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327B1 -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327B1
KR101136327B1 KR1020090038602A KR20090038602A KR101136327B1 KR 101136327 B1 KR101136327 B1 KR 101136327B1 KR 1020090038602 A KR1020090038602 A KR 1020090038602A KR 20090038602 A KR20090038602 A KR 20090038602A KR 101136327 B1 KR101136327 B1 KR 101136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osition coordinates
mobile terminal
cursor
control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6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19599A (en
Inventor
안건준
박경호
심창섭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090038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327B1/en
Publication of KR20100119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5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3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화면의 특정위치에 커서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providing convenience for use by creating a cursor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과 광조이스틱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사용자가 최종으로 터치한 위치의 입력 신호를 수신 받는 단계; 상기 입력 신호의 위치 좌표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광 조이스틱 구동 시 저장된 위치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검출된 위치 좌표에서 커서가 생성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an optical joystick,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n input signal of a position where a user last touches the touch screen; Storing position coordinates of the input signal; Detecting stored position coordinates when the optical joystick is driven; Generating a cursor at the detected position coordinat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터치스크린, 광조이스틱, 휴대 단말기 Touch screen, light joystick, portable terminal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 단말기{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applying the same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화면의 특정위치에 커서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providing convenience for use by creating a cursor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일반적으로 휴대폰(Mobile Terminal)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또는 광조이스틱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채용하고 있다.In general,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terminal 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employs a user interface using a touch screen or an optical joystick.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직접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아이콘 또는 메뉴로 진입하기에 보다 용이한 정보 접근성을 제공한다. In more detail,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provides easier information accessibility for a user to directly enter a desired icon or menu by directly touching.

이러한 종래의 터치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상에 상, 하, 좌, 우 같은 4방향키 버튼이나, 스크롤 바를 제공하여 화면에서 스크롤 기능을 지원한다.Such a conventional touch screen supports a scroll function on a screen by providing a four-way button such as up, down, left, and right or a scroll bar on a display.

또한 최근에는 터치스크린과 더불어 각종 UI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 능하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커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커서가 피사체의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광 조이스틱이 채용되고 있다. In addition, in recent years, an optical joystick has been adopted to generate a cursor on the display screen to enable efficient use in various UI environments, and to move the generated cursor on the display screen as the subject moves. .

이러한 광 조이스틱은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제공되는 각종 아이콘이나 메뉴항목들을 커서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Such an optical joystick provides a function of conveniently selecting various icons or menu items provided on a display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a cursor.

그러나, 종래 터치스크린과 광 조이스틱이 함께 실장된 휴대 단말기는 UI 환경에서 최적의 호환성을 제공하지 못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하고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touch screen and the optical joystick are mounted together does not provide optimum compatibility in the UI environment, thereby provid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즉, 광 조이스틱의 조작이 완료되면 커서의 최종 위치는 제어부를 통해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후, 사용자가 터치입력을 완료하고 다시 광 조이스틱을 사용하게 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커서의 최종 위치를 제어부가 검출한 다음 검출된 위치에서 커서를 다시 생성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joystick is completed, the final position of the cursor is stored in the memory through the control unit. Subsequently, when the user completes the touch input and uses the optical joystick again, the controller detects the final position of the cursor stored in the memory and generates the cursor again at the detected position.

따라서, 터치가 완료된 위치에서 광 조이스틱을 이용해 아이콘이나 메뉴항목을 클릭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서 커서를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커서를 이동시킨 다음 아이콘이나 메뉴항목을 클릭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Therefore, if you want to click on the icon or menu item using the optical joystick at the position where the touch is completed, you cannot move the cursor to the desired position because you cannot create the cursor at the desired point. Then, click the icon or menu item. There is discomfort.

이러한 불편함은 특히 인터넷 화면상에서 터치와 광 조이스틱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에 나타나게 되는데,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화면 좌측 상단에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이 있고 그 아이콘들이 매우 조밀하게 밀집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터치 입력이 아닌 커서를 이용한 아이콘 클릭을 시도할 수 있다.This inconvenience occurs especially when the touch and optical joysticks are used simultaneously on the Internet screen. For example, if the user wants the icon on the upper left of the touch screen and the icons are very densely packed, the user is not touched. You can try clicking on the icon using the cursor.

