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801B1 - Method of practicing multimedia function using jog dial key in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of practicing multimedia function using jog dial key in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801B1
KR101133801B1 KR1020050012032A KR20050012032A KR101133801B1 KR 101133801 B1 KR101133801 B1 KR 101133801B1 KR 1020050012032 A KR1020050012032 A KR 1020050012032A KR 20050012032 A KR20050012032 A KR 20050012032A KR 101133801 B1 KR101133801 B1 KR 101133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function
jog dial
dial ke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0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91156A (en
Inventor
유선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2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801B1/en
Publication of KR20060091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1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8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7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decorative strips or layers on the frame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그다이얼키가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멀티미디어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지시하는 기능이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키패드 상에 좌우의 2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조그다이얼키를 구비하고, 조그다이얼키 기능이 동작하도록 할당된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조그다이얼키 움직임 방향이 검출되면 그 움직임 방향에 따른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조그다이얼키를 이용하여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기능 선택 동작없이도 조그다이얼키를 좌우방향으로 돌리기만 해도 미리 할당된 기능이 신속하게 실행되기 때문에 편리하게 조그다이얼키를 사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jog dial key to enable the multimedia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function of instructing the execution of a multimedia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jog dial key.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jog dial key that can move in two directions on the keypad, and when a jog dial key movement direction is detected in a multimedia mode assigned to operate the jog dial key function, a fun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is provided. To be executable. By doing so, the user can easily execute a frequently used function by using the jog dial key. Accordingly, the user can quickly execute the pre-assigned function by simply turning the jog dial key to the left or right without a separate function selection operation. The jog dial key can be used conveniently.

조이스틱, 방향, 다중 기능 Joystick, direction, multi-function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에서 조그다이얼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METHOD OF PRACTICING MULTIMEDIA FUNCTION USING JOG DIAL KEY IN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THEREFOR} METHOD OF PRACTICING MULTIMEDIA FUNCTION USING JOG DIAL KEY IN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조그다이얼키 움직임에 따라 미리 정의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performing a predefined multimedia function according to a jog dial key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에 종속적인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나타낸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 for performing a multimedia function dependent on movement of a jog dial ke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pecific embodiment with respect to FIG.

본 발명은 조그다이얼키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지시할 수 있도록 하는 조그다이얼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능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xecuting a function using a jog dial ke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executing a multimedia function using a jog dial key to instruct execution of a multimedia application pro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movement direction of the jog dial key. will be.

최근 들어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개인이 휴대가 가능한 단말기의 보급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는 통화 기능이나 SMS(Short Message Service) 기능과 같은 통신 기능 이외에도 각종 이미지와 소리들을 이용한 게임 기능, 알람 기능, MP3 플레이어 기능 등과 같은 부가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그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고유의 통화 기능 이외에도 데이터 서비스 및 인터넷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 등 다양한 사용상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사용상 편의의 발전과 더불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도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되면서 이러한 많은 멀티미디어 응용 프로그램이 내장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 dissemination of terminals portable by individu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has become common. Such a terminal provide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 game function using various images and sounds, an alarm function, an MP3 player function, etc. in addition to a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a call function or a short message service (SMS) function. Accordingly,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provided with various conveniences such as services such as data service and Internet service in addition to the unique call function.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convenience of use, as multimedia functions are enhanc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y of these multimedia applications are configured to be embedded.

