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005B1 - Interlocking Control Method betwe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Outer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and Outer Device Used Therein, and Media that Program Used Therein is Recored - Google Patents

Interlocking Control Method betwe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Outer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and Outer Device Used Therein, and Media that Program Used Therein is Recor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005B1
KR101139005B1 KR1020100021579A KR20100021579A KR101139005B1 KR 101139005 B1 KR101139005 B1 KR 101139005B1 KR 1020100021579 A KR1020100021579 A KR 1020100021579A KR 20100021579 A KR20100021579 A KR 20100021579A KR 101139005 B1 KR101139005 B1 KR 101139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external device
control unit
medi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5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02532A (en
Inventor
철 석
권순찬
Original Assignee
철 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철 석 filed Critical 철 석
Priority to KR1020100021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005B1/en
Priority to PCT/KR2011/001709 priority patent/WO2011112033A2/en
Publication of KR20110102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5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0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와 외부 기기의 연동 제어 방법, 이에 사용되는 이동 단말기 및 외부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에 소정의 연결장치를 통해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동 단말기에 외부 기기가 연결된 경우에 이동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미디어 신호를 연결장치에 전송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보다 풍부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며, 공공재로서의 PC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경제성을 확보하게 된다.Disclosed are a method for interlocking control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a mobile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used therefor,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through a predetermined connection device, and transmitting a media signal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to the connection device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Is implemented vi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can be used more abundantly and conveniently,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a PC as a public good can be ensured.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와 외부 기기의 연동 제어 방법, 이에 사용되는 이동 단말기 및 외부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Interlocking Control Method betwe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Outer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and Outer Device Used Therein, and Media that Program Used Therein is Recored} Interlocking control method betwe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Outer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and Outer Device Used Therein, and Media that Program Used Therein is Recored}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 외부 기기의 연동 제어 방법, 이에 사용되는 이동 단말기 및 외부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보다 풍부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며, 공공재로서의 PC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동 단말기와 외부 기기의 연동 제어 방법, 이에 사용되는 이동 단말기 및 외부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interworking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a mobile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used therefor,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used therein is recor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nterworking control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a mobile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used therein,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used. .

최근 들어 그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스마트 폰은 과거의 PC에서 제공하는 대부분의 기능을 제공하는 관계로 사용자들은 자신의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영화 감상, 음악 청취, 문서 작업, 이메일 작성 등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Smartphones, which are rapid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provide most of the functions provided by PCs in the past, so users can use their smartphones to watch movies, listen to music, work on documents, write emails, etc. I'm doing it.

그러나, 스마트 폰은 휴대폰의 특성상 비디오 출력장치인 액정 화면의 크기의 한계와, 오디오 출력부인 내장 스피커의 출력용량 및 음질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스마트 폰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보다 풍부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확장 장치에 대한 수요가 예상된다. However, a smart phone has a limitation of the siz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which is a video output device, and the output capacity and sound quality of an internal speaker, which is an audio output uni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mobile phone. In this regard, there is a demand for an expansion device that enables richer and more convenient use of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smart phones.

아울러, 다양한 공공 장소에서 각 장소에 설치된 PC를 이용하여 자신만의 고유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작업을 해당 PC에서 하기 위해서는 작업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을 해당 PC에 매번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In addition, users who need to perform their own work using PCs installed in each place in various public places need to install programs and applications necessary for the work on the PC each time in order to perform their work on the PC. There is a feeling.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공 장소에 설치된 모든 PC에 다수의 사용자에 의한 수요가 예상되는 모든 상용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 한다면 이는 각 PC의 설치 및 운용비용이 불필요하게 높아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f all commercial programs and applications that are expected to be demanded by a large number of users must be installed on all PCs installed in public spaces, this causes a problem that the cost of installing and operating each PC is unnecessarily high. .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기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보다 풍부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며, 공공재로서의 PC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동 단말기와 외부 기기의 연동 제어 방법, 이에 사용되는 이동 단말기 및 외부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icher and more convenient use of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a mobile terminal, and to control the interworking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that can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of a PC as a public good, and the mobile device used there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and a program used therein are record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동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미디어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연결장치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기기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미디어 출력 제어부를 포함한다.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obile terminal, by the user's selection, to output the media signal generated in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connection device And a media output control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출력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비디오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의 비디오 출력장치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비디오 출력 제어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media output control unit includes a video output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video signal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video output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또한, 상기 미디어 출력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의 오디오 출력장치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The media output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n audio output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an audio signal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to an audio output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또한, 상기 비디오 신호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연결 장치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연결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controller which combines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to transmit the video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또한, 상기 연결장치는 복수개의 전송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전송장치 중 상기 미디어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에 전송할 전송장치를 선택하는 연결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The connection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nsmission devices, and the connec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control unit for selecting a transmission device to transmit the media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devic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media signal.