이때, 광 조이스틱을 사용한 후 메모리에 저장된 커서의 위치가 우측 하단일 경우 커서는 우측 하단에서 생성되고, 사용자는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하여 커서를 우측 하단부터 좌측 상단까지 이동시켜 사용해야만 함으로써, 아이콘이나 메뉴항목을 신속하게 선택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cursor is stored in the memory after using the optical joystick is the lower right corner, the cursor is created at the lower right, and the user must move the cursor from the lower right to the upper left to select an icon, thereby making it an icon or menu. There is inconvenience in not being able to select items quick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터치가 완료된 최종위치에 커서가 생성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 및 메뉴항목을 보다 빠르게 선택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execute a program by selecting a desired icon and menu item more quickly by allowing a cursor to be generated at a final position where a touch is comple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 단말기는 터치가 완료된 최종위치에 커서가 생성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 및 메뉴항목을 보다 빠르게 접근할 수 있어 편리성 증대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bile terminal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allow the cursor to be generated at the final position where the touch is completed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access icons and menu items desired by the user,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and This can save tim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과 광조이스틱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사용자가 최종으로 터치한 위치의 입력 신호를 수신 받는 단계; 상기 입력 신호의 위치 좌표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광 조이스틱 구동 시 저장된 위치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검출된 위치 좌표에서 커서가 생성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an optical joystick,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n input signal of a position where a user last touches the touch screen; Storing position coordinates of the input signal; Detecting stored position coordinates when the optical joystick is driven; Generating a cursor at the detected position coordinat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데이터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0) 및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상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패널(30)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10)과,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상에 커서를 이동하여 아이콘 및 메뉴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광조이스틱과, 디스플레이부(20)에 특정 데이터를 표시하고 터치패널(30)로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동작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creen 10 including a display unit 20 on which data is displayed and a touch panel 30 mounted on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20 to detect a user's touch operation. ), A light joystick for selecting an icon and a menu item by moving the cursor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0, and a user's touch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and input to the touch panel 30. The controller 40 controls the display unit 20 based on the operation.

터치스크린(10)은 사용자 입력을 위한 터치패널(30)과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부(20)를 포함한다.The touch screen 10 includes a touch panel 30 for a user input and a display unit 20 for output.

디스플레이부(20)는 제어부(40)가 출력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0)에는 사용자 선택이 가능한 아이콘 및 메뉴항목이 표시된다.The display unit 20 displays data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40.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20 displays an icon and a menu item that can be selected by the user.

터치패널(30)은 디스플레이부(2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감지하고 감지값을 제어부(40)에 전달한다. 터치패널(30)은 디스플레이부(20)상에서 사용자의 터치위치, 터치강도, 터치방향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전류감지방식, 압력감지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고, 적용된 방식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직접 접촉하지 아니하고 근접하는 것만으로도 그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도 있다.The touch panel 30 is mounted on the display unit 20 to detect a user's touch operation and transmit the detected value to the controller 40. The touch panel 30 may detect a user's touch position, touch intensity, and touch direction on the display unit 20. The touch panel 3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urrent sensing method and a pressure sensing method, depending on the applied method. The operating state may be detected by only being close to the user without directly contacting it.

광 조이스틱은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커서를 생성하며, 피사체의 이동을 감지하여 커서를 제어할 수 있다. The optical joystick may generate a cursor on the display screen and detect the movement of the subject to control the cursor.

제어부(40)는 폰북기능, 일정기능, 메모기능, 앨범기능, 동영상기능 등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 수행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40)는 생성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0)에 제공하여 화면에 텍스트 및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한다.The controller 40 controls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mobile terminal such as phone book function, schedule function, memo function, album function, and video function. That is, the controller 40 provides the generated data to the display unit 20 so that text and image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또한, 이러한 제어부(40)는 터치패널(30)을 통해 터치입력된 최종 위치좌표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40)는 광조이스틱의 동작신호를 수신하면 최종 터치입력된 위치좌표에 커서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 calculates the final position coordinates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panel 30. When the controller 40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of the optical joystick, the controller 40 generates a cursor at the position coordinate of the last touch input.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터치입력신호가 수신되면(S200), 제어부는 터치입력된 위치좌표를 연속적으로 산출하게 된다. When a touch inpu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through the touch screen (S200), the controller continuously calculates the touch input position coordinates.

