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382B1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ound signal for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ound signal for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382B1
KR101135382B1 KR1020090085606A KR20090085606A KR101135382B1 KR 101135382 B1 KR101135382 B1 KR 101135382B1 KR 1020090085606 A KR1020090085606 A KR 1020090085606A KR 20090085606 A KR20090085606 A KR 20090085606A KR 101135382 B1 KR101135382 B1 KR 101135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ignal
gain
signal
value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6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27498A (en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코웰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코웰,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코웰
Priority to KR1020090085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382B1/en
Priority to PCT/KR2010/006055 priority patent/WO2011031050A2/en
Publication of KR2011002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4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3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통신기기의 음성신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기의 음성신호 제어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인 송신 음성신호와 상대측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인 수신 음성신호를 감시하는 음성신호 감시부; 상기 음성신호 감시부에 의해 감시된 결과에 따라 송신 음성신호 및 상기 수신 음성신호에 대한 증폭이득을 결정하는 이득 결정부; 및 상기 이득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각각의 증폭이득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또는 상기 수신 음성신호가 증폭되도록 제어하는 이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closed are a voice signal control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oice signal of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ice signal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a transmission voice signal, which is a voice signal input by a user, and a received voice signal, which is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a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A gain determiner which determines an amplification gain for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and the received voice signal according to a result monitored by the voice signal monitor; And a gain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and / or the reception voice signal to be amplified based on each amplification gain determined by the gain determination unit.

통신기기, 전화기, 음성신호, 사이드 톤, 하울링, 증폭이득 Communication device, telephone, voice signal, side tone, howling, gain

Description

통신기기의 음성신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ound signal for communication terminal}Apparatus for controlling voice signal of communication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ound signal for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신기기의 음성신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하는 이득으로 수신 음량을 증폭시키면서도 하울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송화자의 목소리가 자신의 리시버로 들려오는 사이드톤을 억제하여 귀에 거슬림이 없이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기기의 음성신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oice signal of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howling from occurring while amplifying a received volume with a desired ga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signal control apparatus of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hich can suppress a sidetone coming into a receiver so that a call can be made without annoying ear.

일반적으로 통신기기라고 하면 통신에 사용되는 여러 기기를 통틀어 이르는 것으로서, 유선전화기, 휴대폰, 무전기, 컴퓨터, 노트북 등이 있다. 그 중, 유선전화기, 휴대폰, 무전기 등과 같이 음성을 전달하는 통신기기는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대측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기신호를 다시 음성으로 변환하여 재생함으로써 상호간의 통화를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통신기기의 내부에서는 송신 및 수신되는 소리가 커플링됨으로써 피드백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화기의 경우 전화기 본체는 외부적으로 국선 라인과 2라인을 통 하여 연결되고, 전화기 내부적으로는 송신경로 2라인과 수신경로 2라인으로 분리하여 4선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송화자의 음성이 회로적 및 공간적으로 피드백된다.In general, a communication device is one that includes a variety of devices used for communication, such as a wired telephone, a mobile phone, a radio, a computer, a laptop, and the like. Among them, communication devices that deliver voice, such as wired telephones, mobile phones, and radios, convert voice into electrical signals and transmit them to the other terminal, and convert the electrical signals received from the other terminal into voice to play back each other. Make it possible. At this time, the feedback is generated by coupling the sound transmitted and received inside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elephone, the main body of the telephone is externally connected via a trunk line and two lines, and internally, the telephone is separated into two transmission path lines and two reception paths, and thus connected to four lines. This is fed back both circuitally and spatially.

이와 같은 현상으로 인해, 통신기기의 수신 음량을 증폭시키면 소리를 크게 잘 들을 수 있으나, 소정의 크기를 넘어서게 되면 송화자의 음성이 피드백되어 하울링(howling)을 발생시키며, 그에 따라 커진 사이드톤에 의하여 통화시 불쾌감을 주게 되며 통화의 품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여기서, 하울링이라 함은 어떤 장치의 출력이 입력장치로 들어가서 증폭되어 다시 출력되는 일이 반복되는 현상으로서, 이로 인하여 전화기의 소음이 지속되는 문제를 일으킨다.Due to such a phenomenon, amplifying the reception volum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sound can be heard very well, but when it exceeds a predetermined size, the voice of the caller is fed back to generate a howling. This can be unpleasant and degrade the call quality. Here, the howling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output of a device enters the input device and is amplified and output again. This causes a problem that noise of the phone is continued.

이와 같은 하울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화기 내부의 송수신 경로 상에 미리 일정한 레벨을 설정하여 놓고 소리가 그 이상 커지면 하울링이라고 판단하여 수신경로의 전달 음량 크기를 줄여 하울링을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된다.As a method for preventing such a howling, a predetermined level is set in advance on a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inside the phone, and when the sound is louder than that, it is determined as howling and a method of removing the howling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transmitted volume of the reception path.

또는, 전화기 내부의 송신경로와 수신경로 상의 신호크기에 대한 상관관계를 설정하여 놓고, 송수신 경로에서의 음성신호가 상관관계를 벗어나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감쇄시켜 하울링을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set a correla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path inside the phone and the signal size on the reception path, and to remove the howling by attenuating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or received if the voice signal i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is out of the correlation. Sometimes.

