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064B1 - Hearing ai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hearing aid system - Google Patents

Hearing ai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hearing aid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064B1
KR101135064B1 KR1020100045149A KR20100045149A KR101135064B1 KR 101135064 B1 KR101135064 B1 KR 101135064B1 KR 1020100045149 A KR1020100045149 A KR 1020100045149A KR 20100045149 A KR20100045149 A KR 20100045149A KR 101135064 B1 KR101135064 B1 KR 101135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signal
wearer
emergency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1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25557A (en
Inventor
이상민
고민수
노진용
임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치티아이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치티아이,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치티아이
Priority to KR1020100045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064B1/en
Publication of KR20110125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5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0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0Monitoring or testing of hearing aids, e.g. functioning, settings, battery pow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55Communication between hearing aids and external devices via a network for data ex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착용자로부터 측정된 체온, 맥박, 충격 신호로 인한 응급 알람 신호를 발생하여 보청기 착용자에게 경고음 등의 소리를 발생하거나 진동을 발생하며,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보호자나 지인 혹은 응급 구조센터에 응급 상황을 알릴 수 있는 보정기, 그 동작 방법, 및 보청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보청기는 보청기 착용자의 생체 감지에 따라 보청기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알람 신호를 출력한다.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보청기로부터의 상기 알람 신호와 알람 발생시를 기준으로 일정 시간 이내의 음성 신호를 저장하고, 프로그램된 처리 순서에 따라 보호자나 지인 혹은 응급 구조 센터에 응급 상황을 전송한다.Generate emergency alarm signals due to body temperature, pulse and shock signals measured by the wearer to generate sound such as warning sound or vibration to wearer of hearing aid, and to notify the guardian, acquaintance or emergency rescue cent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 compensator,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nd a hearing aid system are provided. The hearing aid sets an operation mode of the hearing aid and outputs an alarm signal according to the biometric detection of the wear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the alarm signal from the hearing aid and the voice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occurrence of the alarm, and transmits an emergency situation to a guardian, an acquaintance or an emergency rescue center according to a programmed processing sequence.

Description

보청기, 그 동작 방법, 및 보청기 시스템{Hearing ai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hearing aid system}Hearing aids,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nd a hearing aid system

본 발명은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보청기 착용자의 건강 이상에 따라 알람을 온/오프하여 응급 상황을 처리하는 보청기, 그 동작 방법, 및 보청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aid,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ring aid for handling an emergency by turning on / off an alarm according to a health disorder of a hearing aid wearer,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a hearing aid system.

일반적으로, 난청인은 일상 생활에서 대화를 듣고 나누는데 이해가 곤란할 정도로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사람, 즉 청각에 장애가 있는 사람을 말하며, 난청 정도에 따라 27 dB ~ 40 dB의 청력 손실은 경도 난청, 41 dB ~ 55 dB의 청력 손실은 중등도 난청, 56 dB ~ 70 dB의 청력 손실은 중고등 난청 및 70 dB ~ 90 dB의 청력 손실은 고도 난청으로 분류되며, 91 dB 이상의 청력 손실은 농으로 분류된다.In general, a hearing impaired person is a person who has a hearing impairment tha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at is, it is difficult to comprehend the conversation in daily life, and a hearing loss of 27 dB to 40 dB may depend on the degree of hearing loss. Hearing loss of dB to 55 dB is classified as moderate hearing loss, 56 dB to 70 dB hearing loss is classified as middle and high hearing loss, and hearing loss of 70 dB to 90 dB is classified as high hearing loss.

이러한 청각에 장애가 있는 난청인은 일상 생활을 자연스럽게 할 수 없는 바, 난청 정도를 충분히 보상해 줄 수 있는 장치인 보청기가 필요하며, 보청기는 난청 정도에 따라 화자음 또는 주변음을 증폭하여 난청인이 말소리를 보다 똑똑히 들을 수 있게 해 주며, 보다 자연음에 가깝게 들리도록 보조해 주는 장치이다.Hearing impaired people with such a hearing impaired can not do the daily life naturally, a hearing aid that is a device that can sufficiently compensate for the degree of hearing loss, hearing aids by amplifying the hearing or surrounding sounds according to the degree of hearing loss It is a device that allows you to hear words more clearly and assists them to sound more natural.