또한, 상기 연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외부기기의 비디오 출력장치의 그래픽 포맷 정보를 상기 비디오 출력 제어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control unit may transmit graphic format information of a video output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video output control unit.

또한, 상기 비디오 출력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의 비디오 출력장치의 그래픽 포맷에 따라 상기 비디오 신호의 포맷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ideo output control unit may convert the format of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graphic format of the video output apparatus of the external device.

또한, 상기 연결 장치에서 전송 가능한 데이터가 아날로그 데이터인 경우에, 상기 미디어 출력 제어부는 상기 미디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dia output controller converts the media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when the data that can be transmitted from the connection device is analog data.

또한, 상기 외부 기기의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 신호가 상기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입력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n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when an input signal from an input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외부 기기에서 생성된 데이터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저장장치 및/또는 상기 외부 기기의 저장장치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저장장치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data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to b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nd / or the storage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by a user's selection.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신 수단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신부 또는 상기 외부 기기의 보조 통신장치가 사용되도록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mobile terminal or the auxiliary communication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to be used as the communication means of the mobile terminal.

또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연결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에 사용되도록 공급하는 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wer controller configured to supply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to be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또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harge the battery built in the mobile terminal using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devic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외부 기기는,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연결 장치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기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미디어 신호를 출력하는 미디어 출력장치; 및 상기 연결 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미디어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미디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상기 미디어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predetermined connection device, Media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a media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an integrated controller configured to transmit the media signal to the media output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the media signal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a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또한, 상기 미디어 신호는 비디오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이며, 상기 미디어 출력장치는 비디오 출력장치 또는 오디오 출력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dia signal may be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and the media output device may be a video output device or an audio output device.

또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 상기 비디오 출력장치의 그래픽 포맷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grated control unit may transmit graphic format information of the video output device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또한, 입력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상기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device, wherein the integrated control unit transmits an input signal from the input device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또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에 따른 데이터가 생성된 경우에 상기 데이터 생성 정보를 상기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grated controller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transmit the data gener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when data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또한, 저장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 저장명령을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device, wherein the integrated control unit stores the generated data in the storage device when receiving a data storage command from the external device.

또한, 통신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연결 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 상기 통신장치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the integrated control unit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또한,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장치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연결 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wherein the integrated control unit suppli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외부 기기의 연동 제어 방법은, (a)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소정의 연결장치를 통해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외부 기기가 연결된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미디어 신호를 상기 연결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locking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the mobile terminal, whether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predetermined connection device; And (b) the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a media signal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to the connection device when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장치는 복수개의 전송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 이후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 외부 기기가 연결된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미디어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전송장치 중 상기 미디어 신호를 상기 외부기기에 전송할 전송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connection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devices, and after the step (a),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devic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media signal. And selecting a transmission device to transmit the media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또한, 상기 (a) 단계 이후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 외부 기기가 연결된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외부기기의 비디오 출력장치의 그래픽 포맷 정보를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그래픽 포맷에 따라 상기 미디어 신호의 포맷을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fter the step (a),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graphic format information of the video output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converting, by the mobile terminal, the format of the media signal according to the graphic forma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는, 상기 각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ogram for executing the above steps is record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상기 각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ogram for executing each step is installed.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는 보다 풍부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보다 사양이 뛰어난 외부 기기의 미디어 출력장치를 통해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미디어 파일의 재생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use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more abundantly and conveniently. In detail, the user may output a playback signal of a media file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media output device of an external device having better specifications than the mobile terminal.