이렇게 연속적으로 산출된 위치좌표 중 최종 입력신호의 위치좌표는 제어부를 통해 메모리에 저장된다(S210).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final input signal among the position coordinates thus calculated are stored in the memory through the control unit (S210).

여기서, 최종 입력은 예를 들어 피사체인 손가락이 터치스크린 상에서 분리되어 더 이상 터치되지 않거나, 손가락이 터치스크린 상에 접촉되어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Here, the final input refers to a state in which, for example, a finger as an object is separated on the touch screen and no longer touched, or a finger touches on the touch screen and no longer moves.

이때, 위치좌표를 저장한 값은 터치스크린의 터치영역들의 X좌표값과 Y좌표값들의 각 평균값이다. In this case, the stored values of the position coordinates are the average values of the X and Y coordinate values of the touch areas of the touch screen.

예를들어, 터치된 영역의 좌표값들이 (1,2),(1,3),(2,2),(2,3)이라면 제어부는 각 좌표의 평균값을 연산하고, 연산된 값인 (1.5,2.5)의 좌표값을 메모리에 저장시키게 된다.For example, if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touched area are (1, 2), (1, 3), (2, 2), (2, 3), the controller calculates an average value of each coordinate, and calculates the calculated value (1.5). The coordinate value of (2.5) is stored in the memory.

그리고, 제어부는 광조이스틱 구동시 메모리에 저장된 위치좌표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좌표에 커서를 생성한다(S220,S230).The controller detects the position coordinates stored in the memory when the optical joystick is driven, and generates a cursor at the detected position coordinates (S220 and S230).

이와 같은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하여 메인 아이콘 및 메뉴항목을 선택하게 되면, 터치스크린 화면에 아이콘 및 메뉴항목이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을 경우, 여러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원치않는 아이콘이나 메뉴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to select the main icon and menu item, and if the icons and menu items are densely arranged on the touch screen, the user does not want an icon or menu in the process of selecting one of several items. You can select an item.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이나 메뉴항목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광 조이스틱과 같은 인풋 디바이스가 요구된다. Therefor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an input device such as an optical joystick is required so that a user can accurately select a desired icon or menu item.

광 조이스틱은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광 마우스와 같이 커서를 생성하고, 피사체의 이동에 따라 커서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클릭이 가능하다. Since the optical joystick generates a cursor on the display screen like an optical mouse and can freely control the curso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bject, accurate click is possible.

즉, 광조이스틱에 피사체가 접촉되면, 제어부가 광조이스틱의 입력신호를 수신받아 터치스크린의 조작완료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위치좌표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좌표에 커서를 생성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subject contacts the optical joystick, the controller receives the input signal of the optical joystick, detects the position coordinate stored in the memory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touch screen, and generates a cursor in the detected position coordinate.

이와 같이 터치가 완료된 최종 위치에서 커서가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빠르게 원하는 아이콘 및 메뉴항목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cursor may be generated at the final position where the touch is completed,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select a desired icon and menu item more quickly.

이하, 설명할 도 3 내지 도 7에서 도 2와 중복되는 과정은 그 기능이 동일함으로 생략하겠다.Hereinafter, a process overlapping with FIG. 2 in FIGS. 3 to 7 will be omitted since the function is the sam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에 두피사체로 터치하면 제어부는 터치패널에 입력된 신호를 수신받는다. 그리고,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제어부는 최종 위치의 좌표를 저장한다. As shown, when the user touches the scalp object on the touch screen, the controller receives a signal input to the touch panel. The controller stores the coordinates of the final position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이때, 터치스크린에 두 피사체가 동시에 터치시 위치좌표를 저장한 값은 두 피사체 사이의 중간 좌표값일 수 있다(S310).In this case, the value at which the position coordinates are stored when two subjects are simultaneous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ay be an intermediate coordinate value between the two subjects (S310).

예를들어, 두 피사체의 좌표값이 각각 (1,2),(3,4)이면 제어부는 두 피사체 사이의 중간 좌표값인 (2,3)의 좌표값을 메모리에 저장하게 한다.For example, if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two subjects are (1, 2) and (3, 4), respectively, the controller may store the coordinate values of (2, 3), which are intermediate coordinate values between the two subjects, in the memory.

터치스크린에 피사체가 설정된 시간차 이내로 터치될 경우 제어부는 동시에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When the subject touches the touch screen within a set time difference, the controller recognizes that the touch is simultaneously made.