일반적으로, 보청기는 화자음 및 주변음을 수집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송화기, 송화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정류 및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여 난청인의 귀로 전달하는 수화기 및 송화기, 상기 수화기 및 증폭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청기의 종류로는 상자형, 귀속형, 귀 걸이형, 및 안경형이 있으며, 최근에는 귀속형을 더욱 발전시킨 것으로 귀속 깊숙이 넣을 수 있는 고막형이 추가되었다. 이와 같이, 난청인에게 있어서 보청기는 항상 귀에 착용하고 다니는 기기로서 난청인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거나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귀속형 보청기의 경우 각종 센서들이 귀속형 보청기에 장착이 되어 귀속 환경에서 직접적으로 체온 변화 측정, 맥박 측정, 착용자의 넘어짐 혹은 진동, 충격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귀걸이형 보청기의 경우, 각종 센서들이 귀속에 위치되는 이어몰드(ear-mold)에 장착되어, 귀속형 보청기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In general, a hearing aid includes a handset that collects and outputs an audible and ambient sound as an electrical signal, an amplifier that receives and outputs a signal outputted from the handset, and amplifies and amplifies the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er to an ear of a hearing person. It includes a handset and a handset for transmitting, and a battery for powering the handset and the amplifier. Types of hearing aids are box type, ear type, ear hook type, and eyeglass type. Recently, the ear type is further developed, and a tympanic type that can be inserted deeply has been added. As described above, the hearing aid is a device worn on the ear at all times and may perform an additional function of measuring the biosignal of the hearing impaired or generating an alarm. In the case of an ear hearing aid, various sensors are mounted on the ear hearing aid to directly detect body temperature change, pulse measurement, falling, vibration, and shock conditions of the wearer in the home environment. In the case of an ear type hearing aid, various sensors are mounted in an ear mold located at an ear, and thus may function as an ear type hearing aid.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착용자로부터 측정된 체온, 맥박, 충격 신호로 인한 응급 알람 신호를 발생하여 보청기 착용자에게 경고음 등의 소리를 발생하거나 진동을 발생하며,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보호자나 지인 혹은 응급 구조센터에 응급 상황을 알릴 수 있는 보정기, 그 동작 방법, 및 보청기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generates an emergency alarm signal due to the body temperature, pulse, and shock signals measured from the wearer to generate a sound such as a warning sound or vibration to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ensator,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nd a hearing aid system capable of informing a guardian, an acquaintance or an emergency rescue cent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지만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측정치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체온 경고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변화량이 상기 기준치를 초과한 동시에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측정치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체온 긴급 신호를 발생하는 체온 감지부,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지만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수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맥박 경고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한 동시에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수가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맥박 긴급 신호를 발생하는 맥박 감지부, 및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량이 충격 기준치를 초과하였는 지의 여부에 따라 움직임 정지 상황 경고 신호 또는 충격 상황 긴급 신호를 발생하여 충격 감지부를 구비하는 생체 정보 감지기; 상기 생체 정보 감지기로부터 경고 신호 또는 긴급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경고 신호가 상기 체온 감지부, 상기 맥박 감지부, 또는 상기 충격 감지부 중의 하나로부터 입력된 경우 상기 보청기를 경고 모드로 설정하고 경고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경고 신호가 2개 이상의 감지부로 입력되거나 상기 긴급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보청기를 긴급 모드로 변경하고 긴급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발생된 경고 모드 제어 신호 및 긴급 모드 제어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경고 모드 알람 신호 및 긴급 모드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알람기; 및 상기 알람기에 의해 발생된 경고 모드 알람 신호 또는 긴급 모드 알람 신호를 무선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 또는 보청기 리모콘으로 실시간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body temperature of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and generates a temperature warning signal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change of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wearer exceeds the threshold but th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of the hearing aid wearer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A body temperature detector for generating a body temperature emergency signal and a pulse of the hearing aid wearer when 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exceeds the reference value and the measured temperature value of the hearing aid wearer exceeds the threshold, and detects a pulse of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If the amount of change exceeds the threshold but the detected hearing aid wearer's pulse rate is less than the threshold, a pulse warning signal is generated, and the detected change in the hearing aid wearer's pulse rate exceeds the threshold and the detected hearing aid wearer's pulse rate exceeds the threshold. If pulse emergency signal The impact pulse detection unit and the impact amount of the hearing aid wearer are detected, and the impact detection unit is generated by generating a motion stop situation warning signal or an emergency situation emergency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detected shock amount of the hearing aid wearer has exceeded the shock reference value. Biometric information detector; It is determined whether a warning signal or an emergency signal is input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detector, and when the warning signal is input from one of the body temperature detector, the pulse detector, or the shock detector, the hearing aid is set to a warning mode.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warning mode control signal and changing the hearing aid to an emergency mode when the warning signal is input to two or more detection units or the emergency signal is input, and generating an emergency mode control signal; An alarm for generating a warning mode alarm signal and an emergency mode alarm signal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warning mode control signal and the emergency mod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warning mode alarm signal or an emergency mode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alarm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r a hearing aid remote controller in real time.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은 보청기 착용자의 생체 감지에 따라 보청기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보청기; 및 상기 보청기로부터의 상기 알람 신호와 알람 발생시를 기준으로 일정 시간 이내의 음성 신호를 저장하고, 프로그램된 처리 순서에 따라 보호자나 지인 혹은 응급 구조 센터에 응급 상황을 전송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ring aid system includes a hearing aid configured to set an operation mode of a hearing aid and output an alarm signal according to biometric detection of a hearing aid weare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toring the alarm signal from the hearing aid and an audio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time on the basis of an alarm occurrence, and transmitting an emergency situation to a guardian, an acquaintance or an emergency rescue center according to a programmed processing sequence. It features.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보청기의 동작 방법은 (i) 감지부 알람 신호가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ii) 상기 감지부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감지부 신호가 경고 신호 또는 긴급 신호가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iii) 상기 입력된 경고 신호가 체온 경고 신호, 맥박 경고 신호, 및 충격 상황 경고 신호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보청기를 경고 모드로 변경하고 경고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입력된 경고 신호가 상기 체온 경고 신호, 상기 맥박 경고 신호, 및 상기 충격 상황 경고 신호 중 2개 이상 포함하거나 상기 긴급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보청기를 긴급 모드로 변경하고 긴급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iv) 상기 발생된 경고 모드 제어 신호 및 긴급 모드 제어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경고 모드 알람 신호 및 긴급 모드 알람 신호를 발생하고 무선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 또는 보청기 리모콘으로 실시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operating a hearing aid includes: (i) determining whether a detector alarm signal is input; (ii) when the detector signal is input, determining whether the detector signal is an alarm signal or an emergency signal; (iii) when the input warning signal includes one of a body temperature warning signal, a pulse warning signal, and an impact condition warning signal, change the hearing aid to a warning mode and generate a warning mode control signal, wherein the input warning signal Changing the hearing aid to an emergency mode and generating an emergency mode control signal when two or more of the temperature warning signal, the pulse warning signal, and the shock condition warning signal are input or the emergency signal is input; And (iv) generating a warning mode alarm signal and an emergency mode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warning mode control signal and emergency mode control signal, respectively,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m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r a hearing aid remote controller in real time. It is done.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상황이 발생하여 체온, 맥박수, 충격량 정도 등의 신호가 일정하게 정해 놓은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제어부에 의해 보청기 내부에 구비된 알람기를 작동시켜 알람을 발생하게 하여 보청기 착용자에게 경고음, 음악 등의 소리를 발생하거나 진동을 발생한다. 착용자로부터 측정된 체온, 맥박, 충격 신호는 보청기 내에 위치한 알람을 가동시키거나 보청기에 장착된(내부 장착 혹은 외부 장착)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외부의 보청기 리모콘에 알리게 되거나, 보청기에서 직접 혹은 보청기 리모콘을 통하여 휴대 전화와 같은 무선 통신 단말기에 응급 알람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응급 신호는 응급 상황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보호자나 지인 혹은 응급 구조센터에 응급 상황을 알리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a situation occurs and the signal such as body temperature, pulse rate, impact amount, etc. out of the predetermined range, by operating the alarm unit provided inside the hearing aid by the control unit to generate an alarm to alert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It generates sounds such as music or generates vibrations. The body temperature, pulse, and shock signals measured by the wearer may trigger an alarm located within the hearing aid or notify an external hearing aid remote control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on the hearing aid (internal or external), or directly from the hearing aid or via the hearing aid The emergency alarm signal can be sent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The emergency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ay serve to inform the guardian, acquaintance or emergency rescue center of the emergency by the emergency treatment progra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체온 감지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맥박 감지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충격 감지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earing aid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body temperature sensor illustrated in FIG. 1.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ulse detection unit illustrated in FIG. 1.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shock detector illustrated in FIG. 1.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hearing ai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은 보청기(100), 무선 통신 단말기(200), 및 리모콘(미 도시)을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earing aid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ring ai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ring aid 100,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a remote controller (not shown).