또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비디오 파일을 외부 기기의 비디오 출력장치의 사양에 맞게 변환된 최적의 영상으로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작고 불편한 입력부를 사용하지 않고, 외부 기기의 마우스, 키보드, 터치 패드와 같은 입력장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user can view the video file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as an optimal image conver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video output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In addition, the user may conveniently use an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keyboard, or touch pad of an external device without using a small and inconvenient input unit of the mobile terminal.

또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통신수단과 외부 기기의 통신수단 중에서 더욱 안정하고 경제적인 통신수단을 선택하여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user can select a more stable and economical communication means from the communication means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means of the external device to perform network communication.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공공 장소에 설치되는 PC에는 중앙 처리장치, 운영체계, 및 각종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PC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경제성이 확보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C installed in the public place does not need to install a central processing unit, an operating system, and various programs and applications, thereby securing economical efficiency of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C.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PC/노트북 등을 대체하는 새로운 형태의 PC가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ew type of PC to replace the PC / notebook and the like used in the conventional personal 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외부 기기의 연동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이동 단말기와 외부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연동 제어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terworking system of a mobile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 of an interlocking control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외부 기기의 연동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기기(200)의 연동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200)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working system of a mobile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n interworking system of a mobile terminal 100 and an externa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terminal 100 and an external device 200.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100)는 스마트 폰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외부 기기(200)는 PC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In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a smart phone, the external device 20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PC.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이동 단말기와 외부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의 이동 단말기(100)는 중앙 처리부(110), 주 저장장치(130), 통신부(150), 및 연동 제어부(170)를 포함한다.2 is a functional block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110, a main storage device 130, a communication unit 150, and an interlocking control unit 170.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중앙 처리부(110), 주 저장장치(130), 및 통신부(150)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100)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이동 단말기(100)는 연동 제어부(170)를 구비하며, 도 3에서는 본 발명에서의 연동 제어부(170)의 기능을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Sinc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0, the main storage unit 13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50 in the mobile terminal 100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in the general mobile terminal 100,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locking control unit 170, and FIG. 3 illustrates a functional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170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의 연동 제어부(170)는 미디어 출력 제어부(178), 입력 제어부(173), 저장장치 제어부(174), 통신 제어부(175), 전원 제어부(176), 및 연결 제어부(177)를 포함하며, 미디어 출력 제어부(178)는 비디오 출력 제어부(171), 및 오디오 출력 제어부(172)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3,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dia output control unit 178, an input control unit 173, a storage device control unit 174,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5, a power control unit 176, and a connection. And a control unit 177. The media output control unit 178 includes a video output control unit 171 and an audio output control unit 172.

한편,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기기(200)는 연결장치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연결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송장치에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USB) 케이블 ,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HDMI) 케이블, 디지털 비쥬얼 인터페이스(Digital Visual Interface:DVI) 케이블, 소니/필립스 디지털 인터페이스(Sony Philips Digital InterFace:S/PDIF) 케이블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are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device. In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transmission device, and the transmission device includes a universal serial bus (USB) cable,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cable, and a digital visual. Digital Visual Interface (DVI) cables, Sony Philips Digital InterFace (S / PDIF) cables, etc. may be used.

먼저, 이동 단말기(100)의 연결 제어부(177)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장치를 통해 외부 기기(20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기기(200)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미디어 출력 제어부(178)는 이동 단말기(100)의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에서 생성되는 미디어 신호가 연결장치를 통해 연결된 외부 기기(200)의 비디오 출력장치(220) 또는 오디오 출력장치(230) 등의 미디어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해당 미디어 신호를 연결 장치에 전송한다.First, the connection controller 177 of the mobile terminal 100 checks whether the external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a connection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edia output control unit 178 is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edia signal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video of the external device 200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The medi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device to be output through a media output device such as the output device 220 or the audio output device 230.

구체적으로, 비디오 출력 제어부(17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생성되는 비디오 신호를 연결 장치에 전송하며, 오디오 출력 제어부(17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를 연결 장치에 전송한다.In detail, the video output controller 171 transmits a video signal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connected device, and the audio output controller 172 transmits an audio signal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connected device. .

