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817B1 - Operating Information System for Workers - Google Patents

Operating Information System for Work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817B1
KR101135817B1 KR1020090039013A KR20090039013A KR101135817B1 KR 101135817 B1 KR101135817 B1 KR 101135817B1 KR 1020090039013 A KR1020090039013 A KR 1020090039013A KR 20090039013 A KR20090039013 A KR 20090039013A KR 101135817 B1 KR101135817 B1 KR 101135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ork
worker
input
perform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0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20025A (en
Inventor
박민호
Original Assignee
박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호 filed Critical 박민호
Priority to KR1020090039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817B1/en
Publication of KR20100120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0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8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 작업성과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 데이터 및 작업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작업자가 요청하는 작업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저장부에 저장된 작업성과 정보와 기초자료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량화된 정보를 산출하는 계량화부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수단; 정보처리수단과 연결되어, 작업에 필요한 작업 관련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검색어를 입력하거나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 및 정보처리수단과 연결되어, 입력수단에 검색어가 입력된 경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작업 관련 정보를 표시하고, 입력수단에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가 입력된 경우 계량화부에 의해 산출된 계량화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에게 작업에 필요한 작업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작업의 효율, 생산성 향상 증대시키고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계량화된 정보를 제공하여 작업 관리능력의 증대 및 인력분석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er support information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d storing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worker, the basic data data for analyzing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work related information, the search unit for searching the work related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worker from the database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a metering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metered information using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and basic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put mean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to input a search word or input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of a worker to request work related information required for a work;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job searched by the search unit when the search word is input to the input means, and the quantified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metering unit when the work performance of the operator is input to the input means.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work-related information necessary for work to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productivity, and provide quantitative information to workers and managers to increase work management ability and provide basic data for manpower analysis. There is.

작업자, 지원, 정보 시스템, 성과, 작업량, 생산관리, 성과관리 Workers, Support, Information Systems, Performance, Workload, Production Management, Performance Management

Description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Operating Information System for Workers}Operator Information System for Workers

본 발명은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에게 작업에 필요한 작업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작업의 효율, 생산성 향상 및 작업의 이해도를 증진시키고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계량화된 정보를 제공하여 작업 관리능력의 증대, 선의의 경쟁 유도 및 인력분석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er support inform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providing work related information to a worker to improve work efficiency, improving productivity and understanding of the work, and providing quantified information to workers and managers. It is about worker support information system that can increase management ability, induce competition in good faith, and provide basic data for manpower analysis.

종래부터 공장의 생산효율 향상을 목적으로 다양한 생산관리 시스템 및 작업관리 시스템이 개발, 운용되어 왔다. 이러한 생산관리 시스템 및 작업관리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작업자와 관리자는 예측되는 고객의 수요, 생산능력, 자재의 조달조건 등을 입력해서 생산할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이나 설비기계, 인원 등의 소요량을 계산하고, 생산계획을 설정, 운용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생산관리 시스템 및 작업관리 시스템은 예기된 수요에 대응해서 생산계획 및 작업계획을 설정하고, 실행 하는 측면에서는 유효하게 기능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생산 중심의 측면이 강조되어 작업자의 성과에 대한 평가나 동기부여 및 작업에 필요한 정보 제공 등의 작업자 관리 측면에 있어서 부족한 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various production management systems and work management systems have been developed and operat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factories. By using the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and work management system, workers and managers input the expected customer demand, production capacity, material procurement conditions, etc. to calculate the requirements of parts, equipment machines, and personnel that make up the product to be produced, The production plan could be set and operated. This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and work management system functioned effectively in terms of setting and executing production plans and work plans in response to anticipated demands. However, such a conventional technology has been emphasized in the production-oriented aspect, there was a lack in worker management aspects such as evaluating or motivating the performance of workers and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work.

한편, 1990년대 초 Kaplan과 Norton에 의해 개발된 BSC(Balanced Score Card) 시스템은 미국을 비롯하여 선풍적 인기를 끌어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성과관리 시스템은 국내 굴지의 대기업들이 앞 다퉈 도입하였다. 또한, 정부부문을 포함한 공공부문에서 급속하게 성과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무엇보다 비전과 전략, 목표 등이 모호한 공공부문에 있어, 이것을 명확히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과를 평가하고 관리하는 도구는 성과관리 시스템이 효과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성과관리 시스템은 작업 현장의 작업성과만을 강조하는 측면이 있어 생산현장에 곧바로 도입하기엔 부족한 점이 있었다. Meanwhile, the Balanced Score Card (BSC) system, developed by Kaplan and Norton in the early 1990s, has been very popular in the United States and elsewhere. In Korea,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has been introduced by leading domestic large corporations. In addition, the public sector, including the government sector, has rapidly adopted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bove all, in the public sector where vision, strategy and goals are ambiguous,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s an effective tool for clearly defining this and evaluating and managing performance. However, such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emphasized only work performance on the shop floor, which was insufficient to be immediately introduced into the production site.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생산 또는 성과 어느 한 측면만을 부각하거나 강조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밖에 없었다. 이는 작업현장에서 작업자가 중심이 되는 바람직한 작업 문화 및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저해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혼란 및 2중의 부담을 작업자에게 지우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생산관리 시스템과 성과관리 시스템이라는 2개의 시스템이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되거나 어느 하나만 운영됨으로써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작업자 관리 및 지원이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se prior arts have to be applied independently, emphasizing or emphasizing only one aspect of production or performance. This not only hinders the creation of a desirable work culture and environment in which the worker is the center of the work site, but also has the problem of eliminating the confusion and double burden of the worker. In other words, two systems, a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and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re operated independently or only one of them, thereby preventing efficient and productive worker management and suppor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생산 중심 시스템을 탈피하여 작업자가 작업에 필요한 작업 관련 정보를 다른 작업자의 도움 없이도 유효하게 제공받도록 하는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rker support information system that allows the worker to effectively provide the work-related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work without the help of other workers by escaping the production-oriented system. have.

또한, 종래의 생산관리 시스템과 성과관리 시스템이라는 2개의 시스템이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되거나 어느 하나만 운영됨으로써 발생했던 문제점을 극복한 하나의 시스템을 구현하여 작업에 필요한 작업 관련 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작업성과에 대한 계량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wo systems, a conventional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and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operate independently or provide a system that overcomes the problems caused by only one of them. The goal is to provide a worker support information system that can provide quantified information about work performance.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되어 설명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 작업성과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 데이터 및 작업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저장부(22), 저장부(22)로부터 작업자가 요청하는 작업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부(24) 및 저장부(22)에 저장된 작업성과 정보와 기초자료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량화된 정보를 산출하는 계량화부(26)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수단(20); 정보 처리수단(20)과 연결되어, 작업에 필요한 작업 관련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검색어를 입력하거나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10); 및 정보처리수단(20)과 연결되어, 입력수단(10)에 검색어가 입력된 경우 검색부(24)에 의해 검색된 작업 관련 정보를 표시하고, 입력수단(10)에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가 입력된 경우 계량화부(26)에 의해 산출된 계량화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30);을 포함하여 작업 관련 정보 및 계량화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s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from the storage unit 22, the storage unit 22, the storage unit 22 for storing the database of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basic data data for analyzing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and work-related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including a retrieval unit 24 for retrieving job related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user and a quantification unit 26 for calculating quantified information using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and basic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 ( 20); Input means (10)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for inputting a search word or inputting work performance of a worker to request work-related information required for a work; And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when a search word is input to the input means 10, and displays the job-related information retrieved by the search unit 24,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worker is input to the input means 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means 30 for displaying the metered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metering unit 26, and optionally provide the work-related information and the metered information.

또한, 계량화부(26)를 통해 산출된 계량화된 정보는 작업 이익과 관련한 정보로서, 작업 이익은, 작업성과 정보를 기초로 하여 총 작업 매출액을 산출하고 총 작업 매출액을 달성하는 데 사용된 총 작업 비용을 산출한 후 총 작업 매출액에서 총 작업 비용을 감산하여 산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quantified information calculated through the quantification unit 26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work profit, the work profit is the total work used to calculate the total work turnover and achieve the total work turnover based on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After calculating the cost, it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total work cost from the total work turnover.