상기 보청기(100)는 생체 정보 감지기(110), 제어부(120), 알람기(130), 및 통신 모듈(140)을 포함한다. 상기 생체 정보 감지기(110)는 체온 감지부(112), 맥박 감지부(114), 및 충격 감지부(13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체온 감지부(112)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체온 감지부(112)는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지만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측정치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체온 경고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체온 감지부(112)는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변화량이 상기 기준치를 초과한 동시에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측정치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체온 긴급 신호를 발생한다.The hearing aid 100 includes a biometric information detector 110, a controller 120, an alarm 130, and a communication module 140.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or 110 includes a body temperature detector 112, a pulse detector 114, and an impact detector 130.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body temperature detector 112 shown in FIG. 1. The body temperature detector 112 measures the body temperature of the hearing aid wearer, and generates a body temperature warning signal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change of the hearing aid wearer exceeds a reference value but th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of the hearing aid wearer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The body temperature detecting unit 112 generates an emergency temperature signal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change of the hearing aid wearer exceeds the reference value and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hearing aid wearer exceeds the threshold.

상기 체온 감지부(112)는 보청기 표면에 온도 센서(도시안됨)를 부착하여 체온을 측정, 체온의 변화량을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일정 기준치 이상의 변화량을 보이거나 혹은 체온 측정치가 기준치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알람 신호 발생. 정상상태에서 귓속 온도는 여타 신체 부위보다 변화량이 안정적이기에 급격한 변화량은 신체의 이상여부라 판별이 용이하며, 체온의 변화량이 지속될 경우 1차 알람 신호인 체온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며, 변화가 지속되어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2차 알람 신호인 체온 긴급 신호를 발생하여, 보청기 착용자의 신체의 변화를 현재 상황 알림과 더불어 예측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 수행한다.The body temperature detector 112 attaches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to the surface of the hearing aid to measure body temperature, and continuously monitor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body temperature to display an amount of change over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an alarm when the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is out of the reference value range. Signal generation. In steady state, the change in temperature is more stable than other parts of the body, so it is easy to determine whether the rapid change is an abnormality of the body.If the change in body temperature persists, a temperature alarm signal, a primary alarm signal, is generated, and the change is continued. When exceeding, the second alarm signal generates a temperature emergency signal, and performs a function that helps predict the change of the wearer's body along with the current situation notification.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맥박 감지부(114)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맥박 감지부(114)는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지만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수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맥박 경고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한 동시에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수가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맥박 긴급 신호를 발생한다. 맥박 감지부(114)는 보청기 표면에 압력 센서(미 도시) 또는 광 송수신 센서(미 도시)를 부착하여 혈액으로부터 전달되어오는 귀속 외이도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맥박을 검출하거나, 광을 발생시키는 송신기, 광을 검출하는 수신기를 보청기에 장착하여 검출된 광의 세기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맥박의 유무를 검출함, 맥박의 변화량이 지속될 경우 1차 알람 신호인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며, 변화가 지속하여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2차 알람 신호인 체온 긴급 신호를 발생하여, 보청기 착용자의 신체의 변화를 현재 상황 알림과 더불어 예측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한다.3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pulse detection unit 114 shown in FIG. 1. The pulse detector 114 detects the pulse of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and generates a pulse alert signal when the detected amount of change of the hearing aid wearer exceeds a reference value but the detected pulse rate of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A pulse emergency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pulse rate change of the hearing aid wearer exceeds the threshold and the detected pulse rate of the hearing aid wearer exceeds the threshold. The pulse detection unit 114 attaches a pressure sensor (not shown) or an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sensor (not shown) on the surface of the hearing aid to measure a pressure change in the ear canal, which is transmitted from the blood, and detect a pulse or generate light. In order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ulse by measuring the change in the intensity of the detected light by attaching a receiver for detecting the light to the hearing aid, a warning signal, which is a primary alarm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change in the pulse rate continues, and the change continues to exceed the threshold value. In this case, the second alarm signal generates a temperature emergency signal, and performs a function to help predict the change of the wearer's body along with the current situation notification.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충격 감지부(116)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충격 감지부(116)는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량이 충격 여부를 판단하는 임계값인 충격 기준치를 초과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움직임 정지 상황 경고 신호 또는 충격 상황 긴급 신호를 발생한다. 충격 감지부(116)는 가속도 센서(미 도시)를 보청기(100)에 장착하여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시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고 및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진동, 충격을 감지하고, 충격 센서값이 일정 기준치를 사용하여 초과 여부를 판단하여 충격상황이나, 움직임 정지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모니터링한다. 충격 감지부(116)에 대한 임계치는 세 단계로 구성되며, 첫 번째 기준치는 정해진 일정의 충격 기준치로서 충격의 여부를 판별하는 임계값이다. 두 번째 기준치는 정해진 일정의 일상 생활 기준치로서 충격이 없는 일상 생활시 발생하는 충격 센서값의 허용치이다. 세 번째 기준치는 정해진 일정의 움직임 정지 기준치로서 충격이 감지되지 않고, 움직임이 정지됨을 판별하는 임계치이다4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shock sensor 116 shown in FIG. 1. The impact detector 116 detects the impact amount of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and stops the motion stop situation warning signal or the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detected amount of the hearing aid wearer exceeds an impact threshold value which is a threshold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impact is impacted or not. Generate a signal. The shock detector 116 mounts an acceleration sensor (not shown) on the hearing aid 100 to measure dynamic force such as acceleration, vibration, and shock when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is impacted, and detects vibration and shock by using tilt information.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hock sensor value is exceeded by using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monitors whether an impact situation or a motion stop situation occurs. The threshold for the shock detector 116 is composed of three steps, and the first reference value is a threshold value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impact is a predetermined constant shock reference value.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a fixed daily life reference value, which is an allowable value of the shock sensor value generated in the daily life without impact. The third reference value is a fixed stop motion reference value, which is a threshold for determining that motion is not detected and shock is stopped.