본 실시예에서는 설정된 시간차가 0.05~0.2초 가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제조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t time difference is preferably 0.05 to 0.2 second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a manufacturing environment.

그리고, 사용자가 광조이스틱을 구동할 경우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중간 좌표값을 검출하여, 중간 좌표값에서 커서를 생성시킨다. When the user drives the optical joystick, the controller detects an intermediate coordinate value stored in a memory and generates a cursor at the intermediate coordinate value.

이와 같은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is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터치동작을 수행하는 도중 터치스크린 화면상에 크기가 작은 아이콘이나 조밀하게 배치된 아이콘을 선택하려면, 미세한 영역에서 조작할 수 있는 커서가 필요하게 된다.When the user performs a touch operation on the touch screen, to select a small icon or a densely arranged icon on the touch screen, a cursor that can be manipulated in a minute area is required.

이처럼 미세한 영역에서의 커서 조작을 위해 사용자는 크기가 작은 아이콘이 나 조밀하게 배치된 아이콘 사이에 두 피사체를 터치한 후 광조이스틱을 구동하면 터치된 두 피사체 사이에 커서가 생성하게 된다.In order to manipulate the cursor in such a small area, the user touches two subjects between a small icon or a densely arranged icon, and then drives a light joystick to generate a cursor between the two touched subjects.

이처럼 작은 아이콘이나 조밀하게 배치된 아이콘 사이에 커서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아이콘을 보다 신속히 접근하여 해당 아이콘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By creating a cursor between such small icons or densely arranged icons, the user can access the desired icon more quickly and execute the program of the icon.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에 하나의 피사체로 터치되면 제어부는 터치패널에 입력된 신호를 수신받는다. 그리고,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제어부는 최종 위치의 좌표를 메모리에 저장한다.As illustrated, when a user touches a single subject on the touch screen, the controller receives a signal input to the touch panel. The controller stores the coordinates of the final position in the memory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여기서, 터치스크린에 피사체가 터치된 후 드래그할 경우 위치좌표를 저장한 값은 터치된 최초 위치좌표와 최종 위치좌표 사이의 중간 좌표값일 수 있다(S410).Here, when the subject is touched on the touch screen and then dragged, the stored value of the position coordinate may be an intermediate coordinate value between the touched initial position coordinate and the final position coordinate (S410).

예를들어, 하나의 피사체가 터치된 최초 위치좌표 값이 (5,5)이고, 드래그된 최종 위치좌표값이 (11,11)이면, 제어부는 두 위치좌표의 중간값인 (8,8)을 메모리에 저장하게 한다.For example, if the initial position coordinate value at which one subject is touched is (5,5) and the dragged final position coordinate value is (11,11), the control unit is (8,8) which is an intermediate value of the two position coordinates. To store it in memory.

그리고, 사용자는 커서를 제어할 수 있는 광조이스틱을 구동할 경우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중간 좌표값을 검출한다. 이후 제어부는 중간 좌표값에서 커서를 생성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user drives an optical joystick capable of controlling a cursor, the controller detects an intermediate coordinate value stored in a memory. After that, the controller generates a cursor at the intermediate coordinate value.

이때, 드래그 방향은 임의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조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도 있다. At this time, the drag direction is preferably any direction, it may be set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manufacturing environment.

이와 같은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화면 상단에 나열된 사진들 중 원하는 사진을 편집할 경우, 사용자는 나열된 사진들 중 원하는 사진을 터치하여 지정된 위치에 드래그 시킨다.When the user edits a desired photo among the photos listed at the top of the touch screen, the user touches the desired photo among the listed photos and drags it to the designated position.

이때, 드래그된 사진에 대해 편집기능을 가진 툴바(Tool Bar)를 보다 원할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커서가 사용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ursor is used to more smoothly manipulate the toolbar (Tool Bar) having an editing function for the dragged picture.

커서는 사진을 최초 터치한 지점과 최종 드래그된 위치 사이의 중간값 위치좌표에서 생성된다. The cursor is created at the median position coordinate between the point where the photo was first touched and the last dragged position.