한편, 외부 기기(200)는 도 2에서와 같이 통합 제어부(210), 비디오 출력장치(220) 및 오디오 출력장치(230)로 이루어지는 미디어 출력장치, 입력장치(240), 보조 저장장치(250), 보조 통신장치(260), 및 전원 공급장치(27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합 제어부(21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연결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출력장치(220)에 전송하며,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출력장치(230)에 전송한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2, the external device 200 includes a media output device, an input device 240, and an auxiliary storage device 250 including an integrated control unit 210, a video output device 220, and an audio output device 230. , An auxiliary communication device 260, and a power supply 270. Her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210 transmits the video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to the video output device 220, the audio signal to the audio output device 230.

이로써,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보다 사양이 뛰어난 외부 기기(200)의 미디어 출력장치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미디어 파일의 재생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user may output a playback signal of the media file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media output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200 having better specifications than the mobile terminal 100.

한편, 외부 기기(200)의 통합 제어부(210)는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장치를 통해 연결된 경우에, 외부 기기(200)의 비디오 출력장치(220)의 그래픽 포맷에 대한 정보를 연결장치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송신한다. Meanwhile, when the integrated control unit 210 of the external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a connection devic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210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graphic format of the video output device 220 of the external device 200 to the connection device. Sen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이에 이동 단말기(100)의 연결 제어부(177)는 비디오 출력장치(220)의 그래픽 포맷 정보를 수신하게 되고, 이는 비디오 출력 제어부(171)에 전송된다. 이 경우에 비디오 출력 제어부(17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비디오 신호를 외부 기기(200)의 비디오 출력장치(220)의 그래픽 포맷에 따라 변환하고(예를 들어,240x320→1024x768), 변환된 그래픽 신호는 연결 제어부(177)를 통해 외부 기기(200)에 송신된다.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77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es the graphic format information of the video output device 220, which is transmitted to the video output control unit 171. In this case, the video output controller 171 converts the video signal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graphic format of the video output device 220 of the external device 200 (for example, 240x320 → 1024x768). The converted graphi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200 through the connection controller 177.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비디오 파일을 외부 기기(200)의 비디오 출력장치(220)의 사양에 맞게 변환된 최적의 영상으로 감상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user can view the video file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s an optimal image conver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video output device 220 of the external device 200.

한편, 이동 단말기(100)의 연결 제어부(177)는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기기(200)가 연결된 경우에,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기기(200)를 연결해주는 연결장치의 종류를 확인한다.Meanwhile, when the external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onnection controller 177 of the mobile terminal 100 checks the type of connection device that connects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do.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장치는 전송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송장치에는 USB 케이블, HDMI 케이블, DVI 케이블, S/PDIF 케이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device includes a transmission device, and a USB cable, an HDMI cable, a DVI cable, an S / PDIF cable, or the like may be used for the transmission device.

여기서, USB 케이블과 HDMI 케이블은 디지털 비디오 신호와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며, DVI 케이블은 디지털 비디오 신호만을 전송하고, S/PDIF 케이블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만을 전송한다.Here, the USB cable and the HDMI cable transmit digital video signals and digital audio signals, the DVI cable transmits digital video signals only, and the S / PDIF cable transmits digital audio signals only.

여기서, 전송 장치로 USB 케이블 또는 HDMI 케이블이 사용된 경우에 연결 제어부(177)는 비디오 출력 제어부(171)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출력 제어부(172)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결합하고, 결합된 신호를 외부 기기(200)에 전송하게 된다. Here, when a USB cable or an HDMI cable is used as the transmission device, the connection controller 177 combines the digital video signal received from the video output controller 171 and the digital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audio output controller 172. The combine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200.

만약, 사용된 전송 장치가 S-video 케이블, TV-OUT 케이블 등과 같이 아날로그 데이터만을 전송할 수 있는 종류인 경우에는, 연결 제어부(177)는 미디어 출력 제어부(178)에 아날로그 신호로의 변환 명령을 송신하고, 이에 미디어 출력 제어부(178)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등의 미디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If the transmission device used is a type capable of transmitting only analog data, such as an S-video cable or a TV-OUT cable,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77 transmits a conversion command to an analog signal to the media output control unit 178. In addition, the media output control unit 178 converts media signals such as video signals and audio signals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into analog signals.