제어부(120)는 상기 생체 정보 감지기(110)로부터 경고 신호 또는 긴급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경고 신호가 상기 체온 감지부(112), 상기 맥박 감지부(114), 및 상기 충격 감지부(116) 중의 하나로부터 입력된 경우 제어부(120)는 상기 보청기를 경고 모드로 설정하고 경고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경고 신호가 2개 이상의 감지부로 입력되거나 상기 긴급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보청기(100)를 긴급 모드로 변경하고 긴급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생체 정보 감지기(110)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에 따라 보청기를 세 가지 동작 모드로 설정하고,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보청기(100)의 동작 모드는 보청기 리모콘(300) 또는 보청기(100)에 장착된 모드 변경 버튼(미 도시)에 의해 동작 모드의 수동 전환이 가능하다. 보청기(100)의 세가지 동작 모드는 다음과 같다. (1) 보청기(100)의 초기 상태는 감시 모드로서 통상의 보청기의 기능인 난청인을 위한 음성 증폭 기능을 수행하며 제어부(120)부는 생체 정보 감지기(110)로부터의 이상 신호 수신을 감시한다. (2) 제어부(120)는 하나의 감지부로부터 변화량 이상 감지에 의한 경고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보청기(100)의 동작 모드를 경고 모드로 설정한다. 경고 모드 상태에서 보청기(100)는 다음의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생체 정보 감지기(110)로부터 입력된 실시간 데이터를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리시버(미 도시) 및 알람기(130)를 통해 보청기 착용자에게 경고 신호 혹은 진동 발생시키고, 보청기 리모콘(300)에 경고 알람 신호를 일정 주기로 송신하고, 마이크(미 도시)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3) 제어부(120)는 생체 정보 감지기(110)로부터 긴급 신호를 수신하거나 2개 이상의 감지부로부터 경고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보청기(100)의 동작 모드를 긴급 모드로 설정한다. 긴급 모드 상태에서 보청기(100)는 다음의 동작을 수행한다.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a warning signal or an emergency signal is input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detector 110. When the warning signal is input from one of the body temperature detector 112, the pulse detector 114, and the shock detector 116, the controller 120 sets the hearing aid to a warning mode and controls a warning mode. Generate a signal. When the warning signal is input to two or more sensing units or the emergency signal is input, the controller 120 changes the hearing aid 100 to an emergency mode and generates an emergency mode control signal. The controller 120 senses a signal generated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detector 110, sets the hearing aid to three operation modes according to the detected signal, and generates a control command for performing a corresponding function. The operation mode of the hearing aid 100 may be manually switched between operation modes by a mode change button (not shown) mounted on the hearing aid remote controller 300 or the hearing aid 100. The three modes of operation of the hearing aid 100 are as follows. (1) The initial state of the hearing aid 100 is a monitoring mode and performs a voice amplification func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which is a function of a normal hearing aid, and the control unit 120 monitors the reception of the abnormal signal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detector 110. (2) The controller 120 sets the operation mode of the hearing aid 100 to a warning mode when receiving a warning signal by detecting a change amount abnormality from one sensor. In the warning mode, the hearing aid 100 performs the following operations. That is, the control unit 120 stores the real-time data input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detector 110 in the storage unit 150, and generates a warning signal or vibration to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through a receiver (not shown) and the alarm 130. And a warning alarm signal to the hearing aid remote controller 300 at regular intervals, and stores a voice signal input from a microphone (not shown) in the storage unit 150, and (3)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biometric information detector 110. Receiving an emergency signal from) or a warning signal from two or more detection units, the operation mode of the hearing aid 100 is set to the emergency mode. In the emergency mode, the hearing aid 100 performs the following operations.

경고 모드 상태와 동일한 동작, 즉 통신 모듈(140)을 통해 기 등록된 통신 단말기(200)에 긴급 알람 신호를 일정 주기로 송신한다. 다시 말해, 경고 모드에 저장된 생체 정보 감지 데이터 및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무선 통신 단말기(200)의 응급 상황 처리부(210)로 송신한다.The same operation as the warning mode state, that is, the emergency alarm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previously register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40 at regular intervals. In other words, the biometric information detection data and the stored voice data stored in the warning mode are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processor 210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0.