또한, 정보처리수단(20)과 연결되고, 작업자가 입력수단(10)에 의해 작업성과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소정 시간마다 작업성과를 판독하는 작업성과 판독수단(12);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the work performance reading means 12 for reading the work performance every predetermined time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input the work performance by the input means 10; do.

또한, 저장부(22)의 작업 관련 정보는 작업역 정보, 작업지시 정보, 기술용어 정보, 제품 정보, 공정 정보, 설비 정보, 자재 정보, 작업방법 정보, 검사정보, 이상발생 정보, 안전 정보, 사기 정보, 정보관리 정보 또는 작업성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ork-related information of the storage unit 22 includes work area information, work instruction information, technical term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process information, equipment information, material information, work method information, inspection information, abnormality information, safety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fraud information, information management information, or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또한, 입력수단(10)은 마우스, 키보드, 리모컨 및 터치스크린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put means 10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mouse, a keyboard, a remote control and a touch screen.

또한,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 작업성과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 데이터 및 작업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저장부(22), 저장부(22)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작업자가 요청하는 작업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부(24) 및 저장부(22)에 저장된 작업성과 정보와 기초자료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량화된 정보를 산출하는 계량화부(26)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수단(20); 정보처리수단(20)과 각각 연결되어, 작업에 필요한 작업 관련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검색어를 입력하거나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입력수단(10); 및 정보처리수단(20)과 각각 연결되어, 복수 개의 입력수단(10)에 검색어가 입력된 경우 검색부(24)에 의해 검색된 작업 관련 정보를 각각 표시하고, 복수 개의 입력수단(10)에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가 입력된 경우 계량화부(26)에 의해 산출된 계량화된 정보를 각각 표시하는 복수 개의 표시수단(30);을 포함하여 작업 관련 정보 및 계량화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2 for storing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worker, the basic data data for analyzing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work-related information to store the database, the job-related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worker from the databas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comprising a retrieval unit (24) for retrieving and a quantification unit (26) for calculating quantified information using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and basic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 A plurality of input means (10)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each of which may input a search word or input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of a worker to request work-related information required for a work;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connected to each other, and when the search word is input to the plurality of input means 10, the job related information searched by the search unit 24 is displayed respectively, and the operator is inputted to the plurality of input means 10.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provide work-related information and quantified inform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each of the quantified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metering unit 26 when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It features.

또한, 계량화부(26)를 통해 산출된 계량화된 정보는 작업 이익과 관련한 정보로서, 작업 이익은, 작업성과 정보를 토대로 총 작업 매출액을 산출하고 총 작업 매출액을 달성하는 데 사용된 제반 비용인 총 작업 비용을 산출한 후 총 작업 매출액에서 총 작업 비용을 공제하여 산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quantified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quantification unit 26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work profit, the work profit is the total cost used to calculate the total work turnover and achieve the total work turnover based on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After calculating the work cost, it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total work cost from the total work turnove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카테고리로서, 작업에 필요한 작업 관련 정보의 검색을 위한 검색어 또는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를 입력수단(10)을 통해 입력하는 제 1 단계(S10); 정보처리수단(20)이 입력된 정보가 검색어인지 혹은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를 입력한 것인지 판단하는 제 2 단계(S20); 입력된 정보가 검색어라면, 검색부(24)가 저장부(22)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작업자가 요청하는 작업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제 3-1 단계(S32); 표시수단(30)이 검색부(24)에 의해 검색된 검색어에 해당하는 작업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제 3-2 단계(S34); 입력된 정보가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라면, 작업성과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 데이터 및 작업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저장부(22)가 작업성과 정보를 저장하는 제 4-1 단계(S42); 계량화부(26)가 저장부(22)에 저장된 작업성과 정보와 기초자료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량화된 정보를 산출하는 제 4-2 단계(S44); 및 표시수단(30)이 계량화부(26)에 의해 산출된 계량화된 정보를 표시하는 제 4-3 단계(S46);로 이루어져, 작업 관련 정보 및 계량화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작업자 지원 정보제공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another category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p (S10) for inputting the search word or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worker for the search of the work-related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job through the input means (10); A second step (S20) in which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ted information is a search word or a work performance of the worker; If the inputted information is a search word, the searcher 24 searches for job related information requested by a worker from a database stored in the storage 22; A third step (S34) in which the display means 30 displays job 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searched by the search unit 24; If the inputted information is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worker, the storage unit 22 having the database of basic data data and work related information for analyzing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stores step 4-1 (S42); A fourth step (S44) in which the metering unit 26 calculates the metered information using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basic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 And a fourth step (S46) in which the display means 30 displays the quantified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quantification unit 26, and supports the worker who can selectively provide work related information and quantified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또한, 컴퓨터에서 판독되어 실행가능하고, 작업에 필요한 작업 관련 정보의 검색을 위한 검색어 또는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를 입력수단(10)을 통해 입력하도록 하는 기능; 정보처리수단(20)이 입력된 정보가 검색어인지 혹은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를 입력한 것인지 판단하도록 하는 기능; 입력된 정보가 검색어라면, 검색부(24)가 저장부(22)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작업자가 요청하는 작업 관련 정보를 검색하도록 하는 기능; 표시수단(30)이 검색부(24)에 의해 검색된 검색어에 해당하는 작업 관련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 입력된 정보가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라면, 작업성과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 데이터 및 작업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저장부(22)가 작업성과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 계량화부(26)가 저장부(22)에 저장된 작업성과 정보와 기초자료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량 화된 정보를 산출하도록 하는 기능; 및 표시수단(30)이 계량화부(26)에 의해 산출된 계량화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으로 이루어져 작업 관련 정보 및 계량화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작업자 지원정보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unction that can be read and executed by the computer, and inputs a search word or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worker through the input means 10 for the retrieval of job-related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job; A function for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to determine whether the inputted information is a search word or a work performance of the operator; If the inputted information is a search word, the searcher 24 retrieves the job related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operator from a database stored in the storage 22; A function of causing the display means 30 to display job 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term searched by the searcher 24; If the inputted information is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worker, a function of causing the storage unit 22 having a database of basic data data and work related information for analyzing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to store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A function of causing the metering unit 26 to calculate the metered information using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basic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 And a function of causing the display means 30 to display the metered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metering unit 26;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worker assistance information program capable of selectively providing work related information and metered information is recorded. It is characterized by that.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 관련 정보 DB에 세부항목으로 저장된 다양한 정보를 작업자의 요청에 의해 문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방식으로 표시수단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작업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숙련된 작업자가 작업하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 또는 이미지 정보를 통해 작업 기술 및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어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외국인 작업자를 위해 이러한 동영상 또는 이미지상에 외국어로 된 말 풍선을 제공함으로써 작업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작업 관련 정보를 작업 숙련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함으로써 현장 작업자의 수준별 고도화를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fficiency of the work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stored as detailed items in the work related information DB through the display means in the manner of a document, an image or a video at the request of the work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work productivity by sharing work skills and know-how through video or image information that shows skilled workers working. In addition, by providing a speech bubble in a foreign language on such a video or image for a foreign worker,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work comprehension. In addition, by classifying work-related information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work proficiency,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level of field worker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가 계량화된 정보, 즉 작업 이익과 관련한 정보로 현출됨으로써 작업자는 자신의 성과급을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별 자율적인 작업 관리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작업자별 작업 이익이 상호 비교됨으로써 작업자 간 선의의 경쟁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반면에 관리자 측에서는 일정기간 동안 작업자별 작업 이익과 관련된 정보를 축적함으로써 작업자가 단순기능 작업자, 다기능 작업자 또는 지능 적 작업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인력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인력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를 통해 인력 편성의 구성비율을 작업역의 특성에 따라 조정할 수 있고 작업자별 작업 이익을 관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현장 작업자의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worker's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is manifested as quantified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work benefit, the worker can manage his own performance pay as well as increase the autonomous work management power for each worker. .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naturally induce good competition between workers by comparing the work benefits of each worker. On the other hand, the manager can accumul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work benefits of each work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ch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manpower analysis to determine whether a worker is a simple functional worker, a multifunctional worker or an intelligent worker. The basic data for manpower analysis can adjust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workfor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area and manage the work profit for each worker, thereby ultimately reducing the labor cost of the field workers.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Operator Support Inform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은 저장부(22), 검색부(24) 및 계량화부(26)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수단(20), 입력수단(10) 및 표시수단(30)으로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orker assistance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worker assistance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an input means 10, including a storage unit 22, a search unit 24, and a quantification unit 26. It consists of the display means 30.

