removed, and the second subscreen is not removed, and the second subscreen is removed only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or when the remove touch exists. You may. This part may be configured by the designer to selectively design the program or set by the user at convenience. Therefore, if only the third sub-screen is configured to be removed, it may be proceeded to step (S508) if the removal is necessary in the inspection of step (S516).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301 : 무선부
303 : 모뎀부
305 : 제어부
307 : 메모리부
309 : 터치 감지부
311 : 키패드
313 : 디스플레이부
301: wireless unit
303: modem unit
305: control unit
307: memory
309: touch detection unit
311: keypad
313: display unit

Claims (6)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과 부가정보를 온 스크린으로 함께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풀스크린 화면에 동영상을 재생하는 과정;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에 대응되는 부가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보조화면 마크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상기 보조화면에 대한 정보들을 상기 동영상에 온 스크린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내부 구조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에 상기 보조화면 마크에 대한 조작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 중인 동영상에 대응되는 부가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보조화면을 형성하고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 풀스크린 화면의 미리 설정된 일 영역에 상기 제 1 보조화면을 온 스크린 형태로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의 부가정보 온 스크린 제공 방법.
As a method for displaying a video and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screen together in a mobile terminal,
Playing a video on a full screen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Displaying an auxiliary screen mark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layed video;
Generating an internal structure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sub screen in an on-screen form on the video;
While the video is playing, a first sub screen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ideo being played is formed in response to a manipulation input to the sub screen mark, and the first sub screen is displayed on a preset one region of the played video full screen screen. Overlaying and displaying the first sub-screen on the screen;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video in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상기 제 1 보조화면에 표시된 제 1 부가정보 중에서 특정 데이터가 선택될 시, 상기 선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 2 부가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 2 보조화면을 형성하고,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의 풀스크린 화면 중에서 상기 제 1 보조화면에 배정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으로 배치하여 온 스크린 형태로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의 부가정보 온 스크린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ile displaying the first sub-screen, when a specific data is selected from the first sub-information displayed on the first sub-screen, a second sub-screen for displaying the second sub-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ata is formed; Displaying an on-screen form and overlaying the remaining area that is not allocated to the first sub-screen among the full-screen screen of the played video;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video in a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화면은 동영상에 대한 자막 정보이며, 상기 제 2 부가정보는 상기 제 1 보조화면의 해설 정보이며, 상기 제 3 부가정보는 상기 제 2 보조화면에서 선택된 데이터에 관련된 추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의 부가정보 온 스크린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sub-screen is subtitle information of a video, the second additional information is commentary information of the first sub-screen, and the third additional information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data selected from the second sub-screen.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video in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en for.
이동 단말기의 풀스크린 화면에 동영상을 재생하는 수단;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과 함께 상기 동영상에 대한 부가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보조화면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보조화면에 대한 정보들을 상기 동영상에 온 스크린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내부 구조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에, 상기 보조화면 마크에 대한 조작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 중인 동영상에 대응되는 부가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보조화면을 형성하여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의 풀스크린 화면의 미리 설정된 일 영역에 온 스크린 형태로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수단;
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Means for playing a video on a full screen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Means for displaying an auxiliary screen mark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video together with the reproduced video;
Means for generating an internal structure for the mobile terminal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sub-screen on the video in an on-screen form;
While the video is playing, a first sub-screen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ideo being played is formed in response to an operation input to the sub-screen mark, and the preset screen of the full-screen screen of the video being played. Means for overlaying and displaying the area on-scree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상기 제 1 보조화면에 표시된 제 1 부가정보 중에서 특정 데이터가 선택될 시, 상기 선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 2 부가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 2 보조화면을 형성하고,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의 풀스크린 화면 중에서 상기 제 1 보조화면에 배정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으로 배치하여 온 스크린 형태로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수단;
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The method of claim 4,
While displaying the first sub-screen, when a specific data is selected from the first sub-information displayed on the first sub-screen, a second sub-screen for displaying the second sub-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ata is formed; And means for overlaying on the screen form of the full screen screen of the reproduced video, which is not allocated to the first sub-screen, and displayed on the scree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the program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에, 상기 재생 중인 동영상에 대한 전체 내용을 상기 제 1 보조화면인 리스트 자막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수단;
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Means for displaying the entire contents of the video being played in the list subtitle which is the first sub-screen while the video is being play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the program further comprising.
KR1020110102126A 2011-09-11 2011-10-06 Method for offer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vedeio service by on-screen in a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s for the same KR1011396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126A KR101139688B1 (en) 2011-10-06 2011-10-06 Method for offer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vedeio service by on-screen in a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s for the same
PCT/KR2012/007267 WO2013036089A1 (en) 2011-09-11 2012-09-10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on-screen information on videos in a mobile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hich records programs for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126A KR101139688B1 (en) 2011-10-06 2011-10-06 Method for offer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vedeio service by on-screen in a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s for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299A Division KR101083257B1 (en) 2011-09-11 2011-09-11 Method for offer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vedeio service in a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s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9688B1 true KR101139688B1 (en) 2012-05-02

Family

ID=46271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126A KR101139688B1 (en) 2011-09-11 2011-10-06 Method for offer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vedeio service by on-screen in a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s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68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6283A1 (en) * 2013-02-18 201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Operation method of portable termin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294A (en) * 2006-01-26 2006-03-09 강학석 Two screen digital displayers added to the sub screen in which data broadcasting etc. can receive
KR20070050639A (en) * 2005-11-11 2007-05-16 김병훈 Digital apparatus comprising active display link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0639A (en) * 2005-11-11 2007-05-16 김병훈 Digital apparatus comprising active display linking function
KR20060022294A (en) * 2006-01-26 2006-03-09 강학석 Two screen digital displayers added to the sub screen in which data broadcasting etc. can receiv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6283A1 (en) * 2013-02-18 201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Operation method of portable terminal
US10474312B2 (en) 2013-02-18 2019-11-12 Lg Electronics Inc. Operation method of portab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67713B (en) Televis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levision
US9811240B2 (en) Operating method of image display apparatus
CN107637089B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75230B1 (en)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11034207B (en) Image display apparatus
CN108419113B (en) Subtitle display method and device
KR20140133363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thereof
KR20170083796A (en) Image display apparatus
CN108762702A (en) Mobile terminal, image display device and use its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JP2016506567A (en) Display device, remote control device and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thereof
JP2015050655A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70024372A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70069599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0278703A (en) Terminal and program
JP2014017536A (en) Video display device
CN112073795B (en)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display equipment
KR101083257B1 (en) Method for offer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vedeio service in a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s for the same
KR20150142347A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User terminal device, and multimedia system thereof
CN112399243A (en) Play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KR101139688B1 (en) Method for offer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vedeio service by on-screen in a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s for the same
KR101390025B1 (en) Multitasking can be controlled by the smart devices and control method
US20120127181A1 (en) Av device
KR102190007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serv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JP2005080020A (en) Mobile information device
CN104615434A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file list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