이와 같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미디어 신호는 S-video 케이블, TV-OUT 케이블 등의 전송 장치를 통해 외부 기기(200)에 전송된다. The media signal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200 through a transmission device such as an S-video cable or a TV-OUT cable.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연결 장치는 복수개의 전송 장치를 구비할 수 있는데, 연결 제어부(177)는 미디어 신호의 종류에 따라 복수개의 전송장치 중 미디어 신호를 외부 기기(200)에 전송할 전송장치를 선택한다. 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nsmission devices, and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77 transmits a media signal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devices to the externa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media signal. Select the device.

구체적으로, 미디어 신호가 비디오 신호인 경우에는 비디오 신호만을 전송할 수 있는 전송장치인 DVI 케이블을 선택하며, 미디어 신호가 오디오 신호인 경우에는 오디오 신호만을 전송할 수 있는 전송장치인 S/PDIF 케이블을 선택하고, 미디어 신호가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가 결합된 신호인 경우에는 USB 케이블을 선택하게 된다. Specifically, if the media signal is a video signal, select a DVI cable, which is a transmission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only a video signal, and if the media signal is an audio signal, select an S / PDIF cable, which is a transmission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only an audio signal. If the media signal is a signal in which an audio signal and a video signal are combined, the USB cable is selected.

한편,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200)에 연결된 경우에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작고 불편한 입력부를 사용하지 않고, 외부 기기(200)의 마우스, 키보드, 터치 패드와 같은 입력장치(24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200, the user does not use the small and inconvenient input unit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put devices such as a mouse, keyboard, and touch pad of the external device 200 ( 240) can be used.

사용자가 외부 기기(200)의 입력장치(240)를 사용하게 되면, 통합 제어부(210)는 입력장치(240)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연결 장치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송신하게 된다. 이 경우에 이동 단말기(100)의 연결 제어부(177)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전송된 입력 신호를 입력 제어부(173)에 전송하며, 입력 제어부(173)는 수신한 입력신호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When the user uses the input device 240 of the external device 200, the integrated control unit 210 transmits an input signal from the input device 240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In this case,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77 of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an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200 to the input control unit 173, and the input control unit 173 transmits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input signal. The operation of 100 is controlled.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외부 기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신호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100)의 입력부를 통한 입력신호의 대응관계를 나타낸 맵핑 테이블을 주 저장장치(130)에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torage device 130 includes a mapping table indicat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 signals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mobile terminal 100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the input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200. It would be desirable.

즉, 이와 같은 경우에 사용자는 외부 기기(200)의 입력장치(240)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입력하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is case, the user may input more conveniently by using the input device 240 of the external device 200 and execute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한편, 외부 기기(200)의 통합 제어부(210)는 외부 기기(200)의 동작에 따른 데이터가 생성된 경우에 데이터가 생성되었음을 알리는 데이터 생성 정보를 연결장치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송신한다.Meanwhil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210 of the external device 200 transmits data gen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data is genera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when data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200. .

이에 연결 제어부(177)는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표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외부 기기(20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100)의 주 저장장치(130)와 외부 기기(200)의 보조 저장장치(250) 중 어느 것에 저장할 것인지를 선택하라는 표시를 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connection controller 177 transmits the data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200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screen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displays the data of the main storage device 13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 indication is made to select which of the secondary storage devices 250 to store.

이에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주 저장장치(130)에의 저장, 외부 기기(200)의 보조 저장장치(250)에의 저장, 또는 양쪽 모두에의 저장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주 저장장치(130)에의 저장 또는 양쪽 모두에의 저장을 선택하는 경우에 저장장치 제어부(174)는 데이터 전송요청을 외부 기기(200)에 송신하고, 이에 따라 외부 기기(200)의 통합 제어부(210)는 외부 기기(20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하며,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된 데이터는 저장장치 제어부(174)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의 주 저장장치(130)에 저장된다. Accordingly, the user may select storage in the primary storage device 130 of the mobile terminal 100, storage in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250 of the external device 200, or both. When the user chooses to save to the main storage 130 or to both, the storage controller 174 sends a data transmission request to the external device 200, thereby integrating the external device 200. The controller 210 transmits the data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200 to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ata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is mainly stored by the storage controller 174 by the storage device controller 174. Stored in device 130.