따라서, 툴바 아이콘을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진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toolbar icon can be selected quickly, allowing the user to perform photo editing more conveniently.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에 두 피사체로 터치되면 제어부는 터치패널에 입력된 신호를 수신받는다. 그리고,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제어부는 최종 위치의 좌표를 메모리에 저장한다.As shown, when the user touches two subjects on the touch screen, the controller receives a signal input to the touch panel. The controller stores the coordinates of the final position in the memory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여기서, 터치스크린에 두 피사체가 터치된 후 어느 하나의 피사체를 기준으로 다른 피사체를 멀어지도록 드래그할 경우, 위치좌표를 저장한 값은 기준이 되는 피사체의 위치좌표와 드래그된 피사체의 최종 위치좌표 사이의 중간값일 수 있다(S510). Here, when two subjects are touched on the touch screen and the other subject is dragged away from one subject, the value stored in the position coordinate is between the position coordinate of the reference subject and the final position coordinate of the dragged subject. It may be an intermediate value of (S510).

그리고, 사용자는 커서를 제어할 수 있는 광조이스틱을 구동할 경우 제어부 는 메모리에 저장된 중간 좌표값을 검출한다. 이후 제어부는 중간 좌표값에서 커서를 생성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user drives an optical joystick capable of controlling a cursor, the controller detects an intermediate coordinate value stored in a memory. After that, the controller generates a cursor at the intermediate coordinate value.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에 두 피사체로 터치되면 제어부는 터치패널에 입력된 신호를 수신받는다. 그리고,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제어부는 최종 위치의 좌표를 메모리에 저장한다.As shown, when the user touches two subjects on the touch screen, the controller receives a signal input to the touch panel. The controller stores the coordinates of the final position in the memory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이때, 터치스크린에 두 피사체가 터치된 후 두 피사체 사이가 멀어지도록 동시에 드래그할 경우, 위치좌표를 저장한 값은 드래그된 두 피사체 사이의 최종 위치좌표 중간값일 수 있다(S610). In this case, when two subjects are touched on the touch screen and simultaneously dragged so that the two subjects move away from each other, the stored value of the position coordinates may be a median of the final position coordinates between the two dragged subjects (S610).

예를 들어, 피사체가 (1,2),(1,3) 두 좌표에 터치되어 드래그된 최종 위치좌표가 (5,4),(5,5)이면 중간값은 (2.5,4.5) 가 된다.For example, if the final position coordinate touched and dragged by two (1,2) and (1,3) coordinates is (5,4) or (5,5), the median value is (2.5,4.5). .

그리고, 사용자는 커서를 제어할 수 있는 광조이스틱을 구동할 경우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중간 좌표값을 검출한다. 이후 제어부는 중간 좌표값에서 커서를 생성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user drives an optical joystick capable of controlling a cursor, the controller detects an intermediate coordinate value stored in a memory. After that, the controller generates a cursor at the intermediate coordinate value.

이와 같은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상에서 특정 위치의 이미지를 확대하고자 할 때 두 피사체를 터치한 후 두 피사체가 멀어지도록 드래그하거나, 터치된 피사체를 기준으로 다른 피사체를 두 피사체 사이가 멀어지도록 드래그한 상태에서 광조이스틱을 구동하게 되면 확대된 이미지의 중간 위치좌표에서 커서가 아이콘이 배치된 위치로 보다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When the user wants to enlarge the image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touch screen, touch the two subjects and drag the two subjects away, or drag the other joystick away from the two subjects based on the touched subject. When driven, the cursor can quickly access the location of the icon in the middle position coordinate of the enlarged imag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에 하나의 피사체로 터치되면 제어부는 터치패널에 입력된 신호를 수신받는다. 그리고,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제어부는 최종 위치의 좌표를 메모리에 저장한다.As illustrated, when a user touches a single subject on the touch screen, the controller receives a signal input to the touch panel. The controller stores the coordinates of the final position in the memory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여기서, 터치스크린에 두 피사체가 터치된 후 임의 각도로 원형 드래그할 경우, 위치좌표를 저장한 값은 최초 터치된 위치좌표와 드래그된 최종 위치좌표를 일치시켜 생성된 면적의 중심점일 수 있다(S710).Here, when two subjects are touched on the touch screen and circularly dragged at an arbitrary angle, the value of storing the position coordinates may be the center point of the area generated by matching the initially touched position coordinates with the dragged final position coordinates (S710). ).