그런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닐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그 크기를 줄이기 위한 노력 및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한 개발은 계속 진행중에 있다. 그런데 이동 통신 단말기는 기본적인 키들을 구비해야만 한다. 즉,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 전화 사용 시 특수한 기능에 사용되는 '*', '#'키가 필요하며, 전원키, 통화키 및 각종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하지만, 이러한 키만으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기능을 사용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다. However,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ust be portable by the user at all times, efforts to reduce its size and light weight are being developed. Howe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ust have basic keys. That is, a number key for dialing, '*', '#' key used for a special function when using a telephone is required, and a power key, a call key, and function keys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re provided. However, these keys alone have limitations in using the multipl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단순히 키조작만으로 실행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기능을 메뉴 기능을 통해 설정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상위 메뉴 항목에 원하는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하위 메뉴로 이동해야지만 해당 하위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 이 하위 메뉴에 속할 경우, 사용자는 그 기능을 선택할 때마다 일일이 하위 메뉴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메뉴를 선택하는데 불필요한 선택 동작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초심자는 필요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일일이 찾아 실행해야 하므로 용이하지 않다.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in executing a multimedia function by simply operating a key. Accordingly, the multimedia function can be set through the menu function. When the desired menu is not displayed on the upper menu item, the user may move to the lower menu but select one of the lower menus. If a function frequently used by a user belongs to a submenu, the user has to move to a submenu every time the user selects the function, which causes unnecessary selection and time to select the menu. Also, in this case, the beginner has to find and execute the necessary multimedia functions.

이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메뉴 기능 등 여러 가지 수단 구비되는데, 이러한 수단의 다른 한 예로써 조그다이얼키(jog dial key)가 있다. 조그다이얼키는 커서의 방향을 이리저리 쉽게 움직일 수 있는 포인팅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일종으로 다른 정보를 입력할 수는 없지만, 키보드 등과 함께 쓰이면 경우에 따라 비중 있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As such, various means such as a menu function are provided to use multipl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other example of such a means is a jog dial key. The jog dial key is a pointing device driver that can easily move the direction of the cursor. It cannot input other information, but it can play a heavy role in some cases when used with a keyboard.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기능이 점점 강화되면서, 기존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키패드만으로는 멀티미디어와 관련된 다수의 기능을 선택하는데 있어 불편한 경우가 많아지게 되었다. 또한, 통상적으로 이용률이 높은 기능이 하위 메뉴에 속할 경우 사용자는 그 기능을 바로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조그다이얼키를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향키 역할로만 사용하였지만,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다중화됨에 따라 조그다이얼키로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이 확대될 필요성이 요구된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multimedia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gradually strengthened, it is often inconvenient to select a plurality of functions related to the multimedia using only the keypad used in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when a function having a high utilization rate belongs to a lower menu, the user may not select and execute the function immediately. On the other hand, in the past, the jog dial key was used only as a direction key for moving the left / right directions, but as th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multiplexed, a function that can be used as the jog dial key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기능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조그다이얼키를 이용한 멀 티미디어 기능 실행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executing a multimedia function using a jog dial key that allows a user to conveniently select multipl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jog dial key.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조그다이얼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능 실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이 검출되면, 현재 모드가 상기 조그다이얼키로 이용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기능이 정의된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모드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모드가 상기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모드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 방향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 방향 각각에 대해 할당된 상기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모드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기능들 중 상기 검출된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그다이얼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전가능하며, 움직임 방향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조그다이얼키 및 커서 위치에 해당하는 객체의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키로 구성된 조그키 입력부와, 상기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이 검출되면, 현재 모드가 