(실시예)(Examp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입력수단(10)은 작업에 필요한 작업 관련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검색어를 입력하거나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입력수단(10)과 유선 케이블로 연결된 정보처리수단(20)에 입력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입력수단(10)은 마우스, 키보드, 리모컨 및 터치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한다.As shown in FIG. 1, the input means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of inputting a search word for requesting job related information required for a job or inputting work performance of a worker. The inpu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input means 10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connected by a wired cable. The input means 10 may use at least one of a mouse, a keyboard, a remote controller, and a touch screen. However,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keyboard and a mouse.

정보처리수단(20)은 입력수단(10)에서 전송되는 입력정보의 내용에 따라 입력정보를 분류하고, 저장부(22)에 입력된 작업성과 정보를 기초로 계량된 정보를 산출한다. 이러한 정보처리수단(20)은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저장부(22), 검색부(24) 및 계량화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정보처리수단(20)과 입력수단(10) 간의 연결수단(40)은 유선방식의 유선 케이블이나 무선방식의 블루투스, Wi-Fi 또는 지그비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선 케이블을 사용한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classifies the inpu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inpu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put means 10, and calculates the measured information based on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to the storage 22.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orage unit 22, a search unit 24 and the metering unit 26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 In this case, the connection means 40 betwe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and the input means 10 may be a wired wired cable or a wireless Bluetooth, Wi-Fi or ZigBee method.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 a wired cable.

이러한 정보처리수단(20)은 하드디스크 또는 플래시메모리와 같은 저장장치, CPU, 램 및 메인보드 등으로 구성된 컴퓨터 시스템을 기반으로 구현된다. 그리고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체제 하에서 정보처리수단(20)을 제어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응용프로그램을 비주얼 베이직을 사용하여 구현한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is implemented based on a computer system composed of a storage device such as a hard disk or a flash memory, a CPU, a RAM, a main board, and the like. In addition, an application program for controll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under an operating system for operating such a computer system to achieve th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is implemented using Visual Basic.

저장부(22)는 정보처리수단(20)에 의해 전송받은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 작업성과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 데이터 및 작업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부 DB(20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저장부(22)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하드디스크 또는 플래시메모리가 사용된다. 이때, 저장부(22)는 검색부(24) 및 계량화부(26)와 상호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된다.The storage unit 22 functions to make a database of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worker receiv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basic data data for analyzing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and work related information, and store them in the storage unit DB 200. Do this. In order to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storage unit 22, a hard disk or a flash memory is used. At this time, the storage unit 22 is controlled by the application program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search unit 24 and the metering unit 26.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의 저장부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 DB(200)는 작 업성과 저장용 DB(210), 계량화 DB(220) 및 작업 관련 정보 DB(230)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진 작업성과 저장용 DB(210), 계량화 DB(220) 및 작업 관련 정보 DB(230)는 데이터의 효율적 관리와 상호 데이터의 백업을 위해 구분한 것으로, 저장부(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통합된 DB로 구축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MS Access를 이용한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orage unit database of the worker support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storage unit DB 200 includes a workability and storage DB 210, a quantification DB 220, and a job related information DB 230. However, the work performance storage DB 210, the quantification DB 220, and the work related information DB 230 having such a separate structure are divided for efficient management of data and backup of mutual data, and the storage unit 22. ) Can be constructed as an integrated DB, unlik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MS Access is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struct a database.

작업성과 저장용 DB(210)에는 입력수단(10)을 통해 입력된 작업성과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다. 이때, 작업성과 정보는 작업한 물품의 종류, 생산된 물품수 및 작업시간에 대한 정보로 작업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에 해당한다. The work result storage DB 210 stores the work resul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10 as a database. At this time,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operator as information on the type of work, the number of items produced and the working time.

그리고 계량화 DB(220)에는 작업성과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 데이터 및 계량화부(26)에 의해 산출된 작업자별 계량화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다. 이때, 기초자료 데이터는 물품별 작업단가, 작업자별 시간당 노무비, 시간당 설비비 및 물품별 재료비에 대한 정보로 작업자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에 해당한다. 한편, 계량화된 정보는 계량화 DB(220) 뿐만 아니라 작업 관련 정보 DB(230)에 저장된 작업성과 정보의 세부항목인 <표 13>의 작업 기록 정보로 저장됨으로써 작업자가 필요한 경우 검색부(24)를 통해 검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quantification DB 220 stores the basic data data for analyzing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quantified information for each worker calculated by the quantification unit 26 as a database. At this time, the basic data data corresponds to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manager who manages the worker with information on the work unit price per item, labor costs per hour per worker, equipment costs per hour and material costs per item. Meanwhile, the quantified information is stored as the work record information of <Table 13>, which is a detail item of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stored in the work related information DB 230 as well as the quantized DB 220, so that the worker 24 may search the search unit 24 when necessary. Search through.

작업 관련 정보 DB(230)에는 작업자에게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곳으로서, 각종 문서,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의 형태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작업 관련 정보 DB(230)는 <표 1> 내지 <표 15>에서와 같이 작업역 DB(232), 작업지시 DB(234), 기술용어 DB(236), 제품 DB(238), 공정 DB(240), 설비 DB(242), 자 재 DB(244), 작업방법 DB(246), 검사 DB(248), 이상발생 DB(250), 안전 DB(252), 사기 DB(254), 작업성과 DB(256), 정보관리 DB(258) 및 기타 DB(260)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다. 그리고 작업 관련 정보 DB(230)에 저장된 전술한 15가지의 작업 관련 정보는 세부 항목을 모두 포함하면 총 125개의 정보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작업 관련 정보 DB(230)에 저장되는 정보의 수는 사용양태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The job related information DB 230 is a place where information necessary for an operator is stored, and is databaseized and stored in the form of various documents, images, or videos. Such work-related information DB 230 is the work area DB 232, work order DB 234, technical term DB 236, product DB 238, process DB as shown in Table 1 to Table 15. (240), facility DB (242), material DB (244), work method DB (246), inspection DB (248), trouble DB (250), safety DB (252), fraud DB (254), work It consists of a database for the performance DB (256), information management DB (258) and other DB (260). The above 15 job-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job-related information DB 230 includes a total of 125 pieces of information when all the detailed items are included. However, the number of information stored in the job related information DB 230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usage.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표 1>은 작업역에 대한 정보의 세부항목이다.Specifically, <Table 1> is a detailed item of information on the work area.

항목 번호Item number 작업역Work station DB DB 1One 작업장 배치Workshop layout 22 3정 5S 상태Three tablets 5S state 33 치공구 위치Tool location 44 원자재 위치Raw material location 55 활동영역Activity area 66 작업준비Ready for work 77 시설점검Facility inspection 88 이동방법How to move 99 공간조건Space condition

<표 2>는 작업지시에 대한 정보의 세부항목이다.<Table 2> is a detail of information about work order.