또는, 전화기 내부의 음성 칩을 경유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각각 주파수 영역에서 스펙트럼 분석하여 스펙트럼 특성이 같아지면 신호가 피드백되고 있다고 판단하여 수신 음량을 줄이거나, 시간영역에서 동일한 주기의 수신신호가 들어올 경우 하울링으로 판단하여 수신 음량을 줄이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Alternatively, if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are the same by analyzing the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via the voice chip inside the phone in the frequency domai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s are being fed back, and the received volume is reduced, or when the received signal of the same period comes in the time domain. A method of reducing the received volume by determining howling is also u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결국 수신 음량을 줄이는 것이기 때문에 최대 수신 음량의 크기는 하울링이 발생되지 않는 범위로 낮게 제한되며, 따라서 원래 얻고자 하는 증폭 이득은 얻을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 청력이 약한 사람들은 수신되는 전화 음성을 제대로 알아듣지 못할 뿐만 아니라, 수신 음량을 증폭할 때 발생하는 사이드톤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se methods eventually reduce the reception volume, the maximum reception volume is limited to a low range in which no howling is generated, and thus, an amplification gain originally desired cannot be obtained. Due to this, people with low hearing may not properly hear incoming phone voices, and still have problems with sidetones occurring when amplifying the reception volu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원하는 이득으로 수신 음량을 증폭시키면서도 하울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송화자의 목소리가 자신의 리시버로 들려오는 사이드톤을 억제하여 귀에 거슬림이 없이 통화를 할 수 있는 통신기기의 음성신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such a problem, and can prevent generation of howling while amplifying a received volume with a desired gain, and also suppressing sidetones in which a talker's voice is heard in his or her receiv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oice signal control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a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making a call without annoy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의 음성신호 제어장치의 제1 실시예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인 송신 음성신호와 상대측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인 수신 음성신호를 감시하는 음성신호 감시부; 상기 음성신호 감시부에 의해 감시된 결과에 따라 송신 음성신호 및 상기 수신 음성신호에 대한 증폭이득을 결정하는 이득 결정부; 및 상기 이득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각각의 증폭이득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또는 상기 수신 음성신호가 증폭되도록 제어하는 이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embodiment of a voice signal control apparatus of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oice for monitoring a transmission voice signal which is a voice signal input by a user and a received voice signal which is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a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Signal monitoring unit; A gain determiner which determines an amplification gain for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and the received voice signal according to a result monitored by the voice signal monitor; And a gain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and / or the reception voice signal to be amplified based on each amplification gain determined by the gain determination unit.

여기서, 음성신호 감시부는, 상기 송신 음성신호를 감지하여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송신 음성신호 감시부; 및 상기 수신 음성신호를 감지하여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수신 음성신호 감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voice signal monitoring unit may include: a transmission voice signal monitor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and measure signal strength; And a receiving voice signal monitor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the received voice signal and measure signal strength.

여기서 이득 결정부는,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 상기 수신 음성신호의 신호세기 모두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 상기 수신 음성신호 모두에 대한 증폭이득을 제2이득값으로 설정하고, 어느 한 음성신호의 신호세기가 설정값 이상이고 다른 음성신호의 신호세기는 설정값 미만인 경우 설정값 이상인 음성신호의 증폭이득을 제1이득값으로 하고 설정값 미만인 음성신호의 증폭이득은 제2이득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gain determining unit may set an amplification gain for both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and the received voice signal as a second gain value when both the signal strengths of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and the received voice signal are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If the signal strength of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and the signal strength of another voice signal is less than the set value,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voice signal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is the first gain value, and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voice signal less than the set value is set to the second gain value. have.

또한 이득 결정부는,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 상기 수신 음성신호 모두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 상기 수신 음성신호에 대한 증폭이득을 상기 제1이득값과 제2이득값 사이의 값인 제3이득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gain determin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gain that is a value between the first gain value and the second gain value when 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and the received voice signal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value. Can be set to a value.

한편 이득 결정부는,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또는 상기 수신 음성신호의 레벨 및 증폭이득을 다단계로 구분하여 매칭시키며, 감시된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송신 음성신호 및/또는 수신 신호의 증폭이득을 결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ain determiner may match the level and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and / or the received voice signal in multiple stages, and determine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corresponding transmitted voice signal and / or the received signal according to the monitored result. have.

본 발명의 통신기기의 음성신호 제어장치의 제2실시는, 송신 음성신호 및/또는 수신 음성신호를 감시하며, 감시된 결과의 레벨에 따라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또는 상기 수신 음성신호의 증폭이득을 결정하고, 결정된 각각의 상기 증폭이득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또는 상기 수신 음성신호가 증폭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voice signal control apparatus of th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a transmission voice signal and / or a reception voice signal, and amplifies and gains 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and / or the received voice signal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monitored result. And determine that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and / or the received voice signal are amplified based on each of the determined amplification gains.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의 음성신호 제어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인 송신 음성신호와 상대측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인 수신 음성신호의 신호세기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신호세기에 따라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또는 상기 수신 음성신호의 증폭이득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각각의 상기 증폭이득에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또는 상기 수신 음성신호가 증폭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voice signal of a communication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signal strengths of a transmission voice signal, which is a voice signal input by a user, and a received voice signal, which is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a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Determining an amplification gain of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and / or the received voice signal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And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and / or the reception voice signal to be amplified at each of the determined amplification gains.