상기 조그다이얼키로 이용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기능이 정의된 복수의 멀티미디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모드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현재 모드가 상기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모드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그키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근거로 상기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 방향을 검출한 후, 상기 검출된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할당된 상기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모드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executing a multimedia function using a jog dial ke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movement of the jog dial key is detected, a multimedia function in which a current mode is available as the jog dial key is defined. Determining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multimedia modes corresponds to the multimedia mode; when determining that the current mode corresponds to any one of the multimedia modes, detecting a movement direction of the jog dial key; And performing a multimedi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movement direction among the multimedia functions associated with any one multimedia mode assigned to each of the movement directions of a ke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a multimedia function using the jog dial key, it is rotatable to the right or left, the selection signal of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jog dial key and the cursor position to output a sig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When a jog key input unit comprising a selection key for outputting a motion and the movement of the jog dial key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mode corresponds to one of a plurality of multimedia modes in which a multimedia function that can be used as the jog dial key is defin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mode corresponds to any one of the multimedia modes, the controller detects a movement direction of the jog dial key based on a signal output from the jog key input unit and allocate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jog dial key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movement direction. Associated with any one of the multimedia modes And performing a media control func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any one of the multimedia mod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그다이얼키가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멀티미디어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지시하는 기능이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키패드 상에 좌우의 2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조그다이얼키를 구비하고, 조그다이얼키 기능이 동작하도록 할당된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조그다이얼키 움직임 방향이 검출되면 그 움직임 방향에 따른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 로써, 사용자는 조그다이얼키를 이용하여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기능 선택 동작없이도 조그다이얼키를 좌우방향으로 돌리기만 해도 미리 할당된 기능이 신속하게 실행되기 때문에 편리하게 조그다이얼키를 사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jog dial key to enable the multimedia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function of instructing the execution of a multimedia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jog dial key.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jog dial key that can move in two directions on the keypad, and when a jog dial key movement direction is detected in a multimedia mode assigned to operate the jog dial key function, a fun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is provided. To be executable. By doing so, the user can easily execute a frequently used function by using the jog dial key. Accordingly, the user can quickly execute the pre-assigned function by simply turning the jog dial key to the left or right without a separate function selection operation. Since it is executed, the jog dial key can be used conveniently.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이 구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 요소 및 그 동작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Components and opera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above functions are implement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는 메인바디(102)와 서브바디(104)를 갖는데, 서브바디(102) 이면 상에 표시부(10)가 구비된다. 그리고 메인바디(102)에 조그키입력부(30)가 구비되어 있다. 조그키입력부(30)는 조그다이얼키(32)와 선택키(34)로 구성된다. 조그키입력부(30)의 조그다이얼키(32)는 사용자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며, 움직임 방향에 따른 신호 또는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 등의 이동을 요구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조그키입력부(30)의 선택키(34)는 커서 위치에 해당하는 목적의 선택을 요구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terminal has a main body 102 and a sub body 104, and the display unit 1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b body 102. The main body 102 is provided with a jog key input unit 30. The jog key input unit 30 is composed of a jog dial key 32 and a selection key 34. The jog dial key 32 of the jog key input unit 30 rotates to the left or the right by the user, and outputs a sig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r a signal requesting the movement of a cursor or the lik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select key 34 of the jog key input unit 30 outputs a signal for requesting selection of a purpose corresponding to the cursor position.