항목 번호Item number 작업지시 DBWork Order DB 1One 작업지시 내용Work Order Contents 22 작업지시 관리Work Order Management 33 작업지지 조정Adjust work support 44 작업지시 유형Work Order Type 55 작업지시 변경Change work order 66 긴급 작업Emergency work 77 내일 작업Work tomorrow 88 추가 작업Follow up 99 잔업 작업Overtime work

<표 3>은 기술용어에 대한 정보의 세부항목이다.<Table 3> is a detail of information about technical terms.

항목 번호Item number 기술용어 DBTechnical term DB 1One 자재 용어Material term 22 공정 용어Process terminology 33 수식 용어Formula term 44 이론 용어 Theoretical terms

<표 4>는 제품에 대한 정보의 세부항목이다.<Table 4> is the detail of information about products.

항목 번호Item number 제 품product DB DB 1One 분류 방법Classification method 22 유형 구분Type classification 33 유형별 특징Type Specific Features 44 원가 정보Cost Information 55 사용처Where to use 66 사용 방법How to use 77 고객별By customer 88 사양서specification 99 변경 내용Changes

<표 5>는 공정에 대한 정보의 세부항목이다.<Table 5> is a detailed section of information about the process.

항목 번호Item number 공 정 DBProcess DB 1One 물리적 변화Physical change 22 화학적 변화Chemical change 33 공정 조건Process conditions 44 반응 조건Reaction conditions 55 설계 정보Design information 66 관련 설비Related equipment 77 전 공정All processes 88 후 공정After process

<표 6>은 설비에 대한 정보의 세부항목이다.<Table 6> is a detailed item of information about equipment.

항목 번호Item number 설 비 DBFacility DB 1One 설비고장 유형Equipment failure type 22 설비 구분Facility classification 33 설비 구조Equipment structure 44 설비 규격Facility specification 55 설비 보전Facility maintenance 66 설비 급소Facility 77 조작법manual 88 작동 원리How it Works 99 설비 소모품Equipment consumables 1010 고장 대처법Troubleshooting 1111 공구 사용법Tool usage

<표 7>은 자제에 대한 정보의 세부항목이다.<Table 7> is a detail of information about restraint.

항목 번호Item number 자 재 DBDB 1One 자재 분류Material classification 22 자재 유형Material type 33 자재 특성Material properties 44 자재 등급Material grade 55 사용 조건Terms of use 66 자재 검사Material inspection 77 자재 처리Material processing 88 재고 관리Inventory Management 99 자재 불량Material failure

<표 8>은 작업방법에 대한 정보의 세부항목이다.<Table 8> is a detail of information on work method.

항목 번호Item number 작업방법 DBWork method DB 1One 작업 순서sequence of the work 22 작업 조건Working condition 33 작업 급소Working place 44 작업 유형Work type 55 작업 감각Working sense 66 준비 교체Ready replacement 77 준비 작업preparation 88 뒷정리Cleaning up 99 공동 작업자Collaborator

<표 9>는 이상발생에 대한 정보의 세부항목이다.<Table 9> is a detailed item of information about abnormal occurrence.

항목 번호Item number 이상발생 DBError DB 1One 이상발생 기준Error occurrence standard 22 긴급 조치Emergency action 33 연락 방법Contact way 44 사후 관리Vigilance 55 기록 관리Records management 66 재발 방지Relapse prevention

<표 10>은 검사에 대한 정보의 세부항목이다.<Table 10> shows the details of the test information.

항목 번호Item number 검 사 DBInspection DB 1One 검사 기준Inspection standard 22 검사 방법method of inspection 33 계측기Instrument 44 계측기 관리Instrument Management 55 검사 기록Inspection record 66 불량 처리Bad treatment 77 불량 유형Bad type 88 불량 원인Bad cause 99 불량 보고Bad report

<표 11>은 안전에 대한 정보의 세부항목이다.<Table 11> is a detail of safety information.

항목 번호Item number 안 전 DBSafety DB 1One 위험물 기준Dangerous goods standard 22 유해물질 기준Hazardous Substances 33 장애물 관리Obstacle management 44 사고 조치Accident action 55 긴급 대응Emergency response 66 안전 장비Safety equipment 77 사고 보고Accident report 88 안전 교육safety education

<표 12>는 사기에 대한 정보의 세부항목이다.Table 12 shows the details of the fraud.

항목 번호Item number 사 기 scam DBDB 1One 복장 단정Dress 22 지시 이행Fulfill instructions 33 출근 퇴근Commute to work 44 휴식 시간rest time 55 교육 이행Education implementation 66 5행 실천Line 5 practice 77 제안 실적Proposal Performance 88 잔업 순종Overtime obedience 99 숙달도Mastery 1010 다기능Multifunction

<표 13>은 작업성과에 대한 정보의 세부항목이다.<Table 13> is a detail of information on work performance.

항목 번호Item number 작업성과 DBWork performance DB 1One 작업 기록Work history 22 생산성productivity 33 불량률Defective rate 44 수 율Yield 55 표준 시간Standard time 66 임 률Wage rate 77 납기율Delivery date rate 88 실동율A moving rate 99 설비 가동률Facility utilization rate 1010 택타임Tack time

<표 14>는 정보관리에 대한 정보의 세부항목이다. <Table 14> is a detail of information on information management.

항목 번호Item number 정보관리 DBInformation Management DB 1One 사용자 정보User information 22 사용 내역Usage history 33 리버전Reversion 44 관리자manager 55 오류 관리Error management 66 정보 분석Information analysis 77 보안 관리Security management

<표 15>는 기타에 대한 정보의 세부항목이다.<Table 15> is a detail of other information.

항목 번호Item number 기 타 DBOther DB 1One 작업 변경Change job 22 공정 변경Process change 33 작업자 변경Change worker 44 이동 작업Moving work 55 개발 작업 Development work 66 설비 변경Facility change

검색부(24)는 입력수단(10)으로부터 검색어 정보를 전송받게 되면, 입력된 검색어에 기초하여 저장부(22)의 작업 관련 정보 DB(230)로부터 작업자가 요청한 작업 관련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결과를 표시수단(3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검색어는 작업 관련 정보 DB(230)에 저장된 전술한 15가지의 작업 관련 정보의 세부 항목 모두에 대응하는 125개의 검색어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러한 검색부(24)의 처리과정은 정보처리수단(20)에 설치되어 정보처리수단(20)을 제어하는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된다.When the searcher 24 receives the search word information from the input means 10, the searcher 24 searches for the job-related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worker from the job related information DB 230 of the storage unit 22 based on the input search word. It transmits a result to the display means 30. In this case, the search term is composed of 125 search terms corresponding to all the detailed items of the aforementioned 15 job 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job related information DB 230. Meanwhile, the process of the searching unit 24 is implemented by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to control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계량화부(26)는 저장부(22)의 작업성과 저장용 DB(210)에 저장된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와 저장부(22)의 계량화 DB(220)에 저장된 작업성과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량화된 정보를 산출한다. The metering unit 26 is a basic data for analyzing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worker stored in the work performance storage DB 210 of the storage unit 22 and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stored in the quantification DB 220 of the storage unit 22 The data is used to calculate the quantified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말하는 계량화된 정보란 작업 이익과 관련한 정보를 말한다. 여기서 작업 이익은 일정시간 동안의 작업자의 총 작업 매출액을 산출하고 총 작업 매출액을 달성하는데 사용된 제반 비용인 총 작업 비용을 산출하여 총 작업 매출액에서 총 작업 비용을 감산하여 산출한다. 이때, 총 작업 매출액은 물품별 작업단가와 생산된 물품수를 곱하여 산출한다. 그리고 총 작업 비용은 작업자별 시간당 노무비와 시간당 설비비를 더하고 여기에 작업 시간을 곱한 후 생산된 물품수에 대한 물품별 재료비를 더하여 구한다.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해 보면 다음과 같다.The quantified information referred to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information related to work benefits. Here, the work profit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total work cost from the total work turnover by calculating the total work turnover of the worker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calculating the total work cost, which is the overall cost used to achieve the total work turnover. In this case, the total work turnover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work unit price for each product and the number of produced goods. The total work cost is obtained by adding labor cost per hour and facility cost per worker, multiplying the work time, and adding material cost per item to the number of items produced. This can be expressed as an equation.