여기서, 이득 결정단계는,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 상기 수신 음성신호의 상기 신호세기 모두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 상기 수신 음성신호 모두에 대한 증폭이득을 제2이득값으로 설정하고, 어느 한 음성신호의 신호세기가 설정값 이상이고 다른 음성신호의 신호세기는 설정값 미만인 경우 설정값 이상인 음성신호의 증폭이득을 제1이득값으로 하고 설정값 미만인 음성신호의 증폭이득은 제2이득값으로 설정하되, 상기 제1이득값은 상기 제2이득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ain determining step may include setting an amplification gain for both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and the received voice signal as a second gain value when both the signal strengths of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and the received voice signal are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When the signal strength of one voice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other voice signal is less than the set value,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voice signal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is the first gain value, and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voice signal that is less than the set value is the second gain value. The first gain is greater than the second gain.

또한 이득 결정단계는,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 상기 수신 음성신호의 신호세기 모두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 상기 수신 음성신호에 대한 증폭이득을 상기 제1이득값과 제2이득값 사이의 값인 제3이득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ain determining step may further include amplifying gain between the first gain value and the second gain value when both the signal strengths of 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and the reception voice signal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value. The third gain is set as a value.

한편 이득 결정단계는,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또는 상기 수신 음성신호의 레벨 및 증폭이득을 다단계로 구분하여 매칭시키며, 감시된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송신 음성신호 및/또는 수신 신호의 증폭이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gain determining step, the level and amplification gain of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and / or the received voice signal are classified and matched in multiple stages, and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corresponding transmitted voice signal and / or received signa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onitored result. Characterized in that.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의 음성신호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은, 수신 음량을 줄이지 않고도 하울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송화자의 목소리가 자신의 리시버로 들려오는 사이드톤을 억제하여 귀에 거슬림이 없이 원활하게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us, the voice signa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howling without reducing the volume of the reception, and also to the sidetone that the voice of the caller to his receiver By suppressing it, you can make a call smoothly without any annoyan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의 음성신호 제어장치는, 인터넷 전화(IP phone), 핸드폰과 같이 4선식 통화를 하는 경우에도 적용되어 하울링을 억제할 수 있으며, 2선식 인터폰이나 4선식 인터폰에도 적용되어 하울링을 억제할 수도 있고, 일반 전화회선과 IP 폰이 혼재되어 있는 전화 시스템에도 적용되어 하울링 억제와 사이드톤의 억제를 위한 역할을 하는 등 상대방과 통화를 요하는 모든 통신시스템에도 적용되어 통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voice signal control apparatus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four-wire call such as an Internet phone (IP phone), a mobile phone can suppress howling, two-wire interphone or four It can be applied to a wired interphone to suppress howling, and also to a telephone system where a general telephone line and an IP phone are mixed to serve as a way to suppress howling and sidetones. Can be applied to improve call qualit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에 앞서, 이하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범위가 기재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thi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easi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기의 음성신호 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의 사이드 톤 및 하울링 제어장치(100)는 훅 스위치(110), 2선/4선 변환부(120), 제어부(130), 증폭부(140), 송수화기(15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구비한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oice signal control apparatus of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ide tone and howling control device 100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ok switch 110, 2-wire / 4-wire conversion unit 120, the control unit 130, amplifying unit 140, the handset 150, and the user interface 160.

여기서, 송수화기(150)는 전기적 신호(이하, 음성신호라고 명명한다)를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152) 및 소리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154)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착신신호에 대응하는 벨 소리를 발생시키는 전화벨 발생부(162),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거나 돌려진 버튼 또는 다이얼에 대응하는 톤 음을 발생시키는 다이얼 톤 발생부(164) 및 착신신호에 대응하는 발신자 표시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숫자를 표시하는 표시부(166)를 포함한다.Here, the handset 150 includes a speaker 152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oice signal) to sound and a microphone 154 for converting sound into a voice signal. 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unit 160 includes a telephone ring generator 162 for generating a ring tone corresponding to an incoming signal, and a dial tone generator 164 for generating a tone sound corresponding to a button or dial pressed or turned by a user. And a display unit 166 displaying a caller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incoming call signal and a number input by the user.

훅 스위치(110)는 사용자가 전화기(100)로부터 송수화기(150)를 들거나 놓음으로써 송수화기(150)를 대기 상태와 통화 상태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The hook switch 110 functions to switch the handset 150 to a standby state and a call state by a user lifting or releasing the handset 150 from the telephone 100.