예를 들어, 사용자는 조그키입력부(30)를 움직여서 표시부(10) 상에 표시되는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게임 실행 시 캐릭터의 움직임 방향을 조그키입력부(30)를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캐릭터를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조작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enjoy the gam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 by moving the jog key input unit 30. In detail, the user may operate the character to move the character in a desired direction by controlli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character using the jog key input unit 30 when the game is executed.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조그다이얼키 움직임에 따라 미리 정의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인 도 2를 참조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표시부(10), 제어부(20), 조그키입력부(30)를 포함한다.To describe this in detail, referring to FIG. 2, which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for performing a predefined multimedia function according to a jog dial key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0, a controller 20, and a jog key input unit 30.

제어부(2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조그다이얼키 동작이 가능한 모드에서의 조그다이얼키(32) 움직임 방향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조그다이얼키 동작이 가능한 모드란 조그다이얼 조작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능이 미리 정의된 다수의 멀티미디어 모드를 말한다. The controller 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and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jog dial key 32 in a mode in which the jog dial key operation is possi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mode in which the jog dial key operation is possible refers to a plurality of multimedia modes in which a multimedia function according to the jog dial operation is predefined.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사용자에 의해 조종되는 조그다이얼키(32)의 움직임에 따라 조그키입력부(30)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로부터 움직임 방향을 검출한다. 이 때, 제어부(20)는 현재 모드가 조그키입력부(30)의 움직임에 따른 동작이 가능한 모드라고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면, 제어부(20)는 조그다이얼키(32)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할당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20)는 조그키입력부(30)의 사용이 가능한 모드에서만 조그다이얼키(32)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방향을 검출하고, 움직임 방향이 검출되면 그 모드에 대해 조그다이얼키(32)의 움직임 방향마다 각기 다르게 할당된 멀티미디어 기능 중 검출된 움직임 방향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한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0 detects the direction of movement from the signal detected by the jog key input unit 3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jog dial key 32 controlled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0 should recognize that the current mode is a mode that can operat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jog key input unit 30. Then, the controller 20 controls the allocated function to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jog dial key 32. 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20 detects the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jog dial key 32 only in the mode in which the jog key input unit 30 can be used, and if the movement direction is detected, the jog dial key 32 for the mode. Performs a multimedia function according to the detected direction of motion among the multimedia functions allocated differently for each direction of motion.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이미지 뷰어 기능,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텍스트 뷰어 기능, 캐릭터 제어 기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기능은 조그키입력부(30)의 움직임이 가능한 모드에서 수행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조그키입력부(30)의 움직임에 따른 동작이 가능한 모드 즉, 멀티미디어 모드로는 이미지 뷰어(Image Viewer) 모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 텍스트 뷰어(Text Viewer) 모드, 게임 모드 등이 있다. In more detail, the controller 20 implements an image viewer function, a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a text viewer function, and a character control function. Such a function is performed in a mode in which the jog key input unit 30 can be 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de capable of oper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jog key input unit 30, that is, a multimedia mode, is an image viewer. ) Mode, multimedia playback mode, text viewer mode, and game mode.

먼저, 이미지 뷰어 모드에서 멀티미디어 기능으로써 이미지 뷰어 기능이 있는데, 이러한 기능은 사용자가 조그다이얼키(32)를 좌/우로 움직이게 되면 좌/우 방향에 따라 이미지 뷰어와 관련되어 할당된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그다이얼키(32)를 좌측 방향으로 움직인 경우에는 현재 표시되는 있는 이미지가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줌 아웃(Zoom out)이 수행되고, 우측 방향으로 움직인 경우에는 그 이미지가 축소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줌 인(Zoom in) 기능이 수행된다. First of all, there is an image viewer function as a multimedia function in the image viewer mode. When the user moves the jog dial key left / right, the function assigned to the image viewer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left / right direction. Say. For example, when the user moves the jog dial key 32 to the left, a zoom out is performed to enlarge and display the currently displayed image, and when the user moves to the right, the image is zoomed out. A zoom in function is performed to reduce the size of the display.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에서 멀티미디어 재생 관련 기능은 사용자가 조그다이얼키(32)를 좌/우로 움직이게 되면 그 움직임 방향에 따라 재생과 관련되어 할당된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그다이얼키(32)를 좌측 방향으로 움직인 경우에는 현재 재생 중이거나 재생 대상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앞으로 되돌릴 수 있도록 하는 되감기(RW) 기능이 수행되고, 우측 방향으로 움직인 경우에는 뒤로감기(FF) 기능이 수행된다. In the multimedia play mode, the multimedia play related function means that when the user moves the jog dial key left / right, the function assigned in relation to the play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moves the jog dial key to the left direction, a rewind (RW) function is performed to return the multimedia file currently being played or the playback target to the front, and the user moves the jog dial key 32 to the left. FF is performed.

텍스트 뷰어 모드에서 화면 상에 문자 메시지 또는 e-book 보기 등과 관련된 텍스트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그다이얼키(32)를 좌측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그 움직임 방향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텍스트 부분이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텍스트 뷰어 기능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한 화면에는 문장이 긴 텍스트 전체가 표시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좌측으로 조그다이얼키(32)를 움직임으로써 화면 상에 표시되지 않던 하위 문장 부분을 볼 수 있고, 다시 우측으로 움직이게 되면 상위 문자 부분을 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좌/우로 움직이는 경우에 할당된 기능이 수행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즉, 한 화면을 넘는 전체 텍스트 중 현재 표시되고 있는 텍스트 부분을 제외한 화면에 표시되지 않던 텍스트 부분은 조이스틱부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위, 아래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스크롤되어 표시되게 된다. If the user moves the jog dial key to the left while the text related to the text message or e-book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text viewer mode, the portion of the text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A text viewer function is performed to enable this. For example, because the entire sentence text is not displayed on one screen, the user can see the lower sentence portion that wa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by moving the jog dial key 32 to the left, and then move to the right again. You can see the upper character part.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 example in which the assigned function is performed when moving to the left / righ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text portion which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except for the text portion currently displayed among all the texts over one screen is scrolled and displayed in one of the up and down directions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joystick unit.