Figure 112009026951118-pat00001
Figure 112009026951118-pat00001

이렇게 계량화부(26)를 통해 산출된 작업 이익과 관련한 정보, 즉 계량화된 정보는 표시수단(30)에 전송됨과 동시에 저장부(22)의 계량화 DB(220) 및 작업 관련 정보 DB(230)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된다. 이렇게 계량화된 정보를 계량화 DB(220)에 저장하는 것은 작업자별 작업성과 정보를 누적하여 작업자의 성과 관리 및 경영정보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또한, 계량화된 정보를 작업 관련 정보 DB(230) 에 저장하는 것은 작업자가 필요한 경우 작업성과 DB(256)의 세부항목인 작업 기록 정보를 통해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계량화부(26)의 처리과정 역시 정보처리수단(20)에 설치되어 정보처리수단(20)을 제어하는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된다.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work benefit calculated through the metering unit 26, that is, the meter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30, and at the same time, to the metering DB 220 and the job related information DB 230 of the storage unit 22. Database is stored. The storage of the quantified information in the quantified DB 220 is to accumulat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worker and to utilize the performance management and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worker. In addition, storing the quantified information in the work related information DB 230 is to enable the worker to search through the work record information, which is a detail of the work performance DB 256 if necessary. The process of the metering unit 26 is also implemented by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to control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표시수단(30)은 정보처리수단(2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여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표시수단(30)은 정보처리수단(20)에서 전달되는 정보에 따라 작업 관련 정보 또는 계량화된 정보가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수단(30)과 정보처리수단(20) 간의 연결수단(40)은 유선방식의 케이블로 연결하거나 무선방식의 블루투스, Wi-Fi 또는 지그비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선방식의 케이블을 사용한다. 그리고 표시수단(30)은 CRT모니터, LCD모니터 등과 같이 화면표시가 가능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The display means 30 is a device that visually displays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to a worker or a manager. The display means 30 may optionally be provided with work-related information or quantifi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The connecting means 40 between the display means 30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may be connected by a wired cable or may use a wireless Bluetooth, Wi-Fi or Zigbee method. Howev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wired cable. The display means 30 may use various display devices capable of displaying the screen, such as a CRT monitor and an LCD monitor.

(변형예)(Vari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성과 판독수단(12)은 작업자가 입력수단(10)에 의해 작업성과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작업성과를 판독하여 정보처리수단(20)에 작업성과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작업성과 판독수단(12)은 소정 시간마다 작업성과 정보를 판독하여 정보처리수단(20)에 전송하는데, 소정 시간은 작업자 또는 관 리자에 의해 7시간 내지 9시간 간격으로 하는 것이 좋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orker assistance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orker assistance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work performance reading means 12 reads the work performance and transmits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input the work performance by the input means 10. Do this. The work performance reading means 12 reads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every predetermined tim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The predetermined time is preferably set at an interval of 7 to 9 hours by an operator or an administrator.

본 발명에 따른 변형예에 사용되는 작업성과 판독수단(12)은 구체적으로 전자식 저울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전자식 저울 장치 위에 작업시간 동안 생산한 물품을 올려놓는다. 이렇게 작업시간 동안 전자식 저울 장치 위에 놓여 진 물품의 총 무게를 기 설정된 동종 물품 1개의 무게로 나누는 방식으로 전자식 저울 장치는 생산된 물품수를 산정하게 된다. 이는 물품의 종류가 달라지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물품의 종류에 따라 물품수를 산정하는 작업성과 판독수단(12)을 구현하여 물품의 종류, 생산된 물품수 및 작업시간 정보를 작업자가 입력수단(10)에 의하지 않고서도 정보처리수단(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가 작업성과 정보를 입력하는데 걸리는 시간 및 노력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성과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As the workability and the reading means 12 used in the mod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scale device may be specifically used. At this time, the worker places the goods produced during the working hours on the electronic balance device. In this way, the electronic scale apparatus calculates the number of articles produced by dividing the total weight of the article placed on the electronic scale apparatus by the weight of one preset homogeneous article. This may be equally applied even if the kind of article varies. Therefore, by implementing the work performance reading means 12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articl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rticle,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without the operator input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article, the number of articles produced and the working time information ) Can be sent. This not only reduces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the operator to input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but also ensures the reliability of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또 다른 변형예로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의 정보처리수단(20)이 복수 개의 입력수단(10)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표시수단(30)과 연결되어 구성된다. 즉, 1개의 작업역(50)에 대하여 1개의 입력수단(10)과 1개의 표시수단(30)이 구비되어 정보처리수단(20)과 네트워크 연결수단(42)으로 연결된다. 이때, 네트워크 연결수단(42)은 랜(LAN) 또는 유선 케이블로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복수 개의 작업역(50)에 대하여 각각 입력수단(10)과 표시수단(30)이 복수 개로 구비되고 네트워크 연결수단(42)으로 연결됨으로써 각 작업역(50)의 작업자는 언제든지 원하는 작업 관련 정 보 및 작업 성과에 대한 계량화된 정보를 각각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 측에서는 작업장 전체에 본 발명에 따른 변형예를 적용함에 따라 통합적인 인력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인력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를 통해 관리자는 인력 편성의 구성비율을 작업역(50)의 특성에 따라 전체적인 시각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별 작업 이익 또한 전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 현장 작업자의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orker assistance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worker assistance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omprising a plurality of input means 10 and a plurality of display means 30 corresponding thereto. It is connected and configured. That is, one input means 10 and one display means 30 are provided for one work area 50 and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and the network connection means 42. In this case, the network connection means 42 may be implemented by a LAN or a wired cable. Thus, a plurality of input means 10 and a display means 30 are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 areas 50 and connected to the network connection means 42, so that the workers of each work area 50 can work at any time. Quantitative information on beams and work performance can be obtained, respectively. And the manager side can build the basic data for the integrated workforce analysis by applying the mod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out the workplace. Through the basic data for the workforce analysis, the manager can adjust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workforce in the overall view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area 50. In addition, worker benefits can be managed as a whole, ultimately reducing labor costs for field workers.

<작업자 지원 정보제공방법><Method of providing worker support inform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지원 정보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 1 단계(S10)는 입력수단(10)을 통해 작업에 필요한 작업 관련 정보의 검색을 위한 검색어 또는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입력수단(10)에 대한 기술은 전술한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의 실시예에서의 입력수단(10)에 대한 기재 내용과 같다. 이하에서는 입력수단(10)에 의해 검색어 또는 작업성과 정보가 입력되는 방법을 설명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worker suppor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first, a first step S10 is a step of inputting a search word or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of a worker for searching for work related information necessary for a job through the input means 10. The description of the input means 10 here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the input means 10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worker assistance information system. Hereinafter, a method of inputting a search word or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by the input means 10 will be described.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수단에 작업자가 작업성과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초기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308)은 작업자가 작업성과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화면(308) 좌측에 위치한 작업성과 버튼(320)을 입력수단(10)을 통해 선택한 후 팝업되는 <표 13>의 세부 항목 중에서 작업 기록을 선택하여 표시된 것이다. 5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itial screen for a worker to input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to an input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A, the screen 308 is popped up after the operator selects the work performance button 320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308 through the input means 10 to input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It is displayed by selecting the job record from the detail items of>.