2선/4선 변환부(120)는 외부적으로 국선 라인과 연결되어 송수신되는 2선 라인 신호를 내부의 스피커 선 2개와 마이크 선 2개의 4선 라인 신호로 변환한다. 일반적으로 유/무선 전화기는 외부적으로 국선 라인과 2개의 꼬임선(twisted-pair wire)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반면, 내부적으로는 스피커 선 2개와 마이크 선 2개의 4선 라인을 이용하여 송수화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2선/4선 변환부(120)는 전화기 외부에 대한 신호의 송수신과 내부에 대한 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2선식과 4선식을 서로 변환시킨다. 이때, 2선/4선 변환부(120)는 2선 연결부에 인가된 신호를 4선 출력 연결부로 출력하고, 4선 입력 연결부에 인가된 신호를 2선 연결부로 출력하며, 4선 입력 연결부에 인가된 신호가 4선 출력 연결부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DAA(Data Access Arrangement) 칩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wo-wire / four-wire converter 120 converts the two-wire line signal externally connected to the trunk line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o two 4-wire line signals of two internal speaker wires and two microphone wires. In general, wired / wireless telephones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externally using CO lines and two twisted-pair wires, whereas internally, four handset lines are provided using two speaker lines and two microphone lines. And to transmit and receive the signal, the two-wire / four-wire converter 120 converts the two-wire and four-wire to each other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signal to the outside of the phone and the signal to the inside. At this time, the 2-wire / 4-wire converter 120 outputs the signal applied to the 2-wire connection unit to the 4-wire output connection unit, and outputs the signal applied to the 4-wire input connection unit to the 2-wire connection unit, It is preferable to use a Data Access Arrangement (DAA) chip that can prevent the applied signal from being output to the 4-wire output connection.

제어부(130)는 마이크(154)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상대측 단말기(도시하지 않음)로 송신되는 음성신호 및/또는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지를 감시하며, 감시된 결과에 따라 상대측 단말기로 송신되는 음성신호(이하, 송신신호라고도 한다) 및/또는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이하, 수신신호라고도 한다)의 증폭이득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각각의 증폭이득에 기초하여 송신신호 및/또는 수신신호가 증폭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130 monitors whether the voice signal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microphone 154 and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not shown) and / or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According to the result,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voice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ransmission signal)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 or the voice signal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recep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is determined, and the respective amplification gains are determined. Control to amplify the transmission signal and / or the reception signal based on the result.

또는, 제어부(130)는 송신신호 및/또는 수신신호의 레벨을 다단계로 구분하며, 감시된 송신신호 및/또는 수신신호의 레벨에 따라 송신신호 및/또는 수신신호에 매칭되는 증폭이득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각각의 증폭이득에 기초하여 송신신호 및/또는 수신신호가 증폭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30 divides the levels of the transmission signal and / or the reception signal into multiple stages, and determines an amplification gain matching the transmission signal and / or the reception signal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monitored transmission signal and / or the reception signal. The transmission signal and / or the reception signal may be amplified based on the determined amplification gain.

이와 같은 제어부(130)는 증폭이득에 대한 값을 기 설정하여 두고, 송신되는 음성신호 및/또는 수신되는 음성신호의 감시된 결과에 따라 매칭되는 증폭이득으로 송신신호 및/또는 수신신호의 증폭을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DSP는 디지털 신호를 기계장치가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집적회로로서, 아날로그 신호인 음성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음성코딩하고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와는 별도의 보조 처리기로 사용되어 중앙처리장치의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The control unit 130 sets a value for the amplification gain in advance, and amplifies the transmission signal and / or the reception signal with a matching amplification gain according to the monitored result of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and / or the received voice signal. It may be implemented by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that performs an algorithm for controlling. Here, DSP is an integrated circuit that allows a mechanical device to process a digital signal quickly, and digitally encodes an audio signal, which is an analog signal, to be voice coded and used as an auxiliary processor separate from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It also serves to relieve the burden on the processing equipment.

또는, 제어부(130)는 하드웨어적 구성요소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및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감시하는 음성신호 감시부(132), 감시된 결과에 따라 송신 및/또는 수신되는 음성신호에 대한 증폭이득을 결정하는 이득 결정부(134) 및 이득 결정부(134)에 의해 결정된 각각의 증폭이득에 기초하여 송신 및/또는 수신되는 음성신호가 증폭되도록 제어하는 이득 제어부(136)를 구비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30 is a hardware component, as shown in FIG. 2, the voice signal monitoring unit 132 for monitoring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voice signals, and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and / or received according to the monitored result. A gain determining unit 134 for determining an amplification gain for the control unit and a gain control unit 136 for controlling the amplified gain determined by the gain determining unit 134 to amplify a voice signal transmitted and / or received. You may.

여기서, 음성신호 감시부(132)는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감시하는 수신 음성신호 감시부(132-1) 및 마이크(154)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감시하는 송신 음성신호 감시부(132-2)를 구분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voice signal monitoring unit 132 transmits a voice signal for monitoring the voice signal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reception voice signal monitoring unit 132-1 and the microphone 154 for monitoring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opposite terminal. The monitoring unit 132-2 may be divided and configur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또한, 이득 제어부(136)는 이득 결정부(134)에 의해 결정된 수신신호의 증폭이득에 기초하여 수신신호의 증폭을 제어하는 수신이득 제어부(136-1) 및 송신신호의 증폭이득에 기초하여 송신신호의 증폭을 제어하는 송신이득 제어부(136-2)를 구분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gain control unit 136 transmits based on the reception gain control unit 136-1 which controls the amplification of the reception signal based on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reception signal determined by the gain determination unit 134 and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transmission signal. The transmission gain control unit 136-2 controlling the amplification of the signal may be separately configured.