한편, 사용자가 외부 기기(200)의 보조 저장장치(250)에의 저장 또는 양쪽 모두에의 저장을 선택하는 경우에 저장장치 제어부(174)는 데이터 저장명령을 외부 기기(200)에 송신하며, 이에 통합 제어부(210)는 외부 기기(20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보조 저장장치(250)에 저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storage of the external device 200 in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250 or both, the storage controller 174 transmits a data storage command to the external device 200, The integrated control unit 210 stores the data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200 in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250.

또한, 외부 기기(200)에 연결장치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가 연결된 경우에, 외부 기기(200)의 통합 제어부(210)는 이동 단말기(100)에 통신장치의 정보를 송신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통신장치의 정보로는 통신장치에 연결된 네트워크의 정보로서,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인지 여부, 연결 속도, 사용 요금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200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210 of the external device 200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to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network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whether the wired network or the wireless network is connected, connection speed, usage fee information, and the like.

이동 단말기(100)가 연결장치를 통해 외부 기기(200)로부터 상기와 같은 통신장치의 정보를 수신하면, 연결 제어부(177)는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표시 화면을 통해 통신장치의 정보를 표시하며, 아울러, 사용자에게 이동 단말기(100)의 통신 수단으로서 이동 단말기(100)의 통신부(150)와 외부 기기(200)의 보조 통신장치(260) 중 어느 것을 사용할 것인지를 선택하라는 표시를 하게 된다.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above communication device from the external device 200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77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display screen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n addition, the user may be prompted to select which of the communication unit 150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auxiliary communication device 260 of the external device 200 to use as a communication mea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do.

이에 사용자가 외부 기기(200)를 이용한 네트워크 통신이 더욱 안정적이고 비용이 저렴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사용자는 외부 기기(200)의 보조 통신장치(260)를 선택하게 되고, 이 경우에 통신 제어부(175)는 보조 통신장치(260)가 통신수단으로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선택 신호를 외부 기기(200)에 전송한다. 이에 외부 기기(200)의 통합 제어부(210)는 보조 통신장치(260)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도록 보조 통신장치(260)를 활성화한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determines that network communication using the external device 200 is more stable and inexpensive, the user selects the auxiliary communication device 260 of the external device 200.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5 Transmits a selection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200 indicating that the auxiliary communication device 260 is selected as the communication means. Accordingly, the integrated control unit 210 of the external device 200 activates the auxiliary communication device 260 to enable communication through the auxiliary communication device 260.

한편,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통신부(150)를 선택한 경우에는 통신 제어부(175)는 외부 기기(200)에 별도의 선택 신호를 전송하지 않으며, 이동 단말기(100)는 내부에 구비된 통신부(150)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명령을 외부 기기(20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100)의 주 저장장치(130)와 외부 기기(200)의 보조 저장장치(250) 중 어느 것에 저장할 것인지를 선택하라는 표시를 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communication unit 150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5 does not transmit a separate selection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200, the mobile terminal 100 is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therein Network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rough 150. A command is displayed to select whether to store data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200 in the main storage device 130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250 of the external device 200.

이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통신수단과 외부 기기(200)의 통신수단 중에서 더욱 안정하고 경제적인 통신수단을 선택하여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user can select a more stable and economical communication means from the communication mea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communication means of the external device 200 to perform network communication.

또한, 외부 기기(200)는 외부 기기(2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장치(270)를 구비하고 있으며, 통합 제어부(210)는 전원 공급장치(270)로부터의 전원을 연결 장치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한다. 이에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제어부(176)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에 사용되도록 공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200 includes a power supply device 270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200, the integrated control unit 21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device 270 It supplies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Accordingly, the power control unit 176 of the mobile terminal 100 supplie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device 200 to be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제어부(176)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trol unit 176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charge the battery built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device 200.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 등의 어플리케이션이 웹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such as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i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downloaded and installed in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through a web server.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While the above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and appl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applications described above,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동 단말기, 200: 외부 기기
170: 연동 제어부, 210: 통합 제어부
171: 비디오 출력 제어부, 172: 오디오 출력 제어부
173: 입력 제어부, 174: 저장장치 제어부
175: 통신 제어부, 176: 전원 제어부
177: 연결 제어부, 178: 미디어 출력 제어부
100: mobile terminal, 200: external device
170: interlocking control unit, 210: integrated control unit
171: video output control unit, 172: audio output control unit
173: input control unit, 174: storage device control unit
175: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6: power control unit
177: connection control unit, 178: media output control unit