여기서 화면(308)의 중심영역에는 입력란(322)이 위치하고 우측 상단에 숫자 가 표시된 입력설정 버튼(324)이 위치하여 작업시간, 물품의 종류 및 생산된 물품수를 작업자가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308) 하단에 위치한 관리자용 버튼(326)은 관리자가 작업성과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 데이터를 설정 및 저장하고 작업 관련 정보인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Here, the input field 322 is located in the center area of the screen 308, and the input setting button 324 in which the number is displayed on the upper right is located so that the operator can input the working time, the kind of the article, and the number of the articles produced. The manager button 326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308 is configured by a manager to set and store basic data data for analyzing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o update an image or video, which is work related information.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수단에 관리자가 작업성과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초기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308)은 기초자료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관리자가 응용프로그램에 로그인하여 화면(308) 좌측에 위치한 작업성과 버튼(320)을 선택한 후 화면(308) 상단에 위치한 설정 탭(330)을 입력수단(10)을 통해 선택한 것을 표시한 것이다. 이때, 설정 탭(330)은 관리자로 로그인한 경우 활성화되어 선택이 가능하며 도 5a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성과 정보를 입력한 작업자는 설정 탭(330) 우측에 위치한 출력 탭(332)만이 활성화되어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5B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screen for inputting basic data for the manager to analyz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in the inpu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B, the screen 308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308 after the administrator logs in to the application to select basic work data and selects the workability button 320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308. The setting tab 330 is selected by the input means 10. In this case, the setting tab 330 is activated when a user is logged in as an administrator and may be select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A, the operator who inputs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may have only the output tab 332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tting tab 330. It will be activated and you will be informed.

여기서 화면(308) 좌측 상단에 위치한 설비비 및 노무비 관리 영역(334)은 작업자별 숙련도 등급에 따른 노무비와 설비의 사용 및 유지에 따른 비용인 설비비를 입력하는 영역이다. 그리고 우측 상단에 위치한 생산품목관리 영역(336)은 물품의 종류와 물품별 재료비를 입력하는 영역이다. 그리고 좌측 하단에 위치한 작업자 관리 영역(338)은 작업자의 추가, 삭제 및 수정을 할 수 있고, 작업자의 숙련도 등급 및 노무비를 입력하는 영역이다. 그리고 우측 하단에 위치한 등급별 작업단가 관리 영역(340)은 작업자별 숙련도 등급에 따른 물품의 단가를 책정하는 영역이다. 또한, 화면(308) 하단에 위치한 관리자용 버튼(326)은 전술한 바와 같다.Herein, the facility cost and labor cost management area 334 located at the upper left of the screen 308 is an area for inputting the cost of labor according to the skill level of each worker and the cost of using and maintaining the facility. The production item management area 336 located at the upper right is an area for inputting the type of goods and the material cost per item. In addition, the worker management area 338 located at the lower left side can add, delete, and modify a worker, and is an area for inputting a worker's skill level and labor cost. In addition, the work price management area 340 for each grade located at the lower right is an area for setting the unit price of the article according to the skill level of each worker. In addition, the manager button 326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308 is as described above.

이렇게 전술한 방식으로 작업자 또는 관리자는 작업성과 정보 또는 작업성과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 데이터를 입력수단(10)을 통해 입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업 관련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의 입력은 화면(308) 좌측에 위치한 검색어 버튼(3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팝업되는 세부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In this manner, the worker or the manager can input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or basic data data for analyzing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means 10. Input of a search word for searching for work related information is performed by selecting one of the search word buttons 300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308 and then selecting a detailed item that pops up.

다음으로, 제 2 단계(S20)는 정보처리수단(20)이 입력된 정보가 검색어인지 혹은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를 입력한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때, 정보처리수단(20)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은 입력수단(10)으로부터 입력된 것이 작업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검색어 정보인지 또는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인지를 판단하여 검색어 정보인 경우 해당 검색어 정보를 검색부(24)로 전송하고 작업성과 정보인 경우 해당 작업성과 정보를 저장부(22)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Next, the second step (S20) is a step in which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information is a search word or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operator. At this time, the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information from the input means 10 is the query information requesting job-related information or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worker and searches the search term information when the search word information is the search term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24 transmits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to the storage unit 22 in the case of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검색어가 입력된 경우)(If a search term is entered)

다음으로, 제 3-1 단계(S32)는 입력된 정보가 검색어라면, 검색부(24)가 저장부(22)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작업자가 요청하는 작업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검색부(24)는 전술한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의 실시예에서의 검색부(24)에 대한 기재와 같이 검색과정을 수행한다.Next, if the inputted information is a search word, the search unit 24 searches for job related information requested by a worker from a databas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 Here, the search unit 24 performs a search process as described for the search unit 24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worker assistance information system.

마지막으로, 제 3-2 단계(S34)는 표시수단(30)이 검색부(24)에 의해 검색된 검색어에 해당하는 작업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이다. 이하에서는 표시수단(30) 을 통해 표시된 화면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Finally, step 3-2 (S34) is a step in which the display means 30 displays job 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searched by the search unit 24. Hereinafter, the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eans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의 입력수단에 검색어가 입력되어 작업 관련 정보가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표시수단(30)에 의해 표시된 화면 좌측에는 작업 관련 정보 DB(230)에 저장된 정보와 대응하는 검색어 버튼(300)이 위치한다. 이때, 검색어 버튼(300)의 선택은 입력수단(10)인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이용해 이루어진다. 6A and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screens in which a search word is input through an input means of an operator support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job related information is displayed through display means. As shown in FIG. 6A, a search word button 300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stored in the job related information DB 230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displayed by the display means 30 of the embodiment. At this time, the selection of the search word button 300 is made using a mouse or a keyboard which is the input means 10.

여기서, 도 6a의 화면(308)에 표시된 선반사진은 저장부(22)의 작업 관련 정보 DB(230)에 저장된 설비 DB(242)와 대응하는 설비 버튼(302)을 입력수단(10)을 통해 선택한 후 팝업되는 <표 6>의 세부 항목 중에서 공구사용법을 선택하여 표시된 것이다. 그리고 화면(308) 상단에 위치한 설비 1 버튼(304) 및 설비 2 버튼(306)은 작업역에 설치된 공구 또는 공작기계가 복수 개인 경우 각각에 대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화면(308) 상의 선반사진에는 선반의 사용법을 설명하기 위한 말 풍선(310)이 사용되고, 화면(308) 하단 좌측에는 동영상 버튼(312)이 위치하여 동영상을 통한 공구사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Here, the shelf picture displayed on the screen 308 of FIG. 6A is a facility button 302 corresponding to the facility DB 242 stored in the job related information DB 230 of the storage unit 22 through the input means 10. After selecting, the tool usage method is displayed among the detailed items in <Table 6>. In addition, the facility 1 button 304 and the facility 2 button 306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308 are provided to select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tools or machine tools installed in the work area. In addition, a speech balloon 310 for explaining how to use the shelf is used in the picture of the shelf on the screen 308, the video button 312 is located on the bottom left of the screen 308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use the tool through the video. Doing.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308)에 표시된 사진은 저장부(22)의 작업 관련 정보 DB(230)에 저장된 설비 DB(242)와 대응하는 설비 버튼(302)을 입력수단(10)을 통해 선택한 후 팝업되는 <표 6>의 세부 항목 중에서 설비 보전을 선택하여 표시된 것이다. 여기서 화면(308) 상단에 위치한 설비 1 버튼(304) 및 설비 2 버튼(306), 화면(308) 상에 표시된 말 풍선(310) 및 화면(308) 하단 좌측의 동영상 버튼(312)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도 6a의 기재와 같다.As shown in FIG. 6B, the picture displayed on the screen 308 inputs the facility button 302 corresponding to the facility DB 242 stored in the job related information DB 230 of the storage unit 22. It is displayed by selecting facility maintenance from the detailed items of <Table 6> which pops up after selecting through. Here, a description of the facility 1 button 304 and the facility 2 button 306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308, the speech balloon 310 displayed on the screen 308, and the video button 312 at the bottom left of the screen 308 are described.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FIG. 6A described above.

(작업성과 정보가 입력된 경우)(If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is entered)

다음으로, 제 4-1 단계(S42)는 입력된 정보가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라면, 작업성과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 데이터 및 작업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저장부(22)가 작업성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저장부(22)는 전술한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의 실시예에서의 저장부(22)에 대한 기재와 같이 저장과정을 수행한다. Next, if the inputted information is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worker, the storage unit 22 having the database of the basic data data and the work related information for analyzing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has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It is a step to save. The storage unit 22 performs the storage process as described for the storage unit 22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worker assistance information system.