알람기(130)는 위급 상황에 대한 알람뿐 아니라 미리 약속된 시간에 대해서도 알람이 발생한다. 이를 위하여 보청기(100)는 내부에 시계 혹은 타이머와 같이 시간을 카운팅하는 기능이 있다. 통신 모듈(140)은 상기 알람기(130)에 의해 발생된 경고 모드 알람 신호 또는 긴급 모드 알람 신호를 무선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200) 또는 보청기 리모콘(미 도시)으로 실시간 송신한다. 저장부(미 도시)는 보청기의 동작 모드가 경고 또는 긴급 모드시 보청기의 마이크 입력으로부터 수신된 사고시의 음성 신호를 저장한다. 이는 긴급 모드시 실시간으로 무선 단말기로 송신되어 보청기 착용자의 현재 상태를 알린다. 또한 PC 또는 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통해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추출 가능하기에 보청기 착용자 이외의 보호자 흑은 응급 구조 요원이 사고시의 상황을 추론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여 보다 효율적인 응급 대처가 가능하다. The alarm 130 generates an alarm not only for an emergency but also for a predetermined time. To this end, the hearing aid 100 has a function of counting time, such as a clock or a timer therein. The communication module 140 wirelessly transmits a warning mode alarm signal or an emergency mode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alarm 130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0 or a hearing aid remote controller (not shown). The storage unit (not shown) stores an audio signal in case of an accident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input of the hearing aid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hearing aid is in a warning or emergency mode. It is sent to the wireless terminal in real time in the emergency mode to inform the current state of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stored voice data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PC or a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a guardian or a person other than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can provide a reason for emergency rescue personnel to infer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an accident, thereby enabling more efficient emergency response.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200)는 응급 상황 처리부(210) 및 단말기 센서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응급 상황 처리부(210)는 무선 통신 단말기(200)에 탑재되는 프로그램으로서, 무선 통신 단말기(200)에 의해 수신된 응급 신호는 알림 상황 저장 DB(214)에 알람 신호와 알람 발생시를 기준으로 일정 시간 이내의 음성 신호를 저장하고, 응급 상황 알림부(214)에 프로그램된 처리 순서에 따라 보호자나 지인 혹은 응급 구조 센터에 응급 상황을 전송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단말기 센서부(220)는 GPS 센서(222) 및 카메라(224)를 포함한다. GPS 센서(222)가 장착된 무선 통신 단말기(220)의 경우 보청기 착용자의 응급 상황 위치 정보를 추가적으로 보내는 기능이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0 includes an emergency situation processing unit 210 and a terminal sensor unit 220. The emergency situation processing unit 210 is a program mount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emergency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scheduled based on an alarm signal and an alarm occurrence time in the notification situation storage DB 214. It stores a voice signal within time, and transmits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guardian or acquaintance or emergency rescue center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ing sequence programmed in the emergency notification unit 214. The terminal sensor unit 220 includes a GPS sensor 222 and a camera 224.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20 equipped with the GPS sensor 222 has a function of additionally transmitting emergency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보청기(100)의 동작 모드가 경고 모드 또는 긴급 모드로 변경되면 보청기 리모콘(미 도시)은 상기 보청기(100)로부터 전달된 알람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동작,예를 들면, 큰소리가 나거나, 불빛을 내거나, 진동을 하거나, 보청기 착용자의 무선 통신 단말기(200)에 응급 상황을 전달을 수행하고, 보청기 착용자가 가지고 있는 휴대폰과 같은 무선 통신 단말기(200)의 응급 상황 처리부(210)의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설정된 동작, 예를 들면, 미리 지정된 번호로 전화를 수행한다. 또한 보청기(100)로부터 알람 발생 전후 일정 시간 간격의 음성 신호를 전달받아 리모콘 자체 메모리(310)에 저장하여 추후 사고 당시 상황 판단이 가능하도록 한다.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hearing aid 100 is changed to a warning mode or an emergency mode, the hearing aid remote controller (not shown) receives an alarm signal transmitted from the hearing aid 100 to perform a preset operation, for example, a loud sound or a light. It makes a vibration, vibrates, or transmits an emergency to the hearing aid wearer'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in advance by the program of the emergency processing unit 210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0, such as a mobile phone worn by the hearing aid wearer. Call the set operation, for example, a predetermined number. In addition, by receiving a voice signal of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before and after the alarm occurs from the hearing aid 100 is stored in the remote control itself memory 310 to enable later determination of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accident.

상기 보청기 리모콘은 보청기(1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리모콘으로서 기존의 리모콘과 마찬가지로 보청기(100)의 동작 모드 명령을 발생하거나, 보청기(100)의 볼륨을 조절하거나 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 외에 기존의 보청기 리모콘에는 없었던 보청기(100)로부터의 온도 또는 혈압과 같은 생체 신호의 수신기능, 보청기(100)로부터의 충격 센서 신호 수신기능, 알람 상황 수신 기능, 알람 상황시 보청기(100)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 수신기능, 생체 신호와 충격 센서 신호에 대한 임계치 셋팅 기능, 알람 시간 셋팅 기능, 알람 작동 상황 수신 기능과 상황 발생시 보청기 리모콘(300) 자체가 반응하게 하는 기능 (불빛 및 진동 발생)과 외부로 알리는 기능 (무선 통신 단말기 등에 자동으로 전화를 하게 하는 기능)을 발생시키는 기능이 있다. The hearing aid remote controller is a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hearing aid 100, and has a function of generating an operation mode command of the hearing aid 100 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hearing aid 100 similarly to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ler.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hearing aid remote control, there is a function of receiving a biological signal such as temperature or blood pressure from the hearing aid 100, a shock sensor signal receiving function from the hearing aid 100, an alarm situation receiving function, the alarm situation when input to the hearing aid 100 Voice signal reception function, threshold setting function for the biological signal and shock sensor signal, alarm time setting function, alarm operation situation reception function and the function that makes the hearing aid remote control 300 itself react when the situation occurs (light and vibration generated) and external There is a function for generating a function to notify a call (a function for automatically making a call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etc.).

상기 보청기(100), 무선 통신 단말기(200), 및 보청기 리모콘에 저장된 알람 신호와 음성 신호는 알람 발생 시간과 GPS 센서(222)에 의해 제공된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알람 발생시마다 시간별로 저장되기에 추후 사고 당시 상황 판단이 가능하며, 응급 상황을 전송받은 보호자나 지인 혹은 응급 구조센터에서 핸드폰등의 무선 통신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저장된 정보를 추가 수신할 수 있어 보청기 착용자의 응급 상태의 파악을 용이하게 한다. The alarm signal and the voice signal stored in the hearing aid 100,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hearing aid remote controller include an alarm occurrence time 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PS sensor 222, and are stored by time for each alarm occurrence.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accident can be determined later, the guardian or acquaintance who received the emergency situation or an emergency rescue center can additionally receive the stored information by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0 such as a mobile phone to grasp the emergency state of the hearing aid wearer. To facilitat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의 동작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hear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제어부(120)는 감지부 알람 신호가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한다(S502). 단계 S502의 판단 결과,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부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보청기를 감시 모드로 설정한다(S504). 상기 감지부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부 신호가 경고 신호인 지를 판단한다(단계 S506).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a detector alarm signal is input (S502).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S502, the controller 120 sets the hearing aid to the monitoring mode when the detector signal is not input (S504). When the detector signal is input,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or signal is a warning signal (step S506).