Claims (26)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동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미디어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연결장치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기기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미디어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출력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비디오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의 비디오 출력장치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비디오 출력 제어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의 오디오 출력장치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비디오 신호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연결 장치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연결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외부기기의 비디오 출력장치의 그래픽 포맷 정보를 상기 비디오 출력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비디오 출력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의 비디오 출력장치의 그래픽 포맷에 따라 상기 비디오 신호의 포맷을 변환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
In a mobile terminal,
And a media output control unit configured to output a media signal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connection device by a user's selection.
The media output controller may include a video output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a video signal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to a video output apparatus of the external device; And an audio output controller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from an audio output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And a connection controller which combines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and transmits the video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The connection control unit transmits the graphic format information of the video output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video output control unit,
And the video output control unit converts the format of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graphic format of the video output apparatus of the external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복수개의 전송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전송장치 중 상기 미디어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에 전송할 전송장치를 선택하는 연결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devices,
And a connection controller for selecting a transmission device to transmit the media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devic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media sig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에서 전송 가능한 데이터가 아날로그 데이터인 경우에, 상기 미디어 출력 제어부는 상기 미디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media output controller converts the media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when the data that can be transmitted from the connection device is analog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의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 신호가 상기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입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inpu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when an input signal from an input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외부 기기에서 생성된 데이터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저장장치 및/또는 상기 외부 기기의 저장장치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저장장치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torage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data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to b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nd / or the storage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by a user's selection.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신 수단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신부 또는 상기 외부 기기의 보조 통신장치가 사용되도록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mobile terminal or the auxiliary communication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to be used as a communication means of the mobile terminal by the user's sel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연결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에 사용되도록 공급하는 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ower control unit for supplying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to be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것인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2,
The power control unit is to charge the battery built in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device.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연결 장치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기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미디어 신호를 출력하는 미디어 출력장치; 및
상기 연결 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미디어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미디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상기 미디어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통합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신호는 비디오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이며, 상기 미디어 출력장치는 비디오 출력장치 또는 오디오 출력장치이고,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비디오 출력장치의 그래픽 포맷에 따라 상기 비디오 신호의 포맷을 변환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에 상기 비디오 출력장치의 그래픽 포맷 정보를 송신하는 것인 외부 기기.
In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predetermined connection device,
A media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a media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An integrated control unit transmitting the media signal to the media output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the media signal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a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Including;
The media signal is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the media output device is a video output device or an audio output devic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the format of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graphic format of the video output devic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An external device for transmitting graphic format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4항에 있어서,
입력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상기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인 외부 기기.
The method of claim 14,
It further includes an input device,
And the integrated control unit transmits an input signal from the input device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에 따른 데이터가 생성된 경우에 상기 데이터 생성 정보를 상기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인 외부 기기.
The method of claim 14,
The integrated control unit transmits the data gener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when data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제18항에 있어서,
저장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 저장명령을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것인 외부 기기.
The method of claim 18,
Further includes a storage devic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stores the generated data in the storage device when receiving a data storage command from the external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통신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연결 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 상기 통신장치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인 외부 기기.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devic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장치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연결 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 공급하는 것인 외부 기기.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supplies th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이동 단말기와 외부 기기의 연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소정의 연결장치를 통해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외부 기기가 연결된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미디어 신호를 상기 연결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 이후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 외부 기기가 연결된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외부기기의 비디오 출력장치의 그래픽 포맷 정보를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그래픽 포맷에 따라 상기 미디어 신호의 포맷을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와 외부 기기의 연동 제어 방법.
In the interlocking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a) checking, by the mobile terminal, whether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predetermined connection device; And
(b) the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a media signal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to the connection device when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After step (a),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receiving, by the mobile terminal, graphic format information of a video output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And converting, by the mobile terminal, the format of the media signal according to the graphic format.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복수개의 전송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 이후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 외부 기기가 연결된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미디어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전송장치 중 상기 미디어 신호를 상기 외부기기에 전송할 전송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와 외부 기기의 연동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The connection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devices,
After the step (a),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selecting, by the mobile terminal, a transmission device to transmit the media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devic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media signal; Interworking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제22항 또는 제23항에서의 상기 각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each of the steps as claimed in claim 22 or 23.
제22항 또는 제23항에서의 상기 각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이동 단말기.
A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a program for executing each of the steps of claim 22 or 23.
KR1020100021579A 2010-03-11 2010-03-11 Interlocking Control Method betwe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Outer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and Outer Device Used Therein, and Media that Program Used Therein is Recored KR1011390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579A KR101139005B1 (en) 2010-03-11 2010-03-11 Interlocking Control Method betwe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Outer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and Outer Device Used Therein, and Media that Program Used Therein is Recored
PCT/KR2011/001709 WO2011112033A2 (en) 2010-03-11 2011-03-11 Method for controlling linkage between mobile terminal and external device, mobile terminal and external device used thereto,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used thereto is record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579A KR101139005B1 (en) 2010-03-11 2010-03-11 Interlocking Control Method betwe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Outer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and Outer Device Used Therein, and Media that Program Used Therein is Recor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532A KR20110102532A (en) 2011-09-19
KR101139005B1 true KR101139005B1 (en) 2012-04-25