다음으로, 제 4-2 단계(S44)는 계량화부(26)가 저장부(22)에 저장된 작업성과 정보와 기초자료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량화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계량화부(26)는 전술한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의 실시예에서의 계량화부(26)에 대한 기재와 같이 계량화과정을 수행한다.Next, the fourth step (S44) is a step in which the metering unit 26 calculates the metered information using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basic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 Here, the metering unit 26 performs a metering process as described for the metering unit 26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worker assistance information system.

마지막으로, 제 4-3 단계(S46)는 표시수단(30)이 계량화부(26)에 의해 산출된 계량화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이다. 이하에서는 표시수단(30)을 통해 표시된 화면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Finally, the fourth step S46 is a step in which the display means 30 displays the metered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metering unit 26. Hereinafter, the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eans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수단에 작업자가 작업성과 정보를 입력한 후 계량화된 정보를 출력 받은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도 5a에 도시된 입력란(322)에 작업성과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표시수단(30)은 출력 탭(332)만을 활성화하여 작업자에게 계량화된 정보를 제공한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n operator outputs quantified information after inputting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to an input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when the operator inputs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into the input field 322 shown in FIG. 5A, the display means 30 activates only the output tab 332 to provide metered information to the operator.

여기서, 화면(308) 좌측의 일별 작업 이익 영역(342)은 작업자 및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일, 작업자, 작업 시간, 시간당 노무비, 시간당 설비비, 물품의 종류 및 생산된 물품수를 표시하고, 전술한 <수학식 1>에 따라 작업 매출액과 작업 비용을 산출하여 특정 일자의 작업 이익을 표시하는 영역이다.Here, the daily work benefit area 342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308 displays the work day, worker, work time, labor cost per hour, equipment cost per hour, type of goods, and number of items produced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worker and the manager. It is an area for displaying the work profit of a specific date by displaying and calculating the work turnover and the work cost according to the above Equation (1).

그리고 화면(308) 우측의 누적 작업 이익 영역(344)은 작업자별 작업성과 정보가 계량화부(26)를 통해 처리될 때마다 계량화 DB(220)에 누적하여 저장됨으로써 산출된 누적 작업 이익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또한, 누적 작업 이익 영역(344)은 복수의 작업자로 이루어진 작업역의 작업 이익을 통합하여 표시하는 작업장별 이익, 경영 판단에 따라 정해진 목표 이익, 누적 작업 이익과 목표 이익과의 차를 표시하는 목표 이익 차이, 기타 사항에 대한 것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그리고 그래프 영역(346)은 상단에 위치한 기간 설정 버튼을 통해 기간을 설정하면, 해당 기간 동안의 작업 이익을 그래프로 표시해 주는 영역이다.The cumulative work benefit area 344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308 displays a cumulative work benefit calculated by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worker in the quantification DB 220 whenever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worker is processed through the quantification unit 26. Area. In addition, the cumulative work profit area 344 is a target for displaying the profits of each workplace in which the work profits of a work area composed of a plurality of workers are integrated, the target profits determined according to management judgmen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mulative work profits and the target profits. It is an area that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profits and other matters. In addition, the graph area 346 is an area for displaying a work profit for the period when the period is set through the period setting button located at the top.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작업자는 작업 관련 정보 DB(230)에 세부항목으로 저장된 총 125가지의 다양한 정보를 작업자의 요청에 의해 문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방식으로 표시수단(30)을 통해 제공받음으로써 작업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그리고 숙련된 작업자가 작업하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 또는 이미지 정보를 통해 작업 기술 및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어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외국인 작업자를 위해 이러한 동영상 또는 이미지상에 외국어로 된 말 풍선(310)을 제공함으로써 작업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작업 관련 정보 를 작업 숙련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함으로써 현장 작업자의 수준별 고도화를 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orker is provided with a total of 125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stored in detail in the work related information DB 230 through the display means 30 in the manner of a document, an image, or a video at the request of the worker. By doing so,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you can share your work skills and know-how through video or image information of skilled workers working to maximize your work productivity. And by providing a foreign language speech balloon 310 on the video or image for foreign workers can improve the work comprehension. In addition, by classifying work-related information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work proficienc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evel of field worker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가 계량화된 정보, 즉 작업 이익과 관련한 정보로 현출됨으로써 작업자는 자신의 성과급을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별 자율적인 작업 관리력이 증대된다. 그리고 작업자별 작업 이익이 상호 비교됨으로써 작업자 간 선의의 경쟁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 반면에 관리자 측에서는 일정기간 동안 작업자별 작업 이익과 관련된 정보를 축적함으로써 단순기능 작업자, 다기능 작업자 또는 지능적 작업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인력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인력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를 통해 인력 편성의 구성비율을 작업역의 특성에 따라 조정할 수 있고 작업자별 작업 이익을 관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현장 작업자의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er's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is manifested as quantified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related to work profits, so that the worker can manage his own performance salary as well as increase autonomous work management ability per worker. And by comparing the benefits of each worker's work, it is possible to induce competition in good faith among workers. On the other hand, the manager can accumul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work benefits of each work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can use it as a basic data for analyzing the workforce to determine whether he is a simple functional worker, a multifunctional worker or an intelligent worker. The basic data for manpower analysis can adjust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workfor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area and manage the work benefits for each worker, thereby ultimately reducing the labor cost of field workers.

<기록매체><Recording medium>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는 컴퓨터상에서 실행 가능한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다. 여기서 응용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판독되어, 작업에 필요한 작업 관련 정보의 검색을 위한 검색어 또는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를 입력수단(10)을 통해 입력하도록 하는 기능, 입력수단(10)에 의해 입력된 정보가 검색어 또는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를 입력한 것인지 정보처리수단(20)을 통해 판단하도록 하는 기능, 정보처리수단(20)의 판단결과가 검색어인 것에 기초하여, 저장부(22)에 저장된 데 이터베이스로부터 작업자가 요청하는 작업 관련 정보를 검색부(24)를 통해 검색하도록 하는 기능, 검색부(24)에 의해 검색된 검색어에 해당하는 작업 관련 정보를 표시수단(30)을 통해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 정보처리수단(20)의 판단결과가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인 것에 기초하여, 작업성과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 데이터 및 작업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저장부(22)에 작업성과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 저장부(22)에 저장된 작업성과 정보와 기초자료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량화부(26)를 통해 계량화된 정보를 산출하도록 하는 기능 및 계량화부(26)에 의해 산출된 계량화된 정보를 표시수단(30)을 통해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으로 이루어져 작업 관련 정보 및 계량화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aded with an application program executable on a computer.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program reads from a computer, and a function of inputting a search word for searching for work related information necessary for a job or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of an operator through the input means 10, and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input means 10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a search word or work performance of an operator is input through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and a databas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being a search word. Function to search the job related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operator through the search unit 24, function to display the job 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term searched by the search unit 24 through the display means 30,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rocessing means 20 being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worker, the basic data data and the work related information for analyzing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are data. A function of storing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in the escaping storage unit 22 and a function of calculating quantified information through the metering unit 26 using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and basic data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 And a function of displaying the metered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metering unit 26 through the display means 30 to selectively provide job related information and metered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에 수록된 응용프로그램의 제작은 비주얼 베이직이 사용되었고, 응용프로그램과 연동하는 저장부 DB(200)는 MS Access를 사용하여 구축한다.In the produc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sual Basic was used, and the storage unit DB 200 interoperating with the application program is constructed using MS Access.