단계 S502의 판단 결과, 상기 경고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된 경고 신호가 체온 경고 신호, 맥박 경고 신호, 및 충격 상황 경고 신호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지를 판단한다(S508).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502, when the warning signal is input,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warning signal includes one of a temperature warning signal, a pulse warning signal, and an impact condition warning signal (S508).

단계 S508의 판단 결과, 상기 입력된 경고 신호가 체온 경고 신호, 맥박 경고 신호, 및 충격 상황 경고 신호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보청기를 경고 모드로 변경하고 경고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S510). 그에 따라 알람기(130)는 상기 발생된 경고 모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경고 모드 알람 신호를 발생하고 통신 모듈(140)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200) 또는 보청기 리모콘으로 실시간 송신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508, when the input warning signal includes one of a body temperature warning signal, a pulse warning signal, and an impact condition warning signal, the controller 120 changes the hearing aid to a warning mode and a warning mode control signal. To generate (S510). Accordingly, the alarm 130 generates a warning mode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warning mode control signal and wirelessly transmits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0 or the hearing aid remote control using the communication module 140.

단계 S502의 판단에서 상기 감지부 신호가 경고 신호가 아닌 경우 경고 신호로 판단하거나 단계 S508에서 상기 입력된 경고 신호가 상기 체온 경고 신호, 상기 맥박 경고 신호, 및 상기 충격 상황 경고 신호 중 2개 이상 포함한 경우, 제어부(512) 상기 보청기를 긴급 모드로 변경하고 긴급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그에 따라 상기 발생된 긴급 모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긴급 모드 알람 신호를 발생하고 통신 모듈(140)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200) 또는 보청기 리모콘으로 실시간 송신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02 that the detection unit signal is not a warning signal, it is determined as a warning signal or the input warning signal in step S508 includes two or more of the temperature warning signal, the pulse warning signal, and the shock situation warning signal.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512 changes the hearing aid to the emergency mode and generates an emergency mode control signal. Accordingly, an emergency mode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emergency mod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0 or the hearing aid remote controller using the communication module 140.

100: 보청기 110: 생체 정보 감지기
112: 체온 변화량 감지부 114: 충격 감지부
116: 맥박 감지부 120: 알람 처리부
130: 알림기 140: 통신 모듈
150: 저장부 200: 무선 통신 단말기
210: 응급 상황 처리부 212: 알람 상황 저장 DB
214: 응급 상황 알림부 220: 단말기 센서부
222: GPS 수신부 224: 카메라
100: hearing aid 110: biometric information detector
112: body temperature change detection unit 114: impact detection unit
116: pulse detection unit 120: alarm processing unit
130: notifier 140: communication module
150: storage unit 200: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10: emergency situation processing unit 212: alarm situation storage DB
214: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unit 220: terminal sensor unit
222: GPS receiver 224: camera