Family

ID=44564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579A KR101139005B1 (en) 2010-03-11 2010-03-11 Interlocking Control Method betwe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Outer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and Outer Device Used Therein, and Media that Program Used Therein is Recore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9005B1 (en)
WO (1) WO2011112033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874B1 (en) * 2012-05-23 2019-05-3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Connecting system and method for user device and external device
US10425801B2 (en) 2014-03-04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ntents in communication system
US10338684B2 (en) 2014-03-26 2019-07-02 Intel Corporation Mechanism to enhance user experience of mobile devices through complex inputs from external display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0189A (en) * 2004-04-13 2005-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signal output interface apparatus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80001491U (en) * 2006-11-28 2008-06-02 종 해 김 Display Monitor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80054985A (en) * 2006-12-14 200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extention display of mobile terminal
KR20090033668A (en) * 2007-10-01 2009-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0189A (en) * 2004-04-13 2005-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signal output interface apparatus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80001491U (en) * 2006-11-28 2008-06-02 종 해 김 Display Monitor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80054985A (en) * 2006-12-14 200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extention display of mobile terminal
KR20090033668A (en) * 2007-10-01 2009-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12033A2 (en) 2011-09-15
KR20110102532A (en) 2011-09-19
WO2011112033A3 (en) 201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4187B1 (en) Playback device, display device, television receiver, system, recognition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050289235A1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EP3787301B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an output device between multimedia device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JP5344542B2 (en) Communication device
US202000533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 specification setting method
KR101139005B1 (en) Interlocking Control Method betwe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Outer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and Outer Device Used Therein, and Media that Program Used Therein is Recored
CN103905866A (e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plurality of input port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3517144A (en) Multi-screen interaction adapter and display device
US11284147B2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US20130073617A1 (en) Information appliance data connection system, authentication device, client appliance, information appliance data connec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1325676A (en) Device for decoding audio and video
KR20110016789A (en) Video processing method and video processing system
CN103902395B (en) The control method and electric terminal of information input
KR20130059135A (en) Mobile apparatus, image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2603009A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serv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rver
KR101368909B1 (en) Smart display monitor for link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smart display thereof
CN113312227B (en) OTG function detection method, system, device and equipment
CN101409773A (en) Method, apparatus and television for updating address book data
JP6230273B2 (en) Communication connec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system program
KR101951477B1 (en) display device
JP6437074B2 (en) Communication connec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system program
CN102981642A (en) Cloud terminal mouse and realization method thereof
KR20130081118A (en) Display device
JP2014007704A (en) Content reproduction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 reproduction method
KR102175992B1 (en) docking pad apparatus for smart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