이때, 이득 결정부(134)는 송신되는 음성신호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에 송신신호의 증폭이득을 최대값으로 설정하고, 수신신호의 증폭이득을 최소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증폭이득의 최대값 및 최소값은 그 전화기(100)가 발생시킬 수 있는 dB 값에 기초하여 기 설정되어 있으며, 이득 결정부(134)는 송신되는 음성신호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에 송신신호의 dB값이 최대가 되도록 증폭이득을 최대값으로 설정하고 수신신호의 당량이 최소가 되도록 증폭이득을 최소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ain determining unit 134 may set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transmission signal to the maximum value and set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reception signal to the minimum value when the voice signal to be transmitt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Here,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amplification gain are preset based on the dB value that the telephone 100 can generate, and the gain determining unit 134 determines the dB of the transmission signal when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et value. The amplification gain can be set to the maximum value so that the value is maximum, and the amplification gain can be set to the minimum value so that the equivalent of the received signal is minimum.

또한, 이득 결정부(134)는 송신되는 음성신호가 설정치보다 작은 경우에 송신신호의 dB값이 최소가 되도록 증폭이득을 최소값으로 설정하고, 수신신호의 dB값이 최대가 되도록 증폭이득을 최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ain determining unit 134 sets the amplification gain to a minimum value such that the dB value of the transmission signal is minimum when the voice signal to be transmitted is smaller than the set value, and maximizes the amplification gain so that the dB value of the received signal is maximum. Can be set.

또는, 이득 결정부(134)는 송신 및/또는 수신되는 음성신호의 레벨 및 증폭이득을 다단계로 구분하여 서로 매칭시키며, 음성신호 감시부(132)에 의해 감시된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송신 및/또는 수신신호의 증폭이득을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gain determiner 134 may match the level and amplification gain of the transmitted and / or received voice signal in multiple stages and match each other, and according to the result monitored by the voice signal monitor 132, the corresponding transmission and / or Or it may be implemented to determine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received signal.

이득 결정부(134)에 의해 결정된 증폭이득에 기초하여 증폭부(140)의 수신신호 증폭기(142)는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송수화기(150)의 스피커(152)로 전송하며, 송신신호 증폭기(144)는 송수화기(150)의 마이크(154)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상대측 단말기로 송신한다.On the basis of the amplification gain determined by the gain determiner 134, the received signal amplifier 142 of the amplifier 140 amplifies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the speaker 152 of the handset 150. The transmission signal amplifier 144 amplifies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54 of the handset 150 and transmits it to the counterpart terminal.

도 3은 도 1의 통신기기의 음성신호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와 같은 음성신호 제어방법은 DSP로 구현된 제어부(130)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은 구성요소를 구비하는 제어부(130)에 의해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하드웨어적 구성요소에 의해 실행되는 통신기기의 음성신호 제어방법을 기술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signal control method of the communication device of FIG. 1. Such a voice signal control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by the controller 130 implemented as a DSP, or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by the controller 130 having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Hereinafter, a voice signal control method of a communication device executed by a hardware component will be described.

음성신호 감시부(132)의 수신 음성신호 감시부(132-1)는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감시한다. 또한, 제어부(130)의 송신 음성신호 감시부(132-2)는 마이크(154)를 통해 입력되어 상대측 단말기로 송신되는 음성신호를 감시한다(S101). 이때, 음성신호 감시부(132)는 송신신호 및/또는 수신신호의 세기를 감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득 결정부(134)는 음성신호 감시부(132)에 의해 감시된 결과에 따라 송신 및/또는 수신되는 음성신호에 대한 증폭이득을 결정한다. The received voice signal monitoring unit 132-1 of the voice signal monitoring unit 132 monitors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monitoring unit 132-2 of the controller 130 monitors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54 and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S101). In this case, the voice signal monitoring unit 132 may be implemented to monitor the strength of the transmission signal and / or reception signal. In this case, the gain determiner 134 determines the amplification gain for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and / or received according to the result monitored by the voice signal monitor 132.