Claims (7)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지만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측정치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체온 경고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변화량이 상기 기준치를 초과한 동시에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측정치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체온 긴급 신호를 발생하는 체온 감지부,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지만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수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맥박 경고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한 동시에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수가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맥박 긴급 신호를 발생하는 맥박 감지부, 및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량이 충격 기준치를 초과하였는 지의 여부에 따라 움직임 정지 상황 경고 신호 또는 충격 상황 긴급 신호를 발생하여 충격 감지부를 구비하는 생체 정보 감지기;
상기 생체 정보 감지기로부터 경고 신호 또는 긴급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경고 신호가 상기 체온 감지부, 상기 맥박 감지부, 또는 상기 충격 감지부 중의 하나로부터 입력된 경우 상기 보청기를 경고 모드로 설정하고 경고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경고 신호가 2개 이상의 감지부로부터 입력되거나 상기 긴급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보청기를 긴급 모드로 변경하고 긴급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발생된 경고 모드 제어 신호 및 긴급 모드 제어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경고 모드 알람 신호 및 긴급 모드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알람기; 및
상기 알람기에 의해 발생된 경고 모드 알람 신호 또는 긴급 모드 알람 신호를 무선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 또는 보청기 리모콘으로 실시간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보청기.
The body temperature of the hearing aid wearer is measured, and if the measured temperature change of the hearing aid wearer exceeds a reference value but the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of the hearing aid wearer is less than a threshold, a temperature warning signal is generated, and the measured temperature change of the hearing aid wearer is measured using the reference value. At the same time, if the measured temperature measurement of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exceeds the threshold, the body temperature detector for generating a temperature emergency signal, the pulse of the hearing aid wearer detects, and the detected change in the pulse rate of the wearer A pulse warning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detected hearing aid wearer's pulse rate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and a pulse emergency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detected change in the hearing aid wearer's pulse rate exceeds a threshold and the detected hearing aid wearer's pulse rate exceeds a threshold. Pulse detection unit, and Groups biological information detector comprising a hearing aid detects the wearer's amount of impact and shock detection by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the detected amount of impact generating a motion stop situation alert signal or impact situation the emergency signal according to whether or not hayeotneun exceeds the impact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whether a warning signal or an emergency signal is input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detector, and when the warning signal is input from one of the body temperature detector, the pulse detector, or the shock detector, the hearing aid is set to a warning mode.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warning mode control signal and changing the hearing aid to an emergency mode when the warning signal is input from two or more sensing units or the emergency signal is input, and generating an emergency mode control signal;
An alarm for generating a warning mode alarm signal and an emergency mode alarm signal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warning mode control signal and the emergency mod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And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warning mode alarm signal or an emergency mode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alarm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r a hearing aid remote controller in real time.
보청기 착용자의 생체 감지에 따라 보청기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보청기; 및
상기 보청기로부터의 상기 알람 신호와 알람 발생시를 기준으로 일정 시간 이내의 음성 신호를 저장하고, 프로그램된 처리 순서에 따라 보호자나 지인 혹은 응급 구조 센터에 응급 상황을 전송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보청기는,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지만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측정치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체온 경고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변화량이 상기 기준치를 초과한 동시에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측정치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체온 긴급 신호를 발생하는 체온 감지부,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지만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수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맥박 경고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한 동시에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수가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맥박 긴급 신호를 발생하는 맥박 감지부, 및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량이 충격 기준치를 초과하였는 지의 여부에 따라 움직임 정지 상황 경고 신호 또는 충격 상황 긴급 신호를 발생하여 충격 감지부를 구비하는 생체 정보 감지기;
상기 생체 정보 감지기로부터 경고 신호 또는 긴급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경고 신호가 상기 체온 감지부, 상기 맥박 감지부, 또는 상기 충격 감지부 중의 하나로부터 입력된 경우 상기 보청기를 경고 모드로 설정하고 경고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경고 신호가 2개 이상의 감지부로부터 입력되거나 상기 긴급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보청기를 긴급 모드로 변경하고 긴급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발생된 경고 모드 제어 신호 및 긴급 모드 제어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경고 모드 알람 신호 및 긴급 모드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알람기; 및
상기 알람기에 의해 발생된 경고 모드 알람 신호 또는 긴급 모드 알람 신호를 무선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 또는 보청기 리모콘으로 실시간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시스템.
A hearing aid for set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hearing aid and outputting an alarm signal according to the biometric detection of the hearing aid wearer; And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toring the alarm signal from the hearing aid and an audio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time on the basis of the occurrence of an alarm and transmitting an emergency to a guardian or an acquaintance or an emergency rescue center according to a programmed processing sequence.
The hearing aid,
The body temperature of the hearing aid wearer is measured, and if the measured temperature change of the hearing aid wearer exceeds a reference value but the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of the hearing aid wearer is less than a threshold, a temperature warning signal is generated, and the measured temperature change of the hearing aid wearer is measured using the reference value. At the same time, if the measured temperature measurement of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exceeds the threshold, the body temperature detector for generating a temperature emergency signal, the pulse of the hearing aid wearer detects, and the detected change in the pulse rate of the wearer Generates a pulse alert signal when the detected hearing aid wearer's pulse rate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and generates a pulse emergency signal when the detected change in the hearing aid wearer's pulse rate exceeds a threshold and the detected hearing aid wearer's pulse rate exceeds a threshold. Pulse detection unit, and Groups biological information detector comprising a hearing aid detects the wearer's amount of impact and shock detection by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the detected amount of impact generating a motion stop situation alert signal or impact situation the emergency signal according to whether or not hayeotneun exceeds the impact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whether a warning signal or an emergency signal is input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detector, and when the warning signal is input from one of the body temperature detector, the pulse detector, or the shock detector, the hearing aid is set to a warning mode.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warning mode control signal and changing the hearing aid to an emergency mode when the warning signal is input from two or more sensing units or the emergency signal is input, and generating an emergency mode control signal;
An alarm for generating a warning mode alarm signal and an emergency mode alarm signal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warning mode control signal and the emergency mod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And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warning mode alarm signal or an emergency mode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alarm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r a hearing aid remote controller in real time.
삭제delet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알람 신호와 알람 발생시를 기준으로 일정 시간 이내의 음성 신호를 알림 상황 저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응급 상황 알림부에 프로그램된 처리 순서에 따라 보호자나 지인 혹은 응급 구조 센터에 응급 상황을 전송하는 기능이 있는 응급 상황 처리부; 및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응급 상황 위치 정보를 추가적으로 보내는 단말기 센서부를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2,
Based on the alarm signal and the occurrence of the alarm, a voice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s stored in a notification situation storage database, and an emergency situation is transmitted to a guardian, an acquaintance or an emergency rescue center according to the processing sequence programmed in the emergency notification unit. Emergency treatment unit; And
Hearing aid system including a terminal sensor unit for additionally sending emergency position information of the hearing aid wearer.
(i) 감지부 알람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ii) 상기 감지부 알람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감지부 알람 신호가 경고 신호인지 또는 긴급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
(iii) 상기 입력된 경고 신호가 체온 경고 신호, 맥박 경고 신호, 및 충격 상황 경고 신호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보청기를 경고 모드로 변경하고 경고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입력된 경고 신호가 상기 체온 경고 신호, 상기 맥박 경고 신호, 및 상기 충격 상황 경고 신호 중 2개 이상 포함하거나 상기 긴급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보청기를 긴급 모드로 변경하고 긴급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iv) 상기 발생된 경고 모드 제어 신호 및 긴급 모드 제어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경고 모드 알람 신호 및 긴급 모드 알람 신호를 발생하고 무선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 또는 보청기 리모콘으로 실시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청기의 동작 방법.
(i) determining whether a detector alarm signal is input;
(ii) when the detector alarm signal is input, determining whether the detector alarm signal is a warning signal or an emergency signal;
(iii) if the input warning signal comprises one of a body temperature warning signal, a pulse warning signal, and an impact condition warning signal, change the hearing aid to the warning mode and generate a warning mode control signal, wherein the input warning signal is Changing the hearing aid to an emergency mode and generating an emergency mode control signal when two or more of the temperature warning signal, the pulse warning signal, and the shock condition warning signal are input or the emergency signal is input; And
(iv) generating a warning mode alarm signal and an emergency mode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warning mode control signal and emergency mode control signal, respectively,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r hearing aid remote control in real time Wa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 경고 신호는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지만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측정치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발생하며,
상기 맥박 경고 신호는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지만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수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발생하며,
상기 충격 상황 경고 신호는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량이 일상 생활 기준치 내지 충격 기준치인 경우에 발생하며,
상기 긴급 신호는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변화량이 상기 기준치를 초과한 동시에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측정치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발생하는 체온 긴급 신호,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한 동시에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수가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발생하는 맥박 긴급 신호, 및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량이 상기 충격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발생하는 충격 상황 긴급 신호를 포함하는 보청기의 동작 방법.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temperature warning signal measures a temperature of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and occurs when the measured change in body temperature of the hearing aid wearer exceeds a threshold but the temperature measurement of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is below a threshold value.
The pulse alert signal detects the pulse of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and occurs when the detected pulse rate of the hearing aid wearer exceeds a threshold but the detected pulse rate of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is below a threshold value,
The impact condition warning signal is detected when the impact amount of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is detected, and the detected impact amount of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is generated when the daily living standard value or the impact reference value,
The emergency signal may be a temperature emergency signal generated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change of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wearer exceeds the threshold and the measured temperature change value of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wearer exceeds the threshold, and the amount of change in the pulse rate of the wearer of the hearing aid wearer is a reference value. Pulse emergency signal generated when the detected pulse rate of the hearing aid wearer exceeds a threshold and a shock amount of the hearing aid wearer is detected and an impact generated when the detected amount of the hearing aid wearer exceeds the shock threshold A method of operating a hearing aid comprising a situation emergency signal.
제5항에 있어서, 단계 (i)의 판단 결과 상기 감지부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보청기를 감시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청기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setting the hearing aid to a monitoring mode when the detection unit signal is not inpu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i).
KR1020100045149A 2010-05-13 2010-05-13 Hearing ai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hearing aid system KR1011350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149A KR101135064B1 (en) 2010-05-13 2010-05-13 Hearing ai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hearing ai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149A KR101135064B1 (en) 2010-05-13 2010-05-13 Hearing ai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hearing aid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557A KR20110125557A (en) 2011-11-21
KR101135064B1 true KR101135064B1 (en) 2012-04-13