이때, 원형 드래그 되어 최초 위치좌표와 드래그된 최종 위치좌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 8a 내지 도 8c를 참고하면, 상기 위치좌표를 저장한 값은 터치스크린에 피사체가 터치된 후 설정된 임의 각도로 원형 드래그시켜 최초 터치된 위치좌표와 드래그된 최종 위치좌표를 연결하여 생성된 면적의 중심점일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circular drag does not coincide with the initial position coordinate and the final position coordinate dragged, referring to FIGS. 8A to 8C, the stored value of the position coordinate is circular at an arbitrary angle set after the subject is touched on the touch screen. It may be a center point of the area generated by connecting the dragged position coordinates and the dragged final position coordinates by dragging.

예를들어, 터치된 최초 위치좌표값이 (4,4)이고, 드래그된 최종 위치좌표값이 (4,3)이면 두 좌표를 연결하여 생성된 면적의 중심점일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ouched initial position coordinate value is (4,4) and the dragged final position coordinate value is (4,3), it may be a center point of an area generated by connecting two coordinates.

여기서, 설정된 임의 각도는 270°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설정된 임의 각도는 제조환경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Herein, the set arbitrary angle may be 270 ° or more. In this case, the set arbitrary angle may vary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environment.

그리고, 사용자는 커서를 제어할 수 있는 광조이스틱을 구동할 경우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중심점 좌표값을 검출한다. 이후 제어부는 중심점 좌표값에서 커서를 생성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user drives an optical joystick capable of controlling a cursor, the controller detects a center point coordinate value stored in a memory. Thereafter, the controller generates a cursor from the center point coordinate value.

이와 같은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is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상에서 크기가 작은 활성화된 문자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활성화된 문자 주변의 둘레를 원으로 드래그한다.When the user wants to select a small activated text on the touch screen, the user drags a circumference around the activated text in a circle.

여기서, 활성화된 문자란 클릭을 통해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다른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는 문자를 말한다. Here, the activated character refers to a character that can display data or switch to another screen by clicking.

이때, 사용자가 크기가 작은 활성화된 문자를 선택하려고 광조이스틱을 구동하면, 드래그하여 생긴 면적의 중심점에서 커서가 생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광조이스틱을 이용하여 활성화된 문자를 보다 빠르게 선택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user drives the light joystick to select the small size of the activated character, a cursor is generated at the center point of the drag area. Therefore, the user can select the activated character faster by using the light joystick.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 단말기는 터치가 이루어진 최종위치에 커서가 생성하도록 하여 커서가 필요한 아이콘 및 메뉴항목에 보다 빠르게 접근할 수 있어 편리성 증대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bile terminal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allow the cursor to be generated at the final position where the touch is made, thereby allowing quick access to icons and menu items requiring the cursor,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You can save tim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 단말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have been described abov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의 흐름도.2 is a flowchart of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의 흐름도.3 is a flowchart of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의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의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의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의 흐름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의 예시도.8A to 8C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터치 스크린과 광 조이스틱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에 있어서,In the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nd an optical joystick, (A)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최종 터치한 위치의 입력 신호를 수신받는 단계;(A) the control unit receiving an input signal of the last touched position from the user through the touch screen; (B)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의 위치 좌표를 저장하는 단계;(B) the control unit storing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input signal; (C) 제어부는 상기 광 조이스틱 구동 시 저장된 위치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C) the controller detecting the position coordinates stored when the optical joystick is driven; (D)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위치 좌표에서 커서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 및(D) the control unit generating a cursor at the detected position coordinates; And (E) 상기 광 조이스틱이 피사체의 이동을 감지하여 커서를 제어하는 단계(E) controlling the cursor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subject by the optical joystick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위치좌표를 저장한 값은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영역들의 X좌표 값과 Y좌표 값들의 각 평균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In the step (B), the stored value of the position coordinate is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verage value of each of the X and Y coordinate values of the areas touched on the touch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위치좌표를 저장한 값은 터치스크린에 두 피사체가 동시에 터치시 두 피사체 사이의 중간 좌표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In the step (B), the value of storing the position coordinates is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mediate coordinate value between the two subjects when the two subjects touch the touch screen at the same tim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터치스크린에 두 피사체가 설정된 시간차 이내로 터치될 경우 동시에 터치된 것으로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The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screen recognizes that when the two subjects are touched within the set time difference at the same tim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위치좌표를 저장한 값은 터치스크린에 피사체가 터치 된 후 드래그할 경우 최초 위치좌표와 최종 위치좌표의 중간 좌표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In the step (B), the value of storing the position coordinates is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ordinates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coordinates and the final position coordinates when the object is touched and dragged on the touch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위치좌표를 저장한 값은 터치스크린에 두 피사체가 터치된 후 어느 하나의 피사체를 기준으로 다른 피사체를 멀어지도록 드래그할 경우, 기준이 되는 피사체의 위치좌표와 드래그된 최종 위치좌표 사이의 중간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In the step (B), the value storing the position coordinates is dragged to move away from the other subject based on one subject after touching the two subjects on the touch screen,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mediate value between the final position coordinat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위치좌표를 저장한 값은 터치스크린에 두 피사체가 터치된 후 두 피사체를 사이가 멀어지도록 동시에 드래그할 경우, 드래그된 두 피사체 사이의 최종 위치좌표 중간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In the step (B), the value of storing the position coordinates is the middle value of the final position coordinates between the two dragged subjects when the two subjects are touched on the touch screen and simultaneously dragging the two subjects away from each other.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위치좌표를 저장한 값은 터치스크린에 두 피사체가 터치된 후 임의 각도로 원형 드래그된 경우 최초 터치된 위치좌표와 드래그된 최종 위치좌표를 일치시켜 생성된 면적의 중심점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In the step (B), the value of storing the position coordinates is the center point of the area generated by matching the first touched position coordinates with the dragged final position coordinates when two subjects are touched on the touch screen and circularly dragged at an arbitrary angle.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위치좌표를 저장한 값은 터치스크린에 피사체가 터치된 후 설정된 임의 각도로 원형 드래그시켜 최초 터치된 위치좌표와 드래그된 최종 위치좌표를 연결하여 생성된 면적의 중심점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 In the step (B), the value of storing the position coordinates is a center point of the area generated by connecting the initially touched position coordinates and the dragged final position coordinates by circularly dragging the object at a predetermined angle after the subject is touched on the touch screen.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설정된 임의 각도는 270°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The set arbitrary angle is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ore than 270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을 적용한 휴대 단말기.A mobile terminal to which any one of claims 1 to 10 is applied.
KR1020090038602A 2009-05-01 2009-05-01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1363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602A KR101136327B1 (en) 2009-05-01 2009-05-01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602A KR101136327B1 (en) 2009-05-01 2009-05-01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599A KR20100119599A (en) 2010-11-10
KR101136327B1 true KR101136327B1 (en) 2012-04-20