예를 들어, 음성신호 감시부(132)는 송신신호 및/또는 수신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지를 감시한다(S101). 여기서 설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송신신호 또는 수신신호의 에너지가 소리 신호로 인식할 정도의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소리 에너지의 레벨을 다단계로 설정하고 이에 따른 판단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득 결정부(134)는 음성신호 감시부(132)에 의해 감시되는 송신신호 및 수신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음성신호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 S105로 진행하여 두 음성신호 모두 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한다. 하나의 음성신호만 설정값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설정값 이상인 음성신호에 대한 증폭이득을 최대값으로 결정하는 한편(S107) 설정값보다 작은 음성신호에 대한 증폭이득은 최소값으로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만일 S103에서 두 신호 모두 설정값 미만이라고 판단한 경우 송신 음성신호 및 수신 음성신호 모두의 이득값을 최소로 설정한다(S109). 이와 같은 설정은 현재 소리가 있는 음성신호는 증폭을 최대화하여 음성을 충분히 전달하도록 하는 한편, 소리가 없거나 미약한 음성신호는 반대로 증폭을 최대한 억제하여 하울링이나 사이드톤을 방지하고자 함이다. S105의 판단 결과, 음성신호 감시부(132)에 의해 감시되는 송신신호 및 수신신호가 모두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송신신호 및 수신신호에 대한 각각의 증폭이득을 중간값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11). 다시 말해 마이크 신호와 수신신호가 모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하울링의 발생과 사이드톤이 충분히 억제되는 레벨의 수신신호 이득과 송신신호 이득을 내도록 설정한다. 경우에 따라 하울링 발생을 억제하고 사이드 톤을 충분히 억제하는 수준에서 송신신호 또는 수신신호 어느 한쪽의 이득을 크게, 다른 한쪽의 이득을 작게 결정 할 수 있다. 수신 이득 제어부(136-1) 및 송신 이득 제어부(136-2)는 이득 결정부(134)에 의해 결정된 수신신호 증폭이득 및 송신신호 증폭이득에 기초하여 송신신호 및 수신신호가 증폭되도록 제어한다(S113). For example, the voice signal monitoring unit 132 monitors whether the intensity of the transmission signal and / or the reception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S101).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he setting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whether the energy of the transmission signal or the reception signal has energy enough to be recognized as a sound sign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ound energy level may be set in multiple stages, and the judgment may be made accordingly. The gain determination unit 134 proceeds to step S105 when at least one of th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reception signal monitored by the audio signal monitoring unit 132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and determines whether both audio signals ar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do. When it is determined that only one voice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the amplification gain for the voice signal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is determined as the maximum value (S107), and the amplification gain for the voice signal smaller than the set value may be implemented as the minimum value. . If it is determined in S103 that both signals are less than the set value, the gain values of both 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and the reception voice signal are set to minimum (S109). Such a setting is to maximize the amplification of the voice signal with the current sound to sufficiently deliver the voice, while the no or weak voice signal is to suppress the amplification as much as possible to prevent howling or sideton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105, when both th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reception signal monitored by the audio signal monitoring unit 132 ar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et value,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 respective amplification gains for th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reception signal as intermediate values (S111). ). In other words, if it is determined that both the microphone signal and the received signal are present, the reception signal gain and the transmission signal gain of a level where the generation of the howling and the side tone are sufficiently suppressed are set. In some cases, the gain of either the transmitted signal or the received signal can be large and the gain of the other small can be determined at a level that suppresses howling occurrence and sufficiently suppresses side tones. The reception gain control unit 136-1 and the transmission gain control unit 136-2 control th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reception signal to be amplified based on the reception signal amplification gain and the transmission signal amplification gain determined by the gain determination unit 134 ( S113).

음성신호 감시부(132)에 의해 감시되는 송신신호 및 수신신호의 레벨에 따라 증폭이득값을 결정하기 위한 로직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다. 여기서, 음성신호 감시부(132)에 의해 감시되는 송신신호 및/또는 수신신호의 레벨을 측정하여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1로 표기하였으며, 설정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0으로 표기하였다. Logic for determining the amplification gain valu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reception signal monitored by the audio signal monitoring unit 132 is shown in FIG. Here, the level of the transmission signal and / or the reception signal monitored by the voice signal monitoring unit 132 is measured and is marked as 1 when th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and 0 when the value is smaller than the set value.