Family

ID=45394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149A KR101135064B1 (en) 2010-05-13 2010-05-13 Hearing ai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hearing aid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06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1945A (en) * 2012-12-20 2014-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loss using the hearing organ condi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951B1 (en) * 2012-07-23 2013-04-09 정윤석 Two ears insertable hearing aid having a danger detecting function and system for detecting dangerous factors using thereof
KR101250934B1 (en) * 2012-08-27 2013-04-09 정윤석 System for detecting dangerous factors using two ears insertable hearing aid having a danger detecting function
KR101250929B1 (en) * 2012-08-27 2013-04-09 정윤석 A two ear-piece insertable hearing aid having a vibration pattern alert function
CN103456132A (en) * 2013-08-28 2013-12-18 史会同 Emergency alarm for security
KR20150103568A (en) * 2014-03-03 2015-09-11 김성훈 A wearable sensing device and a method of monitoring biological signal data/alerting emergencies by using thereof
KR101625905B1 (en) * 2016-03-21 2016-06-13 주식회사 더열림 A Hearing Aid Capable of Measuring Pulse and videoing and Dang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TWI824177B (en) * 2020-09-03 2023-12-01 鉭騏實業有限公司 Home-style and multi-functional testing hearing-aid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2478182B1 (en) * 2021-07-22 2022-12-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 healthcare earphone, healthcar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09206B1 (en) * 2021-08-09 2023-12-08 주식회사 리딤 Self-fitting hearing aid system having the cradle and fit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507322B1 (en) * 2021-08-09 2023-03-10 주식회사 리딤 Self-fitting hearing aid system using the user's terminal and fit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648744B1 (en) * 2023-08-17 2024-03-19 주식회사 에스지엘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patient information in case of emergenc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398Y1 (en) 2003-06-25 2003-10-17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Mobile phone having health self-diagnosis function
KR100617576B1 (en) 2005-04-22 200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of control audio terminal using bluetooth headset for mobile station and method of the same
KR20080088217A (en) * 2007-03-29 2008-10-02 한범욱 Pulse-sensing earphone with alar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398Y1 (en) 2003-06-25 2003-10-17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Mobile phone having health self-diagnosis function
KR100617576B1 (en) 2005-04-22 200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of control audio terminal using bluetooth headset for mobile station and method of the same
KR20080088217A (en) * 2007-03-29 2008-10-02 한범욱 Pulse-sensing earphone with alar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1945A (en) * 2012-12-20 2014-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loss using the hearing organ cond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557A (en) 201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064B1 (en) Hearing ai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hearing aid system
DK2472907T3 (en) Listening system comprising an alarm device and a listening device
CN101690256B (en) Headset system comprising a noise dosimete
US11277697B2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with enhanced fall detection features
US8363868B2 (en) Hearing aid, hearing-aid apparatus, hearing-aid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thereof
KR101250929B1 (en) A two ear-piece insertable hearing aid having a vibration pattern alert function
TWI610274B (en) Nursing system, nursing detection device and nursing notification device
US10575102B2 (en)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aid apparatus and hearing aid apparatus
JPH1011674A (en) Abnormality notifying system
KR101260465B1 (en) Blood Pressure Calculation Method and Device utilizing Pulse Wave of a wrist artery
GB2571128A (en) A wearable alarm device and a method of use thereof
KR20080088217A (en) Pulse-sensing earphone with alarm
JP2020113017A (en) Mobile terminal for reporting, reporting system and reporting method
KR20160052496A (en) screaming detect emergency call system and method
KR101872611B1 (en) A Hearing Device Having a Operating Relationship with a Portable Smart Device
KR101260464B1 (en) How to protect the powe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emergency rescue request
JP6514488B2 (en) Wearable terminal
WO2011101623A1 (en) Assistive listening system
KR20140081945A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loss using the hearing organ condition
US8854222B2 (en) Emergency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method
JP2016100793A (en) Hearing aid checker
US2017035819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phone loss prevention function by means of bluetooth earphones
JP2009213025A (en) Hearing aid case
KR20160101454A (en) Mobile terminal for self-diagnosis of obstructive sleep apnea
TWM498360U (en) Inspection earphone applied to detect driver's condition in fatig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