여기서, 기록매체란 컴퓨터 시스템이 읽어 들일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일례로써,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USB 메모리 또는 광데이터 장치 등이 있다.Here, th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capable of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USB memory or optical data devi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 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s and equivalent concepts of the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in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orker assistance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의 저장부의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atabase of a storage unit of a worker assistance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orker assistance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지원 정보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worker suppor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수단에 작업자가 작업성과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초기화면을 나타낸 도이다.5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itial screen for a worker to input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to an input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수단에 관리자가 작업성과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초기화면을 나타낸 도이다.5B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screen for inputting basic data for the manager to analyz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in the inpu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의 입력수단에 검색어가 입력되어 작업 관련 정보가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6A and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screens in which a search word is input through an input means of an operator support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job related information is displayed through display means.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수단에 작업자가 작업성과 정보를 입력 한 후 계량화된 정보를 출력 받은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n operator outputs quantified information after inputting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to an input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입력수단 12: 작업성과 판독수단10: input means 12: work performance reading means

20: 정보처리수단 22: 저장부20: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2: storage unit

24: 검색부 26: 계량화부24: search unit 26: metering unit

30: 표시수단 40: 연결수단30: display means 40: connection means

42: 네트워크 연결수단 50: 작업역42: network connection means 50: work station

200: 저장부 DB 210: 작업성과 저장용 DB200: storage DB 210: DB for work performance storage

220: 계량화 DB 230: 작업 관련 정보 DB220: Quantification DB 230: Job-related information DB

300: 검색어 버튼 320: 작업성과 버튼300: query button 320: task and button

330: 설정 탭 332: 출력 탭330: Settings tab 332: Output tab

Claims (9)

작업자의 작업성과 정보, 상기 작업성과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 데이터 및 작업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저장부(22), 상기 저장부(22)로부터 상기 작업자가 요청하는 작업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부(24) 및 상기 저장부(22)에 저장된 상기 작업성과 정보와 상기 기초자료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량화된 정보를 산출하는 계량화부(26)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수단(20);A storage unit 22 for storing a database of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of a worker, basic data data for analyzing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and work related information, and retrieving job related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worker from the storage unit 22;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comprising a retrieval unit (24) and a quantification unit (26) for calculating quantified information using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basic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 상기 정보처리수단(20)과 연결되어, 작업에 필요한 상기 작업 관련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검색어를 입력하거나 상기 작업자의 상기 작업성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10); Input means (10)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for inputting a search word or inputting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worker to request the work related information necessary for a work; 상기 정보처리수단(20)과 연결되어, 상기 입력수단(10)에 상기 검색어가 입력된 경우 상기 검색부(24)에 의해 검색된 상기 작업 관련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입력수단(10)에 상기 작업자의 상기 작업성과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계량화부(26)에 의해 산출된 상기 계량화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30); 및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when the search word is input to the input means 10, and displays the job-related information retrieved by the search unit 24, the operator in the input means 10 Display means (30) for displaying the quantified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quantification unit (26) when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is inputted; And 상기 정보처리수단(20)과 연결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10)에 의해 상기 작업성과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소정 시간마다 상기 작업성과를 판독하는 작업성과 판독수단(12);을 포함하여 상기 작업 관련 정보 및 상기 계량화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며,And work performance reading means 12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20 and reading the work performance every predetermined time even if the worker does not input the work performance by the input means 10. Selectively provides job related information and the quantified information, 상기 계량화부(26)를 통해 산출된 상기 계량화된 정보는 작업 이익과 관련한 정보로서, 상기 작업 이익은, 상기 작업성과 정보를 기초로 하여 총 작업 매출액을 산출하고 상기 총 작업 매출액을 달성하는 데 사용된 총 작업 비용을 산출한 후 상기 총 작업 매출액에서 상기 총 작업 비용을 감산하여 산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작업 이익은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The quantified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quantification unit 26 is information related to work profit, and the work profit is used to calculate the total work turnover and achieve the total work turnover based on the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total work cost from the total work turnover after calculating the total work cost, wherein the work benefit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Equation]
Figure 112011063988213-pat00011
Figure 112011063988213-pat00011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저장부(22)의 상기 작업 관련 정보는 작업역 정보, 작업지시 정보, 기술용어 정보, 제품 정보, 공정 정보, 설비 정보, 자재 정보, 작업방법 정보, 검사정보, 이상발생 정보, 안전 정보, 사기 정보, 정보관리 정보 또는 작업성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The work related information of the storage unit 22 is work area information, work instruction information, technical term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process information, equipment information, material information, work method information, inspection information, abnormality information, safety information, Worker assistance information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f fraud information, information management information or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력수단(10)은 마우스, 키보드, 리모컨 및 터치스크린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지원 정보시스템.The input means (10) is a worker support inform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mouse, a keyboard, a remote control and a touch scree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39013A 2009-05-04 2009-05-04 Operating Information System for Workers KR1011358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013A KR101135817B1 (en) 2009-05-04 2009-05-04 Operating Information System for Work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013A KR101135817B1 (en) 2009-05-04 2009-05-04 Operating Information System for Work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025A KR20100120025A (en) 2010-11-12
KR101135817B1 true KR101135817B1 (en) 2012-04-16

Family

ID=43405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013A KR101135817B1 (en) 2009-05-04 2009-05-04 Operating Information System for Work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81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652B1 (en) * 2019-01-21 2019-05-29 애니팬 주식회사 ARTIFICIAL INTELLIGENCE IoT SYSTEM BASED ON BLOCKCHAI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8454A (en) * 2002-11-29 2004-06-24 Asahi Tsushin Kk Construction business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06514346A (en) * 2002-07-03 2006-04-27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economic value generated by business activities
JP2009037309A (en) * 2007-07-31 2009-02-19 Nippon Digital Kenkyusho:Kk Progress display device, progress display method and progress display progra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4346A (en) * 2002-07-03 2006-04-27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economic value generated by business activities
JP2004178454A (en) * 2002-11-29 2004-06-24 Asahi Tsushin Kk Construction business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09037309A (en) * 2007-07-31 2009-02-19 Nippon Digital Kenkyusho:Kk Progress display device, progress display method and progress display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025A (en) 201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1151B2 (en) Tracking industrial vehicle operator quality
CN105579823B (en) Dynamic operation person&#39;s behavior analyzer
JP4539103B2 (en) Profit / loss management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profit / loss management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and profit / loss management information presentation processing program
Randhawa et al. Empirical investigation of contributions of 5S practice for realizing improved competitive dimensions
US10699225B2 (en) Production management support apparatus, production management support method, and production management support program
CN107909126A (en) A kind of MES system for motor automated production
US10222788B2 (en) Plan generating device and plan generating method
JP2003067550A (en) Management simula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KR101135817B1 (en) Operating Information System for Workers
Maroño et al. The ‘PROCESO’index: a new methodology for the evaluation of operational safety in the chemical industry
Arce et al. Ergonomic value stream mapping: A novel approach to reduce subjective mental workload
KR20200088504A (en) Worker selection system, worker selection method and worker selection computer program
Hwang et al. Building an executive information system for maintenance efficiency in petrochemical plants—An evaluation
JP7377761B2 (en) Automated design support system and automated design support method
US20220092509A1 (en) Work Improvement Support Apparatus, and Work Improvement Support System
US20210191933A1 (en) Data analysis device and data analysis method
JP6664564B1 (en) Information technology utilization evaluation device, information technology utilization evaluation system and information technology utilization evaluation method
JP6726255B2 (en) Worker selection system, worker selection method, and worker selection computer program
KR20140121750A (en) Plant operation reproduction apparatus
JPH09179903A (en) Article information analysis system for virtual store drawing
Dublin Human-AI Teaming Platform for Maintaining and Evolving AI Systems in Manufacturing
Mbep et al. Critical Success Factors of Corporate Performance Management (CPM)
JP6608092B1 (en) Information technology utilization evaluation device, information technology utilization evaluation system, and information technology utilization evaluation method
El Mariouli et al. New Model for Sustainable Supplier Selection Using Fuzzy DEMATEL
Nerona et al. Improving the functionality, 5S rating, an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of the supply department of a regimental academy in the Philippines through industrial engineering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