도 4의 표를 참고하면, 송신 음성신호와 수신 음성신호가 모두 0인 경우 양자의 신호증폭이득은 모두 최소로 한다. 증폭할 필요가 있는 의미있는 음성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므로 하울링이나 사이드톤을 억제하기 위하여 증폭을 최소로 하는 것이다. 송신 음성신호가 0이고 수신 음성신호가 1인 경우는 수신 음성신호만을 일정값 이상으로 증폭하되 신호가 없는 송신음성신호는 증폭을 억제하여 역시 하울링이나 사이드톤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이와는 반대로 송신 음성신호가 1이고 수신 음성신호가 0인 경우는 송신 음성신호만을 일정값 이상으로 증폭하되 신호가 없는 수신음성신호는 증폭을 억제하여 역시 하울링이나 사이드톤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마지막으로 송신 음성신호와 수신 음성신호가 모두 1인 경우는 음성신호는 증폭하되 하울링이나 사이드톤을 억제할 수 있는 적정한 증폭비율로 증폭을 하게 된다. Referring to the table of FIG. 4, when both 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and the reception voice signal are zero, both signal amplification gains are minimized. Since there is no meaningful audio signal that needs to be amplified, the amplification is minimized to suppress howling or sidetones. If 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is 0 and the reception voice signal is 1, only the reception voice signal is amplified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but 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without a signal is suppressed to minimize amplification of howling or sidetone. On the contrary, when 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is 1 and the reception voice signal is 0, only 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is amplified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but the reception voice signal without a signal is suppressed to minimize amplification of howling or sidetone. Finally, when bot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voice signals are 1, the audio signal is amplified, but amplified at an appropriate amplification ratio that can suppress howling and sideton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기의 음성신호 제어방법은 DSP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드웨어적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되는 통신기기의 사이드 톤 및 하울링 제어방법보다 훨씬 높은 자유도를 가지고 구현할 수 있으며, 상황 변화에 따른 알고리즘의 파라미터 변경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154)를 통해 입력되는 송신신호만을 음성신호 감시부(132)의 감시 대상으로 하며, 이득 결정부(134)는 송신신호의 세기가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수신신호의 증폭이득을 최대로 하고 송신신호의 증폭이득은 최소로 할 수 있다. 또한, 이득 결정부(134)는 송신신호의 세기가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는 수신신호의 증폭이득은 최소로 하며 송신신호의 증폭이득은 최대로 결정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신호만을 음성신호 감시부(132)의 감시 대상으로 하며, 이득 결정부(134)는 수신신호의 세기가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송신신호의 증폭이득을 최대로 하고 수신신호의 증폭이득은 최소로 할 수 있다. 또한, 이득 결정부(134)는 수신신호의 세기가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는 송신신호의 증폭이득은 최소로 하며 수신신호의 증폭이득은 최대로 결정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oice signal control method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using a DSP. In this case, it can be implemented with a much higher degree of freedom than the side tone and howling control method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mplemented by the hardware component,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parameters of the algorithm according to the situation chang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only the transmission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54 is monitored by the voice signal monitoring unit 132, and the gain determination unit 134 has a strength greater than the set value of the transmission signal. In the small case,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reception signal can be maximized and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transmission signal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the gain determining unit 134 may determine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received signal to a minimum and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transmission signal to a maximum when the strength of the transmission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In other cases, as shown in FIG. 6, only the received signal is monitored by the voice signal monitoring unit 132. The gain determining unit 134 obtains an amplification gain of the transmission signal when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is smaller than the set value. The maximum gain and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received signal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when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the gain determiner 134 may determine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transmission signal to be minimum and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reception signal to the maximum.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s well as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기의 음성신호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udio signal control apparatus of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기의 음성신호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signal control method of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송신신호 및 수신신호의 상태를 감시하여 결정되는 증폭이득의 로직에 대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logic of the amplification gain determined by monitoring the states of th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reception signal.

도 5는 송신신호의 상태를 감시하여 결정되는 증폭이득의 로직에 대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logic of amplification gain determined by monitoring a state of a transmission signal.

도 6은 수신신호의 상태를 감시하여 결정되는 증폭이득의 로직에 대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logic of amplification gain determined by monitoring a state of a received signal.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32: 음성신호 감시부 134: 이득 결정부132: voice signal monitoring unit 134: gain determination unit