게임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조그다이얼키(32)를 좌우의 2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화면에 표시되는 캐릭터를 그 움직임 방향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캐릭터 제어 기능이 수행된다. In the game mode, a character control function is performed in which the user moves the character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by moving the jog dial key 3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표시부(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어부(20)의 제어하에 키패드로부터 입력된 키입력 데이터에 대한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 및 문자로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표시부(10)는 제어부(20)의 제어하에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설정하거나 구동시킴에 있어 그 상태를 가시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표시부(10)는 제어부(20)의 제어하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 뷰어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한 조그다이얼키(32)의 움직임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된 이미지가 표시된다. 그리고 텍스트 뷰어 모드에서는 현재 화면에 표시되던 텍스트 부분이 사용자에 의한 조그다이얼키(32)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표시되지 않거나 화면에 표시되지 않던 텍스트 부분이 위쪽 또는 아래쪽 방향으로 스크롤되어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표시부(10) 상에는 게임 모드에서는 그 움직임에 따라 캐릭터가 이동하는 게임 화면이 표시된다. The display unit 10 may be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the like. The display unit 10 receives and displays display data on key input data input from a keypa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 or displays an operation state and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Display information as icons and text.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0 allows the user to visually know the state in setting or driving a required fun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0 displays an enlarged or reduced ima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jog dial key by the user in the image viewer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 In the text viewer mode, the text portion that is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is not displayed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jog dial key 32 by the user, or the text portion which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is scrolled up or down. In the game mode, a game screen on which the character moves according to the movem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해당 모드에서 그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에 따라 할당된 기능을 선택하여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흐름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에 종속적인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Hereinafter, a control flow for selecting and executing a function assign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jog dial key in the corresponding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 for performing a multimedia function dependent on the movement of a jog dial ke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어부(20)는 400단계에서 사용자가 조그다이얼키를 조작함에 따라 조그키입력부(30)를 통한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 이 때, 제어부(20)는 410단계에서 조그다이얼키 조작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능이 정의된 멀티미디어 모드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현재 모드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0)는 42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모드가 조그다이얼키 사용이 가능한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즉, 현재 모드가 조그다이얼 조작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능이 미리 정의된 다수의 멀티미디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First,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whether movement of the jog dial key through the jog key input unit 30 is detected as the user operates the jog dial key in step 40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the current mode to determine whether the multimedia function according to the jog dial key operation is defined in step 410.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0 proceeds to step 420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mode is a mode that can use the jog dial key.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mode corresponds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predefined multimedia modes according to the jog dial operation.

만약 조그다이얼키의 사용이 가능한 모드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가 조그다이얼키를 움직이면 제어부(20)는 430단계로 진행하여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 방향에 따른 조그키입력부(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 방향을 검출한다. 그러면 제어부(20)는 440단계로 진행하여 검출된 움직임 방향에 따라 할당된 지시 동작 즉, 멀티미디어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jog dial key can be used, if the user moves the jog dial key, the controller 20 proceeds to step 430 and us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jog key input unit 30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jog dial key. To detect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jog dial key. Then, the controller 20 proceeds to step 440 to control the allocated instruc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detected movement direction, that is, the multimedia function.