Family

ID=43405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602A KR101136327B1 (en) 2009-05-01 2009-05-01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32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7399A (en) * 2013-06-03 2015-02-17 원혁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 on the touch screen interf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7803A (en) * 1998-07-28 2000-02-18 Alps Electric Co Ltd Coordinate input device
JP2003099186A (en) * 2001-06-29 2003-04-04 Nokia Corp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function
KR20080075879A (en) * 2005-12-15 2008-08-19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Smart soft keyboard
KR20080094200A (en) * 2007-04-19 2008-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gui including menu item displayed in pointer locating area and video apparatus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7803A (en) * 1998-07-28 2000-02-18 Alps Electric Co Ltd Coordinate input device
JP2003099186A (en) * 2001-06-29 2003-04-04 Nokia Corp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function
KR20080075879A (en) * 2005-12-15 2008-08-19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Smart soft keyboard
KR20080094200A (en) * 2007-04-19 2008-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gui including menu item displayed in pointer locating area and video apparatu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599A (en) 201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1337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radial menu system
US9552154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87759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AU2013202944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ages,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being executed on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US20230065161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Handling Data Encoded in Machine-Readable Format
CN107066137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KR102058990B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459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e-handed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US2011006098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of the Touch Screen,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20019562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JP5102412B1 (en)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10041915A (e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thereof
JP2009104268A (en) Coordinate detec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using touch panel
JP5861637B2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touch panel display method
US20120179963A1 (en) Multi-touch electronic device, graphic display interface thereof and object selection method of multi-touch display
WO2016183912A1 (en) Menu layout arrangement method and apparatus
JP2012146017A (en)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JP2013161181A (en) Display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controller
KR101136327B1 (en)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40110262A (en) Portab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using cursor
KR20150098366A (en) Control method of virtual touchpadand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JP2015102946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KR101692848B1 (en) Control method of virtual touchpad using hovering and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AU201721060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tion-based user interface
JP2006039819A (en) Coordinate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