136: 이득 제어부136: gain control unit

Claims (10)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인 송신 음성신호와 상대측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인 수신 음성신호를 감시하는 음성신호 감시부;A voice signal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a transmission voice signal which is a voice signal input by a user and a reception voice signal which is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a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음성신호 감시부에 의해 감시된 송신 음성신호 및 수신 음성 신호를 다단계의 에너지 레벨로 구분하여 설정값과 비교하고, 상기 에너지 레벨에 따라 구분된 송신 음성신호 및 상기 수신 음성신호에 대한 증폭이득을 결정하는 이득 결정부; 및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and the reception voice signal monitored by the voice signal monitoring unit are divided into energy levels of multiple stages and compared with a set value, and the amplification gains for 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and the received voice signal classified according to the energy levels are obtained. A gain determination unit to determine; And 상기 이득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각각의 에너지 레벨에 따른 증폭이득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또는 상기 수신 음성신호가 증폭되도록 제어하는 이득 제어부를 포함하고,A g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and / or the reception voice signal to be amplified based on an amplification gain according to each energy level determined by the gain determination unit, 상기 이득 결정부는 The gain determination unit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 상기 수신 음성신호의 신호세기 모두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 상기 수신 음성신호 모두에 대한 증폭이득을 제2이득값으로 설정하고, 어느 한 음성신호의 신호세기가 설정값 이상이고 다른 음성신호의 신호세기는 설정값 미만인 경우 설정값 이상인 음성신호의 증폭이득을 제1이득값으로 하고 설정값 미만인 음성신호의 증폭이득은 제2이득값으로 설정하되, 상기 제1이득값은 상기 제2이득값보다 크고,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 상기 수신 음성신호 모두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 상기 수신 음성신호에 대한 증폭이득을 상기 제1이득값과 제2이득값 사이의 값인 제3이득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의 음성신호 제어장치.When both the signal strengths of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and the received voice signal are less than a set value, the amplification gain for both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and the received voice signal is set as a second gain value, and the signal strength of one voice signal is set. If the signal strength of the other voice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value and less than the set value,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voice signal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is set as the first gain value, and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voice signal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is set to the second gain value. The value is greater than the second gain value, and if both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and the received voice signal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value, an amplification gain for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and the received voice signal is between the first gain value and the second gain value. And a third gain value which is a value of.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통신기기의 음성신호 제어방법에 있어서,In the voice signal control method of a communication device,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인 송신 음성신호와 상대측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인 수신 음성신호의 신호세기를 감지하는 단계;Detecting signal strengths of a transmitted voice signal which is a voice signal input by a user and a received voice signal which is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a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음성신호 감시부에 의해 감시된 송신 음성신호 및 수신 음성 신호를 다단계의 에너지 레벨로 구분하여 설정값과 비교하고, 상기 에너지 레벨에 따라 구분된 송신 음성신호 및 상기 수신 음성신호에 대한 증폭이득을 결정하는 단계; 및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and the reception voice signal monitored by the voice signal monitoring unit are divided into energy levels of multiple stages and compared with a set value, and the amplification gains for 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and the received voice signal classified according to the energy levels are obtained. Determining; And 결정된 각각의 에너지 레벨에 따른 증폭이득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또는 상기 수신 음성신호가 증폭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And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and / or the reception voice signal to be amplified based on an amplification gain according to each energy level determined. 상기 증폭이득을 결정하는 단계는Determining the amplification gain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 상기 수신 음성신호의 신호세기 모두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 상기 수신 음성신호 모두에 대한 증폭이득을 제2이득값으로 설정하고, 어느 한 음성신호의 신호세기가 설정값 이상이고 다른 음성신호의 신호세기는 설정값 미만인 경우 설정값 이상인 음성신호의 증폭이득을 제1이득값으로 하고 설정값 미만인 음성신호의 증폭이득은 제2이득값으로 설정하되, 상기 제1이득값은 상기 제2이득값보다 크고,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 상기 수신 음성신호 모두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송신 음성신호 및 상기 수신 음성신호에 대한 증폭이득을 상기 제1이득값과 제2이득값 사이의 값인 제3이득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의 음성신호 제어방법.When both the signal strengths of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and the received voice signal are less than a set value, the amplification gain for both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and the received voice signal is set as a second gain value, and the signal strength of one voice signal is set. If the signal strength of the other voice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value and less than the set value,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voice signal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is set as the first gain value, and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voice signal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is set to the second gain value. The value is greater than the second gain value, and if both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and the received voice signal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value, an amplification gain for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and the received voice signal is between the first gain value and the second gain value. And a third gain value which is a value of.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85606A 2009-09-10 2009-09-1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ound signal for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353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606A KR101135382B1 (en) 2009-09-10 2009-09-1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ound signal for communication terminal
PCT/KR2010/006055 WO2011031050A2 (en) 2009-09-10 2010-09-07 Voice signal controlling device of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606A KR101135382B1 (en) 2009-09-10 2009-09-1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ound signal for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498A KR20110027498A (en) 2011-03-16
KR101135382B1 true KR101135382B1 (en) 2012-05-16

Family

ID=43732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606A KR101135382B1 (en) 2009-09-10 2009-09-1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ound signal for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5382B1 (en)
WO (1) WO2011031050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182B1 (en) * 2015-02-11 2015-09-25 주식회사 네트워크코리아 Monitoring apparatus of emergency situ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30021846A (en) * 2021-08-06 2023-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noise caused by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262A (en) * 2004-11-23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howling in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092B1 (en) * 2004-01-20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eventing howling in wireless terminal
KR20080015970A (en) * 2006-08-17 200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removing a howling effect in consideration of a correlation degree between a transmitting sound and a receiving soun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262A (en) * 2004-11-23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howling in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1050A2 (en) 2011-03-17
WO2011031050A3 (en) 2011-06-16
KR20110027498A (en)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27431B2 (en) Transmitter, telephone using it
US6321080B1 (en) Conference telephone utilizing base and handset transducers
US20070237339A1 (en) Environmental noise reduction and cancellation for a voice over internet packets (VOIP) communication device
TW201346886A (en) Audio device with a voice coil channel and a separately amplified telecoil channel
KR20040073224A (en) Apparatus and method procesing calling tone of wire/wirless telephone
KR1011353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ound signal for communication terminal
WO2002043261A2 (e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conference calls
KR100423705B1 (en) A cellulra phone having function of a hearing aid
EP2083558A1 (en) Mobile phone, method of switching a mobile phone and use of a mobile phone
KR20110080306A (en) A mobile device having hearing aid compatibility
JPWO2003103253A1 (en) Transmitter / receiver
US20080043995A1 (en) Histogram for controlling a telephone
US747194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a third party from overhearing a telephone conversation
US20090310520A1 (en) Wideband telephone conference system interface
JPH1070600A (en) Telephone set
JP2012129741A (en) Automatic volume correction device
KR100619799B1 (en) Earphone- microphone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telephone volum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188067Y1 (en) Transmit-receive device of aural data
JPH1070425A (en) Telephone set
JP2006174007A (en) Telephone system and earphone microphone set
KR200254448Y1 (en) Phone volume controller
JP3412306B2 (en) Wireless device
JP2018139361A (en) Speech processing unit
JP2004274250A (en) Calling device
JP2008011300A (en) Radio hearing ai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