이어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체적인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5를 참조한다. 도 4는 도 3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Next, reference is made to FIG. 5 to describe in detail a specific examp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FIG. 3.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0)는 50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하여, 움직임이 검출되는 경우 505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모드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이 검출되면 현재 모드를 판단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사용자에 의해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면 현재 모드가 조그키입력부 사용이 가능한 모드인지를 판단한 후에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whether the movement of the jog dial key by the user is detected in step 500, and if the movement is detected, the controller 20 proceeds to step 505 to determine the current mod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vement of the jog dial key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mode is determined. However, when the mode is changed by the us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mode is a mode in which the jog key input unit can be used, In the case of detection,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그러면, 제어부(20)는 51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의 모드가 조그다이얼키의 사용이 가능한 이미지 뷰어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현재 모드가 이미지 뷰어 모드인 경우 제어부(20)는 515단계로 진행하여 조그다이얼키(32)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현재 화면상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표시되도록 줌 아웃 또는 줌 인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510단계에서 이미지 뷰어 모드가 아닌 경우 제어부(20)는 52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의 모드가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0)는 525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파일을 앞으로 되돌리거나 뒤로 돌릴 수 있는 되감기, 뒤로 감기 기능을 수행한다. In operation 510,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mode is an image viewer mode in which the jog dial key can be used. If the current mode is the image viewer mode, the controller 20 proceeds to step 515 to zoom out or zoom in to enlarge or reduce the image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jog dial key 32. Perform the function. In contrast, in step 510, if the image viewer mode is not present, the controller 20 proceeds to step 520 and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mode is the multimedia playback mod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ultimedia playback mode, the control unit 20 proceeds to step 525 to perform the rewind, rewind function that can be used to reverse or reverse the multimedia file currently being played.

이와 달리 520단계에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가 아닌 경우 제어부(20)는 530단계로 진행하여 텍스트 뷰어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문자 메시지, e-book 등과 관련된 문장이 표시되는 텍스트 뷰어 모드인 경우 제어부(20)는 535단계로 진행하여 조그다이얼키(32)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상위 문장 부분 또는 하위 문장 부분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텍스트 뷰어 모드에서 문장 표시 상태는 화면 크기의 제약으로 전체 문장 중 일부만이 표시되는 상태임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체적인 문장을 확인하기 위해 조그다이얼키(32)를 좌/우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앞쪽 부분의 문장 또는 뒤쪽 부분의 문장 등 각각의 해당 부분의 문장을 볼 수 있게 된다. In contrast, in step 520, if the multimedia mode is not in the multimedia playback mode,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whether the text viewer mode is performed in step 530. In case of the text viewer mode in which sentences related to text messages, e-books, etc. are displayed, the control unit 20 proceeds to step 535 and controls the upper sentence portion or the lower sentence portion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jog dial key 32. do. In this case, the sentence display state in the text viewer mode is preferably a state in which only a part of the entire sentence is displayed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creen size. Accordingly, the user can view the sentence of each corresponding part such as the sentence of the front part or the sentence of the rear part by manipulating the jog dial key 32 in the left / right direction to check the overall sentence.

한편, 530단계에서 텍스트 뷰어 모드가 아닌 경우 제어부(20)는 54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의 모드가 게임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이 때, 게임 모드는 조그다이얼키의 사용이 가능한 모드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현재의 모드가 조그다이얼키 사용이 가능한 모드인 경우 제어부(20)는 545단계로 진행하여 그 게임 실행 시에 표시되는 게임 캐릭터의 이동 방향을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제어하게 된다. In operation 530, the controller 20 proceeds to operation 540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mode is a game mode. At this time, the game mode is preferably a mode that can use the jog dial key. Therefore, when the current mode is a mode in which the jog dial key can be used, the controller 20 proceeds to step 545 and control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game character displayed at the time of executing the game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jog dial key.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에서는 이미지 뷰어 모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 텍스트 뷰어 모드, 게임 모드에 한하여 동작하는 조그다이얼키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 방향에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For example,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the jog dial key that operates only in the image viewer mode, the multimedia playback mode, the text viewer mode, and the game mod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e function can be assigned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jog dial key.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조그키입력부를 구 비함으로써 사용자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다중 기능에서 원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신속하고 편리하게 해당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그키입력부의 사용한 가능한 모드에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각기 다르게 할당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번거로운 키패드 조작없이도 해당 기능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jog key input uni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user can easily select a desired function from various multimedia multi-functions, and thus, the user can quickly and conveniently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There is thi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ssigning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jog dial key in the available mode using the jog key input unit,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use the function without cumbersome keypad operation There is an advantage.

Claims (1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조그다이얼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능 실행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of executing a multimedia function using a jog dial ke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이 검출되면, 현재 모드가 상기 조그다이얼키로 이용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기능이 정의된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모드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When the movement of the jog dial key is detected,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mode corresponds to one of a plurality of multimedia modes in which multimedia functions available with the jog dial key are defined; 상기 현재 모드가 상기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모드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 방향을 검출하는 과정과,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mode corresponds to any one of the multimedia modes, detecting a movement direction of the jog dial key; 상기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 방향 각각에 대해 할당된 상기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모드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기능들 중 상기 검출된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다이얼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능 실행 방법.Performing a multimedi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movement direction among the multimedia functions associated with the one multimedia mode assigned to each movement direction of the jog dial key. How to launch multimedia featur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erforming of the multimedia function comprises: 상기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모드가 이미지 뷰어(Image Viewer) 모드일 경우, 상기 검출된 움직임 방향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확대 표시 기능, 상기 이미지를 축소하여 표시하는 축소 표시 기능 중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다이얼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능 실행 방법.When the multimedia mode is an image viewer mode, any one of an enlarged display function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detected movement direction, and a reduced display function for reducing and displaying the image. Method of executing a multimedia function using a jog dial key,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performing a multimedia fun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erforming of the multimedia function comprises: 상기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모드가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일 경우, 상기 검출된 움직임 방향에 따라 현재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파일을 앞으로 되돌리는 되감기 기능(RW), 뒤로 돌리는 뒤로 감기(FF) 기능 중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다이얼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능 실행 방법.When one of the multimedia modes is a multimedia playback mode, the multimedia function includes one of a rewind function (RW) and a reverse (FF) function. Method of executing a multimedia function using a jog dial key,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perform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erforming of the multimedia function comprises: 상기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모드가 텍스트 뷰어 모드일 경우, 한 화면을 넘는 전체 텍스트 중 현재 표시되고 있는 텍스트 부분을 제외한 화면에 표시되지 않던 텍스트 부분을 상기 검출된 움직임 방향에 따라 위, 아래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스크롤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다이얼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능 실행 방법.When any one of the multimedia modes is the text viewer mode, the text portion which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except for the text portion currently displayed among all the texts over one screen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detected movement direction. A method of executing a multimedia function using a jog dial key, which is a process of performing a function of scrolling and displaying in a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erforming of the multimedia function comprises: 상기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모드가 게임 모드일 경우, 게임 실행 시 화면에 표시되는 캐릭터를 상기 검출된 움직임 방향에 따라 이동시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다이얼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능 실행 방법.When the one of the multimedia mode is the game mode, a method for executing a multimedia function using a jog dial key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moving and displaying the character displayed on the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ed movement direction when the game is executed. . 조그다이얼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a multimedia function using a jog dial key,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전가능하며, 움직임 방향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조그다이얼키 및 커서 위치에 해당하는 객체의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키로 구성된 조그키 입력부와,A jog key input unit which is rotatable to the right or left side and comprises a jog dial key for outputting a signal according to a movement direction and a selection key for outputting a selection signal of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cursor position; 상기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이 검출되면, 현재 모드가 상기 조그다이얼키로 이용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기능이 정의된 복수의 멀티미디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모드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현재 모드가 상기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모드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그키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근거로 상기 조그다이얼키의 움직임 방향을 검출한 후, 상기 검출된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할당된 상기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모드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와,When the movement of the jog dial key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mode corresponds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multimedia modes in which a multimedia function available as the jog dial key is defined, and the current mode corresponds to any one of the multimedia mode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corresponds to the mode, based 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jog key input unit detect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jog dial key, the multimedia function associated with any one of the multimedia mode assigned in correspondence to the detected movement direction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the 상기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다이얼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scree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multimedia mod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모드가 이미지 뷰어(Image Viewer) 모드일 경우, 상기 검출된 움직임 방향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확대 표시 기능, 상기 이미지를 축소하여 표시하는 축소 표시 기능 중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다이얼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When the multimedia mode is an image viewer mode, any one of an enlarged display function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detected movement direction, and a reduced display function for reducing and displaying the imag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a multimedia function using a jog dial key,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one multimedia fun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모드가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일 경우, 상기 검출된 움직임 방향에 따라 현재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파일을 앞으로 되돌리는 되감기 기능(RW), 뒤로 돌리는 뒤로 감기(FF) 기능 중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다이얼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When one of the multimedia modes is a multimedia playback mode, the multimedia function includes one of a rewind function (RW) and a reverse (FF) func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a multimedia function using a jog dial ke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모드가 텍스트 뷰어 모드일 경우, 한 화면을 넘는 전체 텍스트 중 현재 표시되고 있는 텍스트 부분을 제외한 화면에 표시되지 않던 텍스트 부분을 상기 검출된 움직임 방향에 따라 위, 아래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스크롤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다이얼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When any one of the multimedia modes is the text viewer mode, the text portion which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except for the text portion currently displayed among all the texts over one screen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detected movement direc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a multimedia function using a jog dial key, characterized by scrolling and displaying in a dir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모드가 게임 모드일 경우, 게임 실행 시 화면에 표시되는 캐릭터를 상기 검출된 움직임 방향에 따라 이동시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다이얼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When the multimedia mode is any one of the game modes, the mobile terminal performs a multimedia function using a jog dial key, wherein a character displayed on the screen is mov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detected movement direction when the game is executed.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50012032A 2005-02-14 2005-02-14 Method of practicing multimedia function using jog dial key in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therefor KR1011338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032A KR101133801B1 (en) 2005-02-14 2005-02-14 Method of practicing multimedia function using jog dial key in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032A KR101133801B1 (en) 2005-02-14 2005-02-14 Method of practicing multimedia function using jog dial key in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156A KR20060091156A (en) 2006-08-18
KR101133801B1 true KR101133801B1 (en) 2012-04-06

Family

ID=37593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032A KR101133801B1 (en) 2005-02-14 2005-02-14 Method of practicing multimedia function using jog dial key in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80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945B1 (en) 2018-11-28 2019-10-23 (주)브레인키즈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player with jog di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309B1 (en) * 2007-03-14 201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059A (en) * 2001-02-05 2002-08-13 삼성전자 주식회사 Jog dial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40107472A (en) * 2002-03-05 2004-12-2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059A (en) * 2001-02-05 2002-08-13 삼성전자 주식회사 Jog dial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40107472A (en) * 2002-03-05 2004-12-2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945B1 (en) 2018-11-28 2019-10-23 (주)브레인키즈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player with jog d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156A (en) 200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07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 access to application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453057B2 (en) Stage interaction for mobile device
KR10209123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a message in a portable terminal
US87759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EP2284670B1 (en) Method of displaying object and terminal capable of implementing the same
US8300017B2 (en) Mobile electronic apparatus with touch input device and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US9785329B2 (en) Pocket computer and associated methods
US20100149114A1 (en) Simulating a multi-touch screen on a single-touch screen
US20070024646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EP1983733B1 (en) Displaying active cursor in mobile terminal
EP1865408A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menu icons
JP2009266220A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graphic menu bar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US20100281430A1 (en) Mobile applications spin menu
KR20100037973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 thereof
KR20030097820A (en) Coordinating images displayed on devices with two or more displays
KR20140132774A (en) Location-based display characteristics in a user interface
CN105122176A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displayed content on electronic devices
JP2008084119A (en)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JP2010066830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KR10160879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ving object display dial of in portable terminal
JP2007249943A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text effect item
KR101133801B1 (en) Method of practicing multimedia function using jog dial key in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therefor
JP515578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KR1004132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menu using key-pad arrangement type icon in portable set
KR20040057131A (en) Portable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magnifying the designated position on the touch-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